KR100754143B1 - 휴대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143B1
KR100754143B1 KR1020050112569A KR20050112569A KR100754143B1 KR 100754143 B1 KR100754143 B1 KR 100754143B1 KR 1020050112569 A KR1020050112569 A KR 1020050112569A KR 20050112569 A KR20050112569 A KR 20050112569A KR 100754143 B1 KR100754143 B1 KR 100754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display panel
mold fram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503A (ko
Inventor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143B1/ko
Priority to US11/603,097 priority patent/US7751182B2/en
Publication of KR20070054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표시장치는 제1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수납 고정되는 몰드 프레임과, 상기 몰드 프레임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표시패널로 제어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의 적어도 두 측면으로부터 서로 연결되도록 신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두 측면을 감싸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용 표시장치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는 않으면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표시장치{Portable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몰드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표시장치를 조립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용 표시장치 110; 제1 표시패널
120: 광학 시트 130: 발광 다이오드
135: 발광 다이오드 기판 140: 몰드 프레임
140a: 몰드 프레임의 돌출부 150: 도광판
160: 반사판 170: 백라이트 어셈블리
180: 제1 인쇄회로기판 185: 제2 인쇄회로기판
190: 제2 표시패널
본 발명은 휴대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발광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LED) 등이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등의 잇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음극선관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핸드폰 및 PDA(Portable digital assistor) 등의 휴대용 기기 뿐만 아니라 중대형 제품인 모니터 및 TV 등에도 장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핸드폰 등에 사용되며 적어도 하나의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된 듀얼(Dual) 표시장치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표시장치(50)는 제1 표시패널(5)과, 도시되지 않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등이 수납되는 몰드 프레임(10)과, 몰드 프레임(10)의 배면에서 몰드 프레임(10)에 고정되도록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20)과, 인쇄회로기판(20)에 부착되는 제2 표시패널(30)을 구비한다.
제1 표시패널(5)은 상부 및 하부 기판과 이들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셀들을 구비한 액정 표시패널이다. 액정셀들 각각에는 비디오 신호를 절환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 표시패널(5)의 일측에는 집적회로(미도시)가 삽입되고, 이 집적회로로부터 데이터 신호 및 주사신호가 공급된다. 데이터 신호 및 주사신호를 공급받은 제1 표시패널(5)은 데이터신호 및 주사신호에 대응되는 화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제1 표시패널(5)에서 소정의 화상을 표시될 수 있도록 광을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시되지 않은 광원을 구비한다. 그리고, 백라이트 어셈블리에는 몰드 프레임(10)이 포함되고, 이 몰드 프레임(10)의 내부에 제1 표시패널(5) 및 광원 등이 고정 삽입된다.
여기서, 몰드 프레임(10)의 직각 모서리에는 인쇄회로기판(20)의 접착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얼라인 팁(align tip)(10a)이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20)은 도시되지 않은 핸드폰 측 구동회로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받는다. 이를 위해, 인쇄회로기판(20)은 핸드폰 커넥터(22)를 구비한다. 핸드폰 커넥터(22)는 핸드폰 측 구동회로에 부착된 또 다른 커넥터에 합체 고정되어 핸드폰 측 구동회로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받는다. 구동신호를 공급받은 인쇄회로기판(20)은 자신에게 공급된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다양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한다. 인쇄회로기판(2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들은 제1 표시패널(5) 및 광원 등으로 공급되어 제1 표시패널(5)에서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20)에는 몰드 프레임(10)에 형성된 얼라인 팁(10a)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여, 인쇄회로기판(20)의 홈들은 인쇄회로기판(20)의 직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20)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얼라인 팁(10a)이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의 홈들에 얼라인 팁(10a)이 위치되면 인쇄회로기판(20)과 몰드 프레임(10)이 정렬되면서 부착될 수 있다.
제2 표시패널(30)은 인쇄회로기판(20)의 배면에서 인쇄회로기판(20)과 접속되어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은 제2 표시패널(30)은 유기 발광 표시패널 및 액정 표시패널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표시장치(50)에 있어서, 휴대기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 추세에 따라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키고 구동에 불필요한 보호 요소 등을 삭제하는 등 휴대용 표시장치 전반에 걸친 슬림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슬림화는 휴대용 표시장치의 강성을 약화시켜 잦은 고장과 파손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표시장치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적인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발생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몰드 프레임의 형상을 변경하여 강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수납 고정되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표시패널로 제어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의 적어도 두 측면으로부터 서로 연결되도록 신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두 측면을 감싸는 돌출부가 구비된 휴대용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세 측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들이 신장되는 높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두께와 동일하거나 낮게 설정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부착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패널이 더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핸드폰 등에 이용되는 듀얼(dual) 표시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단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표시장치의 구조 및 배치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표시장치(100)는 제1 표시패널(110), 백라이트 어셈블리(170), 제1 인쇄회로기판(180), 제2 인쇄회로기판(185) 및 제2 표시패널(190)을 구비한다. 여기서, 두 개의 표시패널(110, 190)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표시패널만을 구비하면 되고, 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액정 표시패널로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제1 표시패널(110)은 액정표시패널이고, 제2 표시패널(190)은 유기 발광 표시패널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 표시패널(110)은 제2 표시패널(190)보다 많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넓은 화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표시패널(110)은 핸드폰 폴더의 내부창으로 이용되고, 제2 표시패널(190)은 핸드폰 폴더의 외부창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패널(110)은 메세지 수신내역과 통화정보 등 많은 양의 정보를 표시하고, 제2 표시패널(190)은 날짜와 시간 등 비교적 적은 양의 정보를 표시한다.
제1 표시패널(110)은 집적회로(112), 제1 기판(110a), 제2 기판(110b) 및 제1 기판(110a)과 제2 기판(110b)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을 구비한다.
제1 기판(110a)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데이터선에 접속되고,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에 접속된다.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도전성 재질의 투명한 ITO로 이루어진 화소전극과 접속된다. 이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는 주사선으로 주사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를 화소전극으로 공급한다.
집적회로(112)는 박막 트랜지스터로 주사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적절한 시기에 공급한다. 그리고, 집적회로(112) 주위에는 보호층(115)이 형성된다.
제2 기판(110b)은 제1 기판(110a)과 대향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2 기판(110b)의 전면에는 ITO로 이루어진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공통전극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소정의 전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전계에 의하여 제1 기판(110a) 및 제2 기판(110b) 사이에 주입된 액정의 배열각이 변화되고, 변화된 배열각에 따라서 광투과도가 변경되어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170)는 발광 다이오드들(130), 발광 다이오드 기판(135), 도광판(150), 반사판(160) 및 광학 시트들(120)과, 이들을 수납 고정하는 몰드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들(130)은 발광 다이오드 기판(135)으로부터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생성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들(130)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 램프 등의 다른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들(130)의 수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기판(135)은 제1 인쇄회로기판(180)과 접속되어, 제1 인쇄회 로기판(18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발광 다이오드들(130)로 구동신호를 공급한다.
도광판(150)은 발광 다이오드들(130)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제1 표시패널(110)로 공급한다. 즉, 도광판(150)은 자신의 측면에서 공급된 광을 제1 표시패널(110) 면적의 평면광으로 유도한다.
반사판(160)은 도광판(150)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을 광학 시트들(120)로 공급한다.
광학 시트들(120)은 도광판(150)으로부터 공급되는 광의 균일성 및/또는 휘도 등을 향상시켜 제1 표시패널(110)로 공급한다.
몰드 프레임(140)은 발광 다이오드들(130), 발광 다이오드 기판(135), 도광판(150), 반사판(160) 및 광학 시트들(120)을 수납 고정한다. 이와 같은 몰드 프레임(140)은 적어도 두 측면에서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185) 쪽으로 신장되며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140a)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프레임(140)의 세 측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신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출부(140a)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185)이 몰드 프레임(140)에 부착될 때 접착위치를 가이드한다.
여기서, 돌출부(140a)는 종래의 팁의 형상과는 다르게 몰드 프레임(140)의 세 측면으로부터 서로 연결되도록 신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팁 형상으로 형성되었을 때보다 손상을 적게 입는다. 또한, 세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40a)는 "ㄷ"자 형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이 부착 되었을 때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의 세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휴대용 표시장치(10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돌출부(140a)의 두께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이 부착되었을 때의 두께 즉,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의 측면두께의 합과 동일하거나 작게 설정된다. 여기서, 돌출부(140a)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140)의 단부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측면 모서리 부분에 집중되는 응력(stress)이 감소하게 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몰드 프레임(140)의 세 측면으로부터 신장되도록 돌출부(140a)를 형성하였지만,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출부(140a)는 몰드 프레임(140)의 네 측면으로부터 서로 연결되도록 신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인쇄회로기판(185)의 핸드폰 커넥터(187) 등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홈 또는 개구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몰드 프레임(140)의 두께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의 측면두께의 합과 동일하거나 작게 설정하였지만,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과 제2 표시패널(190)의 측면두께의 합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185)은 도시되지 않은 핸드폰 측 구동회로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받는다. 이를 위해, 제2 인쇄회로기판(185)은 핸드폰 커넥터(187)를 구비한다. 핸드폰 커넥터(187)는 핸드폰 측 구동회로에 부착된 또 다른 커넥터에 합체 고정되어 핸드폰 측 구동회로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받는다. 구동신호를 공급받은 제 2 인쇄회로기판(185)은 자신에게 공급된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다양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한다.
제1 인쇄회로기판(180)은 제2 인쇄회로기판(185)에 형성된 제1 패드부(189)를 통하여 제2 인쇄회로기판(185)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1 인쇄회로기판(180)은 도시되지 않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의하여 제1 표시패널(110)의 집적회로(112) 및 발광 다이오드 기판(135)과 접속된다. 집적회로(112) 및 발광 다이오드 기판(135)에 접속된 제1 인쇄회로기판(180)은 제2 인쇄회로기판(185)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들에 대응하여 집적회로(112) 및 발광 다이오드 기판(135)을 구동시킨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의 모서리들은 몰드 프레임(140)의 돌출부(140a)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성형된다.
제2 표시패널(190)은 유기 발광 표시패널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2 표시패널(190)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92)과 접속되고, 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92)은 제2 패드부(197)를 통하여 제2 인쇄회로기판(185)과 접속된다. 여기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92)에는 집적회로(195)가 실장되고, 이 집적회로(195)는 제2 인쇄회로기판(185)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들에 대응하여 제2 표시패널(190)에서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제2 표시패널(190)은 액정표시패널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도광판(150)과 제2 표시패널(190) 사이에는 다수의 광학 시트들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 내부에는 제2 표시패널(190)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휴대용 표시장치(100)는 몰드 프레임(140)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섀시들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표시장치를 조립했을 때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몰드 프레임(140)의 세 측면에서 "ㄷ"자 형상으로 신장된 돌출부(140a)에 의해 측면이 감싸지는 제2 인쇄회로기판(185)은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하여 몰드 프레임(140)에 부착된다. 여기서, 돌출부(140a)의 측면두께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과 제2 표시패널(190)의 두께의 합을 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140a)가 제2 인쇄회로기판(185)의 세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면, 돌출부(140a)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140)의 두께는 돌출부(140a)의 두께(p)만큼 증가된다. 즉, 돌출부(140a)가 형성된 몰드 프레임(140)의 측면두께(d')는 기존 몰드 프레임(140)의 측면두께(d)에 돌출부(140a)의 두께(p)를 더한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핸드폰 커넥터(187)가 형성된 제2 인쇄회로기판(185)의 측면과 대응되는 몰드 프레임(140)의 측면에는 돌출부(140a)를 형성하지 않아 정렬을 더 용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응력(stress)은 측면 모서리 부분에 집중되는데 이와 같이 몰드 프레임(140)의 측면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몰드 프레임(14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몰드 프레임(140)의 측면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동일한 외력에 대하여 몰드 프레임(140)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하게 되고, 아울러 변위도 감소하게 됨으로써 몰드 프레임(140)이 강건화된다. 이와 같은 몰드 프레임(140)의 강건화는 휴대용 표시장치(100) 전체의 강건화로 이어진다.
또한,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이 돌출부(140a)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도록 성형되고, 돌출부(140a)의 측면두께가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과 제2 표시패널(190)의 두께의 합을 넘지 않도록 설정됨으로써 몰드 프레임(140)의 측면두께는 증가하더라도 휴대용 표시장치(100)의 전체 두께(d')는 증가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표시장치(100)의 전체 두께는 동일하게 유지되더라도 몰드 프레임(140)과 몰드 프레임(140)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180, 185)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휴대용 표시장치를 보다 강건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표시장치에 의하면, 몰드 프레임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돌출부의 내측에 돌출부에 의해 측면이 감싸지도록 정렬되어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형상변경을 통하여 휴대용 표시장치의 강성을 향상시 킬 수 있다.

Claims (5)

  1. 제1 표시패널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수납 고정되는 몰드 프레임; 및
    상기 몰드 프레임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표시패널로 제어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세 측면들을 감싸도록 자신의 세 측면으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는 두께방향으로 신장되고, 각 측면에서 신장된 부분이 서로 연결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표시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이 신장되는 높이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두께와 동일하거나 낮게 설정되는 휴대용 표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부착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성형된 휴대용 표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패널이 더 구비된 휴대용 표시장치.
KR1020050112569A 2005-11-23 2005-11-23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54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569A KR100754143B1 (ko) 2005-11-23 2005-11-23 휴대용 표시장치
US11/603,097 US7751182B2 (en) 2005-11-23 2006-11-22 Port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569A KR100754143B1 (ko) 2005-11-23 2005-11-23 휴대용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503A KR20070054503A (ko) 2007-05-29
KR100754143B1 true KR100754143B1 (ko) 2007-08-31

Family

ID=3805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569A KR100754143B1 (ko) 2005-11-23 2005-11-23 휴대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51182B2 (ko)
KR (1) KR100754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97641B (zh) * 2015-02-12 2017-08-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826A (ko) * 2003-12-24 2005-06-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50105038A (ko) * 2004-04-30 2005-1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고정구조 및 그 고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406B1 (ko) 1997-05-12 2005-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US6000812A (en) * 1997-11-17 1999-12-14 Mark Iv Industries Limited Writable disk sign
US6220723B1 (en) * 1997-11-17 2001-04-24 Mark Iv Industries Limited Writable disk sign
US6330148B1 (en) * 1999-01-13 2001-12-11 Lg. Philips Lcd Co., Ltd. Flat panel display module for computer
WO2000058778A1 (fr) * 1999-03-26 2000-10-05 Advanced Display Inc. Dispositif acl
TWI228616B (en) * 1999-11-30 2005-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569059B (en) * 1999-12-09 2004-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1249324A (ja) * 2000-03-03 2001-09-1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840715B1 (ko) * 2002-05-28 2008-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4260519B2 (ja) * 2003-03-31 2009-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196888B2 (ja) * 2004-06-25 2008-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33555A (ja) * 2004-11-08 2006-05-2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88578B1 (ko) * 2005-05-14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19658B1 (ko) * 2005-11-17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826A (ko) * 2003-12-24 2005-06-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50105038A (ko) * 2004-04-30 2005-1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의 고정구조 및 그 고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503A (ko) 2007-05-29
US20070115620A1 (en) 2007-05-24
US7751182B2 (en)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658B1 (ko) 휴대용 표시장치
EP1956401B1 (en) Display device with a bottom chassis
KR100711872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879852B1 (ko) 액정 표시장치
US77778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034707A (ko) 표시 장치
JP4504945B2 (ja) 携帯用表示装置
US20070121036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KR100745351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873701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075414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93541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821054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KR10079353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70121478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86472B1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8796A (ko) 수납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0830324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852346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0748357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80004132A (ko) 평판표시장치
KR100714018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84043B1 (ko) 평판표시장치
KR20070102894A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80042191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