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663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1663B1 KR102131663B1 KR1020150091238A KR20150091238A KR102131663B1 KR 102131663 B1 KR102131663 B1 KR 102131663B1 KR 1020150091238 A KR1020150091238 A KR 1020150091238A KR 20150091238 A KR20150091238 A KR 20150091238A KR 102131663 B1 KR102131663 B1 KR 1021316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liquid crystal
- crystal panel
- display device
- bottom chass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8—Segmented frames
-
- G02F2001/133325—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광원과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Bottom Chassis)와, 액정 패널과 광학 부재를 지지하고 바텀 섀시에 결합되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광원과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패널과 광학 부재를 지지하도록 사각 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한다. 프레임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및 운반 시에 다른 구성 요소와의 마찰에 의한 손상 및 이에 따른 분진, 파티클, 이물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정 패널과 광학 부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프레임의 재질을 개선하여 조립 용이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문자, 도형 등의 데이터 정보 및 영상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으로서, 텔레비전, 각종 모니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tablet PC), 스마트폰, 기타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이 스스로 발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발광형과, 액정 패널(LCD, Liquid Crystal Display)과 같이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고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광을 공급받아야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는 수광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과, 각종 광학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광원으로는 냉음극 형광 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외부 전극 형광 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등의 램프 또는 친환경 소자인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도광판, 확산판, 반사 시트,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디베프 시트 등을 포함하고, 이들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을 수용하는 섀시(Chassis)와, 상기 섀시에 수용되어 액정 패널을 지지하는 미들 프레임(Middle Frame)를 포함한다.
섀시는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를 기본 구성으로 하고 선택적으로 액정 패널의 전면 테두리부를 덮는 베젤부를 갖는 탑 섀시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은 액정 패널과 각종 광학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들 프레임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의 플라스틱 재질, 유리 섬유(Glass Fiber)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미들 프레임 본체와, 액정 패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미들 프레임 본체의 일면에 접착되는 실리콘 고무 재질의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접착 부재로 구성된다. 접착 부재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시 또는 운송 시에 상기 각종 광학 부재, 액정 패널 또는 섀시 등과의 마찰로 인해 미들 프레임 본체에서 발생되는 분진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용성이 있으나, 미들 프레임이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다른 부품을 서로 접착하여 형성함에 따라 조립이 복합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서로 다른 재질의 부품이 조립되어 형성되지 않고 하나의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 미들 프레임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섀시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미들 프레임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미들 프레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이동, 보관 시에 파손이 감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삽입홀이 가장자리에 형성된 바텀 섀시(Bottom Chassis); 및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광학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바텀 섀시의 복수의 삽입홀에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프레임; 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열가소성 고무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상기 바텀 섀시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시부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바텀 섀시에 형성되는 삽입홀에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삽입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돌기부는 상기 삽입홀부의 삽입홀의 치수 보다 큰 치수를 갖는 삽입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돌기부는 상기 삽입 바디부를 상기 삽입홀로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한 쌍의 장변 프레임과 한 쌍의 단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장변 프레임과 상기 단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와, 상기 바텀 섀시와 상기 후방 커버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는 바텀 섀시;와,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광학 부재를 지지하도록 사각 틀 형상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 부분을 지지하는 보강 부재; 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바텀 섀시의 모퉁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바텀 섀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섀시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보강 부재의 결합을 위한 락킹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바텀 섀시에 형성되는 락킹홀에 후크 결합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크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에는 상기 프레임의 장변 프레임과 단변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장변 프레임과 상기 단변 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연결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액정 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는 액정 패널 보강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의 액정 패널 보강 지지면과 상기 액정 패널의 측면 간의 간격은 상기 프레임의 액정 패널 지지면과 상기 액정 패널의 측면 간의 간격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정 패널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미들 프레임에 부착하였던 고무 재질의 테이프가 삭제되므로 부품 수 및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미들 프레임은 섀시에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구성품들 간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 발생이 최소화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이 바텀 섀시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강 부재가 바텀 섀시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강 부재가 액정 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탑 섀시는 생략됨.)
도 10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과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과 보강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미들 홀더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이 바텀 섀시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강 부재가 바텀 섀시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강 부재가 액정 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탑 섀시는 생략됨.)
도 10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과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과 보강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미들 홀더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각 도면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돕도록 확대하거나 다소 과장하여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명명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를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해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또는 명확히 하나라고만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구성 요소, 특징, 숫자, 단계, 동작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용소, 특징, 숫자, 단계, 동작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방, 후방,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의 방향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명세서 전반에 걸쳐 통일적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전면과 배면이라는 용어는 말 그대로 전면과 배면을 지칭하고, 측면 이라는 용어는 상황에 따라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을 모두 지칭하거나 그 중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단순히 전방에, 후방에, 상측에, 하측에, 좌측에 또는 우측에 라고 표현하는 경우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전방에, 후방에, 상측에, 하측에, 좌측에 또는 우측에마련되는 경우를 지칭할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 요소들 사이에 제3의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 제1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이 바텀 섀시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강 부재가 바텀 섀시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강 부재가 액정 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탑 섀시는 생략됨)이다.
도 10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과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과 보강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다양한 시각적인 정보를 인간이 볼 수 있도록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동영상 및 화상 신호를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 매체인 텔레비전과, 컴퓨터 출력 장치의 일종인 모니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스마트폰및 기타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의 화면은 평면이거나, 좌우 양 측이 중앙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된 곡면일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화면은 평면에서 곡면으로 변경되거나 곡면의 곡률이 가변하는 벤더블(bendable)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4)과, 액정 패널(4)의 후방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4)에 광을 비춰주는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Bottom Chassis,60)와, 액정 패널(4) 등을 지지하는 프레임(80)을 포함한다.
액정 패널(4)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시부로서 전압이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광학적 성질을 나타내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일종이다.
액정 패널(4)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Thin Film Transistor,TFT,5)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과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컬러 필터 기판(6),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상기 컬러 필터 기판(6)의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미도시)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은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한 기판이다. 컬러 필터 기판(6)은 소정의 색을 발현하는 색화소인 RGB 색화소가 박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투명한 기판이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의 데이터측 단자에는 데이터측 신호 전송 필름(7)이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측 신호 전송 필름(7)에는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9)이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9)은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데이터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측 신호 전송 필름(7)으로 인가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의 게이트측 단자에는 게이트측 신호 전송 필름(8)이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측 신호 전송 필름(8)은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은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인가 받아 게이트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게이트측 신호 전송 필름(8)으로 인가할 수 있다.
데이터측 신호 전송 필름(7) 및 게이트측 신호 전송 필름(8)은 연성회로기판 상에 구동 칩이 실장되는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측 신호 전송 필름(7)은 액정 패널(4)의 하측에 연결되고 게이트측 신호 전송 필름(8)은 액정 패널(4)의 우측에 연결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신호 전송 필름(7)과 게이트측 신호 전송 필름(8)은 액정 패널(4)의 다른 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9) 및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통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 신호 전송 필름(7)과 게이트측 신호 전송 필름(8) 역시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5)에 직접 배선이 형성되거나 구동 칩이 실장될 수도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패널(4)의 후방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4) 측으로 광을 비춰준다. 백라이트 유닛은 크게 광원(11)의 위치에 따라 광원(11)이 액정 패널(4)의 직후방에 배치되는 직하형(Direct Type)과, 광원(11)이 액정 패널(4)의 후방 측방에 배치되는 에지형(Edge Type)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에는 광원(11)에서 발산되는 광을 액정 패널(4)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도광판(LGP, Light Guide Plate)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11) 및 광원(11)이 실장된 기판(12)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10)과, 광원(11)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
광원(11)은 엘이디칩(Led Chip)이 투명 재질의 수지에 의해 도포된 엘이디 패키지(Led Package)를 포함한다.
기판(12)에는 복수의 광원(11)이 일렬로 또는 다양한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또는 기판(12)에는 하나의 광원(11)이 실장될 수 있다. 기판(12)에는 광원(11)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 전원 라인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신호 케이블(미도시) 및 백라이트 구동 회로(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광원(11)으로는 엘이디 이외에도 냉음극 형광 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외부 전극 형광 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가 사용될 수도 있다.
광학 부재는 광원(11)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광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거나 광을 반사시키거나 광을 확산시키거나 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을 반사시켜 광 손실을 방지시키는 반사판(Reflector Plate,20)과, 광원(11)에서 출사되는 불규칙적인 광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확산판(Diffuser Plate,30)과, 광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 시트(Optical Sheet,40)를 포함한다.
반사판(20)은 광원(11)에서 발산되는 광을 확산판(30)의 배면(33)으로 입사시키거나 확산판(30)에서 후방으로 출사되는 광을 확산판(30)의 배면(33)으로 재입사시킨다.
반사판(20)은 모재(Base Material)에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모재로는 SUS, BRASS, Aluminum, PET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고반사 코팅제로 Siver, TiO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판(20)은 바텀 섀시(6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판(20)의 테두리부에는 반사판(20)의 지지를 위한 지지홀(21,도 3)이 형성되고, 지지홀(21)에는 바텀 섀시(60)의 지지 돌기(64,도 3)가 삽입되어 반사판(20)의 유동을 방지하고 반사판(20)을 지지할 수 있다.
반사판(20)에는 광원(11)이 통과하도록 관통홀(22,도 2)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30)은 확산판(30)의 아래에 배열되어 있는 광원(11)에서 발생되는 불규칙한 광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역할과 각종 광학 시트(4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확산판(30)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도광판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확산판(30)의 그 배면(33)으로 입사된 광을 고르게 확산시켜 그 전면(31)으로 출사시킨다. 확산판(30)은 반사판(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열팽창을 고려하여 그 측면(32)이 프레임(80)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40)는 확산판(30)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확산판(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40)는 확산 시트(Diffuser Sheet)를 포함한다. 확산판(30)에 의해 산란된 광은 직접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확산판(30)의 패턴이 그대로 눈에 비치게 되므로 확산 시트는 확산판(30)의 패턴을 상쇄시키거나 최소화시킨다.
광학 시트(40)는 프리즘 시트(Prism Sheet)를 포함한다. 확산 시트를 지나면 광은 확산이 일어나면서 광의 휘도가 급격히 떨어지므로 프리즘 시트는 이 광을 다시 집중시켜 광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시트(40)는 보호 시트(Protection Sheet)를 포함한다. 보호 시트는 광학 시트를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 유입으로부터 보호한다.
광학 시트(40)는 상기와 같이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와, 보호 시트의 3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그 중에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도 있으며, 또는 성능이 복합된 복합 시트 1 장 또는 2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광학 시트(40)는 확산 시트와, 고휘도 프리즘 시트인 디베프(DBEF, 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복합 시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 시트(40)는 하나의 복합 시트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광학 시트(40)는 확산판(30)의 전방에 배치되어, 확산판(30)과 프레임(80)과 바텀 섀시(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광학 시트(40)는 테두리부에 지지홀(41,도 3)이 형성되고, 지지홀(41)에는 바텀 섀시(60)의 지지 돌기(64,도 3)가 삽입되어 광학 시트(40)의 유동을 방지하고 광학 시트(40)를 지지할 수 있다.
바텀 섀시(60)는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된다. 바텀 섀시(60)는 대략 굴곡을 갖거나 편평한 판 형상을 가지며, 탑 섀시(50)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의 액정 패널(4) 및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한다.
바텀 섀시(60)에는 탑 섀시(50)와 프레임(80) 등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가 결합되고 지지될 수 있다.
바텀 섀시(60)는 내부의 광원(11) 등의 발열 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바텀 섀시(60)는 알루미늄, SUS 등의 각종 금속 재질, 또는 ABS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섀시(60)는 후방의 바텀부(61,도 2)와, 바텀부(61)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텀 연장부(62,도 2)와, 탑 섀시(50)와 프레임(80)이 결합되도록 바텀 섀시(6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바텀 결합부(63)를 포함한다.
바텀 섀시(60)는 반사판(20)의 지지홀(21) 및 광학 시트(40)의 지지홀(41)에 삽입되어 반사판(20) 및 광학 시트(40)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64)를 포함한다. 지지 돌기(64)는 바텀 결합부(63)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바텀 섀시(60)는 액정 패널(4)의 신호 전송 필름(7,8)이 통과하도록 함몰되게 형성되는 필름 통과부(65,도 3)를 가질 수 있다. 신호 전송 필름(7,8)은 필름 통과부(65)를 통해 바텀 섀시(60)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로써 탑 섀시(50)의 베젤부(52)의 크기를 불필요하게 늘이지 않을 수 있다.
바텀 섀시(60)는 프레임(80)과의 결합을 위한 삽입홀부(66,도 5,도 7)를 가질 수 있다. 삽입홀부(66)는 바텀 결합부(63)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후방으로 돌출되고 원통 형상을 갖는 부시부(68)와, 부시부(68)의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홀(67)을 가질 수 있다.
바텀 섀시(60)의 삽입홀부(66)에는 프레임(80)의 삽입 돌기부(88)가 끼워 맞춤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바텀 섀시(60)는 보강 부재(100)와의 결합을 위한 락킹홀부(69,도 6,도 8)을 가질 수 있다. 락킹홀부(69)는 바텀 결합부(6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락킹홀(70)과, 바텀 결합부(63)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간섭부(71)를 가질 수 있다.
바텀 섀시(60)의 락킹홀부(69)에는 보강 부재(100)의 후크 돌기부(105)가 후크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바텀 섀시(60)의 후방에는 후방 커버(2)가 결합될 수 있다. 후방 커버(2)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 외관을 형성한다. 바텀 섀시(60)와 후방 커버(2)의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종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3)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지지를 위한 레그(2a)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액정 패널(4)의 전면(4a)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베젤부(52)와, 액정 패널(4)을 전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51)를 갖는 탑 섀시(50)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섀시(50)는 베젤부(5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탑 섀시 측부(53)를 가질 수 있다. 탑 섀시(50)는 바텀 섀시(6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탑 섀시(50)의 측부(53)에는 결합 후크부(54,도 6)가 마련되어 바텀 섀시(60)의 후크 홀더부(74,도 6)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80)은 개구(95)를 갖는 대략 사각 틀 형상을 갖고, 탑 섀시(50)와 바텀 섀시(6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80)은 액정 패널(4)과, 백라이트 유닛의 광학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은 전단과 후단의 중간 부분에서 개구(95)를 향해 돌출되는 중간 지지부(86)를 갖는 프레임 바디부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부는 제1지지면(85a), 제2지지면(85b), 제3지지면(85c), 제4지지면(85d), 제5지지면(85e), 제6지지면(85f)을 가질 수 있다(도 4).
제1지지면(85a)은 탑 새시(50)의 베젤부(52)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면(85b)는 액정 패널(4)의 측면(4b)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면(85b)과 액정 패널(4)의 측면(4b)는 소정 간격(L1,도 4)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지지면(85c)은 액정 패널(4)의 배면(4c)을 지지할 수 있다. 제3지지면(85c)은 프레임(80)의 중간 지지부(86)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지지면(85c)은 액정 패널(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평탄한 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4지지면(85d)은 광학 시트(40)의 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4지지면(85d)은 프레임(80)의 중간 지지부(86)에 형성될 수 있다.
제5지지면(85e)은 광학 시트(40), 확산판(30), 반사판(2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광학 시트(40), 확산판(30), 반사판(20)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제5지지면(85e)은 광학 시트(40), 확산판(30), 반사판(20)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6지지면(85f)은 바텀 섀시(6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프레임(80)은 탑 섀시(50)와 함께 액정 패널(4)을 지지할 수 있고, 바텀 섀시(60)와 함께 백라이트 유닛의 광학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 지지부(86)는 액정 패널(4)과 광학 시트(40)의 사이로 돌출되어 액정 패널(4)과 광학 시트(40)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80)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조립할 시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운송 시에 프레임(80)과,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종 구성 요소들간의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확산판(30), 광학 시트(40) 등은 표면에 미세한 패턴 또는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고,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프레임(80)에 대응되는 ABS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된 종래의 프레임은 상기 구성 요소들과의 마찰 시에 기스가 나거나 갈림, 쓸림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프레임이 갈리거나 쓸림으로써 분진, 이물, 파티클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진, 이물, 파티클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시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의 고장을 일으키거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었다.
상기 마찰은 프레임(80)의 각 지지면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바텀 섀시(60)를 맨 아래에 놓고 그 위로 반사판(20)과, 확장판(30)과, 광학 시트(40)와, 프레임(80)과, 액정 패널(4)과, 탑 섀시(50)를 차례로 적층하여 조립할 때, 프레임(80)의 제5지지면(85e)에 반사판(20)과, 확산판(30)과, 광학시트(40)의 측면이 마찰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80)의 제4지지면(85d)에 광학 시트(40)의 전면이 마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80)은 상기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종 구성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강성을 가지면서도 상기한 마찰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고무(Rubber)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80)은 비교적 유연하고 말랑말랑한 재질을 갖는다.
여기서, 고무는 합성고분자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합성 수지(Plastic) 및 합성 섬유와는 구분되는 것이다. 고무는 탄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이며, 고무 나무에서 얻는 천연 고무와 석유 화학에서 합성하는 합성 고무를 포함한다.
천연 고무는 아이소프렌(Isoprene)이라는 물질이 다수 결합한 천연 고분자화합물로서 큰 탄성과 강도를 갖고 있지만 열을 가하면 탄성을 잃고 끈적끈적해지는 성질이 있어서, 고무에 황(Sulfur)를 첨가해 반응케 하는 가황(Vulcanization) 가공을 거쳐 탄성과 강도를 높인 가황 고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가황 공정을 거치면 사슬 모양의 아이스포렌 고분자 사이에서 황이 가교 역할을 해 3차원의 그물 구조로 바뀌어 탄성, 인장 강도 등이 향상된다.
합성 고무는 천연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갖도록 중합해 만든 합성 고분자 물질이다.
고무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고무와, TPE의 일종인 TPV(Thermoplastic Vulcanization,열가소성 가황 플라스틱) 고무 등의 가소성 고무를 포함한다.
TPV 고무는 상온에서 고무의 특성, 즉 탄성을 보유하면서도, 가공 시에 열가소성 수지처럼 쉽게 가공할 수 있는 고기능성 고분자 재료이다. TPV 고무는 고경도 특성과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재료이다.
TPV 고무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석유계 연화제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TPV 고무는 경질 세그먼트(hard segment)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연질 세그먼트(soft segment)인 EPDM 고무가 동적 가교(dynamic curing)에 의해 혼합되어 상온에서는 열경화성 가교 고무의 물성을 나타내나, 가열하면 일반 열가소성 수지와 같이 자유롭게 성형이 가능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한 종류가 될 수 있다.
EPDM 고무는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디엔을 삼원공중합한 열가소성 합성 고무이며, TPV 고무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절한 조성비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TPV 고무의 내열성과 경도 향상을 위해 적절한 조성비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의 함량이 작으면 충분한 내열성을 얻을 수 없고, 함량이 크면 탄성 회복력이 떨어질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내열성 향상을 위해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유계 연화제는 TPV 고무를 저경도화하기 위해 적절할 조성비로 포함될 수 있다. 석유계 연화제의 함량이 적으면 충분한 저경도화를 달성할 수 없고, 석유계 연화제의 함량이 크면 오일 브리딩(oil breeding)으로 끈적끈적해질 수 있다.
석유게 연화제로는 파라핀 오일(Paraffin Oil)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프텐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80)은 고무 재질, 바람직하게는 가소성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프레임(80)과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 요소들과의 마찰에 의한 프레임(80)의 갈림, 쓸림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분진, 파티클, 이물 발생 등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표시 성능이 저하, 고장, 신뢰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방지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4)의 유동을 방지하고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종래 프레임의 본 발명의 프레임(80)의 제3지지면(85c) 등에 대응되는 지지면에는 별도로 실리콘 고무 재질의 테이프가 부착되나, 본 발명의 프레임(80)에는 이러한 테이프의 부착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부품 수가 축소되고,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다.
프레임(80)은 ABS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된 종래의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사출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성형 공정에 어려움이 없다.
프레임(80)은 광원(11)에서 발산되는 광이 흡수되어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부에서 프레임(80)이 직접 시인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화이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80)은 상변을 구성하는 제1장변 프레임(81)과, 하변을 구성하는 제2장변 프레임(82)과, 좌측변을 구성하는 제1단변 프레임(83)과, 우측변을 구성하는 제2단변 프레임(84)이 각각 별개로 마련되고, 상호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10).
한 쌍의 장변 프레임(81,82)은 한 쌍의 단변 프레임(83,84) 보다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프레임(80)은 가로 보다 세로가 짧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장변 프레임(81)과, 제2장변 프레임(82)과, 제1단변 프레임(83)과, 제2단변 프레임(84)은 돌기 및 홈을 포함하는 끼움 구조 또는 나사, 핀, 리벳 등의 별도의 체결 부재를 통한 체결 구조 또는 접착 부재를 통한 접착 구조 등 공지된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 프레임(81)과, 제2장변 프레임(82)과, 제1단변 프레임(83)과, 제2단변 프레임(84)은 보강 부재(100)를 매개로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제1장변 프레임(81)과, 제2장변 프레임(82)과, 제1단변 프레임(83)과, 제2단변 프레임(84)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프레임(80)은 바텀 섀시(60)의 필름 통과부(65)에 대응되는 위치에 액정 패널(4)의 신호 전송 필름(7,8)이 통과하도록 함몰되게 형성되는 필름 통과부(87)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80)은 바텀 섀시(60)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8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므로, 프레임(80)은 바텀 섀시(60)에 끼워 맞춤(fitt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끼워 맞춤은 두 개의 부품이 각각 축과 구멍을 갖고 상기 축과 상기 구멍이 적당한 틈새나 죔새를 가지고 끼워 맞춰져서 결합되는 방식을 말한다.
끼워 맞춤은 항상 틈새가 발생하는 헐거운 끼워 맞춤과, 항상 죔새가 발생하는 억지 끼워 맞춤과, 틈새가 생길 수도 있고 죔새가 생길 수도 있는 중간 끼워 맞춤을 포함한다.
프레임(80)은 바텀 섀시(60)와의 끼워 맞춤을 위해 삽입 돌기부(88,도 5,도 7)를 포함한다. 삽입 돌기부(88)는 프레임 바디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돌기부(88)는 바텀 섀시(60)의 삽입홀부(66)에 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된다.
삽입 돌기부(88)는 바텀 섀시(60)의 삽입홀(67)에 삽입되는 삽입 바디부(89)를 포함한다. 삽입 바디부(89)의 치수(D1)는 삽입홀(67)의 치수(D2)에 비해 크게 마련되어 삽입 바디부(89)가 삽입홀(67)에 삽입 시에 삽입 바디부(89)가 다소 오므라들게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홀(67)에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여기서, 치수는 삽입 바디부(89)의 외경과 이에 대응되는 삽입홀(67)의 내경의 길이 또는 크기를 의미한다.
삽입 바디부(89)가 원상으로 복원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프레임(80)은 안정적으로 바텀 섀시(6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80)의 삽입 바디부(88)는 바텀 섀시(60)의 부시부(68)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삽입 돌기부(88)는 삽입 바디부(89)를 삽입홀(67)에 삽입 시에 삽입 바디부(89)를 안내하도록 삽입 바디부(89)에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0)는 끝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80)을 바텀 섀시(60)에 결합한 후에 이를 다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프레임(80)을 잡아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돌기부(88)는 프레임(8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프레임(80)이 다른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부재(100)는 프레임(80)의 사각 틀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지 아니하고, 프레임(80)의 4 개의 코너부(모퉁이,91)에만 마련될 수 있다. 즉, 보강 부재(100)는 바텀 섀시(60)의 모퉁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4 개의 보강 부재(100)가 4 개의 코너부(91)에 각각 마련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 개의 코너부(91) 중에 대각 방향의 2 개의 코너부(91)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각 보강 부재(100)의 형상 및 기능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할 수 있다.
보강 부재(100)는 중심부(103,도 11,도 12)을 기준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암부(arm part,101,102)를 가질 수 있다. 2 개의 암부(101,102)는 대략 상호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암부(101)와, 제2암부(102)의 형상 및 기능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할 수 있다.
보강 부재(100)의 제1암부(101)와 제2암부(102) 각각은 제1보강 지지면(104a), 제2보강 지지면(104b), 제3보강 지지면(104c), 제4보강 지지면(104d), 제5보강 지지면(104e)을 가질 수 있다(도 6).
제1보강 지지면(104a)은 탑 새시(50)의 베젤부(52)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보강 지지면(104b)는 액정 패널(4)의 측면(4b)과, 프레임(8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보강 지지면(104b)은 액정 패널(4)의 측면(4b)과 소정 간격(L2,도 6) 이격되거나 거의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것은 보강 부재(100)가 다른 구성 요소들에 비해 다소 무거운 액정 패널(4)의 유동을 더욱 방지하고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함이다.
보강 부재(100)의 제2보강 지지면(104b)과 액정 패널(4)의 측면(4b) 간의 간격(L2)은 전술한 프레임(80)의 제2지지면(85b)과 액정 패널(4)의 측면(4b) 간의 간격(L1)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제3보강 지지면(104c)은 프레임(8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4보강 지지면(104d)은 광학 시트(40) 또는 확산판(30) 또는 반사판(2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5보강 지지면(104e)은 바텀 섀시(6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강 부재(100)는 프레임(80)을 보완하여, 액정 패널(4)을 비롯하여 탑 섀시(50), 바텀 섀시(60) 등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보강 부재(100)는 프레임(8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보다 큰 지지력을 갖도록 프레임(80)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보강 부재(100)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P(Polypropylene) 등의 플라스틱 재질이나, 유리 섬유(Glass Fiber), 금속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부재(100)는 바텀 섀시(60)에 결합될 수 있다. 보강 부재(100)는 바텀 섀시(60)에 후크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 부재(100)는 바텀 섀시(60)의 락킹홀부(69)에 후크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후크 돌기부(105)와, 보강 부재(100)가 회전함으로써 바텀 섀시(6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부(108)를 가질 수 있다.
후크 돌기부(105)는 결합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후크 돌기부(105)는 바텀 섀시(60)의 락킹홀(70)을 통과하도록 돌출되는 후크 바디부(106)와, 바텀 섀시(60)의 간섭부(71)에 걸림으로써 결합되는 후크 걸림부(107)를 가질 수 있다.
후크 걸림부(107)는 후크 바디부(106)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후크 걸림부(107)는 보강 부재(1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후크 걸림부(107)가 락킹홀(70)을 통과하도록 이동시키는 안내면(107a)과, 후크 걸림부(107)가 락킹홀(70)을 통과한 후에 바텀 섀시(60)의 간섭부(71)에 걸림으로써 보강 부재(100)를 고정시키는 걸림면(107b)를 가질 수 있다.
보강 부재(100)를 바텀 섀시(6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후크 걸림부(107)와 간섭부(71)의 간섭이 해제되도록 후크 걸림부(107)를 다소 이동시키면서 보강 부재(100)를 잡아 당기면 보강 부재(100)를 바텀 섀시(6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이 보강 부재(100)가 바텀 섀시(60)에 후크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보강 부재(100)는 이러한 방식 이외에 접착 부재를 통해 결합되거나, 나사, 핀, 리벳 등 별도의 체결 부재를 통해 결합되거나, 끼워 맞춤 방식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강 부재(100)는 프레임(80)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보강 부재(100)에 프레임(80)이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80)이 보강 부재(100)에 결합됨으로써 프레임(80)의 강성이 보강되고 프레임(80)이 더욱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 부재(100)는 연결 돌기(109,도 11)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돌기(109)는 보강 부재(100)의 중심부(103)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돌기(109)는 보강 부재(1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 돌기(109)는 프레임(80)의 장변 프레임(82)과 단변 프레임(84)에 각각 형성된 연결홀(92,94,도 1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 부재(100)의 연결 돌기(109)가 프레임(80)의 연결홀(92,94)에 삽입됨으로써, 보강 부재(100)에 프레임(80)이 결합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장변 프레임(82)과 단변 프레임(84)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는 반대로, 보강 부재(100)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프레임(80)에 연결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 제2실시예 >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보강 부재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프레임(280)으로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는 경우에 보강 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프레임(280)은 제1실시예의 보강 부재를 대신하여 액정 패널(40)의 유동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코너부(291)에 개구(295)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코너 지지부(292)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280)의 다른 부분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 제3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프레임의 중간 지지부는 액정 패널(4)과 광학 시트(40)의 사이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액정 패널(4)과 광학 시트(40)를 지지하고 액정 패널(4)과 광학 시트(40)를 소정 간격 이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380)의 중간 지지부(386)는 광학 시트(40)와 확산판(30)의 사이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광학 시트(40)와 확산판(30)을 지지하고 광학 시트(40)와 확산판(30)을 소정 간격 이격시킨다.
프레임(380)은 제1지지면(385a), 제2지지면(385b), 제3지지면(385c), 제4지지면(385d), 제5지지면(385e), 제6지지면(385f)과, 제7지지면(385g)과, 제8지지면(385h)을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면(385a)은 탑 새시(50)의 베젤부(52)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면(385b)은 액정 패널(4)의 측면(4b)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면(385b)과 액정 패널(4)의 측면(4b)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지지면(385c)은 액정 패널(4)의 배면(4c)을 지지할 수 있다. 제3지지면(385c)은 액정 패널(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평탄한 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4지지면(385d)은 광학 시트(4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4지지면(385d)은 광학 시트(40)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광학 시트(40)의 측면과 소정 간격(L3)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5지지면(385e)은 광학 시트(4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5지지면(385e)은 프레임(380)의 중간 지지부(386)에 형성될 수 있다.
제6지지면(385f)은 확산판(30)의 전면(31)을 지지할 수 있다.
제7지지면(386g)은 확산판(30) 및 반사판(2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7지지면(386g)는 확산판(30)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확산판(30)의 측면과 소정 간격(L4)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8지지면(385h)은 바텀 섀시(6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광학 시트(40)와 확산판(30)이 이격될 수 있으므로 광학 시트(40)와 확산판(30) 간의 마찰에 의한 갈림, 쓸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시트(40)와 확산판(30)의 열팽창률의 차이를 고려하여 프레임(380)과의 간격(L3,L4)이 적절하게 형성되도록 프레임(380)을 설계할 수 있다.
< 제4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빛의 파장을 변화시켜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퀀텀 닷 시트(Quantum Dot Sheet,445)를 포함할 수 있다.
색 재현도는 자연색에 얼마나 가까운지에 대한 척도이며, 색 좌표 상에서 얼마나 넓은 면적을 표현할 수 있는 가에 대한 것이다.
퀀텀 닷 시트(445)의 내부에는 빛을 내는 수 나노미터 크기의 반도체 결정체인 퀀텀 닷(Quantum Dot)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퀀텀 닷은 청색 광을 받아 그 크기에 따라 가시광선의 모든 색을 발생시킬 수 있다. 퀀텀 닷의 크기가 작을수록 짧은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고 크기가 클수록 긴 파장의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퀀텀 닷 시트(445)는 확산판(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퀀텀 닷 시트(445)는 광학 시트(40)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480)의 중간 지지부(486)는 광학 시트(40)와 퀀텀 닷 시트(445)의 사이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광학 시트(40)와 퀀텀 닷 시트(445)를 지지하고 광학 시트(40)와 퀀텀 닷 시트(445)를 이격시킨다.
프레임(480)은 제1지지면(485a), 제2지지면(485b), 제3지지면(485c), 제4지지면(485d), 제5지지면(485e), 제6지지면(485f)과, 제7지지면(485g)과, 제8지지면(485h)을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면(485a)은 탑 새시(50)의 베젤부(52)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면(485b)은 액정 패널(4)의 측면(4b)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면(485b)과 액정 패널(4)의 측면(4b)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지지면(485c)은 액정 패널(4)의 배면(4c)을 지지할 수 있다. 제3지지면(485c)은 액정 패널(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평탄한 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4지지면(485d)은 광학 시트(4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4지지면(485d)은 광학 시트(40)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광학 시트(40)의 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5지지면(485e)은 광학 시트(4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5지지면(485e)은 프레임(480)의 중간 지지부(486)에 형성될 수 있다.
제6지지면(485f)은 퀀텀 닷 시트(445)의 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7지지면(486g)은 퀀텀 닷 시트(445), 확산판(30), 반사판(2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7지지면(486g)는 퀀텀 닷 시트(445) 및 확산판(30)의 열팽창을 고려하여 퀀텀 닷 시트(445) 및 확산판(30)의 측면에서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8지지면(485h)은 바텀 섀시(6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퀀텀 닷 시트(445)를 구비하여 색 재현성이 향상되고, 광학 시트(40)와 퀀텀 닷 시트(445) 간의 마찰에 의한 갈림, 쓸림이 방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학 시트(40), 확산판(30), 퀀텀 닷 시트(445)의 열팽창률의 차이를 고려하여 프레임(480)과의 간격이 적절하게 형성되는 프레임(480)을 설계할 수 있다.
< 제5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탑 섀시(50)는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프레임(58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580)은 액정 패널(4)을 전방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591)와, 액정 패널(4)의 전면(4a)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베젤부(592)와, 베젤부(59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부(59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580)은 제1지지면(585a), 제2지지면(585b), 제3지지면(585c)과, 제4지지면(585d)을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면(585a)은 액정 패널(4)의 전면(4a)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면(585b)은 액정 패널(4)의 측면(4b)과, 광학 시트(4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3지지면(585c)은 확산판(30) 및 반사판(2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4지지면(585d)은 바텀 섀시(6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부품 수가 절감되고 구조가 단순해지며 조립 공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 제6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로서, 미들 홀더(690)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반사판(620)과, 확산판(630)과, 광학 시트(640)을 지지하고 광원(11)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판(30)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미들 홀더(690)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홀더(690)의 자세한 사항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604)과, 광원 모듈(610)과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660)와, 액정 패널(604)과 백라이트 유닛의 광학 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680)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산하는 광원 모듈(610)과, 광원(611)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
광원 모듈(610)은 기판(612) 및 기판(612)에 실장된 광원(611)을 포함한다. 광원(611)은 엘이디칩(Led Chip)이 투명 재질의 수지에 의해 도포된 엘이디 패키지(Led Package)를 포함한다. 기판(612)에는 복수의 광원(611)이 일렬로 또는 다양한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또는 기판(612)에는 하나의 광원(611)이 실장될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원(611)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광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거나 광을 반사시키거나 광을 확산시키거나 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학 부재는 광을 반사시켜 광 손실을 방지시키는 반사판(Reflector Plate,620)과, 광원(611)에서 출사되는 불규칙적인 광을 고르게 확산시키는 확산판(Diffuser Plate,630)과, 광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 시트(Optical Sheet,640)를 포함한다.
반사판(620)은 반사판 후부(620a)와, 반사판 후부(620a)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반사판 측부(620b)를 포함한다. 반사판 후부(620a)에는 광원(611)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622)이 형성될 수 있다.
광학 시트(640)는 확산판(630)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확산판(6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640)는 확산판(630)의 패턴을 상쇄시키는 확산 시트(641)와, 광을 집중시키는 프리즘 시트(642)와,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 유입으로부터 광학 시트(64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643)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광학 시트(640)는 상기와 같이 확산 시트와, 프리즘 시트와, 보호 시트의 3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도 있으며, 또는 성능이 복합된 복합 시트 1 장 또는 2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광학 시트(640)는 확산판(630)의 전방에 배치되어, 확산판(630)과 프레임(6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바텀 섀시(660)는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된다. 바텀 섀시(660)는 대략 판 형상을 가지며, 바텀 섀시(660)는 탑 섀시(650)와 함께 액정 패널(604) 및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할 수 있다.
바텀 섀시(660)는 후방의 바텀부(661)와, 바텀부(661)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텀 측부(662)와, 탑 섀시(650)와 바텀 섀시(660)와 미들 홀더(690)가 결합되도록 바텀 측부(662)의 전방에 마련되는 홀더 결합부(663)을 포함한다.
탑 섀시(650)는 액정 패널(604)의 전면 테두리부를 지지하는 베젤부(652)와, 액정 패널(604)을 노출시키기 위해 베젤부(652)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651)와, 베젤부(65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탑 섀시 측부(653)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680)은 개구를 갖는 대략 사각 틀 형상을 갖고, 탑 섀시(650)와 바텀 섀시(66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680)은 액정 패널(604)과, 백라이트 유닛의 광학 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68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텀 섀시(66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프레임의 재질에 관한 세부 사항과, 바텀 섀시와의 결합 구조에 관한 세부 사항과, 보강 부재에 관한 사항은 본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미들 홀더(690)는 반사판(620)과, 확산판(630)과, 광학 시트(640)를 지지하고 광원(11)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판(30)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들 홀더(690)는 대략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프레임(680)과 바텀 섀시(6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홀더(690)는 바텀 섀시(66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들 홀더(690)는 바텀 섀시(660)의 홀더 결합부(663)에 결합되는 바텀 결합부(691)를 가질 수 있다. 바텀 결합부(691)는 후방 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후크(693)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홀더(690)의 결합 후크(693)가 바텀 섀시(660)의 결합홀(664)에 관통하여 걸림으로써 미들 홀더(690)가 바텀 섀시(660)에 결합될 수 있다.
미들 홀더(690)에는 탑 섀시(65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들 홀더(690)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결합턱부(694)가 마련되고, 바텀 섀시(650)의 결합턱부(694)에 탑 섀시(650)의 걸림턱부(654)가 걸림으로써, 미들 홀더(690)에 탑 섀시(650)가 결합될 수 있다.
미들 홀더(690)는 확산판(630)을 지지하는 확산판 지지부(692a)를 포함한다. 미들 홀더(690)는 광학 시트(640)을 지지하는 광학 시트 지지부(692b)를 포함한다.
미들 홀더(690)는 광원(611)에서 출사된 빛을 반사시키도록 화이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 제7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700)로서,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7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프레임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뿐만 아니라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대략 액정 패널의 측방에 배치되고 광원에서 발산되는 광을 액정 패널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도광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 패널(704)과, 액정 패널(704)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발산하는 광원 모듈(710)과, 광원 모듈(710)에서 발산되는 광을 면광원으로 전환시키는 도광판(730)과, 도광판(730)의 후방에 배치되어 도광판(730)에서 출사되는 광을 다시 도광판(730)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720)와, 광의 휘도, 균일도, 지향성 등의 광학 성질을 향상시키는 광학 시트(740)를 포함한다. 또한, 도광판(730)과 광학 시트(740)의 사이에는 광의 파장을 변화시켜 색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퀀텀 닷 시트(745)가 배치될 수도 있다.
광원 모듈(710)은 광원(711)과, 광원(711)이 실장되는 기판(71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711)은 기판(712)의 실장면(713)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실장되고, 기판(713)의 실장면(713)은 도광판(730)의 출사면(732)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기판의 실장면이 도광판(730)의 입사면(731)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730)은 선이나 점광원을 면광원 형태로 변환시켜 액정 패널(704) 측으로 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광판(730)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Acryla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730)에는 광의 경로를 변화시키기 위한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광판(730)의 배면에 패턴이 형성되고, 도광판으로 입사된 광은 도광판의 배면에서 산란되어 전방의 출사면(732)을 통해 출사될 수 있다.
도광판(730)은 열팽창을 고려하여 광원(711)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720)는 도광판(730)의 후방에 배치되어 도광판(730)의 내부에서 도광판(730)의 후방으로 출사되는 광을 다시 도광판(730)의 내부로 반사시킨다. 반사 시트(720)는 도광판(73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광학 시트(740)는 도광판(730)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특성을 향상시키도록 도광판(7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740)는 도광판(730)의 패턴을 상쇄시키는 확산 시트(741)와, 고휘도 프리즘 시트인 디베프 시트(742)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광학 시트(740)는 하나의 광학 시트 또는 3 개 이상의 광학 시트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액정 패널(704)과 백라이트 유닛을 보호하고 지지하도록 탑 섀시(750)와, 바텀 섀시(760)와, 프레임(780)을 가질 수 있다.
탑 섀시(750)는 액정 패널(704)이 노출되는 개구(751)와, 액정 패널(704)의 전면 테두리부를 지지하고 베젤을 형성하는 베젤부(752)와, 베젤부(752)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탑 측면부(753)을 가질 수 있다.
바텀 섀시(760)는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된다. 바텀 섀시(760)는 베이스부(761)와, 광원 모듈(710)의 기판(712)을 수용하도록 베이스부(76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기판 수용부(762)와, 베이스부(761)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텀 측면부(763)을 가질 수 있다.
바텀 섀시(760)와 광원 모듈(710)의 기판(712)의 사이에는 광원(71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바텀 섀시(760)로 효율적으로 전달시키도록 방열 시트(770)가 마련될 수 있다.
방열 시트(770)는 광원 모듈(710)의 기판(712)의 후방에 배치되며, 그라파이트(graphi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780)은 도광판(730)에서 액정 패널(704)로 향하는 광이 통과하는 개구(795)와, 외곽 프레임부(781)와, 외곽 프레임부(781)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퀀텀 닷 시트(745)와 광학 시트(740)를 이격시키는 중간 지지부(786)를 포함할 수 있다.
외곽 프레임부(781)는 바텀 섀시(760)와의 결합을 위한 외측 결합부(782)와 내측 결합부(783)를 가질 수 있다. 외측 결합부(782)와 내측 결합부(783)의 사이에 바텀 섀시(760)의 바텀 측면부(763)가 삽입됨으로써 프레임(780)과 바텀 섀시(760)가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78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텀 섀시(760)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프레임의 재질에 관한 세부 사항과, 바텀 섀시와의 세부 결합 구조에 관한 세부 사항 및 보강 부재에 관한 사항은 본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700)는 광원(711)에서 발산되는 광이 도광판(730)과, 프레임(780)의 중간 지지부(786)의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보완 부재(798)과 형광 부재(799)를 포함할 수 있다.
1,200,300,400,500,600,700 : 디스플레이 장치
2 : 후방 커버 3 : 회로기판
4 : 액정 패널 5 : TFT 기판
6 : 칼라필터 기판 7,8 : 신호 전송 필름
9 : 인쇄회로기판 10 : 광원 모듈
11 : 광원 12 : 기판
20 : 반사판 30 : 확산판
40 : 광학 시트 50 : 탑 섀시
51 : 개구 52 : 베젤부
53 : 탑 섀시 측부 54 : 결합 후크부
60 : 바텀 섀시 61 : 바텀부
62 : 바텀 연장부 63 : 바텀 결합부
64 : 지지 돌기 65 : 필름 통과부
66 : 삽입홀부 67 : 삽입홀
68 : 부시부 69 : 락킹홀부
70 : 락킹홀 71 : 간섭부
74 : 후크 홀더부
80,280,380,480,580,680,780 : 프레임
81,82,83,84: 제1,2,3,4 프레임부 86 : 중간 지지부
87 : 필름 통과부 88 : 삽입 돌기부
89 : 삽입 바디부 90 : 가이드부
91 : 프레임의 코너부 92,94 : 연결홀
95 : 개구 100 : 보강 부재
101,102 : 제1,2암부 103 : 중심부
105 : 후크 돌기부 106 : 후크 바디부
107 : 후크 걸림부 107a : 안내면
107b : 걸림면 108 : 회전 방지부
109 : 연결 돌기
D1 : 삽입 돌기부 치수 D2 : 삽입홀 치수
L1 : 액정 패널 측면과 프레임 제2지지면과의 간격
L2 : 액정 패널 측면과 보강 부재 제2보강지지면과의 간격
L3 : 프레임과 광학 시트 측면과의 간격
L4 : 프레임과 확산판 측면과의 간격
2 : 후방 커버 3 : 회로기판
4 : 액정 패널 5 : TFT 기판
6 : 칼라필터 기판 7,8 : 신호 전송 필름
9 : 인쇄회로기판 10 : 광원 모듈
11 : 광원 12 : 기판
20 : 반사판 30 : 확산판
40 : 광학 시트 50 : 탑 섀시
51 : 개구 52 : 베젤부
53 : 탑 섀시 측부 54 : 결합 후크부
60 : 바텀 섀시 61 : 바텀부
62 : 바텀 연장부 63 : 바텀 결합부
64 : 지지 돌기 65 : 필름 통과부
66 : 삽입홀부 67 : 삽입홀
68 : 부시부 69 : 락킹홀부
70 : 락킹홀 71 : 간섭부
74 : 후크 홀더부
80,280,380,480,580,680,780 : 프레임
81,82,83,84: 제1,2,3,4 프레임부 86 : 중간 지지부
87 : 필름 통과부 88 : 삽입 돌기부
89 : 삽입 바디부 90 : 가이드부
91 : 프레임의 코너부 92,94 : 연결홀
95 : 개구 100 : 보강 부재
101,102 : 제1,2암부 103 : 중심부
105 : 후크 돌기부 106 : 후크 바디부
107 : 후크 걸림부 107a : 안내면
107b : 걸림면 108 : 회전 방지부
109 : 연결 돌기
D1 : 삽입 돌기부 치수 D2 : 삽입홀 치수
L1 : 액정 패널 측면과 프레임 제2지지면과의 간격
L2 : 액정 패널 측면과 보강 부재 제2보강지지면과의 간격
L3 : 프레임과 광학 시트 측면과의 간격
L4 : 프레임과 확산판 측면과의 간격
Claims (19)
-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고, 가장자리에 삽입홀이 형성된 바텀 섀시(Bottom Chassis);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광학 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 삽입 돌기부를 갖는 프레임; 및
상기 액정 패널, 상기 광학 부재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텀 섀시에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부재들;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열가소성 고무 재질을 갖고,
상기 프레임은 한 쌍의 장변 프레임들과 한 쌍의 단변 프레임들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의 보강 부재들은 상기 프레임의 모퉁이들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바텀 섀시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부는 상기 삽입홀의 치수 보다 큰 치수를 갖는 삽입 바디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돌기부는 상기 삽입 바디부를 상기 삽입홀로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장변 프레임과 상기 단변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와, 상기 바텀 섀시와 상기 후방 커버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출사된 광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수용하는 바텀 섀시;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광학 부재를 지지하도록 사각 틀 형상을 갖고, 열가소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바텀 섀시에 끼움 결합된 프레임; 및
상기 액정 패널, 상기 광학 부재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텀 섀시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모퉁이들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보강 부재들;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삭제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섀시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보강 부재의 결합을 위한 락킹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바텀 섀시에 형성되는 락킹홀에 후크 결합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크 돌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암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에는 상기 프레임의 장변 프레임과 단변 프레임이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장변 프레임과 상기 단변 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연결 돌기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액정 패널의 측면을 지지하는 액정 패널 보강 지지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액정 패널 보강 지지면과 상기 액정 패널의 측면 간의 간격은 상기 프레임의 액정 패널 지지면과 상기 액정 패널의 측면 간의 간격 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1238A KR102131663B1 (ko) | 2015-06-26 | 2015-06-26 | 디스플레이 장치 |
CN201680027335.XA CN107636520B (zh) | 2015-06-26 | 2016-06-23 | 显示设备 |
PCT/KR2016/006676 WO2016208986A1 (en) | 2015-06-26 | 2016-06-23 | Display apparatus |
EP16814699.1A EP3262462B1 (en) | 2015-06-26 | 2016-06-23 | Display apparatus |
US15/191,805 US10371972B2 (en) | 2015-06-26 | 2016-06-24 |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1238A KR102131663B1 (ko) | 2015-06-26 | 2015-06-26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1361A KR20170001361A (ko) | 2017-01-04 |
KR102131663B1 true KR102131663B1 (ko) | 2020-07-08 |
Family
ID=5758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1238A KR102131663B1 (ko) | 2015-06-26 | 2015-06-26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371972B2 (ko) |
EP (1) | EP3262462B1 (ko) |
KR (1) | KR102131663B1 (ko) |
CN (1) | CN107636520B (ko) |
WO (1) | WO201620898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91014A1 (ko) * | 2023-03-10 | 2024-09-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03105B (zh) * | 2017-05-02 | 2023-01-1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背板、背板组件、背光模组及显示模组 |
US10429575B2 (en) * | 2017-06-28 | 2019-10-01 |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US10353139B2 (en) * | 2017-06-30 | 2019-07-16 |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
JP7001434B2 (ja) * | 2017-11-10 | 2022-01-19 | シャープ株式会社 | 表示装置 |
JP2020016768A (ja) * | 2018-07-26 | 2020-01-30 | 三菱電機株式会社 | 表示装置 |
KR102582263B1 (ko) * | 2018-08-20 | 2023-09-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
KR102544326B1 (ko) * | 2018-08-27 | 2023-06-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JP7143153B2 (ja) * | 2018-09-03 | 2022-09-28 | Nsウエスト株式会社 | 表示器、及び、表示器を備える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CN208889233U (zh) * | 2018-11-06 | 2019-05-2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框体及电子画框 |
US11683893B2 (en) * | 2018-12-27 | 2023-06-20 | Saturn Licensing Llc | Display apparatus |
KR102600963B1 (ko) | 2019-01-07 | 2023-11-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US11846840B2 (en) * | 2019-10-31 | 2023-12-19 | K-Tronics (Suzhou) Technology Co., Ltd. | Display device |
CN111190321A (zh) * | 2020-03-09 | 2020-05-22 | 南华智能精密机器(深圳)有限公司 | 一种自导热光阀模组和光阀散热装置 |
US11812564B2 (en) * | 2020-07-22 | 2023-11-07 | Innolux Corporation | Electronic device |
CN113970857A (zh) * | 2020-07-23 | 2022-01-25 |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
CN112014994B (zh) * | 2020-09-14 | 2023-10-03 | 深圳创维数字技术有限公司 | 一种液晶屏的边框结构及显示设备 |
CN112965280B (zh) * | 2021-02-05 | 2022-10-14 |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 显示装置 |
CN113985660B (zh) * | 2021-11-24 | 2023-04-11 |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 一种量子点背光模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09733A (ja) * | 2007-10-30 | 2009-05-21 | Sharp Corp | 表示装置 |
KR100955545B1 (ko) * | 2002-03-28 | 2010-04-30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액정 표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92591B2 (ja) * | 2000-04-19 | 2004-02-03 |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表示装置および情報端末機器 |
KR100806806B1 (ko) * | 2001-05-29 | 2008-02-22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평판형 표시장치의 결합장치 |
KR100852173B1 (ko) * | 2002-05-23 | 2008-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직하형 액정표시장치 |
US20050259191A1 (en) * | 2004-05-20 | 2005-11-24 | Jong-Dae Park | Supporting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KR101261549B1 (ko) * | 2006-05-26 | 2013-05-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분할형 샤시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
KR101317888B1 (ko) * | 2007-05-18 | 2013-10-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KR101414961B1 (ko) * | 2007-12-03 | 2014-07-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US20090201441A1 (en) * | 2008-02-13 | 2009-08-13 |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 Tensioned optical element having crimping frame and spring |
TWI366047B (en) * | 2008-07-21 | 2012-06-11 | Au Optronics Corp | Backlight module with bended reflector sheet and display panel device using the same |
JP2011253769A (ja) * | 2010-06-03 | 2011-12-15 | Sharp Corp |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
US20120014094A1 (en) * | 2010-07-14 | 2012-01-19 |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Connection component and backlight module |
CN101943375A (zh) * | 2010-07-14 | 2011-01-12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连接组件以及背光模组 |
KR20120071751A (ko) * | 2010-12-23 | 2012-07-0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US8614775B2 (en) | 2011-09-09 | 2013-12-24 |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
JP2013101203A (ja) * | 2011-11-08 | 2013-05-23 | Funai Electric Co Ltd |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
KR101333267B1 (ko) * | 2012-03-06 | 2013-11-2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
WO2013161241A1 (ja) * | 2012-04-26 | 2013-10-31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
US8902377B2 (en) | 2012-07-17 | 2014-12-02 |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
US9726919B2 (en) * | 2013-09-17 | 2017-08-08 | Black Diamond Video, Inc. | Water resistant operating room display |
KR102260801B1 (ko) * | 2014-12-26 | 2021-06-0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
2015
- 2015-06-26 KR KR1020150091238A patent/KR10213166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6-23 EP EP16814699.1A patent/EP3262462B1/en active Active
- 2016-06-23 WO PCT/KR2016/006676 patent/WO201620898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6-23 CN CN201680027335.XA patent/CN10763652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6-24 US US15/191,805 patent/US1037197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5545B1 (ko) * | 2002-03-28 | 2010-04-30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액정 표시 장치 |
JP2009109733A (ja) * | 2007-10-30 | 2009-05-21 | Sharp Corp | 表示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91014A1 (ko) * | 2023-03-10 | 2024-09-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262462A1 (en) | 2018-01-03 |
CN107636520A (zh) | 2018-01-26 |
EP3262462B1 (en) | 2019-01-09 |
CN107636520B (zh) | 2021-02-26 |
US20160377908A1 (en) | 2016-12-29 |
EP3262462A4 (en) | 2018-02-21 |
KR20170001361A (ko) | 2017-01-04 |
WO2016208986A1 (en) | 2016-12-29 |
US10371972B2 (en) | 2019-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166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EP3054341B1 (en) | Display apparatus | |
US8760603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and backlight unit comprising a bottom cover including a through hole wherein a connecto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over | |
CN102540568B (zh) | 双向液晶显示设备 | |
US7569257B2 (en) | Light modulating plat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323443B1 (ko) | 액정표시장치 | |
US10424691B2 (en) | Display apparatus having quantum dot unit or quantum dot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quantum dot unit | |
US20120169963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 |
US8334941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EP2761368A1 (en) | Display backlight system | |
US10578909B2 (en) | Display apparatus with dichroic filter | |
KR10267171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100118509A1 (en) | Light source packag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light sourc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71132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확산판 | |
KR101929378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101481836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
US10330861B2 (en) | Quantum dot unit, quantum dot sheet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quantum dot unit or the quantum dot sheet | |
US8842251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20090072874A (ko) | 광학 플레이트,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액정표시장치 | |
KR101328875B1 (ko) | 액정표시모듈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모듈 | |
KR102421867B1 (ko) | 표시장치 | |
KR101457161B1 (ko) | 확산판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615050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4014822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JP2014153717A (ja) | 拡散板の固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ディスプレ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