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948A -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의 신규한 유도체 및 살메테롤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의 신규한 유도체 및 살메테롤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9948A
KR20010079948A KR1020017003977A KR20017003977A KR20010079948A KR 20010079948 A KR20010079948 A KR 20010079948A KR 1020017003977 A KR1020017003977 A KR 1020017003977A KR 20017003977 A KR20017003977 A KR 20017003977A KR 20010079948 A KR20010079948 A KR 20010079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compound
benzyl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9256B1 (ko
Inventor
베싸벨문트호르디
달마세스바르호안페레
마르키야스올론드리스프란시스코
Original Assignee
산티아고플라넬라보리
비타-인베스트,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티아고플라넬라보리, 비타-인베스트,에스.에이. filed Critical 산티아고플라넬라보리
Publication of KR20010079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9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2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9/041,3-Dioxanes; Hydrogenated 1,3-dioxanes
    • C07D319/081,3-Dioxanes; Hydrogenated 1,3-dioxa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8Bronchodi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3/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or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3/0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hydroxy,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or amino and est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amino groups, hydroxy groups or etherified or esterified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17/2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e amino group and at least two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at least one being part of an etherified hydroxy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e.g. ethers of polyhydroxy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7/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17/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17/2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e amino group and at least two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at least one being part of an etherified hydroxy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e.g. ethers of polyhydroxy amines
    • C07C217/4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etherified hydroxy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etherified hydroxy groups and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e amino group and at least two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at least one being part of an etherified hydroxy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e.g. ethers of polyhydroxy amines having at least two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at least one being part of an etherified hydroxy group,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of the carbon skeleton, e.g. amino-ketals, ortho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6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That Contain Two Or More Ring Oxygen At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의 신규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1은 CHO 또는 CHOR3OR4[여기서, R3및 R4는 독립적으로 C1-C6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거나 R3과 R4는 5원 또는 6원 환형 아세탈을 형성한다]이고,
R2는 H, 벤질 그룹, 알킬옥시카보닐 그룹, 아릴옥시카보닐 그룹, 아르알킬옥시카보닐 그룹 또는 아실 그룹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3의 유기금속성 화합물을 저온에서 불활성 용매중에서 R1이 CHO이고 R2가 알킬옥시카보닐 그룹, 아릴옥시카보닐 그룹, 아르알킬옥시카보닐 그룹 또는 아실 그룹인 화학식 I의 합성 중간체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살메테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의 신규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의 신규한 유도체 및 살메테롤의 제조방법{New derivatives of 6-(4-phenylbutoxy)hexylam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lmeterol}
살메테롤의 용도는 치료학 분야, 구체적으로 이의 기관지확장제로서의 특성으로 인해 천식 치료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살메테롤의 제조방법을 기술한 다수의 참고 문헌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FR 제2545482호에는 하기와 같은 살메테롤의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화학식 1의 아민을 화학식 2의 알킬화제를 사용하여 알킬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을 추가로 제거하는 살메테롤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R3, R5및 R6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보호 그룹이고,
L은 염소, 브롬, 요오드, 메탄설포닐옥시 또는 p-톨루엔설포닐옥시와 같은 이탈 그룹이다.
또는, 알킬화는 아민 1(여기서, R3은 H이거나 반응 조건하에서 H로 전환가능한 그룹이다)을 사용하여 알데히드 3을 환원적 아민화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환원시키고 궁극적으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을 추가로 제거하는 살메타롤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R5는 수소원자 또는 보호 그룹이고,
X, X1, X2, X3및 X4라디칼 중의 하나 이상은 환원성 그룹이다.
적합한 환원성 그룹은:
X가 COOH, COOR7(여기서, R7은 H, 알킬, 아릴 또는 아르알킬이다) 또는 CHO이고,
X1이 C=O이고,
X2가 CH2NY(여기서, Y는 수소화에 의해 H로 전환될 수 있다), CH=N 또는 CONH이고,
X3은 CO(CH2)5, CH=CH-(CH2)4, CH2CH=CH(CH2)3등이고,
X2및 X3은 CH2N=CH(CH2)5이며,
X4는 CH=CH-(CH2)2, CH2CH=CHCH2등이다.
·에폭사이드 5 또는 할로하이드린 6을 아민 7과 반응시키고 궁극적으로 존재하는 보호 그룹을 추가로 제거하는 살메타롤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gY1은 H 또는 수소화에 의해 수소로 전환가능한 그룹이다.
한편, WO 제9824753호에는 아민 10의 비대칭 합성 및 광학 활성 살메테롤의합성에서의 이의 적용이 기술되어 있다.
니트로메탄을 알데히드 8로 비대칭 부가반응시키면 광학 활성 니트로 유도체 9를 수득하고, 이를 환원시키면 아민 10을 수득한다.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적합한 보호 그룹이다.
그러나, 선행 기술에 기술된 이러한 방법에는 몇몇 단점이 존재한다. 출발 화합물은 고도로 관능화된 저분자량의 중간체이고, 이의 제조방법은 특히 산업적 수준에서 상당히 복잡한 반응이 포함되고, 또한, 주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산물로 인해 반응의 수율이 감소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의 제조방법(GB 제1200886호)은 다수의 단계, 이중, 디브롬화유도체 및 이성체가 각각 확실히 형성될 수 있는 브롬화 반응 및 클로로메틸화를 포함한다.
한편, 할로하이드린 6은 매우 약하게 안정한 화합물이고, 이는 염기성 조건하에서 에폭사이드 5로 전화되기 쉽기 때문에 분리하기 어렵다. 에폭사이드의 제조 반응은 단순하지 않고, 에폭사이드 5를 사용하면 또한 살메테롤의 제조가 에폭사이드의 개환에 의해 수행된다는 추가의 단점이 존재하고, 이러한 반응은 다수의 부산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덜 바람직하다[참고 문헌: Randall et al., Tetrahedron Letters, (1986), 2451-2454].
본 발명은 살메테롤의 신규한 제조방법에서 출발 물질로서 유용한 신규한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유도체를 제공한다. 상기 신규한 유도체는 단순한 반응, 예를 들면 가수분해 또는 알콜 또는 아민의 알킬화에 의해 산업적으로 시판되는 화합물로부터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의 신규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신규한 유도체로부터 살메테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규한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유도체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다:
상기식에서,
R1은 CHO 또는 CHOR3OR4[여기서, R3및 R4은 독립적으로 C1-C6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거나 R3과 R4는 5원 또는 6원 환형 아세탈을 형성한다]이고,
R2는 H, 벤질 그룹, 알킬옥시카보닐 그룹, 아릴옥시카보닐 그룹, 아르알킬옥시카보닐 그룹 또는 아실 그룹이다.
상기 유도체는 살메테롤의 합성에서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학식 I의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1은 CHO 또는 CHOR3OR4[여기서, R3및 R4는 독립적으로 C1-C6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거나 R3과 R4는 5원 또는 6원 환형 아세탈을 형성한다]이고,
R2는 H, 벤질 그룹, 알킬옥시카보닐 그룹, 아릴옥시카보닐 그룹, 아르알킬옥시카보닐 그룹 또는 아실 그룹이다.
R1이 CHO인 경우, R2는 바람직하게는 알킬옥시카보닐, 아릴옥시카보닐, 아르알킬옥시카보닐 또는 아실 그룹이다.
바람직하게는, R2는 3급-부톡시카보닐, 벤질옥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아세틸, 벤조일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이고, R3및 R4가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또는 벤질이거나 1,2-디옥솔란 또는 1,3-디옥산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하기 반응식 I에 나타낸다.
상기 반응식에서,
R3및 R4는 상기한 바와 동일하고,
Z1및 Z2는 각각 상이하며 L 또는 NHR2이고,
L은 염소, 브롬, 요오드, 메탄설포닐옥시 또는 p-톨루엔설포닐옥시와 같은 이탈 그룹이고, 바람직하게는 브롬이며,
R2는 H 또는 벤질이다.
상기 화학식 I의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은 하기 단계에 따라서 수행된다.
유기 염기 또는 무기 염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중에서, 25℃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화학식 12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아민을 알킬화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i).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1이 CHOR3OR4이고,
R2가 H 또는 벤질이고,
R3및 R4가 독립적으로 C1-C6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거나 R3과 R4는 5원 또는 6원 환형 아세탈을 형성하며,
Z1및 Z2는 서로 상이하며 L 또는 NHR2(여기서, L은 염소, 브롬, 요오드, 메탄설포닐옥시 또는 p-톨루엔설포닐옥시와 같은 이탈 그룹, 바람직하게는 브롬이고, R2는 H 또는 벤질이다)이다.
불활성 용매는 고 비점 비양자성 용매(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 할로겐화 용매(예: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 에테르(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옥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예: 벤젠, 톨루엔 또는 크실렌)이다.
유기 염기는 3급 아민(예: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방향족 아민(예: N,N-디메틸아닐린)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아민(예: 피리딘)이다. 무기 염기는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이다.
단계(i)에서 수득한 화학식 I의 아미노 그룹을 R2가 벤질인 경우, 수소화 전에 적합한 시약을 사용하여 보호시켜 R1이 CHOR3OR4이고, R2가 알킬옥시카보닐, 아릴옥시카보닐, 아르알킬옥시카보닐 또는 아실 그룹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ii).
화학식 I(여기서, R1이 CHOR3OR4이고, R2가 알킬옥시카보닐, 아릴옥시카보닐, 아르알킬옥시카보닐 또는 아실 그룹이다)의 화합물에서, R2, R3및 R4는 R2에 영향을주지 않으면서 R3를 제거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알킬옥시카보닐, 아릴옥시카보닐 및 아르알킬옥시카보닐 잔기를 사용한 아미노 그룹의 보호는 R1이 CHOR3OR4이고 R2가 H인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클로로포르메이트(예: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3급-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또는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 이탄산염(예: 디-3급-부틸 이탄산염 또는 디벤질 이탄산염) 또는 특정 시약[예: N-(벤질옥시카보닐)석신이미드)]의 반응에 의해 수행된다. 아실 그룹의 보호는 통상의 시약, 예를 들면 산 클로라이드 또는 무수물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보호 반응은 불활성 용매중에서, 실제로 유기 염기 또는 무기 염기의 존재하에 0℃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불활성 용매는 케톤(예: 아세톤), 할로겐화 유도체(예: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 에스테르(예: 에틸 아세테이트), 에테르(예: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옥산) 또는 고 비점 용매(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N,N-디메닐포름아미드)일 수 있다.
당해 반응에서 사용된 염기는 상기 단계(i)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단계(ii)에서 수득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아세탈 그룹의 가수분해, 아세탈 교환반응 또는 가수소분해에 의해, 이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 그룹 R2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상응하는 알데히드로 전환시키는 단계(iii). 이러한 전환으로 R1이 CHO이고 R2가 알킬옥시카보닐, 아릴옥시카보닐, 아르알킬옥시카보닐 또는 아실 그룹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가수분해는 유기 용매중에서, 하나 이상의 화학량론적 양의 물 및 유기산 또는 무기산, 예를 들면 염소산, 황산,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존재하에,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용매는 케톤(예: 아세톤), 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아미드(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일 수 있다.
아세탈 교환반응은 용매로서 동시에 작용하는 케톤(예: 아세톤) 및 유기산 또는 무기산(예: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염화수소 또는 황산)의 존재하에,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가수소분해는 통상의 디벤질화 조건하에, 불활성 용매중의 촉매의 존재하에, 10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에 흡착된 팔라듐이다.
용매는 C1내지 C4지방족 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에스테르(예: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에테르(예: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일 수 있다.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사이가 포함된다.
상기한 방법에 따라서 수득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살메테롤의 합성에서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로부터 살메테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화학식 13의 유기금속성 화합물을 화학식 I의 화합물과 반음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3및 R4는 독립적으로 C1-C6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거나 R3과 R4는 1,3-디옥솔란 유형의 환형 아세탈을 형성하고,
M은 리튬, 마그네슘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을 함유하는 그룹이고, M은 바람직하게는 Li, MgBr 또는 MgCl이고,
R1은 CHO이고,
R2는 알킬옥시카보닐, 아릴옥시카보닐, 아르알킬옥시카보닐 또는 아실 그룹이다.
바람직하게는, R3및 R4가 메틸, 에틸 또는 벤질이거나 이들이 2,2-디메틸-1,3-디옥산 또는 2-메틸-1,3-디옥산과 같은 환형 아세탈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R2가 3급-부톡시카보닐, 벤질옥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아세틸, 벤조일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이다.
반응은 에테르 유사 불활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틸 에테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서,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0℃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 범위의 저온에서 수행한다.
화학식 13의 유기금속성 화합물은 문헌[참조: Effenberger, F.; Jager, J., J. Org. Chem. (1977), 62, 3867-3873, Seebach, D., Neumann, H., Chem. Ber. (1974), 107, 874-853]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서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기금속성 화합물 13과 반응시키고 추가로 가수분해시킨 후, 알콜 14를 수득하고, 후속적으로 보호 그룹 R2, R3및 R4를 제거하여 살메테롤을 수득한다.
상기 반응식에서,
R3및 R4는 독립적으로 C1-C6알킬 또는 아르아킬이거나 R3과 R4는 1,3-디옥산 유형의 환형 아세탈, 예를 들면 2,2-디메틸-1,3-디옥산 또는 2-메틸-1,3-디옥산을형성하고,
R2는 알킬옥시카보닐, 아릴옥시카보닐, 아르알킬옥시타보닐 또는 아실 그룹이다.
알콜 14의 분리는 반응으로부터의 조 생성물을 산성 매질 속에서의 수성 처리함을 포함한다.
화학식 15의 화합물로부터 상기 정의한 보호 그룹 R2, R3및 R4를 제거하여 살메테롤을 수득한다. 이러한 단계는 하나 또는 수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반응 조건은 상이한 보호 그룹의 특성에 따라 좌우되고, 반응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산성 또는 염기성 가수분해 또는 가수소분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참고 문헌: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2nd ed., John Wiley & Sons Ed., Inc. 1991).
살메테롤은 하기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예를 들면 염산염, 푸마레이트, 멜레에이트 또는 크시나토에이트로 전환될 수 있다.
실시예 1: 4-(6-브로모헥실옥시)부틸벤젠
4-페닐부탄올 5㎖(32.75mmol)과 1,6-디브로모헥산 10.1㎖(65.66mmol)의 혼합물에 분말 KOH 8g(121.2mmol)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로겐 설페이트 1.112g(3.28mmol)을 첨가한다. 현탁액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고 여액을 Et2O 50㎖에 용해시킨다. 수득한 용액을 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Et2O를 증발시킨 다음, 잔사를 진공(0.1mmHg)하에 증류하여 100℃ 이하에서 출발 생성물의 혼합물을 제1 분획으로서 수득하고 150℃에서 4-(6-브로모헥실옥시)부틸벤젠 7.60g(74.4%)을 제2 분획으로서 수득한다.
RMN1H (CDCl3), d(ppm): 1.3-2.0 (m, 12H), 2.6 (t, 2H, -CH 2-C6H5), 3.4 (m, 6H, -CH2-O-CH2- + -CH2Br), 7.1-7.4 (m, 5H, -C6H5).
실시예 2: N-디메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톨루엔 60㎖ 중의 아미노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 8.7㎖(79.85mmol) 용액에 환류하에 톨루엔 40㎖ 중의 4-(6-브로모헥실옥시)부틸벤젠 10g(31.94mmol) 용액을 적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에 4시간 동안 유지한 후, 톨루엔을 감압하에 증발 제거하고 CH2Cl250㎖을 여기에 첨가한다. 수득한 용액을 H2O 20㎖로 희석한 47% HBr 20㎖ 용액과 함께 15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은 경사시키고 CH2Cl2상을 증발시키고 건조시킨 결과 수득한 조 생성물을 Et2O로 적정하고 여과함으로써 N-디메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4.31g(32.3%)를 수득한다.
RMN1H (CDCl3), d(ppm): 1.3 (m, 4H), 1.6 (m, 6H), 1.9 (m, 2H), 2.6 (t,2H, -CH 2-C6H5), 3.0 (m, 4H, -CH 2-NH-CH 2-), 3.4 (c, 4H, -CH2-O-CH2-), 3.45 (s, 6H, 2*CH3), 4.95 (t, 1H, -CH(OCH3)2), 7.1-7.3 (m, 5H, -C6H5).
실시예 3: N-벤질-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4-(6-브로모헥실옥시)부틸벤젠 7.34g(25.53mmol) 및 벤질아민 10.3㎖(94.30mmol)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125℃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한다. 과량의 벤질아민은 증류시키고 잔사를 메틸 에틸 케톤 30㎖에 용해시킨다. 50℃로 가열한 수득한 용액에 50㎖ H2O 중의 47% HBr 7.43㎖ 용액에 첨가한 다음, 15분 동안 교반하고 경사시킨다. 유기상을 증발 건조시키고, 수득한 잔사를 Et2O로 적정하고 여과하여 N-벤질-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5.9g(59.8%)를 수득한다.
RMN1H (CDCl3), d(ppm): 1.2-2.0 (m, 12H), 2.6 (t, 2H, -CH 2-C6H5), 2.8 (m, 2H, -NH-CH 2-CH2-), 3.35 (m, 4H, -CH2-O-CH2-), 4.05 (t, 2H, -NH-CH 2-C6H5), 7.1-7.7 (m, 10H, 2*-C6H5), 9.35 (s, 2H).
IR (KBr, cm-1): 2930, 2830, 2785, 1430, 1105, 750, 690.
실시예 4: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EtOH 40㎖ 중의 N-벤질-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4.02g(11.86mmol) 용액을 실온 대기압하에 5% Pd/C 0.4g을 사용하여 수소화시킨다. 300㎖ H2가 흡착된 경우, 혼합물을 데칼라이트(decalite)에서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켜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2.89g(97.9%)을 오일로서 수득한다.
RMN1H (CDCl3), d(ppm): 1.2-1.8 (m, 12H), 2.65 (c, 4H, -CH 2-C6H5+ -CH 2-NH2), 3.4(c, 4H, -CH2-O-CH2-), 7.1-7.4 (m, 5H, -C6H5).
실시예 5:  N-벤질-6-N-디에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DMF 25㎖에 N-벤질-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5g(11.90mmol), 브로모아세트알데히드 디에틸아세탈 1.85㎖(11.93mmol) 및 K2CO33.29g(23.84mmol)을 첨가한다. 현탁액을 80℃에서 22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바로 DMF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한다. 조 생성물에 CH2Cl230㎖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H2O 30㎖로 세척한다. CH2Cl2를 경사 제거한 후,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2Cl2내지 CH2Cl/ AcOEt 9 : 1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N-벤질-N-디에틸옥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2.25g (51%)을 오일로서 수득한다.
RMN1H (CDCl3), d(ppm): 1.2 (t, 6H, 2*-CH3), 1.2-1.8 (m, 12H), 2.45 (t,2H, -CH 2-C6H5), 2.6 (m, 4H, -CH2-N-CH2-), 3.3-3.7 (m, 8H, -CH2-O-CH2- + 2*-CH 2-CH3), 4.55 (t, 1H, -CH(OCH2CH3)2), 7.1-7.4 (m, 10H, 2*-C6H5).
실시예 6:  N-디에톡시에틸-5-(4-페닐부톡시)헥실아민
DMF 20㎖ 중의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2.77g(11.12mmol) 용액에 K2CO31.54g(11.16mmol) 및 브로모아세트알데히드 디에틸아세탈 1.68g(11.17mmol)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80℃에서 20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DMF를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고, CH2Cl230㎖ 중의 수득한 조 생성물을 H2O 30㎖로 세척한다. CH2Cl2상은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키고 잔사를 실리카 켈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2Cl/ AcOEt 1 : 1 내지 AcOEt 구배)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N-디에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1.73g(42.6%)을 오일로서 수득한다.
또는, N-디에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2.39g(90.3 %)을 EtOH 35㎖ 중의 N-벤질-디에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3.24g(7.53mmol) 및 5% Pd / C 0.32g의 혼합물로부터 실온 및 대기압하에서 수소화에 의해 수득한다.
RMN1H (CDCl3), d(ppm): 1.2 (t, 6H, 2*CH3), 1.25-1.8 (m, 12H), 2.6 (c, 2H, -CH 2-C6H5), 2.7 (d, 1H, -NH-), 3.4 (c, 4H, 2*-OCH 2CH3), 3.5-3.8 (m, 4H, -CH2-O-CH2-), 4.6 (t, 1H, -CH(OCH2CH3)2), 7.1-7.3 (m, 5H, -C6H5).
실시예 7:  N-벤질옥시카보닐-N-디메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아세톤 40㎖ 중의 N-디메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4.15g(9.93 mmo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1.4㎖ 및 N-(벤질옥시카보닐옥시)석신이미드 2.41g(10.71mmol)를 첨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아세톤을 증발 제거하고 Et2O 40㎖을 여기에 첨가한다. 수득한 혼합물을 H2O 40㎖로 3회 세척한다. 일단 분리하고 각 에테르 상을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킴으로써 N-벤질옥시카보닐-N-디메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4.46 g (95.3 %)을 오일로서 수득한다.
RMN1H (CDCl3), d(ppm): 1.2-1.8 (m, 12H), 2.65 (t, 2H, -CH 2-C6H5), 3.2-3.5 (m, 14H, 2*CH3+ -CH2-N-CH2- + -CH2-O-CH2-), 4.3-4.6 (dt, 1H, -CH(OCH3)2), 5.15 (s, 2H, -O-CH 2-C6H5), 7.1-7.4 (m, 10H, 2*C6H5).
실시예 8:  N-벤질옥시카보닐-N-디에톡시에틸-6-(페닐부톡시)헥실아민
아세톤 25㎖ 중의 N-디에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2.39 g (6,55 mmol) 용액에 N-(벤질옥시카보닐옥시)석신이미드 1,59 g (7.07 mmol)를 첨가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아세톤을 증발 제거하고 AcOEt 30㎖을 여기에 첨가한다. 수득한 혼합물을 H2O 30㎖로 3회 세척한다. 일단 분리하고 AcOEt 상을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킴으로써 N-벤질옥시카보닐-N-디에톡시에틸-6-(페닐부톡시)헥실아민 3.28g(99%)를 오일로서 수득한다.
RMN1H (CDCl3), d(ppm): 1.1-1.8 (m, 18H), 2.65 (t, 2H, -CH 2-C6H5), 3.3-3.8 (m, 12H, 2*-O-CH 2CH3+ -CH2-N-CH2- + -CH2-O-CH2-), 4.4-4.7 (dt, 1H, -CH(OCH2CH3)2), 5.15 (s, 2H, -O-CH 2-C6H5), 7.1-7.4 (m, 10H, 2*-C6H5).
실시예 9:  N-벤질옥시카보닐-N-(2-옥소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아세톤 50㎖ 중의 N-벤질옥시카보닐-N-디메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3.89g(8.26mmol) 용액에 p-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 0.786g(4.13mmol)을 첨가한다. 용액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아세톤을 증발 제거하고 조 생성물을 Et2O 50㎖에 용해시키고 H2O 50㎖로 1회 세척한다. Et2O 상을 분리하고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키고, 이와 같이 수득한 잔사를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2Cl2내지 CH2Cl/ AcOEt 4 : 1 구배)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N-벤질옥시카보닐-N-(2-옥소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2.66g(75.7 %)을 오일로서 수득한다.
또는, N-벤질옥시카보닐-N-(2-옥소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1.66g(72.3 %)을 또한 상기한 방법에 따라서 N-벤질옥시카보닐-N-디에톡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2.70g(5.41mmol)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RMN1H (CDCl3), d(ppm): 1.2-1.8 (m, 12H), 2.65 (t, 2H, -CH 2-C6H5), 3.4 (m, 6H, -CH2-N<, -CH2-O-CH2-), 4.0 (d, 2H, -O-CH 2-C6H5), 5.15 (d, 2H, -CH 2-CHO), 7.1-7.4 (m, 10H, 2*C6H5), 9.6 (d, 1H, -CHO).
실시예 10:  2,2-디메틸-6-브로모벤조-1,3-디옥산
0℃로 냉각시킨 아세톤 30㎖ 중의 3-브로모-6-하이드록시벤질 알콜 5.0g(24.63 mmol) 용액에 Et2O 20㎖ 중의 AlCl31.15g(8.62mmol)을 적가한다. 수득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정치시킨 다음, 바로 0℃로 냉각시키고 5℃로 미리 냉각시킨 10% NaOH 수용액 50㎖을 여기에 첨가한다. 분리된 Et2O 상을 H2O 20㎖로 2회 세척하고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증류시키고 2,2-디메틸-6-브로모벤조-1,3-디옥산 4.85g(81%)을 오일로서 수득한다.
RMN1H(CDCl3),d(ppm): 1.5(s, 6H, 2*CH3), 4.8(s, 2H,-O-CH2-), 6.7 (d, 1H), 7.1 (d, 2H), 7.25 (dd, 1H).
실시예 11:  N-[2-(2,2-디메틸-4H-벤조[1,3]디옥신-6-일)-2-하이드록시에틸]-N-벤질옥시카보닐-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1㎖ THF 중의 Mg 0.166g(6.83mmol)에 20㎖ THF 중의 2,2-디메틸-6-브로모벤조-1,3-디옥산 1.51g(6.21mmol) 및 촉매량의 1,2-디브로모에탄을 포함하는 용액 몇 방울을 적가한다. 반응이 일단 시작되면, 나머지 2,2-디메틸-6-브로모-벤조-1,3-디옥산 용액을 40℃ 온도를 유지하면서 첨가한다. 첨가 왼료시(15분), 반응을 40℃에서 추가로 30분 동안 정치시킨다. 이어서, 혼합물을 -7℃로 냉각시키고 THF 5㎖ 중의 N-벤질옥시카보닐-N-2-옥소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2.64g(6.21mmol)을 여기에 첨가한다. 반응을 0℃로 1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반응 혼합물의 온도를 실온으로 증가시키고 포화 NH4Cl 용액 30㎖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한다. 최종적으로, AcOEt 30㎖을 첨가하고 EtOAc 상을 분리하고 30 ㎖ H2O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농축 건조시키고 잔사를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H2Cl2내지 CH2Cl2/EtOAc 4 : 1 구배)에 의해 정제시킴으로써 N-[2-(2,2-디메틸-4H-벤조[1,3]디옥신-6-일)-2-하이드록시에틸]-N-벤질옥시-카보닐-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1.50g(40.9 %)을 수득한다.
RMN1H (CDCl3), d(ppm): 1.4-1.8 (m, 18H), 2.65 (t, 2H, -CH 2-C6H5), 3.1-3.6(m, 9H), 4.8 (m, 3H, -CH(OH)-, -CH2-O-), 5.15 (s, 2H, -O-CH 2-C6H5), 6.8(d, 1H), 7.0-7.4 (m, 12H).
IR (KBr, cm-1): 3430, 2930, 2860, 1695, 1500, 1265, 1120.
실시예 12:  N-[2-(2,2-디메틸-4H-벤조[1,3]디옥신-6-일)-2-하이드록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N-[2-(2,2-디메틸-4H-벤조[1,3]-디옥신-6-일)-2-하이드록시에틸]-N-벤질옥시카보닐-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0.9g(1.53mmol)을 실온 및 대기압하에서 MeOH 30㎖ 중의 5% Pd / C 0.1g을 사용하여 수소화시킨다. H250㎖이 일단 흡착되면 촉매는 데칼라이트 상에서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 건조시켜 N-[2-(2,2-디메틸-4H-벤조[1,3]디옥신-6-일)-2-하이드록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0.69g(99%)을 수득한다.
RMN1H (CDCl3), d(ppm): 1.3-2.0 (m, 12H), 1.55 (s, 6H, 2*CH3), 2.6 (t, 2H, -CH 2-C6H5), 2.9-3.2(m, 4H, -CH2-N-CH2-), 3.35 (c, 4H, -CH2-O-CH2-), 4.8 (s, 2H, -CH2-O-), 5.25 (dd, 1H, -CH(OH)-), 6.75 (d, 1H), 7.05(d, 1H), 7.1-7.3 (m, 6H).
IR (KBr, cm-1): 3355, 2930, 2855, 1630, 1595, 1490, 1260, 1120.
실시예 13:  4-하이드록시-a1-[[[6-(4-페닐부톡시)헥실]아미노]메틸]-1,3-벤젠디메탄올
1 : 1 H2O / MeOH 혼합물 20㎖중의 [2-(2,2-디메틸-4H-벤조[1,3]디옥신-6-일)-2-하이드록시에틸]-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0.6g(1.32mmol) 용액에 35% HCl 0.15㎖ (1.75mmol)을 첨가한다. 반응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한 후, 감압하에 증발 제거한다. 수득한 수성 혼합물을 CH2Cl220㎖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유기 상을 포화 NaHCO3용액 20㎖ 및 추가의 H2O 20㎖로 연속적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2-하이드록시메틸-4-{1-하이드록시-2-[6-(4-페닐부톡시)헥실아미노]에틸}페놀 0.24 g (43.9 %)을 수득한다.
RMN1H (CDCl3), d(ppm): 1.2-1.8 (m, 12H), 2.4-2.7 (m, 6H, -CH2-N-CH2- + -CH 2-C6H5), 3.3-3.5 (m, 4H, -CH2-O-CH2-), 4.4-4.6 (m, 3H, -CH 2-OH + -CH(OH)-), 5.1 (s, 4H, 3*OH + NH), 6.7 (d, 1H), 6.8-7.0 (m, 2H), 7.1-7.3 (m, 5H, -C6H5).

Claims (20)

  1. 화학식 I의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유도체 화합물.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1은 CHO 또는 CHOR3OR4[여기서, R3및 R4는 독립적으로 C1-C6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거나 R3과 R4는 5원 또는 6원 환형 아세탈을 형성한다]이고,
    R2는 H, 벤질 그룹, 알킬옥시카보닐 그룹, 아릴옥시카보닐 그룹, 아르알킬옥시카보닐 그룹 또는 아실 그룹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CHO이고, R2가 알킬옥시카보닐 그룹, 아릴옥시카보닐 그룹, 아르알킬옥시카보닐 그룹 또는 아실 그룹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3및 R4가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또는 벤질이거나 R3및 R4가 1,3-디옥솔란 또는 1,3-디옥산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가 3급-부톡시카보닐, 벤질옥시카보닐, 에톡시카보닐, 아세틸, 벤조일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화학식 13의 유기금속성 화합물을 저온에서 불활성 용매중에서 화학식 I의 합성 중간체와 반응시킨 다음, 가수분해시키고, 보호 그룹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메테롤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의 제조방법.
    화학식 13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1및 R4는 독립적으로 C1-C6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거나 R1과 R4는 1,3-디옥솔란 유형의 환형 아세탈을 형성하고,
    M은 리튬, 마그네슘 또는 구리로부터 선택된 금속을 함유하는 그룹이고,
    R1은 CHO이며,
    R2는 알킬옥시카보닐 그룹, 아릴옥시카보닐 그룹, 아르알킬옥시카보닐 그룹또는 아실 그룹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불활성 용매가 에틸 에테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포함하는 에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반응이 -4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R3및 R4가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벤질, 2,2-디메틸-1,3-디옥산 또는 2-메틸-1,3-디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M이 Li, MgBr 또는 MgCl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중에서, 유기 염기 또는 무기 염기의 존재하에 25℃ 내지 110℃의 온도 범위에서 화학식 12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아민을 알킬화시키는 단계(i),
    단계(i)에서 수득한 화합물의 아미노 그룹을 불활성 용매중에서, 임의로 유기 염기 또는 무기 염기의 존재하에 0℃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적합한 시약을 사용하여 보호시키고, R2가 벤질인 경우, 수소화시키기 전에, R1이 CHOR3OR4이고 R2가 알킬옥시카보닐 그룹, 아릴옥시카보닐 그룹, 아르알킬옥시카보닐 그룹 또는 아실 그룹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ii) 및
    단계(ii)에서 수득한 화합물을 아세탈 그룹의 가수분해, 아세탈 교환반응 또는 가수소분해에 의해 상응하는 알데히드로 전환시켜, R1이 CHO이고 R2가 알킬옥시카보닐 그룹, 아릴옥시카보닐 그룹, 아르알킬옥시카보닐 그룹 또는 아실 그룹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iii)를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화학식 I의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3및 R4는 독립적으로 C1-C6알킬 또는 아르알킬이거나 R3과 R4는 5원 또는 6원 환형 아세탈을 형성하고,
    Z1및 Z2는 각각 상이하며 L 또는 NHR2[여기서, L은 염소, 브롬, 요오드, 메탄설포닐옥시 또는 p-톨루엔설포닐옥시를 포함하는 이탈 그룹이고, R2는 H 또는 벤질이다]이고,
    R1은 CHOR3OR4이고,
    R3은 H 또는 벤질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단계(i)에서, 불활성 용매가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를 포함하는 고비점 비양자성 용매,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를 포함하는 할로겐화 용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옥산을 포함하는 에테르, 또는 벤젠, 톨루엔 또는 크실렌을 포함하는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단계(i) 및 단계(ii)에서,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아민을 포함하는 유기 염기가 3급 아민, N,N-디메틸아닐린을 포함하는 방향족 아민, 피리딘을 포함하는 헤테로사이클릭 아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단계(ii)에서, 시약이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3급-부틸 클로로포르메이트 또는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를 포함하는 클로로포르메이트, 디-3급-부틸 디카보네이트 또는 디벤질 디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이탄산염, N-(벤질옥시카보닐옥시)석신이미드를 포함하는 특정 시약, 산 클로라이드 또는 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단계(ii)에서, 불활성 용매가 아세톤을 포함하는 케톤, 메틸렌 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할로겐화 유도체, 에틸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을 포함하는 에테르,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포함하는 고비점 용매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단계(iii)에서, 가수분해 반응이 유기 용매중에서, 하나 이상의 화학량론적 양의 물, 및 유기 산 또는 무기 산의 존재하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단계(iii)에서, 아세탈 교환반응이 케톤 및 유기 산 또는 무기 산의 존재하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반응이 염산, 황산,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존재하에 15℃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단계(iii)에서, 가수소분해 반응이 불활성 용매중에서 촉매의 존재하에 10℃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촉매가 팔라듐인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용매가 C1내지 C4지방족 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에스테르(예: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에테르(예: 테트라하이드로푸란)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KR10-2001-7003977A 1998-09-28 1999-09-20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의 신규한 유도체 및 살메테롤의제조방법 KR100479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009802014A ES2142771B1 (es) 1998-09-28 1998-09-28 Nuevos derivados de la 6-(4-fenil-butoxi) hexilamina y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salmeterol.
ESP9802014 1998-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9948A true KR20010079948A (ko) 2001-08-22
KR100479256B1 KR100479256B1 (ko) 2005-03-30

Family

ID=830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977A KR100479256B1 (ko) 1998-09-28 1999-09-20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의 신규한 유도체 및 살메테롤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6388134B1 (ko)
EP (1) EP1132373B1 (ko)
JP (1) JP3786834B2 (ko)
KR (1) KR100479256B1 (ko)
CN (1) CN1189446C (ko)
AT (1) ATE254596T1 (ko)
AU (1) AU756042B2 (ko)
BR (1) BR9913989A (ko)
CA (1) CA2344647C (ko)
CZ (2) CZ296902B6 (ko)
DE (1) DE69912984D1 (ko)
EA (1) EA003397B1 (ko)
ES (2) ES2142771B1 (ko)
HU (1) HUP0103969A3 (ko)
IL (1) IL141991A (ko)
IS (1) IS2016B (ko)
NO (2) NO327780B1 (ko)
NZ (1) NZ511157A (ko)
OA (1) OA11660A (ko)
PL (1) PL196116B1 (ko)
PT (1) PT1132373E (ko)
SK (1) SK284366B6 (ko)
TR (1) TR200100862T2 (ko)
WO (1) WO20000187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5857B2 (en) 2002-03-05 2004-12-28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4-(6-bromohexyloxy)-butylbenzene
DE10209583B4 (de) * 2002-03-05 2006-01-19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4-(6-Bromhexyloxy)-butylbenzol
PL1937626T3 (pl) * 2005-10-17 2016-08-31 Generics Uk Ltd Sposób i związki do otrzymywania salmeterolu
ES2288114B1 (es) * 2006-04-26 2008-12-01 Quimica Sintetica S.A. Nuevo procedimiento de sintesis de (6-(4-fenilbutoxi)hexil)aminas n-sustituidas y su uso en la sintesis de salmeterol xinafoato.
EP2127641A1 (en) 2008-05-26 2009-12-02 Inke, S.A. Micronisable form of salmeterol xinafoate
CN101712622B (zh) * 2009-11-10 2012-10-03 浙江万里学院 抗哮喘药物沙美特罗的制备方法
CN103435505A (zh) * 2013-09-05 2013-12-11 南京工业大学 一种合成(r)-沙美特罗的方法
US9447067B2 (en) * 2014-10-03 2016-09-20 Amphastar Pahmaceuticals, Inc. Method of preparing intermediate of salmeterol
KR20230001708U (ko) 2022-02-17 2023-08-24 유기택 재접착식 슬림 평면형 액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W6584A1 (en) * 1983-04-18 1985-04-17 Glaxo Group Ltd Phenethanolamine derivatives
AU581887B2 (en) * 1984-04-17 1989-03-09 Glaxo Group Limited Ethanolamine compounds
ES2065269B1 (es) * 1993-05-11 1995-10-01 S A L V A T Lab Sa 6-(4-(fenilbutoxi) hexilaminometil-4-hidroxi-a1,a3-bencenodimetanol.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l mismo y nuevos intermedios utilizados en su preparac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54596T1 (de) 2003-12-15
OA11660A (en) 2004-12-08
SK284366B6 (sk) 2005-02-04
KR100479256B1 (ko) 2005-03-30
NO327780B1 (no) 2009-09-21
AU5983999A (en) 2000-04-17
NO20011197L (no) 2001-03-28
PT1132373E (pt) 2004-03-31
US6388134B1 (en) 2002-05-14
SK3862001A3 (en) 2002-09-10
EA003397B1 (ru) 2003-04-24
NO20084343L (no) 2001-03-28
ES2142771B1 (es) 2001-01-01
ES2212672T3 (es) 2004-07-16
JP2002525349A (ja) 2002-08-13
CZ296902B6 (cs) 2006-07-12
IL141991A0 (en) 2002-03-10
HUP0103969A2 (hu) 2002-05-29
IL141991A (en) 2004-03-28
CZ296901B6 (cs) 2006-07-12
CA2344647C (en) 2005-07-05
CN1320114A (zh) 2001-10-31
EP1132373B1 (en) 2003-11-19
TR200100862T2 (tr) 2001-07-23
PL348572A1 (en) 2002-06-03
CA2344647A1 (en) 2000-04-06
NO20011197D0 (no) 2001-03-08
JP3786834B2 (ja) 2006-06-14
IS2016B (is) 2005-06-15
BR9913989A (pt) 2001-06-19
HUP0103969A3 (en) 2003-05-28
WO2000018722A3 (es) 2000-07-06
WO2000018722A2 (es) 2000-04-06
AU756042B2 (en) 2003-01-02
CZ2001958A3 (cs) 2001-08-15
ES2142771A1 (es) 2000-04-16
PL196116B1 (pl) 2007-12-31
DE69912984D1 (de) 2003-12-24
EA200100391A1 (ru) 2001-10-22
NZ511157A (en) 2002-12-20
CN1189446C (zh) 2005-02-16
IS5880A (is) 2001-03-08
EP1132373A2 (en) 2001-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5585A (en) Production of fluoxetine and new intermediates
US9035061B2 (en) Process for preparing a biphenyl-2-ylcarbamic acid
HUT68913A (en) Novel derivatives of perhydroisoindole and preparation thereof
SK580690A3 (en) Isoindolone derivatives, process of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intermediate products
WO2014023191A1 (zh) N-取代吡唑并[3,4-d]嘧啶酮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20060126965A (ko) 활성 아민기 존재하에서 o-카바모일 화합물을 제조하는방법
KR20010079948A (ko) 6-(4-페닐부톡시)헥실아민의 신규한 유도체 및 살메테롤의제조방법
KR20100103646A (ko) 6­치환된­1­(2h)­이소퀴놀리논의 제조 방법
TW200401762A (e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combretastatins
KR101166280B1 (ko) 시탈로프램 및 에난티오머의 제조 방법
KR900005956B1 (ko) 1,4-디하이드로피리딘-3,5-디카르복실산의 비대칭 에스테르 유도체의 제조방법
JPH0461867B2 (ko)
FI92054B (fi) Menetelmä 3-(o-metoksifenoksi)-1,2-propaanidioli-1-karbamaatin valmistamiseksi
JPS6112658A (ja) アゼチジン誘導体の製法およびその中間体
CN103562207A (zh) 用于制备缬更昔洛韦的2-氨基-9-((2-苯基-1,3-二噁烷-5-基氧基)甲基)-1h-嘌呤-6(9h)-酮化合物的制备方法
JP2002517488A (ja) 大員環メタロプロテアーゼ阻害剤の製造法
JP2825608B2 (ja) 光学活性トレオ―3―アミノ―2―ヒドロキシペンタン酸及びその製造法
KR900002053B1 (ko) α-아릴-4-치환 피페리디노 알칸올 유도체의 제조방법
JP3076373B2 (ja) アンヒドロエクゴニンのエステル製造法
CN117263850A (zh) 一种雷芬那辛的合成方法
JPS60214789A (ja) 2‐アザエリスリナン誘導体
CA2446605A1 (en) Novel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adenosine compounds and intermediates thereto
JPH054949A (ja) 光学活性シクロブチルアミン類の製造方法
KR101569341B1 (ko) 베타-세크리테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4-(아릴유레이도)피롤리딘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N111848423A (zh) 3-氧代环丁基氨基甲酸叔丁酯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