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701A - 단열 용기 및 이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단열 용기 및 이의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53701A KR20000053701A KR1019990703699A KR19997003699A KR20000053701A KR 20000053701 A KR20000053701 A KR 20000053701A KR 1019990703699 A KR1019990703699 A KR 1019990703699A KR 19997003699 A KR19997003699 A KR 19997003699A KR 20000053701 A KR20000053701 A KR 200000537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cup body
- cup
- side wall
- blank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03—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flattening or rim-rolling; Shaping by bending, folding or rim-rolling combined with joining; Apparatus therefor
- B31F1/0038—Rim-ro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8—Creasing
- B31F1/10—Creasing by rotary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5/002—Making box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s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5/0022—Making boxes from tubular webs or blanks, e.g. with separate bottoms, including tube or bottom forming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1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cross section of varying size or shape, e.g. conical or pyramid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2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curved cross section, e.g. circul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002—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contracted or rolled necks, having shou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4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ined or internally reinforced
- B31B2120/402—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ined or internally reinforced by applying a liner to already made boxes, e.g. opening or distending of the liner or the box
- B31B2120/407—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ined or internally reinforced by applying a liner to already made boxes, e.g. opening or distending of the liner or the box involving forming of the liner before inser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5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vered or externally reinforced
- B31B2120/501—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covered or externally reinforced by applying wrapping material only on the side wall part of a box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7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corrugated or pleated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5—Surface scoring
- B31B50/256—Surface scoring using tools mounted on a dr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2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around mandrels, e.g. for forming botto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2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around mandrels, e.g. for forming bottoms
- B31B50/30—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around mandrels, e.g. for forming bottoms the mandrels moving
- B31B50/3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around mandrels, e.g. for forming bottoms the mandrels moving in circular path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03—Paper containing [e.g., paperboard, cardboard, fiberboar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특성, 디자인 및 경제적으로 우수한 인스턴트 건조 식품용 단열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용기는 저면부와 컵 본체―내부가 폴리올레핀 수지로 코팅되어 있고, 컵 본체의 상부 개구에서 외부로 말린 컬부가 형성되고 컵 본체의 측벽에 외부로 돌출되는 수평 리브가 형성됨―; 및 하부 말단에서 외부로 말린 컬부를 가진 역 원추형 종이 슬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컵 본체와 상기 슬리브는 슬리브의 상부 말단이 컵 본체의 외부로 말린 컬부에 인접한 컵 본체의 측벽의 외부 가장자리에 결합하고, 슬리브의 하단에 있는 내부로 말린 컬부가 컵 본체의 측벽의 하단의 외주에 접합하여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인스턴트 건조 라면(instant dried Chinese noodle)에 주로 사용되는 종이로 만들어진 단열 용기로서, 길이 방향으로 좁게 요부(凹部)와 철부(凸部)가 상호 교호적으로 정렬되도록 처리되는 주름 형상의 단열 부재로 종이컵의 외주면을 둘러싼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8-113274에서는, 용기의 외부면에 있는 이의 오목면의 총면적이 감소되고 평면부의 총면적이 증가되도록 이의 단면부를 변화시킨 단열용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용기는 실용적으로 적용되어 왔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4-45216호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8-104372호에서는 단열 부재에 주름 공정 또는 엠보싱 공정을 실시하여 용기의 외부면을 규칙적으로 형성하는 단열 용기를 제안하였다.
한편, 일본 실용실안 공개 공보 평4-45212호에는, 단열성이 이중 벽의 컵 본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의해서 제공된다는 제안이 있었다.
단열성 주름부로 둘러싸인 컵 본체를 가진 상기의 용기는 단열 부재의 단면부의 형상과는 상관없이 손에 쥐어지지 않는 이의 상부에서조차 필요이상으로 너무 두껍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용기의 외부면이 평탄하지 않기 때문에 용기에 제공하고자 하는 고급의 디자인에 제한이 있을 수 있고, 이의 표면상에 인쇄하고자 하는 캐릭터, 패턴 등이 불명료하고 불명확하여 문제가 될 수 있다.
용기의 외양에 관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소49-87479호 및 일본 실용실안 공보 평4-45216호에서는 얇은 종이 또는 부가적인 속지로 상기 언급된 용기를 둘러싸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에 따라 제공된 용기는 생산단가가 높아진다는 비경제적인 문제점, 단열 용기가 불규칙적 바닥과 좁은 요부 및 철부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엠보싱부가 바닥에서 볼일 수가 있다는 외양의 문제점 및 먼지 및 액체가 이들 사이의 공간에 들어갈 수 있다는 비위생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도 43은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평4-45212호에서 제안된 종래의 단열 용기(50)의 단면도이다. 단열 용기(50)는 저면판(52) 및 외부로 말린 상부(54)를 가진 측벽(53)으로 이루어진 종이컵 본체(51)를 하단부에 내부로 말린 컬부(56)를 가지는 슬리브(55)에 삽입시켜서, 상기 컵 본체(51)와 슬리브를 이들의 상부 및 하부 접촉부에서 결합시켜 서로 일체가 되도록 제공한다. 단열 공간은 슬리브(55)의 말린 컬부(56)의 두께를 이용하여 형성시킨다.
이러한 단열 용기(50)는 특정 단열 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단열 부재로 유발되는 단점이 없다. 그러나 용기를 손으로 이의 측벽의 중앙부를 잡는 경우에, 슬리브(55)는 쉽게 내부로 접혀져서 단열 공간 용량이 감소하여, 단열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실안 공개 공보 소52-97282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4-201840에서와 같이 슬리브가 컵 본체의 외주에 배설되는 용기도 제안되었다. 이들 공보에 개시된 용기에는 외부 돌출 리브 및 상기 리브에 결합된 슬리브가 함께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리브의 단면이 원형 또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리브의 리지부(ridge portion)만이 슬리브와 접촉되어서 리브와 슬리브 사이의 결합 면적이 감소되어서 결합 강도의 부족이 초래된다. 리브의 위치는 용기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되기 때문에, 리브의 위치에 따라 접착제가 적용되는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어서 제조공정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리브가 용기 내에 담긴 액체의 적절한 수준을 지시하는 페터 라인(Peter line)으로 작용한다면, 리브의 위치는 종종 용기내 포장된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변한다. 또한 페터 라인이 컵 본체의 말린 컬부에 인접하면, 슬리브와 컵 본체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고, 결합 공정 중에 저항력이 증가하여 조립 불량을 초래할 것이다.
또한, 효과적으로 용기를 생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슬리브의 원료인 시트상의 블랭크(blank)를 컬링하는 맨드릴을 교체하지 않고도 온전하게 슬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와 컵 본체가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컵 본체의 측벽에 있는 리브를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4-97833호에서는, 연장가능한 척(chuck)이 컵 본체에 삽입되어 척이 컵 본체 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연장하여 용기를 외부로 확대하여 리브를 형성하는 리브 형성장치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서 개시된 장치는 한 번에 가 컵 본체의 측벽의 전 외주면에 리브를 형성하기 때문에, 리브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도 웨지 등과 같은 강제-확대 수단(force -magnification)을 사용하여 측벽에 상대적으로 큰 힘을 가해야만 한다. 따라서, 대형 리브를 형성하기가 어렵다. 또한 척이 컵 본체 내에서 구동되기 때문에, 컵 본체내의 좁은 범위에서 척을 구동하는 장치의 한 부분을 위치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장치가 복잡해진다. 컵 본체 내외부에 척을 위치시키는데 장시간이 요구되므로, 리브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끓는 물을 부어서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건조 식품에 사용되는 종이 단열 용기 및 이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제조하기에 적당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의 단열 용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단열 용기의 컵 본체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단열 용기의 수평 리브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단열 용기에서 수평 리브로 보장되는 단열 공간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로 생산되는 단열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용기를 생산하는 개략적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5의 용기를 생산하는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상기 제조장치의 정면도.
도 9는 상기 제조장치의 좌측면도.
도 10은 상기 제조장치에 제공된 주 실링장치 및 이 주변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11은 도 8의 라인 XI-XI을 따르는 제조장치에 제공된 블랭크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라인 XII-XII을 따르는 블랭크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도 8의 라인 XIII-XIII을 따르는 블랭크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14는 도 8의 라인 XIV-XIV을 따르는 블랭크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15도는 도 8의 라인 XV-XV을 따르는 블랭크 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제조장치에 제공된 컬링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화살표 XVII로 표시되는 한면에서 얻어지는 컬링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제조장치에 제공되는 보조 실링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8의 화살표 XIX로 지시되는 한면에서 관찰되는 보조 실링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A 및 20B는 보조 실링장치의 실링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제조장치에 제공되는 컬링장치의 상세한 도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도 21의 화살표 XXII로 지시되는 한면에서 관찰되는 컬링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도 21의 화살표 XXIII로 지시되는 상부에서 관찰되는 컬링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제조장치에서 제공되는 슬리브-배출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도 24의 화살표 XXV로 지시되는 한면에서 관찰되는 슬리브-배출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제조장치에 제공되는 컵 본체 공급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도 26의 화살표 XXVII로 지시되는 상부에서 관찰되는 컵 본체 공급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상기 제조장치에 제공되는 리브 형성 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도 29의 화살표로 지시되는 한면에서 관찰되는 리브 형성 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상기 리브 형성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31A 내지 31C는 도 28의 리브 형성 장치의 페터 라인으로 리브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상기 제조장치로 제공되는 접착제 공급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제조장치에 제공되는 슬리브-운송 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도 33의 화살표 XXXIV으로 지시되는 한면에서 관찰되는 슬리브-운송 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상기 제조장치에 제공되는 슬리브 끼워맞춤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도 35의 화살표 XXXVI으로 지시되는 상부에서 관찰되는 슬리브 끼워맞춤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7A 내지 37C는 슬리브 끼워맞춤장치에 제공되는 지그에 의해서 슬리브와 컵 본체가 서로 정렬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8A 내지 도 38H는 도 5의 용기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9는 메인 실링장치 및 보조 실링장치가 하나의 장치에 일체 성형되는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0 및 41은 리브 형성 장치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2는 리브 형성 장치의 다른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3은 종래의 단열 용기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상기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확실한 단열성, 고급의 디자인, 용기의 외부면에 높은 인쇄 자유도 및 낮은 생산 단가를 가진 종이로 제조된 단열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단열 용기는
저면을 가진 컵 본체―여기에서, 컵 본체는 내부가 폴리올레핀 수지로 코팅되고, 컵 본체의 개구 상단부에 외부로 말린 컬부가 형성되고, 컵 본체의 측벽에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리브가 형성됨―; 및 하단부에 내부로 말린 컬부가 형성된 역 원추형 종이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컵 본체와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상단이 외주를 따라 상기 컵 본체의 외부로 말린 컬부에 인접한 컵 본체의 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부로 말린 컬부가 외주를 따라 상기 컵 본체의 측벽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임의의 갯수의 수평 리브는 컵 본체의 측벽의 원주 방향으로 전체 원주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연장되거나,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주름잡힌 단열 부재가 상기 슬리브와 상기 컵 본체의 측벽의 상부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디자인, 확실한 단열성, 균일한 외부면, 고급의 외양 및 고급의 인쇄 자유도를 가진 종이로 만들어진 단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는 측벽에서 구겨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견고하고 따라서 손으로 용이하게 쥘 수 있어서 인스턴트 건조 식품에 끓는 물이 첨가되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용기에 요구되는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원료 및 생산 단가의 상승을 막아서 단열 용기를 염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는 종이로 제조되어서 별도의 분리 수거할 필요없이 쉽게 폐기할 수 있고, 이의 폐기시 용기의 부피를 감소하기가 용이해서 우수한 폐기성을 보인다. 용기는 쉽게 재활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경에 부정적 영향을 감소하는데 기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리브가 컵 본체에 확실하게 결합된 개선된 구조를 가진 단열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단열 용기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의 일단에 배치된 바닥부를 가지는 컵 본체―여기에서, 상기 측벽에는 이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리브가 제공되고 상기 측벽의 타단에는 외부로 말린 컬부가 형성됨― 및
상기 측벽의 외부에 일정한 공간을 두고 이격되고, 상기 컵 본체의 외부로 말린 컬부에 인접하는 한정된 결합 영역에서 상기 컵 본체와 결합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단열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돌출 리브는 상기 결합 영역에서 일정 거리로 떨어진 영역에서 형성된다.
상기 용기에는, 외부로 돌출된 리브가 결합 영역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컵 본체의 측벽과 슬리브가 서로 광범위하게 접촉되어서 결합 영역의 크기가 증가하므로 슬리브와 컵 본체 사이의 결합강도가 개선된다. 결합 영역은 언제나 컵 본체의 개방된 말단부의 외주에 형성된 외부로 말린 컬부에 인접하여 형성되어서 접착제가 적용되는 위치는 외부로 돌출된 리브의 위치와 상관없이 변경되지 않는다.
슬리브는 이의 일단에서 상기 측벽의 일단의 외주와 접촉할 수 있는 내부로 말린 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컵 본체의 측벽에는 이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돌출 리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내부 돌출 리브는 결합 영역 내에 포함되어서 결합영역을 감소시키지 않고도 컵 본체의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내부돌출 리브는 컵 본체 내로 제공되는 액체의 적당한 수준을 지시하는 선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페터 라인으로 작용하는 리브는 결합영역 내에 형성되어서 외부로 말린 컬부에까지 인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열 용기는
측벽 및 상기 측벽의 일단에 위치한 저면부를 가지는 컵 본체; 및
상기 측벽의 외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측벽에 결합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측벽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컵 본체에 채워지는 액체의 적당한 수준을 지시하는 리브가 형성된다.
이 경우, 결합 영역을 페터라인으로 작용하는 리브가 포함되도록 충분할 정도로 결합 영역을 넓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측벽 및 상기 측벽의 일단에 형성된 저면―여기에서, 상기 측벽의 타단에는 외부로 말린 컬부가 형성됨―을 가지는 컵 본체; 및
상기 측벽의 외부에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배설되고 상기 컵 본체의 외부로 말린 컬부에 인접하여 한정되는 결합 영역에서 측벽과 결합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결합영역 내에 포함되는 내부로 돌출된 리브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내부로 돌출된 리브를 지나서 컵 본체의 저면으로 더욱 한정될 때까지 상기 결합영역을 넓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단열 용기를 생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컵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결합시키는 단열 용기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조 장치는
블랭크 원지(blank sheet)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이의 양단을 접합하여 슬리브를 성형하는 슬리브 성형 섹션; 및
컵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결합하는 어셈블리 섹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어셈블리 섹션은
용기의 측벽에 리브를 형성하는 리브 형성 장치;
상기 리브가 형성된 컵 본체의 측벽에 접착제를 적용하는 접착제 공급장치; 및
슬리브 성형 섹션에서 성형된 슬리브를 접착제가 적용된 컵 본체의 외주에 제공하는 슬리브 운송 장치로 포함된다.
상기 제조 장치에 따르면, 슬리브 성형 섹션에서 슬리브가 블랭크로부터 성형되는 동안 어셈블리 섹션에서는 컵 본체에 리브가 형성되고 접착제가 제공된다. 이후, 성형된 슬리브는 접착제가 적용된 컵 본체의 외주에 적용되어서 서로 결합된다. 용기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공정이 2개의 섹션에서 각각 동시에 생산되므로, 용기를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컵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결합시키는 단열용기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조 장치는
슬리브를 고정할 수 있는 슬리브 홀더;
컵 본체를 고정할 수 있는 컵 홀더; 및
상기 슬리브 홀더 및 컵 홀더를 일정한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슬리브 홀더의 순화경로를 따라 슬리브 홀더에서 시트상의 블랭크를 말고, 상기 말린 블랭크의 양단을 접합하는 컬링장치 및 상기 슬리브 홀더에서 슬리브를 빼내는 슬리브 배출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컵 홀더의 순화경로에 컵 홀더에는 컵 본체를 제공하는 컵 본체 공급장치, 상기 컵 홀더에 설정된 컵 본체의 측벽에 리브를 형성하는 리브 형성 장치, 리브가 형성된 컵 본체의 측벽에 접착제를 적용하는 접착제 공급장치 및 슬리브 배출장치에 의해 배출된 슬리브를 수용하고 상기 접착제가 적용된 컵 본체의 외주 상에 수용된 슬리브를 적용하는 슬리브 운송 장치가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구동 장치는 슬리브 홀더 상에 있는 슬리브가 슬리브 배출장치에서 운반되는 경우, 접착제가 적용되는 컵 본체가 슬리브 운송 장치에서 운반되는 방법으로 슬리브 홀더 및 컵 홀더를 구동한다.
이 장치에서는 블랭크는 슬리브 홀더에서 컬링되어 슬리브로 제조되고, 이 제조된 슬리브는 슬리브 홀더에서 배출되고 슬리브 홀더의 순환 경로를 따라 슬리브 운송장치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리브가 컵 본체에서 형성되고 접착제가 적용된 후에 컵 본체가 컵 홀더 상에 설치되고 슬리브 운송 장치에서 운반된다. 이후, 상기 성형된 슬리브는 접착제가 적용된 컵 본체의 외주 상에 적용되어서 함께 결합된다. 용기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공정이 2개의 섹션에서 각각 동시에 생산되므로, 용기는 효과적이고 합리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의 일단에 컬부를 형성하는 말단 컬링장치는 슬리브 홀더의 순환 경로에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 운송 장치에 의해 컵 본체에 적용된 슬리브를 상기 컵 본체를 향해 압압하여 상기 컵 본체에 대해서 슬리브를 정렬하는 슬리브 끼워맞춤 장치가 상기 컵 홀더의 순환 경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블랭크를 컬링장치에 공급하는 블랭크 공급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랭크 공급장치는 블랭크의 말단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컬링장치에 겹쳐진 블랭크의 양단을 가압하는 실링장치가 상기 슬리브 홀더의 순환 경로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장치는 이하 컵 본체 및 슬리브 사이에 접합을 촉진하도록 가열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 용기의 슬리브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슬리브 성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맨드릴에서 블랭크를 컬링하는 작업을 실행하고 나서, 맨드릴을 교환하지 않고 컬링된 블랭크의 말단을 컬링하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는 슬리브 성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트상의 블랭크를 단열 용기의 외부 패키지로 사용되는 슬리브로 성형하는 슬리브 성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맞추어지고 슬리브보다 짧게 설정된 본체를 가지는 맨드릴;
상기 맨드릴에서 접착제가 적용된 블랭크의 일단부가 블랭크의 타단부 아래에 놓이도록 하여 이움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블랭크를 마는 컬링장치;
상기 맨드릴에서 상기 이음선을 가압하는 주 실링장치;
한 쌍의 니퍼에 의해서 맨드릴에서 돌출된 이음선의 일단부를 무는 보조 실링장치;
상기 맨드릴에서 돌출된 블랭크의 돌출부를 맨드릴을 향해서 형압하여 슬리브의 컬부를 형성하는 말단 컬링장치; 및
상기 맨드릴에서 상기 슬리브를 배출하는 슬리브 배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 성형 장치에 따르면, 맨드릴에서 컬링된 블랭크의 일부가 맨드릴로부터 돌출되므로 맨드릴에서 있는 슬리브로 슬리브의 컬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음선의 말단부가 보조 실링장치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으므로, 이음선은 확실하게 결합된다.
슬리브 성형 장치는 블랭크의 일단에 접착제를 공급하면서 블랭크를 컬링장치에 공급하는 블랭크 공급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성형 장치는
예정된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순환 경로를 따라 정렬된 맨드릴 어테치먼트―여기에서 각각의 어테치먼트는 맨드릴과 함께 제공됨―를 가지는 컨베이어; 및
맨드릴 어테치먼트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피치만큼 단속적으로 컨베이어를 이동하여 각각의 맨드릴 어테치먼트에 있는 맨드릴을 상기 순환 경로를 따라 정의된 복수의 정지위치(stations)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구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구동에 의해 컬링장치, 보조 실링장치, 말단 컬링장치 및 슬리브 배출장치의 순서로 맨드릴이 이동되도록 상기 복수의 정지위치에서 컬링장치, 보조 실링장치, 말단 컬링장치 및 슬리브 배출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질 수 있다.
주 실링장치는 맨드릴과 함께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에 따르면, 시트상 블랭크를 단열 용기의 외부 패키지로 사용되는 슬리브로 성형하는 슬리브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소정의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순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맨드릴;
컨베이어의 순환경로에 따라 설정된 복수의 정지위치에 상기 맨드릴이 순차 정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상기 맨드릴의 간격의 피치만큼 단속적으로 구동하는 구동장치;
복수의 정지위치에서 선택된 컬링 정지위치로 상기 블랭크의 일단부에 접착제가 제공된 상태로 상기 블랭크를 공급하는 블랭크 공급장치;
상기 블랭크의 일단부가 타단부 아래에 위치시켜서 이음선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맨드릴에 공급되는 블랭크를 컬링하는 컬링장치;
상기 블랭크의 양단부를 서로 압압하여 이음선을 형성하는 실링장치; 및
각 맨드릴에서 슬리브를 제거하기 위해 복수의 정지위치 중에서 순환 방향으로 컬링 정지위치 다음에 위치시키는 배출 정지위치에 제공된 슬리브 배출장치를 포함한다.
이 슬리브 성형 장치에 따르면, 컨베이어가 일정량 이동할 때마다 제조된 슬리브를 고정하는 맨드릴은 슬리브 배출장치에 이동된다. 컬링장치의 작업 및 슬리브 배출장치의 작업은 서로 동시에 실행되므로 슬리브는 효과적으로 성형된다.
각각의 맨드릴은 슬리브의 내부에 맞출 수 있고 슬리브보다 짧은 본체부를 가지고 실링장치는 블랭크의 이음선을 맨드릴의 각각에 대해서 가압하는 주 실링장치 및 한 쌍의 니퍼로 맨드릴의 각각에서 돌출하는 이음선의 일단부를 무는 보조 실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실링장치는 복수의 정지위치에서 선택된 보조 실링 정지위치에 제공되고 컬링 정지위치와 배출 정지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각 맨드릴에서 돌출하는 블랭크의 돌출부에 컬부를 형성하는 말단 컬링장치는 복수의 정지위치 중에서 선택되어 보조 실링 정지위치와 배출 정지위치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말단 컬링 정지위치에 제공된다.
정지위치는 적어도 2개의 말단 컬링 정지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말단 컬링장치가 설치된다.
슬리브 배출장치는 각 맨드릴에 고정된 슬리브 위로 각 맨드릴의 축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롤러가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슬리브를 맨드릴에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소정의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턴테이블(turn tabl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리브와 컵 본체를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어셈블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단열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컵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결합하는 어셈블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장치는
소정의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장착되어 컵 본체를 이의 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하는 회전부를 가지는 컵 홀더;
상기 순환 경로를 따라 설정된 복수의 정지위치에 순차적으로 컵 본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이동하는 구동장치;
상기 복수의 정지위치 중에서 구동 정지위치에 설정되는, 상기 컵 홀더의 회전부와 연결되어 컵 홀더를 회전할 수 있는 홀더 구동장치;
상기 복수의 정지위치 중에서 컨베이어의 순환 방향으로 구동 정지위치 다음에 위치하는 공급 정지위치에 설정되는, 컵 홀더의 외주에 접착제를 공급할 수 있는 접착제 공급장치; 및
상기 복수의 정지위치 중에서 순환 방향으로 공급 정지위치 다음에 위치하는 운송 정지위치에 설정되는, 컵 본체의 슬리브를 공급할 수 있는 슬리브 운송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어셈블리 장치에 따르면, 컵 본체를 고정하는 컵 홀더가 홀더 구동 장치에 수용되면, 컵 홀더의 회전부가 홀더 구동 장치에 의해서 구동된다. 따라서 다양한 공정, 예를 들면 리브와 같은 부재를 컵 본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정이 컵 본체를 회전시켜는 것으로 실행될 수 있다. 만약 컵 본체가 이의 관성에 기인하여 이의 회전을 계속하는 동안 접착제 공급장치에 수용된다면, 컵 홀더를 구동하지 않고 컵 본체의 외주에 접착제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 공급장치에 컵 홀더를 회전하는 구동수단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또한 컨베이어에서 컬 홀더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제공할 필요도 없다. 결과적으로 어셈블리 장치의 구조는 단순해진다.
상기 컵 홀더의 회전부는 컵 본체와 동일축의 원반형상의 회전 입력부가 설치될 수 있고 홀더 구동 장치는 회전 출력부 및 상기 회전 출력부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공급장치는 컵 본체의 외주를 향해서 접착제를 방출하는 노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컵 홀더는 컵 본체의 측벽의 내부면에 접촉될 수 있는 당접부(abutment portion)가 설치될 수 있고, 측벽을 성형하기 위해서 상기 컵 홀더 구동장치는 소정의 모델부재로 상기 측벽을 사이에 두고 니핑하면서 당접부로 형압할 수 있는 형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소정의 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턴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단열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 슬리브를 컵 본체의 외주에 결합시키는 어셈블리 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어셈블리 장치는
상기 컵 본체를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에 지지된 상부의 컵 본체의 외주에 상기 슬리브를 제공할 수 있는 슬리브 운송 장치; 및
이의 축방향에서 컵 본체에 제공된 슬리브의 말단부를 접촉시킬 수 있는 지그(jig)를 가지고, 상기 지그를 상기 컵 본체에 압압하여 축방향으로 각각 컵 본체와 슬리브를 정렬하는 슬리브 끼워맞춤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지그에 의해서 아래로 압압되어 상기 슬리브가 반경방향으로 들어가지 전에 상기 슬리브와 결합하여 컵 본체와 함께 조합시킬 수 있는 어셈블리 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어셈블리 장치에 따르면, 슬리브가 컵 본체에 잘못 조합되어 제공되면, 슬리브는 상기 어셈블리장치에 의해서 이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어 컵 본체에 대해서 배열된다.
상기 배열장치는 컵 홀더에 있는 컵 본체의 축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핀은 지그의 지그 본체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각각의 핀의 하단부는 컵 본체의 측벽의 하단에 접촉할 수 있는 경사지거나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컵 본체의 저면부를 둘러싼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컵 본체에 첨가하는 힘을 감소하여 컵 본체의 측벽에 리브를 형성할 수 있고 이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리브 형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리브 형성 장치는 컵 본체의 외부에서 실시되는 작업에 의해서 외부로 돌출된 리브를 형성하고 컵 본체에 대해서 내부 및 외부에서 모델과 같은 것을 이동하는 동작을 생략하여 공정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컵 본체의 측벽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장치로서,
측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암형 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에 돌기가 제공되어 리브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수형 부재(male model member) 및 상기 수형 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에 홈이 제공되어 리브의 복록부가 형성되는 암수형 모델부재(male and female model member);
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를 컵 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반경방향 구동수단(radial direction driving device);
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 사이에 측벽이 물려지는 위치를 상기 원주방향으로 변화시켜서 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컵 본체와의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을 부여하는 원주방향 구동수단(circumferential direction driving device)을 포함한다.
상기 리브 형성 장치에 따르면, 컵 본체와 암형 모델부재 또는 수형 모델부재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따라서 컵 본체의 원주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한 번에 전체 리브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형성 과정 중에 컵 본체에 가해지는 힘을 감소할 수 있다.
리브 형성 장치는 컵 본체를 이의 내부에서 지지하면서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컵 홀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컵 홀더에는 수형 모델부재 또는 암형 모델부재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되고, 이 수형 모델부재 또는 암형 모델부재중 다른 하나는 컵 본체의 외주측에 설치되고, 반경방향 구동장치는 컵 본체의 외주측에 배치된 상기 수형 모델부재 또는 암형 모델부재의 다른 하나를 상기 컵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구동하고 원주방향 구동수단은 컵 홀더를 회전시킬 수 있다.
컵 본체에 형성된 암수형 모델부재중 하나는 컵 본체의 측벽의 전체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반경방향으로 컵 본체의 외주측에 설치된 상기 암형 모델부재 또는 수형 모델부재를 구동하여 컵 본체의 측벽을 니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리브는 컵 본체를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컵 본체의 반경방향의 내부측에 있는 형부재를 구동할 필요는 없고, 컵 본체의 외주측에 있는 형부재만이 반경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다.
컵 본체의 축에 대해서 평행한 축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롤러가 컵 본체의 외주측에 설치된 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 중 다른 하나로서 제공될 수 있다.
리브 형성 장치는 컵 홀더에서 컵 본체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장치(restraining device)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수형 모델부재가 컵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암형 모델부재가 컵 본체의 외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컵 본체의 측벽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장치로서,
컵 본체를 이의 내측에서 지지하면서 컵 본체의 중심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를 회전하는 회전구동장치; 및
상기 컵 홀더의 한면에 제공되고 상기 컵 본체의 중심축에 평행한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프레스 롤러 및 상기 프레스 롤러를 상기 컵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전력원을 포함하는 형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의 복록면을 형성하기 위한 홈부 및 상기 리브의 오목면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프레스 롤러의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홈부 및 돌기의 다른 하나가 상기 프레스 롤러에 제공된 상기 홈부 및 상기 돌기중 하나의 위치와 상기 컵 홀더의 중심축의 평행한 방향에서 위치를 동일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장치에 따르면, 컵 본체를 이의 내측에서 컵 홀더로 지지하고, 이의 외주측에서 프레스 롤러의 홈부와 상기 컵 홀더의 돌기사이에 상기 측벽을 니핑하도록 상기 측벽을 상기 프레스 롤러로 가압하고 이 상태에서 컵 홀더 및 이에 지지된 컵 본체를 함께 회전시켜서, 원주방향에서 컵 본체의 측벽에 리브를 점진적으로 형성시킨다. 따라서 전체 리브를 한 번에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가공 중에 컵 본체에 부가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컵 본체의 내부에서는 상기 컵 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구동되는 부재가 없고 프레스 롤러는 반경방향으로만 구동되기 때문에 이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프레스 롤러는 이의 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롤러와 컵 본체의 측벽과의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가 있다.
상기 리브 형성 장치는 복수의 공정에서 컵 홀더를 운송하는 컨베이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회전 구동 장치 및 형압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운송 경로의 중간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컵 본체의 측벽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 방법으로서,
리브의 오목면을 성형시키기 위한 돌기 및 리브의 복록면을 성형시키기 위한 홈부가 서로 대향하여 각각 형성된 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에 의해서 컵 본체의 측벽의 일부를 니핑하는 단계; 및
상기 측벽이 수형 모델부재와 암형 모델부재 사이에 니핑된 위치가 측벽의 원주방향으로 변화하도록 수형 모델부재 또는 암형 모델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컵 본체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방법에 따라 리브가 컵 본체의 측벽에 이의 원주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체 리브가 일시에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면 공정동안 컵 본체에 부가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상기 방법에서, 컵 본체는 컵 본체의 중심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컵 홀더에 의해서 이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고, 컵 홀더는 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고, 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의 다른 하나는 이의 외부에서 측벽을 압형할 것이고, 이러한 조건하에서 컵 홀더가 회전될 것이다.
컵 본체의 저면부는 측벽이 수형 모델부재와 암형 모델부재에 의해서 니핑되는 경우 컵 홀더에 대해서 형압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태양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다음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최선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 내지 1D는 본 발명의 단열 용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a)의 상부에 외부로 말린 컬부(2c)가 형성되고 측벽(2a)의 중간부에서 수평 리브(2d, 2d)가 형성되고 측면의 일단에 저면부(2b)가 제공된 종이로 제조된 컵 본체(2) 및 상하가 개방되고 하단부에 내부로 말린 컬부(3a)를 가지는 역-원추형 종이 슬리브(3)로 구성된다. 슬리브(3)의 상단부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말린 컬부(2c)에 인접한 컵 본체(2)의 측벽(2a)의 외주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슬리브(3)의 하단부에 형성된 내부로 말린 컬부(3a)의 내면은 저면을 형성하는 컵 본체(2)의 측벽(2a)의 하단의 외주와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된다. 컵 본체(2) 및 슬리브(3)는 이 방법으로 일체형으로 서로 결합되어서 본 발명의 단열 용기(1)가 제조된다.
컵 본체(2)의 측벽(2a)에 형성되는 외부로 돌출한 수평 리브(2d,2d)는 컵 본체(2)의 견고성을 향상하고 단열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단일 수평 리브 또는 3개 이상의 수평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리브(2d,2d)의 위치는 컵 본체(2)의 견고성의 균형을 고려하여 결정될 것이다. 페터 라인(X), 즉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본체(2)에 제공되는 끓는 물의 적절한 수준을 지시하는 라인으로 작용될 수 있는 위치에 수평 리브(2d,2d)중 하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 용기(1)에서 수평 리브(2d,2d)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열 용기(50)와는 달리 슬리브(3)의 측벽(3b)을 지지하므로, 측벽(3b)의 중간부를 손으로 잡는 경우에도 슬리브(3)의 측벽(3b)이 내부로 굽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을 위한 공간의 충분한 용량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우수한 단열성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1)에서 단열 공간의 수평 거리는 용기(1)의 바닥으로 갈수록 점증적으로 증가하여 충분한 단열성이 용기(1)의 중간부와 이의 바닥사이에서 획득 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1)의 상단부에서 외부로 말린 컬부(2c)의 인근부는 단열성이 감소된다. 용기(1)의 상부에서 단열성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D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 용기(1)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열 용기(1)는 컵 본체의 상부가 종이로 만들어진 좁은 요부 및 철부가 상호교대로 정렬된 주름잡힌 단열 부재(9)로 둘러싸여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슬리브(3)의 상부는 외부로 말린 컬부(2c)와 인접하여 단열 부재(9)를 통해서 컵 본체의 측벽(2a)과 결합된다.
도 1C 및 1D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단열 용기(1)에 수용될 인스턴트 건조 식품으로는, 도 1C에서 도시된 용기는 예를 들면 인스턴트 건조 미소 수프, 인스턴트 건조 양식 수프 등을 수용하는 용기와 같이 용기의 거의 절반의 용량이 끓는 물로 채워지는 경우에 적당하다. 또한, 예를 들면 인스턴트 건조 라면이 수용되는 용기와 같이 용기의 거의 전체 용량이 끓는 물로 채워지는 경우에는 도 1D에 도시된 용기가 적당하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단열 용기의 컵 본체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컵 본체의 중간부에 형성된 각각의 수평 리브(2d,2d)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a)의 전체 외주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들 리브(2d,2d)의 각각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a)의 원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만약 연속적으로 형성된 리브(2d,2d)와 단속적으로 형성된 리브(2d,2d)가 숫자상으로 동일하다면, 단속적으로 형성된 리브는 단열 공간을 확장하고 하부와 상부 단열 공간이 각각 연통되도록 하여, 균일한 온도 분포를 유지하도록 가열된 공기가 단열 공간의 전 지역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된 리브가 슬리브(3)의 측벽(3a)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기능이 약간 불량하다 할지라도 단열 특성은 향상된다.
수평 리브(2d,2d)가 복수의 노치(8)를 형성하여 측벽(2a)의 원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되면, 측벽(2a)의 원주 방향으로 4개 내지 8개의 부분으로 수평 리브(2d,2d)가 분할되고, 노치(8)의 총 길이 대 전체 원주의 길이의 비율이 30%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단열 용기의 수평 리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단열 공간의 확장을 위해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본체(2)에 형성된 수평 리브(2d)는 예리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수평 리브(2d)의 형성은 컵 본체(2)에 사용되는 종이의 우수한 가공 특성을 요구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곡선을 가진 수평 리브(2d)는 사용된 종이의 가공 특성에 대한 제한 없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양 측벽(2a,3b)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단열공간의 용량이 감소하여 단열성이 저하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수평 리브(2d)는 도 3A와 3B에 도시된 단면 형태의 수평 리브(2d)의 조합으로 얻어지는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단면을 가지는 것이 단열성 및 후에 설명하고자 하는 가공 특성의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단열 용기의 수평 리브로 확보되는 단열 공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1)의 형태에서, 수평리브(2d,2d)는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리브(3)의 측벽(3b)과 접촉되거나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수평 리브(2d,2d)가 슬리브(3)의 측벽(3b)과 접촉되지 않는 경우, 슬리브의 측벽이 약간 휘어질 수 있지만, 단열 용기(1)의 외부면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서 단열 용기(1)는 용기 내로 끓는 물을 부은 후 인스턴트 건조 식품이 침지되는 공정이 완료된 후에도 손으로 쥘 수 있다. 이 이유는 리브(2d)가 측벽(3b)과 접촉되지 않는 조건이 단열 공간을 확장하고 위아래로 공기의 순환이 양 측벽(2a,3b)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열의 균일한 분산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1)는 200 내지 500 cc의 용량을 가진다. 상기 언급한 범위 내의 용량을 가진 종이 컵 본체(2)는 종래의 종이 컵 성형기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 160 g/㎡ 내지 300 g/㎡의 범위내의 평량(basis weight)을 가진 원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컵 본체의 종이의 내부면은 거의 20 내지 80 ㎛의 함량의 열가소성 수지로 코팅된다. 종이의 내부면은 압출 코팅법(extrusion coating method)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의해서 코팅된다.
결과의 열가소성 수지층은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보호하는 기능 외에도 컵 성형능을 개선하고 가열 실링법으로 가열실링된 커버(도시되지 않음)의 실링능을 보장하고 수평 리브(2d)의 우수한 성형능을 제공하는 기능을 부여한다.
슬리브(3)에 사용되는 원지에 대해서는 컬부의 가공성 및 우수한 인쇄능이 요구된다. 슬리브(3)에 대해서는 230 g/㎡ 내지 350 g/㎡내의 평량을 가진 코팅된 섬유보드(fiberboard)의 원지 또는 160 g/㎡ 내지 250 g/㎡의 범위 내의 평량을 가진 카드보드(cardboard)의 원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 이하의 평량에서는 슬리브(3)의 견고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슬리브(3)의 심각한 휘어짐이 높은 온도에서 발생하여 불량한 단열성을 보이게 된다. 상기 상한 이상의 평량에서 슬리브(3)의 견고성은 개선되지만 내부로 말린 컬부(3a)의 성형 특성이 열화되고 슬리브(3)에 사용되는 원료의 단가가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를 초래한다.
슬리브(3)에 사용되는 물질에 수지 코팅 처리 또는 수지 함침 처리(resin impregnating process)가 실시되면, 견고성, 내압축성, 붕괴 방지성 등이 개선되어서 용기의 유통 동안 가해지는 외부의 힘에서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전체에 걸쳐 안정한 단열성뿐 아니고 용기의 휘어짐의 발생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견고성을 가진 단열 용기는 용기 내에 수용된 인스턴트 건조 식품을 먹기 위해서 끓는 물을 공급하여, 또한 이를 먹기 위해서 손에 쥐게되는 식품 용기로서 요구되는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특성은 베리어가 없는(barrier-free) 상품으로 요구되는 필수 인자일 뿐 아니라 특히 노인, 신체장애인 및 어린이에게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열 용기는 종이 제품으로, 별도 폐기할 필요가 없어 쉽게 폐기될 수 있다. 용기가 손으로 쉽게 붕괴할 수 있을 정도의 적당한 견고성을 가졌다는 점 때문에 이의 폐기에서 용기의 부피를 줄이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용기는 일회용으로 우수할 뿐 아니라 단열 재료로서 발포성 플라스틱을 사용한 종래의 단열 용기와 비교하여 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 용기(1)의 측벽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는다. 즉, 측벽이 윤활한 외부면을 가진다. 슬리브(3)의 내부로 말린 컬부(3a)는 용기의 저면에 위치하여 완만한 곡률을 보인다. 따라서 단열 용기(1)는 컵 모양의 정교한 디자인을 가진다. 용기의 저면부에서 컵 본체(2)의 측벽(2a)과 슬리브(3)의 측벽(3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내부로 말린 컬부(3a)로 봉합되어서 먼지 또는 외래 물질이 측벽(2a,3b)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컵 본체(2)를 형성하는 원지의 말단에서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1)는 위생성을 유지할 수 있다.
슬리브(2)는 인쇄 자유도가 높고, 따라서 오프셋 인쇄, 글라비어 인쇄, 플렉소 그래픽 인쇄 등의 공지의 인쇄법뿐 아니라 오버코팅법, 스탬핑법, 엠보싱법 등과 같은 인쇄후 가공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러한 인쇄 및 가공특성은 상기 용기의 원활한 외부면을 가진 우수한 미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슬리브(3)의 측벽 및/또는 내부로 말린 컬부(3a)의 표면에 바니시(varnish)의 오버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 부분이 젖게되고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용기(1)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우선, 종이 컵 성형기에 의해 부채꼴 형상의 블랭크 원지로부터 원추형의 관상 부재를 성형한다. 이후 저면판(2)을 컵 성형기에 제공하였고 이를 봉재 처리(seaming treatment)하여 저면부를 형성한다. 이후, 관상 부재의 개방된 상단부에 외부로 말린 컬부(3)를 형성하고 이후, 수평 리브(2d,2d)를 형성하여 컵 본체(2)를 제조한다.
수평 리브(2d,2d)를 성형하는 단계는 컵 성형기의 온라인 상태 또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리브(4) 없이 성형된 컵 본체(2)를 수평 리브(2d,2d)에 해당하는 홈을 가진 몰드의 성형 케비티에 넣고, 회전하시키고 홈에 해당하는 컵 내측에서 회전 롤러를 익스팬더로 외부로 향하게 강하게 형압하면 외부로 돌출된 수평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롤러가 컵 본체(2)의 전체 외부를 형압 하는 경우, 컵 본체(2)의 전체 외주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도 2A의 수평 리브(2d,2d)를 성형할 수 있다. 롤러가 컵 본체(2)의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부만을 형압하면, 도 2B에 도시된 컵 본체(2)의 외주 방향으로 각각이 단속적으로 연장된 수평 리브(2d,2d)를 성형할 수 있다.
수평 리브(2d,2d)의 성형이 완료된 후 몰드의 성형 캐비티에서 컵 본체(2)를 꺼낸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리브(2d)가 상부에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는 것이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예리한 형태를 형성하는 것보다 성형 캐비티에서 컵 본체(2)를 보다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성형성이 우수하게 된다.
수평 리브(2d)는 암형 및 수형 다이를 사용한 연신 공정으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슬리브(3)는 패턴, 로고타입, 캐렉터 등을 카드보드 또는 코팅된 섬유 보드의 절삭 시트 또는 롤링 시트에 인쇄하여, 이 시트를 컵 성형기를 사용하여 부채꼴 형상의 블랭크 시트로 성형하여 역-원추형의 성형된 본체를 성형하고, 성형된 본체의 하단의 원주 말단을 내부로 말아서 내부로 말린 컬부를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컵 본체(2)를 슬리브(3)내에 넣고 컵 본체(2)와 슬리브(3)의 상부 접촉부와 이의 하부 접촉부를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시켜서, 본 발명의 단열 용기(1)의 제조를 완료한다. 컵 본체(2)와 슬리브(3)의 하부 접촉부를 접합하는 단계는 경우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열 용기(1)는 스택킹성(stacking property)이 있어서 복수의 용기(30)가 포개져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의 일례는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열 용기의 샘플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었다.
컵 본체(2)의 사양
용량 : 400 cc
측벽의 상단부의 내부 지름 : 88 ㎜
저면부의 외부 지름 : 66 ㎜
높이 : 90 ㎜
원료 : 20 ㎛의 폴리에틸렌 층을 가진 평량 280 g/㎡의 원지
수평 리브의 수 : 2
슬리브(3)의 사양
내부로 말린 컬부의 내부 지름 : 66 ㎜
내부로 말린 컬부의 두께 : 2.5 ㎜
측벽의 상부 말단의 내부 지름 : 89 ㎜
높이 : 88.5 ㎜
원료 : 인쇄층 및 바니시의 오버코팅층을 가진 평량 230
g/㎡의 코팅된 섬유보드의 원지
컵 본체(2) 및 슬리브(3)의 상부 및 이의 하부는 서로 아크릴 에멀젼 상의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서 컵 본체(2)와 슬리브(3)가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비교예로서 도 4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단열 용기(50)가 수평 리브(2d)를 가지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단열 용기(50)를 제조하였다.
95℃ 온도의 끓는 물을 240 cc의 함량으로 각 샘플에 제공하여 페터 라인까지 끓는 물을 채운다. 2 내지 3분이 경과한 후, 각 샘플의 중간부를 손으로 쥐고 각 샘플의 외부면에서 온도의 감촉을 검사한다. 상기 감촉 검사에서 본 발명의 샘플이 비교예의 샘플보다 단열성이 우수하고 외부 온도가 비교예의 샘플보다 낮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샘플을 고온의 감지 없이 손에 쥘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감촉 감지는 2개의 조건 즉, 샘플을 강하게 쥐는 조건과 느슨하게 쥐는 조건에서 실시되었다. 본 발명의 샘플은 강하게 쥐는 조건하에서 열의 감지가 실질적으로 느슨하게 쥐는 조건에서와 동일하였다. 비교예에서는 샘플을 강하게 쥐는 것이 느슨하게 쥐는 것보다 현저하게 열에 대해 더 잘 감지하였다.
다음, 단열 용기의 제조장치의 실시예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치에 의해서 제조되는 단열 용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6은 용기를 생산하는 개략적 공정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용기(1)는 도 1C의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컵 본체(2) 및 슬리브(3)로 구성된다. 컵 본체는 측벽(2a)과 저면부(2b)를 가지는 원추형으로 성형된다. 컵 본체(2)의 상부 개방 말단의 원주 상에서 외부로 말린 컬부(2c)가 형성되고, 이를 성형한 후, 2개의 리브(2e,2f)가 측벽(2a)에 성형되어 각각 용기(1)의 원주 방향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각 리브(2e,2f)가 컵 본체(2)를 강화시키게 되고, 상부 리브(2f)는 끓는 물과 같은 채워지는 물질의 적당한 수준을 지시하는 페터 라인으로 작용한다. 하부 리브(2e)는 상부 리브(2f) 보다 폭이 다소 크다. 리브(2e,2f)의 돌출 정도는 각각 슬리브(3)의 내부면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결정된다. 컵 본체(2)의 원료는 예를 들면 150 내지 400 g/㎡의 평량을 가지는 원지이고, 적어도 컵 본체(2) 내부면이 폴리에틸렌 층과 같은 코팅층으로 코팅되어서 내열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슬리브(3)는 용기(1)의 단열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도 6에서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는 부채꼴 형상의 종이 블랭크(3')를 원추 형상으로 컬링하는 단계, 상기 블랭크(3')의 양 끝(3c,3c)을 서로 연결하는 단계 및 이의 하단부에 내부로 말린 컬부(3a)를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용기(1)는 컵 본체(2)의 소정의 결합영역(도 6의 빗금 그은 영역) 상에 접착제(4)를 제공하는 단계, 컵 본체(2)와 슬리브(3)를 어셈블리하여 슬리브의 상부 말단부(3f)와 컵 본체(2)의 측벽(2a)을 결합시키는 단계로 제조된다. 슬리브(3)의 원료는 예를 들면 150-400 g/㎡의 평량의 원지이다. 슬리브는 온수나 냉수에 접촉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슬리브는 컵 본체(2)와는 달리 코팅층을 제거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7 내지 37을 참조하여 용기(1)를 제조하는 장치를 설명할 것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라는 제조장치(10)의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7은 평면도이고, 도 8은 정면도이고, 그리고 도 9는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조장치(10)는 슬리브 성형 섹션(20) 및 어셈블리 섹션(30)을 포함한다. 슬리브 성형 섹션(20)에서, 슬리브는 도 6에 도시된 블랭크(3')로 성형되고, 어셈블리 섹션(30)에서 슬리브(3)와 컵 본체(2)는 조립되어 서로 결합된다.
슬리브 성형 섹션(20) 및 어셈블리 섹션(30)에는 각각 턴테이블(21,31)이 제공된다. 이 테이블(21,31) 각각은 제조 장치(10)의 메인 본체(11)에 의해서 지지되어서 수직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메인 본체(11)는 제조장치(10)의 여러 가지 요소가 장착되는 베이스부이다. 본체(11)는 스틸 제품 등을 어셈블리하여 구성되고 공장 등에서 바닥(FL)에 대해서 수평적으로 장치된다. 메인 본체(11)에 하부에 구동 동력원으로 모터(12)가 제공된다(도 8 및 9 참조). 스프로켓(13)은 모터(12)의 출력 샤프트에 장착된다. 스프로켓(13)의 회전은 체인(14)을 통해 스프로켓(15,16)으로 전달되고 스프로켓(15,16)의 회전은 각각 전동장치(22,32)를 통해 테이블(21,31)로 전달된다. 모터(12)에서 각 턴테이블(21,31)로의 감속율(speed reduction ratio)은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테이블(21,31)은 서로 동시에 구동된다. 테이블(21,31)의 이동은 단속적인 것으로 테이블(21,31)은 각각 반복적으로 회전하고 중지하는 것으로, 1회의 회전각은 45도로 설정된다. 테이블(21,31)의 회전방향은 도 7에서 각각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된다.
전동장치(22)에서, 스프로켓의 회전(14)은 기어박스(22b)내에 내장된 운동 변환기(도시되지 않음)내로 들어가서, 턴테이블(21)의 구동 샤프트(21a)의 회전으로 전환된다. 또한, 전동장치(32)에서 스프로켓(16)의 회전은 스프로켓(16), 샤프트(32a)의 말단에 부착된 스프로켓(32b) 및 체인(32c)과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스프로켓 샤프트(32a)를 통해서 스프로켓(32f)으로 전달된다. 이후, 스프로켓(32f)의 회전은 기어 박스(32f)에 내장된 동작 변환기(도시되지 않음)로 입력되고, 그리고 턴테이블(31)의 구동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전동장치(22,32)의 세부사항은 각각 변경이 가능하다.
턴테이블(21)의 외주에서, 테이블(21)의 원주방향으로 슬리브 홀더로서 8개의 맨드릴(23…23)이 동일한 각도(45 도) 간격으로 제공된다. 각 맨드릴(23)은 이의 끝으로 갈수록 지름이 감소하는 경사진 외주면을 가지는 본체(23a)가 형성되어 있다. 각 맨드릴(23)의 본체(23a)의 축방향은 턴테이블(21)의 반경방향과 일치한다. 한편, 턴테이블(31)의 외주에도 테이블(31)의 원주방향으로 8개의 컵 홀더(33…33)가 동일한 각(45 도) 간격으로 제공된다. 각 컵 홀더(33)는 컵 본체를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로 컵 본체(2)를 지지한다. 이의 상세한 것은 이후 설명될 것이다.
용기(1)의 제조동안 , 턴테이블(21,31)은 맨드릴(23…23) 및 컵 홀더(33…33)의 정렬각도 피치, 즉 45°씩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각 맨드릴(23)은 턴테이블(21)의 외주에 설정된 8 단계의 정지위치(A1 내지 A8)에서 순차적으로 정지하고 각 컵 홀더(33)는 턴테이블(31)의 외주에 제공된 8 단계의 정지위치(B1 내지 B8)에서 순차적으로 정지한다. 즉, 맨드릴(23)은 테이블(21)의 외주에 설정된 순환 통로를 따라 순환하고, 컵 홀더(33)는 테이블(31)의 외주에 설정된 순환 통로를 따라 순환한다. 따라서 모터(12), 스프로켓(13), 체인(14), 스프로켓(15,16), 테이블(21), 전동장치(22), 테이블(31) 및 전동장치(32)의 어셈블리는 슬리브 홀더 및 컵 홀더를 구동하는 장치로 작용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성형섹션(20)의 A1 정지위치에는 컬링장치(200)가, A3 정지위치에는 보조 실링장치(240)가, A4 및 A5 정지위치에는 말단 컬링장치(260)가, A7 정지위치에는 슬리브 배출장치(28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컬링장치(200)의 측방에는 블랭크 공급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어셈블리 섹션(30)의 B1 정지위치에는 컵 본체 공급장치(300)가, B2 및 B3 정지위치에는 리브 성형장치(320)가, B4 정지위치에는 접착제 공급장치(340)가, B5 정지위치에는 슬리브 수용장치(360)가, B6 정지위치에는 슬리브 끼워맞춤 장치(38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는 턴테이블(21,31)이 정지할 때마다 각각 할당되는 작업이 실행된다. 또한, 슬리브 성형섹션(20)에는 각 맨드릴(23)과 연결되는 주 실링장치(2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A2, A8 정지위치에만 주 실링장치(220)가 나타나 있고, 다른 정지위치에 관해서는 주 실링장치(220)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11 내지 15는 블랭크 공급장치(100)를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블랭크 공급장치(100)는 도 6에서 도시된 블랭크(3')을 하나씩 A1 정지위치에 공급하도록 설정된다. 도 7 및 도 12 내지 15에서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 공급장치(100)는 블랭크(3')의 양단부를 하부측에서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101, 101) 및 블랭크(3')의 중간부를 상하로 가압하도록 설정되어서 블랭크(3')가 떨어지거나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3')는 레일(101,101)에 의해 블랭크(3')의 일단부(3c)와 평행한 방향으로 안내된다. A1 정지위치에는 블랭크(3')의 중심과 맨드릴(23)의 중심축을 수직방향에 대해서 서로 일치시키기 위해서, 레일(101,101)은 정지위치 A1에 있는 맨드릴(23)의 중심축의 위치로 상승시킨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 공급장치(100)는 레일(101,101)의 일단부(도 7의 좌측부)에 블랭크(3')을 하나씩 운송하는 블랭크 운송 장치(110), 레일 상에 배치된 블랭크(3')를 운송하는 제1 및 제2의 체인 컨베이어(120,140)(도 8 참조), 및 레일(101,101)을 따라 공급된 블랭크(3')의 일단부(3C)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기(1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 운송 장치(11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로드(112…112)를 가지는 블랭크 홀더(111)를 포함한다. 로드(112…112)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블랭크(3')의 윤각을 따라 배열된다. 각 로드의 하단부에서 블랭크(3')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확대부(112a)가 제공되어 다수의 블랭크(3')가 확대부(112a…112a) 위로 포개어 쌓이고, 로드(112…112)로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된다. 블랭크 홀더(111)의 하부에는 블랭크 인출 부재(1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블랭크 인출 부재(113)는 본체(11)에 장착된 공압 실린더(114)의 피스톤 로드(114a)와 연결되어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블랭크 인출 부재(113)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흡입기(115…115)가 설치된다.
블랭크 인출 부재(113)를 위로 구동하면, 흡입기(115)는 블랭크 홀더(111)의 최하단에 수용된 블랭크(3')와 접촉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흡입기(115)의 흡착면으로 공기를 흡인하여서 블랭크(3')가 흡입기(115)에 흡착된다. 이후, 블랭크 인출 부재(113)를 아래로 구동하면, 흡입기(115)에 흡착된 블랭크(3')가 확대부(112a)를 지나 이동하고 블랭크 홀드(111) 아래로 연신된다. 블랭크 인출 부재(113)가 더욱 아래로 구동되면, 블랭크(3')의 양단이 레일(101,101)과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흡입기(114)에서 흡입이 중단되어서 블랭크(3')가 흡입기(115)에서 떨어진다.
도 12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컨베이어(120,140)는 각각 레일(101, 101)을 따라 수용된 2줄의 체인(121,141)을 포함한다. 체인(121,141)에 블랭크(3')과 연결될 수 있는 레일(121a,141a)이 설치되어서 체인(121,141)에서 블랭크(3')로 공급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7 및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체인 컨베이어(120)에 스프로켓 샤프트(123)에 부착되는 스프로켓(122,122)이 이의 일단에 설치되어서 이들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한다. 스프로켓 샤프트(123)는 본체(11)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샤프트(123)의 일단이 클러치(124)를 통해서 스프로켓(125)과 연결된다. 도 7 및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켓(125)은 전동장치(131)를 통해 본체(11)에 장착된 모터(130)와 연결된다. 전동장치(131)는 모터(130)의 출력 샤프트에 맞춘 도르래(130a)의 회전을 벨트(132) 및 도르래(133)(도 14 참조)를 통해서 중간축(134)으로 전달시킨다. 전동장치(131)의 세부적인 사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인 컨베이어(120)의 타단에 스프로켓(126)이 설치된다. 각 스프로켓(126)은 스프로켓 샤프트(142)에 장착되어서 샤프트(14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고 샤프트(142)는 본체(11)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도 7 참조). 따라서, 체인(121,121)은 스프로켓 샤프트(142)가 회전하거나 말거나 모터(13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한다. 체인(121,121)의 이동에 따라서, 블랭크 운송 유닛(110)에 의해서 레일(101,101)상에 이송된 블랭크(3')는 제2 체인 컨베이어(140)로 송출된다.
제2 체인 컨베이어(140)가 스프로켓 샤프트(142)에 부착된 스프로켓(143,143)이 장착되어서 샤프트(14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된다. 스프로켓 샤프트(142)는 이동 장치(150)를 통해 턴테이블(21)의 구동 샤프트(21a)로 연결된다(도 10 참조). 따라서, 체인(141,141)은 테이블(21)의 45도 회전에 따라 예정된 거리를 이동한다. 따라서, 한 장의 블랭크(3')는 맨드릴이 A1 정지위치에 운반되는 동시에 A1 정지위치에 있는 맨드릴(23) 아래로 공급된다. 전동장치(150)는 턴테이블(21)의 구동축(21a)에 장착된 스프로켓(21B)의 회전을 체인(151), 스프로켓(152), 중간축(153), 한 쌍의 베벨 기어(154,155) 및 중간축(156)을 통해서 블랭크 공급장치(100)의 측면으로 전달하고(도 7 및 8), 이어서 중간축(156)의 회전을 한 쌍의 베렐 기어(157, 158), 중간축(159) 및 한 쌍의 베벨기어(160,161)를 통해서 스프로켓 샤프트(142)까지 전달한다(도 13 및 14 참조). 이동 장치(150)의 세부적인 사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공급장치(170)는 용융상태의 접착제가 수용되어 있는 팬(171), 상기 팬(171)에서 접착제를 제공받는 딥롤러(172), 상기 딥롤러(172)와 접촉하는 도포롤러(173)를 포함한다. 딥롤러(172)는 제1 체인 컨베이어(120)의 중간축(134)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다. 도포롤러(173)는 중간축(134)에 대해서 한 쌍의 기아(175,176) 및 기어축(173)을 통해서 연결된 중간축(134)과 일체로 회전한다. 도포롤러(173)의 외주는 레일(101,101)에 의해서 지지되는 블랭크(3')의 일단부(3C)와 접촉한다. 따라서, 제1 체인 컨베이어(120)의 모터(130)가 회전하고 이의 회전과 동시에 딥롤러(172) 및 도포롤러(173)도 회전하고 팬(171)의 접착제가 딥롤러(172)의 외주에서 도포롤러(173)의 외주를 통해서 블랭크(3')의 일단부(3C)로 전달된다.
도 16 및 17은 컬링장치(200)를 자세히 도시한다. 컬링장치(200)는 블랭크 공급장치(100)에 의해서 A1 정지위치에 공급되는 블랭크(3')을 맨드릴(23)에 컬링하도록 설정되는 것으로 지지부재(201), 그의 지지부재(201)의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본체(11)와 연결하는 직선안내장치(202), 지지부재(201)를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는 공압 실린더(203), 및 지지부재(201)로 핀(204)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공압 실린더(205,205)를 포함한다. 상기 직선안내장치(202)는 직선상의 레일(202a)과 이의 레일(202a)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드(202b)와를 가진 공지의 것이다.
각 공압 실린더(205)의 피스톤 로드(205a)의 말단에는 어테치먼트(attachment)(206)가 핀(207)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들 어테치먼트(206)는 지지부재(201)에 대해서도 핀(208)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어테치먼트(206)에는 블랭크 컬링구(210)가 설치되어 있다. 블랭크 컬링구(210)에는 맨드릴(23)의 외주면을 따라 굽은 오목면(210a)이 형성되어 있다.
공압 실린더(205)의 피스톤 로드(205a)의 신축에 따라서 어테치먼트(206)는 핀(207)을 중심으로 일정범위로 회전될 수 있다. 블랭크 공급장치(100)에 의해 블랭크(3')가 A1 정치위치에 이동되면, 도 16에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205a)가 수축한 상태로 보호되어서 어테치먼트(206)가 서로 떨어진다. 이 상태에서 어테치먼트(206)의 상부에 블랭크(3')가 반입되면, 공압 실린더(203)에 의해 지지부재(201), 공압 실린더(205) 및 어테치먼트(206) 등이 함께 위로 구동되어, 지지부재(210)에 장착된 블랭크 클램프구(211)가 블랭크(3')에 접촉해서 블랭크(3')를 맨드릴(23)에 밀어넣는다. 이에 의해서, 블랭크(3')의 컬링 공정 중에 맨드릴에 대해서 블랭크(3')가 손실되거나 편향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도 16에서 실선으로 표시되는 것과 같은 공압 실린더(205)의 피스톤 로드(205a)가 내밀어지면, 이에 응하여 어테치먼트(206)가 상부로 회전하여 서로 접근한다. 이에 의해서 A1 정지위치에 이동된 블랭크(3')가 블랭크 컬링구(210)에 부가되어서 맨드릴(23)(도 16참조)의 외주를 따라 말아서 압압된다. 이때, 블랭크(3')의 양단부(3c,3c)가 서로 겹쳐져서 이음선(3d)(도 6 참조)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접착제가 공급되는 말단(3c)이 반대측의 말단(3c)보다도 내측에 있도록 어테치먼트(206,206)의 작동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핀(207,207)의 위치를 좌우로 변화시켜서 접착제가 도포된 말단(3c)이 반대측의 말단(3c)보다 먼저 맨드릴(23)에 압압되도록 구성한다.
블랭크(3')의 컬링 공정이 완료된 후, 이어서 테이블(21)의 다음 회전을 준비하기 위해서 어테치먼트(206)가 공압 실린더(205)에 의해서 다시 도 16의 가상선으로 지시하는 위치로 구동되고 공압 실린더(203)에 의해서 지지부재(201), 공압 실린더(205) 및 어테치먼트(206) 등이 함께 아래로 구동된다. 턴테이블(21)이 다시 회전해서 다음의 맨드릴(23)이 A1 정지위치로 운송되면 다른 새로운 블랭크(3')가 A1 정지위치로 공급되면, 다시 공압 실린더(203)로 지지부재(201) 등이 위로 구동되면서 어테치먼트(206)가 위로 구동되면서 블랭크(3')이 맨드릴(23)에 컬링된다. 또한, 블랭크 컬링구(210)는 맨드릴(23)의 크기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어테치먼트(206)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서 공압 실린더(203)에 의해 조정된다.
컬링장치(200)에 의해서 맨드릴(23)에 말려져 있는 블랭크(3')의 이음선(3d)은 주 실링장치(220)에 의해 맨드릴(23)로 압압되고 더욱 가열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은 주 실링장치(220)는 맨드릴(23)의 위로 배치된 공압 실린더(221) 및 이의 공압 실린더(221)의 가동부(221a)에 부착된 가압구(222)를 포함한다. 공압 실린더(221)는 블래킷(223)을 통해서 턴테이블(21)로 장착된다. 따라서, 공압 실린더(221) 및 가압구(222)는 턴테이블(21)의 구동에 따라서 맨드릴(23)과 함께 회전한다.
공압 실린더(221)의 가동부(221a)는 직선방향으로 작동가능한 것이다. 가압구(222)는 맨드릴(23)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하고, 가압구의 길이는 맨드릴(23)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가압구(222)는 가열기(도시되지 않음)를 내장하여 블랭크(3')의 양단부(3c,3c)의 접촉을 촉진하기 위한 적당한 온도(예를 들면 100℃)로 가열된다.
A1 정지위치의 컬링장치(200)에 의해 맨드릴(23)에 블랭크(3')를 마는 경우, 공압 실린더(221)의 가동부(221a)는 위로 후퇴한 위치로 지지되고 가압구(222)는 맨드릴(23)의 위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컬링장치(200)의 블랭크 컬링구(210)에 의해서 블랭크(3')가 맨드릴(23)에 컬링된 후, 공압 실린더(221)의 가동부(221a)는 아래로 이동하고 가열된 가압구(222)가 블랭크(3')의 이음선(3d)으로 압압되어서 블랭크 컬링구(210)가 맨드릴(23)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이음선(3d)은 압압되고 가열되어서 이의 접착이 촉진된다.
가압구(222)에 의한 가열 및 압압은 맨드릴(23)이 A7 정지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된다. 맨드릴(23)이 A7 정지위치에 도달한 후, 공압 실린더(221)의 가동부(221a)가 위로 이동하고 가압구(222)는 맨드릴(23)에서 떨어진다.
A1 정지위치에서, 주 실링장치(220)에 의해 이음선(3d)이 압압되는 블랭크(3')는 턴테이블(21)의 회전에 의해서 A2 정지위치로 이동하고, 턴테이블(21)의 순차적인 회전에 따라 보조 실링장치(240)(도 7, 18, 및 19 참조)에 이송된다.
보조 실링장치(240)는 블랭크(3')의 맨드릴(23)에서 돌출되는 이음선(3d)의 일단부를 압압하고 가열하여 접착을 촉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제조장치(10)에는 맨드릴(23)의 본체(23a)가 블랭크(3')보다 짧다. 이러한 설계의 이유는 블랭크(3')를 맨드릴(23)에 의해 컬링시키는 처리와 슬리브(3)의 하단에 컬부(3a)(도 6참조)를 형성하는 처리를 동일한 맨드릴(23)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맨드릴(23)의 본체(23a)의 길이가 블랭크(3')의 길이보다 길거나 같으면, 본체(23a)는 컬링된 블랭크(3')의 말단보다 돌출될 것이므로, 컬부(3a)는 맨드릴(23)에서 블랭크(3')를 빼내서 형성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맨드릴(23)의 길이가 블랭크(3')의 길이보다 짧으면, 블랭크(3')의 일단부(3e)가 맨드릴(23)에서 돌출되어서 주 실링장치(220)의 가압구(222)에 의해서 상기 일단부(3e)를 가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돌출부(3e)에서 이음선(3d)을 압압하고 가열하는 경우에만 보조 실링장치(240)가 부가된다.
도 18 및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조 실링장치(240)는 제조장치(10)의 본체(11)에 장착되는 베이스(241), 상기 베이스(241)상에 장착되는 공압 실린더(242), 상기 공압 실린더(242)의 가동부(242a)에 부착되는 지지부재(243), 상기 지지부재(243)의 상부에 장착된 공압 실린더(244), 및 상기 공압 실린더(244)의 가동부(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는 한 쌍의 니퍼(245,245)를 포함한다. 공압 실린더(242)의 가동부(242a)는 화살표 Y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에서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242a)의 동작방향의 수평선에 대해서 경사진 것으로 실질적으로 본체의 중심축에서 본체(23a)의 외주면의 경사방향과 일치한다. 한편, 니퍼(245,245)는 화살표 Z로 표시되는 수직방향에서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공압 실린더(244)에 의해서 서로 반대로 구동된다. 각 니퍼(245)는 내장되어 있는 가열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적당한 온도로 가열된다. 니퍼(245)의 가열 온도는 주 실링장치(220)의 가압구(222)의 온도보다 높게 설정된다. 예를 들면 니퍼는 약 180℃까지 가열되지만 가압구(222)는 약 100℃까지 가열된다.
도 20A 및 20B에서는, 니퍼(245)의 작동을 도시한다. 턴테이블(21)이 회전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 실린더(242)의 가동부(242a)가 후퇴하는 위치이고 각 니퍼(245)는 도 20A에 도시된 위치에 지지된다. 이때, 니퍼(245,245) 사이에 블랭크(3')의 이음선(3d)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다. 턴테이블(21)이 회전하고 맨드릴(23)이 A2 정지위치에서 A3 정지위치로 이동한 후, 가동부는 턴테이블(21)로 이동하고 각 니퍼(245)는 블랭크(3')의 이음선(3d)이 서로 겹쳐지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어서, 니퍼(245,245)는 공압 실린더(244)에 의해서 서로 근접하도록 구동되어서 이음선(3d)이 도 20(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니퍼(245,245)사이에서 니핑된다. 따라서, 이음선(3d)에 제공된 접착제가 가열되어서 이의 접합이 촉진된다. 이음선(3d)이 복수의 니퍼(245,245)에 의해서 소정의 시간동안 압압되고 가열된 후, 복수의 니퍼(245,245)는 도 20(A)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여 턴테이블(21)의 다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8 및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41)에 고정부(241a) 및 상기 고정부에 부착된 가동부(241b)가 설치되어서 수직방향으로 블랭크(3')의 이음선(3d)의 위치에 따라서 니퍼(245)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정 볼트(246)는 고정부(241a)에 회전하여 부착되고 이의 상부는 가동부(241a)에 나사로 결합된다. 만약 고정부(241a)와 가동부(241b)를 연결하는 볼트(247)가 느슨해져서 조정 볼트(246)가 회전되면, 가동부(241b)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니퍼(245)의 높이가 변경된다.
보조 실링장치(240)에서 처리된 블랭크(3') 턴테이블(21)의 순차적 회전에 따라 A4 정지위치의 말단 컬링장치(260)로 이동하고, 다시 턴테이블(21)의 회전 순서에 따라 A5 정지위치의 말단 컬링장치(260)로 이동한다. 각 장치(260)는 슬리브(3)의 컬부(3a)(도 6 참조)를 성형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도 21 내지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컬링장치(260)는 제조장치(10)의 본체(11)에 장착된 베이스(261), 상기 베이스(261)에 장착된 공압 실린더(262), 한 쌍의 직선 안내장치(263,263)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261)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가동판(264), 및 상기 가동판(264)의 상부면에 장착된 모터(265)를 포함한다. 공압 실린더(262)의 피스톤 로드(262a)는 A4 또는 A5 정지위치의 맨드릴(23)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직선 안내장치(263)의 레일(263a)은 피스톤 로드(262a)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가동판(264)은 슬라이더(263b…263b)에 의해서 지지되고 연결판(266)에 의해서 공압 실린더(262a)의 피스톤 로드(262a)와 연결된다.
모터의 출력 샤프트(265a)에는 어댑터(267)가 장착되어서 함께 회전가능하게 되어서 원반상 다이(268)가 볼트(269…269)를 사용하여 상기 어댑터(267)의 말단 표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이(168)는 출력 샤프트(265a)와 동일한 축을 가지고 이의 말단면에는 컬부(3a)를 형성하는 홈(268a)이 형성되어서 축선의 둘레를 일주하도록 설치된다. 이들 다이(268) 및 출력 샤프트(265a)는 맨드릴(23)과 동축이다.
다이(268)는 공압 실린더(262)의 피스톤 로드(262a)의 이동에 따라 맨드릴의 중심축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턴테이블(21)이 회전하면 공압 실린더(262)의 피스톤 로드(262a)가 수축되고 다이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3')의 돌출부(3e)에서 떨어지는 위치에서 지지된다. 턴테이블(21)이 회전하거나 하지 않거나 상관없이 모터(265)가 구동된다.
턴테이블(21)이 정지하면, 공압 실린더(262)의 피스톤 로드(262a)가 맨드릴(23)측에 이동하여 다이(268)가 이의 축에 대해서 회전하여 블랭크(3')의 돌출부(3e)에 접촉한다. 이때, 돌출부(3e)는 다이(268)의 홈(268a)에 삽입되고 홈(268a)의 윤곽을 따라 내부로 컬링된다. 다이(268)가 소정의 시간동안 블랭크(3')에 접촉되고 나서 공압 실린더(262)의 피스톤 로드(262a)가 후퇴하고 다이(268)가 도 21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한다. 맨드릴(23)이 A4 및 A5 정지위치에 이동될 때마다, 다이(268,268)가 앞뒤로 반복하여 구동되어서 슬리브(3)의 돌출부(3e)에 컬부(3a)를 형성하게 된다.
A4 정지위치에서 컬부(3a)는 중간까지 성형되고 A5 정지위치에서 완전히 성형된다. 컬부(3a)가 2단계로 형성되는 이유는 강제로 가공하지 않고 커다란 컬부(3a)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A4, A5 정지위치에서 상기 다이(268)의 이동량 및 홈(268a)의 윤곽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슬리브(3)는 A1 내지 A6 정지단계에 걸쳐 가공되어서 제조된다. 준비된 슬리브(3)는 A7 정지위치에서 슬리브 배출장치(280)에 의해 어셈블리 섹션(30)으로 이송된다.
도 24 및 2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리브 배출장치(280)는 상기 제조장치(10)의 본체(11)에 고정된 지지부재(281), 상기 지지부재(281)에 직선 안내장치(282)를 통해서 장착된 모터 베이스(283), 상기 지지부재(281)에 장착된 공압 실린더(284), 상기 모터 베이스(283)의 상단부에 장착된 모터(285), 및 상기 모터(285)의 출력 샤프트(285a)에 장착된 롤러(286)를 포함한다. 직선 안내장치(282)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레일(282a)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 베이스(283)는 상기 직선 안내장치(282)의 슬라이더(284)와 연결된다. 공압 실린더(284)에는 모터 베이스(283)의 하단부에 연결된 가동부(284a)가 제공되고, 따라서 모터 베이스(283)는 공압 실린더(284)의 가동부(284a)의 이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모터(285)의 출력 샤프트(285a)는 A7 정지위치에서 맨드릴(23)의 축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턴테이블(21)이 회전되는 동안, 공압 실린더(284)의 가동부(284a)가 아래로 후퇴하고, 롤러(286)는 맨드릴(23)에서 이탈하여 이동한다. 모터(285)의 출력 샤프트(285a)는 맨드릴(23)이 회전하던지 하지 않던지 도 25에서 화살표 CCW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턴테이블(21)이 회전하고 맨드릴(23)위에 있는 슬리브(3)가 A7 정지위치로 이동된 후, 가압구(222)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맨드릴(23)에서 이탈하여 이동하고 공압 실린더(284)의 가동부(284a)는 상부로 구동되어서 도 25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맨드릴(23)의 슬리브(3)를 롤러(286)의 외주면으로 압압한다. 따라서 슬리브(3)는 롤러(286)의 회전에 따라서 맨드릴(23)에서 제거되고 화살표 F로 지시되는 어셈블리 섹션(30)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슬리브(3)는 슬리브 운송장치(360)에 수용된다. 이의 상세한 사양은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롤러(286)가 소정의 시간동안 상승된 위치로 유지된 후, 공압 실린더(284)의 가동부(284a)는 도 25의 실선으로 지시되는 위치로 복귀하여 턴테이블(21)이 다음 회전을 하도록 한다.
도 26 및 27은 컵 본체 공급장치(300)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상기 컵 본체 공급장치(300)는 B1 정지위치의 컵 홀더(33)에 대해서 컵 본체(2)를 반대방향으로 반전하여 운송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B1 정지위치 위에 배치된 제조장치(10)의 본체(11)에 의해서 수평으로 지지되는 기판(301) 및 이의 위에 평행하게 부착되는 모터 베이스(302)를 포함한다. 기판(301)에는 B1 정지위치에 있는 컵 홀더(33)의 축과 동일축인 관통홀(303)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홀(303)의 내부지름은 의 컵 본체의 컬부(2c)에 있는 외부지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관통홀(303)의 가장자리에는 6개의 로드(304…304)가 관통홀(303)의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도 9 참조). 이들 로드(304)가 둘러싼 공간에는 복수의 컵 본체(2)가 위, 아래가 반전되어서 수직방향으로 포개어져 있다. 또한, 이 공간에 포개져 수용된 컵 본체(2)는 리브(2e,2f) 이외의 모든 요소가 임의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301)에는 6개의 도르래(305a,305b…305f)가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도르래(305a)는 모터 베이스(302)에 부착된 모터(306)의 출력 샤프트(306a)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다른 5개의 도르래(305b…305f)는 기판(301)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도르래 축(307)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져 있다. 각 도르래(305a∼305f) 사이에는 모터(306)의 출력샤프트(306a)의 회전에 의해서 각 도르래(305a∼305f)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벨트(308)가 연결되어 있다. 모터(306)에 부착되는 도르래(305a)에 인접한 2개의 도르래(305b, 305f)와 도르래(305a)에 대해서 관통홀(303)을 통해서 반대측에 위치한 도르래(305d)는 도르래 축(307)을 통해서 롤러(309…309)와 각각 연결되고 있다. 롤러(309)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홈(309a)이 설치되어 있다.
롤러(309)의 외주부는 관통홀(303) 외부 보다도 반경방향 내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고, 로드(304) 사이에 수용된 복수의 컵 본체(2)는 롤러(309)에 의해서 하부로부터 지지된다. 모터(306)의 출력 샤프트(306a)가 소정방향으로 구동되면, 가장 아래의 위치한 컵 본체(2)의 컬부(2c)가 롤러(309)의 홈(309a)에 연결되어서 롤러(309)의 회전에 따라 아래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서, 하나의 컵 본체(2)가 로드(304) 사이의 공간에서 배출되어서 컵 홀더(33)에 수용된다. 턴테이블(31)이 45도 회전할 때마다, 롤러(309)의 회전이 반복되어 B1 정지위치에 운송된 컵 홀더(33)로 공급하게된다.
컵 홀더(33)에 수용된 컵 본체(2)는 턴테이블(31)의 순차적인 회전에 의해서 B2 정지위치에 있는 리브형성장치(320)로 이동하고 턴테이블(31)의 순차적인 회전으로 B3 정지위치의 리브형성장치(320)로 더욱 이동한다.
도 28 및 29는 리브형성장치(320)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각 리브형성장치(320)에는 컵 홀더(33)와 협동하여 리브(2f 또는 2e)를 형성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홀더(33)는 턴테이블(31)의 외주에 장착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샤프트(40), 상기 지지샤프트(40)를 상기 턴테이블(31)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샤프트(40)의 나사부(40a)에 고정된 너트(41), 베어링(42A,42B)을 통해 상기 지지샤프트(40)의 외주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실린더(43), 상기 회전 실린더(43)의 외주에 동일한 축을 가지도록 고정된 스페이서(44), 모델부재(45,46) 및 캡(47)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실린더(43)의 하단부에는 회전 입력부로 상기 지지 샤프트(40)와 동축인 구동휠(43a)이 제공된다. 상기 스페이서(44), 상기 모델부재(45,46) 및 상기 캡(47)은 상기 회전 실린더(43)에서 착탈가능하고, 특히 상기 모델부재(45,46)는 각각 세트 나사(48,49)를 사용하여 회전 실린더(43)와 연결되어서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모델부재(45,46)에는 각각 리브(2f,2e)를 형성하기 위해서 제공되고 이의 외주에는 플렌지(45a,46a)가 형성된다. 각 플렌지(45a,46a)는 당접부(abutment portion)로 작용하고, 회전 실린더(43)와 동축이고, 이의 각 외주부는 이 섹션 내에서 둥근 형태로 형성된다. 캡(47)에는 컵 본체의 내부에서 컵 본체(2)의 저면부(2b)를 지지하기 위해서 저면지지부(47a)를 이의 상단부에 형성한다. 저면부(2b)가 저면지지부(47a)와 접촉되면, 플렌지(45a,46a)가 리브(2f,2e)가 각각 형성된 위치에서 측벽(2a)의 내부면과 거의 접촉된다. 따라서 플렌지(45a,46a)의 각각의 외주는 접합부로 작동한다. 플렌지(45a,46a)의 각각의 두께, 즉, 도 30에서 수직방향의 수치는 각각 리브(2f,2e)의 폭에 따라 조정된다. 플렌지(45a,46a)의 높이는 스페이서(44)의 두께를 변경하여 조정할 수 있다. 리브의 폭이 컵 본체(2)의 타입에 따라 변경되면, 리브의 여러 가지 타입에 해당하는 타입의 복수 모델부재―여기서, 모델부재중 하나의 종류는 회전 실린더(43)에 설치될 수 있는 것임―를 준비하고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 및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형성장치(320)에는 컵 본체(2) 및 컵 홀더(33)를 회전하는 회전구동장치(321), 회전하면서 컵 본체(2)를 모델부재(45,46)로 형압하여 리브(2e,2f)를 형성하는 형압장치(330) 및 가공중 컵 본체(2)가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장치(restraining mechanism)(336)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구동장치(321)는 제조장치(10)의 본체(11)에 장착된 4개의 로드(322…322), 상기 로드(322)의 상단부에 장착된 모터 베이스(323) 및 모터 베이스(323)에 장착된 모터(324)를 포함한다. 모터(324)에는 위로 돌출하는 출력 샤프트(324a)가 장착되고 여기에 구동휠(325)이 샤프트(324a)에 장착된다. 컵 홀더(33)가 턴테이블(31)의 회전에 의해서 B2 또는 B3 정지위치에 이동되면, 구동휠(325)이 컵 홀더(33)의 구동휠(43a)과 접촉되어 모터(324)의 출력 샤프트(324a)의 회전에 따라 회전 실린더(43)를 회전시킨다. 턴테이블(31)이 회전하면, 구동휠(43a)은 구동휠(325)에서 떨어져서 휠들(325, 43a) 사이에서 회전 전달은 끓어지게 된다. 따라서 턴테이블(31)이 소정 각도(45°) 회전한 후에 정지하면, 다음의 컵 홀더(33)의 구동휠(43a)과 구동휠(325)이 접촉하여 양자간의 회전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도 30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형압장치(330)는 모터 베이스(323)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신되는 4개의 로드(331…331), 상기 로드(331)에 내장되는 블래킷(332), 상기 블래킷(332)에 장착되는 구동원인 공압 실린더(333), 상기 공압 실린더(333)의 피스톤 로드(333a)에 부착되는 홀더(334), 및 베어링(334a,334a)을 통해 상기 컵 홀더(334)의 샤프트부(334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형압롤러(335)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335)의 외부 원주면은 컵 본체(2)의 측벽(2a)을 따라 경사지게 가늘어지는 면으로 형성되고(도 6 참조), 이의 섹션에서 일반적으로 반원 형상을 가지는 홈(335a)에 의해서 형성된다. B2 정지위치에서는 형압롤러(335)의 홈(335a)의 형상이 플렌지(45a)의 외주에 대해서 상보적이고, B3에 있는 형압롤러(335)의 홈(335a)의 형상은 플렌지(46a)의 외주에 대해서 상보적이다.
상기 블래킷(332)에는 이의 높이가 로드(331)를 따라 조정가능한 방식으로 로드에 장착된다. B2 정지위치에서 블래킷(332)의 위치는 형압롤러(335)의 홈(335a)이 플렌지(45a)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조정되고, B3 정지위치에서 블래킷(332)의 위치는 형압롤러(335)의 홈(335a)과 플렌지(46a)가 동일한 높이가 되는 위치로 조정된다.
유지장치(336)는 상기 로드(331)의 상단에 장착된 블래킷(337), 아래로 배열되도록 상기 블래킷(337)의 말단부에 장착된 구동동력원으로 공압 실린더(338), 및 베어링(339)을 통해서 공압 실린더(338)의 피스톤 로드(338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지판(339)을 포함한다. 공압 실린더(338)의 피스톤 로드(338a)가 아래로 이동하면, 유지판(339)은 컵 본체(2)의 저면부(2b)와 접촉하여 리브(2f,2e)를 형성하는 공정동안 컵 본체(2)가 밀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B2 정지위치에서 리브형성 장치(32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소정의 각으로 회전한 후 턴테이블(31)이 정지하고 컵 본체(2)가 B2 정지위치에 공급되면, 구동휠(325)과 컵 홀더(33)의 휠(43a)이 서로 접촉하여서 컵 홀더(33)의 회전 실린더(43)와 컵 본체(2)는 컵 홀더(33)의 축 둘레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유지장치(336)는 활성화되어서 유지판(339)이 컵 본체(2)의 저면부와 접촉되는 동시에 피스톤 로드(333a)가 도 31A의 화살표에서 표시되는 측벽(2a)을 향해 형압롤러(335)를 이동하도록 돌출된다. 결과적으로, 형압롤러(335)는 측벽(2a)와 접촉되고 측벽(2a)은 도 31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로 형압된다. 따라서, 측벽(2a)이 홈(335a)과 플렌지(45a) 사이에 샌드위치되어서 측벽(2a)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서 페터 라인으로 작용하는 리브(2f)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컵 본체(2)와 플렌지(45a)가 회전되기 때문에, 형압롤러(335)와 측벽(2a)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는 결과적으로 이의 회전에 따라서 변경되어서 리브(2b)는 컵 본체(2)의 원주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한 번에 전체 리브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컵 본체(2)에 리브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롤러(35)는 컵 본체(2)의 회전에 따라 축에 대해서 회전하기 때문에 롤러(335)와 측벽(2a) 사이의 마찰을 감소하여 리브의 제조동안 컵 본체(2)에 가해지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형압롤러(335)가 1회 이상 컵 본체(2) 둘레를 회전한 후, 피스톤 로드(333a)는 도 31C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벽(2a)에서 형압롤러(335)를 분리하도록 후퇴된다. 홈(335a)과 플렌지(45a)사이에 샌드위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측벽(2a)은 이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여 페터라인으로 작용하는 리브(2b)가 컵 본체(2)의 전체 둘레에서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유지장치(336)의 유지판(339)은 형압롤러(335)의 탈착 이동과 동시에 위로 당겨진다. 따라서, 형압장치(330)는 반경방향 구동장치로 작동하고, 형압롤러(335)는 암형 모델부재로 작동하고, 각 플렌지(45a, 46a)는 수형 모델부재로 작용하고 유지장치(33)는 유지도구로 작용한다.
리브(2b)가 형성된 컵 본체(2)는 턴테이블(31)의 순차적인 회전에 의해서 B3 정지위치에 공급된다. B3 정지위치에서는 형압장치(330) 및 유지장치(336)가 상기 언급된 방법으로 측벽(2a)에 리브(2e)를 형성하도록 구동된다. 측벽(2a)에 대해서 형압롤러(335) 및 플렌지(46a)의 작동은 도 31A 내지 31C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리브(2e)가 형성된 컵 본체(2)가 B4 정지위치에 있는 접착제 공급장치(340)(도 7 참조)에 이동된다. 컵 본체(2)가 B3 정지위치에서 B4 정지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휠(43a)은 구동휠(325)과 이격되고 이들 사이의 전달은 중단된다. 그러나 회전 실린더(43)는 이의 관성에 의해서 B4 정지위치에 있는 동안 이의 회전을 지속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공급장치(340)에는 측벽(2a)을 향해서 접착제(4)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 건(341)(도 6 참조)이 제공된다. 컵 본체(2)가 턴테이블(31)에 의해서 B4 정지위치에 공급될 때마다 노즐 건(341)은 소정의 시간동안 접착제(4)를 배출한다. B4 정지위치에서 컵 본체(2)의 회전에 기인하여 노즐 건(341)에서 배출된 접착제(4)는 컵 본체(2)의 결합영역(도 6 참조)에 균일하게 공급된다.
B4 정지위치에서 접착제(4)가 제공되는 컵 본체(2)는 B5 정지위치에 설치된 슬리브 운송 장치(360)에 공급된다. 도 33 및 34는 장치(360)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슬리브 운송 장치(360)는 슬리브 성형 섹션(20)에서 배출된 슬리브(3)를 수용하고 컵 본체(2)에 운송하도록 제공된다. 장치(360)는 제조장치(10)의 본체(11)에 장착된 지지부재(361), 수평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재(361)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 샤프트(362), 및 상기 구동 샤프트(362)의 일단에 부착되는 인덱스 테이블(363)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샤프트(363)가 한 쌍의 베벨 기어(364,365)를 통해서 중간 샤프트(153)에 연결되어서 턴테이블(21)에서 블랭크 공급장치(100)로 회전을 전달한다. 턴테이블(21,31)이 45도 회전하면, 구동 샤프트(362)와 인덱스 테이블(363)은 도 33에서 화살표 CCW로 지시되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가능하게 구동된다.
인덱스 테이블(363)에는 4개의 지지판(366…366)이 이의 외주에 제공된다. 각 지지판(366)에는 슬리브(3)에 맞춘 관통홀(366a)이 제공된다. 상기 관통홀(366a)의 축은 인덱스 테이블(363)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관통홀(366a)은 인덱스 테이블(363)의 중심을 향해서 관통홀의 지름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방식으로 가늘어진다.
인덱스 테이블(363)이 90도 회전할 때마다, 각 지지판(366)은 인덱스 테이블(363)의 주변을 90도 이동하여 각 지지판(366)은 C1 내지 C4 정지위치에 순차적으로 정지한다. C1 내지 C4 정지위치는 인덱스 테이블(363)의 오른편, 상단, 왼편, 하단에 배치된다. C1 정지위치에는 인덱스 테이블(363)의 관통홀(366a)이 슬리브 성형 섹션(20)의 A7 정지위치에 위치한 맨드릴(23)과 동축이 되도록 배열되고, C4 정지위치에서는 관통홀(366a)이 B5 정지위치의 컵 홀더(33)와 동축이 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A7 정지위치에 있는 롤러(286)에 의해서 맨드릴(23)로부터 배출된 슬리브(3)가 C1 정지위치에서 지지판(366)의 관통홀(366a)으로 삽입된다. 또한, C4 정지위치로 운반된 슬리브(3)는 지지판(366)에서 지지판(366)아래에 있는 컵 홀더(33)로 하강하여 컵 본체(2)의 외주에 제공된다.
도 34에서 명확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덱스 테이블(363)의 인근에는 공압 실린더(371,374)가 제공된다. 하나의 공압 실린더(371)는 복수의 로드(369…369) 및 블래킷(370)을 통하여 본체(11)에 의해서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공압 실린더(374)는 보조 블래킷(373)을 통해서 블래킷(370)에 의해서 지지된다. 공압 실린더(371,374)는 가동부(371a,374a)를 가지고, 이들 각각은 아래로 돌출될 수 있어서 가압판(372,375)이 각각 가동부(371a,374a)에 각각 부착된다. 인덱스 테이블(363)이 90도 회전할 때마다, 각 가동부(371a,374a)는 적어도 1회 아래로 구동되어서 C2,C4 정지위치에서 슬리브(3)를 아래로 압압한다. 따라서, C2 정지위치에서 슬리브(3)는 지지판(366)의 관통홀(366a)내로 압압되어서 슬리브(3)를 관통홀(366a)의 중심축에 맞도록 배열되고 C4 정지위치에서 슬리브(3)는 관통홀(366a)에서 확실하게 배출된다.
슬리브(3)내에 있는 컵 본체(2)는 턴테이블(31)의 순차적인 회전으로 B6 정지위치에 있는 슬리브 끼워맞춤장치(380)에 공급된다. 도 35 및 36에서 이 슬리브끼워맞춤장치(380)를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슬리브 끼워맞춤장치(380)는 본체(11)에 장착된 컬럼(381), 상기 컬럼(381)의 상단에 장착된 블래킷(382), 상기 블래킷(382)의 말단부에 매달린 공압 실린더(383), 및 상기 공압 실린더(383)의 피스톤 로드(383a)에 지지로드(384)를 통해서 연결되는 고정 지그(385)를 포함한다.
도 37A에서 상세하게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 지그(385)는 접시상 지그 본체(386) 및 상기 지그본체(386)의 중심축 둘레에 정렬되는 6개의 핀(387…387)을 포함한다. 이 핀들(387)의 조합은 배열 장치로서 작용한다. 지그 본체(386)는 B6 정지위치의 컵 홀더(33)와 동축이 되도록 고정된다. 지그 본체(386)는 이의 하단부에 오목부(386a)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386a)의 외주에는 경사면(386b) 및 계단부(386c)가 형성된다. 핀(387)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그 본체(386)에 부착된다. 각 핀(387)의 상단부에는 핀(387)이 상기 지그 본체(386)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링(388)이 제공되고, 핀(387)에는 핀(387)이 지그 본체(386)를 통해서 상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렌지(387a)가 형성된다. 핀(387)의 하단부에는 경사부(387b)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387b)를 형성하는 대신 상기 핀(387)의 하단을 둥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턴테이블(21)이 회전하는 동안, 지그본체(386)는 도 3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압 실린더(383) 위에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핀(387)은 그들의 중량에 의해서 도 3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낮춰진 위치를 유지하고, 이의 경사부(387b)는 지그 본체(386)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슬리브(3)로 둘러싸인 컵 본체(2)가 턴테이블(31)에 의해서 B5 정지위치에서 B6 정지위치로 공급된 후, 지그 본체(385)는 공압 실린더(383)에 의해서 적어도 1회 수직방향으로 상호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만약 슬리브(3)가 도 37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잘못 배열되어 컵 본체에 수용되면, 핀(387)의 경사부(387b)는 지그(385)의 하강이동에 따라서 이의 내부의 컬부(3a)에 접촉하여, 상기 컬부(3a)가 핀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슬리브(3)와 컵 본체(2)를 정확하게 정렬된다.
지그(385)가 소정의 위치로 하강하는 경우, 경사부(387a)는 이의 하단부(도 37의 상단)에서 측벽(2a)의 내부면에 접촉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지그(385)가 더욱 아래로 구동하면, 핀(387)은 측벽(2a)의 저항에 의해서 측벽(2a) 내주로 이동할 수 없고 따라서 핀(387)은 상대적으로 지그 본체(386)에 대해서 상부로 이동한다. 한편, 슬리브(3)의 컬부(3a)는 지그 본체(386)의 경사면(386b)에 접촉하여 배열되고 계단부(386c)에 의해서 아래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슬리브(3)의 상단부(3f)의 내부면이 결합영역(BD)(도 6 참조)에 접촉하여 슬리브(3)와 컵 본체(2)는 확실하게 결합된다.
도 37C에서 도시하는 위치로 하강된 고정 지그(385)는 공압 실린더(383)에 의해서 다시 올려져서 턴테이블(31)의 순차적으로 회전을 위한 준비를 한다. 고정 지그(385)를 올리기 시작하면, 핀들(387)은 측벽(2a)의 하단부에 단순하게 접촉하고 측벽(2a)의 내부면으로 가압하면서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컵 본체가 컬 롤러(33)에서 핀(387)과 함께 밀려 올라갈 염려는 없다.
따라서 슬리브(3)와 컵 본체(2)는 상기 공정으로 끼워맞춰지고, 용기(1)의 생산이 완료된다. 제조된 용기(1)는 턴테이블(31)의 순차적인 회전에 따라서 B7 정지위치에 공급되고, 다음 회전에 의해서 B8 정지위치에 공급된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덕트(50)는 B8 정지위치에서 컵 홀더(33) 상에 제공된다. 용기(1)에는 컵 홀더(33)의 상단부에 제공된 구멍(도시되지 않음)에서 송풍되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덕트(50)내로 운송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수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1)는 도 38A 내지 38H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정될 수 있다. 도 38A는 도 5의 컵에서 페터라인으로 작용하는 리브(2f)가 없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8B는 리브(2e)가 내부로 돌출되는 도 38A의 실시예의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8C는 도 5의 컵에서 리브(2e)가 없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8D는 도 38C의 리브(2f)가 내부로 돌출하는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8E는 도 5에서 페터라인으로 작용하는 리브(2f)가 내부로 돌출하는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38F는 도 5에서의 리브(2e)가 내부로 돌출하는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그리고 도 38G는 복수의 리브(2f,2e)가 내부로 돌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38H는 결합영역 BD가 도 5의 결합영역으로 연장되어 페터라인으로 작용하는 리브(2f)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페터 라인은 컵 본체(2)의 컬부(2c)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페터 라인으로 작용하는 리브(2f)를 포함하지 않도록 결합영역(BD)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도 3H의 배열이 이 경우에 효과적이다. 도 38D 및 38G의 경우에 페터라인을 포함하도록 결합영역(BD)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슬리브 성형섹션(20)의 A6 정지위치 및 어셈블리 섹션(30)의 B7 정지위치가 각각 실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A6 및 B7 정지위치에서 적당한 공정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B7 정지위치에서 용기(1)를 확인하고, B8 정지위치에서 결함이 있는 용기를 결함이 없는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지위치의 수는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리브(3)의 컬부(3a)는 일 단계로 완전하게 성형될 수 있다면, 말단 컬링장치(260)의 하나가 생략될 수 있고 슬리브 성형섹션(20)에서 정지위치의 수는 감소될 수 있다. 만약 리브(2e,2f)가 공동 정지위치에서 성형된다면, 어셈블리 섹션(30)에서 정지위치의 수룰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용기(1)를 제조하는 또 다른 필수 공정을 첨가하도록 정지위치의 수를 증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리브(3) 및 컵 본체(2)를 슬리브 운송장치(360)에 제공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한, 인덱스 각, 즉 턴테이블(21, 31)의 구동 각에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 턴테이블(21)은 슬리브의 컨베이어로 작용하고, 슬리브 성형섹션(20)은 슬리브 성형장치로 작용한다. 슬리브의 컨베이어는 턴테이블(31)로 제한되지 않고 일정한 경로를 따라 맨드릴을 순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슬리브 성형장치는 어셈블리 장치와 일체화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슬리브 성형섹션(20) 및 어셈블리 섹션(30)은 서로 독립적인 장치로 구성된다. 컬부(3a)가 슬리브(3)에 필수적이지 않다면, 슬리브(3)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긴 길이로 맨드릴(23)의 본체(23a)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보조실링장치(240)를 제거할 수 있다. 주 실링장치(220)와 보조실링장치(240)는 도 3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함께 일체성형될 수도 있다. 도 39의 장치(220)에는, 가압구(222)가 블랭크(3')의 이음선(3d)의 길이 이상의 길이로 형성된다. 가압구(222)가 이음선(3d)을 압압하면, 결합지지체(224)가 도 20의 니퍼(245)를 구동하는 것과 유사한 작용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턴테이블(31)은 컵 본체를 위한 컨베이어로 작용하고, 어셈블리 섹션(30)은 어셈블리 장치로 작용하고 회전구동장치(321)는 컵 홀더 구동장치로 작동한다. 컵 본체를 위한 컨베이어는 턴테이블로 제한하지 않고, 일정한 경로를 따라 컵 홀더를 순환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어셈블리 장치는 슬리브 성형장치와 일체성형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리브(2e,2f)의 가공외에 다양한 공정이 컵 홀더 구동장치에 의해서 제공된 컵 본체의 회전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40 및 41은 다양한 리브 형성장치(320)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도 28 내지 30에 해당하는 요소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동일한 참조번호로 설정된 것이다. 도 40 및 41에 도시된 장치(320A,320B)는 형압장치(330)의 수직위치를 제외하고 서로 동일하다. 즉, 도 40의 장치(330)는 리브(2f)를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고, 도 41의 장치(330)는 리브(2e)를 형성하기 위해서 설치된 것이다. 지지 샤프트(40)는 턴테이블(31)에 베어링(42)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렌지(45a,46a) 및 저면지지부(47a)는 지지샤프트(40)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42는 다른 다양한 리브 형성장치(320)를 도시한다. 도 42에서는 2개의 형압롤러(335,335)가 컵 본체의 반경방향에서 반대측에 설치되어 롤러(335)에서 컵 본체(2)로 가압력의 균형을 맞추어서 컵 본체(2)의 편향 또는 일탈을 방지한다.
홈(335a)이 플렌지(45a 또는 46a)의 외주에 형성되고, 홈(335a)에 상보적인 돌출이 롤러(335)의 외주면에 형성되면, 도 38B 및 도 38D 내지 38H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로 리브(2f 또는 2e)가 돌출될 수 있다. 컵 본체(2)의 공간이 충분하다면, 컵 본체(2)의 외부에 모델부재를 배치하는 동안 컵 본체(2) 내부에 형압롤러(335)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컵 본체(2) 외부에 배치된 모델부재에 홈에 상보적인 돌출을 형성하는 동안 내부에 돌출하는 리브는 롤러(335)에 홈(335a)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외부로 돌출하는 리브는 롤러(335)에 있는 홈(335a)에 상보적인 돌기를 형성하는 동안 컵 본체(2)의 외부에 배치된 모델부재에 홈(335a)을 형성하여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브 형성장치는 리브를 가진 다양한 용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서 형성된 리브는 용기를 원형으로 제한하지 않고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의 원주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리브가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적 리브는 예를 들면 롤러(335)가 컵 본체(2)의 주위를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컵 본체(2)에서 롤러(335)를 단속적으로 분리시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단열 용기는 인스턴트 건조 식품 등을 시판하기 위한 용기로 사용될 수 있다. 제조장치, 슬리브 성형장치, 어셈블리 장치, 리브 형성 장치 및 본 발명의 방법은 다양한 용기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8)
- 저면을 가진 컵 본체―여기에서, 컵 본체는 내부가 폴리올레핀 수지로 코팅되고, 컵 본체의 개구 상단부에 외부로 말린 컬부가 형성되고, 컵 본체의 측벽에 외부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리브가 형성됨―; 및하단부에 내부로 말린 컬부가 형성된 역 원추형 종이 슬리브를 포함하는 단열용기에 있어서,상기 컵 본체와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상단이 외주를 따라 상기 컵 본체의 외부로 말린 컬부에 인접한 컵 본체의 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부로 말린 컬부가 외주를 따라 상기 컵 본체의 측벽의 하단에 결합되어서 서로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단열용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리브가 복수의 수평 리브인 단열용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리브가 상기 컵 본체의 측벽의 전체 원주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단열용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 리브가 상기 컵 본체의 측벽의 전체 원주에 대해서 단속적으로 연장되는 단열용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슬리브와 상기 컵 본체의 측벽의 상단 사이에 단열성 주름부재가 형성되는 단열용기.
- 측벽 및 상기 측벽의 일단에 배치된 바닥부를 가지는 컵 본체―여기에서, 상기 측벽에는 이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리브가 제공되고 상기 측벽의 타단에는 외부로 말린 컬부가 형성됨― 및상기 측벽의 외부에 일정한 공간을 두고 이격되고, 상기 컵 본체의 외부로 말린 컬부에 인접하는 한정된 결합 영역에서 상기 컵 본체와 결합되는 슬리브를 포함는 단열용기에 있어서,상기 외부 돌출 리브는 상기 결합 영역에서 떨어진 영역에서 형성되는 단열용기.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슬리브에는 이의 일단에서 상기 측벽의 일단의 외주와 접촉할 수 있는 내부로 말린 컬부가 형성되는 단열용기.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컵 본체의 측벽에는 이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돌출 리브가 형성되는 단열용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돌출 리브가 상기 컵 본체 내로 제공되는 액체의 적당한 수준을 지시하는 선으로 작용하는 단열용기.
- 측벽 및 상기 측벽의 일단에 위치한 저면부를 가지는 컵 본체; 및상기 측벽의 외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측벽에 결합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단열용기에 있어서,상기 측벽에는 상기 측벽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컵 본체에 채워지는 액체의 적당한 수준을 지시하는 리브가 제공되는 단열 용기.
- 측벽 및 상기 측벽의 일단에 형성된 저면―여기에서, 상기 측벽의 타단에는 외부로 말린 컬부가 형성됨―을 가지는 컵 본체; 및상기 측벽의 외부에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컵 본체의 외부로 말린 컬부에 인접하여 한정되는 결합 영역에서 측벽과 결합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단열용기에 있어서,상기 측벽에는 상기 결합영역 내에 포함되는 내부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되는 단열용기.
- 블랭크 원지(blank sheet)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이의 양단을 접합하여 슬리브를 성형하는 슬리브 성형 섹션; 및상기 슬리브를 컵 본체의 외주에 조립하는 어셈블리 섹션을 포함하는 단열용기 제조장치에 있어서,상기 어셈블리 섹션은상기 컵 본체의 측벽에 리브를 형성하는 리브 형성 장치;상기 리브가 형성된 컵 본체의 측벽에 접착제를 적용하는 접착제 공급장치; 및슬리브 성형 섹션에서 성형된 슬리브를 접착제가 적용된 컵 본체의 외주에 제공하는 슬리브 운송장치를 포함하는컵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조립시키는 단열용기 제조장치.
- 슬리브를 고정할 수 있는 슬리브 홀더;컵 본체를 고정할 수 있는 컵 홀더; 및상기 슬리브 홀더 및 상기 컵 홀더를 일정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를 단열용기 제조장치에 있어서,상기 제조장치에는 슬리브 홀더에서 시트상의 블랭크를 컬링하고 상기 컬링된 블랭크의 양단을 접합하는 컬링장치 및 상기 슬리브 홀더에서 슬리브를 빼내는 슬리브 배출장치가 슬리브 홀더의 순화경로를 따라 설치되고,상기 제조장치에는 컵 본체를 컵 홀더에 제공하는 컵 본체 공급장치, 상기 컵 홀더에 제공된 컵 본체의 측벽에 리브를 형성하는 리브 형성장치, 상기 리브가 형성된 컵 본체의 측벽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장치 및 슬리브 배출장치에 의해 배출된 슬리브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된 슬리브를 상기 접착제가 적용된 컵 본체의 외주에 적용하는 슬리브 운송 장치가 설치되며; 또한상기 슬리브 홀더 상에 있는 슬리브가 상기 슬리브 배출장치로 이송되는 경우, 접착제가 적용된 컵 본체를 슬리브 운송장치에 이송시키는 방법으로 슬리브 홀더 및 컵 홀더를 구동하는컵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조립시키는 단열용기 제조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슬리브 홀더의 순환 경로에는 상기 슬리브의 일단에 컬부를 형성시키는 말단 컬링장치가 제공되는 단열용기 제조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컵 홀더의 순환 경로에는 상기 슬리브 운송장치에 의해서 상기 컵 본체에 대해서 상기 슬리브를 맞추어 배열하면서 상기 컵 본체에 상기 슬리브를 압압하는 슬리브 끼워맞춤장치가 제공되는 단열용기 제조장치.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블랭크의 일단에 접착제를 제공하는 접착제 제공기가 설치된, 상기 컬링 장치에 상기 블랭크를 제공하는 블랭크 제공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단열용기 제조장치.
- 제16항에 있어서,상기 슬리브 홀더의 순화경로에는 상기 컬링장치에 의해서 겹쳐진 블랭크의 양단을 서로 압압하는 실링장치가 제공되는 단열용기 제조장치.
- 슬리브의 내부에 맞추어질 수 있고 상기 슬리브보다 짧게 설정된 본체를 가지는 맨드릴;접착제가 적용된 블랭크의 일단부가 블랭크의 타단부 아래에 놓이도록 하여 이음선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블랭크를 컬링하는 컬링장치;상기 이음선을 상기 블랭크에 대해서 압압하는 주 실링장치;한 쌍의 니퍼에 의해서 맨드릴에서 돌출된 이음선의 일단부를 무는 보조 실링장치;상기 맨드릴에서 돌출된 블랭크의 돌출부를 맨드릴을 향해서 압압하여 슬리브의 컬부를 형성하는 말단 컬링장치; 및상기 슬리브를 상기 맨드릴에서 제거하는 슬리브 배출장치를 포함하는시트상 블랭크로부터 단열용기의 외부포장물로 사용되는 슬리브를 성형하는 슬리브 성형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블랭크의 일단에 접착제를 적용하고 상기 블랭크를 상기 컬링장치에 제공하는 블랭크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슬리브 성형장치.
- 제18항에 있어서,예정된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순환 경로를 따라 정렬된 맨드릴 어테치먼트―여기에서, 각각의 어테치먼트는 맨드릴과 함께 제공됨―를 가지는 컨베이어; 및상기 맨드릴 어테치먼트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피치만큼 단속적으로 컨베이어를 이동하여 각각의 맨드릴 어테치먼트에 있는 맨드릴을 상기 순환 경로를 따라 정의된 복수의 정지위치(stations)에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구동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정지위치에 컬링장치, 보조 실링장치, 말단 컬링장치 및 슬리브 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설명된 순서로 맨드릴이 컬링장치, 보조 실링장치, 말단 컬링장치 및 슬리브 배출장치에 공급되는 슬리브 성형장치.
- 제20항에 있어서,상기 주 실링장치가 상기 맨드릴과 함께 상기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한 슬리브 성형장치.
- 소정의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는 컨베이어;상기 컨베이어의 순환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컨베이어 상에 설치된 복수의 맨드릴;상기 컨베이어의 순환경로에 따라 설정된 복수의 정지위치에 상기 맨드릴이 순차 정지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상기 맨드릴의 간격의 피치만큼 단속적으로 구동하는 구동장치;복수의 정지위치에서 선택된 컬링 정지위치로 상기 블랭크의 일단부에 접착제가 제공된 상태로 상기 블랭크를 공급하는 블랭크 공급장치;상기 블랭크의 일단부를 상기 블랭크의 타단부 아래에 위치시켜서 이음선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맨드릴에 공급되는 블랭크를 컬링하는 컬링장치;상기 블랭크의 양단부를 서로 압압하여 이음선을 형성하는 실링장치; 및각 맨드릴에서 슬리브를 제거하기 위해 복수의 정지위치 중에서 선택된 순환 방향으로 컬링 정지위치 다음에 위치한 배출 정지위치에 제공된 슬리브 배출장치를 포함하는시트상 블랭크로부터 단열용기의 외부포장물로 사용되는 슬리브를 성형하는 슬리브 성형장치.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맨드릴이 상기 슬리브의 내부에 맞출 수 있고 슬리브보다 짧은 본체부를 가지고,상기 실링장치가 블랭크의 이음선을 맨드릴에 대해서 가압하는 주 실링장치 및 한 쌍의 니퍼로 맨드릴에서 돌출하는 이음선의 일단부를 무는 보조 실링장치를 포함하는 슬리브 성형장치.
- 제23항에 있어서,상기 보조 실링장치가 복수의 정지위치 중에서 선택되어 컬링 정지위치와 배출 정지위치 사이에 위치한 보조 실링 정지위치에 선택되어 제공되는 슬리브 성형장치.
- 제24항에 있어서,상기 각 맨드릴에서 돌출하는 블랭크의 돌출부에 컬부를 형성하는 말단 컬링장치가 복수의 정지위치 중에서 선택되어 보조 실링 정지위치와 배출 정지위치 사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말단 컬링 정지위치에 제공되는 슬리브 성형장치.
-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정지위치가 말단 컬링장치가 제공된 적어도 2개의 말단 컬링 정지 위치를 포함하는 슬리브 성형장치.
-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슬리브 배출장치가 각 맨드릴에 고정된 슬리브 위로 각 맨드릴의 축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롤러가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슬리브를 맨드릴에서 배출시키는 슬리브 성형장치.
- 제18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컨베이어가 소정의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턴테이블(turn table)을 포함하는 슬리브 성형장치.
- 소정의 순환 경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는 컨베이어;상기 컨베이어에 장착되어 컵 본체를 이의 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하는 회전부를 가지는 컵 홀더;상기 순환 경로를 따라 설정된 복수의 정지위치에 순차적으로 컵 본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컨베이어를 이동하는 구동장치;상기 복수의 정지위치 중에서 구동 정지위치에 설정되는, 상기 컵 홀더의 회전부와 연결되어 컵 홀더를 회전할 수 있는 홀더 구동장치;상기 복수의 정지위치 중에서 컨베이어의 순환 방향으로 구동 정지위치 다음에 위치하는 접착제 공급 정지위치에 설정되는, 컵 본체의 외주에 접착제를 공급할 수 있는 접착제 공급장치; 및상기 복수의 정지위치 중에서 순환 방향으로 접착제 공급 정지위치 다음에 위치하는 운송 정지위치에 설정되는, 컵 본체에 슬리브를 제공할 수 있는 슬리브 운송 장치를 포함하는컵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조립하는 단열용기 어셈블리장치.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컵 본체의 회전부에 컵 본체와 동축인 원반상 회전 입력부가 제공되고, 상기 컵 홀더 구동장치가 회전입역부 및 상기 회전입력부의 회전을 위한 구동 동력원을 포함하는 단열용기 어셈블리장치.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접착제 공급 장치에 상기 컵 본체의 외주를 향해서 접착제를 방출하는 노즐이 제공되는 단열용기 어셈블리장치.
- 제29항에 있어서,상기 컵 홀더에는 컵 본체의 측벽의 내부면에 접촉될 수 있는 당접부(abutment portion)가 제공되고, 측벽을 성형하기 위해서 상기 컵 홀더 구동장치는 소정의 모델부재로 상기 측벽을 사이에 두고 니핑하면서 당접부로 형압할 수 있는 형압 장치를 포함하는 단열용기 어셈블리장치.
-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컨베이어가 상기 컨베이어는 소정의 축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단열용기 어셈블리장치.
- 컵 본체를 상하로 반전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컵 홀더;상기 컵 홀더에 지지된 상부의 컵 본체의 외주에 상기 슬리브를 제공할 수 있는 슬리브 운송 장치; 및이의 축방향에서 컵 본체에 제공된 슬리브의 말단부를 접촉시킬 수 있는 지그(jig)를 가지고, 상기 지그를 상기 컵 본체에 압압하여 축방향으로 각각 컵 본체와 슬리브를 정렬하는 슬리브 끼워맞춤 장치를 포함하는 단열용기 어셉블리 장치에 있어서,상기 지그는 상기 슬리브가 상기 지그에 의해서 아래로 압압되어 상기 슬리브가 반경방향으로 들어가기 전에 상기 슬리브와 결착하여 컵 본체에 대해서 정렬될수 있는 정렬장치가 설치된 컵 본체의 외주에 슬리브를 결합하는 단열용기 어셈블리장치.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정렬장치가 상기 컵 홀더에 있는 컵 본체의 축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단열용기 어셈블리장치.
- 제35항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핀이 지그의 지그 본체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각각의 핀의 하단부는 컵 본체의 측벽의 하단에 접촉할 수 있는 경사지거나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컵 본체의 저면부를 둘러싸는 단열용기 어셈블리장치.
- 측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암형 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에 돌기가 제공되어 리브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수형 부재(male model member) 및 상기 수형 부재와 마주하는 부분에 홈이 제공되어 리브의 복록부가 형성되는 암수형 모델부재;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를 컵 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격되는 반경방향 구동수단;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 사이에 측벽이 물려지는 위치를 상기 원주방향으로 변화시켜서 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컵 본체와의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을 부여하는 원주방향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컵 본체의 측벽을 리브로 형압하여 측벽의 원주방향으로 확장하는 리브 형성장치.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컵 본체를 이의 내부에서 지지하면서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컵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컵 홀더에는 수형 모델부재 또는 암형 모델부재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되고, 이 수형 모델부재 또는 암형 모델부재중 다른 하나는 컵 본체의 외주측에 설치되고, 반경방향 구동장치는 컵 본체의 외주측에 배치된 상기 수형 모델부재 또는 암형 모델부재의 다른 하나를 상기 컵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원주방향 구동수단은 컵 홀더를 회전시키는 리브 형성장치.
- 제38항에 있어서,상기 컵 본체에 형성된 암수형 모델부재중 하나가 상기 컵 본체의 측벽의 전체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확장시키는 리브 형성장치.
- 제38항에 있어서,상기 컵 본체의 중십축에 평행한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롤러가 컵 본체의 외주에 설치된 암형 모델부재 및 수형 모델부재중 다른 하나로 제공되는 리브 형성장치.
- 제38항에 있어서,상기 컵 본체가 상기 컵 홀더에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지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리브 형성장치.
- 제37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수형 모델부재가 컵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암형 모델부재가 컵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리브 형성장치.
- 컵 본체를 이의 내측에서 지지하면서 컵 본체의 중심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컵 홀더;상기 컵 홀더를 회전하는 회전 구동장치; 및상기 컵 홀더의 한면에 제공되고 상기 컵 본체의 중심축에 평행한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프레스 롤러 및 상기 프레스 롤러를 상기 컵 본체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전력원을 포함하는 형압 장치를 포함하는 리브 형성장치에 있어서,상기 리브의 복록면을 형성하기 위한 홈부 및 상기 리브의 오목면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프레스 롤러의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홈부 및 돌기의 다른 하나가 상기 프레스 롤러에 제공된 상기 홈부 및 상기 돌기중 하나의 위치와 상기 컵 홀더의 중심축의 평행한 방향에서 위치를 일치시키는측벽의 원주방향으로 확장시켜 컵 본체의 측벽에 리브를 형성하는 리브 형성장치.
- 제43항에 있어서,복수의 공정을 통해서 상기 컵홀더를 운송하는 컨베이어를 추가로 포함하고,상기 회전 구동장치 및 형압장치가 컨베이어의 운송경로의 중간위치에 제공되는 리브 형성장치.
- 리브의 오목면을 성형시키기 위한 돌기 및 리브의 복록면을 성형시키기 위한 홈부가 서로 대향하여 각각 형성된 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에 의해서 컵 본체의 측벽의 일부를 니핑하는 단계; 및상기 측벽이 수형 모델부재와 암형 모델부재 사이에 니핑된 위치가 측벽의 원주방향으로 변화하도록 수형 모델부재 또는 암형 모델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컵 본체 사이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컵 본체의 측벽에서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확장하는 리브 형성방법.
- 제45항에 있어서,상기 컵 본체가 컵 본체의 중심축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는 컵 홀더에 의해서 이의 내부에서 고정되고, 상기 컵 홀더에는 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 중 어느 하나가 제공될 수 있고, 수형 모델부재 및 암형 모델부재의 다른 하나는 이의 외부에서 측벽을 압형하여 상기 암형 모델부재와 수형 모델부재 사이에서 측벽을 니핑하고, 이러한 조건에서 컵 홀더가 회전되는 리브 형성방법.
- 제45항에 있어서,컵 본체의 저면부가 측벽이 수형 모델부재와 암형 모델부재에 의해서 니핑되는 경우 컵 홀더에 대해서 아래로 가압되는 리브 형성방법.
- 제45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수형 모델부재는 상기 컵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암형 모델부재는 상기 컵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리브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7-245966 | 1997-08-28 | ||
JP24596697 | 1997-08-28 | ||
JP10011999A JPH11130157A (ja) | 1997-08-28 | 1998-01-07 | 断熱容器 |
JP98-11999 | 1998-01-07 | ||
JP10109804A JPH11300858A (ja) | 1998-04-20 | 1998-04-20 | 容器の成型装置および成型方法 |
JP98-109804 | 1998-04-20 | ||
JP98-126491 | 1998-05-08 | ||
JP12649298A JP3274413B2 (ja) | 1998-05-08 | 1998-05-08 | 断熱容器のスリーブ製造装置 |
JP12649398A JP3274414B2 (ja) | 1998-05-08 | 1998-05-08 | 断熱容器の組み合わせ装置 |
JP98-126493 | 1998-05-08 | ||
JP12649198A JP3274412B2 (ja) | 1998-05-08 | 1998-05-08 | 断熱容器の製造装置 |
JP98-126492 | 1998-05-08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13824A Division KR100729684B1 (ko) | 1997-08-28 | 1998-08-27 | 단열용기 |
KR1020007013825A Division KR100576190B1 (ko) | 1997-08-28 | 1998-08-27 | 단열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3701A true KR20000053701A (ko) | 2000-09-05 |
KR100306359B1 KR100306359B1 (ko) | 2001-09-24 |
Family
ID=2754837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04466A KR100842145B1 (ko) | 1997-08-28 | 1998-08-27 | 단열용기 |
KR1020007013825A KR100576190B1 (ko) | 1997-08-28 | 1998-08-27 | 단열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20007013824A KR100729684B1 (ko) | 1997-08-28 | 1998-08-27 | 단열용기 |
KR1019997003699A KR100306359B1 (ko) | 1997-08-28 | 1999-04-28 | 단열용기 |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04466A KR100842145B1 (ko) | 1997-08-28 | 1998-08-27 | 단열용기 |
KR1020007013825A KR100576190B1 (ko) | 1997-08-28 | 1998-08-27 | 단열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20007013824A KR100729684B1 (ko) | 1997-08-28 | 1998-08-27 | 단열용기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3) | US6663926B1 (ko) |
EP (2) | EP1479512A3 (ko) |
KR (4) | KR100842145B1 (ko) |
CN (5) | CN100551784C (ko) |
BR (1) | BR9806126A (ko) |
CA (4) | CA2632546C (ko) |
DE (1) | DE69823157T2 (ko) |
ES (1) | ES2219898T3 (ko) |
FI (1) | FI990654A0 (ko) |
HK (2) | HK1103289A1 (ko) |
ID (1) | ID21043A (ko) |
NO (2) | NO325712B1 (ko) |
PT (1) | PT934202E (ko) |
WO (1) | WO199901152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40197900A1 (en) * | 2003-04-04 | 2004-10-07 | Arnon Rosenthal | Foggy |
PT1227042E (pt) | 2001-01-30 | 2004-08-31 | Seda Spa | Recipiente de cartao para bebidas e processo para o mesmo |
SE524052C2 (sv) * | 2002-01-21 | 2004-06-22 |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 Förpackningsmaskin, enkelt omställbar för tillverkning av olika förpackningstyper |
CA2471419A1 (en) * | 2003-06-18 | 2004-12-18 | Fort James Corporation | Device for making containers |
DE20310622U1 (de) * | 2003-07-10 | 2003-11-06 | Seda S.P.A., Arzano | Behälter |
GB2410322A (en) * | 2004-01-21 | 2005-07-27 | Robinson & Sons Ltd | Thermally insulating paperboard tube arrangement |
AU2005233138B2 (en) * | 2004-04-08 | 2010-09-30 | Dart Container Corporation | Paper wrapped foam cup and method of assembly |
EP1744964A4 (en) | 2004-04-22 | 2011-08-31 | Dixie Consumer Products Llc | INSULATED CUP AND INSULATED CONTAINER |
DE102004056932B4 (de) | 2004-11-22 | 2022-07-28 |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 Ltd. | Doppelwandiger Pappbech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doppelwandigen Pappbechers |
US20060196923A1 (en) * | 2005-03-01 | 2006-09-07 | Tedford Richard A Jr | Insulated container |
DE102005017741A1 (de) * | 2005-04-12 | 2006-10-19 |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Ltd. | Doppelwandiger Pappbecher |
PL1900651T3 (pl) | 2005-04-15 | 2012-08-31 | Seda Spa | Urządzenie do wytwarzania izolowanego pojemnika |
ES2549117T3 (es) | 2005-04-15 | 2015-10-23 | Seda International Packaging Group Spa | Un recipiente aislado |
BRPI0601188B1 (pt) * | 2005-04-15 | 2018-06-26 | Seda S.P.A. | Recipiente isolado; método de fabricar o mesmo e aparelho para a fabricação |
US7704347B2 (en) | 2005-05-27 | 2010-04-27 | Prairie Packaging, Inc. | Reinforced plastic foam cu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
US7694843B2 (en) | 2005-05-27 | 2010-04-13 | Prairie Packaging, Inc. | Reinforced plastic foam cu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
US7814647B2 (en) | 2005-05-27 | 2010-10-19 | Prairie Packaging, Inc. | Reinforced plastic foam cu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
US7818866B2 (en) | 2005-05-27 | 2010-10-26 | Prairie Packaging, Inc. | Method of reinforcing a plastic foam cup |
DE202005014177U1 (de) | 2005-09-08 | 2005-11-17 | Seda S.P.A., Arzano | Doppelwandiger Becher |
DE202005014738U1 (de) | 2005-09-19 | 2007-02-08 | Seda S.P.A., Arzano | Behälter und Zuschnitt |
US10167130B2 (en) * | 2005-11-03 | 2019-01-01 | Strategic Solutions International, Llc | Insulating container |
EP1785370B2 (en) | 2005-11-11 | 2014-03-12 | SEDA S.p.A. | Insulated cup |
EP1785265A1 (en) | 2005-11-14 | 2007-05-16 | SEDA S.p.A. | Device for producing a stacking projection on a container wall and container with same |
US20070163569A1 (en) * | 2006-01-19 | 2007-07-19 | Mark Strachan |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selectably changing the temperature of a product by employing a snap action invertible actuator |
GB2435255A (en) * | 2006-02-17 | 2007-08-22 | T & S Patents Ltd | A double wall beverage container |
US7828199B2 (en) * | 2006-07-27 | 2010-11-09 | Huhtamaki, Inc. | Multi-layer heat insulating container |
CA2664625C (en) * | 2006-09-29 | 2012-09-11 | International Paper Company | Double wall container with internal spacer |
US20080087677A1 (en) * | 2006-10-12 | 2008-04-17 | Robertson Ronald D | Multi walled container and method |
US7767049B2 (en) | 2006-10-12 | 2010-08-03 | Dixie Consumer Products Llc | Multi-layered container having interrupted corrugated insulating liner |
DE202006018406U1 (de) | 2006-12-05 | 2008-04-10 | Seda S.P.A. | Verpackung |
US20080128481A1 (en) * | 2006-12-05 | 2008-06-05 | Robertson Ronald D | Stackable storage container with insulating sleeve |
EP1990184A1 (de) | 2007-05-11 | 2008-11-12 | Michael Hörauf Maschinenfabrik GmbH u. Co. KG |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konischen Hülse und/oder eines Papierbechers |
DE102008005403A1 (de) * | 2008-01-21 | 2009-07-23 |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Ltd. | Becher aus einem Papiermaterial |
DE102008014878A1 (de) | 2008-03-12 | 2009-09-17 |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Ltd. | Doppelwandiger Becher |
USD613554S1 (en) | 2008-03-14 | 2010-04-13 |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 Cup |
US20090261153A1 (en) * | 2008-04-18 | 2009-10-22 | Abbott Phillip G | Insulating sleeve for containers |
US20090261156A1 (en) * | 2008-04-18 | 2009-10-22 | Abbott Phillip G | Round top cup with folding closure |
US7726551B2 (en) * | 2008-04-18 | 2010-06-01 | Shamrock Cups, Llc | Container with folding lid |
US20100108693A1 (en) * | 2008-11-04 | 2010-05-06 | The Coca-Cola Company | Insulated double-walled disposable plastic cup |
ITMI20090005A1 (it) * | 2009-01-08 | 2010-07-09 | Novacart Spa | Contenitore in materiale cartaceo per alimenti, ad esempio liquidi, in particolare bevande, quale un bicchiere per bevande calde |
WO2011003568A2 (en) * | 2009-07-06 | 2011-01-13 | Huhtamäki Oyj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cup and a plurality of cups |
JP2012532072A (ja) * | 2009-07-06 | 2012-12-13 | フータマキ・オサケユキテュア・ユルキネン | ボール紙容器 |
EP2272657A3 (en) * | 2009-07-06 | 2011-09-28 | Huhtamäki Oyj | Production of a sidewall-segment for a cardboard container |
EP2272658A3 (en) * | 2009-07-06 | 2011-05-25 | Huhtamäki Oyj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container |
AT516596B1 (de) * | 2009-07-22 | 2016-11-15 | Michael Hörauf Maschf Gmbh Und Co Kg |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s Bechers |
AT508571B1 (de) | 2009-07-22 | 2015-10-15 | Rundpack Ag | Maschine zur herstellung eines bechers |
US9539786B2 (en) * | 2009-12-04 | 2017-01-10 | Huhtamäki Oyj | Container having a stacking support shaping |
US8828170B2 (en) | 2010-03-04 | 2014-09-09 | Pactiv LLC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inforced containers |
CN101804630B (zh) * | 2010-04-11 | 2011-09-21 | 王建平 | 纸杯机接杯机械手 |
KR101284911B1 (ko) * | 2011-11-21 | 2013-07-10 | 주식회사 진서 | 일회용 용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
DE202012000984U1 (de) | 2012-01-31 | 2012-03-01 | Optipack Gmbh | Behälter |
EP2623429A1 (de) | 2012-01-31 | 2013-08-07 | Optipack GmbH | Behälter |
CA2814820C (en) | 2012-05-04 | 2020-10-27 | Liming Cai | Insulating cup |
DE102012220112A1 (de) * | 2012-11-05 | 2014-05-22 | Michael Hörauf Maschinenfabrik GmbH & Co. KG | Isolierbech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solierbechers |
US9290312B2 (en) | 2013-08-14 | 2016-03-22 | Dart Container Corporation | Double-walled container |
KR101535887B1 (ko) * | 2013-08-14 | 2015-07-13 | 주식회사 에이스팩 | 종이컵 제조장치 |
CN103584636A (zh) * | 2013-11-21 | 2014-02-19 | 无锡俊达测试技术服务有限公司 | 一种便于清洗的杯子 |
US20160327339A1 (en) * | 2015-05-07 | 2016-11-10 | Pei-Ti Lin | Foaming paper cup heating structure |
CN105109106B (zh) * | 2015-07-14 | 2018-04-20 | 宣城市博思特日用品有限公司 | 具有转正限位功能的手柄纸杯加工装置 |
US10173802B2 (en) | 2015-10-27 | 2019-01-08 | Sonoco Development, Inc. | Composite container with separator for forming multiple compartments |
US10173803B2 (en) | 2015-10-27 | 2019-01-08 | Sonoco Development, Inc. | Composite container with separator for forming multiple compartments |
TWI568564B (zh) * | 2016-01-15 | 2017-02-01 | 泛亞聚酯工業股份有限公司 | 形成耐熱塑料杯套的方法及耐熱塑料杯套 |
US10477998B2 (en) | 2016-03-01 | 2019-11-19 | Berry Plastics Corporation | Drink cup |
CN105947343A (zh) * | 2016-06-21 | 2016-09-21 | 丁椒平 | 一种纸杯及其加工工艺 |
TWI624417B (zh) * | 2016-07-04 | 2018-05-21 | Wen Chin Liu | Insulated cup cover for fixing the lid |
WO2018059878A1 (de) | 2016-09-30 | 2018-04-05 | Greiner Packaging Ag | Maschin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mbi-bechers |
WO2018068869A1 (en) | 2016-10-14 | 2018-04-19 | Havi Global Solution Europe | Double-wall container |
CN106477181A (zh) * | 2016-11-24 | 2017-03-08 | 成都岸宝纸业集团有限公司 | 一种隔热保温纸杯及其制备方法 |
KR101971518B1 (ko) * | 2017-11-23 | 2019-04-2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원지 지지 장치 |
WO2019200189A1 (en) * | 2018-04-13 | 2019-10-17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Container with insulating features |
US11945641B2 (en) | 2018-04-13 | 2024-04-02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Container with insulating features |
KR102013069B1 (ko) * | 2018-05-21 | 2019-08-21 | 최병철 | 터렛형 컵슬리브 제조장치 |
CN110682564A (zh) * | 2018-07-04 | 2020-01-14 | 沛恩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 冰桶及其制造方法 |
US11760529B2 (en) | 2019-04-05 | 2023-09-19 | Huhtamaki, Inc. | Container and bottom end construction therefor |
CN110406757A (zh) * | 2019-08-02 | 2019-11-05 | 厦门泉舜纸塑容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快速降温纸杯 |
CN110893697A (zh) * | 2019-12-07 | 2020-03-20 | 浙江新德宝机械有限公司 | 新型卧式高速纸杯或纸碗成型机 |
IT202000008263A1 (it) * | 2020-04-17 | 2021-10-17 | Europrogetti Srl | Apparecchiatura per il rivestimento di scatole in cartone con porzioni di foglio autoadesivo |
WO2022020606A1 (en) * | 2020-07-23 | 2022-01-27 | Alan Mark Crawley | Further improvements in integral double-walled containers |
US20220204247A1 (en) * | 2020-12-28 | 2022-06-30 | Berry Global, Inc. | Beverage container |
WO2023205117A1 (en) * | 2022-04-19 | 2023-10-26 |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 A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 container with insulating features |
WO2024161384A1 (en) * | 2023-01-30 | 2024-08-08 | Kamel Dawahry And Sons Ltd | Method for making biodegradable cardboard plant pots |
CN116176099B (zh) * | 2023-03-14 | 2024-03-12 | 沈阳汉科半导体材料有限公司 | 一种多工位石英片压合机 |
Family Cites Families (6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26798A (en) * | 1964-03-31 | Method and apparatus for scoring containers | ||
US1828234A (en) * | 1930-03-18 | 1931-10-20 | George W Swift Jr Inc | Blank creasing device |
US2266828A (en) * | 1939-01-05 | 1941-12-23 | Milwaukee Lace Paper Company | Paper cup |
US2266948A (en) * | 1940-06-06 | 1941-12-23 | Dixie Vortex Co | Machine for and method of making containers |
US2942530A (en) * | 1958-12-24 | 1960-06-28 | Paper Machinery Corp | Blank wrapping mechanism for frustoconical cup making machines |
US3186850A (en) * | 1960-04-28 | 1965-06-01 | Anthony Roy | Cup containing beverage ingredient |
FR1294731A (fr) | 1960-09-21 | 1962-06-01 | Alsacienne Constr Meca |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thermo-électriques à semi-conducteurs |
US3134307A (en) * | 1962-07-31 | 1964-05-26 | Paper Machinery Corp | Heat sealing device for side seams of paper cups |
FR1394731A (fr) | 1963-07-04 | 1965-04-09 | Haveg Industries Inc | Procédé et machine pour la fabrication de récipients |
US3456860A (en) * | 1968-01-09 | 1969-07-22 | Illinois Tool Works | Double wall cup |
US3765351A (en) * | 1971-04-09 | 1973-10-16 | American Can Co | Method and apparatus for beading, necking-in and flanging metal can bodies |
US3797369A (en) * | 1971-07-14 | 1974-03-19 | Owens Illinoi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composite containers |
JPS4987479U (ko) * | 1972-11-15 | 1974-07-29 | ||
JPS5139582B2 (ko) | 1972-12-28 | 1976-10-28 | ||
US4007670A (en) * | 1974-02-28 | 1977-02-15 | St. Regis Paper Company | Insulated container |
US4080880A (en) * | 1974-03-08 | 1978-03-28 | Dai Nippon Printing Company Limited | Method for preparation of cylindrical corrugated article |
FR2337623A1 (fr) * | 1976-01-08 | 1977-08-05 | Chambon Machines | Procede et dispositif de rainage d'un materiau plat et mince |
JPS5297282U (ko) | 1976-01-20 | 1977-07-21 | ||
US4070888A (en) * | 1977-02-28 | 1978-01-31 | Coors Container Company | Apparatu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ly necking and flanging a can body member |
US4349400A (en) * | 1977-05-10 | 1982-09-14 | Maryland Cup Corporation | Method for manufacturing two-piece containers from filled thermoplastic sheet material |
US4247277A (en) | 1979-01-25 | 1981-01-27 | Maryland Cup Corporation | Cup bead or fill line former |
US4316375A (en) * | 1979-11-30 | 1982-02-23 | Reynolds Metals Company | Apparatus for corrugating can body flanges |
DE3024407A1 (de) * | 1980-06-28 | 1982-01-21 | Michael Hörauf Maschinenfabrik, 7334 Süssen | Papierbecher aus oberflaechengeschuetztem karton |
US4490130A (en) * | 1981-08-10 | 1984-12-25 | Paper Machinery Corporation | Machine for forming seams of two-piece paper cups |
US4409045A (en) * | 1982-07-20 | 1983-10-11 | Maryland Cup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the sidewall and bottom seam portions of two-piece containers during manufacture thereof |
US4680023A (en) * | 1985-04-19 | 1987-07-14 | Sherwood Tool, Incorporated | Container forming apparatus having in-line blanker |
JPS6261943A (ja) | 1985-09-11 | 1987-03-18 | Nippon Petrochem Co Ltd | 3−エチルベンゾフエノンの製造法 |
US4680016A (en) | 1986-01-31 | 1987-07-14 | Lynch Bobby R | Apparatus and method for rimming containers |
JPH0445216A (ja) | 1990-06-12 | 1992-02-14 | Kawasaki Steel Corp | 混銑車の耐火物構造とその施工方法 |
JP2867625B2 (ja) * | 1990-06-12 | 1999-03-08 |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 溶鉱炉 |
JP2861303B2 (ja) * | 1990-07-06 | 1999-02-24 | 凸版印刷株式会社 | 断熱容器の製造方法 |
JP2799056B2 (ja) | 1990-08-16 | 1998-09-17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カップ成型機 |
JP2571797Y2 (ja) * | 1990-08-17 | 1998-05-18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断熱紙カップ |
JPH04201840A (ja) | 1990-11-29 | 1992-07-22 | Toppan Printing Co Ltd | 断熱紙容器 |
US5123891A (en) * | 1991-07-18 | 1992-06-23 | Westvaco Corporation | Box machine die knife stabilizer |
JPH05104372A (ja) | 1991-10-15 | 1993-04-27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搬送ロボツトを備えた数値制御工作機械 |
US5145107A (en) * | 1991-12-10 | 1992-09-08 | International Paper Company | Insulated paper cup |
US5324249A (en) * | 1992-08-28 | 1994-06-28 | Paper Machinery Corporation | Cup making machine |
JP3214085B2 (ja) * | 1992-08-31 | 2001-10-02 | 凸版印刷株式会社 | 断熱用シート材巻付カップ容器の製造装置 |
JP2567942Y2 (ja) * | 1993-02-24 | 1998-04-08 | 凸版印刷株式会社 | 断熱性紙カップ |
CN2175191Y (zh) * | 1993-10-09 | 1994-08-24 | 刘元薰 | 防滑隔热纸制容器 |
US5363982A (en) * | 1994-03-07 | 1994-11-15 | Sadlier Claus E | Multi-layered insulated cup formed of one continuous sheet |
JP3047763B2 (ja) * | 1994-08-02 | 2000-06-05 | 凸版印刷株式会社 | 断熱カ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
JPH0872850A (ja) * | 1994-09-01 | 1996-03-19 | Sigma Shigyo Kk | 面子の脱落防止装置 |
US5556364A (en) * | 1994-09-22 | 1996-09-17 | Paper Machinery Corporation | Cup bottom incurl workstation for a cup making machine |
JPH08104372A (ja) | 1994-10-05 | 1996-04-23 | Polymer Syst:Kk | 二液混合式薬剤の使い捨てパック |
JP2920598B2 (ja) * | 1994-10-07 | 1999-07-19 | 三陽パックス株式会社 | 即席食品用断熱容器 |
CN1062524C (zh) * | 1994-10-07 | 2001-02-28 | 三阳百丝株式会社 | 速食食品用绝热容器 |
JPH08207969A (ja) * | 1994-11-30 | 1996-08-13 | Sanyo Packs Kk | 即席食品用断熱容器 |
US5460323A (en) * | 1995-01-10 | 1995-10-24 | California Environmental Cup, Inc. | Disposable insulated container |
US5524817A (en) * | 1995-04-04 | 1996-06-11 | Paper Machinery Corporation | Dual walled container |
US5542599A (en) * | 1995-08-07 | 1996-08-06 | Sobol; Ronald E. | Biodegradable thermally insulated beverage cup |
JP3702908B2 (ja) | 1995-08-14 | 2005-10-05 | 日本紙パック株式会社 | 断熱性紙カップ |
US5660326A (en) | 1995-08-18 | 1997-08-26 | Sherwood Tool Incorporated | Multi-layered insulated cup formed from folded sheet |
US5752653A (en) * | 1996-05-13 | 1998-05-19 | Razzaghi; Mahmoud | Paper cup with air insulation |
US5839653A (en) * | 1996-07-12 | 1998-11-24 | Zadravetz; Robert B. | Container with corrugated wall |
US5992489A (en) * | 1997-08-28 | 1999-11-30 | Sweetheart Cup Company Inc. | Cup forming machine |
EP1031514B1 (en) * | 1998-05-20 | 2007-10-31 | Dai Nippon Printing Co., Ltd. | Insulating container |
DE19840841B4 (de) * | 1998-09-07 | 2007-02-08 | Michael Hörauf Maschinenfabrik GmbH & Co. KG | Wärmeisolierender Becher |
EP4331513A3 (en) * | 2016-05-27 | 2024-10-09 | Mako Surgical Corp. | Preoperative planning and associated intraoperative registration for a surgical system |
-
1998
- 1998-08-27 ES ES98940578T patent/ES2219898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8-27 US US09/269,594 patent/US666392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8-27 CN CNB2006101006443A patent/CN10055178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27 CA CA2632546A patent/CA2632546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27 DE DE69823157T patent/DE69823157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8-27 CN CNB2004101000503A patent/CN10039647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27 KR KR1020077004466A patent/KR1008421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8-27 CA CA002267361A patent/CA2267361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27 KR KR1020007013825A patent/KR1005761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8-27 BR BR9806126-7A patent/BR9806126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8-27 EP EP04003241A patent/EP1479512A3/en not_active Withdrawn
- 1998-08-27 WO PCT/JP1998/003814 patent/WO1999011526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8-08-27 CN CN98801208A patent/CN109579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27 PT PT98940578T patent/PT934202E/pt unknown
- 1998-08-27 EP EP98940578A patent/EP093420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08-27 CA CA2672667A patent/CA2672667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27 CN CN2006101006439A patent/CN191566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27 CA CA2672552A patent/CA2672552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8-27 KR KR1020007013824A patent/KR1007296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08-28 ID IDP981178A patent/ID21043A/id unknown
-
1999
- 1999-03-24 FI FI990654A patent/FI990654A0/fi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4-23 NO NO19991934A patent/NO325712B1/n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4-28 KR KR1019997003699A patent/KR100306359B1/ko active IP Right Review Request
-
2002
- 2002-05-16 CN CNB021199264A patent/CN120402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10-27 US US10/694,140 patent/US717558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12-19 US US11/641,997 patent/US761835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7-06 HK HK07107246.0A patent/HK1103289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7-06 HK HK07107247.9A patent/HK1103286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3-27 NO NO20081505A patent/NO20081505L/n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06359B1 (ko) | 단열용기 | |
US10035321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ical sleeve and/or a paper cup | |
US9848719B2 (en) | Disposable fluted paperboard plates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4197948A (en) | Nestable foam cup | |
US4088526A (en) |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rmoplastic containers | |
US4106397A (en) | Pick-up head assembly for use in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rmoplastic containers | |
US397049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rmoplastic containers | |
JPS629019B2 (ko) | ||
MXPA06011562A (es) | Taza de espuma envulta en papel y metodo de ensamble. | |
JP2008501588A (ja) | ラミネート材料から作られる容器、ブランク及び方法 | |
EP2049325A1 (en) | Two piece paper cup and sidewall blank therefor | |
JPS63141108U (ko) | ||
EP0025621A1 (en) |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container intended for contents under pressure | |
CA1091169A (en) | Container | |
CA105162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thermoplastic containers | |
JPH11314286A (ja) | 断熱容器およびその製造装置 | |
TW382000B (en) | Heat-insulating container, and heat-insulating container producing apparatus, sleeve forming apparatus, assembling apparatus and rib-processing apparatus used in producing the heat-insulating containr, and rib forming process used therefor | |
MXPA99003913A (en) | Heat-insulating containe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 |
JP2002515365A (ja) | 容器形成装置 | |
JP4066230B2 (ja) | 断熱容器 | |
JP2532051Y2 (ja) | 断熱性容器の製造装置 | |
KR950013704A (ko) | 1회용 보온 종이컵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O035 |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 ||
O122 |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 ||
O035 |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 ||
O132 |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 ||
J210 |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1012 Effective date: 200509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30001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1012 Effective date: 20050930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O064 |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