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518B1 - 원지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원지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518B1
KR101971518B1 KR1020170157540A KR20170157540A KR101971518B1 KR 101971518 B1 KR101971518 B1 KR 101971518B1 KR 1020170157540 A KR1020170157540 A KR 1020170157540A KR 20170157540 A KR20170157540 A KR 20170157540A KR 101971518 B1 KR101971518 B1 KR 10197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paper
support
clamp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대희
홍준호
정상열
위형종
김학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7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7/00Making conical articles by winding
    • B31C7/02Forming truncated cone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컵을 제조하기 위한 원지를 지지하는 원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지 지지 장치는 내부에 상기 원지들이 서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수용홀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최외측 원지 중 부채꼴 형상의 상기 원지의 호 영역을 지지하여 상기 원지들을 지지하는 한 쌍의 곡선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최외측 원지 중 부채꼴 형상의 상기 원지의 직선 영역을 지지하여 상기 원지들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부재와 그리고 상기 곡선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측면 가이드 부재의 위치 또는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원지의 사이즈에 따라서 지지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지 지지 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a paper}
본 발명은 종이컵을 제조하기 위한 원지를 지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종이컵 제조 공정 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의 원지를 지지할 수 있는 원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바뿐 생활 습관으로 인하여 아침부터 저녁까지 각자의 기호에 맞게 커피 내지 음료수를 컵에 담아 마시면서 생활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 습관의 변화로 인하여 최근에는 식사 후, 커피나 음료를 즐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더하여, 라면 등과 같은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일회용 종이컵 또는 일회용 용기의 사용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통상의 종이컵은 종이시트에 합성수지를 코팅한 후, 이를 이용하여 테이퍼진 원통형 본체를 만들고, 그 하단부에 원판형 바닥재를 고정하여 형성된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종이컵은 매우 가볍고 사용 후 바로 버릴 수 있어 일상 생활에서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제조단가가 낮고 재활용할 수도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종이컵의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부채꼴 모양의 종이 원지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다. 절단된 종이컵 원지는 다수개가 서로 적층된 형태로 지지된다. 이 후 원지를 하나씩 원통 형상으로 접착하고 그 하단에 컵밑지를 접착하여 제조하였다.
이 중 원지를 보관하는 지지 장치를 살펴보면, 내부에 다수개가 서로 적층된 상태로 원지를 보관할 수 있는 프레임을 가진다. 프레임은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프레임의 앞단의 원지가 하부로 쏟아져 나올 수 있어, 최외측 원지를 복수개의 지지부로 지지한다. 다만, 이러한 지지부는 원지의 사이즈가 달라지는 경우 개별적인 위치 조정이 필요하다. 현재에는 사람이 수작업으로 원지 원지의 사이즈가 달라지는 경우 지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나, 다양한 사이즈의 원지가 필요한 공정에서 지지부의 위치를 수작업으로 조정하여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사이즈의 원지를 지지할 수 있는 원지 지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지의 사이즈에 따라서 자동으로 원지 지지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 원지 지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종이컵 제조를 위한 원지를 지지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원지 지지 장치는 내부에 상기 원지들이 서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수용홀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최외측 원지 중 부채꼴 형상의 상기 원지의 호 영역을 지지하여 상기 원지들을 지지하는 한 쌍의 곡선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최외측 원지 중 부채꼴 형상의 상기 원지의 직선 영역을 지지하여 상기 원지들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부재와 그리고 상기 곡선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측면 가이드 부재의 위치 또는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원지의 사이즈에 따라서 지지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곡선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곡선 가이드부와 상기 곡선 가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원지와 접촉하여 상기 원지를 지지하는 곡선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곡선 지지부는 상기 곡선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곡선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곡선 지지 몸체와 상기 곡선 지지 몸체에 결합되며, 그 길이가 변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복수개가 제공되는 곡선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곡선 클램프 중 일측 끝단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곡선 지지부는 상기 곡선 클램프와 결합되며 상기 곡선 클램프를 이동시킬 수 있는 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가이드 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 가이드부와 상기 측면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측면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측면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측면 지지 몸체와 상기 측면 지지 몸체와 결합되며, 그 길이가 변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측면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 클램프 중 일측 끝단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예 따르면,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원지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곡선 클램프 또는 상기 측면 클램프의 길이을 조절하거나, 상기 곡면 가이드부 또는 상기 측면 가이드부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상기 곡선 클램프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곡선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측면 지지 부재가 상기 원지를 지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원지의 사이즈가 달라져도 원지를 지지하는 곡선 지지 부재 또는 측면 지지 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원지를 하나의 장치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다양한 사이즈의 원지를 지지 시 별도의 사이즈 조정 작업 없이 원지를 지지할 수 있어, 종이컵 제조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원지 지지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지 지지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원지의 크기 변화 시 원지의 지지 위치 변화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곡선 지지 부재의 일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곡선 클램프 또는 측면 클램프의 끝단 형상에 따른 원지 지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부분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원지 지지 장치(1)를 제공한다. 일 예로, 원지 지지 장치(1)는 종이컵 제조 공정 시 부채꼴 형상의 원지(A)를 적재하며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장치이다. 원지 지지 장치(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원지(A)가 서로 적층되어 위치할 수 있다. 원지 지지 장치(1)는 원지(A)가 원통형상으로 제조되기 전에 원지(A)를 지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원지 지지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원지 지지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원지의 크기 변화 시 원지 지지 장치 변화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곡선 지지 부재의 일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원지 지지 장치(1)는 베이스(10), 프레임(20), 곡선 지지 부재(30), 측면 가이드 부재(40) 그리고 제어 부재(5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프레임(20), 곡선 지지 부재(30) 그리고 측면 가이드 부재(40)를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프레임(20)이 기설정된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프레임(20)과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0)의 상부에는 프레임(20)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2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진다. 프레임(20)은 내부에 수용홀(21)을 가질 수 있다. 수용홀(21)의 내부에는 원지(A)가 위치할 수 있다. 수용홀(21)은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수용홀(21)의 단면은 상기 형상을 한정되지 않으며, 원지(A)가 보관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수용홀(21)의 내부에는 서로 적층된 다수개의 원지(A)가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기설정된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원지(A)는 종이컵의 측면을 펴놓은 형상으로,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원지(A)의 영역 중 부채꼴의 양쪽 호 형상을 가지는 구역을 호 영역(C1, C2)으로 정의한다. 원지(A)의 영역 중 호 형상을 가지는 영역 이외에 직선의 형태를 가지는 측면 부분은 직선 영역(L1, L2)으로 정의한다.
곡선 지지 부재(30)는 프레임(20)의 최외측 원지(A) 중 원지(A)의 호 영역(C1, C2)을 지지 할 수 있다. 곡선 지지 부재(30)는 한 쌍이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곡선 지지 부재(30) 중 어느 하나는 호 영역(C1, C2) 중 더 큰 크기를 가지는 호 영역(C1)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곡선 지지 부재(30)중 다른 하나는 호 영역(C1, C2) 중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호 영역(C2)을 지지 할 수 있다.
곡선 지지 부재(30)는 곡선 가이드부(31) 및 곡선 지지부(34)를 포함한다.
곡선 가이드부(31)는 프레임(20)과 결합될 수 있다. 곡선 가이드부(31)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곡선 가이드부(31)는 프레임(20)과 결합되면, 프레임(20)의 상하 좌우로 이동하여 원지(A)의 사이즈에 따라서 곡선 지지부(3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곡선 가이드부(31)에는 가이드 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32)은 곡선 가이드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32)에는 후술하는 곡선 지지 몸체(35)가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곡선 지지부(34)는 곡선 가이드부(31)와 결합될 수 있다. 곡선 지지부(34)는 원지(A)와 접촉할 수 있다. 곡선 지지부(34)는 원지(A)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곡선 지지부(34)는 원지(A)의 호 영역(C1, C2)을 지지할 수 있다. 곡선 지지부(34)는 프레임(20)의 복수개의 원지(A) 중 최외곽의 원지(A)와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최외곽이란,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는 프레임(20)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원지(A)가 위치하는 곳을 최외곽이라 칭한다.
곡선 지지부(34)는 곡선 지지 몸체(35), 곡선 클램프(36) 그리고 지지바(37)를 포함한다. 곡선 지지 몸체(35)는 곡선 가이드부(31)와 결합될 수 있다. 곡선 지지 몸체(35)는 가이드 홈(3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곡선 지지 몸체(35)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곡선 지지 몸체(35)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곡선 클램프(36)는 곡선 지지 몸체(35)에 결합될 수 있다. 곡선 클램프(36)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곡선 클램프(36)는 곡선 지지 몸체(35)와 대응되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곡선 클램프(36)는 프레임(20)의 최외곽에 위치한 윈지와 직접 접촉 수 있다. 곡선 클램프(36)는 원지(A)와 접촉하여 원지(A)를 지지할 수 있다.
곡선 클램프(36)의 일측 끝단은 반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곡선 클램프(36) 중 원지와 접촉하는 부분의 끝단은 라운드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곡선 클램프(36)는 그 길이가 변화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곡선 클램프(36)는 원지(A)의 크기에 따라서 그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곡선 클램프(36)는 곡선 지지 몸체(35)에 결합되어, 곡선 지지 몸체(35)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곡선 클램프(36)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다만 원지(A)의 사이즈에 따라서 곡선 지지 몸체(35)의 하부 또는 상부로 이동하여 원지(A)와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지(A)의 사이즈가 커질 경우, 원지(A)의 상하의 호 영역(C1, C2)에 해당하는 원지(A)가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곡선 클램프(36)는 기존의 위치에 위치 조절이 필요하다. 일 예로, 상부의 호 영역(C1을 지지하는 곡선 클램프(36)의 경우, 곡선 클램프(36)를 상부로 이동시켜서 원지(A)의 호 영역(C1)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에 위치하는 곡선 클램프(36)의 경우, 곡선 지지 몸체(35)의 하부로 곡선 클램프(36)를 이동 시켜 원지(A)의 호 영역(C2)을 지지 할 수 있다.
지지바(37)는 곡선 클램프(36)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바(37)는 곡선 클램프(36)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바(37)는 곡선 클램프(36)의 끝단과 결합되어, 곡선 클램프(36)의 상하 위치 또는 회전시켜 곡선 클램프(36)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측면 가이드 부재(40)는 프레임(20)의 최외측 원지(A) 중 원지(A)의 직선 영역(L1, L2)을 지지 할 수 있다. 측면 가이드 부재(40)는 한 쌍이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부재(40)는 두 개의 직선 영역(L1, L2)을 지지 할 수 있다.
측면 가이드 부재(40)는 측면 가이드부(41) 및 측면 지지부(44)를 포함한다.
측면 가이드부(41)는 프레임(20)과 결합될 수 있다. 측면 가이드부(41)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측면 가이드부(41)는 프레임(20)과 결합되면, 프레임(20)의 상하 좌우로 이동하여 원지(A)의 사이즈에 따라서 측면 지지부(44)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측면 가이드부(41)에는 측면 가이드 홈(42)이 형성될 수 있다. 측면 가이드 홈(42)은 측면 가이드부(4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가이드 홈(42)에는 후술하는 측면 지지 몸체(45)가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가이드부(41)의 길이방향과 곡면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을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측면 지지부(44)는 측면 가이드부(41)와 결합될 수 있다. 측면 지지부(44)는 원지(A)와 접촉할 수 있다. 측면 지지부(44)는 원지(A)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측면 지지부(44)는 원지(A)의 직선 영역(L1, L2)을 지지할 수 있다. 측면 지지부(44)는 프레임(20)의 복수개의 원지(A) 중 최외곽의 원지(A)와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다.
측면 지지부(44)는 측면 지지 몸체(45) 및 측면 클램프(46)를 포함한다. 측면 지지 몸체(45)는 측면 가이드부(41)와 결합될 수 있다. 측면 지지 몸체(45)는 측면 가이드 홈(4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측면 지지 몸체(45)가 한 개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면 지지 몸체(45)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측면 지지 몸체(45)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측면 클램프(46)는 측면 지지 몸체(45)에 결합될 수 있다. 측면 클램프(46)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측면 클램프(46)는 측면 지지 몸체(45)와 대응되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측면 클램프(46)는 프레임(20)의 최외곽에 위치한 윈지와 직접 접촉 수 있다. 측면 클램프(46)는 원지(A)와 접촉하여 원지(A)를 지지할 수 있다.
측면 클램프(46)의 일측 끝단은 반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측면 클램프(46) 중 원지와 접촉하는 부분의 끝단은 라운드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측면 클램프(46)는 그 길이가 변화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측면 클램프(46)는 원지(A)의 크기에 따라서 그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측면 클램프(46)는 측면 지지 몸체(45)에 결합되어, 측면 지지 몸체(45)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클램프(46)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다만 원지(A)의 사이즈에 따라서 측면 지지 몸체(45)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원지(A)와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지(A)의 사이즈가 커질 경우, 원지(A)의 양쪽 직선 영역(L1, L2)에 해당하는 원지(A)가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클램프(46)는 기존의 위치에 위치 조절이 필요하다. 일 예로, 일측의 직선 영역(L1, L2)을 지지하는 측면 클램프(46)의 경우, 측면 클램프(46)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원지(A)의 직선 영역(L1, L2)을 지지할 수 있다.
제어 부재(50)는 원지(A)의 크기에 따라서 곡선 지지 부재(30) 또는 측면 가이드 부재(40)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지(A)의 지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부재(50)는 원지(A)의 크기에 따라서 곡선 클램프(36) 또는 상기 측면 클램프(46)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곡면 가이드부 또는 측면 가이드부(41)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곡선 클램프(36)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곡선 지지 부재(30) 또는 상기 측면 가이드 부재(40)가 원지(A)를 지지하도록 제어할 있다.
일 예로, 제어 부재(50)는 원지(A)의 사이즈가 커질 경우, 곡선 가이드부(31)를 상하부로 측면 가이드부(41)를 좌우측으로 한다. 이 경우, 한 쌍의 곡면 지지 부재 및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부재(40)의 서로 간의 간격이 멀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 부재(50)는 곡선 클램프(36) 또는 측면 클램프(46)의 길이 조절 또는 위치를 조절하여 윈지의 호 영역(C1, C2) 또는 직선 영역(L1, L2)을 지지하도록 각각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곡선 클램프 또는 측면 클램프의 끝단 형상에 따른 원지 지지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곡선 클램프(36) 및 측면 클램프(46)의 끝단이 네모진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 경우, 원지(A)를 지지하기 위해서 원지(A) 사이즈가 변경되는 경우, 상하 좌우의 직선 이동뿐만 아니라 일부 곡선 클램프(36) 또는 측면 클램프(46)는 회전 이동하여야 원지(A)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원지(A)의 경우 후속 공정을 위해 원지 지지 장치(1)에서 빠져 나올 수 있어야 한다. 만약 도 6과 같이, 곡선 클램프(36) 및 측면 클램프(46)의 끝단이 네모진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원지(A)가 원지 지지 장치(1)에서 빠져 나오기 위해서는 원지(A) 호의 접선과 곡선 클램프(36)의 끝단 변이 평행해야 잘 빠져 나올 수 있다(도 7 참조). 이를 위해서 원지(A)의 사이즈가 변하여 원지(A) 지지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경우, 곡선 클램프(36) 또는 측면 클램프(46)의 이동은 상하 및 좌우 이동뿐만 아니라 회전이동까지 함께 하여 이동 위치를 조정해주어야 한다.
이에 반해, 도 8과 같이 곡선 클램프(36) 및 측면 클램프(46)의 끝단이 곡선 또는 반원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하 좌우의 이동 만으로 원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곡선 클램프(36) 및 측면 클램프(46)가 별도의 회전이동이 없어도 원지(A) 호의 접선 아래로 지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원지(A)를 원지 지지 장치(1)에서 빼내는 경우 원지를 잘 빠져 나올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원지 지지 장치 중 곡선 클램프(36) 및 측면 클램프(46)의 끝단을 원형의 형태로 제공하여 다른 사이즈의 원지(A) 지지 시 곡선 클램프(36) 또는 측면 클램프(46)를 직선 이동 만으로 위치 이동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최소 이동으로 원지(A)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경우 원지의 사이즈에 따라서 원지를 지지하는 구성의 위치를 조절하여 윈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지의 사이즈에 따라서 원지 지지 장치의 각각의 구성을 위치를 수동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없어 종이컵 제조 공정의 시간 단축 및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원지 지지 장치 10: 베이스
20: 프레임 30: 곡선 지지 부재
31: 곡선 가이드부 34: 곡선 지지부
35: 곡선 지지 몸체 36: 곡선 클램프
40: 측면 가이드 부재 41: 측면 가이드부
44: 측면 지지부 45: 측면 지지 몸체
46: 측면 클램프 50: 제어 부재

Claims (11)

  1. 종이컵 제조를 위한 원지 지지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부채꼴 형상의 원지들이 서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수용홀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적층된 원지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원지의 호 영역을 지지하여 상기 원지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 하, 좌, 우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곡선 지지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적층된 원지 중 최하부에 위치하는 원지의 직선 영역을 지지하여 상기 원지들을 지지하기 위해 상, 하, 좌, 우로 이동 가능한 한 쌍의 측면 가이드 부재와; 그리고
    상기 곡선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측면 가이드 부재의 위치 또는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원지의 사이즈에 따라서 지지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원지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곡선 가이드부와;
    상기 곡선 가이드부에 결합되며, 상기 원지와 접촉하여 상기 원지를 지지하는 곡선 지지부를 포함하는 원지 지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지지부는,
    상기 곡선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곡선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곡선 지지 몸체와;
    상기 곡선 지지 몸체에 결합되며, 그 길이가 변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복수개가 제공되는 곡선 클램프를 포함하는 원지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클램프 중 일측 끝단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지 지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지지부는 상기 곡선 클램프와 결합되어 상기 곡선 클램프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원지 지지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이드 부재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 가이드부와;
    상기 측면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원지 지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는,
    상기 측면 가이드부와 결합되며, 상기 측면 가이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측면 지지 몸체와;
    상기 측면 지지 몸체와 결합되며, 그 길이가 변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측면 클램프를 포함하는 원지 지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클램프 중 일측 끝단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지 지지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원지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곡선 가이드부 또는 상기 측면 가이드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곡선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측면 가이드 부재가 상기 원지를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원지 지지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원지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곡선 클램프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곡선 클램프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곡선 지지 부재가 상기 원지를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원지 지지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원지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측면 클램프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측면 클램프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측면 가이드 부재가 상기 원지를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원지 지지 장치.
KR1020170157540A 2017-11-23 2017-11-23 원지 지지 장치 KR101971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540A KR101971518B1 (ko) 2017-11-23 2017-11-23 원지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540A KR101971518B1 (ko) 2017-11-23 2017-11-23 원지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518B1 true KR101971518B1 (ko) 2019-04-23

Family

ID=6628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540A KR101971518B1 (ko) 2017-11-23 2017-11-23 원지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5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88Y1 (ko) * 1992-09-09 1995-08-28 송완희 종이컵 제조장치에 있어서, 컵상부 커링 및 하방 밀착장치
KR950008444Y1 (ko) * 1992-09-09 1995-10-11 송완희 종이컵 제조장치에 있어서, 옆지 및 권취된 옆지(동체)의 이송장치
KR20010034897A (ko) * 1997-08-28 2001-04-25 기타지마 요시토시 단열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6162078A1 (en) * 2015-04-10 2016-10-13 Abb Technology Ag A stacking line system, and a method for stacking blanks which are outputted from a blanking shear or pre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088Y1 (ko) * 1992-09-09 1995-08-28 송완희 종이컵 제조장치에 있어서, 컵상부 커링 및 하방 밀착장치
KR950008444Y1 (ko) * 1992-09-09 1995-10-11 송완희 종이컵 제조장치에 있어서, 옆지 및 권취된 옆지(동체)의 이송장치
KR20010034897A (ko) * 1997-08-28 2001-04-25 기타지마 요시토시 단열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WO2016162078A1 (en) * 2015-04-10 2016-10-13 Abb Technology Ag A stacking line system, and a method for stacking blanks which are outputted from a blanking shear or pr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518B1 (ko) 원지 지지 장치
US5618035A (en) Offset stacker
KR20140063676A (ko) 식품 절단 장치
KR20140059020A (ko) 선반 이동장치
JP2016074542A5 (ko)
US20180332996A1 (en) Cold brew coffee extraction device for adjusting sonic vibration based on sound signal
RU2017129560A (ru)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держания и сохранения стеклянных изделий
CN108892097B (zh) 装配有高度可调节的分配头的饮料分配机
CN107512212B (zh) 一种用于汽车的可调茶杯套座
CN108544397A (zh) 一种木制品加工用雕刻固定装置
ITMI20012178A1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dell'altezza del piattodi un vaso portanastri
KR102204326B1 (ko) 컵 홀더
EP3966380A4 (en) EASILY ADJUSTABLE PITCH SEWING MACHINE
US10183412B2 (en) Cutting device for flexible material
KR10155533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꽂이
CN203700672U (zh) 一种织物防卷边边撑机构
US9643328B2 (en) Food slicing guide
SU462323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несени надсечек к машинам дл загибки краев гибкого материала
CN214361939U (zh) 雪尼尔纱线机的阻力控制器
CN109399303A (zh) 一种薄膜生产线上的摆杆式纠偏装置
CN201092496Y (zh) 一种普通络筒机的张力装置
CN109623921A (zh) 一种卷料裁切装置
KR102433428B1 (ko) 식재 성형대, 식품 성형 장치
CN217918949U (zh) 一种间距可调的电缆线盘防滚动装置
KR101532400B1 (ko) 책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