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246B1 -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246B1
KR102483246B1 KR1020210079088A KR20210079088A KR102483246B1 KR 102483246 B1 KR102483246 B1 KR 102483246B1 KR 1020210079088 A KR1020210079088 A KR 1020210079088A KR 20210079088 A KR20210079088 A KR 20210079088A KR 102483246 B1 KR102483246 B1 KR 102483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bobbin
spring
coffee
cold b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9095A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소닉더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닉더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소닉더치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79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246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피 수용액이 저장된 용기가 올려지는 안착판이 상면에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권취된 보빈과, 상기 보빈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하부 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부 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상하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에 전기가 공급되어 발생된 전기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안착판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와; 상기 진동 전달부의 스프링에 끼워져 상기 안착판에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진동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Cold brew coffee extractor with a small sonic vibration bobbin of dual magnet}
본 발명은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피 수용액이 저장된 용기에 가해지는 진동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콜드브루 커피란 찬물 또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우려낸 커피로서, 전통적인 방식에 따른 커피와 비교하여 쓴맛이 덜하고 부드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콜드브루 커피는 제조방식에 따라 점출식 및 침출식으로 나뉘어지는데, 점출식 콜드브루 커피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물을 분쇄된 커피에 떨어뜨려 투과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침출식 콜드브루 커피는 분쇄된 커피를 물이 담긴 용기에서 우려냄으로써 제조된다.
최근에는 자력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커피를 추출하는 전동 커피추출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전동 커피추출장치는 커피와 물이 담이 용기에 자기력과 전기력에 의한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 커피추출장치는 추출장치가 설치된 바닥면의 컨디션에 따라 전달되는 진동이 영향을 받거나 진동이 제공되는 물과 커피의 무게에 따라 전달되는 진동이 영향을 받아서 원하는 품질의 커피추출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동 커피추출장치에서 제공하는 진동의 세기를 상황에 따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커피추출장치는 진동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공개특허 10-2019-000551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상하로 형성된 상태에서 전기공급에 의해 발생된 전기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킨 후 이 진동을 커피 수용액이 저장된 용기에 제공함으로써 진동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용기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는 커피 수용액이 저장된 용기가 올려지는 안착판이 상면에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코일이 권취된 보빈과, 상기 보빈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하부 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부 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상하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에 전기가 공급되어 발생된 전기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와; 상기 진동 발생부에서 발생된 진동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안착판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와; 상기 진동 전달부의 스프링에 끼워져 상기 안착판에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진동 전달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저면에 구비되는 상부스프링 고정구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하부스프링 고정구와; 상단이 상기 상부스프링 고정구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스프링 고정구에 연결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진동판에는 안착판에 올려진 커피 수용액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클립은 상기 스프링 사이에 끼워지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스프링 사이에 끼워지는 제2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와 제2수평부를 연결하는 수직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립은 상기 스프링 사이에 끼워지는 제1삽입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외측면에 끼움돌기가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제1삽입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스프링 사이에 끼워지는 제2삽입부와; 상기 제2삽입부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포위부와; 상기 포위부의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회동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절곡부의 하단과 상기 포위부의 바닥면 사이에는 상기 절곡부를 상측으로 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는 상부 자석과 하부 자석에 의해 상하로 자기장이 형성된 상태에서 코일에 공급된 전기에 의해 발생된 전기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함으로써 바닥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진동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클립을 스프링에 설치하여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커피 수용액이 저장된 용기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클립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클립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클립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 용기 내에 액체와 커피 원료를 혼합한 커피 수용액을 담은 상태에서 진동을 커피 수용액에 제공함으로써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부(20)와, 상기 진동 발생부(20)에서 발생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30)와, 상기 진동 전달부(30)의 진동 세기를 조절하는 클립(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커피 수용액이 저장된 용기가 올려지는 안착판(11)이 상면에 구비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하우징(10)은 상면이 개방되어 이 개방된 상면에 안착판(11)이 구비되어 있고, 전면에는 메쉬망(12)이 구비되어 있으며, 양측면 상단부분에는 손잡이(13)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더불어 내부에 구비된 PCB(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조작버튼(15)이 상면 전방 부분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진동 발생부(20)는 자력으로 인한 자기장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전기의 공급으로 발생되는 전기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진동 발생부(20)는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빈(22)과, 상기 보빈(22)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 자석(23) 및 하부 자석(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1)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상기 보빈(22)은 베이스(21)의 상면 중앙에 직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보빈(22)의 외주면에는 코일(25)이 다수회 권취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자석(23,24)은 보빈(22)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렇게 상부 자석(23)과 하부 자석(24)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부 자석(23)과 하부 자석(24) 간에 서로 척력이 작용하면서 상부 자석(23)에 의한 자기장과 하부 자석(24)에 의한 자기장이 바닥의 경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하로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코일(25)에 전기가 공급되면 전기장이 발생되고, 이 전기장에 의해 상하 진동이 발생된다.
상기 진동 전달부(30)는 진동 발생부(20)에서 발생된 진동을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10)의 안착판(11)에 전달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진동 전달부(30)는 베이스(21)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31)와, 상기 가이드바(31)의 상단에 설치되는 진동판(32)과, 상기 진동판(32)의 저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부스프링 고정구(33)와, 상기 베이스(21)의 상면에 구비되는 한 쌍의 하부스프링 고정구(34)와, 상기 상부스프링 고정구(33)와 하부스프링 고정구(34)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35)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바(31)는 보빈(22)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볼부쉬(31a)에 하측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가이드바(31)는 진동판(32)의 상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상기 진동판(32)은 안착판(11)의 저면에 밀착 삽입되어 진동 발생부(20)에서 발생된 진동을 안착판(11)에 전달한다. 이러한 진동판(32)에는 안착판(11)에 올려진 커피 수용액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36)가 설치된다.
그리고, 진동판(32)과 상부 자석(23)이 서로 접촉되지 않을 경우에는 진동판(32)과 상부 자석(23) 사이에 보조블록(37)을 설치하여 상부자석(23)과 진동판(32)이 보조블록(37)을 통하여 서로 접하게 하고, 더불어 진동판(32)이 안착판(11)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보조블록(37)은 상하부 자석(23,24)처럼 자성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스프링 고정구(33)는 보빈(22)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이러한 상부스프링 고정구(33)는 저면에 나선돌기(33a)가 형성되어 스프링(35)의 상단부분이 감겨서 고정된다.
상기 하부스프링 고정구(34)는 보빈(22)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이러한 하부스프링 고정구(34)는 상면에 나선돌기(34a)가 형성되어 스프링(35)의 하단부분이 감겨서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35)은 상단이 상부스프링 고정구(33)의 나선돌기(33a)에 연결되고 하단이 하부스프링 고정구(34)의 나선돌기(34a)에 연결된다. 진동 발생부(20)에서 상하방향의 진동이 발생되면 이 진동이 스프링(35)을 통하여 진동판(32)에 제공된다.
상기 클립(40)은 진동 전달부(30)의 스프링(35)에 끼워져 안착판(11)에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한다.
진동판(32)에 설치된 무게감지센서(36)에 의해 커피의 무게가 측정되었을 때 그 측정값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진동 발생부(20)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 스프링(35)이 지나치게 흔들리고 이에 따라 안착판(11)에 올려진 용기가 너무 심하게 흔들리므로 스프링(35)의 탄성력을 일부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스프링(35)에 클립(4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클립(40)은 제1수평부(41)와 제2수평부(42) 및 수직부(43)로 구성된다.
상기 제1수평부(41)는 코일 형태로 감긴 스프링(35)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제2수평부(42)는 제1수평부(41)의 하측에 위치되고 스프링(35) 사이에 끼워진다. 따라서 제1수평부(41)와 제2수평부(42) 사이에는 스프링(35)의 일정구간이 개재되고, 이 구간에 개재된 스프링(35)은 탄성력이 억제된다.
상기 수직부(43)는 제1수평부(41)와 제2수평부(42)를 연결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할 수도 있지만,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클립은 제1삽입부(44)와, 상기 제1삽입부(44)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부(45)와, 상기 제1삽입부(44)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삽입부(46)와, 상기 제2삽입부(46)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포위부(47)와, 상기 포위부(47)의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대(48)와, 상기 절곡부(45)와 포위부(47)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49)로 구성된다.
상기 제1삽입부(44)는 코일 형태로 감긴 스프링(35)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절곡부(45)는 제1삽입부(4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측면에 끼움돌기(45a)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부(46)는 제1삽입부(44)가 끼워진 스프링(35)의 하측에 끼워진다.
상기 포위부(47)는 제2삽입부(46)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절곡부(45)가 삽입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상기 회동대(48)는 끼움돌기(45a)가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홈(48a)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이루며 형성된다.
앞서 기재한 것처럼 스프링(35)의 탄성력을 억제할 필요가 있을 때 클립(40)을 설치하는데, 그 억제되는 스프링(35)의 탄성력을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회동대(48)를 이용하여 제1삽입부(44)와 제2삽입부(46)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절곡부(45)를 포위부(47)에서 일정거리 돌출시킨 다음 적절하게 돌출되면 회동대(48)를 회동시켜 끼움홈(48a) 내에 끼움돌기(45a)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체(49)는 절곡부(45)의 하단과 포위부(47)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절곡부(45)를 상측으로 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10: 하우징 11: 안착판
12: 메쉬망 13: 손잡이
14: PCB 15: 조작버튼
20: 진동 발생부 21: 베이스
22: 보빈 23: 상부 자석
24: 하부 자석 25: 코일
30: 진동 전달부 31: 가이드바
31a: 볼부쉬 32: 진동판
33: 상부스프링 고정구 33a: 나선돌기
34: 하부스프링 고정구 34a: 나선돌기
35: 스프링 36: 무게감지센서
37: 보조블록 40: 클립
41: 제1수평부 42: 제2수평부
43: 수직부 44: 제1삽입부
45: 절곡부 45a: 끼움돌기
46: 제2삽입부 47: 포위부
48: 회동대 48a: 끼움홈
49: 탄성체

Claims (6)

  1. 커피 수용액이 저장된 용기가 올려지는 안착판(11)이 상면에 구비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는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의 상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코일(25)이 권취된 보빈(22)과, 상기 보빈(22)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하부 자석(23,24)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부 자석(23,24)에 의해 자기장이 상하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25)에 전기가 공급되어 발생된 전기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20)와;
    상기 진동 발생부(20)에서 발생된 진동을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안착판(11)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30)와;
    상기 진동 전달부(30)의 스프링(35)에 끼워져 상기 안착판(11)에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를 조절하는 클립(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30)는 상기 베이스(21)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바(31)와;
    상기 가이드바(3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판(11)의 저면에 밀착되는 진동판(32)과;
    상기 진동판(32)의 저면에 구비되는 상부스프링 고정구(33)와;
    상기 베이스(21)의 상면에 구비되는 하부스프링 고정구(34)와;
    상단이 상기 상부스프링 고정구(33)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하부스프링 고정구(34)에 연결되는 스프링(3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32)에는 안착판(11)에 올려진 커피 수용액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센서(3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40)은 상기 스프링(35) 사이에 끼워지는 제1수평부(41)와;
    상기 제1수평부(41)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스프링(35) 사이에 끼워지는 제2수평부(42)와;
    상기 제1수평부(41)와 제2수평부(42)를 연결하는 수직부(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40)은 상기 스프링(35) 사이에 끼워지는 제1삽입부(44)와;
    상기 제1삽입부(44)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외측면에 끼움돌기(45a)가 형성된 절곡부(45)와;
    상기 제1삽입부(44)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스프링(35) 사이에 끼워지는 제2삽입부(46)와;
    상기 제2삽입부(46)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45)가 삽입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포위부(47)와;
    상기 포위부(47)의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끼움돌기(45a)가 끼워지는 다수의 끼움홈(48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회동대(4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45)의 하단과 상기 포위부(47)의 바닥면 사이에는 상기 절곡부(45)를 상측으로 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4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KR1020210079088A 2021-06-18 2021-06-18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KR102483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088A KR102483246B1 (ko) 2021-06-18 2021-06-18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088A KR102483246B1 (ko) 2021-06-18 2021-06-18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095A KR20220169095A (ko) 2022-12-27
KR102483246B1 true KR102483246B1 (ko) 2023-01-02

Family

ID=8456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088A KR102483246B1 (ko) 2021-06-18 2021-06-18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2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82B1 (ko) 2011-09-22 2013-02-19 (주)태연메디칼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392B1 (ko) 2017-07-07 2019-12-31 이상준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82B1 (ko) 2011-09-22 2013-02-19 (주)태연메디칼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095A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1109B1 (en) Beverage machine with vibration inhibitor
KR101630262B1 (ko) 음파 진동을 이용한 콜드 브루 커피 추출 장치
US9021939B2 (en) Tea maker
US9955800B2 (en) Control device for a children's bouncer
KR20210058990A (ko)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KR102483246B1 (ko)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US20210235936A1 (en) Agitator for brewing, steeping or infusing a liquid
WO2018156520A1 (en) Agitator for brewing, steeping or infusing a liquid
KR100394979B1 (ko) 솔레노이드형 진동체를 사용한 안마 매트
KR20180100280A (ko) 사물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안마 의자 장치
KR102061392B1 (ko)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차음료 제조장치
KR102356832B1 (ko)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JP6547382B2 (ja) 成分抽出式飲料製造装置
CN203506468U (zh) 一种打奶器
KR20220066453A (ko)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파 진동을 이용해 저온의 물로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US20210038016A1 (en) Filter stand agitator for brewing, steeping or infusing a liquid
KR102470213B1 (ko) 듀얼 마그넷을 장착한 음성 인식 명령을 기초로 음파 진동을 조정하는 콜드브루 커피 추출 장치
KR20190023488A (ko) 이중벽 구조를 가지는 음파진동 콜드브루 커피추출장치
KR20240034346A (ko) 음파진동과 원심력을 이용한 콜드브루 커피 추출장치
US5806407A (en) Beverage maker
CN209421181U (zh) 一种利于拆卸和安装的手表盒
CN220236636U (zh) 一种升降茶篮加热器
CN209474452U (zh) 料理机、料理杯及机座
KR102454120B1 (ko) 회전 피스톤을 이용한 저소음저진동 캡슐음료 추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 장치
KR200337041Y1 (ko) 전동 침대요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