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4882B1 -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4882B1
KR101234882B1 KR1020110095631A KR20110095631A KR101234882B1 KR 101234882 B1 KR101234882 B1 KR 101234882B1 KR 1020110095631 A KR1020110095631 A KR 1020110095631A KR 20110095631 A KR20110095631 A KR 20110095631A KR 101234882 B1 KR101234882 B1 KR 101234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ibration
upper plate
lower plate
magnet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운
Original Assignee
(주)태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연메디칼 filed Critical (주)태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1009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진동유닛은 하판; 상기 하판과 마주하고 상기 하판으로부터 일정유격을 갖고 배치되는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며, 자석과 이에 대응하는 코일이 감긴 보빈 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에 대해 상기 상판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자기회로부; 및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기회로부의 주위 3개소 내지 4개소에 각각 배치되는 통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지지부(20)는, 상기 자기회로부(1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상판(3)이 상기 하판(2)에 대해 상하로 운동할 때 기울어짐의 발생이 없도록 상기 상판의 수직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21); 상기 가이드 수단 내에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둘러싸여 수용되며, 상기 상판의 수직운동이 발생할 때 충격력을 흡수하는 탄성지지 수단(22); 및 상기 하판에 대한 상기 상판의 상하운동 범위를 제한하고 운반시 일체화된 형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수단과 상기 탄성지지 수단을 연결하는 통합 결합부(23);로 구성되며, 상기 보빈은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회로부는 복수의 방열핀(radiation fin)이 형성된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VIBRATION UNIT 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MOTION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환자의 재활운동을 돕거나 일반인을 위한 운동기구로 사용될 수 있는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과거에 비해 육체적인 일이 상대적으로 적고 대부분이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만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 대체로 운동량의 부족을 겪고 있다.
일부는 자체적으로 또는 별도의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운동을 하여 신체 건강을 유지하고 있으며, 운동기구들 중의 일부는 근력을 강화시켜 주거나 근육을 풀어주는데 이용되는 진동유닛 기술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유닛 기술을 적용하는 선행기술 문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한국특허 제10-0989808호는 "싱글 마그넷 구조의 자기회로를 이용한 진동형 운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진동형 운동장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자기회로부와 이에 대응되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 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하부패널에 대해 상부패널에 진동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상기 하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 사이에 장착되는 리니어부싱 베어링과 상기 상부패널의 진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스프링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진동형 운동장치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매우 복잡하고 사용 또는 취급하기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진동형 운동장치는 완충스프링이 외부로 드러나 있어 어린이 등에 의한 손가락 끼임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높고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부착 및 이의 청소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 제10-0840591호는 "음파 진동형 운동 기능을 갖는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의자는 자기력에 의해 상하 진동이 이루어지는 수직 진동부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를 구비하지만, 상기 진동발생장치의 베이스와 진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진동판의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 흡수수단이 개별적으로 구성되는데다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의자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매우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며, 전체하중 또한 커 이동시키는데 불편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특허 제10-0972560호는 "교차 진동형 운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교차 진동형 운동장치는 자기력에 의해 진동판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수직 진동부를 포함하는 진동장치를 구비하지만, 상기 진동장치의 베이스와 진동판 사이에 장착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진동판의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진동 흡수수단 또한 개별적으로 구성되고 이중구조이다. 그 때문에, 상기 교차 진동형 운동장치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매우 복잡하고 사용 또는 취급하기 매우 불편하며, 전체하중 또한 커 이동시키는데 불편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끝으로, 한국특허 제10-0806333호는 "마그네틱 진동식 헬스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헬스기구는 영구자석과 이에 대응하는 코일부를 갖는 진동자 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하판에 대해 상판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진동유닛을 구비하지만, 상기 진동유닛의 하판과 상판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유닛과 가이드유닛이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헬스기구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매우 복잡하고 사용 또는 취급하기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 밖에도, 상기 헬스기구는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유닛과 가이드유닛을 일체화시킨 일체형 가이드유닛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탄성유닛의 코일스프링이 외부로 드러나 있어 손가락의 끼임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고 상기 코일스프링과 그 주위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부착 우려가 매우 높다. 또한 상기 헬스기구의 일체형 가이드유닛은 하판에 대한 상판의 상하 운동 범위를 안정적으로 구속하는 통합 연결수단이 없기 때문에 조립이나 해체 또는 정비시 매우 불편하다.
특허문헌 1: 한국특허 제10-0989808호 특허문헌 2: 한국특허 제10-0840591호 특허문헌 3: 한국특허 제10-0972560호 특허문헌 4: 한국특허 제10-0806333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적게 들며,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고 청소 또는 정비하기 매우 편리하며, 나아가 전체하중을 줄여 운반하기에도 편리한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재활 보조기구 또는 일반인의 운동기구로 사용될 때 사용자의 신체에 주기적인 수직 진동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가할 수 있는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자유로운 선택에 따라 저주파 구동신호를 진동유닛에 인가하거나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음악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오디오 신호를 진동유닛에 인가하여 진동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판;
상기 하판과 마주하고 상기 하판으로부터 일정유격을 갖고 배치되는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며, 자석과 이에 대응하는 코일이 감긴 보빈 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에 대해 상기 상판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자기회로부; 및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기회로부의 주위 3개소 내지 4개소에 각각 배치되는 통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지지부는,
상기 자기회로부의 작동을 통해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에 대해 상하로 운동할 때 기울어짐의 발생이 없도록 상기 상판의 수직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
상기 가이드 수단 내에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둘러싸여 수용되며, 상기 상판의 수직운동이 발생할 때 충격력을 흡수하는 탄성지지 수단; 및
상기 하판에 대한 상기 상판의 상하운동 범위를 제한하고 운반시 일체화된 형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수단과 상기 탄성지지 수단을 연결하는 통합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빈은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회로부는 복수의 방열핀(radiation fin)이 형성된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지지부 구조에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상판의 저면부에 고정되는 외부 원통형 컬럼부와, 상기 하판의 상면부에 고정되고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내부 원통형 컬럼부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지지 수단은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와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합 결합부는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에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의 슬롯의 외측에 위치하는 헤드부를 갖는 볼트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지지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력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력 조절수단은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의 내측 상부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부 또는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의 내측 하부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 사이에 제공되는 기 설정 두께의 스패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은 하판과, 상기 하판과 마주하고 상기 하판으로부터 일정유격을 갖고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며, 자석과 이에 대응하는 코일이 감긴 보빈 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에 대해 상기 상판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자기회로부와,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기회로부의 주위 3개소 내지 4개소에 각각 배치되는 통합 지지부를 포함하는 진동유닛; 및
상기 자기회로부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기회로부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 지지부는, 상기 자기회로부의 작동을 통해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에 대해 상하로 운동할 때 기울어짐의 발생이 없도록 상기 상판의 수직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가이드 수단 내에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둘러싸여 수용되며, 상기 상판의 수직운동이 발생할 때 충격력을 흡수하는 탄성지지 수단과, 상기 하판에 대한 상기 상판의 상하운동 범위를 제한하고 운반시 일체화된 형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수단과 상기 탄성지지 수단을 연결하는 통합 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진동유닛의 제어를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정현파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발생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현파 구동신호를 증폭시켜 그 증폭된 정현파 구동신호를 상기 진동유닛에 인가시키는 증폭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빈은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회로부는 복수의 방열핀(radiation fin)이 형성된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트레이닝 장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는 모드설정 노브와, 상기 상판의 진동수를 설정하는 진동수 설정노브와, 진동폭을 설정하는 진동폭 설정노브와, 진동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노브와, 오디오를 선곡하는 오디오 선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하중에 따른 미리 결정된 진동수와 진동폭에 관한 샘플링 데이터, 또는 컴퓨터나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되는 음악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상기 진동유닛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유닛의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응하는 하중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출시키는 하중센서, 또는 상기 진동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유닛에 사용자나 외부 물체가 접근하면 접근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출시키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 수단과 탄성지지 수단을 통합 결합부를 매개로 하여 연결하는 통합 지지부를 진동유닛에 제공하여,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적게 들며,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고 청소 또는 정비하기 매우 편리하며, 전체하중을 줄여 운반하기에도 편리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수단과 탄성지지 수단을 통합 결합부를 매개로 하여 연결하는 통합 지지부를 진동유닛에 제공하여,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를 통해 환자의 재활치료 또는 일반인의 운동보조를 위해 사용자의 신체에 주기적인 수직 진동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에 저주파 구동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음악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오디오 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하여 개별 사용자가 원하는 진동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상태의 진동유닛의 개략 부분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된 상태의 진동유닛의 개략 부분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유닛을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의 각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1)은 하판(2); 상기 하판(2)과 마주하고 상기 하판으로부터 일정유격을 갖고 배치되는 상판(3)(또는 진동판); 상기 하판(2)과 상기 상판(3) 사이에 위치하며, 자석(11)과 이에 대응하는 코일(12a)이 감긴 보빈(12) 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2)에 대해 상기 상판(3)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자기회로부(10); 및 상기 하판(2)과 상기 상판(3)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기회로부(10)의 주위 3개소 내지 4개소에 각각 배치되는 통합 지지부(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의 상기 통합 지지부(20)는, 상기 자기회로부(1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상판(3)이 상기 하판(2)에 대해 상하로 운동할 때 기울어짐의 발생이 없도록 상기 상판(3)의 수직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21); 상기 가이드 수단(21) 내에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둘러싸여 수용되며, 상기 상판(3)의 수직운동이 발생할 때 충격력을 흡수하는 탄성지지 수단(22); 및 상기 하판(2)에 대한 상기 상판(3)의 상하운동 범위를 제한하고 운반시 일체화된 형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수단(21)과 상기 탄성지지 수단(22)을 연결하는 통합 결합부(23);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1)은 하판(2)과 상판(3) 사이에 자기회로부(10)가 배치되고 상기 하판(2)과 상기 상판(3) 사이에 상기 가이드 수단(21)과 상기 탄성지지 수단(22) 및 상기 가이드 수단(21)과 상기 탄성지지 수단(22)을 연결하는 통합 결합부(23)로 구성되는 통합 지지부(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상판(3)과 상기 하판(2)이 상기 통합 지지부(20)를 통해 구조적으로 간단하면서도 안정되게 지지되고 상기 자기회로부(1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상판(3)의 진동 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유닛(1)은 상기 탄성지지 수단(22)이 상기 가이드 수단(21)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수용되어 상기 탄성지지수단에 손가락 끼임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없고 청소 또는 정비하기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유닛은 위와 같은 기본구성에 아래와 같은 실시예들로 더 구체화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각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일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회로부(10)는 자석(11)과, 이에 대응하는 코일(12a)이 감기고 상기 하판(2)에 고정되는 보빈(12) 외에도, 상기 자석(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자석(11)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재(13)와, 상기 자석(11)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부재(14)와, 상기 자석(11), 상기 하부 지지부재(13) 및 상기 상부 지지부재(14)의 외벽과 자기갭(magnetic gap)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지지부재(14)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외부 원통부(1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기회로부(10)의 보빈(12)은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12b)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회로부(10)는 상기 상판(3)과 상기 상부 지지부재(14) 사이에 구비되고 외부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방열핀(16a)이 형성된 방열부재(16)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빈(12)의 통기공(12b)과 상기 방열부재(16)는 상기 진동유닛(1)의 가동시 상기 자기회로부(10)에서 발생되는 열을 공기를 통해 주위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자기회로부 구조에서, 외부기기로부터 상기 보빈(12)의 코일(12a)로 전기적인 정현파 구동신호가 인가될 때 상기 코일(12a)이 감긴 보빈(12)과 상기 자석(11) 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의 변화에 의해 상기 상판(3)의 상하 진동운동이 발생된다.
일실시예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지지부 구조에서, 상기 가이드 수단(21)은 상기 상판(3)의 저면부에 고정되는 외부 원통형 컬럼부(25)와, 상기 하판(2)의 상면부에 고정되고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25)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내부 원통형 컬럼부(2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 수단(22)은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25)와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26)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22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합 결합부(23)는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25)에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2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30)과,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26)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나사부(31a) 및 상기 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25)의 슬롯(30)의 외측에 위치하는 헤드부(31b)를 갖는 볼트부재(31)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26) 내에는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26)와 상기 코일스프링(22a) 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윤활오일(grease, etc)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25)의 내벽과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26)의 외벽 중의 하나에는 그들 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해당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groove)(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25)의 슬롯(30)과 상기 슬롯(30)을 통해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26)에 고정된 상기 볼트부재(31)는 상기 하판(2)에 대한 상기 상판(3)의 상하운동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진동유닛(1)의 운반(설치 장소의 변경 등)시 일체화된 형태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일실시예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지지부(20)는 상기 코일스프링(22a)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력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력 조절수단(40)은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25)의 내측 상부와 상기 코일스프링(22a)의 상단부 또는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26)의 내측 하부와 상기 코일스프링(22a)의 하단부 사이에 제공되는 기 설정 두께의 스패이서(41)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스패이서 방식은 상기 코일스프링(22a)의 탄성력의 조절을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는 하판과, 상기 하판과 마주하고 상기 하판으로부터 일정유격을 갖고 배치되는 상판(또는 진동판)과,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며, 자석과 이에 대응하는 코일이 감긴 보빈 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에 대해 상기 상판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자기회로부(10)와,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기회로부(10)의 주위 3개소 내지 4개소에 각각 배치되는 통합 지지부(20)를 포함하는 진동유닛(1); 및
상기 자기회로부(10)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기회로부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에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지지부(20)는, 상기 자기회로부(1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상판(3)이 상기 하판(2)에 대해 상하로 운동할 때 기울어짐의 발생이 없도록 상기 상판(3)의 수직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21)과, 상기 하판(2)에 대한 상기 상판(3)의 상하운동 범위를 제한하고 운반시 일체화된 형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수단(21)과 상기 탄성지지 수단(22)을 연결하는 통합 결합부(23)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진동유닛(1)의 제어를 위한 조작부(51)와, 상기 조작부(51)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52)와, 상기 제어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정현파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53)와, 상기 제어부(52) 및 상기 신호발생기(53)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현파 구동신호를 증폭시켜 그 증폭된 정현파 구동신호를 상기 진동유닛(1)에 인가시키는 증폭부(54)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는 위와 같은 기본구성에 아래와 같은 실시예들로 더 구체화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각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일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51)는 상기 트레이닝 장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는 모드설정 노브(51a)와, 상기 상판의 진동수를 설정하는 진동수 설정노브(51b)와, 진동폭을 설정하는 진동폭 설정노브(51c)와, 진동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노브(51d)와, 오디오를 선곡하는 오디오 선곡부(51e)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1)의 제어요소들은 기계적 조절방식 또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50)은 상기 제어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하중에 따른 미리 결정된 진동수와 진동폭에 관한 샘플링 데이터, 또는 컴퓨터나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되는 음악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55)와, 상기 진동유닛(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56)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는 상기 진동유닛(1)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유닛의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응하는 하중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52)로 송출시키는 하중센서(57), 또는 상기 진동유닛(1)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유닛에 사용자나 외부 물체가 접근하면 접근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52)로 송출시키는 근접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는 조작부(51)의 모드설정 노브(51a)의 조절을 통해 자동 또는 수동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드설정 노브(51a)를 자동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진동유닛(1)측 하중센서(57)는 상기 진동유닛(1)의 상판(또는 진동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하중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52)로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하중 데이터 신호와 메모리(55)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하중에 따른 미리 결정된 진동수와 진동폭에 관한 샘플링 데이터를 비교하여 기 설정 제어신호를 신호발생기(53)로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신호발생기(53)로 인가된 상기 기 설정 제어신호는 정현파 형태로 출력되어 상기 증폭기(54)를 통해 증폭된 후 상기 진동유닛(1)의 자기회로부에에 인가된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유닛(1)의 자기회로부(1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판(3)이 하판(2)에 대해 일정 진동수와 진동폭을 갖고 진동운동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상판(3)은 상기 상판(3)과 상기 하판(2) 사이에 제공된 통합 지지부(20)의 가이드 수단(21)과 탄성지지 수단(22)을 통해 상기 하판(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고 탄성지지되는 형태로 진동운동을 발생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수단에 해당하는 상기 상판(3)측에 고정된 외부 원통형 컬럼부(25)와 상기 하판(2)측에 고정된 내부 원통형 컬럼부(26)가 슬라이딩되게 수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지지 수단에 해당하는 코일스프링(22a)이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25)와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26)에 의해 둘러싸여 상기 상판(3)(또는 진동판)과 고정된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25)의 수직운동에 따라 상하로 압축 팽창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사용 도중에 사용자가 상기 진동유닛(1)의 상판으로부터 내려갈 경우, 상기 제어부(52)는 하중센서(57)나 근접센서(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진동유닛(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도 4 참조).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드설정 노브(51a)를 수동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51)측의 진동수 설정노브(51b)와 진동폭 설정노브(51c)를 이용하여 원하는 진동수와 진동폭을 설정하고 시간 설정노브(51d)를 이용하여 원하는 작동시간을 설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2)는 기 설정 제어신호를 신호발생기(53)로 인가하고 상기 신호발생기(53)로 인가된 상기 기 설정 제어신호는 정현파 형태로 출력되어 증폭기(54)를 통해 증폭된 후 상기 진동유닛(1)의 자기회로부(10)에 인가된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유닛(1)의 자기회로부(1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판(3)이 상기 상판(3)과 하판(2) 사이에 제공된 통합 지지부(20)의 가이드 수단(21)과 탄성지지 수단(22)을 통해 상기 하판(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고 탄성지지되는 형태로 진동운동을 발생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오디오 선곡부(51e)를 조작하여 표시부(56)를 통해 메모리(55)에 저장된 원하는 음악파일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52)는 메모리(55)로부터 상기 음악파일을 읽어들여 연주하면서 그를 구동신호로 하여 상기 진동유닛(1)의 진동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2)는 그와 동시에 해당 음악파일의 관련 정보 또는 이미지 등을 표시부(56)를 통해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사용 도중에 사용자가 상기 진동유닛(1)의 상판으로부터 내려갈 경우, 상기 제어부(52)는 하중센서(57)나 근접센서(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진동유닛(1)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 진동유닛 2: 하판
3: 상판 10: 자기회로부
11: 자석 12a: 코일
12b: 통기공 12: 보빈
13: 하부 지지부재 14: 상부 지지부재
15: 외부 원통부 16a: 방열핀
16: 방열부재 20: 통합 지지부
21: 가이드 수단 22: 탄성지지 수단
22a: 코일스프링 23: 통합 결합부
25: 외부 원통형 컬럼부 26: 내부 원통형 컬럼부
30: 슬롯 31a: 나사부
31b: 헤드부 31: 볼트부재
40: 탄성력 조절수단 41: 스패이서
50: 제어수단 51: 조작부
52: 제어부 53: 신호발생기
54: 증폭부 55: 메모리
56: 표시부 57: 하중센서

Claims (7)

  1. 하판; 상기 하판과 마주하고 상기 하판으로부터 일정유격을 갖고 배치되는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며, 자석과 이에 대응하는 코일이 감긴 보빈 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에 대해 상기 상판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자기회로부; 및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기회로부의 주위 3개소 내지 4개소에 각각 배치되는 통합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지지부는 상기 자기회로부의 작동을 통해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에 대해 상하로 운동할 때 기울어짐의 발생이 없도록 상기 상판의 수직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
    상기 가이드 수단 내에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둘러싸여 수용되며, 상기 상판의 수직운동이 발생할 때 충격력을 흡수하는 탄성지지 수단; 및
    상기 하판에 대한 상기 상판의 상하운동 범위를 제한하고 운반시 일체화된 형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수단과 상기 탄성지지 수단을 연결하는 통합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빈은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회로부는 복수의 방열핀(radiation fin)이 형성된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지지부 구조에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상판의 저면부에 고정되는 외부 원통형 컬럼부와, 상기 하판의 상면부에 고정되고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내부 원통형 컬럼부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지지 수단은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와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통합 결합부는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에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을 통해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의 슬롯의 외측에 위치하는 헤드부를 갖는 볼트부재로 구성된 것인 진동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지지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력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력 조절수단은 상기 외부 원통형 컬럼부의 내측 상부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부 또는 상기 내부 원통형 컬럼부의 내측 하부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 사이에 제공되는 기 설정 두께의 스패이서인 것인 진동유닛.
  4. 삭제
  5. 하판과, 상기 하판과 마주하고 상기 하판으로부터 일정유격을 갖고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며, 자석과 이에 대응하는 코일이 감긴 보빈 간에 발생되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하판에 대해 상기 상판을 상하로 진동시키는 자기회로부와,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자기회로부의 주위 3개소 내지 4개소에 각각 배치되는 통합 지지부를 포함하는 진동유닛; 및 상기 자기회로부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자기회로부에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 지지부는 상기 자기회로부의 작동을 통해 상기 상판이 상기 하판에 대해 상하로 운동할 때 기울어짐의 발생이 없도록 상기 상판의 수직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가이드 수단 내에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둘러싸여 수용되며, 상기 상판의 수직운동이 발생할 때 충격력을 흡수하는 탄성지지 수단과, 상기 하판에 대한 상기 상판의 상하운동 범위를 제한하고 운반시 일체화된 형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수단과 상기 탄성지지 수단을 연결하는 통합 결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진동유닛의 제어를 위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에 대응하는 기 설정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정현파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기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신호발생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현파 구동신호를 증폭시켜 그 증폭된 정현파 구동신호를 상기 진동유닛에 인가시키는 증폭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빈은 적어도 하나의 통기공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회로부는 복수의 방열핀(radiation fin)이 형성된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트레이닝 장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설정하는 모드설정 노브와, 상기 상판의 진동수를 설정하는 진동수 설정노브와, 진동폭을 설정하는 진동폭 설정노브와, 진동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노브와, 오디오를 선곡하는 오디오 선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하중에 따른 미리 결정된 진동수와 진동폭에 관한 샘플링 데이터, 또는 컴퓨터나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되는 음악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상기 진동유닛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유닛의 상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응하는 하중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출시키는 하중센서, 또는 상기 진동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유닛에 사용자나 외부 물체가 접근하면 접근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출시키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KR1020110095631A 2011-09-22 2011-09-22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KR101234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631A KR101234882B1 (ko) 2011-09-22 2011-09-22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631A KR101234882B1 (ko) 2011-09-22 2011-09-22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882B1 true KR101234882B1 (ko) 2013-02-19

Family

ID=4789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631A KR101234882B1 (ko) 2011-09-22 2011-09-22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88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241B1 (ko) 2013-02-15 2013-06-04 신희섭 발전기능을 갖는 진동형 운동장치
KR101496089B1 (ko) 2014-03-11 2015-02-26 (주)태연메디칼 음파 진동을 이용한 기능성 침대
KR101497926B1 (ko) * 2014-09-12 2015-03-03 주식회사 웰파인 진동형 운동장치
KR101535287B1 (ko) * 2014-11-11 2015-07-08 애드스테인리스(주) 넓은 면적의 진동판을 위한 진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판재 가공 장치
KR20150145136A (ko) * 2014-06-18 2015-12-29 주식회사이앤에스테크 진동 소음 저감을 위한 댐퍼를 갖는 진동형 운동장치
KR101650106B1 (ko) * 2015-10-02 2016-08-23 박호준 척추교정 테이블
KR101737439B1 (ko) * 2015-09-01 2017-05-29 김시영 고령 친화형 상체 운동기구
KR101823898B1 (ko) 2015-12-11 2018-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력 시험 장치
KR101983648B1 (ko) * 2017-11-20 2019-09-10 (주)태연메디칼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KR20220169095A (ko) * 2021-06-18 2022-12-27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188A (ko) * 2005-11-16 2007-05-21 영신중공업 주식회사 마그네틱 진동식 헬스기구
KR100840591B1 (ko) * 2007-02-22 2008-06-23 주식회사 티에스메디텍 음파 진동형 운동 기능을 갖는 의자
KR100989808B1 (ko) * 2010-02-25 2010-10-29 민진영 싱글 마그넷 구조의 자기회로를 이용한 진동형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188A (ko) * 2005-11-16 2007-05-21 영신중공업 주식회사 마그네틱 진동식 헬스기구
KR100840591B1 (ko) * 2007-02-22 2008-06-23 주식회사 티에스메디텍 음파 진동형 운동 기능을 갖는 의자
KR100989808B1 (ko) * 2010-02-25 2010-10-29 민진영 싱글 마그넷 구조의 자기회로를 이용한 진동형 운동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1576B1 (en) 2013-02-15 2014-08-12 Ens Tech Co., Ltd. Vibratory exercise apparatus having electricity generating function
KR101269241B1 (ko) 2013-02-15 2013-06-04 신희섭 발전기능을 갖는 진동형 운동장치
KR101496089B1 (ko) 2014-03-11 2015-02-26 (주)태연메디칼 음파 진동을 이용한 기능성 침대
KR20150145136A (ko) * 2014-06-18 2015-12-29 주식회사이앤에스테크 진동 소음 저감을 위한 댐퍼를 갖는 진동형 운동장치
KR101672385B1 (ko) 2014-06-18 2016-11-03 주식회사이앤에스테크 진동 소음 저감을 위한 댐퍼를 갖는 진동형 운동장치
WO2016039602A3 (ko) * 2014-09-12 2016-05-12 주식회사 웰파인 진동형 운동장치
KR101497926B1 (ko) * 2014-09-12 2015-03-03 주식회사 웰파인 진동형 운동장치
KR101535287B1 (ko) * 2014-11-11 2015-07-08 애드스테인리스(주) 넓은 면적의 진동판을 위한 진동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판재 가공 장치
KR101737439B1 (ko) * 2015-09-01 2017-05-29 김시영 고령 친화형 상체 운동기구
KR101650106B1 (ko) * 2015-10-02 2016-08-23 박호준 척추교정 테이블
KR101823898B1 (ko) 2015-12-11 2018-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력 시험 장치
KR101983648B1 (ko) * 2017-11-20 2019-09-10 (주)태연메디칼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KR20220169095A (ko) * 2021-06-18 2022-12-27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KR102483246B1 (ko) 2021-06-18 2023-01-02 (주)소닉더치코리아 듀얼 마그넷의 소형 음파진동 보빈을 장착해 콜드브루 커피를 추출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882B1 (ko)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KR102290143B1 (ko) 촉각 액추에이터 및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US7670304B2 (en) Vertical movement vibrator of magnetic gap type
EP3306449B1 (en) Linear vibrator providing localized and generalized haptic feedback
US20140054982A1 (en) Broadband linear vibrator and mobile terminal
JP2019170118A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機器
JP2007527751A (ja) 幼児囲い揺動装置
JP7371895B2 (ja) アクチュエーター
KR101476050B1 (ko)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
US20080256710A1 (en) Multifunctional pillow
KR20200130795A (ko) 촉각 액추에이터
KR100762915B1 (ko) 진동형 운동기구
JP2007130582A (ja) 振動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出力機器
KR101515136B1 (ko) 피에조 엑츄에이터
US5834649A (en) Vibration sensor including a movable magnet positioned between stationary magnets
KR100806333B1 (ko) 마그네틱 진동식 헬스기구
JPS6396336A (ja) 自動調整式吸振装置
CN210185101U (zh) 振动床腿及电动床
WO2018154770A1 (ja) 安眠誘導装置
KR101672385B1 (ko) 진동 소음 저감을 위한 댐퍼를 갖는 진동형 운동장치
NL2017889B1 (nl) Een passieve bewegingsinrichting voor therapeutische bewegingssimulatie.
KR102145550B1 (ko) 졸음 방지 장치
TW200626820A (en) Stepless height adjusting apparatus
JP6426452B2 (ja) マッサージ器
KR102284513B1 (ko) 스텝운동 및 진동운동용 보드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