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648B1 -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 Google Patents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648B1
KR101983648B1 KR1020170154878A KR20170154878A KR101983648B1 KR 101983648 B1 KR101983648 B1 KR 101983648B1 KR 1020170154878 A KR1020170154878 A KR 1020170154878A KR 20170154878 A KR20170154878 A KR 20170154878A KR 101983648 B1 KR101983648 B1 KR 10198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late
vibration generator
base frame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운
Original Assignee
(주)태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연메디칼 filed Critical (주)태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7015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진동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자력(磁力)에 의해 베드를 부상(浮上)하게 하고 특정 진동수로 진동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과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구비한,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 및 이를 장착한 웰빙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웰빙 침대는, 침대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부분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베드가 놓이게 되는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설치되어, 베드의 하부를 받쳐 주도록 설치된 판상(板狀)의 플레이트;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고정 설치된 받침판; 플레이트와 받침판 사이에 양단(兩端)이 각각 결합 설치되어,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이면서 베드를 진동시켜 주게 되는 진동발생기; 양단이 플레이트와 받침판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며, 진동발생기를 중심으로 균등 분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Vibration generator by magnetic force and well-being bed equipped with it}
본 발명은 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진동발생기에서 발생하는 자력(磁力)에 의해 베드를 부상(浮上)하게 하고 특정 진동수로 진동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과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구비한,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 및 이를 장착한 웰빙 침대에 관한 것이다.
바쁜 업무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현대인은 스트레스로 인해 불면증에 시달리고, 자고 나서도 개운하지가 않다는 사람이 많다. 한편, 주거문화의 변화에 따라 침대 보급이 늘어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침대에서 수면을 취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침대는 단지 수면을 취하기 위한 것일 뿐 숙면을 취하게 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 또는 건강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숙면을 취하고 신체에 자극을 줘서 순환장애, 불면증 등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 피로회복과 건강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다른 수단을 활용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수면에 도움을 주는 장치로서 개발된 장치 중 하나로 캡슐 형태의 수면기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는 외부로부터의 빛을 완전히 차단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고 캡슐 내부에 사용자가 들어가서 누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캡슐형 수면장치는 강제로 수면을 위한 분위기를 만들어주기는 하지만, 이는 단순히 빛을 차단하는 정도이고, 사용자가 정신적으로 피곤한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수면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침대와 같은 부드러움이나 편안함과 같은 안정감을 주지 못하며, 특히 이러한 장치는 가정에서 사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03-32529호 "취침유도기 및 수면유도방법"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반복적인 학습에 의해 검출한 주파수 대역의 진동을 출력하여 최적의 수면 유도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센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면을 취하려는 사용자에게 오히려 불편함을 주고, 일정 주파수의 진동만 발생시켜 주는 것 외에는 아무런 기능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496089호 "음파 진동을 이용한 기능성 침대"를 개발했는데, 이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침대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침대의 베드부를 복수의 쇽업쇼바와 코일스프링이 지지하고 음파진동기에서 음파를 발생시켜 베드부를 진동시킴으로써 신체를 자극하여 순환장애, 어지럼증, 불면증 등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 온열치료가 가능하도록 한 침대이다. 그런데 상기 치료에 많은 효과는 있으나, 발열히터가 베드의 바닥에 배선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은 따뜻한데 사용자에게 원적외선을 조사해 줄 수 없고,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침대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하기 위해 침대에 누우면 단시간 내에 잠이 들어서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에 의한 생체기능 활성화 등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고,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서 침대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힐링될 수 있는 침대에 대해 꾸준히 연구 개발을 하던 중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석을 코일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여줌으로써 코일 주위의 자기장을 변화시켜 유도전류와 기전력을 발생시켜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발생기에서 발생된 자력(磁力)에 의하여 베드를 부상(浮上)하게 하고, 휴식 또는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진동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 또는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며,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면서 원적외선에 의해 생체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드 위에 원적외선을 방출시키는 돔(dome)형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여 돔 형상의 평판부를 받침대 삼아 침대에 앉아서 독서를 하거나 차를 마시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고, 알람 설정해 놓은 시간에 베드의 일부를 일정 각도만큼 일으켜 세워서 사용자를 웨이크업(wake-up)시켜 주는 기능을 갖는,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는, 상방이 개방된 통 형상의 보빈; 상기 보빈의 통 형상 외주면에 권취된 코일; 외주면의 직경이 상기 보빈의 통 형상 내주면 직경보다 크기가 작고,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자석; 상기 자석의 상단에 부착 설치되어, 자석과 함께 일체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하부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석과 하부판이 보빈의 개방된 상부를 통과하여 일정 거리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진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자석의 하단에는, 자석과 하판부가 상하방향 운동을 할 때 보빈의 통 형상 내부로 가이드하는 내부링이 더 부착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진동발생기의 하부판은, 하부는 자석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판의 상부에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중공부(中空部)가 구비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외부링이 부착 설치되어, 외부링이 상기 자석과 하부판이 상하방향 운동을 할 때, 보빈의 통 형상 외부에서 가이드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웰빙 침대는, 침대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부분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베드가 놓이게 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설치되어, 상기 베드의 하부를 받쳐 주도록 설치된 판상(板狀)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고정 설치된 받침판; 상기 플레이트와 받침판 사이에 양단(兩端)이 각각 결합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이면서 베드를 진동시켜 주게 되는 진동발생기; 양단(兩端)이 상기 플레이트와 받침판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진동발생기를 중심으로 균등 분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제1 내지 제4구성부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인접하는 구성부끼리는 힌지결합부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며, 제1구성부와 베이스프레임 사이 및 제3구성부와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및 제3구성부를 경사지도록 일으켜 세워주는 제1 및 제2실린더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각각 설치되고, 상부프레임의 상부에는 돔(dome) 형상의 슬라이딩커버가 구비되고, 슬라이딩커버가 가이드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커버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커버는, 돔 형상의 표면을 따라 일정 길이의 판재 형태로 부착된 목재; 상기 목재의 하부에 배치된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열선이 내재된 필름; 상기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며, 열선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발산하게 되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의 하부에 배치된 마감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커버는, 상부는 평평한 평판부이고, 평판부의 양 측면으로는 원호 형상의 라운드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침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는 설정한 일정 시간에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알람 기능을 구비하며, 청각적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제1실린더가 작동하여 제1구성부가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일으켜 세워지도록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는, 원형 형상으로 권취한 코일 내부에서 자석을 움직여줌으로써 자기장의 세기를 변화시켜서 전류가 유도되고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어, 진동발생기의 상부에 결합시킨 베드와 같은 물체를 자기부상(磁氣浮上)시켜 특정 주파수로 진동시켜 주게 되므로, 소음이 거의 없고 부드럽게 흔들리는 진동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웰빙 침대는, 자력발생기에서 발생시킨 자력(磁力)에 의해 베드가 부상(浮上)하게 되고, 베드가 공중에 부상된 상태에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으로 진동시켜 줌으로써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거나 평온한 상태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서 침대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힐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웰빙 침대는, 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내부에 원적외선을 방출시키는 소재를 사용하여 만든 돔형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원적외선을 쪼이면서 돔 형상의 평판부를 받침대 삼아 침대에 앉아서 독서를 하거나 차를 마시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해주고, 원적외선을 쪼이면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어서 생체기능을 활성화시켜 육체적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힐링시켜 주게 된다.
또, 베드가 길이방향을 따라 4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머리 부분만 일으켜 세우거나 또는 다리 부분만 일으켜 세워서 편안한 자세로 사용할 수 있고, 알람 설정해 놓은 시간에 베드의 머리 부분만 일정 각도만큼 일으켜 세워서 사용자를 확실하게 웨이크업(wake-up)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와 2b는 도 1의 작동시 각 구성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진동발생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진동발생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돔 형상의 슬라이딩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웰빙 침대의 기술적 특징은, 자력발생기에 의해 베드를 자기부상(磁氣浮上)시킨 상태에서 선택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진동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숙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고,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면서 원적외선에 의해 생체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했다는 점과, 알람 설정해 놓은 시간에 베드의 일부를 일정 각도만큼 일으켜 세워서 사용자를 확실하게 웨이크업시켜 주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기(30)는 보빈(31)과 보빈(31)에 권취된 코일(32), 자석(35)과 자석(35)의 상부에 부착된 하부판(36)을 기본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또한, 진동발생기(30)는 보빈(31)과 코일(32)로 구성되는 하부구성과, 자석(35)과 하부판(36)을 구비하는 상부구성이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상부구성이 보빈(31)의 개방된 상부를 통과하여 보빈(31)에서 코일(32)이 권취된 부분이 출몰하면서 일정 거리를 일정 주기로 상대적인 운동을 하게 되면 코일(32)에 유도전류와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상부부분에 결합된 물체(본 명세서의 경우에는 베드)에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보빈(31)은 상방이 개방된 통 형상인데, 원통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빈(31)의 통 형상 외주면에 코일(32)이 권취되게 되며, 코일(32)은 보빈(31)의 통 형상에서 상부부분에만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35)은 외주면의 직경이 보빈(31)의 통 형상 내주면 직경보다 크기가 약간 작고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자석(35)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보빈(31)의 통 형상 내주면으로 출몰할 수 있어야 한다.
하부판(36)은 자석(35)의 상단에 부착 설치되어 자석(35)과 함께 일체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구성인데, 하부는 자석(35)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발생기(30)를 침대(10)에 장착했을 때, 하부판(36)의 상단을 베드(13)의 하부를 받치고 있는 플레이트(126)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원활한 결합을 위해 하부판(36)의 상부에 받침대(37)을 더 결합시킬 수도 있다(도 4 참조). 물론 하부판(36)과 받침대(37)는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자석(35)의 하단에는 자석(35)과 하부판(36)이 상하방향 운동을 할 때 보빈(31)의 통 형상 내부로 가이드하는 내부링(33)을 부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판(36)의 상부에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의 하부에는 중공부(中空部)가 구비된 통 형상으로 형성된 외부링(34)을 부착 설치하여, 외부링(34)이 자석(35)과 하부판(36)이 상하방향 운동을 할 때 보빈(31)의 통 형상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링(33)과 외부링(34) 사이의 틈(간격)으로 보빈(31)의 통 형상의 측벽의 상부부분이 삽입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웰빙 침대(10)는, 침대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11)을 구비하고, 베이스프레임(11)의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부분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그 상부에는 상부프레임(12)이 설치되며, 상부프레임(12)의 상부에 메트리스와 같은 베드(13)가 놓이게 된다.
사용자가 눕게 되는 베드(13)를 진동시켜 주기 위해 진동발생기(30)가 설치되게 되는데, 진동발생기(30)는 상부가 플레이트(126)와 결합되고, 하부는 받침판(15)과 결합되어 설치되게 된다. 플레이트(126)는 판상(板狀)의 부재인데, 상부프레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설치되어, 베드(13)의 하부를 받쳐 주도록 설치된다. 플레이트(126)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2구성부(122) 하부를 받쳐 주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2구성부(122)와 제3구성부(123)의 하부를 받쳐 주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받침판(15)은 플레이트(126)와 대응되는 위치에 베이스프레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고정 설치되고, 하부구성과 상부구성으로 분리되어 구성된 진동발생기(30)에서 보빈(31)의 하부와 결합되어 진동발생기(30)의 하부구성을 고정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진동발생기의 하부구성이 고정되고, 자석(35)과 하부판(36)을 구비한 상부구성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하부구성에 구비된 코일(32) 내부를 움직이면서 자기장을 변화시켜 기전력이 발생하면 베드(13)가 진동을 하게 된다.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진동의 세기가 변하면서 진동 주파수를 조정하여, 원하는 주파수로 셋팅할 수 있게 된다.
즉, 진동발생기(30)는 플레이트(126)와 받침판(15) 사이에 양단(兩端)이 각각 결합 설치되며, 플레이트(126)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이면서 베드(13)를 진동시켜 주게 된다. 또한, 양단(兩端)이 플레이트(126)와 받침판(15)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가이드핀(14)을 설치하여 진동발생기(3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가이드해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핀(14)은 진동발생기(30)를 중심으로 좌우에 균등 분포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진동발생기(30)를 중심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코일스프링(141)을 더 배치할 수도 있다(도 3 참조).
상부프레임(12)은 길이방향에서 분할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제1 내지 제4구성부(121, 122, 123, 124)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인접하는 구성부끼리는 힌지결합부(125)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각 구성부의 하부에는 지지대(121a, 122a, 123a, 124a)를 각각 설치하여 제1 내지 제4구성부(121, 122, 123, 124)가 수평하게 펼쳐질 때 지지대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1)에 지지되어 베드(13)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드(13)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상체의 상부부분이 위치하게 되는 제1구성부(121)와 베이스프레임(11) 사이 및 하체 부분이 위치하게 되는 제3구성부(123)와 베이스프레임(11) 사이에는 각각 제1 및 제2실린더(111, 112)를 설치하여, 제1 및 제2실린더(111, 112)가 작동하여 제1 및 제3구성부(121, 123)를 경사지도록 일으켜 세워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구성부(123)가 경사지도록 세워지면 제4구성부(124)는 제3구성부(123)를 따라 세워져서 힌지결합부(125)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일정 높이에서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은 경사지도록 세워지고 장단지 부분은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도 2b 참조).
미설명 부호 40은 제어부인데, 제어부(40)는 침대(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부이다. 제어부(40)에는 사용자가 설정해 둔 일정 시간에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알람 기능을 구비하며, 청각적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제1실린더(111)가 작동하여 제1구성부(121)가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일으켜 세워지도록 작동하여 사용자를 확실하게 웨이크업(wake-up)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설명 부호 45는 스피커인데, 침대(10)에 눕거나 앉아서 휴식을 취할 때 음악 또는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가 돔(dome) 형상의 슬라이딩커버(20)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인데, 상부프레임(12)의 상부에 설치된 슬라이딩커버(20)는 상부프레임(12)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된 가이드레일(16)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며, 슬라이딩커버(20)는 가이드레일(16)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할 때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커버(20)는 전체를 둥그런 돔 형상으로 할 수도 있지만, 상부는 평평한 평판부(28)로 형성하고, 평판부(28)의 양 측면으로는 원호 형상의 라운드부(27)로 구성하여, 평판부(28)를 받침대 삼아 침대(10)에 앉아서 독서를 하거나 차를 마시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커버(20)의 측면 또는 상부프레임(12)의 일정 부분에는 센서를 장착하여, 슬라이딩커버(20)가 제1 내지 제4구성부(121, 122, 123, 124)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해당 구성부는 경사지게 세워지지 않도록 제어되어, 상부프레임의 분할된 제1 내지 제4구성부(121, 122, 123, 124)가 세워지면서 슬라이딩커버(20)가 전복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커버(20)는, 돔 형상의 표면을 따라 일정 길이의 판재 형태로 부착된 목재(21)와, 목재(21)의 하부에 배치된 단열재(22)와, 단열재(22)의 하부에 배치되며 열선이 내재된 필름(23)과, 필름(23)의 하부에 배치되어 열선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발산하게 되는 금속판(24)과, 금속판(24)의 하부에 배치된 마감재(2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도 5 참조).
목재(21)는 건강에 좋은 편백나무로 만든 일정 폭의 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판(24)은 일정 폭의 띠 형상으로 된 티타늄 금속을 사용하는데, 띠 형상의 금속판(24)은 목재(21)가 배치되는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해야 돔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목재(21)는 일정 폭의 판재를 베드(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띠 형상의 금속판(24)은 베드(13)의 폭 방향으로 배치하면서 돔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하여야 한다(도 5 참조). 티타늄이 금속 중에서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최대로 방출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반드시 티타늄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금속의 재질은 얼마든지 변경할 수도 있다.
마감재(25)는 직물(textur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돔 형상의 내부에 부착시키게 되며, 돔 형상에서 개방된 전후방에도 직물을 부착하여 개방된 부분을 커튼처럼 가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침대 11 : 베이스프레임
111 : 제1실린더 112 : 제2실린더
12 : 상부프레임 121 : 제1구성부
122 : 제2구성부 123 : 제3구성부
124 : 제4구성부 125 : 힌지결합부
126 : 플레이트
13 : 베드
14 : 가이드핀 141 : 코일스프링
15 : 받침판 16 : 가이드레일
20 : 슬라이딩커버 21 : 목재
22 : 단열재 23 : 필름
24 : 금속판 25 : 마감재
27 : 라운드부 28 : 평판부
30 : 진동발생기 31 : 보빈
32 : 코일 33 : 내부링
34 : 외부링 35 : 자석
36 : 하부판 37 : 받침대
40 : 제어부 45 : 스피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침대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는 부분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베드가 놓이게 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설치되어, 상기 베드의 하부를 받쳐 주도록 설치된 판상(板狀)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폭으로 고정 설치된 받침판;
    상기 플레이트와 받침판 사이에 양단(兩端)이 각각 결합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이면서 베드를 진동시켜 주게 되는 진동발생기;
    양단(兩端)이 상기 플레이트와 받침판 사이에 각각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진동발생기를 중심으로 균등 분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가이드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제1 내지 제4구성부로 분할되어 구성되고, 인접하는 구성부끼리는 힌지결합부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구성부와 베이스프레임 사이 및 제3구성부와 베이스프레임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1 및 제3구성부를 경사지도록 일으켜 세워주는 제1 및 제2실린더가 장착되어 있으며,
    침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는 설정한 일정 시간에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알람 기능을 구비하며, 청각적으로 알려줌과 동시에 제1실린더가 작동하여 제1구성부가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일으켜 세워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는 돔(dome) 형상의 슬라이딩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커버가 가이드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커버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커버는,
    돔 형상의 표면을 따라 일정 길이의 판재 형태로 부착된 목재;
    상기 목재의 하부에 배치된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하부에 배치되며, 열선이 내재된 필름;
    상기 필름의 하부에 배치되며, 열선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발산하게 되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의 하부에 배치된 마감재;
    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커버는, 상부는 평평한 평판부이고, 평판부의 양 측면으로는 원호 형상의 라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기는,
    상방이 개방된 통 형상의 보빈;
    상기 보빈의 통 형상 외주면에 권취된 코일;
    외주면의 직경이 상기 보빈의 통 형상 내주면 직경보다 크기가 작고,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자석;
    상기 자석의 상단에 부착 설치되어, 자석과 함께 일체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하부판;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석과 하부판이 보빈의 개방된 상부를 통과하여 일정 거리를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진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KR1020170154878A 2017-11-20 2017-11-20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KR101983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78A KR101983648B1 (ko) 2017-11-20 2017-11-20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78A KR101983648B1 (ko) 2017-11-20 2017-11-20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648B1 true KR101983648B1 (ko) 2019-09-10

Family

ID=67951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878A KR101983648B1 (ko) 2017-11-20 2017-11-20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6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44A1 (ko) * 2020-07-07 2022-01-13 재단법인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마이크로 로봇 이동제어를 위한 베드 통합형 전자기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로봇 구동 방법
CN114931299A (zh) * 2022-05-26 2022-08-23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杀菌除螨的竹纤维磁疗床垫
US12002620B2 (en) 2020-07-07 2024-06-04 Korea Institute Of Medical Microrobotics Bed-integrated electromagnetic fiel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microrobot and method for driving microrobot by using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678A (ja) * 2002-06-27 2004-01-29 Fujikura Ltd 睡眠誘導機能付きの人体を休ませる装置
KR100989808B1 (ko) * 2010-02-25 2010-10-29 민진영 싱글 마그넷 구조의 자기회로를 이용한 진동형 운동장치
KR101234882B1 (ko) * 2011-09-22 2013-02-19 (주)태연메디칼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KR101374265B1 (ko) * 2012-11-13 2014-03-14 (주)태연메디칼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KR101476050B1 (ko) * 2013-08-30 2014-12-23 신희섭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
KR20170001858U (ko) * 2015-11-19 2017-05-29 박진하 온열침대 찜질장치
KR20170123024A (ko) * 2016-04-28 2017-11-07 정용채 신체부위별 배치각도 조절형 전동 침대프레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678A (ja) * 2002-06-27 2004-01-29 Fujikura Ltd 睡眠誘導機能付きの人体を休ませる装置
KR100989808B1 (ko) * 2010-02-25 2010-10-29 민진영 싱글 마그넷 구조의 자기회로를 이용한 진동형 운동장치
KR101234882B1 (ko) * 2011-09-22 2013-02-19 (주)태연메디칼 진동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동운동 재활 트레이닝 장치
KR101374265B1 (ko) * 2012-11-13 2014-03-14 (주)태연메디칼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KR101476050B1 (ko) * 2013-08-30 2014-12-23 신희섭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
KR20170001858U (ko) * 2015-11-19 2017-05-29 박진하 온열침대 찜질장치
KR20170123024A (ko) * 2016-04-28 2017-11-07 정용채 신체부위별 배치각도 조절형 전동 침대프레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044A1 (ko) * 2020-07-07 2022-01-13 재단법인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마이크로 로봇 이동제어를 위한 베드 통합형 전자기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로봇 구동 방법
US12002620B2 (en) 2020-07-07 2024-06-04 Korea Institute Of Medical Microrobotics Bed-integrated electromagnetic fiel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microrobot and method for driving microrobot by using same
CN114931299A (zh) * 2022-05-26 2022-08-23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杀菌除螨的竹纤维磁疗床垫
CN114931299B (zh) * 2022-05-26 2023-10-20 和也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杀菌除螨的竹纤维磁疗床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648B1 (ko)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US20120209157A1 (en) Massage Table for Recumbent or Seated Person
KR101154934B1 (ko) 견인치료 및 운동마사지용 의료장치
US20130261378A1 (en) Device for multisensory stimulation
US20110137217A1 (en) Method and device preserving of infant sleep and avoidance of infant adaptation
KR102158827B1 (ko) 수면 유도 기능을 갖는 전동침대
US20060277680A1 (en) Vibratable, sound-emitting, and inflatable sleeping bag for providing deep pressure
JP2008528146A (ja) 血液循環を改善するための振動装置を備えた座るか横たわるための家具
GB2167961A (en) Apparatus for shortening sleep latency
WO2016085301A1 (ko) 음향 압력을 이용한 안마용 마사지 장치 및 방법
KR20180100280A (ko) 사물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안마 의자 장치
KR20160064868A (ko) 음향 압력을 이용한 회전복합형 안마용 마사지 장치 및 방법
KR20120100153A (ko) 지능형 온열 저주파 안마매트
WO1995003088A1 (fr) Appareil de magnetotherapie
CN213312755U (zh) 一种智能助眠设备
KR100383311B1 (ko) 건강용 전기 안마매트
CN105996628A (zh) 用于刺激颈椎的枕头
KR200474317Y1 (ko) 수면공간대
KR101999893B1 (ko) 파동 찜질 베드 및 그 제어방법
KR101520537B1 (ko) 음악치료를 겸한 지압 및 경락마사지용 침대
CN113425534A (zh) 一种多功能熵减仪
WO2020066325A1 (ja) マッサージ装置
JP6755599B2 (ja) 頭蓋骨振動装置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US20170273475A1 (en) Vibration device for beds
CN210870679U (zh) 一种多功能按摩床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