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265B1 -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265B1
KR101374265B1 KR1020120128280A KR20120128280A KR101374265B1 KR 101374265 B1 KR101374265 B1 KR 101374265B1 KR 1020120128280 A KR1020120128280 A KR 1020120128280A KR 20120128280 A KR20120128280 A KR 20120128280A KR 101374265 B1 KR101374265 B1 KR 101374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near bushing
spring
vibration
vib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운
Original Assignee
(주)태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연메디칼 filed Critical (주)태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20128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및 리니어 부싱에 별도의 탄발 스프링 이탈방지부재를 설치토록 함으로서 탄발 스프링의 뒤틀림을 막는 동시에 탄발 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탄발 스프링의 파손을 막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동유닛과 탄발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을 포함하는 파동형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발부재는, 가이드봉과 플렌지가 일체형 또는 결합된 형태이고, 플렌지에는 상부패널과 볼트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결합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하부패널을 깃점으로 상부패널이 안정되게 수직운동하면서 진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동유닛의 진동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되어 내부에서 가이드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원통형 형상의 리니어 부싱과; 원통형 몸체와 플렌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및 리니어 부싱을 원통형 몸체에 삽입하되,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리니어 부싱을 안착시키고, 가이드가 유동할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 구조의 리니어 부싱 케이스와; 상기 가이드봉의 하부에 설치되며 리니어 부싱의 하단에 걸리도록 리니어 부싱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너비를 갖는 디스크형 구조의 이탈방지부재와; 상기 리니어부싱 케이스의 외주연에 설치되하되 가이드를 구성하는 가이드 플렌지의 저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가이드가 하부방향으로 이동시 탄발력을 제공하여 가이드가 완충되면서 상하 유동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WAVE TYPE MOTION MECHANISM HAVING VIBRATION}
본 발명은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이드 및 리니어 부싱에 별도의 탄발 스프링 이탈방지부재를 설치토록 함으로서 탄발 스프링의 뒤틀림을 막는 동시에 탄발 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탄발 스프링의 파손을 막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발전하면서 우리 인간은 건강에 대하여 많은 신경을 쓰게 되면서 다이어트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고, 또 다이어트를 하기 위한 각종 운동기구 및 건강보조식품이 범람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현대인들은 바쁜 생활 때문에 여유를 가질 시간이 부족하였고, 또한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부분의 운동기구는 운동기구가 작동하면서 직접 신체를 움직여야 하는 것에 반하여 더욱 쉽게 그 효과를 얻기 바라지만 그 효과를 얻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비만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운동을 소홀하게 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사업의 발달로 인한 시간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한 운동 부족과 교통 및 산업 재해, 노인 인구 증가로 인한 노인성 질환자의 증가로 인한 효율적 운동기가 필요하며 본 발명의 파동형운동기기는 진동수 및 진폭을 정량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개인의 상태 및 조건에 따라 운동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적으로 활동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수직 또는 좌우로 미세 진동을 주고 여러 가지 자세로 진동하는 발판에 올라서는 것만으로 다이어트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진동 운동기구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와 같은 운동기구의 선행기술로는 근력 강화기용 발판 진동 구조(특허출원 제10-2004-84610호)와 진동형 운동장치(특허출원 제10-2004-87126호)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근력 강화기용 발판 진동 구조는 승강 가이드; 가이드 봉; 리니어 모터; 연결수단; 탄발부재; 보강 탄발부재;를 구비하여 지지 프레임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한 조의 승강 가이드에 발판의 가이드 봉을 삽설시켜 발판이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지지 프레임의 바닥에는 동력의 전동방향이 자유로운 연결수단을 통해 발판과 연결되는 리니어 모터를 설치하도록 한 것으로,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의 절감과 고장 발생률을 감소함과 아울러 동작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진동형 운동장치는 제 1요크와 제 2요크, 구동코일이 구비되는 수직 구동부; 보빈 가이드; 보빈 가이드 봉; 조인트; 베이스; 가이드; 진동 흡수 수단;을 구비하여 강한 자력을 발생할 수 있는 자석을 이용한 자기회로와 자기 갭에 진동판과 연결된 보빈 코일을 배치한 구조를 채용함에 의해 충분한 수직 운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한 기술들은 듀얼마그넷 구조의 음파 제너레이터를 활용하기 때문에 스피커와 마찬가지로 진동주파수와 가속도를 아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진폭 2cm 이상 가속도 3G 이상의 힘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며 구성하고 있는 재료의 단가가 매우 높은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코자 제안된 등록특허 제 10-0989808호는 고출력 및 고효율 특성을 갖는 싱글 마그넷 구조의 운동장치인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부패널(100)과 하부패널(110)의 진동에 의한 완충역할을 해주기 위하여 상부패널(100)과 하부패널(110)의 사이에는 2개의 완충스프링(120)이 장착하고, 상기 완충스프링(120)이 진동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패널(100)과 하부패널(110)에 장착된 합성수지재의 브라켓(121)에 완충스프링(120)을 고정시켰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완충 스프링(120)을 브라켓(121)에 고정시킴으로 인해서 상하 진동을 완충시키는 과정에서 스프링에 감겨있는 방향으로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내구성이 약해짐과 동시에 지속적인 조임현상으로 파손 및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 자체의 좌우 뒤틀림으로 인하여 가이드의 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탄발 스프링의 상하 고정구조를 삭제하여 탄발 스프링의 뒤틀림을 막도록 하고, 또한 가이드 및 리니어 부싱에 별도의 탄발 스프링 이탈방지부재를 설치토록 함으로서 탄발 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탄발 스프링의 파손을 막고 탄발 스프링의 소음을 차단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프링 이탈방지부재의 일단에 완충 수단을 더 장착하여 탄발 스프링이 압축후 탄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탈방지부재가 리니어 부싱 하단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진동유닛(300)과 탄발부재(400)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상부패널(500) 및 하부패널(200)을 포함하는 파동형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발부재(400)는, 가이드봉(412)과 플렌지(411)가 일체형 또는 결합된 형태이고, 플렌지(411)에는 상부패널(500)과 볼트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결합홀(410a)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하부패널(200)을 깃점으로 상부패널(500)이 안정되게 수직운동하면서 진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동유닛(300)의 진동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가이드(410)와; 상기 가이드봉(412)이 삽입되어 내부에서 가이드(41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원통형 형상의 리니어 부싱(420)과; 원통형 몸체(431)와 플렌지(432)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410) 및 리니어 부싱(420)을 원통형 몸체(431)에 삽입하되, 내주연에 걸림턱(431a)이 형성되어 리니어 부싱(420)을 안착시키고, 가이드(410)가 유동할 공간부(423)를 갖는 원통형 구조의 리니어 부싱 케이스(430)와; 상기 가이드봉(412)의 하부에 설치되며 리니어 부싱(420)의 하단에 걸리도록 리니어 부싱(420)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너비를 갖는 디스크형 구조의 이탈방지부재(440)와; 상기 리니어부싱 케이스(430)의 외주연에 설치되하되 가이드(410)를 구성하는 가이드 플렌지(411)의 저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가이드(41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시 탄발력을 제공하여 가이드(410)가 완충되면서 상하 유동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440)의 하단에는 이탈방지부재를 가이드봉 하단에 결합시키기 위한 이탈방지부재 고정볼트(441)를 더 구비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440)의 상부에는 이탈방지부재가 가이드봉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480)를 더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480)는 완충 스프링(481)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480)는 완충 고무부재(482)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리니어 부싱(420)의 외주연에는 삽입홈(420a)을 더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420a)에는 스냅링(421)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렌지(411)의 저면과 탄발 스프링(450) 사이에는 상부 스프링 안착부재(460)를 더 설치하고, 상기 리니어 부싱 케이스 플렌지(432)의 하부면과 스프링 사이는 하부 스프링 안착부재(47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발 스프링의 상하 고정구조를 삭제하여 탄발 스프링의 뒤틀림을 막도록 하고, 또한 가이드 및 리니어 부싱에 별도의 탄발 스프링 이탈방지부재를 설치토록 함으로서 탄발 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탄발 스프링의 파손을 막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 이탈방지부재의 일단에 완충 수단을 더 장착하여 탄발 스프링이 압축후 탄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탈방지부재가 리니어 부싱 하단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진동형 운동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진동형 운동장치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파동형 운동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동형 운동장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동형 운동장치 일부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탄발장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탄발장치 분해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탄발장치 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탄발장치 작동상태도.
도 8a는 본 발명의 탄발장치 제 1 실시예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구성의 탄발장치 단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구성의 탄발장치 작동상태도.
도 9a는 본 발명의 탄발장치 제 2 실시예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구성의 탄발장치 단면도.
도 9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구성의 탄발장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파동형 운동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동형 운동장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동형 운동장치 일부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탄발장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탄발장치 분해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탄발장치 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탄발장치 작동상태도.
본 발명의 파동형 운도장치 구성요소는 운동기구 본체(100)와, 하부패널(200)과, 진동유닛(300)과, 탄발부재(400)와, 상부패널(500)과, 상부 케이스(600) 및 발판(7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운동기구 본체(100)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기 위한 손잡이(110)와 상기 손잡이를 내장하기 위한 손잡이 케이스(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패널(200)은 판형태로 이루어지며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홀(200a, 200b)이 형성되어 진동유닛 및 탄발부재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시킨다.
상기 진동유닛(300)은 상기 하부패널(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진동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탄발부재(400)는 상기 하부패널(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진동유닛(300)을 통해 발생된 상하진동에 대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패널(500)은 진동유닛(300) 및 탄발부재(4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진동 및 복원력을 전달한다. 그리고 결합홀(500a, 500b)가 형성되어 진동유닛 및 탄발부재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하여 이들을 고정시킨다.
상기 상부 케이스(600)는 상부패널(500)과 진동유닛(300) 및 탄발부재(400)를 커버링하여 상부패널(500)의 진동 및 복원력을 상부로 전달한다.
상기 발판(700)은 상부 케이스(600)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밟고 올라설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 수단이 장착된다.
이하에서 탄발부재(4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발부재(400)는 가이드봉과 플렌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410)와, 리니어 부싱(420)과, 스냅링(421)과, 리니어 부싱 케이스(430)와, 이탈방지부재(440)와, 이탈방지부재 고정볼트(441)와, 탄발스프링(450)과, 상부 스프링 안착부재(460)와, 하부 스프링 안착부재(47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410)는 가이드봉(412)과 플렌지(411)가 결합된 형태이고, 플렌지(411)에는 상부패널(500)과 볼트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결합홀(410a)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하부패널(200)을 깃점으로 상부패널(500)이 안정되게 수직운동하면서 진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동유닛의 진동에 따라 상하로 유동한다.
상기 리니어 부싱(420)은 가이드를 구성하는 가이드봉(412)이 삽입되어 내부에서 가이드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원통형 구조이며, 외주연에 삽입홈(420a)이 원형링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스냅링(421)은 리니어 부싱의 삽입홈(420a)에 결합되며 리니어 부싱 케이스(430)에 결합시 리니어 부싱 케이스(430)의 내주연에 결합되면서 리니어 부싱(420)이 리니어 부싱 케이스(4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니어 부싱 케이스(430)는 원통형 몸체(431)와 플렌지(432)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410) 및 리니어 부싱(420)을 원통형 몸체(431)에 삽입하되, 내주연에 걸림턱(431a)이 형성되어 리니어 부싱(420)을 안착시키고, 가이드가 유동할 공간부(433)를 갖는 원통형 구조이다. 그리고, 플렌지(432)에 결합홀(430a)이 형성되어 있어 하부패널과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결합시킨다.
상기 이탈방지부재(440)는 가이드봉(412)의 하부에 설치되며 리니어 부싱(420)의 하단에 걸리도록 리니어 부싱(420)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너비를 갖는 디스크형 구조이다.
상기 이탈방지부재 고정볼트(441)는 이탈방지부재(440)를 가이드봉(412)의 하단에 결합시키는 구성수단이다.
상기 탄발 스프링(450)은 리니어부싱 케이스(430)의 외주연에 설치되하되 가이드(410)를 구성하는 가이드용 플렌지(411)의 저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가이드(41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시 탄발력을 제공하여 가이드(410)가 완충되면서 상하 유동되도록한다.
상기 상부 스프링 안착부재(460)는 가이드용 플렌지(411)의 저면과 탄발 스프링(450) 사이에 설치되어 탄발 스프링(450)과 가이드용 플렌지(411)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스프링 안착부재(470)는 리니어 부싱 케이스용 플렌지(432)의 하부면과 탄발 스프링(450) 사이에 설치되어 탄발 스프링(450)과 리니어 부싱 케이스 용 플렌지(432)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진동유닛(300)이 상호로 진동하여 상부패널(500)이 상하로 진동할 때 상기 상부패널(500)에 고정된 가이드(410)가 상하로 진동한다.
가이드(410)의 상하 진동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가이드(410)가 하강시에는 가이드봉(412)이 리니어 부싱 케이스(430)의 공간부(433) 내부로 진입하면서 하부패널(200)로부터 가이드(410)의 상부 끝단까지의 거리가 짧아지게 되며, 이때 탄발 스프링(450)이 압축되면서 가이드(410)의 하강으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그리고, 이때 탄발 스프링(450)은 가이드용 플렌지(411)와 리니어 부싱 케이스(430)의 플렌지(432) 사이에서 완충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스프링 안착부재(460)와 하부 스프링 안착부재(470) 사이에서 완충되므로 가이드용 플렌지(411) 및 리니어 부싱 케이스용 플렌지(432)와 직접 접면하지는 않는다.
이후, 가이드(410)가 상승시에는 가이드봉(412)이 리니어 부싱 케이스(430)의 공간부(433)를 벗어나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부패널(200)로부터 가이드(410)의 상부 끝단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며, 이때 가이드봉(412) 하단에 설치된 이탈방지부재(440)가 리니어 부싱(420)의 하단에 걸리면서 계속적인 상승이 차단된다.
즉, 상기 이탈방지부재(440)가 존재하지 않으면 탄발 스프링(450)의 탄발력에 의해서 가이드봉(412)이 계속 상승하여 가이드용 플렌지(411)가 결합된 상부패널(500)이 기준이상 상승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탈방지부재(440)가 가이드봉(412)의 상승을 제한하기 때문에 탄발 스프링(450)의 탄발이 계속되더라도 상부패널(500)이 기준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다시말해서, 본 발명은 탄발 스프링(450)의 상부와 하부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탈방지부재(440)가 가이드(41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으면 상부 방향으로 튕겨 올라갈 수 있으나, 이탈방지부재(440)가 가이드(410)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기 때문에 가이드(410)가 상부로 튕겨 올라가지 않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이탈방지부재(440)가 상승하면서 리니어 부싱(420)에 직접 부디치는 구조이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아울러 이탈방지부재(440)의 파손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탈방지부재(440)의 상부면에 완충부재(480)를 더 부가하는바, 상기 완충부재(480)는 완충 스프링(481) 또는 완충 고무부재(482)일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탄발장치 제 1 실시예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구성의 탄발장치 단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구성의 탄발장치 작동상태도로서,
상기와 같이 완충 스프링(450)을 이탈방지부재(440)의 상부면에 결합하게 되면 가이드봉(412)이 하강시에는 자연스럽게 탄발되면서 하강하게 되고, 가이드봉(412)이 상승시에는 탄발 스프링(450)이 작용하여 순간적으로 가이드봉(412)이 이동할때 완충 스프링(450)이 압축되므로 이탈방지부재(440)가 리니어 부싱(420)에 강력하게 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탄발장치 제 2 실시예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구성의 탄발장치 단면도.
도 9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구성의 탄발장치 작동상태도로서,
완충 고무부재(482)를 이탈방지부재(440)의 상부면에 결합하게 되면 가이드봉(412)이 상승시에 완충 고무부재(482)가 리니어 부싱(420)에 접촉되기 때문에 이탈방지부재(440)가 리니어 부싱(420)에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탄발부재를 구성하는 탄발 스프링을 고정하는 구조로 제작하지 않고, 대신에 가이드의 움직임을 한정하는 구조를 가이드의 하단부에 구성하기 때문에 탄발 스프링의 뒤틀림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100: 운동기구 본체
200: 하부패널
300: 진동유닛
400: 탄발부재
410: 가이드
420: 리니어 부싱
420a: 결합홈
421: 스냅링
430: 리니어 부싱 케이스
440: 이탈방지부재
441: 이탈방지부재 고정볼트
450: 탄발스프링
460: 상부 스프링 안착부재
470: 하부 스프링 안착부재
480: 완충부재
481: 완충 스프링
482: 완충 고무부재
500: 상부패널
600: 상부 케이스
700: 발판

Claims (7)

  1. 진동유닛(300)과 탄발부재(400)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상부패널(500) 및 하부패널(200)을 포함하는 파동형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발부재(400)는,
    가이드봉(412)과 플렌지(411)가 일체형 또는 결합된 형태이고, 플렌지(411)에는 상부패널(500)과 볼트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결합홀(410a)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하부패널(200)을 깃점으로 상부패널(500)이 안정되게 수직운동하면서 진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동유닛(300)의 진동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가이드(410)와;
    상기 가이드봉(412)이 삽입되어 내부에서 가이드(41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원통형 형상의 리니어 부싱(420)과;
    원통형 몸체(431)와 플렌지(432)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410) 및 리니어 부싱(420)을 원통형 몸체(431)에 삽입하되, 내주연에 걸림턱(431a)이 형성되어 리니어 부싱(420)을 안착시키고, 가이드(410)가 유동할 공간부(423)를 갖는 원통형 구조의 리니어 부싱 케이스(430)와;
    상기 가이드봉(412)의 하부에 설치되며 리니어 부싱(420)의 하단에 걸리도록 리니어 부싱(420)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너비를 갖는 디스크형 구조의 이탈방지부재(440)와;
    상기 리니어부싱 케이스(430)의 외주연에 설치되하되 가이드(410)를 구성하는 가이드 플렌지(411)의 저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가이드(41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시 탄발력을 제공하여 가이드(410)가 완충되면서 상하 유동되도록 유도하는 탄발 스프링(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440)의 하단에는 이탈방지부재를 가이드봉 하단에 결합시키기 위한 이탈방지부재 고정볼트(44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440)의 상부에는 이탈방지부재가 가이드봉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48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480)는 완충 스프링(4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480)는 완충 고무부재(4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부싱(420)의 외주연에는 삽입홈(420a)을 더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420a)에는 스냅링(421)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렌지(411)의 저면과 탄발 스프링(450) 사이에는 상부 스프링 안착부재(460)를 더 설치하고, 상기 리니어 부싱 케이스 플렌지(432)의 하부면과 스프링 사이는 하부 스프링 안착부재(47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KR1020120128280A 2012-11-13 2012-11-13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KR101374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80A KR101374265B1 (ko) 2012-11-13 2012-11-13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80A KR101374265B1 (ko) 2012-11-13 2012-11-13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4265B1 true KR101374265B1 (ko) 2014-03-14

Family

ID=5064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280A KR101374265B1 (ko) 2012-11-13 2012-11-13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2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1313B1 (ja) * 2014-05-07 2015-03-04 清 菊川 片足立ち運動装置
KR101983648B1 (ko) * 2017-11-20 2019-09-10 (주)태연메디칼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891B1 (ko) 1999-01-27 2002-02-07 장종복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309144Y1 (ko) 2002-10-31 2003-03-31 손열삼 체크 밸브
KR100847117B1 (ko) 2008-01-31 2008-07-18 세정감리(주) 기후 변화에 따른 간격 보정이 가능한 배전탑용 간격 보정유닛
KR100989808B1 (ko) 2010-02-25 2010-10-29 민진영 싱글 마그넷 구조의 자기회로를 이용한 진동형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891B1 (ko) 1999-01-27 2002-02-07 장종복 코일스프링 경첩의 탄발력 조절장치
KR200309144Y1 (ko) 2002-10-31 2003-03-31 손열삼 체크 밸브
KR100847117B1 (ko) 2008-01-31 2008-07-18 세정감리(주) 기후 변화에 따른 간격 보정이 가능한 배전탑용 간격 보정유닛
KR100989808B1 (ko) 2010-02-25 2010-10-29 민진영 싱글 마그넷 구조의 자기회로를 이용한 진동형 운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1313B1 (ja) * 2014-05-07 2015-03-04 清 菊川 片足立ち運動装置
KR101983648B1 (ko) * 2017-11-20 2019-09-10 (주)태연메디칼 자력에 의한 진동발생기를 장착한 웰빙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265B1 (ko) 진동유닛을 구비한 파동형 운동장치
KR101423568B1 (ko) 안전한 트램폴린
JP6796991B2 (ja) 振動減衰装置、及びこの振動減衰装置が設けられた車両用シート
KR101476050B1 (ko) 수직진동형 운동장치의 진동기
KR100762915B1 (ko) 진동형 운동기구
KR100989808B1 (ko) 싱글 마그넷 구조의 자기회로를 이용한 진동형 운동장치
KR101842626B1 (ko) 진동형 운동기구의 소음 저감 장치
KR100854579B1 (ko) 승마형 운동기구 및 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방법
KR101177798B1 (ko) 운동기구
CN210212513U (zh) 一种方向盘减振装置
CN110528717B (zh) 基于磁流变弹性体的斜撑阻尼器
JP2013241227A (ja) エスカレータ
JP2005263365A (ja)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装置
KR101122507B1 (ko) 선형 진동자
CN110617932A (zh) 一种可调节震动平台
CN108061127A (zh) 服装设备防震底脚
TW201605513A (zh) 往復彈跳運動機及其緩衝節能的方法
CN210510130U (zh) 一种机电设备减震装置
KR100317743B1 (ko) 진동 및 음향 발생장치
KR102071247B1 (ko) 자기장을 이용한 수직 진동 운동 장치
KR101672385B1 (ko) 진동 소음 저감을 위한 댐퍼를 갖는 진동형 운동장치
CN220559799U (zh) 一种圆振动筛减振装置
KR10108314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휴대단말기용 리니어 액츄에이터
JP2007275695A (ja) 振動体
CN212615252U (zh) 一种隔振降噪装置及带有该隔振降噪装置的气泵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