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990A -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 Google Patents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990A
KR20210058990A KR1020217013736A KR20217013736A KR20210058990A KR 20210058990 A KR20210058990 A KR 20210058990A KR 1020217013736 A KR1020217013736 A KR 1020217013736A KR 20217013736 A KR20217013736 A KR 20217013736A KR 20210058990 A KR20210058990 A KR 20210058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ody
component
receiving cavity
milk beverage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986B1 (ko
Inventor
싱지안 시옹
Original Assignee
싱지안 시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싱지안 시옹 filed Critical 싱지안 시옹
Publication of KR2021005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66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A47J31/4432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with means for keeping the beverage warm
    • A47J31/4435Heated support plates
    • A47J31/4439Heated support plates with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3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47J43/0465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with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A47J31/4432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with means for keeping the beverage warm
    • A47J31/4435Heated support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를 공개하는데, 컵체, 교반기, 베이스, 발열 플레이트, 온도 측정 컴포넌트 및 제1 레버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베이스 상단에는 컵체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수용 캐비티가 구비되어 있고, 수용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는 제1 방사 개구 및 제2 방사 개구가 설치되어 있고; 발열 플레이트는 수용 캐비티의 저부에 설치되고; 제1 레버 컴포넌트는 수용 캐비티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레버 컴포넌트의 제1단에는 돌기부가 제1 방사 개구로부터 수용 캐비티로 신장되고; 컵체가 수용 캐비티에 수납될 때, 컵체는 돌기부를 가압하고, 제1 레버 컴포넌트의 제2단을 통해 온도 측정 컴포넌트를 추동하여 제2 방사 개구로부터 수용 캐비티로 신장되어 컵체 측벽과 접촉한다.

Description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본 공개는 2018년 12월 13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 201811526511.1의 중국 특허출원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상 출원된 전부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공개에 결합된다.
본 출원은 액체 식품 각공 설비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는 가정용 및 상용 분야 모두에 있어 광범위한 응용을 가지게 되었는데, 일반적으로는 우유에 대한 가열, 교반, 발포가공을 수행하는 도구를 지칭하고, 비교적 자주 사용되는 것은 우유 거품기 또는 밀크티 기기이다.
시중 관련 기술 중의 우유 거품기는 주로 3개의 기능을 구비한다: 상온 우유 거품을 제조하고, 따뜻한 우유 거품을 제조하고, 우유를 가열하는 것으로, 우유를 가공 완료한 후, 커피에 부동(不同) 비율의 우유 및 우유 거품을 첨가하여, 카푸치노(cappuccino), 라떼(latte) 등 여러 고급 커피를 제조하고, 우유 가열 시 초콜렛을 첨가하여, 우유 초코 온음료를 제조하기도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미감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도 있다.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는 가열 과정 중, 온도 제어 장치를 통해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의 컵체에 있는 우유에 대해 온도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우유 온도를 호적의 발포 온도의 프리셋(preset)값(일반적으로 60-70도)으로 제어함으로써, 충분한 우유 발포량 및 좋은 식감을 유지한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통상적으로는 발열 플레이트에 하나의 통공을 설치하고, 온도 제어 장치는 상기 통공에 설치함으로써 컵체의 저부와 접촉하여 온도 측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등록공고 번호 CN101485541B인 특허발명의 경우, 액체 식품 가열, 교반, 발포컵을 공개하는데, 이 컵은 가열 시트체 내의 발열 플레이트와 분리 가능하다. 상기 특허발명 명세서 제6 페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 플레이트는 그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3개의 통공을 구비하고, 각각 플랜지를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발열 플레이트 중심에 위치한 중심 구멍, 온도 제어기를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통공, 및 마이크로 스위치를 가동하는데 사용되는 푸시로드(rod)의 통공이고; 컵의 저부를 통해 온도 제어기와 접촉하여 온도를 측정하고 마이크로 스위치 푸시로드를 가동한다.
이러한 온도 측정 방식은 이하의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온도 제어기는 발열 플레이트에 관통 설치되고, 발열 플레이트 온도의 영향을 비교적 크게 받고, 온도 측정 정밀도에 영향을 주고, 발열 플레이트에 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가열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특히 연속하여 복수 회 우유 가열 또는 우유 거품을 발열시킬 때, 발열 플레이트는 항상 비교적 높은 온도 상태에 있고, 발열 플레이트 초기 온도가 과도하게 높고, 온도 제어기의 온도 측정 정확도가 더 열악하고, 그것이 후면(後面)을 향하는 횟수에 따라 따뜻한 우유 또는 따뜻한 우유 거품의 온도가 낮아지고, 교반 시간이 짧고, 교반이 부족할수록, 우유 발포가 불충분하고, 우유 거품 효과가 열악하고, 거품 발생량이 적은데, 원인은 따뜻한 우유 또는 따뜻한 우유 거품의 실제 온도는 낮은 편이고, 호적의 우유 발포의 프리셋 온도값에 도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식감에 영향을 주고, 발열 플레이트 온도가 상온에 근접할 때까지 기다려야만 정상으로 회복되고, 사용자 체험에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발열 플레이트에 통공이 비교적 많고, 안전 우려가 존재한다.
관련 기술은 적외선 센싱 장치가 우유에 대해 온도 측정을 수행하는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예를 들어 등록공고번호 CN203483288U인 등록고안의 경우, 우유 히팅 거품기를 공개하였고, 바닥 시트 및 우유 히팅 컵을 포함하고, 우유 히팅 컵은 바닥 시트에 설치되고; 바닥 시트 내에는 하나의 회전 가능한 능동 자기헤드가 설치되어 있고; 우유 히팅 컵 컵체 내에는 교반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교반 장치는 자성체를 내부적으로 포함하는 교반 헤드를 포함하고; 능동 자기헤드는 교반 헤드와 수직으로 정렬되고; 바닥 시트에는 적외선 센싱 장치가 더 설치되어 있고; 바닥 시트는 우유 컵을 플레이싱하는데 제공될 수 있는 오목 위치가 구비되어 있고; 적외선 센싱 장치는 오목 위치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오목 위치의 저면(底面)에도 설치될 수 있고; 적외선 센싱 장치는 컵체의 존재를 센싱함으로써, 디바이스의 운행 또는 단전을 제어하는데 사용되고, 우유 온도를 센싱하고 제어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적외선 센싱 장치를 사용하여 컵체가 발열 플레이트에의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마이크로 스위치와 유사한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디바이스의 운행 또는 단전을 제어하고; 적외선 센싱 장치도 우유의 온도를 센싱하고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온도 측정 방식은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고, 발열 플레이트의 잔열의 간섭 영향도 쉽게 받고, 특히 동일한 우유 히팅 거품기가 연속적으로 복수 회 가열되어 복수 회 순환할 때, 적외선 센싱 장치 온도 측정 정밀도 및 민감도가 저하되고, 온도 측정 효과가 이상적이지 못하다.
본 출원은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를 제공하고, 복수 컵의 우유를 연속 가열하는 상황에서, 컵체에 대한 온도 측정 정밀도를 제고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이하의 기술방안을 채용한다: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에 있어서,
우유 음료를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컵체;
베이스로서,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는 상기 컵체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수용 캐비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 캐비티의 캐비티 벽에는 제1 방사 개구 및 제2 방사 개구가 개설되어 있고;
발열 플레이트로서, 상기 수용 캐비티의 저부(底部)에 설치되고, 상기 발열 플레이트는 상기 컵체의 저부에 대해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온도 측정 컴포넌트; 및
제1 레버 컴포넌트로서, 상기 수용 캐비티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레버 컴포넌트의 제1단의 돌기부는 상기 제1 방사 개구에 의해 상기 수용 캐비티로 신장되고; 상기 컵체가 상기 수용 캐비티에 수납될 때, 상기 컵체는 상기 돌기부를 가압하고, 상기 제1 레버 컴포넌트의 제2단을 통해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를 추동하여 상기 제2 방사 개구에 의해 상기 수용 캐비티를 신장함으로써 상기 컵체의 측벽과 접촉함;
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1이 제공하는 일종의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이 제공하는 일종의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1이 제공하는 베이스 내의 부분 구조 부재의 분해도 중 하나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 1이 제공하는 베이스 내의 부분 구조 부재의 분해도 중 하나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 1이 제공하는 제1 레버 컴포넌트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중 A-A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중 B-B면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 1이 제공하는 일종의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가 컵체에서 수용 캐비티를 이탈할 때의 조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 1이 제공하는 일종의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가 컵체에서 수용 캐비티에 플레이싱될 때의 조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 1이 제공하는 제1 레버 컴포넌트가 온도 측정 컴포넌트와 조립되는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중 C-C면에 따른 입체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중의 F 방향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 1이 제공하는 장착 시트 및 온도 제어기의 분해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 2가 제공하는 베이스 내의 부분 구조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 3이 제공하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다른 일종의 가동 방식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 3 베이스 내의 부분 구조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 4가 제공하는 일종의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다른 일종의 가동 방식의 단면 구조도이다.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고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통해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진일보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서술 중, 이해해 두어야 할 것은, 술어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정(top)” “저(bottom)”, “내” “외”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관계에 기초하고, 본 출원을 편하게 서술하고 간단히 서술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 지시하는 장치 또는 유닛이 반드시 특정한 방위를 가지거나, 특정한 방위에 의해 구성되고 조작됨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일종의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를 제공하고, 컵체(100), 교반기(110), 격리 커버(160) 및 베이스(200)를 포함하고, 베이스(200) 내에는 발열 플레이트(210), 절연 링(251), 지탱 링(260), 드라이빙 장치(264), 드라이빙 장치(264) 출력축에 고정 연결된 자성 드라이빙 플레이트(265),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제1 레버 컴포넌트(270), 전자 제어보드(230), 버튼 전자보드(2301) 및 마이크로 스위치(240)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컵체(100)는 우유 음료를 수용하는데 사용되고, 컵체(100)와 베이스(200) 사이는 분리 설치될 수 있고, 베이스(200) 상단에는 컵체(100)를 수납하는데 사용되는 수용 캐비티(250)가 구비되어 있고, 발열 플레이트(210)는 수용 캐비티(250)의 저부에 설치됨으로써 컵체(100)의 저부에 대해 가열하고,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컵체(100)의 측벽과 접촉하여 온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고, 교반기(110)는 컵체(100) 내의 우유에 대해 교반하는데 사용되고, 드라이빙 장치(264)는 모터로 선택될 수 있고, 자성 드라이빙 플레이트(265) 내에는 능동 마그넷(2651)이 설치되어 있고, 교반기(110) 내에는 능동 마그넷(2651)과 자기 흡착 매칭되는 수동 마그넷(111)이 설치되어 있고, 능동 마그넷(2651) 및 수동 마그넷(111)은 네오디움(NdFeB) 자석으로 선택될 수 있고, 자성 드라이빙 플레이트(265)가 드라이빙 장치(264)를 따라 회전할 때, 자성 드라이빙 플레이트(265)는 자력을 통해 교반기(110)를 대동하여 컵체(100) 내의 우유 음료에 대해 회전 교반시킴으로써, 우유 거품을 제조하고; 발열 플레이트(210), 드라이빙 장치(264),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마이크로 스위치(240) 및 버튼 전자보드(2301)는 모두 전자 제어보드(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컵체(100)의 측벽과 접촉할 때, 컵체(100)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체(100)에는 손잡이(12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컵체(100) 상단 개구 지점에는 컵 덮개(140)가 설치되어 있고, 컵체(100)의 내저면 중심에는 교반축(130)이 설치되어 있고, 교반기(110)는 교반축(130)에 슬리브 설치되고, 교반축(130)을 둘러싸고 회전할 수 있다. 본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있어서, 교반축(130)은 용접 또는 리벳을 통해 컵체(100)의 내저면에 고정되고, 교반기(110)는 교반축(130)에 탈착 가능하게 슬리브 설치된다. 기타 실시방식에 있어서, 교반축(130)은 하나의 프레임이 되도록 우선 하나의 시트보드와 수직 리벳 고정될 수 있고, 시트보드의 외측에는 그립 부재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의 시트보드는 컵체(100)의 내저면 중심의 요함(오목 홈) 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교반기(110)는 교반축(130)에 회전(rotatably) 슬리브 설치된다. 여기에서, 교반기(110)의 내부 구멍의 정면(top face)과 교반축(130)의 정단(top end) 사이는 점 접촉 지탱임으로써, 교반기(110) 회전 시의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 중의 컵체(100)는 스테인리스보드 재료를 인장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고, 컵체(100)의 외저면에는 납땜 또는 기타 방식을 통해 열 가이드 보드(150)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열 가이드 보드(150)는 알루미늄 보드 또는 기타 열 가이드 재료로 제조된 보드일 수 있다. 설명해 두어야 할 것은, 기타의 실시방식에 있어서, 컵체(100)가 알루미늄 보드 또는 기타 열 가이드 재료 인장으로 제조된 경우, 그 저면(底面)은 열 가이드 보드를 재차 설치할 필요가 없고; 다른 실시방식에 있어서, 컵체(100)가 유리컵인 경우, 그 저부(底部)에는 열 가이드 보드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 플레이트(210) 하단면의 중심 지점에는 중심 블라인드 구멍(2101)이 설치되어 있고, 중심 블라인드 구멍(2101)은 자성 드라이빙 플레이트(265)와 교반기(110) 간의 자력 드라이빙 거리를 단축시키는데 사용되고, 능동 자석(2651) 및 수동 자석(111) 간의 자기 흡착력을 확대하고, 교반기(110)의 내부 구멍과 교반축(130)의 정단(top end) 사이에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점 접촉, 그리고 교반기(110)와의 경량화 설계를 채용함으로써, 자성 드라이빙 플레이트(265)가 신뢰 가능하게 교반기(110)를 자력 드라이빙하여 회전 교반하도록 보장하고, 이에 따라 관련 기술에 있어서의 발열 플레이트 중심에 통공이 개설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발열 플레이트(210)의 가열면에는 복수의 동심 미세무늬(2102)가 설치되어 있어, 발열 플레이트(210)의 컵체(100) 저부에 대한 가열 효율을 제고하는데 사용된다.
격리 커버(160)는 컵체(100)의 내저면에 활동(movably) 설치되고, 격리 커버(160)는 대체로 반구형 또는 원추형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고, 기타 형상일 수도 있고, 격리 커버(160)는 교반기(110)의 외부 둘레에 커버 설치되고, 교반기(110)와 이격되고, 격리 커버(160)에는 복수의 통과 홈 및/또는 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격리 커버(160)의 최대 외부 둘레 직경은 컵체(100) 하단의 내경(inner diameter)보다 작고, 격리 커버(160)는 컵체(100) 내로 초콜렛 블록 또는 기타 블록 형상 조미료를 첨가하는데 사용될 경우, 초콜렛 블록 또는 기타 블록 형상 조미료와 자력 교반기(110)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블록 형상 조미료가 교반기(110)의 회전 교반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격리 커버(160)에는 그립 로드(161)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격리 커버(160)의 취사선택을 편리하게 하고, 그립 로드(161)와 격리 커버(160) 사이에는 나선 무늬(screw) 연결 또는 탄성 클램핑 연결 등 방식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용접 방식을 통해 고정 연결되거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기타 실시방식에 있어서 격리 커버(160)를 플레이싱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우유 가열 또는 우유 거품만을 가열하는 경우, 격리 커버(160)를 플레이싱할 필요가 없고, 여기에서, 격리 커버(160)는 스테인리스보드 재료 인장을 채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선택될 수 있고, 식품 등급 플라스틱 재료를 채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탱 링(260)은 지탱 벽(261), 지탱 모듈(263) 및 지탱 시트보드(262)를 포함하고, 지탱 모듈(263)은 지탱 벽(261) 내측에 위치한다. 드라이빙 장치(264)는 지탱 링(260)의 중심 지점에 고정되고, 교반기(110)와 수직으로 동일 중심축선으로 설치되고, 마이크로 스위치(240)는 지탱 링(260)에 연결된다. 절연 링(251) 및 지탱 링(260)은 내열 절연 재료 PPS(폴리페닐렌설파이드)로 제조될 수 있고, 기타 내열 절연 재료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링(251)은 환형(circular)의 캐비티 벽(2511), 및 캐비티 벽(2511)의 하부 외주(外周)에 방사 방향을 따라 외향 신장 형성되는 플랜지 엣지(2512)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캐비티 벽(2511) 내측과 발열 플레이트(210)의 동심 미세무늬(2102) 가열면은 수용 캐비티(250)를 형성하고, 절연 링(251)은 상단 구멍(2513) 및 하단 구멍(2514)을 구비하고, 상단 구멍(2513)의 직경은 하단 구멍(2514)의 직경보다 작고, 발열 플레이트(210)의 외경(outer diameter)은 상단 구멍(2513)의 직경보다 크고, 하단 구멍(2514)의 직경보다 약간 작거나 같고, 발열 플레이트(210)의 두께는 하단 구멍(2514)의 높이와 같거나 약간 작고, 발열 플레이트(210)는 하단 구멍(2514)에 슬리브 설치되고 지탱 링(260)에 의해 지탱되고, 절연 링(251)과 지탱 링(260)은 긴밀 고정(tightly) 연결됨으로써 발열 플레이트(210)를 고정하고, 베이스(200) 내벽에 함께 연결 고정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 벽(2511)에는 제1 방사 개구(253) 및 제2 방사 개구(254)가 개설되어 있고, 제1 방사 개구(253) 및 제2 방사 개구(254) 사이에 있고, 플랜지 엣지(2512)에 위치하여 레버 회전축(274)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제1 방사 개구(253)의 양측에는 제1 돌출 모듈(256)이 설치되어 있고, 제1 돌출 모듈(256)에는 제1 오목 홈(257)이 개설되어 있고, 제1 오목 홈(257) 내에는 선택적으로 내열 고무 고정 리셋 컴포넌트의 자력 드라이빙 부재(255)를 채용할 수 있고, 자력 드라이빙 부재(255)는 자석 또는 자성 금속편으로 선택되거나, 기타 자성 부재일 수도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1 방사 개구(253) 및 제2 방사 개구(254)의 형상은, 상응하는 부재가 제1 방사 개구(253) 또는 제2 방사 개구(254) 지점에서 수용 캐비티(250)를 관통하여 도달하면 족한 것으로, 예를 들어 캐비티 벽(2511)의 통공을 관통하는 것일 수 있고, 캐비티 벽(2511) 상단면을 관통하는 개구 통과 홈, 또는 기타 형상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사 개구(253)는 캐비티 벽(2511)의 방사 방향에 따라 캐비티 벽(2511)을 관통하는 일 개구이고; 제2 방사 개구(254)는 캐비티 벽(2511)의 방사 방향에 따라 캐비티 벽(2511)을 관통하는 일 개구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자력 드라이빙 부재(255)는 캐비티 벽(2511)에 설치되고, 제1 방사 개구(253) 지점에 위치한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레버 컴포넌트(270)는 제1단(271)(first end), 제2단(272)(second end) 및 연결부(279)를 포함하고, 연결부(279)에는 레버 통공(278)이 설치되어 있고, 레버 통공(278)은 레버 회전축(274)에 회전 연결되고, 제1단(271) 지점에는 돌기부(273) 및 제2 오목 홈(276)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오목 홈(276) 내에는 선택적으로 내열 고무 고정 리셋 컴포넌트의 자력 드리븐 부재(275)를 채용할 수 있고, 제2단(272)에는 제1 가이드 통공(2721) 및 연결 구멍(2723)이 설치되어 있고, 제2단(272)은 하향 신장되어 마이크로 스위치(240)를 가동하는데 사용되는 가동보드(277)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서, 돌기부(273)의 전단(front end)의 가압면(2731)은 제1 방사 개구(253)로부터 수용 캐비티(250) 가장자리로 2-5mm 가량 신장되고, 가압면(2731)은 제1 도입 경사면으로 설치되고, 제1 도입 경사면의 상단은 하단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고, 돌기부(273)의 가압면(2731)의 구조는 제1 도입 경사면으로 설계되고, 이는 컵체(100)에 의해 쉽게 가압될 때, 도입 경사면이 받는 외측 방향의 수평 분력이 제1 레버 컴포넌트(270)를 추동하여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라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를 추동하여 컵체(100) 측면과 접촉하여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고; 자력 드리븐 부재(275)는 자석이고, 자력 드리븐 부재(275)와 자력 드라이빙 부재(255) 사이에는 자기 흡착을 통해 제1 레버 컴포넌트(270)가 리셋되도록 하고; 제1 레버 컴포넌트(270)는 내열 절연 재료 PPS(폴리페닐렌설파이드)를 채용하여 제조되고, 기타 내열 절연 재료를 선택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버 컴포넌트(270)에 있어서, 연결부(279)는 제1단(271), 제2단(272) 사이에 위치한다.
도 3, 도 4 및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장착 시트(221) 및 온도 제어기(222)를 포함하고, 온도 제어기(222)에는 포지셔닝 납작 엣지(2224)가 설치되어 있고, 온도 제어기(222)는 장착 시트(221)의 장착 구멍(2211)에 슬리브 설치되고, 포지셔닝 납작 엣지(2224)에 의해 위치 및 방향이 결정되고, 온도 제어기(222)와 장착 시트(221)의 장착 구멍(2211)은 내열 고무를 선택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고, 기타 방식을 채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억지끼움 결합 고정, 또는 클램핑 고정 연결; 온도 제어기(222)는 온도 센싱 커버(2221), 및 온도 센싱 커버(2221)에 슬리브 설치되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열민감 전기저항(2222)을 포함하고, NTC는 내열 고무를 채용하여 온도 센싱 커버(2221)에 고정될 수 있고; 온도 센싱 커버(2221)는 알루미늄 커버일 수 있고, 온도 센싱 커버(2221) 전단의 온도 센싱면(2223)은 컵체(100) 하단 외측면 아크(arc)와 매칭되는 아크형 면을 구비함으로써, 온도 센싱 접합에 더 편리하다. 장착 시트(221)는 내열 절연 재료 PPS를 채용하여 제조하고, 기타 내열 재료를 선택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 및 도 10 내지 도 13을 결합하여 참조하면,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와 제2단(272) 연결방식은 아래와 같다: 장착 시트(221)의 제1 가이드 기둥(282)은 제2단(272)의 제1 가이드 통공(2721)과 가이딩 연결되고, 장착 시트(221)의 외부 둘레 기둥(2212)은 제2단(272)의 연결 구멍(2723)에 관통 설치되고, 제1 탄성 부재(281)는 외부 둘레 기둥(2212)에 슬리브 설치되고, 그 양단은 각각 장착 시트(221)과 제2단(272) 사이에 저촉되고, 제1 위치제한 부재(283)는 제1 가이드 기둥(282)의 단면(end surface)의 내부 구멍에 연결됨으로써,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가 제2단(272)에 연결되고,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제2단(272)에 대해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고; 여기에서, 제1 탄성 부재(281)는 압축 스프링으로 선택될 수 있고, 내열의 탄성 실리카겔 부재를 채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내열의 탄성 실리카겔 커버를 채용할 수 있고, 제1 탄성 부재(281)도 기타 탄성 재료를 선택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제1 탄성 부재(281)는 적절한 탄성 압박의 작용을 일으키고, 제1 탄성 부재(281)는 온도 제어기(222)의 온도 센싱면(2223)과 컵체(100) 측벽이 더 잘 탄성 압박되고, 접합하여 온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제1 위치제한 부재(283)는 나사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부재(281)는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와 상기 제2단(272) 사이에 연결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위치제한 부재(283)는 나사이고, 제1 위치제한 부재(283)는 상호 연결된 제1 너트 및 제1 나선 로드(ro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선 로드는 상기 제1 너트의 일단(one end)을 이격하고 나선(screw)을 통해 상기 제1 가이드 기둥(282)의 단면의 내부 구멍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너트와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각각 상기 제2단(272)의 부동(不同) 측(side)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너트는 상기 제2단(272)의 제1 가이드 통공(2721) 지점에 저촉 연결됨으로써,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와 제2단(272) 사이의 상대 활동 거리에 대한 위치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통공(2721) 및 제1 가이드 기둥(282) 사이에는 적절한 활동 간극이 유지되고, 제2단(272)의 연결 구멍(2723)과 장착 시트(221)의 외부 둘레 기둥(2212) 사이에는 적당한 활동 간극이 유지되고,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컵체(100) 하단에 긴밀히 부착되고 제1 탄성 부재(281)가 압축될 때,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자동 조정될 수 있고, 그 온도 센싱면(2223)과 컵체(100) 하단의 아크면이 온도 센싱을 접합을 더 잘 매칭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의 온도 측정 및 마이크로 스위치(240)의 가동 과정은 아래와 같음, 컵체(100)가 수용 캐비티(250)에 수납될 때, 컵체(100)의 측벽은 제1단(271)의 돌기부(273)를 가압하여, 제1 레버 컴포넌트(270)는 레버 회전축(274)을 둘러싸고 회전하도록 하고, 제2단(272)은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를 추동하여 제2 방사 개구(254)가 수용 캐비티(250)의 가장자리로 신장하여 컵체(100)의 측벽과 접촉하여 온도를 측정하고, 이와 동시에, 가동보드(277)는 마이크로 스위치(240)의 탄성편을 가압하고, 회로를 연통한다. 도 9로부터 볼 수 있듯이, 컵체(100)가 수용 캐비티(250)에 플레이싱 된 후, 제1단(271)의 돌기부(273) 및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각각 컵체(100)의 측벽과 접합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의 리셋 및 마이크로 스위치(240)의 차단(disconnection) 과정은 다음과 같음, 컵체(100)가 수용 캐비티(250)를 이탈할 때, 제1 방사 개구(253) 지점에 위치한 자력 드라이빙 부재(255)는 제1 레버 컴포넌트(270)의 제1단(271) 지점의 자력 드리븐 부재(275)에 대해 자기 흡착력 작용을 생성하고, 제1 레버 컴포넌트(270)는 레버 회전축(274)을 둘러싸고 회전하여 리셋되고, 이때, 돌기부(273)는 수용 캐비티(250)로 신장되고,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수용 캐비티(250)의 가장자리로부터 롤백되고, 제2 방사 개구(254) 내에 위치하고, 이와 동시에, 가동보드(277)는 마이크로 스위치(240)의 탄성편을 이탈하고, 마이크로 스위치는 회로를 차단(disconnect)하고; 여기에서, 리셋 컴포넌트의 자력 드라이빙 부재(255)와 자력 드리븐 부재 사이의 자기 흡착력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리셋 컴포넌트의 신뢰 가능한 자기 흡착 리셋을 유지하고, 컵체(100)가 수용 캐비티(250)에 플레이싱될 때 저항이 과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설명할 필요가 있는 것은, 기타 실시방식에 있어서, 제2 탄성 리셋 부재를 더 설치할 수도 있고, 제2 탄성 리셋 부재는 제1 레버 컴포넌트(270)에게 제2단(272) 및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가 수용 캐비티(250)의 가장자리를 이탈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고, 제2 탄성 리셋 부재는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가 발열 플레이트(210)의 외부 가장자리를 이탈하도록 하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레버 컴포넌트(270)의 돌기부(273)에서, 발열 플레이트(210)를 이격하는 외측면의 오목 홈에는 발열 플레이트 중심을 정면으로 대향하는 블라인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블라인드 구멍의 저부는 상기 돌기부(273) 내로 신장하고, 상기 블라인드 구멍의 개구는 제1 레버 컴포넌트(270)의 돌기부(273)에 위치하여 발열 플레이트(210)의 일측을 이격하고; 동시에, 플랜지 엣지(2512)의 가장자리 돌기에는 차단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단보드는 캐비티 벽(2511)의 방사 방향을 따라 제1 방사 개구(253)를 대향하고, 발열 플레이트 외부 가장자리를 이격하여 외측 설치되고, 조립 상태일 때, 상기 차단보드는 캐비티 벽(2511)의 방사 방향과 상기 돌기부(273)의 상기 블라인드 구멍은 상대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차단보드는 상기 제1 레버 컴포넌트(270)의 상기 돌기부(273)의 상기 블라인드 구멍의 후측(rear side)에 위치하고, 상기 차단보드 및 상기 블라인드 구멍 사이에는 제2 탄성 리셋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탄성 리셋 부재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two ends)은 각각 제5단 및 제6단이고, 상기 제5단은 상기 블라인드 구멍으로 신장되고 상기 블라인드 구멍의 저부에 저촉되고, 상기 제6단은 상기 차단보드에 저촉되고, 상기 제2 탄성 리셋 부재는 기타 탄성 부재일 수도 있고; 컵체(100)가 발열 플레이트(210)를 이탈할 때, 제2 탄성 리셋 부재의 탄성 작용 하에, 제1 레버 컴포넌트(270)는 리셋되고, 돌기부(273)는 제1 방사 개구(253)를 통해 수용 캐비티(250)로 신장되고, 이와 동시에,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발열 플레이트(210) 외부 가장자리를 이탈하는 방향으로 외향 롤백되어,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가 제2 방사 개구(254)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발열 플레이트(210) 잔열의 로스팅(roasting)을 직접 받는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는, 컵체 측벽을 통해 제1 레버 컴포넌트를 추동하여 회전시키고, 제1 레버 컴포넌트는 나아가 온도 측정 컴포넌트를 추동하여 컵체 측벽과 접촉시켜 온도를 측정하고, 컵체가 수용 캐비티를 이탈할 때, 리셋 컴포넌트는 온도 측정 컴포넌트가 수용 캐비티의 가장자리를 이탈하고, 제2 방사 개구 내로 롤백하도록 할 수 있고, 온도 측정 컴포넌트가 발열 플레이트 잔열의 로스팅을 직접 받는 것을 방지하고, 일 측면에 있어서, 온도 측정 컴포넌트는 발열 플레이트와 접촉하지 않고, 발열 플레이트 잔열의 로스팅을 직접 받지 않아, 발열 플레이트 열량의 온도 측정 컴포넌트에 대한 온도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온도 측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특히 연속으로 복수 회 가열 시의 온도 측정 정밀도를 제고하고, 우유 온도가 호적의 발포 온도 프리셋값이 되도록 하고, 동시에 교반이 더 충분해지고, 나아가 우유 거품 세밀도를 제고하고, 식감 및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고;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발열 플레이트에는 온도 측정 컴포넌트 및 마이크로 스위치 가동 로드가 통과하는 통공을 개설할 필요가 없고, 발열 플레이트 중심에 통공을 개설할 필요도 없고, 발열 플레이트의 완정성이 좋고, 가열 효율이 제고되고, 이와 동시에 통공이 누수될 수 있는 안전 우려도 방지하고;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레버 컴포넌트를 통해 온도 측정 컴포넌트를 추동하여 온도를 측정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편리하고,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 비용이 낮고, 온도 측정 컴포넌트는 컵체 측벽과 양호하게 접촉하고, 온도 측정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과 원리가 서로 동일하고, 구조가 기본적으로 서로 동일한데, 차이점은: 제1 레버 컴포넌트(270)의 제2단(272)과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사이의 연결 방식이 부동(不同)하다는 점에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와 제2단(272) 사이에는 연결보드(284)가 설치되어 있고, 제2 방사 개구(254) 양측의 캐비티 벽(2511)에는 제2 가이드 기둥(285)이 설치되어 있고, 연결보드(284)는 제2 가이드 통공(2841)을 통해 제2 가이드 기둥(285)과 활동(movably) 가이딩 연결되고, 제2 가이드 기둥(285)의 양단은 각각 캐비티 벽(2511) 및 제2 포지셔닝 부재(286)와 연결되고, 제2 위치제한 부재(286)는 연결보드(284)가 캐비티 벽(2511)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고; 연결보드(284)와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사이에는 제3 가이드 기둥(287)을 통해 활동 가이드 연결되고, 제3 가이드 기둥(287)은 연결보드(284)의 제3 가이드 통공(2842)에 관통 설치되고, 제3 가이드 기둥(287)의 양단은 각각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및 제3 위치제한 부재(288)와 연결되고, 제3 위치제한 부재(288)는 연결보드(284)가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고, 제1 탄성 부재(281)는 연결보드(284)와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사이에 설치되고;
제2단(272)과 연결보드(284)는 연결 기둥(289)을 통해 활동(movably) 연결되고, 제2단(272)에는 연결 기둥(289)과 슬라이드 결합되는 길쭉 구멍(2722)이 설치되어 있고, 연결 기둥(289)은 길쭉 구멍(2722)에 관통 설치되고, 연결 기둥(289)의 양단은 각각 연결보드(284) 및 연결 부재(2810)와 연결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2단(272)의 연결 기둥(289)에 대한 회전을 보장하기 위해, 길쭉 구멍(2722)은 수평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야 하고; 장착이 편리하고, 제2 위치제한 부재(286), 제3 위치제한 부재(288) 및 연결 부재(2810)는 모두 나사일 수 있고, 제2 가이드 기둥(285), 제3 가이드 기둥(287) 및 연결 기둥(289)에는 각각 제2 위치제한 부재(286), 제3 위치제한 부재(288) 및 연결 부재(2810)와 연결된 내부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운동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2 가이드 기둥(285), 제3 가이드 기둥(287) 및 연결 기둥(289)의 수량은 모두 적어도 2개로 선택될 수 있다. 제2단(272)과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의 이러한 연결 방식에 있어서,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수용 캐비티(250)에 대해 직선 운동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컵체(100)의 측벽과 접촉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의 온도 측정 과정, 및 제1 레버 컴포넌트(270)와 온도 측정 컴포넌트의 리셋 과정은 상기 실시예 1과 서로 동일하고, 여기에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위치제한 부재(286)는 나사이고, 제2 위치제한 부재(286)는 상호 연결된 제2 너트 및 제2 나선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나선 로드는 상기 제2 너트의 일단을 이격하고 나선(screw)을 통해 상기 제2 가이드 기둥(285)의 단면(end surface)의 내부 구멍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너트와 상기 캐비티 벽(2511)은 각각 상기 연결보드(284)의 부동(不同) 측(side)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너트는 상기 연결보드(284)의 제2 가이드 통공(2841) 지점에 저촉될 수 있음으로써, 연결보드(284)와 캐비티 벽(2511) 사이의 상대 활동 거리에 대한 위치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위치제한 부재(288)는 나사이고, 제3 위치제한 부재(288)는 상호 연결된 제3 너트 및 제3 나선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나선 로드는 상기 제3 너트의 일단을 이격하고 나선(screw)을 통해 상기 제3 가이드 기둥(287)의 단면(end surface)의 내부 구멍과 연결되고, 상기 제3 너트와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각각 상기 연결보드(284)의 부동(不同) 측(side)에 위치한다. 상기 제3 너트는 상기 연결보드(284)의 제3 가이드 통공(2842) 지점에 저촉됨으로써, 연결보드(284)와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사이의 상대 활동 거리에 대한 위치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부재(2810)는 나사이고, 연결 부재(2810)는 상호 연결된 제4 너트 및 제4 나선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나선 로드는 상기 제4 너트의 일단을 이격하고 나선(screw)을 통해 상기 연결 기둥(289)의 단면(end surface)의 내부 구멍과 연결되고, 상기 제4 너트와 상기 연결보드(284)는 각각 상기 제2단(272)의 부동(不同) 측(side)에 위치한다. 상기 제4 너트는 상기 제2단(272)의 길쭉 구멍(2722) 지점에 저촉됨으로써, 연결보드(284)와 제2단(272) 사이의 상대 활동 거리에 대한 위치제한을 수행할 수 있다.
설명해둘 필요가 있는 것은, 기타 실시방식에 있어서,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를 캐비티 벽(2511) 또는 베이스(200)에 활동(movably)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제2 탄성 부재는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를 캐비티 벽(2511)에 활동 연결하고, 제2단(272)은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를 추동하여 제2 탄성 부재의 탄력과 컵체(100)의 측벽 접촉 온도 측정을 극복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 스위치(240)의 가동 또는 차단(disconnection) 방식은 상기 실시예 1과 서로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 및 2의 원리와 서로 동일하고, 구조가 기본적으로 서로 동일한데, 차이점은, 수용 캐비티(250)의 캐비티 벽(2511)에는 제3 방사 개구(258)가 개설되어 있고, 제3 방사 개구(258) 지점에 회전 설치된 가동 부재 및 제1 탄성 리셋 부재(291)를 통해 마이크로 스위치(240)를 가동하거나 차단한다는 점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방사 개구(258)는 캐비티 벽(2511)의 방사 방향을 따라 캐비티 벽(2511)의 일 개구를 관통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는 캐비티 벽(2511) 외측에 회전 연결된 제2 레버 컴포넌트(292)를 포함하고, 제2 레버 컴포넌트(292)의 양단은 각각 컵체(100)와 접촉하는데 사용되는 제1 가동단 및 마이크로 스위치(240)를 가압하는데 사용되는 제1 가압단이다. 수용 캐비티(250)의 캐비티 벽(2511)에는 제2 레버 컴포넌트(292)의 제1 가동단에 관통을 제공하는 제3 방사 개구(258)가 설치되어 있고, 컵체(100)가 수용 캐비티(250)에 수납될 때, 컵체(100)의 측벽은 제2 레버 컴포넌트(292)의 제1 가동단을 압박함으로써, 제2 레버 컴포넌트(292)의 제1 압박단이 가압되고 마이크로 스위치(240)를 가동하도록 하고, 제1 탄성 리셋 부재(291)는 제2 레버 컴포넌트(292)의 제1 가압단에 마이크로 스위치(240)를 이탈하는 힘을 제공하는데 사용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동단은 제2 도입 경사면을 포함하고, 제2 도입 경사면의 상단은 하단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고, 제1 가동단이 설치한 제2 도입 경사면은 컵체(100)에 의해 가압되어 외측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와 동시에 제2 레버 컴포넌트(292)를 대동하여 회전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에 따라 제1 가압단이 마이크로 스위치(240)의 탄성편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전원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의 온도 측정 및 리셋 과정은 상기 실시예 2와 서로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실시예 3의 원리와 서로 동일하고, 구조가 기본적으로 동일한데, 차이점은, 가동 부재가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가압 로드(293)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부재의 구조 및 개폐 형식은 이하와 같을 수 있음: 가동 부재는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200) 내의 가압 로드(293) 및 제1 탄성 리셋 부재(291)를 포함하고, 제1 탄성 리셋 부재(291)는 가압 로드(293)에 리셋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가압 로드(293)의 양단은 각각 컵체(100)의 저부와 접촉되는데 사용되는 제2 가동단 및 마이크로 스위치(240)와 접촉하는데 사용되는 제2 가압단이고, 선택적으로, 가압 로드(293)는 대체로 L형을 나타내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가동단은 컵체(100)와 접촉하는데 사용되는 면이 제3 도입 경사면이고, 제3 도입 경사면의 상단은 하단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고, 제2 가동단이 설치한 제3 도입 경사면은 컵체(100)에 의해 가압될 때, 가압 로드(293)를 대동하여 하향 슬라이드하고 마이크로 스위치(240)의 탄성편을 가압함으로써, 전원과 연통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이 제공하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는, 컵체 측벽을 통해 제1 레버 컴포넌트를 추동하여 회전시키고, 제1 레버 컴포넌트는 나아가 온도 측정 컴포넌트를 추동하여 컵체의 측벽과 접촉시켜 온도를 센싱하고, 컵체가 수용 캐비티 저부의 발열 플레이트를 이탈할 때, 리셋 컴포넌트는 온도 측정 컴포넌트가 수용 캐비티의 가장자리를 이탈하도록 하고, 제2 방사 개구 내로 롤백하도록 할 수 있고, 온도 측정 컴포넌트가 발열 플레이트 잔열의 로스팅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일 측면에 있어서, 온도 측정 컴포넌트는 발열 플레이트와 접촉하지 않고, 발열 플레이트 잔열의 로스팅을 직접 받지도 않아, 발열 플레이트 열량이 온도 측정 컴포넌트에 대한 온도 측정 정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온도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특히 연속으로 복수 회 가열 시의 온도 측정 정밀도를 제고하고, 우유 온도가 호적의 발포 온도 프리셋값에 속하도록 하고, 동시에 교반이 더 충분해지고, 나아가 우유 거품 세밀도를 제고하고, 식감 및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키고;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발열 플레이트에는 온도 측정 컴포넌트 및 마이크로 스위치 가동 로드가 통과하는 통공을 개설할 필요가 없고, 발열 플레이트 중심에 통공을 개설할 필요도 없고, 발열 플레이트의 완정성이 좋고, 가열 효율이 제고되고, 이와 동시에 통공이 누수될 수 있는 안전 우려도 방지하고;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레버 컴포넌트를 통해 온도 측정 컴포넌트를 추동하여 온도를 측정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편리하고, 조립이 용이하고, 생산 비용이 낮고, 온도 측정 컴포넌트는 컵체 측벽과 양호하게 접촉하고, 온도 측정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면 부호:
100: 컵체, 200: 베이스,
110: 교반기, 120: 손잡이, 130: 교반축, 140: 컵 덮개, 150: 열 가이드 보드, 160: 격리 커버, 111: 수동 마그넷, 161: 그립 로드(rod),
210: 발열 플레이트, 220: 온도 측정 컴포넌트, 230: 전자 제어보드, 240: 마이크로 스위치, 250: 수용 캐비티, 260: 지탱 링, 270: 제1 레버 컴포넌트, 2101: 중심 블라인드 구멍, 2102: 동심(同心) 미세무늬, 2301: 버튼 전자보드, 2302: 버튼 스위치,
221: 장착 시트, 222: 온도 제어기, 2221: 온도 센싱 커버, 2222: NTC 열민감 전기저항, 2211: 장착 구멍, 2212: 외부 둘레 기둥, 2223: 온도 센싱면, 2224: 포지셔닝 납작 엣지,
251: 절연 링, 253: 제1 방사 개구, 254: 제2 방사 개구, 255: 자력 드라이빙 부재, 256: 제1 돌출 모듈, 257: 제1 오목 홈, 258: 제3 방사 개구, 2511: 캐비티 벽, 2512: 플랜지 엣지, 2513: 상단 구멍, 2514: 하단 구멍,
261: 지탱 벽, 262: 지탱 시트보드, 263: 지탱 모듈, 264: 드라이빙 장치, 265: 자성 드라이빙 플레이트, 2651: 능동 마그넷,
271: 제1단, 272: 제2단, 273: 돌기부, 274: 레버 회전축, 275: 자력 드리븐 부재, 276: 제2 오목 홈, 277: 가동 보드, 278: 레버 통공, 279: 연결부, 2721: 제1 가이드 통공, 2722: 길쭉 구멍, 2723: 연결 구멍, 2731: 가압면,
281: 제1 탄성 부재, 282: 제1 가이드 기둥, 283: 제1 위치제한 부재, 284: 연결보드, 285: 제2 가이드 기둥, 286: 제2 위치제한 부재, 287: 제3 가이드 기둥, 288: 제3 위치제한 부재, 289: 연결 기둥, 2810: 연결 부재, 2841: 제2 가이드 통공, 2842: 제3 가이드 통공, 291: 제1 탄성 리셋 부재, 292: 제2 레버 컴포넌트, 293: 가압 로드(rod).

Claims (10)

  1.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에 있어서,
    우유 음료를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컵체(100);
    베이스(200)로서, 상기 베이스(200)의 상단에는 상기 컵체(100)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수용 캐비티(25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 캐비티(250)의 캐비티 벽(2511)에는 제1 방사 개구(253) 및 제2 방사 개구(254)가 개설되어 있고;
    발열 플레이트(210)로서, 상기 수용 캐비티(250)의 저부(底部)에 설치되고, 상기 발열 플레이트(210)는 상기 컵체(100)의 저부에 대해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및
    제1 레버 컴포넌트(270)로서, 상기 수용 캐비티(25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레버 컴포넌트(270)의 제1단(271)(first end)의 돌기부(273)는 상기 제1 방사 개구(253)에 의해 상기 수용 캐비티(250)로 신장되고; 상기 컵체(100)가 상기 수용 캐비티(250)에 수납될 때, 상기 컵체(100)는 상기 돌기부(273)를 가압하고, 상기 제1 레버 컴포넌트(270)의 제2단(272)(second end)을 통해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를 추동하여 상기 제2 방사 개구(254)에 의해 상기 수용 캐비티(250)를 신장함으로써 상기 컵체(100)의 측벽과 접촉함;
    을 포함하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는 리셋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셋 컴포넌트는 상기 제1 레버 컴포넌트(270)에게 상기 제2단(272) 및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가 상기 수용 캐비티(250)를 이탈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 컴포넌트는:
    자력 드라이빙(driving) 부재(255)로서, 상기 제1 방사 개구(253) 지점에 설치됨; 및
    자력 드리븐(driven) 부재(275)로서, 상기 제1단(271)에 설치되고, 상기 자력 드라이빙 부재(255)와 상기 자력 드리븐 부재(275)는 자력을 통해 흡착될 수 있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상기 제2단(272)과 연결되고; 상기 제2단(272)은 제1 탄성 부재(281)를 통해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와 상기 컵체(100)의 측벽 접촉을 추동하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272)과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는 제1 가이드 기둥(282)을 통해 활동(movably) 연결되고, 상기 제1 가이드 기둥(282)은 상기 제2단(272)의 제1 가이드 통공(2721)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기둥(282)의 양단은 각각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및 제1 위치제한 부재(283)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281)는 상기 제2단(272)과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사이에 설치되고; 또는
    상기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는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와 상기 제2단(272)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보드(28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 캐비티(250)의 상기 캐비티 벽(2511)과 상기 연결보드(284)는 제2 가이드 기둥(285)을 통해 활동(movably)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 기둥(285)은 상기 연결보드(284)의 제2 가이드 통공(2841)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기둥(285)의 양단은 각각 상기 캐비티 벽(2511) 및 제2 위치제한 부재(286)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보드(284)와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사이는 제3 가이드 기둥(287)을 통해 활동 연결되고, 상기 제3 가이드 기둥(287)은 상기 연결보드(284)의 제3 가이드 통공(2842)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제3 가이드 기둥(287)의 양단은 각각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및 제3 위치제한 부재(288)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281)는 상기 연결보드(284)와 상기 온도 측정 컴포넌트(2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단(272)과 상기 연결보드(284)는 연결 기둥(289)을 통해 활동 연결되고, 상기 제2단(272)에는 상기 연결 기둥(289)과 슬라이드 결합하는 길쭉(long) 구멍(2722)이 설치되어 있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 내에는 마이크로 스위치(24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단(272)에는 가동보드(27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컵체(100)가 상기 수용 캐비티(250)에 수납될 때, 상기 가동보드(277)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40)를 가압하고 기동하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200) 내에는 마이크로 스위치(240), 가동 부재 및 제1 탄성 리셋 부재(291)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용 캐비티(250)의 캐비티 벽(2511)에는 상기 가동 부재의 제3단이 관통하는데 제공되는 제3 방사 개구(258)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컵체(100)가 상기 수용 캐비티(250)에 수납될 때, 상기 컵체(100)는 상기 가동 부재의 제3단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가동 부재의 제4단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40)를 가압하고 기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1 탄성 리셋 부재(291)는 상기 가동 부재에게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40)를 이탈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베이스(200) 내에 회전 연결되는 제2 레버 컴포넌트(29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레버 컴포넌트(292)의 양단은 각각 상기 컵체(100)와 접촉하는데 사용되는 제1 가동단 및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40)를 가압하는데 사용되는 제1 가압단이고; 또는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베이스(200) 내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압 로드(293)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로드(293)의 양단은 각각 상기 컵체(100)의 저부와 접촉하는데 사용되는 제2 가동단 및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240)와 접촉하는데 사용되는 제2 가압단인,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컵체(100) 내에는 자력 교반기(110)가 회전(rotatably)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200) 내에는 드라이빙 장치(264), 및 상기 드라이빙 장치(264)의 출력축과 연결된 자성 드라이빙 플레이트(26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빙 장치(264)는 상기 자성 드라이빙 플레이트(265)를 통해 상기 자력 교반기(110)를 드라이빙하여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체(100)의 내저면에는 격리 커버(160)가 더 활동(movable)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격리 커버(160)는 상기 자력 교반기(110)의 외부 둘레에 커버 설치되고, 상기 자력 교반기(110)와 이격되고, 상기 격리 커버(160)에는 통과 홈 및 통공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있는,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KR1020217013736A 2018-12-13 2019-12-12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KR102508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26511.1A CN109330380A (zh) 2018-12-13 2018-12-13 一种牛奶饮料加热搅拌机
CN201811526511.1 2018-12-13
PCT/CN2019/124878 WO2020119764A1 (zh) 2018-12-13 2019-12-12 一种牛奶饮料加热搅拌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990A true KR20210058990A (ko) 2021-05-24
KR102508986B1 KR102508986B1 (ko) 2023-03-09

Family

ID=6530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736A KR102508986B1 (ko) 2018-12-13 2019-12-12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039602A1 (ko)
EP (1) EP3895585B1 (ko)
KR (1) KR102508986B1 (ko)
CN (1) CN109330380A (ko)
AU (1) AU2019399834B2 (ko)
DK (1) DK3895585T3 (ko)
ES (1) ES2955043T3 (ko)
WO (1) WO2020119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380A (zh) * 2018-12-13 2019-02-15 熊兴剑 一种牛奶饮料加热搅拌机
WO2023131685A1 (en) * 2022-01-07 2023-07-13 Gort Barten Alex Frother for milk based beverages
US20230356106A1 (en) * 2022-05-04 2023-11-09 LEVO Oil Infusion, Inc. Apparatus for infusing and dispensing oils and method of use
US11751585B1 (en) 2022-05-13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647860B1 (en) 2022-05-13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WO2023216231A1 (en) 2022-05-13 2023-1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for a carbonation system
US12005404B2 (en) 2022-08-22 2024-06-11 Sharkninja Operating Llc Beverage carbonation system flow control
US11634314B1 (en) 2022-11-17 2023-04-25 Sharkninja Operating Llc Dosing accuracy
US11738988B1 (en) 2022-11-17 2023-08-29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US11745996B1 (en) 2022-11-17 2023-09-05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US11925287B1 (en) 2023-03-22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US12005408B1 (en) 2023-04-14 2024-06-11 Sharkninja Operating Llc Mixing funnel
US11931704B1 (en) 2023-06-16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chamber
US12017192B1 (en) 2023-06-16 2024-06-25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mixing nozz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70456A1 (fr) * 1976-11-10 1978-06-09 Vorwerk Co Interholding Dispositif de verrouillage et de controle pour melangeur electromenager
CN108852055A (zh) * 2018-07-13 2018-11-23 熊兴剑 牛奶饮料加热搅拌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4084A1 (en) * 2005-08-09 2007-02-15 O & S Development, Inc. Beverage preparation device
CN101485541B (zh) 2009-01-09 2011-04-13 蔡坚明 液体食品加热、搅拌、发泡杯
CN101803864B (zh) * 2010-02-12 2011-08-03 廖仲文 电热水壶的安全可控的温控装置
CN102178444B (zh) * 2011-03-28 2013-04-03 格力电器(中山)小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功能控制结构的电饭煲
KR101764523B1 (ko) * 2013-03-07 2017-08-03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밀크 포머
CN203483288U (zh) 2013-08-02 2014-03-19 佛山市顺德区亿龙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打奶泡器
KR101448681B1 (ko) * 2014-05-21 2014-10-15 최은성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리기
CN204189653U (zh) * 2014-10-13 2015-03-04 高耀宗 改进的电饭锅杠杆开关结构
CN204797565U (zh) * 2015-08-06 2015-11-25 南京乐鹰商用厨房设备有限公司 柜式自动炊饭机
US10327594B2 (en) * 2015-10-12 2019-06-25 Koninklijke Philips N.V. Blender with temperature sensor
US9795246B1 (en) * 2016-09-29 2017-10-24 Levo Oil Infusion, Llc Apparatus for infusing and dispensing oils
CN206565756U (zh) * 2016-12-09 2017-10-20 德奥通用航空股份有限公司 发热盘的锅体感应结构及加热锅
CN109982620B (zh) * 2016-12-13 2023-08-01 雀巢产品有限公司 用于搅拌液体食物物质的机器
WO2019101765A1 (en) * 2017-11-23 2019-05-31 Nestec Sa Adjusted thermal generation for food processing
CN108420337A (zh) * 2018-05-17 2018-08-21 熊兴剑 一种液体饮料搅拌机
CN109330380A (zh) * 2018-12-13 2019-02-15 熊兴剑 一种牛奶饮料加热搅拌机
CN209269388U (zh) * 2018-12-13 2019-08-20 熊兴剑 一种牛奶饮料加热搅拌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70456A1 (fr) * 1976-11-10 1978-06-09 Vorwerk Co Interholding Dispositif de verrouillage et de controle pour melangeur electromenager
CN108852055A (zh) * 2018-07-13 2018-11-23 熊兴剑 牛奶饮料加热搅拌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986B1 (ko) 2023-03-09
DK3895585T3 (da) 2023-08-21
AU2019399834A1 (en) 2021-06-10
WO2020119764A1 (zh) 2020-06-18
AU2019399834B2 (en) 2022-06-02
US20220039602A1 (en) 2022-02-10
ES2955043T3 (es) 2023-11-28
EP3895585A4 (en) 2022-09-14
CN109330380A (zh) 2019-02-15
EP3895585B1 (en) 2023-05-10
EP3895585A1 (en)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8990A (ko) 우유 음료 가열 교반기
EP1221883B1 (en) Automatic beverage frother
US20200113369A1 (en) Coffee maker and frother
US9357882B2 (en) Removable stirring system for mixing liquid
CN108852055B (zh) 牛奶饮料加热搅拌机
KR102530251B1 (ko) 일정량의 우유를 거품내는 기기 및 방법.
WO2014029214A1 (zh) 液体食品发泡机
CN103505080B (zh) 一种奶泡机
US20150013552A1 (en) Frothing machine for controlling foam volume
AU2018305188B2 (en) Milk frother and coffee machine that incorporates such a milk frother
CN202698926U (zh) 一种奶泡机
CN209360478U (zh) 一种牛奶饮料加热搅拌机
CN209269388U (zh) 一种牛奶饮料加热搅拌机
US20150013551A1 (en) Frothing machine for controlling foam volume
CN215272005U (zh) 烹饪器具及烹饪器具的锅体
CN212234118U (zh) 烹饪器具
CN211432295U (zh) 烹饪器具
CN211511401U (zh) 烹饪器具
CN110754912B (zh) 一种烹饪器具及其线圈盘组件
CN219846205U (zh) 一种加热器
CN211582642U (zh) 烹饪器具
CN215271970U (zh) 烹饪器具
CN212015275U (zh) 烹饪器具
CN207768152U (zh) 用于烹饪器具的电容防溢检测装置和烹饪器具
CN112438568A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