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428B1 - 식재 성형대, 식품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식재 성형대, 식품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428B1
KR102433428B1 KR1020150079154A KR20150079154A KR102433428B1 KR 102433428 B1 KR102433428 B1 KR 102433428B1 KR 1020150079154 A KR1020150079154 A KR 1020150079154A KR 20150079154 A KR20150079154 A KR 20150079154A KR 102433428 B1 KR102433428 B1 KR 10243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ase
planting
side fixing
sea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095A (ko
Inventor
아츠시 누마베
다카시 호소가네
사토시 미무라
준야 우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1508A external-priority patent/JP639002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4150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4273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160008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하기 좋고, 식재의 안착면을 위생적으로 유지하면서 식재의 위치 맞춤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식재 성형대, 및, 식재 성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성형대는, 판상의 식재를 성형하는 식재 성형대(3)로서, 식재(f)가 놓이는 측의 면인 안착면(11)을 구비하는 베이스(9)와, 안착면(11) 상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안착면(11)에 놓이고, 안착면(11) 상에서의 식재(f)의 위치를 획정하는 가이드(9)를 가지며, 가이드(10)는 베이스(9)와의 근접부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측 고정부(14)를 구비하고, 베이스(9)는 가이드(10)와의 근접부에 마련되어 있는 베이스측 고정부(13)와, 가이드(10)의 횡방향 어긋남을 규제하는 가이드 규제부(12)를 구비하고, 가이드측 고정부(14)와 베이스측 고정부(13)는 일방이 자석이고, 다른 일방이 자석 또는 자성체이다.

Description

식재 성형대, 식품 성형 장치{Food forming plate, food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판상의 식재를 성형하는 식재 성형대와, 판상의 식재를 성형하는 식품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스시롤과 같은 판상의 식재를 권취 성형하는 봉상(棒狀)의 식품에 이용되는 판상의 식재를 성형하는 식품 성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 식품 성형 장치는 장치의 내부에 판상으로 가공하는 식재로서의 초밥용 밥의 교반부와 교반된 초밥용 밥을 판상으로 압연하는 압연부를 갖는다.
교반부는, 초밥용 밥을 교반하여, 교반부의 하방에 있는 압연부에 초밥용 밥을 보낸다. 압연부는 복수의 압연 롤러를 구비한다. 복수의 압연 롤러가 한 쌍으로 되어 회전 구동함으로써, 초밥용 밥은 압연되면서 보내진다. 성형부는 압연부에 의해 압연된 초밥용 밥을 판상으로 성형한다.
도 11은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의 성형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성형 장치에 있어서, 식재를 판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300)는 안착면을 구비하는 베이스(90)과, 안착면에서의 식재의 위치를 획정하는 가이드(100)를 구비한다.
판상의 식재를 성형하는 경우, 베이스(90)에는 식재로서 김과 쌀밥이 놓인다. 이 때, 베이스(90)에는 가이드(100)가 놓이고, 가이드(100)에 의해 김의 위치가 획정된다. 김의 위치가 획정된 후, 베이스(90)에는 압연부로부터 압연된 쌀밥이 판상으로 놓인다. 이러한 식품 성형 장치에 있어서, 김을 깔 때 표식이 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며, 가이드부를 고정하는 나사를 이완시킴으로써, 김의 크기에 맞추어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도 12는,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의 성형부에서의 가이드(100)의 고정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120)에 삽입된 나사(110)에 의해 가이드(100)가 베이스(90)에 체결됨으로써, 가이드(100)의 안착면상의 위치가 고정된다. 가이드(100)는 나사(110)를 이완시켜 이동시킨 후 다시 나사(110)를 체결함으로써, 김의 크기에 대응하여 안착면상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3은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의 성형부의 베이스(9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의 성형부의 베이스(90)에는, 가이드(100)를 나사로 체결하기 위한 나사공(91)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100)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 식재의 압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장공(120)이 마련되어 있다. 장공(120)의 폭은 나사(110)를 통과할 수 있는 폭으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의 성형부에서는, 가이드(100)에 장공(120)이 마련됨으로써, 베이스(90)의 안착면상에서의 가이드 고정 위치를 자유롭게 획정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로 대표되는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의 성형부는 가이드(10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나사(110)를 이완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100)의 위치 맞춤 조작이 번잡하다.
또한,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의 성형부에는 베이스(90)의 안착면에 나사공(91)이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나사공(91)이 식재에 의해 막히기 쉽다. 따라서, 이러한 식품 성형 장치에서는 청소하기 어렵고 베이스(90)를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힘들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 2010-45990호 공보
본 발명은 청소하기 좋고, 식재의 안착면을 위생적으로 유지하면서, 식재의 위치 맞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식재 성형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상의 식재를 성형하는 식재 성형대로서, 식재가 놓이는 측의 면인 안착면을 구비하는 베이스와, 안착면 상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안착면에 놓이고, 안착면상에서의 식재의 위치를 획정하는 가이드를 가지며, 가이드는 베이스와의 근접부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측 고정부를 구비하고, 베이스는 가이드와의 근접부에 마련되어 있는 베이스측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의 횡방향 어긋남을 규제하는 가이드 규제부를 구비하며, 가이드측 고정부와 베이스측 고정부는, 일방이 자석이고 다른 일방이 자석 또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하기 좋고, 식재의 안착면을 위생적으로 유지하면서 식재의 위치 맞춤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성형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성형대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식재 성형대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식재 성형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가이드 규제부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가이드 규제부의 다른 응용예를 나타내는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식재 성형대의 베이스와 가이드와의 고정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식재 성형대의 베이스와 가이드와의 다른 고정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식재 성형대의 가이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식재 성형대의 베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의 성형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의 성형부에서의 가이드의 고정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의 성형부의 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성형 장치와 식재 성형대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식품 성형 장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성형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 성형 장치(1)는 판상의 식재를 성형한다. 판상의 식재란, 스시롤과 같은 권취함으로써 통(筒)형상의 식품을 형성하는 식재이다. 식품 성형 장치(1)는 식재로서의 초밥용 밥을 수용하는 호퍼(2)를 갖는다.
또한, 식품 성형 장치(1)는 장치 내부에 초밥용 밥의 교반부(미도시)와, 교반된 초밥용 밥을 판상으로 압연하는 압연부(미도시)를 갖는다. 교반부는 호퍼(2)의 하방에 배치되고, 호퍼(2) 내의 초밥용 밥을 교반하여 압연부로 초밥용 밥을 보낸다.
압연부는 한 쌍의 압연 롤러를 복수 세트 구비한다(미도시). 한 쌍의 압연 롤러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초밥용 밥은 판상으로 압연되면서 보내진다.
식품 성형 장치(1)는 압연부에 의해 압연된 초밥용 밥을 판상으로 성형하는 식재 성형대(3)를 갖는다. 식재 성형대(3)는, 도 2에 도시한 식재 성형용 베이스(9)와 가이드(10)를 갖는다.
베이스(9)는 식품 성형 장치(1)의 바닥부, 구체적으로는 압연부의 식재 배출구 하측에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9)는 수평면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9)의 이동 방향은 식품 성형 장치(1)의 전후 방향(길이 방향)이다.
베이스(9)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식재를 성형하기 위해 식품 성형 장치(1)를 조작하면, 베이스(9)의 전진에 동기하여 압연부가 식재의 압연을 개시한다. 압연부의 배출구로부터는, 식재가 소정의 두께로 연속 성형되면서 배출되어, 베이스(9)를 향해 배출된다. 식재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식재는 전진하고 있는 베이스(9)의 안착면(11)에서 받아내어진다. 안착면(11)에서 받아내어진 식재는 판상으로 성형된다.
<식재 성형대(1)>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성형대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성형대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재 성형대(3)는 판상의 식재(f)가 놓이는 평탄면인 안착면(11)을 구비하는 베이스(9)를 갖는다. 또한, 식재 성형대(3)는 안착면(11) 상에서 식재(f)의 위치를 획정하는 가이드(10)를 가지며, 가이드(10)는 베이스(9)의 안착면(11)에 놓인다. 판상의 식재(f)란, 판상으로 압연된 초밥용 밥이나 김말이 초밥용 밥에 권회되는 김 등이다.
-베이스
도 3은 도 2의 식재 성형대의 베이스(9)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9)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이고 높이 방향으로 두께가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9)는 식재가 놓이는 부분을 포함하는 안착면(11) 상에서 가이드(1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 등의 요철 부분을 갖지 않는다.
즉, 안착면(11) 상에 요철 부분을 갖지 않으므로, 베이스(9)는 가이드(10)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의 성형부와 같이 나사공이 식재에 의해 막히는 일이 없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베이스(9)는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또한, 베이스(9)는 안착면(11) 상을 이동하는 가이드(1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고,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편차(횡방향 어긋남)를 규제하는 가이드 규제부(12)를 갖는다. 가이드 규제부(12)는, 예컨대 폭방향 측방의 단부로부터 안착면(11)의 세워올림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가이드(10)의 이동 방향을 식재의 권취 방향이라고도 한다.
가이드 규제부(12)는 베이스(9)의 중심을 식재의 권취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에 대해 선대칭으로 마련된다. 도 3에 있어서, 가이드 규제부(12)는 베이스(9)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9)는 식재의 권취 방향 전방의 김 등의 식재의 위치를 획정하는 스토퍼(16)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5)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도 2로 돌아와, 가이드(10)의 구성을 설명한다. 가이드(10)가 안착면(11)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10)의 안착면(11)과의 근접부는 안착면(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10)는, 판상의 식재를 성형할 때, 안착면(11) 상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놓인다. 가이드(10)는 안착면(11) 상에서의 식재의 위치를 획정한다.
가이드(10)는 가이드(10)의 외형 형상을 정하는 판상의 가이드 본체(101)와, 가이드 본체(101)의 적어도 한 변에 식재의 폭에 대응하여 폭이 다른 복수개의 가이드 프레임(102)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02)은 단일 식재의 폭에 대응되는 것이 적어도 하나 있으면 된다.
가이드 본체(101)의 폭방향의 치수는 가이드 규제부(12-12) 사이의 치수보다 작다. 또한, 가이드 본체(101)는 각 가이드 규제부(12, 12)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본체(101)는 베이스(9) 상을 이동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 본체(101)가 이러한 치수와 형상을 가짐으로써, 가이드(10)는 베이스(9)의 안착면(11) 상의 가이드 규제부(12)에 의해 그 이동 방향이 가이드됨과 동시에, 그 횡방향 어긋남이 규제된다.
가이드 프레임(102)은, 그 프레임 내에 수용된 식재(f)의 단부의 위치를 가이드하여, 안착면(11) 상에서 식재(f)의 위치를 획정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가이드 프레임(102)은 안착면(11)의 세워올림 방향으로 높이를 가지며, 그 측면이 식재(f)의 일단부를 3방향에서 둘러싸도록 가이드 본체(101)의 측연부가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식재(f)의 일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가이드 프레임(102)의 일방향은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본체(101)에는 그 중심에 대해 선대칭의 2변, 즉 대조 위치에, 폭이 다른 가이드 프레임(102)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가이드 본체(101)는 안착면(11)을 따라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폭방향의 치수가 다른 식재에 대응할 수 있다.
-베이스와 가이드의 고정부
이어서, 식재 성형대(3)의 베이스(9)와 가이드(10)의 고정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식재 성형대(3)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9)에는, 안착면(11) 위와는 다른 위치(예컨대, 안착면(11)의 내부 등)의 가이드(10)와의 근접부에, 베이스측 고정부(13)가 마련된다. 또한, 베이스(9)의 안착면(11)의 이면측에는 베이스측 고정부(13)를 지지하는 후크 형상의 지지부(17)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10)는 베이스측 고정부(13)에 대응된 위치(베이스(9)의 안착면(11)에 근접부)에 마련된 가이드측 고정부(14)를 구비한다.
여기서, 베이스측 고정부(13)와 가이드측 고정부(14)는, 일방이 자석이고 다른 일방이 자석 또는 자성체이다. 이 때문에, 베이스측 고정부(13)와 가이드측 고정부(14)에는, 적어도 어느 일방이 다른 일방을 끌어당기는 힘(예컨대, 자석에 의한 인력, 자기 흡인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자기 흡인력에 의해 베이스측 고정부(13)의 위치가 고정된다.
즉, 가이드(10)는 베이스측 고정부(13)와 가이드측 고정부(14)에 의해 생긴 자기 흡인력에 의해 안착면(11) 상에 정지하고 있다. 이 때, 가이드측 고정부(14)는 베이스(9)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베이스측 고정부(13)와 비접촉으로 안착면(11) 상에 고정된다.
도 4에 있어서, 베이스측 고정부(13)로서의 판상의 자석은 식재(f)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측 고정부(13)는 판상의 자석 대신에, 복수개의 자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식재(f)의 권취 방향으로, 복수개의 자석이 식재의 치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마련됨으로써, 식재 성형대(3)에 의하면, 베이스측 고정부(13)의 위치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져 있는 위치에 가이드(1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식재 성형대(3)는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치수의 식재 성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가이드 규제부의 응용예
도 5는 가이드 규제부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규제부(22)는 상술한 돌기 대신에, 베이스(9)의 양단에 마련되어 있는 자석 또는 자성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가이드는 가이드 본체의 양단에 가이드 규제 보조부(미도시)를 갖는다. 가이드 규제 보조부는 가이드 규제부가 자석인 경우, 자성체로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규제부가 자성체일 수도 있다. 이 때, 가이드 규제 보조부는 자석으로 구성된다.
도 6은 가이드 규제부의 다른 응용예를 나타내는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규제부(32)는 베이스측 고정부의 기능을 겸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가이드 규제부(32)는 베이스의 중앙에 2열 배치되고, 좌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규제부(32a)가 가이드 규제부의 일방을 겸한다. 다른 일방의 가이드 규제부(32b)는 베이스의 중앙에서 우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이드의 횡방향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식재 성형대(3)의 베이스(9)와 가이드(10)와의 고정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방향의 치수가 작은 식재(f1)(예컨대, 소위 반절 김) 상에 초밥용 밥을 놓고 판상의 식재를 성형하는 경우, 가이드(10)는 안착면(11) 상에서 스토퍼(16)측의 위치에 고정된다.
도 8은, 도 2의 식재 성형대(3)의 베이스(9)와 가이드(10)의 다른 고정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 방향의 치수가 큰 식재(f2)(예컨대, 통상의 치수의 김) 상에 초밥용 밥을 놓고 판상의 식재를 성형하는 경우, 가이드(10)는 안착면(11) 상에서 스토퍼(16)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통상의 김은 가로 세로의 치수가 다른 직사각형이다. 그리고, 스시롤에는 권취 방향의 치수를 폭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하여 권취하는 경우(권취 방향이 김의 장변 방향)와, 권취 방향의 치수를 폭방향의 치수보다 작게 하여 권취하는 경우(권취 방향이 김의 단변 방향)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식재 성형대(3)에서는, 자기 흡인력에 저항하여 가이드(10)를 베이스(9)로부터 갈라 놓고, 가이드(10)의 위치를 바꾸거나, 또는 가이드(10)의 방향을 반전시킴으로써, 장착 위치(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고정 위치의 변경 후, 식재 성형대(3)에서는 다시 자기 흡인력에 의해 가이드(10)가 베이스(9)에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10)는 슬라이딩함으로써, 베이스(9)로부터 흡인된 상태에서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식재 성형대(3)는 베이스측 고정부(13)와 가이드측 고정부(14)에 의한 상대 위치를 유지시키는 힘을 해제하고 가이드(10)를 이동시킴으로써, 베이스(9)에 대한 가이드(10)의 고정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식재 성형대(2)>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성형대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2의 식재 성형대의 가이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가이드(20)에는, 먼저 설명한 가이드(10)와 달리, 가이드 본체(201)의 한 변에 폭이 다른 가이드 프레임(202)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즉, 가이드 프레임(202)은 안착면(11)을 따라 방향을 반전시키지 않고도, 폭방향의 치수가 다른 복수의 식재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성형대의 가이드는 가이드 본체의 2변의 각각에 폭이 다른 가이드 프레임이 마련될 수도 있다.
<식재 성형대(3)>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성형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도 2의 식재 성형대의 베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베이스(30)는, 베이스측 고정부의 일예인 자석(33)을 수용할 수 있는 긴 홈상(레일상)의 형상을 갖는 고정부 홀딩부(34)를 구비한다. 고정부 홀딩부(34)는 베이스(30)에서 후측(안착면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고정부 홀딩부(34)는 자석(33)을 수용하여 홀딩할 수 있도록, 폭방향의 치수가 자석(33)의 폭방향의 치수보다 약간 크다. 또한, 고정부 홀딩부(34)는 권취 방향에서의 자석(33)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고정부 홀딩부(34)의 권취 방향에서의 치수가 베이스(30)의 권취 방향 전체에 걸쳐져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베이스(30)는 고정부 홀딩부(34) 내에서 자석(33)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적당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식재 성형대에 의하면, 베이스(30)의 내부에 마련된 고정부 홀딩부(34)에 대해 자석(33)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치수의 식재 성형을 행할 수 있다.
<식재 성형대(4)>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성형대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식재 성형대(3)에서, 베이스측 고정부(13)와 가이드측 고정부(14)에 의해 발생한 베이스(9)와의 상대 위치를 유지시키는 힘의 일예로서 자석의 인력을 나타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성형대에서, 베이스와 가이드의 상대 위치를 유지시키는 힘은 자석의 인력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식재 성형대에 있어서, 베이스와 가이드의 상대 위치를 유지시키는 힘으로는, 예컨대 베이스와 가이드와의 사이의 마찰력이나 정전기력, 공기에 의한 흡인력,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에 의해 가이드를 파지하는 탄성력 등을 포함한다.
스프링 모양으로 형성된 베이스에 의한 탄성력으로 가이드를 파지하는 식재 성형대에서는, 베이스측 고정부가 베이스의 안착면의 측면에 위치하고, 가이드측 고정부가 베이스측 고정부를 안착면 측면의 바깥쪽으로부터 덮도록 위치한다.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식재 성형대와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하면, 가이드와 베이스의 상대 위치를 유지시키는 힘에 의해, 베이스의 안착면에 요철 부분을 갖지 않고도, 가이드를 안착면에 정지(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식재 성형대와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하면, 식재의 안착면을 위생적으로 유지하면서 식재의 위치 맞춤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모든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시롤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식품 성형 장치(1)가 성형하는 판상의 식재는, 예컨대 롤 케이크 등을 성형하는 것일 수도 있다.
1 식품 성형 장치
2 호퍼
3 식재 성형대
9 베이스
10 가이드
11 안착면
12 가이드 규제부
13 베이스측 고정부
14 가이드측 고정부
15 고정구
16 스토퍼
17 지지부
20 가이드
22 가이드 규제부
30 베이스
32 가이드 규제부
33 자석
34 고정부 홀딩부
101 가이드 본체
102 가이드 프레임
201 가이드 본체
202 가이드 프레임
f 식재

Claims (23)

  1. 판상의 식재를 성형하는 식재 성형대로서,
    상기 식재가 놓이는 측의 면인 안착면이 평탄한 베이스와,
    상기 안착면 상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안착면에 놓이고, 상기 안착면상에서의 상기 식재의 위치를 획정하는 가이드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안착면 상과는 다른 위치의 상기 가이드와의 근접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베이스측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와의 근접부의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에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를 상기 가이드에 고정하는 가이드측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측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는, 일방이 자석이고 다른 일방이 자석 또는 자성체인 식재 성형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한 장착 위치를 변경 가능한 식재 성형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는 상기 식재의 치수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면을 따라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식재 성형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는 상기 식재의 길이 방향에 걸쳐 마련되어 있는 식재 성형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측 고정부는 자성체이고,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는 자석인 식재 성형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측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는 모두 자석인 식재 성형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측 고정부는 자석이고,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는 자성체인 식재 성형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측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가 비접촉인 상태로, 상기 가이드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식재 성형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는 상기 식재의 치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식재 성형대.
  10. 판상의 식재를 성형하는 식재 성형대로서,
    상기 식재가 놓이는 측의 면인 안착면이 평탄한 베이스와,
    상기 안착면 상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안착면에 놓이고, 상기 안착면상에서의 상기 식재의 위치를 획정하는 가이드와,
    상기 베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안착면 상과는 다른 위치의 상기 가이드와의 근접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베이스측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의 근접부의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에 대응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를 상기 가이드에 고정하는 가이드측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측방의 양단에 상기 가이드의 횡방향 어긋남을 규제하는 가이드 규제부를 구비하는 식재 성형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규제부는 상기 베이스의 중앙축에 대해 선대칭으로 2개 마련되어 있는 식재 성형대.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규제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식재 성형대.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가이드 규제 보조부를 더 가지며,
    상기 가이드 규제부는 자성체 또는 자석이며,
    상기 가이드 규제 보조부는 자석인 식재 성형대.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규제 보조부를 더 가지며,
    상기 가이드 규제부는 자석이며,
    상기 규제 보조부는 자성체 또는 자석인 식재 성형대.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측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 규제부를 겸하고 있는 식재 성형대.
  16. 판상의 식재를 권취함으로써, 통(筒)형상의 식품을 성형하는 식품 성형 장치로서,
    상기 판상의 식재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식재 성형대에 의해 성형되는 식품 성형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50079154A 2014-07-09 2015-06-04 식재 성형대, 식품 성형 장치 KR102433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1508A JP6390026B2 (ja) 2014-07-09 2014-07-09 食材成形台、食品成形装置
JPJP-P-2014-141508 2014-07-09
JPJP-P-2014-141507 2014-07-09
JP2014141507A JP6442731B2 (ja) 2014-07-09 2014-07-09 食材成形台、食品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095A KR20160008095A (ko) 2016-01-21
KR102433428B1 true KR102433428B1 (ko) 2022-08-17

Family

ID=5518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154A KR102433428B1 (ko) 2014-07-09 2015-06-04 식재 성형대, 식품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3428B1 (ko)
CN (1) CN105286055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7867A (ja) * 2000-01-17 2001-07-24 Audio Technica Corp すし飯供給装置
JP2003222122A (ja) * 2002-01-31 2003-08-08 Suzumo Machinery Co Ltd 回転ローラの軸承装置
JP2006151593A (ja) 2004-11-29 2006-06-15 Sanwa Newtec Co Ltd 用紙搬送処理装置
JP2010045990A (ja) 2008-08-20 2010-03-04 Audio Technica Corp 米飯成形装置およびその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5666B2 (ja) * 1981-11-11 1983-08-04 鈴木精機株式会社 飯等の成型装置
JP2011010553A (ja) * 2009-06-30 2011-01-20 Yuji Seki 米飯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7867A (ja) * 2000-01-17 2001-07-24 Audio Technica Corp すし飯供給装置
JP2003222122A (ja) * 2002-01-31 2003-08-08 Suzumo Machinery Co Ltd 回転ローラの軸承装置
JP2006151593A (ja) 2004-11-29 2006-06-15 Sanwa Newtec Co Ltd 用紙搬送処理装置
JP2010045990A (ja) 2008-08-20 2010-03-04 Audio Technica Corp 米飯成形装置およびそ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86055B (zh) 2019-11-15
KR20160008095A (ko) 2016-01-21
CN105286055A (zh)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44150S1 (en) Biological product support element
USD793770S1 (en) Lumbar support cushion
USD842626S1 (en) Support apparatus
USD664312S1 (en) Cat litter box enclosure
USD845674S1 (en) Modular and adjustable pillow
USD809825S1 (en) Pillow bed for an infant
USD966626S1 (en) Pet enclosure apparatus
USD805369S1 (en) Support frame
USD811013S1 (en) Birdfeeder
USD907111S1 (en) Process cartridg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180532S (en) Bar holder for towel or paper roll
USD774846S1 (en) Butter knife
USD773054S1 (en) Fabric covered support pillow with breast and torso reliefs
KR102433428B1 (ko) 식재 성형대, 식품 성형 장치
US8820519B2 (en) Egg belt
USD891981S1 (en) Plant support tray
USD951259S1 (en) Enclosure
USD768740S1 (en) Mixer bag support vessel
JP6442731B2 (ja) 食材成形台、食品成形装置
JP6390026B2 (ja) 食材成形台、食品成形装置
USD858140S1 (en) Diaper changing pad
KR102444354B1 (ko) 식재 성형용 가이드
USD862933S1 (en) Support apparatus
USD958467S1 (en) Fish feeding apparatus
USD850527S1 (en) Tape pr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