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887B1 - 종이컵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종이컵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887B1
KR101535887B1 KR1020130096448A KR20130096448A KR101535887B1 KR 101535887 B1 KR101535887 B1 KR 101535887B1 KR 1020130096448 A KR1020130096448 A KR 1020130096448A KR 20130096448 A KR20130096448 A KR 20130096448A KR 101535887 B1 KR101535887 B1 KR 101535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de edge
mold
blo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484A (ko
Inventor
전진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팩
Priority to KR1020130096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88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7/00Making conical articles by winding
    • B31C7/02Forming truncated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7Feeding sheets or blanks by air pressure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2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around mandrels, e.g. for forming bottoms
    • B31B50/30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around mandrels, e.g. for forming bottoms the mandrels moving
    • B31B50/3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around mandrels, e.g. for forming bottoms the mandrels moving in circular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assembling separate sheets, blanks or web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종이컵의 옆지와 밑지의 접합을 보다 안정하게 하고 1개의 회전테이블이 1회전될때 종이컵의 제조가 완성될 수 있도록 결합몰드 어셈블리의 구조가 개량된 종이컵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밑지공급유니트(40)에서 밑지(12)의 가장자리를 하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12a)가 형성된 상태로 통형의 옆지(11) 하부로부터 결합시킬때, 밑지 절곡부(12a)의 폭(a)보다 적어도 2배 높은 위치에 절곡부(12a)가 위치하도록 공급함으로써, 옆지와 밑지의 열접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종이컵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종이컵 제조장치{A aper cup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종이컵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종이컵의 옆지와 밑지의 접합을 보다 안정하게 하고 1개의 회전테이블이 1회전될때 종이컵의 제조가 완성될 수 있도록 결합몰드 어셈블리의 구조가 개량된 종이컵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컵(10)은 옆지(11)와, 옆지(11)의 하단에 접합되는 밑지(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옆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형태로 재단된 옆지(1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옆지형성유니트(20)에 공급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두원추통형으로 제조된다.
상기 옆지성형유니트(20)는 절두원추형의 성형몰드(22)와,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회동플레이트(23)(24) 및 히터블럭(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성형몰드(22)와 회동플레이트(23)(24) 사이로 공급된 옆지(11)는 회동플레이트(23)(24)에 의해서 성형몰드(22)의 외주면에 양단이 겹쳐지도록 밀착되고, 겹쳐진 부분에 히터블럭(21)이 하강하여 열가압 접합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두원추통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후 롤형태로 감긴 밑지원단(미도시)으로부터 원형으로 펀칭되어 재단된 밑지(12)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두원추통형의 옆지(11) 하단에 열가압 접합시키고, 상단(11a)을 커링(curling)시킴으로써 종이컵(10)이 완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이컵(10)을 제조하는 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테이블(400)과 제2회전테이블(600)의 일부분이 교차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회전테이블(400)의 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옆지(11)와 밑지(12)가 가결합되는 결합몰드(401)가 고정설치된다.
또한, 제1회전테이블(400)의 일측에는 밑지원단으로부터 펀칭된 밑지원지가 공급되는 밑지공급유니트(200)가 마련되고, 밑지공급유니트(200)의 일측에는 옆지(11) 를 공급하는 옆지공급유니트(300)가 마련된다.
옆지공급유니트(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형상으로 재단되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형으로 성형된 옆지(11)가 최종적으로 공급된다.
상기 부채꼴형상으로 재단된 옆지(11)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지성형블럭(22)의 하부로 공급된 후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회동플레이트(23)(24)에 의해서 상기 성형블럭(22) 외주면에 밀착되고, 히터블럭(21)에 의해서 상기 성형블럭(22)에 밀착된 옆지(11)의 양단가장자리가 상호 열접합되어서, 도 4와 같은 성형된 옆지(11)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밑지공급유니트(200)와 옆지공급유니트(300)의 각 공급 단부에는 제1회전테이블(400)이 경유하도록 회전된다.
상기 제1회전테이블(400)의 저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으로 성형된 옆지(11)가 결합되는 결합몰드(40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몰드(401)는 제1회전테이블(400)의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으며, 각 결합몰드(401)는 상기 밑지공급유니트(200)와 옆지공급유니트(300)의 공급단부의 상부공간을 경유하도록 되어 있다.
옆지공급유니트(300)의 일측에는 결합몰드(401)에 가결합되어 이송되는 밑지(12)와 옆지(11)의 접합부분을 가열하는 가열유니트(510)가 마련되어 있고, 이 가열유니트(510)의 일측에는 밑지(12)와 옆지(11)의 하단부를 접합시키는 접합유니트(500)가 마련되어 있다.
제2회전테이블(600)에는 옆지(11)와 밑지(12)가 접합된 종이컵이 낙하되어 안착되는 안착공(601)이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지(11) 상단부를 커링하는 커링유니트(700) 및 완성된 종이컵을 배출하는 배출유니트(80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몰드(401)는 그 중심부에 관통공(401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401a)에는 에어호스(402)가 연결되어서 진공흡입 또는 압축공기가 토출되도록 되어 상기 밑지(12)를 흡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밑지공급유니트(200)에서 결합몰드(401)의 하단에 밑지(12)가 흡착되고, 옆지공급유니트(300)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통형으로 성형된 옆지(11)가 회동블럭(305)에 의해서 수직으로 세워진 후 푸쉬봉(306)에 의해서 결합몰드(401)에 결합되게 된다.
이후 가열유니트(510)에서는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옆지(11)의 하단부 내벽을 히터(511)로 가열시키고, 접합유니트(500)에서는 도 5 및 도 8에서와 같이 접합블럭(501)이 상승하여 옆지(11) 하단부와 밑지(12)가 열접합되도록 한다.
이후 도 1에서와 같은 옆지(11) 상단(11a)의 커링작업은 상기 결합몰드(401)에서는 수행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제2회전테이블(600)측에 위치한 커링유니트(700)에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이컵(10) 상단(11a)의 커링작업을 별도의 제2회전테이블(600)의 커링유니트(700)에서 수행하여야 하므로 전체 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한다.
둘째,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지(11)와 밑지(12)의 접합부분에 열풍이 가해질때, 옆지(11)와 밑지(12)의 면접촉부(A)에까지 열이 가해지기 위하여는 밑지(12)를 침투하여야 하므로, 즉 간접가열이 되게 되므로 충분한 열풍 공급시간이 요구되어 종이컵 제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면접촉부(A)에 열이 충분히 가해지지 않게 되면, 도 7c에서와 같이 면접촉부(A)에서 옆지(11)와 밑지(12)의 접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제품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실용신안등록 20-03172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옆지와 밑지의 열접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종이컵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옆지와 밑지의 열접합공정과 종이컵의 상단부 컬링공정을 하나의 회전테이블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몰드 어셈블리의 구조가 개량된 종이컵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통형의 옆지와, 상기 옆지의 하단부에 접합되는 밑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옆지의 상단이 컬링된 종이컵을 제조하는 종이컵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의 옆지가 결합되는 결합몰드를 포함하는 결합몰드 어셈블리가 하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 마련되고 스텝회전되는 회전테이블과; 상기 옆지를 통형으로 성형하고 성형된 옆지를 상기 결합몰드에 결합시키는 옆지성형유니트와; 상기 결합몰드에 결합된 옆지의 하단부에 밑지를 결합시키는 밑지공급유니트와; 상기 옆지와 밑지의 접합부분을 가열시키는 가열유니트와; 상기 옆지와 밑지를 열접합시키는 하부접합유니트와; 상기 옆지의 상단을 컬링하는 상부컬링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몰드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면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결합몰드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중공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회전테이블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고 공기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통로가 형성된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푸셔와, 상기 중공관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몰드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밑지공급유니트로부터 공급되는 밑지를 상기 공기의 흡입에 의해서 흡착하는 흡착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럭과, 상기 승강블럭의 하단에 결합되며 단부에 원호형의 제1오목홈이 형성된 상부금형과, 단부에 상기 승강블럭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테이블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푸셔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컬링유니트는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는 승강판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판에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몰드 및 흡착블럭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와, 상기 승강판에 지지되고 상기 제1오목홈과 대향되어 원호형의 제2오목홈이 형성된 하부금형을 구비하여서,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상기 승강판이 상승될때 상기 옆지의 상단이 상기 제1,2오목홈 사이에서 원호형으로 말아지도록 하고,
상기 회전테이블이 1회전될때 상기 종이컵이 제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밑지공급유니트는 상기 밑지의 가장자리를 하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통형의 옆지 하부로부터 결합시키되, 상기 절곡부의 폭보다 적어도 2배 높은 위치에 상기 절곡부가 위치하도록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유니트는 상기 옆지에 결합된 밑지의 하부측 상기 옆지의 내면을 열풍으로 가열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열풍 토출공이 형성된 열풍블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첫째, 본 발명 실시예의 종이컵 제조장치는 옆지와 밑지의 열접합공정과 종이컵의 상단부 컬링공정을 하나의 회전테이블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한다.
둘째, 밑지공급유니트(40)에서 밑지(12)의 가장자리를 하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12a)가 형성된 상태로 통형의 옆지(11) 하부로부터 결합시킬때, 밑지 절곡부(12a)의 폭(a)보다 적어도 2배 높은 위치에 절곡부(12a)가 위치하도록 공급함으로써, 옆지와 밑지의 열접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종이컵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통상의 종이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이컵의 옆지를 나타낸 전개도,
도 3은 옆지 성형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성형된 옆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종래 징치의 평면도,
도 6은 종래 종이컵의 옆지와 밑지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종래 가열유니트 및 밑지 접합부분 불량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종래 및지 접합부분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 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장치에 채용되는 성형몰드를 나타내며, 밑지를 옆지의 하단에 결합시키는 상태를 나태낸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 장치의 가열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 장치의 하부말림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장치의 하부접합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 장치의 상부컬링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a 내지 도 15i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한 종이컵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종이컵 제조장치는 옆지와 밑지의 열접합공정과 종이컵의 상단부 컬링공정을 하나의 회전테이블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몰드 어셈블리의 구조가 개량되고, 또한 옆지와 밑지가 확실한 열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종이컵(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으로 성형되고 상단(11a)이 커링된 옆지(11)와, 옆지(11)의 하단부에 열접합되는 밑지(1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 9 및 이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종이컵의 공정도를 나타낸 도 15를 참조하면, 이 장치는 스텝회전되며 하면에 상기 통형의 옆지(11)가 결합되는 결합몰드(440)를 포함하는 결합몰드 어셈블리가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마련되는 회전테이블(400)과; 상기 옆지(11)를 통형으로 성형하고 성형된 옆지(11)를 상기 결합몰드(440)에 결합시키는 옆지성형유니트(320)와; 상기 결합몰드(440)에 결합된 옆지(11)의 하단부에 상기 밑지(12)를 결합시키는 밑지공급유니트(40)와; 상기 옆지(11)와 밑지(12)의 접합부분을 가열시키는 가열유니트(60)와; 상기 옆지(11)와 밑지(12)를 열접합시키는 하부접합유니트(80)와; 상기 옆지(11)의 상단을 컬링하는 상부컬링유니트(90);를 구비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몰드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테이블(400)의 하면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결합몰드(4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고정블럭(410)과, 상기 고정블럭(410)의 중공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통로(421)가 형성된 중공관(420)과, 상기 중공관(42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푸셔(61)와, 상기 중공관(42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몰드(44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밑지공급유니트(40)로부터 공급되는 밑지(12)를 공기의 흡입에 의해서 흡착하는 흡착블럭(430)과, 상기 고정블럭(410)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럭(450)과, 상기 승강블럭(450)의 하단에 결합되며 단부에 원호형의 제1오목홈(461)이 형성된 상부금형(460)과, 단부에 상기 승강블럭(450)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테이블(40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봉(470)과, 상기 가이드봉(47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푸셔(62)를 구비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장치는 옆지(11)를 통형으로 성형하고 세우는 공정(도 15 (a)(b)(c)), 밑지(12)를 성형하는 공정(도 15d), 밑지(12)를 옆지(11)에 결합시키는 공정(도 15e), 옆지(11) 하단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공정(도 15f), 옆지(11)와 밑지(12)를 열접합하는 공정(도 15g, 도 15h) 및 옆지(11)의 상단(11a)을 커링하는 공정(도 15i)을 상기 회전테이블(400)이 1회전될때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옆지공급유니트(310) 및 옆지성형유니트(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5d 내지 도 15f를 참조하면, 상기 밑지공급유니트(40)는 밑지원지(미도시)로부터 밑지(12)를 승강봉(41)이 상승되면서 펀칭하여 밑지(12)의 가장자리가 하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2a)가 형성되도록 하고, 통형의 옆지(11) 하부로부터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절곡부(12a)의 폭(a)보다 적어도 2배 높은 위치에 상기 절곡부(12a)가 위치하도록 옆지(11)에 공급한다.
상기 옆지(11) 내부로 공급된 밑지(12)는 상기 흡착블럭(430)에 진공흡착된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유니트(60)는 상기 회전테이블(4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옆지(11)에 결합된 밑지(1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상기 옆지(11)의 내면을 열풍으로 가열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열풍 토출공(901)이 형성된 열풍블럭(900)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몰드(440)에 옆지(11)와 밑지(12)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테이블(4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서, 상기 가열유니트(60)에 정지하게 되면 상기 열풍블럭(900)이 상승되어서 열풍을 옆지(11) 하단부 내주면을 가열하게 된다. 이때 옆지(11) 및 밑지(12)의 표면에 코팅된 합성수지 필름이 용융상태로 된다.
도 9에서 참조번호 50은 예열유니트로서 상기 가열유니트(6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옆지(11) 및 밑지(12)를 예열한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옆지(11)와 밑지(12)가 결합된 결합몰드(440)는 회전테이블(400)의 시계방향 회전으로 상기 하부말림유니트(70)에 스텝 정지되게 된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말림유니트(70)는 옆지(11)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접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써, 턴테이블(400)의 하부측에 마련되어서 상단부에 상기 옆지(11)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성형홈(71a)이 형성된 성형블럭(71)이 실린더(미도시) 작동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하부말림유니트(70)는 말림블럭(71)이 상승되면서 옆지(11)의 하단부가 성형홈(71a)에 결합되어 내측으로 말리면서 접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말림유니트(70)에서 옆지(11)의 하단부가 접어진 상태에서, 턴테이블(4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결합몰드(440)는 하부접합유니트(80)에 스텝정지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부접합유니트(80)는 상기 옆지(11)의 하단부 내측에 결합되며 회전되는 캠블럭(81)과, 옆지(11)의 외측에 마련되는 환형의 고정체(82)로 구성되어서, 캠블럭(81)이 회전되면서 옆지(11)의 접어진 부분이 열접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접합유니트(80)에서 옆지(11)의 하단부가 열접합된 다음, 턴테이블(400)의 시계방향 회전으로 상기 상부컬링유니트(90)에 스텝정지되어 옆지(11)의 상단(11a)을 커링한다.
도 14a, 14b 및 도 15i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컬링유니트(90)는 유압실린더(150)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는 승강판(110)과, 상기 회전테이블(4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판(110)에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판(130)과, 상기 회전판(130)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몰드(440) 및 흡착블럭(4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100)와, 상기 승강판(110)에 지지되고 상기 제1오목홈(461)과 대향되어 원호형의 제2오목홈(141)이 형성된 하부금형(14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부컬링유니트(90)는 상기 유압실린더(150)에 의해서 상기 승강판(110)이 상승될때 상기 옆지(11)의 상단(12a)이 상기 제1,2오목홈(461)(141) 사이에서 원호형으로 말아지도록 작동된다.
10...종이컵 11...옆지
12...밑지 40...밑지공급유니트
50...예열유니트 60...가열유니트
70...하부말림유니트 80...하부접합유니트
90...상부컬링유니트

Claims (4)

  1. 통형의 옆지와, 상기 옆지의 하단부에 접합되는 밑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옆지의 상단이 컬링된 종이컵을 제조하는 종이컵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형의 옆지(11)가 결합되는 결합몰드(440)를 포함하는 결합몰드 어셈블리가 하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 마련되고 스텝회전되는 회전테이블(400)과;
    상기 옆지(11)를 통형으로 성형하고 성형된 옆지(11)를 상기 결합몰드(440)에 결합시키는 옆지성형유니트(320)와;
    상기 결합몰드(440)에 결합된 옆지(11)의 하단부에 밑지(12)를 결합시키는 밑지공급유니트(40)와;
    상기 옆지(11)와 밑지(12)의 접합부분을 가열시키는 가열유니트(60)와;
    상기 옆지(11)와 밑지(12)를 열접합시키는 하부접합유니트(80)와;
    상기 옆지(11)의 상단을 컬링하는 상부컬링유니트(90);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몰드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테이블(400)의 하면에 상단부가 고정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상기 결합몰드(4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고정블럭(410)과, 상기 고정블럭(410)의 중공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회전테이블(400)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고 공기가 흡입 또는 토출되는 통로(421)가 형성된 중공관(420)과, 상기 중공관(42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푸셔(61)와, 상기 중공관(4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몰드(44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밑지공급유니트(40)로부터 공급되는 밑지(12)를 공기의 흡입에 의해서 흡착하는 흡착블럭(430)과, 상기 고정블럭(410)의 외주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럭(450)과, 상기 승강블럭(450)의 하단에 결합되며 단부에 원호형의 제1오목홈(461)이 형성된 상부금형(460)과, 단부에 상기 승강블럭(450)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테이블(40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봉(470)과, 상기 가이드봉(47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푸셔(6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컬링유니트(90)는 유압실린더(150)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는 승강판(110)과, 상기 회전테이블(4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판(110)에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판(130)과, 상기 회전판(130)에 지지되고 상기 결합몰드(440) 및 흡착블럭(4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100)와, 상기 승강판(110)에 지지되고 상기 제1오목홈(461)과 대향되어 원호형의 제2오목홈(141)이 형성된 하부금형(140)을 구비하여서,
    상기 유압실린더(150)에 의해서 상기 승강판(110)이 상승될때 상기 옆지(11)의 상단(12a)이 상기 제1,2오목홈(461)(141) 사이에서 원호형으로 말아지도록 하고,
    상기 회전테이블(400)이 1회전될때 상기 종이컵이 제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밑지공급유니트(40)는 상기 밑지(12)의 가장자리를 하방향으로 절곡하여 절곡부(12a)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통형의 옆지(11) 하부로부터 결합시키되,
    상기 절곡부(12a)의 폭(a)보다 적어도 2배 높은 위치에 상기 절곡부(12a)가 위치하도록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니트(60)는 상기 옆지(11)에 결합된 밑지(12)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상기 옆지(11)의 내면을 열풍으로 가열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열풍 토출공(901)이 형성된 열풍블럭(9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제조장치.
  4. 삭제
KR1020130096448A 2013-08-14 2013-08-14 종이컵 제조장치 KR101535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48A KR101535887B1 (ko) 2013-08-14 2013-08-14 종이컵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48A KR101535887B1 (ko) 2013-08-14 2013-08-14 종이컵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484A KR20150019484A (ko) 2015-02-25
KR101535887B1 true KR101535887B1 (ko) 2015-07-13

Family

ID=5257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448A KR101535887B1 (ko) 2013-08-14 2013-08-14 종이컵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9858A (zh) * 2018-07-20 2018-12-21 浙江森盟包装有限公司 吹热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291Y1 (ko) * 2003-03-14 2003-06-25 주식회사 에이스팩 종이컵 제조장치
KR100496959B1 (ko) * 2003-10-07 2005-06-23 (주)성우엔비테크 이중종이컵 제조장치의 회전테이블
KR100554575B1 (ko) * 2004-08-20 2006-04-05 서정수 종이뚜껑 성형장치
KR100729684B1 (ko) * 1997-08-28 2007-06-1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단열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84B1 (ko) * 1997-08-28 2007-06-1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단열용기
KR200317291Y1 (ko) * 2003-03-14 2003-06-25 주식회사 에이스팩 종이컵 제조장치
KR100496959B1 (ko) * 2003-10-07 2005-06-23 (주)성우엔비테크 이중종이컵 제조장치의 회전테이블
KR100554575B1 (ko) * 2004-08-20 2006-04-05 서정수 종이뚜껑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484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1110B2 (ja) 加熱接着式回転積層コアの製造装置
JP2019527531A (ja) 積層コアの内径加熱が可能な積層コアの製造装置
KR101535887B1 (ko) 종이컵 제조장치
CN205416498U (zh) 一种压泡压盒机
KR101801005B1 (ko) 종이컵 제조 장치
CN209747460U (zh) 贴膜机
KR101326940B1 (ko)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과 이 전열판의 제조 적층장치 및 방법
CN105479815B (zh) 一种蛋糕杯的成型机构
KR101722882B1 (ko) 마스크팩용 시트의 2차 절첩장치
KR102361900B1 (ko) 적층 코어의 내경 가열이 가능한 적층 코어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0317292Y1 (ko) 종이컵의 옆지 접합장치
CN111633764B (zh) 一种竹材加工装置和加工方法
KR102467693B1 (ko) 회전자 코어와 고정자 코어의 동시 타발이 가능한 가열 접착식 회전 적층 코어 제조 방법
JP2017087738A (ja) 紙容器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317291Y1 (ko) 종이컵 제조장치
KR102374243B1 (ko) 가열 접착식 회전 적층 코어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0380610Y1 (ko) 종이컵 성형기의 성형몰드 구조
TWI529105B (zh) Paper container molding machine and its forming mechanism
KR100589658B1 (ko) 종이컵 성형기의 성형몰드 구조
CN204368489U (zh) 贴膜装置
JP2005254747A (ja) ブランクの糊付け装置
CN215235569U (zh) 一种椅子坐垫的打胶定型工作台
KR100619705B1 (ko) 부착물을 가진 종이컵 제조장치
CN218315495U (zh) 一种倾斜封边纸杯的制造模具
KR200380609Y1 (ko) 종이컵 성형기의 하단컬링 윤활유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