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381B1 -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381B1
KR101908381B1 KR1020157008510A KR20157008510A KR101908381B1 KR 101908381 B1 KR101908381 B1 KR 101908381B1 KR 1020157008510 A KR1020157008510 A KR 1020157008510A KR 20157008510 A KR20157008510 A KR 20157008510A KR 101908381 B1 KR101908381 B1 KR 101908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ginseng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021A (ko
Inventor
홍광 종
민즈 이
지엔중 루
Original Assignee
지앙종 파마슈티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앙종 파마슈티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지앙종 파마슈티컬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04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4Ganoder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61K36/068Cordy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4Anemarrh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61K9/1688Processes resulting in pure drug agglomerate optionally containing up to 5% of excip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33Encapsulating processes; Filling of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impot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4Codonop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IDS & HIV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iabe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Chinese medicinal composition)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서양삼,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매괴화, 지모, 백합 등의 원료를 함유하는 한약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이것을 분쇄, 전탕(water grilling), 알콜 추출 등에 의해 각종 임상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조성물은 과민성 질환, B형 간염과 에이즈를 예방 및 치료하고, 백혈구 수치를 높이며, 방사선 손상을 예방하고, 화학치료 및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을 경감시키며, 남성 성기능을 개선하고,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며, 육체 피로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BINATION FOR REGULATION IMMUNE FUNC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면역체계(immune system)는 유기체가 자신을 보호하는 방어적 구조로서, 질병의 발생, 진행 및 예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 면역학은 인체의 면역기능에는 전염 방어, 자기 항상성 및 면역 감시의 3대 작용이 있어, 정상적인 경우, 유기체는 평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면역 기능에 의지하여 각종 전염에 저항하여 체내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즉 자신의 인식, 자신 이외를 제거하여 항상성의 생리적 보호를 달성한다. 그러나 면역기능이 비정상일 때, 자기 항상성이 깨지면서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lupus), 피부경화증, 베체트병(Behcet's disease), 에이즈 및 기타 질병과 같은 다양한 자기 면역성 질병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종양, 고혈압, 당뇨병 등의 질병의 발생과 모두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의학은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 보호하고, 각종 유해인자를 방어하고 제거하는 작용을 정기(正氣)라 칭하고, 이러한 유해인자들은 즉 사기(邪氣)라 칭한다. 정기는 인체의 면역기능에 해당하고, 사기는 다시 외사(外邪)와 내사(內邪), 즉 각종 발병요인으로 구분된다. 정기내존, 사불가간(正氣內存 邪不可干)이란, 체내 면역기능이 정상이라면 외부의 발병인자를 막을 수 있고, 설사 인체에 침범하더라도 저항하여 소멸시킬 수 있음을 말하고, 사지소주, 기기필허(邪之所湊 其氣必虛)란, 만약 면역기능이 저하된 경우, 정상적인 생리기능이 파괴되어 발병할 수 있음을 말한다. 한의학에서는 질병의 발생, 진행과 예후가 정, 사의 소멸과 성장에 의해 결정되며, 유기체의 면역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여, 부정거사(扶正邪)라는 주요 질병치료 원칙을 제시하였다. 한약(Chinese medicine, 漢藥)은 대부분 천연약물로서, 약성이 온화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유기체의 전체적인 평형에 협조적이고, 유기체의 질병 저항 능력을 강화하는 방면에 독특한 약효가 있다. 현대 과학 연구는 인삼, 황기, 영지, 구기자, 판람근, 금은화 등 200여종의 부정(扶正) 또는 거사(邪)의 효능이 있는 약물들은 모두 양호한 면역 조절 작용을 가지며, 유기체의 면역 기능의 각 부분을 조절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서양삼,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매괴화, 지모, 백합 등 원료 함유)은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 연구 성과를 결합하여, 임상 및 실험 연구를 통해 최적화된 성분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보기양음(補氣養陰), 익신보폐(益腎補肺), 이기화어(理氣化瘀), 청열윤폐(淸熱潤肺), 거사부정(祛邪扶正), 면역 조절의 기능과 효과를 갖는다. 임상 연구에서,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은 유기체의 면역력을 강화하고, 과민성 비염, 과민성 천식, 과민성 피부염, 심마진(두드러기)을 포함하는 과민성 질병, B형 간염, 에이즈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하여 뚜렷한 치료 효과가 있고, 백혈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방사선 손상을 예방 및 치료하고, 화학치료로 인한 독성과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CN102274258 A
Ok Hee Chai. Inhibitory Effects of Several Korean Traditional Herbs on Anaphylactic Reaction and Mast Cell Activation. Korean J. Microscopy. Vol. 40, No. 4, 2010년, pp. 201-209
KR1020100137223 A
JP2004099613 A
본 발명의 목적은 보기양음, 익신보폐, 이기화어, 청열윤폐, 거사부정, 면역 조절의 기능과 효과가 있으며, 과민성 비염, 과민성 천식, 과민성 피부염, 심마진(두드러기)을 포함하는 과민성 질병, B형 간염, 에이즈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고, 백혈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방사선 손상을 예방 및 치료하고, 화학치료로 인한 독성과 부작용을 경감시키고 남성 성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적용될 수 있는 면역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면역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은 중의학의 “부정거사(扶正祛邪)” 치료원칙에 입법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처방 중 군약(君藥)인 서양삼은 성미가 쓰고, 약간 달며, 차고, 보기양음, 청화생진(淸火生津)의 효과가 있어, 현대 연구에서 서양삼은 광범위한 생물학 활성을 구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요 유효성분으로는 서양삼 다당체, 진세노사이드 등 화합물과 미량원소를 포함하며, 다양한 면역활성 세포에 작용하여 특정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면역 조절 작용을 더욱 발휘한다. 서양삼은 면역 억제제로 인한 면역 저하에 대하여 뚜렷한 보호작용이 있으며, 따라서 임상 종양 방사선 치료 환자, 만성 방사선 질병환자 및 각종 원인으로 인한 면역저하 환자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보조 치료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서양삼은 생쥐의 수영부하시간을 뚜렷하게 연장시키고, 생쥐의 운동 지구력을 향상시키며, 또한 용량 반응관계가 있고; 운동 후의 생쥐의 간 글리코겐 소모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간 글리코겐 저장량을 증가시키고, 운동시 혈당 수준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젖산 함량을 감소시키고, 생쥐의 유산소 대사능력을 높여 당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젖산이 근육에 쉽게 축적되지 않아 피로의 발생을 지연시키며; 운동시의 혈청요소질소 함량을 낮추어, 유기체의 부하에 대한 적응성을 강화시키고 피로 해소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
신약(臣藥)인 영지, 동충하초는 군약인 서양삼을 보조하여 보기양음, 익신보폐하며, 그 중 영지는 성미가 달고, 평하며, 보기양혈(補氣養血), 지해평천(止咳平喘), 양심안신(養心安神)의 효과가 있으며, 현대 연구에서 영지의 면역 조절 작용은 주로 영지 다당체가 약효를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지 다당체는 유기체의 면역 기능을 현저히 증강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생쥐의 지연성 과민반응을 강화하고, 림프세포 증식반응을 촉진하며, 세포독성세포 기능을 강화하고, 대식세포의 탐식기능을 강화하며, NK 세포의 세포 독성활성을 강화하고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촉진한다. 영지 다당체는 또한 항피로, 유기체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더 있다. 생쥐에게 영지 다당체를 위장관 투여한 후 생쥐의 수영 탈진시간 및 저산소증 내성 시간이 뚜렷하게 연장되었고, 간 글리코겐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고강도 정량부하 운동 후 젖산 및 혈청요소질소 수준이 낮아졌다. 동충하초는 성미가 달고, 따뜻하며, 익신보폐, 지혈화담(止血化痰)의 효과가 있으며, 현대 연구에서 동충하초는 유기체의 면역 기능을 강화하는 방면의 작용이 뚜렷하고, 이밖에 덱사메타손 면역 억제 작용을 거친 후의 흉선과 비장의 질량이 현저히 증가되고, 장기 지수의 작용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면역성 간 손상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충하초 균사체 및 그 자실체 추출액은 유기체의 면역 조절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T 및 B 림프세포 증식 작용을 촉진하고, 동종 이형항원이 유도하는 지연형 과민증 반응 및 혼합 림프세포 반응을 저하시키며, 생쥐의 항Lewis 폐암, 내방사선 손상, 단핵-대식세포 계통 활성화 및 유기체의 면역기능, 특히 체액 면역 수준 등을 높일 수 있다. 동충하초의 수(water) 추출액은 면역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동충하초 발효액은 유기체의 면역 조절기능 방면에서 야생 동충하초 자실체 및 인공 동충하초 균사체의 기능과 유사하다.
좌사약(佐使藥)인 매괴화, 지모는 이기화어, 자음윤조(滋陰潤燥), 거사부정의 기능이 있으며, 신약을 도와 항염증 및 면역을 조절한다. 그 중 매괴화는 성미가 달고, 약간 쓰며, 따뜻하고, 행기해울(行氣解鬱), 화혈산결(和血散結)의 효과를 가지며, 현대 약리연구에서, 매괴화의 약리작용이 광범위하여, 특히 심혈관질병, 면역염증의 치료와 항종양, 항산화, 이담, 해독 등 방면에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모는 성미가 쓰고, 달고, 차며, 청열사화(淸熱瀉火), 자음윤조(滋陰潤燥)의 효과가 있으며, 현대 약리연구에서, 지모는 항염증, 항산화, 항바이러스, 항종양 및 면역 조절 등 작용이 있고, 그 중 활성성분인 망기페린(Mangiferin)은 노화 적혈구 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노화 적혈구는 T 림프세포 IL-2의 분비 수준을 높이고, 유기체의 면역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적혈구의 림프세포 사이토카인 분비기능을 향상시키는 결과와 유사하다. 이러한 작용은 망기페린의 항지질과산화, 적혈구막 수용체 활성을 안정화하는 것과 어느 정도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약들을 혼합 사용하여 보기양음, 익신보폐, 이기화어, 청열윤폐, 거사부정의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현대 약리 연구에서, 이상의 여러 약들은 모두 상이한 정도의 항염증 및 면역조절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한의학 이론변증 처방을 결합하여, 한의와 양의가 서로 협력하고 보완하면 각자의 장점을 더욱 잘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한약 처방의 동등한 효과 대체 원칙에 따라, 상기 한약조성물 중 보기약인 서양삼은 동종의 보기약인 인삼, 당삼, 태자삼 또는 황기 중의 임의의 일종 또는 인삼 추출물, 당삼 추출물, 태자삼 추출물 또는 황기 추출물 중의 임의의 일종으로 대체 가능하고; 보양약인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은 동충하초 또는 동충하초 추출물로 대체 가능하다. 이밖에, 한약조성물에 영지포자분말 및/또는 영지포자유를 첨가하면 영지의 면역 조절작용을 높일 수 있다.
면역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은 이하 원료 및 중량 배합비: 서양삼 1~100중량부, 영지 1~10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1~60중량부, 매괴화 1~60중량부, 지모 1~60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원료의 중량 배합비는 서양삼 10~90중량부, 영지 10~9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5~50중량부, 매괴화 5~50중량부, 지모 5~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원료의 중량 배합비는 서양삼 30중량부, 영지 4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25중량부, 지모 16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그 원료 배합비에 10~50중량부의 백합 또는 백합 생약량에 해당하는 약학적인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백합 추출물을 첨가하여 그 항피로, 저산소증 내성, 항종양 및 면역 조절작용을 증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백합은 성미가 달고, 약간 차며, 윤폐지해(潤肺止咳), 청심안신(淸心安神)의 효과가 있으며, 현대 약리 연구에서, 백합은 항피로, 저산소증 내성, 항종양 및 면역 조절 등 작용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활성성분인 백합 다당체는 다양한 생리기능을 구비한다: ① 항산화, 항피로기능. 백합 조다당체는 항산화 작용을 구비하여, D-갈락토오스로 인한 노화 생쥐의 혈액 중 SOD, 과산화수소 효소 및 글로타티온 효소의 활성을 높일 수 있다. ② 자유라디컬 제거, 항노화 기능. 흔히 볼 수 있는 항산화제(티오우레아,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등)의 수산화기 자유래디컬 제거 능력과 대조하여, 백합 추출액의 제거효과가 뚜렷이 우수하다. ③ 면역력과 항종양 작용을 높인다. 백합 다당체는 면역 억제 생쥐의 비특이적 및 특이적 면역 기능을 증강시킬 수 있다. ④ 혈당강하 작용. 백합 다당체는 알록산으로 유발시킨 당뇨병 모델 생쥐에 대하여 뚜렷한 혈당강하 작용을 지닌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서양삼은 인삼, 당삼, 태자삼 또는 황기 중의 임의의 일종 또는 인삼 추출물, 당삼 추출물, 태자삼 추출물 또는 황기 추출물 중의 임의의 일종으로 대체 가능하고;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은 동충하초 또는 동충하초 추출물로 대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그 원료 배합비에 10~50중량부의 영지포자 분말 및/또는 영지포자유가 더 첨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발효 동충하초 분말은 발효로 제조되며,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이 속한 균사체 종류는 Paecilomyces hepiali , hirsutella hepiali, Synnematium sinensis , Gliocladium roseum, spora속 진균, 맥각균과(科) 진균 동충하초 세팔로스포리움 또는 Hirsutella sinensi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원료의 공급원은 한약재 또는 한약재 생약량에 해당하는 약학적인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 예를 들어 서양삼 추출물, 영지 추출물, 매괴화 추출물, 지모 추출물, 백합 추출물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한약재 생약량에 해당하도록 추출된 유효부위, 예를 들어 서양삼 진세노사이드 및/또는 서양삼 다당체, 영지 다당체 및/또는 영지 트리터펜 화합물, 동충하초 다당체 및/또는 동충하초 아미노산, 매괴화 플라보노이드 및/또는 매괴화유, 지모 사포닌 및/또는 망기페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제조방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약제학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제조방법은 이하 5가지 공정노선을 통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상기 한약조성물 원료와 중량 배합비에 따라 각각 약재를 취하고, 60~80℃에서 건조시키고, 40~100 메쉬의 미세 분말로 분쇄하여 캡슐에 담거나; 또는 수성 환제로 제조하고, 60~80℃ 이하에서 건조시켜 포장하는 방법;
(2) 상기 한약조성물 원료와 중량 배합비에 따라 각각 약재를 취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0~60분 동안 담가둔 후, 가열하여 회당 1~2시간으로 1~3회 전탕하고, 전탕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적당량으로 농축시킨 후 냉각시키고, 고속 원심분리로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단독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보조제를 첨가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3) 상기 한약조성물 원료와 중량 배합비에 따라 각각 약재를 취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두고; 서양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두며;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서양삼,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을 상기 수용액과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한 다음 건조시켜,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4) 상기 한약조성물 원료와 중량 배합비에 따라 각각 약재를 취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해 둔 다음, 약찌꺼기와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가지 약에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회 전탕하고,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한 다음 건조시켜,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5) 상기 한약조성물 원료와 중량배합비에 따라 각각 한약재 생약량에 해당하는 추출물 또는 유효부위를 취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약제학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상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적환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s), 유동 추출제, 추출제, 주사제, 시럽제 또는 경구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과민성 비염, 과민성 천식, 과민성 피부염, 심마진을 포함하는 과민성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건강식품 또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B형 간염, 에이즈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건강식품 또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백혈구 세포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갖는 건강식품 또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방사선 손상을 예방 및 치료하는 건강식품 또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방사선 화학치료로 인한 독성 부작용을 완화시키는 건강식품 또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남성 성기능을 개선하는 건강식품 또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인체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건강식품 또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에 있어서, 육체 피로를 완화시키는 건강식품 또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은 보기양음, 익신보폐, 이기화어, 청열윤폐, 거사부정, 면역 조절 효과가 있어 과민성 비염, 과민성 천식, 과민성 피부염, 심마진을 포함하는 과민성 질병과, B형 간염, 에이즈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고, 백혈구 세포를 증가시키며, 피로를 완화하고, 방사선 손상을 예방 및 치료하며, 화학요법으로 인한 독성 부작용을 경감시키는데 적용되며, 또한 남성 성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일종의 면역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면역 조절 및 항과민에 관한 연구이다.
실험 1: 본 발명의 면역 조절 작용 연구
1. 재료와 방법
1.1 실험 동물
쿤밍(Kunming)종의 생쥐, 체중 18~22g, 암컷, clean급, 강서중의학원 실험동물센터로부터 구입, 허가증 번호: SCXK(
Figure 112015032414532-pct00001
)2010-001
1.2 실험 약물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서양삼,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매괴화, 지모)은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고,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서양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고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인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둔다.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서양삼,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한 다음,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킨 후,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균일하게 분사하고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1.3 실험 방법
1.3.1 동물 그룹 분류: 생쥐는 체중에 따라 랜덤으로 각 그룹당 10마리씩 블랭크 대조그룹(Control, C), 약물투여그룹(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 ZY)의 2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1.3.2 용량 설계: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의 생쥐의 투여량은 1.65g 생약/kg 체중으로, 투여 전, 약물을 상응하는 농도로 조제한 후 위장관 투여하였으며, 투여용량은 0.1ml/10g 체중이다. 대조그룹에게는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매일 1회, 연속 30일 동안 위장관 투여하였으며, 각 그룹의 생쥐는 모두 보통 사료를 주었고, 자유롭게 먹이와 물을 먹게 하였다.
1.3.3 검사지표: 생쥐의 복강 대식세포 탐식능: 생쥐의 흉선계수와 비장지수; 탄소입자 탐식능; ConA가 유도하는 생쥐 림프 세포 전환 실험 및 NK세포 활성 측정; 혈청용혈소의 측정 및 항체생성세포 검출.
1.4 통계 방법:
계량 데이터는
Figure 112015032414532-pct00002
로 표시하며, SPSS 10.0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
2. 결과
2.1 생쥐의 흉선계수 및 비장지수에 대한 영향
블랭크 대조그룹(C)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생쥐의 흉선계통, 비장지수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과는 표 1을 참조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03
2.2 생쥐의 림프 세포 증식능 및 생쥐의 지연형 과민증 반응에 대한 영향
블랭크 대조그룹(C)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ConA가 유도하는 림프 세포 증식과 DMFB 유발에 대한 생쥐의 DTH 반응(p<0.05 또는 p<0.01)이 현저히 증강되었다. 실험 결과는 표 2를 참조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04
2.3 생쥐의 혈청용혈소 수준에 대한 영향
블랭크 대조그룹(C)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생쥐의 혈청용혈소 수준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다(p<0.05). 결과는 표 3을 참조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05
2.4 생쥐의 복강 대식세포 탐식능에 대한 영향
블랭크 대조그룹(C)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생쥐의 복강 대식세포 탐식 백분율을 현저히 높이는 작용이 있다(p<0.05). 결과는 표 4를 참조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06
2.5 생쥐의 탄소입자 탐식능에 대한 영향
블랭크 대조그룹(C)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탐식지수를 현저히 높이는 작용이 있다(p<0.05). 결과는 표 5를 참조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07
2.6 생쥐의 항체 생성 세포 기능에 대한 영향
블랭크 대조그룹(C)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용혈 플라크 수를 현저히 높이는 작용이 있다(p<0.05). 결과는 표 6을 참조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08
2.7 생쥐의 NK 세포 활성에 대한 영향
블랭크 대조그룹(C)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생쥐의 NK 세포 활성에 대해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과는 표 7을 참조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09
3. 결론
동물 실험 연구에서: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생쥐의 ConA가 유도하는 비장 림프 세포 증식능력을 향상시키고, DNFB 유발에 대한 생쥐의 DTH반응을 증강시키며, 생쥐의 혈청용혈소 수준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생쥐의 복강 대식세포 탐식 백분율과 생쥐의 탄소 탐식능을 높이는 작용이 있으며, 또한 용혈플라크의 수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품 검사와 평가 기술규범(2003)》중 면역 기능을 강화하는 결과 판단 표준에 다르면,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면역 기능을 강화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2: 본 발명의 항과민 작용에 대한 연구
1. 재료와 방법
1.1 실험동물
동물은 체중 18~22g인 ICR 생쥐 수컷, 체중이 180~200g인 SD 래트(rat) 암컷으로, 강서 중의학원 실험동물센터에서 구입하였다. 허가증 번호: SCXK(
Figure 112015032414532-pct00010
) 2010-001.
1.2 실험 시약
오브알부민(ovalbumin)과 compound 48/80, Sigma사 제품; 불활화 백일해 간균(Bordetella pertussis), Ficoll 및 오-프탈알데하이드(o-phthalaldehyde, OPT), Wako사 제품; 디소디움 크로모글리케이트(disodium cromoglycate, DSCG), Biomol사 제품.
1.3 실험용 약
“실험 1”과 동일
1.4 동물그룹 분류 및 투약
생쥐는 체중에 따라 랜덤으로 각 그룹당 10마리씩 블랭크 대조그룹(Control, C), 약물투여그룹(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 ZY)의 2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의 생쥐의 투여량은 1.65g 생약/kg 체중으로, 투여 전, 약물을 상응하는 농도로 조제한 후 위장관 투여하였으며, 투여용량은 0.1ml/10g 체중이다. 대조그룹에게는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매일 1회, 연속 10일 동안 위장관 투여하였으며, 각 그룹의 생쥐는 모두 보통 사료를 주었고, 자유롭게 먹이와 물을 먹게 하였다.
1.5 생쥐의 이종 수동피부과민증 반응
문헌의 방법에 따라 래트의 오브알부민 항혈청을 제조하였다. 생쥐의 좌, 우측 귓바퀴에 생리식염수로 5배 희석한 래트의 항혈청 10㎕을 주입하고, 48시간 후 1%의 Evans 블루 생리식염수용액(오브알부민 1mg/ml 함유) 10ml/kg을 정맥주사한 다음, 30min 후 혈액을 방출하여 생쥐를 사망시키고, 양측 귓바퀴를 취하여 각각 1N KOH 용액에 담아 하룻밤 소화시킨 후, 0.6N H3PO4로 중화시키고,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610nm 부위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표준곡선으로 각 귀의 Evans 블루 삼출량을 계산하였으며, 각 쥐의 데이터는 좌, 우측 귓바퀴의 평균값으로 표시하였다. 마지막 회 투여한지 1h 후, 실험그룹을 오브알부민으로 공격하였다.
1.6 Compound 48/80 유도 래트의 복강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방출
래트의 혈액을 방출하여 사망시킨 다음, Hanks'액 20ml를 복강 주사하고 2min간 가볍게 마사지한 후 복강액을 수집하여, Ficoll 구배 원심분리법으로 비만세포를 분리한 후, 인산 완충액으로 4회 세척하여 비만세포의 순도가 약 91%일 때 세포 농도를 2×106/ml로 조정하였다. 비만세포 현탁액 0.9ml를 취하여 37℃에서 10min 동안 프리인큐베이션하고, 피실험 샘플 50㎕을 첨가하여 5min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시험관에 compound 48/80 50㎕(최종 농도는 0.5㎍ㆍ㎖-1)을 주입하고, 자발방출 튜브에 인산 완충액 50㎕을 첨가하여 10min간 인큐베이션한 후, 상기 튜브를 얼음 냉각으로 옮기고 반응을 종료하였다. 3000r/min으로 10min 동안 원심분리하고, 형광법으로 상청액(방출량) 및 침전물(잔류량) 중의 히스타민 함량을 측정하였다. 히스타민 방출률은 이하 식으로 계산한다:
방출률(%) = (방출량-자발방출량)/(방출량+잔류량)×100%
1.7 통계학 처리
실험 결과는
Figure 112015032414532-pct00011
로 표시하며, 그룹 간의 차이는 t검증으로 통계학 처리하였다.
2 결과
2.1 생쥐의 이종 수동피부과민증 반응에 대한 영향
표 8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생쥐의 귀의 이종 수동피부과민증 반응을 현저히 경감시킬 수 있다. 결과는 표 8을 참조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12
2.2 Compound 48/80 유도 래트의 복강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방출에 대한 영향
블랭크 대조그룹(C)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Compound 48/80이 유도하는 래트의 복강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방출에 대해 현저한 억제 작용이 있었다. 결과는 표 9를 참조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13
결론적으로, 과민증의 병리 생리기전은 즉시형 과민증 반응으로서, 즉 환자의 혈청 중 면역글로불린 E(IgE) 수준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꽃가루, 곰팡이, 집먼지 진드기 등 동물의 피부 각질 등 항원에 대해 높은 민감성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생쥐의 이종 수동피부과민증 반응을 뚜렷하게 경감시킬 수 있으며; 체외 실험에서,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 그룹(ZY)은 Compound 48/80이 유도하는 래트의 복강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방출에 대해서도 역시 유의미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는데, 아마도 그 항과민증 활성은 비만세포막을 안정시키고, 히스타민 등 과민성 매질의 방출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실험 3: 본 발명의 내방사선 작용 연구
1 재료
1.1 실험동물
쿤밍종의 생쥐, 체중 18~22g, 수컷, clean급, 강서중의학원 실험동물센터로부터 구입, 허가증 번호: SCXK(
Figure 112015032414532-pct00014
)2010-001. 실험동물이 환경에 적응한지 3d 이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사육 환경의 온도는 (20±2)℃이고 정상적인 주야간 리듬을 조절하여 강한 빛과 소음의 자극이 없도록 하고, 동물은 자유롭게 먹이와 물을 공급하였다.
1.2 실험용 약
본 발명의 한약조성물(서양삼,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매괴화, 지모)은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서양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고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인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둔다.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서양삼,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달인 후, 달인 탕액을 상기 수용액과 합병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한 다음,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켜,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균일하게 분사하고 혼합하여 완제품 약제 형태로 제조한다. 생쥐의 투여량은 1.65g 생약/kg 체중으로, 투여 전, 약물을 상응하는 농도로 조제한 후 위장관 투여하였으며, 투여용량은 0.1ml/10g 체중이다. 각 그룹의 생쥐는 모두 보통 사료를 주었고, 자유롭게 먹이와 물을 공급하였다.
1.3 실험 기기
Olympus 현미경(일본 올림푸스사), 전자동 생화학분석기(일본 시마쯔), 원심분리기(베이징산), 자외선 분광 광도계(UV-2401PC, 일본산).
2 방법
2.1 30d 생존률 , 생존일수 측
생쥐 30마리를 취하여, 각 그룹당 10마리씩 랜덤으로 정상 대조그룹, 모델그룹, 한약조성물(한약그룹)의 3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정상그룹에게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았고, 모델그룹에게는 증류수를 투여하였으며, 한약조성물 그룹에게는 상응하는 약물을 매일 1회 투여하되, 투여 용량은 0.1ml/10g 체중으로, 각 그룹의 생쥐에게 연속으로 21d 동안 투여하였다. 마지막 회 투여한지 3h 후, 정상그룹 이외에, 나머지 2그룹은 모두 전신에 1회성으로 Coγ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조사거리는 1.0m이고, 조사용량은 7.5Gy이었으며, 조사 후 각 그룹의 생쥐의 생존 상황과 체중 변화를 관찰 기록하고, 각 그룹의 생쥐의 평균 생존 시간, 30d 생존률 등을 계산하였다.
2.2 말초혈액 백혈구 수치, 골수세포 DNA 함량 측정, 흉선, 비장지수 측정
60마리의 생쥐를 취하여, 체중에 따라 각 그룹당 10마리씩 랜덤으로 정상 대조그룹, 모델그룹, 한약조성물그룹 각 2그룹씩 총 10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중 3그룹은 골수세포 DNA 함량을 검출하는데 사용하였다. 정상그룹에게는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았고, 모델그룹에게는 증류수를 투여하였으며, 기타 2그룹에게는 상응하는 약물을 투여하되, 투여 방법과 용량은 앞과 동일하며, 연속 14d 동안 투여하였다. 정상그룹 이외에, 나머지 4그룹은 모두 전신에 1회성으로 60Coγ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조사거리는 1.0m이고, 총 조사량은 3Gy이었다. 조사 전 및 조사 후 3, 10d에 생쥐의 안저에서 혈액 20㎕를 채혈하고, WBC 희석액 첨가하여 고르게 혼합한 후 혈구계수판에 주입하고 현미경으로 백혈구세포의 계수를 실시하였다. 비장과 흉선을 동시에 추출하여 계량하고, 흉선, 비장지수를 계산하였다. 조사 후 제3일째, 경추탈골로 생쥐를 사망시키고, 완전한 대퇴골을 취하여 연조직을 깨끗이 제거한 후, 문헌의 방법을 참조하여 골수세포를 꺼내 추출하고, 자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260nm 부위에서 자외선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3 통계 방법
실험 데이터는 SPSS 소프트웨어로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조사 전후 백혈구 세포 수준의 자체 비교는 대응짝 자료를 응용하여 t 검증 방법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3. 결과
3.1 생쥐의 전체적인 상태와 30d 생존률
생쥐는 방사선 조사 후 식욕이 저하되고, 체중이 경감되었으며, 몸을 움츠리고 활동이 감소하였으나, 피부 모발에 분변 및 분비물 등의 오물이 보이지 않았고, 귓바퀴 및 꼬리부위가 창백하였으며, 체표 온도는 정상그룹보다 낮았다. 한약 조성물 투여그룹의 생쥐의 활동과 먹이량은 모델그룹보다 양호하였다. 매일 2회 각 그룹의 생쥐의 생존 수를 통계내었으며, 결과는 표 10을 참조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15
표 10을 통해 볼 수 있듯이, 한약 조성물 그룹은 7.5Gy의 방사선을 조사받은 의 30d 생존률을 뚜렷하게 높일 수 있고, 방사선을 조사받은 생쥐의 생존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모델그룹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의의가 있다(P<0.01).
3.2 생쥐의 말초혈액 백혈구 수치, 골수세포 DNA 함량 측정, 흉선, 비장지수에 대한 영향
결과는 표 11, 표 12를 참조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16
표 11를 통해 볼 수 있듯이, 조사 전, 각 그룹의 생쥐의 말초혈액 백혈구수에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고, 조사한지 3d 후, 한약조성물 투여그룹의 생쥐의 말초혈액 백혈구수가 모델그룹(증류수 투여)의 생쥐보다 뚜렷하게 높아졌으며, 모델그룹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의의가 있다. 이는 한약조성물 그룹이 저용량의 방사선을 조사받은 동물에 대하여 일정 정도의 보호 작용이 있음을 설명한다.
Figure 112015032414532-pct00017
표 12에서 볼 수 있듯이, 한약조성물 그룹은 방사선이 조사된 생쥐의 흉선계수 및 비장지수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방사선이 조사된 생쥐의 골수세포 DNA 함량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한약조성물 그룹이 60Coγ의 방사선으로 인한 비장과 흉선의 방사선 손상 및 골수에 대해 회복 또는 보호작용이 있음을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한약조성물 그룹은 급성 대용량 방사선이 조사된 생쥐의 30d 생존률을 높일 수 있으며, 저용량이 조사된 생쥐의 말초혈액 백혈구수, 흉선계수 및 비장지수를 높여, 방사선이 조사된 생쥐의 골수세포 DNA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한약조성물 그룹이 60Coγ의 방사선으로 인한 비장과 흉선의 방사선 손상 및 골수에 대해 회복 또는 보호작용이 있음을 설명한다.
실험 4 : 본 발명의 임상 연구
본 발명은 강서 중의학원 부속의원 처방으로써, 임상에서 과립제로 배합하여 다년 간 사용하였다. 2009년 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267사례의 환자에게 사용한 후 회고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례 분포: 과민성 비염 41사례, 과민성 천식 28사례, 과민성 피부염 27사례, 심마진(두드러기) 21사례, B형 간염 35사례, 에이즈 13사례, 유선암 화학요법 39사례, 백혈구저하 23사례, 남성 성기능 감퇴 29사례, 만성피로 종합증후군 21사례.
2. 연령 분포: 연령 21~68세.
3. 성별 분포: 남 143사례, 여 124사례.
4. 병의 진행과정 분포: 3개월~20년
5. 치료방법: 경구투여 6g, 1일 3회, 1개월이 1 치료과정.
6. 치료효과 평가: 3단계로 구분: (1) 현효: 임상증상이 대체로 소실되었거나 또는 완전히 소실되어, 화학검사 지표가 대체로 정상이거나 또는 완전 정상인 상태. (2) 유효: 임상증상이 경감되어, 화학검사 지표가 경감된 상태. (4) 무효: 임상증상에 뚜렷한 개선이 없고, 화학검사 지표가 경감된 상태.
본 발명의 임상치료 267 사례 환자의 치료효과 상황
병례 수 현효 유효 무효 총유효율%
과민성비염 41 21 15 5 87.80
과민성천식 28 13 11 4 85.71
과민성 피부염 27 11 9 7 74.07
심마진 21 11 5 5 76.19
B형 간염 35 15 11 9 74.29
에이즈 13 5 4 4 69.23
백혈구 저하 23 10 8 5 78.26
유선암 화학치료 29 12 10 7 75.86
남성 성기능 감퇴 29 10 9 10 65.52
만성피로 종합증후군 21 10 5 6 71.43
총 사례수 267 118 87 62 76.78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90부, 영지 90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20중량부, 지모 20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서양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둔다.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서양삼,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한 다음 건조시켜,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상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적환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s), 유동 추출제, 추출제, 주사제, 시럽제 또는 경구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10부, 영지 10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5중량부, 매괴화 5중량부, 지모 5중량부.
제조방법: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30부, 영지 40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25중량부, 지모 16중량부.
제조방법: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10부, 영지 10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5중량부, 매괴화 5중량부, 지모 5중량부, 백합 5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서양삼, 지모, 백합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둔다.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서양삼, 지모, 백합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을 상기 수용액과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킨 다음,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상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적환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s), 유동 추출제, 추출제, 주사제, 시럽제 또는 경구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5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30부, 영지 40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15중량부, 지모 6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60~80℃에서 건조시켜 40~100 메쉬의 미세 분말로 분쇄한 다음 캡슐에 담거나 또는 수성 환제로 제조하고, 60~80℃ 이하에서 건조시켜 포장한다.
실시예 6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30부, 영지 40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15중량부, 지모 16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한 다음, 약찌꺼기와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가지 약에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회 전탕한 후,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처방량과 상등한 서양삼 추출물, 지모 추출물을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킨 다음,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7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30부, 영지 40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22중량부, 지모 14중량부.
제조방법: 처방량에 따라 한약재 생약량에 해당하는 추출물을 계량하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8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인삼 30중량부, 영지 4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22중량부, 지모 15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인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둔다.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인삼,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킨 다음,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상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적환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s), 유동 추출제, 추출제, 주사제, 시럽제 또는 경구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9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30중량부, 영지 4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25중량부, 지모 16중량부.
제조방법: 처방량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물을 첨가하여 40분간 담가놓은 후, 가열하여 3회 전탕하되, 회당 2시간, 회당 10배량의 물을 첨가하며, 3회 달인 전탕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적당량으로 농축하여 냉각시킨 다음, 고속으로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경구제 상용 보조제를 첨가하여 고르게 혼합한 후 경구제로 제조한다.
실시예 10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당삼 30중량부, 영지 4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15중량부, 지모 6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당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둔다.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당삼,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킨 다음,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상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적환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s), 유동 추출제, 추출제, 주사제, 시럽제 또는 경구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1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태자삼 30중량부, 영지 4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15중량부, 지모 6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태자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둔다.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태자삼,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킨 다음,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상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적환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s), 유동 추출제, 추출제, 주사제, 시럽제 또는 경구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2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황기 30중량부, 영지 4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15중량부, 지모 16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황기,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둔다.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황기,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킨 다음,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상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적환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s), 유동 추출제, 추출제, 주사제, 시럽제 또는 경구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3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인삼 30중량부, 영지 4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15중량부, 지모 6중량부, 영지포자 분말 10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인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둔다.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인삼,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영자포자 분말을 첨가하고,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킨 다음,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상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적환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s), 유동 추출제, 추출제, 주사제, 시럽제 또는 경구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4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인삼 30중량부, 영지 4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15중량부, 지모 10중량부, 영지포자유 10~50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인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둔다.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인삼,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킨 다음,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와 영지포자유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상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적환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s), 유동 추출제, 추출제, 주사제, 시럽제 또는 경구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5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인삼 30중량부, 영지 4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15중량부, 지모 6중량부, 영지포자분 10중량부, 영지포자유 10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인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둔다.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및 인삼,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영지포자 분말을 첨가하고,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하고 건조시킨 다음,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와 영지포자유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상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적환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s), 유동 추출제, 추출제, 주사제, 시럽제 또는 경구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6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30중량부, 영지 40중량부, 동충하초 20중량부, 매괴화 25중량부, 지모 16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매괴화에서 정유(essential oil)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둔다. 서양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둔다. 영지, 동충하초를 매괴화 약찌꺼기 및 서양삼,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을 상기 수용액과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한 다음 건조시켜, 매괴화 휘발성 유(volatile oil)를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약제학상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한 임의의 제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적환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s), 유동 추출제, 추출제, 주사제, 시럽제 또는 경구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7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추출물 10중량부, 영지 추출물 14중량부, 동충하초 추출물 12중량부, 매괴화 추출물 10중량부, 지모 추출물 11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60~80℃에서 건조시킨 후 40~100메쉬의 체로 걸러, 미세 분말을 캡슐에 담는다.
실시예 18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진세노사이드 15중량부, 영지 다당체 18중량부, 동충하초 추출물 13중량부, 매괴화 플라보노이드 15중량부, 지모 사포닌 18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고, 60~80℃에서 건조시킨 후 40~100메쉬의 체로 걸러, 미세 분말을 캡슐에 담는다.
실시예 19
이하 배합비에 따라 원료를 계량한다: 서양삼 진세노사이드 15중량부, 서양삼 다당체 10중량부, 영지 트리터펜 화합물 28중량부, 동충하초 다당체 13중량부, 동충하초 아미노산 10중량부, 매괴화 플라보노이드 17중량부, 지모 사포닌 11중량부, 망기페린 8중량부.
제조방법: 처방에 따라 원료를 계량하여, 60~80℃에서 건조시킨 후 40~100메쉬의 체로 걸러, 미세 분말을 캡슐에 담는다.

Claims (28)

  1. 원료 및 중량 배합비가 서양삼 1~100중량부, 영지 1~10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1~60중량부, 매괴화 1~60중량부 및 지모 1~60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기능을 향상시키는 한약조성물(Chinese medicinal composition).
  2. 제 1항에 있어서,
    원료의 중량 배합비는 서양삼 10~90중량부, 영지 10~9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5~50중량부, 매괴화 5~50중량부, 지모 5~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원료의 중량배합비는 서양삼 30중량부, 영지 40중량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 20중량부, 매괴화 25중량부, 지모 16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그 원료 배합비에 10~50중량부의 백합 또는 백합 생약량에 해당하는 약학적인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백합 추출물이 더 첨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그 원료 배합비에 10~50중량부의 영지포자 분말 또는 영지포자유 또는 영지포자 분말 및 영지포자유가 더 첨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서양삼은 인삼, 당삼, 태자삼 또는 황기 중의 임의의 일종 또는 인삼 추출물, 당삼 추출물, 태자삼 추출물 또는 황기 추출물 중의 임의의 일종으로 대체되고;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은 동충하초 또는 동충하초 추출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이 속한 균사체 종류는 Paecilomyces hepiali, hirsutella hepiali, Synnematium sinensis, Gliocladium roseum, spora속 진균, 맥각균과(科) 진균 동충하초 세팔로스포리움 또는 Hirsutella sinensi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의 공급원은 서양삼 추출물, 영지 추출물, 매괴화 추출물 또는 지모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서양삼 진세노사이드 또는 서양삼 다당체, 영지 다당체 또는 영지 트리터펜 화합물, 동충하초 다당체 또는 동충하초 아미노산, 매괴화 플라보노이드 또는 매괴화유, 및 지모 사포닌 또는 망기페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약제학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이하의 5가지 종류의 공정중 한 루트를 따라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1)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한약조성물 원료와 중량 배합비에 따라 각각 약재를 취하여, 60~80℃에서 건조시키고, 40~100 메쉬의 미세 분말로 분쇄하여 캡슐에 담거나; 또는 수성 환제로 제조하고, 60~80℃에서 건조시켜 상기 조성물로 포장하는 방법;
    (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한약조성물 원료와 중량 배합비에 따라 각각 약재를 취하여,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0~60분 동안 담가둔 후, 가열하여 회당 1~2시간으로 1~3회 전탕하고, 전탕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적당량으로 농축시킨 후 냉각시키고, 고속 원심분리로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단독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보조제를 첨가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한약조성물 원료와 중량 배합비에 따라 각각 약재를 취하여, 매괴화에서 휘발성유(volatile oil)를 추출하고, 증류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하여 준비해 두고; 서양삼, 지모에 60~80%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고, 에탄올 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한 후, 여과액에서 에탄올을 회수하여 60℃에서 상대밀도가 1.10~1.15에 이르는 농축액으로 농축하여 준비해 두며; 영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을 매괴화 약찌꺼기, 서양삼 약찌꺼기 및 지모 약찌꺼기와 혼합하고,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3회 전탕한 후,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한 다음 건조시켜, 상기 매괴화 휘발성유(volatile oil)를 상기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한약조성물 원료와 중량 배합비에 따라 각각 약재를 취하고, 매괴화에서 휘발성유를 추출하여, 증류한 후의 수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수집해 둔 다음, 영지와 함께 매괴화의 추출후에 남은 약찌꺼기와 발효 동충하초 균사체 분말에 6~12배량의 물을 첨가하여 2회 전탕하고, 전탕액과 상기 수용액을 합병하여 여과하며, 여과액을 60℃에서 상대밀도가 1.15~1.20에 이르도록 농축시킨 후, 상기 농축액을 처방된 양과 각각 동일한 양의 서양삼 추출물 및 지모 추출물과 고르게 혼합하여 과립으로 제조한 다음 건조시켜, 매괴화 휘발성유를 상기 과립에 고르게 분사하고 고르게 혼합하여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한약조성물 원료와 중량배합비에 따라 각각 한약재 생약량에 해당하는 추출물 또는 유효부위를 취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약제학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완제품 제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완제품 제형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약제학의 통상적인 공정에 따라 제조되는 과립제, 정제(tablet), 캡슐제, 농축 탕제, 환제, 산제, 정제(lozenge) 또는 경구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과민성 비염, 과민성 천식, 과민성 피부염 또는 심마진(urticaria)을 포함하는 과민성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형 간염 또는 에이즈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혈구 세포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구비한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사선 손상을 예방 및 치료하는 작용을 구비한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사선치료 및 화학치료로 인한 독성 또는 부작용을 경감시키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남성 성기능을 개선하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체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20. 제 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육체 피로를 완화시키는 약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과민성 비염, 과민성 천식, 과민성 피부염 또는 심마진(urticaria)을 포함하는 과민성 질병을 예방하는 건강식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B형 간염 또는 에이즈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예방하는 건강식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혈구 세포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구비한 건강식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사선 손상을 예방하는 작용을 구비한 건강식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사선치료 및 화학치료로 인한 독성 또는 부작용을 경감시키는 건강식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2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남성 성기능을 개선하는 건강식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2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체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건강식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28. 제 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육체 피로를 완화시키는 건강식품 제조에 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조성물.
KR1020157008510A 2012-09-13 2013-09-22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8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336446.2A CN103656113A (zh) 2012-09-13 2012-09-13 一种调节免疫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PCT/CN2013/001113 WO2014040396A1 (zh) 2012-09-13 2013-09-22 一种调节免疫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021A KR20160048021A (ko) 2016-05-03
KR101908381B1 true KR101908381B1 (ko) 2018-12-19

Family

ID=50277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510A KR101908381B1 (ko) 2012-09-13 2013-09-22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775868B2 (ko)
EP (2) EP3560507B1 (ko)
JP (1) JP6305407B2 (ko)
KR (1) KR101908381B1 (ko)
CN (5) CN109512925A (ko)
IN (1) IN2015DN02833A (ko)
MY (1) MY179990A (ko)
RU (1) RU2630056C2 (ko)
WO (1) WO2014040396A1 (ko)
ZA (1) ZA2015022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6201B (zh) * 2012-05-29 2017-11-24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防治过敏性疾病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6352029B2 (ja) * 2014-04-04 2018-07-04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抗疲労剤
CN104138539A (zh) * 2014-07-08 2014-11-12 马鞍山市安康菌业有限公司 一种黑色素盘菌生产黑色素复配的灵芝胶囊及其制备方法
CN104491066A (zh) * 2014-12-07 2015-04-08 苏州普罗达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免疫力的花类组合物
CN104523523B (zh) * 2014-12-23 2017-06-06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具有抗电离辐射作用的复方柿单宁芦荟胶
CN107837290A (zh) * 2017-05-06 2018-03-27 长春中医药大学 一种中药制剂添加剂
CN107169078A (zh) * 2017-05-10 2017-09-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中医药知识图谱及其建立方法以及计算机系统
CN107441368A (zh) * 2017-07-13 2017-12-08 广州市高纤宝健康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提高免疫力作用的药食同源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381505B (zh) * 2017-08-04 2022-09-16 中国辐射防护研究院 一种中药提取物及其组合物和用于抗疲劳的用途
CN108041611A (zh) * 2017-12-25 2018-05-18 大连深蓝肽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提高男性性能力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8815301A (zh) * 2018-07-02 2018-11-16 西安巨子生物基因技术股份有限公司 具有促白细胞生成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9363155A (zh) * 2018-11-19 2019-02-22 武汉市憧憬星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野生菌功能型保健品制备方法及其制品
CN109287923A (zh) * 2018-12-03 2019-02-01 郭利芳 一种补气补血增强抵抗力功能型固体饮料
CN109464596A (zh) * 2018-12-06 2019-03-15 湖北文理学院 疏肝美颜中药组合物及中药制剂和应用
CN111012867A (zh) * 2019-12-23 2020-04-17 刘海波 一种虫草菌丝片及其制备方法
CN111467427B (zh) * 2020-03-12 2021-09-24 温州古木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组合物与其提取物及其在防治呼吸道病毒感染中的应用
CN111449274B (zh) * 2020-04-09 2022-02-15 福建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人参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657501A (zh) * 2020-05-14 2020-09-15 中国海洋大学 一种具有增强免疫力功能的牡蛎肽虫草菌丝体组合物及其应用
CN111617120B (zh) * 2020-06-03 2021-08-13 广州鹰远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人参虫草发酵提取物的制备方法
CN111743939A (zh) * 2020-08-18 2020-10-09 晋中学院 一种缓解化疗副作用的药膏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1955570A (zh) * 2020-09-17 2020-11-20 傅松涛 一种增强免疫力预防肿瘤的参白灵芝茶及其生产工艺
CN113455651A (zh) * 2021-07-09 2021-10-01 杨水祥 一种含有干细胞提取液的代谢和免疫增强及改善亚健康制剂
CN113577240B (zh) * 2021-09-02 2024-01-30 翔宇药业股份有限公司 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158729B (zh) * 2021-11-23 2024-01-26 中华全国供销合作总社济南果品研究院 含有西洋参提取物和黄精提取物的组合物、固体饮料
CN114425058B (zh) * 2022-03-22 2023-05-12 博奥生物集团有限公司 一种治疗鼻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药物和制剂
CN114788554A (zh) * 2022-04-06 2022-07-26 诺立(上海)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调节水产动物免疫力的营养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698840A (zh) * 2022-04-06 2022-07-05 颖河(焦作)中药生物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增免的天然植物提取物及其生产工艺
CN114869949B (zh) * 2022-05-26 2023-06-20 山西黄河中药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妇女产后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831309A (zh) * 2022-06-22 2022-08-02 杭州参友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灵芝西洋参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177596A (zh) * 2022-07-14 2022-10-14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参灵草直压片的制备方法及参灵草直压片
CN116035204B (zh) * 2022-12-20 2024-01-02 大连康芝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食用菌提取物发酵型能量补充食品及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613A (ja) * 2002-09-05 2004-04-02 Chee Keung Chung 自己免疫疾患治療用ガノデルマルシダム胞子
CN102274258A (zh) * 2011-07-25 2011-12-14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增强人体免疫功能的中药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86A (zh) * 1993-05-29 1994-03-09 广州奇星药厂 一种西洋参制剂及其制法
JPH08157388A (ja) 1994-12-06 1996-06-18 Nichinichi Seiyaku Kk 免疫調整剤
US6432454B1 (en) * 1997-12-12 2002-08-13 C. V. Technologies, Inc. Processes of making north american ginseng fractions, products containing them, and use as immunomodulators
JP2001103933A (ja) 1999-10-07 2001-04-17 Tomoji Tanaka 霊芝胞子を入れた混合食品と飼料添加物
WO2001066122A2 (en) * 2000-03-07 2001-09-13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New York University Herbal remedies for treating allergies and asthma
US6551627B1 (en) * 2001-05-03 2003-04-22 Holomed Pharmaceuticals, Ltd. Medicinal herbal compoun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abetes
CN1413647A (zh) 2002-09-09 2003-04-30 凌一峰 一种根治艾滋病的纯中药制剂
CN1552437A (zh) * 2003-06-05 2004-12-08 靖 许 金水宝胶囊在制备治疗艾滋病的药物中的应用
JP2007045713A (ja) 2005-08-05 2007-02-22 Iskra Ind Co Ltd 霊芝胞子抽出物及び霊芝胞子製剤
CN100499994C (zh) * 2006-06-28 2009-06-17 中山大学 一种提升紫芝及紫芝孢子品质的方法
KR101266527B1 (ko) 2007-12-07 2013-05-27 주식회사한국신약 동충하초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억제용 조성물
CN101273780B (zh) * 2008-04-30 2011-04-20 福建农林大学 一种保健藤茶及其制备方法
CN101292742B (zh) * 2008-06-07 2012-05-30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增强人体免疫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工艺
CN101612182A (zh) * 2008-06-24 2009-12-30 龚卫东 一种降糖参花灵汤
CN101757158A (zh) * 2008-10-22 2010-06-30 曲继秀 一种西洋参玫瑰含片
CN101536968A (zh) * 2009-04-28 2009-09-23 济南天源玫瑰制品开发有限公司 玫瑰鲜花细胞液及其制备方法
KR101160488B1 (ko) 2009-06-22 2012-06-2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2283340A (zh) * 2010-06-21 2011-12-21 吉林省鼎健天然植物基地有限公司 营养强化蜂蜜
CN102228252A (zh) * 2010-09-17 2011-11-02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中药组合物在制备提高缺氧耐受力保健食品及药品中的应用
CN102406163B (zh) * 2010-09-17 2014-11-05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中药组合物在制备缓解体力疲劳保健食品或药品中的应用
CN101999663A (zh) * 2010-09-17 2011-04-06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中药组合物在制备缓解体力疲劳保健食品及药品中的应用
CN102526606A (zh) * 2010-12-16 2012-07-04 天津中敖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止咳化痰功能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274259A (zh) * 2011-07-25 2011-12-14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增强人体免疫功能的中药组合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613A (ja) * 2002-09-05 2004-04-02 Chee Keung Chung 自己免疫疾患治療用ガノデルマルシダム胞子
CN102274258A (zh) * 2011-07-25 2011-12-14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增强人体免疫功能的中药组合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k Hee Chai. Inhibitory Effects of Several Korean Traditional Herbs on Anaphylactic Reaction and Mast Cell Activation. Korean J. Microscopy. Vol. 40, No. 4, 2010년, pp. 201-2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9334A4 (en) 2016-06-01
CN109512931A (zh) 2019-03-26
CN109512925A (zh) 2019-03-26
RU2630056C2 (ru) 2017-09-05
EP2949334A1 (en) 2015-12-02
US9775868B2 (en) 2017-10-03
US20170368121A1 (en) 2017-12-28
CN109512926A (zh) 2019-03-26
EP2949334B1 (en) 2020-03-18
JP2015529670A (ja) 2015-10-08
MY179990A (en) 2020-11-19
RU2015113319A (ru) 2016-11-10
CN103656113A (zh) 2014-03-26
US10537600B2 (en) 2020-01-21
US20150265664A1 (en) 2015-09-24
EP3560507A1 (en) 2019-10-30
WO2014040396A1 (zh) 2014-03-20
IN2015DN02833A (ko) 2015-09-11
CN109512924A (zh) 2019-03-26
EP3560507B1 (en) 2021-07-28
KR20160048021A (ko) 2016-05-03
JP6305407B2 (ja) 2018-04-04
ZA201502271B (en)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381B1 (ko) 면역 기능을 조절하는 한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05292B1 (ko) 신규한 오가피 및 오가피 열매, 가시오가피 다당체, 그제조방법 및 그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US6468542B2 (en) Germination activated Ganoderma lucidum spor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I454269B (zh) 由文冠果(xanthoceras sorbifolia)單離之化合物、其製備方法以及其用途
US2019015138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relieve chronic diseases symptoms
KR101593618B1 (ko) 사포닌의 생체 이용률 증진 조성물
KR20100084812A (ko) 차가버섯 추출물, 영지버섯 추출물 및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혈모세포 증식 촉진용 조성물
CN103169737B (zh) 樟芝子实体与破壁灵芝孢子粉的组合物及其在免疫调节中的应用
CN101380346B (zh) 一种治疗肿瘤的中药组合物及其制作方法
TWI554277B (zh) 預防及治療非酒精性脂肪肝之醫藥組成物
CN107551001A (zh) 一种用于防治酒精性肝损伤的中药复合物及其制法
CN113069510A (zh) 一种增强免疫力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602759A (zh) 罗汉松实多糖的用途
KR20020069269A (ko) 담자균류 및 두릅나무과 추출물의 생리학적 활성 조성물
KR101413283B1 (ko) 면역력 증강을 위한 면역증강복합물을 이용한 인삼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인삼 조성물
KR20220020147A (ko)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 또는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TWI501771B (zh) 預防及治療肝纖維化之醫藥組成物
CN113101331B (zh) 一种百里香药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066599B (zh) 一种增强免疫力、辅助抗辐射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471580B1 (ko) 뱀딸기 추출물 및 영지버섯 추출물 혼합물의 세포사멸증진제로서의 용도
KR20190121644A (ko) 면역 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432376A (zh) 调血脂药物组合物及其制剂
TW202000217A (zh) 用以改善呼吸道疾病之蛹蟲草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