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488B1 - 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488B1
KR101160488B1 KR1020090055535A KR20090055535A KR101160488B1 KR 101160488 B1 KR101160488 B1 KR 101160488B1 KR 1020090055535 A KR1020090055535 A KR 1020090055535A KR 20090055535 A KR20090055535 A KR 20090055535A KR 101160488 B1 KR101160488 B1 KR 101160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elete delete
asthma
inflammatory diseases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223A (ko
Inventor
안경섭
이형규
권옥경
이미영
육지은
오세량
이상구
전어진
이현준
김희성
채흥복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488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7Lilium, e.g. tiger lily or Easter l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참나리(Lilium lancifolium; syn. L. tigrinum) 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in vivoin vitro에서 우수한 염증 억제 및 천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세포독성은 없으므로, 염증 또는 천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참나리(Lilium lancifolium), 염증, 천식, NO, PGE2, LTC4, iNOS, COX-2, IL-4, IL-13

Description

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Lilium lancifolium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asthma}
본 발명은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항염증 작용물질들은 급성염증에서 손상된 조직의 세포나 염증에 관여하는 세포 또는 주화인자에 의해 유주된 백혈구의 세포막으로부터 물리화학적 및 생리적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프로스타글란딘류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약물들이었다(Moyazawa K & Mikami T, Japan J. Pharmacol ., 38:199-205, 1985). 그러나 이런 약물들은 급성염증에서의 증상들에 대해서는 치료효과가 있지만 만성염증에서는 1차적인 염증 현상만을 완화할 뿐이며, 면역학적 치료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아라키돈 산(arachidonic acid)이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인 히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익 산(HETE; hydroxy eicosatetraenoic acid), 류코트리엔 B4, 류코트리엔 C4 등에 관하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만성염증에서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Huskisson ED et al ., Inflammation, Mechanism and Treatment, MTP, Lancaster, England, p.55, 1980). 또한, 모든 세포들은 세포외의 특정 신호를 인지하고 이에 특이한 전사 인자를 활성화하여 유전자 발현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전사 조절을 한다. 특히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family)는 세포내의 신호 전달 매개체로서 핵심적인 단백질이며 인체에서의 다양한 염증 반응, 사멸, 세포 분화, 성장 등의 세포외 신호에 반응하여 활성화되어 전사인자를 활성화시켜 필요한 유전자들의 전사를 조절한다(Davis RJ, J Biol Chem, 268:14553-14556). MAPK에는 ERK(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와 JNK(c-jun NH2 terminal kinase), p38 MAPK 등의 3가지가 알려져 있다. MAPK이 활성화되면 전사인자를 포함한 세포내 기질을 인산화하여 사이토카인과 같은 염증 유전자를 작동시킨다. ERK는 세포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많은 세포 성장 인자에 의해서 조절 받고 있으며 과발현 또는 과활성화될 경우 세포의 암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Kim SC et al., Blood, 93:3893-3899). JNK는 대부분의 염증반응, 세포 스트레스 신호, 세포 사멸신호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Han SJ et al., J Biol Chem, 273:369-374).
1962년에 미국호흡기학회에서는 천식(asthma)을 기도에 공기의 흐름이 짧은 기간동안에 변화를 초래하는 병으로 정의하였다.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한 기도의 과민성을 그 특징으로 하며, 기도의 광범위한 협착에 의해 발생하는 천명(喘鳴), 호흡곤란, 기침 등의 임상 증세들은 자연히 혹은 치료에 의해 가역적으로 호전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천식은 알레르기성이며, 호산구 등의 염증세포의 침윤을 동반한 만성 기도염증(chronic airway inflammation)과 기도 과민반응성(bronchial hyperresponsiveness)이다. 천식에서의 염증반응은 염증세포들이 합성, 분비하는 사이토카인(cytokine)에 의해 유발되며, 이들은 염증반응을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병태생리학적인 면에서 천식은 TH2 면역세포에서 생성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염증세포가 증식, 분화 및 활성화되어 기도 및 기도 주변 조직으로 이동, 침윤하여 나타나는 만성 염증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Elias JA et al ., J. Clin . Invest ., 111:291-297, 2003). 이 경우 활성화된 호산구, 비만세포, 폐포 대식세포 등의 염증세포는 다양한 염증매개 인자들을 분비하는데, 이때 염증 및 알러지성 질환을 유도하는 핵심적인 매개물질로는 류코트리엔류(leukotriens),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es) 및 혈소판활성인자(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 등이 있으며, 이들은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및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에 의하여 전구체인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생성된다.
류코트리엔은 생체에서 생성되는 국소 작용성 호르몬 그룹을 구성하며, 그 중 시스테인 류코트리엔(cysteinyl leukotrienes; LTC4, LTD4, LTE4)은 가장 강력한 기관지 수축작용과 호산구증가를 유도하는 물질이다(Barnes PJ et al., Pharmacol Rev., 50:515-596, 1998). 류코트리엔은 폐동맥질환, 예를 들면, 천식, 만성 기관지염 및 관련 폐쇄성 기도질환, 알러지성 비염,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성 결막염 등의 알러지 및 알러지 반응, 관절염 또는 염증성 장 질환, 통증 등의 염증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usse WW., Am . J. Respir Crit Care Med ., 157, pS210-S213, 1998). 그러므로 최근 히스타민 유리억제, 류코트리엔 C4 생성억제, 혈소판 활성화인자 생성억제 활성을 동시에 가지는 약물들이 알러지성 천식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알러젠, 찬 공기, 운동 및 화학적 자극 등 다양한 자극을 받아 염증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시스테인 류코트리엔은 호산구의 기도유입 및 집적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Busse WW, Am . J. Respir Crit Care Med ., 157:S210-S213, 1998). 호산구 역시 다량의 시스테인 류코트리엔을 생산하므로 이들의 기도 조직 및 기관지폐포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의 증가는 천식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Underwood DC et al., Am. J. Respir Crit Care Med., 154:850-857, 1996). 따라서 염증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IL-4, IL-5 및 IL-13 등의 사이토카인들도 기도 과민반응에 작용하여(Gani F et al ., Tecenti . Prog . Med. 89:520-528, 1998) 염증 및 알러지 반응과 이로 인한 천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프로스타글란딘류는 특이한 세포표면 수용체와 결합하여 환형 아데노신모노포스페이트(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경우에 따라서는 환형 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 cGMP)의 세포내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환형 아데노신모노포스페이트의 증가에 의한 효과는 세포종류에 따라 다르며, 프로스타 글란딘 A2(Prostaglandin A2, PGA2), 프로스타글란딘 B2(Prostaglandin B2, PGB2) 및 프로스타글란딘 C2(Prostaglandin C2, PGC2)는 혈압을 강하시키고, 프로스타글란딘 D2(Prostaglandin D2, PGD2) 및 프로스타글란딘 E1(Prostaglandin E1, PGE1)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고 동통, 발열 등의 염증과정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프로스타글란딘 D2는 특히 기관지 천식환자의 평활근을 수축하여 천식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껏 일류가 개발한 약제 중 가장 강력한 항염작용을 지니고 있는 약제는 스테로이드 제제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 반드시 부작용을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천식 치료에 있어 스테로이드제는 처음 사용할 때 놀라울 정도의 효과를 발휘하여 증상을 완전 소실시키지만 이는 잠시일 뿐이고, 증상은 스테로이드 사용을 중지함과 함께 다시 나타나며 반복사용과 함께 증상은 더욱 심해져 간다. 스테로이드제의 부작용으로는 둥근 다혈성의 얼굴, 체액의 저류, 부신억제, 감염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와 기타 정신병, 백내장, 녹내장, 소화성 궤양, 창상치유지연, 초기 감염의 재활성화 등의 많은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품이나,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염증을 억제할 수 효과가 있고, 용이하게 식품에 이용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참나리(Lilium lancifolium; syn. L. tigrinum)는 외떡잎식물이며, 백합목, 백합과의 다년초로서 한국, 일본, 중국, 사할린 등지에 분포하며, 산과 들에서 자 란다. 키는 1~2 m이며, 주로 자양, 강장, 건위, 종독, 진해에 사용되었다(대한식물도감, 두산세계대백과 엔싸이버). 참나리는 주로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순과 알뿌리는 식용으로도 이용되며 약재로도 쓰인다. 참나리는 주로 자양강장제로 쓰이며 진해, 해열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염증성 질환 또는 천식의 효과에 대해 보고된 바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참나리 인경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물이 우수한 항염증 및 천식 억제 효과를 가지며,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참나리(Lilium lancifolium; syn. L. tigrinum)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염증 질환 또는 천식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참나리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참나리(Lilium lancifolium; syn. L. tigrinum)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염증 질환 또는 천식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치료방법을 제 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참나리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염증" 또는 "염증억제"는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LPS(lipopolysaccharide)와 같은 염증 유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 등 인체에 유해한 염증반응의 억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 및 염증을 포함하는 질환 또는 천식을 억제하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및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 및 염증을 포함하는 질환 또는 천식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염증 및 염증을 포함하는 질환 또는 천식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참나리(Lilium lancifolium; syn. L. tigrinum)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참나리 인경(bulb; 알뿌리) 추출물은
1) 건조한 참나리 인경을 분말로 만든 후 메탄올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메탄올 추출물을 물로 현탁한 후, 부탄올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3) 단계 2)의 부탄올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여과한 부탄올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참나리 인경은 채취한 것, 양식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채취한 후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 및 염분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참나리 인경 추출물은 진탕 방치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메탄올 용매 또는 부탄올 용매의 부피는 분쇄한 시료 부피의 5 내지 1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시간은 1 내지 5일인 것이 바람직하며, 3일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로 거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참나리 인경 분획물은
1) 상기 참나리 인경 추출물을 실리카겔에 흡착시키는 단계;
2) 단계 1)의 흡착된 실리카겔에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를 농도구배(100:0→0:100)로 높이면서 흘려주는 단계; 및,
3) 실리카겔 컬럼을 통과한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참나리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것이 확인되었고(표 1 참조), 질소산화물 및 류코트리엔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억제활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표 2 및 표 3 참조). 특히, 참나리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염증 유도에 의한 질소산화물 생성(도 1 참조),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도 3 및 도 4 참조) 및 ERK1/2와 JNK의 활성화를 억제하였고(도 5 참조);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도 억제하였고(도 2 참조), 유도된 인터루킨-4(IL-4)와 인터루킨-13(IL-13) 등의 사이토카인의 양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도 6 참조). 이에, 본 발명의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며,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는바, 염증 질환 또는 염증세포의 침윤을 동반한 만성 기도염증(chronic airway inflammation)과 기도 과민반응성(bronchial hyperresponsiveness)으로 특징 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in vitro로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참나리 인경 추출물은 항원에 의해 기도감작된 마우스에서 메타콜린의 농도에 따라 기도 과민성이 호전되었고, 호산구의 비율이 감소하였으며, 기관지폐포액의 면역글로불린 E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내지 도 9 참조). 이에, 본 발명의 참나리 인경 추출물은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을 in vivo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본 발명의 참나리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0.1 내지 50 중량%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은 질병 상태로 진행된 만성 염증, 꽃가루와 같이 일반적으로 무해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LPS와 같은 염증 유발 물질에 의한 염증반응,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반응 등 인체에 유해한 염증반응을 모두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염증을 수반하는 염증 질환에는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또는 다양한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개체는 척추동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이며, 그보다 바람직하게는 쥐, 생쥐, 토끼, 기니아피그, 햄스터, 개, 고양이와 같은 실험동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침팬지, 고릴라와 같은 유인원류 동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외용 또는 복강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 여량은 참나리 인경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g/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염증 질환 또는 천식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개체는 척추동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이며, 그보다 바람직하게는 쥐, 생쥐, 토끼, 기니아피그, 햄스터, 개, 고양이와 같은 실험동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침팬지, 고릴라와 같은 유인원류 동물이다.
또한, 투여방법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자궁내 경막 주사,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투여량은 특정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기간, 투여방법, 제거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참나리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참나리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참나리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참나리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참나리 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in vivoin vitro에서 우수한 염증 억제 및 천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세포독성은 없으므로, 염증 또는 천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 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참나리 추출물( Lilium lancifolium )의 제조
신선한 참나리 인경(bulb; 알뿌리) 0.6 ㎏을 메탄올로 실온에서 24시간 간격으로 3회 추출하여 메탄올 추출물 29.5 g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을 물 1 L로 현탁시켰고, 동량의 부탄올을 가하여 진탕 방치하기를 3회 실시하여 수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부탄올 추출물(이하 "참나리 추출물") 2.9 g을 얻었다.
< 실시예 2> 참나리 분획물의 제조
실시예 1의 참나리 추출물을 실리카겔에 흡착시킨 후,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를 농도구배(100:0→0:100)하여 극성을 순차적으로 높이면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230-400 mesh, 2×56 ㎝)를 수행하여 8개의 분획물을 얻었다.
< 실험예 1> Raw264 .7 세포에서의 참나리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세포독성실험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ATCC, USA)를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5%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 USA) 배지에 1×105 /㎖의 농도로 현탁하여 100 ㎕씩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부착하였다. 4시간 후에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참나리 추출물과 각 분획물을 50 ㎍/㎖ 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5 ㎎/㎖의 MTT 용액을 웰 당 10 ㎕씩 첨가한 후 4시간 더 배양을 하고,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고, DMSO를 100 ㎕씩 첨가한 후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세포생존율은 DMSO를 0.1% 처리한 음성대조군을 100%로 하여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09037668294-pat00001
그 결과,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분획물 1을 제외한 대부분의 참나리 추출물과 분획물은 50 ㎍/㎖의 농도에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시료(50 ㎍/㎖) 세포생존율(%)
음성대조군 100.0 ± 1.2
참나리 추출물 100.5 ± 1.7
분획물 1 89.0 ± 4.4
분획물 2 100.8 ± 0.3
분획물 3 95.2 ± 3.6
분획물 4 100.2 ± 0.9
분획물 5 99.1 ± 1.4
분획물 6 97.0 ± 1.3
분획물 7 100.1 ± 1.3
분획물 8 98.3 ± 1.3
< 실험예 2> 참나리 추출물과 분획물의 염증 및 천식 억제 효과 확인
<2-1> Raw264 .7 세포에서의 질소산화물 생성 저해 효과
페놀레드(phenol-Red)가 들어있지 않은 DMEM 배지에 우태혈청을 5% 첨가하였고, 세포를 1×105 세포를 현탁하여 96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4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시료를 50 ㎍/㎖의 농도로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100 ng/㎖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lipopolysaccharide, Sigma, USA)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상층액 100 ㎕를 회수하여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Sigma)을 동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측정기(microplate reader, Bio-Rad, USA)로 540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배양액 내의 질소산화물 생성량을 구하였으며, LPS를 처리한 군의 질소산화물 생성량을 100%로 하여 각 시료의 저해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LPS 처리군에 비해 참나리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처리한 군에서 질소산화물 생산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특히 메탄올 추출물 처리군에 비해서도 질소산화물 생산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참나리 추출물에서는 LPS를 처리한 군에 비해 82.1%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시 료  농도(㎍/㎖) Nitrite (μM)  저해율 (%)
음성대조군   2.44±0.32  
LPS처리군 0.1 31.93±2.41
메탄올추출물 50 22.86±3.07 28.4
참나리추출물 50 5.73±2.15 82.1
컬럼분획-1 50 14.43±2.00 54.8
컬럼분획-2 50 6.00±2.85 81.2
컬럼분획-3 50 10.91±3.08 65.8
컬럼분획-4 50 7.49±0.28 76.6
컬럼분획-5 50 13.18±0.14 58.7
컬럼분획-6 50 21.65±0.84 32.2
컬럼분획-7 50 22.95±0.42 28.1
컬럼분획-8 50 20.68±0.96 35.2
<2-2> RBL -1 세포에서의 류코트리엔 활성 저해 효과
RBL-1 세포(ATCC, USA)를 배지(100 units/㎖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 10 ㎎/㎖ 겐타마이신, 2 mM L-글루타민, 0.1 mM 비필수아미노산, 10% 우태혈청을 함유하는 RPMI 1640)를 사용하여 배양한 후, 5× 105 세포/㎖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200 ㎕ 씩 분주하였다. 상기 플레이트에 음성대조군으로는 DMSO를 0.1%로, 양성대조군으로는 질루톤(Zileuton) 1 μM, 실험군으로는 참나리 추출물과 각 분획물을 농도별로 혼합하여 37℃의 CO2 배양기 내에서 10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이온운반체인 A23187(Sigma, USA)을 10 μM 농도로 처리한 후, 다시 37℃의 CO2 배양기 내에서 20분 동안 배양하였고, 반응물을 원심분리(4℃, 250×g, 5분)하였다. 이후, 상층액으로부터 유리된 류코트리엔의 양을 류코트리엔 측정 키트(LTC4 assay kit; Cayman,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류코트리엔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50% 활성을 저해하는 농도를 구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참나리 추출물과 분획물 1, 2, 3, 4는 모두 10 μM이하에서 류코트리엔 생성을 50% 이상 저해하였다.
시 료 IC 50 (μM)
질루톤 0.75 ± 0.03
참나리추출물 5.39 ± 0.35
분획물 1 3.76 ± 0.36
분획물 2 7.92 ± 1.13
분획물 3 3.66 ± 0.60
분획물 4 6.49 ± 1.01
분획물 5 16.30 ± 3.84
분획물 6 37.33 ± 5.86
분획물 7 21.00 ± 0.65
분획물 8 21.03 ± 0.29
< 실험예 3> 참나리 추출물의 농도의존적 염증 및 천식 저해효과
<3-1> 질소산화물 생성의 저해
실험예 2-1의 방법으로 LPS를 처리하여 염증이 유도된 Raw264.7 세포에 참나리 추출물을 농도별(0, 10, 20, 50, 100 ㎍/㎖)로 처리하여, LPS에 의해 유도된 질소산화물 생성을 저해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참나리 추출물의 농도의존적으로 질소산화물의 생성량이 감소하였고, 100 ㎍/㎖에서는 78.7%의 질소산화물 생성저해율을 나타내었다.
<3-2>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의 저해
실험예 3-1의 방법으로 처리된 Raw264.7 세포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의 양을 PGE2 측정 키트(PGE2 assay kit; R&D systems,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참나리 추출물의 농도의존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의 양이 감소하였다.
<실험예 4> 참나리 추출물의 iNOS COX - 2의 발현저해 효과
<4-1> 웨스턴 블랏팅( Western blotting )
실험예 2-1의 방법으로 LPS를 처리하여 염증이 유도된 Raw264.7 세포 1× 106 개를 100 ㎜ 페트리디쉬에서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에 세포를 배양용기로부터 떼어내어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Protease inhibitor cocktail, Roche, USA)를 함유한 단백질 용출용액(CelLyticTM-MT Tissue Lysis Reagent, Sigma, USA)을 사용하여 균질화하였다. 추출액은 20분 동안 14000 rpm에서 원심분리한 뒤 상등액과 불용성 응집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등액의 단백질 농도는 바이오-라드 단백질 분석 키트(Bio-Rad protein assay kit, Bio-Rad,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등액을 5× SDS(0.156M Tris-HCl, pH 6.8, 2.5% SDS, 37.5% 글리세롤, 37.5 mM DTT)와 1:4로 섞어 100℃에서 10분간 끓였다. 끓인 시료에서 40 ㎍ 단백질을 SDS 4-12% SDS-PAGE 겔에 로딩하였고 125 V에서 2시간 동안 전기영동 하여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단백질을 겔 한 장당 50 mA의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전기영동 하여 PVDF 막으로 옮겼다. 단백질이 옮겨진 막에서 단백질이 없는 부분을 탈지분유로 차단(blocking)시킨 다음, 1차 항체[항-iNOS 항체(1:1000,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항-Cox-2 항체(1:1000,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항-JNK 항체, 항-인산화 JNK 항체(1:1000,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항-ERK 항체, 항-인산화 ERK 항체(1:1000,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또는 항-β-액틴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USA)] 및 2차 항체(항토끼-IgG-HRP; Amersham Biosciences, UK)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킨 후, ECL 검출 키트(Amersham Biosciences, UK)로 발광반응을 유발하였고 X-ray 필름에 노출시켜 감광하였다. 단백질 밴드의 상대적인 밀도는 이미지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감광의 정도를 검출하였고, Tina 2.0 소프트웨어(//linux.softpedia.com/get/System/Operating-Systems/Linux-Distributions/TINA-KNOPPIX-Live-CD-5172.shtml)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도 3a 및 도 4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식세포에 LPS와 본 발병의 참나리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참나리 추출물이 LPS에 의해 활성화되는 MAPK 효소중 ERK1/2와 JNK의 활성화를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4-2> 면역형광염색( Immunofluoresence )
약 2× 105 /㎖ 세포를 퍼머녹스 챔버 플라스틱 슬라이드(Permanox chambered plastic slides; Nunc, USA)에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이후 4℃에서 30분간 에탄올로 고정하였고, 인산완충액(PBS)으로 세척한 후, 3%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으로 실온에서 30분간 차단하였다. 차단 후 1차 항체[항-iNOS 항체(1:100) 또는 항-Cox-2 항체(1:100)]를 4℃에서 하루 동안 반응시켰다. 인산완충액으로 3번 세척한 이후에 텍사스레드(Texas red; Santa Cruz Biotechnology, USA)가 연결된 2차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 USA)를 실온의 암조건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인산완충액으로 프로롱 골드 안티페드 용액(ProLong Gold Antifade reagent, Invitrogen, USA)으로 3번 마운팅한 후 공초점 현미경(LSM510m Carl Zeiss, Germany)으로 촬영하였다.
그 결과, 도 3b와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LPS만 처리한 세포에 비해 참나리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세포에서 iNOS와 COX-2의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5> 참나리 추출물의 사이토카인 생성저해효과
BALB/c 마우스(오리엔트, 대한민국)에서 비장을 무균적으로 떼어내어 10% 우태혈청, 25 mM HEPES, 2 mM 글루타민(glutamine), 페니실린(100 U/㎖) 및 스트렙토마이신(100 ㎍/㎖)을 포함하고 있는 RPMI 1640 배지(GibcoBRL, USA)에서 갈아서 단일세포현탁액(single cell suspension)으로 만들었다. 준비된 비장 세포 현탁액은 실온에서 1500 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한 뒤 상층액을 버리고 적혈구 분해용액(Red blood cell lysis buffer) 1 ㎖을 넣고 37℃에서 10분간 분해시켰다. 이 용액에 10 ㎖ PBS를 더하여 섞은 후, 실온에서 1500 rpm으로 5분간 원심 분리한 뒤 상층액을 버리는 과정을 2회 반복하였다. 마지막에 PBS 대신 10% 우태혈청을 첨가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부유시켰다. 세포수를 1 × 106 세포/㎖로 맞춘 후, 세포부유액 200 ㎕를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분주하였고, 참나리 추출물을 농도별(0, 10, 50, 100 ㎍/㎖)로 첨가한 후 습윤배양기에서 5% CO2, 37℃ 조건으로 1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에서 인터루킨-4(IL-4)와 인터루킨-13(IL-13)을 유도하기 위해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Sigma, USA)를 1 ㎍/㎖농도로 첨가하였고, 습윤배양기에서 5% CO2, 37℃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IL-4와 IL-13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사이토카인에 특정 반응하는 ELISA 키트(R&D Systems, Minneapolis, USA)를 사용하였으며,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각 사이토카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Con A를 처리하지 않았다.
그 결과, 도 6a와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ConA에 의해 유도되는 사이토카인의 양이 참나리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 실험예 6> 천식마우스 모델에서 참나리 추출물의 호흡률 개선 효과
<6-1> 마우스에 기도 감작과 항원투여
8주 된 특정병원체 미감염 백서 암컷(Balb/c)(무게: 약 20 g)을 2주 간격으로 2 ㎎ 수산화알루미늄(Sigma A8222)과 난백알부민(OVA; 항원) 20 ㎍(Sigma A5503)을 현탁한 인산완충용액(pH 7.4) 100 ㎕을 2회 복강에 주입하여 감작시켰다. 실험 시작 후 28일, 29일, 30일째 초음파분무기를 사용하여 1% OVA를 첨가한 인산완충용액을 20분간 마우스가 들어있는 밀폐된 용기에 분무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 기도감작을 일으키지 않은 마우스군(5마리), 대조군으로 기도감작 후 PBS를 투여한 군(5마리), 양성대조군으로 덱사메타손 4 ㎎/kg 처리군(5마리), 실험군으로서 참나리 추출물 30 ㎎/kg을 인산완충용액에 현탁한 후에 항원투여 하기 1시간 전에 경구투여한 군(5마리)으로 실험을 하였다. 각 실험의 통계학적인 분석은 Student's t-test로 수행하였으며 유의성 판별은 p 값으로 표현하였다.
<6-2> 호흡률 측정
기도과민반응(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을 in vivo 상태에서 측정하기 위해 마취를 하지 않고 자연상태의 운동을 유지하면서 체적변동 측정기(whole body plethysmograph)를 사용하여 수학적으로 계산된 기도의 폐색을 반영하는 수치인 Enhanced Pause(Penh)를 측정하였다(Tomkinson A et al., Am . J. Respir Crit Care Med ., 163:721-730, 2001).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6-1에서 1% OVA/PBS 용액의 3일 연속 분무 흡입 후 24시간 뒤에 모든 쥐들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의식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기압 체적 기록 챔버 내에서 기도 과민성 반응의 측정을 하였다. 기도 과민성의 기저치는 3분 동안의 측정치의 평균을 사용하고, 이후 메타콜린을 6.25 ㎎/㎖에서 25 ㎎/㎖까지 점차적으로 높여가면서 농도마다 3분씩 초음파연무기를 사용하여 흡입시킨 후, 3분 동안 각각의 기도 과민성의 정도를 기도저항측정기로 측정하였다. 기도 과민성의 정도는 각각의 메타콜린을 투여한 후 측정한 Penh값과 PBS를 흡입한 후 측정한 Penh값과 비교하여 증가된 비율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OVA를 처리한 군과 비교했을 때 참나리 추출물의 처리군은 메타콜린의 농도에 따라 기도 과민성이 호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7> 참나리 추출물의 기관지 페포 세척액에 대한 효과
<7-1> 기관지 페포 세척액의 호산구 분석
실시예 6-2에서 마지막 항원투여 후 24시간 뒤에 과량의 펜토바비탈(pentobarbital, Sigma P3761)을 투여하여 치사시킨 후 기관지 절개를 수행하였다. 기관지폐포세척액(BALF)은 기관에 카뉼라(cannula) 삽입방법으로 0.5 ㎖씩 3회 흡입하여 수득하였다. 수득한 각 실험군의 기관지폐포액 100 ㎕를 슬라이드에 놓고 사이토스핀(cytospin) 기기(한일, 한국)를 사용하여 원심분리를 하여 세포를 슬라이드에 고정하였다. 트리판블루(Trypan blue)로 염색하여 죽은 세포를 제외한 총 세포수를 헤모사이토미터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3번 반복하여 측정하였다(Daigle I & Simon HU, Swiss Med . Wkly ., 131:231-237, 2001). 호산구 수는 디프-퀵(Diff-Quik) 시약(Sysmex, Cat No. 38721, Switzerland)으로 염색한 후 판별하고 총세포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으로서 기도를 감작하지 않은 경우의 기관지 폐포액의 총염증세포수에 대한 호산구(eosinophil) 수의 비율은 0.00%이었는데, 대조군으로서 난백알부민으로 감작시키고 PBS 투여후 항원투여한 군에서는 41.1±8.5%로 증가하였다. 참나리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호산구의 비율이 28.6±6.7%로 감소하였고, 이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30.5% 이상 감소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7-2> 기관지 페포 세척액의 면역글로불린 E( IgE ) 분석
면역글로불린 E(IgE) 분석은 샌드위치형 효소-면역반응(sandwich-typ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6-1에서 수득한 각 실험구의 기관지폐포액 100 ㎕를 포획용(capturing) IgE 항체가 붙어 있는 96웰 플레이트에 넣어 1시간 동안 실온에서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하였는데, 이때 면역글로불린 E가 붙어 있는 플레이트는 미리 5% 탈지분유를 이용해 1시간 동안 차단한 후 세척액(PBS + 0.1% tween 20)으로 3회 세척하였다. 항원-항체반응이 끝난 후 다시 3회 세척한 후 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horseradish peroxidase, HRP)가 결합된 검출용 IgE 항체(mouse, PharMingen, San Diego, USA)를 100 ㎕씩 각각의 웰에 넣어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5회 세척액으로 세척한 후 오르토페닐렌디아민(ο-phenylene diamine; OPD)과 과산화수소(H2O2)를 기질로 사용하여 발색반응을 유도한 후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실험구의 기관지폐포액의 면역글로불린 E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항원으로 감작된 쥐의 경우, 음성 대조군에서는 면역글로불린 E의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참나리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면역글로불린 E의 생성이 50% 이상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은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에 대한 참나리 추출물의 농도의존적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P값(*)은 0.05 (**)은 0.005 이하):
-; DMSO만 투여한 음성대조군;
+; LPS로 유도된 양성대조군;
10; 참나리 추출물(LL)을 10 ㎍/㎖ 처리한 후 LPS로 유도;
20; 참나리 추출물을 20 ㎍/㎖ 처리한 후 LPS로 유도;
50; 참나리 추출물을 50 ㎍/㎖ 처리한 후 LPS로 유도; 및,
100; 참나리 추출물을 100 ㎍/㎖ 처리한 후 LPS로 유도.
도 2는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PGE2의 생성에 대한 참나리 추출물의 농도의존적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P값(*)은 0.05 (**)은 0.005 이하).
도 3은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iNOS의 단백질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a; 웨스턴 블랏팅; 및,
b; 면역형광분석.
도 4는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COX-2의 단백질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a; 웨스턴 블랏팅; 및,
b; 면역형광분석.
도 5는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ERK와 JNK의 단백질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비장세포에서 ConA로 유도된 세포의 사이토카인에 대한 참나리 추출물의 저해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a; 인터루킨-4; 및,
b; 인터루킨-13.
도 7은 기도 감작한 후 기관지 수축의 완화정도를 측정한 도이다:
NC; 기도 감작하지 않은 군;
OVA; 난백알부민으로 기도감작한 군;
Dex; 덱사메타손을 30 ㎍/㎖ 처리한 군; 및,
LL; 참나리 추출물을 30 ㎍/㎖ 처리한 군.
도 8은 기도 감작한 후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총염증세포수와 호산구수에 대한 참나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기도 감작한 후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면역글로불린-E의 함량을 측정한 도이다.

Claims (18)

  1. 참나리(Lilium lancifolium; syn. L. tigrinum) 인경의 부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자가면역질환, 급성 염증 질환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참나리 인경의 부탄올 추출물은
    1) 건조한 참나리 인경을 분말로 만든 후 메탄올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메탄올 추출물을 물로 현탁한 후, 부탄올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3) 단계 2)의 부탄올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여과한 부탄올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1) 상기 참나리 인경의 부탄올 추출물을 실리카겔에 흡착시키는 단계;
    2) 단계 1)의 흡착된 실리카겔에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용매를 농도구배(100:0→0:100)로 높이면서 흘려주는 단계; 및,
    3) 실리카겔 컬럼을 통과한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참나리 인경의 부탄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간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자가면역질환, 급성 염증 질환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90055535A 2009-06-22 2009-06-22 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6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535A KR101160488B1 (ko) 2009-06-22 2009-06-22 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535A KR101160488B1 (ko) 2009-06-22 2009-06-22 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223A KR20100137223A (ko) 2010-12-30
KR101160488B1 true KR101160488B1 (ko) 2012-06-28

Family

ID=43511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535A KR101160488B1 (ko) 2009-06-22 2009-06-22 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07B1 (ko) * 2012-07-03 2014-05-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백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약학 조성물
CN109512925A (zh) 2012-09-13 2019-03-26 江中药业股份有限公司 防治过敏性疾病的组合物及其应用
CN104127636A (zh) * 2014-08-09 2014-11-05 胡伟 一种治疗痛风病的中药组合物
CN104524385B (zh) * 2015-01-16 2017-09-29 李健 一种治疗类风湿性关节炎的中药组合物
KR101888955B1 (ko) 2016-11-16 2018-08-17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참나리 주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6593B1 (ko) * 2018-02-27 2020-01-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참나리 신품종 '오렌지 뷰티' 및 이를 판별하기 위한 분자마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우리 들꽃 이야기’박시영 저, 189페이지(2007.09.10.)*
우리 들꽃 이야기'박시영 저, 189페이지(2007.09.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223A (ko)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488B1 (ko) 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10091B1 (ko) 나한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47029B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60080B1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꼬리풀속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JP2019511521A (ja) キツネノマゴ抽出物を含む呼吸器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薬学的組成物
US10149881B2 (en) Method for treating inflammatory, allergic or asthma diseases, containing paprika extracts
KR20060125499A (ko) 항염, 항알레르기 및 항천식 활성을 갖는 긴산꼬리풀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카탈폴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337389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20190043996A (ko) 국화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69590B1 (ko) 애기땅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4347B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35061B1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1738A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3610A (ko) 모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과민성 면역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US888322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 or asthma containing an extract of Decaspermum fruticosum
KR101879596B1 (ko) 편백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염증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15067B1 (ko) 스컬캅플라본ⅱ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78365B1 (ko)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8459A (ko)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14022842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wogonin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7442B1 (ko) 감마오리자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 조성물
KR20140026091A (ko)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89383B1 (ko) 벨벳애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알레르기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49568A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