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365B1 -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365B1
KR101078365B1 KR1020090073274A KR20090073274A KR101078365B1 KR 101078365 B1 KR101078365 B1 KR 101078365B1 KR 1020090073274 A KR1020090073274 A KR 1020090073274A KR 20090073274 A KR20090073274 A KR 20090073274A KR 101078365 B1 KR101078365 B1 KR 101078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ions
fraction
extract
clam
inflammatory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846A (ko
Inventor
오세량
이형규
안경섭
이상구
진영원
전계화
채흥복
권옥경
김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73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3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개풀(Arthraxon hispidus)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분획물의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분획물의 활성분획은 염증 관련 인자인 NO 및 류코트리엔의 활성을 저해하고, 강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며, 천식동물모델에서 기도과민성 억제 활성, 호산구 유입 억제 활성 및 기관지 폐포액(BALF)의 면역글로불린 E(IgE) 생산 억제 활성이 우수하여, 염증성 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조개풀(Arthraxon hispidus), 항염증, NO, 류코트리엔, 항보체, 기도과민성, 호산구, 면역글로불린 E(IgE)

Description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the extracts or fractions of Arthraxon hispidu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반응은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 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 외적 증상이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외부 세균이 특정 조직에 침입하여 증식을 하게 되면 생체의 백혈구가 이를 인지하여 증식된 외부 세균을 활발히 공격하게 되는데, 이 과정 중 발생되는 백혈구의 사해가 균에 의하여 침입받은 조직에 축적됨과 동시에 백혈구에 의하여 사멸된 침입균의 세포 파괴물이 침입받은 조직 내로 융해되어 농양이 형성된다. 정상인 경우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인체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서 급성염증,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관절 내에서의 질환, 건선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피부질환, 및 기관지 천식 등의 알레르기성 염증질환 등이 나타나게 되며 수혈, 약물투여, 장기이식 등 치료과정에서도 장해요인이 된다.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염증반응 중 활성화된 백혈구(monocytes) 및 대식세포에 의한 일산화질소(nitrogen monoxide, NO)의 생성이 강력한 염증반응을 개시하고, 세균 병원체에 대한 초기 면역 반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된다(Bogdan C, Nat . Immunol ., 2:907-916, 2001). 염증반응의 결과로서, 대식세포에서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인터페론γ,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 자극에 의해 발현되는 유도성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는 장시간 동안 다량의 NO를 생산한다. NO의 생리학적 농도(supraphysiological concentrations)가 다양한 염증질환의 병리생물학에 있어서 역할을 하고 있다(Clancy RM et al ., Arthritis . Rheum., 41:1141-1151, 1998).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IκB에 의하여 억제되어 있는 염증 반응의 전사인 자인 NF-κB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활성화된 NF-κB는 핵으로 이동하여 iNOS, COX-2,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 IL-1β) 및 TNF-α와 같은 여러 종류의 사이토카인 등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인자들을 저해하면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euerle et al ., Annu. Rev . Immunol., 12:141-179, 1994).
NO는 세 가지 주요한 일산화질소 합성효소(NOS) 이성질체인 nNOS(neuronal NOS), eNOS(endothelial NOS), iNOS(inducible NOS)에 의해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생성된다. nNOS와 eNOS는 Ca2 +/칼모듈린(calmodulin)에 의해 조절되지만, iNOS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 LPS와 같은 염증성 자극에 의해 전사 수준에서 조절된다. nNOS나 eNOS에 의해 소량 생성된 NO는 혈관확장, 신경전달, 병원체에 대한 세포파괴 등과 같은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담당하지만, 대식세포에서 iNOS에 의해 과다 생성된 NO는 염증과 암을 포함한 다양한 병리생리학적 과정에 관여하며, 수퍼옥사이드(superoxide)와 반응하여 퍼옥시니트라이트(peroxynitrite)를 형성하고 이는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하여 세포에 손상을 입히고, 염증성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NF-κB를 활성화시켜 염증반응, 암, 동맥경화 등 만성질환에 관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awrence et al ., Nat Med., 7:1291-1297, 2001; Riehemann et al ., FEBS Lett., 442:89-94, 1999; Stamler et al ., Science, 258:1898-1902, 1992). NOS는 몇 가지 종류가 존재하는데 신경계에 존재하는 nNOS(neuronal NOS), 혈관계에 존재하는 eNOS(endothelial NOS) 등은 체내에 항상 일정수준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이들에 의해 소량 생성되는 NO는 신경전달이나 혈관 확장을 유도하는 등 정상적인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반하여, 인터페론, TNF-α, 사이토카인이나 외부 자극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iNOS에 의해 급격히 과량 발생되는 NO는 세포독성이나 각종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iller MJ et al., Mediators of inflammation, 4:387-396, 1995; Appleton L et al ., Adv . Pharmacol ., 35:27-28, 1996).
보체계(complement system)는 면역반응의 초기에 염증 활성화 및 증폭작용을 하는 체액성 주요인자이다. 보체의 활성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활성단백질(아나필라톡신류 C3a, C4a 및 C5a)과 복합단백질(membrane attack complex, MAC)은 다양한 염증 질환[류마티스성 관절염(Sato, Y. et al., Ann . Rheum . Dis . 52:795-800, 1993), 전신홍반성낭창(Takematsu, H. et al., Clin . Exp . Rheumatol . 10:433-438, 1992), 성인호흡기질환 증후군(Langlois, P. F. et al., Heart Lung . 18:71-84, 1989) 및 알쯔하이머성 치매]과 관련이 있으며, 장기이식 초급성 거부반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류코트리엔은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의 작용에 의해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유도된 불포화 지방산 화합물이고, 프로스타글란딘과 유사한 물질로 다양한 질환에서 중요한 병리학적 조정인자이다. 류코트리엔 물질대사의 변화는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통풍, 건선, 성인성 호흡곤란증후군, 장염 질환, 내독소쇽증후군,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심근 손상으로 유발된 허혈 및 발작, 및 지주막하출혈 후 류코트리엔의 형성으로 초래되는 중추 신경계 병변 등에서 증명되었다.
현재까지 항염증 작용물질들은 급성염증에서 손상된 조직의 세포나 염증에 관여하는 세포 또는 주화인자에 의해 유주된 백혈구의 세포막으로부터 물리화학적 및 생리적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프로스타글란딘류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약물들이었다(Moyazawa, K et al., Japan J. Pharmacol ., 38:199, 1985). 그러나 이런 약물들은 급성염증에서의 증상들에 대해서는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만성염증에서는 1차적인 염증 현상만을 완화할 뿐이며, 면역학적 치료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인 히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익산(hydroxy eicosatetraenoic acid, HETE), 류코트리엔 B4 및 류코트리엔 C4 등에 관하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만성염증에서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Huskisson, E.D. et al., Inflammation , Mechanism and Treatment, MTP , Lancaster, p.55, 1980).
또한, 현재 염증 치료제로는 부신피질 호르몬 성분을 이용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코티손(cortisone)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염증 치료제로서의 작용을 하지만 독성이 강하며 부작용으로서 부종과 같은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염증 원인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여 심한 면역억제를 유 발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Check WA & Kaliner MA, Am. Rev. Respir. Dis., 141:44-51, 1990). 현재까지 존재하는 항염증제는 부신피질 호르몬 성분을 이용한 스테로이드 약제로 부종과 같은 각종 부작용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면역학적 치료 및 항염증 효능에 탁월하고 부작용이 거의 없어 장기간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는 약제의 개발이 널리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최근 천연 자원으로부터의 효능 검증을 통한 소재 개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천식(asthma)은 기관지 만성염증 질환으로 기도의 광범위한 협착에 의해 발생하는 천명, 호흡곤란, 기침 등의 임상증상들은 자연히 혹은 치료에 의해 가역적으로 호전될 수 있다. 대부분의 천식은 알레르기성이며, 만성 기도염증(chronic airway inflammation)과 기도 과민반응성(bronchial hyperresponsiveness)이 특징이다(Minoguchi K et al.,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respiratory disease., 97-104, 1999).
천식은 개인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외인성 천식의 경우 원인 항원에 노출되었을 때 증상이 나타나는 천식을 말한다. 원인 항원에 대한 피부시험이나 기관지 유발시험이 양성반응을 보이며 발병 연령이 젊은 것이 보통이다. 집 먼지, 진드기가 가장 많은 원인 항원이며, 그밖에 꽃가루, 동물의 상피, 곰팡이 등이 원인 항원으로 작용한다. 내인성 천식의 경우에는 상기도 감염, 운동, 정서불안, 한랭 기후 및 습도의 변화 등 이 천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는 경우인데, 성인형 천식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천식, 운동 유발성 천식 및 직업성 천식 등이 있다. 가장 문제가 되는 외인성 천식의 경우 피부시험으로 원인 항원을 찾아낼 수 있으며, 외인성 천식에서는 혈청 중의 총 IgE가 증가하며 항원 특이적 IgE가 검출된다.
병태생리학적인 면에서 알레젠에 의해 헬퍼(Helper) T2 면역세포와 비만세포(mast cell)가 활성화되고 이들로부터 다양한 사이토카인(IL-4. IL-5 및 IL-13) 및 IgE가 분비된다. 분비된 사이토카인 들은 기관지 평활근수축, 혈관투과성 증대 및 호산구 등 염증세포들의 침윤을 유발한다. 따라서 점액선 비대 및 혈관 부종 등이 유발되어 기도가 점액 및 염증세포들이 채워지고 협소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협소해진 기도로 인해 기침, 천명 및 호흡곤란과 같은 만성염증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Van dr Velden VHJ et al., NeuroImmunoModulatoin, 6:145-59, 1999).
천식치료제 발굴을 위해 다양한 동물모델(생쥐, 쥐, 기니아피그, 개, 및 양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동물모델을 사용하면 천식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유사한 특정들, IgE 항진, 기도 염증, 점액분비세포의 이상증식, 상피세포의 비대 및 기도 과민반응 등을 관찰할 수 있어 이러한 증상을 완화 또는 치료하는 물질을 검색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Kumar, R. K. et al., Curr Dr Targets, 9 (6):485-94, 2008).
조개풀(Arthraxon hispidus)은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 풀이며 도랑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라는 잡초이다. 주로 아시아의 온난지역 즉 중국, 한국, 만주, 일본, 몽고, 시베리아, 인도 및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전세계에서는 15종이 분포되어있고 국내에는 1종이 자생하고 있다. 키는 약 20~50 ㎝이다. 꽃줄기는 밑부분이 지면을 기고 줄기 마디에서 뿌리가 나서 퍼지며 윗부분은 비스듬히 올라가게 된다. 잎은 달걀꼴이며 잎 밑은 줄기를 싸고 가장자리에 센털이 있다. 9~10월 줄기 끝에 3~20개로 된 꽃 이삭이 손바닥 모양으로 달린다. 작은 이삭은 쌍으로 되어 꽃이삭 마디에 달리나, 자루가 있는 작은 이삭은 퇴화하여 짧은 자루만으로 된다. 겉겨의 등면은 둥글고 센털이 난다. 잎과 줄기는 노랑물감용으로 많이 쓰인다. 또한 중국 <본경>이라는 책에는 기침과 가래를 멎게 하고 살충해독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조개풀의 성분이 아코니트산(aconitic acid), 알트락신(arthraxin), 루테올린(luteolin), 루테올린-7-글리코사이드(luteolin-7-glucoside)가 함유되어 있으며(S㎍iyama et al., Bulletin of the Chemical Society of Japan, 45, (2):528-531, 1972), 주 화합물은 플라본(flavone)류에 속한다. 이 식물은 천연 노란색 염색제로서 천을 염색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Miyoshi, M., Nippon Kagaku Zasshi, 72:705-7, 1951; Ishii, M. S. et al., Bunkazai Hozon Shufuku Gakkaishi, 1:14-37, 2006). 그러나 조개풀 추출물이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는 보고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면역학적 치료효과를 나타내고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성분을 함유하는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이 NO 및 류코트리엔의 활성을 저해하고 강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며, 천식동물모델에서 기도과민성 억제 활성, 호산구 유입 억제 활성 및 기관지 폐포액(BALF)의 면역글로불린 E(IgE) 생산 억제 활성을 가지는 물질이므로, 항염증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NO 및 류코트리엔 활성을 저해하고 강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며, 천식동물 모델에서 기도과민성 억제 활성, 호산구 유입 억제 활성 및 기관지 폐포액(BALF)의 면역글로불린 E(IgE) 생산 억제활성이 우수하여, 염증성 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므로 상기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항염증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이란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뜻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천식"은 기관지의 알레르기 반응 때문에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으로써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한 기도의 과민반응성을 그 특징으로 하고 만성 기도 염증을 일으키며 기도의 광범위한 협착에 의해 발생하는 천명(喘鳴), 호흡곤란 및 기침 등의 증세들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및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질환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염증성 질환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개풀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조개풀(Arthraxon hispidus)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식힌 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조개풀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개풀은 잎, 줄기 또는 뿌리가 모두 이용가능하며, 전초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방법으로는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건조된 조개풀 분량에 2 내지 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2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3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 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조개풀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조개풀 추출물에 추가로 유기용매를 가하여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단계 1)의 분획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활성분획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유기용매는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세파덱스, RP-18, 폴리아미드, 도요펄(Toyopearl) 및 XAD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충진제를 이용한 컬럼을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충진제를 선택하여 수차례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개풀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리카겔(silicagel)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흡착시키고 이동상으로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5:1(14.4 ℓ) 3:1(14.4 ℓ) 1:1(12 ℓ)], 클로로포름 : 메탄올[30:1(12 ℓ) → 10:1(10 ℓ) → 5:1(10.8 ℓ) → 1:1(12 ℓ)], 클로로포름 : 메 탄올 : 물(75:25:1)(12 ℓ) 용매 시스템을 적용하여 13번 분획물(컬럼분획-13)을 얻었다.
본 발명자들은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성분획을 대식세포에 50 ㎍/㎖ 농도로 처리하여 MTT 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물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은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 참조).
본 발명자들은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이 항염증 효능을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염증 유발 물질로 처리한 RAW264.7 세포에서 NOS의 생성 저해 효과 및 RBL-1 세포에서 류코트리엔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에서 NO 및 류코트리엔 생성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여 염증 억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표 2 및 표 3 참조).
본 발명자들은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이 보체계에 대한 항보체 활성을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양 적혈구를 이용하여 항보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조개풀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에서 모두 강한 항보체 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표 4 참조).
본 발명자들은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이 항천식 효능을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기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 성분획을 처리하여 항원투여된 천식동물모델의 천식 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개풀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이 기도과민성 억제 활성, 호산구 유입 억제 활성 및 기관지 폐포액의 면역글로불린 E(IgE) 생산 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여(표 5, 표 6, 표 7 및 도 1 참조), 항천식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분획물의 활성분획을 0.1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 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성분획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조개풀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량은 특정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기간, 투여방법, 제거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개체는 척추동물이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이며, 그보다 바람직하게는 쥐, 토끼, 기니아피크, 햄스터, 개, 고양이와 같은 실험동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침팬지, 고릴라와 같은 유인원류 동물이다.
상기 투여 방법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자궁내 경막 주사,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염증 관련 인자인 NO 및 류코트리엔의 활성을 저해하고 강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며, 천식동물모델에서 기도과민성 억제 활성, 호산구 유입 억제 활성 및 기관지 폐포액(BALF)의 면역글로불린 E(IgE) 생산 억제 활성이 우수하여, 염증성 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 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성분획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 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성분획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염증 관련 인자인 NO 및 류코트리엔의 활성을 저해하고 강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며, 천식동물모델에서 기도과민성 억제 활성, 호산구 유입 억제 활성 및 기관지 폐포액(BALF)의 면역글로불린 E(IgE) 생산 억제 활성이 우수하여, 염증성 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사료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염증성 질환에는 부종,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다양한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료첨가제는 가금류, 가축 등에게 꾸준히 섭취하게 함으로써 염증을 예방할 수 있고, 이미 발생한 염증을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에는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성분획이 0.1 ~ 20% 중량부, 지방분해효소(Lipase)가 0.001 ~ 0.01% 중량부, 제 3 인산칼슘이 1 ~ 20% 중량부, 비타민 E가 0.01 ~ 0.1% 중량부, 효소분말이 1 ~ 10% 중량부, 유산균이 0.1 ~ 10% 중량부, 바실러스(Bacillus) 배양액이 0.01 ~ 10% 중량부 및 포도당은 20 ~ 90% 중량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성분획이 유효량으로 첨가되어 있다면,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로서 가능하다.
상기 유효량이란, 가금류, 가축 등이 꾸준히 섭취하게 함으로써 염증을 예방하거나, 이미 발생한 염증을 치료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한다. 또한, 첨가에 의한 이익을 넘는 악영향이 생기지 않는 양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료첨가제는 추가적으로 가금류 및 가축 등에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사료첨가제를 그대로 또는 공지의 담체, 안정제 등을 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비타민, 아미노산류, 미네랄 등의 각종 양분,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균제 및 기타의 첨가제 등을 가할 수도 있으며, 그 형상으로서는 분체, 과립, 펠릿, 현탁액 등의 적당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를 공급하는 경우는 가금류 및 가축 등에 대하여 단독으로 또는 사료에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염증 관련 인자인 NO 및 류코트리엔의 활성을 저해하고 강한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며 천식 동물 모델에서 기도과민성 억제 활성, 호산구 유입 억제 활성 및 기관지 폐포액(BALF)의 면역글로불린 E(IgE) 생산 억제 활성이 우수하여, 염증성 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사료첨가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 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조개풀 추출물의 제조
<1-1>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조개풀은 대전 노은 및 충남 연기 근처에서 채집하여, 조개풀 전초 18 ㎏을 건조,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조개풀 시료에 메탄올 30 ℓ를 가한 후 상온에서 순환시키면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상층액을 모은 후, 감압농축하여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1.5 ㎏을 수득하였다.
<1-2> 조개풀 에탄올 추출물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제조방법에 따라 조개풀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메탄올 대신 에탄올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상층액을 모은 후, 감압농축하여 조개풀 에탄올 추출물 1.5 ㎏을 수득하였다.
<1-3> 조개풀 물 추출물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제조방법에 따라 조개풀 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메탄올 대신 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상층액을 모은 후, 감압농축하여 조개풀 물 추출물 1.5 ㎏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조개풀 분획물의 제조
<2-1> 조개풀 헥산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 8 ℓ에 현탁시키고, 헥산 6 ℓ를 가하여 혼합 후 헥산가용 분획부와 수가용성 분획부를 분리하였으며, 수가용성 분획에 동량의 헥산을 3회 반복 첨가하고 분획하여 조개풀 헥산 분획물 152.7 g을 수득하였다.
<2-2> 조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 8 ℓ에 현탁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6 ℓ를 가하여 혼합 후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분획부와 수가용성 분획부를 분리한 후 여과, 감압농축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조개풀 아세틸아세테이트 분획물 451.9 g을 수득하였다.
<2-3> 조개풀 부탄올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을 증류수 8 ℓ에 현탁시키고, 부탄올 6 ℓ를 가하여 혼합 후 부탄올가용 분획부와 수가용성 분획부를 분리한 후 여과, 감압농축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조개풀 부탄올 분획물 364.3 g을 수득하였다.
<2-4> 조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크로마토그래피 활성분획 제조
상기 실시예 <2-2>에서 수득한 조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실리카겔에 흡착시키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72-230 메쉬, 10×65 ㎝)를 이용하여 이동상으로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5:1(14.4 ℓ) 3:1(14.4 ℓ) 1:1(12 ℓ)], 클로로포름 : 메탄올[30:1(12 ℓ) → 10:1(10 ℓ) → 5:1(10.8 ℓ) → 1:1(12 ℓ)], 클로로포름 : 메탄올 : 물(75:25:1)(12 ℓ) 용매 시스템을 적용하여, 주요성분이 포함된 13번 분획물(컬럼분획-13)을 수득하였다.
< 실험예 1>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성분획의 세포독성실험
생쥐의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을 5%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사) 배지에 2x104 세포수/㎖의 농도로 현탁하여 100 ㎕씩 96 웰 플레이트(96 well plate)에 접종하여 부착하였다. 부착한 후 4시간 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조개풀 추출물,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분획물 또는 상기 실시예 <2-4>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럭분획-13을 각각 50 ㎍/mℓ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5 ㎎/mℓ의 MTT용액을 웰당 10 ㎕씩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를 100 ㎕씩 첨가한 후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세포생존률은 DMSO를 0.25% 처리한 음성대조군을 100%로 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세포생존율(%) = (추출물을 처리한 흡광도 570 ㎚ 값 / 음성대조군 흡광도 570 ㎚ 값) × 100
그 결과, 음성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물 추출물, 헥산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부탄올 분획물은 세포생존을 억제하였지만,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물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은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1).
시료(50㎍/㎖) 세포생존율(%)
음성대조군 100.0±0.047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107.0±0.079
조개풀 에탄올 추출물 116.0±0.037
조개풀 물 추출물 57.0±0.064
헥산 분획물 76.0±0.062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66.0±0.051
부탄올 분획물 91.0±0.016
물 분획물 118.0±0.064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 109.0±0.093
< 실험예 2>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성분획의 염증 억제 효과
<2-1> NO 생성 저해 효과 측정
조개풀 추출물의 RAW264.7 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인위적으로 유발시킨 염증에 대한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페놀레드(phenol-Red)가 들어있지 않은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Gibco)배지에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을 5% 첨가하고, 1x105 세포를 현탁하여 96웰 플레이트(96 well plate)에 접종하였다. 4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시료에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을 50 또는 100 ㎍/mℓ의 농도로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1 ㎍/㎖의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lipopolysaccharide, Sigma)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상층액 100 ㎕를 회수하여 새로운 96 웰 플레이트에 넣고,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Sigma)을 동량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측정기(microplate reader, Bio-Rad)로 540 ㎚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배양액 내의 NO 생성량을 구하였으며, LPS를 처리한 군의 NO 생성량을 100%로 하여 각 시료의 저해율을 %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물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또는 활성분획은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0 ㎍/㎖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 처리시, 현저한 NO 생성 저해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표 2).
시  료 농도(㎍/㎖) NO(μM) 저해율(%)
음성대조군  4.59±0.25
LPS처리군 1 22.09±0.35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50  12.30±0.25 44.3
100 9.16±0.35 58.5
조개풀 에탄올 추출물 50  18.59±0.45 15.8
100 22.09±1.35 0.0
조개풀 물 추출물 50  18.34±0.30 17.0
100 17.73±0.05 19.7
헥산 분획물 50  8.37±1.367 62.1
100 12.94±0.86 41.4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0  8.41±1.01 61.9
100 5.34±0.10 75.8
부탄올 분획물 50  14.51±0.66 34.3
100 10.09±0.86 54.3
물 분획물 50  21.12±0.51 4.4
100 21.51±0.05 2.6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 50  9.44±0.66 57.2
100 5.69±0.40 74.2
<2-2> 류코트리엔 합성 저해 효과
ATCC에서 구입한 RBL-1 세포를 배지(100 units/㎖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 10 ㎎/㎖ 겐타마이신, 2 mM L-글루타민, 0.1 mM 비필수아미노산, 10 % 우태혈청을 함유하는 RPMI 1640)에 배양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세포를 5× 105  세포/㎖의 농도로 96 웰 플레이트(96 well plate)에 200 ㎕ 씩 분주하였다. 이 플레이트에 음성대조군은 DMSO를 0.1%, 양성대조군은 질루톤(Zileuton) 1 uM을 각각 처리하였고, 실험군은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을 농도별(30 또는 50 ㎍/㎖)로 처리하여 37℃의 CO2 배양기 내에서 10분 동안 배양한 후, 이온운반체인 A23187을 10 uM 농도로 처리한 후, 다시 37 ℃의 CO2 배양기 내에서 20분 동안 배양한 후, 반응물을 4℃에서 250 ×g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으로부터 유리된 류코트리엔의 양을 류코트리엔 측정 키트(LTC4 assay kit, Cayman)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류코트리엔 생성 저해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분획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류코트리엔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 ㎍/㎖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현저하게 류코트리엔 생성이 저해되었다(표 3).
시  료 농도(㎍/㎖) 류코트리엔(pg/㎖) 저해율(%)
음성대조군  223.5±2.88
질루톤(Zileuton) 처리군 1 uM 78.9±3.49 64.7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50  136.82±3.17 38.8
조개풀 물 추출물 50 276.2±2.75 -
핵산 분획물 50  298.0±11.70 -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0 29.8±2.53 86.7
부탄올 분획물 50  184.0±14.52 17.7
물 분획물 50  233.2±13.14 -
시  료 농도(㎍/㎖) 류코트리엔(pg/㎖) 저해율(%)
음성대조군  310.74±72.74
질루톤(Zileuton) 처리군 1 uM 16.13±2.71 94.8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30 179.45±29.52 24.3
50  146.12±4.09 38.4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0 113.38±12.67 52.2
50  33.30±6.37 86.0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 30 164.64±27.47 30.6
50  82.04±10.89 65.4
<2-3> 항보체 활성 증가 효과
항보체 활성측정은 Meyer 등의 방법(Kabat, E. A. et al., in "Experimental Immunochemistry" 2nd ed, 1961)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신선한 양 적혈구를 차가운 젤라틴-베로날 완충용액(1.8 mM 소듐 바비탈, 3.1 mM 바비탈 산, 0.1% 젤라틴, 0.141 M 소금, 0.3% 나트륨아자이드, 0.5 mM 마그네슘클로라이드 및 0.15 mM 칼슘클로라이드, pH 7.3)에서 3회 세척한 후, 5×108 세포수/㎖로 농도를 맞추었다. 항체(anti-sheep red blood cell stroma rabbit antisera, S-1389, Sigma)를 1/80 내지 1/120으로 동일 완충용액에서 희석한 후, 양 적혈구 희석액과 동일 부피로 섞고 37℃ 항온기에서 1시간 동안 느리게 교반하여 면역복합체(sensitized erhthrocytes, EA)를 제조하였으며, 차가운 동일 완충용액으로 2회 세척하고 면역복합체 농도를 5 ×108 세포수/㎖로 맞추었다.  인체 혈액을 2500 ×g에서 원심분리하여 얻은 보체(혈청)를 상기 완충용액에서 1/80 내지 1/100으로 희석하고, 면역복합체 용액 40 ㎕, 보체 희석액 80 ㎕ 및 완충용액 80 ㎕를 섞은 후 37℃ 항온기에서 반응시킨 다음, 즉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100 ㎕에 대하여 504 ㎚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각 항체 및 보체(혈청) 농도별로 흡광도를 계산하여 50% 용혈(표준 용혈)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항체 및 보체(혈청)의 희석 농도를 결정하였다.  시료의 항보체 활성은 조개풀 추출물 및 분획물을 DMSO에 녹이고 표준용혈에 첨가하는 완충용액 80 ㎕에 2.5%로 희석한 후 상기 방법으로 흡광도 측정을 3회 반복하여 시료에 의한 흡광 저하도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보체의 용혈 활성에 대한 조개풀 추출물의 용혈억제 활성을 항보체 활성으로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따라 환산하였다.
용혈도(%) = (시료 처리군의 용혈 흡광도 - 시료 자체의 흡광도) / (반응액의 최대 용혈 흡광도 - 반응액 자체의 흡광도) × 100
항보체 활성도(%) = (1 - 시료 처리군의 용혈도 / 표준용혈 조건의 용혈도) × 100
그 결과,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성분획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보체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에서 강한 항보체 활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표 4).
시  료  농도(㎍/mℓ) 항보체 활성도(%)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25 11.3
50 38.2
100 75.8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2.5 27.4
25 84.6
50 99.4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 25 12.6
50 37.5
100 82.5
< 실험예 3> 생체 내( in vivo ) 조개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성분획의 천식 억제 효과
<3-1> 실험동물의 기도 감작 및 항원 투여
(주)오리엔트(Seoul, Korea)에서 구입한 8주된 특정병원체 미감염 암컷 흰쥐(Balb/c)(무게: 약 20 g)에 2주 간격으로 수산화알루미늄(Sigma A8222) 2 ㎎과 난백알부민(OVA) 20 ㎍(Sigma A5503)을 현탁한 인산완충용액(pH 7.4) 100 ㎕을 2회 복강에 주입하여 감작시켰다. 그 후 28, 29 및 30일째 초음파분무기를 사용하여 1% 난백알부민을 첨가한 인산완충용액을 20분간 분무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기도 감작을 일으키지 않은 마우스군(5마리), 양성대조군은 기도 감작 후 PBS 50 ㎎/㎏를 투여한 군(5마리)을 사용하였고, 실험군은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상기 실시예 <2-2>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상기 실시예 <2-4>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 30 ㎎/㎏ 또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3 ㎎/㎏을 인산완충용액에 현탁한 후에 항원 투여하기 1시간 전에 구강 투여하였다.
<3-2> 기도과민성 저하 효과
상기 실험예 <3-1>에서의 마지막 항원 투여 후 24시간 뒤에 기도과민성을 측정하였다. 기도과민성의 측정은 신체체적 변동기록기(whole-body plethysmography)를 사용하여 메타콜린 용액을 각각 0, 12.5 및 25 ㎎/㎖ 농도로 분무한 후에 기관지 수축에 의한 호흡율을 기록하여 펜(Penh) 값으로 환산하였다.
그 결과,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은 난백알부민(OVA)을 처리한 동물군에 비하여 메타콜린 30 ㎎/㎏ 처리군에서 유의성 있는 펜(Penh) 값의 저하율을 나타내어 현저하게 기도과민성을 감소시켰다(표 5).
펜(Penh) 값 / 메타콜린 처리량(㎎/㎖)
0 6.25 12.5 25
OVA 처리군 0.52±0.07 0.81±0.27 1.66±0.58 5.18±0.86
OVA +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저하율)
0.49±0.10
(-)
0.76±0.20
(6.2%)
1.44±0.44
(13.3%)
2.16±1.08
(58.3%)
OVA +
조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저하율)
0.48±0.08
(-)
0.81±0.32
(-)
1.58±0.78
(4.8%)
3.46±1.14
(33.2%)
OVA +
조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
(저하율)
0.62±0.08
(-)
0.78±0.04
(3.7%)
1.45±0.67
(12.7%)
2.42±0.40
(53.3%)
OVA+덱사메타손
(저하율)
0.48±0.20
(-)
0.58±0.15
(28.4%)
0.98±0.45
(41.0%)
1.61±0.44
(68.9%)
<3-3> 기관지폐포액의 염증세포 유입 억제 효과
상기 실험예 <3-2>의 동물모델에 과량의 펜토바비탈(pentobarbital, Sigma P3761)을 투여하여 치사시키고 기관지 절개를 수행하였다. 기관지 폐포세척액(BALF)은 기관에 카뉼라 삽입방법으로 0.5 ㎖씩 3회 흡입하여 수득한 후, 총 염증세포 및 호산구 수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수득한 각 실험군의 기관지 폐포액 100 ㎕를 슬라이드에 놓고 사이토스핀 기기(한일, 한국)를 사용하여 원심분리를 하여 세포를 슬라이드에 고정하였다. 트립판블루(trypan blue)로 염색하여 죽은 세포를 제외한 총 세포수를 헤마사이토미터(hemacytometer)에서 계산하였으며 3 반복으로 측정하였다(Daigle I et al., Swiss Med. Wkly., 131, pp231-237, 2001). 호산구수는 디프-퀵(Diff-Quick) 시약(Sysmex, Cat No. 38721, Switzerland)으로 염색한 후 판별하고 총 세포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난백알부민(OVA)을 처리한 동물군에 비하여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 처리 동물군은 총 염증세포수 및 호산구수가 50% 이상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조개풀 추출물은 염증세포 유입의 탁월한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표 6).
총 염증세포 호산구
세포수
(×104 세포수/쥐)
저해도
(%)
세포수
(×104 세포수/쥐)
저해도
(%)
(-) 대조군 12.8 ± 10.2 - 1.0 ± 1.0 -
OVA 처리군 199.4 ± 35.9 - 99.5 ± 21.6 -
OVA+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79.9 ± 15.6 58% 28.9 ± 8.0 71%
OVA+
조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80.3 ± 13.6 60% 25.0 ± 9.2 75%
OVA+
조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컬럼분획-13
90.3 ± 17.2 55% 34.7 ± 19.2 65%
OVA+덱사메타손 46.0 ± 5.2 77% 13.5 ± 4.6 84%
<3-4> 폐 조직 분석
상기 실험예 <3-3>의 각 실험군의 기관지 폐포세척액을 수득한 직후, 폐조직을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24시간 담가 고정한 후에 조직을 파라핀에 끼워 6 ㎛의 두께로 마이크로톰(microtome, SLEE MAINZ, Germany)을 이용하여 절편을 제조하였고, 그 절편을 헤마톡실린(hematoxylin, Mayer's hematoxylin solution, Sigma, MHS-16)과 에오신(Eosin Y solution ascoholic, Sigma, HT110-1-32)으로 염색하여 조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폐 조직의 조직학 검사에서 기도 기관지 조직의 두께와 염증세포 수와 비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도 감작되지 않은 정상 상태보다 난백알부민으로 감작하고 이차 항원을 투여한 쥐의 경우 기도와 혈관주변에 현저하게 많은 염증세포가 유입된 것을 확인하였고,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을 30 ㎎/㎏으로 처리한 경우, 기도 주변의 염증세포의 유입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기관지 조직의 두께가 경감되었다(도 1).
<3-5> 면역글로불린 E( IgE ) 분석
면역글로불린 E(IgE) 분석은 샌드위치형 효소-면역반응(sandwich-typ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방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예 <3-3>에서 수득한 각 실험군의 기관지폐포액 100 ㎕을 포획용(capturing) 면역글로불린 E 항체가 붙어 있는 96 웰 플레이트(96 well plate)에 넣어 1시간 동안 실온에서 항원-항체 반응을 유도하였는데, 이때 면역글로불린 E가 붙어 있는 플레이트는 미리 5% 탈지분유를 이용해 1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한 후 세척액(인산완충용액 + 0.1% tween 20)으로 3회 세척하였다. 항원-항체반응이 끝난 후 다시 3회 세척한 후, 양고추냉이 퍼록시다제(horseradish peroxidase, HRP)가 결합된 검출용(detection) IgE 항체(mouse, PharMingen, San Diego, USA)를 100 ㎕씩 각각의 웰(well)에 넣어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세척액으로 5회 세척한 후, 오르토 페닐렌 디아민(ο-phenylene diamine, OPD)과 과산화수소(H2O2)를 기질로 사용하여 발색반응을 유도한 후 40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실험군의 기관지 폐포액의 면역글로불린 E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난백알부민으로 감작된 쥐의 경우, 인산완충용액만 투여한 무처리군의 쥐에서는 면역글로불린 E의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되었으나,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활성분획 처리군에서는 인산완충용액 처리군에 비하여 면역글로불린 E의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표 7).
면역글로불린E 함량(ng/mℓ) 면역글로불린 E 생성 저해율
(-) 대조군 1.0 이하
OVA 처리군 557.0±106.0 0
OVA+
조개풀 메탄올 추출물
374.0±167.0 33%
OVA+
조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29.0±14.0 77%
OVA+
조개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컬럼분획-13
265.0±152.0 51%
OVA+
덱사메타손
284.0±197.0 49%
<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추출물 2 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의 제조
실시예 <1-1>의 추출물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실시예 <1-1>의 추출물 150 ㎎
대두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추출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2-2>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추출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3>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추출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2-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추출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5>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실시예 <1-2>의 추출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실시예 <1-2>의 추출물(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조예 3> 음료의 제조
<3-1>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추출물 5 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3-2>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추출물 5 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 ㎖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3-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추출물 1 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4> 사료첨가제의 제조
본 발명자들을 실시예 <2-2>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사료첨가제의 조성>
실시예 <2-2>의 분획물: 0.1 ~ 20% 중량부,
지방분해효소(Lipase): 0.001 ~ 0.01% 중량부,
제 3 인산칼슘: 1 ~ 20% 중량부,
비타민 E: 0.01 ~ 0.1% 중량부,
효소 분말: 1 ~ 10% 중량부,
유산균: 0.1 ~ 10% 중량부,
바실러스(Bacillus) 배양액: 0.01 ~ 10% 중량부, 및
포도당: 20 ~ 90% 중량부.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은 항염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므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관련된 약제, 또는 염증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사료첨가제의 개발과 이들을 이용한 개선 또는 치료 방법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기도 감작한 후 기관지 폐포의 세포조직학적 분석을 나타낸 그림이다.

Claims (9)

  1. 조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개풀 추출물은 조개풀 건조물을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4. 조개풀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6. 조개풀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추가적으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흡착시키고 이동상으로 헥산 : 에틸아세테이트[5:1(14.4 ℓ) 3:1(14.4 ℓ) 1:1(12 ℓ)], 클로로포름 : 메탄올[30:1(12 ℓ) → 10:1(10 ℓ) → 5:1(10.8 ℓ) → 1:1(12 ℓ)], 클로로포름 : 메탄올 : 물(75:25:1)(12 ℓ) 용매 시스템을 적용하여 분리한 활성분획(컬럼분획-13)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7. 제 1항, 제 4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9. 조개풀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사료첨가제.
KR1020090073274A 2009-08-10 2009-08-10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8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74A KR101078365B1 (ko) 2009-08-10 2009-08-10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74A KR101078365B1 (ko) 2009-08-10 2009-08-10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846A KR20110015846A (ko) 2011-02-17
KR101078365B1 true KR101078365B1 (ko) 2011-11-01

Family

ID=4377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274A KR101078365B1 (ko) 2009-08-10 2009-08-10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9303B (zh) * 2018-02-06 2020-07-17 苏州科技大学 荩草黄酮提取工艺及其应用
KR102268932B1 (ko) 2018-08-23 2021-06-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1327A1 (en) 2003-03-24 2004-09-30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Method of treating and/or preventing asthma using natural compound luteol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1327A1 (en) 2003-03-24 2004-09-30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Method of treating and/or preventing asthma using natural compound luteoli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BULLETIN OF THE CHEMICAL SOCIETY OF JAPAN
도서자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846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2942B2 (ja) 多量の有効成分を含有するシュードリシマキオン・ロツンダム変種スブインテグルムから単離された精製抽出物、その調製、ならびに有効成分としてそれを含む炎症、アレルギーおよび喘息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115500B1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12051B1 (ko)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8461B1 (ko)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8365B1 (ko) 조개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04347B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9728B1 (ko) 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9596B1 (ko) 편백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염증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1738A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2580A (ko) 질려자로부터 분리한 엔-트랜스-로우-카페오일 티라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88211B1 (ko) 데카스퍼뮴 프루티코숨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4587B1 (ko) 간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675658B2 (en) Method of treating inflammation, allergy and asthma with a purified extract (ATC2) isolated from Pseudolysimachion rotundam var. subintegrum containing abundant amount of active ingredient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5760B1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5154B1 (ko) 회양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1739A (ko) 분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7523171A (ja) アレルギー性疾患、炎症性疾患、喘息又は慢性閉塞性肺疾患の予防又は治療のための、十分な量の有効成分を含有する、シュードリシマキオン・ロツンダム変種スブインテグルムから単離された新規の化合物、その化合物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使用
WO2012030137A2 (ko) 벨벳애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알레르기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