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091A -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091A
KR20140026091A KR1020120093055A KR20120093055A KR20140026091A KR 20140026091 A KR20140026091 A KR 20140026091A KR 1020120093055 A KR1020120093055 A KR 1020120093055A KR 20120093055 A KR20120093055 A KR 20120093055A KR 20140026091 A KR20140026091 A KR 20140026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extract
fine leaf
perilla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신태용
김희훈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6091A/ko
Publication of KR2014002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은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유전자들인 TNF-α, IL-6 및 IL-8의 발현 및 전사인자인 NF-ĸB 활성을 억제하고,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있는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Mosla chinensis Maxim(Labiatae)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allergic disease}
본 발명은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은 몸을 구성하는 세포에 파괴를 주는 연속적이고 복합적인 반응이다. 염증 반응은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침입에 의해 형성되는 병리적 상태를 말하며, 이러한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고 하는 생체의 방어 반응과정이다. 이러한 방어기작은 사이토카인, 혈장 효소계(plasma enzyme systems)(보체계, 응고인자, 키닌 등), 다른 세포들로부터 분비되는 지질 전달자(프로스타글라딘, 뉴코트리엔), 비만세포, 백혈구(basophils), 혈소판(platelets)으로부터 증가되는 혈관내에 조절자들의 작용에 의해 조절된다(Ross A. et al., 2002). 대식세포는 선천성 면역(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adaptive immunity)에 관여를 하며,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 등에 대하여 대식세포가 활성화된다.
일반적으로 염증반응은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으로 인한 손상을 재생하기 위한 생체방어 기작이고, 이 반응 과정에서는 국소의 혈관, 체액의 각종 조직세포 및 면역세포 등이 작용한다. 정상적으로 외부 침입균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은 생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어작용인 반면,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염증반응이 유도되는 경우 다양한 질환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는 인체의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으로서 급성염증,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관절 내에서의 질환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피부질환 및 기관지 천식 등의 알레르기성 염증 질환 등이 있다. 만성적 염증 질병 중 하나인 천식은 기도 과민반응(airway hyperresponsiveness), 폐 조직으로 염증세포의 침착, 점액의 과다 생산에 의해 일어나며(Kon and Kay, 1999), 인터루킨-4(IL-4), 인터루킨-5(IL-5), 인터루킨-13(IL-13) 등을 포함한 사이토카인과, 에오텍신, 렌티스 등의 케모카인이 과다 발현되면서 알레르기성 천식이 유도된다. 활성이 된 면역세포인 B 세포에는 비만세포와, 호산성구(eosinophils) 세포가 다양한 염증 유도 매개체를 생산한다(Kay AB.2001). 호산성구 세포는 천식발병의 기초적인 영향 매개체로써 미립의 단백질을 증가시키고,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생성시킨다(Elsner J et al., 1999).
알레르기란 광범위하고 복잡한 병리적 현상의 총화로 면역반응에 근거한 생체의 전신적 또는 국소적인 장애이다. 인체에 나타나는 알레르기는 면역 기전에 따라 I, Ⅱ, Ⅲ 및 Ⅳ형으로 분류되며, 이 중에서 즉시형 과민반응에 속하는 I형 알레르기가 임상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 천식, 고초열 및 화분증 등이 여기에 속한다. Ⅰ형 알레르기는 비만세포의 활성화에 의해 일어나며, 이러한 비만세포의 과립에 염증의 매개체인 히스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이 알려진 것은 1953년경이다.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때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방출되는 현상이 발견된 후에 이 기전을 규명하던 중, 이시자까(Ishizaka)의 IgE의 발견은 비만세포가 즉시형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함을 밝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즉, 비만세포 표면에는 IgE 고친화성 수용체가 있으며, 이 수용체에 IgE가 결합한 후 다시 항원이 결합하여 가교가 형성되면 탈과립반응이 유발되어, 과립 내용물인 히스타민, 세로토닌(Serotonin), 브라드키닌(Bradykinin) 등과 같이 합성되어 저장되어 있던 매개물질(Preformed mediator)과, 프로테아제(Protease),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등이 동시에 방출되는 것이다(Ishizaka 등, Histamine release from rat mast cells by antibodies against rat basophilic leukemia cell membrane. J Immunol 1977, 119: 1589-1596). 1970년대 이후 새로운 지질성의 염증 매개체에 대한 연구 결과가 보고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은 세포의 활성화에 동반하여 세포막 인지질로부터 생산된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s), 류코트리엔류(Leukotriens), 트롬복산(Thromboxane), 글리세로포스포리피드(Glycerophospholipids) 유도체인 PAF(Platelet activating factor) 등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신생 매개체들로서 Ⅰ형 알레르기 반응을 포함한 각종의 염증 반응에 관여함이 밝혀졌다. 이러한 지질성 매개체는 IgE 수용체가 가교를 형성할 때 비만세포에서 탈과립반응과 병행해서 생산, 방출된다. 또한 비만세포의 활성화에 동반하여 면역반응의 조절인자로 잘 알려진 사이토카인에는 IL-3(비만세포 증식인자), IL-4, IL-5 등이 있다(Galli SJ 등, Cytokine production by mast cells and basophils. Curr Opin Immunol 1991, 3:865-72, Bradding P 등, Immunolocalization of cytokines in the nasal mucosa of normal and perennial rhinitic subjects. The mast cell as a source of IL-4, IL-5, and IL-6 in human allergic mucosal inflammation. J Immunol 1993, 151:3853-3865).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레르기 치료 약물은 작용기전에 따라 탈과립 저해제, 화학전달물질 작용억제제, 화학전달물질 합성 저해제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들 약물들 중 화학전달물질 작용억제제와 화학전달물질 합성저해제의 경우 약물작용점이 비교적 확실하지만, 탈과립 저해제의 경우 그 작용기전이 불분명한 상태이다. 또 이들 약물들은 장기간 투여에 의해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Ⅰ형 알레르기는 비만세포의 활성화에 의해 방출되는 과립내용물인 활성아민류와 프로테아제류, 세포막 인지질에서 생성되는 지질성 매개체, 전사의 활성화에 의해 생산되는 사이토카인류 등이 관련되어 일어나는 생체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종합할 수 있다. Ⅰ형 알레르기의 치료를 위해서는 비만세포에서 이들 생리활성 물질의 생산 및 유리에 대한 작용기전을 밝히고, 장기복용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세포에서 작용기전이 확실한 생리활성 물질의 생산 및 유리를 조절하는 약물을 개발한다면 알레르기의 예방 및 치료제가 될 것이다.
천식(asthma)은 대부분 알레르기성 질환으로 기도의 광범위한 협착에 의해 발생하는 천명(喘鳴), 호흡곤란, 기침 등의 임상 증세들은 자연히 혹은 치료에 의해 가역적으로 호전될 수 있다(Minoguchi K and Adachi M. 1999). 천식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개발국에서는 3 ~ 10%가 천식을 앓고 있다(Martin BLet al., 1997). 일부 천식 치료에 대한 치료제가 존재하나 부작용이 있다. 알레르기 질병에 대한 치료제로 이용되는 것은 부신피질 호르몬 성분을 이용한 덱사메타손, 코티손 등이 있다. 천식 치료에 있어 부신피질 호르몬 성분은 호산성구의 침식을 억제하고 기관지의 점막으로의 호산성구와 림프구의 이동을 억제하고 TH2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시킨다(Trigg CJ et al.,1994 and Caramori G et al.,2005). 그러나 이들은 염증 치료제로서 작용을 하나, 독성이 강하며, 부작용으로 부종 같은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염증 원인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여 심한 면역억제를 유발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Check WA, Kaliner MA, 1990). 현존하는 항염증 치료제는 부신피질 호르몬 성분을 이용한 스테로이드 치료제로 부작용을 나타내므로 부작용이 없는 비스테로이드 성분의 치료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생체내에서 부작용 및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생약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식물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이용하여 염증 및 천식 치료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알레르기 항원에 피부가 노출되면 랑게르한스 세포의 표면에 있는 IgE 수용체에 항원 특이 IgE가 결합하고, 이 항원의 표면에 있는 T세포에 전달되어 T세포가 활성화 된다. 이 경우 정상과 달리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특히, 아토피 피부염에서는 Th2가 활성화되어 IL-4, IL-5, IL-6, IL-8, IL-10, IL-13 등의 사이토카인이 분비되고, 그 결과 B 세포에서 IgE의 생성이 촉진되고, 활성화되어 있는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촉진시켜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히스타민이 유리된다(Baruah C. C. et al., Pharmacol Res. 1998, 38, 487-492; Karadag C. H. et al.,Braz. J. Med. Biol. Res. 2000, 33, 327-330; Paolini R. et al., Nature. 1991, 353, 855-858).
한편, 가는잎산들깨(Mosla chinensis Maxim)는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서, 높이는 10~30㎝이며, 잎은 마주나고 피침 모양이다. 7~8월에 붉은 꽃이 총상화서로 핀다. 보통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거서, 활혈, 이기, 화습, 복통, 수양성설사, 습진 등에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는잎산들깨는 다양한 약리효과에 대해 알려져 있지만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된 바 없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염증 또는 천식을 포함한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가는잎산들깨(Mosla chinensis Maxim, EMCM) 추출물이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유전자들인 TNF-α, IL-6 및 IL-8의 발현 및 전사인자인 NF-ĸB 활성을 억제하고,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있는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은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유전자들인 TNF-α, IL-6 및 IL-8의 발현 및 전사인자인 NF-ĸB 활성을 억제하고,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있는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EMCM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세포외 분비에 대한 EMCM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전사인자인 NF-ĸB의 활성에 대한 EMCM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유리에 대한 EMCM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비만세포의 세포내 칼슘에 대한 EMCM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국소 피부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EMCM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비만세포에서 EMCM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도이다.
본 발명은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인 추출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먼저, 건조된 분말 형태의 가는잎산들깨를 건조 중량의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 부피의 물, C1-C4 의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60~100℃, 바람직하게는 70℃에서 3~8시간, 바람직하게는 5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C1-C4 알콜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은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유전자들인 TNF-α, IL-6 및 IL-8의 발현 및 전사인자인 NF-ĸB 활성을 억제하고,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있는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은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급성 염증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9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로부터 분리한 활성분획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 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500 내지 2000㎎/day이고, 하루 1~3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이란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레르기”는 어떤 외래성 물질과 접한 생체가 그 물질에 대하여 정상과는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및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가는잎산들깨 수 추출물의 제조
가는잎산들깨는 대한민국 완주에서 직접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건조시킨 분말 형태의 가는잎산들깨 100g을 증류수 500㎖를 가하고 50℃에서 5시간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진공 여과하여 여액을 얻고, 이를 감압농축기(EYELA사, N-1000, 일본)로 농축하여 가는잎산들깨 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가는잎산들깨 수 추출물을 이하 ‘EMCM’이라 한다.
[ 실험예 1] : 가는잎산들깨 수 추출물( EMCM )의 염증 유발 저해 효과
1-1. 시약 및 세포 배양
포르볼-12-미리스테이트-13-아세테이트(Phorbol-12-myristate-13-acetate, PMA, Cat No. P145), 칼슘 이오노포어 A23187(calcium ionophore A23187, Cat No. C7522)은 Sigma사에서 구입하였다. 항 TNF-α와 IL-6 및 IL-8 항체는 R&D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인체 비만세포주인 HMC-1 세포(미국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Dr. Cologan으로부터 제공)는 10% FBS가 첨가된 Invitrogen사(미국)의 Iscove's media(Cat No. 12200-036)에서 배양하였다.
1-2. 역전사연쇄중합반응( reverse transcriptase - polymerase chain reaction , RT -PCR)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분석
RNA 분리 kit(RNA-spin, iNtRON 사)를 사용하여 세포로부터 총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총 RNA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한 후, 1㎍의 RNA로 cDNA를 합성하고, 이 cDNA를 주형으로 표 1에 기재된 다양한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여 PCR로 증폭하였다(PCR 조건: 변성- 94℃에서 30초, 프라이머 결합- 60℃에서 30초, 신장- 72℃에서 1분 30초). 이때, 대조군으로 β-actin에 대한 PCR을 함께 실시하며 얻어진 DNA 생성물은 1.5% 아가로오스 겔에서 전기영동을 수행한 후에 염색시약(Ethidium bromide, Sigma 사 Cat No. E7637)으로 염색하여 UV하에서 카메라(Kodak DC 290 digital camera)로 확인 및 관찰하였다.
유전자
(Gene)
프라이머
Annealing
temperature (℃)
Amplified
size(bp)
TNF-α
sense
(서열번호1)
5'-cct acc aga cca agg tca ac-3' 57
279
antisense
(서열번호2)
5'-agg ggg taa taa agg gat tg-3'
IL-6
sense
(서열번호3)
5'-aaa gag gca ctg gca gaa aa-3' 59
412
antisense
(서열번호4)
5'-atc tga ggt gcc cat gct ac-3'
IL-8
sense
(서열번호5)
5'-aca gca gag cac aca agc tt-3' 59
247
antisense
(서열번호6)
5'-ctg gca acc cta caa cag ac-3'
β-actin
sense
(서열번호7)
5'-gga ctt cga gca aga gat gg-3' 54
234
antisense
(서열번호8)
5'-agc act gtg ttg gcg tac ag-3'
1-3.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EMCM 의 효과
비만세포에서 유리되거나 새로 합성되어 분비됨으로서 염증성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생리활성물질인 종양 괴사인자-알파(이하 TNF-α라 함), 인터루킨-6(이하 IL-6라 함) 및 인터루킨-8(이하 IL-8라 함)과 같은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대한 EMCM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만세포를 활성화하여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하는 PMA와 A23187을 인체 비만세포주인 HMC-1에 투여하고, 역전사연쇄중합반응(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각각의 mRNA 발현양을 측정하였다. HMC-1 비만세포를 2 mM 페닐메탄에설포닐 플루오라이드(Phenylmethanesulfonyl fluoride, Sigma 사 Cat No. P7626)와 10 μg/㎖의 류펩틴(leupeptin; Sigma 사 Cat No. L2884)을 함유한 추출완충액(1% triton X-100, 0.5% sodium deoxycholate, 0.1% SDS를 함유한 PBS용액)으로 용해시킨 후, 신디케이션(syndication)하여 DNA를 조각내었다. 단백량은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으로 이용해서 Bio-Rad 사의 protein assay kit(Cat No. 500-000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총 단백 10-50 μg을 0.1% SDS를 함유한 8-12% (w/v) 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한 후에 겔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electroblotting 방법으로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NC) 필터에 옮긴 후, 비특이적인 결합을 차단하기 위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 필터를 5% 탈지분유를 함유한 tris-buffered saline-tween(TBS-tween; Sigma 사) 용액에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를 타겟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함유한 TBS-tween 용액에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HRP(horseradish peroxidase, Sigma 사 Cat No. P0889)로 표지된 2차 항체로 표지하였다. ECL(Enhanced chemiluminescence, Sigma 사 Cat No. A4685)을 이용하여 밴드들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EMCM을 농도별로 전 처리한 결과 EMCM이 농도 의존적으로 TNF-α, IL-6 및 IL-8의 mRNA 발현양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EMCM이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킴을 알 수 있다.
1-4.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세포외 분비에 대한 EMCM 의 효과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EMCM의 효과가 이들 사이토카인의 세포외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만세포를 활성화하여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진하는 PMA와 A23187을 인체 비만세포주인 HMC-1에 투여하고 EMCM을 처리하여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세포활성물질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PBS(pH 7.4)로 희석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100μl씩 각각 코팅하고, 0.05% tween이 함유된 PBS로 씻어낸 다음에 1% BSA, 5% 수크로오스, 0.05% NaN3를 함유한 PBS 용액으로 1시간 동안 차단(blocking)하였다. 여러 번 씻어낸 다음에 이를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과 각각의 1차 항체를 첨가한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바이오틴이 결합된 2차 항체(Sigma사 Cat No. R3631)를 첨가한 후에, 아비딘 퍼옥시다제(avidin peroxidase, Sigma사 Cat No. A7419)를 첨가하고 기질인 ABTS 용액(Sigma사 Cat No. A1227)을 첨가하고, 발색반응은 병소 감염 진단 테스트 해독기(ELISA reader, Anthos2010, Anthos Labtec사)를 사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EMCM을 농도별로 전 처리한 결과 EMCM이 농도 의존적으로 TNF-α, IL-6 및 IL-8의 분비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EMCM이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시킴을 알 수 있다.
1-5. NF -ĸB에 대한 EMCM 의 효과
EMCM이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및 IL-8의 발현을 억제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보다 정확한 신호전달 기전을 밝히기 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전사를 조절하는 인자로서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을 매개하는 중요한 신호전달 물질인 NF-ĸB의 활성화에 대해 측정하였다. 비활성 상태의 NF-ĸB는 내인성 억제 단백질인 억제 인자-ĸB(IĸBα)에 결합하여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활성화되면 IĸBα가 인산화되어 분해되면서 이들로부터 유리되어 핵으로 이동하여 전사인자로 활동하므로 IĸBα에 대한 분해 영향도 아울러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도 3의 A에 나타내었다.
도 3의 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비만세포주인 HMC-1세포를 PMA와 A23187로 자극하면 IĸBα가 분해되고, 여기에 EMCM을 처리할 경우 세포질내 NF-ĸB의 양에는 변화가 없으나, 핵내의 NF-ĸB가 감소함을 통해 EMCM은 NF-ĸB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으며 이는 핵내에서 관여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사인자 활성에 의한 분자적 반응의 최종단계 과정에도 EMCM이 관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만세포주인 HMC-1 세포에 NF-ĸB의 활성화에 의한 루시퍼라제를 발현되도록 만든 유전자 벡터를 형질감염(transfection)시킨 후, EMCM을 처리하여 루시퍼라제 분석법(luciferase assay)을 이용하여 루시퍼라제의 형광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도 3의 B에서 나타내었다.
도 3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EMCM을 처리할 경우 루시퍼라제의 형광이 감소하므로 결국 EMCM이 비만세포의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NF-ĸB의 활성화를 최종적으로 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 비만세포에 대한 EMCM 의 효과
2-1.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유리 억제측정 및 EMCM 의 효과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랫트에서 분리한 복강 비만세포를 탈과립 유도제인 화합물 48/80을 처리하여 활성화시킨 후, 세포내의 주 함유물질이자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히스타민을 유리시킨 다음 EMCM을 처리하였다. 즉, 에펜돌프 튜브에 시료 500μl를 취하여 0.1 M 염산 450μl와 60% 과염소산 용액 50μl를 혼합한 후에 원심분리(400g, 20분, 5415R, Eppendorf사)를 하였다. 그 상등액 800μl를 취해 5 M NaOH 용액 500μl, 증류수 3㎖, n-부탄올(n-butanol) 10㎖, NaCl 1.2g을 혼합한 시험관에 넣고 이를 진탕한 후 원심분리(500g, 10분)를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관에서 부탄올(Butanol)층 8㎖를 취해 0.1M 염산 3㎖, n-헵탄(n-heptane) 10㎖를 가하여 진탕하고 다시 원심분리(500g, 10분)를 수행하여 얻어진 수층 2㎖에 1M NaOH 400μl, 1% o-프탈디알데하이드(o-phthaldialdehyde) 용액(Sigma사, Cat No. P1378) 100μl를 가하여 혼합하고 2분 동안 방치한 다음, 방출파장(emission) 438㎚, 여기 파장(excitation) 353㎚에서 형광강도를 형광분석기(RF-5301 PC, Shimadzu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EMCM을 처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많은 양의 히스타민이 유리되는 결과로부터 EMCM을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비만세포의 활성에 의한 히스타민의 유리가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2-2. 비만세포의 세포내 칼슘에 대한 EMCM 의 효과
칼슘은 세포내 2차 전달물질로서 생리활성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조절하는 신호전달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세포내 칼슘의 양이 증가하면 비만세포가 탈과립되고, 반대로 칼슘의 양이 감소하면 비만세포의 탈과립이 억제된다. 따라서 세포내 칼슘에 대한 EMCM 효과의 관찰을 통해 EMCM의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 유리시 작용기전을 확인할 수 있다. 랫트에서 분리한 비만세포에 항원-항체반응을 유도하여 비만세포의 활성화에 따른 세포내 칼슘의 양을 늘린 후 EMCM을 처리하였으며, 세포내 칼슘의 양은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와 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비만세포는 급격한 세포내 칼슘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EMCM을 처리한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세포내 칼슘의 양 증가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결과로부터 EMCM은 칼슘의 양을 감소시켜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치료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3] :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EMCM 의 효과
3-1.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EMCM 의 농도에 따른 효과
EMCM의 농도에 따른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쥐의 치사율 실험을 하였다. 생쥐의 복강에 EMCM을 10 내지 1000㎎/㎏의 용량으로 투여하고, 60분 후 탈과립제인 화합물 48/80을 추가로 투여하여 아나필락시(anaphylaxis)를 유발시킨 후 1시간 동안 치사율을 관찰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EMCM의 투여량
(mg/Kg)
화합물 48/80
(8 mg/Kg)
치사율
(%)
0(생리 식염수) + 100
10 + 100
50 + 60
100 + 30
500 + 10
1000 + 0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 식염수 및 EMCM을 10㎎/㎏을 투여한 대조군은 100% 치사율을 보였지만, EMCM 50㎎/㎏ 투여하였을 때 60%, EMCM 100㎎/㎏ 투여하였을 때 30%, EMCM 500㎎/㎏ 투여하였을 때 10%, EMCM 1000㎎/㎏을 투여하였을 때 치사율이 0%로 EMCM의 농도 의존적으로 치사율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부터 EMCM은 전신 알레르기 반응에 농도 의존적으로 치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2.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EMCM 의 투여 시간에 따른 효과
EMCM의 투여 시간에 따른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과 같이 생쥐의 치사율 실험을 하였다. 생쥐의 복강에 탈과립제인 화합물 48/80을 투여하고, 5분 간격으로 15분 동안 EMCM을 1000㎎/㎏의 용량으로 각각 추가로 투여하여 치사율을 관찰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EMCM의 투여량
(1000mg/Kg)
시간
(분)
화합물48/80
(8mg/Kg)
치사율
(%)
0(생리 식염수) 0 + 100
+ 5 + 20
+ 10 + 40
+ 15 + 100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EMCM을 5분 후 투여하였을 때 20%, 10분 후 투여하였을 때 40%, 15분 후 투여하였을 때 100%로 치사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부터 EMCM은 전신 알레르기 반응에 투여시간에 의존적으로 치료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EMCM 의 효과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약물을 개발할 때 많이 사용되는 수동형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을 이용하여 EMCM의 피부 알레르기에 대한 효과를 실험하였다. PCA는 면역 글로블린 E에 의해 매개되는 알레르기 반응으로 항체를 국소 피부에 피내주사하고, 48시간 후 항원을 생쥐의 꼬리 정맥으로 투여하여 인위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경우, 즉 항원과 항체를 생쥐에 투여하면 항체 주입 부위에 국소적으로 발적이 일어나 그 부위에 존재하는 비만세포가 활성화되어 국소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에 대해 EMCM을 농도를 달리하여 주사한 후 생쥐의 발적을 관찰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EMCM을 처리한 결과, EMCM의 농도가 높을수록 발적 횟수가 적어지는 결과로부터 EMCM의 농도 의존적으로 국소 피부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5] : 비만세포 내에서 EMCM 의 세포 독성 실험
EMCM의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3-(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실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MTT 용액은 살아있는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의 디하이드로게나아제(dehydrogenases)에 의해서 포마잔(formazan)을 형성하여 세포의 생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랫트의 복강에서 분리한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2×104 세포/well로 배양한 후 EMCM을 각각 0.01~10 mg/㎖로 처리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각 웰에 20 ㎕의 MTT 용액을 첨가하고, 3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한 후 100 ㎕의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이 후 새로운 플레이트로 옮겨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0.01~1 mg/㎖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10 mg/㎖의 농도에서는 약 15%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1 mg/㎖가 최고 농도임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제조예 1-1 : 정제
하기의 조성에 따라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1000.0 mg
유당 500.0 mg
탈크 5.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 mg
제조예 1-2 : 캡슐제의 제조
하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체질하여 부형제와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 중에 충전하여 캡슐을 제조하였다.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1000.0 mg
전분 1500 10.0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00.0 mg
제조예 1-3 : 과립제의 제조
하기의 성분을 통상의 과립제의 제조방법으로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1000.0 mg
유당 100.0 mg
탈크 5.0 mg
제조예 1-4 : 주사제의 제조
하기의 성분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으로 10.0 ml의 앰플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근육주사제를 제조하였다.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1000.0 mg
산성아황산나트륨 10.0 mg
메틸파라벤 6.0 mg
푸로펜파라벤 4.0 mg
제일인산나트륨 12.0 mg
제이인산나트륨 8.0 mg
수산화나트륨 10.0 mg
주사용 수 10.0 ml
< 제조예 2> 식품의 제조
제조예 2-1 :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0.5~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2 :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본 발명의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0.1~5.0 중량부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3 :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10 중량부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4 :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본 발명의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5 :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ECDK(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 제조예 3> 음료의 제조
제조예 3-1 :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본 발명의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5g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3-2 : 야채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주스 1,000㎖에 가하여 야채 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3 :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1g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에 가하여 과일 주스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4> 피부 외용제제의 제조
제조예 4-1 : 연고의 제조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5.00 중량%
카프린/카프릴트리글리세리드 10.00 중량%
액상 파라핀 10.00 중량%
소르비탄세스퀴놀리에이트 6.00 중량%
옥틸도데세스-25 9.00 중량%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10.00 중량%
스쿠알란 1.00 중량%
살리실산 1.00 중량%
글리세린 15.00 중량%
소르비톨 10.00 중량%
정제수 잔량 중량%
제조예 4-2 : 로션의 제조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함유한 로션의 성분과 함량은 하기에 나타내었다.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아민, 부틸렌 글리콜을 7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유상인 지방산, 유성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친수성 증점제인 잔탄검 2% 용액을 첨가하여 전체에 대해 0.0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킨 후,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향 및 색소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가는잎산들깨 추출물 0.10 중량%
글리세린 3.00 중량%
카보머 0.10 중량%
잔탄검 0.05 중량%
1,3-부틸렌 글리콜 3.00 중량%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50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0 중량%
세틸아릴 알콜 0.30 중량%
호호바 오일 3.00 중량%
유동 파라핀 2.00 중량%
스쿠알란 3.00 중량%
디메치콘 0.50 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0 중량%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정제수 잔량 중량%

Claims (8)

  1.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은 가는산잎들깨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및 이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1종의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가는잎산들깨 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은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급성 염증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은 가는잎산들깨 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은 가는잎산들깨 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20093055A 2012-08-24 2012-08-24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26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55A KR20140026091A (ko) 2012-08-24 2012-08-24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55A KR20140026091A (ko) 2012-08-24 2012-08-24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091A true KR20140026091A (ko) 2014-03-05

Family

ID=50640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055A KR20140026091A (ko) 2012-08-24 2012-08-24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60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1998A (zh) * 2014-09-03 2014-11-26 扬中牧乐药业有限公司 一种治疗犬胃溃疡的药物制剂
CN112999233A (zh) * 2019-12-19 2021-06-22 中国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一类来源于赤芍的单萜苷类化合物及其制法和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1998A (zh) * 2014-09-03 2014-11-26 扬中牧乐药业有限公司 一种治疗犬胃溃疡的药物制剂
CN112999233A (zh) * 2019-12-19 2021-06-22 中国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一类来源于赤芍的单萜苷类化合物及其制法和应用
CN112999233B (zh) * 2019-12-19 2023-10-20 中国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一类来源于赤芍的单萜苷类化合物及其制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983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ctinidia arguta and related speci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and non-allergic inflammatory disease
KR101585159B1 (ko)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15274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337389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102334546B1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315959B1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594115B1 (ko) 1,2,4,5-tetramethoxybenze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4347B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34498B1 (ko) 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26091A (ko)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7065B1 (ko) 외톨개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30011111A (ko) 피토스테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77928A (ko) 애기땅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64756B1 (ko)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1093815A (ja) イモ焼酎粕又はそれに由来する物質を含む抗アレルギー剤又は抗アトピー性炎症剤
KR101678646B1 (ko) 빵 나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9077A (ko) 셀러리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50485B1 (ko) 알코니아 트리플너비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식 또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00465A (ko) 감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22384A (ko) 적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염증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33715B1 (ko) 마스티시아 알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