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756B1 -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756B1
KR101764756B1 KR1020150094419A KR20150094419A KR101764756B1 KR 101764756 B1 KR101764756 B1 KR 101764756B1 KR 1020150094419 A KR1020150094419 A KR 1020150094419A KR 20150094419 A KR20150094419 A KR 20150094419A KR 101764756 B1 KR101764756 B1 KR 101764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topic dermatitis
allergic
dermatitis
my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459A (ko
Inventor
박창용
최미숙
오진희
김동순
Original Assignee
박창용
최미숙
오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용, 최미숙, 오진희 filed Critical 박창용
Priority to PCT/KR2015/0072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10340A1/ko
Publication of KR20160008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풍칠 추출물은 LPS로 자극된 래트 복강 대식세포를 이용한 NO 생성억제 실험 (실험예 1); TNF-a 생성 억제 (실험예 2); 비만세포에서 Compound 48/80으로 유도한 히스타민 분비 억제 효과 실험 (실험예 3); 및 DNCB에 의해 유도된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실험 등을 통하여 염증 및 알레르기 질환, 특히,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여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Gynura procumbens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ion or allergy}
본 발명은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Robert C. & Kupper T. S Inflammatory skin disease, T cells, and immune surveillance. N Engl. J. Med 341, 1817-1828, 1999
[문헌 2] Hwang, S. T. Mechanisms of T cell homing to skin. Adv. Dermatol. 17, 211-241, 2001
[문헌 3] Akidis, C.A et al., T cell and T cell derived cytokines as pathologic factors in the non-allergic form of atopic dermatitis J Invest Dermatol 113, 628-634 (1999)
[문헌 4] Leung D. Y. & Bieber, T. Atopic dermatitis Lancet 361, 151-160 (2003)
[문헌 5] Dillon S. R et al., Interleukin 31, a cytokine produced by activated T cells, induces dermatitis in mice. Nat Immunol. 5:752-759 (2004)
[문헌 6] Dieveu C. et al., GPL, a novel cytokine receptor related GP130 and leukemia inhibitory factor receptor. J boil Chem. 278, 49850-49859 (2003)
[문헌 7] Neis M.M et al., Enhanced expression levels of IL-31 correlated with IL-4 and IL-31 in atopic an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118:930-937(2006) (2008)
[문헌 8] Matsuda, H et al.,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like skin lesions with IgE hyperproduction in NC/Nga mice. Int Immunol. 9, 461-466, 1997
[문헌 9] Takaoka, A., Arai, I et al., Involvement of IL-31 on scratching behavior in NC/Nga mice with atopic like dermatitis. Exp Dermatol 15:161, 2006
[문헌 10] Cheung P.F et al., Activation of human eosinophil and epidermal keratinocytes by Th2 cytokine IL-31: Implication for the immuno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Int Immunol 22(6);453-467, 2010
[문헌 11] Asnis L.A et al., Cutaneous reaction to recombinant cytokine therapy J Am Acad Dermatol 24;915-926, 1995
[문헌 12] 중약대사전, 상해과학기술출판사, 소학관, Vol.(2), p1138, 2367, 1984년
[문헌 13] Molecular Immunology, Volume 46, Issues 1112, July 2009, Pages 2413-2418
[문헌 14]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Volume 612, Issues 13, 10 June 2009, Pages 122-130
[문헌 15] Journal of Acupuncture and Meridian Studies, Volume 6, Issue 2, April 2013, Pages 98-109
본 발명은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증 반응은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고 하는 생체의 방어 반응과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반응에는 국소의 혈관, 체액의 각종 조직세포, 면역관여 세포 등이 포함된다. 최근 분자생물학의 발달과 더불어 염증성 질환이 사이토카인(cytokine)이라는 분자 수준에서의 이해가 시도되고 있으며, 이러한 질환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도 하나씩 규명되고 있다.
알레르기 반응은 그 반응 형태에 의해 I형, II형, III형 및 IV형의 4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고, 또는 항원에 의한 재감작(感作) 후 발증까지의 시간에 의해서 I형, II형 및 III형 알레르기는 즉시형 알레르기라고 불리며, IV형 알레르기는 지연형 알레르기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I형 알레르기는 IgE 항체가 관여하는 반응으로서, 아나필락시형 알레르기라고 불리우며, 여기에는 기관지 천식, 아토피성 질환(피부염, 장염 등), 화분증 등의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음식물 알레르기 등이 포함된다.
외부로부터의 자극과 항원에 대항하기 위하여 피부에는 다양한 면역세포가 존재하며 서로간의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항상성을 유지한다 (Robert C. & Kupper T. S Inflammatory skin disease, T cells, and immune surveillance. N Engl. J. Med 341, 1817-1828, 1999상피조직은 주로 케라티노사이트로 구성되어있고 랑거한스 세포, T 세포와 대식 세포가 존재한다 (2.Hwang, S. T. Mechanisms of T cell homing to skin. Adv. Dermatol. 17, 211-241, 2001 대부분의 피부질환은 면역 세포에 의한 염증 반응을 특징으로 하며, 가려움, 부종, 홍반, 습진, 비늘화와 같은 임상 증상을 동반한다. 항원제시세포가 외부로부터 침입한 항원을 인지하면 화학유주인자가 분비되고 호산구와 비만세포가 유입되며, T 세포가 활성화되어 손상 조직으로 모여든다. 활성화된 T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특정 사이토카인들이 과 발현되는 것은 피부염의 병리인자로서 작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3Akidis, C.A et al., T cell and T cell derived cytokines as pathologic factors in the non-allergic form of atopic dermatitis J Invest Dermatol 113, 628-634 (1999). 이들은 가려움을 유발하고 염증세포의 유입을 증가시켜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뿐 만 아니라 건선과 같은 알레르기성 혹은 비알레르기성 피부 질환을 일으킨다(4. Leung D. Y. & Bieber, T. Atopic dermatitis Lancet 361, 151-160 (2003)). IL-31은 활성화된 T 세포 (Th2 세포에서 더 많이 발현됨) 에서 생산되는데 IL-6 사이토카인 가족 (family)에 속한다 (5. Dillon S. R et al., Interleukin 31, a cytokine produced by activated T cells, induces dermatitis in mice. Nat Immunol. 5:752-759 (2004). IL-31수용체는 gp-130수용체 (GPL, or IL-31RA) 와 oncostatin M receptor (OSMR)로 구성되며, 상피세포와 케라티노사이트에 상시 존재한다 (6. Dieveu C. et al., GPL, a novel cytokine receptor related GP130 and leukemia inhibitory factor receptor. J boil Chem. 278, 49850-49859 (2003).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조직에서는 IL-31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되어 있으며 IL-4 와 IL-13 같은 Th2 사이토카인 증가를 유도한다고 여겨진다 (7. Neis M.M et al., Enhanced expression levels of IL-31 correlated with IL-4 and IL-31 in atopic an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118:930-937(2006) 이들 Th2 사이토카인은 B 세포에 작용하여 IgE의 생산을 증가 시킬 수 있으며, IgE는 비만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히스타민등의 유리를 매개 함으로서 염증 반응과 가려움증을 일으킨다 (8.Matsuda, H et al.,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like skin lesions with IgE hyperproduction in NC/Nga mice. Int Immunol. 9, 461-466, 1997) 더불어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상피와 케라티노사이트, 환자에서 분리된 대식세포에서 IL-31수용체의 발현이 증가한다고 알려졌다. 또한 IL-31을 생쥐의 피부에 주입하거나 IL-31을 계속 발현하는 transgenic 생쥐는 심한 가려움증을 나타내며 호산구, 비만 세포의 피부 조직으로의 현저한 유입이 관찰되는 바, 피부염을 심화시키는 주요 병리 인자임을 알 수 있다 (9. Takaoka, A., Arai, I et al., Involvement of IL-31 on scratching behavior in NC/Nga mice with atopic like dermatitis. Exp Dermatol 15:161, 2006; 10. Cheung P.F et al., Activation of human eosinophil and epidermal keratinocytes by Th2 cytokine IL-31: Implication for the immuno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Int Immunol 22(6);453-467, 2010). 한편 T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IL-2은 T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고 활성화시킨다. IL-2로 치료 받는 암환자의 경우 심한 피부 소양증을 나타내며, 피부 조직의 부종, 홍반, 괴사, 두드러기, 수포등을 형성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Asnis L.A et al., Cutaneous reaction to recombinant cytokine therapy J Am Acad Dermatol 24;915-926, 1995).
아토피는 만성 피부 질환으로 피부 건조증, 각화 및 가려움증을 수반하며 전체 인구의 약 15%가 아토피 환자이며, 이 중 유소아 어린이에게 약 20% 정도로 그 유발률이 집중되어 있다. 예전에는 아토피가 영아기나 유아기에 시작되어 성장과 함께 병세가 점점 개선되어 7 내지 8세 이전에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로 유발된 공해 등으로 인하여 발생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증상이 청소년기 및 성인기까지 지속되며 점점 심해지거나 청소년기 이후에 새롭게 발생하는 경우도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아토피의 정확한 병태생리의 경우, 아직까지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유전적 요인과 함께 환경적 요인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심각한 아토피의 경우, 취업 또는 결혼과 같은 사회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기까지 하여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으며, 심하면 정신적 스트레스로 발전하여 대인기피증 또는 우울증을 앓기도 한다.
이렇듯 아토피는 심각한 사회적, 의학적 문제가 됨에도 병태생리가 정확하게 규명되지 않아 현재까지 효율적인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기존의 아토피 치료제는 스테로이드 제제, 항생제 등이 사용되었으나 기존에 사용되던 치료제들이 치료 효과가 미미하거나 안전하지 못하여 의료기기, 화장품, 또는 한방요법으로 현재 그 치료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아토피가 유소아에게 집중적으로 발병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현재 안전한 약제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며, 아토피는 천식 또는 알레르기성 비염 등으로도 발전하여 여러 체내 면역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조기 치료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오풍칠(烏風七, Gynura procumbens)는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서, 줄기가 하나이며, 이 줄기를 기준으로 잎이 퍼진 형태로 자라나고, 잎은 색깔이 초록색이며, 모양은 달걀모양이고, 잎 상단부는 뾰족하고 하단부는 타원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평평하거나 파도 꼴이다. 잎의 양 표면부는 부드럽고 선이 선명하다. 명월초, 삼붕초, 사접골 (蛇接骨) 등로도 불리우며, 일본 오사카 약과 대학 연구에 따르면 명월초는 인삼보다 4배나 많은 양의 게르마늄과 다종의 천연 유기질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으며, 노화방지 및 혈전용해, 암 예방,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조절 등에 효과가 있으며, 타박상, 관절통, 기관지염, 폐결핵 등의 치료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약대사전, 상해과학기술출판사, 소학관, Vol.(2), p1138, 2367, 1984년).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오풍칠 추출물을 이용한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 치료제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연구자는 오풍칠 추출물을 대상으로 LPS로 자극된 래트 복강 대식세포를 이용한 NO 생성억제 실험 (실험예 1); TNF-a 생성 억제 (실험예 2); 비만세포에서 Compound 48/80으로 유도한 히스타민 분비 억제 효과 실험 (실험예 3); 및 DNCB에 의해 유도된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실험 등을 통하여 염증 및 알레르기 질환, 특히,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오풍칠은 한국산, 및 필리핀산, 태국산, 인도네시아산, 인도산, 일본산, 중국산 등의 수입산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한국산, 또는 중국산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추출물은 물, 주정,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염증"이란 피부염,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알레르기는 과민증,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곤충 알레르기, 식품알레르기 또는 약품 알레르기, 바람직하게는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식품 알레르기 또는 약품 알레르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접촉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이하,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오풍칠을 세척 및 건조시킨 후, 시료 부피의 약 1배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5배 내지 25배 (v/v) 부피의 물, 주정,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약 1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10℃의 반응온도에서 약 30분 내지 6일,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상온 추출법, 가열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등의 통상적인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회 반복 추출하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제 2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약 -50℃ 내지 -30℃에서 약 24 내지 72시간 동결 건조하는 제 3단계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풍칠 추출물을 대상으로 LPS로 자극된 래트 복강 대식세포를 이용한 NO 생성억제 실험 (실험예 1); TNF-a 생성 억제 (실험예 2); 비만세포에서 Compound 48/80으로 유도한 히스타민 분비 억제 효과 실험 (실험예 3); 및 DNCB에 의해 유도된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실험 등을 통하여 염증 및 알레르기 질환, 특히,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여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생약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및 직장, 또는 정맥 등의 방법을 통하여 투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등의 약학 투여형태 또는 티백제, 침출차, 건강 음료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롤로오스,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이 포함된 기능성 식품으로는 빵, 떡류, 건과류, 캔디류, 초콜릿류, 츄잉껌, 쨈류와 같은 과자류 아이스크림류, 빙과류, 아이스크림 분말류와 같은 아이스크림 제품류 우유류, 저지방 우유류, 유당분해우유, 가공유류, 산양유, 발효유류, 버터유류, 농축유류, 유크림류, 버터유, 자연치즈, 가공치즈, 분유류, 유청류와 같은 유가공품류 식육가공품, 알가공품, 햄버거와 같은 식육제품류 어묵, 햄, 소세지, 베이컨 등의 어육가공품과 같은 어육제품류 라면류, 건면류, 생면류, 유탕면류, 호화건먼류, 개량숙면류, 냉동면류, 파스타류와 같은 면류 과실음료, 채소류음료, 탄산음료, 두유류, 요구르트 등의 유산균음료, 혼합음료와 같은 음료 간장, 된장, 고추장, 춘장, 청국장, 혼합장, 식초, 소스류, 토마토케첩, 카레, 드레싱과 같은 조미식품 마가린, 쇼트닝 및 피자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20g, 바람직하게는 약 5~12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목적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을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 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음료를 포함한 식품에 첨가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풍칠 추출물은 LPS로 자극된 래트 복강 대식세포를 이용한 NO 생성억제 실험 (실험예 1); TNF-a 생성 억제 (실험예 2); 비만세포에서 Compound 48/80으로 유도한 히스타민 분비 억제 효과 실험 (실험예 3); 및 DNCB에 의해 유도된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실험 등을 통하여 염증 및 알레르기 질환, 특히,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여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 본 발명 추출물이 LPS로 유도한 rat의 복강내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 본 발명 추출물이 LPS로 유도한 rat의 복강내 대식세포에서의 TNF-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3: Compound 48/80로 유도한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억제에 대한 본 발명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4: DNCB로 유도한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각 피부변화에 대한 본 발명 추출물(단일용량 투여법)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5: DNCB로 유도한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각 피부변화에 대한 본 발명 추출물(농도의존적 용량 투여법)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6: DNCB에 의해 유도된 국소부위 소양증 동물 모델에서 scratching behavior test를 통한 본 발명 추출물(단일용량 투여법)의 항소양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7: DNCB에 의해 유도된 국소부위 소양증 동물 모델에서 scratching behavior test를 통한 본 발명 추출물(농도의존적 용량 투여법)의 항소양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8: DNCB로 유도한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 추출물(단일용량 투여법)의 경구투여가 조직병리학적으로 H&E 염색한 조직 단면 사진이며;
도 9: DNCB로 유도한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 추출물(농도의존적 용량 투여법)의 경구투여가 조직병리학적으로 H&E 염색한 조직 단면 사진이다.
도 10: DNCB로 유도한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 추출물(농도의존적 용량 투여법)의 경구투여가 마우스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여기에서, Nor; normal group, DNCB; DNCB only group, MYC_10; 10mg/kg, MYC_50; 50mg/kg, MYC_100; 100mg/kg, MYC_200; 200mg/kg, Dex; dexamethasone, Eli; elidel cream을 각각 의미함).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 추출물 제조
건조 상태의 오풍칠 100g 에 10배(v/w)의 정제수 1000ml를 가하여 80 내지 100℃로 10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감압 여과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기(EYELA, N-2100, JAPAN)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오풍칠 물 추출물 13g(수율 13%)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이하, MYC-1W라 함)
<실시예 2> 30% 에탄올 추출물 제조
건조 상태의 오풍칠 100g에 10배(v/w)의 30% 에탄올 1000ml 혼합용매를 가하여 80-100℃로 10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감압여과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농축기(EYELA, N-2100, JAPAN)로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오풍칠 30% 에탄올 추출물 23.5g(수율 23.5%)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이하, MYC-1E라 함)
<실험예 1> 대식세포군에서의 NO 생성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시료들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대식세포군에서의 NO 생성억제효과를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Molecular Immunology, Volume 46, Issues 1112, July 2009, Pages 2413-2418).
NO의 측정은 래트(rat, 셈타코, 웅성, 6주령, 280gm)에서 분리하였으며, 실험동물은 실험동물의 사육은 20℃ 내지 24℃의 온도 조건, 60% 내지 70%의 습도조건 및 12시간 주기의 주야조명 조건으로 수행하였고,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상기동물에서 복강거식세포를 식염수 세척방법으로 분리한 후 대식세포(Macrophage primary cell, 2X 106 cells/ml)를 serum starvation medium으로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18시간동안 세포에 LPS(0.5ug/ml, L2630, sigma)와 시료를 동시 처리한 후에 세포 배양여액을 분취하여, NO측정 kit(1% sulfanilamide, 0.1% 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2% phosphoric acid, Promega, USA)을 활용하여 측정하였으며. 54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MYC-1W & MYC-1E 처리군은 LPS로 자극된 rat 복강 대식세포군에 비하여 NO 생성을 200 ug/ml의 농도에서 약 21%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도 1참조).
< 실험예 2> 대식세포군에서의 TNF -a 생성 억제효과
상기 실시예 시료들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대식세포군에서의 TNF-a 생성 억제효과를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Molecular Immunology, Volume 46, Issues 1112, July 2009, Pages 2413-2418)
항염증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LPS로 자극된 rat의 복강 대식세포의 배양여액에 배출된 TNF-a의 량을 ELISA(R&D)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MYC-1W & MYC-1E 처리군은 LPS로 자극된 rat 복강 대식세포군에 비하여 TNF-a 생성이 최고 200ug/ml의 농도에 최고 16.2%까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2참조)
<실험예 3> 비만세포에서 Compound 48/80으로 유도한 히스타민 분비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시료들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비만세포에서 Compound 48/80으로 유도한 히스타민 분비 억제 효과를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Volume 612, Issues 13, 10 June 2009, Pages 122-130)
래트 복강에 30 ml 정도의 Tyrode 완충용액 B (137 mM NaCl, 5.3 mM 글루코스, 12 mM NaHCO3, 2.7 mM KCl, 0.3 mM NaH2PO4, PH.7.4 sigma)를 주입하고 복부를 90초 정도 마사지 한 후에 복막을 조심스럽게 열어서 파스퇴르 피펫으로 복강 내 세포가 함유된 Tyrode 완충용액 B를 수거하였다. 150 × g, 10분 동안 원심분리기(한일, 416100)로 원심 분리하여 세포를 침전시키고 침전된 세포에 Tyrode 완충용액 B를 가하여 피펫팅 한 후 문헌(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Volume 612, Issues 13, 10 June 2009, Pages 122-130)에 기재된 경사법(percoll density gradient법)으로 비만세포만을 수득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시료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 세포로 알려진 비만세포를 이용하여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유도하기 위하여 compound 48/80(10ug/ml, sigma)을 배양세포에 대조군과 동시투여(10ug/ml, sigma)하여 실험한 결과,
compound 48/80 단독 처리하였을 때 정상 비만세포보다 히스타민 유리가 증가하였으며, MYC-1W & MYC-1E의 처리군에서 히스타민 분비가 50ug/ml의 농도에서부터 최고의 효과를 보였으며, 최고 50.3% 이상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참조)
<실험예 4> DNCB에 의해 유도된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각 피부변화에 대한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시료들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DNCB에 의해 유도된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각 피부변화에 대한 효과를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Journal of Acupuncture and Meridian Studies, Volume 6, Issue 2, April 2013, Pages 98-109)
4-1. 재료 및 시약
본 연구에 사용된 양성대조군은 엘리델 연고(한국메나리니(주))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기타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아세톤, 올리브유, DNCB(1-chloro2,4-dinitrobenzene)등은 시그마사 (Sigma,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4-2. 실험 과정 및 결과 (단일용량 투여방법)
DNCB로 유도한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은 ICR 마우스 5주령 (웅성. 23-25g, 샘타코에서 구입)을 동물 실험실에서 1 주간 순화시켜 사용하였다. 한 군당 5마리씩 배치하여 20℃ 내지 24℃의 온도조건, 60% 내지 70%의 습도조건 및 12시간 주기의 주야조명조건으로 수행하였고,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상기 식이는 고형 사료(삼양사료, 대한민국)를 이용하였으며 조명은 12시간 주기로 조절하였다.
마우스의 등 부위를 깨끗하게 제모 후 피부의 미세 상처가 치유되도록 24시간 방치하였다. 아세톤과 올리브오일을 3:1로 혼합하여 제조한 2.5% DNCB 용액(237329, sigma) 200 ㎕를 등 부위에 도포하여 면역화 반응을 유도하였다. 3일 후부터 3일에 1회씩 1.0% DNCB 용액 150㎕를 등 부위에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하였다. DNCB 용액을 등 부위에 2회 도포 이후부터 가피가 형성되면서 긁는 행동이 심화되었고, 등 부위의 가피가 벗겨지기 시작하여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되었다. 4회 도포 이후부터 아토피 피부염이 심각한 상태로 유발되었다. 실험 중 자연치유에 의한 오차를 막기 위해 3일에 1회씩 1.0% DNCB 용액 150㎕를 마우스의 등에 도포하였다.
약물 투여는 MYC-1W(200 mg/kg)와 MYC-1E(200 mg/kg)을 3주간 경구 투여하고 질병의 치료정도를 현미경으로(leica, M50) 사진을 찍어 비교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DNCB 처리군은 심한 상처와 진무름, 각질의 각화와 탈락의 진행을 나타냈으나, 피부염 유도 후 MYC-1W & MYC-1E를 각각 3주 동안 투여한 실험군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도 4 참조)
4-3. 실험 과정 및 결과(농도의존적 투여방법)
DNCB로 유도한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은 ICR 마우스 5주령 (웅성. 23-25g, 샘타코에서 구입)을 동물 실험실에서 1 주간 순화시켜 사용하였다. 한 군당 5마리씩 배치하여 20℃ 내지 24℃의 온도조건, 60% 내지 70%의 습도조건 및 12시간 주기의 주야조명조건으로 수행하였고,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상기 식이는 고형 사료(삼양사료, 대한민국)를 이용하였으며 조명은 12시간 주기로 조절하였다.
5주령의 ICR 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일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시험물질 도포 하루 전 실험동물의 등 부위를 목에서부터 골반 쪽으로 제모하고 제모의 상처가 치유되도록 24시간 방치 후 시작하였다. 아세톤과 올리브오일을 3:1로 혼합하여 제조한 1% DNCB용액(237329, sigma) 200 ㎕를 등 부위에 도포하여 면역화 반응을 유도하였다. 4일 후부터 3일에 1회씩 0.5% DNCB 용액 150㎕를 등 부위에 도포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하였다. DNCB 용액을 등 부위에 2회 도포 이후부터 가피가 형성되면서 긁는 행동이 심화되었고, 등 부위의 가피가 벗겨지기 시작하여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되었다. 4회 도포 이후부터 아토피 피부염이 심각한 상태로 유발되었다. 실험 중 자연치유에 의한 오차를 막기 위해 3일에 1회씩 1.0% DNCB 용액 150㎕를 마우스의 등에 도포하였다.
약물 투여는 2차 DNCB도포와 동시에 MYC-1W을 5주간 10, 50, 100, 200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고, 덱사메타손은 2.5mg/kg농도로 4주간 경구 투여하였으며 엘리델 연고는 피부에 100ul씩 4주간 도포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질병의 치료정도를 현미경으로(leica, M50) 사진을 찍어 비교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DNCB 처리군은 심한 상처와 진무름, 각질의 각화와 탈락의 진행을 나타냈으나, 피부염 유도 후 MYC-1W 를 각각 5주 동안 투여한 실험군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었고 특히 피부염 증상이 가장 많이 개선된 군을 엘리델연고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MYC_100mg/kg(MYC-1W)군으로 판명되었다. (도 5=Fig.3으로 대체함 참조)
<실험예 5> DNCB에 의해 유도된 국소적 부위의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의 소염증억제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DNCB로 유도한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의 국소적 소양증에 대한 억제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스크래칭 행동 변화(Scratching behavior)실험을 수행하였다.
5-1. 실험 과정 및 결과(단일용량 투여방법)
실험 시작 1시간 전에 실험예 4에서 사용한 실험동물을 행동 관찰실로 옮기고 약물을 투여한 후 안정화하였다. 약물 투여는 MYC-1W & MYC-1E 각각 (200mg/kg)을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30분 후 실험 조건과 동일한 환경에서 1% DNCB를 150㎕를 등에 도포한 후 30분 후부터 레코더(laboras) 로 20분 단위 60분간 녹화하였으며, 가려운 부위를 긁는 횟수를 이중 맹검법으로 계수하여 평가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DNCB 단독 처리군의 몸을 긁는 횟수(scratching frequency, 평균 89회)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MYC-1W & MYC-1E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이러한 증상이 평균 67회까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도 6참조)
5-2. 실험 과정(농도의존적 투여방법)
실험 시작 1시간 전에 실험예 4에서 사용한 실험동물을 행동 관찰실로 옮기고 약물을 투여한 후 안정화하였다. 약물 투여는 5주간 10, 50, 100, 200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고, 덱사메타손은 2.5mg/kg농도로 4주간 경구투여하였으며 엘리델 연고는 피부에 100ul씩 4주간도포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경구투여 30분 후 실험 조건과 동일한 환경에서 1% DNCB를 150㎕를 등에 도포한 후 30분 후부터 주 1회 3분씩 레코더(laboras) 로 20분 단위 60분간 녹화하였으며, 등쪽 부위를 물어뜯거나 뒷발로 긁는 등의 행동양식을 횟수로서 이중 맹검법으로 계수하여 평가하였다.
본 실험 결과,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DNCB 단독 처리군의 몸을 긁는 횟수(scratching frequency)는 증가한 반면 MYC처리군(MYC-1W)을 100mg/kg까지는 농도의 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덱사메타손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 횟수가 감소하였으나, MYC처리군 보다는 그 감소율이 적었다. 또한 아토피 치료제인 엘리델 연고를 처리한 실험군(Eli)에서 긁는 횟수의 감소가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연고의 특성상 물리적인 피부도포가 가려움을 느끼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사료되며, MYC의 경우 경구 투여임에도 Dex 등의 약물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MYC-1W & MYC-1E 조직병리학적 소견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MYC-1W & MYC-1E 조직병리학적 형태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6-1. 실험 과정 및 결과(단일용량 투여방법)
실험예 4의 마우스(셈타고, 웅성, 4주령, 26g)의 피부조직은 등 주변의 환부를 중심으로 1.5x1.5 cm2 넓이로 생검하여 4% 포름알데히드 용액(F8775, sigma)에 고정한 후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파라핀 블록을 제작한 후 5μm 간격으로 피부조직을 종단면으로 절편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위해 hematoxylin & eosin(HHS16, sigma)로 염색하고 관찰하였다.
MYC-1W & MYC-1E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표피층의 표면두께가 균일하고 표층이 부드럽게 형성되어 유이하게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여 MYC-1W & MYC-1E가 아토피 치료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8참조).
6-2. 실험 과정 및 결과(농도의존적 투여방법)
실험예 4의 마우스(셈타고, 웅성, 4주령, 26g)의 피부조직은 등 주변의 환부를 중심으로 1.5x1.5 cm2 넓이로 생검하여 4% 포름알데히드 용액(F8775, sigma)에 고정한 후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파라핀 블록을 제작한 후 5μm 간격으로 피부조직을 종단면으로 절편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위해 hematoxylin & eosin(HHS16, sigma)로 염색하고 관찰하였다. 광학현미경(leica, M50)으로 피부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등 피부조직을 조직학적 검사한 결과, DNCB처리로 상피조직의 비후정도가 현저히 발달되었으나 시험물질처리로 이의 비후정도가 상당 수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피부 조직검사 결과 Eli 처리군이 앞선 데이터와 같이 가장 피부에서의 염증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MYC 100mg/kg(MYC-1W)의 농도에서 그다음으로 효과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9참조)
< 실험예 7> 체중변화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체중변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DNCB로 유도한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은 ICR 마우스 5주령 (웅성. 23-25g, 샘타코에서 구입)을 동물 실험실에서 1 주간 순화시켜 사용하였다. 한 군당 5마리씩 배치하여 20℃ 내지 24℃의 온도조건, 60% 내지 70%의 습도조건 및 12시간 주기의 주야조명조건으로 수행하였고,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상기 식이는 고형 사료(삼양사료, 대한민국)를 이용하였으며 조명은 12시간 주기로 조절하였다. 5주령의 ICR 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일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으며, 총 4주간 실험을 수행하고 1주일 단위로 체중을 특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각 실험군별 체중의 변화는 덱사메타손을 제외한 나머지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10 참조)
상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MYC-1W -------------------------------------------------- 20 mg
유당 --------------------------------------------------- 100 mg
탈크 ----------------------------------------------------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MYC-1E -------------------------------------------------- 10 mg
옥수수전분 --------------------------------------------- 100 mg
유당 ---------------------------------------------------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MYC-1E --------------------------------------------------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 3 mg
락토오스 ----------------------------------------------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
MYC-1W -------------------------------------------------- 10 mg
만니톨 -------------------------------------------------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 2974 mg
Na2HPO4,12H2O -------------------------------------------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MYC-1W -------------------------------------------------- 20 mg
이성화당 ------------------------------------------------- 10 g
만니톨 ---------------------------------------------------- 5 g
정제수 ---------------------------------------------------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MYC-1E ----------------------------------------------- 1000 ㎎
비타민 혼합물 -------------------------------------------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 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 0.5 ㎎
비타민 B12 -------------------------------------------- 0.2 ㎍
비타민 C ----------------------------------------------- 10 ㎎
비오틴 ------------------------------------------------- 10 ㎍
니코틴산아미드 ---------------------------------------- 1.7 ㎎
엽산 --------------------------------------------------- 50 ㎍
판토텐산 칼슘 ----------------------------------------- 0.5 ㎎
무기질 혼합물 ------------------------------------------- 적량
황산제1철 -------------------------------------------- 1.75 ㎎
산화아연 --------------------------------------------- 0.82 ㎎
탄산마그네슘 ----------------------------------------- 25.3 ㎎
제1인산칼륨 -------------------------------------------- 15 ㎎
제2인산칼슘 -------------------------------------------- 55 ㎎
구연산칼륨 --------------------------------------------- 90 ㎎
탄산칼슘 ---------------------------------------------- 100 ㎎
염화마그네슘 -----------------------------------------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MYC-1E ----------------------------------------------- 1000 ㎎
구연산 ----------------------------------------------- 1000 ㎎
올리고당 ----------------------------------------------- 100 g
매실농축액 ----------------------------------------------- 2 g
타우린 --------------------------------------------------- 1 g
정제수를 가하여 ----------------------------------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0)

  1. 한국산 오풍칠을 세척 및 건조시킨 후, 시료 부피의 1배 내지 30배 (v/v) 부피의 물 용매로 20 내지 110℃의 반응온도에서 1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환류 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반복 추출하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제 2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50℃ 내지 -30℃에서 24 내지 72시간 동결 건조하는 제 3단계를 통하여 수득되는 한국산 오풍칠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한국산 오풍칠을 세척 및 건조시킨 후, 시료 부피의 1배 내지 30배 (v/v) 부피의 물 용매로 20 내지 110℃의 반응온도에서 1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환류 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반복 추출하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제 2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50℃ 내지 -30℃에서 24 내지 72시간 동결 건조하는 제 3단계를 통하여 수득되는 한국산 오풍칠의 물 추출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티백제, 침출차, 또는 건강 음료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8. 한국산 오풍칠을 세척 및 건조시킨 후, 시료 부피의 1배 내지 30배 (v/v) 부피의 물 용매로 20 내지 110℃의 반응온도에서 1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환류 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반복 추출하는 제 1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제 2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50℃ 내지 -30℃에서 24 내지 72시간 동결 건조하는 제 3단계를 통하여 수득되는 한국산 오풍칠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접촉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보조식품.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94419A 2014-07-14 2015-07-02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64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7294 WO2016010340A1 (ko) 2014-07-14 2015-07-14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8499 2014-07-14
KR1020140088499 2014-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459A KR20160008459A (ko) 2016-01-22
KR101764756B1 true KR101764756B1 (ko) 2017-08-04

Family

ID=5530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419A KR101764756B1 (ko) 2014-07-14 2015-07-02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7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26673C1 (ru) * 2016-10-11 2017-07-31 Виа Вита Эстейт Лимитед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кожи и слизистых оболочек, для мест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обладающее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м,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ым, противовирусным,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м, противогрибковым действием
CN113730533A (zh) * 2021-09-28 2021-12-03 完美(广东)日用品有限公司 一种缓解骨关节炎疼痛的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32458A (zh) 2007-04-08 2007-09-12 谢平 平卧菊三七护肤霜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32458A (zh) 2007-04-08 2007-09-12 谢平 平卧菊三七护肤霜及其制作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ant Foods for Human Nutrition. 2002. Vol.57, pp.233-244.*
김은경. Gynura procumbens의 성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약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459A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159B1 (ko)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10091B1 (ko) 나한과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64756B1 (ko)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6010340A1 (ko) 오풍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56007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735061B1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4498B1 (ko) 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21738A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1924B1 (ko) 배암차즈기 잎 추출물 및 발효 삼채 뿌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치료용조성물
KR102080720B1 (ko) 약콩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증진용 조성물
US888322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 or asthma containing an extract of Decaspermum fruticosum
KR20140026091A (ko) 가는잎산들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3327A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8646B1 (ko) 빵 나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2516B1 (ko) 감태추출물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575702B1 (ko)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창상치료 또는 피부 활성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42729A (ko) 상지 주정 추출물을 함유하는 장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1751682B1 (ko) 트라우스토키트리드계 변이균주 유래의 세포외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3519549A (ja) 炎症性疾患の治療または改善のための竜眼肉含有混合生薬抽出物を含む経口用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KR20230161339A (ko) 까마귀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98052A (ko) 갯까치수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82396A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1338A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0886B1 (ko) 여지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