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974B1 - 시트 적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적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974B1
KR101728974B1 KR1020157018017A KR20157018017A KR101728974B1 KR 101728974 B1 KR101728974 B1 KR 101728974B1 KR 1020157018017 A KR1020157018017 A KR 1020157018017A KR 20157018017 A KR20157018017 A KR 20157018017A KR 101728974 B1 KR101728974 B1 KR 10172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tacking
auxiliary tray
groov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292A (ko
Inventor
다케시 니이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2Pile receivers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0Pile receivers adjustable for different article siz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2Auxiliary devices for receiving articles during removal of a completed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1Housings movable for facilitating access to area inside the housing, e.g. pivoting 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2Rear, i.e. portion opposite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 B65H2405/1124Rear, i.e. portion opposite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pivotable, det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2Supports for sheets partially insertable - extractable, e.g. upon sliding movement, drawer
    • B65H2405/324Supports for sheets partially insertable - extractable, e.g. upon sliding movement, drawer between operative position and non 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4Removability or inter-changeability of machine parts, e.g. f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2Single-function printing machines, typically table-top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트 적재 장치(101)는, 지지점(O1)으로 장치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트(S)를 적재하는 적재 트레이(111)와, 적재 트레이(111)에 대하여 지지점(O2)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 트레이(112)를 갖는다. 지지점(O2)에 있어서, 보조 트레이(112)의 키(112a)는 적재 트레이(111)의 둥근 구멍(111a) 내에 위치한다. 스프링(114)은 키(112a)를 키의 홈(111b)에 가깝게 하는 방향(F)으로 가압한다. 스토퍼부(115)의 경사면부(115b)는 보조 트레이(112)의 축(112b)을 걸림 지지함으로써, 키(112a)의 상기 방향(F)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적재 트레이(111)가 상방으로 회동되면, 축(112b)이 경사면부(115b)를 타고 넘어, 스프링(114)이 키(112a)를 둥근 구멍(111a)으로부터 키의 홈(111b)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보조 트레이(112)의 적재 트레이(111)에 대한 회동은 규제된다.

Description

시트 적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SHEET-HOLDING DEVICE AND IMAGE-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시트 적재 장치 및 시트 적재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 형성된 시트를 적재하기 위한 시트 적재 장치에는,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 트레이와, 이 적재 트레이의 적재면을 연장하기 위한 보조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적재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조 트레이를 구비한 시트 적재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조 트레이(412)는, 지지점(08)을 중심으로, 적재 트레이(411)에 수용된 수납 위치와, 적재 트레이(411)의 시트 적재면의 시트 배출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하는 연장 위치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9704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X)를 교환하거나 장치 본체(401)의 반송로 내에서 잼이 걸려 버린 시트를 제거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적재 트레이(411)를 지지점(07)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1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X)를 교환하기 위하여 적재 트레이(411)를 회동시켜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도, 보조 트레이(412)는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412)가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인 화살표 U의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보조 트레이(412)가 화살표 U 방향으로 회동해 버리면, 적재 트레이(411)에 시트가 적재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그 시트가 낙하해 버린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 트레이(411)를 더 개방시키면, 보조 트레이(412)는 자중에 의해 화살표 V 방향으로 회동하고, 또한 화살표 W 방향으로 요동하여 위치가 결정되지 않기 때문에, 제품 품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 트레이를 장치 본체로부터 회동시켜도, 적재 트레이로부터 회동 가능한 보조 트레이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는 시트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장치 본체로부터 시트를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 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적재하는 적재면을 구비한 적재 트레이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보조 트레이와, 상기 적재 트레이가 회동되면, 상기 보조 트레이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재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 트레이가 회동되면, 회동 규제 수단이 보조 트레이의 회동을 규제한다. 따라서, 보조 트레이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 적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단면 A-A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단면 B-B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 적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단면 C-C 위치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단면 D-D 위치에 있어서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 적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 적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단면 F-F 위치에 있어서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0에, 본 발명의 시트 적재 장치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화상이 형성되기 위한 시트는, 급송 트레이(2)에 시트 다발(P)로서 적재된다. 모터(19)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로부터 프린트 개시 신호를 수취하면, 급송 롤러(3), 반송 롤러(6), 감광 드럼(D), 전사 롤러(7), 정착 가압 롤러(8), 배출 롤러(10)의 구동을 개시시킨다.
급송 롤러(3)는 급송 개시 신호를 수취한 후, 도시하지 않은 1회전 제어 수단에 의해 1회전한다. 급송 롤러(3)에 의해 급송되는 시트는, 분리 패드(4)에 의해 1매씩으로 분리되어, 최상면의 시트(S)가 반송 롤러(6)를 향하여 급송된다. 시트(S)는, 반송 롤러(6)에 의해 더욱 반송되어 도시하지 않은 시트 선단 검지 플래그를 쓰러뜨린다. 시트 선단 검지 플래그 근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포토 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시트(S)의 선단 위치를 검지한다.
한편, 감광 드럼(D)은 도시하지 않은 대전 롤러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리고 시트(S)의 선단을 검지하고 나서 소정 시간 후에, 레이저 노광 장치(Y)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L)이, 감광 드럼(D)에 조사되어, 감광 드럼(D) 위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X) 안에는 토너가 충전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현상 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적당량의 토너가 적당한 대전을 받은 후, 감광 드럼(D) 위로 공급된다. 현상 롤러 위의 토너는 감광 드럼(D)의 정전 잠상에 부착되고, 잠상이 현상되어 토너 상(償)으로서 가시화된다. 가시화된 감광 드럼(D) 위의 토너 상은 전사 롤러(7)에 의해 시트(S) 위에 전사된다. 토너 상이 형성된 시트(S)는, 정착 가열 부재(9)와 정착 가압 롤러(8)를 포함하는 닙을 향하여 반송된다.
시트(S)는, 정착 가열 부재(9)와 정착 가압 롤러(8)의 닙에서 가열, 가압을 받고, 이에 의해 토너 상이 시트(S)에 정착된다.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S)는, 배출 수단으로서의 배출 롤러(10)에 의해 장치 외부로 배출되어, 적재 트레이(111)의 위에 적재된다.
(제1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시트 적재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의 (a), 도 1의 (b)는 제1 실시 형태가 적용된 시트 적재 장치(101)의 사시도이다. 도 1의 (c)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의 (a)에 있어서, 상면에 시트를 적재하는 적재면을 구비한 적재 트레이(111)는, 지지점(O1)을 중심으로 장치 본체(1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X)를 교환하거나, 장치 본체(110)의 반송로 내에서 잼이 걸려 버린 시트를 제거하거나 할 때, 적재 트레이(111)를 폐쇄된 위치로부터 회동시킨다.
적재 트레이(111)의 시트 배출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지지점(O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보조 트레이(112)는, 외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적재 트레이(111)의 적재면을 연장할 수 있다. 보조 트레이(112)는 적재 트레이(111)에 수납된 수납 위치와 적재 트레이(111)로부터 회동한 회동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한다. 도 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112)는, 회동 위치에서는 적재 트레이(111)의 적재면을 연장하고 있어, 큰 사이즈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다. 적재 트레이(111)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회동하는 방향은, 보조 트레이(112)가 수납 위치로부터 회동 위치로 회동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의 시트 적재 장치에서는, 적재 트레이(111)가 소정량 이상 회동되면, 회동 규제 수단(200)에 의해 보조 트레이(112)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어서, 이 회동 규제 수단(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동 규제 수단(200)은 보조 트레이(112)에 형성되는 돌기부로서의 폭 t의 소위 I 커트 형상의 키(112a)와, 적재 트레이(111)에 형성되고, 둥근 구멍(111a)과 키의 홈 형상(111b)을 갖는 홈부를 갖는다. 즉, 키(112a)는 적재 트레이(111) 또는 보조 트레이(112)의 한쪽인 적재 트레이(111)에 형성되고, 키의 홈(111b)은 다른 쪽인 보조 트레이(112)에 형성되어 있다.
키(112a)가 홈부의 제1 위치인 둥근 구멍(111a)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키(112a)는 둥근 구멍(111a) 내에서 회동할 수 있으므로, 보조 트레이(112)는 회동할 수 있다. 키(112a)가 홈부의 제2 위치인 키의 홈(111b)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키(112a)는 키의 홈(111b) 내에서는 회동할 수 없으므로, 보조 트레이(112)는 회동할 수 없게 된다.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112a)와 적재 트레이(111)의 축(111c)과의 사이에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스프링(114)이 걸려 있다. 스프링(114)에 의해, 보조 트레이(112)는 화살표 F 방향으로, 즉 키(112a)가 키의 홈(111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화살표 F 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시트가 배출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이다.
또한, 시트 적재 장치(101)에는, 스프링(114)에 가압된 보조 트레이(112)를 걸림 지지시키는 스토퍼부(11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 트레이(11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스프링(114)에 가압되어 있는 보조 트레이(112)의 축(112b)이 스토퍼부(115)의 경사면부(115b)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재 트레이(11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키(112a)는 둥근 구멍(111a)에 보유 지지되므로, 보조 트레이(112)는 단독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트레이(112)의 축(112b)과 키(112a)는, 동축 위에 배치되어 있다.
유저가 적재 트레이(111)를 상방으로 소정량 회동시키면, 보조 트레이의 축(112b)도 상방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보조 트레이의 축(112b)은, 장치 본체에 설치된 스토퍼부(115)에 의해 걸림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어, 보조 트레이(112)는 스프링(114)의 가압력에 의해 F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키(112a)도 F 방향으로 이동하고, 키(112a)가 키의 홈(111b)에 보유 지지되므로, 보조 트레이(112)는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즉, 보조 트레이(112)는 적재 트레이(111)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어서, 도 2, 도 3을 참조하여, 유저가 적재 트레이(111)와 보조 트레이(112)를 회동시켰을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d)는 단면 A-A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e)는 단면 B-B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d)는, 도 3의 (a) 내지 도 3의 (d)에 대응하고 있다.
도 2의 (a) 및 도 3의 (a)는, 적재 트레이(111) 및 보조 트레이(112)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유저는, 보조 트레이(112)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2의 (b) 및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112)는 지지점(O2)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도 2의 (c) 및 도 3의 (c)는 보조 트레이(112)가 180° 회동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보조 트레이(112) 위에 큰 사이즈의 시트가 적재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적재 트레이(111)의 회동량이 소정량 미만인 경우에는, 도 3의 (a) 내지 도 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의 축(112b)은, 스프링(114)에 의해 화살표 F 방향으로 가압되어, 스토퍼부(115)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이어서, 보조 트레이(112)를 회동 위치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적재 트레이(111)를 소정량(본 실시 형태에서는 1, 2번 정도) 회동시키면, 보조 트레이의 축(112b)이 스토퍼부(115)의 경사면부(115b)를 타고 넘는다. 그러면, 보조 트레이의 축(112b)은 스프링(114)의 가압력 및 자신의 자중에 의해, 화살표 F 방향으로 인장되고, 도 2의 (d) 및 도 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112a)가 키의 홈(111b)에 걸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는, 보조 트레이(112)는 적재 트레이(111)에 로크(고정)되어, 적재 트레이(111)로부터 회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적재 트레이(111)가 회동되면, 도 3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112)는 적재 트레이(111)에 고정된 상태로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도 3의 (e)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적재 트레이(111)를 폐쇄할 때에는, 적재 트레이(111)는 도 3의 (d)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적재 트레이(111)가 폐쇄되어 가서, 도 3의 (d)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3의 (c)의 상태가 되는 사이에, 보조 트레이(112)의 축(112b)은 스토퍼부(115)의 경사면부(115b)와 접촉한다. 그리고, 적재 트레이(111)를 폐쇄해 가면, 축(112b)은 경사면부(115b)에 지지되고, 도 2의 (d)의 키의 홈(111b) 안으로부터, 도 2의 (c)의 O2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의해, 보조 트레이(112)는 다시 o-p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유저는 보조 트레이(112)를 회동시켜서 수납 위치에 수납할 수 있다.
유저가, 보조 트레이(112)를 수납 위치에 수납한 상태에서, 적재 트레이(111)를 회동시키는 경우에도, 적재 트레이(111)가 소정량 회동됨으로써, 보조 트레이(112)의 회동은 회동 규제 수단(200)에 의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보조 트레이(112)는 회동 위치에 있어서도 수납 위치에 있어서도, 적재 트레이(111)가 소정량 회동했을 때에는, 적재 트레이(111)에 고정되어서 일체로 회동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적재 트레이(111)가 소정량 회동됨으로써, 보조 트레이(112)의 회동이 회동 규제 수단(200)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보조 트레이(112)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시트 적재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적재 트레이에 키를 형성하고, 보조 트레이에 홈부를 형성한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의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의 (a), 도 4의 (b)는 제2 실시 형태가 적용된 시트 적재 장치(201)의 사시도이다. 도 4의 (c)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4의 (a)에 있어서, 상면에 시트를 적재하는 적재면을 구비한 적재 트레이(211)는 O3을 중심으로 장치 본체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조 트레이(212)는, 적재 트레이(211)의 시트 배출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지지점 중심(O4)을 중심으로, 적재 트레이(211)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조 트레이(212)는, 적재 트레이(211)에 수납된 수납 위치와 적재 트레이로부터 회동한 회동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한다.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212)는, 회동 위치에서는 적재 트레이(211)의 적재면을 연장하고 있어, 큰 사이즈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시트 적재 장치에서는, 적재 트레이(211)를 소정량 회동시키면, 회동 규제 수단(200)에 의해 보조 트레이(212)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어서, 이 회동 규제 수단(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동 규제 수단(200)은, 적재 트레이(211)에 형성된 키(211a)와, 보조 트레이(212)에 형성된 둥근 구멍(212a)과 키의 홈(212b)을 갖는다.
키(211a)가 둥근 구멍(212a)과 걸림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보조 트레이(212)는 회동할 수 있다. 키(211a)가 키의 홈(212b)과 걸림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보조 트레이(212)는 회동할 수 없게 된다.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 트레이(211)와 보조 트레이(212)의 사이에는, 스프링(214)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214)의 일단부는 적재 트레이(211)의 스프링 걸이부(211d)에, 스프링(214)의 타단부는 보조 트레이(212)의 축(212d)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214)에 의해, 보조 트레이(212)는 화살표 F 방향으로, 즉, 키의 홈(212b)이 키(211a)에 걸림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한, 시트 적재 장치(201)에는, 스프링(214)에 가압된 보조 트레이(212)를 걸림 지지시키는 스토퍼부(215)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 트레이(21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스프링(214)에 가압되어 있는 보조 트레이(212)의 축(212d)이 스토퍼부(215)의 경사면부(215b)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재 트레이(21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키(211a)는 둥근 구멍(212a)에 보유 지지되므로, 보조 트레이(212)는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트레이(212)의 둥근 구멍(212a)과 축(212d)은 동축 위에 배치되어 있다.
유저가 적재 트레이(211)를 소정량 회동시키면, 보조 트레이의 축(212d)도 상방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보조 트레이의 축(212d)은 장치 본체에 설치된 스토퍼부(215)에 의해 걸림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고, 보조 트레이(212)는 스프링(214)의 가압력에 의해 F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둥근 구멍(212a)과 키의 홈(212b)도 F 방향으로 이동하여, 키의 홈(212b)과 키(211a)가 끼워 맞춰지므로, 보조 트레이(212)는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이어서,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유저가 적재 트레이(211)와 보조 트레이(212)를 회동시켰을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d)는 단면 C-C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도 6의 (e)는 단면 D-D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d)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d)에 대응하고 있다.
도 5의 (a) 및 도 6의 (a)는 적재 트레이(211) 및 보조 트레이(212)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유저는, 보조 트레이(212)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5의 (b) 및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212)는 O4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도 5의 (c) 및 도 6의 (c)는, 보조 트레이(212)가 180° 회동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보조 트레이(212) 위에 큰 사이즈의 시트가 적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적재 트레이(211)가 회동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의 축(212d)은 스프링(214)에 의해 화살표 F 방향으로 가압되고, 스토퍼부(215)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이어서, 보조 트레이(212)를 회동 위치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적재 트레이(211)를 소정량(본 실시 형태에서는 1, 2회 정도) 회동시키면, 보조 트레이의 축(212d)이 스토퍼부(215)의 경사면부(215b)를 타고 넘는다. 그러면, 보조 트레이의 축(212d)은 스프링(214)의 가압력 및 자신의 자중에 의해, 화살표 F 방향으로 인장되고, 도 5의 (d) 및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211a)와 키의 홈(212b)이 끼워 맞춰진다.
이 상태에서는, 보조 트레이(212)는 로크(고정)되고, 적재 트레이(211)로부터 회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적재 트레이(211)가 회동되면, 도 6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212)는 적재 트레이(211)에 고정된 상태로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보조 트레이(212)는 회동 위치에 있어도 수납 위치에 있어도, 적재 트레이(211)가 소정량 회동했을 때에는, 적재 트레이(211)에 고정되어서 일체로 회동한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시트 적재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는, 회동 규제 수단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의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의 (a), 도 7의 (b)는 제3 실시 형태가 적용된 시트 적재 장치(301)의 사시도이다. 도 7의 (c)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주요부의 각각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도 9의 (e)는 단면 F-F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에 있어서, 상면에 시트를 적재하는 적재면을 구비한 적재 트레이(311)는 장치 본체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조 트레이(312)는 적재 트레이(311)의 시트 배출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회동 중심(O6)을 중심으로 적재 트레이(311)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조 트레이(312)는 적재 트레이(311)에 수납된 수납 위치와 적재 트레이로부터 회동된 회동 위치와의 사이를 회동한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312)는 회동 위치에서는 적재 트레이(311)의 적재면을 연장하고 있어, 큰 사이즈의 시트를 적재할 수 있다. 보조 트레이(312)는 양단부에 있어서, 적재 트레이(311)의 지지 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는, 보조 트레이(312)의 위상을 제약하기 위한 위상 제약부(316)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 제약부(316)는 판상의 슬라이드부(316a), 단면이 U 형상인 본체부(316X), 본체부(316X)의 단부에 설치된 축(316c)을 구비한다. U 형상의 본체부(316X)의 내측면에는 키의 홈(31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재 트레이(311)에 있어서의 보조 트레이(312)측의 단부에는, 위상 제약부(316)의 슬라이드부(316a)가 삽입되는 홈(31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재 트레이(311)에 있어서의 홈(311a)의 근방에는, 축(311e)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트레이(312)에는, 회동 중심(O6)과 동축 위에 설치된 축(312b)이 설치된다. 축(312b)은 키 형상이고, 위상 제약부(316)의 키의 홈(316b)에 끼워 맞춰진다.
도 7의 (b),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312)의 축(312b)을 위상 제약부(316)의 U 형상의 본체부(316X)의 내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316a)가 적재 트레이(311)의 홈(311a)에 삽입된다. 위상 제약부(316)는 슬라이드부(316a)가 홈(311a)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도 8 중의 q-r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적재 트레이(311)에 보유 지지된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 제약부(316)의 축(316c)과 적재 트레이(311)의 축(311e)의 사이에는 스프링(314)이 설치되어 있다. 위상 제약부(316)는 스프링(314)의 힘에 의해 도 7의 (b) 중 화살표 F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위상 제약부(316)에 형성된 경사면부(316d)는, 장치 본체에 고정된 지지 부재(315)의 경사면부(315d)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보조 트레이(312)의 회동 중심인 O6과 동축 위에 설치된 축(312b)은 키 형상이고, 위상 제약부(316)의 키의 홈(316b)에 끼워 맞춰진다. 키 형상의 축(312b)이 키의 홈(316b)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보조 트레이(312)는 회동할 수 없다.
도 9의 (a) 및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 트레이(311)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위상 제약부(316)에 형성된 경사면부(316d)가 장치 본체에 고정된 지지 부재(315)의 경사면부(315d)에 걸림 지지되어 있다. 이때, 키 형상의 축(312b)은 키의 홈(316b)과 끼워 맞춰져 있지 않으므로, 보조 트레이(312)는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의 (c)는 보조 트레이(312)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유저가 이 상태로부터 적재 트레이(311)를 회동시키면, 적재 트레이(311)의 홈(311a)이 경사진다. 그러면, 위상 제약부(316)는 스프링(314)의 가압력 및 자중에 의해, 슬라이드부(316a)가 홈(311a)으로 안내되어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9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키(312b)가 키의 홈(316b)과 끼워 맞춰지므로, 보조 트레이(312)는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의해, 도 9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가 적재 트레이(311)를 더 회동시켜도, 보조 트레이(312)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보조 트레이(312)의 축(312b)을 키 형상으로 하고, 적재 트레이(3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위상 제약부(316)에 키의 홈(316b)을 형성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보조 트레이(312)에 키의 홈을 형성하고, 위상 제약부(316)에, 이 키의 홈에 끼워 맞추는 돌출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위상 제약부(316)를 적재 트레이(3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보조 트레이(312)와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보조 트레이(312)의 회동을 규제하는 형태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위상 제약부(316)를 보조 트레이(3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적재 트레이(311)와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보조 트레이(312)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하여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10: 배출 롤러
101: 시트 적재 장치
111: 적재 트레이
111a: 둥근 구멍
111b: 키의 홈
112: 보조 트레이
112a: 키
112b: 보조 트레이의 축
110: 장치 본체
114: 가압 수단
115: 스토퍼부
115b: 경사면부
200: 회동 규제 수단
316: 위상 제약부

Claims (11)

  1. 장치 본체에 대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배출 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시트를 적재하는 적재면을 구비한 적재 트레이와,
    상기 적재 트레이에 수납된 수납 위치와, 상기 적재 트레이로부터 회동한 회동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한 보조 트레이와,
    상기 적재 트레이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회동하면, 상기 보조 트레이가 상기 회동 위치로부터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 트레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배출 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시트가 상기 적재 트레이의 상기 적재면 상에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트레이는, 상기 적재 트레이로부터 회동한 상기 회동 위치에서는, 상기 적재면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규제 수단은,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와 걸림 결합하는 홈부를 갖고,
    상기 홈부는, 제1 홈부를 갖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1 홈부가 걸림 결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트레이의 회동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제2 홈부를 갖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2 홈부가 걸림 결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 트레이는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적재 트레이 또는 상기 보조 트레이의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적재 트레이 또는 상기 보조 트레이의 다른 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또는 상기 홈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갖고,
    상기 적재 트레이가 미리 정해진 양 이상 회동되면, 상기 돌기부 또는 상기 홈부는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받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2 홈부가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 트레이의 회동량이 미리 정해진 양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1 홈부와 걸림 결합하도록,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력을 받고 있는 상기 돌기부 또는 상기 홈부를 걸림 지지시키는 스토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경사면부를 갖고, 상기 적재 트레이를 폐쇄할 때, 제2 위치에서 보유 지지되고 있던 돌기부가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고, 상기 경사면부에 지지되어 제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재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키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홈부는 키의 홈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홈부는 둥근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재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트레이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회동하는 방향은, 상기 보조 트레이가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회동 위치로 회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적재 장치.
  11.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시트를 적재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시트 적재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57018017A 2012-12-14 2012-12-14 시트 적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728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82495 WO2014091616A1 (ja) 2012-12-14 2012-12-14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292A KR20150092292A (ko) 2015-08-12
KR101728974B1 true KR101728974B1 (ko) 2017-04-20

Family

ID=5093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017A KR101728974B1 (ko) 2012-12-14 2012-12-14 시트 적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42827B2 (ko)
JP (1) JP6084236B2 (ko)
KR (1) KR101728974B1 (ko)
CN (1) CN104854007B (ko)
WO (1) WO2014091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7138B2 (ja) * 2014-11-26 2016-12-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用紙排出トレイ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101992A (ja) 2014-11-27 2016-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59995B2 (ja) * 2016-01-28 2019-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60005B2 (ja) * 2016-02-18 2019-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71904B2 (ja) * 2016-03-01 2020-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06477B2 (ja) * 2016-07-19 2021-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そのシート積載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6851911B2 (ja) * 2017-06-09 2021-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
JP7346833B2 (ja) * 2019-01-31 2023-09-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排出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7330063B2 (ja) * 2019-10-28 2023-08-2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自動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7537122B2 (ja) * 2020-04-22 2024-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原稿搬送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667A (ja) * 1998-07-06 2000-01-18 Casio Comput Co Ltd プリンタカバー
JP2009046219A (ja) * 2007-08-16 2009-03-05 Ricoh Co Ltd シート材積載装置、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2260A (ja) * 1990-11-17 1992-06-29 Mita Ind Co Ltd 排紙トレイ
JPH04223964A (ja) * 1990-12-26 1992-08-1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トレイ
JP3293359B2 (ja) * 1994-09-03 2002-06-17 オムロン株式会社 紙葉類保持装置
JPH09110273A (ja) * 1995-10-20 1997-04-28 Mita Ind Co Ltd 自動用紙搬送装置
KR0181153B1 (ko) * 1996-06-27 1999-04-01 김광호 용지받침 장치
JP3691745B2 (ja) * 1999-12-01 2005-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用紙トレイ
JP2003201054A (ja) * 2001-11-01 2003-07-15 Murata Mach Ltd 用紙トレイ
JP4059012B2 (ja) * 2002-06-10 2008-03-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4051350A (ja) * 2002-07-23 2004-02-19 Pfu Ltd スタッカ機構
JP4071143B2 (ja) * 2003-04-09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媒体排出機構及びその記録媒体排出機構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420700B2 (ja) * 2004-03-12 2010-02-2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67325B2 (ja) * 2004-11-29 2009-1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排出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855694B2 (ja) * 2005-02-25 2012-01-18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排出シート積載装置と該装置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4402008B2 (ja) * 2005-05-17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14530B2 (ja) * 2005-05-31 2009-08-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75181B2 (ja) * 2005-06-22 2010-06-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19198A (ja) * 2005-10-31 2007-05-17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747807B2 (ja) * 2005-11-29 2011-08-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84536B2 (ja) * 2006-01-12 2012-07-25 船井電機株式会社 用紙トレイ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リンタ装置
JP2007217163A (ja) * 2006-02-20 2007-08-30 Kyocera Mita Corp 手差しトレイ維持機構
JP4442638B2 (ja) * 2007-05-30 2010-03-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12868A (ja) * 2007-06-29 2009-01-22 Canon Electronics Inc 排紙積載装置
JP2009137719A (ja) * 2007-12-07 2009-06-25 Kyocera Mita Corp 排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132353B2 (ja) * 2008-02-20 2013-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814927B2 (ja) * 2008-10-17 2011-11-16 株式会社沖データ シート堆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45470B2 (ja) * 2009-07-28 2014-07-09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48245B2 (ja) * 2009-10-27 2014-03-19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材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49369B2 (ja) * 2010-05-13 2014-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スタッカーおよび記録装置
JP5183706B2 (ja) * 2010-09-14 2013-04-17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積載装置、媒体読取装置、及び複合装置
TW201302491A (zh) * 2011-07-07 2013-01-16 Hon Hai Prec Ind Co Ltd 出紙裝置
JP5520276B2 (ja) * 2011-10-31 2014-06-11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201345741A (zh) * 2012-05-11 2013-11-16 Primax Electronics Ltd 承紙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667A (ja) * 1998-07-06 2000-01-18 Casio Comput Co Ltd プリンタカバー
JP2009046219A (ja) * 2007-08-16 2009-03-05 Ricoh Co Ltd シート材積載装置、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1616A1 (ja) 2014-06-19
KR20150092292A (ko) 2015-08-12
CN104854007B (zh) 2018-04-20
CN104854007A (zh) 2015-08-19
US20140167349A1 (en) 2014-06-19
US9242827B2 (en) 2016-01-26
JPWO2014091616A1 (ja) 2017-01-05
JP6084236B2 (ja)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974B1 (ko) 시트 적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436146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媒体供給機構
JP6676304B2 (ja) 回転体ユニット、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061297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8292290B2 (en)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990361B1 (en) Manual paper feeder that ensures stable paper feeding opera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2161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183294A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792628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JP6031497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3943840B2 (ja) 画像形成装置本体
US8746683B2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90351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87886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enables adjusting pressure between fixed guide and movable guide
JP6323377B2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459922B2 (ja) 画像形成装置
JP6800822B2 (ja) 積載装置、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789714B2 (ja) シート支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259674B2 (en) Sheet dis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JP5968106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2520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6005983A (ja) 用紙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24965B2 (ja) 手差しシート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4331345A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5166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