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833B1 -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5833B1 KR101335833B1 KR1020117022042A KR20117022042A KR101335833B1 KR 101335833 B1 KR101335833 B1 KR 101335833B1 KR 1020117022042 A KR1020117022042 A KR 1020117022042A KR 20117022042 A KR20117022042 A KR 20117022042A KR 101335833 B1 KR101335833 B1 KR 1013358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diode
- igbt
- layer
- drif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10000000746 body regio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61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 H01L27/0641—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integrated circuits having a two-dimensional layout of components without a common active region without components of the field effect type
- H01L27/0647—Bipolar transistors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capacitors, or resistors, e.g. vertical bipolar transistor and bipolar lateral transistor and resistor
- H01L27/0652—Vertical bipolar transistor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capacitors, or resis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1—PN jun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0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the components having an active region in common
- H01L27/070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the components having an active region in comm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 effect type
- H01L27/072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non-repetitive configuration the components having an active region in common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field effect type in combination with diodes, or capacitors or resis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3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physical imperfections; having polished or roughened surface
- H01L29/3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physical imperfections; having polished or roughened surface the imperfections being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9—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bipolar static induction transistors [BSIT]
- H01L29/7393—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s, i.e. IGBT; IGT; COMFET
- H01L29/7395—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 H01L29/7396—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with a non planar surface, e.g. with a non planar gate or with a trench or recess or pillar in the surface of the emitter, base or collector region for improving current density or short circuiting the emitter and base regions
- H01L29/7397—Vertical transistors, e.g. vertical IGBT with a non planar surface, e.g. with a non planar gate or with a trench or recess or pillar in the surface of the emitter, base or collector region for improving current density or short circuiting the emitter and base regions and a gate structure lying on a slanted or vertical surface or formed in a groove, e.g. trench gate IGB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 사이에는, 반도체 기판의 상면에서부터 애노드 영역의 하단 및 보디 영역의 하단보다 깊은 깊이까지의 범위에 p 형의 분리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내에는,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캐리어 라이프 타임은,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외의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의 캐리어 라이프 타임보다 짧다.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IGBT 영역측의 단부가, 분리 영역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은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192737호에는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다이오드 영역에는 데미지층이 형성되어 있다. 데미지층이 캐리어의 재결합 중심이 되기 때문에, 역회복시에 다이오드에 흐르는 역전류가 저감된다.
데미지층은 통상적으로 반도체 기판에 하전 입자를 주입함으로써 형성된다. 하전 입자를 주입하는 공정에서는, 하전 입자가 주입되는 범위는 제조 오차가 크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192737호의 반도체 장치에서는, 데미지층의 단부가 다이오드 영역내, IGBT 영역내, 또는,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조 오차에 의하여 데미지층의 단부 위치가 어긋나면, 다이오드의 특성 및 IGBT 의 특성이 변화된다. 즉, 이 반도체 장치에서는, 데미지층이 형성되는 범위의 제조 오차에 의하여, 다이오드의 특성 및 IGBT 의 특성에 편차가 발생되기 쉽다.
본 명세서는 다이오드와 IGBT 를 갖는 반도체 장치로서, 양산시에 다이오드의 특성, 및, IGBT 의 특성에 편차가 발생되기 어려운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가 개시하는 반도체 장치는,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다이오드 영역내의 반도체 기판의 상면에는 애노드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IGBT 영역내의 반도체 기판의 상면에는 이미터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 기판의 하면에는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영역에는, 애노드 영역과,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과, 캐소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 영역은 p 형이고, 애노드 전극에 접해 있다.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은 n 형이고, 애노드 영역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캐소드 영역은 n 형이고,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보다 n 형 불순물 농도가 높고,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에 접해 있다. IGBT 영역에는, 이미터 영역과, 보디 영역과, IGBT 드리프트 영역과, 콜렉터 영역과,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미터 영역은 n 형이고, 이미터 전극에 접해 있다. 보디 영역은 p 형이고, 이미터 영역의 측방 및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이미터 전극에 접해 있다. IGBT 드리프트 영역은 n 형이고, 보디 영역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콜렉터 영역은 p 형이고, IGBT 드리프트 영역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에 접해 있다. 게이트 전극은 이미터 영역과 IGBT 드리프트 영역을 분리하고 있는 범위의 보디 영역에 절연막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 사이에는, 반도체 기판의 상면에서부터 애노드 영역의 하단 및 보디 영역의 하단보다 깊은 깊이까지의 범위에 p 형의 분리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내에는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캐리어 라이프 타임은,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외의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의 캐리어 라이프 타임보다 짧다.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IGBT 영역측의 단부는 분리 영역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은 캐리어 라이프 타임이 단축화된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하전 입자의 주입에 의하여 결정 결함이 형성된 영역 등이 포함된다.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내에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다이오드의 역회복시에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내의 캐리어가 재결합에 의하여 쉽게 소멸된다. 이로써, 다이오드의 역회복시에 흐르는 역전류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반도체 장치에서는,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IGBT 영역측의 단부가 분리 영역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단부 위치에 편차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다이오드 영역내에서의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면적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반도체 장치는, 다이오드의 역회복 특성에 편차가 발생되기 어렵다.
상기 서술한 반도체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IGBT 드리프트 영역내에는,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캐리어 라이프 타임은,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외의 IGBT 드리프트 영역의 캐리어 라이프 타임보다 짧다.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다이오드 영역측의 단부가, 분리 영역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은 캐리어 라이프 타임이 단축화된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하전 입자의 주입에 의하여 결정 결함이 형성된 영역 등이 포함된다. IGBT 드리프트 영역내에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IGBT 의 턴 오프시에 IGBT 드리프트 영역내의 캐리어가 재결합에 의하여 쉽게 소멸된다. 이로써, IGBT 의 턴 오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반도체 장치에서는,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다이오드 영역측의 단부가 분리 영역 아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단부 위치에 편차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IGBT 영역내에 있어서의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면적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반도체 장치는, IGBT 의 턴 오프 속도에 편차가 발생되기 어렵다.
도 1 은 반도체 장치 (10) 의 다이오드 영역 (20) 과 IGBT 영역 (40) 의 경계 부분에서의 종단면도.
실시형태에 관련된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도체 장치의 구조)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 (10) 는, 반도체 기판 (12) 과, 반도체 기판 (12) 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금속층 및 절연층 등을 구비하고 있다. 반도체 기판 (12) 에는, 다이오드 영역 (20) 과 IGBT 영역 (40) 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영역 (20) 내의 반도체 기판 (12) 의 상면에는 애노드 전극 (22) 이 형성되어 있다. IGBT 영역 (40) 내의 반도체 기판 (12) 의 상면에는 이미터 전극 (42) 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 기판 (12) 의 하면에는 공통 전극 (60) 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영역 (20) 에는 애노드층 (26),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캐소드층 (30) 이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층 (26) 은 p 형이다. 애노드층 (26) 은, 애노드 콘택트 영역 (26a) 과 저농도 애노드층 (26b) 을 구비하고 있다. 애노드 콘택트 영역 (26a) 은, 반도체 기판 (12) 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범위에서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 콘택트 영역 (26a) 은 불순물 농도가 높다. 애노드 콘택트 영역 (26a) 은 애노드 전극 (22) 에 대하여 오믹 접속되어 있다. 저농도 애노드층 (26b) 은, 애노드 콘택트 영역 (26a) 의 하측 및 측방에 형성되어 있고, 애노드 콘택트 영역 (26a) 을 덮고 있다. 저농도 애노드층 (26b) 의 불순물 농도는, 애노드 콘택트 영역 (26a) 보다 낮다.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은, 애노드층 (26)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은 n 형이고, 불순물 농도가 낮다.
캐소드층 (30) 은,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캐소드층 (30) 은, 반도체 기판 (12) 의 하면으로 노출되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캐소드층 (30) 은 n 형이고, 불순물 농도가 높다. 캐소드층 (30) 은 공통 전극 (60) 에 대하여 오믹 접속되어 있다.
애노드층 (26),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및, 캐소드층 (30) 에 의하여 다이오드가 형성되어 있다.
IGBT 영역 (40) 에는, 이미터 영역 (44), 보디층 (48), IGBT 드리프트층 (50), 콜렉터층 (52), 및, 게이트 전극 (54) 등이 형성되어 있다.
IGBT 영역 (40) 내의 반도체 기판 (12) 의 상면에는, 복수의 트렌치가 형성되어 있다. 각 트렌치의 내면에는 게이트 절연막 (56) 이 형성되어 있다. 각 트렌치의 내부에 게이트 전극 (54) 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 (54) 의 상면은 절연막 (58) 에 의하여 덮여 있다. 게이트 전극 (54) 은 이미터 전극 (42) 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이미터 영역 (44) 은, 반도체 기판 (12) 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범위에서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미터 영역 (44) 은, 게이트 절연막 (56) 에 접하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미터 영역 (44) 은 n 형이고, 불순물 농도가 높다. 이미터 영역 (44) 은 이미터 전극 (42) 에 대하여 오믹 접속되어 있다.
보디층 (48) 은 p 형이다. 보디층 (48) 은 보디 콘택트 영역 (48a) 과 저농도 보디층 (48b) 을 구비하고 있다. 보디 콘택트 영역 (48a) 은, 반도체 기판 (12) 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범위에서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 콘택트 영역 (48a) 은 2 개의 이미터 영역 (4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보디 콘택트 영역 (48a) 은 불순물 농도가 높다. 보디 콘택트 영역 (48a) 은 이미터 전극 (42) 에 대하여 오믹 접속되어 있다. 저농도 보디층 (48b) 은 이미터 영역 (44) 및 보디 콘택트 영역 (48a)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저농도 보디층 (48b) 은 게이트 전극 (54) 의 하단보다 얕은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저농도 보디층 (48b) 의 불순물 농도는 보디 콘택트 영역 (48a) 보다 낮다. 저농도 보디층 (48b) 에 의하여, 이미터 영역 (44) 이 IGBT 드리프트층 (50) 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 (54) 은, 이미터 영역 (44) 과 IGBT 드리프트층 (50) 을 분리하고 있는 범위의 저농도 보디층 (48b) 에 게이트 절연막 (56) 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IGBT 드리프트층 (50) 은, 보디층 (48)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IGBT 드리프트층 (50) 은 n 형이다. IGBT 드리프트층 (50) 은 드리프트층 (50a) 과 버퍼층 (50b) 을 구비하고 있다. 드리프트층 (50a) 은, 보디층 (48)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드리프트층 (50a) 은 불순물 농도가 낮다. 드리프트층 (50a) 은,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과 대략 동일한 불순물 농도를 갖고 있고,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과 연속되는 층이다. 버퍼층 (50b) 은 드리프트층 (50a)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버퍼층 (50b) 은 드리프트층 (50a) 보다도 불순물 농도가 높다.
콜렉터층 (52) 은, IGBT 드리프트층 (50) 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콜렉터층 (52) 은, 반도체 기판 (12) 의 하면으로 노출되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콜렉터층 (52) 은 p 형이고, 불순물 농도가 높다. 콜렉터층 (52) 은 공통 전극 (60) 에 대하여 오믹 접속되어 있다.
이미터 영역 (44), 보디층 (48), IGBT 드리프트층 (50), 콜렉터층 (52), 및, 게이트 전극 (54) 에 의하여 IGBT 가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영역 (20) 과 IGBT 영역 (40) 사이에는 분리 영역 (70) 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 영역 (70) 은, 반도체 기판 (12) 의 상면으로부터 애노드층 (26) 의 하단 및 보디층 (48) 의 하단보다 깊은 깊이까지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 영역 (70) 은, 반도체 기판 (12) 의 상면으로부터 게이트 전극 (54) 의 하단보다 깊은 깊이까지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분리 영역 (70) 은 애노드층 (26) 및 보디층 (48) 에 접해 있다. 분리 영역 (70) 은 p 형이다. 분리 영역 (70) 의 불순물 농도는, 저농도 애노드층 (26b) 및 저농도 보디층 (48b) 보다 높다. 분리 영역 (70) 의 바닥면은 평탄하다. 분리 영역 (70) 은, 애노드층 (26) 과 보디층 (48) 사이에서 전계가 집중되는 것을 억제한다. 특히, 분리 영역 (70) 이 게이트 전극 (54) 의 하단보다 깊은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영역 (70) 근방의 게이트 전극 (54) 에 전계가 집중되는 것이 억제된다.
분리 영역 (70) 하측에서는,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과 드리프트층 (50a) 이 연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영역 (20) 의 캐소드층 (30) 은, 분리 영역 (70) 하측까지 연장되어 있고, IGBT 영역 (40) 의 콜렉터층 (52) 은, 분리 영역 (70) 하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캐소드층 (30) 은, 분리 영역 (70) 하측에서 콜렉터층 (52) 과 접해 있다. 즉, 캐소드층 (30) 과 콜렉터층 (52) 의 경계 (72) 가 분리 영역 (70)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계 (72) 는, 분리 영역 (70) 의 바닥면 (평탄 부분) 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경계 부분의 구조는, 다이오드 영역 (20) 과 IGBT 영역 (40) 사이를 따라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즉, 다이오드 영역 (20) 과 IGBT 영역 (40) 사이에서, 경계 (72) 는 분리 영역 (70) 을 따라 신장되어 있다.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내에는,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내에는, 반도체 기판 (12) 에 하전 입자의 주입에 의하여 형성된 결정 결함이 존재한다.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내의 결정 결함 밀도는, 그 주위의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에 비하여 매우 높다.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은 애노드층 (26) 근방의 깊이이고, 분리 영역 (70) 의 하단보다 깊은 깊이에서 형성되어 있다. 참조 번호 39a 는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의 IGBT 영역 (40) 측의 단부를 나타낸다. 단부 (39a) 보다 외측 (IGBT 영역 (40) 측) 에 있어서는, 결정 결함은 깊이 방향 (도 1 의 세로 방향) 을 따라 분포하고 있다. 이것은, 하전 입자를 주입할 때에, 마스크의 개구부의 외주 근방에서 하전 입자의 주입 깊이가 변화되기 때문이다. 깊이 방향을 따라 분포하고 있는 결정 결함은 밀도가 낮아, 반도체 장치 (10) 의 특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의 단부 (39a) 는, 분리 영역 (70)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 (39a) 는, 분리 영역 (70) 의 바닥면 (평탄 부분) 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다이오드 영역 (20) 과 IGBT 영역 (40) 사이에서,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의 단부 (39a) 가, 분리 영역 (70) 을 따라 신장되어 있다.
드리프트층 (50a) 내에는,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이 형성되어 있다.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내에는, 반도체 기판 (12) 에 하전 입자를 주입함으로써 형성된 결정 결함이 존재한다.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내의 결정 결함 밀도는, 그 주위의 드리프트층 (50a) 에 비하여 매우 높다.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은, 버퍼층 (50b) 근방의 깊이에서 형성되어 있다. 참조 번호 (59a) 는,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의 다이오드 영역 (20) 측의 단부를 나타낸다. 단부 (59a) 의 외측 (다이오드 영역 (20) 측) 에 있어서는, 결정 결함은 깊이 방향을 따라 분포하고 있다. 이것은, 하전 입자를 주입할 때, 마스크의 개구부의 외주 근방에서 하전 입자의 주입 깊이가 변화되기 때문이다. 깊이 방향을 따라 분포되어 있는 결정 결함은 밀도가 낮아, 반도체 장치 (10) 의 특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의 단부 (59a) 는, 분리 영역 (70)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부 (59a) 는, 분리 영역 (70) 의 바닥면 (평탄 부분) 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다이오드 영역 (20) 과 IGBT 영역 (40) 사이에 있어서,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의 단부 (59a) 가, 분리 영역 (70) 을 따라 신장되어 있다.
(반도체 장치의 다이오드의 동작)
반도체 장치 (10) 의 다이오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애노드 전극 (22) 과 공통 전극 (60) 사이에, 애노드 전극 (22) 이 플러스가 되는 전압 (즉, 순전압) 을 인가하면, 다이오드가 온이 된다. 즉, 애노드 전극 (22) 에서부터, 애노드층 (26),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및, 캐소드층 (30) 을 경유하여 공통 전극 (60) 으로 전류가 흐른다.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 에서는, 분리 영역 (70) 아래에 경계 (72) 가 위치하고 있다. 다이오드가 온이 되어 있을 때에는, 도 1 의 화살표 8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 영역 (70) 에서부터 캐소드층 (30) 을 향하여 전류가 흐른다. 또, 다이오드가 온이 되어 있을 때에는, 도 1 의 화살표 80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애노드층 (26) 에서부터 분리 영역 (70) 아래의 캐소드층 (30) 을 향하여 전류가 흐른다. 이와 같이, 분리 영역 (70) 아래의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도 전류 경로가 되기 때문에, 이 다이오드는 순방향 온 전압이 낮다. 단, 분리 영역 (70) 아래에는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이 형성되어 있고, 화살표 8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 영역 (70) 에서부터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으로 흐르는 캐리어는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을 통과하므로, 캐리어의 대부분은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에서 재결합에 의하여 소멸된다. 또, 분리 영역 (70) 에서부터 애노드 전극 (22) 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화살표 81 로 나타내는 경로에서는 전류가 흐르기 어렵다. 이 때문에, 화살표 81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흐르는 전류는 작다. 또, 분리 영역 (70) 아래의 캐소드층 (30) 에서부터 애노드층 (26) 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도 1 의 화살표 80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흐르는 전류도 작다. 이와 같이, 분리 영역 (70) 아래의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으로 흐르는 전류는 작다. 이 때문에, 제조 오차에 의하여 경계 (72) 의 위치 (분리 영역 (70) 의 폭방향 (도 1 의 좌우 방향) 위치) 가 어긋났다고 해도, 다이오드의 특성이 변동되기 어렵다. 즉, 반도체 장치 (10) 의 양산시에 다이오드의 순방향 온 전압이 편차지기 어렵다.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을 순전압에서 역전압으로 전환하면 다이오드가 역회복 동작을 행한다. 즉, 순전압 인가시에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내에 존재하던 홀이 애노드 전극 (22) 으로 배출되고, 순전압 인가시에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내에 존재하던 전자가 공통 전극 (60) 으로 배출된다. 이로써, 다이오드로 역전류가 흐른다. 역전류는, 단시간에 감쇠하고, 그 후에는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류는 대략 제로가 된다.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내의 결정 결함은, 캐리어의 재결합 중심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역회복 동작시에,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내의 캐리어의 대부분이,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내에서 재결합에 의하여 소멸된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 (10) 에서는, 역회복 동작시에 발생되는 역전류가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 에서는, 분리 영역 (70) 아래에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의 단부 (39a) 가 위치하고 있다. 제조 오차에 의하여 분리 영역 (70) 아래에서 단부 (39a) 의 위치 (분리 영역 (70) 의 폭방향 (도 1 의 좌우 방향) 의 위치) 가 어긋났다고 해도, 다이오드 영역 (20) 내에 있어서의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의 면적은 변하지 않는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분리 영역 (70) 아래의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으로 흐르는 전류는 작다. 따라서, 단부 (39a) 의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분리 영역 (70) 아래의 다이오드 드리프트층 (28) 의 특성이 변화되어도, 다이오드의 역회복 특성에 주는 영향은 작다. 이 때문에, 반도체 장치 (10) 는, 단부 (39a) 의 위치가 어긋나도 다이오드의 역회복 특성이 변동되기 어렵다. 즉, 반도체 장치 (10) 의 양산시에, 다이오드의 역회복 특성이 편차지기 어렵다.
또, 반도체 장치 (10) 에서는,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이 분리 영역 (70) 하측까지 신장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 영역 (70) 하측의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 (28) 내에 존재하는 캐리어가,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에서 재결합한다. 이 때문에, 역회복 동작시에, 분리 영역 (70) 근방에서 높은 전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반도체 장치의 IGBT 의 동작)
반도체 장치 (10) 의 IGBT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미터 전극 (42) 과 공통 전극 (60) 사이에 공통 전극 (60) 이 플러스가 되는 전압을 인가하고, 게이트 전극 (54) 에 온 전위 (채널이 형성되는 데 필요한 전위 이상의 전위) 를 인가하면 IGBT 가 온이 된다. 즉, 게이트 전극 (54) 에 대한 온 전위의 인가에 의하여, 게이트 절연막 (56) 에 접하는 범위의 저농도 보디층 (48b) 에 채널이 형성된다. 그러면, 전자가, 이미터 전극 (42) 으로부터 이미터 영역 (44), 채널, IGBT 드리프트층 (50), 및, 콜렉터층 (52) 을 개재하여, 공통 전극 (60) 으로 흐른다. 또, 홀이, 공통 전극 (60) 에서부터 콜렉터층 (52), IGBT 드리프트층 (50), 저농도 보디층 (48b), 및, 보디 콘택트 영역 (48a) 을 개재하여, 이미터 전극 (42) 으로 흐른다. 즉, 공통 전극 (60) 에서부터 이미터 전극 (42) 으로 전류가 흐른다.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 에서는, 분리 영역 (70) 아래에 경계 (72) 가 위치하고 있다. IGBT 가 온이 되어 있을 때에는, 도 1 의 화살표 83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콜렉터층 (52) 에서부터 분리 영역 (70) 을 향하여 전류가 흐른다. 또, IGBT 가 온이 되어 있을 때에는, 도 1 의 화살표 8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리 영역 (70) 아래의 콜렉터층 (52) 에서부터 보디층 (48) 을 향하여 전류가 흐른다. 이와 같이, 분리 영역 (70) 아래의 IGBT 드리프트층 (50) 도 전류 경로가 되기 때문에, 이 IGBT 는 온 전압이 낮다. 단, 분리 영역 (70) 아래에는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이 형성되어 있고, 화살표 83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BT 드리프트층 (50) 에서부터 분리 영역 (70) 으로 흐르는 캐리어는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을 통과하므로, 캐리어의 상당수는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에서 재결합에 의하여 소멸된다. 또, 분리 영역 (70) 에서부터 이미터 전극 (42) 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화살표 83 으로 나타내는 경로에서는 전류가 흐르기 어렵다. 이 때문에, 화살표 83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흐르는 전류는 작다. 또, 분리 영역 (70) 아래의 콜렉터층 (52) 에서부터 보디층 (48) 까지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도 1 의 화살표 8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흐르는 전류는 작다. 이와 같이, 분리 영역 (70) 아래의 IGBT 드리프트층 (50) 으로 흐르는 전류는 작다. 이 때문에, 제조 오차에 의하여 경계 (72) 의 위치 (분리 영역 (70) 의 폭방향 (도 1 의 좌우 방향) 의 위치) 가 어긋났다고 해도, IGBT 의 특성이 변동되기 어렵다. 즉, 반도체 장치 (10) 의 양산시에, IGBT 의 온 전압이 편차지기 어렵다.
게이트 전극 (54) 에 인가하는 전위를, 온 전위에서 오프 전위로 전환하면 IGBT 가 턴 오프한다. 즉, 온일 때에 IGBT 드리프트층 (50) 내에 존재하던 홀이 공통 전극 (60) 으로 배출되고, 온일 때에 IGBT 드리프트층 (50) 내에 존재하던 전자가 이미터 전극 (42) 으로 배출된다. 이로써, IGBT 로 역전류가 흐른다. 역전류는, 단시간에 감쇠하고, 그 후에는, IGBT 로 흐르는 전류는 대략 제로가 된다. 또한,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내의 결정 결함은, 캐리어의 재결합 중심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턴 오프 동작시에, IGBT 드리프트층 (50) 내의 캐리어의 대부분이,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내에서 재결합에 의하여 소멸된다. 따라서, 반도체 장치 (10) 에서는, 턴 오프 동작시에 발생되는 역전류가 억제된다. 이로써, IGBT 의 턴 오프 속도가 향상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 에서는, 분리 영역 (70) 아래에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의 단부 (59a) 가 위치하고 있다. 제조 오차에 의하여 분리 영역 (70) 아래에서 단부 (59a) 의 위치 (분리 영역 (70) 의 폭방향 (도 1 의 좌우 방향) 의 위치) 가 어긋났다고 해도, IGBT 영역 (40) 내에 있어서의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의 면적은 변하지 않는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분리 영역 (70) 아래의 IGBT 드리프트층 (50) 으로 흐르는 전류는 작다. 따라서, 단부 (59a) 의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분리 영역 (70) 아래의 IGBT 드리프트층 (50) 의 특성이 변화되어도, IGBT 의 턴 오프 속도에 주는 영향은 작다. 이 때문에, 반도체 장치 (10) 는, 단부 (59a) 의 위치가 어긋나도, IGBT 의 턴 오프 속도가 변동되기 어렵다. 즉, 반도체 장치 (10) 의 양산시에, IGBT 의 턴 오프 속도가 편차지기 어렵다.
또, 반도체 장치 (10) 에서는,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이 분리 영역 (70) 하측까지 신장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 영역 (70) 하측의 IGBT 드리프트 영역 (50) 내에 존재하는 캐리어가,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에서 재결합한다. 이 때문에, 턴 오프시에, 분리 영역 (70) 근방에서 높은 전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 에서는, 경계 (72), 다이오드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의 단부 (39a), 및, IGBT 캐리어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59) 의 단부 (59a) 가, 분리 영역 (70)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경계 (72), 단부 (39a), 및, 단부 (59a) 가 제조 오차에 의하여 위치가 어긋났다고 해도, 분리 영역 (70) 아래에 경계 (72), 단부 (39a), 및, 단부 (59a) 가 위치하도록, 분리 영역 (70) 이 충분한 폭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 장치 (10) 의 양산시에, 다이오드의 순방향 온 전압, 다이오드의 역회복 특성, IGBT 의 온 전압, 및, IGBT 의 턴 오프 속도가 편차지기 어렵다. 안정적인 품질로 반도체 장치 (10) 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 (10) 에서는,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 (39, 59) 이 다이오드 영역 (20) 과 IGBT 영역 (40) 에 형성되어 있었으나, 예를 들어 다이오드 영역 (20) 과 IGBT 영역 (40) 의 어느 한 쪽에만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을 형성해도 된다.
Claims (2)
-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로서,
다이오드 영역내의 반도체 기판의 상면에 애노드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IGBT 영역내의 반도체 기판의 상면에 이미터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반도체 기판의 하면에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다이오드 영역에는,
p 형이고, 애노드 전극에 접해 있는 애노드 영역과,
n 형이고, 애노드 영역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과,
n 형이고,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보다 n 형 불순물 농도가 높고,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에 접해 있는 캐소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IGBT 영역에는,
n 형이고, 이미터 전극에 접해 있는 이미터 영역과,
p 형이고, 이미터 영역의 측방 및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이미터 전극에 접해 있는 보디 영역과,
n 형이고, 보디 영역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IGBT 드리프트 영역과,
p 형이고, IGBT 드리프트 영역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극에 접해 있는 콜렉터 영역과,
이미터 영역과 IGBT 드리프트 영역을 분리하고 있는 범위의 보디 영역에 절연막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는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 사이에는, 반도체 기판의 상면에서부터 애노드 영역의 하단 및 보디 영역의 하단보다 깊은 깊이까지의 범위에 p 형의 분리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내에는,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캐리어 라이프 타임은,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외의 다이오드 드리프트 영역의 캐리어 라이프 타임보다 짧고,
다이오드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IGBT 영역측의 단부가, 분리 영역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IGBT 드리프트 영역내에는,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캐리어 라이프 타임은,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외의 IGBT 드리프트 영역의 캐리어 라이프 타임보다 짧고,
IGBT 라이프 타임 제어 영역의 다이오드 영역측의 단부가, 분리 영역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9/065606 WO2011027474A1 (ja) | 2009-09-07 | 2009-09-07 | ダイオード領域とigbt領域を有する半導体基板を備える半導体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7232A KR20110127232A (ko) | 2011-11-24 |
KR101335833B1 true KR101335833B1 (ko) | 2013-12-03 |
Family
ID=4364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22042A KR101335833B1 (ko) | 2009-09-07 | 2009-09-07 |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299496B2 (ko) |
EP (1) | EP2477226B1 (ko) |
JP (1) | JP5282822B2 (ko) |
KR (1) | KR101335833B1 (ko) |
CN (1) | CN102422416B (ko) |
WO (1) | WO201102747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822968B (zh) | 2010-04-02 | 2016-08-03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具备具有二极管区和绝缘栅双极性晶体管区的半导体基板的半导体装置 |
JP5925991B2 (ja) * | 2010-05-26 | 2016-05-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US8502346B2 (en) * | 2010-12-23 | 2013-08-06 | Alpha And Omega Semiconductor Incorporated | Monolithic IGBT and diode structure for quasi-resonant converters |
US9064711B2 (en) * | 2011-06-09 | 2015-06-23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
JP5724887B2 (ja) * | 2012-01-16 | 2015-05-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CN104205334B (zh) | 2012-03-05 | 2017-09-01 | 三菱电机株式会社 | 半导体装置 |
JP2013197122A (ja) * | 2012-03-15 | 2013-09-30 | Toshiba Corp | 半導体装置 |
JP2013201237A (ja) * | 2012-03-23 | 2013-10-03 | Toshiba Corp | 半導体装置 |
US8618576B1 (en) * | 2012-08-27 | 2013-12-31 | Infineon Technologies Ag | Semiconductor device with back side metal structure |
JP5981859B2 (ja) * | 2013-02-15 | 2016-08-31 |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 ダイオード及びダイオードを内蔵する半導体装置 |
DE112013006780B4 (de) * | 2013-03-06 | 2021-01-21 | Denso Corporation | Verfahren zum Reduzieren einer Nichtgleichförmigkeit einer Vorwärtsspannung eines Halbleiterwafers |
US9240476B2 (en) | 2013-03-13 | 2016-01-19 | Cree, Inc. |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s with buried well regions and epitaxial layers |
US9142668B2 (en) | 2013-03-13 | 2015-09-22 | Cree, Inc. |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s with buried well protection regions |
US9012984B2 (en) * | 2013-03-13 | 2015-04-21 | Cree, Inc. |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s with regrown p-layers |
US9306061B2 (en) | 2013-03-13 | 2016-04-05 | Cree, Inc. |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s with protective regions |
JP5967065B2 (ja) * | 2013-12-17 | 2016-08-1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JP6119593B2 (ja) * | 2013-12-17 | 2017-04-2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JP2015153784A (ja) * | 2014-02-10 | 2015-08-2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
JP6181597B2 (ja) * | 2014-04-28 | 2017-08-1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6272799B2 (ja) * | 2015-06-17 | 2018-01-31 | 富士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6878848B2 (ja) * | 2016-02-16 | 2021-06-02 | 富士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CN107086217B (zh) * | 2016-02-16 | 2023-05-16 | 富士电机株式会社 | 半导体装置 |
KR101870808B1 (ko) * | 2016-06-03 | 2018-06-27 |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 전력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DE112017003667B4 (de) | 2016-07-19 | 2022-03-17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Halbleitereinhei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albleitereinheit |
WO2019013286A1 (ja) * | 2017-07-14 | 2019-01-17 | 富士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JP7268330B2 (ja) | 2018-11-05 | 2023-05-08 | 富士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および製造方法 |
WO2021254615A1 (en) | 2020-06-18 | 2021-12-23 | Dynex Semiconductor Limited | Reverse conducting igbt with controlled anode inje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9680B1 (ko) * | 1993-10-29 | 1999-03-20 | 사토 후미오 |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JP2008004866A (ja) | 2006-06-26 | 2008-01-10 | Denso Corp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2008192737A (ja) * | 2007-02-02 | 2008-08-21 | Denso Corp | 半導体装置 |
JP2008235405A (ja) | 2007-03-19 | 2008-10-02 | Denso Corp | 半導体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8506B2 (ja) | 1988-11-07 | 1996-03-21 | 三菱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5171696A (en) | 1988-11-07 | 1992-12-15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2963204B2 (ja) | 1990-12-12 | 1999-10-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絶縁ゲート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
JPH07135214A (ja) | 1993-11-11 | 1995-05-23 | Fuji Electric Co Ltd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883017B2 (ja) | 1995-02-20 | 1999-04-19 | ローム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法 |
US5969400A (en) * | 1995-03-15 | 1999-10-19 | Kabushiki Kaisha Toshiba | High withstand voltage semiconductor device |
JP3538505B2 (ja) * | 1996-05-22 | 2004-06-14 | 富士電機デバイ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温度検知部内蔵型バイポーラ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167313B2 (ja) | 1997-03-18 | 2008-10-15 | 株式会社東芝 | 高耐圧電力用半導体装置 |
JP3494023B2 (ja) * | 1998-07-28 | 2004-02-0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駆動方法並びに電力変換装置 |
US6303508B1 (en) | 1999-12-16 | 2001-10-16 |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 Superior silicon carbide integrated circuits and method of fabricating |
JP2005057235A (ja) | 2003-07-24 | 2005-03-03 | Mitsubishi Electric Corp | 絶縁ゲート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インバータ回路 |
JP4791704B2 (ja) * | 2004-04-28 | 2011-10-12 | 三菱電機株式会社 | 逆導通型半導体素子とその製造方法 |
JP2007103770A (ja) | 2005-10-06 | 2007-04-19 | Sanken Electric Co Ltd | 絶縁ゲート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
JP2007184486A (ja) * | 2006-01-10 | 2007-07-19 | Denso Corp | 半導体装置 |
JP2008004867A (ja) | 2006-06-26 | 2008-01-10 | Denso Corp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5092312B2 (ja) | 2006-08-10 | 2012-12-05 | 株式会社デンソー | ダイオード |
JP2008091705A (ja) | 2006-10-03 | 2008-04-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5320679B2 (ja) * | 2007-02-28 | 2013-10-23 | 富士電機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483918B2 (ja) * | 2007-09-18 | 2010-06-16 | 株式会社デンソー | 半導体装置 |
DE102007058659B4 (de) | 2007-12-06 | 2009-12-10 | Tecpharma Licensing Ag | Dosisanzeige für eine Vorrichtung zur dosierten Verabreichung eines fluiden Produkts |
JP4840370B2 (ja) * | 2008-01-16 | 2011-12-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半導体装置とその半導体装置を備えている給電装置の駆動方法 |
JP4788734B2 (ja) | 2008-05-09 | 2011-10-0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US8507352B2 (en) | 2008-12-10 | 2013-08-13 | Denso Corporation |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and diode |
WO2011027473A1 (ja) | 2009-09-07 | 2011-03-1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ダイオード領域とigbt領域を有する半導体基板を備える半導体装置 |
WO2011030454A1 (ja) | 2009-09-14 | 2011-03-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ダイオード領域とigbt領域を有する半導体基板を備える半導体装置 |
JP4957840B2 (ja) * | 2010-02-05 | 2012-06-20 | 株式会社デンソー | 絶縁ゲート型半導体装置 |
-
2009
- 2009-09-07 WO PCT/JP2009/065606 patent/WO201102747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9-07 EP EP09849004.8A patent/EP2477226B1/en active Active
- 2009-09-07 KR KR1020117022042A patent/KR1013358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9-07 CN CN200980159246.0A patent/CN102422416B/zh active Active
- 2009-09-07 JP JP2011529763A patent/JP528282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9-23 US US13/242,960 patent/US829949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9680B1 (ko) * | 1993-10-29 | 1999-03-20 | 사토 후미오 |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
JP2008004866A (ja) | 2006-06-26 | 2008-01-10 | Denso Corp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2008192737A (ja) * | 2007-02-02 | 2008-08-21 | Denso Corp | 半導体装置 |
JP2008235405A (ja) | 2007-03-19 | 2008-10-02 | Denso Corp | 半導体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77226B1 (en) | 2016-06-22 |
KR20110127232A (ko) | 2011-11-24 |
US20120007142A1 (en) | 2012-01-12 |
US8299496B2 (en) | 2012-10-30 |
CN102422416A (zh) | 2012-04-18 |
EP2477226A4 (en) | 2013-09-04 |
CN102422416B (zh) | 2014-05-14 |
JP5282822B2 (ja) | 2013-09-04 |
JPWO2011027474A1 (ja) | 2013-01-31 |
EP2477226A1 (en) | 2012-07-18 |
WO2011027474A1 (ja) | 2011-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5833B1 (ko) |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 |
US9613950B1 (en) | Semiconductor device | |
JP5282823B2 (ja) | ダイオード領域とigbt領域を有する半導体基板を備える半導体装置 | |
JP6197773B2 (ja) | 半導体装置 | |
JP6119593B2 (ja) | 半導体装置 | |
KR101218459B1 (ko) | 다이오드 영역과 igbt 영역을 갖는 반도체 기판을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 |
US9379224B2 (en) | Semiconductor device | |
US20120061723A1 (en) | Semiconductor device | |
JP6222140B2 (ja) | 半導体装置 | |
JP5499692B2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JP7003688B2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701667B1 (ko) | 트렌치 게이트 전극을 이용하는 igbt | |
JP5867484B2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CN102412289A (zh) | 半导体器件 | |
JP2011082220A (ja) | 半導体装置 | |
JPWO2014087499A1 (ja) | 半導体装置 | |
JP2016100466A (ja) |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JP7246983B2 (ja) | 半導体装置 | |
JP6665713B2 (ja) | 半導体装置 | |
WO2011027473A1 (ja) | ダイオード領域とigbt領域を有する半導体基板を備える半導体装置 | |
JP2011086710A (ja) | 半導体装置 | |
JP5609078B2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JP2016152261A (ja) | 半導体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