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471B1 - 표면처리동박 및 회로기판 - Google Patents

표면처리동박 및 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471B1
KR101129471B1 KR1020050010353A KR20050010353A KR101129471B1 KR 101129471 B1 KR101129471 B1 KR 101129471B1 KR 1020050010353 A KR1020050010353 A KR 1020050010353A KR 20050010353 A KR20050010353 A KR 20050010353A KR 101129471 B1 KR101129471 B1 KR 10112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layer
projection
treated copper
proj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689A (ko
Inventor
스즈키 유지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6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exture of the layers
    • C25D5/605Surface topography of the layers, e.g. rough, dendritic or nodular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627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layers, e.g. colour, brightness or mat appear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2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special treatment of the metal
    • H05K3/384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special treatment of the metal by pl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32Structure of the conductor
    • H05K2201/0335Layered conductors or foils
    • H05K2201/0355Metal f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3Metal processing
    • H05K2203/0307Providing micro- or nanometer scale roughness on a metal surface, e.g. by plating of nodules or dendri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7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 H05K2203/0703Plating
    • H05K2203/0723Electroplating, e.g. finish pl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014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metal particles
    • Y10T428/12028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etc.]
    • Y10T428/12063Nonparticulate metal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31Foil or filament smaller than 6 mils
    • Y10T428/12438Compos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03Cu-base component
    • Y10T428/1291Next to Co-, Cu-, or Ni-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993Surface feature [e.g., rough, mirr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17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metal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plating And Plating Baths Therefor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흡습성이 낮고,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액정 폴리머 필름과 라미네이팅(laminating)하여, 박리 강도가 크고 파인 패턴(fine pattern)화가 가능한 기판용 복합재로 할 수 있는 표면처리동박(銅箔)이며, 동박에 조화(粗化)입자가 부착되어 조화(粗化)처리면으로 된 동박으로서, 그 표면 거칠기(Rz)가 1.5 내지 4.0㎛이고, 명도값이 30 이하인 표면처리동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조화입자로 형성되는 돌기물은, 그 높이가 1 내지 5㎛이고, 관찰 단면 25㎛ 범위에 6 내지 35개의 개수로 거의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 돌기물의 최대폭이 0.01㎛ 이상이고, 25㎛ 범위에 존재하는 돌기물의 개수로 25㎛를 나눈 길이의 2배 이하이다.
표면처리동박, 회로기판, 액정 폴리머 필름

Description

표면처리동박 및 회로기판{Surface treatment copper foil and circuit board}
도 1은 전해 제박(製箔)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표면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표면처리동박의 일실시예의 단면 관찰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표면처리동박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관찰 개략도,
도 5는 표면처리동박에 있어서, 돌기물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관찰 개략도,
도 6은 에칭 후의 단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애노드 2 : 캐소드
3 : 전해액 4 : 동박
5 : 전해액 6 : 전해액
7 : 전극 8 : 처리동박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폴리이미드 수지 및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를 주체로 한 필름(이하, '액정 폴리머 필름'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과의 밀착성을 개량한 표면처리동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필름과 적층하여, 플렉시블 기판?고밀도 실장용 다층기판?고주파 회로용 기판에 이용하는 표면처리동박, 및 이 표면처리동박을 이용하여 형성한 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에 따라, 최근의 각종 전자부품은 고도로 집적화되고 있다. 이들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기판?고밀도 실장용 다층기판?고주파 회로기판 등(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프린트 배선판'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을 제작하는 기판용 복합재는, 도체(동박)와 그것을 지지하는 절연기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절연기판은, 도체간의 절연을 확보하고, 부품을 지지하는 강도를 갖게 하는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회로기판을 통하는 신호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회로기판을 구성하는 절연재료의 특성 인피던스나 신호 전반(傳搬) 속도 등이 중요시 되어, 절연재료의 도전율, 도전체 손실 등이 관계되기 때문에 그러한 특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이들 조건을 만족시키는 절연재료로서 제공되고 있는 기판용의 재료로는 페놀 수지재가 많고, 도금 쓰루홀(through-hole)에는 에폭시 수지재가 많다. 또한, 최근에는 신호의 고속 전반(傳搬)을 위해서 도전율이 작고, 유전체 손실도 작은 절연재료가 요구되므로, 그에 대한 재료도 개발되고 있다.
또한, 내열성을 필요로 하는 기판으로서, 내열성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등의 절연기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 치수 안정성이 좋은 재료, 가령 비틀림이 적은 재료, 열수축이 적은 재료 등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플렉시블한 기판용 복합재에서 내열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 혹은 납땜을 필요로 하는 경우 등에는, 폴리이미드 필름이 이용된다. 한편, 카본 잉크 등을 이용한 인쇄에서, 땜납을 사용하지 않는 용도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 플렉시블 기판 등도 복잡해져, 많은 경우 폴리이미드 필름이 사용되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폴리이미드는 흡수(吸水)에 의해 유전 특성이 크게 변화하고, 흡수 환경하에서는 고주파 특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도의 내열성을 갖는 반면, 열용융성이 없다. 그 때문에, 도체인 동박과의 복합에서는, 동박상에 전구체인 폴리아믹산을 캐스팅한 후 이미드화하여 생성하거나, 폴리이미드 필름상에 접착층을 설치한 후 동박과 라미네이팅하는 등의 방법을 취할 필요가 있어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런 점에서, 폴리이미드에 비해, 흡습성이 현저하게 낮아 유전 특성의 변화가 적고, 납땜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로서, 액정 폴리머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동박과의 접착성이 낮고, 동박과의 박리 강도가 폴리이미드에 비교하면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들 절연기판에 맞서 도전층으로서 사용되는 동박은 주로 전해 동박이다. 전해 동박은, 통상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해 제박(製箔)장치에 의해 제박되 고, 도 2에 나타낸 표면처리장치에 의해 밀착성 향상을 위한 조화처리나 방청처리 등이 실시된다.
도 1에 나타낸 전해 제박장치는, 회전하는 드럼형상의 캐소드(2)(표면은 SUS 또는 티탄제)와 이 캐소드에 대하여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된 애노드(1)(아연 또는 귀금속 산화물 피복 티탄전극)로 이루어지며, 전해액(3)을 유통시키면서 양극 사이에 전류를 흘려, 이 캐소드 표면에 소정의 두께로 동을 석출시키고, 그 후 이 캐소드 표면으로부터 동을 금속박 형상으로 벗겨낸다. 이 단계의 동박(4)이 미처리 동박이다. 또한 이 미처리 동박의 전해액과 접하고 있는 면이 매트면, 회전하는 드럼 형상의 캐소드(2)와 접하고 있는 면이 광택면(샤이니면)이다.
제박된 미처리 동박(4)은 절연기판과 적층하여 동장적층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접착 강도(박리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면처리장치에 의해, 전기화학적 혹은 화학적인 표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도 2는 전기화학적으로 표면처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미처리 동박(4)을 전해액(5)이 충전된 전해조, 전해액(6)이 충전된 전해조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전극(7)을 애노드로 하고 동박 자체를 캐소드로 하여 표면처리를 실시하고, 절연(수지) 기판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입자 상태의 동을 미처리 동박(4)의 표면으로 석출시킨다. 이 공정이 조화처리 공정이며, 조화처리는 통상, 미처리 동박(4)의 매트면 또는 샤이니면에 실시된다. 이들의 표면처리를 실시한 후의 동박이 표면처리동박(8)이며, 절연기판과 적층하여 회로기판으로 만든다.
그러나, 에폭시 수지?폴리이미드?액정폴리머 중, 특히 액정 폴리머는 동박과의 접착 강도(박리 강도)가 나오기 어려운 수지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수지 등과 동박의 박리 강도는 동박 표면 거칠기(Rz)(여기에서 표면 거칠기(Rz)는, JISB 0601-1994「표면 거칠기의 정의와 표시」의 5.1 십점 평균 거칠기의 정의에 규정된 Rz를 말한다)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동박의 표면 거칠기를 고려할 경우에는, 미처리 동박의 표면 거칠기(Rz)와, 동박 표면을 조화처리한 표면 조화동박의 Rz를 들 수 있다. 종래보다 평활한 미처리 동박에 있어서, 특히 박리 강도가 나오기 어려운 수지에 대한 박리 강도를 높일 경우에는, 조화처리시에 흘리는 전류를 크게 하고, 조화처리시의 입자 상태 동의 부착량을 많이 하여 표면 거칠기(Rz)를 증가시켜 처리하는 방법이 수행되어 오고 있다. 확실히 이 방법은, 박리 강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에는 적합하지만, 고주파 특성에 있어서는, 표피 효과의 관계상 표면 거칠기(Rz)가 크거나, 혹은 조화입자의 양이 많아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액정 폴리머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는, 표면처리동박의 표면의 거칠기(Rz)값을 높여도 박리 강도와는 상관이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필름에 대해서는, 조화입자에 있어서 형성되는 돌기물의 형상과 깊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프린트 배선판에서의 회로 패턴도 고밀도화가 요구되어, 미세한 선폭과 배선 피치로 이루어지는 회로 패턴으로 형성되는, 소위 파인 패턴의 프린트 배선판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최근에는, 배선 피치가 50㎛~100㎛ 정도이고 선폭이 30㎛ 전후인 고밀도 극세 배선으로 이루어지는 프린트 배선판이 요구되고 있다. 박리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조화입자에 의해 형성된 표면 거칠기(Rz)를 크게 하거나, 부착량을 많이 하는 것은, 이들 파인 패턴화의 경우에도 부적합하다. 미처리 동박의 표면을 거칠게 하여, 조화입자 부착량을 줄임으로써 박리 강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지만, 고주파 특성?파인 패턴을 제작하는데는 부적당하다.
현재, 액정 폴리머와의 접착성을 개량한 동박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3-064431호 공보에 특정의 원소를 포함하여, 특정 두께의 표면 산화층?방청층을 구비한 동합금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액정 폴리머를 필름화하면, 막대형상 분자가 면방향으로 배향하기 때문에, 두께 방향의 강도가 극단적으로 저하된다. 이러한 조화(粗化)를 수행하지 않은 동박에서는, 액정 폴리머 필름이 동박 계면과의 극 근방에서 쉽게 파괴되어 버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충분한 박리 강도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액정 폴리머의 접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1-049002호 공보 및 일본 특개 2000-233448호 공보에, 플라즈마 처리, UV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 방법을 이용하여도 표면 거칠기가 낮은 동박에는 충분한 접착성을 얻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고주파 특성이 좋은 것?파인 패턴이 제작가능한 것?박리 강도를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에폭시 수지?폴리이미드 필름, 및 흡습성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유전 특성의 변화가 적고 납땜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지며, 가열에 의해 동박과 라미네이팅이 가능하지만 박리 강도를 얻기 어려운 액정 폴리머 수지에 대하여, 박리 강도가 크고 파인 패턴화를 가능하게 한 표면처리동박과, 이 표면처리동박을 사용하여 고주파 특성이 양호한 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표면처리동박은, 적어도 동박의 한쪽면에 조화(粗化)입자가 부착되어 조화(粗化)처리면이 되고, 상기 조화처리면의 표면 거칠기(Rz)가 1.5 내지 4.0㎛이고, 명도값이 30 이하이다.
상기 본 발명의 표면처리동박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미처리 동박의 한쪽면에 조화입자가 부착하여 조화처리면이 된 표면처리동박으로서, 부착한 동 또는 동합금의 양이 2.5㎎/dm2 이상, 400㎎/dm2 이하이다.
상기 본 발명의 표면처리동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화입자로 형성된 돌기물의 높이가 1㎛ 내지 5㎛이고, 이 돌기물이 100㎛×100㎛의 면적에 200 내지 25000개 분포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표면처리동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화입자로 형성된 돌기물의 높이가 1㎛ 내지 5㎛이고, 이 돌기물이 관찰 단면 25㎛의 범위에 6 내지 35개의 개수로 거의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표면처리동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돌기물의 최대폭은 0.01㎛ 이상이고, 25㎛의 범위에 존재하는 돌기물의 개수로 25㎛를 나눈 길이의 2배 이하이다.
상기 본 발명의 표면처리동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처리동박의 조화처리 전의 미처리 동박이 전해 동박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처리 동박의 조화처리가 실시되는 쪽의 표면이, 표면 거칠기(Rz)가 2.0㎛ 이하인 매트면이다.
혹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처리 동박의 전해 동박이 입자상태의 액정으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처리 동박의 조화처리를 실시하는 쪽의 표면이 표면 거칠기(Rz)가 2.0㎛ 이하인 매트면이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처리동박의 조화처리 전의 미처리 동박의 적어도 조화처리를 실시하는 쪽의 표면의 표면 거칠기(Rz)가 2.0㎛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처리동박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화입자로 형성된 돌기물이, Cu로 이루어지는 입자 혹은 Cu와 Mo의 합금 입자 또는 Cu와 Ni, Co, Fe, Cr, V, W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로 이루어지는 합금 입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화입자로 형성된 돌기물을 갖는 면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화입자로 형성된 돌기물을 갖는 면에, 아연층 혹은 아연 합금층 및/또는 Cr 금속층 또는 크로메이트층으로 이루어지는 방청층이 설 치되어 있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화입자로 형성된 돌기물을 갖는 면 및/또는 방청층 위에 실란 커플링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로기판은, 상기에 기재된 표면처리동박을 이용하여 작성된 회로기판이다.
(실시예)
본 발명에서는, 표면처리 전의 동박(미처리 동박)은, 전해 혹은 압연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그 동박은 두께 1㎛ 내지 200㎛이고, 적어도 한쪽면의 표면 거칠기(Rz)가 0.01㎛ 내지 2㎛인 동 혹은 동합금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박은 두께가 1㎛ 이하일 때, 그 표면상에 조화(粗化)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우며, 또한 고주파 프린트 배선판용으로 사용하는 동박으로는, 200㎛ 이상의 박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사료되기 때문이다.
미처리 동박의 표면 거칠기에 대해서는, 표면 거칠기(Rz)가 0.01㎛ 이하인 박은, 현실적으로 제조가 곤란하며, 만약 제조 가능하다 하여도 제조 비용이 많이 들므로 현실적으로 부적합하고, 또한 표면 거칠기(Rz)가 2.0㎛ 이상인 미처리 동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고주파 특성 및 파인 패턴화를 고려하면 미처리 동박의 표면 거칠기가 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미처리 동박에 대해서 표면 처리를 수행한다. 미처리 동박의 표면은 표면 조화처리에 의해 조화입자를 부착시켜, 그 표면 거칠기(Rz)가 1.5 내지 4.0㎛인 조화면으로 한다.
미처리 동박의 표면을 조화처리하고, 표면 조화입자를 부착시켜 돌기물을 형성한 조화면은, 표면 거칠기(Rz)가 1.5 내지 4.0㎛이다. 표면 거칠기(Rz) 1.5㎛ 미만에서는, 박리 강도가 낮기 때문에 그 목적을 이룰 수 있는 표면처리동박으로는 만족스럽지 않고, 또한, 표면 거칠기(Rz)가 4.0㎛보다 크면, 고주파 특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파인 패턴화에 적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처리 동박상에 수행하는 표면처리에 있어서 부착시키는 동 혹은 동합금량은, 2㎎/dm2 내지 400㎎/dm2 가 바람직하다. 부착량이 2㎎/dm 2 미만에서는 박리 강도가 낮기 때문에 그 목적을 이룰 수 있는 표면처리동박으로는 만족스럽지 않으며, 또한 400㎎/dm2 보다 크면, 고주파 특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파인 패턴화에 적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조화처리를 수행한 조화처리동박은, 명도값이 30 이하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명도는, 통상 표면의 거칠기를 보는 지표로서 사용되며, 측정 샘플 표면에 빛을 쐬어 빛의 반사량을 측정하여 명도값으로 나타낸다. 이 방법에서 표면처리동박의 처리면의 명도를 측정하면, 표면 거칠기(Rz)가 크던가 또는 조화입자간의 홈의 깊이가 깊을 때는, 빛의 반사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명도값이 낮아지고, 평활한 경우에는 빛의 반사량이 커져 명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절연기판(액정 폴리머 필름)과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명도를 30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명도 31 이상에서는, 조화면을 큰 Rz로 하여도 요철(凹凸)이 완만하게 되기 때문에 표면처리 동박과 절연기판(액정 폴리머 필름)과의 접착성이 나빠 박리 강도가 향상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명도의 측정은, 측정할 동박에
Ni : 0.01 내지 0.5㎎/dm2
Zn : 0.01 내지 0.5㎎/dm2
Cr : 0.01 내지 0.3㎎/dm2
의 범위 내의 방청 처리를 실시한 후, 명도계(스가 시험기 주식회사, 기종명: SM 컬러 컴퓨터, 품번 SM-4)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표면 거칠기(Rz) 및 명도값을 겸비한 본 발명의 표면처리동박은, 액정 폴리머 필름과 적층?복합화되어, 접착성에 난점이 있는 액정 폴리머 필름의 결점을 보강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비교예에서 명백하게 나타나듯이, 뛰어난 박리 강도 및 파인 패턴 특성을 갖는 동장적층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미처리 동박의 표면을 조화처리한 것이지만, 더욱 우수한 박리 강도 및 파인 패턴 특성을 얻기 위하여, 후술하는 조화입자로 형성되는 돌기물을 거의 균등하게 존재(분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물의 높이는, 1.0㎛ 내지 5.0㎛인 것이 좋다. 이 미처리 동박 표면에 형성되는 돌기물의 높이가, 1.0㎛ 이하에서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박리 강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5.0㎛ 이상에서는 돌기물의 분포가 균일하게 되지 않아, 표면처리박의 표면 거칠기(Rz)가 범위마다 편차가 커지기 때문에, 안정성 있는 박리 강도를 보유할 수 없고, 또한 고주파 특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파인 패턴화에 적합하 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높이라 함은, 미처리 동박의 표면과 돌기물의 정점과의 거리를 말한다.
또한, 돌기물의 개수는, 개수가 적으면 박리 강도가 나오지 않고, 또한 개수가 많으면 동박 표면과 돌기물과의 밀착성이 약해지기 때문에, 개수가 많아도 그 효과는 역으로 감소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미처리 동박의 표면을 조화처리하고, 그 표면에 있어서의 균일한 박리 강도를 얻기 위하여 조화입자로 형성되는 돌기물은, 100㎛×100㎛의 면 내에 200 내지 25000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물의 개수가 200개보다 적으면 돌기물간의 틈새가 넓어져 파인 패턴을 얻을 수 없으며, 25000개 이상이면 돌기물과 돌기물의 간격이 좁아져 박리 강도가 저하되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돌기물의 개수는 관찰 단면 25㎛ 내에 6개 내지 35개 존재하는 것이 적합하며, 특히 10개 내지 20개가 가장 적합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돌기물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돌기물과 이 돌기물과 인접하는 돌기물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부의 바닥과 돌기물의 정점과의 거리(이하, '홈 깊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가 0.3㎛ 미만인 경우, 이러한 인접하는 돌기물은 인접하는 돌기물과 합쳐 하나의 돌기물로서 파악하며, 또한, 홈 깊이가 0.3㎛ 이상인 경우, 이러한 돌기물은 인접하는 돌기물도 독립된 돌기물로 취급하여 2개의 돌기물로 파악한다. 이 홈 깊이는, 상기한 돌기물의 높이가 미처리 동박의 표면과 돌기물의 정점과의 거리를 말하는 것에 대하여, 표면 조화처리를 수행한 후의 홈부의 바닥과 돌기물의 정점과의 거리를 말한다는 점에서 서로 다 르다.
돌기물의 수를 세는 방법으로는, 표면처리 동박을 수지에 묻어 연마를 수행한 후 단면 SEM 관찰을 수행하여, 관찰 사진으로 25㎛의 길이에서 상기 정의한 돌기물의 수가 몇 개 있는지를 세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수를 실시예의 표에 기재하였다. 또한, 관찰 단면의 개략도를 도 3, 4, 5에 기재하였다.
또한, 높이가 1.0㎛ 내지 5.0㎛인 돌기물이 25㎛ 내에 6개 내지 35개 존재하고, 이 돌기물 사이에 0.3㎛ 이상의 홈을 존재시켜 거의 균등하게 분포시킨다. 그 결과, 돌기물이 25㎛ 이내에서 부분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동박의 폭방향?길이 방향에서 박리 강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재하고 있는 「거의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다」라 함은, 「돌기물의 정점과 동박 표면 사이의 높이가, 1.0㎛ 내지 5.0㎛인 돌기물의 개수를 n(개)으로 하고, 돌기물을 단면 관찰하기 위한 관찰폭을 25(㎛)로 했을 때에, 25/n(㎛)의 폭의 영역에, 적어도 1개의 상기 돌기물의 일부분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또한, 박리 강도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형성하는 돌기물의 폭에 균일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돌기물의 최대폭이, 0.01㎛ 이상이며, 25㎛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돌기물의 개수로 25㎛를 나눈 길이의 2배 이하의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최대폭이라 함은, 상기한 단면의 SEM 관찰에 있어서, 돌기물의 높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거리의 최대값을 말한다.
또한, 돌기물간의 평균 홈 깊이가, 0.5㎛ 이상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돌기물간의 평균홈 깊이는, 홈의 깊이가 0.3㎛ 이상인 돌기물 n개의 양 사이드의 홈 깊이를 측정하고, 그 때의 값을 A1(㎛) B1(㎛).........An(㎛) Bn(㎛)이라 했을 때, 다음의 식에 의해 구한 값이다.
((A1+B1)+...........+(An+Bn))/2/n으로 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합한 표면처리동박의 관찰 단면의 도면으로, 돌기의 수는 25㎛ 이내에 6개 이상 존재하고, 그 높이는 1 내지 5㎛의 범위에 들어 있으며, 홈 깊이는 0.3㎛ 이상이고, 돌기물의 최대폭은 0.01㎛ 이상, 25㎛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돌기물의 개수로 25㎛를 나눈 길이의 2배 이하의 폭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돌기의 최대폭이 0.01㎛ 이상, 25㎛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돌기물의 개수로 25㎛를 나눈 길이의 2배 이하의 폭 이상인 폭을 갖는 돌기물이 일부 존재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도 5는 돌기물이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지 않은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도 3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의 표면처리동박은 액정 폴리머 필름과의 밀착성이 좋고, 파인 패턴의 회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낸 단면 형상의 표면처리동박은 폭이 넓은 돌기물이 일부에 존재하여, 액정 폴리머 필름과의 밀착성이 좋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하이 패턴 회로에서는 지장이 생기는 경우도 있지만, 다른 일반적인 용도에는 지장을 받지 않을 정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물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액정 폴리머 필름과의 밀착성에 지장이 생겨, 파인 패턴의 회로 구성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생긴 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박의 돌기물을 형성하는 조화입자는, Cu 또는 Cu와 Mo의 합금입자, 혹은 Cu와 Ni, Co, Fe, Cr, V 및 W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Cu입자 또는 Cu와 Mo의 합금입자로 원하는 돌기물은 얻을 수 있지만, Cu입자 또는 Cu와 Mo의 합금입자에 Ni, Co, Fe, Cr, V 및 W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2종류 이상의 합금 조화입자로 형성함으로써 더욱 균일성 있는 돌기물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과적이다. 이들 돌기물을 형성하는 조화입자는, 화학 결합을 수지와 수행하기 때문에, 박리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지의 종류에도 의하지만, 박리 강도를 화학결합으로 증대시키는 입자로서 Cu-Mo 합금, Cu-Ni 합금, Cu-Co 합금, Cu-Fe 합금, Cu-Cr 합금, Cu-Mo-Ni 합금, Cu-Mo-Cr 합금, Cu-Mo-Co 합금, Cu-Mo-Fe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돌기물을 형성하는 합금입자에 포함되는 Mo, Ni, Co, Fe, Cr, V 및 W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는, Cu의 존재량에 대하여 0.01ppm 내지 20%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존재량이 20%를 넘는 합금에서는, 후공정에서 회로 패턴을 에칭할 때 용해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며, 또한, 균일한 돌기물을 얻기 위해서, 각종 전해액에 따라 전류밀도, 액온, 처리시간을 최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기물을 설치한 표면에, 가루 떨어짐성, 내염산성, 내열성, 도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Ni, Ni 합금, Zn, Zn 합금, Ag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도금층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돌기물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쪽의 표면에도 내염산성, 내열성, 도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Ni, Ni 합금, Zn, Zn 합금, Ag 중 적어도 1종의 금속 도금층을 부착시키는 것이 좋다.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부착 금속층으로서 0.05㎎/dm2 이상, 10㎎/d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액정 폴리머 수지 등은 Ni 금속 또는 Ni 합금에 의해 박리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화(粗化)면의 금속박 위에 Cr 및/또는 크로메이트 피막을 형성시켜 방청처리를 수행하고, 또는 필요에 따라 실란 커플링 처리 또는 방청처리+실란 커플링을 실시한다.
절연기판으로는, 에폭시 수지?폴리이미드 필름?액정 폴리머를 50% 이상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 등이 이용된다. 액정 폴리머의 조성물에는, 선 팽창계수 제어, 접착성 개선, 물성 개선 등의 목적으로, 무기필라나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열가소 폴리이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액정 폴리머의 함유량이 50%를 밑돌면, 저흡수성, 내열성, 도전특성 등의 면에서 액정 폴리머의 특성이 손실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액정 폴리머를 50% 이상 포함하는 조성물(이하 단순히 '액정 폴리머'라고 한다)은, 가열 용융 상태에서 액정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액정 폴리머를 가리키며, 용액 중에서 액정성을 나타내지만 가열 용융을 일으키지 않는 방향족 폴리아미드와 같은 라이오트로픽(lyotropic)형의 액정 폴리머는 이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액정 폴리머의 대표적인 예로는, 모노머로서 방향족 하이드록시카르본산, 방향족 디카르본산, 방향족 디올 등을 단독, 혹은 공중합한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 절연기판으로서의 액정 폴리머 필름과 표면조화동박을 서로 접합시키는 방법으로는, 열프레스 방식, 연속 롤라미네이트 방식, 연속 벨트프레스 방식 등이 이용되며, 접착제 등을 개재시키지 않고 열압착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동박, 조화처리용 도금액, 절연기판용 필름으로서 아래에 기재한 것을 이용하였다.
(가)동박 :
(i) 원박(原箔) 1
두께 : 12㎛, 매트면 조도(粗度): Rz=1.26㎛, 광택면 조도 : Rz=1.82㎛인 미처리 전해동박, 및 미처리 압연동박을 준비하였다.
(ii) 원박 2
두께 : 12㎛, 매트면 조도 : Rz=1.52㎛, 광택면 조도 : Rz=1.46㎛인 미처리 전해동박을 준비하였다.
(iii) 원박 3
두께 : 12㎛, 매트면 조도 : Rz=1.86㎛, 광택면 조도 : Rz=1.2㎛인 미처리 전해동박을 준비하였다.
(나) 표면조화처리용 도금액 및 도금 조건
(i) 전기도금 A
도금욕 1
황산동(Cu금속으로서) 5 ~ 10g/dm3
황산 30 ~ 120g/dm3
몰리브덴산암모늄(Mo금속으로서) 0.1 ~ 5.0g/dm3
전류밀도 10 ~ 60A/dm2
통전시간 1초 ~ 2분
욕온(浴溫) 20 ~ 60℃
도금욕 2
황산동(Cu금속으로서) 20 ~ 70g/dm3
황산 30 ~ 120g/dm3
전류밀도 5 ~ 60A/dm2
통전시간 1초 ~ 2분
욕온 20 ~ 65℃
(ii) 전기도금 B
도금욕 1
황산동(Cu금속으로서) 1 ~ 50g/dm3
황산니켈(Ni금속으로서) 2 ~ 25g/dm3
메타바나딘산암모늄(V금속으로서) 0.1 ~ 15g/dm3
pH 1.0 ~ 4.5
전류밀도 1 ~ 60A/dm2
통전시간 1초 ~ 2분
욕온 20 ~ 60℃
도금욕 2
황산동(Cu금속으로서) 10 ~ 70g/dm3
황산 30 ~ 120g/dm3
전류밀도 5 ~ 60A/dm2
통전시간 1초 ~ 2분
욕온 20 ~ 65℃
(iii) 전기도금 C
도금욕 1
황산동(Cu금속으로서) 1 ~ 50g/dm3
황산코발트(Co금속으로서) 1 ~ 50g/dm3
몰리브덴산암모늄(Mo금속으로서) 0.1 ~ 10g/dm3
pH 0.5 ~ 4.0
전류밀도 1 ~ 60A/dm2
통전시간 1초 ~ 2분
욕온 20 ~ 60℃
도금욕 2
황산동(Cu금속으로서) 10 ~ 70g/dm3
황산 30 ~ 120g/dm3
전류밀도 5 ~ 60A/dm2
통전시간 1초 ~ 2분
욕온 20 ~ 65℃
(i) 전기도금 A' B'(비교예)
도금욕 3
황산동(Cu금속으로서) 20 ~ 70g/dm3
황산 30 ~ 120g/dm3
전류밀도 3A/dm2
통전시간 2분 이상(표면 거칠기에 있어서 시간을 변경)
욕온 15℃
(다) 절연기판용 필름:
(i) 액정 폴리머 필름 1(절연기판) (이하, 「필름 1」이라 한다)
저팬 고아텍스(주)제의 I형 액정 폴리머 필름, BIAC BA050F-NT
(ii) 액정 폴리머 필름2 (절연기판) (이하, 「필름 2」라 한다)
저팬 고아텍스(주)제의 II형 액정 폴리머 필름, BIAC BC050F-NT
를 이용하였다.
동박으로서 상기의 원박 1 내지 원박 3을 이용하고, 도 2에 나타낸 표면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전기 도금 A 내지 C에 나타낸 도금 조성?욕온도?전류조건 범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도금욕 1→도금욕 2의 순으로 적어도 1회의 도금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 조화처리면에 Ni 도금(0.3㎎/dm2), 아연 도금(0.1㎎/dm2)을 실시하고, 그 위에 크로메이트 처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전기 도금 A', B'의 경우에는, 도금욕 2 대신에 도금욕 3의 액조성 및 조건을 이용하여, 비교예의 박을 제작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표면조화처리한 동박의 표면의 거칠기 등의 측정 결과를, 표면처리의 선택 조건과 함께 표 1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얻은 표면처리동박에, 아래와 같이 하여 액정 폴리머 필름(절연기판)의 라미네이트를 수행하였다.
즉, 표면처리동박과 상기 필름 1 및 2 중 어느 하나를 적층하고, 전체를 다단식 진공 프레스기(키따가와 제작소(제) 핫앤드콜드 프레스 VH3-1377)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 1의 경우에는 335℃, 4MPa의 조건하에서, 상기 필름 2의 경우에는 310℃, 4Mpa의 조건하에서, 5분간 유지한 후 냉각하고 라미네이트 처리를 수행하여, 기판용 복합재로 하였다. 실온에서의 승온은 7℃/분의 속도로 수행하였다.
또한, 이하와 같이, 액정 폴리머 필름 대신에,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에폭시 수지 시트를 이용하여, 표면처리동박의 라미네이트를 수행하여, 기판용 복합재를 얻었다.
즉, 표면처리동박을 세로 250㎜, 가로 250㎜로 절단한 후, 표면처리동박(조화면의 면)상에 두께 50㎛의 폴리이미드 시트(우베코산(제) UPILEX-VT)를 얹고, 전체를 2장의 평활한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끼워, 20torr의 진공 프레스로, 온도 330℃, 압력 2㎏/㎠로 10분간 열압착하고, 그 후, 온도 330℃, 50㎏/㎠로 5분간 열압착하여 작성하였다.
에폭시 수지 시트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하여 작성한 표면처리동박을, 세로 250㎜, 가로 250㎜로 절단한 후, 그 조화면의 면을, 열압착 후에 두께 1㎜가 되는 매수(枚數)의 유리섬유 에폭시 프리프레그 시트(FR-4) 위에 얹고, 전체를 2장의 평활한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끼워, 온도 170℃, 압력 50㎏/㎠로 60분간 열압착하여, 캐리어 금속박을 갖는 FR-4 캐리어필용 편면(片面)동장적층판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표면처리동박을 이용한 액정 폴리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에폭시 수지 시트와의 기판 복합재(동장적층판)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박리 강도의 측정은, JIS C6471에 준하여, 180도 방향으로 벗겨내어 수행하였다.
또한, 작성한 기판 복합재의 파인 패턴 특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즉, 작성한 동박을 FR4 수지에 부착하여, 도 6에 단면 개략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동박에 라인폭(L), 스페이스폭(S)으로 레지스트를 형성한 동박을, 염화철 욕(浴)으로 에칭하여 라인폭(L)의 탑(top)의 폭이 레지스트폭과 같아지는 에칭 시간을 결정하여, 각 라인폭(L) 및 각 스페이스폭(S)(기판 1장에 형성하는 라인을 10줄로 한다)으로 레지스트를 형성한 기판을 각 n=10으로 작성하고, 염화철욕으로 상기 결정한 시간동안 에칭을 수행하여, 각 기판에서, 라인 간에 브릿지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지, 또는 뿌리가 남아있지 않은지, 또는 라인의 탑의 폭이 레지스트와 같게 되어 있는지를 관찰하여, n=10으로 작성한 각 기판에 그러한 것들이 관찰되지 않은 것 중에서 최소의 L과 S의 값을 구했다.
이상의 각 실시예, 각 비교예의 조건으로 수행한 박리 강도 및 파인 패턴 특성 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5006702655-pat00001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에서의 표면처리동박과 비교예에서의 표면처리동박은, 그 표면 거칠기가 비슷하더라도 조화입자로 형성되는 돌기물의 개수 및 그에 의존하는 명도에 의해 박리 강도가 명백히 상이하며, 실시예의 표면처리동박의 박리 강도가 향상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7에서는, 거칠기가 큰 만큼 박리 강도는 높지만, 파인 패턴을 얻을 수 없다는 결함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조화입자로 형성되는 특정의 형상과 분포를 나타내는 돌기물을 동박 표면에 형성시킨 표면처리동박으로서, 이 표면처리동박은 절연기판인 에폭시 수지?폴리이미드 필름?흡습성이 현저히 낮아 유전 특성의 변화가 적고, 납땜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액정 폴리머에 대하여 박리 강도가 크고, 파인 패턴화가 가능하다. 또한, 이 표면처리동박을 이용한, 특히 파인 패턴으로 고주파 특성이 우수한 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화입자로 형성되는 어느 특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돌기물을 동박 표면에 형성시킨 표면처리동박으로서, 이 표면처리동박에 절연기판으로서 에폭시 수지?폴리이미드 필름?액정 폴리머를 이용함으로써 양호한 박리 강도를 가지며, 내열성이 뛰어나고, 파인 배선패턴이 작성 가능하며, 또한 고주파 특성이 우수한 기판용 복합재 및 이것을 이용한 회로기판을 제공할 수 있어, 각종 전자회로 부품 산업 분야에서의 이용이 가능하다.

Claims (22)

  1. 입자상태의 결정으로 이루어지는 전해 동박의 적어도 한쪽 면에 동(銅) 또는 동합금(銅合金)의 조화(粗化)입자가 부착하여 조화(粗化)처리면이 되고, 상기 조화처리면의 표면 거칠기(Rz)가 1.5 내지 4.0㎛이고, 명도값이 30 이하이면서,
    상기 조화 입자의 양이 2.5㎎/dm2 이상, 400㎎/dm2 이하이고,
    상기 조화입자로 형성된 돌기물의 높이가 1㎛ 내지 5㎛이고, 이 돌기물이 100㎛×100㎛의 면적에 200 내지 25000개 분포하고,
    상기 각 돌기물의 최대폭은 0.01㎛ 이상이고, 25㎛의 범위에 존재하는 상기 돌기물의 개수로 25㎛를 나눈 길이의 2배 이하이고,
    상기 돌기물에 있어서, 1개의 돌기물과 이 돌기물과 인접하는 돌기물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부의 바닥과 돌기물의 정점과의 거리 (홈 깊이)의 평균이, 0.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 동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이 관찰 단면 25㎛의 범위에 6 내지 35개의 개수로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조화 처리전의 상기 전해 동박의 조화처리를 실시하는 쪽의 표면이, 표면 거칠기(Rz)가 2.0㎛ 이하의 매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
  13.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동박의 조화처리 전의 전해 동박의 적어도 조화처리를 실시하는 쪽 표면의 표면 거칠기(Rz)가 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
  14.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이, Cu로 이루어지는 입자 혹은 Cu와 Mo의 합금입자 또는 Cu와 Ni, Co, Fe, Cr, V, W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로 이루어지는 합금 입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
  15.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을 갖는 면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피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
  16.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을 갖는 면에, 아연층 혹은 아연 합금층 및 Cr 금속층 또는 크로메이트층으로 이루어지는 방청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을 갖는 면 및 방청층 위에 실란 커플링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
  1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기재된 표면처리동박을 이용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19.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을 갖는 면에, 아연층 혹은 아연 합금층, 또는 Cr 금속층 또는 크로메이트층으로 이루어지는 방청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을 갖는 면 및 방청층 위에 실란 커플링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을 갖는 면 및 방청층 위에 실란 커플링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을 갖는 면 및 방청층 위에 실란 커플링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처리동박.
KR1020050010353A 2004-02-06 2005-02-04 표면처리동박 및 회로기판 KR101129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31164 2004-02-06
JPJP-P-2004-00031164 2004-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689A KR20060041689A (ko) 2006-05-12
KR101129471B1 true KR101129471B1 (ko) 2012-04-02

Family

ID=3467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353A KR101129471B1 (ko) 2004-02-06 2005-02-04 표면처리동박 및 회로기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81475B2 (ko)
EP (1) EP1562413A3 (ko)
JP (1) JP5367529B2 (ko)
KR (1) KR101129471B1 (ko)
CN (1) CN1657279B (ko)
TW (1) TW2005352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51A1 (ko) * 2016-06-30 2018-01-04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시인성이 향상된 표면처리동박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004152A1 (ko) * 2016-06-30 2018-01-04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후처리 후 에칭성이 우수한 표면처리동박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29209A (ko) 2016-11-01 2023-09-07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표면처리 전해동박,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3189A (ja) * 2004-10-06 2006-04-20 Furukawa Circuit Foil Kk 表面処理銅箔並びに回路基板
US20070048507A1 (en) * 2006-08-01 2007-03-01 Furukawa Circuit Foil Co., Ltd. Laminated circuit board
US7976956B2 (en) * 2005-08-01 2011-07-12 Furukawa Circuit Foil., Ltd. Laminated circuit board
US8449987B2 (en) * 2006-06-12 2013-05-28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Rolled copper or copper alloy foil with roughened surface and method of roughening rolled copper or copper alloy foil
ATE518968T1 (de) * 2006-10-02 2011-08-15 Kobe Steel Ltd Kupferlegierungsplatte für elektrische und elektronische bauteile
US20080142249A1 (en) * 2006-12-13 2008-06-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 surface roughness for high speed signaling
JP5043094B2 (ja) * 2007-03-20 2012-10-10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無接着剤フレキシブルラミネ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181618B2 (ja) * 2007-10-24 2013-04-10 宇部興産株式会社 金属箔積層ポリイミド樹脂基板
KR101256086B1 (ko) * 2009-02-13 2013-04-23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금속박과 그 제조 방법, 절연기판, 및 배선기판
WO2010096873A1 (en) * 2009-02-27 2010-09-02 Brian Investments Pty Ltd Wear sensor
EP2457725B1 (en) * 2009-07-24 2018-11-28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Resin composite electrolytic copper foil, copper-clad laminate, and printed wiring board
JP2011174131A (ja) * 2010-02-24 2011-09-08 Showa Denko Kk めっき浴、めっき方法、めっき膜、放熱板
JP5563849B2 (ja) * 2010-03-02 2014-07-30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処理銅箔
JP5634103B2 (ja) * 2010-04-06 2014-12-03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銅張積層板用処理銅箔及び該処理銅箔を絶縁性樹脂基材に接着してなる銅張積層板並びに該銅張積層板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JP5885054B2 (ja) * 2010-04-06 2016-03-15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銅張積層板用処理銅箔及び該処理銅箔を絶縁性樹脂基材に接着してなる銅張積層板並びに該銅張積層板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JP5654581B2 (ja) 2010-05-07 2015-01-14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印刷回路用銅箔、銅張積層板、印刷回路基板、印刷回路及び電子機器
KR101871029B1 (ko) * 2010-09-27 2018-06-25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프린트 배선판용 구리박, 그 제조 방법, 프린트 배선판용 수지 기판 및 프린트 배선판
JP4799710B1 (ja) * 2010-11-17 2011-10-26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銅箔
JP5654416B2 (ja) 2011-06-07 2015-01-14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液晶ポリマー銅張積層板及び当該積層板に用いる銅箔
KR20150097821A (ko) * 2011-07-29 2015-08-26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해 동합금박, 그 제조 방법, 그것의 제조에 이용하는 전해액, 그것을 이용한 2차 전지용 음극 집전체, 2차 전지 및 그 전극
CN102505138A (zh) * 2011-10-21 2012-06-20 江苏同昌电路科技有限公司 电镀干板线的加工工艺
JP5204908B1 (ja) 2012-03-26 2013-06-05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キャリア付銅箔、キャリア付銅箔の製造方法、プリント配線板用キャリア付銅箔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5417538B1 (ja) * 2012-06-11 2014-02-19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電子機器、並び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6134485B2 (ja) * 2012-07-25 2017-05-24 Jx金属株式会社 液晶ポリマーと接合させるための表面を有する金属材料、金属−液晶ポリマー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部品
JP5869976B2 (ja) * 2012-07-25 2016-02-24 Jx金属株式会社 金属−液晶ポリマー複合体の製造方法
JP5705381B2 (ja) * 2013-02-28 2015-04-22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黒色化表面処理銅箔、黒色化表面処理銅箔の製造方法、銅張積層板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US9955583B2 (en) 2013-07-23 2018-04-24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oration Surface-treated copper foil, copper foil with carrier, substrate, resin substrate, printed wiring board, copper clad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wiring board
TWI577256B (zh) * 2013-07-24 2017-04-01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表面處理銅箔、附載體銅箔、基材、樹脂基材、印刷配線板、覆銅積層板及印刷配線板之製造方法
JP2015041729A (ja) * 2013-08-23 2015-03-02 イビデン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
MY182166A (en) * 2013-09-20 2021-01-18 Namics Corp Copper foil, copper foil with carrier foil, and copper-clad laminate
JP6062341B2 (ja) * 2013-10-23 2017-01-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銅・樹脂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710737B1 (ja) * 2013-11-29 2015-04-30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積層板、プリント配線板、プリント回路板及び電子機器
TWI601835B (zh) * 2014-09-05 2017-10-11 Furukawa Electric Co Ltd Copper foil, copper clad laminate, and substrate
CN107709629B (zh) * 2015-08-12 2019-12-10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表面处理铜箔以及使用该表面处理铜箔制造的覆铜层压板或印刷布线板
TWI625229B (zh) * 2015-09-24 2018-06-01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Metal foil, metal foil with release layer, laminate, printed wiring board, semiconductor package, electronic device, and printed wiring board manufacturing method
KR20170037750A (ko) * 2015-09-25 2017-04-05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표면처리동박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38969A (ko) * 2015-09-30 2017-04-10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표면처리동박 및 그의 제조방법
US9397343B1 (en) * 2015-10-15 2016-07-19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Copper foil exhibiting anti-swelling properties
JP5913714B1 (ja) * 2015-10-19 2016-04-2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表示装置用金属調装飾部品、及び、車両表示装置
US9707738B1 (en) * 2016-01-14 2017-07-18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Copper foil and methods of use
KR101828698B1 (ko) * 2016-09-08 2018-02-12 윤희탁 도금 장식품 제조 방법
CN109642338B (zh) * 2016-09-12 2021-02-09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铜箔以及具有该铜箔的覆铜板
KR102335444B1 (ko) * 2017-03-30 2021-12-03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처리 동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동 클래드 적층판 및 프린트 배선판
JP7055049B2 (ja) * 2017-03-31 2022-04-15 Jx金属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板、キャリア付銅箔、プリント配線板、電子機器、並びに、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TWI646227B (zh) 2017-12-08 2019-01-0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應用於信號傳輸的銅箔以及線路板組件的製造方法
US10337115B1 (en) * 2018-01-05 2019-07-02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Surface treated copper foil for high speed printed circuit board products including the copper foil and methods of making
TWI668333B (zh) * 2018-09-17 2019-08-11 金居開發股份有限公司 微粗糙電解銅箔及銅箔基板
TWI669032B (zh) * 2018-09-26 2019-08-11 金居開發股份有限公司 微粗糙電解銅箔及銅箔基板
US11732376B2 (en) 2019-06-12 2023-08-22 Toyo Kohan Co., Ltd. Roughened plated sheet
JP7421208B2 (ja) 2019-12-24 2024-01-24 日本電解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54686B1 (ko) * 2020-12-30 2022-10-1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표면 처리 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CN113737238B (zh) * 2021-10-11 2023-04-11 中色奥博特铜铝业有限公司 一种超低轮廓度压延铜箔表面粗化处理方法
CN114919255B (zh) * 2022-05-27 2024-03-08 广州方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挠性覆铜板及印刷线路板
CN116190022B (zh) * 2023-04-24 2023-07-28 广州方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基材及电路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597A (ja) 2002-01-09 2003-07-18 Nippon Denkai Kk 銅箔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銅箔を用いた電磁波シールド体
JP2003239082A (ja) 2002-02-18 2003-08-27 Hitachi Cable Ltd 樹脂接着用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3102277A1 (fr) * 2002-06-04 2003-12-11 Mitsui Mining & Smelting Co.,Ltd. Feuille de cuivre traitee en surface pour substrat dielectrique faible, stratifie cuivre comportant cette feuille et carte a cablage imprim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7669A1 (de) * 1983-12-29 1985-07-18 Hitachi, Ltd., Tokio/Tokyo Verbundstruktur aus metall und kunstharz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H07202367A (ja) * 1993-12-28 1995-08-04 Japan Energy Corp 印刷回路用銅箔の表面処理方法
TW317575B (ko) * 1994-01-21 1997-10-11 Olin Corp
JP3255862B2 (ja) * 1995-11-30 2002-02-12 日本パーカライジング株式会社 摺動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863410A (en) * 1997-06-23 1999-01-26 Circuit Foil Usa, Inc.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high quality very low profile copper foil and copper foil produced thereby
JP2000058364A (ja) * 1998-08-04 2000-02-25 Fujitsu Ltd 磁性薄膜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0233448A (ja) 1998-12-16 2000-08-29 Sumitomo Chem Co Ltd 溶融液晶性ポリエステル樹脂成形体と金属との熱融着方法
JP2001049002A (ja) 1999-08-10 2001-02-20 Kuraray Co Ltd 熱可塑性液晶ポリマー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68816A (ja) * 1999-08-24 2001-03-1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銅張積層板及びその銅張積層板を用いたレーザー加工方法
US6372113B2 (en) * 1999-09-13 2002-04-16 Yates Foil Usa, Inc. Copper foil and copper clad laminates for fabrication of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6497806B1 (en) * 2000-04-25 2002-12-24 Nippon Denkai, Ltd. Method of producing a roughening-treated copper foil
US20020182432A1 (en) * 2000-04-05 2002-12-05 Masaru Sakamoto Laser hole drilling copper foil
JP3628585B2 (ja) * 2000-04-05 2005-03-16 株式会社日鉱マテリアルズ 銅張り積層板及び銅張り積層板のレーザーによる穴開け方法
JP3690962B2 (ja) * 2000-04-26 2005-08-3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キャリア箔付電解銅箔及びそのキャリア箔付電解銅箔の製造方法並びに銅張積層板
JP3429290B2 (ja) * 2000-09-18 2003-07-22 日本電解株式会社 微細配線用銅箔の製造方法
JP4429539B2 (ja) * 2001-02-16 2010-03-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ァインパターン用電解銅箔
JP4798894B2 (ja) 2001-08-20 2011-10-19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積層板用銅合金箔
TW200404484A (en) * 2002-09-02 2004-03-16 Furukawa Circuit Foil Copper foil for soft circuit board package module, for plasma display, or for radio-frequency printed circuit board
TW200500199A (en) * 2003-02-12 2005-01-01 Furukawa Circuit Foil Copper foil for fine patterned printed circuits and method of production of same
KR101065758B1 (ko) * 2003-02-27 2011-09-19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파 실드용 동박, 그 제조방법 및 전자파 실드체
JP4833556B2 (ja) * 2004-02-06 2011-12-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表面処理銅箔
JP2006103189A (ja) * 2004-10-06 2006-04-20 Furukawa Circuit Foil Kk 表面処理銅箔並びに回路基板
US7976956B2 (en) * 2005-08-01 2011-07-12 Furukawa Circuit Foil., Ltd. Laminated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1597A (ja) 2002-01-09 2003-07-18 Nippon Denkai Kk 銅箔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銅箔を用いた電磁波シールド体
JP2003239082A (ja) 2002-02-18 2003-08-27 Hitachi Cable Ltd 樹脂接着用銅箔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3102277A1 (fr) * 2002-06-04 2003-12-11 Mitsui Mining & Smelting Co.,Ltd. Feuille de cuivre traitee en surface pour substrat dielectrique faible, stratifie cuivre comportant cette feuille et carte a cablage impri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51A1 (ko) * 2016-06-30 2018-01-04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시인성이 향상된 표면처리동박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8004152A1 (ko) * 2016-06-30 2018-01-04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후처리 후 에칭성이 우수한 표면처리동박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29209A (ko) 2016-11-01 2023-09-07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표면처리 전해동박,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13738A (ja) 2010-01-21
CN1657279A (zh) 2005-08-24
TWI354034B (ko) 2011-12-11
EP1562413A2 (en) 2005-08-10
JP5367529B2 (ja) 2013-12-11
US7381475B2 (en) 2008-06-03
TW200535259A (en) 2005-11-01
CN1657279B (zh) 2011-07-27
EP1562413A3 (en) 2008-04-02
KR20060041689A (ko) 2006-05-12
US20050175826A1 (en)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471B1 (ko) 표면처리동박 및 회로기판
JP4833556B2 (ja) 表面処理銅箔
EP1645662A1 (en) Surface treated copper foil and circuit board
JP5129642B2 (ja) 表面処理銅箔及びその表面処理銅箔を用いて得られる銅張積層板並びにその銅張積層板を用いて得られるプリント配線板
KR101188147B1 (ko) 인쇄 회로 기판용 구리박 및 인쇄 회로 기판용 동장 적층판
JP5684328B2 (ja) 表面粗化銅板の製造方法及び表面粗化銅板
JP6893572B2 (ja) 表面処理銅箔の製造方法
KR101674781B1 (ko) 프린트 배선판용 동박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프린트 배선판 및 전자 부품
KR20180026584A (ko) 수지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동박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 전해 동박을 사용한 프린트 배선판 또는 전지용 부극재
JP3295308B2 (ja) 電解銅箔
KR102655111B1 (ko) 표면처리 전해동박,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H09217193A (ja) 非シアン化物真鍮めっき浴混合物、真鍮層を有する金属箔の製造方法、及び非シアン化物真鍮めっき浴の使用方法
JP2007042696A (ja) 積層回路基板
US7976956B2 (en) Laminated circuit board
JP4615226B2 (ja) 基板用複合材及びそれを用いた回路基板
KR20090060958A (ko) 표면 처리 동박 및 회로 기판
KR101045538B1 (ko) 박막저항층 형성방법, 저항층이 형성된 도전성 기재 및 저항층이 형성된 회로기판재료
US7215235B2 (en) Conductive substrate with resistance layer, resistance board, and resistance circuit board
JP4698957B2 (ja) 電解銅箔及び電解銅箔光沢面の電解研磨方法
EP0839440A1 (en) Copper foil for the manufacture of printed circuits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070048507A1 (en) Laminated circuit board
JP2010047842A (ja) 電解銅箔及び電解銅箔光沢面の電解研磨方法
KR20240017841A (ko) 조화 처리 동박, 동장 적층판 및 프린트 배선판
JP2010059547A (ja) 電解銅箔及び電解銅箔光沢面の電解研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