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792B1 - 글리세린으로부터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글리세린으로부터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792B1
KR101062792B1 KR1020067004320A KR20067004320A KR101062792B1 KR 101062792 B1 KR101062792 B1 KR 101062792B1 KR 1020067004320 A KR1020067004320 A KR 1020067004320A KR 20067004320 A KR20067004320 A KR 20067004320A KR 101062792 B1 KR101062792 B1 KR 101062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dichloropropanol
distillation
carried out
casc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5902A (ko
Inventor
파벨 쿠비켁
페트르 스라덱
이바나 부리코바
Original Assignee
스폴렉 프로 케미코우 어 허트니 비로부, 아크시오바 스폴렉노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2569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627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폴렉 프로 케미코우 어 허트니 비로부, 아크시오바 스폴렉노스트 filed Critical 스폴렉 프로 케미코우 어 허트니 비로부, 아크시오바 스폴렉노스트
Publication of KR2007001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9/6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introduction of halogen;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9/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not belonging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34Halogenated alcohols
    • C07C31/36Halogenated alcohols the halogen not being fluorine

Abstract

반응수를 연속적으로 제거하면서 70-140℃ 범위의 반응 온도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반응 구역에서 수행되고, 상기 액체 피드가 적어도 50중량%의 글리세린 및/또는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들을 함유하는 것인,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들인 1,3-디클로로-2-프로판올 및 2,3-디클로로-1-프로판올로의 고도로 선택적인 촉매 반응 하이드로클로린화. 이 방법은 액체-가스 유형의 연속적인 흐름 반응기들의 캐스케이드 또는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1-단계 순환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글리세린으로부터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제조 방법 {METHOD OF PREPARING DICHLOROPROPANOLS FROM GLYCERINE}
본 발명은 화학 공학 분야인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생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에피클로로히드린은 제조 공업을 위한 에폭시 수지들, 합성 엘라스토머들, 사이징 시약들(sizing agents) 등의 생산을 위해 중요한 원료 물질들이다.
에피클로히드린의 공업적 생산에서
- 프로판의 알릴 클로라이드로의 고온 라디칼 치환 염소화;
- 알릴 클로라이드에 하이포아염소산을 부가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제조; 및
- 디클로로프로판올을 알칼리 수용액에 의해 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 만드는 데히드로클로린화를 포함하는 기술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러한 기술 모두의 기본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 약 73%의 출발 프로필렌에 기초한 합성의 비교적 중간 정도의 전체 수율;
- 약 38%의 염소에 기초한 합성의 낮은 수율;
- 에너지의 높은 단위 소비;
- 에피클로로히드린, 오염 AOX(흡착성 유기 할로겐화물), DIS(용해된 무기 염) 및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의 약 35m3/f의 폐수의 높은 단위 부피; 및
- 공정에서 위험한 프로판의 사용 및 증발된 염소.
다음:
- 아세트산에 의한 프로펜의 알릴 아세테이트로의 팔라듐-촉매된 산화;
- 알릴 아세테이트의 알릴 알콜로의 카텍스-촉매된 가수 분해;
- 알릴 알콜의 디클로로프로판올로의 촉매 염소화; 및
-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의 알칼리 데히드로클로린화를 포함하는 Showa-Denko (예, USP 5,011,980, USP5,227,541 또는 USP 4,634,784)의 기술이 작은 정도까지만 널리 사용되고 있다.
두 경우, 기본 출발 물질들은 프로펜, 염소 및 알칼리, 예를 들면 수산화 칼슘 또는 수산화 나트륨이다.
따라서, 경제성, 환경성 및 안전성의 이유로, 새로운 합성 경로들이 세계적으로 구해지고 있다. 수년 동안, 티탄 실리칼라이트들에 기재한 촉매들을 사용함으로써 과산화수소 또는 유기 과산화수소에 의해 알릴 클로라이드를 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 직접적으로 촉매 산화시키는 공정을 관리하려는 시도들(예, USP 5,446,835, USP 6,187,935, USP 6,288,248 또는 USP 6,103,915)이 이루어져 왔으나 오늘날까지 어느 것도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추가의 가능한 합성 경로들 중의 하나는 20세기가 시작된 이래 공지되어 왔으며; 그의 원리는 Boehringer의 특허 (C.F. und Sohne, Waldhof b. Mannheim: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Mono- und Dichlorhydrin aus Glycerin und gasforminger Salzsaure, 독일 특허 제197308, 1906)에 따라 무수 염화 수소에 의한 글리세린의 촉매적 하이드로글로린화에 놓인다.
그 원리는 촉매로서 카르복실산의 존재하에 염화수소와 글리세린의 반응으로, 1,3-디클로로-2-프로판올 및 물을 제공한다. 이 반응은 약 100℃의 온도에서 액체 상으로 수행된다. 압력은 대기압 또는 반응 혼합물 중의 가스상 HCl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승된 압력일 수 있다. 균질한 아세트산 촉매의 최적 농도는 약 1-2중량%이고; 보다 높은 농도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부산물들이 보다 큰 정도까지 형성되고, 이는 수율을 낮춘다. 아세트산 외에, 그 특허는 다른 카르복실산인 시험되고 있는 프로피온산을 언급한다. 물의 분리 없이 배치 배열의 공개된 수율은 제어된 재산출에서 약 75%의 양에 달한다. 수율을 증가시키고, 염화수소 손실을 감소하기 위해, 기본 문제는 디클로로프로판올을 발생시키는 쪽으로 평형을 이동시키기 위해 반응수를 제거하는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USP 2,144,612는 여러 종류의 불활성의 수불혼화성 용매들, 예를 들면 디-n-부틸 에테르, 에틸렌 디클로라이드, 프로필렌 디클로라이드 또는 클로로벤졸을 사용함으로서 적절한 반응 온도에서 반응수를 충분히 제거하는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였고, 산 증류물로서 반응수를 제거하게 하였다. 이 특허는 단지 소량의 잔류물이 형성되고, 반응은 완료까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반응 생성물로서 얻어지는 글리세롤-디클로로히드린의 용액은 실질적으로 물이 없고, 분리하기 어려운 수성 산 용액 중의 글리세롤-디클로로히드린의 손실은 최소화됨을 언 급한다. 또한, 글리세린 입력량에 기초하여 5% 범위의 높은 촉매 함량이 언급된다.
미합중국 특허 USP 2,198,600은 디클로로프로판올에 적절한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디-n-부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추출에 의해 산 증류물로부터 디클로로프로판올을 정제 및 회수하는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였다.
각각의 특허에 개시된 상기 모든 방법들은 불연속적인 배치 공정들로서 개발되었다.
공업적인 규모에서, 그러한 방법들은 염화 수소의 큰 손실, 몇 시간 내지 수십 시간에 이르는 긴 체류 시간을 갖는 여러 배치 반응 단계들의 필요성 및 그에 따른 장치들의 크기에 대한 큰 수요, 원료 물질 및 생성물들의 관리, 폐기물 스트림 위생 설비, 노동 위생 등 때문에 실행 가능하지 않다. 또한, 공업적 규모로 허용될 수 있는 적절한 결과들을 위해 필요한 불활성 용매들의 현저한 부분의 사용은 반응기 부피들을 현저히 증가시키고, 용매 핸들링, 처리, 회수 등을 위한 많은 추가의 장비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출발 물질들의 높은 변환, 생성물들의 높은 수율들 및 반응 시스템의 높은 선택성을 특징으로 하는 1.3-디클로로-2-프로판올 및/또는 2,3-디클로로-1-프로판올의 연속적인 제조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카르복실산의 촉매 반응에 의해 가스상 염화수소에 의한 글리세린 및/또는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들의 하이드로클로린화에 의한 디클로로프로판올인 1,3-디클로로-2-프로판올 및 2,3-디클로로-1-프로판올의 제조 방법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이드로클로린화는 반응수를 연속적으로 제거하면서 70-140℃ 범위의 반응 온도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반응 구역에서 수행되고, 상기 액체 피드가 적어도 50중량%의 글리세린 및/또는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들을 함유한다.
이 방법은 공업적으로 허용되는 수율에 도달하기 위해 용매들과 같은 임의의 추가의 화합물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디클로로프로판올들과 별도로 반응수 및 소량의 촉매 아세트산 및 미반응 염화 수소를 역시 함유하는 생성물들의 혼합물은 에피클로로히드린 합성의 다음 반응 단계를 위해, 예를 들면 알칼리 데히드로클로리네이션을 위해 임의의 처리 없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 피드는 80-100중량%의 글리세린을 함유하고, 카르복실산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이다.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110℃이다.
하이드로클로린화는 액체-가스 유형의 연속적인 흐름 반응기들의 캐스케이드에서 또는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1-단계 순환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출발 글리세린의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로의 바람직한 변환을 달성하기 위해, 촉매의 존재와 별도로, 바람직하게는 감압 하의 증류에 의해 화학적 평형의 이유로 반응 환경으로부터 반응수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순환 반응기의 경우에, 원료 물질인 글리세린, 염화 수소 및 아세트산 촉매가 반응기 자체의 상류의 외부 순환 부분 내로 공급될 수 있고,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 및 반응수의 주요 수집을 위해, 반응 디바이스는 순환 부분 내에, 바람직하게는 감압 하에 작동하는 증류 컬럼에 위치할 수 있다. 반응 생성물의 나머지 밸런스는 순환 부분으로부터 2차로 수집될 수도 있고,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 모노클로로프로판올 반응 중간체의 회수 후, 반응으로 복귀되고, 목적하지 않는 생성물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잔류물은 추가로 처리된다. 이 회수는 감압 하에 증류에 의해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지 못한 높은 온도에서 비등하는 폐기 생성물들이 증류 잔류물로서 남겨진다.
반응 순환량과 글리세린 입력량 사이의 비율과 같은 순환 반응기의 파라메터들의 세트를 밸런싱함으로써, 제2 수집량과 글리세린 입력량 사이의 비율, 반응 온도, 반응 순환 등에서 연속적인 주요 증류에서 감압 수치, 공정의 최적화 및 그의 수율이 달성될 수 있다.
연속적인 흐름 반응기들의 캐스케이드의 경우에, 이 캐스케이드의 부재들의 수는 1 내지 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일 수 있다. 원료 물질인 글리세린, 염화 수소 및 아세트산 촉매는 캐스케이드의 제1 부재 내로 공급되고; 염화수소 및 촉매 손실에 대한 보충물은 다시 다른 부재들 내로 공급된다. 공정수의 증류는 항상 캐스케이드의 개별 부재들 사이에 위치한다. 공정수 및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의 일부를 증류시켜 제거한 후, 증류 잔류물은 캐스케이드의 다음 부재에서 하이드로클로린화에 적용된다. 전체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캐스케이드의 최종 부재로부터 반응수 및 디클로로프로판올을 완전히 증류시킨 후 증류 잔류물로부터 디클로로프로판올들 및 반응 중간체인 모노클로로프로판올들을 회수할 것이 권장된다. 회수는 바람직하게는 감압 하에 증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높게 비등하는 폐기 생성물들은 증류 잔류물로서 분리되고, 증류물은 반응기로, 바람직하게는 캐스케이드의 제1 부재 내로 되돌려 재순환되는 디클로로프로판올들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들이다.
일반적으로, 액체-가스 유형의 반응을 위한 임의의 반응기는 교반 반응기, 버블 타워(컬럼), 액체-가스 접촉을 위해 다양하게 충전된 컬럼, 방출 반응기 등과 같은 반응기 자체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가스상 염화수소를 분산시키기 위해, 노즐, 천공된 플레이트들 또는 파이프들, 미소다공성 플레이트들, 방출기들 등의 임의의 분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기 내의 압력은 대기압이거나 또는 반응 혼합물 내의 염화 수소의 보다 나은 용해도를 위해 상승된 압력일 수 있다. 반응기 내의 온도는 70-140℃ 범위, 바람직하게는 100-110℃ 범위일 수 있다.
시스템의 전체 평균 체류 시간은 글리세린의 요구되는 전체 변환 및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의 전체 수율에 따라 5-40시간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반응수를 분리하기 위해 감압 하의 증류를 위해, 증류를 위한 임의의 디바이스, 예를 들면 열원의 존재 또는 부재 하의 여러 구축물들의 증발기, 트레이들과 같은 여러 내부물을 갖는 정류 컬럼, 구조화된 패킹, 랜덤 패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회수 증류를 위한 디바이스들로서, 증류를 위해 일반적으로 공지된 장치들, 예를 들면 여러 유형의 증발기들 또는 증류 시스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출발 물질인 글리세린은 다양한 품질의 여러 글리세린 함량 및 여러 종류의 불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러 가지 함량의 글리세린을 갖는 증류된 글리세린이 사용될 수 있고; 90.9-99.9%의 함량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러 가지 함량의 글리세린을 갖는 조 글리세린이 사용될 수 있고; 80.0-90.0%의 함량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글리세린 피드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특히 3-클로로-1,2-프로판디올 및/또는 2-클로로-1,3-프로판디올)로 대체될 수 있고, 임으로 염산 용액에 의한 글리세린의 하이드로클로린화 등의 다른 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따라, 다음 실험이 수행되었다. 반응 혼합물이 외부 순환되는 수직 실린더로 구성된 순환 컬럼 반응기에서, 97.5%의 글리세린, 2%의 아세트산 및 0.5%의 물을 함유하는 글리세린 피드가 5.0 kg/h의 양으로 반응기 자체 상류의 외부 순환 부분 내로 공급되었다. 가스상 염화수소는 4.6 kg/h의 양으로 고전적인 분산 디바이스들을 통해 반응기 바닥 내로 직접적으로 공급되었다. 외부 순환 부분에는 반응기 하류의 진공 정류 컬럼이 삽입되고;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 반응수 및 잔류 염화 수소의 혼합물이 증류물로서 9.3 kg/h의 양으로 수집되었다. 증류 잔류물은 반응기로 되돌려 펌핑되었다. 반응 혼합물의 잔류 밸런스는 또한 1.4 kg/h의 양으로 정류 컬럼 하류의 순환으로부터 수집되었고, 이는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 반응 중간체를 회수하기 위해 증발기 내에서 진공 증류에 적용되었고, 이는 글리세린 피드와 함께 1.2 kg/h의 양으로 반 응으로 되돌려졌다. 바람직하지 못한 생성물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회수된 증류 잔류물은 탱크 내에 폐기물로서 수집되었다. 기본 파라메터들 및 결과들은 다음 표에 예시된다:
파라메터
반응 온도 106℃
반응기의 압력 101 kPa
글리세린의 변환 99.8%
1,3-디클로로-2-프로판올+2.3-디클로로-1-프로판올의 수율 95.6%
실시예 2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따라, 다음 실험이 수행되었다.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 반응 중간체의 최종 회수 없이 3개의 캐스케이드 반응기들을 갖는 연속적인 흐름 반응기들의 캐스케이드가 순차로 모델링되었다. 97.5%의 글리세린, 2%의 아세트산 및 0.5%의 물을 함유하는 글리세린 피드가 고전 적인 분산 디바이스들을 통해 염화 수소가 공급된 바와 같이 캐스케이드의 제1 부재 - 액체-가스 유형의 타워 반응기 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었다. 디클로로프로판올들,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들 및 기타 부산물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생성물이 탱크 내로 수집되었다. 반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선택된 시간이 중지된 후; 생성물은 반응수,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일부 및 과량의 염화 수소를 증류시켜 제거하기 위해 1-단계 평형 진공 증류에 적용되었다. 이어서, 증류 잔류물은 순차로 고안된 캐스케이드의 다음 부재 내로 주입물로서 사용되었다. 캐스케이드의 최종 부재로부터 반응 혼합물과 함께 증류물들은 전체 시스템의 출력물이었다. 기본 파라메터들 및 3-원 캐스케이드의 결 과들은 다음 표에 예시된다:
파라메터
반응 온도 95℃
압력 101 kPa
글리세린의 변환 99.9%
1,3-디클로로-2-프로판올+2.3-디클로로-1-프로판올의 수율 83.1%
실시예 3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따라, 다음 실험이 수행되었다. 반응 혼합물이 외부 순환되는 수직 실린더로 구성된 순환 컬럼 반응기에서, 88.7%의 글리세린, 2%의 아세트산 및 9.3%의 물을 함유하는 글리세린 피드가 5.4 kg/h의 양으로 반응기 자체 상류의 외부 순환 부분 내로 공급되었다. 가스상 염화수소는 4.3 kg/h의 양으로 고전적인 분산 디바이스들을 통해 반응기 바닥 내로 직접적으로 공급되었다. 외부 순환 부분에는 반응기 하류의 진공 정류 컬럼이 삽입되고;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 반응수 및 잔류 염화 수소의 혼합물이 증류물로서 9.3 kg/h의 양으로 수집되었다. 증류 잔류물은 반응기로 되돌려 펌핑되었다. 반응 혼합물의 잔류 밸런스는 또한 1.4 kg/h의 양으로 정류 컬럼 하류의 순환으로부터 수집되었고, 이는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 반응 중간체를 회수하기 위해 증발기 내에서 진공 증류에 적용되었고, 이는 글리세린 피드와 함께 1.1 kg/h의 양으로 반응으로 되돌려졌다. 바람직하지 못한 생성물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회수된 증류 잔류물은 탱크 내에 폐기물로서 수집되었다. 기본 파라메터들 및 결과들은 다음 표에 예시된다:
파라메터
반응 온도 107℃
반응기의 압력 101 kPa
글리세린의 변환 99.6%
1,3-디클로로-2-프로판올+2.3-디클로로-1-프로판올의 수율 90.9%
실시예 4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따라, 다음 실험이 수행되었다. 반응 혼합물이 외부 순환되는 수직 실린더로 구성된 순환 컬럼 반응기에서, 84.9%의 글리세린, 2%의 아세트산, 4.7%의 물 및 8.4%의 비휘발성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조 글리세린 피드가 5.5 kg/h의 양으로 반응기 자체 상류의 외부 순환 부분 내로 공급되었다. 가스상 염화수소는 4.5 kg/h의 양으로 고전적인 분산 디바이스들을 통해 반응기 바닥 내로 직접적으로 공급되었다. 외부 순환 부분에는 반응기 하류의 진공 정류 컬럼이 삽입되고;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 반응수 및 잔류 염화 수소의 혼합물이 증류물로서 8.9 kg/h의 양으로 수집되었다. 증류 잔류물은 반응기로 되돌려 펌핑되었다. 반응 혼합물의 잔류 밸런스는 또한 2.0 kg/h의 양으로 정류 컬럼 하류의 순환으로부터 수집되었고, 이는 디클로로프로판올 생성물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 반응 중간체를 회수하기 위해 증발기 내에서 진공 증류에 적용되었고, 이는 글리세린 피드와 함께 1.0 kg/h의 양으로 반응으로 되돌려졌다. 바람직하지 못한 생성물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회수된 증류 잔류물은 탱크 내에 폐기물로서 수집되었다. 기본 파라메터들 및 결과들은 다음 표에 예시된다:
파라메터
반응 온도 103℃
반응기의 압력 101 kPa
글리세린의 변환 99.5%
1,3-디클로로-2-프로판올+2.3-디클로로-1-프로판올의 수율 89.3%

Claims (29)

1,3-디클로로-2-프로판올 및 2,3-디클로로-1-프로판올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카르복실산의 촉매 작용에 의해 기체 염화수소로 글리세린을 하이드로클로린화(hydrochlorina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하이드로클로린화는 70∼140℃ 범위의 반응 온도로 적어도 하나의 연속 반응구역에서 그리고 감압 증류에 의해 반응수를 연속적으로 제거하면서 무용매(solvent-free) 하에 수행되고, 액체 피드(liquid feed)가 50중량% 이상의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피드가 80∼100중량%의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작용이 아세트산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100∼11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증류가 반응구역에 연결된 정류구역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6항에 있어서, 감압 증류에 의해 반응수를 제거하는 것과 함께, 1,3-디클로로-2-프로판올 및 2,3-디클로로-1-프로판올 생성물의 적어도 부분적인 1차 수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7항에 있어서, 2차 수집이 수행되고, 상기 2차 수집으로부터 디클로로프로판올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이 공정으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8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의 2차 수집된 잔여물(residual balance)이, 증류 잔류물로서 고비등점 폐기 생성물과 증류물로서 반응기로 재순환되는 디클로프로판올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을 분리하기 위해서, 감압 증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갑압 증류에 의해 반응수가 수집되는 연속 유동반응구역의 캐스케이드에서 수행되고, 상기 반응수의 수집은 캐스케이드의 개개의 반응구역 하류에 위치한 생성물 디클로로프로판올의 부분적 수집과 함께 수행되고, 증류 잔류물이 캐스케이드의 다음 구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케이드의 최종 단계로부터 나온 반응 혼합물이 2-단계 증류되는데, 제1단계에서 반응수가 증류물로서 디클로로프로판올 반응 생성물과 함께 분리되고, 제2단계에서 고비등점 폐기 생성물이 증류 잔류물로서 분리되고 디클로로프로판올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이 증류물로서 분리되어 공정으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3-디클로로-2-프로판올 및 2,3-디클로로-1-프로판올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카르복실산의 촉매 작용에 의해 기체 염화수소로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을 하이드로클로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하이드로클로린화는 70∼140℃ 범위의 반응 온도로 적어도 하나의 연속 반응구역에서 그리고 감압 증류에 의해 반응수를 연속적으로 제거하면서 무용매 하에 수행되고, 액체 피드가 50중량% 이상의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이 2-클로로-1,3-프로판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 작용이 아세트산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100∼11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증류가 반응구역에 연결된 정류구역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21항에 있어서, 감압 증류에 의해 반응수를 제거하는 것과 함께, 1,3-디클로로-2-프로판올 및 2,3-디클로로-1-프로판올 생성물의 적어도 부분적인 1차 수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22항에 있어서, 2차 수집이 수행되고, 상기 2차 수집으로부터 디클로로프로판올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이 공정으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23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의 2차 수집된 잔여물이, 증류 잔류물로서 고비등점 폐기 생성물과 증류물로서 반응기로 재순환되는 디클로프로판올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을 분리하기 위해서, 감압 증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갑압 증류에 의해 반응수가 수집되는 연속 유동반응구역의 캐스케이드에서 수행되고, 상기 반응수의 수집은 캐스케이드의 개개의 반응구역 하류에 위치한 생성물 디클로로프로판올의 부분적 수집과 함께 수행되고, 증류 잔류물이 캐스케이드의 다음 구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케이드의 최종 단계로부터 나온 반응 혼합물이 2-단계 증류되고, 여기서 제1단계에서 반응수가 증류물로서 디클로로프로판올 반응 생성물과 함께 분리되고, 제2단계에서 고비등점 폐기 생성물이 증류 잔류물로서 분리되고 디클로로프로판올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이 증류물로서 분리되어 공정으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이 3-클로로-1,2-프로판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11항에 있어서, 증류물로 분리되는 상기 디클로로프로판올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이 캐스케이드의 제1단계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26항에 있어서, 증류물로 분리되는 상기 디클로로프로판올 및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이 캐스케이드의 제1단계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04320A 2003-09-01 2004-08-23 글리세린으로부터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제조 방법 KR101062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Z20032346A CZ294890B6 (cs) 2003-09-01 2003-09-01 Způsob přípravy dichlorpropanolů z glycerinu
CZPV2003-2346 2003-09-01
PCT/CZ2004/000049 WO2005021476A1 (en) 2003-09-01 2004-08-23 Method of preparing dichloropropanols from glycer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5902A KR20070015902A (ko) 2007-02-06
KR101062792B1 true KR101062792B1 (ko) 2011-09-06

Family

ID=3425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320A KR101062792B1 (ko) 2003-09-01 2004-08-23 글리세린으로부터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7473809B2 (ko)
EP (1) EP1663924B1 (ko)
JP (3) JP5752342B2 (ko)
KR (1) KR101062792B1 (ko)
CN (1) CN100439305C (ko)
AT (1) ATE530513T1 (ko)
BR (1) BRPI0413914B1 (ko)
CA (1) CA2537131C (ko)
CY (1) CY1112165T1 (ko)
CZ (1) CZ294890B6 (ko)
DK (1) DK1663924T3 (ko)
ES (1) ES2373040T3 (ko)
HK (1) HK1096081A1 (ko)
IN (1) IN2012DN00705A (ko)
MX (1) MXPA06002351A (ko)
PL (1) PL1663924T3 (ko)
PT (1) PT1663924E (ko)
RU (1) RU2356878C2 (ko)
SI (1) SI1663924T1 (ko)
TW (1) TWI325417B (ko)
UA (1) UA81971C2 (ko)
WO (1) WO2005021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94890B6 (cs) 2003-09-01 2005-04-13 Spolek Pro Chemickou A Hutní Výrobu,A.S. Způsob přípravy dichlorpropanolů z glycerinu
CN100999442B (zh) 2003-11-20 2012-04-11 索尔维公司 含有二氯丙醇的假共沸组合物以及用于生产该组合物的方法
KR101009858B1 (ko) 2003-11-20 2011-01-19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유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
US7910781B2 (en) 2004-07-21 2011-03-2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 for the conversion of a crude glycerol, crude mixtures of naturally derived multihydroxylated aliphatic hydrocarbons or esters thereof to a chlorohydrin
EP1771403B1 (en) 2004-07-21 2010-01-0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nversion of a multihydroxylated-aliphatic hydrocarbon or ester thereof to a chlorohydrin
US7906690B2 (en) 2004-07-21 2011-03-1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Batch, semi-continuous or continuous hydrochlorination of glycerin with reduced volatile chlorinated hydrocarbon by-products and chloracetone levels
KR20080036555A (ko) * 2005-05-20 2008-04-28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클로로히드린으로부터 출발하여 에폭시드를 제조하는 방법
TWI321129B (en) * 2005-05-20 2010-03-01 Solvay Process for preparing a chlorohydrin
EP1948583A2 (en) * 2005-11-08 2008-07-30 Solvay S.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dichloropropanol by chlorination of glycerol
EA200970011A1 (ru) 2006-06-14 2009-06-30 Солвей (Сосьете Аноним) Неочищенный продукт на основе глицерина, способ его очистки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производстве дихлорпропанола
US7930651B2 (en) 2007-01-18 2011-04-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Agenda display in an electronic device
FR2913421B1 (fr) 2007-03-07 2009-05-15 Solvay Procede de fabrication de dichloropropanol.
FR2913684B1 (fr) * 2007-03-14 2012-09-14 Solvay Procede de fabrication de dichloropropanol
TWI432407B (zh) 2007-04-12 2014-04-0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回收二氯丙醇之多階方法和裝置
KR20100016453A (ko) * 2007-04-12 2010-02-1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다이클로로하이드린 회수중에 중질 부산물의 형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WO2008128014A1 (en) * 2007-04-12 2008-10-2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vapor phase purification during hydrochlorination of multi-hydroxylated aliphatic hydrocarbon compounds
JP2010523703A (ja) 2007-04-12 2010-07-15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ジクロロヒドリンの共沸回収方法及び装置
CN101657404B (zh) 2007-04-12 2013-11-06 陶氏环球技术公司 用于经由共馏回收二氯代醇的方法和设备
TWI529155B (zh) * 2007-04-12 2016-04-11 陶氏全球科技公司 用於製造氯醇之方法與裝置
TW200911740A (en) * 2007-06-01 2009-03-16 Solvay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hlorohydrin
TW200911773A (en) 2007-06-12 2009-03-16 Solvay Epichlorohydrin, manufacturing process and use
TW200911693A (en) 2007-06-12 2009-03-16 Solvay Aqueous composition containing a salt, manufacturing process and use
FR2918058A1 (fr) * 2007-06-28 2009-01-02 Solvay Produit a base de glycerol, procede pour sa purifica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a fabrication de dichloropropanol
JP2010241689A (ja) * 2007-08-17 2010-10-28 Kashima Chemical Kk クロロヒドリンの製造方法
CN101397238B (zh) * 2007-09-24 2011-08-17 如皋市双马化工有限公司 一种生产二氯丙醇的方法
WO2009041175A1 (ja) * 2007-09-28 2009-04-02 Daiso Co., Ltd. クロロヒドリン類の製造方法
WO2009066327A1 (en) * 2007-11-19 2009-05-28 Conser S.P.A. Conversion of glycerine to dichlorohydrins and epichlorohydrin
KR100881344B1 (ko) * 2007-12-12 2009-02-02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헤테로폴리산 촉매를 사용하여 글리세롤로부터디클로로프로판올을 제조하는 방법
FR2925045B1 (fr) 2007-12-17 2012-02-24 Solvay Produit a base de glycerol, procede pour son obtention et son utilisation dans la fabrication de dichloropropanol
TWI478875B (zh) 2008-01-31 2015-04-01 Solvay 使水性組成物中之有機物質降解之方法
DE102008007622A1 (de) 2008-02-04 2009-08-06 Biopetrol Industrie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pichlorhydrin aus Glyzerin
WO2009104961A2 (en) * 2008-02-21 2009-08-27 Bouwe De Jon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dichloropropanol product
PL2257537T3 (pl) 2008-02-26 2013-03-2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posób oczyszczania epichlorohydryn
AR072446A1 (es) 2008-03-02 2010-09-0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o de hidrogenacion mejorado
EA201071157A1 (ru) 2008-04-03 2011-04-29 Солвей (Сосьете Аноним)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глицерин,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в производстве дихлорпропанола
CN101998945B (zh) * 2008-04-09 2014-04-09 陶氏环球技术公司 用于有效回收二氯代醇的方法和设备
KR20100126603A (ko) 2008-04-09 2010-12-0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디클로로하이드린을 회수하기 위한 멀티스테이지 방법 및 장치
CN101570471B (zh) * 2008-04-29 2012-08-2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由甘油合成二氯丙醇的方法
CN101570470B (zh) * 2008-04-29 2012-08-2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甘油氯化制备二氯丙醇的方法
AT507260B1 (de) * 2008-08-25 2010-10-15 Kanzler Walte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pichlorhydrin aus glyzerin
ITMI20081535A1 (it) * 2008-08-26 2010-02-26 Biocompany Srl Processo per la preparazione di 1,3-dicloro-2-propanolo
FR2935968B1 (fr) 2008-09-12 2010-09-10 Solvay Procede pour la purification de chlorure d'hydrogene
CN101429099B (zh) * 2008-11-25 2011-12-07 烟台万华聚氨酯股份有限公司 一种由甘油制备二氯丙醇的方法
KR101067494B1 (ko) * 2008-12-31 2011-09-27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선택도가 향상된, 글리세롤을 사용하는디클로로프로판올의 제조방법
CN101774886B (zh) * 2009-01-13 2013-10-16 德纳(南京)化工有限公司 二氯丙醇制备方法及反应装置
BRPI0901399A2 (pt) * 2009-03-11 2010-11-16 Ima Quimica S A processo para obtenção de dicloropropanóis
WO2011092270A2 (en) 2010-02-01 2011-08-04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Process for preparing epichlorohydrin from dichlorohydrin
KR101705206B1 (ko) * 2010-06-30 2017-02-0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클로로히드린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로로히드린류를 사용하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제조방법
KR101705205B1 (ko) * 2010-06-30 2017-02-0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클로로히드린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로로히드린류를 사용하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제조방법
KR101705208B1 (ko) * 2010-06-30 2017-02-0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클로로히드린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로로히드린류 조성물을 사용하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제조방법
KR101705209B1 (ko) * 2010-06-30 2017-02-0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클로로히드린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로로히드린류 조성물을 사용하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제조방법
KR101705210B1 (ko) * 2010-06-30 2017-02-0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클로로히드린류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로로히드린류 조성물을 사용하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제조방법
KR101705207B1 (ko) * 2010-06-30 2017-02-0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클로로히드린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로로히드린류를 사용하는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제조방법
JP6182067B2 (ja) 2010-09-03 2017-08-16 ステパン スペシャルティー プロダクツ、エルエルシー カルボン酸エステル流中の有機ハロ及びオキシラン種の除去
CN101979365B (zh) * 2010-09-20 2013-11-06 华东理工大学 一种连续制备二氯丙醇的方法
KR20140009163A (ko) 2010-09-30 2014-01-22 솔베이(소시에떼아노님) 천연유래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유도체
CN102010295B (zh) * 2010-11-12 2013-05-01 珠海长先化学科技有限公司 一种甘油法制二氯丙醇的方法
PL215730B1 (pl) 2011-01-10 2014-01-31 Inst Ciezkiej Syntezy Orga Sposób wytwarzania dichloropropanoli z gliceryny
PL218074B1 (pl) 2011-04-11 2014-10-31 Inst Ciężkiej Syntezy Organicznej Blachownia Sposób suchego chlorowodorowania masy z chlorowodorowania gliceryny kwasem solnym i urządzenie do suchego chlorowodorowania masy z chlorowodorowania gliceryny kwasem solnym
CN102295529B (zh) * 2011-07-11 2015-09-09 江西省化学工业研究所 一种用甘油和盐酸连续制备二氯丙醇的方法
PL2763944T3 (pl) 2011-09-09 2016-05-31 Akzo Nobel Chemicals Int Bv Sposób chlorowania hydroksylowanego związku organicznego
CZ306363B6 (cs) 2013-06-10 2016-12-21 Spolek Pro Chemickou A Hutní Výrobu, Akciová Společnost Způsob výroby epoxy-monomerů a epoxidů
CN103570498B (zh) * 2013-08-06 2016-06-22 江苏大学 一种甘油氯化制备二氯丙醇的方法
CN104557442B (zh) * 2013-10-18 2017-10-13 江苏扬农化工集团有限公司 六氯乙烷的综合利用方法
CN104370857A (zh) * 2014-11-11 2015-02-25 常州大学 一种环氧氯丙烷的合成方法
US11672258B2 (en) 2015-08-25 2023-06-13 Dsm Ip Assets B.V. Refined oi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WI547470B (zh) 2015-12-18 2016-09-01 長春人造樹脂廠股份有限公司 製造二氯丙醇之方法
CN111018665A (zh) * 2019-12-17 2020-04-17 山东民基化工有限公司 环氧氯丙烷重组分中三氯丙烷的回收利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08C (ko) *
DE1075103B (de) 1960-02-11 VEB Leuna-Werke "Walter Ulbricht", Leuna (Kr. Mersebur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Epichlorhydrin aus Glyzerin
US2198600A (en) 1936-09-10 1940-04-30 Dow Chemical Co Glycerol dichlorohydrin
US2144612A (en) * 1936-09-10 1939-01-24 Dow Chemical Co Preparation of glycerol dichlorohydrin
JPH0643353B2 (ja) 1989-07-25 1994-06-08 ダイソー株式会社 2,3―ジクロロ―1―プロパノールの連続的製法及びその装置
JP3846926B2 (ja) * 1995-12-27 2006-11-15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芳香族カーボネートの連続的製造方法
DE19604253A1 (de) * 1996-02-06 1997-08-07 Basf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Alkylestern der (Meth)acrylsäure
JP2002020333A (ja) * 2000-07-06 2002-01-23 Toagosei Co Ltd 水酸基の塩素化方法
DE10063175A1 (de) 2000-12-18 2002-06-2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öheren (Meth)acrylsäureestern
JP4721311B2 (ja) * 2001-04-26 2011-07-13 昭和電工株式会社 2,3−ジクロル−1−プロパノール及びエピクロルヒドリンの製造方法
CZ294890B6 (cs) * 2003-09-01 2005-04-13 Spolek Pro Chemickou A Hutní Výrobu,A.S. Způsob přípravy dichlorpropanolů z glycerinu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해당사항없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04101A (ja) 2007-03-01
JP5752342B2 (ja) 2015-07-22
DK1663924T3 (da) 2012-01-30
CZ20032346A3 (cs) 2005-04-13
US20090082601A1 (en) 2009-03-26
RU2006110099A (ru) 2007-10-10
PT1663924E (pt) 2011-12-27
ATE530513T1 (de) 2011-11-15
CN100439305C (zh) 2008-12-03
JP5554816B2 (ja) 2014-07-23
CZ294890B6 (cs) 2005-04-13
ES2373040T3 (es) 2012-01-30
KR20070015902A (ko) 2007-02-06
TW200510284A (en) 2005-03-16
CN1845888A (zh) 2006-10-11
EP1663924A1 (en) 2006-06-07
PL1663924T3 (pl) 2012-03-30
IN2012DN00705A (ko) 2015-06-19
WO2005021476A1 (en) 2005-03-10
CA2537131A1 (en) 2005-03-10
RU2356878C2 (ru) 2009-05-27
TWI325417B (en) 2010-06-01
US7473809B2 (en) 2009-01-06
SI1663924T1 (sl) 2012-02-29
CY1112165T1 (el) 2015-12-09
HK1096081A1 (en) 2007-05-25
JP2013006876A (ja) 2013-01-10
MXPA06002351A (es) 2006-08-31
EP1663924B1 (en) 2011-10-26
CA2537131C (en) 2011-01-18
JP2013006875A (ja) 2013-01-10
US20070167659A1 (en) 2007-07-19
BRPI0413914B1 (pt) 2014-12-09
JP5554815B2 (ja) 2014-07-23
UA81971C2 (uk) 2008-02-25
BRPI0413914A (pt)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792B1 (ko) 글리세린으로부터 디클로로프로판올의 제조 방법
JP5600105B2 (ja) グリセロールからのエピクロロヒドリンの製造方法
KR20100051104A (ko) 산업적 염수의 정제 방법 및 장치
JPH11228555A (ja) エピクロロヒドリン主体生成物及びその生成物の製造方法
TWI490193B (zh) 用於二氯丙醇的共沸回收之方法與設備
JP2010523698A (ja) ジクロロヒドリンを回収するための多段方法及び装置
US9963436B2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epoxy-monomers and epoxides
KR101410019B1 (ko) 다가알코올과 염화수소의 반응에 의한 클로로히드린화합물의 제조방법
JP6267313B2 (ja) ジクロロプロパノールの製造方法
TWI622584B (zh) 以氯丙烯與雙氧水反應生產環氧氯丙烷的製造裝置及製造方法
JP2009035522A (ja) シクロペンチルアルコ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EP0552383A1 (en) Purification of 2,3-dichloro-1-propan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