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323B1 - 다심 필기구 - Google Patents

다심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323B1
KR100979323B1 KR1020060028261A KR20060028261A KR100979323B1 KR 100979323 B1 KR100979323 B1 KR 100979323B1 KR 1020060028261 A KR1020060028261 A KR 1020060028261A KR 20060028261 A KR20060028261 A KR 20060028261A KR 100979323 B1 KR100979323 B1 KR 10097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riting instrument
rear end
operating body
core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515A (ko
Inventor
오사미 야마우치
마사시 안도
Original Assignee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024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152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02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42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0218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93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0024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15276A/ja
Application filed by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일롯트 잉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ing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43K27/12Combinations of pens of ball-point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43K3/04Nib holders with retractabl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6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축통과, 축통 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복수의 필기체와, 상기 각각의 필기체를 후방으로 작동하는 탄발체와, 상기 각각의 필기체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와, 직경방향으로 관통설치되고, 상기 축통의 측벽에 전후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창구멍을 갖는 다심 필기구, 여기서, 하나의 조작체를 창구멍에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그 하나의 조작체에 연결된 필기체의 펜 끝을 축통의 전단구멍으로부터 돌출시키며, 또한 이미 돌출되어 있던 다른 필기체의 펜 끝을 축통내에 몰입시킨다. 또, 필기 및 조작체는 축통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내로 삽입가능하다.
축통, 필기체, 탄발체, 조작체

Description

다심 필기구{MULTI CORE WRITING TOOL}
도 1은,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1의 실시의 형태의 전체 펜 끝 몰입상태(비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다심 필기구의 하나의 펜 끝이 돌출한 상태(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1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의 개구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도 1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의 폐쇄한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사시도.
도 7은, 도 1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의 개구한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2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요부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3의 실시의 형태의 전체 펜 끝 몰입상태(비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다심 필기구의 하나의 펜 끝이 돌출한 상태(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부의 조작체를 생략한 A-A선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B-B선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C-C선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D-D선 단면도.
도 15는, 도 9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의 폐쇄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도 9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의 개구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4의 실시의 형태의 전체 펜 끝 몰입상태(비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다심 필기구의 하나의 펜 끝이 돌출한 상태(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부의 조작체를 생략한 A-A선 확대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B-B선 단면도.
도 21은, 도 19의 C-C선 단면도.
도 22는, 도 19의 D-D선 단면도.
도 23은, 도 19의 E-E선 단면도.
도 24는, 도 17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의 폐쇄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25는, 도 17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의 개구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5의 실시의 형태의 전체 펜 끝몰입상태(비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7은, 도 26의 다심 필기구의 하나의 펜 끝이 돌출한 상태(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28은, 도 26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부의 조작체를 생략한 F-F선 확대단면도.
도 29는, 도 28의 G-G선 단면도.
도 30은, 도 28의 H-H선 단면도.
도 31은, 도 28의 I-I선 단면도.
도 32는, 도 26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의 폐쇄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33은, 도 26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의 개구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6의 실시의 형태의 전체 펜 끝 몰입상태(비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35는, 도 34의 다심 필기구의 하나의 펜 끝이 돌출한 상태(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36은, 도 34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부의 조작체를 생략한 J-J선 확대단면도.
도 37은, 도 36의 K-K선 단면도.
도 38은, 도 36의 L-L선 단면도.
도 39는, 도 36의 M-M선 단면도.
도 40은, 도 36의 N-N선 단면도.
도 41은, 도 36의 O-O선 단면도.
도 42는, 도 34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의 폐쇄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43은, 도 34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를 개구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44는,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7의 실시의 형태의 전체 펜 끝 몰입상태(비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45는, 도 44의 다심 필기구의 하나의 펜 끝이 돌출한 상태(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46은, 도 44의 다심 필기구의 A-A선 단면도. (단, 필기체, 조작체, 탄발 체 및 계지벽부를 생략하였다.
도 47은, 도 46의 B-B선 단면도.
도 48은, 도 46의 C-C선 단면도.
도 49는, 도 46의 D-D선 단면도.
도 50은, 도 46의 다심 필기구의 창구멍의 주벽을 분리한 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 8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창구멍의 주벽을 분리한 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단, 필기체, 조작체, 탄발체, 및 계지벽부를 생략하였다.)
도 52는,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9의 실시의 형태의 전체 펜 끝 몰입상태(비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53은, 도 52의 다심 필기구의 하나의 펜 끝이 돌출한 상태(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54는, 도 52의 다심 필기구의 A-A선 단면도. (단, 필기체, 조작체, 탄발체, 및 계지벽부를 생략하였다.)
도 55는, 도 54의 B-B선 단면도.
도 56은, 도 54의 다심 필기구의 전축과 후축을 분리한 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단, 필기체, 조작체, 탄발체, 및 계지벽부를 생략하였다.)
도 57은,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용의 리필의 정면도.
도 58은, 도 57의 우측면도.
도 59는, 도 57의 다심 필기구용 리필을 포장 백에 수용한 상태의 정면도.
도 60은, 도 57의 다심 필기구용 리필을 포장 백에 수용한 상태의 정면도.
도 61은, 도 57의 다심 필기구용 리필을 복수개 수용한 다심 필기구의 전체 펜 끝 몰입상태(비필기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62는, 도 61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을 개구한 상태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63은,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10의 실시의 형태의 축통 후단부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64는, 도 63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를 개구한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사시도.
도 65는,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11의 실시의 형태의 축통후단부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66은, 도 65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를 개구한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 사시도.
도 67은,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의 제12의 실시의 형태의 축통후단부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68은, 도 67의 다심 필기구의 후단의 개구부를 개구한 상태를 표시하는 요부사시도.
본 발명은, 다심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축통내에 복수의 필기체를 수용한 다심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필기구에서, 특허문헌 1에는, 각 필기체의 후부에 융기부를 설치한 슬라이드체를 연접하고, 융기부를 축통의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며, 융기부를 슬라이드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한 것에 의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필기체로 교환한 때에, 잘못된 필기체의 선택을 하는 일 없이, 또 융기부의 형상이나 색무늬도 선택가능하게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3-11583호 공보
상기 종래의 다심 필기구는, 사용자가, 교환전에 축통 내에 수용되어 있던 필기체와는 다른 종류의 필기체로 교환할 때, 슬라이드체를 축통내에 남긴 상태에서, 슬라이드체로부터 필기체와 융기부를 제거하고, 그 후, 슬라이드체에 새로운 필기체와, 새로운 융기부를 부착한다. 그 때문에, 필기체의 교환작업이 복잡하고, 사용자가 신속하게 또한 확실한 교환을 하는 것이 될 수 없는 우려가 있으며, 또, 복수의 필기체를 동시에 교환할 때, 잘못하여, 필기체와 그 필기체에 대응하지 않는 융기부를 한 개의 슬라이드체에 부착할 우려가 있다. 또, 상기 융기부는, 작은 부품이기 때문에 분실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기호하는 필 기체와 그것에 대응한 조작체를 축통 내에 교환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고, 더구나, 필기체 및 조작체를 신속 또한 확실하게 교환할 수 있는 다심 필기구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이라는 것은 펜 끝 측을 가르키며, 「후」라는 것은 반대 측을 가르킨다.
[1] 본 발명은, 축통(2)내에 복수의 필기체(6)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각각의 필기체(6)를 탄발체(8)에 의해 후방으로 작동하며, 상기 각각의 필기체(6)의 후단에, 각각의 필기체(6)에 대응한 조작체(7)를 연결하고, 축통(2)의 측벽에 전후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창구멍(41)을 직경방향으로 관통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창구멍(41)으로부터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상기 각각의 조작체(7)를 돌출시키고, 하나의 조작체(7)를 창구멍(41)에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그 하나의 조작체(7)에 연결된 필기체(6)의 펜 끝(61)을 축통(2)의 전단 구멍(31)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동시에, 앞서, 돌출상태에 있었던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을 축통(2)내에 몰입시키는 다심 필기구로서, 필기체(6) 및 조작체(7)를,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2)내로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다심 필기구(1)는, 사용자가 축통(2)내의 필기체(6)를 제거하여 기호하는 필기체(6)로 교환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체(7)도, 축통(2)내로부터 제거하여, 그 필기체(6)에 적정하게 대응한 것으로 교환할 수 있고, 필기체(6)와 조작체(7)와의 잘못된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가령, 조작체(7)가 축통(2)내로부터 제거하고 교환할 수 없는 구성인 경우, 교환할 수 있는 필기체(6)의 종류는, 축통(2)내에 수용된 조작체(7)에 대응한 필기체(6)만에 한정되며, 사용자가 기호하는 필기체(6)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없다. 또, 상기 다심 필기구(1)는, 종래와 같은 작은 부품의 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신속 또한 확실하게 교환작업을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필기체(6)에 대응한 조작체(7)라는 것은, 필기체(6)에 대응한 식별표시를 갖는 조작체(7)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표시는, 예컨대, 잉크색 표시, 펜 끝 사이즈의 표시, 필적 폭의 표시, 펜 끝 종류의 표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필기체(6)라는 것은, 예컨대, 볼펜, 마킹 펜, 샤프펜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축통(2)은,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가능한 전단구멍(31)을 구비한 전축(3)과, 측벽에 창구멍(41)을 구비하고, 또한 후단에 개구부(32)를 구비하는 후축(4)으로 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상기 전축(3)에 대하여 상기 후축(4)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고, 필기체(6)로서 샤프펜슬을 채용하며, 상기 후축(4)의 전진에 의해 연심의 계속 투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축통(2)내에 수용하는 필기체(6)의 개수는, 2개 이상이면 되고, 구체적으로는 2개, 3개, 4개, 5개, 6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필기체와 이 필기체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는 양자가 일체로 형성된 1부재로 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2] 상기 다심 필기구에 있어서, 각각의 필기체(6)를 축통(2)내로부터 제거교환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축통(2)의 후단에, 창구멍(41)을 후방으로 개구시키는 개폐가 자유로운 되는 개구부(42)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조작체(7)를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2)내로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심 필기구(1)에 있어서, 각각의 필기체(6)는,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를 통하여 교환하여도 되고, 혹은, 축통(2)의 전방에 개구하는 개구부를 설치하여, 그 개구부를 통하여 교환하여도 된다. 상기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는, 적어도, 조작체(7)를 축통(2)내로부터 제거할 때 및 조작체(7)를 축통(2)내로 삽입할 때에 개구되어 있으면 된다.
[3] 상기 다심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필기체(6) 및 조작체(7)를,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2)내로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것(청구항 3)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는,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2개의 부품을, 동일 개소(즉, 개구부(42))를 통하여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작업이 단순하게 되고, 그 교환작업을 신속 또한 확실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는, 적어도, 조작체(7)를 축통(2)내로부터 제거할 때 및 조작체(7)를 축통(2)내에 삽입할 때에 개구되어 있으면 된다.
[4]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필기체(6)와 조작체(7)를 연결상태에서,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2) 내에 삽입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청구항 4)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는, 필기체(6) 및 조작체(7)를 연결상태에서,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2)내로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것에 의해,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작업이, 보다 한층, 단순하게 되고, 어떤 사용자에서도 그 교환작업을 신속 또한 확실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는, 필기체(6)가 조작체(7)를 연결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사용자가 필기체(6)와 조작체(7)를 연결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며, 필기체(6)의 교환시, 필기체(6)와 그 필기체(6)에 대응한 조작체(7)를 잘못 연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다심 필기구(1)에 있어서, 필기체(6)가 조작체(7)를, 연결상태에서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2)내에 삽입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청구항 5)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5)는, 필기체(6) 및 조작체(7)를 연결상태로,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며 또한 축통(2)내로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것에 의해,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작업이, 보다 한층, 단순하게 되고, 어떠한 사용자라도 그 교환작업을 신속 또한 확실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5)는, 필기체(6)와 조작체(7)를 연결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사용자가, 필기체(6)와 조작체(7)를 연결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고, 필기체(6)의 교환시, 필기체(6)와 그 필기체(6)에 대응한 조작체(7)를 잘못 연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6] 상기 다심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42)를 폐쇄한 때, 몰입상태의 필기체(6)의 조작체(7)가 접촉가능한 접촉벽부(51)를 축통(2)의 후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42)를 개구한 때, 상기 접촉벽부(51)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축통(2)의 후단부로부터 제거되는 것(청구항 6)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6)는, 개구부(42)를 개구한 때, 접촉벽부(51)의 전부 또는 일부가 축통(2)의 후단부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개구부(42)를 개구한때, 몰입상태의 필기체(6)의 조작체(7)가 접촉가능한 위치에 접촉벽부(51)의 전부 또는 일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조작체(7)의 교환시에, 상기 축통(2) 후단의 개구부(42)를 충분히 크게 개구할 수 있고, 조작체(7)를 축통(2)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접촉벽부(51)의 전부가 축통(2)의 후단에 고정되어 이동할 수 없는 구성인 경우, 축통(2)후단의 개구부(42)가 창구멍(41)을 후방에 개구시킨다고 하여도 조작체(7)의 교환시 개구부(42)의 후방으로의 개구량이 불충분하게 되며, 개구부(42)로부터 조작체(7)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7] 상기 다심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42)를 개구한 때, 탄발체(8)의 후방으로의 작동에 의해, 몰입상태의 조작체(7)가 상기 개구부(4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청구항 7)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7)는 개구부(42)를 개구한 때, 축통(2) 후단의 개구부(42)로부터 후방으로 각각의 조작체(7)가 돌출상태에 있기 때문에 축통(2) 후단의 개구부(42)를 하향으로 하지 않아도 조작체(2)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8] 상기 다심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축통(2)의 내벽에 탄발체(8)의 전단이 축 방향으로 접촉하는 탄발체 지지부(9)를 설치하고, 상기 탄발체 지지부(9)에 탄발체(8)의 전단부를 직경방향으로 보존하는 L형 홈을 가진 보존부(9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8)에 의해, 조작체(7)를 축통(2) 내로부터 꺼낼 때, 탄발체(8)의 전단부가 보존부(92)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탄발체(8)가 축통(2)내로부터 외부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탄발체(8)가 축통(2)내로부터 외부로 탈락하면 새로운 조작체(7)를 삽입할 때, 재차 탄발체(8)를 삽입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고 그것에 더하여, 탄발체(8)가 분실될 우려가 있다. 상기 보존부(92)가 탄발체(8)의 전단부를 보존하는 구성은 예컨대, 탄발체(8)의 전단부 외면을 직경방향 안쪽으로 보존하는 구성, 혹은, 탄발체(8)의 전단부 내면을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보존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9] 상기 다심 필기구(1)에 있어서, 축통(2)의 후단부의 개구부(42)의 내벽의 양측에 조작체(7)의 측면의 삽입시의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부(421)를 구비한 것(청구항 9)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9)는, 가이드부(421)에 의해 조작체(7)를 부적정한 방향으로 축통(2) 내에 삽입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이드부(421)는 조작체(7)의 조작부(71)가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한 상태에서만, 삽입가능한 형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조작체(7)를 직경방향의 내와 외의 방향을 역방향(즉, 조작체(7)의 조작부(71)가 안쪽으로 향한 상태)로 삽입한 경우, 조작체(7)가 개구부(42)로부터 축통(2)내로 삽입불능이 되고, 조작체(7)의 잘못된 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10] 상기 다심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축통(2)의 후단부에, 상기 개구부(42)의 개폐가 자유로운 뚜껑부(5)를 설치한 것(청구항 10)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0)는, 뚜껑부(5)를 설치한 것에 의해 개구부(42)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만약, 뚜껑부(5)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개구부(42)를 확실하게 폐쇄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11]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5)의 전면에, 몰입상태의 필기체(6)의 조작체(7)가 접촉가능한 접촉벽부(51)를 형성하는 것(청구항 11)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청구항 11)는, 조작체(7)의 교환시에, 뚜껑부(5)를 열음으로써, 접촉벽부(51)를 조작체(7)와 접촉하는 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축통(2) 후단의 개구부(42)를 충분히 크게 개구할 수 있으며, 조작체(7)를 축통(2) 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접촉벽부(51)가 축통(2)의 후단에 고정되어 이동할 수 없는 구성의 경우, 축통(2) 후단의 개구부(42)가 창구멍(41)을 후방으로 개구시킨다 하여도 조작체(7)의 교환시, 개구부(42)의 후방으로의 개구량이 불충분하게 되고, 개구부(42)로부터 조작체(7)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개폐가 자유로운 뚜껑부(5)는, 적어도 개구부(42)의 폐쇄시에 접촉벽부(51)가 조작부(71)와 접촉가능한 적정한 위치에 배치되면 좋고, 개구부(42)를 완전히 폐쇄할 필요는 없다. 또, 상기 뚜껑부(5)는 압입, 또는 나사맞춤 등에 의해 축통(2)의 후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상기 뚜껑부(5)는 접촉벽부(51)에 필기체(6)의 조작체(7)가 접촉된 때, 적어도 탄발체(8)의 후방 작동력에 의해서도 빠지는 일이 없도록 부착된다.
[12]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5)가 개구부(42)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뚜껑부(5)가 조작체(7)를 전방으로 압압하여 되는 것(청구항 12)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2)는, 개구부(42)를 뚜껑부(5)로 폐쇄하는 조작에 의해 조작체(7)를 전방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뚜껑부(5)(에 의해 개구부(42)를 폐쇄하기 전에 돌출상태에 있는 조작체(7)를 손가락으로 전방에 압압할 필요가 없다. 그것에 의해 개구부(42)를 뚜껑부(5)로 폐쇄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13] 상기 다심 필기구(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작체(7)를, 연결되는 필기체(6)의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색으로 착색한 것(청구항 13)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3)는, 각각의 조작체(7)가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색과 같은 색 또는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되고, 펜 끝 돌출조작하는 필기체(6)의 잉크색을 축통(2)의 창구멍(41)으로부터 노출하는 조작부에 의해, 용이하게 식 별할 수 있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3)는, 특히 개구부(42)를 개구한 때에 개구부(42)로부터 조작체(7)가 돌출상태에 있는 경우(청구항 7의 경우), 제거해야 할 잉크색의 필기체(6)에 연결된 조작체(7)를 개구부(42)로부터 돌출하는 그 필기체의 조작체(7)의 잉크색을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개구부(42)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 상기 착색된 조작체(7)가 연결된 상태의 필기체(6)를 축통(2) 내에 수용하기 전의 상태(즉, 축통(2)의 외부에 있는 상태)의 경우, 필기체(6)의 잉크색을, 조작체(7)를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비교적 먼 곳으로부터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14]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5)의 일단부가 축통(2)의 후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것(청구항 14)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4)는, 상기 뚜껑부(5)가 개구부(42)를 개폐할 때, 축통(2)의 후단부에 부착되고 축통(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뚜껑부(5)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가령, 뚜껑부(5)가 분실되어 버리면 몰입상태의 필기체(6)의 조작부(71)와 접촉하는 접촉벽부(51)를 잃어버리게 되고, 다심 필기구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부(5)는 개구부(42)를 폐쇄상태로부터 후방으로 회동하여 개구하는 구성 또는 개구부(42)를 폐쇄상태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회동하여 개구하는 구성의 어느 것이라도 된다.
[15]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5)의 타단부(즉, 뚜껑부(5)의 일단부의 반대측의 단부)에 계합부(53)를 설치하고 축통의 후단 부에 상기 뚜껑부의 계합부와 계탈이 자유로운 피계합부(45)를 설치하는 것(청구항 15)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5)는 뚜껑부(5)가 개구부(42)를 용이하게 개구시킬 수 있는 동시에 뚜껑부(5)가 개구부(42)를 확실하게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16] 상기 다심필기구(1)(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42)를 폐쇄하는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붙임한 것(청구항 16)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6)는,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붙임한 것에 의해 개구부(42)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만약 뚜껑부(5)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개구부(42)를 확실하게 폐쇄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17]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5)의 내주면에 암나사부(54)를 설치하고, 상기 축통(2)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54)에 나사맞춤 가능한 숫나사부(45)를 설치한 것(청구항 17)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7)는 축통(2)의 후단부가 상기 창구멍(41)을 후방으로 개구시키는 개구부(42)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분할되고,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확대개방변형을 하기 쉬우나, 뚜껑부(5)의 내주면에 상기 암나사부(44)를 설치하며, 상기 축통(2)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54)에 나사맞춤 가능한 숫나사부(45)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축통(2)의 후단부의 직경방향 바깥쪽으로의 확 대개방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18]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5)에 적어도 2개의 계합부(53A, 53B)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부(42)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분할된 축통(2)의 후단부의 각각에 상기 계합부(53A, 53B)가 걸어맞춤 가능한 피계합부(45A, 45B)를 설치한 것(청구항 18)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8)는,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한 것에 의해 개구부(42)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만약, 뚜껑부(5)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개구부(42)를 확실하게 폐쇄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특히 뚜껑부(5)가 적어도 2개의 계합부(53A, 53B)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42)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분할된 축통(2)의 후단부의 각각이 상기 계합부(53A),(53B)에 걸어맞춤 가능한 피계합부(45A),(45B)를 구비함으로써 계합부(53A),(53B)와 피계합부(45A),(45B)로 되는 걸어맞춤개소가 2개소 이상 존재하기 때문에,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에 부착하고, 상기 2개소 이상의 걸어맞춤 개소에서 걸어맞추면, 뚜껑부(5)와 축통(2)의 후단부와의 안정된 부착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만약, 계합부(53A),(53B)와 피계합부(45A),(45B)로 되는 걸어맞춤 개소가 1개소만인 경우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에 부착하고, 계합부(53A),(53B)와 피계합부(45A),(45B)를 걸어맞춘 때, 뚜껑부(5)가 흔들려서 안정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또, 상기 뚜껑부(5)는, 2개소 이상의 걸어맞춤 개소에 의해 축통(2)의 후단 부에 안정되어 부착되기 때문에 펜끝 돌출상태에서 펜끝 몰입상태로 이행한 필기체(6)의 후단부의 조작체(7)가 탄발체(8)의 후방 작동력에 의해 기세좋게 접촉벽부(51)에 접촉되어도 뚜껑부(5)가 용이하게 빠질 우려는 없다. 만약, 상기 걸어맞춤 개소가 1개소만의 경우, 조작체와 뚜껑부(5)의 접촉벽부(51)와의 충돌정지에 의해 뚜껑부(5)가 빠질 우려가 있다.
[19]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계합부(53A),(53B)를 뚜껑부(5)의 내면에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피계합부(45A),(45B)를 축통(2)의 후단부의 외면에 설치한 것(청구항 19)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9)는 축통(2)의 후단부가 상기 창구멍(41)을 후방으로 개구시키는 개구부(42)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분할되고,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확대개방변형을 하기 쉬우나, 각각의 계합부(53A),(53B)를 뚜껑부(5)의 직경방향내면에 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피계합부(45A),(45B)를 축통의 후단부의 직경방향 외면에 설치한 것에 의해 상기 축통(2)의 후단부의 직경방향 바깥쪽으로의 확대개방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20]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접촉벽부(51)를 상기 개구부(42)에 삽입배치하고, 상기 접촉벽부(51)가 상기 개구부(42) 내벽의 안쪽 변형을 규제하여 되는 것(청구항 20)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0)는, 뚜껑부(5)의 직경방향 내면의 계합부(53A),(53B)와 축통(2)의 후단부의 외면의 피계합부(45A),(45B)를 걸어맞춘 때, 후단이 개구한 창구멍(41)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분할된 후축(4)의 후단부가, 직경 방향 안쪽으로 변형하기 쉬우나, 상기 접촉벽부(51)를 개구부(42)에 삽입배치하고, 상기 접촉벽부(51)가 개구부(42) 내벽의 안쪽 변형을 규제하여 됨으로써, 뚜껑부(5)의 계합부(53A),(53B)를 후축(4)의 후단부의 피계합부(45A),(45B)에 걸어맞춘 때 축통(2)의 후단부가 직경방향 안쪽으로 변형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21]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5)가 본체(52)와 이 본체(5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각편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각편의 직경방향 내면에 계합부(53A),(53B)를 형성하며, 한편 상기 축통(2)의 후단부의 각각의 측벽의 직경방향 외면에 상기 계합부(53A),(53B)와 축 방향으로 압입, 또는 나사 맞춤 가능한 피계합부(45A),(45B)를 형성한 것(청구항 21)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1)는 적어도 2개의 각편의 각각에 계합부(53A),(53B)를 설치하고, 상기 계합부(53A),(53B)에 압입 또는 나사 맞춤 가능한 피계합부(45A),(45B)를 창구멍(41) 상호간의 축통(2)의 후단부 측벽에 설치한 것에 의해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크게 돌출시킬 필요가 없다.
[22]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5)가 본체(52)와, 이 본체(52)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각편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각편의 직경방향 내면에 계합부(53A),(53B)를 형성하며, 한편, 상기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의 양측에 상기 계합부(53A),(53B)와 직경방향으로 슬라이드 계합가능한 피계합부(45A),(45B)를 형성한 것(청구항 22)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2)는, 계합부(53A),(53B)와, 피계합 부(45A),(45B)의 걸어맞춤량(예컨대, 돌출부의 높이, 홈부의 깊이)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보다 한층 안정된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23]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5)가, 본체(52)와, 상기 본체(52)의 직경방향의 양측에 형성한 2개의 계합부(53A),(53B)를 구비하고, 한편, 상기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의 양측에, 피계합부(45A),(45B)를 형성하며, 상기 계합부(53A),(53B)와 상기 피계합부(45A),(45B)가 축통(2)의 후단부에 대하여 뚜껑부(5)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걸어맞춤 가능한 것(청구항 23)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3)는, 계합부(53A),(53B)와 피계합부(45A),(45B)의 걸어맞춤량(예컨대, 돌출부의 높이, 홈부의 깊이)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보다 한층 안정된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24] 상기 다심 필기구(1)에 있어서, 창구멍(41)의 주벽의 적어도 1개소를 직경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창구멍(41)의 주벽의 적어도 1개소를 직경방향으로 분리한 때, 상기 창구멍(41)의 주벽의 분리개소를 통하여 조작체(7)를,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2)내로 삽입 가능하게 구성한 것(청구항 24)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4)는, 창구멍(41)의 주벽의 적어도 1개소를 직경방향으로 분리하는 구성은, 창구멍(41)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창구멍(41)의 주벽에 형성하는 구성, 또는 창구멍(41)에 연통하지 않는 개구부를 창구멍(41)의 주벽에 형성하는 구성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다심 필기구(1)에 있어서, 각각의 필기체(6)는 축통(2)의 창구멍(41)의 주벽을 분리함으로써 교환하여도 되고, 혹은 축통(2)의 전방에 개구하는 개구부를 설치하며(예컨대, 축통(2)을 착탈이 자유로운 전축(3)과 후축(4)에 의해 구성하고 전축(3)을 제거함으로써 후축(4)의 전단에 개구부를 설치), 그 개구부를 통하여 교환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창구멍(41)의 주벽이라는 것은 창구멍(41)의 주위에 위치하는 축통(2)의 측벽을 말한다.
[25]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창구멍(41)의 주벽의 분리개소를 통하여 조작체(7) 및 필기체(6)를,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2)내에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것(청구항 25)을 요건으로 한다.
[26]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4)에 있어서, 창구멍(41)의 주벽의 적어도 전단 또는 후단을 직경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창구멍(41)의 주벽의 전단 또는 후단을 직경방향으로 분리하며, 창구멍(41)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하여 되는 것(청구항 26)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6)는, 조작체(7)의 교환시에 창구멍(41)로부터 돌출하는 조작체(7)를 전방 또는 후방에 개방된 창구멍(41)을 통하여 축통(2)내로부터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조작체(7)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27]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한 24)에 있어서, 상기 창구멍(41)의 주벽 후단이 직경방향으로 분리되는데 따라, 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이 직경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에 뚜껑부(5)를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상기 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에 부착된 뚜껑부(5)에 의해 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이 합체상태로 보존되는 것(청구항 27)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7)는 필기 사용시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에 부착함으로써 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이 합체상태로 안정적으로 보존되고, 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이 직경방향으로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필기사용시에 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이 직경방향으로 분리되면, 후방 작동상태의 조작체(7)가 외부로 뛰어나갈 우려가 있다.
[28]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4)에 있어서, 필기체(6)와 조작체(7)를 연결상태에서,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2)내에 삽입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청구항 28)이 바람직하다.
[29] 상기 다심 필기구(청구항 1)에 있어서, 축통(2)이 전단구멍(31)을 구비한 전축(3)과, 상기 전축(3)의 후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후축(4)으로 되고, 상기 후축(4)이 창구멍(41)과 이 창구멍(41)을 전방으로 개구시키는 절결부(42)를 구비하며, 상기 후축(4)을 전축(3)으로부터 분리한 때에, 상기 절결부(42)를 통하여 조작체(7)를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2)내로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것(청구한 29)을 요건으로 한다.
[30] 다심 필기구(1)(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7)와 필기체(6)를 연결상태에서, 축통(2)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2)내로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것(청구항 30)이 바람직하다.
[31]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9)에 있어서, 후축(4)의 전단부가 절결부(42)에 의해 복수로 분할되고, 전축(3)의 내부에 상기 후축(4)의 전단부가 삽입 가능한 복수의 계합구멍을 설치한 것(청구항 31)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1)는, 후축(4)의 전단부(즉, 후축(4)의 전단부의 복수로 분할된 각각의 분할편)가 전축(3)의 계합구멍(32)에 삽입됨으로써, 후축(4)의 전단부의 직경방향 안쪽으로의 변형 및 직경방향 바깥쪽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1)는, 후축(4)의 전단부의 분할된 분할개수와 계합구멍(42)의 개수를 같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후축(4)의 전단부를 전축(3)의 각각의 계합구멍(32)에 삽입할 때, 전축(3)과 후축(4)과의 원주방향의 방향을 적정한 방향으로 확실하게 맞출 수 있다.
[32]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1)에 있어서, 전축(3)의 내벽에 탄발체(7)의 전단이 축 방향으로 접촉하는 탄발체 지지부(8)를 설치하고, 상기 탄발체 지지부(8) 외벽과 전축(3)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계합구멍(32)을 형성하는 것(청구항 32)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2)는, 탄발체 지지부(8)를 사용함으로써 계합구멍(32)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탄발체 지지부(8)는 전축(3)과는 별도 부품에 의해 구성하고, 전축(3)의 내벽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축(3) 내벽과 일체로 형성하여도 된다.
[33]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전축(3)의 내벽에, 탄발체(7)의 전단이 축 방향으로 접촉하는 탄발체 지지부(8)를 설치하고, 상기 탄발체 지지부(8)에 탄발체(7)의 전단부를 직경방향으로 보존하는 L형 홈을 가진 보존부(92)를 형성하는 것(청구항 33)이 바람직하다.
(리필)
[34] 상기 다심 필기구(1)('필기구용 리필'이라고도 한다.) 사용시에 축통(6)내에 복수개가 수용되고, 각각의 후단에 연결한 조작체(4)를 축통(6)의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키며, 상기 조작체(4)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축통(6)의 전단으로부터 펜 끝을 출몰시키는 다심 필기구용 리필로서, 축통(6) 내에 수용되기전의 상태에 있어서, 전단에 볼이 회전가능하게 껴안겨진 볼펜 칩(2)(펜 끝)과, 이 볼펜 칩(2)이 전단에 고착되고, 또한 내부에 잉크가 수용된 잉크수용관(3)과, 이 잉크수용관(3)의 후단에 연결되며, 또한 잉크수용관(3) 내의 잉크의 색으로 착색된 조작체(4)(잉크색 표시부)로 되는 것(청구항 34)을 요건으로 한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4)는 축 방향 후방으로 비교적 크게 돌출된 조작체(4)(즉, 잉크색 표시부)를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함으로써, 잉크수용관(3) 내의 잉크의 색의 식별이 용이하게 되며, 비교적 떨어진 위치로부터에서도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다심 필기구(1)를 가게 앞에서 구입할 때, 새로운 다심 필기구(1)를 축통(6) 내에 수용할 때의 어느 경우에서도, 소망하는 잉크색과 다른 다심 필기구(1)를 선택하여 버릴 우려는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잉크수용관과 이 잉크수용관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는 양자가 일체로 형성된 1부재로 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35]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4)가 소경부(42)와 이 소경부(42)보다 직경방향 치수가 큰 대경부(41)를 구비하는 것(청구항 35)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5)는, 상기 대경부(41)에 대면적의 잉크색 표시부를 구성할 수 있고, 잉크색의 식별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5)는, 잉크수용관(3)과 조작체(4)가 연결상태로 사용자가 축통(6) 내로부터 꺼낼 때 및 축통(6)내로 삽입할 때 조작체(4)의 대경부(4)를 잡기 쉽고 편리하다. 또한 상기 대경부(41)는 적어도 조작체(4)의 1개소에 설치하면 되나, 조작체(4)의 복수개소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36]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41)가 잉크수용관(3)의 외경보다 직경방향치수가 큰 것(청구항 36)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6)는, 상기 대경부(41)에 대면적의 잉크색 표시부를 구성할 수 있고, 잉크색의 식별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6)는, 잉크수용관(3)과 조작체(4)가 연결상태로 사용자가 축통(6) 내로부터 꺼낼 때 및 축통(6) 내에 삽입 할 때, 조작체(4)의 대경부(41)를 잡기 쉽고 편리하다. 또한, 상기 대경부(41)는 적어도 조작체(4)의 1개소에 설치하면 되나 조작체(4)의 복수개소에 설치하는 것이 한층 대면적의 잉크색 표시부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37]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41)가 양면에 평면부(41a)를 구비한 판상 인 것(청구항 37)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7)는, 상기 평면부(41a)가 대면적의 잉크색 표시부로 되고, 대면적의 잉크색 표시부를 효율좋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7)는 복수개를 묶은 때에 조작체(4) 끼리가 접촉하여 후단부가 부풀어 오르는 일 없이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대경부(41)는 전체로서 판상이라면, 상기 평면부(41a)에 약간의 돌기나 단차부를 구비하여도 된다.
[38]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41)가 조작체(4)의 후부에 설치되는 것(청구항 38)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8)는, 대경부(41)가 잉크수용관(3)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돌출하는 깃대에 달은 깃발과 같이 시각할 수 있고, 조작체(4)(잉크색 표시부)의 외관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8)는 대경부(41)가 조작체(4)의 후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잉크수용관(3)과 조작체(4)가 연결상태로 사용자가 축통(6) 내로부터 꺼낼 때 및 축통(6)내로 삽입할 때 조작체(4)의 대경부(41)를 한층 잡기 쉽고 편리하다.
[39]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4)의 면적이 가장 크게 보여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체(4)의 보여진 면적이 잉크수용관(3)의 보여진 면저의 10%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청구항 39)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9)는, 보다 한층 잉크색의 식별이 확실하게 된다. 만약, 조작체(4)의 눈으로 보고 확인한 면적이, 잉크수용관(3)의 눈으로 보고 확인한 면적의 10% 미만의 경우, 조작체(4)에 의한 잉크색의 식별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눈으로 보고 확인한 면적이라는 것은 일정한 방향에서 다심 필기구(1)를 눈으로 보고 확인한 때의 면적을 말한다.
[40]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다심 필기구(1)를 투명재료로 되는 포장백(5)에 수용되어 되는 것(청구항 40)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0)는 잉크색에 착색된 조작체(4)를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구입하기 전까지에 조작체(4)가 잉크수용관(3)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1]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포장백(5)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체(4)의 최대로 눈으로 보고 확인한 면적을 포장백(5)의 외부 정면에서 눈으로 보고 확인 가능한 것(청구항 41)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1)는, 포장백(5)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조작체(4)의 최대 눈으로 보고 확인한 면적이 포장백(5)의 외부정면에서 눈으로 보고 확인 가능함으로써, 조작체(4)가 수용된 부분의 포장백(5)의 두께가 증가할 우려가 없고, 한정된 보관 스페이스에 다심 필기구(1)가 들어간 다수의 포장백(5)을 겹친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다.
[42]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4)가 잉크수용관(3)의 외경보다 직경방향 치수가 큰 대경부(41)를 구비하고, 상기 대경부(41)가 양면에 평면부(41a)를 구비한 판상이며, 상기 포장백(5)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4)의 대경부(41)의 평면부(41a)(최대 눈으로 보고 확인한 면적)가 포장백(5)의 외부정면에서 눈으로 보고 확인가능한 것(청구항 42)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2)는, 포장백(5)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4)의 대경부(41)의 평면부(41a)(최대로 눈으로 보고 확인한 면적)가 포장백(5)의 외부정면에서 눈으로 보고 확인 가능함으로써, 조작체(4)에 수용된 부분의 포장백(5)의 두께가 증가할 우려가 없고, 한정된 보관 스페이스에 다심 필기구(1)가 들어간 다수의 포장백(5)을 겹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43]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포장백(5)이 일단에 매다는 구멍(51)을 구비하고, 상기 다심 필기구(1)가 포장백(5)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매다는 구멍(51)측에 조작체(4)가 배치되는 것(청구항 43)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3)는, 포장백(5)이 매달린 상태일 때, 볼펜 칩(2)(펜 끝)이 하향으로 되고, 잉크수용관(3) 내의 잉크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작체(4)가 위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구입시 조작체(4)의 잉크색 표시를 식별하면서 포장백(5)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44]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포장백(5)이 일단에 매다는 구멍(51)을 구비하고, 상기 다심 필기구(1)가 포장백(5)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매다는 구멍(51)측에 볼펜 칩(2)이 배치되는 것(청구항 44)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4)는, 포장백(5)이 매달린 상태일 때, 볼펜 칩(2)(펜 끝)이 상향으로 되고,볼펜 칩(2)의 선단으로부터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45]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포장백(5)이 일단에 매다는 구멍(51)을 구비하고, 상기 매다는 구멍(51) 근방의 포장백(5)의 표면에 잉크수용관(3) 내의 잉크의 색으로 착색한 착색부(52)를 설치한 것(청구항 45)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다는 구멍(51)은 노치상 또는 훅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5)는, 상기 매다는 구멍(51) 근방의 포장백(5) 표면의 착색부(52)와,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4)를 동시에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색의 식별이 한층, 용이하게 되고, 비교적 떨어진 위치로 부터에서도 잉크색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46]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잉크수용관(3)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잉크수용관(3) 내에 수용되는 잉크가 염료잉크인 것(청구항 46)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6)는, 잉크수용관(3) 내에 수용되는 잉크가 염료잉크(착색제로서 염료를 함유하는 잉크)이기 때문에, 안료 잉크의 경우에 비해 잉크수용관(3)을 눈으로 보고 확인하여도 잉크색을 식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나, 그것에 의해 오히려,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4)가 색채적인 악센트로서 뛰어나고 리필 전체의 외관성이 향상된다. 상기 염료잉크는 수성잉크, 유성잉크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47]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볼펜 칩(2)의 전단에 펜 끝 건조방지용의 피복수지(21)가 고착되어 되는 것(청구항 47)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7)는, 볼펜 칩(2)의 전단이 펜 끝 건조방지용의 피복수지(21)가 고착되어 구성됨으로써, 조작체(4)의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기 사용개시할 때까지, 펜 끝의 건조를 방지하고, 적정하게 보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심 필기구(1)(청구항 47)는 증발이 생기기 쉬운 수성잉크의 경우에 유효하다.
[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 1의 실시의 형태]
도 1 내지 도 7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는 축통 내에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필기체(6)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탄발체(8)(구체적으로는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작동되어 있다.
(축통)
상기 축통(2)은 끝이 가는 형상의 원통체로 되는 전축(3)과, 이 전축(3)의 후단부와 나사맞춤 또는 압입에 의해 부착되는 원통상의 후축(4)으로 된다. 상기 전축(3)의 전단에는,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가능한 전단구멍(31)이 축 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전축(3) 및 후축(4)은, 합성수지(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후축(4)의 후부의 측벽에는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형상의 창구멍(41)에 직경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2개의 창구멍은 서로 축선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 상기 후축(4)의 후단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개구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는 후축(4)의 후단(즉, 축통(2)의 후단)에서 창구멍(41)과 연통되고, 그것에 의해 창구멍(41)의 후단이 후방으로 절결(notch)되며 후방에 개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창구멍(41)의 전단은 상시 폐쇄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42)의 양측의 내벽에는, 조작체(7)의 삽입시, 조작체(7)의 측면과 슬라이드하고 조작체(7)의 측면의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부(421)가 형성된다. 또, 상기 가이드부(421)에는 조작체(7)의 빠짐방지돌기(76)가 삽입가능한 오목부(421a)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21)는, 조작체(7)의 조작부(71)가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향한 상태에서만 삽입가능한 형상으로 설정된다.
또,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내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리브로 되는 계지벽부(43)가 형성되고, 상기 계지벽부(43)에 펜 끝(61)이 돌출한 때의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단에 걸리게 된다.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외면에는 클립(44)이 설치된다.
(뚜껑부)
상기 후축(4)의 후단부에는, 상기 개구부(42)를 개폐자재로 하는 뚜껑부(5)가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뚜껑부(5)의 일단부는, 클립(44)기부에 힌지부(52)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상기 힌지부(52)는 펜 끝 하향으로 클립(44)을 정면으로 본 때의 클립(44)의 좌우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되고, 그것에 의 해 상기 뚜껑부(5)는 대략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상기 뚜껑부(5)의 전면에는 접촉벽부(51)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벽부(51)에 몰입상태의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각각의 조작체(7)의 후단이 충돌정지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힌지부(52)는 구체적으로는 회동축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으나, 이 이외에도 굴곡 변형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연결부 또는 얇은 두께부에 의해 일체로 접속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상기 뚜껑부(5)의 타단부의 전면에는, 계합부(53)가 설치된다(구체적으로는,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구멍부가 형성된다). 후축(4)의 후단에는 상기 계합부(53)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계합부(45)가 설치된다(구체적으로는 걸어맞춤 볼록부가 돌출설치된다). 상기 계합부(53)(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구멍부)의 내면에는, 내향 돌기가 형성되고, 한편, 상기 피계합부(45)(걸어맞춤 볼록부)의 외면에는, 상기 내향돌기와 압입 또는 나사 맞춤 가능한 외향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계합부(53)와 상기 피계합부(45)와는, 뚜껑부(5)가 개구부(42)를 폐쇄한 때, 서로 걸어맞춤 상태에 있고(구체적으로 내향돌기와 외향돌기가 타고넘는 걸림상태에 있고), 탄발체(8)의 후방으로의 작동에 의한 조작체(7)와 뚜껑부(5) 전면의 접촉벽부(51)와의 접촉에서는 그 걸어맞춤 상태는 해제되지 않고, 뚜껑부(5)가 열리는 일은 없다. 또, 상기 계합부(53)와 피계합부(45)의 구성이외에도, 상기 계합부(53)가 걸어맞춤 볼록부로 되고, 상기 피계합부(45)가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구멍부로 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필기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볼펜 리필이고, 전단에 볼이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펜 칩(즉, 펜끝(61)과, 이 볼펜칩을 전단에 구비하며, 또한 후단이 개구된 잉크수용관(62)으로 된다. 상기 잉크수용관(62)의 내부에는, 전단감점성(煎斷減粘性)을 갖는 수성겔 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저점도의 유성잉크 또는 고점도의 유성잉크로 되는 잉크가 수용된다. 상기 잉크는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겔 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또는 저점도의 유성잉크의 경우, 잉크수용관(62)내의 잉크의 후단에는, 잉크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고점도 유체로 되는 추종체가 충전된다.
또, 상기 볼펜 칩은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을 탄발체 등에 의해 전방으로 작동하고, 전단 가장자리부의 내면에 볼을 밀접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볼펜 칩은 잉크수용관(62)의 전단개구부에 압입 등에 의해, 직접 부착하여도 되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펜 끝 홀더를 통하여 잉크수용관의 전단개구부에 고착된다.
(조작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의 후단(즉,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에는 조작체(7)가 부착된다.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축통(2)의 창구멍(41)으로부터 외부에 돌출하는 조작부(71)와, 이 조작부(71)의 반대 측에 설치되는 전측 돌출부(72)와, 이 조작부(71)의 반대측의 전측 돌출부(72)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측 돌출부(73)와 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잉크수용관(62)의 후단 개구부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넣는부(74)와 이 끼워넣는 부(74)의 후방에 형성되는 플랜지부(75)를 구비한다. 상기 끼워넣는 부(74)는 잉크수용관(62)의 후단 개구부에 끼워 넣어진 때, 잉크수용관(62)의 후단 개구부를 완전하게 막지 않고 잉크수용관(62)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플랜지부(75)의 전면에는, 탄발체(8)의 후단이 걸려진다. 또, 상기 조작체(7)의 양쪽의 측벽에는 빠짐방지돌기(76)가 형성된다. 상기 빠짐방지돌기(76)는 창구멍(41)의 양쪽 측벽내면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필기체(6)의 펜 끝(61)의 몰입상태일 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뚜껑부(5)의 전면에 형성된 접촉벽부(51)에 충돌정지된다. 한편,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상태일 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축통(2)의 내벽에 형성된 계지벽부(43)에 걸려진다.
펜 끝 몰입상태에 있는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전측 돌출부(72)는 그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슬라이드 조작한 때, 앞서, 펜 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후측 돌출부(73)와, 접촉되고 다른 필기체(6)의 펜 끝 돌출상태가 해제된다.
(식별표시)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연결된 필기체(6)의 내부(즉, 잉크수용관(62)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체(7)의 각각의 연결되는 필기체(6)의 잉크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 합성수지의 성형체로 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조작체(7)는 잉크색 표시로 되는 식별표시를 갖는다. 예컨대, 잉크색이 흑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흑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청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청색으로 착색되며, 잉크색이 적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적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녹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녹색으로 착색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잉크색이 서로 다른 2개의 필기체(6)를 축통(2) 내에 수용하고 있다.
특히 잉크수용관(62)이 불투명 재료로 되는 구성의 경우, 또는 잉크수용관(62)이 투명재료로 되는 동시에 내부의 잉크가 염료잉크인 구성의 경우, 내부의 잉크색을 외부로부터 보고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나, 조작체(7)를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한 것이 유효하게 작용하고 축통(2) 외부에 존재하는 교환전의 필기체(6)에 있어서, 내부의 잉크색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볼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볼펜의 경우, 펜 끝(6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형상이 서로 다른 필기구의 경우, 펜 끝(6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펜 끝(6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 및 펜 끝(6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는 상기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표시는 인쇄, 실 첨부, 볼록설치, 오목설치 등의 수단에 의해 조작체(7)에 설치된다.
(탄발체 지지부)
축통(2)의 내벽(즉, 후축(4)의 내벽)에는, 원통상의 탄발체 지지부(9)가 설치된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는 필기체(6)가 삽통되는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의 내공(91)이 축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과, 각각의 조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탄발체(8)가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의 내부에 필기체(6)가 삽입되는 동시에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은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에 의해 걸려지고, 각각의 탄발체(8)의 후단은 조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에 걸려진다.
또,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의 각각의 내공(91)의 주위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통상돌출부로 되는 보존부(92)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보존부(92)의 내면은,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부 외면이 압입보존된다. 그것에 의해 각각의 필기체(6) 및 조작체(7)를 교환할 때, 축통(2) 내로부터 개구부(42)를 통하여 각각의 탄발체(8)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각각의 조작체(7)(즉, 각각의 필기체(6)를 상시 후방으로 작동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펜 끝 돌출상태 및 펜 끝 몰입상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압축상태(즉, 필기체(6)가 후방으로 작동된 상태)에 있고, 그것에 의해 각각의 조작체(7)의 전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펜 끝의 출몰)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펜 끝(61)의 출몰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대항하여 창구멍(41)을 따라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그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전측 돌출부(72)가 앞서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조작부(71)의 후측 돌출부(73)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들어올린다. 그것에 의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과 조작체(7)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다른 필기체(6)가 탄발체(8)의 후 방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이 축통(2) 내로 몰입되고, 다른 필기체(6)의 조작부(71)의 후단이 뚜껑부(5)의 전면의 접촉벽부(51)에 접촉충돌하여 정지된다. 상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의 몰입과 동시에, 상기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조작체(7)에 연결된 필기체(6)의 펜 끝(61)이 축통(2)의 전단구멍(3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후단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에 걸려지고, 그 펜 끝 돌출상태가 유지된다.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기체(6)를 교환할 때, 뚜껑부(5)가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를 폐쇄한 상태(도 3 및 도 6 참조)로부터, 뚜껑부(5)의 힌지부(52)와 반대측의 조작단부를 후방으로 압압하고, 계합부(53)와 피계합부(45)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며, 뚜껑부(5)를 후방으로 회동시키고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를 개구한다. 상기 개구부(42)를 개구시키면, 상기 개구부(42)로부터 각각의 조작체(7)가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의해 후방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가 개구한 상태에서(도 5 및 도 7 참조) 조작체(7)를 꺼냄으로써 그 조작체(7)와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필기체(6)를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축통(2) 내로부터 꺼내고, 그후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새로운 필기체(6)와, 새로운 조작체(7)를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축통(2) 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뚜껑부(5)의 접촉벽부(51)에 각각의 조작체(7) 후단을 접촉시키고, 각각의 조작체(7)를 전방으로 압압하면서 뚜껑 부(5)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며, 그 후 계합부(53)와 피계합부(45)를 걸어맞추고, 개구부(42)를 폐쇄한다. 이것에 의해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작업이 종료된다.
[제2의 실시의 형태]
도 8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는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힌지부(52)와 반대측의 뚜껑부(5)의 단부(조작단부)에 클립을 일체로 형성하고, 뚜껑부(5)가 폐쇄상태일 때에 상기 클립이 전방으로 뻗어서 설치되는 상태로 되게 구성되며, 이것에 의해 클립을 회동상태로 함으로써 뚜껑부(5)를 개폐조작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성은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3의 실시의 형태]
도 9 내지 도 16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는 축통(2) 내에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필기체(6)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탄발체(8)(구체적으로는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작동되어 있다.
(축통)
상기 축통(2)은 끝이 가는 형상의 원통체로 되는 전축(3)과, 이 전축(3)의 후단부와 나사맞춤 또는 압입에 의해 부착되는 원통상의 후축(4)으로 된다. 상기 전축(3)의 전단에는,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가능한 전단구멍(31)이 축방향 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전축(3) 및 후축(4)은, 합성수지(예컨대 폴리 카보네이트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후축(4)의 후부의 측벽에는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형상의 창구멍(41)이 직경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2개의 창구멍은 서로 축선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 상기 후축(4)의 후단부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개구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는 후축(4)의 후단(즉, 축통(2)의 후단)에서 창구멍(41)과 연통되고, 그것에 의해 창구멍(41) 후단이 후방으로 절결(notch)되며, 후방에 개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창구멍(41)의 전단은 상시 폐쇄되어 있다.
상기 후축(4)의 후단부(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은 상기 후단이 후방으로 개구된 창구멍(41)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분할된다. 또, 상기 후축(4)의 후단부의 측벽의 외주면에는 숫나사부(45)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의 양측의 내벽에는, 조작체(7)의 삽입시, 조작체(7)의 측면에 슬라이드 하고 조작체(7)의 측면의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부(421)가 형성된다.
또, 상기 가이드부(421)에는 조작체(7)의 빠짐 방지돌기(76)가 삽입가능한 오목부(421a)가 형성된다.
또,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내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리브로 되는 계지벽부(43)가 형성되고, 상기 계지벽부(43)에 펜 끝(61)이 돌출한 때의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단이 걸리게 된다.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 외면에는 클립(44)이 설치된다.
(뚜껑부)
상기 후축(4)의 후단부에는 상기 개구부(42)를 폐쇄가능한 뚜껑부(5)가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로 붙여져 있다. 상기 뚜껑부(5)는 전단이 개구된 통부(53)와, 이 통부(53)의 내면(상세하게는 이 통부(53)의 후단부의 내주면)과 일체로 연결되는 심부(52)로 된다. 상기 통부(53)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54)가 형성된다. 상기 통부의 암나사부(54)는 후축(4)의 후단부의 숫나사부(45)와 나사맞춤된다.
상기 심부(52)의 전단부는, 원주형상을 갖고, 상기 뚜껑부(5)의 후축(4)의 후단부에 나사붙임한 때(즉, 통부(53)의 암나사부(54)와 후축(4)의 후단부의 숫나사부(45)를 나사맞춤한 때), 가이드부(421) 내로 삽입되는 동시에 몰입상태의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각각의 조작체(7)의 후단과 충돌정지하는 접촉벽부(51)로 된다. 또, 뚜껑부(5)의 통부(53)를 후축(4)의 후단부에 나사붙임한 때, 상기 심부(52)의 후부의 외주면은 외주면에 숫나사부(45)를 갖는 후축(4)의 후단부의 내주면과 압접된다. 그것에 의해 후단이 개구한 창구멍(41)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분할된 후축(4)의 후단부가 뚜껑부(5)의 통부(53)를 후축의 후단부에 나사붙임한 때, 직경방향 안쪽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필기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볼펜 리필이고, 전단에 볼이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펜 칩(즉, 펜 끝(61))과, 이 볼펜 칩을 전단에 구비하며, 또한 후단에 개구된 잉크수용관(62)으로 된다. 상기 잉크수용관(62)의 내부에는, 전단감점성(煎斷減粘性)을 갖는 수성겔 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저점도의 유성잉크, 또는 고점도의 유성잉크로 되는 잉크가 수용된다. 상기 잉크는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겔 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또는 저점도의 유성잉크의 경우 잉크수용관(62)내의 잉크의 후단에는, 잉크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고점도 유체로 되는 추종체가 충전된다.
또, 상기 볼펜 칩은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을 탄발체 등에 의해 전방으로 작동하고, 전단 가장자리부의 내면에 볼을 밀접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볼펜칩은 잉크수용관(62)의 전단개구부에 압입 등에 의해 직접 부착하여도 되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펜 끝 홀더를 통하여 잉크수용관(62)의 전단개구부에 고착된다.
(조작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의 후단(즉,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에는 조작체(7)가 부착된다.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축통(2)의 창구멍(41)으로부터 외부에 돌출하는 조작부(71)와, 이 조작부(71)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전측 돌출부(72)와, 이 조작부(71)의 반대측의 전측 돌출부(72)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측 돌출부(73)와 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넣는 부(74)와 이 끼워넣는 부(74)의 후방에 형성되는 플랜지부(75)를 구비한다. 상기 끼워넣는 부(74)는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에 끼워 넣어졌을 때, 잉크수용관(62)의 후단 개구부를 완전하게는 막지 않고, 잉크수용관(62)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플랜지부(75)의 전면에는 탄발체(8)의 후단에 걸려진다. 또, 상기 조작체(7)의 양쪽의 측벽에는 빠짐방지돌기(76)이 형성된다. 상기 빠짐방지돌기(76)는 창구멍(41)의 양쪽의 측벽내면에 걸 어맞춤이 가능하다.
필기체(6)의 펜 끝(61)이 몰입상태일 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뚜껑부(5)의 전면에 형성된 접촉벽부(51)에 충돌정지된다. 한편,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상태일 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축통(2)의 내벽에 형성된 계지벽부(43)에 걸려진다.
펜 끝 몰입상태에 있는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전측 돌출부(72)는 그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때, 앞서 펜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후측돌출부(73)와 접촉되고 다른 필기체(6)의 펜 끝 돌출상태가 해제된다.
(식별표시)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연결된 필기체(6)의 내부(즉, 잉크수용관(62)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체(7)의 각각은, 연결되는 필기체(6)의 잉크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 합성수지의 성형체로 된다. 그것에 의해, 조작체(7)는 잉크색 표시로 되는 식별표시를 갖는다. 예컨대, 잉크색이 흑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흑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청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청색으로 착색되며 잉크색이 적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적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녹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녹색으로 착색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잉크색이 서로 다른 2개의 필기체(6)를 축통(2) 내에 수용하고 있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볼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볼펜의 경우, 펜 끝(6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형상이 서로 다른 필기구의 경우, 펜 끝(6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펜 끝(61)의 볼의 외경 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 및 펜 끝(6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는 상기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표시는 인쇄, 실첨부, 볼록설치, 오목설치 등의 수단에 의해 조작체(7)에 설치된다.
특히 잉크수용관(62)이 불투명재료로 되는 구성의 경우, 또는 잉크수용관(62)이 투명재료로 되는 동시에 내부의 잉크가 염료잉크인 구성의 경우, 내부의 잉크색을 외부로부터 보고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나 조작체(7)를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한 것이 유효하게 작용하고 축통(2)의 외부에 존재하는 교환전의 필기체(6)에 있어서 내부의 잉크색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탄발체 지지부)
축통(2)의 내벽(즉, 후축(4)의 내벽)에는, 원통상의 탄발체 지지부(9)가 설치된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는 필기체(6)가 삽통되는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의 내공(91)이 축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과, 각각의 조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탄발체(8)가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의 내부에 필기체(6)가 삽입되는 동시에,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은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에 의해 걸려지고 각각의 탄발체(8)의 후단은 조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에 걸려진다.
또,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의 각각의 내공(91)의 주위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통상돌출부로 되는 보존부(92)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보존부(92)의 내면은,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부 외면이 압입보존된다. 그것에 의해 각각의 필기체(6) 및 조작체(7)를 교환할 때, 축통(2) 내로부터 개구부(42)를 통하여 각각의 탄발체(8)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각각의 조작체(7)(즉, 각각의 필기체(6))를 상시 후방으로 작동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펜 끝 돌출상태 및 펜 끝 몰입상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압축상태(즉, 필기체(6)가 후방으로 작동된 상태)에 있고 그것에 의해 각각의 조작체(7)의 전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펜 끝의 출몰)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펜 끝(61)의 출몰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대항하여 창구멍(41)을 따라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그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전측돌출부(72)가 앞서 펜 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측돌출부(73)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들어올린다. 그것에 의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와 조작체(7)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다른 필기체(6)가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이 축통(2)내로 몰입되고, 다른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단이 뚜껑부(5)의 전면의 접촉벽부(51)에 접촉·충돌하여 정지된다. 상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의 몰입과 동시에, 상기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조작체(7)에 연결된 필기체(6)의 펜 끝(61)이 축통(2)의 전단구 멍(3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후단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에 걸려지고 그 펜 끝 돌출상태가 유지된다.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기체(6)를 교환할 때, 뚜껑부(5)가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를 폐쇄한 상태(도 15 참조)로부터, 뚜껑부(5)의 암나사부(54)와 축통(2)의 후단부의 숫나사부(45)와의 나사맞춤 상태를 해제하고,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를 개구한다. 상기 개구부(42)를 개구시키면, 상기 개구부(42)로부터 각각의 조작체(7)가 탄발체(8)의 후방 작동에 의해 후방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가 개구한 상태에서(도 16 참조) 조작체(7)를 꺼냄으로써 그 조작체(7)와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필기체(6)를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축통(2) 내로부터 꺼내고, 그 후,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새로운 필기체(6)와 새로운 조작체(7)를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축통(2)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뚜껑부(5)의 접촉벽부(51)에 각각의 조작체(7)를 접촉시키고, 각각의 조작체(7)를 전방으로 압압하면서, 상기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에 나사붙임하며 개구부(42)를 폐쇄한다. 그것에 의해,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작업이 종료된다.
[제4의 실시의 형태]
도 17 내지 도 25에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는, 축통(2)내에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필기체(6)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탄발체(8)(구체적으로는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작동되어 있다.
(축통)
상기 축통(2)은 끝이 가는 형상의 원통체로 되는 전축(3)과, 이 전축(3)의 후단부와 나사맞춤 또는 압입에 의해 부착되는 원통상의 후축(4)으로 된다. 상기 전축(3)의 전단에는,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가능한 전단구멍(31)이 축 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전축(3) 및 후축(4)은, 합성수지(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후축(4)의 후부의 측벽에는,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형상의 창구멍(41)이 직경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2개의 창구멍(41)은 서로 축선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 상기 후축(4)의 후단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개구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는 후축(4)의 후단(즉, 축통(2)의 후단)에서 창구멍(41)과 연통되고, 그것에 의해 창구멍(41) 후단이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창구멍(41)의 전단은 상시 폐쇄되어 있다.
상기 후축(4)의 후단부(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은, 상기 후단이 후방으로 개구된 2개의 창구멍(41)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2분할된다. 또, 상기 직경방향으로 2분할된 후축(4)의 후단부의 측벽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외향돌기로 되는 피계합 부(45A),(45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2개의 피계합부(45A),(45B)는 축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개구부(42)의 양측의 내벽에는 조작체(7)의 측면의 삽입시의 직경방향의 향을 규제하는 가이드부(421)가 형성된다. 또, 상기 가이드부(421)에는, 조작체(7)의 빠짐방지돌기(76)가 삽입가능한 오목부(421a)가 형성된다.
또,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내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리브로 되는 계지벽부(43)가 형성되고, 상기 계지벽부(43)에 펜 끝(61)이 돌출한 때의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단이 걸려진다.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외면에는, 클립(44)이 설치된다. 상기 하나의 피계합부(45A)는, 후축(4)의 측벽외면의 클립(44)의 기부의 바로 뒤에 설치되고, 상기 또 하나의 피계합부(45B)는 상기 피계합부(45A)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위치(즉, 클립(44)과 직경방향의 반대측)의 후축(4)의 측벽외면에 설치된다.
(뚜껑부)
상기 후축(4)의 후단부에는 상기 개구부(42)를 폐쇄가능한 뚜껑부(5)가 착탈이 자유롭게 축방향으로 타고 넘어 걸어맞춰진다. 상기 뚜껑(5)는 원판상의 본체(52)와, 상기 본체(5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2개의 각편과, 상기 본체(52)의 중앙에 형성되고 또한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로 되는 접촉벽부(51)로 된다. 상기 뚜껑부(5)는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각편의 각각에는, 직경방향을 관통하는 계합구멍(즉, 계합부(53A),(53B))이 형성된다. 상기 2개의 계합부(53A),(53B)는, 상기 후축(4)의 후단부 측벽외면의 2개의 피계합부(45A),(45B)와 압입 또는 나사 맞춤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2개의 각편은, 서로 축 방향의 길이가 다르고 클립측의 각편보다도 클립 반대측의 각편의 축 방향의 길이가 길게 설정되어 있으나, 축 방향의 길이는 같은 것이라도 된다. 또, 계합구멍은 직경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그것 이외에도 예컨대 각편의 직경방향 내면에 형성되는 우묵한 부라도 된다.
상기 뚜껑부(5)를 후축(4)의 후단부에 부착한 때(즉, 계합부(53A),(53B)와 피계합부(45A),(45B)을 타고 넘어 걸어맞춘 때), 상기 접촉벽부(51)는 가이드부(421)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몰입상태의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각각의 조작체(7)의 후단과 충돌정지한다. 또, 상기 뚜껑부(5)를 후축(4)의 후단부에 부착한 때, 상기 접촉벽부(51)의 외주면은 개구부(42) 내벽(가이드부(421))에 압접된다. 그것에 의해 뚜껑부(5)의 계합부(53A),(53B)와, 후축(4)의 후단부의 외면의 피계합부(45A),(45B)가 타고넘어 걸어맞춘 때, 후단이 개구한 창구멍(41)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분할된 후축(4)의 후단부가 직경방향 안쪽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필기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볼펜 리필이고 전단에 볼이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펜 칩(즉, 펜 끝(61))과, 이 볼펜 칩을 전단에 구비하며, 또한 후단이 개구된 잉크수용관(62)으로 된다. 상기 잉크수용관(62)의 내부에는 전단감점성(煎斷減粘性) 을 갖는 수성겔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저점도의 유성잉크 또는 고점도의 유성잉크로 되는 잉크가 수용된다. 상기 잉크는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겔잉크, 저점도의 수성 잉크, 또는 저점도의 유성잉크의 경우 잉크수용관(62) 내의 잉크의 후단에는, 잉크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고점도 유체로 되는 추종체가 충전된다.
또, 상기 볼펜칩은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을 탄발체 등에 의해 전방으로 작동하고, 전단 가장자리부의 내면에 볼을 밀접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볼펜칩은 잉크수용관(62)의 전단개구부에 압입 등에 의해 직접 부착하여도 되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펜 끝 홀더를 통하여 잉크수용관의 전단개구부에 고착된다.
(조작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의 후단(즉,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에는 조작체(7)가 부착된다.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축통(2)의 창구멍(41)으로부터 외부에 돌출하는 조작부(71)와, 이 조작부(71)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전측 돌출부(72)와, 이 조작부(71)의 반대측의 전측 돌출부(72)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측 돌출부(73)와, 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잉크수용관(62)의 후단 개구부에 끼워넣어지는 끼워넣는 부(74)와 이 끼워넣는 부(74)의 후방에 형성되는 플랜지부(75)를 구비한다. 상기 끼워넣는 부(74)는 잉크수용관(62)의 후단 개구부에 끼워넣어졌을 때,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를 완전하게는 막지 않고 잉크수용관(62)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플랜지부(75)의 전면에는 탄발체(8)의 후단이 걸려진다. 또, 상기 조작체(7)의 양쪽의 측면에는 빠짐방지돌기(76)가 형성된다. 상기 빠짐방지돌기(76)는 창구멍(41)의 양쪽의 측벽내면에 걸 어맞춤 가능하다.
필기체(6)의 펜 끝(61)이 몰입상태일 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뚜껑부(5)의 전면에 형성된 접촉벽부(51)에 충돌정지된다. 한편,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상태일 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축통(2)의 내벽에 형성된 계지벽부(43)에 걸려진다.
펜 끝 몰입상태에 있는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전측 돌출부(72)는 그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때, 앞서, 펜 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후측 돌출부(73)와 접촉되고, 다른 필기체(6)의 돌출상태가 해제된다.
(식별표시)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연결된 필기체(6)의 내부(즉, 잉크수용관(62)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체(7)의 각각은 연결되는 필기체(6)의 잉크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 합성수지의 성형체로 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조작체(7)는 잉크색 표시로 되는 식별표시를 갖는다. 예컨대, 잉크색이 흑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흑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청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청색으로 착색되며, 잉크색이 적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적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녹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녹색으로 착색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잉크색이 서로 다른 2개의 필기체(6)를 축통(2)내에 수용하고 있다.
특히 잉크수용관(62)이 불투명 재료로 되는 구성의 경우, 또는 잉크수용 관(62)이 투명재료로 되는 동시에 내부의 잉크가 염료잉크인 구성의 경우, 내부의 잉크색을 외부로부터 보고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나, 조작체(7)를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한 것이 유효하게 작용하고 축통(2) 외부에 존재하는 교환전의 필기체(6)에 있어서 내부의 잉크색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볼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볼펜의 경우, 펜 끝(6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형상이 서로 다른 필기구의 경우, 펜 끝(6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펜 끝(6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 및 펜 끝(6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는 상기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식별표시는 인쇄, 실첨부, 볼록 설치, 오목설치 등의 수단에 의해 조작체(7)에 설치된다.
(탄발체 지지부)
축통(2)의 내벽(죽, 후축(4)의 내벽)에는, 원통상의 탄발체 지지부(9)가 설치된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는 필기체(6)가 삽통되는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의 내공(91)이 축 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과, 각각의 조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탄발체(8)가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의 내부에 필기체(6)가 삽입되는 동시에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은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에 의해 걸려지고, 각각의 탄발체(8)의 후단은 조 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에 걸려진다.
또,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의 각각의 내공(91)의 주위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통상 돌출부로 되는 보존부(92)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보존부(92)의 내면은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부 외면이 압입 보존된다. 그것에 의해 각각의 필기체(6) 및 조작체(7)를 교환할 때, 축통(2)내로부터 개구부(42)를 통하여 각각의 탄발체(8)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각각의 조작체(7)(즉, 각각의 필기체(6))를 상시 후방으로 작동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펜 끝 돌출상태 및 펜 끝 몰입상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압축상태(즉, 필기체(6)가 후방으로 작동된 상태)에 있고, 그것에 의해 각각의 조작체(7)의 전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펜 끝의 출몰)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펜 끝(61)의 출몰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대항하여 창구멍(41)을 따라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그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전측 돌출부(72)가 앞서 펜 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측 돌출부(73)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들어올린다. 그것에 의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와 조작체(7)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다른 필기체(6)가 탄발체(8)의 후방 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이 축통(2) 내로 몰입되고, 다른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단이 뚜껑부(5)의 전면의 접촉벽부(51)에 접촉충돌하여 정지된다. 상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의 몰입과 동시에, 상기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조작체(7)에 연결된 필기체(6)의 펜끝(61)이 축통(2)의 전단구멍(3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후단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에 걸려지고 그 펜 끝 돌출상태가 유지된다.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기체(6)를 교환할 때, 뚜껑부(5)가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를 폐쇄한 상태(도 24 참조)로부터, 뚜껑부(5)의 계합부(53A),(53B)와 축통(2)의 후단부의 피계합부(45A),(45B)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고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제거함으로써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를 개구한다. 상기 개구부(42)를 개구시키면 상기 개구부(42)로부터 각각의 조작체(7)가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의해 후방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가 개구된 상태(도 25 참조)에서, 조작체(7)를 제거함으로써, 그 조작체(7)와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필기체(6)를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축통(2) 내로부터 꺼내고 그후 연결상태에 있는 새로운 필기체(6)와 새로운 조작체(7)를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축통(2) 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뚜껑부(5)의 접촉벽부(51)에 각각의 조작체(7)를 접촉시키고, 각각의 조작체(7)를 전방으로 압압하면서 상기 뚜껑부의 2개의 계합부(53A),(53B)와 축통(2)의 후단부의 2개의 피계합부(45A),(45B)를 축방향으로 타고 넘어 걸어맞추게 하며, 그것에 의해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에 부착하고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것에 의해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작업이 종료된다.
[제5의 실시의 형태]
도 26 내지 도 33에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는, 축통(2) 내에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필기체(6)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탄발체(8)(구체적으로는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작동되어 있다.
(축통)
상기 축통(2)은 끝이 가는 형상의 원통체로 되는 전축(3)과, 이 전축(3)의 후단부와 나사맞춤 또는 압입에 의해 부착되는 원통상의 후축(4)으로 된다. 상기 전축(3)의 전단에는,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가능한 전단구멍(31)이 축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전축(3) 및 후축(4)은, 합성수지(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후축(4)의 후부의 측벽에는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전후방향으로뻗는 가늘고 긴 형상의 창구멍(41)이 직경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2개의 창구멍(41)은 서로 축선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 상기 후축(4)의 후단부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직경방향 바깐쪽으로 개구하는 개구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는 후축(4)의 후단(즉, 축통(2)의 후단)에서 창구멍(41)과 연통되고, 그것에 의해 창구멍(41) 후단이 후방으로 절결되며,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창구멍(41)의 전단은 상시 폐쇄되어 있다.
상기 후축(4)의 후단부(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은, 상기 후단이 후방으로 개구된 창구멍(41)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분할된다. 또, 상기 직경방향으로 분할된 후축(4)의 후단부의 각각의 후단면에는 개구부(42)의 양측에 서로 평행이고, 또한 직경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된 2개의 돌출된 줄기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2개의 돌출줄기의 각각의 외면에는 계합홈(즉, 피계합부(45A),(45B))이 돌출줄기의 뻗어서 설치되는 방향과 동일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의 양측의 내벽에는 조작체(7)의 측면의 삽입시의 직경방향의 향을 규제하는 가이드부(421)가 형성된다. 또, 상기 가이드부(421)에는 조작체(7)의 빠짐방지돌기(76)가 삽입가능한 오목부(421a)가 형성된다.
또,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 내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리브로 되는 계지벽부(43)가 형성되고, 상기 계지벽부(43)에 펜 끝(61)이 돌출한 때의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단이 걸려진다.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 외면에는 클립(44)이 설치된다. 상기 한쪽의 피계합부(45A)는 후축(4)의 측벽 외면의 클립(44)의 기부의 바로 뒤에 설치되고, 상기 다른 쪽의 피계합부(45B)는, 상기 피계합부(45A)와 축선에 대하여 대칭위치(즉, 클립(44)과 직경방향 반대측)의 후축(4)의 측벽 외면에 설치된다.
(뚜껑부)
상기 후축(4)의 후단부에는 상기 개구부(42)를 폐쇄가능한 뚜껑부(5)가 직경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슬라이드 걸어맞춤된다. 상기 뚜껑부(5)는 원판상의 본체(52)와, 상기 본체(5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2개의 각편과, 상기 본체(52)의 중앙에 형성되고, 또한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로 되는 접촉벽부(51)로 된다. 상기 뚜껑부(5)는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각편의 각각의 내면에는 직경방향으로 뻗는 돌출줄기(즉, 계합부(53A),(53B))가 형성된다. 상기 2개의 돌출줄기로 되는 계합부(53A),(53B)는 상기 후축(4)의 후단면의 2개의 계합홈으로 되는 피계합부(45A),(45B)와 축선에 대하여 수직방향(즉, 직경방향)으로 슬라이드 걸어맞춤이 가능하다.
상기 뚜껑부(5)를 후축(4)의 후단부에 부착한 때(즉, 계합부(53A),(53B)와 피계합부(45A),(45B)가 슬라이드 걸어맞춤한 때), 상기 접촉벽부(51)는 가이드부(421)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몰입상태의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각각의 조작체(7)의 후단과 충돌정지한다. 상기 뚜껑부(5)를 후축(4)의 후단부에 부착한 때, 상기 접촉벽부(51)의 외주면은 개구부(42) 내벽(가이드부(421))에 압접된다. 그것에 의해 뚜껑부(5)의 계합부(53A),(53B)와 후축(4)의 후단부의 피계합부(45A),(45B)가 슬라이드 걸어맞춘 때, 후단이 개구한 창구멍(41)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분할된 후축(4)의 후단부가 직경방향 안쪽으로 변형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필기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볼펜 리필이고, 전단에 볼이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펜 칩(즉, 펜 끝(61))과, 이 볼펜칩을 전단에 구비하며, 또한 후단이 개구된 잉크수용관(62)으로 된다. 상기 잉크수용관(62)의 내부에는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겔 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저점도의 유성잉크 또는 고점도의 유성잉크로 되는 잉크가 수용된다. 상기 잉크는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겔 잉크, 저점도의 수성잉 크 또는 저점도의 유성잉크의 경우, 잉크수용관(62) 내의 잉크의 후단에는 잉크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고점도 유체로 되는 추종체가 충전된다.
또, 상기 볼펜칩은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을 탄발체 등에 의해 전방으로 작동하고, 전단 가장자리부의 내면에 볼을 밀접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볼펜칩은 잉크수용관(62)의 전단개구부에 압입 등에 의해, 직접 부착하여도 되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펜 끝 홀더를 통하여 잉크수용관(62)의 전단개구부에 고착된다.
(조작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의 후단(즉,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에는 조작체(7)가 부착된다.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축통(2)의 창구멍(41)으로부터 외부에 돌출하는 조작부(71)와, 이 조작부(71)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전측 돌출부(72)와, 이 조작부(71)의 반대측의 전측 돌출부(72)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측 돌출부(73)와, 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잉크수용관(62)의 후단 개구부에 끼워넣어지는 끼워넣는부(74)와, 이 끼워넣는부(74)의 후방에 형성되는 플랜지부(75)를 구비한다. 상기 끼워넣는부(74)는 잉크수용관(62)의 후단 개구부에 끼워넣어졌을 때,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를 완전하게는 막지 않고 잉크수용관(62)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플랜지부(75)의 전면에는, 탄발체(8)의 후단이 걸려진다. 또, 상기 조작체(7)의 양쪽의 측벽에는 빠짐방지돌기(76)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체(7)의 양쪽의 측벽에는 빠짐방지돌기(76)가 형성된다. 상기 빠짐방지돌기(76)는 창구멍(41)의 양쪽의 측벽 내면에 걸어맞춤 가능 하다.
필기체(6)의 펜 끝(61)이 몰입상태일 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뚜껑부(5)의 전면에 형성된 접촉벽부(51)에 충돌정지된다. 한편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상태일 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축통(2)의 내벽에 형성된 계지벽부(43)에 걸려진다.
펜 끝 몰입상태에 있는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전측 돌출부(72)는 그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때, 앞서 펜 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후측 돌출부(73)와 접촉되고, 다른 필기체(6)의 펜 끝 돌출상태가 해제된다.
(식별표시)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연결될 필기체(6)의 내부(즉, 잉크수용관(62)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체(7)의 각각은, 연결되는 필기체(6)의 잉크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 합성수지의 성형체로 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조작체(7)는 잉크색 표시로 되는 식별표시를 갖는다. 예컨대, 잉크색이 흑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흑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청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청색으로 착색되며, 잉크색이 적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적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녹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녹색으로 착색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잉크색이 서로 다른 2개의 필기체(6)를 축통(2) 내에 수용하고 있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볼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볼펜의 경우, 펜 끝(6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형상이 서로 다른 필기구의 경우, 펜 끝(6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펜 끝(6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 및 펜 끝(6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는 상기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표시는 인쇄, 실첨부, 볼록 설치, 오목설치 등의 수단에 의해 조작체(7)에 설치된다.
(탄발체 지지부)
축통(2)의 내벽(즉, 후축(4)의 내벽)에는, 원통상의 탄발체 지지부(9)가 설치된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는 필기체(6)가 삽통되는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의 내공(91)이 축 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과, 각각의 조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탄발체(8)가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의 내부에 필기체(6)가 삽입되는 동시에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은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에 의해 걸려지고 각각의 탄발체(8)의 후단은 조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에 걸려진다.
또,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의 각각의 내공(91)의 주위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통상돌출부로 되는 보존부(92)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보존부(92)의 내면은,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부 외면이 압입 보존된다. 그것에 의해, 각각의 필기체(6) 및 조작체(7)를 교환할 때, 축통(2) 내로부터 개구부(42)를 통하여 각각의 탄발체(8)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각각의 조작체(7)(즉, 각각의 필기체(6)를 상시 후방으로 작동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펜 끝 돌출상태 및 펜 끝 몰입상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압축상태(즉, 필기체(6)가 후방으로 작동된 상태)에 있고, 그것에 의해 각각의 조작체(7)의 전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펜 끝의 출몰)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펜끝(61)의 출몰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대항하여 창구멍(41)을 따라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그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전측 돌출부(72)가 앞서 펜 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측 돌출부(73)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들어올린다. 그것에 의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와, 조작체(7)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다른 필기체(6)가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이 축통(2) 내로 몰입되고, 다른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단이 뚜껑부(5)의 전면의 접촉벽부(51)에 접촉충돌하여 정지된다. 상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의 몰입과 동시에, 상기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조작체(7)에 연결된 필기체(6)의 펜 끝(61)이 축통(2)의 전단구멍(3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후단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에 걸려지고 그 펜 끝 돌출상태가 유지된다.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기체(6)를 교환할 때, 뚜껑부(5)가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를 폐쇄한 상태(도 32 참조)로부터, 뚜껑부(5)의 계합부(53A),(53B)와 축통(2)의 후단부의 피계합부(45A),(45B)와의 걸어맞춤상태를 해제하고,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제거함으로써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를 개구한다. 상기 개구부(42)를 개구시키면, 상기 개구부(42)로부터 각각의 조작체(7)가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가 개구된 상태(도 33 참조)에서 조작체(7)를 제거함으로써, 그 조작체(7)와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필기체(6)를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축통(2) 내로부터 꺼내고 그후 연결상태에 있는 새로운 필기체(6)와 새로운 조작체(7)를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축통(2) 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부(5)의 2개의 계합부(53A),(53B)와 축통(2)의 후단부의 2개의 피계합부(45A),(45B)를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걸어맞추게 하며, 그것에 의해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에 부착하고 개구부(42)를 폐쇄한다. 이것에 의해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작업이 종료된다.
[제6의 실시의 형태]
도 34내지 도 43에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는 축통(2)내에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필기체(6)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필기구(6)는 탄발체(8)(구체적으로는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작동되어 있다.
(축통)
상기 축통(2)은 끝이 가는 형상의 원통체로 되는 전축(3)과, 이 전축(3)의 후단부의 나사맞춤 또는 압입에 의해 부착되는 원통상의 후축(4)으로 된다. 상기 전축(3)의 전단에는,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가능한 전단구멍(31)이 축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전축(3) 및 후축(4)은, 합성수지(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후축(4)의 후부의 측벽에는,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형상의 창구멍(41)이, 직경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2개의 창구멍(41)은, 서로 축선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 후축(4)의 후단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개구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는 후축(4)의 후단(즉, 축통(2)의 후단)에 있어서 창구멍(41)과 연통되고, 그것에 의해 창구멍(41) 후단이 후방으로 절결(notch)되며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창구멍(41)의 전단은 상시 폐쇄되어 있다.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의 외면에는, 클립(44)이 설치된다. 상기 클립(44)의 기부로부터 후방에는, 후방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 돌출부는 후축(4)의 후단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후방돌출부의 직경방향 내면에는, 내향돌기로 되는 하나의 피계합부(45A)가 형성된다.
상기 후축(4)의 후단부(축통(2)의 후단부)의 측벽은, 상기 후단이 후방에 개구된 창구멍(41)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2분할된다. 상기 직경방향으로 2분할된 후축(4)의 후단부의 클립(44) 반대측의 후단면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봉상부(피계합부(45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봉상부(피계합부(45B))의 직경방향 내면에는 계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의 양측의 내벽에는, 조작체(7)의 측면의 삽입시의 직경방향의 향을 규제하는 가이드부(421)가 형성된다. 또, 상기 가이드부(421)에는 조작체(7)의 빠짐방지돌기(76)가 삽입가능한 오목부(421a)가 형성된다.
또,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내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리브로 되는 계지벽부(43)가 형성되고, 상기 계지벽부(43)에 펜 끝(61)이 돌출한 때의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단이 걸려진다.
(뚜껑부)
상기 후축(4)의 후단부에, 상기 개구부(42)를 폐쇄 가능한 뚜껑부(5)가 원주방향으로 회전조작됨으로써 걸어맞춰진다. 상기 뚜껑부(5)는 원판상의 본체(52)와, 상기 본체(52)로부터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외향돌기(계합부(53A))와, 상기 외향돌기(계합부(53A))의 직경방향의 반대측의 본체(52)에 형성되는 내공(계합부(53B))와, 본체(52)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는 접촉벽부(51)로 된다. 상기 내공(계합부(53B))은 축방향으로 관통설치되고, 또한 원호상으로 뻗어서 설치된다. 상기 접촉벽부(51)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원주상 볼록부로 된다. 상기 뚜껑부(5)는 합성수지(예컨대 폴리플로필렌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외향돌기(계합부(53A))의 후면에는, 상기 내향돌기(피계합부(45A))와 걸어맞춤 가능한 계합오목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공(계합부(53B))의 내면의 원주방향의 일단에는 내향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내공(계합부(53B))의 내면의 내향돌기는, 축통(2)의 후단면의 봉상부(피계합부(45B))의 계합홈과 걸어맞춤 가능하다. 상기 봉상부(피계합부(45B))는 상기 내공(계합부(53B))의 원주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삽입가능하고, 뚜껑부(5)의 본체(52)를 원주방향으로 약간 회전조작(즉, 비틀림 조작)하면, 봉상부(피계합부(45B))의 계합홈이 내공(계합부(53B))의 내면의 원주방향의 일단의 내향돌기와 걸어맞춰진다.
상기 뚜껑부(5)를 후축(4)의 후단부에 부착한 때, (즉, 2개소의 계합부(53A),(53B)와 피계합부(45A),(45B)가 서로 걸어 맞춘 때) 상기 접촉벽부(51)는 개구부(42)의 중앙을 막는 위치에 배치되고, 축통(2)의 후단면에 접촉된다.
(필기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볼펜 리필이고, 전단에 볼이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펜 칩(즉, 펜 끝(61)과, 이 볼펜 칩을 전단에 구비하고 또한 후단이 개구된 잉크수용관(62)으로 된다. 상기 잉크수용관(62)의 내부에는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겔 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저점도의 유성잉크, 또는 고점도의 유성잉크로 되는 잉크가 수용된다. 상기 잉크가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겔 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또는 저점도의 유성잉크인 경우, 잉크수용관(62) 내의 잉크의 후단에는 잉크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고점도유체로 되는 추종체가 충전된다.
또, 상기 볼펜 칩은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을 탄발체 등에 의해 전방으로 작동하고, 전단 가장자리부의 내면에 볼을 밀접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볼펜칩은 잉크수용관(62)의 전단개구부에 압입 등에 의해 직접 부착하여도 되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펜 끝홀더를 통하여 잉크수용관(62)의 전단개구부에 고착된다.
(조작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의 후단(즉,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에는 조작체(7)가 부착된다.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축통(2)의 창구멍(41)으로부터 외부에 돌출하는 조작부(71)와, 이 조작부(71)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전측 돌출부(72)와, 이 조작부(71)의 반대측의 전측돌출부(72)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측돌출부(73)와, 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넣는 부(74)와, 이 끼워넣는부(74)의 후방에 형성되는 플랜지부(75)를 구비한다. 상기 끼워넣는부(74)는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에 끼워넣어졌을 때,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를 완전하게는 막지않고, 잉크수용관(62)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플랜지부(75)의 전면에는, 탄발체(8)의 후단이 걸려진다. 또, 상기 조작체(7)의 양쪽의 측벽에는 빠짐방지돌기(76)가 형성된다. 상기 빠짐방지돌기(76)는 창구멍(41)의 양쪽의 측벽 내면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필기체(6)의 펜 끝(61)이 몰입상태 일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뚜껑부(5)의 전면에 형성된 접촉벽부(51)에 충돌정지된다. 한편,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상태일 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축통(2)의 내벽에 형성된 계지벽부(43)에 걸려진다.
펜 끝 몰입상태에 있는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전측 돌출부(72)는 그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때, 앞서 펜 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후측 돌출부(73)와 접촉되고 다른 필기체(6)의 펜 끝 돌출상태가 해제된다.
(식별표시)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연결된 필기체(6)의 내부(즉, 잉크수용관(62)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체(7)의 각각은 연결되는 필기체(6)의 잉크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 합성수지의 성형체로 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조작체(7)는 잉크색 표시로 되는 식별표시를 갖는다. 예컨대, 잉크색이 흑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흑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청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청색으로 착색되며, 잉크색이 적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적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녹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녹색으로 착색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잉크색이 서로 다른 2개의 필기체(6)를 축통(2)내에 수용하고 있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볼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볼펜의 경우, 펜 끝(6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형상이 서로 다른 필기구의 경우, 펜 끝(6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펜 끝(6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 및 펜 끝(16)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는 상기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표시는 인쇄, 실첨부, 볼록설치, 오목설치 등의 수단에 의해 조작체(7)에 설치된다.
(탄발체 지지부)
축통(2)의 내벽(즉, 후축(4)의 내벽)에는, 원통상의 탄발체 지지부(9)가 설치된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는 필기체(6)가 삽통되는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의 내공(91)이 축 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과, 각각의 조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탄발체(8)가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의 내부에 필기체(6)가 삽입되는 동시에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은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에 의해 걸려지고 각각의 탄발체(8)의 후단은 조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에 걸려진다.
또,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의 각각의 내공(91)의 주위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통상 돌출부로 되는 보존부(92)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보존부(92)의 내면은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부의 외면이 압입보존된다. 그것에 의해 각각의 필기체(6) 및 조작체(7)를 교환할 때, 축통(2) 내로부터 개구부(42)를 통하여 각각의 탄발체(8)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각각의 조작체(7)(즉, 각각의 필기체(6)를 상기 후방으로 작동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펜 끝 돌출상태 및 펜 끝 몰입상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압축상태(즉, 필기체(6)가 후방으로 작동된 상태)에 있고, 그것에 의해 각각의 조작체(7)의 전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펜 끝의 출몰)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펜 끝(61)의 출몰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대항하여 창구멍(41)을 따라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그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전 측 돌출부(72)가 앞서 펜 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측 돌출부(73)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들어올린다. 그것에 의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와 조작체(7)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다른 필기체(6)가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이 축통(2) 내로 몰입되고, 다른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단이 뚜껑부(5)의 전면의 접촉벽부(51)에 접촉충돌하여 정지된다. 상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의 몰입과 동시에, 상기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조작체(7)에 연결된 필기체(6)의 펜 끝(61)이 축통(2)의 전단구멍(3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후단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에 걸려지고, 그 펜끝 돌출상태가 유지된다.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
본 실시의 형태에에서의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기체(6)를 교환할 때, 뚜껑부(5)가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를 폐쇄한 상태(도 42 참조)로부터 뚜껑부(5)의 계합부(53A),(53B)와, 축통(2)의 후단부의 피계합부(45A),(45B)와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하고,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제거함으로써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를 개구한다. 상기 개구부(42)를 개구시키면, 상기 개구부(42)로부터 각각의 조작체(7)가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의해 후방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축통(2)의 후단의 개구부(42)가 개구한 상태(도 43 참조)에서, 조작체(7)를 제거함으로써 그 조작체(7)와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필기체(6)를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축통(2) 내로부터 꺼내고, 그후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새로운 필기체(6)와 새로운 조작체(7)를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축통(2)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에 접촉시켜서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뚜껑부(5)의 2개의 계합부(53A),(53B)와 축통(2)의 후단부의 2개의 피계합부(45A),(45B)를 걸어맞추고 그것에 의해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에 부착하여 개구부(42)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작업이 종료된다.
[제7의 실시의 형태]
도 44 내지 도 50에 본 발명의 제7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는 축통(2) 내에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필기체(6)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탄발체(8)(구체적으로는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작동되어 있다.
(축통)
상기 축통(2)은 끝이 가는 형상의 원통체로 되는 전축(3)과, 이 전축(3)의 후단부와 나사맞춤 또는 압입에 의해 부착되는 원통상의 후축(4)으로 된다. 상기 전축(3)의 전단에는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가능한 전단구멍(31)이 축 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전축(3) 및 후축(4)은 합성수지(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후축(4)의 후부의 측벽에는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형상의 창구멍(41)이 직경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2개의 창구멍(41)은 서로 축선에 대하여 대칭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창구멍(41)의 내벽의 후 단이 몰입상태의 필기체(6)의 후단부에 연결된 조작체(7)가 접촉가능한 접촉벽부(41a)로 된다.
상기 창구멍(41)을 갖는 후축(4)의 측벽은, 직경방향으로 분리가능한 분리벽부(43)를 구비한다. 즉, 후축(4)은, 후축본체(42)와 이 후측본체(42)와 분리 합체 가능한 분리벽부(43)로 된다. 상기 분리벽부(43)는 반원통상 부재로 된다. 상기 후축본체(42)와 상기 분리벽부(43)는, 각각의 창구멍(41)의 주벽의 전단 및 후단이 직경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분리벽부(43)를 직경방향으로 완전히 분리한 때(즉, 창구멍(41) 주벽의 전단을 직경방향으로 분리하고, 또한 창구멍(41)의 후단을 직경방향으로 분리한 때), 각각의 창구멍(41)의 주벽의 반이 제거되기 때문에 각각의 창구멍(41)이 크게 개구된다. 상기 크게 개구된 창구멍(41)으로부터 조작체(7)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교환할 수 있다.
상기 분리벽부(43)의 전단부의 외주면은 직경이 축소되고, 거기에 후축본체(42)의 내면에 걸어맞춤 가능한 계합부(43a)가 설치된다.
또, 상기 후축(4)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개구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에는 뚜껑부(5)가 착탈이 자유롭게(예컨대, 나사붙임, 압입, 또는 타고넘는 걸어맞춤 등에 의해) 부착된다. 상기 분리벽부(43)의 후단부의 외주면 및 후축본체(42)의 후단부 외주면은 직경이 축소되고, 거기에 계합부(46)가 형성되며, 이 계합부(46)에 뚜껑부(5)가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또,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 내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리브로 되는 계지벽부(44)가 형성되고, 상기 계지벽부(44)에 펜 끝(61)이 돌출 한 때의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단이 걸려진다. 또한, 도 46 내지 도 51은 상기 계지벽부(44)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후축(4)(후축본체(42))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 외면에는 클립(45)이 설치된다. 또한 이 이외에도 상기 클립(45)은 분리벽부(43)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필기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볼펜 리필이고, 전단에 볼이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펜칩(즉, 펜끝(61))과, 이 볼펜칩을 전단에 구비하며, 또한 후단이 개구된 잉크수용관(62)으로 된다. 상기 잉크수용관(62)의 내부에는, 전단 감점성을 갖는 수성겔 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저점도의 유성잉크 또는 고점도의 유성잉크로 되는 잉크가 수용된다. 상기 잉크는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겔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또는 저점도의 유성잉크의 경우, 잉크수용관(62) 내의 잉크의 후단에는 잉크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고점도 유체로 되는 추종체가 충전된다.
또, 상기 볼펜 칩은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을 탄발체 등에 의해 전방으로 작동하고, 전단 가장자리부의 내면에 볼을 밀접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볼펜칩은 잉크수용관(62)의 전단개구부에 압입 등에 의해, 직접 부착하여도 되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펜 끝 홀더를 통하여 잉크수용관의 전단개구부에 고착된다.
(조작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의 후단(즉,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에는 조작 체(7)가 부착된다.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축통(2)의 창구멍(41)으로부터 외부에 돌출하는 조작부(71)와, 이 조작부(71)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전측 돌출부(72)와, 이 조작부(71)의 반대측의 전측돌출부(72)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측 돌출부(73)와, 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에 끼워넣어지는 끼워넣는부(74)와, 이 끼워넣는부(74)의 후방에 형성되는 플랜지부(75)를 구비한다. 상기 끼워넣는부(74)는 잉크수용관(62)의 후단 개구부에 끼워 넣어졌을 때, 잉크수용관(62)의 후단개구부를 완전하게는 막지 않고, 잉크수용관(62)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플랜지부(75)의 전면에는 탄발체(8)의 후단이 걸려진다. 또, 상기 조작체(7)의 양쪽의 측벽에는 빠짐방지돌기(76)가 형성된다. 상기 빠짐방지돌기(76)는 창구멍(41)의 양쪽의 측벽 내면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필기체(6)의 펜 끝(61)이 몰입상태일 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창구멍(41)의 내벽의 후단에 형성된 접촉벽부(41a)에 충돌정지된다. 한편 필기체(6)의 펜 끝(61)이 돌출상태일때, 그 필기체(6)에 부착된 조작체(7)의 후단부는 축통(2)의 내벽에 형성된 계지벽부(43)에 걸려진다.
펜 끝 몰입상태에 있는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전측 돌출부(72)는 그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때, 앞서, 펜 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7)의 후측 돌출부(73)와 접촉되고, 다른 필기체(6)의 펜 끝 돌출상태가 해제된다.
(식별표시)
상기 각각의 조작체(7)는 연결된 필기체(6)의 내부(즉, 잉크수용관(62)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색과 거의같은 색으로 착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체(7)의 각각은 연결되는 필기체(6)의 잉크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 합성수지의 성형체로 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조작체(7)는 잉크색 표시로 되는 식별표시를 갖는다. 예컨대, 잉크색이 흑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흑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청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청색으로 착색되며, 잉크색이 적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적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녹색의 필기체(6)에 연결하는 조작체(7)는 녹색으로 착색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잉크색이 서로 다른 2개의 필기체(6)를 축통(2) 내에 수용하고 있다.
특히 잉크수용관(62)이 불투명 재료로 되는 구성의 경우, 또는 잉크수용관(62)이 투명재료로 되는 동시에 내부에 잉크가 염료잉크인 구성의 경우, 내부의 잉크색을 외부로부터 보고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나, 그 경우 조작체(7)를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한 것이 유효하게 작용하고, 축통(2) 외부에 존재하는 교환전의 필기체(6)에 있어서 내부의 잉크색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볼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볼펜의 경우, 펜 끝(6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각의 필기체(6)가 펜 끝(61)의 형상이 서로 다른 필기구의 경우, 펜 끝(6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를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펜 끝(6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 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 및 펜 끝(6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는 상기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7)의 조작부(71)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표시는 인쇄, 실첨부, 볼록설치, 오목설치 등의 수단에 의해 조작체(7)에 설치된다.
(탄발체 지지부)
축통(2)의 내벽(즉, 후축본체(42)의 내벽)에는, 원통상의 탄발체 지지부(9)가 설치된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는 필기체(6)가 삽통되는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의 내공(91)이 축 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과, 각각의 조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탄발체(8)가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의 내부에 필기체(6)가 삽입되는 동시에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은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에 의해 걸려지고 각각의 탄발체(8)의 후단은 조작체(7)의 플랜지부(75)의 전면에 걸려진다.
또, 탄발체 지지부(9)의 후면의 각각의 내공(91)의 후방에는 상기 내공(91)과 연통하고, 또한 내공(91) 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는 보존부(92)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보조부(92)의 내면은 각각의 탄발체(8)의 전단부 외면이 압입보존된다. 그것에 의해 후축본체(42)와 분리벽부(43)를 분리하고, 각각의 필기구(6) 및 조작체(7)를 교환할 때, 축통(2) 내로부터 각각의 탄발체(8)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공(91)과 상기 보존부(92)와의 사이에는 탄발체(8)의 전단이 접촉하여 걸림가능한 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각각의 조작체(7)(즉, 각각의 필기체(6))를 상시 후방으로 작동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8)는 펜 끝 돌출상태 및 펜 끝 몰입 상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압축상태(즉, 필기체(6)가 후방으로 작동된 상태)에 있고, 그것에 의해 각각의 조작체(7)의 전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펜 끝의 출몰)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펜 끝(61)의 출몰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조작체(7)의 조작부(71)를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대항하여 창구멍(41)을 따라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그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전측 돌출부(72)가 앞서 펜 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측돌출부(73)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들어올린다. 그것에 의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와, 조작체(7)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다른 필기체(6)가 탄발체(8)의 후방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이 축통(2) 내로 몰입되고, 다른 필기체(6)의 조작체(7)의 후단이 창구멍(41)의 내벽의 후단의 접촉벽부(41a)에 접촉 충돌하여 정지된다. 상기 다른 필기체(6)의 펜 끝(61)의 몰입과 동시에 상기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조작체(7)에 연결된 필기체(6)의 펜 끝(61)이 축통(2)의 전단구멍(3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7)의 후단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4)에 걸려지고, 그 펜 끝(61)의 돌출상태가 유지된다.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기체(6)를 교환할 때, 후축본체(42)와 분리벽부(43)가 합체상태(도 46 참조)로부터 뚜껑부(5)를 후축(4) 후단에서 제거한 후, 분리벽부(43)를 후축본체(42) 로부터 직경방향으로 분리함으로써 각각의 창구멍(41)을 크게 개구한다(도 50 참조). 그리고, 상기 창구멍(41)에서 조작체(7)를 제거함으로써, 그 조작체(7)와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필기체(6)를, 상기 분리된 창구멍(41)을 통하여 축통(2) 내로부터 꺼내고, 그후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새로운 필기체(6)와 새로운 조작체(7)를 상기 분리된 창구멍(41)을 통하여 축통(2) 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벽부(43)와 후축본체(42)를 합체상태로 하며, 그후 뚜껑부(5)를 축통(2)의 후단부에 부착하고 필기체(6) 및 조작체(7)의 교환이 종료된다.
[제8의 실시의 형태]
도 51에 본 발명의 제8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분리벽부(43)의 주벽의 후단이 직경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한편 분리벽부(43)의 주벽의 전단이 후축본체(42)와 힌지부(4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다른 구성은 제7의 실시의 형태와 같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9의 실시의 형태]
도 52 내지 도 56에 본 발명의 제9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는, 축통(2) 내에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필기체(5)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필기구(5)는 탄발체(7)(구체적으로는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작동되어 있다.
(축통)
상기 축통(2)은 끝이 가는 형상의 원통체로 되는 전축(3)과, 이 전축(3)의 후단부와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원통상의 후축(4)으로 된다.
(전축)
상기 전축(3)은, 끝이 가는 원통상의 전측통부(33)와 이 전측통부(33)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직원통상의 후측통부(34)로 된다. 상기 전측통부(33)의 전단에는 필기체(5)의 펜 끝(51)이 돌출가능한 전단구멍(31)이 축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전축(3)(즉, 전측통부(33)와 후측통부(34)) 및 후축(4)은 합성수지(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계합구멍)
전축(3)의 내벽(구체적으로는 후측통부(34)의 내벽)에는, 원판상의 탄발체 지지부(8)가 고착된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8) 외벽과, 전축(3) 내벽과의 간극에 의해 2개의 계합구멍(32)이 축선에 대하여 대칭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계합구멍(32)은 절결부(42)에 의해 2분할된 후축(4)의 전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2개의 계합구멍(32)은 전축(3) 내에 후축(4)의 전단부를 삽입할 때, 전축(3)과 후축(4)과의 원주방향의 위치맞춤을 한다. 그것에 의해, 전축(3)과 후축(4)을 연결한 때, 전축(3) 내의 탄발체 지지부(8)의 내공(81)과, 후축(4) 측벽의 창구멍(41)과의 원주방향의 서로의 위치를 적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계합구멍(32)의 각각의 내면과 상기 후축(4)의 전단부의 각각의 외면과는 착탈이 자유롭게 압입 끼워맞춤, 또는 요철 끼워맞춤된다.
(후축)
상기 후축(4)의 후부의 측벽에는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형상의 창구멍(41)과, 이 창구멍(41)을 전방으로 개구시키는 절결부(42)가 직경방향에 관통설치된다. 상기 2개의 창구멍(41) 및 절결부(42)는 서로 축선에 대하여 대칭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창구멍(41)의 내벽의 후단이 몰입상태의 필기체(5)의 후단부에 연결된 조작체(6)가 접촉가능한 접촉벽부(41a)로 된다. 또, 상기 후축(4)의 전단부는 상기 절결부(42)에 의해 2개로 분할된다.
상기 후축(4)을 전축(3)의 후단부로부터 제거한 때, 각각의 창구멍(41)이 절결부(42)를 통하여 전방으로 개방된다. 상기 전방으로 개방된 창구멍(41)으로부터 조작체(6)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교환할 수 있다.
절결부(42)를 구비하는 후축(4)의 전단부는 전축(3)의 후단 개구부에 삽입되고, 상기 2개로 분할된 후축(4)의 전단부의 각각이 전축(3) 내의 각각의 계합구멍(32)에 삽입·걸어맞춰진다.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 내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리브로 되는 계지벽부(43)가 형성되고, 상기 계지벽부(43)에 펜 끝(51)이 돌출한 때의 필기체(5)의 조작체(6)의 후단이 걸려진다. 또한, 도 54 내지 도 56은 상기 계지벽부(53)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후축(4)의 창구멍(41)의 상호간의 측벽 외면에는 클립(44)이 설치된다.
(필기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6)는 볼펜 리필이고, 전단에 볼이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펜 칩(즉, 펜 끝(51))과 이 볼펜 칩을 전단에 구비하며, 또한 후단이 개구된 잉 크수용관(52)으로 된다. 상기 잉크수용관(52)의 내부에는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겔 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저점도의 유성잉크 또는 고점도의 유성잉크로 되는 잉크가 수용된다. 상기 잉크는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겔 잉크, 저점도의 수성잉크 또는 저점도의 유성잉크의 경우, 잉크수용관(52)내의 잉크의 후단에는 잉크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고점도 유체로 되는 추종체가 충전된다.
또, 상기 볼펜 칩은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을 탄발체 등에 의해 전방으로 작동하고, 전단 가장자리부의 내면에 볼을 밀접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볼펜 칩은 잉크수용관(52)의 전단개구부에 압입 등에 의해 직접 부착하여도 되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펜 끝 홀더를 통하여 잉크수용관(52)의 전단개구부에 고착된다.
(조작체)
상기 각각의 필기체(5)의 후단(즉, 잉크수용관(52)의 후단 개구부)에는 조작체(6)가 부착된다. 상기 각각의 조작체(6)는 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축통(2)의 창구멍(41)으로부터 외부에 돌출하는 조작부(61)와, 이 조작부(61)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전측 돌출부(62)와, 이 조작부(61)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전측 돌출부(62)와, 이 조작부(61)의 반대측의 전측돌출부(62)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측 돌출부(63)와, 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잉크수용관(52)의 후단개구부에 끼워넣어지는 끼워넣는부(64)와 이 끼워넣는부(64)의 후방에 형성되는 플랜지부(65)를 구비한다. 상기 끼워넣는부(64)는 잉크수용관(52)의 후단 개구부에 끼워 넣어졌을 때, 잉크수용관(52)의 후단 개구부를 완전하게는 막지 않고 잉크수용관(52)의 내부와 외부를 통 기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플랜지부(65)의 전면에는 탄발체(7)의 후단이 걸려진다. 또, 상기 조작체(6)의 양쪽의 측벽에는 빠짐방지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빠짐방지돌기는 창구멍(41)의 양쪽의 측벽내면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필기체(5)의 펜 끝(51)이 몰입상태일 때, 그 필기체(5)에 부착된 조작체(6)의 후단부는 창구멍(41)의 내벽의 후단에 형성된 접촉벽부(41a)에 충돌정지된다. 한편 필기체(5)의 펜 끝(51)이 돌출상태일 때, 그 필기체(5)에 부착된 조작체(6)의 후단부는 축통(2)의 내벽에 형성된 계지벽부(43)에 걸려진다.
펜 끝 몰입상태에 있는 필기체(5)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6)의 전측돌출부(62)는 그 조작체(6)의 조작부(6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때, 앞서 펜 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5)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6)의 후측돌출부(63)와, 접촉되고 다른 필기체(5)의 펜 끝 돌출상태가 해제된다.
(식별표시)
상기 각각의 조작체(6)는 연결된 필기체(5)의 내부(즉, 잉크수용관(52)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체(6)의 각각은 연결되는 필기체(5)의 잉크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 합성수지의 성형체로 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조작체(6)는 잉크색 표시로 되는 식별표시를 갖는다. 예컨대, 잉크색이 흑색의 필기체(5)에 연결하는 조작체(6)는 흑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청색의 필기체(5)에 연결하는 조작체(6)는 청색으로 착색되며, 잉크색이 적색의 필기체(5)에 연결하는 조작체(6)는 적색으로 착색되고, 잉크색이 녹색의 필기체(5)에 연결하는 조작체(6)는 녹색으로 착색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서는 잉크색이 서로 다른 2개의 필기체(5)를 축통(2) 내에 수용하고 있다.
특히, 잉크수용관(52)이 불투명 재료로 되는 구성의 경우, 또는 잉크수용관(52)이 투명재료로 되는 동시에 내부의 잉크가 염료잉크인 구성의 경우, 내부의 잉크색을 외부로부터 보고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나, 조작체(6)를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한 것이 유효하게 작용하고 축통(2) 외부에 존재하는 교환전의 필기체(5)에 있어서, 내부의 잉크색을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 각각의 필기체(5)가 펜 끝(51)의 볼의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볼펜의 경우, 펜 끝(5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를, 조작체(6)의 조작부(6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각의 필기체(5)가 펜 끝(51)의 형상이 서로 다른 필기구의 경우, 펜 끝(5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를 조작체(6)의 조작부(6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펜 끝(51)의 볼의 외경치수를 표시하는 숫자로 되는 식별표시 및 펜 끝(51)의 형상에 대응한 식별표시는 상기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6)의 조작부(61)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표시는 인쇄, 실 첨부, 볼록설치, 오목설치 등의 수단에 의해 조작체(6)에 설치된다.
(탄발체 지지부)
상기 탄발체 지지부(8)는 필기체(5)가 삽통되는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의 내공(81)이 축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8)의 후면과, 각각의 조작체(6)의 플랜지부(65)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탄발체(7)가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7)의 내부에 필기체(5)가 삽입되는 동시에 각각의 탄발체(7)의 전단은 탄발체 지지부(8)의 후면에 의해 걸려지고, 각각의 탄발체(7)의 후단은 조 작체(6)의 플랜지부(65)의 전면에 걸려진다.
또, 탄발체 지지부(8)의 후면의 각각의 내공(81)의 후방에는 상기 내공(81)과 연통하고, 또한 내공(81)보다 약간 큰 내경을 갖는 보존부(82)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보존부(82)의 내면은, 각각의 탄발체(7)의 전단부 외면이 압입보존된다. 그것에 의해 전축(3)과 후축(4)를 분리하고, 각각의 필기체(5) 및 조작체(6)를 교환할 때, 축통(2) 내로부터 각각의 탄발체(7)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공(81)과 상기 보존부(82) 사이에는 탄발체(7)의 전단이 접촉하여 걸림 가능한 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7)는, 각각의 조작체(6)(즉, 각각의 필기체(51))를 상시 후방으로 작동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7)는 펜 끝 돌출상태 및 펜 끝 몰입상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압축상태(즉, 필기체(5)가 후방으로 작동된 상태)에 있고, 그것에 의해 각각의 조작체(6)의 전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펜 끝의 출몰)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펜 끝(51)의 출몰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조작체(6)의 조작부(61)를 탄발체(7)의 후방작동에 대항하여 창구멍(41)을 따라서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그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6)의 전측 돌출부(62)가 앞서 펜끝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필기체(5)의 조작체(6)의 후측 돌출부(63)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들어올린다. 그것에 의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과 조작체(6)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다른 필기체(5)가 탄발체(7)의 후방작동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며, 다른 필기체(5)의 펜 끝(51)이 축통(2) 내로 몰입되고, 다른 필기체(5)의 조작체(6)의 후단이 창구멍(41)의 내벽의 후단의 접촉벽부(41a)에 접촉충돌하여 정지된다. 상기 다른 필기체(5)의 펜 끝(51)의 몰입과 동시에, 상기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조작체(6)에 연결된 필기체(5)의 펜 끝(51)이 축통(2)의 전단구멍(3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된 조작체(6)의 후단이 축통(2) 내벽의 계지벽부(43)에 걸려지고, 그 펜 끝(51)의 돌출상태가 유지된다.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필기체(5) 및 조작체(6)의 교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기체(5)를 교환할 때, 전축(3)과 후축(4)과의 연결상태(도 54 참조)로부터, 전축(3)과 후축(4)를 분리한다(도 56 참조). 그리고, 상기 창구멍(41)의 전방의 절결부(42)로부터 조작체(6)를 꺼내고, 그 조작체(6)와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필기체(5)를 전축(3)의 후단 개구부에서 꺼낸다. 그후, 새로운 필기체(5)에 연결상태에 있는 새로운 조작체(6)를 후축(4)의 절결부(42)로부터 창구멍(41)내로 삽입하고, 상기 새로운 조작체(6)가 연결상태에 있는 새로운 필기체(5)를 전축(3)의 후단 개구부로부터 전축(3) 내의 탄발체 지지부(8)의 내공(81)으로 삽입하면서 절결부(42)를 갖는 후축(4)의 전단부를 전축(3)의 계합구멍(32)에 삽입 걸어맞추며, 전축(3)과 후축(4)을 다시 연결상태(도 54 참조)로 한다. 이것에 의해 필기체(5) 및 조작체(6)의 교환이 종료된다.
[제10의 실시의 형태]
도 63 및 도 64에 본 발명의 제10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는, 전축(3)과 후축(4)으로 되는 축통(2)의내부에 3개의 필기체(6)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각각의 필기체(6)의 후단에는 조작체(7)이 부착된다. 상기 후축(4)의 후부측벽에는, 3개의 창구멍(41)이 등간격으로(즉, 원주방향으로 120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창구멍(41)으로부터 직경방향과 바깥쪽으로 조작체(7)의 조작부(71)가 돌출된다.
상기 후축(4)의 후단벽에는, 상기 각각의 창구멍(41)과 연통하는 개구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에 의해 상기 각각의 창구멍(41)이 후방으로 개구된다.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상기 조작체(7)와 연결상태에 있는 필기체(6)를 축통(2) 내로부터 제거가능하고, 또한 축통(2) 내로 삽입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축(4)의 후단부가, 상기 후방으로 개구된 각각의 창구멍(41)에 의해 직경방향에 3분할된다. 상기 3분할된 후축(4)의 후단부의 하나의 분할편에는, 클립(44)이 설치된다. 상기 이 클립(44)의 기부에 힌지부(52)에 의해 뚜껑부(5)가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상기 뚜껑부(5)의 전면에는, 2개의 계합부(53)(구체적으로는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구멍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3분할된 후축(4)의 후단부의 다른 2개의 분할편의 각각에는, 상기 2개의 계합부(53)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계합부(45)(구체적으로는 걸어맞춤 볼록부)가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계합부(53)의 내면에는 내향돌기가 형성되고, 한편 상기 각각의 피계합부(45)의 외면에는 상기 내향돌기와 압입 또는 나사 맞춤 가능한 외형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다른 구성은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1의 실시의 형태]
도 65 및 도 66에 본 발명의 제11의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는, 상기 제3의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이고, 상기 제3의 실시의 형태와 다른 점은, 후축(4) 후부의 측벽에 3개의 창구멍(41)과 하나의 클립이 등간격으로(즉, 원주방향으로 90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점과, 각각의 조작체(7)의 전측돌출부(72) 및 후측돌출부(73)의 횡단면 형상이 각각의 조작체(7)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경방향 안쪽으로 향하여 가늘게 되는 형상을 갖는 점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다른 구성은 제1의 실시의 형태 및 제10의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2의 실시의 형태]
도 67 및 도 68에 본 발명의 제12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필기구(1)는 전축(3)과 후축(4)으로 되는 축통(2)의 내부에, 4개의 필기체(6)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각각의 필기체(6)의 후단에는 조작체(7)가 부착된다. 상기 후축(4)의 후부 측벽에는, 4개의 창구멍(41)이 등간격으로(즉, 원주방향으로 90도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창구멍(41)으로부터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조작체(7)의 조작부(71)가 돌출된다.
상기 후축(4)의 후단벽에는, 상기 각각의 창구멍(41)과 연통하는 개구부(4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에 의해 상기 각각의 창구멍(41)이 후방으로 개구된 다. 상기 개구부(42)를 통하여 상기 조작체(7)는 연통상태에 있는 필기체(6)를 축통(2) 내로부터 제거가능하고, 또한 축통(2) 내로 삽입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축(4)의 후단부가, 상기 후방으로 개구된 각각의 창구멍(41)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4분할 된다.
상기 4분할된 후축(4)의 후단부의 하나의 분할편에는 클립(44)이 설치된다. 상기 클립(44)의 기부에는 힌지부(42)에 의해 뚜껑부(5)가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뚜껑부(5)의 전면에는, 3개의 계합부(53)(구체적으로는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구멍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4분할된 후축(4)의 후단부의 다른 3개의 분할편의 각각에는, 상기 3개의 계합부(53)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계합부(45)(구체적으로는 걸어맞춤 볼록부)가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계합부(53)의 내면에는 내향돌기가 형성되고, 한편 상기 각각의 피계합부(45)의 외면에는 상기 내향돌기와 압입 또는 나사 맞춤 가능한 외향돌기가 형성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는 제1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각각의 조작체(7)의 전측 돌출부(72) 및 후측 돌출부(73)의 횡단면 형상이 각각 조작체(7)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경방향 안쪽으로 항하여 가늘게 되는 형상이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다른 구성은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심 필기구용 리필)
도 57 내지 도 62에 본 발명의 다심 필기구용 리필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도 57 및 도 5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는 주로 볼펜 칩(2)과 잉크수용관(3)과 조작체(4)로 된다.
(볼펜 칩)
상기 볼펜 칩(2)은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볼이 안겨져 있다. 상기 볼펜 칩(2)은 금속제 세관의 선단에 안쪽으로의 압압변형에 의해 볼 받이 시트를 형성하는 타입 또는 금속제 본체의 선단의 내면에 절삭가공에 의해 볼받이 시트를 형성하는 타입의 어느것이라도 좋다.
상기 볼펜 칩(2)의 전단에는 펜 끝 건조방지용의 피복수지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피복수지는 필기사용 개시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제거된다.
또, 상기 볼펜 칩(2)은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안겨진 볼을 탄발체 등에 의해 전방으로 작동하고, 전단 가장자리부의 내면에 볼을 밀접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 상기 볼펜 칩(2)은 잉크수용관(3)의 전단개구부에 압입 등에 의해 직접 부착하여도 되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합성수지제의 펜 끝 보존부재(22)를 통하여 잉크수용관(3)의 전단개구부에 고착된다. 상기 펜 끝 보존부재(22)는 잉크색으로 착색된 합성수지의 성형체에 의해 얻어진다.
(조작체)
상기 잉크수용관(3)의 후단개구부에는, 조작체(4)가 부착된다. 상기 조작체(4)는, 조작부(43)와 전측 돌출부(44)와, 후측돌출부(45)와 끼워넣는부(46)와, 플랜지부(47)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43)는, 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축통(6)의 창구멍(8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후측돌출부(45)는, 상기 조작부(43)의 반대측에 설치된다. 상기 전측 돌출부(44)는, 상기 조작부(43)의 반대측의 후측돌 출부(45)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끼워넣는부(46)는, 조작체(4)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잉크수용관(3)의 후단 개구부에 끼워넣어진다. 상기 플랜지부(47)는 상기 끼워넣는부(46)의 후방에 형성된다.
상기 끼워넣는부(46)는 잉크수용관(3)의 후단 개구부에 끼워넣어졌을 때, 잉크수용관(3)의 후단 개구부를 완전하게는 막지 않고, 잉크수용관(3)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 플랜지부(47)의 전면에는 탄발체(10)의 후단이 걸려진다.
(대경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조작부(43)와 전측돌출부(44)와 후측돌출부(45)에 의해, 하나의 대경부(41)가 구성된다. 상기 대경부(41)의 직경방향치수 A는, 잉크수용관(3)의 외경 B보다 크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대경부(41)의 직경방향 치수 A는 잉크수용관(3)의 외경 B의 2배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경부(41)는 양면(즉, 표면과 이면)에 평면부(41a)를 구비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판상의 대경부(41)는 잉크수용관(3)의 외경과 거의 같은 두께치수를 갖는다. 또, 상기 조작체(4)의 양쪽의 측벽(대경부(41)의 평면부(41a))에는 빠짐방지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빠짐방지돌기는 창구멍(81)의 양쪽의 측벽 내면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또, 플랜지부(47)와 대경부(41)의 사이(즉, 플랜지부(47)의 후방 또한 대경부(41)의 전방)에는 대경부(41)보다 직경방향치수가 작은 소경부(42)가 형성된다. 또, 상기 소경부(42)는 잉크수용관(3)의 외경 B보다 작은 직경방향치수를 갖는다. 그것에 의해, 조작체(4)를 눈으로 확인한 때, 대경부(41)를 보다 한층 두드러지게 할 수 있고, 대경부(41)와 소경부(42)가 깃발과 깃대와 같이 시각(視覺)되며 잉크색 표시부로서의 조작체(4)의 외관성이 향상된다.
상기 조작체(4)는 연결되는 잉크수용관(3)의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작체(4)는 연결되는 잉크수용관(3) 내의 잉크의 색과 거의 같은 색으로 착색되는 합성수지의 성형체로 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조작체(4)는, 잉크색 표시부로 된다. 예컨대 상기 조작체(4)는 내부에 흑색잉크가 수용된 잉크수용관(3)에 연결하는 조작체(4)는 흑색으로 착색되고, 내부에 청색잉크가 수용된 잉크수용관(3)에 연결하는 조작체(4)는 청색으로 착색되며, 내부에 적색잉크가 수용된 잉크수용관(3)에 연결하는 조작체(4)는 적색으로 착색되고, 내부에 녹색잉크가 수용된 잉크수용관(3)에 연결하는 조작체(4)는 녹색으로 착색된다.
(잉크수용관)
잉크수용관(3)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에 의해 얻어지고, 양단이 개구된 직원통체로 된다. 상기 잉크수용관(3)의 내부에는 전단감점성을 갖는 수성의 염료잉크가 수용되고, 상기 잉크의 후단에는 잉크의 소비에 따라 전진하는 고점도유체로 되는 추종체가 충전된다.
(시인면적)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조작체(4)의 면적이 가장 크게 시인(視認)되는 상태는, 상기 대경부(41)의 평면부(41a)를 보고 확인하는 경우(도 57의 상태)이다. 상 기 도 57의 상태에 있어서, 조작체(4)의 시인면적은, 잉크수용관(3)의 시인면적의 38%에 설정되어 있다.
(포장 백)
도 59 및 도 60에, 도 57 및 도 58의 다심 필기구(1)를 포장 백(5)에 수용한 상태를 표시한다. 다심 필기구(1)는 투명재료(투명 플라스틱 필름)로 되는 장방형 형상의 포장백(5)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하나의 포장백(5)에 대하여 하나의 다심 필기구(1)가 수용되고, 그것에 의해 사용자가 기호하는 잉크색의 리필을 자유롭게 조합하여 다심 필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장백(5)에 일단에 매다는 구멍(51)이 형성된다. 상기 매다는 구멍(51)의 주위의 포장백(5) 표면(즉, 매다는 구멍(51)을 구비한 헤더부)에는 인쇄에 의해 내부에 수용한 다심 필기구(1)의 잉크색으로 착색된 착색부(52)가 설치된다.
도 5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다심 필기구(1)를 포장백(5)내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조작체(4)는 매다는 구멍(51)측에 위치되고, 한편 볼펜 칩(2)은 그 매다는 구멍(51)측과 반대측에 위치된다. 그 때문에, 포장백(5)을 매다는 상태로 하면, 볼펜 칩(2) 측이 하향으로 되고, 위쪽에 조작체(4)가 위치하게 된다.
도 6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다심 필기구(1)를 포장백(5) 내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볼펜 칩(2)은 매다는 구멍(51)측에 위치되고, 한편 조작체(4)는 그 매다는 구멍(51)측과 반대측에 위치된다. 그 때문에 포장백(5)을 매다는 상태로 하면 볼펜칩(2) 측이 상향으로 되고, 아래 쪽에 조작체(4)가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볼펜 칩(2)의 선단으로부터 잉크가 누출될 우려가 없다. 또, 도 60의 경우, 포장백(5)의 매다는 구멍(51)과 반대측의 단부가 볼펜 칩(2)의 선단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다. 또, 도 60의 경우, 포장백(5)의 매다는 구멍(51)과 반대측의 단부에 개폐구를 설치함으로써, 포장백(5)의 개폐구를 통하여 리필을 출입할 때, 조작체(4)로부터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고, 볼펜 칩(2) 선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심 필기구(1)를 포장백(5) 내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조작체(4)의 판상의 대경부(41)의 평면부(41a)(최대시인연적)는, 포장백(5)의 외부정면으로부터 보고확인되는 방향에 배치된다. 그것에 의해 조작체(4)가 수용된 부분의 포장백(5)의 두께가 증가될 우려가 없고, 한정된 보관스페이스에 다심 필기구(1)가 들어간 다수의 포장백(5)을 겹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 상기 매다는 진열상태에 있는 다심 필기구(1)가 들어있는 포장백(5)을 사용자가 구입할 때,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4) 및 착색부(52)를 동시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잉크색의 식별이 비교적 떨어진 위치로부터에서도 가능하게 된다.
도 61에 본 실시의 형태의 다심 필기구(1)를 다심 필기구 축통(6) 내에 수용한 상태를 표시한다.
다심 필기구는, 축통(6) 내에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잉크색이 서로 다른 다심 필기구(1)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다심 필기구(1)는 탄발체(10)(구체적으로는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후방으로 작동되어 있다.
상기 축통(6)은 끝이 가는 형상의 원통체로 되는 전축(7)과, 이 전축(7)의 후단부와 나사맞춤 또는 압입에 의해 부착되는 원통상의 후축(8)으로 된다. 상기 전축(7)의 전단에는, 다심 필기구(1)의 볼펜 칩(2)이 돌출가능한 전단구멍(71)이 축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전축(7) 및 후축(8)은 합성수지(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후축(8)의 후부의 측벽에는, 복수개(구체적으로는 2개)의 전후방향으로 뻗는 가늘고 긴 형상의 창구멍(81)이 직경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2개의 창구멍(81)은 서로 축선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 상기 후축(8)의 후단부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개구하는 개구부(8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82)는 후축(8)의 후단(즉, 축통(6)의 후단)에서 창구멍(81)과 연통되고, 그것에 의해 창구멍(81) 후단이 후방으로 절결되며, 후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창구멍(81)의 전단은 상시 폐쇄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창구멍(81)으로부터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각각의 조작체(4)의 조작부(43)가 돌출된다.
또, 상기 후축(8)의 창구멍(81)의 상호간의 측벽 내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리브로 되는 계지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계지벽부에 펜 끝이 돌출한 때의 다심 필기구(1)의 조작체(4)의 후단이 걸려진다.
상기 후단(8)의 창구멍(81)의 상호간의 측벽 외면에는 클립(83)이 설치된다.
상기 후축(8)의 후단부에는, 상기 개구부(82)를 개폐가 자유롭게 하는 뚜껑부(9)가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상기 뚜껑부(9)의 일단부는 클립기부에 힌지부(92)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된다. 상기 힌지부(2)는 펜 끝 하향으로 클립(83)을 정면에서 본 때의 클립(83)의 좌우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되며, 그것에 의해, 상기 뚜껑부(9)는 대략 전후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상기 뚜껑부(9)의 전면에는, 접촉벽부(91)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벽부(91)에 몰입상태의 다심 필기구(1)의 후단에 연결된 각각의 조작체(4)의 후단이 충돌정지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힌지부(92)는 구체적으로는 회동축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으나, 이것이외에도, 굴곡변형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연결부 또는 얇은 두께부에 의해 일체로 접속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상기 뚜껑부(9)의 타단부의 전면에는, 계합부(93)가 설치된다(구체적으로는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구멍부가 형성된다). 후축(8)의 후단에는, 상기 계합부(93)와 걸어맞춤 가능한 피계합부(84)가 설치된다(구체적으로는 걸어맞춤 볼록부가 돌출설치된다). 상기 계합부(93)(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구멍부)의 내면에는 내향돌기가 형성되고, 한편 상기 피계합부(84)(걸어맞춤 볼록부)의 외면에는 상기 내향돌기와 압입 또는 나사 맞춤 가능한 외향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계합부(93)와 상기 피계합부(84)는 뚜껑부(9)가 개구부(82)를 폐쇄한 때, 서로 걸어맞춤 상태에 있고(구체적으로는 내향돌기와 외향돌기가 타고넘어 걸림상태에 있고) 탄발체(10)의 후방으로의 작동에 의해 조작체(4)와 뚜껑부(9) 전면의 접촉벽부(91)와의 접촉에서는, 그 걸어맞춤 상태는 해제되지 않으며, 뚜껑부(9) 가 열리는 일은 없다.
또, 상기 계합부(93)와 피계합부(84)의 구성이외에도, 상기 계합부(93)가 걸어맞춤 볼록부로 되고, 상기 피계합부(84)가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구멍부로 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다심 필기구(1)의 펜 끝이 몰입 상태일 때, 그 다심 필기구(1)의 후단에 있는 조작체(4)의 후단부는 뚜껑부(9)의 전면에 형성된 접촉벽부(91)에 충돌정지된다. 한편, 다심 필기구(1)의 펜 끝이 돌출상태일 때, 그 다심 필기구(1)의 후단에 있는 조작체(4)의 후단부는, 축통(6)의 내벽에 형성된 계지벽부에 걸려진다.
펜 끝 몰입상태에 있는 다심 필기구(1)의 후단에 있는 조작체(4)의 전측 돌출부(44)는, 그 조작체(4)의 조작부(43)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때, 앞서 돌출상태에 있는 다른 다심 필기구(1)의 후단에 연결된 조작체(4)의 후측돌출부(45)와 접촉되고, 다른 다심 필기구(1)의 펜 끝 돌출상태가 해제된다.
(탄발체 지지부)
축통(6)의 내벽(즉, 후축(8)의 내벽)에는, 원통상의 탄발체 지지부(11)가 설치된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11)는 다심 필기구(1)의 잉크수용관(3)이 삽통되는 복수(구체적으로는 2개)의 내공(111)이 축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발체 지지부(11)의 후면과, 각각의 조작체(4)의 플랜지부(47)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탄발체(10)가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10)의 내부에 다심 필기구(1)의 잉크수용관(3)이 삽입되는 동시에 각각의 탄발체(10)의 전단은 탄발체 지지부(11)의 후면에 의해 걸려지고, 각각의 탄발체(10)의 후단은 조작체(4)의 플랜지부(47)의 전면에 걸려진다.
또, 탄발체 지지부(11)의 후면의 각각의 내공(111)의 주위에는 원주상 벽부로 되는 보존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보존부(112)의 내면은, 각각의 탄발체(10)의 전단부 외면이 압입 보존된다. 그것에 의해 각각의 다심 필기구(1)를 교환할 때, 축통(6) 내로부터 개구부(82)를 통하여 각각의 탄발체(1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10)는, 각각의 조작체(4)(즉, 각각의 다심 필기구(1)를 상시 후방으로 작동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탄발체(10)는 펜 끝 돌출상태 및 펜 끝 몰입상태의 어느 경우에서도 압축상태(즉, 다심 필기구(1)가 후방으로 작동된 상태)에 있고, 그것에 의해 각각의 조작체(4)의 전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리필의 교환)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다심 필기구용 리필(도 57 및 도 58 참조)의 교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심 필기구(1)를 교환할 때, 뚜껑부(9)가 축통(6)의 후단의 개구부(82)를 폐쇄한 상태로부터, 뚜껑부(9)의 힌지부(92)와 반대측의 조작단부를 후방으로 압압하고, 계합부(93)와 피계합부(83)와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며, 뚜껑부(9)를 후방으로 회동시키고, 축통(6)의 후단의 개구부(82)를 개구한다(도 62 참조). 상기 개구부(82)를 개구시키면, 상기 개구부(82)로부터 각각의 조작체(4)가 탄발체(10)의 후방 작동에 의해 후방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축통(6)의 후단의 개구부(82)가 개구한 상태(도 62의 상태)에서, 조작체(4)를 꺼냄으로써, 다심 필기구(1)를 상기 개구부(82)를 통하여 축통(6) 내로부터 꺼내고, 그 후 서로 연결상태에 있는 새로운 다심 필기구(1)를 상기 개구부(82)를 통하여 축통(6) 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뚜껑부(9)의 접촉벽부(91)에 각각의 조작체(4)를 접촉시키고, 각각의 조작체(4)를 전방으로 압압하면서 뚜껑부(9)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며, 그 후 계합부(93)와 피계합부(84)를 걸어 맞추고, 개구부(82)를 폐쇄한다. 그것에 의해 다심 필기구(1)의 교환작업이 종료된다.
청구항 1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기호하는 필기체로 교환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체도, 그 필기체에 적정하게 대응한 것으로 교환할 수 있고, 필기체와 조작체와의 잘못된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은 작은 부품의 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신속 또한 확실한 교환작업을 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기호하는 필기체로 교환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체도 그 필기체에 적정하게 대응한 것으로 교환할 수 있고, 필기체와 조작체와의 잘못된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은 작은 부품의 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신속 또한 확실한 교환작업을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작업이 단순하게 되고, 그 교환작업을 신속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작업이 보다 한층 단순하게 되고 어떤 사용자에서도 그 교환작업을 신속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필기체와 조작체를 연결상태로 사용자에 제공하면 사용자가 필기체와 조작체를 연결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고, 필기체의 교환시 필기체와 그 필기체에 대응한 조작체를 잘못하여 연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작업이 단순하게 되고, 그 교환작업을 신속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조작체의 교환시에 축통 후단의 개구부를 충분히 크게 개구할 수 있고 조작체를 축통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개구부를 개구한 때 축통 후단의 개구부를 하향으로 하지 않아도 조작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조작체를 축통내로부터 제거할 때, 탄발체가 축통내로부터 외부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가이드부에 의해 조작체를 부적정한 방향에서 축통내로 삽입하는 것을 억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뚜껑부를 설치한 것에 의해 개구부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조작체의 교환시에 접촉벽부를 조작체와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이동시키고 축통 후단의 개구부를 충분히 크게 개구할 수 있으며, 조작체를 축통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개구부를 뚜껑부로 폐쇄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3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펜 끝 돌출조작하는 필기체의 잉크색을 축통의 창구멍으로부터 노출하는 조작부에 의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뚜껑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뚜껑부가 개구부를 용이하게 개구시킬 수 있는 동시에 뚜껑부가 개구부를 확실하게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16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개구부를 확실하게 폐쇄할 수 있다.
청구항 17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축통의 후단부의 직경방향 바깥쪽으로의 확대개방의 변형을 방치할 수 있다.
청구항 18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뚜껑부와 축통의 후단부와의 안정된 부착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19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상기 축통의 후단부의 직경방향 바깥쪽으로의 확대개방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0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뚜껑부의 계합부를 후축의 후단부에 피계합부에 걸어 맞춘 때, 축통의 후단부가 직경방향 안쪽으로 변형하는 것을 충분히 억지할 수 있다.
청구항 21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뚜껑부를 축통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크게 돌출시킬 필요가 없다.
청구항 22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계합부와 피계합부의 걸어 맞춤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보다 한층 안정된 걸어 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23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계합부와 피계합부의 걸어 맞춤 량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보다 한층 안정된 걸어 맞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24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기호하는 필기체로 교환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체도 그 필기체에 적정하게 대응한 것으로 교환할 수 있고, 필기체와 조작체와의 잘못된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은 작은 부품의 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신속 또한 확실한 교환작업을 할 수 있다.
청구항 25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창구멍의 주벽의 분리개소를 통하여 조작체 및 필기체가 교환가능하게 되고, 사용자가 기호하는 필기체로 교환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체도 그 필기체에 적정하게 대응한 것으로 교환할 수 있으며, 필기체와 조작체와의 잘못된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작업이 단순하게 되고 그 교환작업을 신속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6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조작체의 교환시에 창구멍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작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된 창구멍을 통하여 축통내로부터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조작체의 교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27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필기사용시 뚜껑부를 축통의 후단부의 측벽에 부착함으로써 축통의 후단부의 측벽이 직경방향으로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8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작업이 보다 한층, 단순하게 되고, 어떤 사용자에서도 그 교환작업을 신속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필기체와 조작체를 연결상태로 사용자에 제공하면 사용자가 필기체와 조작체를 연결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고, 필기체의 교환시, 필기체와 그 필기체에 대응한 조작체를 잘못하여 연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9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기호하는 필기체로 교환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체도, 그 필기체에 적정하게 대응한 것으로 교환할 수 있고, 필기체와 조작체와의 잘못된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은 작은 부품의 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신속 또한 확실한 교환작업을 할 수 있다.
청구항 30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필기체 및 조작체의 교환작업이 보다 한층, 단순하게 되고, 어떤 사용자에서도 그 교환작업을 신속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필기체와 조작체를 연결상태로 사용자에 제공하면 사용자가 필기체와 조작체를 연결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고, 필기체의 교환시 필기체와 그 필기체에 대응한 조작체를 잘못하여 연결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1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후축의 전단부의 직경방향 안쪽으로의 변형 및 직경방향 바깥쪽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2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계합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3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조작체를 축통내로부터 제거할 때, 탄발체가 축통내로부터 외부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4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색의 식별이 용이하게 되고, 비교적 떨어진 위치로부터에서도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소망하는 잉크색과 다른 리필을 선택해버릴 우려가 없다.
청구항 35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대경부에 대면적의 잉크색 표시부를 구성할 수 있고 잉크색의 식별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6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대경부에 대면적의 잉크색 표시부를 구성할 수 있고, 잉크색의 식별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37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대면적의 잉크색 표시부를 효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38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조작체의 외관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39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보다 한층 잉크색의 식별이 확실하게 된다.
청구항 40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를 용이하게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구입하기 전까지 조작체가 잉크수용관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1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조작체가 수용된 부분의 포장 백의 두께가 증가할 우려가 없고 한정된 보관 스페이스에 다심 필기구이 들어간 다수의 포장 백을 겹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청구항 42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조작체가 수용된 부분의 포장 백의 두께가 증가할 우려가 없고 한정된 보관 스페이스에 다심 필기구이 들어간 다수의 포장 백을 겹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청구항 43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포장 백이 매달린 상태일 때, 펜 끝이 하향으로 되고 잉크수용관 내의 잉크의 후퇴를 방지하는 동시에 조작체가 위쪽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구입시 조작체의 잉크색 표시를 식별하면서 포장 백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44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포장 백이 매달린 상태일 때, 펜 끝이 상향으로 되고 볼펜 칩의 선단으로부터의 잉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5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색의 식별이 한층 용이하게 되고, 비교적 떨어진 위치로부터에서도 잉크색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6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잉크색으로 착색된 조작체가 색체적인 악센트로서 뛰어나며 리필 전체의 외관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47의 다심 필기구에 의하면 조작체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기사용 개시할 때까지 펜 끝의 건조를 방지하고 적정하게 보관할 수 있다.

Claims (47)

  1. 축통내에 복수의 필기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고, 상기 각각의 필기체를 탄발체에 의해 후방으로 작동하며, 상기 각각의 필기체의 후단에, 각각의 필기체에 대응한 조작체를 연결하고, 축통의 측벽에 전후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창구멍을 직경방향으로 관통설치하며, 상기 각각의 창구멍으로부터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상기 각각의 조작체를 돌출시키고, 하나의 조작체를 창구멍에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그 하나의 조작체에 연결된 필기체의 펜 끝을 축통의 전단구멍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동시에, 앞서 돌출상태에 있었던 다른 필기체의 펜 끝을 축통내에 몰입시키는 다심 필기구로서, 각각의 필기체를 축통내로부터 제거교환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축통의 후단에, 창구멍을 후방에 개구시킨 개폐가 자유로운 개구부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조작체를, 축통내로부터 제거 또는 축통내에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다심 필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필기체 및 조작체를, 축통내로부터 제거 또는 축통내로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다심 필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필기체와 조작체를 연결상태에서, 축통 내로부터 제거 또는 축통 내에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다심 필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체와 조작체를 연결상태에서, 축통내로부터 제거 또는 축통 내에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다심 필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때, 몰입상태의 필기체의 조작체가 접촉가능한 접촉벽부를 축통의 후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개구한 때, 상기 접촉벽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축통의 후단부로부터 제거되는 다심 필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구한 때, 탄발체의 후방으로의 작동에 의해 몰입상태의 조작체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다심 필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의 내벽에 탄발체의 전단이 축 방향으로 접촉하는 탄발체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탄발체 지지부에, 탄발체의 전단부를 직경방향으로 보존하는 L형 홈을 가진 보존부를 형성한 다심 필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축통의 후단부의 개구부의 내벽의 양측에, 조작체의 측면의 삽입시의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다심 필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의 후단부에, 상기 개구부의 개폐가 자유로운 뚜껑부를 설치한 다심 필기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전면에, 몰입상태의 필기체의 조작체가 접촉가능한 접촉벽부를 형성한 다심 필기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뚜껑부가 조작체를 전방으로 압압하여 되는 다심 필기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조작체를 연결되는 필기체의 내부에 수용된 잉크의 색으로 착색한 다심 필기구.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일단부가, 축통의 후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다심 필기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타단부에 계합부를 설치하고, 축통의 후단부에 상기 뚜껑부의 계합부와 착탈이 자유로운 피계합부를 설치한 다심 필기구.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뚜껑부를 축통의 후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나사 붙임한 다심 필기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설치하고, 상기 축통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맞춤 가능한 숫나사부를 설치한 다심 필기구.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에 2개 이상의 계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부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분할된 축통의 후단부의 각각에, 상기 계합부가 걸어맞춤 가능한 피계합부를 설치한 다심 필기구.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계합부를 뚜껑부의 내면에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피계합부를 축통의 후단부의 외면에 설치한 다심 필기구.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접촉벽부를 삽입배치하고, 상기 접촉벽부가 상기 개구부 내벽의 안쪽변형을 규제하여 되는 다심 필기구.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가,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2개 이상의 각편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각편의 직경방향 내면에 계합부를 형성하며, 한편, 상기 축통의 후단부의 각각의 측벽의 직경방향 외면에, 상기 계합부와 축 방향으로 압입 또는 나사맞춤 가능한 피계합부를 형성한 다심 필기구.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가,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2개 이상의 각편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각편의 직경방향 내면에 계합부를 형성하며, 한편, 상기 축통의 후단의 개구부의 양측에, 상기 계합부와 직경방향으로 슬라이드 걸어맞춤 가능한 피계합부를 형성한 다심 필기구.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직경방향의 양측에 형성한 2개의 계합부를 구비하고, 한편, 상기 축통의 후단의 개구부의 양측에 피계합부를 형성하며, 상기 계합부와 상기 피계합부가 축통의 후단부에 대하여 뚜껑부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계합가능한 다심 필기구.
  24. 제 1항에 있어서,
    창구멍의 주벽의 일개소 이상을 직경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창구멍의 주벽의 일개소 이상을 직경방향으로 분리한 때, 상기 창구멍의 주벽의 분리개소를 통하여 조작체를, 축통내로부터 제거 또는 축통 내에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다심 필기구.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창구멍의 주벽의 분리개소를 통하여 조작체 및 필기체를, 축통내로부터 제거 또는 축통 내에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다심 필기구.
  26. 제 24항에 있어서,
    창구멍의 주벽의 전단 또는 후단을 직경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창구멍의 주벽의 전단 또는 후단을 직경방향으로 분리함으로써, 창구멍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개방하여 되는 다심 필기구.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창구멍의 주벽후단이 직경방향으로 분리됨에 따라, 축통의 후단부의 측벽이 직경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축통의 후단부의 측벽에 뚜껑부를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상기 축통의 후단부의 측벽에 부착한 뚜껑부에 의해, 축통의 후단부의 측벽이 합체 상태로 보존되는 다심 필기구.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와 필기체를 연결상태에서, 축통내로부터 제거가능하게 또한 축통내로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다심 필기구.
  29. 제 1항에 있어서,
    축통이, 전단구멍을 구비한 전축과, 상기 전축의 후단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후측으로 되고, 상기 후축이 창구멍과 이 창구멍을 전방으로 개구시키는 절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후축을 전축으로부터 분리한 때에 상기 절결부를 통하여 조작체를 축통내로부터 제거 또는 축통내로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다심 필기구.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와 필기체를 연결상태에서, 축통내로부터 제거 또는 축통내에 삽입가능하게 구성한 다심 필기구.
  31. 제 29항에 있어서,
    후축의 전단부가 절결부에 의해 복수로 분할되고, 전축의 내부에, 상기 후축 의 전단부가 삽입가능한 복수의 계합구멍을 설치한 다심 필기구.
  32. 제 31항에 있어서,
    전축의 내벽에, 탄발체의 전단이 축 방향으로 접촉하는 탄발체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탄발체 지지부 외벽과 전축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계합구멍을 형성한 다심 필기구.
  33.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축의 내벽에, 탄발체의 전단이 축 방향으로 접촉하는 탄발체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탄발체 지지부에, 탄발체의 전단부를 직경방향으로 보존하는 보존부를 형성한 다심 필기구.
  34.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시에 축통내에 복수개가 수용되고, 각각의 후단에 연결한 조작체를 축통의 측벽으로부터 돌출시키며, 상기 조작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축통의 전단으로부터 펜 끝을 출몰시키는 다심 필기구로서, 축통 내에 수용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전단에 볼이 회전 가능하게 안겨진 볼펜 칩과, 이 볼펜 칩이 전단에 고착되고, 또한 내부에 잉크가 수용된 잉크수용관과, 이 잉크수용관의 후단에 연결되며 또한 잉크수용관내의 잉크의 색으로 착색된 조작체로 되는 다심 필기구.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소경부와 이 소경부보다 직경방향 치수가 큰 대경부를 구비하는 다심 필기구.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가, 잉크수용관의 외경보다 직경방향 치수가 큰 다심 필기구.
  37.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가 양면에 평면부를 구비한 판상인 다심 필기구.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가 조작체의 후부에 설치되는 다심 필기구.
  39.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면적이 가장 크게 보고 확인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보고 확인한 면적이 잉크수용관의 보고 확인한 면적의 10% 이상으로 설정되는 다심 필기구.
  40. 제 34항에 있어서,
    투명재료로 되는 포장 백에 수용되어 되는 다심 필기구.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백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최대로 보고 확인한 면적을 포장 백의 외부정면에서 확인가능한 다심 필기구.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잉크수용관의 외경보다 직경방향 치수가 큰 대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경부가 양면에 평면부를 구비한 판상이며, 상기 포장 백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대경부의 평면부가 포장 백의 외부정면에서 확인 가능한 다심 필기구.
  43.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백이 일단에 매다는 구명을 구비하고, 상기 포장 백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매다는 구멍 측에 조작체가 배치되는 다심 필기구.
  44.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백이 일단에 매다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포장 백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매다는 구멍 측에 볼펜 칩이 배치되는 다심 필기구.
  45.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백이 일단에 매다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매다는 구멍 근방의 포장 백의 표면에, 잉크수용관내의 잉크의 색으로 착색한 착색부를 설치한 다심 필기구.
  4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수용관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잉크수용관내에 수용되는 잉크가 염료잉크인 다심 필기구.
  47.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볼펜 칩의 전단에 펜 끝 건조방지용의 피복수지가 고착되어 되는 다심 필기구.
KR1020060028261A 2005-03-29 2006-03-29 다심 필기구 KR100979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94157 2005-03-29
JPJP-P-2005-00094157 2005-03-29
JPJP-P-2005-00200229 2005-07-08
JP2005200246A JP2007015277A (ja) 2005-07-08 2005-07-08 多芯筆記具
JP2005200229A JP4754285B2 (ja) 2005-07-08 2005-07-08 多芯筆記具
JP2005200218A JP4689378B2 (ja) 2005-07-08 2005-07-08 多芯筆記具
JP2005200245A JP2007015276A (ja) 2005-07-08 2005-07-08 多芯筆記具
JPJP-P-2005-00200217 2005-07-08
JPJP-P-2005-00200218 2005-07-08
JPJP-P-2005-00200245 2005-07-08
JP2005200217 2005-07-08
JPJP-P-2005-00200246 2005-07-08
JPJP-P-2005-00204953 2005-07-13
JP2005204953 2005-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515A KR20060105515A (ko) 2006-10-11
KR100979323B1 true KR100979323B1 (ko) 2010-08-31

Family

ID=3660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261A KR100979323B1 (ko) 2005-03-29 2006-03-29 다심 필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46777B2 (ko)
EP (1) EP1707400B1 (ko)
KR (1) KR100979323B1 (ko)
ES (1) ES2402196T3 (ko)
HK (1) HK1094885A1 (ko)
SG (1) SG126126A1 (ko)
TW (1) TWI3232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0862B2 (en) * 2006-05-26 2011-05-31 Youngtack Shim Multicolor writing tools and methods
BRPI0807388A8 (pt) * 2007-02-26 2016-03-22 Kk Pilot Corporation Also Trading As Pilot Corporation Instrumento de escrita termocromática
WO2009070166A1 (en) * 2007-11-29 2009-06-04 Mika Jeanne M Multi-purpose pen
TWM376431U (en) * 2009-10-13 2010-03-21 Waltop Int Corp Electromagnetic whiteboard pen
US20120194457A1 (en) * 2011-01-28 2012-08-02 Bruce Cannon Identifiable Object and a System for Identifying an Object by an Electronic Device
US9597921B2 (en) * 2012-07-23 2017-03-21 Benjamin Branch Apparatus for selectably providing multiple colors of ink from a marker pen
US20170144473A1 (en) * 2012-07-23 2017-05-25 Benjamin Branch Apparatus for selectably providing multiple colors of ink from a marker pen
CN103204015B (zh) * 2013-04-25 2016-01-20 徐士杰 一种随意更换软硬铅芯的自动铅笔
WO2016121478A1 (ja) * 2015-01-30 2016-08-04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CN107949822B (zh) * 2015-09-10 2021-05-07 株式会社和冠 电子笔及电子笔用主体部
FR3076254B1 (fr) * 2017-12-28 2020-01-10 Societe Bic Instrument d'ecriture rechargeable
JP7146393B2 (ja) * 2017-12-28 2022-10-0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
EP3575103B1 (en) * 2018-05-31 2022-04-27 Société BIC Multifunctional writing instrument
KR102488305B1 (ko) * 2018-06-11 2023-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638659B (zh) * 2018-08-29 2023-06-16 三菱铅笔株式会社 具备笔芯的书写工具
US11186115B2 (en) 2019-01-15 2021-11-30 Armin Arminak One-hand operated multi-pencil
US10618343B1 (en) * 2019-01-15 2020-04-14 Armin Arminak One-hand operated multi-pencil
EP3725538B1 (en) * 2019-04-16 2022-07-27 Société BIC Multifunction writing instrument
EP3970986A1 (en) * 2020-09-22 2022-03-23 Société BIC Writing instrument with multiple colors with improved replacement of cartridges
JP2022092901A (ja) * 2020-12-11 2022-06-23 ゼブラ株式会社 出没式筆記具
EP4205993A1 (en) 2021-12-30 2023-07-05 Société BIC Slim writing implement with laterally offset return sp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5091A (ja) * 1995-09-29 1997-04-08 Sailor Pen Co Ltd:The 多芯筆記具
JPH09207494A (ja) * 1996-01-31 1997-08-12 Pentel Kk 多芯式筆記具
JPH1044685A (ja) 1995-07-31 1998-02-17 Pentel Kk 多芯筆記具
JP2004358725A (ja) 2003-06-03 2004-12-24 Pilot Corporation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78390A (en) 1944-04-07 1946-06-26 Ernst Jacob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untain pens
US2561824A (en) * 1948-12-10 1951-07-24 Schmieglitz Willy Multicolor pencil
DE1885162U (de) 1963-09-04 1963-12-27 Walter Naegele Wechselschreibstift.
DE1461321A1 (de) * 1964-07-16 1968-12-05 Radiant Pen Corp Mehrfarben-Schreibgeraet
GB1134939A (en) 1965-05-25 1968-11-27 Major Spa Return springs arrangement in ball point pens with refills of several colours
DE1561861A1 (de) 1967-08-02 1970-10-08 Schmidt Feinmech Mehrfachschreiber,insbesondere Mehrfarbenkugelschreiber
US3912401A (en) * 1973-01-13 1975-10-14 Nathan A Zepell Mechanical writing instrument
US3871775A (en) * 1973-11-20 1975-03-18 Nathan A Zepell Mechanical writing instrument
US3898008A (en) 1974-01-28 1975-08-05 Chromatic Corp Writing instrument
DE2644958A1 (de) 1975-10-08 1977-04-21 Major S P A Vorrichtung zum abwechselnden vorschieben der schreibspitzen eines mehrfarbenschreibgeraetes und damit versehenes mehrfarbenschreibgeraet
DE2552975A1 (de) 1975-11-26 1977-06-02 Huck Fa H Kugelschreibergehaeuse zur aufnahme mehrerer kugelschreiberminen
FR2358993A1 (fr) * 1976-07-20 1978-02-17 Interlight Instrument d'ecriture
CH656839A5 (en) 1982-09-09 1986-07-31 Ah Josef Von Ballpoint pen with two colours which can be switched at the same time as each other
DE3405543A1 (de) 1984-02-16 1985-08-22 Roland 7744 Königsfeld Jäckle Wechselminenschreibstift
JPS641596A (en) 1987-03-11 1989-01-05 Fuji Sangyo Kk Writing implement
FR2616108A1 (fr) 1987-06-04 1988-12-09 Pcl Sa Instrument d'ecriture comportant un corps et un capuchon articule sur ce corps
JP3792265B2 (ja) 1995-01-13 2006-07-05 パイロット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複合筆記具
US5749663A (en) * 1995-07-31 1998-05-12 Pentel Kabushiki Kaisha Multiplex writing instrument
JPH10264587A (ja) 1996-11-12 1998-10-06 Mitsubishi Pencil Co Ltd 複式筆記具
JPH11208186A (ja) 1998-01-26 1999-08-03 Kotobuki:Kk 複合筆記具
CN2366284Y (zh) 1999-04-27 2000-03-01 郭俊良 可装置多种笔芯的笔
JP3168200B2 (ja) 1999-10-28 2001-05-21 ゼブラ株式会社 出没式多色筆記具
TW413153U (en) 2000-02-02 2000-11-21 Ye Huei Wen Improved structure of tube seat on single barrel with multiple tubes
JP4549478B2 (ja) 2000-02-29 2010-09-22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CN2488695Y (zh) 2001-06-15 2002-05-01 金碧华 多芯笔
JP4678997B2 (ja) 2001-06-29 2011-04-27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式の複合筆記具
JP2003011584A (ja) 2001-07-02 2003-01-15 Mitsubishi Pencil Co Ltd ノック式繰り出しボールペン
JP3939196B2 (ja) * 2002-05-17 2007-07-04 株式会社トンボ鉛筆 筆記具
JP4072907B2 (ja) 2003-08-22 2008-04-09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多芯筆記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4685A (ja) 1995-07-31 1998-02-17 Pentel Kk 多芯筆記具
JPH0995091A (ja) * 1995-09-29 1997-04-08 Sailor Pen Co Ltd:The 多芯筆記具
JPH09207494A (ja) * 1996-01-31 1997-08-12 Pentel Kk 多芯式筆記具
JP2004358725A (ja) 2003-06-03 2004-12-24 Pilot Corporation スライド式の多芯筆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22437A1 (en) 2006-10-05
KR20060105515A (ko) 2006-10-11
TWI323224B (en) 2010-04-11
ES2402196T3 (es) 2013-04-29
US7946777B2 (en) 2011-05-24
HK1094885A1 (en) 2007-04-13
EP1707400A2 (en) 2006-10-04
SG126126A1 (en) 2006-10-30
EP1707400A3 (en) 2010-12-29
EP1707400B1 (en) 2013-03-13
TW200640709A (en)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323B1 (ko) 다심 필기구
JP2007038635A (ja) 多芯筆記具
CN100577443C (zh) 多芯书写工具
JP4689378B2 (ja) 多芯筆記具
JP2007015275A (ja) 多芯筆記具
JP2007045139A (ja) 多芯筆記具用レフィル
JP5221283B2 (ja) 多芯筆記具
JP2008073934A (ja) 多芯筆記具及びそれに用いる筆記体
JP5286031B2 (ja) 多芯筆記具
JP4674131B2 (ja) 多芯筆記具
JP2007055164A (ja) 組立式筆記具
JP4754295B2 (ja) 多芯筆記具
JP6915962B2 (ja) 筆記具
JP5389709B2 (ja) 筆記具用インキ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用いた筆記具
JP3143310U (ja) 多芯筆記具
JP5079891B2 (ja) 多芯筆記具
JP4754289B2 (ja) 多芯筆記具
JP3153695U (ja) 多芯筆記具及びそれに用いる筆記体
JP5006160B2 (ja) 多芯筆記具
JP2010264660A (ja) 多芯筆記具
JP5340010B2 (ja) 筆記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5383305B2 (ja) 多芯筆記具
JP3143311U (ja) 多芯筆記具
JP2000272287A (ja) 筆記具
JP4343265B2 (ja) 多芯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