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089B1 - 차량 도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089B1
KR100891089B1 KR1020020038281A KR20020038281A KR100891089B1 KR 100891089 B1 KR100891089 B1 KR 100891089B1 KR 1020020038281 A KR1020020038281 A KR 1020020038281A KR 20020038281 A KR20020038281 A KR 20020038281A KR 100891089 B1 KR100891089 B1 KR 100891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side door
vehicle body
impac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137A (ko
Inventor
모리야마유키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0383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298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177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7249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177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724969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4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long the lower edge of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31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hing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3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lock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58Passive coupling of the reinforcement elements to the door or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 B60J5/0479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without B-pillar or releasable B-pillar, i.e. the pillar is moving with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측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전후방 사이드 도어로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측부 돌출시에 사이드 도어가 차실측으로 크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 또는 저감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또한 도어 개방시에 차체 측부에 큰 구획되지 않은 개구를 형성하고, 또한 측면 충돌시 등에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큰 개구부(1)가 전후방 사이드 도어(11, 12)에 의해 개폐된다. 각 사이드 도어(11, 12)가 밀폐되었을 때,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에 대하여,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단부가 차 폭방향 외측에서 중첩된다[중첩부(15)의 구성]. 후방 사이드 도어(12)에는 중첩부(15) 부근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걸쳐 보강 부재(25)가 설치된다. 전방 사이드 도어(11)내에 설치된 전방 임팩트 바아(27)의 후단부가 중첩부(15)까지 연장되어 있다. 후방 사이드 도어(12)내에 설치된 후방 임팩트 바아(26)의 전단부가 보강 부재(2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방 사이드 도어(12)에는 중첩부(15) 부근에 있어서, 돌기 형상의 결합부(31)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31)가 결합되는 구멍 형상의 피결합부(38)가 사이드 비임(2)에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전방 사이드 도어(11)에는 중첩부(15) 부근에 있어서 결합부(41)가 형성되는 한편, 사이드 비임(2)에는 결합부(41)에 대응한 피결합부(49)가 구성된다.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재(25)로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 131)는 프론트 도어 패널(106) 및 리어 도어 패널(107) 내부의 도어 내부 패널(106a, 107a)에 강고히 장착되어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한다.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의 전단부를 그 후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의 후단부를 그 전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며,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의 후단부를 그 전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의 후단부와,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를 근접하여 배치하고,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의 전단부와,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31)의 후단부를 대략 동일한 높이에 배치했다.

Description

차량 도어 구조체{DOOR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상태로부터 전후의 사이드 도어를 제외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전방 사이드 도어를 일점쇄선으로 도시하고, 후방 사이드 도어를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도 1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
도 4는 후방 사이드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후방 사이드 도어에 설치한 결합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X5선의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X6-X6선의 단면도,
도 7은 임팩트 바아의 단면도,
도 8은 전방 사이드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전방 사이드 도어에 설치한 결합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X9선의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사이드 비임에 설치한 수축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X11선의 단 면도,
도 12는 후방 사이드 도어 개폐용 도어 손잡이를 차실측에서 본 도면,
도 13은 후방 사이드 도어 개폐용 도어 손잡이에 관련된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X14-X14선의 단면도,
도 15는 도어 손잡이와 요동 레버와 연결용 케이블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 14의 상측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
도 16은 후방 사이드 도어 개폐용 도어 손잡이의 확대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 형태의 차량의 차체 구조체 및 도어 구조체로서 도어 밀폐시의 차체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각 도어 패널내의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7의 A-A 단면도,
도 20은 도 17의 B-B 단면도,
도 21은 도 17의 C-C 단면도,
도 22는 도 17의 D-D 단면도,
도 23은 도 17의 E-E 단면도,
도 24는 프론트 도어의 구조체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 25는 리어 도어의 구조체를 도시하는 분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구부 2 : 사이드 비임
2a : 부분적인 볼록부 8 : 차실
11 : 전방 사이드 도어 12 : 후방 사이드 도어
13 : 힌지(전방 사이드 도어 개폐용)
14 : 힌지(후방 사이드 도어 개폐용)
15 : 중첩부
20 : 도어 손잡이(후방 사이드 도어용)
20a : 조작부
21 : 상부 로크 장치(후방 사이드 도어용)
22 : 하부 로크 장치(후방 사이드 도어용)
23 : 로크 장치(전방 사이드 도어용)
24 : 도어 손잡이(전방 사이드 도어용)
25 : 보강 부재
26 : 임팩트 바아(후방 사이드 도어용)
27 : 임팩트 바아(전방 사이드 도어용)
28 : 시트 벨트 29 : 수축기
31 : 결합부(후방 사이드 도어용) 38 : 피결합부
41 : 결합부(전방 사이드 도어용) 49 : 피결합부
61 : 트림재(전방 사이드 도어용) 62 : 케이블(상부 로크 장치용)
63 : 케이블(하부 로크 장치용) 65 : 장착 기판
66 : 요동 레버 102 : 프론트 도어
103 : 리어 도어 104, 105 : 힌지
106, 107 : 도어 패널 106a, 107a : 도어 내부 패널
106b, 107b : 도어 외부 패널 114 내지 118 : 로크부
113 : 도어 개구 121 :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
131 :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하는 임팩트 바아를 도어 내부의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배치한 차량의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차체 측부에는 사이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탑승자 승강용 개구부가 형성된다. 사이드 도어로는, 전방 좌석용으로 되는 사이드 도어와 후방 좌석용으로 되는 후방 사이드 도어를 갖는 경우가 많지만, 이 전후방 사이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이른바 센터 필러를 갖지 않기 때문에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큰 하나의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0-20423 호 공보 참조).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 1990-20423 호 공보에는, 전방 사이드 도어가 후방 개방으로 되고, 후방 사이드 도어가 전방 개방으로 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밀폐 상태에 있는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에 대하여, 밀폐 상태에 있는 전방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가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커버하도록 중첩되는 구조, 즉 전방 사이드 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후방 사이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도어 구조체도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 구조는 차체 강도가 높은 소형 트럭에서 채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공보에는, 리어 도어가 그 후단부에서 힌지를 거쳐 차체에 지지되고, 프론트 도어가 그 전단부에서 힌지를 거쳐 개폐 가능하게 차체에 지지된 좌우 여닫이 형태의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측방으로부터 충돌되는 측면 충돌시의 안전성 향상의 관점에서, 사이드 도어를 차 폭방향 내측, 즉 차실 내측으로 크게 변위시키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는 것이 많다. 충돌시의 사이드 도어의 차실 내측으로의 큰 변위를 규제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캡쳐 핀 구조체로 불리는 것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4-40259 호 공보 참조). 이것은 사이드 도어와 차체중 어느 한쪽에 결합부로서의 돌기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다른쪽에 돌기부가 결합되는 피결합부로서의 홈부를 설치하며, 측면 충돌시에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사이드 도어의 차체에 대한 결합 작용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 자체의 변형을 최대로 방지하기 위해서, 사이드 도어내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연장해서 임팩트 바아를 설치한 것도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250370 호 공보 참조).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8-250370 호 공보에는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하는 임팩트 바아를 도어 내부의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배치한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전방 사이드 도어와 후방 사이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차체 측부의 개구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큰 하나의 것으로 하는 구조체를 승용차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 채택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승용차에 있어서는, 트럭에 비해 차체 강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사이드 도어의 차실 내측으로의 큰 변위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방지하느냐가 중요하다. 특히, 센터 비임과 같은 강성의 높은 차체 측면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후의 사이드 도어의 경계 부근에서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 여닫이 형태의 차량에는, 프론트 및 리어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차체 측부에 구획되지 않은 개구를 형성하여 승강성이 향상되는 반면, 측면 충돌시 등에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도어의 강성을 높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성립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후방 사이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 특히 전후 사이드 도어의 경계 부근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차실 내측으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도어의 구 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방 사이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가 전후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이드 도어의 차실 내측으로의 변위를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개방시에 차체 측부에 큰 구획되지 않은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측면 충돌시 등에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구조체는,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개구부가 전방 사이드 도어와 후방 사이드 도어로 개폐되도록 되고, 전후방 사이드 도어를 각각 밀폐했을 때에 전방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와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가 차 폭방향으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갖도록 설정된 차량의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중첩이, 전방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가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보다도 차 폭방향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내에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전방 임팩트 바아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 임팩트 바아의 후단부가 상기 중첩부까지 연장되어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측면 충돌시에는 상기 임팩트 바아 그것에 의해 전방 사이드 도어의 차실측을 향한 변형이 방지 또는 저감된다. 이것에 부가하여, 전방 임팩트 바아의 후단부가 후방 사이드 도어와의 중첩 부분, 즉 강성이 높은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사이드 도어의 경계 부근의 강성도 향상시키면서, 전방 사이드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큰 변형이 한층 더 방지 또는 저감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구조체는,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개구부가 전방 사이드 도어와 후방 사이드 도어로 개폐되도록 되고, 전후방 사이드 도어를 각각 밀폐했을 때에 전방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와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가 차 폭방향으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갖도록 설정된 차량의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내에는 상하 방향에 걸쳐 보강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내에는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후방 임팩트 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까지 연장되어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측면 충돌시에는 후방 임팩트 바아 그것에 따라 후방 사이드 도어의 차실측을 향한 큰 변형이 방지 또는 저감된다. 또한, 중첩부의 강성이 높아지는 것에 부가하여, 후방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가 강성이 높은 보강 부재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사이드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큰 변형이 한층 더 방지 또는 저감되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구조체는,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개구부가 전방 사이드 도어와 후방 사이드 도어로 개폐되도록 되고, 전후방 사이드 도어를 각각 밀폐했을 때에 전방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와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가 차 폭방향으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갖도록 설정된 차량의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내에는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전방 임팩트 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사이드내에는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후방 임팩트 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 임팩트 바아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가 각각 상기 중첩부 또는 그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어 서로 근접하고 있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후방 임팩트 바아를 근접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즉 전후방 사이드 도어의 경계 부근의 강성을 높이고, 측면 충돌을 전후 양방의 임팩트 바아에 의해 최대한 차단하여, 사이드 도어의 차실측으로의 큰 변형을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구조체는,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내에는 상하 방향에 걸쳐 밀폐 단면을 구성하는 보강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중 밀폐 단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접촉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충돌시에 후방 임팩트 바아에 입력되는 외력을 보강 부재로도 차단하여, 사이드 도어, 특히 후방 사이드 도어 차실측을 향한 변형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임팩트 바아의 후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중 밀폐 단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대하여, 차 폭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전방 임팩트 바아에 입력되는 측면 충돌시의 외력도 보강 부재로 차단하여, 전방 사이드 도어의 차실측을 향한 변형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구조체는, 즉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 부내에는 상하 방향에 걸쳐 밀폐 단면을 구성하는 보강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 임팩트 도어의 후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의 부근까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충돌시에 전방 임팩트 바아에 입력되는 외력을 보강 부재로 보강된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로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전방 사이드 도어의 차실측으로의 변형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구조체는, 즉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는 그 후단부에 설치한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되어 전방 개방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는 그 전단부에 설치한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되어 후방 개방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중첩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가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에 의해 차 폭방향 외측에서 커버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만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후방 사이드 도어를 이른바 좌우 여닫이로 하여, 전후방 사이드 도어를 모두 개방한 때에 차체 측부를 최대한 크게 해제함으로써 바람직하게 되고, 또한 후방 사이드 도어를 임의로 개방하는 상태를 방지함으로써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는 밀폐 상태에서는 그 전단부에 있어서 차체에 대하여 로크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는 밀폐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에 대하여 로크되도록 설정되어 있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방 사이드 도어를 후방 사이드 도어를 거쳐 차체에 로크시킬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하부 연부가 사이드 비임으로 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부 연부가 루프 패널의 측부 연부로 되고,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는 밀폐 상태인 때에 상기 사이드 비임 및 루프 패널의 측부 연부로 각각 로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방 사이드 도어를 상하의 각 부분에서 차체에 로크해서, 그 로크 작용을 강고한 것으로 함으로써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의 하부 연부가 사이드 비임으로 되고, 상기 사이드 비임중 상기 중첩부 부근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하측으로 볼록하게 된 볼록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볼록 부분내에 시트 벨트의 수축기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축기를 견고하게 차체에 장착함으로써 바람직하게 되고, 또한 수축기의 장착 스페이스 확보의 점에서도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구조체는, 차체 측부에 설치된 차실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를, 도어 전단부에서 힌지를 거쳐 차체에 지지된 프론트 도어와, 도어 후단부에서 힌지를 거쳐 개폐 가능하게 차체에 지지된 리어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한 차량의 도어 구조체로서, 상기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내부에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하는 임팩트 바아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를 그 후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리어 도어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의 후단부를 그 전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의 후단부와, 상기 리어 도어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를 근접하게 설치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와, 상기 리어 도어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의 후단부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설치했다. 이에 의해, 도어 개방시에 차체 측부에 큰 구획되지 않은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측면 충돌시 등에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차체 측부에서 보아 대략 V자 형상으로 되도록, 상기 프론트 도어 내부의 임팩트 바아를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우측 하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리어 도어 내부의 임팩트 바아를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우측 상향으로 배치했다. 이에 의해, 도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도어는 그 전단부가 상하에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한쌍의 힌지에 의해 차체에 지지되고, 상기 프론트 도어 내부의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는 상기 힌지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강성이 높은 부분에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어 도어 내부의 임팩트 바아 후단부는 상기 리어 도어를 그 후단부에서 지지하는 힌지보다 하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힌지보다 하측의 도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체 측부는, 상기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체 측부에 차실 내외를 연통하는 구획되지 않은 개구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를 좌우 여닫이 구조체로 하여 차체 측부의 개구에 의해 충분한 개방도와 승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도어의 후단부 및 리어 도어의 전단부에는 상기 각 도어 밀폐시에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측면 충돌시 등에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각 임팩트 바아는 상기 결합부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결합부보다 하측의 도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어 도어의 전단부 내부에는 차체 상하 방향에 걸쳐 보강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어 도어 내부의 임팩트 바아 전단부는 상기 보강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강 부재와 함께 도어 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도어의 전단부 내부에는 차체 상하 방향에 걸쳐 보강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 부재에는 도어 개폐시에 소정 개방도로 조절하는 개방도 조절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강성이 높은 부분에 임팩트 바아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구조체는,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개구부가 전방 사이드 도어와 후방 사이드 도어로 개폐되도록 되고, 전후방 사이드 도어를 각각 밀폐했을 때에 전방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와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가 차 폭방향으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갖도록 설정된 차량의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중 상기 중첩부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를 밀폐했을 때에 차체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가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채택 함으로써, 측면 충돌시에는 결합부가 차체에 결합됨으로써, 또한 결합부의 위치가 후방 사이드 도어와의 중첩 부분 근방인 강성이 높은 부분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사이드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큰 변위가 방지 또는 저감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구조체는,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개구부가 전방 사이드 도어와 후방 사이드 도어로 개폐되도록 되고, 전후방 사이드 도어를 각각 밀폐했을 때에 전방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와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가 차 폭방향으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갖도록 설정된 차량의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중 상기 중첩부 또는 그 근방에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를 밀폐했을 때에 차체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가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측면 충돌시에는 결합부가 차체에 결합됨으로써, 또한 결합부의 위치가 전방 사이드 도어와의 중첩 부분 근방인 강성이 높은 부분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사이드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큰 변위가 방지 또는 저감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의 도어 구조체는,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개구부가 전방 사이드 도어와 후방 사이드 도어로 개폐되도록 되고, 전후방 사이드 도어를 각각 밀폐했을 때에 전방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와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가 차 폭방향으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갖도록 설정된 차량의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중 상기 중첩 부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를 밀폐했을 때에 차체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가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중 상기 중첩부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를 밀폐했을 때에 차체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가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측면 충돌시에는 결합부가 차체에 결합됨으로써, 또한 결합부의 위치가 후방 사이드 도어와의 중첩 부분 근방인 강성이 높은 부분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사이드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큰 변위가 방지 또는 저감되는 동시에, 측면 충돌시에는 결합부가 차체에 결합됨으로써, 또한 결합부의 위치가 전방 사이드 도어와의 중첩 부분 근방인 강성이 높은 부분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사이드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큰 변위가 방지 또는 저감된다.
차체에는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부와 차체의 결합을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부는 서로 요철 결합되도록 설정되어 있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부중 한쪽이 결합부로 되고,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다른쪽이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홈부로 되어 있게 할 수 있다(캡쳐 핀 구조체).
상기 개구부의 하부 연부가 차체 강도 부재로서의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사 이드 비임으로 되고, 상기 사이드 비임에는 상기 중첩부 근방에 있어서 상기 피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비임은 상기 중첩부 근방이 부분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부분적으로 볼록하게 된 위치에 시트 벨트의 수축기가 설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이드 비임중 강성이 보다 높아지게 되는 상측으로 볼록한 부근에 피결합부를 위치시켜서, 사이드 도어의 차실 내측을 향한 큰 변위 방지 또는 저감할 뿐만 아니라 더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수축기를 견고히 차체에 장착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되고, 또한 수축기의 장착 공간 확보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는 그 후단부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되어 전방 개방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는 그 전단부에 설치한 힌지를 중심으로 요동되어 후방 개방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중첩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가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의 후단부에 의해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커버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만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되어 있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후방 사이드 도어를 이른바 좌우 여닫이로 하고, 전후방 사이드 도어를 모두 개방했을 때에 차체 측부를 매우 크게 해제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되고, 또한 후방 사이드 도어를 부주의하게 개방하는 사태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는 밀폐 상태에서는 그 전단부에 있어서 차체에 대하여 로크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는 밀폐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에 대하여 로크되도록 설정되어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전방 사이드 도어를 후방 사이드 도어를 거쳐 차체에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하부 연부가 사이드 비임으로 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부 연부가 루프 패널의 측부 연부로 되며,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는 밀폐 상태인 때에, 상기 사이드 비임 및 루프 패널의 측부 연부에 각각 로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방 사이드 도어를 상하의 각 부분으로 차체에 로크하고, 그 로크 작용을 강고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의 전단부가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의 상하 방향 거의 전장에 걸쳐 길게 연장된 보강 부재에 의해 보강되어 있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첩부 부근의 강성을 비약적으로 높여서, 상술한 각종 효과를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뿐만 아니라, 매우 바람직하게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실현 수단으로서의 일 예이고,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 실시 형태를 수정 또는 변형한 것에 적용 가능하다.
① 전체의 개요(도 1 내지 도 3)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전체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중요 부위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하도록 한다. 우선, 차량(V)은 차체 측부에 개구부(1)를 갖는다. 이 개구부(1)는 도중에 센터 필러에 의해 분단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큰(긴)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개구부(1)를 구획하는 주위 연부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즉, 개구부(1)의 하부 연부(1a)는 차체 강도 부재로서의 사이드 비임(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1)의 상부 연부(1b)는 루프 패널(3)의 측부 연부(루프 보강 레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1)의 전방 연부(1c)는 프론트 필러(4) 및 프론트 펜더(5)(프론트 펜더의 후단 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1)의 후방 연부(1d)는 리어 필러(6)와 리어 펜더(7)(리어 펜더의 전방 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차실(8)내에는 전방 좌석(9)과 후방 좌석(10)이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는 전방 사이드 도어(11)와 후방 사이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전방 사이드 도어(11)는 전방 좌석(9)의 탑승자 승강용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그 전단부에 설치한 힌지(13)를 중심으로(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요동되는 후방 개방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후방 사이드 도어(12)는 후방 좌석(10)의 탑승자 승강용으로 그 후단부에 설치한 힌지(14)를 중심으로(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으로 중심으로) 요동되는 전방 개방식으로 되어 있다.
전후방 사이드 도어(11, 12)는 각각 밀폐되었을 때에, 차 폭방향에 있어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중첩부(15)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방 사이드 도어(12)를 밀폐한 상태에서 전방 사이드 도어(11)를 밀폐하고,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방 연부가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방 연부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커버하도록 중첩된다(이 점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이로써, 후방 사이드 도어(12)는 전방 사이드 도어(11)가 밀폐되어 있을 때는 전방 사이드 도어(11)에 방해받아 개방할 수 없고, 전방 사이드 도어(11)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후방 사이드 도어(12)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방 사이드 도어(12)는 그 전단부가 상하의 2개소에 있어서 차체에 밀폐되어 있다. 즉,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상부는 상부 로크 장치(21)에 의해 루프 패널(3)에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하부는 하부 로크 장치(22)에 의해 사이드 비임(2)에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전방 사이드 도어(11)는 후방 사이드 도어(12)를 거쳐 차체에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단부중 상하 방향 대략 중간 부분이, 로크 장치(23)에 의해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중 상하 방향 대략 중간 부분에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전방 사이드 도어(11)를 차 외부에서 개방하는 경우는,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외면중 그 후단부에 설치한 도어 손잡이(24)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로크 장치(23)의 로크를 해제하여 실행하게 된다. 단, 후방 사이드 도어(12)에 대해서는 전방 사이드 도어(11)를 개방한 후, 후방 사이드 도어(12)에 대하여 차실 내측에 설치한 도어 손잡이(20)를 조작함으로써, 로크 장치(21, 22)의 로크를 해제하여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즉, 후방 사이드 도어(12)에 대해서는, 차실 외측으로부터 직접 조작 가능한 도어 손잡이는 갖고 있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보강 부재(25)가 일체화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25)는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상하 방향 거의 전장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밀폐 단면을 구성하고 있다. 즉, 보강 부재(25)는 전후방 사이드 도어(11, 12)와의 중첩부(15) 또는 그 부근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보강 부재(25)는 후방 사이드 도어(12)를 밀폐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센터 필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방 사이드 도어(12)를 밀폐한 상태에서는, 보강 부재(25)의 상단부가 루프 패널(3)의 측부 연부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 근방에 위치되고, 보강 부재(25)의 하부 단부가 사이드 비임(2)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 바로 근방에 위치된다.
후방 사이드 도어(12)내에는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도 부재로서의 임팩트 바아(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임팩트 바아(26)는 그 전단부가 보강 부재(25)의 하단부에 대해서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전방 사이드 도어(11)내에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도 부재로서의 임팩트 바아(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임팩트 바아(27)는 그 후단부가 보강 부재(25)의 바로 근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후방 사이드 도어(11, 12)의 중첩부(15)에는 보강 부재(25), 임팩트 바아(26)의 전단부, 임팩트 바아(27)의 후단부와 같이, 강도 부재가 집중되어, 그 강성이 매우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사이드 비임(2)중 중첩부(15) 부근,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첩부(15)보다도 약간 전방 위치가 상측을 향해 부분적으로 볼록해져 있고, 이 볼록 부분이 참조부호(2a)로 표시된다. 사이드 비임(2)은 볼록 부분(2a)의 형성에 의해 단면적 이 다른 부분보다도 커져, 부분적으로 강성이 높아져 있다. 상기 볼록 부분(2a)에 대응한 사이드 비임(2) 내에는 전방 좌석(9)용의 시트 벨트(28)를 권취하기 위한 수축기(29)가 고정되어 있다. 즉, 수축기(29)의 설치 공간의 확보와, 수축기(29)에 가해지는 큰 인장력에 대항하기 위한 강성의 확보가 볼록 부분(2a)의 형성에 의해 실행되고 있다.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의 하부에는 결합부(31)가 구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31)에 대응하여, 사이드 비임(2)에는 피결합부로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사이드 도어(12)를 밀폐했을 때에, 결합부(31)가 피결합부에 결합(감합)되어, 충돌시에 후방 사이드 도어(12)가 차실(8)측을 향해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작용을 실행한다. 마찬가지로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단부의 하부에는 결합부(41)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41)에 대응하여 사이드 비임(2)에는 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사이드 도어(11)를 밀폐했을 때에, 결합부(41)가 피결합부에 결합(감합)되고, 측면 충돌시에 전방 사이드 도어(11)가 차실(8)측을 향해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작용을 실행한다. 또한, 이 결합부(31, 41)(대응하는 피결합부)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② 후방 사이드 도어의 설명(도 1 내지 도 3, 도 4 내지 도 7)
다음에, 후방 사이드 도어(1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후방 사이드 도어(12)는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 패널(32)과 외부 패널(33)에 의해 밀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4 내지 도 6). 내부 패널(32)의 차 폭방향 외측면에는 그 전단부에 있어서 상술한 상하 방향 거의 전장에 걸쳐 길게 연장되는 보강 부재(25)가 일체화되어 있다. 보강 부재(25)는 단면 햇(hat) 형상으로 되어, 내부 패널(32)과 협력하여 밀폐 단면을 구성하고 있다.
내부 패널(32)의 후단부에는 보강재(34)가 일체화되어 있다. 이 보강재(34)와 보강 부재(25)에 걸쳐, 전술한 임팩트 바아(2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임팩트 바아(26)는 그 단면 형상이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전단부가 보강 부재(25)의 후단부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에 위치된 상태로 일체화되며(도 4, 도 6), 그 후단부가 보강 브래킷(작은 보강 판재)(35)을 거쳐 보강재(34)에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외부 패널(33)의 전단면에는 상하 방향 대략 중간부에 있어서 전술한 로크 장치(23)용 스트라이커(36)가 고정되어 있다(도 4).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패널(32)과 보강 부재(25)의 플랜지부(31a)가 중첩되는 두께로 되는 위치에는, 전술한 결합부(31)가 구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31)는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로서의 핀 부재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핀 부재로 구성되는 결합부(31)는 그 기단부측에 있어서 플랜지부(31a)와, 플랜지부(31a)보다도 더욱 차 폭방향 외측 부분에 있어서 수 나사부(31b)를 갖고 있다. 이 수 나사부(31b)가 내부 패널(32)과 보강 부재(25)의 플랜지부를 관통하고 있어, 수 나사부(31b)에 나사 결합된 로크 너트(37)와 상기 플랜지부(31a)에 의해 내부 패널(32)과 보강 부재(25)의 플랜지부가 협지되고, 결합부(31)의 고정이 실행되고 있다.
사이드 비임(2)에는 결합부(31)에 대응하여 피결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사이드 비임(2)은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 패널(2A), 외부 패널(2B) 및 보강재(2C)에 의해 차 폭방향으로 2개의 밀폐 단면 구조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패널(2B)과 보강재(2C)에 걸쳐 피결합부(38)가 고정되어 있다. 피결합부(38)는 차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있는 튜브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차 폭방향 외측을 향해 개구하는 홈부 또는 구멍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차 폭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피결합부(38)는 사이드 비임(2)에 대하여,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해서는 용이하게 변위하지 않도록, 견고히 사이드 비임(2)에 고정 유지되어 있다.
후방 사이드 도어(12)를 밀폐했을 때, 결합부(31)가 피결합부(38)에 감합된다. 이로써, 측면 충돌시에, 후방 사이드 도어(12)에 차실(8)을 향한 큰 외력이 작용했을 때, 결합부(31)가 피결합부(38)에 고정되어, 즉 걸림 작용에 의해 사이드 비임(2)에 대하여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해 크게 변위하는 사태가 방지된다.
③ 전방 사이드 도어의 설명(도 1 내지 도 3, 도 6 내지 도 10)
다음에, 전방 사이드 도어(1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방 사이드 도어(11)는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 패널(42)과 외부 패널(43)에 의해 밀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 도 8, 도 9).
내부 패널(42)의 전후방 각 단부에는 각각 보강재(44 또는 45)가 일체화되어 있다(도 8). 이 보강재(44, 45)에 걸쳐 전술한 임팩트 바아(27)가 설치되어 있다. 즉, 임팩트 바아(27)는 그 단면 형상이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전단부가 보강 브래킷(작은 보강 판재)(46)을 거쳐 보강재(44)에 일체화되고, 그 후단부가 보강 브래킷(47)을 거쳐 보강재(45)에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외부 패널(43)의 후단면에는 상하 방향 대략 중간부에 있어서 전술한 로크 장치(23)가 설치되어 있다[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스트라이커(36)에 대응].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단부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사이드 비임(2)의 볼록 부분(2a) 또는 그 근방으로 되는 위치에 있어서, 전술한 결합부(41)가 구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41)는,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로서의 핀 부재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핀 부재로 구성되는 결합부(41)는 그 기단부측에 있어서 플랜지부(41a)와, 플랜지부(41a)보다도 더욱 차 폭방향 외측 부분에 있어서 수 나사부(41b)를 갖고 있다. 이 수 나사부(41b)가 내부 패널(42)을 관통하고 있고, 수 나사부(41b)에 나사 결합된 로크 너트(48)와 상기 플랜지부(41a)에 의해 내부 패널(42)이 협지되어, 결합부(41)의 고정이 실행되고 있다.
사이드 비임(2)에는 결합부(41)에 대응하여 피결합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비임(2)의 외부 패널(2B)과 보강재(2C)에 걸쳐 피결합부(49)가 고정되어 있다. 피결합부(49)는 차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이 있는 튜브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차 폭방향 외측을 향해 개구하는 오목부 또는 구멍부를 형성하고 있고, 차 폭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피결합부(49)는 사이드 비임(2)에 대하여,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해서는 용이하게 변위하지 않도록, 견고히 사이드 비임(2)에 고정 유지되어 있다.
전방 사이드 도어(11)를 밀폐했을 때 결합부(41)가 피결합부(49)에 결합된다. 이로써, 측면 충돌시에 전방 사이드 도어(11)에 차실(8)을 향한 큰 외력이 작용했을 때, 결합부(41)가 피결합부(49)에 고정되어, 즉 걸림 작용에 의해 사이드 비임(2)에 대하여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해 크게 변위하는 사태가 방지된다.
④ 전후방 사이드 도어의 상호 관계, 변형예, 수축기의 설명(도 1 내지 도 3, 도 6, 도 10, 도 11)
여기서, 전후방 사이드 도어(11, 12)를 밀폐했을 때,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방 연부에 대하여,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방 연부가, 차 폭방향 외측에 배치한 중첩부(15)를 구성하게 된다. 이 때,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임팩트 바아(27)의 후단부는 중첩부(15) 부근에 위치되어 있다. 즉 전방 사이드 도어(11)로부터 하면, 측면 충돌시에, 그 결합부(41), 피결합부(49)를 이용한 차실(8)을 향한 변위 규제 외에, 중첩부(15)의 강성이 높은 것, 임팩트 바아(27)의 차 폭방향 내측에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가 위치하는 것, 특히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보강 부재(25)가 위치함으로써,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차실(8)을 향한 변위가 보다 강고히 규제되게 된다. 도 6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 임팩트 바아(27)의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한 연장 위치에, 보강 부재(25)의 밀폐 단면 부분이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9의 변형예이고, 결합부(41)를 사이드 비임(2)에 설치하는 한편, 피결합부(49)를 전방 사이드 도어(11)에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도 시는 생략하지만, 후방 사이드 도어(12)에 있어서도, 결합부(31)를 사이드 비임(2)에 설치하는 한편, 피결합부(38)를 후방 사이드 도어(12)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1은 사이드 비임(2)내에 설치한 전술한 수축기(29)의 구체적인 설치예가 도시된다. 즉, 사이드 비임(2)의 보강재(2C)가 소정 부분에 있어서 내부 패널(2A)에 중첩되도록 설치되고, 이 중첩 위치에 있어서 차실(8)과 사이드 비임(2)내를 관통시키는 장착용 개구(51)가 형성되어 있다. 수축기(29)는 장착용 개구(51)를 커버하도록 하여 사이드 비임(2)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축기(29)의 장착 플랜지부(52)가 볼트(53) 및 너트(54)를 이용하여, 내부 패널(2A)과 보강재(2C)와의 중첩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5, 도 9 및 도 11에 있어서, 플로어 패널이 참조부호(19)로 도시된다.
⑤ 후방 사이드 도어의 개구 장치의 설명(도 1, 도 12 내지 도 16)
다음으로, 도어 손잡이(20)를 이용한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개폐에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어 손잡이(20)는 도 12, 도 16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중 상하 방향 대략 중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 손잡이(20)는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차실 내측면과 전단면의 경계 부근으로 되는 각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방 사이드 도어(11, 12)를 밀폐하고 있을 때, 차실 내측으로부터는 도어 손잡이(20)에 접근시킬 수 있지만, 차실 외측(외부)으로부터는 도어 손잡이(20)에 접근시킬 수 없도록(조작할 수 없음) 되어 있다.
전방 사이드 도어(11)를 밀폐했을 때, 차실 내측으로부터라도 도어 손잡이(20)에 접근은 가능해도, 개방 조작은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 점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 손잡이(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고, 그 조작부(20a)는 전방을 향해 변위시키는 방향, 즉 도면중 화살 표시(S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의 조작이, 후방 사이드 도어(12)를 차체에 로크하고 있는 로크 장치(21, 22)의 로크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조작되게 된다[도어 손잡이(20)가 풀 핸들식].
전후방 사이드 도어(11, 12)가 밀폐 상태에서, 로크 장치(21, 22)가 로크되어 있을 때, 도어 손잡이(20)의 바로 전방에는,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단부가 위치된다(도 12, 도 14). 실시 형태에서는, 밀폐 상태에 있는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강성의 트림재(61)가 도어 손잡이(20)의 바로 전방 위치에 위치되고, 이 트림재(61)와 도어 손잡이(20)의 간극(L)은 매우 작은 것으로 된다. 즉, 이 작은 간극(L) 만큼 도어 손잡이(20)를 화살 표시(S1) 방향으로 변위시켰다고 해도, 로크 장치(21, 22)의 로크를 해제하는데 필요한 변위량은 아니다. 상기 간극(L)을 구성하는 전방 사이드 도어(11)측의 부재로서는, 도어 손잡이(20)를 화살 표시(S1) 방향으로 변위시키고자 하는 힘에 대항할 수 있는 강성이 확보되어 있는 것이면, 트림재(61)로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내부 패널(42) 등의 적절한 부재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후방 사이드 도어(12)를 차체에 로크하기 위한 상하의 로크 장치(21, 22)와 도어 손잡이(20)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부 로크 장치(21)는 내외 2중 구조체의 케이블(62)을 거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20)에 연결되고, 그 내부 케이블(62a)이 하측으로 인장[도 12, 도 15의 화살 표시(R1) 방향으로 인장]됨으로써, 로크 해제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로크 장치(22)는 내외 2중 구조체의 케이블(63)을 거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20)에 연결되며, 그 내부 케이블(63a)이 하측으로 인장[도 12, 도 15의 화살 표시(R2) 방향으로 인장]됨으로써, 로크 해제된다.
도어 손잡이(20)와 상하의 로크 장치(21, 22)를 연결하기 위해, 장착 기판(65)과 요동 레버(66)가 사용되고 있다. 이 기판(65)과 요동 레버(66)는 각각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트림재(64)보다도 차 폭방향 외측에 위치되고, 도어 손잡이(20)의 조작부(20a)는 트림재(64)에 장착한 커버 부재(67)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기판(65)은 내부 패널(32)에 대하여 상하 2개소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요동 레버(66)는 그 중간 부분이 기판(65)에 대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J1)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요동 레버(66)의 한쪽 단부에는 전술한 케이블(62)에 있어서의 내부 케이블(62a)이 연결되고, 이 케이블(62)의 외부 케이블(62b)이 기판(65)의 고정부(65a)에 결합 지지되어 있다. 요동 레버(66)의 다른쪽 단부에는 전술한 케이블(63)에 있어서의 내부 케이블(63a)이 연결되고, 이 케이블(63)의 외부 케이블(63b)이 기판(65)의 고정부(65b)에 결합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요동 레버(66)가 도면중 화살표(S2)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되었을 때, 각 내부 케이블(62a, 62b)이 인장되고, 로크 장치(21, 22)의 로크가 해제된다.
도어 손잡이(20)는 거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한쌍의 다리부(20b, 20c)를 갖고, 상부 다리부(20b)는 더 길게 연장되는 가압용 부분(20d)을 갖는다. 각 다리부(20b, 20c)는 커버 부재(67)를 관통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 손잡이(20)는 그 다리부(20b, 20c) 부분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 핀(68)에 의해, 기판(65)에 대하여 거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어 손잡이(20)의 가압용 부분(20d)은 요동 레버(66)에 형성되어 있는 피가압부(66a)에 접촉 가능하게 마주 대하고 있다(도 14, 도 15). 도어 손잡이(20)의 조작부(20a)를 전방을 향해 크게 변위시켰을 때[화살표(S1)], 도어 손잡이(20)의 가압용 부분(20d)이 요동 레버(66)의 피가압부(66a)를 가압하여, 상기 요동 레버(66)가 화살표(S2) 방향으로 요동된다. 이로써, 상하 로크 장치(21, 22)의 로크가 해제된다.
또한, 돌기 형상으로 된 결합부(31, 41)는 차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등 그 연장 방향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 형태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 형태의 차량의 차체 구조체 및 도어 구조체로서 도어 밀폐시의 차체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의 각 도어 패널 내의 구조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A-A선 단면도, 도 20은 도 17의 B-B선 단면도, 도 21은 도 17의 C-C선 단면도, 도 22는 도 17의 D-D선 단면도, 도 23은 도 17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24는 프론트 도어 의 구조체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25는 리어 도어의 구조체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101)의 차체 측면에는 프론트 도어(102)와 리어 도어(103)로 구성되는 사이드 도어가 설치되고, 프론트 도어(102)의 전단부와 리어 도어(103)의 후단부에, 각각 힌지부로서의 프론트 도어 힌지(104)와 리어 도어 힌지(105)가 설치되며, 이들 프론트 도어(102) 및 리어 도어(103)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체 측부에 차실 내외를 연통하는 구획되지 않은 개구(113)를 형성하는 좌우 여닫이 구조체의 사이드 도어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 사이드 도어를 구성하는 프론트 도어(102)와 리어 도어(103)는, 각각 도어 패널(106, 107)과 도어 새시(108, 109)와 윈드실드 글라스(110, 111)를 구비하고, 상술한 각 도어 패널(106, 107)의 내부(상세하게는 도어 내부 패널과 도어 외부 패널의 사이)에는 다른 차량의 범퍼 높이 부근에 상당하는 본체 측부의 측부 돌출 상정 영역[차체 상하 영역(H) 및 차체 전후 영역(L)으로 규정되는 영역]을 각 도어마다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차체 상하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상기 영역의 도어 강성을 높이도록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와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도어(102)에는 차 외부에서 상기 프론트 도어(102)의 개폐 조작을 실행하는 도어 외부 핸들(도시하지 않음)과, 차량 후방을 확인하는 도어 미러(1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변형 실시 형태의 좌우 여닫이 구조체의 도어는 프론트 도어(102)가 우선 개방되고, 리어 도어(103)는 프론트 도어(102)의 개방 후에 있어서, 그 개방이 허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사이드 도어의 차실 내부측에는 도어 개구(차량의 측부 개구)로서의 전방 좌석용 승강구(113a)와 후방 좌석용 승강구(113b)가 형성되고, 전방 좌석용 승강구(113a)는 프론트 도어(102)로 개폐되고, 후방 좌석용 승강구(113b)는 리어 도어(103)로 개폐되는 동시에, 이들 승강구(113a, 113b)는 양 도어(102, 10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커버되는 연속된 하나의 도어 개구(113)로 형성되고, 센터 필러가 없는(center pillarless)의 차체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어 도어(103)의 전방부의 상하에는 차체와의 사이에 리어 도어의 개폐시에 조작되고, 도어 밀폐시에 상기 기어 도어(103)를 로크하는 로크부(114, 115)가 설치되고, 리어 도어(103)의 전단부 중간에는 프론트 도어의 개폐시에 조작되어, 도어 밀폐시에 프론트 도어(102)의 스트라이커(striker)(116)와 결합하여 도어를 밀폐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부(1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도어(102)의 후방부의 하부 및 리어 도어(103)의 전방부 하부에는 차체와의 사이에 상기 프론트 도어(102)를 차체 측방으로부터의 하중이 입력된 때에 로크하는 로크부(118a, 118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9 내지 도 23에 로크부(118a, 118b)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부(118b)는 리어 도어(103)의 도어 내부 패널(107a)의 전방 상하 단면으로부터 차실 내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도어 핀부(151)와, 도어 밀폐시에 상기 도어 핀부(151)에 결합하는 개구 홈을 갖는 차체에 설치된 핀 수납부(152)로 구성되고, 리어 도어(103)의 지지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로크부(118a)는 프론트 도어(102)의 도어 내부 패널(106a)의 후방 단면으로부터 차실 내부로 돌출하여 설치된 도어 핀부(153)와, 도어 밀폐시에 상기 도어 핀부(153)에 결합하는 개구 홈을 갖는 차체에 설치된 핀 수납부(154)로 구성되고, 프론트 도어(102)의 기술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각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 131)는 소망 강도를 갖는 강재나 알루미늄이나 다른 재료 등으로 구성되고, 프론트 도어 패널(106) 및 리어 도어 패널(107) 내부의 각 도어 내부 패널(106a, 107a)에 강고히 장착되어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한다.
그리고,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의 전단부를 그 후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의 후단부를 그 전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의 후단부와,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를 근접하여 설치하며,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의 전단부와,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의 후단부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고, 차체 측부에서 보아 대략 V자 형상으로 되도록,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를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우측 하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를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우측 상향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론트 도어(102)와 리어 도어(103)를 좌우 여닫이 구조체로 하여 차체 측부의 개구(113)에 의해 충분한 개방도와 승강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측면 충돌시 등에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의 전단부는 프론트 도어(102)를 그 전단부에 지지하는 상하에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한쌍의 힌지(104) 사이에 장착하고 있다. 또한,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의 후단부는 상기 리어 도어(103)를 그 후단부에 지지하는 힌지(105)보다 하측에 장착되어 있다.
각 임팩트 바아(121, 131)는 스트라이커(116)에 결합하는 로크부(117)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리어 도어(103)의 도어 내부 패널(107a)의 전단부에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상하 방향에 걸쳐 보강 부재(107c)가 설치되고,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의 전단부는 이 보강 부재(107c)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리어 도어(103)의 도어 내부 패널(107a)의 후단부에는 차체 상하 방향에 걸쳐 보강 부재(107d)가 설치되고, 보강 부재(107d)에는 도어 개방시에 소정 개방도마다 도어를 조절하는 개방도 조절 부재(121)가 보강 부재의 작용과 더불어 갖는 장착 브래킷(122)을 거쳐 설치되어 있다.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의 후단부는 이 개방도 조절 부재(121)의 장착 브래킷(122)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도어(102)에 있어서의 도어 내부 패널(106a)의 전단부에는, 차체 상하 방향에 걸쳐 보강 부재(106c)가 설치되고, 보강 부재(106c)에는 도어 개방시에 소정 개방도마다 도어를 조절하는 개방도 조절 부재(119)가 보강 부재의 작용과 더불어 갖는 장착 브래킷(120)을 거쳐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의 전단부는 이 개방도 조절 부재(119)의 장착 브래킷(12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의 후단부는 프론트 도어(102)의 도어 패널(106) 내부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스트라이커(116)를 형성하는 보강 부재(106d)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체 측부에서 보아 대략 V자 형상으로 되도록,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를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우측 하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를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우측 상향으로 배치하고, 특히 도어 하부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프론트 도어(102)는 그 전단부가 상하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한쌍의 힌지(104)에 의해 차체에 지지되고, 프론트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의 전단부는 상기 힌지(104) 사이에 보강 부재(106c)를 거쳐 장착되며, 강성이 높은 부분에 사이드 임팩트 바아의 전단부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의 후단부는 상기 리어 도어(103)를 그 후단부에 지지하는 힌지(105)보다 하측의 도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론트 도어(102)의 후단부 및 리어 도어(103)의 전단부를 상기 각 도어 개방시에 로크부(117)에 의해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측면 충돌시 등에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유지하고 있다.
각 사이드 임팩트 바아(121, 131)는 로크부(117)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어, 로크부(117)보다 하측의 도어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리어 도어(103)의 도어 패널(107) 내부의 전단부에 차체 상하 방향에 걸쳐 보강 부재(107c)를 설치하여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리어 사이드 임팩트 바아(131)의 전단부를 보강 부재(107c)에 장착하여 보강 부재(107c)와 더불어 도어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프론트 도어(102)의 도어 패널(106) 내부의 전단부에 차체 상하 방향에 걸쳐 보강 부재(106c)를 설치하고, 보강 부재(106c)를 또한 도어 개폐시에 소정 개방도로 조절하는 개방도 조절 부재(119)를 장착 브래킷(120)을 거쳐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강성이 높은 부분에 사이드 임팩트 바아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첩부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사이드 도어의 차실측을 향한 큰 변위를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도어에 설치한 결합부를 이용하여,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사이드 도어의 차실측을 향한 큰 변위를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 결합부를 강성이 높아지는 전후방 사이드 도어가 중첩되는 중첩부 부근에 위치시킴으로써, 사이드 도어의 차실측을 향한 큰 변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개방시에 차체 측부에 큰 구획되지 않은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측면 충돌시 등에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31)

  1.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개구부(1)가 전방 사이드 도어(11)와 후방 사이드 도어(12)로 개폐되도록 되고, 전후방 사이드 도어(11, 12)를 각각 밀폐했을 때에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단부와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가 차 폭방향으로 중첩되는 중첩부(15)를 갖도록 설정된 차량의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중첩이,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단부가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보다도 차 폭방향 외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밀폐 단면을 구성하는 보강 부재(25)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내에는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전방 임팩트 바아(27)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 임팩트 바아(27)의 후단부가 상기 중첩부(15)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전방 임팩트 바아(27)의 후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25)의 밀폐 단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대하여 차 폭방향으로 중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2.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개구부(1)가 전방 사이드 도어(11)와 후방 사이드 도어(12)로 개폐되도록 되고, 전후방 사이드 도어(11, 12)를 각각 밀폐했을 때에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단부와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가 차 폭방향으로 중첩되는 중첩부(15)를 갖도록 설정된 차량의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밀폐 단면을 구성하는 보강 부재(25)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내에는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전방 임팩트 바아(27)가 설치되며,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내에는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후방 임팩트 바아(26)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 임팩트 바아(27)의 후단부가 상기 중첩부(15)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전방 임팩트 바아(27)의 후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25)의 밀폐 단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대하여 차 폭방향으로 중첩하며,
    상기 후방 임팩트 바아(26)의 전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25)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3. 차체 측부에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하나의 개구부(1)가 전방 사이드 도어(11)와 후방 사이드 도어(12)로 개폐되도록 되고, 전후방 사이드 도어(11, 12)를 각각 밀폐했을 때에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단부와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가 차 폭방향으로 중첩되는 중첩부(15)를 갖도록 설정된 차량의 도어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밀폐 단면을 구성하는 보강 부재(25)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내에는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전방 임팩트 바아(27)가 설치되며,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내에는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후방 임팩트 바아(26)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 임팩트 바아(27)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 임팩트 바아(26)의 전단부가 각각 상기 중첩부(15) 또는 그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어 서로 근접하고 있으며,
    상기 전방 임팩트 바아(27)의 후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25)의 밀폐 단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대하여 차 폭방향으로 중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임팩트 바아(26)의 전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25)중 밀폐 단면을 구성하는 부분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접촉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임팩트 바아(27)의 후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25)의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는 그 후단부에 마련한 힌지(14)를 중심으로 요동되어 전방 개방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는 그 전단부에 마련한 힌지(13)를 중심으로 요동되어 후방 개방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중첩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가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단부에 의해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를 개방한 상태에서만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가 개방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는 밀폐 상태에서는 그 전단부에 있어서 차체에 대하여 로크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는 밀폐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에 대하여 로크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의 하부 연부(1a)가 사이드 비임(2)으로 되고,
    상기 개구부(1)의 상부 연부(1b)가 루프 패널(3)의 측부 연부로 되고,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는 밀폐 상태인 때에 상기 사이드 비임(2) 및 루프 패널(3)의 측부 연부로 각각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의 하부 연부(1a)가 사이드 비임(2)으로 되고,
    상기 사이드 비임(2)중 상기 중첩부(15) 부근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된 볼록 부분(2a)이 형성되고,
    상기 볼록 부분(2a)내에 시트 벨트(28)의 수축기(2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차체 측부에 마련된 차실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113)를, 도어 전단부에서 힌지(104)를 통해서 차체에 지지된 프론트 도어(102)와 도어 후단부에서 힌지(105)를 통해서 개폐 가능하게 차체에 지지된 리어 도어(103)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상기 프론트 도어(102) 및 리어 도어(103)의 내부에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차체 측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차체 측부의 강도를 확보하는 임팩트 바아(121, 131)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102)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121)의 전단부를 그 후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리어 도어(103)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131)의 후단부를 그 전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102)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121)의 후단부와, 상기 리어 도어(103)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131)의 전단부를 근접하게 설치하고,
    상기 프론트 도어(102)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121)의 전단부와, 상기 리어 도어(103) 내부에 설치된 임팩트 바아(131)의 후단부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차체 측부에서 보아 대략 V자 형상으로 되도록, 상기 프론트 도어(102) 내부의 임팩트 바아(121)를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우측 하향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리어 도어(103) 내부의 임팩트 바아(131)를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우측 상향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도어(102)는 그 전단부가 상하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한쌍의 힌지(104)에 의해 차체에 지지되고, 상기 프론트 도어(102) 내부의 임팩트 바아(121)의 전단부는 상기 힌지(104)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도어(103) 내부의 임팩트 바아(131)의 후단부는 상기 리어 도어(103)를 그 후단부에서 지지하는 힌지(105)보다 하측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측부는, 상기 프론트 도어(102) 및 리어 도어(103)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체 측부에 차실 내외를 연통하는 구획되지 않은 개구(1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도어(102)의 후단부 및 리어 도어(103)의 전단부에는 상기 각 도어 밀폐시에 서로 결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도어(102) 및 리어 도어(103)의 각 임팩트 바아(121, 131)는 상기 결합부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도어(103)의 전단부 내부에는 차체 상하 방향에 걸쳐 보강 부재(107c)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도어(103) 내부의 임팩트 바아(131)의 전단부는 상기 보강 부재(107c)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중 상기 중첩부(15)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를 밀폐했을 때에 차체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가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결합부(4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중 상기 중첩부(15) 또는 그 근방에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를 밀폐했을 때에 차체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가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중 상기 중첩부(15)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를 밀폐했을 때에 차체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가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결합부(41)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중 상기 중첩부(15)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를 밀폐했을 때에 차체에 대하여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결합되고,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가 차 폭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결합부(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는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피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부는 서로 요철 결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한쪽이 돌기부로 되고,
    상기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다른쪽이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홈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의 하부 연부(1a)가 차체 강도 부재로서의 차체 전후 방향에 걸쳐 사이드 비임(2)으로 되고,
    상기 사이드 비임(2)에는 상기 중첩부(15) 근방에 있어서 상기 피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비임(2)은 상기 중첩부(15) 근방이 부분적으로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부분적으로 볼록하게 된 위치에 시트 벨트(28)의 수축기(2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28. 제 21 항 내지 제 2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는 그 후단부에 설치된 힌지(14)를 중심으로 요동되어 전방 개방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는 그 전단부에 설치한 힌지(13)를 중심으로 요동되어 후방 개방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중첩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가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의 후단부에 의해 차 폭방향 외측으로부터 덮히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를 개방한 상태에서만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가 개방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는 밀폐 상태에서는 그 전단부에 있어서 차체에 대하여 로크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전방 사이드 도어(11)는 밀폐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에 대하여 로크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의 하부 연부(1a)가 사이드 비임(2)으로 되고,
    상기 개구부(1)의 상부 연부(1b)가 루프 패널(3)의 측부 연부로 되며,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는 밀폐 상태인 때에, 상기 사이드 비임(2) 및 루프 패널(3)의 측부 연부에 각각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31. 제 21 항 내지 제 2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전단부가 상기 후방 사이드 도어(12)의 상하 방향 거의 전장에 걸쳐 길게 연장된 보강 부재(25)에 의해 보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구조체.
KR1020020038281A 2001-07-04 2002-07-03 차량 도어 구조체 KR100891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03835A JP4729813B2 (ja) 2001-07-04 2001-07-04 車両のドア構造
JPJP-P-2001-00203835 2001-07-04
JP2001217753A JP4724968B2 (ja) 2001-07-18 2001-07-18 車両のドア構造
JPJP-P-2001-00217754 2001-07-18
JP2001217754A JP4724969B2 (ja) 2001-07-18 2001-07-18 車両のドア構造
JPJP-P-2001-00217753 2001-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137A KR20030004137A (ko) 2003-01-14
KR100891089B1 true KR100891089B1 (ko) 2009-03-31

Family

ID=2734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281A KR100891089B1 (ko) 2001-07-04 2002-07-03 차량 도어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659537B2 (ko)
EP (1) EP1275539B1 (ko)
KR (1) KR100891089B1 (ko)
DE (1) DE60223111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0306B2 (en) 2011-12-07 2013-09-24 Hyundai Motor Company Door impact beam unit for 2-do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009435U1 (de) * 1999-09-28 2001-02-22 Meritor Automotive Gmbh Fahrzeugtür
EP1275539B1 (en) * 2001-07-04 2007-10-24 Mazda Motor Corporation Door structure for vehicle
US7077450B2 (en) * 2001-09-10 2006-07-18 Nishikawa Rubber Co., Ltd. Sound-absorbing material for vehicle's lower portion
JP2003252057A (ja) * 2002-02-27 2003-09-09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構造
US6601910B1 (en) * 2002-05-31 2003-08-05 Kevin G. Duggan Expandable ram system
JP4385582B2 (ja) 2002-10-01 2009-12-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JP3938000B2 (ja) * 2002-10-17 2007-06-2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ドアの衝撃吸収構造
CN100421978C (zh) * 2002-11-05 2008-10-01 马自达汽车株式会社 车辆侧门结构
JP4259094B2 (ja) * 2002-11-07 2009-04-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上部車体構造
US6913309B2 (en) * 2002-12-02 2005-07-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arrangement
US6827390B2 (en) * 2003-03-26 2004-12-0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pillar and rear door hinge structure for vehicles lacking a B-pillar
JP4019010B2 (ja) * 2003-04-11 2007-12-0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装置
DE10339306B4 (de) * 2003-08-27 2005-11-03 Dr.Ing.H.C. F. Porsche Ag Tür für ein Kraftfahrzeug
US20060001294A1 (en) * 2004-07-01 2006-01-05 Balgaard Steven P Rocker assembly for vehicles
US6997504B1 (en) * 2004-08-03 2006-02-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Dual pivot hinge assembly for vehicles
DE202005005476U1 (de) 2005-04-06 2006-08-17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Seitentür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DE202006010399U1 (de) * 2006-07-05 2007-11-15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Gegen äußere Explosionseinwirkung geschütztes, insbesondere militärisches Fahrzeug
FR2903957B1 (fr) * 2006-07-18 2009-05-08 Renault Sas Dispositif de renfort de bas de porte
DE102006055817A1 (de) * 2006-11-27 2008-05-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arborn Fahrzeugtür
US7784841B2 (en) * 2006-12-15 2010-08-31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Door access handle with integrated lock-out function
FR2917050B1 (fr) * 2007-06-07 2009-09-0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munie de moyens de repartition et de transmission d'efforts.
FR2917049B1 (fr) * 2007-06-07 2009-09-0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de vehicule automobile pour choc frontal.
DE102007047205A1 (de) * 2007-10-02 2009-04-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perrvorrichtung für eine Tür eines Kraftfahrzeuges
US7527321B1 (en) * 2008-03-12 2009-05-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atic door catcher
US20100154308A1 (en) * 2008-12-18 2010-06-24 Venky Krishnan Sliding door chucking and strengthening device
US7819465B2 (en) * 2008-12-22 2010-10-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ferable B-pillar for facilitating ingress/egress
JP4905739B2 (ja) * 2010-03-08 2012-03-28 隆志 矢野 自動車のドア装置
US8672369B2 (en) * 2010-04-20 2014-03-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lock indicator arm
US8328269B2 (en) * 2011-01-28 2012-12-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rticulating trim closeout panel for opposing hinged doors
FR2994544B1 (fr) * 2012-08-16 2015-06-26 Renault Sa Structure de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munie d'un renfort, renfort, porte equipee de la structure de porte et vehicule associes
FR3002189B1 (fr) * 2013-02-21 2015-02-2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orte laterale de vehicule automobile a renfort de retenue de la porte en cas de choc lateral.
US9475366B2 (en) 2013-09-16 2016-10-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intrusion resistance apparatus for a vehicle
US20150076864A1 (en) * 2013-09-16 2015-03-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Intrusion Resistance Apparatus for a Vehicle
FR3017077B1 (fr) * 2014-02-06 2016-02-1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orte laterale pour vehicule, a dispositif anti echappement transversal
JP6137146B2 (ja) * 2014-11-27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CN106696655A (zh) * 2015-07-22 2017-05-24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车门内板组件以及具有其的车辆
JP2017077850A (ja) * 2015-10-22 2017-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ドアシール構造
JP6387981B2 (ja) * 2016-02-19 2018-09-1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構造
JP2017197022A (ja) * 2016-04-27 2017-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US10000948B2 (en) 2016-09-09 2018-06-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ash safety lock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JP6447600B2 (ja) * 2016-09-29 2019-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CN106671747B (zh) * 2016-12-05 2019-04-30 湖北航天技术研究院特种车辆技术中心 一种抗冲击车门
US20180298647A1 (en) * 2017-04-13 2018-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pplemental active lock mechanism for center-opening door assembly
JP7070068B2 (ja) * 2018-05-14 2022-05-1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7159638B2 (ja) 2018-06-25 2022-10-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ドア構造
US10919631B2 (en) * 2018-10-29 2021-02-16 Safran Cabin Inc. Aircraft with multiple doors and multiple zones
US10661879B2 (en) * 2018-10-29 2020-05-26 Safran Cabin Inc. Aircraft with selective cargo area access
US11034452B2 (en) * 2018-10-29 2021-06-15 Safran Cabin Inc. Aircraft with staggered seating arrangement
EP3883799A4 (en) * 2018-11-21 2022-08-10 Magna International Inc MODULAR, INDIVIDUALLY OPERATING VEHICLE DOOR
US10836437B2 (en) * 2018-12-27 2020-11-17 Nio Usa, Inc. Impact performance
CN111497575A (zh) * 2019-01-31 2020-08-0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门、车身以及车辆
JP7392328B2 (ja) * 2019-08-26 2023-12-0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7388047B2 (ja) 2019-08-26 2023-11-2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車体構造
DE102020102612B4 (de) 2020-02-03 2022-02-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ür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20102608B4 (de) 2020-02-03 2022-03-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ür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
KR20210124589A (ko) * 2020-04-06 2021-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강성 보강기구
US11674340B2 (en) 2021-04-29 2023-06-13 Honda Motor Co., Ltd. Rear emergency handle
FR3134351A1 (fr) * 2022-04-07 2023-10-13 Renault S.A.S. Côté de caisse de véhicule comprenant un moyen de retenue d’une porte coulissante en cas de choc transversal depuis l’habitacle vers l’extérieu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744A (ja) * 1999-03-30 2000-10-10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構造
JP2000280746A (ja) * 1999-03-30 2000-10-10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23A (en) * 1868-01-21 Improvement in hakvester-eakes
US4013317A (en) * 1973-04-16 1977-03-22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Lateral protection for motor vehicles
JPS5639920A (en) * 1979-09-07 1981-04-15 Nissan Motor Co Ltd Center pillar structure for automobile
US4307911A (en) * 1980-02-04 1981-12-29 The Budd Company Reinforcement means for resisting side impacts against an automobile door
JPS5741209A (en) * 1980-08-25 1982-03-08 Nissan Motor Co Ltd Door structure of automobile
DE3102328A1 (de) * 1981-01-24 1982-08-26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00 München "tuer, insbesondere fuer ein kraftfahrzeug"
DE3810762A1 (de) * 1988-03-30 1989-10-12 Porsche Ag Aufbau fuer personenwagen
US4930836A (en) 1988-06-24 1990-06-05 Ford Motor Company Door assembly for pick-up trucks
JP2591900Y2 (ja) * 1990-05-01 1999-03-1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JP2978546B2 (ja) * 1990-09-20 1999-11-15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JP3186845B2 (ja) 1992-07-22 2001-07-1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JP3537459B2 (ja) * 1993-03-05 2004-06-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
JP3117840B2 (ja) * 1993-06-23 2000-12-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側面構造
US5470126A (en) * 1993-11-03 1995-11-28 Mascotech Automotive Systems Group, Inc. Retractable hardtop vehicle roof
JPH07267003A (ja) 1994-03-29 1995-10-17 Fujitsu Ten Ltd 車両用スピーカシステム
US5491875A (en) * 1994-07-22 1996-0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xtended cab pickup truck concealed cargo door hinge
KR100194711B1 (ko) * 1995-12-12 1999-06-15 정몽규 차량용 도어의 충격흡수장치
US5908216A (en) * 1995-12-22 1999-06-01 Joalto Design, Inc. Side intrusion beam with four points of connection
US5752737A (en) * 1996-01-22 1998-05-1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oor reinforcement system for pick-up trucks
US5749611A (en) * 1996-08-30 1998-05-12 Chrysler Corporation Door latch remote control assembly
JP3775532B2 (ja) 1997-03-11 2006-05-1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構造
US6135537A (en) * 1997-12-22 2000-10-24 Chrysler Corporation Reinforced vehicle door assembly
US6020039A (en) * 1998-04-21 2000-02-01 Inland Steel Company Automobile door impact beam
US6053561A (en) * 1998-07-16 2000-04-25 Chrysler Corporation Door assembly for a pick-up truck
US6220652B1 (en) * 1999-04-05 2001-04-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tor vehicle body with side impact protection
JP2001027067A (ja) * 1999-07-14 2001-01-30 Mazda Motor Corp 車両用サイドドアのヒンジ構造
JP2001026218A (ja) * 1999-07-14 2001-01-30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GB9919297D0 (en) * 1999-08-17 1999-10-2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Door reinforcement device
US6234565B1 (en) * 2000-01-10 2001-05-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Dual action bifold door assembly
US6609748B1 (en) * 2000-09-25 2003-08-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rward facing rear do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JP4586255B2 (ja) * 2000-10-02 2010-11-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開閉体のロック構造
JP4608756B2 (ja) * 2000-10-02 2011-01-1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側部開閉体のシール構造
JP2002104239A (ja) * 2000-10-02 2002-04-10 Mazda Motor Corp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4622093B2 (ja) * 2000-12-11 2011-02-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開閉体構造
JP4622094B2 (ja) * 2000-12-14 2011-02-0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開閉体構造
US6382705B1 (en) * 2001-02-01 2002-05-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independent rear access panel with four bar hinge
EP1275539B1 (en) * 2001-07-04 2007-10-24 Mazda Motor Corporation Door structure for vehicle
JP2003252057A (ja) * 2002-02-27 2003-09-09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構造
JP2003267052A (ja) * 2002-03-12 2003-09-25 Mazda Motor Corp 車両の側部開閉体構造
US6641205B1 (en) * 2002-10-23 2003-11-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door seal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0744A (ja) * 1999-03-30 2000-10-10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構造
JP2000280746A (ja) * 1999-03-30 2000-10-10 Mazda Motor Corp 車両のドア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0306B2 (en) 2011-12-07 2013-09-24 Hyundai Motor Company Door impact beam unit for 2-do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59537B2 (en) 2003-12-09
EP1275539B1 (en) 2007-10-24
EP1275539A1 (en) 2003-01-15
KR20030004137A (ko) 2003-01-14
DE60223111T2 (de) 2008-08-07
US6779831B2 (en) 2004-08-24
US20040056509A1 (en) 2004-03-25
US20030006625A1 (en) 2003-01-09
DE60223111D1 (de)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089B1 (ko) 차량 도어 구조체
JP4385582B2 (ja) 車両のサイドドア構造
EP1410956B1 (en) Impact absorbing structure for a vehicle side door
KR20010015105A (ko) 차량의 사이드 도어 구조
JP2001138864A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3925008B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JP4724969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4724968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4357052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ドア構造
JPH09254813A (ja) 自動車の側部補強構造
JPH08332975A (ja) 車体の後部構造
JP4706139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H0781465A (ja) 自動車のシート取付構造
JPH10138957A (ja) 車体のロッカー構造
JP2001151022A (ja) 車両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580176Y2 (ja) 自動車の車体マウント構造
JPH10147259A (ja) キャブの衝突安全装置
JPH09254814A (ja) 自動車の可動ルーフ装置支持構造
KR100273150B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보강구조
JPH0534248Y2 (ko)
JP2002104031A (ja) 車両のチャイルドシート固定構造
KR0147738B1 (ko) 자동차용 리어도어의 보강구조
JPH06156081A (ja) 側部車体構造
JP2000211366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2002371736A (ja) 自動車のスライド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