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302B1 - 발광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발광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302B1
KR100843302B1 KR1020020008431A KR20020008431A KR100843302B1 KR 100843302 B1 KR100843302 B1 KR 100843302B1 KR 1020020008431 A KR1020020008431 A KR 1020020008431A KR 20020008431 A KR20020008431 A KR 20020008431A KR 100843302 B1 KR100843302 B1 KR 100843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forming
anode
film
interlayer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976A (ko
Inventor
야마가타히로카즈
야마자키순페이
타카야마토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2006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8/00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 Y10S438/976Temporary protectiv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Abstract

종래보다 열화(劣化)가 적은 구조 때문에 종래 소자의 문제점이 없는 긴 수명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고품질의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뱅크를 형성한 후, 노출된 양극 표면을 PVA(폴리비닐 알코올)계 다공질 물질 등을 사용하여 와이핑하여, 그 표면을 평탄화하고 그 표면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한다. 또한, TFT 상의 층간절연막과 양극 사이에 절연막을 형성한다. 또는, TFT 상의 층간절연막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표면을 개질한다.
발광장치, 화소부, 층간절연막, 유기화합물층

Description

발광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A)∼도 1(E)는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장치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발광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도 3(D)는 발광장치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도 4(C)는 발광장치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도 5(C)는 발광장치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도 6(B)는 발광장치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발광장치 제작공정을 실행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발광장치 제작공정을 실행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발광장치의 봉지(封止)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발광장치의 화소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A)∼도 11(H)는 전기 장치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발광장치 제작공정을 실행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발광장치 제작공정을 실행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AFM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AFM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AFM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A)∼도 17(F)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의 제작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발광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작공정의 개념도.
도 20(A)∼도 20(D)는 발광장치 제작공정을 실행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A)∼도 21(C)는 발광장치 제작공정을 실행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A) 및 도 22(B)는 발광장치 제작공정을 실행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A) 및 도 23(B)는 발광장치 제작공정을 실행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2: 화소부 804: 봉지 기판 805: 밀봉제
807: 공간 808: 배선 809: FPC
810: 기판 811: 전류제어용 TFT 812: 양극
813: n채널형 TFT 814: p채널형 TFT 815: 뱅크
816: 유기화합물층 817: 음극 818: 발광소자
본 발명은,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발광이 얻어지는 유기화합물을 함유하는 막(이하, 유기화합물층이라 함)과, 양극, 및 음극으로 구성된 발광소자를 가지는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것보다 구동전압이 낮고 소자의 수명이 긴 발광소자를 사용한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발광장치란, 발광소자를 사용한 화상 표시장치를 가리킨다. 또한, 발광장치는, 발광소자에 커넥터, 예를 들어, 이방 도전성 필름(FPC: 가요성 인쇄 회로) 또는 TAB(Tape Automated Bonding) 테이프 또는 TCP(Tape Carrier Packag)를 부착하여 된 모듈, TAB 테이프 또는 TCP의 말단에 인쇄 배선판이 제공되어 있는 모듈, 또는 발광소자에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IC(집적회로)가 직접 실장되어 있는 모듈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발광소자는 박형, 경량, 고속 응답성 및 직류 저전압 구동을 포함하는 특성 때문에 차세대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자기발광형이고 시야각이 넓어 발광소자의 시인성(視認性)을 보다 양호하게 한다. 따라서, 발광소자는 전기 장치의 표시 화면에 사용되는 소자로서 유효한 것으로 고려되고,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발광소자의 발광 메카니즘은, 유기화합물층을 사이에 끼운 전극들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와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이 유기화합물층의 발광 중심에서 재결합하여 분자 여기자를 형성하고, 이 분자 여기자가 기저 상태로 복귀할 때 에너지를 방출하여 발광한다고 말하고 있다. 유기화합물에서 생성되는 분자 여기자의 종류로서는 일중항 여기 상태와 삼중항 여기 상태가 가능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어느 여기 상태가 발광에 기여하는 경우라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발광소자는 구동 방법의 차이에 의해 패시브 매트릭스(단순 매트릭스)형과 액티브 매트릭스형으로 분류된다. 이들 중 가장 주목을 끄는 것은 QVGA급 이상의 화소수를 가지고 고정세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소자이다.
발광소자를 가지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발광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소자 구조를 가진다. 기판(201)상에 TFT(202)가 형성되고, 이 TFT(202)상에 층간절연막(20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층간절연막(203)상에는, 배선(204)을 통해 TFT(2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양극(화소 전극)(205)이 형성되어 있다. 양극(205)에 적합한 재료는, 일 함수가 큰 투명한 전도성 재료이고, ITO(Indium Tin Oxide)막, 산화주석(SnO2)막, 산화인듐과 산화아연(ZnO)의 합금막, 반투명 금(金)막, 폴리아닐린 막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중에서 ITO 막은 약 3.85 eV의 밴드 갭을 가지고 가시광 영역에서 매우 투명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양극(205)상에는 유기화합물층(206)이 형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제공된 모든 층을 유기화합물층이라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유기화합물층(206)은 발광층, 정공 주입층, 전자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등을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발광소자는 양극, 발광층 및 음극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지만, 이 구조 외에, 양극,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음극이 차례로 적층된 적층체, 또는, 양극, 정공 주입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음극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유기화합물층(206)이 형성된 후, 음극(207)이 형성되어 발광소자(209)를 완성한다. 음극은, 일 함수가 작은 금속(대표적으로는, 주기율표의 1족 또는 2족에 속하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일이 많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금속(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토류 금속을 포함)을 알칼리 금속이라 부른다.
또한, 양극의 엣지(edge)를 덮어 그 위치에서 양극과 음극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 수지 재료로 된 뱅크(20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하나의 화소와 그곳에 형성된 발광소자를 나타낸다. 실제로는, 화소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발광소자가 다수 제공되어 액티브 매트릭스형 발광장치를 구성한다.
상기한 종래의 발광장치 구조에서는, 층간절연막과 그 층간절연막 상에 형성된 양극(투명한 도전성 재료)이 상이한 열팽창률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발광장치 구조에서와 같이, 상이한 열팽창률을 가지는 재료들이 서로 접하여 있는 구조에 열 처리를 행하면, 열팽창률이 작은 재료(이 경우에는 양극) 측의 계면에 균열이 발생한다. 양극은 발광에 관여하는 정공을 유기화합물층에 주입하는 전극이다. 이 양극에 균열이 발생하면, 이 균열은 정공의 발생에 악영향을 미치고, 주입되는 정공의 수를 감소시키며, 발광소자 자체를 열화(劣化)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양극 표면의 요철이 정공의 발생과 주입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유기화합물층은 산소나 수분에 의해 쉽게 열화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및 아크릴과 같은 유기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일이 많고, 이 층간절연막으로부터 방출된 산소 또는 다른 가스가 발광소자를 열화시킨다.
또한, 발광소자의 음극은 TFT 특성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Al 또는 Mg과 같은 알칼리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TFT의 활성층에 혼입된 알칼리 금속은 TFT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켜, TFT가 장기 신뢰성을 가지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TFT 특성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TFT 제조공정 처리실(청정실(clean room))을 발광소자 제조공정 처리실(청정실)로부터 분리시켜 TFT 활성층의 알칼리 금속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알칼리 금속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처리실(청정실)들 사이에서 기판을 이동시키는 것이 제조공정에 포함되면, TFT 기판이 공기 중의 먼지나 다른 오염물에 의해 오염될 수 있고, TFT 소자가 정전(靜電) 방전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것보다 열화가 적은 구조에 의해 상기한 문제가 없는 긴 수명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고품질의 발광장치 및 그 발광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절연체 상에 형성된 TFT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그 층간절연막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배선을 통해 TFT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양극을 형성하고, 양극 및 배선을 덮도록 수지 절연막을 형성되고, 이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고, 가열처리 후에 양극을 와이핑(wiping)하고, 양극 및 뱅크를 덮도록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층간절연막과 양극 사이에 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상이한 열팽창률을 가지는 인접한 재료들에서 가열처리에 의해 야기되는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하여, 발광소자는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절연막은 층간절연막으로부터 방출된 가스 또는 수분이 발광소자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절연막은 무기 절연막일 수도 있고,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통한 표면 개질에 의해 얻어지는 경화 막 또는 DLC(diamond-like carbon) 막일 수도 있다.
양극을 와이핑함으로써, 양극 표면의 요철이 평탄화될 수 있고, 양극 표면의 먼지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양극 및 뱅크를 덮는 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유기화합물층에 주입되는 정공과 전자의 양의 균형을 맞추는 효과도 기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뱅크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고, 기판을, 알칼리 금속 및 다른 것에 의한 오염을 피할 수 있는 처리실로 이동시키고,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FT의 반도체막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막을 형성한 후, 대전방지 처리를 행한다. TFT 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처리실(제1 청정실)을 발광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처리실(제2 청정실)로부터 분리한다. 그리하여, 발광소자의 음극을 형성하는 Al 또는 Mg와 같은 알칼리 금속 재료로부터의 알칼리 금속이 TFT의 활성층에 혼입되는 위험을 줄인다. 그 결과, TFT의 전기적 특성 및 장기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대전방지막은 뱅크, 양극, 및 배선을 형성하는 수지 절연막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부터 형성되고, 수세(水洗) 또는 유사한 다른 간단한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다. 그러한 재료로서는, 대전방지 처리를 행하는데 필요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가 적합하다(예를 들어, 10-8 [S/m] 이상). 일반적으로는 유기 도전성 재료가 사용되고, 예를 들어,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대전방지막은 스핀 코팅법에 의해 형성되고, 도전성 저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대전방지막은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PEDOT), 폴리아닐린(PAni),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N,N-비스(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알킬 디에탄올아민], 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알킬아민[히드록시알킬 모노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디에탄올아미드,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염, 알킬 베타인, 알킬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등이 사용된다. 이들 재료는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그 외에,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또는 BCB(벤조시클로부텐)과 같은 유기 절연 재료가 대전방지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재료로부터 형성된 대전방지막은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뱅크를 형성하고, 양극에 가열처리를 행하여 결정화한 후, 뱅크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표면 개질을 통해 뱅크의 표면에 경화 막이 형성된다. 이것은, 뱅크가 수분을 방출하여 발광소자를 열화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형태]
기판(100)상에 TFT(101)를 형성한다. 여기서 나타낸 TFT는 발광소자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TFT이고, 본 명세서에서는 전류제어용 TFT(101)라 부른다.(도 1(A))
그 다음, 전류제어용 TFT(101)상에, 평탄화를 위해 층간절연막(102)을 형성한다. 층간절연막(102)은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에폭시 수지 또는 BCB(벤조시클로부텐)와 같은 유기 수지 재료로부터 약 1.0∼2.0 ㎛의 평균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층간절연막(102)을 형성함으로써, 양호하게 평탄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층간절연막은, 유기 수지 재료가 일반적으로 낮은 유전율을 가지므로 기생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층간절연막(102)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스가 발광소자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층간절연막(102)상에 제1 절연막(103)을 형성한다. 이 제1 절연막은 무기 절연막, 대표적으로는, 산화규소막, 산화질화규소막, 질화규소막 또는 상기 막들을 조합시킨 적층막이다. 제1 절연막은, 플라즈마 CVD법으로, 반응 압력을 20∼200 Pa, 기판 온도를 300∼400℃, 고주파(13.56 ㎑) 전력 밀도를 0.1∼1.0 W/㎠으로 하여 방전시켜 형성된다. 또는, 층간절연막의 표면에 행해지는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원소를 함유하는 경화 막이 형성된다.
그 후, 소망의 패턴을 가지는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하고, 전류제어용 TFT(101)의 드레인 영역에 이르는 콘택트 홀을 형성하여 배선(104)을 형성한다. 이 배선은 도전성 금속막으로서 Al막 또는 Ti막 또는 Al과 Ti의 합금막으로 형성된다. 이 재료를 스퍼터링법 또는 진공증착법에 의해 성막하고, 얻어진 막을 소망의 형상으로 패터닝한다.
그 다음, 발광소자의 양극으로 작용하는 투명 도전막(105)을 형성한다. 투명 도전막(105)은 대표적으로는 산화인듐주석(ITO) 또는 2∼20%의 산화아연이 혼합된 산화인듐으로 형성된다.
투명 도전막(105)을 에칭하여 양극(106)을 형성한다. 그 후, 뱅크(107)를 형성하고, 230∼350℃에서 가열처리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양극의 위쪽에 개구부를 가지고 양극의 엣지를 덮는 절연막을 "뱅크"라 칭한다.(도 1(B) 및 도 1(C))
그 다음, 양극(106)의 표면을 평탄화하고 그 표면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세정액과 함께 PVA(폴리비닐 알코올)계 다공질 재료를 사용하여 양극(106)의 표면을 닦는다. 본 명세서에서, 양극(106)의 표면을 평탄화하고 그 표면으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PVA(폴리비닐 알코올)계 다공질 재료를 사용하여 양극(106)의 표면을 닦는 것을 와이핑이라고 표현한다.
양극 표면을 와이핑한 후, 제2 절연막(110)을 형성하고, 이 제2 절연막(110)상에 유기화합물층(111)과 음극(112)을 차례로 형성한다. 제2 절연막(110)은 1∼5 ㎚의 두께로 스핀 코팅법에 의해 형성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아크릴 또는 다른 유기 수지 절연막이다.
유기화합물층(111)은, 발광층 외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정공 차단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버퍼층 등을 조합하여 가지는 적층체이다. 유기화합물층(111)의 두께는 10∼4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화합물층(111)을 형성한 후, 음극(112)을 증착법에 의해 형성한다. 음극(112)의 재료는 MgAg 또는 Al-Li 합금(알루미늄과 리튬의 합금)이다. 또는, 음극은 주기율표의 1족 또는 2족에 속하는 원소와 알루미늄의 공(共)증착에 의해 형성된 막일 수도 있다. 음극(112)의 두께는 약 80∼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핑 처리 후, 투명 도전막의 표면 상태를 원자력 현미경(AFM)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4∼도 16에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표면 관찰은 측정 표면으로서, 유리 기판 상에 110 ㎚의 두께로 형성되고 250℃에서의 가열처리에 의해 결정화된 ITO막을 사용한다.
도 14 및 도 15는 AFM에 의해 관찰된 기판 표면의 요철 형상을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것은 와이핑 처리 전의 측정 표면을 관찰한 결과이고, 도 15는 와이핑 처리 후의 측정 표면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6은 와이핑용 PVA계 다공질 재료로서 Bellclean(Ozu 사의 제품)을 사용한 와이핑 처리 전후의 평균 표면 조도(粗度)(Ra)을 나타낸다. 여기서의 평균 표면 조도는 JIS B0601에 의해 정의된 중심선 평균 조도를 관찰되는 면에 대해 적용할 수 있도록 3차원적으로 확장한 것이다. 이 결과로부터, 와이핑 후에 측정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가 감소되고, 평탄성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화소부 TFT와 구동회로 TFT(n채널형 TFT 및 p채널형 TFT)를 동일 기판 상에 동시에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 3∼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소부는 본 발명의 발광소자를 가진다. 구동회로는 화소부의 주변에 제공되어 있다.
먼저, 유리 기판(900)을 준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900)으로서, 코닝 #7059 유리 또는 #1737 유리로 대표되는 바륨 붕규산 유리 또는 알루미노 붕규산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기판(900)은 투광성을 가지는 기판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고, 석영 기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처리 온도에 견디는 내열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기판도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900)상에, 산화규소막, 질화규소막 또는 산화질화규소막과 같은 절연막으로 된 하지(下地) 절연막(901)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지 절연막(901)이 2층 구조를 가지지만, 상기한 절연막의 단층막 또는 2층 이상 적층한 막을 하지 절연막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하지 절연막의 제1 층은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반응 가스로서 SiH4, NH3, 및 N2O를 사용하여 10∼200 ㎚(바람직하게는, 50∼100 ㎚)의 두께로 형성한 산화질화규소막(901a)이다. 본 실시예에서 형성된 산화질화규소막(901a)(조성비: Si=32%, O=27%, N=24%, H=17%)의 두께는 50 ㎚이다. 하지 절연막(901)의 제2 층은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반응 가스로서 SiH4 및 N2O를 사용하여 50∼200 ㎚(바람직하게는, 100∼150 ㎚)의 두께로 형성한 산화질화규소막(901b)이다. 본 실시예에서 형성된 산화질화규소막(901b)(조성비: Si=32%, O=59%, N=7%, H=2%)의 두께는 100 ㎚이다.
그 다음, 하지 절연막(901)상에 반도체층(902∼905)을 형성한다. 반도체층(902∼905)은 공지의 방법(스퍼터링법, LPCVD법, 플라즈마 CVD법 등)으로 비정질 구조를 가진 반도체막을 형성한 후 이 막에 공지의 결정화 처리(예를 들어, 레이저 결정화, 열 결정화 또는 니켈 또는 다른 촉매를 사용한 열 결정화)를 행하여 얻어진 결정성 반도체막을 소망의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형성된다. 반도체층(902∼905) 각각은 25∼80 ㎚(바람직하게는, 30∼60 ㎚)의 두께를 가진다. 결정성 반도체막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고, 규소 또는 규소 게르마늄(SiXGe1-X (x = 0.0001∼0.02)) 합금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55 ㎚의 비정질 규소막을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형성한 다음, 그 비정질 규소막의 상면에 니켈을 함유하는 용액을 보유시킨다. 그 다음, 비정질 규소막을 탈수소화(500℃에서 1시간)한 다음, 열 결정화(550℃에서 4시간)한 후, 결정성의 향상을 위한 레이저 어닐 처리를 행하여, 결정성 반도체막을 얻는다. 이 결정성 규소막에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한 패터닝 처리를 행하여, 반도체층(902∼905)을 형성한다.
반도체층(902∼905)을 형성한 후, TFT의 스레시홀드를 제어하기 위해 미량의 불순물 원소(붕소 또는 인)를 반도체층(902∼905)에 도핑할 수도 있다.
레이저 결정화법으로 결정성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펄스 발진형 또는 연속 발광형 엑시머 레이저, YAG 레이저 또는 YVO4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레이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의해 방출되는 레이저광은 반도체막을 조사하기 전에 광학계에 의해 선형 빔으로 집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화의 조건은 실시자에 의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으나, 몇가지 바람직한 조건이 있다. 엑시머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한 조건은, 펄스 발진 주파수를 300 ㎐로 하고, 레이저 에너지 밀도를 100∼400 mJ/㎠(대표적으로는, 200∼300 mJ/㎠)으로 하는 것이다. YAG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한 조건은, 그의 제2 고조파를 사용하고, 펄스 발진 주파수를 30∼300 ㎑로 하고, 레이저 에너지 밀도를 300∼600 mJ/㎠(대표적으로는, 350∼500 mJ/㎠)으로 하는 것이다. 레이저광을 100∼1000 ㎛, 예를 들어, 400 ㎛의 폭을 가지는 선형 빔으로 집광하여 기판의 전면(全面)을 조사한다. 이 조사에서의 선형 레이저광의 중첩비(오버랩비)는 50∼90%로 한다.
그 다음, 반도체층(902∼905)을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906)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906)은 규소를 함유하는 절연막으로부터 플라즈마 CVD법이나 스퍼터링법에 의해 40∼150 ㎚의 두께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110 ㎚의 두께로 형성된 산화질화규소막(조성비: Si=32%m O=59%, N=7%, H=2%)을 사용한다. 물론, 게이트 절연막은 산화질화규소막에 한정되지 않고, 규소를 함유하는 다른 절연막의 단층 또는 적층 구조일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막에 산화규소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TEOS(tetraethyl orthosilicate)와 O2를 혼합하고, 반응 압력을 40 Pa로 하고, 기판 온도를 300∼400℃로 하고, 고주파(13.56 ㎑) 전력 밀도를 0.5∼0.8 W/㎠으로 하여 방전시켜 막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산화규소막에 대하여 그 후 400∼500℃의 열 어닐을 항하면, 게이트 절연막으로서 우수한 특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절연막(906)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내열성 도전층(907)을 200∼400 ㎚(바람직하게는, 250∼350 ㎚)의 두께로 형성한다. 내열성 도전층(907)은 단층이거나, 필요에 따라 2층, 3층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 된 적층 구조일 수도 있다. 내열성 도전층은 Ta, Ti 및 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원소를 함유하는 막일 수 있다. 또는, 내열성 도전층은 상기한 원소 및 다른 원소들 중의 하나를 함유하는 합금막이거나 또는 상기한 원소들을 조합한 합금막일 수 있다. 내열성 도전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스퍼터링법이나 CVD법을 사용한다. 내열성 도전층의 저저항화를 모도하기 위해서는, 이 층에 함유되는 불순물의 농도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산소 농도를 30 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W 막을 300 ㎚의 두께로 형성한다. W 막은 W을 타겟으로 하여 스퍼터링법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6불화 텅스텐(WF6)을 사용한 열 CVD법에 의해 형성된다. 어느 경우라도, 게이트 전극으로서 W 막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W 막을 저저항화하여야 한다. W 막의 바람직한 저항률은 20 ㏁㎝ 이하이다. W 막의 저항률은 결정립을 크게 함으로써 저하될 수 있으나, W 막 중에 산소와 같은 불순물 원소가 다량 존재하면, 결정화가 저해되어 고저항화한다. 따라서, W 막을 스퍼터링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순도 99.9∼99.9999%의 W 타겟을 사용하고, 성막 시에 기상(氣相) 중의 불순물이 W 막에 혼입되지 않도록 많은 주의를 하여야 한다. 그 결과, W 막은 9∼20 μΩ㎝의 저항률을 가질 수 있다.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내열성 도전층(907)을 위한 Ta 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Ta 막은 스퍼터링 가스로서 Ar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적정량의 Xe 또는 Kr을 스퍼터링 가스에 첨가하면, 얻어진 Ta 막의 내부 응력이 완화되어 Ta 막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α상의 Ta 막의 저항률은 약 20 μΩ㎝이고, 게이트 전극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β상의 Ta 막의 저항률은 약 180 μΩ㎝이고, 게이트 전극으로서 적합하지 않다. Ta 막의 베이스로서 α상의 것에 가까운 결정 구조를 가지는 TaN 막을 형성함으로써 α상의 Ta 막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열성 도전층(907) 아래에 약 2∼20 ㎚의 두께로 인(P)이 도핑된 규소막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것은 그 위에 형성되는 도전막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산화를 방지한다. 동시에, 이 규소막은 내열성 도전층(907, 908)에 함유된 미량의 알칼리 금속원소가 제1 형상의 게이트 절연막(906)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어떤 재료를 사용하든, 내열성 도전층(907)에 바람직한 저항률 범위는 10∼50 μΩ㎝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막(907)에 TaN 막을 사용하고, 제2 도전막(908)에 W 막을 사용한다.(도 3(A))
그 다음,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하여 레지스트 마스크(909)를 형성한다. 그 다음, 제1 에칭 처리를 행한다. 제1 에칭 처리는 제1 에칭 조건 및 제2 에칭 조건 하에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CP 에칭 장치를 사용하고, 에칭 가스로서 Cl2, CF4 및 O2를 사용하고, 그의 가스 유량비를 25/25/10으로 하고, 1 Pa의 압력에서 3.2 W/㎠의 RF(13.56 ㎒) 전력을 공급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기판측(시료 스테이지)에도 224 mW/㎠의 RF(13.56 ㎒) 전력을 가하여, 실질적으로 부(負)의 셀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제1 에칭 조건에 의해 W 막을 에칭한다. 그 다음, 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하지 않고 제1 에칭 조건을 제2 에칭 조건으로 바꾼다. 제2 에칭 조건에서는, 에칭 가스로서 CF4 및 Cl2를 사용하고, 그의 가스 유량비를 30/30 SCCM으로 하고, 1 Pa의 압력에서 RF(13.56 ㎒) 전력을 공급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기판측(시료 스테이지)에도 20 W의 RF(13.56 ㎒) 전력을 가하여, 실질적으로 부의 셀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제1 에칭 처리에 의해, 제1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도전층(910∼913)이 형성된다. 도전층(910∼913)의 테이퍼부의 각도는 15∼30°로 한다. 어떠한 잔사(殘渣)도 남기지 않고 막을 에칭하기 위해서는, 에칭 시간을 약 10∼20%만큼 연장시켜 오버에칭을 행한다. W 막에 대한 산화질화규소막(게이트 절연막(906))의 선택비는 2∼4(대표적으로는, 3)이므로, 오버에칭 처리에 의해 산화질화규소막의 노출된 표면이 20∼50 ㎚만큼 에칭된다.(도 3(B))
그 다음, 제1 도핑 처리를 행하여, 일 도전형의 불순물 원소를 반도체층에 도핑한다. 이 도핑 공정에서는 레지스트 마스크(909)를 제거하지 않고 n형 도전성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를 첨가한다. 제1 테이퍼 형상의 도전층(910∼913)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반도체층(902∼905)의 일부에 불순물 원소를 자기정합적으로 첨가하여 제1 n형 불순물 영역(914∼917)을 형성한다. n형 도전성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로서는, 주기율표의 15족 원소, 전형적으로는, 인(P) 또는 비소(As)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을 사용하고 이온 도핑법을 사용한다. 제1 n형 불순물 영역(914∼917)에서 n형 도전성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의 농도는 1×1020∼1×1021 원자/㎤이다.(도 3(B))
그 다음, 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하지 않고 제2 에칭 처리를 행한다. 제2 에칭 처리는 제3 에칭 조건과 제4 에칭 조건 하에 행한다. 제2 에칭 처리에서는, 제1 에칭 처리와 마찬가지로, ICP 에칭 장치를 사용하고, 에칭 가스로서 CF4 및 Cl2를 사용하고, 그의 가스 유량비를 30/30 SCCM으로 하고, 1 Pa의 압력에서 RF(13.56 ㎒) 전력을 공급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기판측(시료 스테이지)에도 20 W의 RF(13.56 ㎒) 전력을 가하여, 실질적으로 부의 셀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제3 에칭 조건에서는, W 막 및 TaN 막이 같은 정도로 에칭된 도전막(918∼921)이 형성된다.(도 3(C))
그 후, 레지스트 마스크를 그 대로 두고 에칭 조건을 제4 에칭 조건으로 바꾼다. 제4 에칭 조건에서는, 에칭 가스로서 CF4, Cl2 및 O2의 혼합 가스를 사용하고, 1 Pa의 압력에서 RF(13.56 ㎒) 전력을 공급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기판측(시료 스테이지)에도 20 W의 RF(13.56 ㎒) 전력을 가하여, 실질적으로 부의 셀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제4 에칭 조건에서 W 막이 에칭되어 제2 형상의 도전막(922∼925)을 형성한다.(도 3(D))
그 다음, 제2 도핑 처리를 행한다(여기서, 제2 형상의 제1 도전막(922a∼925a)을 통과하여 반도체층에 n형 불순물 원소를 첨가한다). 그 결과, 제1 n형 불순물 영역(914∼917)에 접하는 채널 형성 영역 측에 각각 제2 n형 불순물 영역(926∼929)이 형성된다. 각각의 제2 n형 불순물 영역에서의 불순물 농도는 1×1016∼1×1019 원자/㎤으로 한다. 제2 도핑 공정에서는, 제1 층의 제2 형상의 도전막(922a∼925a)의 테이퍼부를 통과하여 반도체층에 n형 불순물 원소가 첨가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층의 제2 형상의 도전막(922a∼925a)과 겹치는 제2 n형 불순물 영역의 부분을 Lov('ov'는 'overlap'을 나타냄) 영역이라 부르고, 제1 층의 제2 형상의 도전막(922a∼925a)과 겹치지 않는 제2 n형 불순물 영역의 부분을 Loff('off'는 'offset'을 나타냄) 영역이라 부른다.(도 4(A))
그 다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p채널형 TFT의 활성층으로 작용하는 반도체층(902, 905)에 일 도전형과 반대의 도전형의 불순물 영역(932(932a, 932b), 933(933a, 933b))을 형성한다. 불순물 영역(932, 933)도 제2 도전층(922, 925)을 마스크로 하여 자기정합적으로 p형 도전성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를 반도체층에 첨가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도핑 전에, n채널형 TFT의 활성층으로 작용하는 반도체층(903, 904)의 전면을 덮도록 레지스트 마스크(930, 931)를 형성한다. 여기서 형성되는 p형 불순물 영역(932, 933)은 디보란(B2H6)을 사용한 이온 도핑법에 의해 형성한다. p형 불순물 영역(932, 933)들 각각에서 p형 도전성을 부여하는 불순물의 농도는 2×1020∼2×1021 원자/㎤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p형 불순물 영역(932, 933)은 n형 도전성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를 함유하고 있지만, n형 도전성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의 농도보다 1.5∼3배 높은 농도로 p형 도전성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를 첨가함으로써 p형 불순물 영역(932, 933)이 p채널형 TFT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으로 기능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형상의 도전층(922∼925) 및 게이트 절연막(906)상에 제1 층간절연막(934)을 형성한다. 제1 층간절연막(934)은 산화규소막, 산화질화규소막, 질화규소막이거나 또는 상기 막들을 조합한 적층막이다. 어느 경우든지, 제1 층간절연막(934)은 무기 절연 재료로 형성된다. 제1 층간절연막(934)의 두께는 100∼200 ㎚로 한다. 제1 층간절연막(934)에 산화규소막을 사용하는 경우,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TEOS 및 O2를 혼합하고, 반응 압력을 40 Pa로 하고, 기판 온도를 300∼400℃로 하고, RF(13.56 ㎒) 전력 밀도를 0.5∼0.8 W/㎠으로 하여 방전시킴으로써 막을 형성한다. 제1 층간절연막(934)에 산화질화규소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SiH4, N2O 및 NH3 또는 SiH4 및 N2O로부터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성막 조건은 반응 압력을 20∼200 Pa로 하고, 기판 온도를 300∼400℃로 하고, 고주파(60 ㎒) 전력 밀도를 0.1∼1.0 W/㎠로 한다. 제1 층간절연막(934)은 SiH4, N2O 및 H2로부터 형성된 산화질화수소화규소막일 수도 있다. 제1 층간절연막으로서의 질화규소막도 마찬가지로 SiH4 및 NH3로부터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상이한 농도로 반도체층에 첨가된 n형 또는 p형 도전성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를 활성화하는 공정을 행한다. 이 활성화 공정은 어닐 노를 사용한 열 어닐법에 의해 행한다. 그 외에, 레이저 어닐법이나 급속 열 어닐(RTA)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열 어닐법에서는 산소 농도가 1 ppm 이하(바람직하게는, 0.1 ppm 이하)인 질소 분위기에서 400∼700℃, 대표적으로는, 500∼600℃의 온도로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550℃로 4시간 가열처리를 행한다. 기판(900)으로서 내열성이 낮은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어닐법이 바람직하다.
이 가열처리 공정에서, 반도체층을 결정화하는 공정에서 사용된 촉매원소(니켈)가, 게터링 작용을 가지는 주기율표의 15족 원소(본 실시예에서는 인이 사용됨)를 고농도로 첨가한 제1 n형 불순물 영역으로 이동(게터링)된다. 게터링의 결과로, 채널 형성 영역에서 촉매원소의 농도가 감소된다.
활성화 공정에 이어서, 분위기 가스를 3∼100%의 수소를 함유하는 분위기로 바꾸고 300∼450℃에서 1∼12시간의 가열처리를 통해 반도체층을 수소화하는 공정을 행한다. 이 공정은 열적으로 여기된 수소에 의해 반도체층에 있는 1016∼1018 /㎤의 댕글링 본드를 종단시키는 공정이다. 다른 유용한 수소화 방법으로는, 플라즈마 수소화(플라즈마 여기된 수소를 사용)가 있다. 어느 방법을 사용하든, 반도체층(902∼905)의 결함 밀도가 1016 /㎤ 이하로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반도체층에 0.01∼0.1 원자%의 수소를 부여한다.
그리고, 유기 절연 재료로 된 제2 층간절연막(935)을 1.0∼2.0 ㎛의 평균 두께로 형성한다. 제2 층간절연막(935)은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또는 BCB(벤조시클로부텐)과 같은 유기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에 도포된 후 열중합되는 타입의 폴리이미드를 사용하는 경우, 청정 오븐에서 300℃로 소성(燒成)하여 막을 형성한다. 제2 층간절연막이 아크릴로 형성되는 경우, 2액성의 것이 사용된다. 주요 재료를 경화제와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스피너를 사용하여 기판의 전면에 도포하고, 그 기판을 80℃의 열판에서 60초간 예비 가열한 후, 청정 오븐에서 250℃로 60분간 소성하여 막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2 층간절연막(935)을 유기 절연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제2 층간절연막(935)의 표면을 양호하게 평탄화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수지 재료는 일반적으로 유전율이 낮으므로, 기생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유기 수지 재료는 흡습성이므로 보호막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층간절연막을 산화규소막, 산화질화규소막 또는 질화규소막으로 형성된 제1 층간절연막(934)과 조합하여 사용하면 좋다.
유기 절연 재료로 형성된 제2 층간절연막(935)은 수분 및 가스를 방출할 수 있다. 발광소자는 수분 및 가스(산소)에 의해 쉽게 열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층간절연막에 유기 수지 절연막을 사용한 발광장치에서는, 발광장치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열 때문에 유기 수지 절연막으로부터 수분 및 산소가 방출되어 발광소자가 쉽게 열화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유기 절연 재료로 형성된 제2 층간절연막(935)상에 제1 절연막(936)을 형성한다.
제1 절연막(936)에는 산화규소막, 산화질화규소막, 질화규소막 등을 사용한다. 여기서는 제1 절연막(936)을 스퍼터링법이나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형성한다. 제1 절연막(936)은 콘택트 홀을 형성한 후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소정의 패턴을 가진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하고,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으로 작용하도록 반도체층에 형성된 불순물 영역에 도달하는 콘택트 홀을 형성한다. 콘택트 홀은 건식 에칭법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 에칭 가스로서 CF4 및 O2의 혼합 가스를 사용하여, 먼저, 제1 절연막(936)을 에칭한 다음, 에칭 가스를 CF4, O2 및 He의 혼합 가스로 바꾸고, 유기 수지 재료로 형성된 제2 층간절연막(935)을 에칭한다. 그 다음, 에칭 가스를 CF4 및 O2로 바꾸고, 제1 층간절연막(934)을 에칭한다. 그 다음, 반도체층과의 선택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에칭 가스를 다시 CHF3으로 바꾸고, 게이트 절연막(906)을 에칭한다. 이렇게 하여, 콘택트 홀이 얻어진다.
스퍼터링법이나 증착법에 의해 금속 도전막을 형성하고, 마스크를 사용하여 패터닝한다. 그 다음, 이 막을 에칭하여 배선(937∼943)을 형성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배선은 두께 50 ㎚의 Ti막과 두께 500 ㎚의 합금막(Al-Ti 합금막)의 적층막으로부터 형성된다.
그 다음, 그 위에 투명 도전막을 80∼120 ㎚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 다음, 이 막을 에칭하여 양극(944)을 형성한다(도 5(A)).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투명 도전막은 산화인듐주석(ITO)막 또는 2∼20%의 산화아연(ZnO)을 산화인듐에 혼합하여 얻어진 막이다.
양극(944)을 드레인 배선(943)과 접하여 겹치도록 형성하여, 전류제어용 TFT의 드레인 영역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도 5(A)). 여기서, 양극(944)을 180∼350℃로 가열처리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944)상에 제3 층간절연막(945)을 형성한다. 여기서, 기판을 발광소자 형성을 위한 처리실(청정실)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공기 중의 먼지에 의한 TFT 기판의 오염 또는 파손을 피하기 위해, 대전방지 작용을 가지는 매우 얇은 막(946)(이하, 대전방지막이라 칭함)을 제3 층간절연막(945)상에 형성한다. 대전방지막(946)은 수세(水洗)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도 5(C)). 대전방지막을 형성하는 대신에, 기판을 대전방지용 케이스에 보관할 수도 있다. 처리실을 변경하기 전에, 상기한 공정들을 완료한 TFT 기판에 대하여 동작 시험을 행할 수도 있다.
TFT 기판을 발광소자 형성을 위한 처리실(청정실)로 이동시킨 후, 대전방지막(946)을 수세에 의해 제거한다. 그 다음, 제3 층간절연막(945)을 에칭하여, 화소(발광소자)와 일치하는 위치에 개구부를 가지는 뱅크(947)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지스트를 사용하여 뱅크(947)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뱅크(947)의 두께는 약 1 ㎛이고, 양극이 배선과 접하는 부분을 덮는 뱅크(947)의 영역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6(A)). TFT 기판을 발광소자 형성을 위한 처리실로 이동시킨 후 다시 기판에 대하여 동작 시험을 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뱅크(947)로서 레지스트막을 사용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폴리이미드막, 폴리아미드막 아크릴막, BCB(벤조시클로부텐)막, 산화규소막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뱅크(947)는 절연성을 가지는 물질이면 무기물이거나 유기물 어느 것이어도 좋다. 감광성 아크릴을 사용하여 뱅크(947)를 형성하는 경우, 감광성 아크릴막을 에칭한 다음, 180∼350℃에서 가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감광성 아크릴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180∼350℃에서 가열처리를 행한 다음,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양극 표면에 와이핑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944)의 표면을 평탄화하고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Bellclean(Ozu사의 제품)을 사용하여 양극(944)의 표면을 와이핑한다. 와이핑에서, 세척액으로서 순수(純水)를 사용하고, Bellclean을 감은 축의 회전수를 100∼300 rpm으로 하고, 눌러 내리는 값을 0.1∼1.0 ㎜로 한다.(도 6(A))
그 다음, TFT 기판을 진공 중에서 소성한다. 뱅크를 형성하는 수지 절연막으로부터 수분 및 가스를 방출시키기 위해, 일정 진공도, 예를 들어, 0.01 Torr 이하에서 진공 배기를 행한다. 진공 중에서의 소성은, 대전방지막을 제거한 후, 와이핑 처리 후 또는 발광소자의 형성 전에 행할 수도 있다.
뱅크(947)와 양극(944)을 덮도록 제2 절연막(948)을 형성한다. 제2 절연막(948)은 폴리이미드막, 폴리아미드막 또는 폴리이미드아미드막과 같은 유기 수지막이고, 스핀 코팅법, 증착법, 스퍼터링법 등에 의해 1∼5 ㎚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 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양극(944)의 표면의 균열을 피할 수 있고, 발광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절연막(948)상에 유기화합물층(949) 및 음극(950)을 증착법에 의해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의 음극으로서 MgAg 전극을 사용하였으나, 그 대신, 다른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화합물층(949)은 발광층 이외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버퍼층 등을 조합하여 가지는 적층막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유기화합물층의 구조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공 주입층에 구리 프탈로시아닌을 사용하고, 정공 수송층에 α-NPD를 사용한다. 이들 층 모두는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다.
그 다음, 발광층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층에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여 상이한 발광을 나타내는 유기화합물층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형성된 유기화합물층은 3가지 타입, 즉, 적색 발광을 나타내는 것, 녹색 발광을 나타내는 것 및 청색 발광을 나타내는 것이 있다. 모든 타입의 유기화합물층이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화소마다 다른 재료로 발광층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적색으로 발광하는 발광층은 Alq3에 DCM을 도핑한 것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그 대신, N,N'-디살리실리덴-1,6-헥산디아미네이트)아연(Ⅱ)(Zn(salhn))에 Eu 착체인 (1,10-페난트롤린)-tris(1,3-디페닐-프로판-1,3-디오나토)유로퓸(Ⅲ) (Eu(DBM)3(Phen))을 도핑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공지의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녹색으로 발광하는 발광층은 CBP와 Ir(ppy)3를 공(共)증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는, BCP를 사용하여 정공 차단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대신, 알루미늄 퀴놀리레이트 착체(Alq3)와 벤조퀴놀리놀레이트 베릴륨 착체(BeBq)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층은 도펀트로서 쿠마린 6. 퀴나크리돈 등을 사용하여 알루미늄 퀴놀리레이트 착체(Alq3)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공지의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청색으로 발광하는 발광층은 디스틸일 유도체인 DPVBi, 리간드로서 아조메틴 화합물을 가지는 아연 착체인 N,N-디살리실리덴-1,6-헥산디아미네이트)아연(Ⅱ) (Zn(salhn)) 또는 페리렌이 도핑된 4,4'-bis(2,2-디페닐-비닐)-바이페닐(DPVBi)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공지의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수송층을 형성한다. 전자 수송층에는, 1,3,4-옥사디아졸 유도체, 1,2,4-트리아졸유도체(예를 들어, TAZ)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2,4-트리아졸유도체(TAZ)를 30∼60 nm의 두께로 증착법에 의해 형성한다.
상기 공정들을 통해, 적층 구조를 가지는 유기화합물층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화합물층(949)의 두께가 10∼400 ㎚(전형적으로는, 60∼150 ㎚)이고, 음극(950)의 두께는 80∼200 ㎚(전형적으로는, 100∼150 ㎚)이다.
유기화합물층을 형성한 후, 발광소자의 음극(950)을 증착법에 의해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의 음극을 구성하는 도전막에 MgAg를 사용하지만, Al-Li 합금막(알루미늄과 리튬의 합금막), 또는 주기율표의 1족 또는 2족에 속하는 원소와 알루미늄을 공(共)증착법에 의해 형성한 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도 6(B)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발광장치가 완성된다. 양극(944), 유기화합물층(949) 및 음극(950)이 겹쳐 있는 부분(951)이 발광소자에 상당한다.
p채널형 TFT(1000) 및 n채널형 TFT(1001)는 구동회로의 TFT이고, CMOS를 구성한다. 스위칭용 TFT(1002) 및 전류제어용 TFT(1003)는 화소부의 TFT이다. 구동회로의 TFT와 화소부의 TFT는 동일 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를 사용한 발광장치의 경우, 구동회로는 약 5∼6 V(최대로 10 V)의 전압을 가지는 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열 전자에 의한 TFT의 열화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장치의 제작공정의 다른 예를 도 19∼도 2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의 설명에 따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절연막(906)상에 2층의 도전막(906, 908)을 형성하는 공정까지의 공정을 완료한다.
이어서, 마스크(909a∼909d)를 사용하여 도전막(907, 908)을 에칭하여 제1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도전막(3901∼3904)을 형성하는 공정을 도 20(A)에서 설명한다. 이 에칭에 ICP(유도 결합형 플라즈마) 에칭 장치를 사용한다. 에칭 가스는 한정되지 않으나, CF4, Cl2 및 O2를 사용하여 W 막 및 질화탄탈막을 에칭한다. CF4, Cl2 및 O2의 가스 유량비를 각각 25/25/10으로 하고, 1 Pa의 압력에서 코일형 전극에 500 W의 RF(13.56 ㎒) 전력을 인가하여 에칭한다. 기판측(시료 스테이지)에도 150 W의 RF(13.56 ㎒) 전력을 공급하여, 실질적으로 부의 셀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들 제1 에칭 조건 하에, 주로 W 막이 에칭되어 소정의 형상을 가진다.
그 후, 에칭 가스를 CF4 및 Cl2로 바꾸고, 가스 유량비를 30/30으로 하고, 1 Pa의 압력에서 500 W의 RF(13.56 ㎒) 전력을 코일형 전극에 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30초간 에칭을 행한다. 기판측(시료 스테이지)에도 20 W의 RF(13.56 ㎒) 전력을 공급하여, 실질적으로 부의 셀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CF4 및 Cl2의 혼합 가스에서는, 질화탄탈막과 W 막이 거의 같은 속도로 에칭된다. 그리하여, 제1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도전층(3091∼3094)이 형성된다. 테이퍼 각도는 45∼75°이다. 제2 도전막상에 어떠한 잔사도 남기지 않고 막을 에칭하기 위해서는, 에칭 시간을 10∼20%만큼 연장시켜 오버에칭을 행한다. 게이트 절연막(906) 중, 제1 테이퍼 형상의 도전층(3901∼3904)으로 덮이지 않은 영역의 표면이 에칭되어, 약 20∼50 ㎚만큼 얇게 된다.(도 20(A))
이어서,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909a∼909d)를 제거하지 않고 제2 에칭 처리를 행한다. 제2 에칭 처리에서는, 에칭 가스로서 CF4, Cl2 및 O2의 혼합 가스를 사용하고, 가스 유량비를 20/20/20으로 하고, 1 Pa의 압력에서 500 W의 RF(13.56 ㎒) 전력을 코일형 전극에 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기판측(시료 스테이지)에도 20 W의 RF(13.56 ㎒) 전력을 공급하여, 제1 에칭 처리에서보다 낮은 셀프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한다. 이들 에칭 조건에서, 제2 도전막인 W 막이 에칭된다. 그리하여, 제2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도전막(3905∼3908)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906) 중, 제2 테이퍼 형상의 도전층(3905∼3908)으로 덮이지 않은 영역의 표면이 에칭되어, 약 20∼50 ㎚만큼 얇게 된다.
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한 후, n형 도전성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n형 불순물 원소)를 반도체층에 첨가하기 위한 제1 도핑 처리를 행한다. 제1 도핑 처리는 질량 분리 없이 이온을 주입하는 이온 도핑법을 이용한다. 도핑에서, 제2 테이퍼 형상의 도전층(3905∼3908)을 마스크로 사용하고, 수소에 의해 희석된 포스핀(PH3) 가스 또는 희가스에 의해 희석된 포스핀 가스를 사용하여, 반도체층(902∼905)에서 n형 불순물 원소를 제1 농도로 함유하는 n형 불순물 영역(3909∼3912)을 형성한다. 이 도핑을 통해 형성되고 n형 불순물 원소를 제1 농도로 함유하는 n형 불순물 영역(3909∼3912)은 1×1016∼1×1017 원자/㎤의 농도로 인을 함유한다.(도 20(C))
그 다음, 반도체층(902, 905)을 각각 완전히 덮는 제1 마스크(3913, 3915)를 형성하고, 반도체층(904)상의 제2 테이퍼 형상의 도전층(3907)과 반도체층(904)의 부분을 덮는 제2 마스크(3914)를 형성한다. 그 다음, 제2 도핑 처리를 행한다. 제2 도핑 처리에서, 반도체층(903)이 제2 테이퍼 형상의 반도체층(3906a)을 통해 첨가되어, n형 불순물 원소를 제2 농도로 함유하는 n형 불순물 영역(3917) 및 n형 불순물 원소를 제3 농도로 함유하는 n형 불순물 영역(3916, 3918)을 가진다. 이 도핑을 통해 형성되고 n형 불순물 원소를 제2 농도로 함유하는 n형 불순물 영역(3917)은 1×1017∼1×1019 원자/㎤의 농도로 인을 함유하고, 이 도핑을 통해 형성되고 n형 불순물 원소를 제3 농도로 함유하는 n형 불순물 영역(3916, 3918)은 1×1020∼1×1021 원자/㎤의 농도로 인을 함유한다.한다.(도 20(D))
상기한 바와 같이, n형 불순물 원소를 제2 농도로 함유하는 n형 불순물 영역과 n형 불순물 원소를 제3 농도로 함유하는 n형 불순물 영역은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도핑 공정에서 형성되지만, 도핑 공정을 2개의 공정로 나누어 반도체층에 불순물 원소를 도핑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층(903, 904)을 덮는 마스크(3919, 3920)를 형성하고, 제3 도핑 처리를 행한다. 이 도핑에서는, 수소에 의해 희석된 디보란(B2H6) 가스 또는 희가스에 의해 희석된 디보란 가스를 사용하여, 반도체층(902, 905)에, p형 불순물 원소를 제1 농도로 함유하는 p형 불순물 영역(3921, 3923) 및 p형 불순물 원소를 제2 농도로 함유하는 p형 불순물 영역(3922, 3924)을 형성한다. p형 불순물 원소를 제1 농도로 함유하는 p형 불순물 영역(3921, 3923)은 각각 2×1020∼2×1021 원자/㎤의 농도로 붕소를 함유한다. p형 불순물 원소를 제2 농도로 함유하는 p형 불순물 영역(3922, 3924)은 각각 1×1018∼1×1020 원자/㎤의 농도로 붕소를 함유한다. p형 불순물 원소를 제2 농도로 함유하는 p형 불순물 영역(3922, 3924)은 제2 테이퍼 형상의 도전층(3905a, 3908a)과 겹치는 영역에 형성된다.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형성된 질화규소막 또는 산화질화규소막으로 된 제1 층간절연막(3925)을 50 ㎚의 두께로 형성한다. 반도체층에 첨가된 불순물 원소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furnace)를 이용하여 410℃로 가열처리를 행한다. 이 가열처리는 또한, 질화규소막 또는 산화질화규소막으로부터 방출된 수소에 의해 반도체층을 수소화한다.
노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 다른 방법에 의해 가열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그 대신, RTA법에 의한 가열처리 방법(열원으로서 가스 또는 광을 사용하는 RTA법을 포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노를 이용하여 가열처리를 행하는 경우, 가열처리 전에 게이트 전극 및 게이트 절연막을 덮는 절연막을 형성하거나, 또는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도전막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가열처리 분위기를 감압 질소 분위기로 한다. 또는, 반도체층에 YAG 레이저의 제2 고조파(532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도체층에 첨가된 불순물 원소를 활성화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고, 실시자가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층간절연막(3925)상에, 아크릴로 된 제2 층간절연막(3926)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층간절연막(3926)상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불순물로부터 TFT를 보호하기 위한 제1 절연막(3927)으로서 질화규소막을 형성한다(이하, 이 막을 배리어 절연막이라고도 함).(도 21(C))
배리어 절연막(3927)상에, 80∼120 ㎚의 두께로 투명 도전막을 형성하고, 에칭하여 양극(3928)을 형성한다(도 22(A)). 본 실시예에서 투명 도전막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막 또는 2∼20%의 산화아연(ZnO)을 산화인듐에 혼합하여 얻은 투명 도전막이다.
그 다음,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하고,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으로 작용하도록 반도체층에 형성된 불순물 영역(3916, 3918, 3921, 3923)에 각각 도달하는 콘택트 홀을 형성한다. 콘택트 홀은 건식 에칭법에 의해 형성된다.
스퍼터링법 또는 진공증착법에 의해 금속 도전막을 형성하고, 마스크를 이용하여 패터닝한다. 그 다음, 막을 에칭하여 배선(3929∼3935)을 형성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배선은 두께 50 ㎚의 Ti 막과 두께 500 ㎚의 합금막(Al-Ti 합금막)의 적층체로부터 형성된다.
그 다음, 양극(3928) 및 배선(3929∼3935)을 덮도록 제3 층간절연막(3936)을 형성한다. 그 다음, 발광소자의 음극에 사용되는 Al 또는 Mg와 같은 알칼리 금속 재료로부터의 알칼리 금속이 TFT의 활성층에 혼입될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TFT 기판을 형성하는 처리실(이하, 제1 청정실이라 칭함)로부터 발광소자를 형성하는 처리실(이하, 제2 청정실이라 칭함)로 기판을 이동시키는 공정으로 제작공정을 진행시킨다.
공기 중의 먼지에 의한 TFT 기판의 오염 및 이동 중의 정전기에 의한 TFT 기판의 정전 방전 파괴를 피하기 위해, 대전방지 작용을 가지는 매우 얇은 막(3937)(이하, 대전방지막이라 칭함)을 제3 층간절연막(3936)상에 형성한다. 대전방지막(3937)은 수세 또는 다른 간단한 방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도 22(A)). 대전방지막을 형성하는 대신에, 이동 중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케이스에 기판을 보관할 수도 있다. 처리실을 변경하기 전에, 상기한 공정까지 완료한 TFT 기판에 동작 시험을 행할 수도 있다. 여기까지의 공정은 도 19의 흐름도에 나타낸 제1 처리실(청정실)에서의 처리를 위한 것이다.
TFT 기판을 제1 청정실에서 제2 청정실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FT 기판을 동일 구내의 다른 건물 사이에서 이동시키거나 또는 동일 회사의 소유이나 다른 장소에 위치한 공장간(처리실, 예를 들어, 청정실) 사이에서 이동시키거나 또는 다른 회사 소유의 공장(처리실, 예를 들어, 청정실)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TFT 기판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이동을 행한다.
그 다음, 제조 공정을 도 19의 흐름도에 나타낸 제2 처리실(청정실)에서의 처리로 진행한다. 제2 처리실(청정실)로 가지고 온 TFT 기판을 물로 세척하여 대전방지막(3937)을 제거한다. 그리고, 제2 층간절연막(3936)을 에칭하여 뱅크(3938)를 형성한다. 뱅크는 화소(발광소자)와 일치하는 위치에 개구부를 가지고, 배선(3934)이 양극(3928)과 접하는 위치 및 양극(3928)의 엣지를 덮는 테이퍼 형상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뱅크(3938)는 레지스트로부터 약 1 ㎛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때, 제2 처리실로 가지고 온 TFT 기판에 대하여 다시 동작 시험을 행할 수도 있다.
뱅크(3939)로부터 방출되는 수분 및 가스에 의한 발광소자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뱅크(3938)의 표면을 질화규소막 등으로 된 제2 절연막(3939)으로 덮는다. 제2 절연막(3939)은 발광소자의 열화를 야기하는 수분과 가스로부터 발광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절연막이다. 따라서, 제2 절연막(3939)을 제2 배리어 절연막(3939)이라고도 부른다.
그 다음, TFT 기판을 진공 중에서 소성한다. 뱅크를 형성하는 수지 절연막으로부터 수분 및 가스를 방출시키기 위해, 일정 진공도, 예를 들어, 0.01 Torr 이하로 진공배기를 행한다. 진공 중에서의 소성은 대전방지막을 제거한 후 또는 발광소자를 형성하기 전에 행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유기화합물층(3940)이 양극(3928)과 접하도록 제2 절연막(3939)상에 증착법에 의해 유기화합물층(39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유기화합물층(3940)상에 증착법에 의해 음극(3941)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의 음극에 MgAg 전극을 사용하지만, 다른 공지의 재료를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화합물층(3940)은, 발광층 외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버퍼층 등을 조합하여 가지는 적층 구조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유기화합물층은 실시예 1의 설명에 따라 형성된다.
그리하여, 도 22(B)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발광장치가 완성된다. 양극(3928), 유기화합물층(3940) 및 음극(3941)이 겹쳐 있는 부분(3942)이 발광소자에 상당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TFT 기판을 형성하는 처리실(예를 들어, 제1 청정실)을 발광소자를 형성하는 처리실(예를 들어, 제2 처리실)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발광소자의 음극에 사용되는 Al 또는 Mg과 같은 알칼리 금속 재료로부터 TFT의 활성층을 보호할 수 있어, 우수한 발광장치가 얻어진다.
[실시예 3]
실시예 1 또는 2의 설명에 따라,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을 형성하는 공정까지의 제조 공정을 완료한다. 그 다음, 실시예 1의 제1 절연막(936)을 형성하는 대신에, 제2 층간절연막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여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의 표면을 개질한다. 이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을, 예를 들어, 수소, 질소,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아르곤, 헬륨, 네온과 같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내에서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의 표면에 새로운 피막을 형성하거나 또는 표면에 존재하는 기능기를 다른 기능기로 바꾼다. 그리하여,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의 표면 개질이 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의 표면에 치밀한화된 막(935B)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 막을 경화 막(935B)이라 부른다. 이 막은 유기 수지막으로부터의 가스 또는 수분의 방출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면 개질 후 양극(ITO)을 형성하여, 열팽창률이 다른 재료들을 서로 직접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열처리하는 상황을 피한다. 따라서, ITO 전극의 균열 및 발광소자의 열화가 방지될 수 있다.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의 플라즈마 처리는 콘택트 홀의 형성 전이나 후에 행할 수도 있다.
경화 막(935B)은, 수소, 질소,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아르곤, 헬륨, 네온과 같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내에서, 유기 절연 재료로 형성된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경화 막(935B)은 수소, 질소, 탄화수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아르곤, 헬륨, 네온과 같은) 중의 한가지 가스 원소를 함유한다.
[실시예 4]
실시예 1 또는 2의 설명에 따라,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을 형성하는 공정까지의 제조 공정을 완료한다. 그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연막(936)으로서 DLC 막(936B)을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상에 형성한다.
DLC 막은, 1550 ㎝-1 부근에 비대칭 피크를 가지고 1300 ㎝-1 부근에 어깨(shoulder)를 가지는 라만 스펙트럼 분포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미소경도계로 측정한 때, DLC 막은 15∼25 GPa의 경도를 나타낸다. 또한, DLC 막은 화학제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DLC 막은 실온과 100℃ 사이의 온도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고, DLC 막의 성막 방법의 예로서는, 스퍼터링법, ECR 플라즈마 CVD법, 고주파 플라즈마 CVD법 및 이온 빔 증착법이 있다. DLC 막의 두께는 5∼50 ㎚로 한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층간절연막(935, 3926)상에 절연막(936)으로서 형성하기 위해 DLC 막 이외에 다른 절연막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또는 2의 설명에 따라,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을 형성하는 공정까지의 제조 공정을 완료한다. 그 다음, 제1 절연막(936)으로서, 규소를 타겟으로 한 스퍼터링법에 의해 질화규소막(936)을 형성한다. 성막 조건은 적절히 설정될 수 있으나, 질소(N2)나 질소와 아르곤의 혼합물을 스퍼터링 가스로 사용하고 고주파 전력을 가하여 스퍼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 온도는 실온으로 설정되고, 가열수단은 항상 사용할 필요는 없다. 층간절연막으로서 유기 절연막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을 가열하지 않고 질화규소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 또는 함유된 수분도 제거하기 위해, 진공 중에서 50∼100℃로 수분 내지 수시간 기판을 가열함으로써 탈수소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막 조건의 예로서는, 붕소가 첨가된 1∼2 Ωsq.의 규소 타겟을 사용하고, 질소 가스만 공급하고, 0.4 Pa의 압력에서 800 W의 고주파(13.56 ㎒) 전력을 가하고, 타겟의 크기를 152.4 ㎜의 직경으로 한다. 이들 조건에서 얻어지는 성막 속도는 2∼4 ㎚/min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질화규소막은 산소 및 수소와 같은 불순물 원소를 1 원자% 이하의 농도로 함유하고, 가시광 대역에서 80% 이상의 투과율을 가진다. 특히 이 막이 400 ㎚의 파장에서 80% 이상 높은 투과율을 가진다는 사실에서 이 막의 투과율이 높다는 것이 증명된다. 또한, 이 방법은 표면을 중대하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치밀한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연막(936)에 질화규소막이 사용될 수 있다. 이후의 공정은 실시예 1 또는 2의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6]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층간절연막(935, 3926)상에 절연막(936)으로서 형성하기 위해 DLC 막 이외에 다른 절연막을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또는 2의 설명에 따라,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을 형성하는 공정까지의 제조 공정을 완료한다. 그 다음, 아르곤 가스와 질소 가스를 혼합한 분위기에서 질화알루미늄(AlN) 타겟을 사용하여 AlXNY 막을 형성한다. AlXNY 막에 함유된 불순물, 특히, 산소의 농도에 대한 허용범위는 0∼10 원자%이다. 산소 농도는 스퍼터링 조건(기판 온도, 사용되는 원료가스의 종류, 원료가스의 유량, 성막 압력 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질소 가스를 함유하는 분위기에서 알루미늄(Al) 타겟을 사용하여 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막은 스퍼터링법 대신에 증착법 또는 다른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AlXNY 막 이외에, 아르곤 가스, 질소 가스 및 산소 가스를 혼합하여 얻은 분위기에서 질화알루미늄(AlN) 타겟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AlNXOY 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AlNXOY 막에 함유된 질소의 농도에 대한 허용범위는 수 원자% 이상, 바람직하게는 2.5∼47.5 원자%이다. 질소 농도는 스퍼터링 조건(기판 온도, 사용되는 원료가스의 종류, 원료가스의 유량, 성막 압력 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질소 가스와 산소 가스를 함유하는 분위기에서 알루미늄(Al) 타겟을 사용하여 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막은 스퍼터링 대신에 증착법 또는 다른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AlXNY 막과 AlNXOY 막 모두는 매우 투광성이고(가시광 대역에서 80∼91.3%의 투과율을 가지고),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차단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AlXNY 막 또는 AlNXOY 막은 절연막(936)에 사용될 수 있다. 이후의 공정은 실시예 1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7]
실시예 1 또는 2의 설명에 따라,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을 형성하는 공정까지의 제조 공정을 종료한다. 그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층간절연막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개질하여, 그 표면상에 경화 막(935B)을 형성하고, 그 경화 막(935B)상에 DLC 막(935C)을 형성한다. 스퍼터링법, ECR 플라즈마 CVD법, 고주파 플라즈마 CVD법, 이온 빔 증착법 등을 사용하여 DLC 막(935C)을 5∼50 ㎚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1 또는 2의 제조 공정에 따라 뱅크(947 또는 3938)를 형성한다. 그 다음, 뱅크(947 또는 3938)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여 뱅크(947 또는 3938) 표면을 개질한다. 이 경우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기 수지 절연막을 사용하여 뱅크(947 또는 3938)를 형성한다. 유기 수지 절연막은 발광장치가 동작하는 중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수분 또는 가스를 방출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처리 후, 뱅크의 표면 개질을 위해 플라즈마 처리를 행한다. 플라즈마 처리는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내에서 행한다.
그 결과, 뱅크의 표면이 치밀화되어,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원소를 함유하는 경화 막을 형성한다. 경화 막은 내부로부터의 수분 및 가스(산소)의 방출을 방지하여, 발광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7 중의 어느 것과도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9]
실시예 1 또는 2의 설명에 따라,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을 형성하는 공정까지의 제조 공정을 완료한다(도 18(A)). 그 다음, 제2 층간절연막(935 또는 3926)상에 제1 절연막(936)을 형성한다. 제1 절연막(936)은 실시예 2 또는 3에서 설명된 DLC 막, 질화규소막, 질화 알루미늄막 또는 질화산화 알루미늄막일 수도 있다. 제1 절연막(936)상에 ITO 막을 형성하고, 소망의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양극(1937)을 형성한다.
그 다음,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레지스트 마스크를 형성하고, 반도체층에 형성되어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으로 작용하는 불순물 영역에 이르는 콘택트 홀을 형성한다. 콘택트 홀은 건식 에칭법 등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은 실시예 1에 따라 행해진다.
스퍼터링법이나 진공증착법에 의해 금속 도전막을 형성하고 에칭하여 배선(1938∼1944)을 형성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배선(1938∼1944)은 두께 50 ㎚의 Ti 막과 두께 500 ㎚의 합금막(Al-Ti 합금막)의 적층막으로 형성된다.
양극(1937)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선(1938∼1944)의 형성 전에 형성되면(도 18(B)), 커버리지가 나쁜 재료로부터 양극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파손된 배선(1943)이 양극(1938)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선의 파손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배선을 형성한 후에, 뱅크, 유기화합물층 및 음극을 실시예 1에 따라 형성한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7과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0]
본 실시예에서는, TFT의 활성층으로 작용하는 반도체막을 촉매원소를 사용하여 결정화하고, 얻어진 결정성 반도체막 중의 촉매원소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7(A)에서, 기판(1100)은 바륨 붕규산 유리, 알루미노 붕규산 유리 또는 석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1100)상에 하지 절연막으로서 무기 절연막을 10∼200 ㎚의 두께로 형성한다. 적절한 하지 절연막의 예는,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형성된 산화질화규소막이다. SiH4, NH3 및 N2O로부터 제1 산화질화규소막을 50 ㎚의 두께로 형성한 다음, SiH4 및 N2O로부터 제2 산화질화규소막을 100 ㎚의 두께로 형성하여, 하지 절연막을 얻는다. 하지 절연막(1101)은 유리 기판에 함유된 알칼리 금속이 그 위의 층에 형성되는 반도체층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제공되므로, 석영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지 절연막을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지 절연막(1101)상에 질화규소막(1102)을 형성한다. 이 질화규소막(1102)은, 후에 반도체막을 결정화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촉매원소(대표적으로는 니켈)가 하지 절연막(1101)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하지 절연막(1101)에 함유된 산소의 악영향을 피하기 위해 제공된다. 질화규소막(1102)은 플라즈마 CVD법에 의해 1∼5 ㎚의 두께로 형성된다.
그 다음, 질화규소막(1102)상에 비정질 반도체막(1103)을 형성한다. 비정질 반도체막(1103)에는 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반도체 재료를 사용한다. 비정질 반도체막은 대표적으로는, 플라즈마 CVD법, 감압 CVD법 또는 스퍼터링법에 의해 10∼100 ㎚의 두께로 형성된 비정질 규소막이거나 비정질 규소 게르마늄막이다. 만족스러운 결정을 얻기 위해, 비정질 반도체막(1103)에 함유된 산소 및 질소와 같은 불순물의 농도를 5×1018 원자/㎤ 이하로 감소시킨다. 이들 불순물은 비정질 반도체막의 결정화를 방해할 수 있고, 결정화 후, 트랩 중심 및 재결합 중심의 밀도를 증가시킨다. 이 때문에, 고순도의 재료 가스를 사용하고, 경면(鏡面) 처리된 반응실(전계 연마에 의해 처리된)과 오일 없는 배기계를 구비한 초고진공 CVD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 절연막(1101), 질화규소막(1102) 및 비정질 반도체막(1103)을 대기에 기판을 노출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그 후, 비정질 규소막(1103)의 표면에, 결정화를 촉진하는 촉매 기능을 가진 금속원소를 첨가한다(도 17(B)). 반도체막의 결정화를 촉진하는 촉매 기능을 가진 금속원소의 예로서는, 철(Fe), 니켈(Ni), 코발트(Co),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 구리(Cu) 및 금(Au)이 있다. 상기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금속원소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니켈을 선택하고, 니켈을 중량 환산으로 1∼100 ppm 함유하는 니켈 아세테이트 용액을 스피너에 의해 도포하여 촉매함유층(1104)을 형성한다. 상기 용액을 평활하게 도포하기 위해, 비정질 규소막(1103)에 표면 처리를 행한다. 표면 처리는, 오존 함유 수용액으로 매우 얇은 산화막을 형성하고, 그 산화막을 불산 및 과산화수소 수용액의 혼합물로 에칭하여 청정한 표면을 형성하고, 다시 오존 함유 용액으로 매우 얇은 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규소막과 같은 반도체막의 표면은 본래 소수성이기 때문에, 이와 같이 산화막을 형성함으로써 니켈 초산염 용액을 고르게 도포할 수 있다.
물론, 촉매함유층(1104)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퍼터링법, 증착법, 플라즈마 처리 등을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비정질 규소막(1103)에 촉매함유층(1104)을 접촉시킨 채, 결정화를 위한 가열처리를 행한다. 가열처리의 발법으로서는, 전기로를 이용하는 노 어닐법 또는 할로겐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아크 램프, 탄소 아크 램프, 고압 나트륨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등을 이용하는 급속 열 어닐(RTA)법을 사용한다.
RTA법으로 행하는 경우, 가열을 위한 램프 광원을 1∼60초간, 바람직하게는 30∼60초간 점등하고, 이것을 1∼10회, 바람직하게는 2∼6회 반복한다. 램프 광원으로부터의 발광 강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반도체층을 순간적으로 600∼1000℃, 바람직하게는 650∼750℃에 도달하도록 가열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고온으로 되어도, 반도체막만이 순간적으로 가열되고, 기판(1110)은 변형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비정질 반도체막이 결정화되어, 도 17(C)에 도시한 결정성 규소막(1105)을 얻는다. 이러한 처리에 의한 결정화는 촉매함유층이 제공되는 경우에만 달성된다.
대신에, 노 어닐법을 사용하는 경우, 결정화를 위한 가열처리 전에, 비정질 규소막(1103)에 함유된 수소를 방출하기 위해 500℃로 1시간 정도의 가열처리를 행한다. 그 후, 전기로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에서 550∼600℃, 바람직하게는 580℃로 4시간의 가열처리를 행하여 비정질 규소막(1103)을 결정화한다. 그리하여, 도 17(C)에 도시된 결정성 규소막(1105)이 형성된다.
결정화율(막의 전체 체적에 대한 결정 성분의 비율)을 높이고, 결정립 내에 잔존하는 결함을 복구하기 위해, 결정성 규소막(1105)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결정성 규소막(1105)은 평균 1×1019 원자/㎤ 보다 높은 농도로 잔존하는 촉매원소(여기서는 니켈)를 가진다. 촉매원소가 잔존하여 있으면, TFT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반도체막 중의 촉매원소의 농도를 낮추어야 한다. 결정화 공정에 이어 반도체막 중의 촉매원소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성 규소막(1105)상에 얇은 층(1106)을 형성한다. 결정성 규소막(1105)상에 형성되는 얇은 층(1106)은 나중에 게터링 사이트를 제거할 때 결정성 규소막(1105)이 에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막을 배리어 층(1106)이라 부른다.
배리어 층(1106)의 두께는 1∼10 ㎚로 한다. 배리어 층을 얻는 간단한 방법은, 표면을 오존수로 처리하여 화학적 산화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과산화수소수를 황산, 염산 또는 질산과 혼합한 수용액으로 처리할 때에도 화학적 산화물이 형성된다. 다른 유용한 방법으로는, 산화 분위기에서의 플라즈마 처리와, 산소를 함유하는 분위기에서 UV 조사를 통해 생성된 오존에 의한 산화 처리가 있다. 또는, 청정 오븐에서 200∼350℃에 이를 때까지 가열하여 형성되는 얇은 산화막을 배리어 층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플라즈마 CVD법, 스퍼터링법 또는 증착법에 의해 1∼5 ㎚의 두께로 형성된 산화막도 배리어 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어떤 경우라도, 배리어 층으로서 사용되는 막은, 게터링 사이트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에칭제가 결정성 규소막(1105)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에칭제로부터 막(1105)을 보호)할 수 있으면서 게터링 공정에서 촉매원소가 게터링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러한 막의 예로서는, 오존수 처리를 통해 형성된 화학적 산화막, 산화규소(SiOX)막 및 다공질 막이 있다.
이어서, 배리어 층(1106)상에 게터링 사이트(1107)로서 제2 반도체막(대표적으로는, 비정질 규소막)을 20∼250 ㎚의 두께로 형성한다. 제2 반도체막은 희가스 원소를 1×1020 원자/㎤ 이상의 농도로 함유한다. 후에 제거되는 게터링 사이트(1107)는 결정성 규소막(1105)과의 에칭 선택비를 크게 하기 위해 저밀도 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희가스 원소 자체는 반도체막에 불활성이다. 따라서, 희가스 원소는 결정성 규소막(1105)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희가스 원소로서는,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크립톤(Kr) 및 크세논(X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원소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희가스를 이온원으로 사용하여 게터링 사이트를 형성하고, 이들 원소를 함유하는 반도체막을 게터링 사이트로 작용하도록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게터링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 이때 가열처리가 요구된다. 가열처리는 노 어닐법 또는 RTA법에 의해 행해진다. 노 어닐법으로 행하는 경우, 질소 분위기에서 450∼600℃로 0.5∼12시간 가열처리를 행한다. RTA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을 위한 램프 광원을 1∼60초간, 바람직하게는 30∼60초간 점등하고, 이것을 1∼10회, 바람직하게는 2∼6회 반복한다. 램프 광원으로부터의 발광 강도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지만, 반도체층을 순간적으로 600∼1000℃, 바람직하게는 700∼750℃에 도달하도록 가열하는 것으로 한다.
게터링 중에, 게터링될 영역(트랩 사이트)의 촉매원소가 열 에너지에 의해 방출되고, 확산에 의해 게터링 사이트로 이동한다. 따라서, 게터링은 처리 온도에 의존하고, 고온일 수록 단시간에 게터링이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 게터링 중에 촉매원소가 이동하는 거리는 반도체막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므로, 본 발명에서의 게터링은 비교적 단시간에 완료된다.(도 17(E))
이 가열처리에 의해서도, 희가스 원소를 1×1019∼1×1021 원자/㎤, 바람직하게는 1×1020∼1×1021 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5×1020 원자/㎤의 농도로 함유하는 반도체막(1107)은 결정화되지 않는다. 이것은, 희가스 원소가 상기한 범위의 차리 온도에서도 재방출되지 않고 잔존하여 반도체막의 결정화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게터링 공정이 종료된 후, 게터링 사이트(1107)를 선택적 에칭에 의해 제거한다. 사용되는 에칭 방법으로서는, 플라즈마를 사용하지 않는 ClF3에 의한 건식 에칭 또는 히드라진 또는 테트라에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화학식: (CH3)4NOH)를 함유하는 수용액과 같은 알칼리 용액을 이용하는 습식 에칭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배리어 층(1106)은 에칭 스톱퍼로서 기능한다. 그 후, 불산을 사용하여 배리어 층(1106)을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도 1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매원소의 농도가 1×1017 원자/㎤ 이하로 감소된 결정성 규소막(1108)이 얻어진다. 이렇게 형성된 결정성 규소막(1108)은 촉매원소의 작용에 의해 가는 막대 모양의 결정 또는 가늘고 편평한 막대 모양의 결정의 집합체이다. 거시적으로는, 각각의 결정이 특정 방향성을 가지고 성장하여 있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 1∼9와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10의 제조 공정을 조합하여 도 6(B)에 나타낸 상태까지 제작한 발광 패널을 발광장치로서 완성하는 공정을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A)는 소자 기판을 봉지한 발광 패널의 상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부호 801은 소스측 구동회로이고, 802는 화소부이고, 803은 게이트측 구동회로이고, 804는 봉지 기판이고, 805는 시일(seal)제이다. 시일제(805)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가 공간(807)이다.
소스측 구동회로(801) 및 게이트측 구동회로(803)에 입력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배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외부 입력 단자인 FPC(가요성 인쇄 회로)(809)로부터 비디오 신호 또는 클록 신호를 받는다. 여기서는, 발광 패널에 FPC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집적회로(IC)가 직접 실장된 모듈은 어느 것이나 발광장치라 부른다.
이하, 도 9(A)에 도시된 발광 패널의 단면 구조를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기판(810)상에 화소부(802) 및 구동회로부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부(802)는 다수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고, 각 화소는 전류제어용 TFT(811) 및 그 전류제어용 TFT의 드레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812)을 포함한다. 구동회로부는 n채널형 TFT(813)와 p채널형 TFT(814)가 조합된 CMOS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양극(812)의 양측에 뱅크(815)가 형성된 후, 양극(812)상에 유기화합물층(816) 및 음극(817)이 형성되어, 발광소자(818)가 형성된다.
음극(817)은 모든 화소에 공통인 배선으로 기능하고, 접속 배선(808)을 통해 FPC(80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유리로 된 봉지 기판(804)이 시일제(805)에 의해 기판(810)에 접착되어 있다. 시일제(805)로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및 열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봉지 기판(804)과 발광소자(818)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수지막으로 된 스페이서를 배치할 수도 있다. 시일제(805)로 둘러싸인 공간(807)내에 질소 또는 희가스와 같은 불활성 기체를 충전한다. 시일제(805)는 물 또는 산소가 가능한 한 투과하지 않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서 공간(807)내에 발광소자를 봉입(封入)함으로써, 발광소자가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로부터의 수분 또는 산소에 의한 발광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발광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실시예 1∼10의 구성과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2]
도 10(A)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광장치의 화소부의 상면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고, 도 10(B)는 화소부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스위칭용 TFT(70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위칭용 (n채널형) TFT(1002)로 구성된다. 따라서, 그의 구조에 관해서는, 스위칭용 (n채널형) TFT(1002)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배선(703)은 스위칭용 TFT(704)의 게이트 전극(704a, 704b)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 배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채널 형성 영역이 형성된 이중 게이트 구조를 채택하고 있지만, 하나의 채널 형성 영역이 형성된 단일 게이트 구조 또는 3개의 채널 형성 영역이 형성된 삼중 게이트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칭용 TFT(704)의 소스는 소스 배선(715)에 접속되고, 그의 드레인은 드레인 배선(705)에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 배선(705)은 전류제어용 TFT(706)의 게이트 전극(70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류제어용 TFT(706)는 도 6의 전류제어용 (p채널형) TFT(1003)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의 구조에 관해서는, 전류제어용 (p채널형) TFT(1003)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 게이트 구조를 채택하고 있지만, 이중 게이트 구조 또는 삼중 게이트 구조가 채택될 수도 있다.
전류제어용 TFT(706)의 소스는 전류공급선(7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의 드레인은 드레인 배선(7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 배선(717)은 점선으로 나타낸 양극(화소 전극)(7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부호 719로 나타낸 영역에 보유 용량(콘덴서)이 형성된다. 콘덴서(719)는 전류공급선(71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반도체층(720), 게이트 절연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절연막(도시되지 않음), 및 게이트 전극(707)으로 구성된다. 또한, 게이트 전극(707), 제1 층간절연물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층(도시되지 않음), 및 전류공급선(716)으로 구성된 커패시터가 보유 용량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실시예 1∼10의 구성과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13]
실시예 2와 다른 발광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의 다른 예를 도 23(A) 및 도 23(B)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A)의 상태까지 실시예 2에 따라 공정을 진행한다. 그 후, TFT 기판을 제2 처리실로 운반하고, 수세에 의해 대전방지막을 제거한다. 그 다음,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뱅크(3938)를 형성한다.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뱅크(3938)의 표면을 질화규소막과 같은 절연막으로 덮을 수도 있고, 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뱅크(3938)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여 표면 개질을 행할 수도 있다.
먼저, 고분자 유기화합물로 형성된 제1 유기화합물층(3950)을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법 등에 의해 양극(3928)상에 형성한다. 이 층은 정공 수송성을 가지는 고분자 유기화합물 재료 또는 정공 이동성이 높은 고분자 유기화합물 재료로 형성된다. 고분자 유기화합물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PEDOT)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과 같은 제2 유기화합물층(3951) 및 그 위에 형성되는 음극(3952)은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3(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기화합물층(3950)의 두께를 적절히 변화시킴으로써 양극(3928)상의 두께(t1)와 뱅크(3938)상의 두께(t2) 사이에 차이를 둘 수 있다. 즉, 양극(3928) 및 음극(3938)로부터 형성된 오목부 때문에 양극(3928)상의 두께(t1)가 더 클 수 있다.
양극(3928) 및 뱅크(3938)가 서로 접하여 있는 엣지부(3938)에서의 두께(t3)가 최대로 되고,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형태에 따라, 제2 유기화합물층(3951) 및 그 위의 상부 층으로 형성되는 음극(3952)의 피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응력 집중 및 전계 집중에 기인한 균열이 억제되어, 열화 및 단락에 의한 발광소자의 고장을 방지한다.
[실시예 14]
발광소자를 사용한 발광장치는 자기발광형이므로, 액정 표시장치에 비하여 밝은 곳에서의 시인성(視認性)이 우수하고, 시야각이 넓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광장치를 사용하여 각종 전자 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의 예로서는,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고글형 디스플레이(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 음향 재생 장치(카 오디오, 오디오 컴포넌트 등), 노트북 컴퓨터, 게임기, 휴대형 정보 단말기(모바일 컴퓨터, 휴대 전화기, 휴대형 게임기, 전자책 등), 및 화상 재생 장치(구체적으로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와 같은 기록 매체 내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그 데이터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가지는 기기)가 있다. 발광소자를 가진 발광장치는, 화면을 비스듬한 방향에서 보는 일이 많고 넓은 시야각이 요구되는 휴대형 정보 단말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전자 장치의 구체적인 예를 도 11(A)∼도 11(H)에 나타낸다.
도 11(A)는 케이싱(2001), 지지대(2002), 표시부(2003), 스피커부(2004), 비디오 입력 단자(2005)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표시부(2003)에 사용될 수 있다. 발광소자를 가진 발광장치는 자기발광형이고,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액정 표시장치보다 얇은 표시부로 할 수 있다. 표시장치에는, 퍼스널 컴퓨터용, TV 방송 수신용, 및 광고 표시용 표시장치와 같은 모든 정보 표시용 표시장치가 포함된다.
도 11(B)는 본체(2101), 표시부(2102), 수상부(2103), 조작 키(2104), 외부 접속 포트(2105), 셔터(2206) 등으로 구성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나타낸다. 이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를 표시부(2102)에 사용하여 제조된다.
도 11(C)는 본체(2201), 케이싱(2202), 표시부(2203), 키보드(2204), 외부 접속 단자(2205), 포인팅 마우스(2206) 등으로 구성되는 노트북 컴퓨터를 나타낸다. 이 노트북 컴퓨터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를 표시부(2202)에 사용하여 제조된다.
도 11(D)는 본체(2301), 표시부(2302), 스위치(2303), 조작 키(2304), 적외선 포트(2305) 등으로 구성되는 모바일 컴퓨터를 나타낸다. 이 모바일 컴퓨터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를 표시부(2302)에 사용하여 제조된다.
도 11(E)는 기록 매체를 구비한 휴대형 화상 재생 장치(구체적으로는, DVD 플레이어)를 나타낸다. 이 장치는 본체(2401), 케이스(2402), 표시부 A(2403), 표시부 B(2404), 기록 매체(DVD) 판독부(2405), 조작 키(2406), 스피커부(2407)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 A(2403)는 주로 화상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부 B는 주로 문자 정보를 표시한다. 휴대형 화상 재생 장치는 표시부 A(2403) 및 표시부 B(2404)에 본 발명의 발광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기록 매체를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에는 비디오 게임기가 포함된다.
도 11(F)는 본체(2501), 표시부(2502) 및 암(arm)부(2503)로 구성되는 고글형 디스플레이(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를 나타낸다. 이 고글형 디스플레이는 표시부(2502)에 본 발명의 발광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도 11(G)는 본체(2601), 표시부(2602), 케이싱(2603), 외부 접속 포트(2604), 원격제어 수신부(2605), 수상부(2606), 배터리(2607), 음성 입력부(2608), 조작 키(2706) 등으로 구성되는 비디오 카메라를 나타낸다. 이 비디오 카메라는 표시부(2602)에 본 발명의 발광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도 11(H)는 본체(2701), 케이스(2702), 표시부(2703), 음성 입력부(2704), 음성 출력부(2705), 조작 키(2706), 외부 접속 포트(2707), 안테나 등으로 구성되는 휴대 전화기를 나타낸다. 이 휴대 전화기는 표시부(2703)에 본 발명의 발광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표시부(2703)가 검은색 배경에 흰색 문자를 표시하는 경우, 휴대 전화기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장래 유기 재료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휘도가 증가할 경우, 유기 소자를 가진 발광장치는 출력된 화상 정보를 함유하는 광을 렌즈 등에 의해 화면에 확대 투영하는 프론트형 또는 리어형 프로젝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전자 장치는 인터넷 및 CATV(케이블 텔레비전)과 같은 전자 통신 회선을 통해 분배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일이 많고, 특히 동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 유기 재료는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기 때문에, 발광소자를 가진 발광장치는 동화상 정보를 표시하는데 적합하다.
발광장치에서는, 발광하는 부분이 전력을 소비한다. 따라서, 발광부를 가능한 한 작게 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휴대형 정보 단말기, 특히, 휴대 전화기 및 음향 재생 장치와 같은, 문자 정보를 주로 표시하는 표시부에 발광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발광하지 않는 부분을 배경으로 하여 발광부에 문자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발광장치의 적용 범위는 매우 넓고, 모든 분야의 전자 제품에 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실시예 1∼13에 나타난 방법을 실시하여 제조되는 발광장치를 사용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양극의 균열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발광소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극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유기화합물층에서의 전류 밀도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구동 전압을 낮출 수 있고, 발광소자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TFT 특성의 열화 또는 정전 방전 파괴를 야기함이 없이,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TFT 기판 형성용 처리실과 발광소자 형성용 처리실 사이에서 기판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발광소자의 재료로 사용되는 알칼리 금속에 의한 TFT의 오염 및 수분 또는 가스에 의한 발광소자의 열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발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2)

  1. 절연체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의 층간절연막;
    상기 층간절연막 상의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의 양극;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상기 제1 절연막, 상기 양극의 엣지부, 및 상기 배선 위의 뱅크;
    상기 양극 및 상기 뱅크 상의 제2 절연막;
    상기 제2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양극 위에 있는 유기화합물층;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의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막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된 경화 막이고,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Ra)가 0.9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가 그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되고,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원소를 포함하는 경화 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4. 절연체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의 층간절연막;
    상기 층간절연막 상의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의 양극;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상기 제1 절연막, 상기 양극의 엣지부, 및 상기 배선 위의 뱅크;
    상기 양극 및 상기 뱅크 상의 제2 절연막;
    상기 제2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양극 위에 있는 유기화합물층;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의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막이 DLC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Ra)가 0.9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가 그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되고,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원소를 포함하는 경화 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7. 절연체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의 층간절연막;
    상기 층간절연막 상의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의 양극;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상기 제1 절연막, 상기 양극의 엣지부, 및 상기 배선 위의 뱅크;
    상기 양극 및 상기 뱅크 상의 제2 절연막;
    상기 제2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양극 위에 있는 유기화합물층;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의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막이 질화규소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Ra)가 0.9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가 그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되고,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원소를 포함하는 경화 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0. 절연체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의 층간절연막;
    상기 층간절연막 상의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의 양극;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상기 제1 절연막, 상기 양극의 엣지부, 및 상기 배선 위의 뱅크;
    상기 양극 및 상기 뱅크 상의 제2 절연막;
    상기 제2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양극 위에 있는 유기화합물층;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의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막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된 경화 막 및 DLC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Ra)가 0.9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가 그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되고,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원소를 포함하는 경화 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3. 절연체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의 층간절연막;
    상기 층간절연막 상의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의 양극;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상기 제1 절연막, 상기 양극의 엣지부, 및 상기 배선 위의 뱅크;
    상기 양극 및 상기 뱅크 상의 제2 절연막;
    상기 제2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양극 위에 있는 유기화합물층;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의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막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된 경화 막 및 질화규소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Ra)가 0.9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가 그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되고,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원소를 포함하는 경화 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6. 절연체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의 층간절연막;
    상기 층간절연막 상의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의 양극;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상기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상기 제1 절연막, 상기 양극의 엣지부, 및 상기 배선 위의 뱅크;
    상기 뱅크 상의 제2 절연막;
    상기 양극 및 상기 뱅크 위의 유기화합물층;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의 음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막이 질화규소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표면의 평균 표면 조도(Ra)가 0.9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가 그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형성되고,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원소를 포함하는 경화 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9. 절연체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의 제1 층간절연막;
    상기 제1 층간절연막 위의 전극;
    상기 제1 층간절연막 위에 있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상기 제1 층간절연막, 상기 전극, 및 상기 배선 위의 제2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2 층간절연막 위의 대전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양극 또는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막이,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알킬아민[히드록시알킬 모노에탄올아민], N,N-Bis(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알킬 디에탄올아민], 알킬 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 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 염, 알킬 베타인, 알킬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도전성 재료가 스핀 코팅법 또는 증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막이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및 벤조시클로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제2 층간절연막 위의 유기화합물층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위의 음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절연체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상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상기 배선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양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양극 및 상기 배선을 덮는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에 가열처리를 행하는 공정;
    양극을 와이핑(wiping)하는 공정;
    상기 양극 및 상기 뱅크를 덮도록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유기화합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에 음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내에서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이 PVA계 다공질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이 상기 양극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30. 절연체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상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절연막상에, 상기 배선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양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양극에 제1 가열처리를 행하는 공정;
    상기 양극 및 상기 배선을 덮는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고, 이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에 제2 가열처리를 행하는 공정;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
    상기 양극 및 상기 뱅크를 덮도록 제2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유기화합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에 음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내에서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이 PVA계 다공질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이 상기 양극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35. 절연체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상에 제1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배선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양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양극에 제1 가열처리를 행하는 공정;
    상기 양극 및 상기 배선을 덮고 뱅크로서 작용하는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에 제2 가열처리를 행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
    상기 양극 및 상기 뱅크를 덮도록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절연막 상에 유기화합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에 음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37. 제 35 항에 있어서,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내에서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이 PVA계 다공질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이 상기 양극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40. 절연체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공정;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배선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양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양극 및 상기 배선을 덮는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에 가열처리를 행하는 공정;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
    상기 양극 및 상기 뱅크를 덮도록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절연막 상에 유기화합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에 음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42. 제 40 항에 있어서,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내에서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이 PVA계 다공질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44.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이 상기 양극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45.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양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양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을 덮는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기 기판을 제1 처리실로부터 제2 처리실로 이동시키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공정;
    가열처리를 행하는 공정;
    상기 뱅크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공정;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
    상기 양극 및 상기 뱅크를 덮도록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절연막 상에 유기화합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에 음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양극이 상기 배선과 부분적으로 겹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47. 제 45 항에 있어서, 수소, 질소, 할로겐화 탄소, 불화수소 및 희가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다수 종류의 가스 내에서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48.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이 PVA계 다공질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49.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이 상기 양극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50.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극을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접속하는 배선을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기 기판을 제1 처리실로부터 제2 처리실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작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양극 또는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작방법.
  52.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극을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접속하는 배선을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작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양극 또는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작방법.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이,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알킬아민[히드록시알킬 모노에탄올아민], N,N-Bis(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알킬 디에탄올아민], 알킬 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 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 염, 알킬 베타인, 알킬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작방법.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도전성 재료가 스핀 코팅법 또는 증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작방법.
  56.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이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또는 벤조시클로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작방법.
  57.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제작방법이,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상기 막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공정, 양극을 와이핑하는 공정, 상기 뱅크 및 양극 위에 유기화합물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제작방법.
  58. 박막트랜지스터 및 양극 위에 형성된 수지 절연막 상에 형성된 대전방지막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공정;
    진공 중에서 상기 뱅크를 소성하는 공정;
    상기 뱅크 및 상기 양극 위에 유기화합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유기화합물층 상에 음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막이,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알킬아민[히드록시알킬 모노에탄올아민], N,N-Bis(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알킬 디에탄올아민], 알킬 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 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 염, 알킬 베타인, 알킬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도전성 재료가 스핀 코팅법이나 증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61.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막이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및 벤조시클로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62.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을 상기 수지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을 제1 처리실로부터 제2 처리실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이,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알킬아민[히드록시알킬 모노에탄올아민], N,N-Bis(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알킬 디에탄올아민], 알킬 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 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 염, 알킬 베타인, 알킬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64.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이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및 벤조시클로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65.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상기 제1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전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을 상기 수지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을 제1 처리실로부터 제2 처리실로 이동시키는 공정;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공정;
    진공 중에서 상기 뱅크를 소성하는 공정;
    상기 뱅크 및 상기 제1 전극 위에 유기 화합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유기 화합물층 위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이,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알킬아민[히드록시알킬 모노에탄올아민], N,N-Bis(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알킬 디에탄올아민], 알킬 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 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 염, 알킬 베타인, 알킬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이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및 벤조시클로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68.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유기 도전성 재료로 된 막을 상기 수지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도전성 재료가,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알킬아민[히드록시알킬 모노에탄올아민], N,N-Bis(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알킬 디에탄올아민], 알킬 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 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 염, 알킬 베타인, 알킬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70.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유기 도전성 재료로 된 막을 상기 수지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을 제1 처리실로부터 제2 처리실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도전성 재료가,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알킬아민[히드록시알킬 모노에탄올아민], N,N-Bis(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알킬 디에탄올아민], 알킬 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 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 염, 알킬 베타인, 알킬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72.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상기 제1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전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유기 도전성 재료로 된 막을 상기 수지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을 제1 처리실로부터 제2 처리실로 이동시키는 공정;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공정;
    진공 중에서 상기 뱅크를 소성하는 공정;
    상기 뱅크 및 상기 제1 전극 위에 유기 화합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유기 화합물층 위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도전성 재료가,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알킬아민[히드록시알킬 모노에탄올아민], N,N-Bis(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알킬 디에탄올아민], 알킬 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 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 염, 알킬 베타인, 알킬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74.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유기 절연 재료로 된 막을 상기 수지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절연 재료가,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및 벤조시클로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76.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유기 절연 재료로 된 막을 상기 수지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을 제1 처리실로부터 제2 처리실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77.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절연 재료가,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및 벤조시클로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78.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상기 제1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1 전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유기 절연 재료로 된 막을 상기 수지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을 제1 처리실로부터 제2 처리실로 이동시키는 공정;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수지 절연막을 에칭하여 뱅크를 형성하는 공정;
    진공 중에서 상기 뱅크를 소성하는 공정;
    상기 뱅크 및 상기 제1 전극 위에 유기 화합물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유기 화합물층 위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절연 재료가,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및 벤조시클로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80. 절연 표면을 가진 기판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위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전극, 상기 배선, 및 상기 층간절연막 위에 수지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을 상기 수지 절연막 위에 형성하는 공정;
    상기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을 제1 처리실로부터 제2 처리실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81.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이,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 폴리아닐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N-2-히드록시에틸-N-2-히드록시알킬아민[히드록시알킬 모노에탄올아민], N,N-Bis(2-히드록시에틸)알킬아민[알킬 디에탄올아민], 알킬 디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벤젠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테트라알킬암모늄 염, 트리알킬벤질암모늄 염, 알킬 베타인, 알킬 이미다졸리움 베타인,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82. 제 8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오염 및 정전 방전 파괴를 방지하는 막이 폴리이미드,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및 벤조시클로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 절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제작방법.
KR1020020008431A 2001-02-19 2002-02-18 발광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KR100843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41195 2001-02-19
JP2001041195 2001-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976A KR20020067976A (ko) 2002-08-24
KR100843302B1 true KR100843302B1 (ko) 2008-07-03

Family

ID=1890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431A KR100843302B1 (ko) 2001-02-19 2002-02-18 발광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9) US7264979B2 (ko)
KR (1) KR100843302B1 (ko)
CN (2) CN100375288C (ko)
MY (1) MY136083A (ko)
SG (6) SG143944A1 (ko)
TW (1) TW5563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2845B2 (en) 2000-05-12 2004-02-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TW525402B (en) 2001-01-18 2003-03-21 Semiconductor Energy Lab Process for producing a light emitting device
US7569849B2 (en) 2001-02-16 2009-08-04 Ignis Innovation Inc. Pixel driver circuit and pixel circuit having the pixel driver circuit
JP4663139B2 (ja) 2001-02-16 2011-03-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SG143944A1 (en) * 2001-02-19 2008-07-29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720198B2 (en) 2001-02-19 2004-04-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301279B2 (en) * 2001-03-19 2007-11-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801278B2 (ja) * 2001-04-23 2011-10-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3969698B2 (ja) * 2001-05-21 2007-09-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の作製方法
US20020197393A1 (en) * 2001-06-08 2002-12-26 Hideaki Kuwabara Process of manufacturing luminescent device
US7042024B2 (en) 2001-11-09 2006-05-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332058A (ja) 2002-03-05 2003-11-21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97233B2 (ja) * 2002-03-20 2008-12-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TWI288443B (en) 2002-05-17 2007-10-11 Semiconductor Energy Lab SiN film,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592980B2 (en) * 2002-06-05 2009-09-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SG130013A1 (en) * 2002-07-25 2007-03-20 Semiconductor Energy Lab Method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
JP2004071696A (ja) * 2002-08-02 2004-03-0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US7605023B2 (en) * 2002-08-29 2009-10-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a semiconductor device and heat treatment method therefor
WO2004026002A1 (en) * 2002-09-11 2004-03-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JP4627961B2 (ja) * 2002-09-20 2011-02-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4397814B2 (ja) * 2002-10-09 2010-01-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7452257B2 (en) * 2002-12-27 2008-11-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N100341154C (zh) * 2003-01-17 2007-10-0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造方法
CN100358169C (zh) * 2003-02-11 2007-12-26 统宝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主动式有机电激发光显示器的制作方法
CA2419704A1 (en) * 2003-02-24 2004-08-24 Ignis Innovation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pixel with organic light-emitting diode
JP2004342336A (ja) 2003-05-13 2004-12-0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SG142140A1 (en) * 2003-06-27 2008-05-28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7354808B2 (en) * 2003-08-15 2008-04-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Resist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JP4741177B2 (ja) * 2003-08-29 2011-08-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の作製方法
US7928654B2 (en) 2003-08-29 2011-04-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192326B2 (en) * 2003-08-29 2007-03-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emitting element using a rubbing treatment
CA2443206A1 (en) 2003-09-23 2005-03-23 Ignis Innovation Inc. Amoled display backplanes - pixel driver circuits, array architecture, and external compensation
CN100499035C (zh) * 2003-10-03 2009-06-1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US7314785B2 (en) * 2003-10-24 2008-01-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33433B2 (ja) * 2003-11-06 2009-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741962B1 (ko) 2003-11-26 2007-07-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CN100369270C (zh) * 2003-12-24 2008-02-13 三洋电机株式会社 光传感器及显示装置
US7619258B2 (en) * 2004-03-16 2009-11-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7183147B2 (en) * 2004-03-25 2007-02-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electronic appliance
US7259110B2 (en) * 2004-04-28 2007-08-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CA2472671A1 (en) 2004-06-29 2005-12-29 Ignis Innovation Inc. Voltage-programming scheme for current-driven amoled displays
CN1819300B (zh) * 2004-09-17 2010-06-1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发光器件
CA2490858A1 (en) 2004-12-07 2006-06-07 Ignis Innovation Inc. Driving method for compensated voltage-programming of amoled displays
KR100659579B1 (ko) * 2004-12-08 2006-1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의 제조방법
US7534552B2 (en) * 2004-12-23 2009-05-19 Asml Netherlands B.V.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0632658B1 (ko) * 2004-12-29 2006-10-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CA2495726A1 (en) 2005-01-28 2006-07-28 Ignis Innovation Inc. Locally referenced voltage programmed pixel for amoled displays
KR20060104531A (ko) * 2005-03-30 2006-10-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7820495B2 (en) * 2005-06-30 2010-10-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7838347B2 (en) 2005-08-12 2010-11-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20090322210A1 (en) * 2005-09-27 2009-12-31 Masahiro Yokoo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substr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EP1946374A4 (en) * 2005-11-09 2014-01-01 Semiconductor Energy Lab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577231B (zh) * 2005-11-15 2013-01-0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WO2007077715A1 (ja) * 2006-01-05 2007-07-1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ボトムエミッション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JP2007227574A (ja) * 2006-02-22 2007-09-06 Fujifilm Corp 光電変換素子、固体撮像素子
EP1830421A3 (en) * 2006-03-03 2012-03-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and sheet-like sealing material
WO2007105575A1 (en) * 2006-03-10 2007-09-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mory element and semiconductor device
EP2008264B1 (en) 2006-04-19 2016-11-16 Ignis Innovation Inc. Stable driving scheme for active matrix displays
US20070287209A1 (en) * 2006-04-28 2007-12-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evice
US20070278498A1 (en) * 2006-06-02 2007-12-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KR101244898B1 (ko) * 2006-06-28 2013-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7993960B2 (en) 2006-12-13 2011-08-0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933393A1 (en) * 2006-12-13 2008-06-18 Samsung SD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substrate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1593053B (zh) * 2008-05-28 2013-01-02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
TWI607670B (zh) * 2009-01-08 2017-12-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及電子裝置
US8633873B2 (en) 2009-11-12 2014-01-21 Ignis Innovation Inc. Stable fast programming scheme for displays
JP5689653B2 (ja) * 2009-12-03 2015-03-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荷輸送膜、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発光素子並びに光電変換素子
WO2011108422A1 (ja) 2010-03-01 2011-09-09 シャープ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US9606607B2 (en) 2011-05-17 2017-03-28 Ignis Innov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 systems with dynamic power control
CN109272933A (zh) 2011-05-17 2019-01-25 伊格尼斯创新公司 操作显示器的方法
KR101995700B1 (ko) 2011-06-24 2019-07-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패널, 발광 패널을 사용한 발광 장치 및 발광 패널의 제작 방법
US8901579B2 (en) 2011-08-03 2014-12-02 Ignis Innovation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9070775B2 (en) 2011-08-03 2015-06-30 Ignis Innovations Inc. Thin film transistor
US10089924B2 (en) 2011-11-29 2018-10-02 Ignis Innovation Inc. Structural and low-frequency non-uniformity compensation
US9385169B2 (en) 2011-11-29 2016-07-05 Ignis Innovation Inc. Multi-functional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JP2013251255A (ja) * 2012-05-04 2013-12-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の作製方法
KR101761942B1 (ko) * 2012-08-27 2017-07-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정전 방전 보호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061610A1 (en) * 2012-08-31 2014-03-06 Hyo-Young MU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721505B2 (en) 2013-03-08 2017-08-01 Ignis Innovation Inc. Pixel circuits for AMOLED displays
US9952698B2 (en) 2013-03-15 2018-04-24 Ignis Innovation Inc. Dynamic adjustment of touch resolutions on an AMOLED display
KR20150006713A (ko) * 2013-07-09 2015-0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용 절연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제품
CN103545320B (zh) 2013-11-11 2015-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含有该显示基板的柔性显示装置
US9502653B2 (en) 2013-12-25 2016-11-22 Ignis Innovation Inc. Electrode contacts
JP6331407B2 (ja) * 2014-01-16 2018-05-30 凸版印刷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10997901B2 (en) 2014-02-28 2021-05-04 Ignis Innovation Inc. Display system
US10176752B2 (en) 2014-03-24 2019-01-08 Ignis Innovation Inc. Integrated gate driver
KR102364064B1 (ko) * 2014-05-09 2022-0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장치 간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회피를 위한 장치 및 방법
TWI726843B (zh) 2014-05-30 2021-05-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觸控面板
US10225810B2 (en) * 2014-08-06 2019-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ystem
US20160135067A1 (en) * 2014-11-11 2016-05-12 Cellmining Ltd. Call detail record-based multiple network optimization
CA2872563A1 (en) 2014-11-28 2016-05-28 Ignis Innovation Inc. High pixel density array architecture
WO2017003488A1 (en) * 2015-07-02 2017-01-0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Drilling system drag member for simultaneous drilling and reaming
US10373554B2 (en) 2015-07-24 2019-08-06 Ignis Innovation Inc. Pixels and reference circuits and timing techniques
US10657895B2 (en) 2015-07-24 2020-05-19 Ignis Innovation Inc. Pixels and reference circuits and timing techniques
CA2898282A1 (en) 2015-07-24 2017-01-24 Ignis Innovation Inc. Hybrid calibration of current sources for current biased voltage progra mmed (cbvp) displays
CA2909813A1 (en) 2015-10-26 2017-04-26 Ignis Innovation Inc High ppi pattern orientation
DE102017222059A1 (de) 2016-12-06 2018-06-07 Ignis Innovation Inc. Pixelschaltungen zur Minderung von Hysterese
KR20180076832A (ko) 2016-12-28 2018-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714018B2 (en) 2017-05-17 2020-07-14 Ignis Innov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image correction data for displays
US11025899B2 (en) 2017-08-11 2021-06-01 Ignis Innovation Inc. Optical corr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non-uniformity of emissive display devices
US10971078B2 (en) 2018-02-12 2021-04-06 Ignis Innovation Inc. Pixel measurement through data line
CN111837068A (zh) * 2018-03-01 2020-10-27 海思智财控股有限公司 具有多重景深显像的近眼显示方法
US11380864B2 (en) * 2019-02-13 2022-07-0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device, display apparatus,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illumination apparatus, and moving object
US20220209166A1 (en) * 2019-04-11 2022-06-30 Sharp Kabushiki Kaisha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KR20200143562A (ko) * 2019-06-13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0600505A (zh) * 2019-08-20 2019-12-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装置
CN110993609A (zh) * 2019-11-15 2020-04-1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
KR20210149957A (ko) * 2020-06-02 2021-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974A (ja) * 1993-01-25 1994-08-12 Komatsu Ltd 薄膜el素子の誘電体層
JPH0888089A (ja) * 1994-09-20 1996-04-02 Fuji Electric Co Ltd 薄膜電場発光素子
JPH09134788A (ja) * 1994-12-08 1997-05-20 Denso Corp El素子
JPH1131587A (ja) * 1997-07-09 1999-02-02 Futaba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88592A (ko) * 1998-05-29 1999-12-2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유기발광다이오드와함께모놀리식으로집적된박막트랜지스터
KR20010003747A (ko) * 1999-06-25 2001-01-15 김영환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04575A1 (de) 1980-02-08 1981-08-13 Sigri Elektrographit Gmbh, 8901 Meitingen Pleuelstange aus verbundwerkstoff
JPS6457648A (en) 1987-08-27 1989-03-03 Minolta Camera Kk Manufacture of multilayer interconnection
JPS6457648U (ko) 1987-10-05 1989-04-10
US4891334A (en) * 1987-11-10 1990-01-02 Nippon Zeon Co., Ltd. Process for production of electronic devices utilizing novolak resin as protective material
JPH038117A (ja) 1989-06-05 1991-01-16 Hitachi Maxell Ltd 磁気記録テープの製造方法
JPH03166737A (ja) * 1989-11-27 1991-07-18 Ricoh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法
JP2682188B2 (ja) 1990-03-09 1997-11-26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子写真用感光体の製造方法
JPH0487187A (ja) 1990-07-27 1992-03-19 Toshiba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04257826A (ja) 1991-02-13 1992-09-14 Sharp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
JP3201029B2 (ja) 1992-12-04 2001-08-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
JP3138098B2 (ja) 1993-01-14 2001-02-26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液晶基板の帯電防止方法
ATE171560T1 (de) * 1993-03-09 1998-10-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Herstellungsverfahren eines musters von einem elektrisch leitfähigen polymer auf einer substratoberfläche und metallisierung eines solchen musters
WO1995007152A1 (en) * 1993-09-08 1995-03-16 Uvtech Systems, Inc. Surface processing
JP3067949B2 (ja) 1994-06-15 2000-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5952128A (en) 1995-08-15 1999-09-14 Ulvac Coating Corporation Phase-shifting photomask bla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s well as phase-shifting photomask
JP3594659B2 (ja) 1994-09-08 2004-12-02 アルバック成膜株式会社 位相シフトフォトマスクブランクス製造方法、位相シフトフォトマスクブランクス、及び位相シフトフォトマスク
GB9418705D0 (en) * 1994-09-16 1994-11-16 Johnson Matthey Plc Improvements in high temperature articles
JPH08120105A (ja) 1994-10-26 1996-05-14 Kanebo Ltd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多孔質シートの製造方法
US5804918A (en) 1994-12-08 1998-09-08 Nippondenso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light reflecting film only at locations corresponding to light emitting regions
US5684365A (en) 1994-12-14 1997-11-04 Eastman Kodak Company TFT-el display panel us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media
US5550066A (en) * 1994-12-14 1996-08-2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fabricating a TFT-EL pixel
JPH08288090A (ja) 1995-04-12 1996-11-01 Hitachi Chem Co Ltd 液晶基板の帯電防止方法
JP3497283B2 (ja) 1995-06-19 2004-0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有機薄膜el素子
TW309633B (ko) 1995-12-14 1997-07-01 Handotai Energy Kenkyusho Kk
JPH09199278A (ja) 1996-01-18 1997-07-31 Toray Ind Inc 発光素子
JPH09245965A (ja) * 1996-03-06 1997-09-19 Pioneer Electr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
JP3640224B2 (ja) 1996-06-25 2005-04-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パネル
US20020075422A1 (en) 1996-09-19 2002-06-20 Seiko Epson Corporation Matrix typ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367431B1 (en) 1996-09-19 2005-12-28 Seiko Epson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a matrix type display device
JP4612125B2 (ja) * 1997-01-14 2011-01-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明バリアフィルム、それを使用した積層材および包装用容器
WO1998033575A1 (fr) * 1997-01-31 1998-08-06 Takasago Thermal Engineering Co., Ltd. Appareil de nettoyage, filt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ux-ci
EP0895219B1 (en) * 1997-02-17 2010-06-16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JP3105816B2 (ja) 1997-03-31 2000-11-0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541625B2 (ja) * 1997-07-02 2004-07-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
JPH1187068A (ja) * 1997-07-15 1999-03-30 Tdk Corp 有機el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512145A (ja) 1997-07-31 2001-08-21 エコール ポリテクニーク フェデラルド ドゥ ローザンヌ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バイス
KR100627091B1 (ko) * 1997-08-21 2006-09-22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티브 매트릭스형 표시장치
JP3580092B2 (ja) * 1997-08-21 2004-10-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US5853905A (en) * 1997-09-08 1998-12-29 Motorola, Inc. Efficient single layer electroluminescent device
US6070284A (en) * 1998-02-04 2000-06-06 Silikinetic Technology, Inc. Wafer cleaning method and system
JPH11224781A (ja) * 1998-02-05 1999-08-17 Pioneer Electron Corp 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0384B1 (ko) 1998-03-17 2006-12-2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3646510B2 (ja) 1998-03-18 2005-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薄膜形成方法、表示装置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4458563B2 (ja) * 1998-03-31 2010-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H11337973A (ja) 1998-05-28 1999-12-10 Sharp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
JP2000030871A (ja) * 1998-07-08 2000-01-28 Futaba Corp 有機el素子
JP2000049227A (ja) 1998-07-31 2000-02-1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0077191A (ja) 1998-08-31 2000-03-14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00106279A (ja) 1998-09-28 2000-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薄膜el素子
JP2000172198A (ja) * 1998-12-01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00173778A (ja) * 1998-12-01 2000-06-23 Tdk Corp 有機el表示装置
TW439387B (en) * 1998-12-01 2001-06-07 Sanyo Electric Co Display device
JP3850005B2 (ja) 1999-03-03 2006-11-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
JP2000260571A (ja) 1999-03-11 2000-09-22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4255041B2 (ja) 1999-04-02 2009-04-15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
JP2000294378A (ja) 1999-04-07 2000-10-20 Toray Ind Inc 有機電界発光装置
US6727047B2 (en) 1999-04-16 2004-04-27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of extending the stability of a photoresist during direct writing of an image upon the photoresist
US20020071995A1 (en) * 1999-04-16 2002-06-13 Montgomery Melvin Warren Photoresist topcoat for deep ultraviolet (DUV) direct write laser mask fabrication
US6969569B2 (en) 1999-04-16 2005-11-29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of extending the stability of a photoresist during direct writing of an image
US20010044077A1 (en) * 1999-04-16 2001-11-22 Zoilo Chen Ho Tan Stabilization of chemically amplified resist coating
JP4423701B2 (ja) 1999-06-07 2010-03-03 Tdk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JP4627822B2 (ja) 1999-06-23 2011-02-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US6187684B1 (en) * 1999-12-09 2001-02-13 Lam Research Corporation Methods for cleaning substrate surfaces after etch operations
TW484238B (en) 2000-03-27 2002-04-2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0444698C (zh) 2000-03-31 2008-12-1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有机el元件及有机el元件的制造方法
JP4048687B2 (ja) 2000-04-07 2008-02-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素子およ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TW493282B (en) 2000-04-17 2002-07-01 Semiconductor Energy Lab Self-luminous device and electric machine using the same
JP4889872B2 (ja) 2000-04-17 2012-03-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器具
JP2001313164A (ja) * 2000-04-28 2001-11-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携帯端末
JP4860052B2 (ja) 2000-05-12 2012-01-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US6692845B2 (en) 2000-05-12 2004-02-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JP2001332741A (ja) * 2000-05-25 2001-11-30 Sony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2002014421A (ja) * 2000-06-28 2002-01-1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4632337B2 (ja) 2000-11-10 2011-02-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TW522577B (en) 2000-11-10 2003-03-0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TW525402B (en) 2001-01-18 2003-03-21 Semiconductor Energy Lab Process for producing a light emitting device
JP2002231445A (ja) 2001-01-31 2002-08-16 Dainippon Printing Co Ltd El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SG143944A1 (en) * 2001-02-19 2008-07-29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720198B2 (en) 2001-02-19 2004-04-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992439B2 (en) * 2001-02-22 2006-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with sealing structure for protecting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JP2002250881A (ja) 2001-02-26 2002-09-06 Minolta Co Ltd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および当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878470B2 (en) 2002-02-08 2005-04-12 Fuji Photo Film Co., Ltd. Visible image receiving material, conductive pattern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using member having surface hydrophilicity
JP2003332055A (ja) 2002-05-16 2003-11-2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4019791B2 (ja) 2002-05-29 2007-12-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成膜装置
KR102009357B1 (ko) * 2012-11-26 2019-08-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5846B1 (ko) * 2012-11-26 2019-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974A (ja) * 1993-01-25 1994-08-12 Komatsu Ltd 薄膜el素子の誘電体層
JPH0888089A (ja) * 1994-09-20 1996-04-02 Fuji Electric Co Ltd 薄膜電場発光素子
JPH09134788A (ja) * 1994-12-08 1997-05-20 Denso Corp El素子
JPH1131587A (ja) * 1997-07-09 1999-02-02 Futaba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88592A (ko) * 1998-05-29 1999-12-2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유기발광다이오드와함께모놀리식으로집적된박막트랜지스터
KR20010003747A (ko) * 1999-06-25 2001-01-15 김영환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66184B2 (en) 2014-10-21
US7825419B2 (en) 2010-11-02
US9954196B2 (en) 2018-04-24
SG143944A1 (en) 2008-07-29
US8497525B2 (en) 2013-07-30
US20090128026A1 (en) 2009-05-21
SG143946A1 (en) 2008-07-29
US20140183515A1 (en) 2014-07-03
CN1372325A (zh) 2002-10-02
US7485478B2 (en) 2009-02-03
SG143945A1 (en) 2008-07-29
US7264979B2 (en) 2007-09-04
SG102681A1 (en) 2004-03-26
SG146422A1 (en) 2008-10-30
US9502679B2 (en) 2016-11-22
CN101232027B (zh) 2012-07-04
KR20020067976A (ko) 2002-08-24
TW556358B (en) 2003-10-01
CN101232027A (zh) 2008-07-30
SG143942A1 (en) 2008-07-29
MY136083A (en) 2008-08-29
US20150021588A1 (en) 2015-01-22
US20020113248A1 (en) 2002-08-22
US20070290219A1 (en) 2007-12-20
CN100375288C (zh) 2008-03-12
US20110024787A1 (en) 2011-02-03
US20170069866A1 (en) 2017-03-09
US8679875B2 (en) 2014-03-25
US9768405B2 (en) 2017-09-19
US20130280841A1 (en) 2013-10-24
US20180047933A1 (en)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302B1 (ko) 발광장치 및 그의 제작방법
US6720198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301279B2 (en) Light-emi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715974B2 (ja) 発光装置
US6893887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light emitting device
JP2012151124A (ja) 表示装置、表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4223218B2 (ja) 発光装置
JP2005150105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作製方法
JP2002318546A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4592989B2 (ja) 発光装置の作製方法
JP2005135929A (ja) 発光装置の作製方法
JP2002280186A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05196225A (ja)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作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