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518B1 -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518B1
KR100440518B1 KR10-2001-0013055A KR20010013055A KR100440518B1 KR 100440518 B1 KR100440518 B1 KR 100440518B1 KR 20010013055 A KR20010013055 A KR 20010013055A KR 100440518 B1 KR100440518 B1 KR 10044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ming
reflector
screw
nut member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305A (ko
Inventor
시라이카츠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10092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2Ball-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 수지로 제조된 조준 스크류를 이용하여 적정한 조준을 가능하게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등실(S)을 구획하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램프 본체(10) 및 합성 수지로 제조된 전방면 렌즈(12)와, 등실(S)에 수용된 광원(18)을 장착한 리플렉터(14)와, 램프 본체(10)와 리플렉터(14) 사이에 개재되어 리플렉터(14)를 램프 본체(10)에 대하여 경사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준 기구(E)를 구비하고, 조준 기구(E)는 리플렉터(14)의 경사 운동 지점을 구성하는 조준 지점(P)과, 램프 본체(10)의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으로 연장하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스크류(30, 40)와, 리플렉터(14)에 형성된 브래킷(150a, 150b)에 장착되고 스크류(30, 40)에 나사 결합하며 스크류(30, 40)의 회전에 연계하여 전후 진퇴하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너트 부재(130, 140)로 구성된 리플렉터 가동형 헤드 램프로, 램프 본체(10)에 너트 부재(130, 140)를 수용하고 이를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230, 240)를 일체로 형성하며, 스크류(30, 40)의 굽힘 변형을 방지하고 너트 부재(130, 140)와 브래킷(150a, 150b)의 장착부에 너트 부재(130, 140)의 진퇴에 따라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해제하는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제 수단(결합 구멍(152), 결합 돌기(135))을 설치하며, 너트 부재(130, l40)와 브래킷(150a, 150b)의 장착부에서의 예측할 수 없는 응력의 발생을 방지하여 스크류(30, 40)의 내구성과 적정 조준을 확보했다.

Description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VEHICLE HEADLAMP WITH MOVABLE REFLECTOR}
본 발명은 광원을 장착한 리플렉터(reflector)가 조준(aiming) 기구에 의해서 램프 본체에 대하여 경사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리플렉터 가동형의 자동차용 헤드 램프(head lamp)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준 기구 구성 부재인 조준 스크류(screw)를 합성 수지로 구성한 리플렉터 가동형의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자동차용 헤드 램프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을 장착하여 일체화한 합성 수지로 제조된 리플렉터(2)가 합성 수지로 제조된 램프 본체(1)의 전방면측에 있어서, 1개의 경사 운동(tilting) 지점인 볼 조인트(ball joint)와, 2개의 조준 스크류에 각각 나사 결합하여 축 방향으로 진퇴 가능한 이동 지점인 2개의 너트(nut) 부재로 구성된 조준 기구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즉, 조준 스크류(4)는 램프 본체(1)에 설치된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램프 본체(1)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조준 스크류(4)의 나사부(4a)에는 리플렉터(2)에 연장 형성된 브래킷(2a)에 고착된 합성 수지로 제조된 너트 부재(5)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조준 스크류(4)를 회전함으로써 너트 부재(5)가 조준 스크류(4)를 따라서 진퇴하고, 볼 조인트와 다른 조준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를 연결하는 경사 운동 축 주위로 리플렉터(2)가 경사 운동하며, 이에 의해서 램프의 광축(光軸)을 조정할 수 있다.
조준 스크류(4)는 금속으로 제조된 것이고, 그 후단부에는 관형 톱니바퀴(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드라이버(D)를 사용하여 조준 스크류(4)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램프 본체(1)의 후방으로부터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a)에 삽입 통과된 조준 스크류(4)는 가압 삽입식 고정구(push-on-fix)(8)에 의해서 전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위치가 결정 고정되어 있다.
또한, 조준 스크류(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a)에는 밀봉재인 O링(9)이 개재되어 조준 스크류(4)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조준 스크류(4)가 금속으로 제조된 것이기 때문에 조준 기구나 헤드 램프의 중량을 저감하는 데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헤드 램프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조준 스크류를 합성 수지로 구성한다는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조준 스크류(4)를 합성 수지로 구성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어, 실제로 합성 수지로 제조된 조준 스크류를 이용하기까지 이르고 있지 않는 것이 실상이다.
즉, 도 15 부호 W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팔보 지지된 조준 스크류(4)의 선단측에 리플렉터의 중량이 작용하여 조준 스크류(4)의 기단부측이 굽힘을 받아 변형하기 쉽고 내구성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리플렉터측 브래킷(2a)에 장착된 너트 부재(5)는 브래킷(2a)에 대하여 다소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브래킷(2a)과 너트 부재(5) 사이의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확실하게 없앨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조준 스크류(4)의 회전에 따라 너트 부재(5)가 스크류를 따라서 진퇴할 때에, 너트 부재(5)와 브래킷(2a) 사이의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에 의해서 리플렉터(2)나 조준 스크류(4)가 변형하고, 적정한 조준을 할 수 없는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합성 수지로 제조된 조준 스크류를 이용하여 적정한 조준을 가능하게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정면도.
도 2는 동(同) 헤드 램프의 수평 단면도(도 1에 도시하는 선 II-II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동 헤드 램프의 종단면도(도 1에 도시하는 선 III-III을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램프 본체, 리플렉터 및 조준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조준 스크류의 확대 측면도.
도 6은 조준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7은 조준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를 구성하는 통형부를 도시하는데, (a)는 동 통형부의 확대 측면도, (b)는 동 통형부의 확대 정면도, (c)는 동 통형부의 확대 사시도, (d)는 동 통형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너트 부재와 너트 결합 구멍의 사시도.
도 9는 너트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브래킷과 너트 부재의 장착부의 단면도(도 2에 도시하는 선 X-X을 따르는 단면도).
도 11은 브래킷과 너트 부재의 장착부의 단면도(도 3에 도시하는 선 XI-XI을 따르는 단면도).
도 12는 너트 결합 구멍의 단면도(도 10에 도시하는 선 XII-XII을 따르는 단면도).
도 13은 너트 부재와 너트 결합 구멍 사이의 응력 해제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요부인 브래킷과 너트 부재의 장착부의 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조준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 주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램프 본체
10a, 10b :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
12 : 전방면 렌즈
14 : 리플렉터
18 : 광원인 전구
20 : 조준 지점을 구성하는 볼 조인트(ball joint)
23 : 조준 지점을 구성하는 볼부
24 : 조준 지점을 구성하는 볼 받침부
30 : 좌우 조준 스크류
40 : 상하 조준 스크류
32, 42 : 수 나사부
34, 44 : 조준 스크류의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에 의한 피지지부
34a, 44a : 원환형의 제2 탄성 방수 리브(rib)
35a, 45a : 스커트형의 제1 탄성 방수 리브
36, 46 : 오목형 결합부인 결합 홈
50 : 조준 스크류 회전 지지부를 구성하는 통형부
50A : 통형부의 전방 연장부
50a : 통형부 전단면
130, 140 : 너트 부재
131 (141) : 너트 부재 본체
133, 143 : 판스프링형 탄성 연장부
135, 145 : 응력 해제 수단을 구성하는 볼부측의 결합 돌기
136, 146 : 두 갈래형 결합 돌기인 두 갈래 결합부
150a, 150b : 브래킷
152 : 응력 해제 수단을 구성하는 볼 받침부측의 결합 구멍
153 : 격벽
154 : 결합 구멍
230, 240 :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
234, 244 : 리브
E : 조준 기구
P : 조준 지점
S : 등실(燈室)
Lx : 수평 경사 운동 축
Ly : 수직 경사 운동 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따른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는 용기형의 합성 수지로 제조된 램프 본체와, 등실을 구획하 도록 상기 램프 본체의 전방면 개구부에 조립된 합성 수지로 제조된 전방면 렌즈와, 상기 등실에 수용된 광원을 장착한 리플렉터와, 상기 램프 본체와 리플렉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리플렉터를 램프 본체에 대하여 경사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준 기구는 상기 리플렉터의 경사 운동 지점을 구성하는 조준 지점과, 상기 램프 본체에 설치된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으로 연장하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조준 스크류와, 상기 리플렉터에서 연장하여 형성된 브래킷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조준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여 조준 스크류의 회전에 연계하여 전후 진퇴하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너트 부재로 구성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로서,
상기 램프 본체에 상기 너트 부재를 수용하고 이를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nut slide guide)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너트 부재와 상기 브래킷의 장착부에 너트 부재의 진퇴에 따라 상기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해제하는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제 수단을 설치하도록 하였다.또한, 상기 브래킷과 너트 부재의 장착부를, 상기 너트 부재의 상기 조준 지점으로 향하는 측면에 돌출 설치한 볼(ball)부측의 결합 돌기와, 상기 브래킷에 설치된,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하는 볼 받침부측의 결합 구멍으로 구성하고,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 구멍을, 결합 방향으로 상대적인 슬라이드가 가능하며, 상기 조준 지점과 상기 조준 스크류를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서 상대적이 요동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결합 구멍의 주위 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제 수단으로 구성하도록 했다.
(작용) 램프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가 조준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에 작용하는 리플렉터의 중량)를 수용하기 때문에, 합성 수지로 제조된 조준 스크류에는 리플렉터의 중량에 의한 굽힘 모먼트(moment)가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너트 부재의 진퇴에 따라 리플렉터가 램프 본체에 대하여 경사 운동할 때나, 광원의 발열에 기인하여 리플렉터가 열 팽창할 때 등에, 너트 부재와 브래킷의 장착부(조준 스크류와 리플렉터 사이)에 발생하려고 하는 응력은 너트 부재와 브래킷의 장착부에 설치된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제 수단에 의해서 해제된다.
또한, 조준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진퇴하는 너트 부재는,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에 의해서 조준 스크류를 따른 방향으로 가이드되기 때문에, 너트 부재와 조준 스크류의 나사 결합부의 마찰 토크(torque)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또한, 예컨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준 스크류(30)의 회전에 따라, 너트 부재(130)는 화살표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30)를 따라서 전후 진퇴(직선 운동)하는 한편, 리플렉터(14)(의 브래킷(150a)의 결합 구멍(152))는 화살표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준 지점(P)(수직 경사 운동 축 Ly) 주위로 회전(경사 운동)한다. 이 때문에 이동 궤적이 다른 양자(직선 운동을 하는 너트 부재(130)와 회전 운동을 하는 브래킷(150a)) 사이의 결합부(결합 돌기(135)와 결합 구멍(152))인 장착부에는 이동 궤적의 차이(틀어짐)에 상당하는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그러나, 너트 부재(130)의 스크류(30)를 따른 전후 진퇴 동작에 따라, 너트 부재(130)측의 결합 돌기(135)와 브래킷(150a)측의 결합 구멍(152)이 결합 방향(도 13의 좌우 방향인 결합 구멍(152) 연장 방향)으로 상대적인 슬라이드를 하여,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조준 지점(P)을 통하는 수평 경사 운동 축(Lx)을 따른 방향의 틀어짐 δ에 대응하는 인장 응력(압축 응력)을 해제한다.또한, 결합 돌기(135)와 결합 구멍(152)이 수평 방향으로 상대 요동하여,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결합 구멍(152)의 연장 방향(L2)과 결합 돌기(135)의 돌출 방향(L3)의 각도 틀어짐 θ에 대응하는 토크를 해제한다. 즉, 리플렉터(14)가 조준 지점(P)을 통하는 수직 경사 운동 축(Ly) 주위로 경사 운동할 때의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해제한다.또한, 결합 돌기(135)와 결합 구멍(152)이 결합 구멍(152)의 주위 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을 하여, 리플렉터(14)가 조준 지점(P)을 통하는 수평 경사 운동 축(Lx) 주위로 경사 운동할 때의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해제한다.또한, 광원의 발열로 인하여 리플렉터(14)가 열 팽창하는 등의 경우에도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에는 리플렉터(14)의 변형에 따르는 응력이 생기려고 하지만, 결합 돌기(135)와 결합 구멍(152)으로 구성된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제 수단에 의해서 그 응력이 해제된다.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조준 스크류를 상기 조준 지점과 상하 방향으로 거리를 둔 위치에 배치된 상하 조준 스크류와, 상기 조준 지점과 좌우 방향으로 거리를 둔 위치에 배치된 좌우 조준 스크류로 구성하도록 했다.
(작용) 상하 조준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너트 부재가 상하 조준 스크류를 따라서 진퇴하고, 리플렉터가 조준 지점과 좌우 조준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브래킷 사이 장착부를 통하는 수평 경사 운동 축 주위로 경사 운동한다.
좌우 조준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너트 부재가 좌우 조준 스크류를 따라서 진퇴하고, 리플렉터가 조준 지점과 상하 조준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브래킷 사이 장착부를 통하는 수직 경사 운동 축 주위로 경사 운동한다.
청구항 5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멍을 상기 조준 스크류와 평행한 격벽에 의해서 2개의 구멍으로 구획하는 한편, 상기 결합 돌기를 두 갈래형으로 분할함과 동시에, 상기 두 갈래부를 상기 격벽에 결합하도록 상기 두 갈래형 결합 돌기를 각각의 구멍에 삽입하여 결합 구멍의 내주면에 결합 돌기를 가압 접촉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구성했다.
(작용) 두 갈래형 결합 돌기와 결합 구멍측의 격벽은 결합 돌기를 결합 구멍에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또한, 결합 구멍에 삽입된 결합 돌기는 결합구멍의 내주면에 가압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빠짐이 방지됨과 동시에,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의 요동을 없애도록 작용한다.
또한,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두 갈래형 결합 돌기의 대응하는 외주면에, 상기 결합 구멍의 내주면에 각각 가압 접촉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 구멍의 상대 요동축을 구성하는 볼록부(凸部)를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합 구멍의 내주면에 가압 접촉된 한 쌍의 볼록부를 통하는 축이 결합 돌기와 결합 구멍의 상대 요동축이 되어 결합 돌기와 결합 구멍의 유연한 상대 요동이 확보된다. 이에 따라, 리플렉터가 원활하게 경사 운동하고, 유연한 조준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재를 상기 조준 스크류를 덮도록 전후로 연장되어 상기 조준 지점측의 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통형의 슬라이드 가이드 내에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측면 개구부로부터 상기 결합 돌기를 돌출시키고, 상기 너트 부재의 측면에 상기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에 가압 접촉 상태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판스프링형 탄성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했다.
(작용) 판스프링형 탄성 연장부가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에 가압 접촉하고 너트 부재는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 내에 있어서 흔들임 없이 탄성 지지됨과 동시에, 너트 부재의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조준 스크류)를 따른 유연한 슬라이드가 확보된다.
또한,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을, 램프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램프 본체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하는 통형부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통형부의 전방 연장 단부를, 주위 방향으로 분할되어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또한 선단에 형성된 걸어 멈춤부가 조준 스크류측의 오목형 결합부에 결합하여 램프 본체 후방으로부터 삽입 통과한 조준 스크류가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분할 요동 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조준 스크류를, 상기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에 의해서 지지되는 피지지부와, 상기 피지지부 전방의 수 나사부와, 상기 피지지부 후방의 회전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 주연부에 가압 접촉 및 슬라이드 접촉하는 스커트형의 탄성 방수 리브(rib)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램프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조준 스크류를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으로 가압 삽입하면, 통형부의 전방 연장 단부를 구성하는 분할 요동 부재가 피지지부에 눌려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하여 피지지부가 통형부를 관통하고, 분할 요동 부재의 걸어 멈춤부가 조준 스크류측의 오목형 결합부에 결합하고 또한 스커트형 탄성 리브가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 주연부에 접촉함으로써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에 대하여 조준 스크류가 축 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되어 고정된다.
또한, 조준 스크류의 피지지부 후단측에 형성된 스커트형의 탄성 방수 리브는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의 주연부에 가압 접촉 및 슬라이드 접촉하여, 램프 본체 후방측의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 주연부와 조준 스크류 피지지부 사이로의 물의 침입을 저지함과 동시에, 조준 스크류를 전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또한, 방수 리브 및 램프 본체는 어느 것이나 합성 수지로 제조된 것으로, 방수 리브와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 주연부 사이의 슬라이드 접촉부에서는 양자의 활주가 확보되어 조준 스크류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합성 수지로 제조된 방수 리브는 고무로 제조된 O링과 비교하여 물에 의해서 열화(劣化)하기 어렵다.
이 결과, 조준 스크류에 일체로 형성되어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의 주연부에 가압 접촉 및 슬라이드 접촉하는 스커트형의 탄성 방수 리브에 의해서, 조준 스크류는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탄성 지지됨과 동시에, 조준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가 확보되기 때문에 조준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가압 삽입식 고정구 등의 탄성 부재나 O링 등의 밀봉 부재를 개재할 필요가 없어지고, 그만큼 조준 기구를 구성하는 부품 갯수가 감소하여 조준 기구의 구성이 간결하게 됨과 동시에 조준 기구의 조립 작업도 간단해진다.
또한, 합성 수지로 제조된 방수 리브는 장기간 사용해도 물에 의한 열화는없고, 조준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장기간에 걸치는 탄성 지지와 방수가 보증된다.
또한, 조준 스크류의 피지지부에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원환형의 제2 탄성 방수 리브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조준 스크류의 피지지부에 형성되어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제2 원환형의 탄성 방수 리브는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 내주면에 가압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조준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를 확보한다.
또한, 합성 수지로 제조된 방수 리브는 탄성(가요성)을 가지므로, 조준 스크류의 피지지부를 통형부(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에 삽입하는 때에는 제2 방수 리브가 탄성 변형하여 조준 스크류의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으로의 조립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제2 방수 리브와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 내주면 사이의 슬라이드 접촉부가 조준 스크류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도 아니다.
또한, 합성 수지로 제조된 제2 방수 리브는 고무로 제조된 O링과 비교하여 물에 의해서 열화하기 어렵다.
이 결과, 조준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는 램프 본체 외측의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 주연부에 있어서의 탄성 방수 리브에 의한 방수 수단과,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 내부에 있어서의 제2 탄성 방수 리브에 의한 방수 수단의 두 개소에 의해서 방수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조준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있어서는 전술한 청구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를 합성 수지로 제조된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조준 지점을, 리플렉터측 또는 램프 본체측 중 어느 한쪽에 돌출 설치된 합성 수지로 제조된 볼부와, 다른 쪽에 형성된 상기 볼(ball)부와 결합 가능한 합성 수지로 제조된 볼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볼 조인트에 의해 구성하도록 했다.
(작용) 조준 스크류에 더하여, 리플렉터와, 조준 지점을 구성하는 볼부와 볼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볼 조인트를 합성 수지로 제조된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조준 기구 전체를 합성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리플렉터 가동형의 자동차용 헤드 램프의 정면도, 도 2는 동(同) 헤드 램프의 수평 단면도(도 1에 도시하는 선 II-II를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동 헤드 램프의 종단면도(도 1에 도시하는 선 III-III을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램프 본체, 리플렉터 및 조준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조준 스크류의 확대 측면도, 도 6은 조준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7은 조준 스크류의 회전 지지부를 구성하는 통형부를 도시하는데, (a)는 동 통형부의 확대 측면도, (b)는 동 통형부의 확대 정면도, (c)는 동 통형부의 확대 사시도, (d)는 동 통형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너트 부재와 너트 결합 구멍의 사시도, 도 9는 너트 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브래킷과 너트 부재의 장착부의 단면도(도 2에 도시하는 선 X-X을 따르는 단면도), 도 11은 브래킷과 너트 부재의 장착부의 단면도(도 3에 도시하는 선 XI-XI을 따르는 단면도), 도 12는 너트 결합 구멍의 단면도(도 10에 도시하는 선 XII-XII을 따르는 단면도), 도 13은 너트 부재와 너트 결합 구멍 사이의 응력 해제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부호 10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제조된 용기형 램프 본체로, 램프 본체(10)의 전방면 개구부에는 전방면 렌즈(12)가 조립되어 등실(S)이 구획되어 있다. 등실(S) 내에는 광원인 전구(18)를 장착 일체화한 리플렉터(14)가 조준 기구(E)에 의해서 경사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부호 13은 리플렉터(14)와 전방면 렌즈(12) 사이에 배치되어 등실(S) 내를 경면색(鏡面色)으로 보이게 하는 연장(extension) 리플렉터이다.
조준 기구(E)는, 램프 본체(10)와 리플렉터(14) 사이에 개재된 조준 지점(P)을 구성하는 볼 조인트(20)와, 램프 본체(10)에 설치된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조준 스크류(30, 40)와, 리플렉터(14)의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브래킷(150a, 150b)에 각각 고착됨과 동시에, 조준 스크류(30, 40)의 나사부(32, 42)에 각각 나사 결합하여 조준점을 구성하는 한 쌍의 너트 부재(130, 1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부호 22는 리플렉터(14)의 배면에 돌출 설치된 브래킷(150c)에 장착된 합성 수지로 제조된 볼 부재로, 램프 본체(1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된 볼 받침부(24)에 이 볼부재(22)의 볼부(23)가 지지되어 볼 조인트(20)가 구성되어 있다. 볼 받침부(24)는 원통 형상이고, 원통부의 선단측에는 주위 방향 등간격으로 세로 슬릿(slit)이 설치되어 볼부(23)의 볼 받침부(24)로의 장착 탈착을 할 수 있다.
부호 230(240)은 램프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된 통형의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로, 조준 스크류(30, 4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130, 140)는 이 슬라이드 가이드(230, 240)에 수용 및 가이드되어 전후 방향으로 진퇴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조준 스크류(30)를 회전하면, 너트 부재(130)가 조준 스크류의 나사부(32)를 따라서 진퇴하고, 볼 조인트(20)와 너트 부재(140)를 연결하는 수직 경사 운동 축(Ly) 주위로 리플렉터(14)가 경사 운동한다. 또한, 조준 스크류(40)를 회전하면, 너트 부재(140)가 조준 스크류의 나사부(42)를 따라서 진퇴하고, 볼 조인트(20)와 너트 부재(130)를 연결하는 경사 운동 축(Lx) 주위로 리플렉터(1)가 경사 운동한다. 즉, 조준 스크류(30)는 램프의 광축을 경사 운동 축(Ly) 주위로 경사 운동 조정하는 좌우 조준 스크류를 구성하고, 조준 스크류(40)는 램프의 광축을 수평 경사 운동 축(Lx) 주위로 경사 운동 조정하는 상하 조준 스크류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조준 기구(E)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은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 형상의 통형부(5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통형부(50)의 전방 연장 단부(50A)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슬릿(52)이 주위 방향으로 등분(等分) 6 개소에 설치되어 슬릿(52)으로 끼워진 분할 요동 부재인 6개의 분할 측벽(53)이 각각 반경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분할 측벽(53)의 선단부 내측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어 멈춤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형부(50)의 후방 연장부(50B)의 연장량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본체(10)를 따라 배치한 조준 스크류 회전 조작용의 드라이버(D)의 선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버(D)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후방 연장부(50B)의 상측면에는 평탄면(51)이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버(D)를 회전할 때에 드라이버(D)의 선단부가 통형부(50) 외주면을 따라서 활주하지 않게 되고 있다.
한편, 조준 스크류(30, 40)는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 나사부(32, 42)가 형성된 전단측의 스크류 본체(31, 41)는 물론이고, 후단의 관형 톱니바퀴부(35, 45)를 포함하는 전체가, 예컨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 34(44)는 조준 스크류(30, 40) 중, 통형부(50)에 의해서 지지되는 부위, 즉 피지지부이고, 이 피지지부(34, 44)의 후단측에는 통형부(50)의 후방 연장부의 단부면(50b)에 접촉하는 관형 톱니바퀴부(35, 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피지지부(34, 44)의 전단 근처에는 통형부(50)의 전방 연장부(50A)의 걸어 멈춤부(54)에 결합하는 오목형 결합부인 결합 홈(36, 46)이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조준 스크류(30, 40)에 있어서의 톱니바퀴부(35, 45)의 부근측이 통형부(50)의 후단면(50b)에 접촉하고, 또한 결합 홈(36, 46) 전단측의 단차부(段差部)(36a, 46a)가 통형부(50)의 전단면(50a)에 결합함으로써 조준 스크류(30, 40)는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되어 고정된다.
관형 톱니바퀴부(35, 45)의 톱니(35a, 45a)는 전방(램프 본체(10)를 향하는 측)에 설치되고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 본체(10)를 따라서 배치한 조준 스크류 회전 조작용 드라이버(D)의 선단부를 통형부(50)의 평탄면(51)에 접촉시키면, 드라이버(D)의 톱니가 관형 톱니바퀴부(35, 45)의 톱니(35a, 45a)에 꼭 맞물려 드라이버(D)측의 회전력이 관형 톱니바퀴부(35, 45)측에 전달되도록 되고 있다.
또한, 조준 스크류(30, 40)의 후단부(관형 톱니바퀴부(35, 45)의 후방)에는 외형이 단면 정육각형이고, 단부면에 각 홈(37a, 47a)이 설치된 회전 조작부(37, 4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드라이버(D) 대신에,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조준 스크류(30, 40)를 회전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조준 스크류(30, 40)의 관형 톱니바퀴부(35, 45)의 부근 근처에는 통형부(50)의 후단면(50b)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스커트형의 제1 탄성 방수 리브(35b, 45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탄성 방수 리브(35b, 45b)는 통형부(50)의 후단면(50b)에 가압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조준 스크류(30, 40)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를 확보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이 제1 탄성 방수 리브(35b, 45b)의 가압 접촉력은 조준 스크류(30, 40)를 축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조준 스크류(30, 40)가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 흔들리지 않도록 유지한다.
또한, 이 합성 수지로 제조된 제1 탄성 방수 리브(35b, 45b)는 알맞은 탄성(가요성)을 가짐과 동시에, 합성 수지로 제조된 통형부(50)의 후단면(50b)이 평활면이므로, 제1 방수 리브(35b, 45b)와 통형상 후단면(50b) 사이의 슬라이드 접촉부가 조준 스크류(30, 40)의 회전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준 스크류의 피지지부(34, 44)에는 통형부(50)(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원환형의 제2 탄성 방수 리브(34a, 4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방수 리브(34a, 44a)의 외경은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의 내부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고, 방수 리브(34a, 44a)의 선단부가 항상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의 내주면에 가압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피지지부(34, 44)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탄성 방수 리브(34a, 44a)의 양측에는 방수 리브(34a, 44a)를 따라서 연장되는 환형 홈(34b, 44b)이 형성되고, 조준 스크류의 피지지부(34, 44)와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 사이에 있어서의 틈을 넓히는 일없이 탄성 방수 리브(34a, 44a)의 반경 방향의 돌출량을 크게 함으로써 탄성 방수 리브(34a, 44a)의 탄성(가요성)이 높아지며, 이에 의해서 탄성 방수 리브(34a, 44a)와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 내주면 사이에 알맞은 가압 접촉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환형 홈(34b, 44b)을 설치하지 않으면, 탄성 방수 리브의 돌출량(반경 방향 높이)이 그만큼 작고 탄성(가요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탄성 방수 리브와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 내주면 사이에 과대한 가압 접촉력이 작용하고 조준 스크류의 회전토크가 커져, 조준 스크류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거나 조준 스크류를 원활하게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에 끼워 붙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탄성 방수 리브(34a, 44a)의 탄성(가요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피지지부(34, 44)와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 사이의 틈을 넓혀 방수 리브의 돌출량을 크게 하면 좋지만, 이 틈이 커짐에 따라서 방수성이 저하하고 또한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흔들림도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방수 리브(34a, 44a)의 부근을 따라서 환형 홈(34b, 44b)을 형성하고, 피지지부(34, 44)와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 내주면 사이에 있어서의 틈을 넓히는 일없이, 즉 방수성을 저하시키는 일없이, 탄성 방수 리브(34a, 44a)의 돌출량을 크게 하여, 탄성 방수 리브(34a, 44a)와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 내주면 사이에 생기는 가압 접촉력이나 슬라이드 마찰 저항을 경감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준 스크류(30, 40)의 유연한 회전과, 조준 스크류(30, 40)의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으로의 유연한 끼워 붙임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방수 리브(34a, 44a)는 축 방향으로 2 개소에 병설되어 있고, 방수 리브(34a, 44a)와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 내주면 사이의 원환형의 슬라이드 접촉부가 2단이 되어 그만큼 조준 스크류(30, 40)의 회전 지지부에 있어서의 방수성이 높아지고 있다.
다음에, 조준 스크류(30, 40)를 램프 본체(10)의 통형부(50)(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에 조립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조준 스크류(30, 40)를 램프 본체(10)의 후방측으로부터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에 가압 삽입한다.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보다 구멍 직경이 작은 외경의 수 나사부(32, 42)는 원활하게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에 삽입 통과된다.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의 구멍 직경보다 조금 작은 외경의 피지지부(34, 44)의 전단부가 통형부(50)의 전방 연장 단부를 구성하는 분할 요동 부재(분할 측벽: 53)의 걸어 멈춤부(54)에 맞닿으면, 분할 요동 부재(53)는 피지지부(34, 44)의 전단부에 눌려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직경이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하여 피지지부(34, 44)가 전진한다. 그리고, 분할 요동 부재(분할 측벽: 53)의 걸어 멈춤부(54)가 조준 스크류(피지지부)측의 결합 홈(36, 46)에 결합하고, 또한 피지지부(34, 44)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 방수 리브(35b, 45b)가 통형부 후단면(50b)에 접촉(가압 접촉)함으로써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10a, 10b)에 대하여 조준 스크류(30, 40)가 축 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되어 고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조준 스크류(30, 4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130, 140)와, 너트 부재(130, 140)를 수용함과 동시에 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230, 240)와, 너트 부재(130, 140)가 장착되는 브래킷(150a, 150b)측의 결합 구멍(152)의 각각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230, 240)는 도 1, 4,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 스크류(30, 40)를 덮도록 전후로 연장되고 조준 지점(P)측의 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직사각형 통형으로 형성되는데,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230)는 램프 본체(10)를 정면에서 보아 오른쪽 위에,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240)는 램프 본체(10)를 정면에서 보아 왼쪽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 개구부(232, 24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벽의 내측에는 너트 부재(130, 140)를 직접 가이드하기 위한 전후로 연장되는 리브(234, 244)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234a(244a)는 가로 리브, 부호 234b(244b)는 세로 리브이다.
한편, 너트 부재(130, 140)는 도 4, 8, 9,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 스크류(30, 40)에 나사 결합하는 암 나사부(132, 142)가 형성되고, 슬라이드 가이드(230, 240) 내에 수용할 수 있는 직사각형 블록형으로 형성된 너트 부재 본체(131, 141)와, 너트 부재 본체(131, 14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브래킷(150a, 150b)측의 결합 구멍(152)에 결합 가능한 결합 돌기(135, 145)로 구성되어 있다.
너트 부재(130, 140)의 결합 돌기(135, 14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에는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230, 240)측의 리브(234, 244)의 선단부에 각각 가압 접촉 상태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단면 L자형의 판스프링형 탄성 연장부(133, 143)가 형성되어 있는데, 판스프링형 탄성 연장부(133, 143)가 리브(234, 244)에 가압 접촉함으로써 너트 부재(130, 140)가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230, 240) 내에서 탄성 지지된다.
또한, 너트 부재(130, 140)의 상측면(도 8에 도시하는 형태에 있어서의 상측면)에는 리브(234, 244)에 접촉하는 コ자 프레임(134, 144)이 형성됨과 동시에,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230, 240)의 측면 개구부(232, 242)의 연부(椽部)에 이 コ자 프레임(134, 144)과 너트 부재 본체(131, 141)의 단차부(134a, 144a) 및 탄성 연장부(133, 143)와 너트 부재 본체(131, 141)의 단차부(133a, 143a)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230, 240) 내의 너트 부재(130, 140)는 탄성 연장부(133, 143)의 스프링 압박력에 의해서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230, 240)에 눌려진 형태로 유지되어 흔들리는 일없이 조준 스크류(30, 40)를 따른 유연한 슬라이드가 확보된다.
결합 돌기(135, 145)의 선단부는 도 8, 9, 10,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이 거의 구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두 갈래로 분리되어 있다. 한편, 브래킷(150a, 150b)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구멍(152)도 조준 스크류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격벽(153)에 의해서 2개의 구멍(154, 154)으로 분리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두 갈래 결합부(136, 136, 146, 146)가 각각의 구멍(153, 153)에 결합되고, 브래킷(150a, 150b)과 너트 부재(130, 140)의 장착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두 갈래 결합부(136, 136, 146, 146)의 외주면에는 선단면이 구면인 대향한 볼록부(137, 137, 147, 147)가 각각 돌출 설치됨과 동시에, 부호 135a(145a)로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갈래의 기단부가 크게 도려 내여져 두 갈래 결합부(136,136, 146, 146)는 접근 및 이반(離反) 방향의 가요성을 갖는다. 또한, 대향한 볼록부(137, 137, 147, 147) 사이의 거리(H)는 결합 구멍(152)의 내부 직경(D)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결합 구멍(152)(두개의 구멍 154, 154)에 삽입된 두 갈래 결합부(136, 136, 146, 146)는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고, 그 반력에 의해 볼록부(137, 137, 147, 147)가 결합 구멍(154, 154)의 내주면에 가압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고 있다.
그리고, 이 결합 돌기(135, 145)와 결합 구멍(152)은 결합 구멍(152) 연장방향을 따라서 상대적인 슬라이드가 가능하고, 결합 구멍(152)을 따른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이나 압축력에 의한 응력을 해제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결합 돌기(135, 145)와 결합 구멍(152)은 볼록부(137, 137, 147, 147)를 통하는 축(L10: 도 9 참조) 주위로 상대적인 요동이 가능하고, 볼록부(137, 137, 147, 147)를 통하는 L10 축 주위에 작용하는 응력을 해제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두 갈래 결합부(136, 136, 146, 146)의 각각의 대향면은 도 9,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각각의 대향면의 폭 방향 외측 근처가 테이퍼 형상으로 모따기되고), 결합 돌기(135: 결합부(136))와 결합 구멍(152, 154)이 결합 구멍(152, 154)의 주위 방향(도 12 화살표 참조)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결합 구멍(152, 154)의 주위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해제하도록 작용한다. 부호 136a(146a)는 모따기부를 도시한다.
즉, 예컨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준 스크류(30)의 회전에 따라 너트 부재(130)는 화살표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30)를 따라서 전후 진퇴(직선 운동)하는 한편, 리플렉터(14)(의 브래킷(150a)의 결합 구멍(152))는 화살표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준 지점(P)(수직 경사 운동 축(Ly)) 주위로 회전(경사 운동)한다. 이 때문에, 이동 궤적이 다른 양자(직선 운동을 하는 너트 부재(130)와 회전 운동을 하는 브래킷(150a)) 사이의 결합부(결합 돌기(135)와 결합 구멍(152))에는 이동 궤적의 차이(틀어짐)에 상당하는 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너트 부재(130)의 스크류(30)를 따른 전후 진퇴 동작에 따라, 너트부재(130)측의 결합 돌기(135)와 브래킷(150a)측의 결합 구멍(152)이 결합 방향(결합 구멍(152) 연장 방향)으로 상대적인 슬라이드를 하여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조준 지점(P)을 통하는 수평 경사 운동 축(Lx)을 따른 방향의 틀어짐 δ에 대응하는 인장 응력(압축 응력)을 해제한다.
또한, 결합 돌기(135)와 결합 구멍(152)이 수평 방향으로 상대 요동(축(L10) 주위로 상대 요동)하여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결합 구멍(152)의 연장 방향(L2)과 결합 돌기(135)의 돌출 방향(L3)의 각도 틀어짐 θ에 대응하는 토크를 해제한다. 즉, 리플렉터(14)가 조준 지점(P)을 통하는 수직 경사 운동 축(Ly) 주위로 경사 운동할 때의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해제한다.
또한, 결합 돌기(135)와 결합 구멍(152)이 결합 구멍(152)의 주위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여, 리플렉터(14)가 조준 지점(P)을 통하는 수평 경사 운동 축(Lx) 주위로 경사 운동할 때의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해제한다.
또한, 광원의 발열로 인하여 리플렉터(14)가 열 팽창하는 등의 경우에도 너트 부재(130)와 브래킷(150a) 사이의 장착부에는 리플렉터(14)의 변형에 따르는 응력이 생기려고 하지만, 볼부측의 결합 돌기(135)와 볼 받침부측의 결합 구멍(152)으로 구성된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제 수단에 의해서 해제된다.
또한, 두 갈래 결합부(136, 136, 146, 146)와 결합 구멍(152)측의 격벽(153)은, 결합 돌기(135, 145)를 결합 구멍(152)에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너트 부재(130, 140)를 브래킷(150a, l50b)에 장착하는 작업이 간단해진다.
또한, 너트 부재(140)와 브래킷(150b) 사이의 장착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볼부측의 결합 돌기(145)와 볼 받침부측의 결합 구멍(152)으로 구성되는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제 수단에 의해서, 장착부에 발생하려고 하는 응력이 해제된다.
또한, 결합 구멍(152)에 삽입된 결합 돌기(135, 145)는 결합 구멍(152)의 내주면에 가압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빠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램프 본체(10)에 조준 기구(E)를 통해 리플렉터(14)를 조립하는 작업이 간단해진다.
즉, 우선, 조준 스크류(30, 40)를 조립한 램프 본체(10)를 상향으로 해 둔다. 다음에, 브래킷(150c)에 볼 부재(22)를 부착하고, 브래킷(150a, 150b)의 결합 구멍(152)에 각각 너트 부재(130, 140)의 결합 돌기(135, 145)를 결합한다. 그리고, 브래킷(150a, 150b, 150c)을 하향으로 하여 램프 본체(10)의 위쪽으로부터 리플렉터(14)를 하강시키고, 너트 부재(130, 140)를 조준 스크류(30, 40)의 선단에 정렬한다. 그리고, 조준 스크류(30, 40)를 회전함으로써 너트 부재(130, 140)를 조준 스크류(30, 40)에 각각 나사 결합시킴과 동시에,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230, 240) 내에 삽입하고, 또한 볼 부재(22)의 볼부(23)를 리플렉터(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볼 받침부(24)에 가압 삽입함으로써 리플렉터(14)를 조준 기구(E)를 통해 램프 본체(10)에 일체화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요부인 브래킷과 너트 부재의 장착부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결합 돌기(135)가 두 갈래형이 되고, 두 갈래 결합부(136, 136)의 각각의 대향면이 단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 돌기(135)와 브래킷(150)이 결합 구멍(152) 주위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두 갈래 결합부(136, 136)에 볼록부(137, 137)가 설치되어 브래킷(150)과 너트 부재(130: 결합 구멍(152)과 결합 돌기(135))가 수평 방향으로 상대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돌기(135A)가 구형으로 형성되어 결합 돌기(135A)의 결합 구멍(152)을 따른 상대 슬라이드는 물론이고, 결합 돌기(135A)와 브래킷(150)의 결합 구멍(152) 주위의 상대 회전도 브래킷(150)과 너트 부재(130A)의 수평 방향의 상대 요동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외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램프 본체(1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구성되고, 조준 스크류(30, 40)는 적절한 탄력이 있으며,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더구나 폴리프로필렌 수지와의 슬라이드성이 좋은 폴리아세탈 수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폴리아세탈 수지 대신에 나일론 수지로 구성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따른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에 따르면, 리플렉터의 중량에 의한 굽힘 모먼트가 조준 스크류에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금속과 비교해서 변형하기 쉬운 합성 수지로 제조된 조준 스크류라도 내구성이 보증됨과 동시에, 적정한 조준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조준 스크류가 회전(조준)하는 때나, 광원의 발열 등으로 리플렉터가 열 팽창하는 등으로 인하여, 너트 부재와 브래킷의 장착부에 예측할 수 없는 응력이 생겨 리플렉터나 조준 스크류가 변형하는 것 같은 일이 없기 때문에 적정한 조준이 가능해진다.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에 의해서 조준 스크류 연장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의 슬라이드가 확보되기 때문에, 조준 스크류를 회전할 때의 너트 부재와 조준 스크류 사이 나사 결합부의 마찰 토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조준 스크류의 경쾌한 회전에 의해 유연한 조준이 보증된다.조준 스크류가 회전할 때나, 광원의 발열에 기인하여 리플렉터가 열 팽창할 때에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조준 스크류와 리플렉터 사이)에 응력이 전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적정한 조준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따르면, 합성 수지로 제조된 상하 조준 스크류(좌우 조준 스크류)를 변형시키는 것 같은 응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하 조준 스크류(좌우 조준 스크류)의 내구성이 보증됨과 동시에, 조준 스크류의 경쾌한 회전에 의해 유연한 조준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에 따르면, 두 갈래형 결합 돌기를 결합 구멍의 격벽에 맞추어 결합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틀리는 일없이 간단히 너트 부재를 브래킷에 장착할 수 있고, 더구나, 너트 부재는 결합 구멍에 빠짐이 방지되도록 유지되기 때문에 리플렉터의 램프 본체로의 조립이 간단해진다. 또한, 너트 부재와 브래킷 사이의 장착부가 흔들림 없이 유지되기 때문에 적정한 조준이 보증된다.
청구항 6에 따르면, 너트 부재가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조준 스크류)를 따라서 유연하게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적정한 조준이 확보된다.
청구항 8에 따르면, 리플렉터 및 조준 기구 전체를 합성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헤드 램프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원을 제외하는 헤드 램프 전체를 합성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헤드 램프의 경량화를 한층 더 달성할 수 있다.

Claims (8)

  1. 용기형의 합성 수지로 제조된 램프 본체와, 등실을 구획하도록 상기 램프 본체의 전방면 개구부에 조립된 합성 수지로 제조된 전방면 렌즈와, 상기 등실에 수용된 광원을 장착한 리플렉터와, 상기 램프 본체와 리플렉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리플렉터를 램프 본체에 대하여 경사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준 기구는 상기 리플렉터의 경사 운동 지점을 구성하는 조준 지점과, 상기 램프 본체에 설치된 스크류 삽입 통과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으로 연장하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조준 스크류와, 상기 리플렉터에서 연장하여 형성된 브래킷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조준 스크류에 나사 결합하여 조준 스크류의 회전에 연계하여 전후 진퇴하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너트 부재로 구성된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로서,
    상기 램프 본체에는 상기 너트 부재를 수용하고 이를 전후 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너트 부재와 상기 브래킷의 장착부에는 너트 부재의 진퇴에 따라 상기 장착부에 생기는 응력을 해제하는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제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과 너트 부재의 장착부는, 상기 너트 부재의 상기 조준 지점으로 향하는 측면에 돌출 설치된 볼부측의 결합 돌기와, 상기 브래킷에 설치된, 상기 결합 돌기가 결합하는 볼 받침부측의 결합 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 구멍이, 결합 방향으로 상대적인 슬라이드가 가능하며, 상기 조준 지점과 상기 조준 스크류를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서 상대적인 요동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결합 구멍의 주위 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한 상기 볼 조인트 구조의 응력 해제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 스크류는 상기 조준 지점과 상하 방향으로 거리를 둔 위치에 배치된 상하 조준 스크류와, 상기 조준 지점과 좌우 방향으로 거리를 둔 위치에 배치된 좌우 조준 스크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조준 스크류와 평행한 격벽에 의해서 2개의 구멍으로 구획되는 한편, 상기 결합 돌기는 두 갈래형으로 분할됨과 동시에, 상기 두 갈래부가 상기 격벽에 결합되도록 상기 두 갈래형 결합 돌기가 각각의 구멍에 삽입되어 결합 구멍의 내주면에 결합 돌기가 가압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조준 스크류를 덮도록 전후로 연장되고 상기 조준 지점측의 측면에 개구가 형성된 통형의 슬라이드 가이드 내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측면 개구부로부터 상기 결합 돌기가 돌출하고, 상기 너트 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너트 슬라이드 가이드에 가압 접촉 상태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판스프링형 탄성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 헤드 램프.
  7. 삭제
  8.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합성 수지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조준 지점은 리플렉터측 또는 램프 본체측 중 어느 한쪽에 돌출 설치된 합성 수지로 제조된 볼부와, 다른 쪽에 형성된 상기 볼부가 결합 가능한 합성 수지로 제조된 볼 받침부로 이루어지는 볼 조인트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KR10-2001-0013055A 2000-03-14 2001-03-14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KR100440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70578A JP3883356B2 (ja) 2000-03-14 2000-03-14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000-070578 2000-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305A KR20010092305A (ko) 2001-10-24
KR100440518B1 true KR100440518B1 (ko) 2004-07-19

Family

ID=1858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055A KR100440518B1 (ko) 2000-03-14 2001-03-14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43916B2 (ko)
JP (1) JP3883356B2 (ko)
KR (1) KR100440518B1 (ko)
CN (1) CN1313478A (ko)
DE (1) DE10112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8124B2 (ja) * 2000-12-28 2005-11-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002193023A (ja) * 2000-12-28 2002-07-10 Koito Mfg Co Ltd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888672B2 (ja) * 2001-12-25 2007-03-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904949B2 (ja) * 2002-03-06 2007-04-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リフレクター可動型ヘッドランプ
US20040194570A1 (en) * 2002-03-20 2004-10-07 Masaki Tomaru Electric steering column device
CA2437458A1 (en) * 2002-08-09 2004-02-09 Alexandre Curthelet Modular headlight system for recreational vehicles
US6951412B2 (en) * 2002-11-07 2005-10-04 Guide Corporation VOA pivot stud assembly
US7264376B2 (en) * 2002-11-07 2007-09-04 Burton Technologies Llc Adjuster and bracket assembly
DE10252983A1 (de) 2002-11-14 2004-05-27 Hella Kg Hueck & C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SI21418A (sl) * 2003-01-29 2004-08-31 Saturnus Avtooprema D.D. Regulacijski sklop svetila, zlasti meglenke za motorna vozila
CN1820164A (zh) 2003-07-29 2006-08-16 图尔汗·阿尔塞里克 持续长距离照明而无刺眼效应的前灯
DE10360182A1 (de) * 2003-12-20 2005-08-04 Rehau Ag + Co. Fahrzeugscheinwerfer sowie Kraftfahrzeug und integrierte Baugruppe mit einem derartigen Fahrzeugscheinwerfer
US7220029B2 (en) * 2004-02-11 2007-05-22 Federal-Mogul World Wide, Inc. Lamp assembly having variable focus and directionality
JP4530722B2 (ja) 2004-06-01 2010-08-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7891851B2 (en) * 2005-04-05 2011-02-22 Turhan Alcelik Headlamp with long-distance illumination without glaring effect
JP4894413B2 (ja) * 2006-08-24 2012-03-14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07010210A1 (de) * 2007-03-02 2008-09-04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Fahrzeuge
US20090052202A1 (en) * 2007-08-20 2009-02-26 Lucidity Enterprise Co., Ltd. Vehicle lamp fixing device
JP5064192B2 (ja) * 2007-12-04 2012-10-3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の光軸調整装置
CA2664496C (en) * 2008-05-02 2017-05-09 Magna International Inc. Tolerance adjusting attachment
CN102317679B (zh) * 2009-02-16 2013-12-25 三菱电机株式会社 头灯光源用照明装置
JP5430225B2 (ja) * 2009-05-21 2014-02-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102009049237B4 (de) * 2009-10-15 2018-09-13 HELLA GmbH & Co. KGaA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Tragrahmens
JP5507987B2 (ja) * 2009-12-10 2014-05-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5397236B2 (ja) * 2010-01-18 2014-01-22 Smc株式会社 送りねじ機構
JP5438539B2 (ja) * 2010-02-09 2014-03-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軸調整用スクリュー
EP2383146B1 (de) * 2010-04-27 2017-02-01 Hella KGaA Hueck & Co.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Lichtmoduls
DE102010048989A1 (de) * 2010-10-20 2012-04-26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ein Fahrzeug mit einer verbesserten Anordnung einer Verstelleinrichtung zur Verstellung der Leuchtweite
DE102011115797A1 (de) * 2011-10-11 2013-04-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cheinwerferbaueinheit eines Fahrzeugs mit Scheinwerferbefestigungsvorrichtung
KR101894853B1 (ko) * 2012-05-29 2018-10-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위블 액츄에이터
DE102012111311A1 (de) * 2012-11-23 2014-05-28 Hella Kgaa Hueck & Co. Aufnahmeanordnung eines Lichtmoduls im Gehäuse eines Scheinwerfers
JP6377400B2 (ja) * 2014-05-08 2018-08-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KR200483426Y1 (ko) * 2015-02-16 2017-05-1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DE102015103629A1 (de) * 2015-03-12 2016-09-15 Hella Autotechnik Nova, S.R.O. Verstellvorrichtung für Scheinwerfer
CN106813548A (zh) * 2015-12-02 2017-06-09 上海安莱德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车身尾灯固定区域的检测装置
US10280959B2 (en) 2016-07-13 2019-05-07 Rohr, Inc. Sliding fastener systems to accommodate differential thermal growth
JP6798254B2 (ja) * 2016-11-02 2020-12-09 市光工業株式会社 軸受機構及び自動車用のヘッドランプ
US10519642B2 (en) * 2017-04-26 2019-12-31 Masco Canada Limited Adjustable sensor device for a plumbing fixture
EP3441665B1 (en) * 2017-08-08 2022-05-11 Marelli Automotive Lighting Italy S.p.A. Rotating lighting module for vehicles and associated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FR3070926B1 (fr) * 2017-09-11 2020-08-28 Psa Automobiles Sa Bloc optique de vehicule a glissiere logeant une piece d’interface de translation a pattes de guidage.
US20190283660A1 (en) * 2018-03-13 2019-09-19 Quadratec, Inc. Headlight housing
CN110332500B (zh) * 2018-03-28 2022-01-0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雾灯总成及汽车
CN108859932A (zh) * 2018-06-21 2018-11-2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后组合灯安装固定结构
FR3092535B1 (fr) * 2019-02-11 2022-01-21 Psa Automobiles Sa Boîtier pour dispositif d’éclairage et de signalisation de véhicules automobiles
CN112856321B (zh) * 2021-01-20 2022-05-27 浏阳中铁机电有限公司 一种高度稳定的轨道机车激光照明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5307B (en) 1993-12-21 1997-11-12 Koito Mfg Co Ltd Vehicular headlamp
US5660455A (en) * 1994-02-02 1997-08-26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ular headlamp having a tilt measuring device
JP3007260B2 (ja) 1994-04-27 2000-02-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H0935505A (ja) * 1995-07-18 1997-02-07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US5673915A (en) * 1996-05-24 1997-10-07 Shalders; Sidney Board game of property management
JP3251201B2 (ja) * 1997-06-12 2002-0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エイミング機構
JPH11321443A (ja) * 1998-05-15 1999-11-24 Koito Mfg Co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2000057824A (ja) * 1998-08-04 2000-02-25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
JP2000149624A (ja) * 1998-08-31 2000-05-30 Koito Mfg Co Ltd リフレクタ―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888655B2 (ja) * 1998-11-11 2007-03-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前照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305A (ko) 2001-10-24
CN1313478A (zh) 2001-09-19
JP3883356B2 (ja) 2007-02-21
JP2001256806A (ja) 2001-09-21
US6543916B2 (en) 2003-04-08
US20010036080A1 (en) 2001-11-01
DE10112310A1 (de) 200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518B1 (ko)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KR100504209B1 (ko) 반사경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램프
KR100525986B1 (ko)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US5678915A (en) Easy-to-assemble aiming mechanism for vehicle lamps
JP3718124B2 (ja)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822007B2 (ja)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6692176B1 (en) Ball socket with locking feature
US5908239A (en) Aiming mechanism for vehicle lamps
US5607218A (en) Vehicular lamp having improved socket cover
CA1283887C (en) Headlamp pivot assembly
JP2001351407A (ja)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3217213B2 (ja) エーミングスクリューの支持構造
US5758943A (en) Headlamp for use in a vehicle
JP4382078B2 (ja) リフレクター可動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4413574B2 (ja) 自動車用前照灯
US5580149A (en) Automotive headlamp
JP3193638B2 (ja) 車両用灯具
JP2007042288A (ja) クリップ、および、車両用灯具
JP3229554B2 (ja) 車輌用前照灯
GB2233754A (en) Adjustable vehicle head light assembly
JP3128605B2 (ja) 前照灯の照射軸調整装置
JPH082883Y2 (ja) 車両用灯具の光軸調整装置
CN114981547A (zh) 具有容纳器件和球窝关节的接合装置
SU1220773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борки резьбовых деталей
JP4390192B2 (ja) 車輌用前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