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333B1 - 자동차액셀오조작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액셀오조작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333B1
KR100360333B1 KR1019960700146A KR19960700146A KR100360333B1 KR 100360333 B1 KR100360333 B1 KR 100360333B1 KR 1019960700146 A KR1019960700146 A KR 1019960700146A KR 19960700146 A KR19960700146 A KR 19960700146A KR 100360333 B1 KR100360333 B1 KR 100360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or
interlocking member
magnetic coupling
pedal
thr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3735A (ko
Inventor
마사에이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마사에이 와타나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에이 와타나베 filed Critical 마사에이 와타나베
Publication of KR96070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3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1/00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 F02B1/02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 F02B1/04Engines characterised by fuel-air mixture compression with positive ignition with fuel-air mixture admission into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hand, foot, or like operator controlled initiation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S403/01Magn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02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 Y10T74/20408Constant tension sus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888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을 밟는다는 것이 착각으로 밟았을 경우에 액섹조작이 행해지지 않도록 하는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이다.
자동차의 액셀페달(14)에 연동하여 자성흡착판(32)을 유지하는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밸브를 개폐하는 스로틀케이블(18)에 접속되고 영구자석(38)을 유지하여 흡착판(32)을 자기적으로 흡착하는 스로틀연동부재(28)로 구성되는 자기결합수단(30)을 구비하고 있다. 액셀페달(14)을 밟으면 자기결합수단(30)을 통하여 스로틀케이블(18)이 당겨져서 스로틀밸브 개도가 커지면서 자동차를 가속한다. 액셀페달(14)을, 브레이크폐달을 밟을 것을 착각으로 강하게 밟으면 흡착판(32)이 영구자석(38)에서 떨어져 자기적 결합을 해제하고, 스로틀밸브가 열리지 않고, 자동차가 가속되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자동차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자동차 변속기를 탑재한 가솔린 자동차의 운전에 있어서, 자동차에 브레이크를 걸기 위하여 브레이크페달을 밟아야 할 경우에 착각하여 액셀페달을 밟으면 자동차를 정지하기는 커녕 가속되기 때문에 피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부터 이같은 페달의 오조작에 의해 자동차가 본의 아니게 가속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각종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들 종래기술의 장치는 기본적으로,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밟은 것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이 전기신호에 의거하여 엔진의 연료 계통, 흡기 계통 또는 점화 계통이 작동하지 않게 하여 엔진이 가속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가령, 일본 특개소 61-190135 호 공보, 특개평 1-115734호 공보 또는 특개평 5-139183호 공보에는 액셀페달을 밟은 힘 또는 밟는 속도가 미리 예정된 정상치에서 현저히 초과하고 있을 경우에는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밟았다고판단하여 이것을 전기적으로 검출하고, 이 전기신호에 의거하여 엔진의 상기 계통의 어느 하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은 모두 페달의 오조작을 전기적으로 검출한 후, 이 전기신호에 의거하여 엔진이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액셀페달을 밟고나서 엔진의 가속을 방지하기 까지에 시간 지연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다. 또, 이들 종래기술은 페달의 오조작을 판단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오조작 검출수단과, 이 전기신호를 받아서 엔진의 연료계통, 흡기계통 또는 점화계통을 무효로 하는 엔진동작 불능수단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진다. 또한, 액셀페달을 밟은 상태 그대로, 흡기계통 또는 점화계통을 무효로 하면 연료계통은 연료를 계속 공급하여 생 (生) 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뿐더러 엔진이 정지되므로 액셀페달에서 발을 떼더라도 엔진이 정지된 채이기 때문에 엔진을 재시동하지 않으면 자동차 주행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었다.
또, 특개평 5-185862호 공보에는 액셀페달이 부착되어 있는 액셀로드와 스로틀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 작동판을 상호 결합하여 액셀로드와 스로틀케이블이 연동하여 통상의 액셀조작을 행할 수 있으나,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소정의 밟는 양을 초과하여 밟으면 이 액셀로드와 케이블 작동판의 결합이 벗겨져서 스로틀케이블을 액셀로드에서 해방하고, 엔진 가속을 방지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종래기술의 장치는,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밟는 동작에 따라 스로틀케이블을 해방하지만, 액셀페달을 소정의 밟는 양을 초과하여 밟지 않으면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엔진의 가속을 방지하는데 시간지연을 일으키고, 또 정상적인 액셀조작중의 액셀로드와 케이블 작동판의 연동이 불안정하고, 특히 케이블 작동판이 액셀로드에서 해방된 후, 정상 운전조작으로 복귀할 때, 액셀로드를 케이블 작동판에 재차 연동하도록 용이하게 결합되게 구성하면, 양자의 연동이 한층 불안정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자동차를 운전할 경우, 액셀페달에 접촉하지 않고 운전하고, 이 상태에서 즉시 브레이크를 걸 목적으로, 착각하여 액셀페달을 밟는 일이 있다.
상기의 어느 종래기술에 있어서도 이같은 조작이 행해지면, 스로틀케이블이 일단 스로틀밸브를 열어 엔진을 가속하는 방향으로 당겨진 후에 이 스로틀케이블이 해방되고, 스로틀밸브를 닫기 때문에 엔진의 가속 방지를 지연시키게 된다.
전기자동차는, 차륜을 회전구동하는 모터를 콘트롤러로 제어하여 구동되나, 이 전기자동차의 주행속도는 통상 액셀페달에 연동하여 발생하는 속도제어신호를 콘트롤러에 공급하여 제어되고, 이 액셀페달을 브레이크로 착각하여 밟았을 경우, 콘트롤러에 가속을 지시하는 속도제어신호를 공급하게 되기 때문에 모터 회전을 높여 전기자동차를 제동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그 주행속도를 높이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브레이크페달을 밟을 것을 착각으로 액셀페달을 밟더라도 자동차를 가속시키는 일은 없으나, 특히 이 액셀페달의 오조작을 검출하면, 시간지연을 수반하지 않고 액셀조작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는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셀페달을 밟으면서 운전상태로 브레이크를 걸 것을 착각하여 액셀페달을 밟았을 경우에 액셀조작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액셀페달에 접촉하지 않고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는 상태로 브레이크를 걸 것을 착각으로 액셀페달을 밟으려고 하면 액셀을 밟는 상태를 거의 거치지 않고 액셀조작을 즉시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셀 오조작을 방지한 후, 액셀페달에서 발을 떼는 것만으로 액셀계통을 원상복귀하여 즉시 통상의 운전을 행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자동차에 브레이크를 걸 것을 착각으로 액셀페달을 밟더라도 그 액셀조작을 즉시 정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자동차의 액셀페달에 연동하는 액셀연동부재와 스로틀밸브를 개폐하도록 스로틀밸브에 협동하여 액셀연동부재에 자기적으로 결합하는 스로틀 연동부재로 이루어진 자기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이 자기결합수단은 액셀페달에 브레이크페달과 동일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은 힘이 급격히 걸렸을 때에 액셀연동부재가 스로틀 연동부재에서 즉시 해방되도록 자기적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있다.
자기결합수단의 액셀연동부재와 스로틀연동부재의 어느 한쪽은 자성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른쪽은 자석을 포함하고 있으나, 양쪽 모두 자석이라도 좋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액셀연동부재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흡착판을 포함하고, 스로틀연동부재는 이 흡착판에 대향하여 이 흡착판을 흡착하는 자석을 포함하고 또, 이 자기결합수단은 액셀페달이 부착되어 차체의 소정위치에 피보팅된 액셀암의 피보팅위치에 대하여 액셀페달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자동차를 액셀페달에 접촉하지 않고 운전하고 있을때, 브레이크를 걸 것을 착각으로 액셀페달에 브레이크페달과 동일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이 급격히 걸리면 스로틀 연동부재의 질량과 스로틀 연동부재가 스로틀케이블에 걸려 있는 가압에 의해 스로틀연동부재가 액셀밟기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저항하는 힘이 작동하고, 또 액셀암의 지레의 원리가 작용하여 액셀연동부재는 액셀암의 지지점에 대하여 먼 방향부분에서 지지점을 향하여 순차 스로틀 연동부재에서 해방된다. 따라서, 액셀연동부재는 스로틀연동부재에서 즉시 떨어져서 스로틀연동부재를 당초의 위치에 남겨둔채, 액셀페달에 연동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스로틀케이블 등과 같이 스로틀밸브와 스로틀 연동부재를 연동하는 부품이 스로틀밸브를 여는 방향으로 당기는 일이 없고, 액셀조작이 행해지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은, 자동차의 액셀페달에 연동하는 액셀연동부재와 스로틀밸브를 개폐하도록 스로틀밸브에 협동하여 액셀연동부재에 자기적으로 결합하는 스로틀 연동부재로 이루어진 자기결합수단과, 액셀연동부재가 통상의 액셀조작의 밟기위치를 넘는 액셀밟기위치에서 스로틀연동부재에 걸려서 액셀연동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하고 있는데 있다.
이 자기결합수단도, 액셀연동부재와 스로틀연동부재의 어느 한쪽은 자성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른쪽은 자석을 포함하고 있으나 양쪽 모두 자석이라도 좋다.
스토퍼수단은, 정상적인 액셀조작을 액셀페달의 그 이상의 밟기를 정지하는 제 1 스토퍼와, 액셀페달을 정상적인 액셀조작을 넘어서 밟게 되면 제 1 스토퍼가 변형되어 스로틀연동부재가 그 이상 액셀밟기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액셀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제되도록, 스로틀연동부재를 정지하도록 작용하는 제 2 스토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스토퍼는 정상적인 액셀조작을 넘는 밟기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경질고무 등의 탄력성 재료로 만들어져 있어도 좋고, 정상적인 액셀조작을 넘는 밟기에 의해 소성변형하여 액셀연동부재가 스로틀연동부재에서 결합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변위하는 것을 허락하는 경질유리 등의 소성변형재료로 만들어져도 좋다.
통상의 액셀페달을 조작하고 있을때는 액셀페달을 가장 깊이 밟아도, 액셀연동부재측 부품이 제 1 스토퍼에 충합 (衝合) 하여 통상의 액셀조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통상의 액셀조작을 행하고 있는 도중에 브레이크페달로 바꾸어 밟는다는 것이 액셀페달을 그대로 브레이크페달과 동일 정도 또는 그 이상의 힘으로 밟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우선 액셀연동부재측은 제 1 스토퍼에 충합하나,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과 같이 더 강하게 밟으면, 이 제 1 스토퍼가 왜곡되어 액셀연동부재가결국에는 제 2 스토퍼를 넘어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스로틀연동부재는 이 제 2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어 이 제 2 스토퍼를 넘어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액셀연동부재는 스로틀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을 해방하면서 스로틀연동부재를 남기고 이 제 2 스토퍼를 넘어서 이동한다. 스로틀연동부재는 스로틀밸브에 접속되어 통상으로는 스로틀을 닫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스로틀케이블 등에 의해 액셀해방위치로 곧 복귀하고, 액셀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의 자기결합수단은 제 1 특징과 같이, 액셀페달에 브레이크페달과 동일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이 급격히 걸릴 때에 액셀연동부재가 스로틀연동부재에서 즉시 해방되도록 자기적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특징과 같이 하여,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자동차를 액셀페달에서 발을 떼어 운전하고 있을때에, 브레이크를 걸 생각으로 액셀페달에 브레이크와 동일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이 급격히 걸리면, 앞서 제 1 특징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스로틀연동부재의 질량, 거기에 걸려 있는 가압력, 액셀암에 작용하는 지레의 원리에 의거하여 액셀연동부재는 스로틀연동부재에서 곧 해방되고, 스로틀케이블 등의 부품이 가속방향으로 당기는 일이 없고, 액셀조작이 행해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특징의 어느쪽에 있어서도 액셀 오조작을 방지하는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는 액셀연동부재와 액셀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상태가 해방되는 일이 없도록 록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의 특징의 어느쪽에 있어서도, 액셀연동부재와스로틀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방되어 액셀 오조작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 액셀연동부재와 스로틀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방된 것을 스위치수단에 의해 전기적으로 검출하고, 이 액셀 오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액셀의 오조작을 경보할 수 있다. 이 경보는 부저 등으로부터의 경보 외에 음성합성 시스템으로부터의 『페달에서 발을 떼어 주세요』 등의 음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의 특징은, 전기자동차의 액셀페달에 연동하는 액셀연동부재와 액셀암의 액셀밟기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압되고 액셀연동부재에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액셀연동부재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추종부재와 액셀연동부재와 추종부재의 결합이 해제된 것을 검출하여 액셀오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소자로 이루어지는 자기결합 센서수단을 구비하고, 이 자기결합 센서수단은 액셀페달에 브레이크페달과 동일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이 급격히 걸렸을때에 액셀연동부재가 추종부재에서 곧 해방되도록 자기적으로 설정되고, 또한 스위치소자로부터의 액셀오조작신호가 전기자동차의 콘트롤러를 가속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콘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데에 있다.
자기결합 센서수단의 액셀연동부재와 추종부재의 어느 한쪽은 자성재료를 포함하고 있고, 다른쪽은 자석을 포함하고 있으나, 모두 자석이라도 좋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액셀연동부재는 자성재료로 되는 흡착판을 포함하고, 추종부재는 이 흡착판에 대향하여 이 흡착판을 흡착하는 자석을 포함하고, 또 이 자기결합센서수단은 액셀페달이 부착되어 차체의 소정위치에 피보팅된 액셀암의 피보팅위치에 대하여 액셀페달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전기자동차를, 액셀페달에서 발을 떼고 운전하고 있을때에 브레이크를 걸 생각으로 착각해서 액셀페달에 브레이크페달과 동일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이 급격히 걸리면 제 1 특징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액셀연동부재는 추종부재에서 곧 해방되므로 스위치소자가 액셀오조작신호를 발생하고, 전기자동차 콘트롤러는 가속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정지한다.
본 발명의 제 4의 특징은, 제 3 특징과 같은 자기결합센서수단 외에 액셀연동부재가 통상의 액셀조작의 밟기위치를 넘는 액셀밟기위치에서 추종부재가 정지하여 액셀연동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스토퍼수단은 정상적인 액셀조작으로 액셀페달의 그 이상의 밟기를 정지하는 제 1 스토퍼와, 액셀페달을 정상적인 액셀조작을 넘어서 밟게 되면 제 1 스토퍼가 왜곡되어 추종부재가 그 이상 액셀밟기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액셀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제되도록 추종부재의 변위를 저지하는 제 2 스토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스토퍼는 정상적인 액셀조작을 넘는 밟기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경질고무 등의 탄력성 재료로 만들어져도 좋고, 정상적인 액셀조작을 넘는 밟기에 의해 소성변형하여 액셀연동부재가 추종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변위하는 것을 허락하는 경질유리 등의 소성변형재료로 만들어져도 좋다.
통상의 액셀페달을 조작하고 있을때는 액셀페달을 가장 깊게 밟아도 액셀연동부재측의 부품이 제 1 스토퍼에 강하게 충합하지 않고, 통상의 액셀조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통상의 액셀조작을 행하고 있는 도중에 브레이크페달로 바꾸어 밟는다는 것이 착각으로 액셀페달을 그대로 브레이크페달과 동일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으로 밟으면 액셀연동부재측 부품은 제 1 스토퍼에 비정상적인 힘으로 충합하여 추종부재를 남겨두고 액셀연동부재만이 변위하여 추종부재와의 자기결합에서 해제되므로 스위치 소자에서 액셀오조작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콘트롤러는 가속방향으로 제어되지 않는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하나의 실시예 (제 1 실시예) 가 제 1도 내지 제 8도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솔린 자동차는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형태의 것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의한 액셀오조작 방지장치(10)를 구비한 액셀계통(12)은 액셀페달(14)이 부착된 액셀암(16)을 가지고, 이 액셀암(16)은 본 발명의 액셀오조작장치(10)를 거쳐 도시하지 않은 스로틀밸브를 개폐하는 스로틀케이블(18)에 접속되어 있다.
스로틀케이블(18)은 통상과 같이 그 양단부근의 차체(20)의 벽(20A) 사이에 고정된 아우터케이스(18A) 와 이 아우터케이스(18A) 내에 슬라이딩 자재로 배치된 케이블 본체(18B) 로 이루어지고, 케이블본체(18B) 는 스로틀밸브가 통상은 닫히도록 제 1도의 좌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액셀암(16)은 차체(20) 일부에 적절한 수단으로 고정된 기체(22)에 지지축(24)에의해 피보팅 자유로이 지지된 레버형태를 갖는다.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22)를 관통하는 지지축(24)의 부분에는 코일스프링(23)이 감겨 있고, 그 일단은 기체(22)에 걸리고, 타단은 액셀암(16)의 배면 (제 1도의 좌측면)에 걸려 있고, 따라서 액셀암(16)은 제 1도의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되고, 즉 액셀페달(14)이 제 1도의 상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10)는 액셀암(16)에 부착된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케이블(18)의 케이블본체(18B) 에 접속되어 액셀밸브를 개폐하도록 이 스로틀밸브에 협동하여 액셀연동부재(26)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스로틀연동부재(28)로 이루어지는 자기결합수단(30)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이 자기결합수단(30)은 레버형태의 액셀암(16)의 피보팅위치(지지축(24)으로 지지된 위치) 에 대하여 액셀페달(14)과는 반대측 부분 (상반부; 16A)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뒤에 본 발명의 장치 동작 설명에 관련하여 기술하는 바와 같이, 자기결합수단(30)에 지레원리를 작용시키는데 유리하다. 또, 도시하는 실시예는, 액셀연동부재(26)는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셀암(16)의 상반부(16A)의 단부 (자유단; 16a)의 배면 (제 1도의 좌측면) 에 액셀암(16)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뻗도록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된 철 등의 자성재료의 흡착판(32)으로 되고, 스로틀연동부재(28)는 액셀암(16)의 상반부(16A) 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하단수평연장부(35)로 지지축(24)에 피보팅 자유로이 지지된 홈형강의 케이블홀더(34)와, 흡착판(32)에 대향하도록 케이블홀더(34)의 한쌍의직립벽(34a,34b) 에 걸터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자석부착판(36)과, 이 자석부착판(36)에 고정된 2 개의 영구자석(38)으로 되어 있다.
영구자석(38)은 흡착판(32)에 대향하는 면을 제외한 면을 덮는 철제의 자성커버(40)를 갖는다. 2 개의 영구자석(38)은 액셀암(16)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도에 있어서 부호 42는 케이블홀더(34)의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액셀페달(14)의 밟기가 소정량을 초과하면, 차체(20)에 고정된 스토퍼에 충합하는 걸림부재이고, 이 걸림부재(42)는 스로틀연동부재(28)가 이 스토퍼를 넘어서 변위하지 못하도록 기능한다.
스로틀케이블(18)의 케이블본체(18B) 는 제 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20)의 벽(20A) 의 관통구멍(20a) 및 케이블홀더(34)의 관통구멍(34c) 을 관통하여 그 전단 (제 1도 우측단부) 에는 케이블본체(18B) 가 케이블홀더(34)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케이블홀더(34)에 걸리는 구상 (球狀) 의 발출방지체(44)가 부착되어 있다. 제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결합수단(30)이 지지축(24)을 중심으로 구동할 때, 케이블본체(18A) 의 전단이 절곡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관통구멍(34c) 은 내향 (제 1도의 좌향)을 향하여 차츰 내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자기결합수단(30)의 액셀연동부재(26)의 흡착판(32)은, 통상은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로틀연동부재(28)의 영구자석(38)에 의해 흡착되어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를 일체로 결합하고 있고, 따라서액셀페달(14)을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밟으면 액셀암(16)을 통하여 자기결합수단(30)의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가 제 3도와 같이 지지축(24)을 중심으로 제 3도의 시계방향으로 피보팅되고, 스로틀연동부재(28)에 연결되어 있는 스로틀케이블(18)의 케이블본체(18B) 를 견인하여 액셀페달(14)의 밟기 정도에 상응하여 스로틀밸브가 열려서 엔진을 가속한다.
자기결합수단(30)은 액셀페달(14)에 브레이크페달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기힘이 급격히 걸릴때에 액셀연동부재(26)가 스로틀연동부재(28)에서 바로 해방되도록 자기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영구자석(38)은, 통상에 있어서는 흡착판(32)을 자기적으로 흡인하여 결합되어 있는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를 함께 액셀암(16)에 의해 이동하기 전에, 스로틀케이블(18)에 걸려 있는 제 1도의 좌측방향에의 가압과 스로틀연동부재(28) 전체의 질량과 액셀암(16)의 지레작용과 영구자석(38)의 설정된 자력에 상응하여 액셀암(16) 및 액셀연동부재(26)는 제 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로틀연동부재(28)를 차체(20)의 벽(20A) 에 접근한 당초의 위치 (액셀페달(14)을 밟지 않을 때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 에 남겨둔 채 액셀페달(14)의 밟기에 상응하여 피보팅한다. 특히, 액셀암(16)의 지레의 작용은 흡착판(32)을 영구자석(38)의 상측부분에서 순차 박리하도록 흡착판(32)을 변위하므로 액셀암(16)이 통상의 액셀조작과 같이 서서히가 아니라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할 때와 같이 급격히 피보팅하면 흡착판(32)을 유지하고 있는 액셀암(16)은 영구자석(38)을 남겨둔 채 용이하게 이동하여 자기결합을 해방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본 발명의 액셀오조작 방지장치(10)는 액셀연동부재(26)가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위치를 넘는 액셀밟기위치에서 스로틀연동부재(28)의 이동을 정지하여 액셀연동부재(26)만이 더욱 변위함으로써 스로틀연동부재(28)와 액셀연동부재(26)의 결합을 해제하는 스토퍼수단(46)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이 스토퍼수단(46)은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정상의 액셀조작에서는 액셀페달(14)의 그이상의 밟기를 저지하여 최대로 깊이 밟는 양을 설정하는 제 1 스토퍼(48)와, 액셀페달(14)이 정상인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양을 넘어서 밟으면 이 제 1 스토퍼(48)가 변형하여 스로틀연동부재(28)가 그 이상 액셀밟기위치로 이동하는 일이 없고, 액셀연동부재(26)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제되도록 스로틀연동부재(28)의 걸림부재(42)에 걸리는 제 2 스토퍼(50)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스토퍼(48)는 제 1도와 제 2도에서 알 수 있듯이 기체(22)에서 드리워져 액셀암(16)에 대향하도록 뻗는 고정연장편(52)과 이 고정연장편(52)에 고정된 스토퍼부재(54)로 이루어지고, 스토퍼부재(54)는 액셀페달(14)의 정상적인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양을 초과하는 밟기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경질고무 등의 탄력성 재료로 제작되고 있으나 이는 가령 제3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셀페달(14)의 정상적인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은 양을 넘는 밟기에 의해 소성 변형하여 액셀암(16)의 변위를 허락하는 경질유리 등의 소성재료로 만들어져 있는 원통형 부재라도 좋다. 이 원통형부재는 그 둘레에 액셀암(16)의 후면이 충합하도록 배치하여도 좋으나 그 축선방향 단면에 액셀암(16) 후면이 충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 소성변형재료의스토퍼부재(54)는 원통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 2 스토퍼(50)는 제 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20)에 적절한 수단으로 고정된 스토퍼부재(56)로 이루어지고, 이 스토퍼부재(56)는 액셀페달(14)의 정상적인 액셀조작의 밟기에서는 스로틀연동부재(28)의 걸림부재(42)가 걸리지는 않으나 (제 3도 참조) 액셀페달(14)의 정상적인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양을 넘어서 액셀암(16)이 제 1 스토퍼(48)를 변형하여 변위하면 스로틀연동부재(28)의 걸림부재(42)가 걸리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제 4도 참조).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스토퍼(48)는 액셀암(16)의 하반부의 후면 (제 1도의 좌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나, 액셀암(16)의 상반부(16A) 의 전면 (제 1도의 우측면) 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스토퍼(50)는 스로틀연동부재(28)의 꼭지부에 부착된 걸림부재(42)의 지지축(24)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운동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나, 가령 스로틀연동부재(28)에 직접 설치되는 것은 아니고, 거기에 연속된 스로틀케이블(18)의 케이블본체(18B) 가 소정 위치에서 걸리도록 아우터케이스(18A) 가 벗겨져 노출되는 케이블본체부분에 부착된 걸림부재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로틀연동부재(28)가 제 1도의 위치보다 더 좌편으로 변위하지 못하도록, 그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수단(58)이 설치되고, 이 위치규제수단(58)은 기체(22)에서 뻗는 로드모양의 스토퍼부재(60)로 이루어지고, 이 스토퍼부재(60)는 기체(22)에서 후방으로 뻗고 스로틀연동부재(28)의 케이블홀더(34)의 후면에 걸리도록 굽혀져서 뻗어 있다.
본 발명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10)는 액셀 오조작을 방지하는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의 자기적 결합상태가 해방되지 않도록 로크하는 로크수단(62)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로크수단(62)의 1 예가 제 7도 및 제 8도에 도시되고, 이 로크수단(62)은 제 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로틀연동부재(28)의 케이블홀더(34)의 측면에 부착된 브라켓(64)의 지지구멍 (支持孔; 64a)에 핀(65)에 의해 피보팅 자유로이 지지된 선단에 갈고리부(66a) 를 갖는 로크암(66)과, 이 로크암(66)을 로크의치와 로크해방위치 사이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68)로 구성되어 있다. 로크암(66)은 브라켓(64)의 지지구멍(64a) 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로크암(66) 내면에 결합하는 스프링(70)에 의해 통상은 로크가 해제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제8A도 실선참조). 액츄에이터(68)는 제8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라켓(64) 옆쪽으로 뻗는 연장부(64A) 에 부착된 푸쉬식 직선 솔레노이드(72)로 구성되고, 그 아마츄어(72a) 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푸쉬로드(72b) 는 로크암(66)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은 제8A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70)에 의해 로크암(66)은 로크해방위치에 있고, 따라서 뒤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10)는 액셀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으나 직선 솔레노이드(72)를 여자하면 아마츄어(72a) 가 제8A도의 하향으로 흡인되어 이 아마츄어(72a) 에 일체의 푸쉬로드(72b) 가 로크암(66)을 스프링(70)에 저항하여 가압하여, 제8A도의 점선표시와 같이 로크암(66)의 선단갈고리부(66a) 는 액셀암(16)에 걸리기 때문에 자기결합수단(30)의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는 그 결합이 해제되지않고, 마치 액셀암(16)이 스로틀케이블(18)과 일체가 된 상태가 된다. 제 1도에 있어서 부호(74)는 직선 솔레노이드(72)를 여자하거나 소자하거나 하도록 운전석에 설치되어 리드선(73)을 통하여 배터리(75)와 직선 솔레노이드(72) 사이에 접속된 스위치이다.
본 발명의 액셀오조작 방지장치(10)는 액셀이 오조작될 때에 이것을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오조작 경보수단(76)을 또한 구비하고 있다. 이 오조작 경보수단(76)은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로틀연동부재(28)의 케이블홀더(34)의 직립벽(34a,34b) 에 용접등에 의해 고정된 지지대(78)에 유지되어 액셀암(16)의 상반부(16A) 후면에 대향하는 스위치소자(80)와, 이 스위치소자(80)에 리드선(81)에 의해 접속되어 이 스위치소자(80)에 의해 구동되는 경보회로(8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도 내지 제 5도는 경보회로(82)는 생략되어 있다.
이 경보회로(82)는 부저 등의 경보기(82A) 와 함께 가령 『페달에서 발을 떼세요』 등의 음성을 발생하는 음성합성 시스템(82B)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드선(81) 일부에는 스로틀연동부재(28)가 스위치소자(80)를 따라 지지축(24)을 중심으로 피보팅할 때에 리드선(81)이 신축하는 것을 허용하는 리드선 신축부(81A) 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동작을 제 1도 내지 제 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로크수단(62)은 통상은 제8A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해방상태에 있다. 또, 통상은 자기결합수단(30)의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는 영구자석(38)과 흡착판(32)의 자기적 결합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들의 상태로, 액셀페달(14)을 정상적인 액셀조작으로 밟으면 액셀암(16)은 자기결합수단(30)을 통하여 스로틀케이블(18)을 제 1도의 상태에서 가장 깊이 밟았을 경우에는 제 3도의 상태까지 인출하고, 스로틀밸브를 열어 엔진의 회전속도 및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상승한다. 액셀페달(14)을 최대로 깊이 밟는 양으로 밟아도 스토퍼수단(44)의 제 1 스토퍼(48)에 액셀암(16)이 충합할 뿐이고, 액셀암(16)이 그 이상 변위하지는 않는다. 통상의 액셀조작은 발진이나 주행중의 가감속에 있어서, 액셀페달(14)을 비교적 천천히 밟거나 떼거나 하여 행하게 되므로, 자기결합수단(30)의 자기적 결합이 해방되는 일이 없고, 또, 추월 등의 급가속은 액셀을 어느 정도 밟은 상태로 행하기 때문에 자기결합수단(30)의 자기결합을 유지한 채 액셀암(16)이 변위하여 행해지고, 또 그 밟는 양은 액셀암(16)이 제 1 스토퍼(48)를 왜곡시키기 까지는 가지 않으므로 액셀페달을 밟은 상태로 자기결합수단(30)의 흡착판(32)과 영구자석(38)의 결합이 해방되는 일은 없다.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자동차에 있어서는 액셀페달(14)에서 발을 떼고 운전하는 수가 있는데, 이 운전상태로 브레이크를 거는 것을 착각으로 액셀페달(14)을 밟는 수가 있고, 이와같이 액셀페달(14)에 브레이크페달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이 급격히 걸리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액셀연동부재(26)가 스로틀연동부재(28)에서 곧 해방되도록 자기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결합수단(30)은 결합상태를 해방한다.
즉, 액셀페달(14)의 밟기에 의해 스로틀연동부재(28)가 액셀연동부재(26)와 함께 액셀암(16)에 의해 이동하고자 하기 전에 스로틀케이블(18)에 걸려 있는 가압과 스로틀연동부재(28) 전체의 질량과 액셀암(16)의 지레작용과 영구자석(38)의 설정된 자력에 의해 액셀암(16) 및 액셀연동부재(26)는 제 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로틀연동부재(28)를 당초의 위치에 남겨둔채, 액셀페달(14)을 밟는데 따라 피보팅한다. 액셀암(16)의 지레작용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흡착판(32)을 영구자석(38)의 상측부분에서 순차 박리하도록 흡착판(32)을 변위시키므로 액셀암(16)이 통상의 액셀조작과 같이 천천히가 아니고,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할 때와 같이 급격히 피보팅하면 흡착판(32)을 유지하고 있는 액셀암(16)은 영구자석(38)을 남겨둔 채 용이하게 이동하여 자기결합을 해방한다.
따라서, 액셀페달(14)을 밟았는데도 불구하고, 스로틀케이블(18)은 제 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견인되지 않고, 자동차가 가속되지 않는다. 이것은 액셀 오조작 검출과 동시에 액셀페달(14)과 스로틀케이블(18)의 연결을 차단하므로, 지연을 수반하지 않고, 액셀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액셀페달(414) 에 발을 접촉시켜 통상의 액셀조작을 행하면서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는 상태로, 브레이크페달을 바꾸어 밟는다는 것이 액셀페달(14)을 그대로 브레이크페달과 같은 정도거나 그 이상의 밟는 힘으로 밟는 수가 있다. 이 경우, 먼저 액셀연동부재(26)측의 액셀암(16)이 스토퍼수단(46)의 제 1 스토퍼(48)에 충합하지만, 액셀페달(14)을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더 강하게 밟으면 제 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제 1 스토퍼(48)인 탄성스토퍼부재(54)가 변형되기 때문에 액셀연동부재(26)인 흡착판(32)이 결국에는 제 2스토퍼(56)를 넘어서 이동한다. 한편, 스로틀연동부재(26)의 걸림부재(42)는 이 제 2 스토퍼(56)에 충합하고 있어, 이 제 2 스토퍼(56)를 넘어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액셀연동부재(26)인 흡착판(32)은, 스로틀연동부재(28)의 영구자석(38)과의 자기적 결합에서 해방되고, 스로틀연동부재(28)를 제 2 스토퍼(56)에 남기고 이 제 2 스토퍼(56)를 넘어서 이동한다. 한편, 스로틀연동부재(28)는 스로틀밸브에 접속되어 통상은 스로틀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스프링 등으로 가압하고 있는 스로틀케이블(18)에 의해 액셀해방위치에 곧 복귀하여, 액셀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셀페달(14)의 급격한 초기 밟기로 자기결합수단(30)의 자기결합이 곧 해제되어 액셀의 오조작을 방지할 경우에도, 액셀페달(14)의 통상의 밟기조작중에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액셀페달(14)을 더욱 급격히 밟아 스토퍼수단(44)에 의해 자기결합수단(30)의 자기결합이 해제되어 액셀의 오조작을 방지할 경우에도, 오조작경보수단(76)의 스위치소자(80)가 액셀암(16)에서 이반하여 닫히기 때문에 경보회로(82)가 구동되고, 부저가 울리거나 『페달에서 발을 떼세요』 등의 음성이 발생하여 운전자는 액셀의 오조작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곧 브레이크페달로 바꾸어 밟아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할 수 있다.
운전자가 액셀오조작을 인식하여 액셀페달(14)에서 발을 떼면, 액셀암(16)은 코일스프링(23)의 작동에 의해 제 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기결합수단(30)의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가 다시 결합한다. 따라서, 액셀페달(14)에서 발을 떼는 것만으로 자기결합수단(30)이 원상 복귀하므로, 재차 통상의 운전조작을 행할 수 있다.
액셀 오조작을 고려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로크수단(62)의 스위치(74)를 닫아서 직선 솔레노이드(72)를 여자하고, 아마츄어(72a) 를 흡인한다. 이같이 하면 아마츄어(72a)에 일체의 푸쉬로드(72b) 는 스프링(70)에 저항하여 로크암(66)을 제8A도의 실선위치에서 점선위치로 가압하여 선단 갈로리부(66a) 가 액셀암(16)에 걸려 멎고,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가 일체화하여 액셀암(16)과 스로틀케이블(18)이 일체로 접속된 상태가 되므로, 통상의 액셀조작을 행하여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셀오조작 방지장치(10)는 액셀페달(14)과 함께 하나의 조립체로서 제조판매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기존 자동차에도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기존 자동차는 스로틀케이블(18)이 액셀암(16)에 직접 접속되어 있으나, 이 스로틀케이블(18)을 액셀암(16)에서 해체하여, 이 기존 자동차에 부착되어 있는 액셀페달과 액셀암과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조립체를 교환하여, 스로틀케이블(18)을 본 발명 장치의 스로틀연동부재(28)에 연결하여 장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제 2 실시예) 에 의한 액셀오조작 방지장치(10)가 제 9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 1도 내지 제 8도와 같은 부호는 같은 부분을 나타낸다.
이 제 2 실시예는 자기결합수단(30)이 도시하지 않은 차체에 부착된 원통형 케이싱(84)내에 배치되고, 또한, 이 자기결합수단(30)의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를 케이싱(84)내에서 직선적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86)을 구비하고, 또 액셀연동부재(26)의 흡착판(32)은 액셀암(16)에 직접 부착되어 있지 않고, 연결로드(88)를 통하여 액셀암(16)의 자유단(16a) 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다.
케이싱(84)은 제 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상 (冠狀) 의 케이싱 반부 (半部; 84A, 84B)로 이루어지고, 이들 케이싱 반부(84A,84B) 는 그 접합단을 끼워 결합하고 있다.
이 케이싱(84)은 그 내부에 자기결합수단(30)을 수납한 후, 케이싱 반부(84A,84B)를 적절한 수단으로 결합하여 조립된다.
연결로드(88)는 제 9도 및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84)의 반부(84B) 의 관통구멍(84b) 을 관통하고 있고, 그 일단 (후단) 은 흡착판(32)의 두갈래형상의 브라켓(32a)에 핀(33)에 의해 피보팅되고, 타단 (전단) 은 동일하게 액셀암(16)의 자유단(16a) 의 내면의 두갈래모양의 브라켓(16b) 에 핀(17)에 의해 피보팅되어 있다. 케이싱반부(84B)의 관통구멍(84b) 은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셀암(16)의 피보팅에 응하여 연결로드(88)가 경사지면서 당겨진 브라켓(32a) 이 들어가는 것은 허용하는데 충분할 정도의 내경을 갖는다.
도시하는 실시예는, 스로틀연동부재(28)는 관상의 케이블홀더(34)에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부착된 4 개의 영구자석(38)으로 이루어지고 (제11도 참조), 이들 영구자석(38)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흡착판(32)에 대향하는 면을 제외하고 자성커버(40)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케이블홀더(34)에 영구자석(38)을 직접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제 1 실시예의 자석부착판(36)은 생략되어 있다. 스로틀케이블(18)은 케이싱(84)의 관통구멍(84a) 및 케이블홀더(34)의 관통구멍(34c) 을 관통하여 발출방지체(44)에 의해 스로틀연동부재(28)에서 빠지지 않도록 스로틀연동부재(28)에 접속되어 있다. 또, 스로틀연동부재(28)의 걸림부재(42)는 관상의 케이블홀더(34)의 내주의 단부 부근에 부착된 링형태를 가지며, 이 걸림부재(42)가 걸리는 제 2 스토퍼(50)의 스토퍼부재(56)는 케이싱(84)의 반부(84B) 내주면에 부착된 링형태를 갖는다. 또한, 자기결합수단(30)은 안내수단(86)에 의해 직선적으로 이동하므로 관통구멍(34c) 은 제 1 실시예와 관통구멍(34c) 과 같이 테이퍼상으로 하지 않고 직선상이라도 된다.
안내수단(86)은 케이싱(84)내에서 그 중심축선 양측에 이 중심축선에 평행으로 부착되어 흡착판(32)과 케이블홀더(34)가 슬라이딩 자유로이 안내되도록 흡착판(32)과 케이블홀더(34)를 관통하는 1 쌍의 안내로드(90,9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자기결합수단(30)의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는 이들 안내로드(90,90')에 의해 직선적으로 안내된다.
제 9도, 제12도 내지 제14도에서 알 수 있듯이, 위치규제수단(58)은 케이싱(84)의 반부(84A) 가 케이싱홀더(34)에 대향하는 면에 부착된 복수의 스토퍼부재(60)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스토퍼부재(60)는 가령 경질고무로 만들 수 있다.
이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10)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이 제 2 실시예는 자기결합수단(30)이 액셀암(16)의 피보팅에서 독립되고, 안내수단(86)에 의해 직선적으로 안내되므로 자기결합수단(30)은 피보팅이 아니라 직선운동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는 다르다. 따라서, 영구자석(38)에 흡착되어 있는 흡착판(32)에는 액셀암(16)의 지레작용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모든 영구자석(38)이 동시에 흡착판(32)에서 떨어지려 하기 때문에 액셀페달(14)에서 발을 떼고 운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는다는 것이 액셀페달(14)을 밟아 흡착판(32)이 영구자석(38)에서 이반하는 소위 자기결합의 초기 해방을 위한 영구자석(38)의 흡착력은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낮아도 된다.
또한,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연결로드(88)가 액셀연동부재(26)에 연결되는 위치와 스로틀케이블(18)이 스로틀연동부재(28)에 연결되는 위치가 이들 부재의 중심축선상에 있기 때문에 지레의 원리가 작용하지 않으므로 이들 연결위치를 중심축선에서 엇갈리게 함으로써 자기연결수단(30)에 지레의 원리를 작용시킬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는 분명한 것이다.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제12도는 제 1 실시예의 제 3도에 상응하고, 통상의 액셀조작을 행하고 있을 경우의 최대로 깊이 밟는 상태를 표시하고, 제13도는 제 1 실시예의 제 4도에 상응하며, 액셀페달(14)을 밟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로 바꾼다는 것이 착각으로 액셀페달(14)을 그대로 밟았으나 액셀조작을 방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또 제14도는 제 1 실시예의 제 5도에 상응하며, 액셀페달(14)에서 발을 떼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는다는 것이 착각으로 액셀페달(14)을 급격히 밟았으나 액셀오조작을 방지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오조작 경보수단(76)이 설치되고, 제 9도에는 이 오조작경보수단(76)의 스위치소자(80)가 표시되어 있을 뿐이나 스위치소자(8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경보회로(8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11도 내지 제14도에는 이 오조작 경보수단(76)은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도 제 9도 내지 제14도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제 1 실시예와 같이 자기결합수단(30)의 결합상태를 로크하는 로크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수단의 로크암 등의 부품이 케이싱(84)에 간섭하지 않도록 케이싱(84)은 로크수단의 부품이 들어갈 수 있는 도피구멍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제 3 실시예) 에 의한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10)가 제15도 내지 제19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 1도 내지 제14도와 같은 부호는 같은 부분을 나타낸다.
이 제 3 실시예는, 자기결합수단(30)을 수납하는 원통형 케이싱을 갖지 않고, 또 자기결합수단(30)의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액셀연동부재(26)의 흡착판(32)이 액셀암(16)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다.
따라서, 이 제 3 실시예는 통상의 액셀조작으로 액셀페달(14)을 밟으면, 자기결합수단(30)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액셀암(16)과 함께 지지축(24)을 중심으로 피보팅한다.
또, 스토퍼부재(56)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스로틀연동부재(28)의 케이브홀더(34)의 피보팅 영역으로서 액셀암(16)이 충합한 제 1 스토퍼(48)가 변형하기까지 액셀암(16)이 다시 변위했을 때에 스로틀연동부재(28)상의 걸림부재(42)가 충합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스로틀케이블(18)이 케이블홀더(34)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굽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통구멍(34c) 은 테이퍼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제 3의 실시예에 의한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10)의 동작도 제 1과 제 2 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자기결합수단(30)이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피보팅하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영구자석(38)에 흡착되어 있는 흡착판(32)에는 액셀암(16)의 지레작용이 작용하고 액셀페달(14)에서 발을 떼고 운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을 밟는다는 것이 액셀페달(14)을 브레이크와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으로 급격히 밟았을 경우에 흡착판(32)은 상방의 영구자석(38)에서 순차 박리되도록 피보팅하므로 액셀연동부재(26)가 스로틀연동부재(28)를 수반하지 않고, 이 스로틀연동부재(28)를 당초 위치에 거의 남겨둔 채 자기결합수단(30)의 자기결합을 해방하도록, 액셀연동부재(26)만 액셀페달(14)에 연동하여 피보팅할 수 있다 (제19도 참조).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제17도의 상태는 제 1 실시예의 제 3도와, 제 2 실시예의 제12도의 상태에 상응하고, 제18도의 상태는 제 1 실시예의 제 4도 및 제 2 실시예의 제13도의 상태에 상응하며, 또 제19도의 상태는 제 1 실시예의 제 5도와 제 2 실시예의 제14도의 상태에 상응한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오조작 경보수단(76)이 설치되고, 제 9도에는 이 오조작 경보수단(76)의 스위치소자(80)가 표시되어 있을 뿐이나, 스위치소자(80)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경보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16도 내지 제19도에는 이 오조작 경보수단(76)은 생략되어 있다. 또한, 이것도 제15도 내지 제19도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제 1 실시예와 같이 자기결합수단(30)의 결합상태를 로크하는 로크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상이한 다른 실시예 (제 4 실시예) 에 의한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10)가 제20도 내지 제25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 1도 내지 제19도와 같은 부호는 같은 부분을 나타낸다.
이 제 4 실시예는, 자기결합수단(30)은 액셀암(16)의 지지축(24)보다 액셀페달(14)측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자기결합수단(30)이 액셀암(16)의 지지축(24)에 대하여 액셀페달(14)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는 다르다.
액셀암(16)은 지지축(24)에 피보팅되어 자유단에 도시하지 않은 스로틀케이블이 접속되어 있는 스로틀연동암부분(92A) 과 이 스로틀연동암부(92A) 에 핀(94)에 의해 피보팅되어 액셀페달(14)이 부착되어 있는 액셀연동암부분(92B) 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액셀연동암부분(92B) 이 스로틀연동암부분(92A) 에 피보팅되는 부분(92b) 은 제21도에서 알 수 있듯이 두갈래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두갈래형상 단부(92b) 가 스로틀암부분(92A)을 걸치고 핀(94)에 의해 피보팅되어 있다.
자기결합수단(30)은, 스로틀연동암(92A) 과 액셀연동암부분(92B) 사이에서 양자를 피보팅하는 핀(94)보다 액셀페달(14)측에 설치되고, 이 자기결합수단(30)은, 스로틀연동암부분(92A)에 부치된 영구자석(38)과 액셀연동암부분(92B) 에 영구자석(38)에 대향하여 부착된 영구자석(38A) 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스로틀연동암부분(92A) 이 스로틀연동부재(28)를 구성하고, 또 액셀연동암부분(92B) 이 액셀연동부재(26)를 구성하고, 이들 부재(26,28) 는 영구자석(38,38A)이 상호 흡착하여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가 통상은 영구자석(38,38A)에 의해 상호 일체로 결합하도록 가압하기 때문에 스로틀연동암부분(92A) 과 액셀연동암부분(92B) 사이에 상호 달라붙게 하는 스프링(96)이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수단(46)의 제 1 스토퍼(48)는 자동차바닥(20B) 에 설치된 스토퍼부재(54)로 이루어지고, 제 2 스토퍼(50)는 스로틀연동암부분(92A) 에서 뻗는 로드상의 스토퍼부재(56)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스토펴(48)의 스토퍼부재(54)에는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위치에서 액셀연동암부분(92B) 이 충합하고, 또, 제 2 스토퍼(50)인 스토퍼부재(56)는 제 1 스토퍼(48)의 스토퍼부재(54)가 액셀페달(14)에 통상의 액셀밟는 양을 초과하여 브레이크를 밟는 것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이 가해져서 변형하여 액셀연동부재(26)가 더욱 하방으로 변위하는 도중에 바닥(20B) 에 충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로크수단(62)은 제 1도 및 제2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로틀연동암부분(92A) 의 스로틀케이블측과는 반대측 단부에 부착된 직선 솔레노이드(98)의 아마츄어(98a) 에 일체로 형성된 로크간 (杆; 100)과, 액셀연동암부분(92B) 에 일체로 부착된 로크간(100)을 걸어넣는걸어넣기구멍(102a)을 갖는 걸어넣기부재(102) 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104)은, 통상은 아마츄어(98a) 를 제25도의 좌측으로 가압하고, 로크간(100) 을 걸어넣기부재(102) 의 걸어넣기구멍(102a)에서 탈출시키는 위치에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직선 솔레노이드(98)가 여자되면 스프링(104) 에 저항하여 아마츄어(98a) 가 제25도 우측으로 흡인되고, 로크간(100) 이 걸어넣기부재(102) 의 걸어넣기구멍(102a)에 걸어넣어지고,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를 일체로 로크한다. 또한, 제20도와 제25도에 있어서 부호 106은 로크간(100) 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이다.
이 제 4 실시예에 의한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10)의 동작도,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같으나, 이들 실시예와는 약간 배치가 상이하므로 동작의 개략을 이하에 설명한다.
액셀페달(14)에서 발을 떼고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건다는 것이 착각으로 액셀페달(14)을 밟았을 상태가 제23도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로틀연동부재(28)가 액셀연동부재(26)와 함께 액셀페달(14)에 의해 이동하려고 하기 전에 도시하지 않은 스로틀케이블에 걸려 있는 스로틀밸브를 닫는 방향에의 가압력과 스로틀연동부재(28) 전체의 질량과 액셀운동암부분(92B) 의 지레작용과 영구자석(38,38A)의 설정된 자력에 의해 액셀연동암부분(92B), 즉 액셀연동부재(26)는 스로틀연동암부분(92A), 즉 스로틀연동부재(28)를 거의 당초 위치에 남겨둔 채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의 자기적 결합을 해방하도록, 액셀페달(14)을 밟는데 상응하여 핀(94)을중심으로 피보팅한다.
따라서, 브레이크페달을 밟을 것을 착각으로 액셀페달(14)을 밟았음에도 불구하고 스로틀케이블 (도시않음) 은 거의 견인되지 않고, 자동차가 가속되지 않는다.
다음에, 통상의 액셀 조작을 행하면서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는 상태로, 브레이크페달로 바꾸어 밟는다는 것이, 액셀페달(14)을 그대로 브레이크페달과 같은 정도나 그 이상의 밟는 힘으로 밟은 상태가 제2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로틀연동부재(28)인 스로틀연동암부분(92A) 의 제 2 스토퍼(50)인 스토퍼부재(56)가 바닥(20B) 에 충합하여 그 이상 하강할 수 없으나 액셀연동부재(26)인 액셀연동 암부분(92B) 은 제 1 스토퍼(48)의 스토퍼부재(54)를 변형시키면서 하강한다. 이 때문에 액셀연동부재(26)측의 영구자석(38A) 은 스로틀연동부재(28)측의 영구자석(38)과의 자기적 결합에서 해방된다. 따라서, 스로틀연동부재(28)는 스로틀밸브에 접속되어, 통상에서는 스로틀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스로틀케이블에 의해 액셀해방위치 (제23도에 상응하는 위치)로 곧 복귀하여, 액셀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은 영구자석(38,38A)에 의해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제20도에 도시하는 상태 그대로, 액셀페달(14)의 밟는 양에 따라 액셀암(16) 전체가 피보팅하여 통상의 액셀조작을 행할 수 있다.
액셀 오조작을 고려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로크수단(62)의 직선 솔레노이드(98)를 여자하고, 아마츄어(98a) 를 흡인한다. 이와 같이 하면 아마츄어(98a) 와 일체의 로드간(100)이 제2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넣기부재(102) 의 걸어넣기구멍(102a)에 걸어넣어지고,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가 일체화하여 액셀암(16)과 스로틀케이블(18)이 일체로 접속된 상태가 되므로 통상의 액셀조작을 행하여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이 제 4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오조작 경보수단(76)이 설치되고, 제20도에는 이 오조작 경보수단(76)의 스위치소자(80)가 도시되어 있을 따름이나, 스위치소자(80)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경보회로(8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1도 내지 제24도에는 이 오조작 경보수단(76)은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을 전기자동차에 적용한 실시예가 제26도 이하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자동차(200) 는 콘트롤러(201) 에 의해 제어되고 도시하지 않은 축전지에서 구동되어 회전하는 모터(202) 를 구비하고, 차륜(203) 은 이 모터(202) 에서 차동장치(204) 를 거쳐 구동된다.
콘트롤러(201) 는 가령 액셀페달(214) 에 의해 변위하는 가변저항기(205) 에서 속도신호(S) 를 받고, 이 속도신호(S) 에 상응한 속도로 모터(202) 를 구동한다. 또한, 자기자동차의 속도제어는 이와 같은 저항가변방식 이외에 액셀페달(214) 의 밟기에 의해 속도를 가변할 수 있으면 축전지 재결합 방식, 펄스폭변조(PWM) 방식 등에 의해 행하여도 된다.
이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210) 는 액셀페달(214) 에 연동하는 액셀암(216) 에 부착된 액셀연동부재(226) 와 액셀페달(214) 의 액셀밟기방향과는 반대방향(제26도의 좌방향) 으로 가압되어 액셀연동부재(226) 에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액셀연동부재(226) 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추종부재(228) 와 액셀연동부재(226) 와 추종부재(228) 의 결합이 해제된 것을 검출하여 액셀오조작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소자(280) 로 되는 자기결합 센서수단(230) 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이 자기결합센서수단(230) 은 제 1도 내지 제 8도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자기결합수단(30)의 케이블연동부재(28)가 추종부재(228) 로 치환되고, 또 스위치소자(280) 가 부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자기결합수단(30)과 실질적으로 같은 형태이다.
물론, 제 1 실시예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스토퍼수단(46)과 위치규제수단(58)과 로크수단(62)과 오조작 경보수단(76)과 같이 이 전기자동차용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210) 도 액셀연동부재(226) 가 통상의 액셀조작의 밟는 위치를 넘는 액셀밟기위치에서 추종부재(228) 를 정지하여 액셀연동부재(226) 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스토퍼수단(246) 과, 추종부재(228) 가 제 1도의 위치보다 더욱 좌측으로 변위하는 일이 없도록 그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규제수단(258) 과, 액셀오조작을 방지하는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액셀연동부재(226) 와 추종부재(228) 의 자기적 결합상태가 해방되는 일이 없도록 로크하는 로크수단(262) 과, 액셀이 오조작되었을 때에 이것을 운전자에 경보하는 오조작 경보수단(276) 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는 실시예는, 오조작 경보수단(276) 은 콘트롤러(201) 가 자기결합 센서수단(230)의 스위치소자(280) 로부터의 신호를 받으면 구동되는 경보회로(282)로 구성되고, 이 경보회로(282) 는 제 1 실시예의 경보회로(82)와 동일하게, 부저 등의 경보기(282A)와 음성발생시스템(282B)을 포함하고 있다.
추종부재(228) 를 제26도의 좌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300) 은 차체(220) 에 부착된 프레임(301) 에 부착되어 와이어(302) 를 스프링의 가압으로 감는 감기스프링식 와이어(303)로 되어 있으나 이것은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1) 에 부착된 활차(304)를 통하여 뻗는 와이어(305) 와 이 와이어(305) 단부에 부착된 추(306) 로 되어 있어도 좋고, 또 프레임(301) 에 스프링(307) 을 통하여 접속된 와이어(308) 로 되어 있어도 좋다. 어느 경우도 와이어(302,305,308) 의 전단부 (제26도, 제29도 및 제30도의 우측단부) 는 제 1 실시예의 스로틀케이블(18)의 케이블본체(18B) 와 같이, 차체의 벽(220A)의 관통구멍(220a) 및 추종부재(228) 의 홀더(234) 의 테이퍼상 관통구멍(234c)을 관통하고, 구상의 발출방지체(244) 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있다. 또한, 제29도의 가압수단(300) 은 추(306)가 운전중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체(220) 에 적당하게 고정되어 상하로만 승강할 수 있도록 추(306) 를 안내하는 원통형 진동방지 안내부재(309)를 구비하고 있다.
가변저항(205) 은 추종부재(228) 의 걸림부재(242) 에 부착된 와이퍼(205a)에 의해 저항치가 가변된다. 따라서, 액셀페달(214) 의 밟기위치에 응하여 가변하는 속도신호(S) 가 발생하고, 모터(202) 는 이 가변속도신호(S) 에 응하여 회전구동된다.
이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210) 의 기타의구성은 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제 1 실시예의 부재번호에 『200』 을 가산하여 표시된 번호로 상응하는 부품을 표시하고, 그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이 전기자동차(200) 에 적용된 본 발명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210) 의 동작도 액셀을 오조작하여 자기결합센서수단(230) 의 스위치소자(280) 에서 액셀오조작신호가 발생하면 콘트롤러(201) 가 모터(202) 를 동작불능하게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장치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동작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통상의 운전조작으로, 액셀페달(214) 을 밟게 되면 추종부재(228) 의 걸림부재(242) 에 부착된 와이퍼(205a)가 슬라이딩하고, 액셀페달(214) 의 밟기위치에 상응한 속도신호(S) 가 발생하여 모터(202) 가 이 속도신호(S) 에 상응한 속도로 회전하는 점이 액셀페달(14)의 밟는량에 따라 스로틀밸브의 열림정도를 조정하여 엔진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제 1 실시예와는 다르다.
이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는 제 1도 내지 제 8도에 도시되는 제 1 실시예 이외에 제 2 내지 제 3 실시예의 어느 하나에 상응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의 자기결합수단(30) 또는 전기자동차의 자기결합센서수단(230) 은 모두 영구자석(38,38A 또는 238) 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전자석이라도 좋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의 부착위치는, 스로틀연동부재(28)측 또는 추종부재(228) 측이 아니라 액셀연동부재(26 또는 226) 측으로 하고, 스로틀연동부재(28) 또는 추종부재(228)측에 흡착판을 부착하여도 좋고, 또한 액셀연동부재(26,226)측과 스로틀연동부재(28) 또는 추종부재(228) 측의 양쪽에 자석을 부착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는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로 잘못 착각하여 밟으면 스로틀밸브를 여는 일없고, 엔진과 자동차를 가속시키는 일이 없으나, 특히 이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는 액셀페달을 공진시켜 스로틀밸브 개폐조작측에서 해제하기 때문에 액셀 오조작에 상응하여 시간지연을 수반하지 않고, 스로틀밸브가 열리는 것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다. 또, 액셀페달의 잘못밟기 시작에 응동하여 스로틀밸브를 거의 닫은 채로 액셀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기자동차의 액셀 오조작이 있으면, 콘트롤러에 이 오조작신호를 공급하여 오조작을 방지하나, 전기자동차는 엔진탑재 자동차에 비해 액셀페달을 밟지 않고 운전하는 일이 많고, 따라서 상기 자기결합센서수단이 액셀페달의 초기동작에서 오조작신호를 즉시 발생할 수 있고, 모터의 가속을 거의 수반하지 않고, 액셀오조작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느 경우에나 액셀 오조작을 깨닫고 액셀페달에서 발을 떼면 액셀계통은 즉시 원상복귀하므로 그 후 통상의 운전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는 액셀페달과 함께 독립된 조립체로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 자동차에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가솔린 자동차, 전기자동차와 같은 자동차에 브레이크를 건다는 것이 착각으로 액셀페달을 밟더라도 자동차가 가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셀페달을 잘못 밟았을때에 액셀조작을 정지하여 액셀의 오조작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액셀계통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액셀계통 정면도,
제 3도는 제 1도와 같이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하나, 제 1도의 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이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은 위치에 있는 측면도,
제 4도는 제 1도와 같이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하나, 제 1도의 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이 브레이크로 잘못 밟아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은 위치를 넘어 자기(磁氣) 결합수단이 해방된 상태의 측면도,
제 5도는 제 1도와 같이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표시하나, 제 1도의 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의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급격히 밟았기 때문에 액셀연동부재가 스로틀 연동부재를 거의 원위치에 남겨둔채 액셀페달에 연동하여 이동한 상태의 측면도,
제 6도는 제 3도의 케이블 홀더의 스로틀케이블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의 확대 단면도,
제 7도는 제 1도 내지 제 5도의 장치에 사용되는 로크수단 확대 정면도,
제 8A도는 제 7도의 로크수단 일부를 수평단면으로 하여 나타내는 상면도,
제 8B도는 제8A도의 B-B 선의 로크암 측면도,
제 9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액셀계통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하는 측면도,
제10도는 제 9도 장치의 액셀암과 액셀 연동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로드 및 그 관련부품의 확대 측면도,
제11도는 제 9도 장치의 케이싱내를 제 9도의 11-11 선으로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제12도는 제 9도와 같이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표시하나, 제 9도의 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이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위치에 있는 측면도,
제13도는 제 9도와 같이 일부단면으로 표시하나, 제 9도 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이 브레이크로 잘못 밟아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은 위치를 넘어 자기결합수단이 해방된 상태의 측면도,
제14도는 제 9도와 같이 일부 단면으로 표시하나, 제 9도 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의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급격히 밟았기 때문에 액셀 연동부재가 스로틀 연동부재를 거의 원위치에 남겨둔 채 액셀페달에 연동하여 이동한 상태의 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액셀계통의 일부 단면으로 표시하는 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액셀계통의 정면도,
제17도는 제15도와 같이 일부단면으로 표시하나, 제15도의 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이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은 위치에 있는 측면도,
제18도는 제15도와 같이 일부단면으로 표시하나, 제15도의 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이 브레이크로 잘못 밟아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은 위치를 넘어 자기결합수단의 해방된 상태 측면도,
제19도는 제15도와 같이 일부 단면으로 표시하나, 제15도의 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의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급격히 밟았기 때문에 액셀연동부재가 스로틀 연동부재를 거의 원위치에 남겨둔채 액셀페달에 연동하여 이동한 상태의 측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 측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액셀계통 상면도,
제22도는 제20도 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이 브레이크로 잘못 밟아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은 위치를 넘어서 자기결합수단이 해방된 상태의 측면도,
제23도는 제20도의 장치를 구비한 액셀계통의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급격히 밟았기 때문에 액셀연동부재가 스로틀 연동부재를 거의 원위치에 남겨 둔채 액셀페달에 연동하여 이동한 상태의 측면도,
제24도는 제20도와 동일 도면이나, 로크수단이 로크위치에 있는 상태의 측면도,
제25도는 제20도 내지 제24도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로크수단의 확대 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을 전기자동차에 적용한 실시예에 의한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의 주요부 부분 단면 계통도,
제27도는 제26도의 장치가 브레이크로 잘못 밟아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깊이 밟은 위치를 넘어 자기결합 센서수단이 해방된 상태의 계통도,
제28도는 제26도의 장치로 액셀페달을 브레이크페달로 착각하여 급격히 밟았기 때문에 액셀연동부재가 추종부재를 거의 원위치에 남겨둔채 액셀페달에 연동하여 이동한 상태의 계통도,
제29도는 제26도의 추종부재를 액셀페달의 밟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의 다른 예의 확대 단면도,
제30도는 제26도의 추종부재를 액셀페달의 밟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의 또 다른 예의 확대 단면도,
제31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 1 스토퍼의 변형예 사시도.

Claims (33)

  1. 자동차의 액셀페달(14)에 연동하는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밸브를 개폐하도록 스로틀밸브에 협동하여 상기 액셀연동부재에 자기적으로 결합하는 스로틀연동부재(28)로 이루어지는 자기결합수단(30)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결합수단(30)은 상기 액셀페달에 브레이크페달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이 급격히 가해졌을때 상기 액셀연동부재가 상기 스로틀연동부재에서 즉시 해방되도록 자기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결합수단(30)의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연동부재(28)의 어느 한쪽은 자성재료 또는 자석을 포함하고, 다른 쪽은 자석(3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연동부재와 상기 스로틀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상태를 해방자유로이 로크하는 로크수단(62)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오조작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페달이 부착된 액셀암(16)은 차체에 피보팅되고, 상기 자기결합수단(30)은 상기 액셀암의 피보팅위치에 대하여 상기 액셀페달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페달이 부착된 액셀암(16)은 차체에 피보팅되고, 상기 자기결합수단(30)은 상기 액셀암의 피보팅위치에 대하여 상기 액셀페달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액셀의 오조작을 경보하는 오조작 경보수단(76)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오조작 경보수단은 상기 액셀연동부재와 상기 스로틀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방되는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수단(80)과 상기 스위치수단이 상기 자기결합의 해방을 검출하는 신호에 의해 액셀의 오조작을 경보하는 경보회로(8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7. 자동차의 액셀페달(14)에 연동하는 액셀연동부재(26)와 스로틀밸브를 개폐하도록 스로틀밸브에 협동하고 상기 액셀연동부재(26)에 자기적으로 결합하는 스로틀연동부재(28)로 구성되는 자기결합수단(30)과, 상기 액셀연동부재가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위치를 초과하는 액셀밟기로 상기 스로틀연동부재가 그 이상 이동하는 일이 없도록 정지하여 상기 액셀연동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스토퍼수단(4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결합수단의 액셀연동부재와 스로틀연동부재와의 어느 한쪽은 자성재료 또는 자석(38A) 을 포함하고, 다른쪽은 자석(38)을 포함하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결합수단은 상기 액셀페달에 브레이크페달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이 급격히 가해졌을 때에 상기 액셀연동부재가 상기 스로틀연동부재에서 즉시 해방되도록 자기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46) 은 정상적인 액셀조작으로 상기 액셀페달의 최대로 깊이 밟는 양 이상의 밟기를 정지하는 제 1 스토퍼(48)와, 상기 액셀페달을 정상적인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양을 초과하여 밟게 되면 상기 제 1 스토퍼가 변형하여 상기 스로틀연동부재가 그 이상 액셀의 밟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액셀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스로틀연동부재를 정지하는 제 2 스토퍼(5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정상적인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양을 초과하는 밟기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경질고무 등의 탄력성 재료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정상적인 액셀조작을 초과하는밟기에 의해 소성변형하여 상기 액셀연동부재가 상기 스로틀 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질유리 등의 소성변형재료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연동부재를 액셀 밟는 방향에 대하여 진퇴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수단(86)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연동부재와 상기 스로틀 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상태를 해방자유로이 로크하는 로크수단(62)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페달이 부착된 액셀암(16)은 차체에 피보팅되고, 상기 자기결합수단은 상기 액셀암의 피보팅위치에 대하여 상기 액셀페달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16.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페달이 부착된 액셀암(16)은 차체에 피보팅되고, 상기 자기결합수단은 상기 액셀암의 피보팅위치에 대하여 상기 액셀페달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17. 제 7항에 있어서, 액셀 오조작을 경보하는 오조작 경보수단(76)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오조작 경보수단은 상기 액셀연동부재와 상기 스로틀연동부재의 자기적 결합이 해방되는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이 상기 자기적 결합의 해방을 검출하는 신호에 의해 액셀의 오조작을 경보하는 경보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18. 전기자동차의 액셀페달(214) 에 연동하는 액셀연동부재(226) 와 상기 액셀암의 액셀밟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액셀연동부재에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액셀연동부재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추종부재(228) 와 상기 액셀연동부재와 추종부재의 결합이 해제된 것을 검출하여 액셀 오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소자(280) 로 구성되는 자기결합 센서수단(230) 을 구비하고, 상기 자기결합 센서수단은 상기 액셀페달에 브레이크페달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이 급격히 가해졌을 때에 상기 액셀연동부재가 상기 추종부재에서 즉시 해방되도록 자기적으로 설정되고, 또한, 상기 스위치소자로부터의 액셀 오조작 신호가 전기자동차의 콘트롤러(201) 를 가속방향으로 제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콘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결합 센서수단의 액셀연동부재와 추종부재의 어느 한쪽은 자성재료 또는 자석을 포함하고, 다른쪽은 자석(238)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연동부재와 상기 추종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상태를 해방자유로이 로크하는 로크수단(262) 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페달이 부착된 액셀암(216) 은 차체에 피보팅되고, 상기 자기결합센서수단(230) 은 상기 액셀암의 피보팅위치에 대하여 상기 액셀페달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액셀페달이 부착된 액셀암(216) 은 차체에 피보팅되고, 상기 자기결합센서수단(230) 은 상기 액셀암의 피보팅위치에 대하여 상기 액셀페달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액셀의 오조작을 경보하는 오조작 경보수단(276)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오조작 경보수단은 상기 액셀연동부재와 상기 추종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방되는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수단(280) 과 상기 스위치 수단이 상기 자기적 결합의 해방을 검출하는 신호에 의해 액셀의 오조작을 경보하는 경보회로(282)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24. 전기자동차의 액셀페달(214) 에 연동하는 액셀연동부재(226) 와 상기 액셀암의 액셀 밟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액셀연동부재에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액셀연동부재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추종부재(228) 와 상기 액셀연동부재와 추종부재의 결합이 해제된 것을 검출하여 액셀 오조작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소자(280) 로 구성되는 자기결합센서수단(230) 과, 상기 액셀연동부재가 통상의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위치를 초과하는 액셀밟기로 상기 추종부재를 정지하여 상기 액셀연동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는 스토퍼수단(246)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결합센서수단의 액셀연동부재와 추종부재와의 어느 한쪽은 자성재료 또는 자석을 포함하고, 다른쪽은 자석(238)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결합수단은 상기 액셀페달에 브레이크페달과 같은 정도 또는 그 이상의 밟는 힘이 급격히 가해졌을 때에 상기 액셀연동부재가 상기 추종부재에서 즉시 해방되도록 자기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2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246) 은 정상적인 액셀조작으로 상기 액셀페달의 최대로 깊이 밟는 양을 초과하는 밟기를 정지하는 제 1 스토퍼(248) 와,상기 액셀 페달을 정상적인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양을 초과하여 밟으면, 상기 제 1 스토퍼가 변형하여 상기 추종부재가 그 이상 액셀밟기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액셀연동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추종부재를 정지하는 제 2 스토퍼(250)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정상적인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양을 초과하는 밟기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경질고무 등의 탄력성 재료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정상적인 액셀조작의 최대로 깊이 밟는 양을 초과하는 밟기에 의해 소성변형하여 상기 액셀연동부재가 상기 추종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이 해제되는 위치까지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는 경질유리 등의 소성변형재료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연동부재와 상기 추종부재와의 자기적 결합상태를 해방자유로이 로크하는 로크수단(262) 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페달이 부착된 액셀암(216) 은 차체에 피보팅되고, 상기 자기결합센서수단은 상기 액셀암의 피보팅위치에 대하여 상기 액셀페달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페달이 부착된 액셀암(216) 은 차체에 피보팅되고, 상기 자기결합센서수단은 상기 액셀암의 피보팅위치에 대하여 상기 액셀페달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33. 제24항에 있어서, 액셀의 오조작을 경보하는 오조작을 경보하는 오조작 경보수단(276)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오조작 경보수단은 상기 자기결합센서수단의 스위치소자로부터의 자기결합 해방신호에 의해 액셀의 오조작을 경보하는 경보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KR1019960700146A 1994-05-17 1995-05-17 자동차액셀오조작방지장치 KR100360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37772 1994-05-17
JP13777294 1994-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3735A KR960703735A (ko) 1996-08-31
KR100360333B1 true KR100360333B1 (ko) 2004-03-18

Family

ID=1520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146A KR100360333B1 (ko) 1994-05-17 1995-05-17 자동차액셀오조작방지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97467A (ko)
EP (1) EP0714803B1 (ko)
JP (1) JP3650118B2 (ko)
KR (1) KR100360333B1 (ko)
CN (1) CN1083778C (ko)
CA (1) CA2167322C (ko)
DE (1) DE69515808T2 (ko)
MX (1) MX9600619A (ko)
WO (1) WO19950313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5648B2 (en) 2019-04-08 2022-04-19 Hyundai Motor Company Kickdown switch for acceleration pedal and method of controlling misoperation of acceleration pedal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9829B1 (en) * 1997-08-28 2001-01-30 Bausch & Lomb Surgical, Inc. Foot controller for microsurgical system
KR19990083829A (ko) * 1999-08-17 1999-12-06 이경석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SE517163C2 (sv) * 2000-04-05 2002-04-23 Volvo Car Corp Pedalställ i en fordonskupé
US6330838B1 (en) * 2000-05-11 2001-12-18 Teleflex Incorporated Pedal assembly with non-contact pedal position sens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MXPA02003556A (es) * 2000-08-08 2002-09-30 Watanabe Masaei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viaje normal para automovil equipado con aparato protector de mal funcionamiento del acelerador.
US6543567B2 (en) * 2000-08-09 2003-04-08 Deluca Michael Fault responsive securely stopped vehicle method and apparatus
US6530450B2 (en) 2000-08-09 2003-03-11 Deluca Michael Fault reactive securely stopped vehicle method and apparatus
JP3894082B2 (ja) * 2002-09-25 2007-03-14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FR2847528B1 (fr) 2002-11-27 2005-01-28 Renault Sa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our faire varier la position extreme actionnee de la pedale d'acceleration
KR100507468B1 (ko) * 2003-02-19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목상해 방지용 능동 브레이크 페달 시스템
DE10344705B4 (de) * 2003-09-26 2014-04-24 Daim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hinderung unbeabsichtigter Beschleunigungen eines Fahrzeugs
JP4609637B2 (ja) * 2004-01-28 2011-01-12 株式会社デンソー ペダル踏力検出装置
CN100455464C (zh) * 2006-11-25 2009-01-28 武希盛 误踩加速踏板节气门拉索断开技术
US20090025506A1 (en) * 2007-07-27 2009-01-29 Boris Karpachev Vehicle Pedal Controls proof against Misapplication of Accelerator
ES2332844B1 (es) * 2007-09-05 2011-05-16 Batz, S.Coop Pedal con mecanismo de seguridad.
US8255121B2 (en) * 2009-07-07 2012-08-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nomous control for vehicle pedal mis-apply situations
CN101734157A (zh) * 2010-01-12 2010-06-16 侯圣春 可刹车机动车加油装置
CN102225691B (zh) * 2011-04-19 2013-03-06 东华大学 一种汽车油门防误踩制动装置
CN102218990B (zh) * 2011-05-12 2013-08-21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汽车油门防误踩系统
CN102275577A (zh) * 2011-06-08 2011-12-14 颜昌松 带有微动离合器式误踏油门纠错装置的汽车刹车系统
CN102275578B (zh) * 2011-06-08 2013-10-30 浙江先安汽车制动系统有限公司 带微动离合器的误踏油门纠错装置
JP5355800B2 (ja) * 2011-06-10 2013-11-27 平次 南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解消装置
CN102923065A (zh) * 2011-08-12 2013-02-13 深圳市世纪经纬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油门误踩监控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设备
CN102514573A (zh) * 2011-12-01 2012-06-27 张连民 刹车误踩油门电子制动控制系统
CN102514486B (zh) * 2011-12-27 2014-11-05 胡达广 汽车加速踏板防误踩新方法
US8587147B2 (en) 2012-02-17 2013-11-19 Johnson Industries, Inc. Safety system
US9261234B2 (en) 2012-02-17 2016-02-16 Johnson Industries, Inc. Safety system
CN102529916B (zh) * 2012-02-20 2013-12-04 魏伯卿 机动车误操急踩油门紧急刹车装置
CN102582432B (zh) * 2012-02-21 2015-04-08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防止驾驶员误踩加速踏板的方法和装置
US9371001B2 (en) * 2012-04-20 2016-06-21 The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Sudden acceleration shutdown device using hydraulic brake pressure detector to disable vehicle on driver panic
CN102975655A (zh) * 2012-08-27 2013-03-20 王嘉新 汽车油门防误踩预警预设系统
CN103381755B (zh) * 2013-07-04 2016-06-22 曹月伟 机动车油门安全控制装置
CN103465785B (zh) * 2013-09-13 2016-03-30 安徽师范大学 一种防误踩油门系统的控制方法
CN104057824B (zh) * 2014-06-20 2016-08-31 李明胜 一种防误踩油门的车辆安全控制装置及其应用
US9758166B2 (en) 2015-01-09 2017-09-12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hanging modes of control
CN105196864B (zh) * 2015-10-15 2017-10-27 安徽科技学院 一种自动挡汽车油门刹车防误踩系统
CN105751896B (zh) * 2016-02-01 2018-01-09 陈宜中 一种直压式错踩油门防范装置
JP6442425B2 (ja) * 2016-03-08 2018-12-19 豊田鉄工株式会社 スロットル弁開閉制御装置
KR102478087B1 (ko) 2016-04-29 2022-1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의 오조작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472218B (zh) * 2017-08-20 2023-05-23 重庆公共运输职业学院 一种吸附在刹车踏板上的防油门误踩安全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859755B (zh) * 2018-04-10 2021-06-29 河南科技大学 一种车辆及其防误踩油门装置
CN110696610A (zh) * 2018-07-09 2020-01-17 深圳市德众尚杰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模式可选油门系统
CN109795318A (zh) * 2019-03-09 2019-05-24 范宝月 一种汽车安全油门装置
JP7343837B2 (ja) * 2019-10-03 2023-09-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KR20210149954A (ko) * 2020-06-02 2021-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모터를 구비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충돌 방지 제어 방법
CN112339557B (zh) * 2020-10-28 2022-03-0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油门踏板误踩识别、处理方法及其装置
CN112140876B (zh) * 2020-10-28 2021-12-21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防止误踏油门自动防护装置系统以及控制方法
CN112760731A (zh) * 2020-12-29 2021-05-07 广州美优科技有限公司 一种纤维纺织智能制造设备用卷绕头装置
CN117500681A (zh) * 2022-05-12 2024-02-02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油门装置和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928U (ja) * 1984-07-31 1986-02-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アクセル誤操作対策装置
JPH03129747A (ja) * 1989-06-23 1991-06-03 Hitachi Cable Ltd Tab用テープキャリア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69312A1 (fr) * 1979-11-13 1981-05-22 Altazin Philippe Butee escamotable pour accelerateur de vehicule
JPH0621582B2 (ja) * 1985-02-16 1994-03-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走行制御方法
JPH01202534A (ja) * 1988-02-05 1989-08-15 Oyama Masae ブレーキの機能を併有するアクセルペダル
JPH0241940A (ja) * 1988-07-30 1990-02-13 Yuasa Jidosha Kk アクセルペタルをブレーキペタルと誤って踏み込んだ時の緊急制動装置。
US4946012A (en) * 1989-07-20 1990-08-07 James G. Wells Brake activated acceleration override apparatus
JPH03129747U (ko) * 1990-04-13 1991-12-26
US5193640A (en) * 1991-01-17 1993-03-16 Lee Hae Seung Vehicle safety system for driver pedal misapplication
JPH05139183A (ja) * 1991-11-18 1993-06-0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ペダルで操作する機器の暴走防止機構
JPH05181557A (ja) * 1991-12-27 1993-07-23 Masae Watanabe 自動車のアクセル誤操作防止装置
JPH05185862A (ja) * 1992-01-13 1993-07-27 Toshio Oiwa アクセルペダル誤動作制御装置及び方法
JPH0631928A (ja) * 1992-07-20 1994-02-08 Tokyo Ohka Kogyo Co Ltd プリンタヘッドの製造方法及び接着方法
JPH0674063A (ja) * 1992-08-27 1994-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走行制御装置
JP3129747U (ja) * 2006-10-11 2007-03-08 美穂子 高久 字形補整便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928U (ja) * 1984-07-31 1986-02-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アクセル誤操作対策装置
JPH03129747A (ja) * 1989-06-23 1991-06-03 Hitachi Cable Ltd Tab用テープキャリ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5648B2 (en) 2019-04-08 2022-04-19 Hyundai Motor Company Kickdown switch for acceleration pedal and method of controlling misoperation of acceleration peda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14803B1 (en) 2000-03-22
MX9600619A (es) 1997-08-30
EP0714803A4 (en) 1997-05-28
WO1995031349A1 (fr) 1995-11-23
CN1083778C (zh) 2002-05-01
CA2167322A1 (en) 1995-11-23
KR960703735A (ko) 1996-08-31
CA2167322C (en) 2005-09-13
EP0714803A1 (en) 1996-06-05
DE69515808T2 (de) 2000-07-20
CN1128518A (zh) 1996-08-07
US5797467A (en) 1998-08-25
DE69515808D1 (de) 2000-04-27
JP3650118B2 (ja) 200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333B1 (ko) 자동차액셀오조작방지장치
MXPA96000619A (en) A device to prevent an accelerator from a vehicle from being operated errone me
JP3165907B2 (ja) 車両のパーク/ロック機構
US6500092B2 (en) Shift apparatus for vehicles
JP4846913B2 (ja) シフト装置
KR100773849B1 (ko) 액셀 오조작 방지장치 부착식 자동차의 통상주행 확보장치
US5718312A (en) Vehicle park/lock mechanism with control module having a locking mechanism and a control switch actuated by the locking mechanism
JP3130732B2 (ja)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インターロック機構
US5596906A (en) Combined accelerating/braking apparatus of a vehicle
US5133222A (en) Operating mechanism for vehicles with automatic transmission
JP3934146B2 (ja) 自動車の暴走防止装置
KR100534877B1 (ko) 자동차용 급가속 방지 장치
KR101181078B1 (ko) 차량의 스로틀 밸브 개폐 제어장치
CN111546888A (zh) 一种具有锁止机构的汽车油门踏板
JP2001122593A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バッテリ引出し装置
KR200429582Y1 (ko) 차량 브레이크 자동 잠금 및 해제 장치
JP3445445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JPH08207611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中間ロック装置
JPH08253043A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H0140781Y2 (ko)
KR20050076869A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장치
JP2005125959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H0645181U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の打音低減構造
JPH0736407U (ja) ソレノイドアクチュエータのリンク構造
JPS62231854A (ja) ステアリングロツ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