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829A -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829A
KR19990083829A KR1019990033782A KR19990033782A KR19990083829A KR 19990083829 A KR19990083829 A KR 19990083829A KR 1019990033782 A KR1019990033782 A KR 1019990033782A KR 19990033782 A KR19990033782 A KR 19990033782A KR 19990083829 A KR19990083829 A KR 19990083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locking
contact portion
passenger car
r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효채
Original Assignee
이경석
성효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석, 성효채 filed Critical 이경석
Priority to KR2019990016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103Y1/ko
Priority to KR1019990033782A priority patent/KR19990083829A/ko
Publication of KR19990083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82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승용차의 전기박스내에 있는 센서에 전자파나 외압 및 온도의 변화로 센서가 오작동을 일으켜 갑자기 회전속도(rpm)가 급상승할 때 전원을 끊어 전기와 연료 및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여 시동이 꺼지도록 하여 급발진을 방지하는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 회전속도(rpm)가 급상승할 때 가속폐달케이블(10)을 고정한 제2걸림회전체(4)는 베어링(41)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제1걸림회전체(23)와 제3걸림회전체(5)가 회전하면서 전기박스(1)내의 회전자(11)의 접점부(11a)가 제2접점부(13)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시동이 꺼지도록한 장치이다.
[효과] 본 발명은 현재 가끔 일어나는 승용차의 급발진의 원인이 되는 요인에 의해 센서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순간 회전속도(rpm)가 급상승할 때 기존의 가속폐달케이블이 당겨지지 않도록 하면서 승용차의 에너지원인 전기와 연료 및 공기의 공급을 중단시켜 자동적으로 엔진이 꺼지도록 하므로써 승용차의 급발진을 방지할 수 있어서 재해를 막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Auto quick start preventive device}
본 발명은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용차의 전기박스내에 있는 센서가 외압이나 온도의 변화로 오작동을 일으켜 갑자기 회전속도(rpm)가 급상승할 때 전원을 끊어 시동이 꺼지도록하여 급발진을 방지하고자 하는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가 자동변속기어장치(automatic)일 경우 승용차의 모든 전기는 전기박스내에 있는 센서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고, 그 센서는 연료량 및 공기의 흡입과 공기온도가 전달되는 양만큼 감지하여 그대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승용차의 전기박스내에 있는 센서에 과다한 전자파가 유입되거나 충격에 의한 진동 및 급격한 온도의 변화가 전달되면, 민감한 센서는 전달되는 것을 그릇 감지하여 오작동으로 변환하여 그 순간 연료 및 공기가 기화기에 과다하게 공급되어 가속폐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속도(rpm)가 급상승하여 승용차는 순간적으로 급발진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승용차의 주변에 있는 인명이나 물질적 피해를 입히게 되는 엄청난 재해를 불러 일으키는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승용차의 전기박스내에 있는 센서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순간 회전속도(rpm)가 급상승할 때 승용차의 에너지원인 전기와 연료 및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하므로써 자동적으로 엔진이 정지하여 승용차의 급발진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화기에 공기흡입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가진 축에 일체로 형성된 제1걸림회전체에 가속폐달케이블이 연결된 것에 있어서 본체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대를 고정시켜 회전축을 회동되게 설치하되, 상기 회전축에 회전자와 접점부를 가진 전기박스 및 가속폐달케이블을 걸 수 있는 걸림회전체를 고정하여 가속폐달을 밟으면 걸림회전체가 케이블에 의해 동시에 회동되도록 하고, 가속폐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제1걸림회전체의 회전으로 회전속도(rpm)가 급상승할 때 전기박스내의 접점부를 떨어지게 하여 전원이 끊어지도록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장치를 승용차에 설치한 일실시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4의 (가)(나)는 본 발명에서 회전자에 의해 접점부가 변화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전기박스 1a. 커버 2. 회전축
3. 고정대 31. 지지봉 4. 제2걸림회전체
5. 제3걸림회전체 6. 릴레이고정대 7. 릴레이
8. 로드 9. 공기조절밸브 10. 가속폐달케이블
11. 회전자 11a. 접점부 12. 제1접점부
13. 제2접점부 14. 제3접점부 21. 기화기
22. 공기흡입관 23. 제1걸림회전체 24. 스프링
25. 예비공기주입관 26, 28. 너트 27. 와셔
41. 베어링 42, 51. 돌기 52. 연결케이블
이하,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장치를 승용차의 본체에 실시례에 의해 설치된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기박스와 걸림회전체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요부를 알기 쉽도록 전체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4의 (가)(나)는 본 발명에서 회전자에 의해 접점부가 변화되는 상태를 나타낸 전기박스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화기(21)에 공기흡입관(22)이 연결되는 위치에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가진 축에 일체로 형성된 케이블걸림회전체(23)에 가속폐달케이블(10)이 연결된 것에 있어서 회전자(11) 및 접점부(11a)를 가진 전기박스(1)와 가속폐달케이블(10)이 연결되는 걸림회전체(4,5)를 하나의 회전축(2)에 체결하여서 구성되게 하였다.
상기 전기박스(1)는 커버(1a)에 의해 내부를 오픈할 수 있도록하고, 중앙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축공을 가진 회전자(11)를 요입시키되, 전기박스(1)내의 외각 적절한 부위에 제1,2,3접점부(12,13,14)를 탄발되게 설치하여 회전자(11)의 접점부(11a)와 접점되도록 설치하고, 이와 같은 전기박스(1)를 제2걸림회전체(4)에 일체로 고정 설치하였다.
상기 회전자(11)의 접점부(11a)는 제1,2,3접점부(12,13,14)와 접점되게 하고, 제1접점부(12)는 밧데리에서 키박스를 통하여 엔진에 연결되는 전선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제2접점부(13)에 연결하여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는 이상 항상 접점되어 있어 정상적으로 가동되도록 접점하였으며, 제3접점부(14)는 공기흡입관(22)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조절밸브(9)를 작동하는 로드(8)를 조절하도록한 릴레이(7)에 연결하였다.
상기 걸림회전체(4,5)는 외경을 ∪자홈으로 형성하여 케이블(10,52))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두개를 한조로 이루도록 하였으며, 그 중 제2걸림회전체(4)는 가속폐달케이블(10)을 외경 ∪자홈의 적절한 위치에 최소한 180°이상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여야 하며, 또한 제2걸림회전체(4)는 회전축(2)에 간섭받지 않고 회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41)을 삽설하였으며, 그리고 제2걸림회전체(4)의 후방에 제3걸림회전체(5)를 위치하여 돌기(42,51)를 서로 맞물리도록 하고, 제3걸림회전체(5)는 제1걸림회전체(23)와 연결케이블(52)로 상호 연결하여 동작이 일치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이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가속폐달을 밟으면 가속폐달케이블(10)이 당겨지면서 케이블(10)을 고정한 제2걸림회전체(4)가 케이블(10)의 직선운동이 제2걸림회전체(4)를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2걸림회전체(4)의 돌기(42)에 제3걸림회전체(5)의 돌기(51)가 맞물려 있어 제2걸림회전체(4)의 회전량 만큼 제3걸림회전체(5)가 회전하고, 제3걸림회전체(5)에 제1걸림회전체(23)가 연결케이블(52)로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전기박스(1)의 접점상태는 회전자(11)가 제2접점부(13)에 연결되어 정상운전 상태에 접점되어 있어 가속폐달을 밟으면 평상시 운전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주행할 때나 시동을 걸 때 외압(전자파 등)이나 온도의 변화로 센서가 갑작스럽게 오작동을 일으켜 회전속도(rpm)가 급상승하게 되면 제1걸림회전체(23)가 회전하게 되고 케이블(52)에 의해 연결된 제3걸림회전체(5)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3걸림회전체(5)는 회전축(2)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축(2)이 회전함에 따라 전기박스(1)내의 회전자(1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회전자(11)의 접점부(11a)는 제2접점부(13)에서 떨어지고, 제3접점부(14)에 접점하게 되어 전원이 끊어짐과 동시에 릴레이(7)가 작동하여 로드(8)에 의하여 공기흡입관(22)을 공기조절밸브(9)가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회전자(11)가 제2접점부(13)를 이탈함과 동시에 이미 전원 및 연료의 공급이 중단되어 시동이 꺼지므로 제3접점부(14)에 연결된 릴레이 (7)에서 로드(8)를 로딩하여 공기조절밸브(9)를 작동시켜 공기를 차단하지 않아도 무방함에 따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나 보다 더 높은 효과를 얻고자하는 것인 만큼 공기조절밸브장치는 설치의 여부에 따라 아무런 지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대로 하면 된다.
따라서 승용차에 모든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고, 또한 연료의 공급과 공기가 차단되어 순간 자동적으로 시동이 꺼짐에 따라 급발진이 방지된다.
그리고 전기박스의 센서를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수리하면 종래와 같이 급발진의 발생없이 승용차를 운행할 수 있고, 다시 급발진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동이 꺼지므로 급발진이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큰 재해를 막을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현재 가끔 일어나는 승용차의 급발진의 원인이 되는 요인에 의해 센서의 오작동을 일으키는 순간 회전속도(rpm)가 급상승할 때 기존의 가속폐달케이블이 당겨지지 않도록 하면서 승용차의 에너지원인 전기와 연료 및 공기의 공급을 중단시켜 자동적으로 엔진이 꺼지도록 하므로써 승용차의 급발진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기화기(21)에 공기흡입관(22)이 연결되는 부분에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밸브를 가진 축에 일체로 형성된 제1걸림회전체(23)에 가속폐달케이블(10)이 연결된 것에 있어서 본체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대(3)를 고정시켜 회전축(2)을 회동되게 설치하여 전기박스(1) 및 걸림회전체(4,5)를 고정하되, 상기 전기박스(1)는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여 접점부(11a)를 가진 회전자(11)를 요입시켜 접점부(11a)와 접점되도록 외각 적절한 부위에 제1,2,3접점부(12,13,14)를 탄발되게 설치하고, 상기 걸림회전체(4,5)는 두개를 한조로 이루어 외경을 케이블(10,52)이 벗겨지지 않도록 ∪자홈으로 형성하고, 그 중 제2걸림회전체(4)는 가속폐달케이블(10)을 연결과 전기박스(1)를 고정하는 한편 회전축(2)에 간섭받지 않고 회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41)을 삽설하였으며, 그리고 제2걸림회전체(4)의 후방에 제3걸림회전체(5)를 위치하여 돌기(42,51)를 서로 맞물리도록 하고, 제3걸림회전체(5)는 제1걸림회전체(23)와 연결케이블(52)로 상호 연결하여 동작을 일치시켜서 회전속도(rpm)가 급상승할 때 가속폐달케이블(10)을 고정한 제2걸림회전체(4)는 움직이지 않고 제1걸림회전체 (23)와 제3걸림회전체(5)가 회전하면서 전기박스(1)내의 회전자(11)의 접점부 (11a)가 제2접점부(13)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시동이 꺼지도록한 승용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19990033782A 1999-08-17 1999-08-17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KR19990083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15U KR200167103Y1 (ko) 1999-08-17 1999-08-17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KR1019990033782A KR19990083829A (ko) 1999-08-17 1999-08-17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782A KR19990083829A (ko) 1999-08-17 1999-08-17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915U Division KR200167103Y1 (ko) 1999-08-17 1999-08-17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829A true KR19990083829A (ko) 1999-12-06

Family

ID=196074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782A KR19990083829A (ko) 1999-08-17 1999-08-17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KR2019990016915U KR200167103Y1 (ko) 1999-08-17 1999-08-17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915U KR200167103Y1 (ko) 1999-08-17 1999-08-17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8382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5631A (ja) * 1989-01-09 1990-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機関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KR970010284A (ko) * 1995-08-23 1997-03-27 김문환 자동주행기능을 갖는 악셀레이터
US5797467A (en) * 1994-05-17 1998-08-25 Watanabe; Masaei Device for preventing an accelerator of a vehicle from being erroneously operate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5631A (ja) * 1989-01-09 1990-07-20 Mitsubishi Electric Corp 機関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US5797467A (en) * 1994-05-17 1998-08-25 Watanabe; Masaei Device for preventing an accelerator of a vehicle from being erroneously operated
KR970010284A (ko) * 1995-08-23 1997-03-27 김문환 자동주행기능을 갖는 악셀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103Y1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2373B1 (en) Vehicular accelerator pedal apparatus
US6164623A (en)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KR100993409B1 (ko) 차량의 급발진방지시스템
GB2323410A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i.c. engine throttle valve
JP2007092648A (ja) 絞り弁制御装置
KR200167103Y1 (ko) 승용차 급발진 방지장치
JPH102236A (ja) 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US7152563B2 (en) Operation unit of engine
US5787861A (en)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of engine
JP7180517B2 (ja)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KR101362857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GB2252641A (en) A system for regulating air flow along a throttled body (1) of a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igine supply device.
JPH0291432A (ja) スロットル弁開閉制御装置
US20110155099A1 (en) Device for preventing sudden acceleration of automobile
KR100376399B1 (ko) 전자식 가속페달장치
KR200260931Y1 (ko) 자동차 주유시의 엔진 제어장치
KR20110079937A (ko) 전자제어식 스로틀밸브장치
US6085722A (en) Exhaust restrictor with gear motor actu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0350136B1 (ko) 키오프 진동 감쇠기구
JPH06221188A (ja) スロットル制御装置
KR100251364B1 (ko) 자동차의 크루즈 컨트롤장치
JPS6380039A (ja) エンジンのスロツトル弁制御装置
KR100254431B1 (ko) 차량의 모타 액츄에이터
KR0124271Y1 (ko) 자동차의 연료캡 개폐 장치
KR0179610B1 (ko) 자동차의 주유중 출발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