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184B1 -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184B1
KR100340184B1 KR1020000034123A KR20000034123A KR100340184B1 KR 100340184 B1 KR100340184 B1 KR 100340184B1 KR 1020000034123 A KR1020000034123 A KR 1020000034123A KR 20000034123 A KR20000034123 A KR 20000034123A KR 100340184 B1 KR100340184 B1 KR 100340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toner
developing
carrier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505A (ko
Inventor
다마키신지
이마무라츠요시
요시자와히데오
데라이주니치
야마네마사유키
즈다기요노리
스도가즈히사
가와하라신이치
가토순지
이시바시미키오
오지미도쿠야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1008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supply and before the regulating, e.g. means for preventing developer bloc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Magnetic Brush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한 자기 토너 농도 제어를 유지하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바탕 오점 및 현상 농도의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담지체 폭 방향의 현상 농도 불균일이 없는 양호한 현상을 행할 수 있는 현상 장치 및 이 장치를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석 롤러(5)를 내장한 현상 슬리부(4)와, 현상 슬리부(4)에 담지되어 현상 영역을 향하여 이송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독터(6)와, 독터(6)에 의해 현상 영역으로 향하는 이송이 규제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 S와, 현상제 수용부 S에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인접하는 위치에서 현상 슬리부(4) 표면에 향한 토너 보급구(8a)를 구비하는 토너 호퍼(8)를 마련하고, 현상 슬리부(4) 상에서의 현상제 이송에 동반하는 현상제 이동에 의해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에 따라 토너 호퍼(8)내의 토너를 현상제로 끌어들이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수용부 S내에서 현상 슬리부(4) 표면에 비접촉으로 대향하여 현상 슬리부(4)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의 상층부를 벗겨내는 박리(剝離) 롤러(11)를 마련한다.

Description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DEVICE}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 화상 형성 장치 및 이 장치에 이용되는 현상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2 성분 현상제를 이용하여 복잡한 토너 보급 장치를 이용함이 없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를 일정 범위에 제어할 수 있는 자기 토너 농도 제어 기구를 구비하는 현상 장치 및 이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현상 장치로서는 내부에 자계 발생 수단이 배치된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이용되는 현상제의 양을 현상제 규제 부재로 규제하고 이 현상제 규제 부재로 긁혀 떨어진 현상제를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하며, 이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인접하여 이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대향하는 토너 보급구로부터 토너 수용부 내에 수용된 토너를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에 보급하는 현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9-22178호 참조). 이 현상 장치에서는 상기 토너 보급구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이송 현상제에 접해 있는 토너가 이 이송 현상제와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 현상제와의 경계면으로부터 흡인되도록 현상제에 거둬들여진다. 그리고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가 상승하면 현상제의 부피가 증가함으로써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수용 현상제가 상기 토너 보급구를 덮도록 연장하여, 이 토너 보급구에 있어서의 토너 수용부로부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취득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토너 수용부의 토너 보급구의 사이에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대하여 소정 간극을 구비하는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마련한 현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9-197833호 참조). 이 현상 장치에서는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농도가 상승하면, 이 현상제의 층 두께가 증가하고 이 증가한 현상제의 통과가 이 제2현상제 규제 부재로 규제된다. 이 규제된 현상제가 이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대하여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인접하는 상기 토너 보급구를 덮어 토너 수용부로부터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로 토너가 취득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일정 범위 내로 제어(이하, [자기 토너 농도 제어]라고 한다) 하는 현상 장치에 의하면, 토너 농도 센서가 필요하지 않음과 동시에 패들·스크루 등 교반 부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토너 보급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종래의 2 성분 현상 방식과 비교하여 자성 캐리어가 적어도 되므로 장치의 토크를 대폭 감소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장치의 소형화, 저코스트화를 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토너 수용부의 토너를 현상 영역으로 통과해 온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에 직접 보급할 수 있으므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농도가 저하된 부분에 대하여 재빨리 토너를 보급할 수 있다. 따라서 토너 소비가 많은 흑색 부분에 대한 추종성이 좋다는 장점도 있다.
그런데, 상기 자기 토너 농도 제어를 행하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바탕 오점 및 현상 농도의 저하가 발생하거나,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이하[담지체 폭 방향]이라고 한다)으로 현상 농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들 화상 품질 저하의 원인에 관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원인이 판명되었다.
상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바탕 오점 및 현상 농도 저하의 원인으로서는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와 현상제 수용부 내에 체류한 현상제와의 교환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음에 의한 현상제 조기 열화가 고려된다.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되어 이송되고 있는 현상제가 현상제 담지체 상으로부터 거의 박리되지 않고 따라 돌고 있으므로 현상제 수용부 내에 체류하는 현상제와의 교환이 거의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제의 교환이 행해지지 않으면,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되어 있는 현상제 중의 자성 캐리어에 대한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현상제 수용부 내에 체류하는 현상제 중의 자성 캐리어보다도 빨리 열화해 버릴 우려가 있다. 현상제 담지체 상의 자성 캐리어가 조기 열화하면, 현상 장치내의 현상제 전체로서는 그다지 열화되지 않아도 실제로 상을 형성하고 있는 현상제 담지체 상의 자성 캐리어의 대전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 자성 캐리어의 대전 능력이 저하됨에 의해 바탕 오점 또는 현상 농도의 저하 등을 일으켜 화상 품질의 저하를 면하지 못하므로 부득이 조기에 현상제 교환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와 현상제 수용부 내에 체류한 현상제와의 교환이 충분히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토너 대전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현상제의 교환이 행해지지 않으면 거의 현상제 담지체 상으로만, 소비량에 상응한 토너가 공급되고 혼합되어 소정 대전량을 얻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 이동 속도가 빠르면(현상 롤러의 경우, 회전이 수 백 rpm), 대전 시간과 맞지 않아 대전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특히, 토너 소비가 많은 부분이 있으면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현상 농도의 저하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등 화상 품질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화상 농도 불균일의 원인으로서는 이 담지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토너 대전 불균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현상제의 토너 소비 부분에 새로운 토너가 보급될 때, 토너 보급이 늦거나보급량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토너 보급이 늦거나 보급량이 변동함에 의해 토너 보급이 부족한 부분은 토너 농도가 저하되고 토너 대전량이 상승한다. 특히, 흑색 부분 등 토너 소비량이 많은 화상이 형성되면, 대량의 토너가 소비된 현상제로 토너 보급이 따라가지 못해 토너 농도가 저하된 채로 다음의 현상이 행해지는 우려가 있다. 또한, 대량의 토너가 소비된 현상제로는 토너의 취득이 급격하게 행해지기 때문에 토너 취득이 활발해져 여분의 토너까지 끌어 들여서 그 부분의 토너 농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한 채로 다음의 현상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비화상부에서는 토너가 소비되지 않으므로 본래 토너가 취득되지 않을 것이지만 다소 토너가 취득되어 토너 농도가 상승하고 토너 대전량이 저하되는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에 토너 농도나 토너 대전량의 불균일 상황이 발생하면, 토너 농도가 낮고 토너 대전량이 높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흰 화상(백대)으로 되고, 토너 농도가 높고 토너 대전량이 낮은 비화상 부분은 진한 화상으로 되어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서 현상 농도 불균일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현상 농도 불균일은 토너 수용부의 토너 보급구 치수나 위치가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서 변동하거나, 또는 현상제 담지체가 내장하는 자계 발생 수단으로서의 자석 롤러 자력이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서 변동함으로써 발생할 우려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이 더욱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서의 현상 농도 불균일의 원인은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의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는 부분의 표면 거칠음이나, 토너 수용부 내에 마련하고 있는 교반기의 토너를 송출하는 압력 부족에도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전자는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의 현상제 담지체에 대향하는 부분의 표면 거칠음이 현상제 내로 토너를 취득하는 양에 영향을 주며, 이 표면 거칠음이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서 불균일한 경우에 토너 취득량이 균일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서의 현상 농도 불균일이 생긴다고 생각할 수 있다. 후자는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교반기의 토너 송출 압력이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서 변동하는 경우이다. 흑색 부분 등 토너 소비량이 많은 부분으로 토너를 송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에 도달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면, 그 부분의 현상제에 토너 취득의 부족이 생김으로써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서 현상 농도 불균일이 생긴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마련한 구성으로 상기 현상 농도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를 벗기기 위한 현상제 박리 부재와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현상제 교반 부재를 마련한 현상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10-232540호 참조). 이 현상 장치는 현상제 수용부 내에서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되어 이송되고 있는 현상제를 전부 현상제 박리 부재로 일단 벗기고, 이 현상제 박리 부재로 벗긴 현상제를 현상제 교반 부재로 교반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최근에 행한 실험의 연구 결과, 현상제 수용부 내에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전부를 일단박리하는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자기 토너 농도 제어가 불안정하게 되기 쉽고, 최악의 경우는 토너 농도 제어가 기능하지 않을 우려가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 원인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고려된다. 현상제 수용부 내에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를 전부 벗겨 버리면, 현상제의 토너 농도가 상승한다 해도 상기 현상제 박리 부재로 벗겨진 현상제가 잇달아 현상제 수용부 공간을 전부 메울 때까지 수용되어 간다. 그 때문에 토너 농도 상승시에 이 현상제 박리 부재보다도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동을 억제하는 힘이 작용하기 어렵게 되어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의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에서 예정한 바와 같은 현상제 체류부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고려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에 감안한 것으로, 안정한 자기 토너 농도 제어를 유지하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바탕 오점 및 현상 농도의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담지체 폭 방향에 있어서 현상 농도 불균일이 없는 양호한 현상을 행할 수 있는 현상 장치 및 이 장치를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안정한 토너 농도 제어 기능을 유지하면서 담지체 폭 방향에 있어서 화상 농도 불균일이 없는 양호한 현상을 행할 수 있는 현상 장치 및 이 장치를 마련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현상 장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 슬리부, 박리 롤러, 프리독터 등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에 이용한 박리 롤러의 측면도.
도 6a,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자기 토너 제어 기능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제어부의 주요부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온도와 토너의 응집도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도 9는 습도와 토너의 응집도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에 의한 실험에 이용한 실험도 화상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현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현상 장치에 이용한 박리 롤러의 사시도.
도 1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박리 롤러의 사시도.
도 17b 및 17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또다른 변형예에 따른 박리 롤러 원주 면의 자극 배치의 설명도.
도 18a∼18e는 농도 불균일 레벨의 등급을 나타낸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에 이용한 박리 부재의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에 이용한 다른 박리 부재의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현상 장치에 있어서 각 부의 간격의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에 있어서 교반용 빗형 부재의 배치 위치를 나타낸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교반용 빗형 부재의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현상 장치 주요부의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현상 장치 주요부의 설명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현상 장치 주요부의 설명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현상 장치 주요부의 설명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현상 장치 주요부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체 드럼
2 : 현상 장치
2a : 케이싱
3 : 현상제
3a : 토너
3b : 이송 현상제
3c : 수용 현상제
3d : 박리 현상제
3e : 체류 현상제
4 : 현상 슬리부
5 : 자석 롤러
6 : 독터
7 : 현상제 수용 케이스
7a : 프리독터
8 : 토너 호퍼
8a : 토너 보급구
9 : 토너 교반기
10 : 쐐기형 박리 부재
11 : 박리 롤러 (자성체)
12 : 박리 부재 [격자(grid)형의 평판]
13, 14 : 박리 롤러 (자석 롤러)
20 : 교반용 빗형 부재
21∼25 : 시이트 부재
50 : 대전 롤러
51 : 광 기록 유닛
52 : 용지
53 : 전사 롤러
100 : 엔진 제어부
101 : 엔진 제어용 CPU
110 : 화상 데이터 처리부
S : 현상제 수용부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1항의 발명은 내부에 자계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한 현상제를 담지하여 이송하기 위하여 표면 이동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이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현상 영역을 향하여 이송되는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와, 이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 영역으로 향하는 이송이 규제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향한 토너 보급구를 구비하는 토너 수용부를 마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의 현상제 이송에 따르는 현상제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에 따라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를 현상제로 끌어들이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비접촉으로 대향하여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의 상층부를 박리하는 박리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 수용부에 대향하는 부분으로 이송되어 온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하 [이송 현상제]라고 한다)의 상층부가 이 현상제 수용부 내의 박리 부재로 박리된다. 이 박리 부재로 박리된 현상제 (이하 [박리 부재]라고 한다)는 이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 (이하 [수용 현상제]라고 한다)와 혼합된다. 이 현상제의 혼합에 의해 이 현상제에 취득된 토너가 교반되면서 분산됨과 동시에 이 현상제 중의 토너와 자성 캐리어와의 마찰 대전에 의한 토너 대전이 촉진되어 이 이송 현상제 중의 토너 분포 및 대전량이 균일하게 된다. 이 현상제 수용부 내에서 박리 현상제와 수용 현상제가 혼합된 현상제의 일부는 상기 박리 부재의 현상제 이송 방향 하류측에서 현상제 담지체 상의 박리 부재로 박리되지 않고서 이송되고 있는 현상제 (이하 [비 박리 현상제]라고한다)와 함께 이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된다. 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는 현상제 규제 부재로 규제되어 소정 층 두께로 된 후 현상에 이용된다.
또한,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 이송되고 있는 이송 현상제의 상층부만을 박리함으로써 이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의 현상제 담지 이송에 대한 이 박리의 영향을 작게 하여 상기 토너 농도 제어가 손상되지 않게 안정되게 하고 있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향한 토너 보급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대향부로부터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향하여 담지 이송되고 있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상기 현상제의 토너 농도 상승에 따라 상기 현상제의 규제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의 틈새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현상제 담지체 상의 자력 불균일 등 영향을 받음이 없이 안정한 토너 농도 제어가 행해진 현상제 담지체 상의 이송 현상제 상층부가 상기 박리 부재로 박리되어 혼합됨으로써 이송 현상제 토너의 교반 분산 및 토너 대전이 촉진되므로 이송 현상제의 균일화를 더욱 꾀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2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의 간극을 Gh로 하고,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과의 간극을 Gd2로 했을 때, 0< Gh < Gd2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3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Gh 및 Gd2가 상기 소정의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토너 수용부로부터 토너를 취득하여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한 규제 위치를 통과한 현상제 담지체 상의 이송 현상제의 상층부가 상기 박리 부재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박리된다.
청구항 제4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2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수단은 상기 박리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와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의 사이에 자극을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4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자계 발생 수단이 상기 박리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와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의 사이에 자극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현상제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가 현상제의 토너 농도 고저에 관계없이 이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와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의 틈새 방향을 향하여 끌어당겨지는 듯한 현상제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상제의 토너 농도가 상승하지 않음에도 불과하고 상기 현상제의 흐름에 의해 이 현상제의 일부가 이 틈새로부터 토너 보급구 측으로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없어지고 이 현상제 담지체 상의 이송 현상제의 토너 농도가 저하된 경우에 이 현상제의 토너 취득이 적정하게 행해진다.
청구항 제5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4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박리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상의 자속 밀도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상기 현상제를 자력으로 담지할 수 있는 자속 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5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박리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이르는 박리 전의 구간에서도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현상제가 계속하여 담지되므로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에 따르는 현상제의 이동을 이용한 상기 자기 토너 제어가 안정된다.
청구항 제6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롤러 형의 회전 부재이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의 대향부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는 반대 방향으로 표면 이동하도록 상기 박리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 수단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6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 수용부 내에서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있는 박리 부재에 의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층부가 막혀서 박리된다. 이 박리된 현상제는 이 박리 부재의 표면 이동에 따라 같이 회전되어 이 현상제 담지체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듯이 이동하여 현상제 수용부 내의 수용 현상제와 혼합된다. 여기서 이 박리 부재로서 롤러 형의 회전 부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 박리 부재가 회전한다 해도 이 박리 부재와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의 틈새가 일정하게 되어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현상제 상층부를 현상제 이송 방향에 있어서 균일하게 박리할 수 있다.
청구항 제7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6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자성체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7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자계 발생 수단으로 발생한 자계가 자성체를 이용하여 구성한 박리 부재에 미침으로써 이 자계로 이 박리 부재가 자화되기 때문에 이 박리 부재의 표면에 자력으로 현상제를 끌어당겨 담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박리 부재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층부를 자력으로 담지함으로써 이 현상제의 박리를 보다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제8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7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단부로 지지된 것이며, 상기 박리 부재의 이 교차 방향의 중앙부 직경이 양단부의 직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8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자계 발생 수단으로 발생한 자계에 의한 자력으로 상기 박리 부재의 중앙부가 현상제 담지체 측으로 휜다 해도 이 박리 부재의 중앙부와 양단부와의 사이에서 이 박리 부재의 표면과 이 현상제 담지체 표면 사이의 틈새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제9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연장하고 동시에 자성체를 포함한 부재이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의 대향부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는 반대 방향으로 표면 이동하도록 상기 박리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 수단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9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서 자성체를포함한 박리 부재가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이 박리 부재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층부를 막고 자력으로 끌어당겨 담지하여 이 현상제의 박리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제10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연장하고 동시에 표면에 자극이 자화된 부재이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의 대향부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는 반대 방향으로 표면 이동하도록 상기 박리 부재를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 수단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0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서 표면에 자극이 자화된 박리 부재가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박리 부재 표면의 자극과 현상제 담지체 내의 자계 발생 수단의 자극과의 거리가 변화하므로 이 박리 부재의 회전에 따라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박리된 현상제를 끌어당기는 힘이 변화하여 상기 현상제의 혼합이 활발하게 된다.
청구항 제11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0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롤러 형의 회전 부재이며, 상기 박리 부재의 표면에 상기 자극을 복수 자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1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부재로서 롤러 형의 회전 부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 박리 부재가 회전한다 해도 이 박리 부재 표면과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므로 이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현상제를균일하게 박리할 수 있다. 또한, 이 박리 부재의 표면에 복수의 자극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박리 부재의 표면에 현상제를 강하게 끌어당기는 부분이 복수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 박리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이 박리 부재의 주위에 존재하는 현상제에 대한 자력이 변하여 이 현상제의 혼합이 더욱 활발해진다.
청구항 제12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1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극은 S극 및 N극을 교대로 자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2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부재 표면에 S극 및 N극이 교대로 자화되어 있으므로 이 박리 부재의 표면에 현상제를 끌어당기는 힘이 강해져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를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현상제의 혼합이 더욱 활발해진다.
청구항 제13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2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극은 각각 상기 박리 부재의 회전축 연장 방향에 따라 직선형으로 자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3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부재 표면에 이 박리 부재의 회전축 방향에 따라 연장하도록 하여 현상제가 볼록 형으로 담지된다. 이 박리 부재의 회전축 방향에 연장하도록 하여 담지된 볼록 형의 현상제가 이 박리 부재의 회전에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고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에 대하여 이동력을 주므로 현상제의 혼합이 더욱 활발해진다.
청구항 제14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1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의 회전축 연장 방향으로 S극 및 N극이 교대로 늘어선 자극 군을 상기 박리 부재표면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배열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자극을 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4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부재의 표면에 전체에 걸쳐 현상제가 오목 볼록 형으로 담지되므로 상기 현상제의 혼합이 더욱 활발해진다.
청구항 제15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6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박리 부재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켜서 회전 구동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5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에 끌어들이는 토너 량에 따라 이 박리 부재와 현상제 담지체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제끼리의 마찰 대전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상제의 불필요한 혼합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16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5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 대상 화상의 화상 비율에 근거하여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6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 비율에 의해 토너 소비를 구하고 그 토너 소비에 맞추어 상기 박리 부재의 선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너 소비에 따른 적정한 토너 대전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상제의 불필요한 혼합을 회피함으로써 현상제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17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5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장치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 수단과, 상기 온도 측정 수단의 온도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7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의 온도가 높을 때는 토너 응집도 증가를 고려하여 박리 부재의 선속도를 크게 하도록 변화시킴으로써 적정한 토너 대전을 보다 안정화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현상제의 온도가 낮을 때는 박리 부재의 선속도를 작게 하여 현상제의 불필요한 혼합을 회피하여 현상제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18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5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장치내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측정 수단과, 상기 습도 측정 수단의 습도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8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의 습도가 높을 때는 토너 응집도 증가를 고려하여 박리 부재의 선속도를 크게 하도록 변화시킴으로써 적정한 토너 대전을 보다 안정화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현상제의 습도가 낮을 때는 박리 부재의 선속도를 작게 하여 현상제의 불필요한 혼합을 회피하여 현상제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19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5항, 제16항, 제17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선속도 크기를 S [mm/s]로 하고, 상기 박리 부재의 선속도 크기를 T [mm/s]했을 때, 0.5 < (T/S) < 1.5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19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부재의 선속도 T [mm/s]와 현상제 담지체의 선속도 S [mm/s]의 비율 (T/S)을 0.5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현상제를 확실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하여 화상 농도 불균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선속도의 비율 (T/S)을 1.5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박리 부재와 현상제 담지체의 사이에서의 현상제끼리의 불필요한 마찰 대전을 회피하여 현상제의 조기 열화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토너 농도를 제어하기 위한 현상제의 이동을 방해하는 일도 없다.
청구항 제20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6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의 표면이 거칠음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0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표면을 거칠게 가공한 박리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이 박리 부재에 의한 현상제를 긁어내리는 기능 및 유지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이 박리 부재에 의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층부를 확실하게 박리하여 이송할 수 있다.
청구항 제21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7항 또는 제8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자성체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의 법선 방향 자속 밀도 분포의 정점 위치에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1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박리 부재가 현상제 담지체 표면 상에 있어서 법선 방향 자속 밀도 분포의 정점 위치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이 박리 부재가 쉽게 자화되고 이 박리 부재에 의한 이송력이 가장 크게 발휘되어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가 효과적으로 혼합된다.
청구항 제22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21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의 원주면 상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 면의 법선 방향 자속 밀도가 5 m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2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박리 부재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박리 부재 표면에도 자력으로 현상제를 확실하게 담지하여 이송할 수 있으므로 상기 현상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청구항 제23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21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마련했을 때,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 상기 박리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가 받는 자력 크기를 MF1로 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가 받는 자력 크기를 MF2로 했을 때,
MF2 < (2 / 3)·MF1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3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 박리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가 받는 자력의 크기에 대해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가 받는 자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박리 부재에 의한 이송력, 즉,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있는 현상제에 대해 그 이송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힘이 토너 보급구 부근까지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토너 보급구 부근에서는 토너 농도 상승에 따라 현상제의 층 두께가 증가하여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의 토너 취득을 제어한다는 토너농도 제어 기구를 안정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24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있고, 동시에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층부를 떠서 박리하기 위한 박리면을 구비하는 부재이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의 현상제 이송 방향의 접선에 대한 상기 박리 부재의 상기 박리면의 경사각이 9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4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경사각을 90도 이상으로 설정한 박리면을 구비하는 박리 부재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에 진입해 온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층부를 떠서 박리한다. 이 박리 부재로 일단 박리된 현상제는 체류함이 없이 이 박리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와 현상제 수용부 내 현상제와의 혼합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제25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격자형의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5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 수용부 내의 격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부재에 도달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일부는 이 박리 부재의 격자 구멍을 통과하도록 이동하여 이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박리된다. 이 격자형의 평판은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근접한 공간에 설치 가능하므로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 담지체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현상제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 이동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청구항 제26항의 발명은 내부에 자계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한 현상제를 담지하여 이송하도록 표면 이동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이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현상 영역을 향하여 이송되는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와, 상기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 영역으로 향하는 이송이 규제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향한 토너 보급구를 구비하는 토너 수용부를 마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의 현상제 이송에 따르는 현상제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에 따라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를 현상제로 끌어들이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상기 토너 수용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비접촉으로 대향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 중 상기 토너 수용부로부터 토너를 취득한 부분을 교반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6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 수용부 내의 토너 수용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비접촉으로 대향하고 있는 현상제 교반 부재에 의해 이 현상제 수용부 내로 진입해 온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층부를 교반한다. 이 현상제의 교반에 의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와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가 혼합된다. 나아가 상기 현상제의 교반에 의해 토너 수용부로부터이 현상제 담지체의 현상제 상층부에 취득된 토너를 현상제와 함께 교반 혼합하여 현상제 중의 토너 농도를 균일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토너 농도가 균일하게 교반 혼합된 현상제가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고 잠상 담지체와의 대향부로 이송되어 현상에 사용된다.
청구항 제27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26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대향하고 있는 대향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기 대향부로부터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향하여 담지 이송되고 있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7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한 이송 현상제의 규제 상태 변화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현상제 담지체 상의 자력 불균일 등 영향을 받음이 없고 상기 토너 농도를 보다 안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토너 취득으로 토너 농도가 적정한 범위로 된 현상제 담지체 상의 이송 현상제의 상층부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서 상기 현상제 교반 부재로 교반됨으로써 이 이송 현상제의 토너 교반 분산 및 토너 대전이 촉진된다.
청구항 제28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26항 또는 제27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교반 부재를 일측에 빗살부를 구비하는 빗형 부재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8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토너 수용부로부터 현상제 수용부로취득된 토너를 포함한 현상제가 빗형 부재의 빗살과 빗살 사이 (이하 빗살부라고 한다)를 통과한다. 빗살 간을 통과할 때, 현상제는 빗살에 부딪쳐 빗살을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갈라져 각각의 영역에서 새로운 현상제와 혼합하는 이른바 횡 교반 작용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현상제 중 한쪽에 치우쳐 있는 토너의 존재 상태가 상기 담지체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게 된다.
청구항 제29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28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와의 간격을 Gd로 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 상기 빗형 부재 선단과의 간격을 Gk로 했을 때, 0< Gk < Gd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29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 빗형 부재 선단과의 간격 Gk을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와의 간격 Gd보다도 좁게 하여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한 규제 위치를 통과해 온 현상제의 토너가 보급된 부분이 현상제 이송 방향 하류측에서 확실하게 빗살부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보급 토너를 포함한 현상제를 확실하게 교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빗살부에 도달한 현상제는 횡 교반되면서도 현상제 담지체 상에 담지된 상태에서 이 빗살부를 통과하여 이송되므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에 따르는 현상제의 이동을 이용한 상기 자기 토너 농도 제어 기능이 손상되지 않는다.
청구항 제30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28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빗형 부재의 빗살부 선단 간격 Pk가 5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30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빗형 부재의 빗살부 선단 간격 Pk를5 mm 이하로 하여 빗살부를 통과하는 보급 토너가 현상제와 충분히 혼합되도록 하여 원래 한 곳에 치우쳐 있는 토너의 존재 상태를 충분히 균일화한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31항의 발명은 내부에 자계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한 현상제를 담지하여 이송하도록 표면 이동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이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현상 영역을 향하여 이송되는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와, 이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 영역으로 향하는 이송이 규제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향한 토너 보급구를 구비하는 토너 수용부를 마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의 현상제 이송에 따르는 현상제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에 따라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를 현상제로 끌어들이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상기 토너 수용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대향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 중 상기 토너 수용부로부터 토너를 취득한 부분에 접촉하는 가요성 판상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31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 수용부 내의 이 토너 수용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이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대향하는 가요성 판상 부재가 이 현상제 수용부 내로 진입해 온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층부에 존재하는 보급 토너에 접촉한다. 이 보급 토너가 이 가요성 판상 부재에 접촉할 때에 통과하고자 하는 토너 압력에 의해 이 가요성 판상 부재가 그 가요성에 의해 휘거나 복귀하거나 하면서 이 현상제의 상층부에 존재하는 과잉 토너가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와 함께 현상제 이송 방향 하류측 영역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상기 가요성 판상 부재에 의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층부에 존재하는 보급 토너를 현상제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담지체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된다.
청구항 제32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31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대향하고 있는 대향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기 대향부로부터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향하여 담지 이송되고 있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32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한 이송 현상제의 규제 상태의 변화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현상제 담지체 상의 자력 불균일 등 영향을 받음이 없이 상기 토너 농도를 보다 안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토너 취득으로 토너 농도가 적정한 범위로 된 현상제 담지체 상의 이송 현상제의 상층부에 존재하는 보급 토너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서 가요성 판상 부재에 접촉한다. 이 가요성 판상 부재에 의해 여분의 보급 토너 이송이 방지됨과 동시에 이 보급 토너가 담지체 폭 방향에서 교반되면서 균일하게 된다.
청구항 제33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31항 또는 제32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판상 부재의 고정 유지부로부터 선단까지의 자유 길이가 상기 유지부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접촉 위치까지의 가상 직선 거리의 길이보다 긴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33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자유 길이를 갖는 가요성 판상 부재는 현상제 담지체 표면의 이동에 따라 그 이동 방향 하류측으로 휜 상태에서 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를 가압하면서 이 현상제에 접촉하므로 상기 여분의 보급 토너 이송이 확실하게 방지됨과 동시에 이 보급 토너가 담지체 폭 방향에서 교반되면서 보다 균일하게 된다.
청구항 제34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31항 또는 제32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판상 부재의 두께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로부터 받은 압력으로 만곡되는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34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가요성 판상 부재는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로부터 받는 압력으로 만곡된다. 이 가요성 판상 부재의 만곡된 부분은 현상제 담지체 상의 이송 현상제에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동시에 현상제 이송 방향에서 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여분의 보급 토너 이송이 확실하게 방지됨과 이 보급 토너가 담지체 폭 방향에서 교반되면서 보다 균일하게 된다.
청구항 제35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31항 또는 제32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판상 부재의 고정 유지부로부터 선단까지의 자유 길이가 이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고 있는 현상제로부터 받는 압력으로 만곡되는 길이임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35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 자유 길이를 구비하는 가요성 판상 부재는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로부터 받는 압력으로 만곡된다. 이 가요성 판상 부재의 만곡된 부분은 현상제 담지체 상의 이송 현상제에 상기 담지체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동시에 현상 이송 방향에서 면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여분의 보급 토너 이송이 확실하게 방지됨과 이 보급 토너가 담지체 폭 방향에서 교반되면서 보다 균일하게 된다.
청구항 제36항의 발명은 청구항 제31항 또는 제32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판상 부재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대향하는 대향부가 고리 형으로 감아올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36항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가요성 판상 부재의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대향하는 대향부가 고리 형으로 감아올린 형상이므로 이 대향부에 있어서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얇은 가요성 판상 부재를 이용한 경우라도 상기 여분의 보급 토너 이송이 확실하게 방지됨과 동시에 이 보급 토너가 담지체 폭 방향에서 교반되면서 보다 균일하게 된다.
청구항 제37항의 발명은 잠상 담지체 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수단과, 상기 잠상 담지체 상의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잠상 담지체 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재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로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현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제37항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기 현상 장치를 이용하여 잠상 담지체 상의 잠상을 현상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바탕 오점 및 농도저하나 화상 폭 방향에 있어서 농도 불균일이 없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을 전자 사진식의 화상 형성 장치인 레이저 프린터(이하, [프린터]라고 한다)의 현상 장치에 적용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에 관하여 설명한다. 잠상 담지체로서의 감광체 드럼(1)은 도면 중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감광체 드럼(1)에 접촉하여 그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50)에 의해 똑같이 대전된 후, 광 기록 유닛(51)에 의한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주사 노광되어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대전 롤러(50) 및 광 기록 유닛(51)에 의해 잠상 형성 수단이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종류의 대전 장치나 노광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해도 좋다.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후술하는 현상 장치(2)에 의해 현상되어 감광체 드럼(1) 상에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 장치로서의 전사 롤러(53)를 구비한 전사 유닛에 의해 급지 카세트(54)로부터 급지 롤러(55),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쌍(56)을 거쳐 이송된 전사재로서의 용지(52)위에 전사된다. 전사 종료후의 용지(52)는 정착 유닛(57)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정착되어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전사되지 않은 감광체 드럼(1)상의 잔류 토너는 클리닝 유닛(58)에 의해 감광체 드럼(1)으로부터 제거된다. 또 감광체 드럼(1)상의 잔류 전하는 방전 램프(59)로 제거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현상 장치(2)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며, 도 3은 이 현상 장치(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이 현상 장치(2)는 감광체 드럼(1)의 옆쪽에 배치되고 토너(3a) 및 자성 캐리어(이하 [캐리어]라고 한다)를 포함한 2성분 현상제(이하 [현상제]라고 한다)를 표면에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현상 슬리부(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현상 슬리부(4)는 케이싱(2a)의 감광체 드럼(1)측에 일부 노출하도록 설치되고 미도시한 구동 장치에 의해 감광체 드럼(1)과 대향하는 현상 영역에서 현상제를 아래쪽(도면에서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현상 슬리부(4)의 내부에는 자계 발생 수단으로서의 고정 자석군으로 이루어지는 자석 롤러가 고정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현상 장치는 현상 슬리부(4) 상에 담지되어 현상 영역을 향하여 이송되고 있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독터(6), 이 독터(6)에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에서 현상 슬리부(4)의 표면 및 독터(6)와의 사이에 현상제(3)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 S를 형성하도록 마련된 현상제 수용 케이스(7), 토너 수용부로서의 토너 호퍼(8) 등도 마련하고 있다. 토너 호퍼(8)는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의 현상제 수용부 S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현상 슬리부 표면과 대향하는 토너 보급용 개구(이하 [토너 보급구]라고 한다)(8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토너 호퍼(8)의 내부에는 도면 중 화살표 C로 나타낸 시계바늘 방향으로 회전하여 토너(3a)를 토너 보급구(8a)를 향하여 교반하면서 송출하는 토너 교반 부재로서의 토너 교반기(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현상제 수용 케이스(7)의 현상 슬리부(4)에 근접하는 선단부(차양부)는 토너 호퍼(8)로부터 토너가 보급되어 현상제 수용부 S내를 향하여 진행하고자 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프리독터(7a)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 케이스(7) 등으로 형성되는 현상제 수용부 S에는 감광체 드럼(1)과 대향하는 현상 영역으로 공급되지 않고 독터에 의해 진행이 저지된 현상제가 수용된다.
상기 자석 롤러(5)의 표면부에는 이 롤러의 중심축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는 자극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영역에 대향하는 위치에 주극(N1)이 형성되고 상기 현상제 수용부 S에 자계의 자력이 미치도록 프리독터(7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현상 영역에 이르는 사이에 자극(S2극)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석 롤러(5)의 표면에는 일반적인 현상 장치와 마찬가지로 현상 슬리부(4)상에 현상제를 계속하여 담지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자극(S극, N극)이 적당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基材)에 대하여 자석편을 끼워 맞춰 고착시킨 고정 자석체, 이른바 블록(block)형 자석 롤러를 이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 플라스틱 자석 재료를 자기 배향(磁氣配向)과 동시에 자화시켜 제작하는 이른바 페라이트(ferrite)계 일체형 플라스틱 자석 롤러를 이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현상 장치는 상기 현상제 수용부 S내에서 현상 슬리부(4)의 표면에비접촉으로 대향하여 이 현상 슬리부(4)에 담지 이송되고 있는 현상제의 일부(이송 현상제의 표층부)를 박리하는 박리 부재로서 자성체로 형성된 롤러형의 회전 부재인 박리 롤러(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박리 롤러(11)는 원통형이여도 좋다.
상기 박리 롤러(11)의 재료(자성체)로서는 예컨대 SUM재[유황 및 유황복합쾌삭강(硫黃複合快削鋼) 강재], 자성을 갖는 SUS재, 철, 니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철심에 니켈 도금을 한 것, 불수강 소재에 자성 재료를 코팅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박리 롤러(11)의 표면은 현상 슬리부(4)로부터 박리한 현상제를 양호하게 담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샌드 블라스트(sendblast) 처리 등에 의해 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표면 거칠음이 30 ㎛(일본 공업 규격의 규정에 의한)정도로 되도록 가공한다. 이 표면 거칠음은 현상제 종류나 박리 롤러의 재료 등 조건에 따라 현상제를 이송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박리 롤러(11)는 미도시한 구동 장치에 의해 현상 슬리부(4)와 같은 회전방향(도면에서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있다. 이 회전 구동에 의해 현상 슬리부(4)와 박리 롤러(11)와의 대향부에 있어서, 박리 롤러(11)의 표면이 현상 슬리부 표면과는 반대 방향으로 표면 이동하므로 박리 롤러(11)로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 상층부를 막고서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박리된 현상제는 박리 롤러(11)의 표면 이동에 따라 종동 회전되어 현상 슬리부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듯이 이동하여 현상제 수용부 S내의 수용 현상제와 혼합된다.
또한, 상기 현상제 수용부 S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자석 롤러(5)의자극(S2)은 박리 롤러(11)에 대향하는 위치와 상기 프리독터(7a)에 대향하는 위치와의 사이에 배치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 롤러(5)의 중심과 박리 롤러(1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한 자석 롤러(5)의 중심과 상기 자극(S2)을 연결하는 선의 경사각 θ이 2∼10°정도로 되도록 이 자극(S2)의 형성 위치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박리 롤러(11)에 대향하는 위치와 상기 프리독터(7a)에 대향하는 위치 사이에 자극을 배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현상제 수용부 S내에 수용되어 있는 현상제가 현상제의 토너 농도 고저에 관계없이 프리독터(7a)와 현상 슬리부 표면 사이의 간격 쪽을 향하여 끌어당겨지는 듯한 현상제의 이상한 흐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 롤러(11)와 현상 슬리부 표면의 간극 Gh과, 상기 프리독터(7a)와 현상 슬리부 표면의 간극 Gd2는 0 < Gh < Gd2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양 간극 Gh 및 Gd2를 설정함으로써 토너 호퍼(8)로부터 토너를 취득하여 프리독터(7a)에 의한 규제 위치를 통과한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의 상층부가 박리 롤러(11)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박리된다.
또한, 상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박리 롤러(11)를 이용한 경우 현상 슬리부(4)내의 자석 롤러(5)의 자기 작용에 의해 이 박리 롤러(11)의 표면에 자극이 발생하여 효율적으로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3)를 박리할 수 있다. 그러나 박리 롤러(11)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이 박리 롤러(11)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현상 슬리부(4)측에 근접하듯이 휘어서 현상 슬리부(4)와의 간격이 목표 간격보다도 좁아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상기 휨이 발생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 롤러(11)의 중앙부의 직경 D2를 양단부의 직경 D1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박리 롤러(11)를 이용함으로써 박리 롤러(11)와 현상 슬리부(4) 사이의 간격을 축방향의 전체에 걸쳐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중앙부로부터 양단부에 걸쳐 균일한 박리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상기 휨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박리 부재로서는 축방향 전체 영역에 걸쳐 직경이 일정하고 단면 형상이 원형인 막대형의 박리 롤러를 이용해도 좋다.
다음에 도 2 및 도 3에 근거하여 상기 구성의 현상 장치의 현상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3)는 이 슬리부(4)의 화살표 B방향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고 독터(6)에 의해 규제되어 현상제 층이 얇게 된다. 층이 얇게 된 현상제는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감광체 드럼(1)과 대향하는 현상 영역으로 이송된다. 이 현상 영역에서 감광체 드럼(1)상에 형성되어 있는 정전 잠상에 토너가 공급되어 이 정전 잠상이 현상화된다. 현상 영역을 통과한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는 이 슬리부(4)의 회전에 따라 더욱더 이송되어 토너 보급구(8a)와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 토너 보급구(8a)에는 토너 호퍼(8)내의 토너(3a)가 교반기(9)로 송출되어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와 접하도록 체류하고 있다. 토너 보급구(8a)에서 새로운 토너(3a)를 취득한 후 현상제 수용부 S로 복귀한다. 그리고 새로운 토너(3a)를 포함한 현상제(3)는 독터(6)에 의한 규제부에서 내압이 증가한다. 이 내압이 증가한 현상제 중에서 캐리어와의 마찰 대전에 의해 토너 대전이 행해진다. 한편, 상기 현상 영역으로 공급되지 않고 독터(6)로 진행이 저지된 현상제의 일부는 현상제 수용부 S내에서 순환하듯이 이동한다.
다음에 도 6a 및 도 6b를 이용하여 본 현상 장치의 현상 동작시의 자기 토너 농도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중의 이점 쇄선은 서로 다른 거동을 나타내는 현상제끼리의 경계면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현상 장치에 초기제(初期劑)로서 소정의 토너 농도 및 중량을 구비하는 현상제를 세트하여 현상 슬리부(4) 및 박리 롤러(11)를 회전 구동하면 현상제(3)는 이송 현상제(3b), 수용 현상제(3c) 및 박리 현상제(3d)의 세개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송 현상제(3b)는 현상 슬리부(4)의 표면에 자력으로 담지되어 이 표면에 따라서 회전하도록 이송되는 현상제이다. 수용 현상제(3c)는 현상제 수용부 S내에 수용되어 상기 이송 현상제(3b)의 이동에 따라 현상제 수용부 S내에서 순환 이동하는 현상제이다. 또한, 박리 현상제(3d)는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3b)로부터 일부 박리되어 박리 롤러(11)의 회전에 동반하여 이 박리 롤러(1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현상제이다.
그리고 현상제 수용부 S내에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4 개의 현상제 흐름 F1, F2, F3, F4가 발생한다. 제1 현상제 흐름 F1은 현상 슬리부(4)와 박리 롤러(11)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 흐르는 이송 현상제(3b)의 흐름이다. 제2 현상제 흐름 F2는 현상 슬리부(4)로부터 박리되어 박리 롤러(11)에 따라 이동하고 그 일부가 박리 롤러(11)와 프리독터(7a) 사이의 공간에서 순환하는 순환류이다. 제3 현상제 흐름 F3는 박리 롤러의 표면에 따라 이 롤러의 상방을 환류하는 박리 현상제의 흐름이다. 제4 현상제 흐름 F4는 독터에 의해 현상제가 이 독터의 뒷면을 상승하여 이 독터와 박리 롤러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수용 현상제의 순환류이다.
다음에 상기 현상제 수용부 S내에 상기 현상제 흐름 F1∼F4가 발생한 상태에서 토너 호퍼(8)에 토너(3a)가 세트되면 토너 보급구(8a)로부터 현상 슬리부(4)에 담지된 이송 현상제(3b)에 토너(3a)가 공급된다. 토너가 공급된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는 이 토너와 함께 현상제 수용부 S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송 도중에 이송 현상제(3b)에 공급된 토너는 현상 슬리부(4)의 축중심 방향으로 약간 들어간다. 토너가 공급된 이송 현상제(3b)는 프리독터(7a)에 의한 규제 위치를 통과한 후, 박리 롤러(11)로 그 상층부가 박리되어 박리 현상제(3d)로 된다. 박리 현상제(3d)는 수용 현상제(3c)와의 사이에서 혼합되면서 이동되고, 일부는 프리독터(7a) 근처에 발생하는 상기 순환류 F2에 합류한다. 한편, 박리 롤러(11)에 계속 담지되어 이송되는 박리 현상제(3d)는 나아가 수용 현상제(3c)와의 사이에서 혼합되면서 이동하고 현상제 이송 방향 하류측에서 재차 현상 슬리부(4)상에 담지되어 이송 현상제(3b)로 된다. 상기 박리 현상제(3d)와 수용 현상제(3c)와의 혼합에 의해 양 현상제끼리의 교체, 현상제 내에서의 토너의 분산 교반에 의한 균일화, 토너와 캐리어와의 마찰 대전에 의한 토너 대전 등이 행해진다.
다음에 상기 토너 보급에 의해 현상제(3) 중의 토너 농도가 점차 상승해 가면, 현상제(3)의 부피가 증대해 감으로써 토너 보급구(8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독터(6)에 의한 규제 위치에 이르는 구간에서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3)의 층 두께가 두꺼워져 간다. 동시에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3b)내 캐리어의 비율이 저하됨으로써 이 이송 현상제(3b)에 대한 자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이 이송 현상제(3b)의 이동 속도가 저하되고 상기 구간에서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3b)의 충 두께가 점점 두꺼워 진다. 이 층 두께가 두꺼워진 이송 현상제(3b)는 박리 롤러(11)로부터 받는 이송을 저지하는 방향의 힘(브레이크 힘)을 강하게 받게 되어 박리 롤러(11)에 의한 박리 위치로 이송되어 오는 이송 현상제(3b)의 이동 속도는 점점 저하되어 간다.
그리고 토너 보급구(8a)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층 두께가 두꺼워진 이송 현상제(3b)의 상층부는 상기 프리독터(7a)로 긁혀 떨어져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독터(7a)의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 체류해 간다. 이하 이 체류한 현상제를 [체류 현상제](3e)라고 한다. 이 체류 현상제는(3e) 그것에 접하는 이송 현상제(3b)의 이동에 따라 순환 운동하고 있다. 토너 보급구(8a)로 이송된 토너(3a)는 이송 현상제(3b)가 노출해 있는 부분으로 끌어 당겨짐과 동시에 이 이송 현상제(3b)와 이 체류 현상제(3e)와의 합류점으로부터 끌어들여지도록 하여 현상제 중으로 취득된다.
나아가 현상제(3)의 토너 농도가 상승해 가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보급구(8a)의 체류 현상제(3e)의 양이 증가하고 이 체류 현상제(3e)로 토너에 접해 있는 이송 현상제(3b)의 노출면이 막혀 양 현상제의 합류점 P도 토너 보급구(8a)의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단까지 이동한다. 동시에 상기 토너 보급구(8a)의 체류 현상제(3e) 자체의 순환 이동 속도도 저하된다. 이 시점에서 현상제의 토너 취득은 거의 종료하고 토너 농도는 그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상기 토너가 취득되어 프리독터(7a)와 현상 슬리부(4) 사이의 간극을 통과한 이송 현상제(3b)의 일부(상층부)는 박리 롤러(11)로 박리된다. 박리 현상제(3d)는 수용 현상제(3c)와 혼합 교반되면서 이 박리 롤러(11)의 표면에 따라 이송되고 그 일부는 재차 현상 슬리부(4) 상에 담지된다. 현상 슬리부(4)와 독터(6) 사이의 간극을 통과한 이송 현상제(3b)는 감광체 드럼(1)과 대향하는 현상 영역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현상 영역에서는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정점 잠상에 토너가 공급되어 이 정전 잠상의 현상에 이용된다.
상기 감광체 드럼(1)의 정전 잠상의 현상에 의해 현상 슬리부(4)상의 토너가 소비되면, 이 부분의 토너 농도가 감소하고 현상 슬리부(4)에 의해 현상제에 작용하는 이송력이 증가함과 동시에 이 부분의 현상제 부피도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 프리독터(7a)의 선단부에 의해 규제되는 이송 현상제(3b)의 층 두께가 저하되고 토너 보급구(8a) 부근에 체류하고 있던 체류 현상제(3)의 양이 감소하며 이 체류 현상제(3)의 순환 이송 속도도 상승한다. 그리고 토너 보급구(8a)에 있어서 현상 슬리부(4)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 현상제(3b)와 토너 호퍼(8)내의 토너(3a)가 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재차 토너가 취득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의 토너 농도가 증가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현상 슬리부(4)상의 토너 농도 변화에 따라 이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의 상기 프리독터(7a)에 의한 규제 상태가 변화하고 상기 토너가 소비된 부분의 현상제의 토너 농도가 소정 농도 범위로 되도록 자기 제어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3)의 토너 농도가 항상 거의 일정 농도 범위로 되도록 유지된다. 이 때문에 토너 농도 센서나 토너 보급 부재 등 복잡한 토너 농도 제어 기구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3d)의 일부를 박리하여 현상제 수용부 S내의 수용 현상제(3c)와 혼합함으로써 상기 이송 현상제(3d)와 상기 수용 현상제(3c)의 교체가 촉진되므로 현상제(3)중의 캐리어의 대전 능력 저하에 의한 현상제(3)의 조기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현상제(3b)와 수용 현상제(3c)와의 혼합에 의해 상기 현상제의 토너가 분산 교반되어 현상제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화상 폭 방향에 대하여 토너 농도가 균일화되므로 현상 농도 불균일이 없는 양호한 현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면 형상이 원형인 박리 롤러(11)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 박리 롤러(11)를 회전시킨다 해도 이 박리 롤러(11)의 원주면과 현상 슬리부(4)의 원주면 사이의 틈새가 변동하지 않으므로 박리 롤러 회전시의 박리 불균일이 없다. 따라서 현상제 이송 방향에 있어서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3b)에 토너 농도나 토너 대전량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고 이 현상제 이송 방향에서의 현상 농도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면 형상이 원형 이외인 예컨대 크랭크(crank) 형상의 박리 부재에 관하여 실험을 행한 결과, 박리 불균일이 발생하여 화상에는 크랭크 회전 피치로 농담 차(불균일)가 발생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박리 롤러(11)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현상 슬리부(4) 중의 자석 롤러(5)에 의해 박리 롤러(11)가 자화됨으로써 현상 슬리부(4)상에 담지되어 따라 회전하고 있는 이송 현상제(3b)의 일부를 자력으로 흡착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슬리부(4)상으로부터 현상제를 박리하는 것과, 박리한 현상제(3d)를 박리 롤러의 표면에 따라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흐름[도 6의 도면부호(F3)으로 나타낸 흐름]을 만드는 것이 보다 현저하게 행해진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부 S내 현상제와 더욱 효율 높게 혼합 교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린트 대상 화상(원고)의 화상 비율이나 장치 내 온습도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박리 롤러(11)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개인 컴퓨터 등 외부 장치로부터 보내온 화상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처리부(110)에서 처리된다. 이 화상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잠상 형성부에서 이용되는 잠상 형성용의 데이터 등이 생성됨과 동시에 프린트 대상 화상의 화상 비율 데이터가 산출된다. 이 화상 데이터 처리부(110)로부터 보내온 데이터에 근거하여 장치내 각 부를 제어하는 엔진 제어부(100)는 엔진 제어용 CPU(101), ROM(102), RAM(103), I/O 인터페이스(104)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엔진 제어부(100)에는 감광체 드럼 구동부(105), 잠상 형성부의 구동부(106), 현상 장치(2)의 구동부(107), 온습도 센서(108) 등이 접속되어 있다. 엔진 제어용 CPU(101)은 ROM(102)으로부터 판독해 낸 제어용 프로그램에 따라 화상 데이터 처리부(110)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또한, 각종 구동부의 작동 시기를 포함한 각종 인식·판단을 행하면서 각부로 동작 명령을 출력하여 소정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온습도 센서로 검지한 온습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각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예컨대, 상기 프린트 대상 화상의 화상 비율 데이터에 근거하여 현상 장치(2)의 박리 롤러(11)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 경우는 화상 비율에 따라 변화하는 토너 소비에 맞추어 박리 롤러(11)의 선속도를 변화시켜 적정한 토너 대전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상제의 불필요한 혼합을 회피함으로써 현상제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경 등에 의한 토너 자체의 응집도 차이에 의해 토너의 취득량도 변화하여 이동 속도나 부피의 변화도 생긴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토너(3a)는 온도와 습도에 의해 응집도가 변화하는 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온 조건하에서는 응집도가 높아지고, 또한 고습 조건하에서도 응집도가 높아진다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응집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토너(3a)가 굳어져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에 마련한 온습도 센서(108)에 의해 예컨대 감광체 드럼(1) 근처의 분위기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가 높아졌을 경우에 박리 롤러(11)의 회전수를 높여 박리 롤러(11)의 선속도를 높임으로써 현상제의 혼합·교반을 충분히 행하여 현상제(3) 끼리의 교체 및 마찰 대전을 충분히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습도 센서(108)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 습도를 측정하고 습도가 높아졌을 경우에 상기 온도가 높아진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동 제어함으로써현상제(3)의 혼합·교반을 충분히 행하여 현상제끼리의 교체 및 마찰 대전을 충분히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 S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자극(S2)을 독터(6)측으로 약간 치우쳐 배치하고 있지만, 이 자극(S2)이 발생하는 법선 방향 자속 밀도 분포의 정점 위치가 박리 롤러(1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에 거의 일치하도록 하여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박리 롤러(11)가 가장 자화되기 쉽게 되고 박리 롤러(11)에 의한 박리·이송력이 가장 크게 발휘된다. 그 결과, 현상제 수용부 S내에 있어서 현상 슬리부(4)와 박리 롤러(11)의 사이에서 현상제끼리의 마찰 대전이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현상제 수용부 S내에서 박리 롤러(11) 주위의 현상제 순환 동작을 효과적으로 진행시키는데는 박리 롤러(11)의 원주면 상에서 현상 슬리부(4)와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의 법선 방향 자속 밀도를 5 mT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상제 수용부 S내에서 박리 롤러(11) 주위의 현상제 순환 동작을 효과적으로 진행되게 하기 위해서는 현상제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항상 어느 정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것을 위해서는 현상제 수용부에 공간이 있을 때 토너(3a)의 취득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점에 관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현상 슬리부(4)상에서 박리 롤러(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가 받는 자력을 MF1로 하고, 현상 슬리부(4)상에서 프리독터(7a)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3)가 받는 자력을 MF2로 하면, 이들 관계를 다음의 수학식 1에 나타낸 조건으로 하면 좋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현상 슬리부(4)상에 있어서 상기 MF2가 상대적으로 커지면 박리 롤러(11)에 의한 브레이크 힘의 영향이 토너 보급구(8a) 부근까지 미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현상제의 토너 농도가 상승하여도 현상제의 이송 속도가 저하되지 않게 되어 현상제(3)의 층 두께가 증가하기 어렵게 되므로 현상제 수용부 S가 현상제로 가득 찰 때까지 토너의 취득을 정지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상기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 롤러(11)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가 받는 자력의 크기 MF1에 대하여 프리독터(7a)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가 받는 자력의 크기 MF2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설정하여 박리 롤러(11)에 의한 브레이크 힘의 영향이 토너 보급구(8a) 부근까지 미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자력 파형(波形)은 각 극에 배치한 자석편의 위치, 극성, 형상, 자력에 의해 적절하게 제어하면 좋다.
(실시예 1)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현상 장치를 이용하여 우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슬리부(4)의 표면 이동 방향(도면에서 G방향)과 직교하는 긴 쪽 방향(화상 폭 방향)으로 토너 소비가 상이한 흑백이 교대로 구성된 실험도(60)를 프린트 대상의 화상으로서 이용하여 20 매의 화상을 형성했다. 그 후 전면이 균일한 하프톤으로 구성된 실험도를 이용하여 재차 화상을 형성했다. 실험 조건은 표 1과 같은 범위 내에서 설정했다. 예컨대 직경이 7 mm의 박리 롤러(11)를 이용하여 현상 슬리부(4)와 감광체 드럼(1) 간의 틈새 Gp를 0.35 mm, 현상 슬리부(4)와 독터간의 틈새 Gd1을 0.4 mm, 현상 슬리부(4)와 프리독터(7a) 간의 간극을 0.65 mm, 박리 롤러(11)와 현상 슬리부(4) 간의 틈새 Gh를 0.35 mm로 설정한다.
기계 구성 조건
감광체 드럼 선속도 120 mm / sec
현상 슬리부와 감광체 드럼의 간극:Gp 0.3~0.5 mm
현상 슬리부와 독터의 간극:Gd1 0.3~0.5 mm
현상 슬리부와 프리독터의 간극:Gd2 0.5~1.5 mm
현상 슬리부와 박리 롤러의 간극:Gh 0.2~0.4 mm
현상 슬리부 직경 16~20 ㎜φ
감광체 드럼에 대한 현상 슬리부의 선속도 비 1.5~3.0
현상 슬리부 상의 자속 밀도(법선 방향) N1 93 mT
S1 75 mT
N2 60 mT
S2 53 mT
현상제
캐리어 재질 자철광 또는 철
입경 40~50 ㎛
토너 자성체 양 15~40 wt%
실리커 양 0.5~1.0 wt%
토너 캐리어에 대한 피복율 50~120 %
Q / M 10~30 μc / g
이상의 조건하에서 행한 상기 화상 형성의 실험 결과, 박리 롤러(11)에 의해 박리되어 현상제의 혼합 교반이 행해지고 현상제가 균일화되어 농도 불균일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현상 장치에서는 상기 박리 롤러(11)와 현상 슬리부(4)의 간극 Gh 및 현상 슬리부(4)와 프리독터(7a)의 간격 Gd2이 0 < Gh < Gd2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어 박리 롤러(11)에 의한 양호한 교반 능력이 얻어졌다.
또한, 상기 박리 롤러(11)의 재질이 자성체 (예컨대 SUM재)인 경우, 박리 롤러(11)에 대향하는 현상 슬리부(4)상의 법선 방향의 자속 밀도가 56 mT의 조건하에서 박리 롤러(11)의 중앙부가 현상 슬리부(4)측에 0.1 mm 정도 근접하듯이 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박리 롤러(11)의 형상을 상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부의 직경 D1(=7 mm)보다 중앙부의 직경 D2(=6.8 mm)를 작게 하도록 설정했다. 이와 같은 형상의 박리 롤러(11)를 이용함으로써 박리 롤러(11)와 현상 슬리부(4) 간의 간격을 축방향에 걸쳐 약 0.35 mm로 유지할 수 있고 이 중앙부로부터 양단부에 걸쳐 상기 현상제의 박리 및 그 후의 혼합 교반을 균일하게 행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한편, 본 실시예의 비교예로서 박리 부재(12)를 이용하지 않는 종래의 현상 장치로 상기 화상 형성을 행한 결과, 하프톤 화상에 농도 불균일이 발생했다. 이와 같이 박리 부재(12)를 이용하지 않으면 현상 슬리부(4)의 긴 쪽 방향으로 토너 소비가 상이한 바와 같은 흑백이 교대로 구성된 도표를 이용한 경우에 긴 쪽 방향의 토너 농도가 불균일하거나 화상이 열화하는 경우가 있었다.
[실시 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 개략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3은 이 프린터의 현상 장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 (도1 및 도 2)와 동일한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들 기능도 동일하므로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의 현상 슬리부(4) 주위에 나타낸 일점 쇄선은 이 현상 슬리부(4) 표면의 자속 밀도의 법선 방향 성분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박리 롤러(11)를 이용하고 있는데 대해 자극이 미리 자화되어 스스로 자력을 구비한 자석 롤러로 이루어지는 박리 롤러(13)를 박리 부재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현상 장치에서는 토너 보급구(8a) 부근의 케이싱(2) 저면에는 대향면(2c)을 구비하는 돌출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대향면(2c)은 토너 호퍼(8)측으로부터 현상 슬리부(4)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소정 길이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그 외 토너 호퍼(8)의 구조 등에 관하여 차이가 있지만 본 발명과의 관련성이 적으므로 그들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상기 자석 롤러로 이루어지는 박리 롤러(13)의 일례를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도 11을 일부 간략화한 현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현상 장치에서는 표면에 1조의 자석 (S극 및 N극)을 회전축에 따라 연장하여 있도록 자화한 박리 롤러(13)를 이용하여 현상 슬리부(4)내 자극(5a)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 박리 롤러(13)를 이용한 경우는, 현상 슬리부(4)상에 담지되어 따라서 회전되는 현상제(3)를 자력으로 강하게 흡착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슬리부(4)로부터의 현상제 박리와 강제적인 흐름이 보다 현저하게 행해져 현상제 수용부 내 현상제와의 혼합 교반을 효율 높게 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변형예에 따른 자석 롤러로 이루어지는 박리 롤러(14)를 구비한 현상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 현상 장치에서 이용한 박리 롤러(14)는 외주 표면에 복수의 자극을 교대로 자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5의 변형예에 따른 박리 롤러(14)는 S극(14a) 및 N극(14b)을 4 쌍 자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박리 롤러(14)는 현상 슬리부(4) 내부에 설치된 자석 롤러(5)의 S(15a)극과 대향하도록 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박리 롤러(14)가 회전하여 원주면에 배치된 S극이 자석 롤러(5)의 S(5a)극에 접근하면 박리 롤러(14)와 현상 슬리부(4) 간의 현상제(3)는 배척되는 힘을 받는다. 계속하여 박리 롤러(14)의N극이 접근하면 박리 롤러(14)와 현상 슬리부(4) 간의 현상제(3)는 인력을 받는다. 이와 같이 현상 슬리부(4)와 박리 롤러(14)간의 좁은 공간에서 척력과 인력이 교차로 반복됨으로써 현상제(3)내의 혼합 교반이 보다 활발하게 되어 토너 농도가 균일화된다. 더하여 박리 롤러(14)에 교대로 자화된 자극의 자력에 의해 현상 슬리부(4) 근처 이외의 부분에서는 박리 롤러(14)에 현상제(3) 일부가 끌어당겨져 더욱 교반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것에 의해 토너 분포가 보다 효과적으로 균일화되어 농도 불균일 등 이상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 롤러(14)의 축 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자극을 원주 방향으로 S극 및 N극을 교대로 자화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는 박리 롤러(14)의 표면에 현상제(3)가 부착하면 표면에 현상제가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표면이 울퉁불퉁한 부재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교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7a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박리 롤러(15)의 사시도이다. 이 박리 롤러(15)는 어느 일정 길이를 갖는 자극을 축 방향으로 S극(15a) 및 N(15b)극을 교대로 자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박리 롤러(15)에 현상제가 부착하면 상기 도 16에 나타낸 박리 롤러(14)에 의한 교반 효과에 더하여 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 자극간에 있어서도 교반 기구가 작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 교반할 수 있다. 또한, 도 17b에 나탄낸 박리 롤러(16)와 같이 축 방향의 자극 끼리를 서로 약간씩 떼어놓고 자화해도 좋고, 도 17c에 나타낸 박리 롤러(17)와 같이 자극을 축 방향으로 약간씩 비켜서 배치하여 원주 방향에서 동극이 일부씩 중첩되도록 해도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2)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낸 현상 장치(2)를 사용하여 상술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띠 형상의 흑부와 백부가 교대로 반복되는 실험도(60)를 프린트 대상의 화상으로서 이용하여 20매의 화상을 형성하여 국부적으로 토너를 소비시켰다. 그 후 전면 하프톤 화상(반사 농도 측정기로 ID 0.2∼0.5 정도)을 형성하고 농도 불균일 레벨의 등급을 평가하였다. 현상 조건은 하기의 표 2와 같이 설정했다.
도 18a∼18e는 상기 농도 불균일 레벨의 등급을 나타낸 도면이며 각각 용지 (52)상에 형성된 잔류 흑부(52a)의 정도가 상이한 전면 하프톤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a를 등급 2, 도 18b를 등급 3, 도 18c를 등급 3.5, 도 18d를 등급 4, 도18e를 등급 5로 한다. 등급이 높을 수록 농도 불균일이 적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b의 등급 3이 종래예에 따른 장치의 경우에 대응하고 있다.
기계 구성 조건
감광체 드럼 직경 30 ㎜φ
감광체 드럼의 선속도 100 ㎜ / sec
현상 슬리부와 감광체 드럼의 간극:Gp 0.4 ㎜
현상 슬리부와 독터의 간극:Gd1 0.4 ㎜
현상 슬리부와 프리독터의 간극:Gd2 0.6 ㎜
현상 슬리부와 박리 롤러의 간극:Gh 0.4 ㎜
현상 슬리부 직경 16 ㎜φ
감광체 드럼에 대한 현상 슬리부의 선속도 비 2.5
현상 슬리부에 대한 박리 롤러의 선속도 비 0.8
현상제
캐리어 재질 자철광
입경 약 50 ㎛
토너 재질 자성체를 혼입한 수지
입경 6.5∼9.5 ㎛
이상의 조건하에서 상기 화상 형성의 실험을 수회 행한 결과, 농도 불균일이 개선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3은 그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교반 부재 구성 종래예에 의한 교반 부재 원주방향에 복수의 자극이 자화된교반 부재 축방향에 S극 N극이 교대로 자화된교반 부재
농도 불균일 등급레벨 등급 3 등급 3∼3.5 등급 3.5∼4
도 16에 나타낸 박리 롤러(14)의 구성에서는 등급 3∼3.5, 도 17a∼17c에 나타낸 3 개의 박리 롤러(15), (16), (17)의 구성에서는 등급 3.5∼4이며, 농도 불균일에 대하여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박리 롤러의 주위에서 현상제의 순환 동작을 효과적으로 일으켜현상제(3) 끼리의 마찰 대전을 충분히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현상 슬리부(4)의 선속도와 박리 롤러(14)의 선속도와의 비율이 중요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래서 박리 롤러(14)의 구동수단으로서 박리 롤러(14)의 선속도를 가변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한 독립한 가변 구동 수단(미도시)을 현상 장치의 구동부 내에 마련하고 이 가변 구동 수단을 상기 도 7에 나타낸 엔진 제어부(100)로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가변 구동 수단으로서는 구동원으로 예컨대 스텝 모터를 마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원으로서는 스텝 모터에 한정되지 않고 AC 모터나 서보 모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현상 슬리부(4) 선속도와 박리 롤러(14) 선속도와의 비율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상기 선속도의 비율을 변경하여 화상을 형성했다.
기계 구성 조건
감광체 드럼의 선속도 120 mm / sec
현상 슬리부와 감광체 드럼의 간극: Gp 0.3∼0.5 ㎜
현상 슬리부와 독터의 간극: Gd1 0.3∼0.5 ㎜
현상 슬리부와 프리독터의 간극: Gd2 0.5∼1.5 ㎜
현상 슬리부와 박리 롤러의 간극: Gh 0.3∼1.2 ㎜
현상 슬리부 직경 16 ㎜φ
박리 롤러 직경 7 ㎜φ
감광체 드럼에 대한 현상슬리부의 선속도 비 1.5∼3.0
이상의 조건하에서 행한 화상 형성의 결과, 현상 슬리부(4)의 선속도를 S[mm / S], 박리 롤러(14)의 선속도를 T[mm / S]로 하면, 그 비율 ε=(T / S)이 0.5 <ε<1.5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하면, 현상제 수용부 S내에 있어서, 현상 슬리부(4)와 박리 롤러(14)와의 사이에서 현상제(3) 끼리의 마찰 대전이 효과적으로 행해진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것은 세트되는 캐리어의 양이 일정한 것으로부터 적어도 현상 슬리부(4)의 선속도와 박리 롤러(14)의 선속도와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토너의 취득량이 적정하게 되고 현상 슬리부(4)상의 토너 이송 속도나 부피가 마찰 대전이 효과적으로 행해지도록 변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환경 등에 의한 토너 자체의 응집도 차이에 의해 토너(3a)의 취득량도 변화하여 이동 속도나 부피의 변화도 생긴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토너(3a)는 온도와 습도에 의해 응집도가 변화하는 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온 조건하에서는 응집도가 높아지고, 또한, 고습 조건하에서도 응집도가 높아진다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응집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토너(3a)가 쉽게 굳어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에 예컨대 감광체 드럼(1) 근처의 분위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미도시)를 마련하고, 온도가 높아진 경우에 상기 가변 구동 수단에 의해 박리 롤러(14)의 회전수를 높여 박리 롤러(14)의 선속도를 높임으로써 현상제(3)의 혼합·교반을 충분히 행하여 현상제(3) 끼리의 교체 및 마찰 대전을 충분히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 습도 센서(미도시)를 마련하고, 습도가 높아진 경우에 상기 온도 센서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현상제(3)를 충분히 혼합·교반하여 현상제끼리의 교체 및 마찰 대전을 충분히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프린터와 같이 디지털 계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기록에 동반하는 화상 신호로부터 화상 비율을 구함으로써 토너(3a)의 소비를 구하고 그 토너 소비에 맞추어서 박리 롤러(14)의 선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비율이 높은 화상을 형성하여 토너 농도가 낮아진 경우에는 토너 공급이 많아지는 것으로부터 마찰 대전을 보다 적극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박리 롤러(14)의 선속도를 높이는 제어를 행한다. 이것에 대하여 화상 비율이 낮은 화상을 형성하여 토너(3a)의 소비량이 적어 토너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상제(3)의 열화 방지 때문에도 마찰 대전을 적극적으로 행할 필요는 없으므로 박리 롤러(14)의 선속도를 그 대로의 상태로 유지하든지 혹은 선속도를 낮추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 박리 롤러(14)의 선속도를 높여 상기 비율 ε이 1.5 이상으로 되면 현상제(3)의 열화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현상제 수용부 S내로 현상제(3)를 취득하는 것이 규제되어 토너 농도가 목표 토너 농도보다 저하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박리 롤러(14)의 선속도를 늦게 하여 비율 ε이 0.5 이하로 되면 혼합·교반 효과가 없어지고 화상 상에 보급 불균일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상의 제어는 상기 변형예의 박리 롤러(15), (16), (17)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실시 형태 3]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도 2 및 도 3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들 기능도 동일하므로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또한, 본 실시 형태의 현상 장치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도 상기 도 7에서 나타낸 제어부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프리독터(7a)의 슬리부 회전 방향 하류의 현상제 수용부 S내에 격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부재(12)를 배치하고 있다. 이 박리 부재(12)는 긴 쪽 방향으로 균일한 부재이며 현상 슬리부(4)에 대한 간극 Gh, 프리독터(7a)에 대한 간극 L2는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다(도 22참조).
도 19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프리독터(7a)의 상류에 형성된 토너 호퍼(8)로부터 보급된 토너는 프리독터(7a)를 통과하여 박리 부재(12)에 도달한다. 그리고 현상 슬리부(4)의 이송력에 의해 독터 측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현상제는 박리 부재(12)에 의해 일단 현상 슬리부(4)로부터 박리된다. 박리 부재(12)로 박리된 현상제는 현상제 수용부 S내의 현상제와 교체 및 혼합되어 재차 현상 슬리부(4)상에 자력에 의해 담지된다. 이 현상제의 교체 및 혼합에 의해 현상제는 교반되어 균일화되고 토너 대전도 촉진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와 현상제 수용부 S내 현상제와의 교체 및 혼합을 촉진함으로써 현상제 중의 캐리어의 대전 능력 저하에 의한 현상제의 조기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현상 슬리부(4)부의 긴 쪽 방향으로 토너 보급 불균일이 발생한 경우에도 균일화된 현상제를 현상 영역으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화상 농도 불균일이 없이 현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자형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부재(12)는 현상 슬리부(4)의 표면에 대하여 간극 Gh로 되도록 하여 근접 배치되어 있으므로 현상제 수용부 S내의 현상 슬리부(4)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현상제가 자유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부 S내에 있어서 독터(6)로 진행이 저지된 현상제가 거의 방해되는 일이 없이 토너 보급구(8a)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토너 보급구(8a)측으로 이동한 현상제와 토너 호퍼(8) 내 토너와의 접촉 상태를 변화시켜서 이 현상제 중으로 토너를 취득하는 상태를 변화시키는 이 현상제의 토너 농도 제어 기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현상 장치를 이용하여 우선 현상 슬리부(4)의 긴 쪽 방향으로 토너 소비가 상이한 흑백이 교대로 구성된 실험도를 프린트 대상의 화상으로서 이용하여 20 매의 화상을 형성했다. 그 후 전면이 균일한 하프톤으로 구성된 실험도를 이용하여 재차 화상을 형성했다. 현상 조건은 상기 박리 롤러를 이용한 표 1과 마찬가지로 설정했다.
또한, 박리 부재로서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자 형상의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평판 (12a), (12b)를 이용했다. 이 박리 부재(12 (12a), (12b))를 이용함으로써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가 격자 구멍을 통과하여 이 현상 슬리부(4)로부터 박리된다. 또한, 박리 부재(12 (12a), (12b))와 현상 슬리부(4)의 간격 Gh는 0.3 mm, 박리 부재(12 (12a), (12b))와 프리독터(7a)의 간격L2은 10 mm로 설정했다(도 22참조).
이상의 조건하에서 행한 상기 화상 형성의 실험 결과, 박리 부재(12)에 의해 박리되어 현상제의 교체 및 혼합이 진행되고 현상제가 균일화되어 농도 불균일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현상 장치의 실험에서는 상기 박리 부재(12)와 현상 슬리부(4)의 간격Gh 및 현상 슬리부(4)와 프리독터(7a)의 간격 Gd2가 0< Gh <Gd2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구성하면 양호한 혼합 교반 능력이 얻어진다.
또한, 격자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박리 부재(12)를 이용하여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3b) 일부(상층)를 박리하고 있으므로 토너 보급구(8a)에서의 이송 현상제(3b)와 토너 호퍼(8)내 토너와의 접촉 상태를 변화시켜서 이 현상제 중으로 토너를 끌어들이는 상태를 변화시키는 자기 토너 농도 제어 기구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었다.
[실시 형태 4]
도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현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2 및 도 3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고 그들 기능도 동일하므로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현상 장치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도 상기 도 7에서 나타낸 제어부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현상 장치는 현상 슬리부(4)에 의한 현상제 이송 방향의 프리독터(7a)의 하류이고 동시에 독터(6)의 상류인 현상제 수용부 S내에 현상제 교반부재로서의 교반용 빗형 부재(20)를 마련하고 있다. 이 교반용 빗형 부재(20)는 긴 쪽 방향으로 균일한 폭과 두께를 갖는 형상이고 프리독터(7a)로부터의 거리 L2, 교반용 빗형 부재(20)의 선단과 현상 슬리부(4) 표면과의 간격 Gk는 각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현상제 수용부 S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 수용부 S내의 토너 호퍼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현상 슬리부(4)에 비접촉으로 대향하고 있는 교반용 빗형 부재(20)에 의해 이 현상제 수용부 S내에 진입해 온 현상 슬리부(4) 상의 이송 현상제의 일부(상층부)를 교반한다. 이 현상제의 교반에 의해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와 현상제 수용부 S내의 수용 현상제 간의 혼합 교반이 행해진다. 나아가 상기 현상제의 교반에 의해 토너 호퍼(8)로부터 토너 호퍼(8)의 현상제 상층부에 취득된 토너를 현상제와 함께 교반 혼합하여 현상제 중의 토너 농도를 균일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토너 농도가 균일하게 교반 혼합된 현상제가 현상 슬리부(4)에 담지되고 현상 영역을 향하여 이송되어 감광체 드럼(1) 상의 정전 잠상의 현상에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교반용 빗형 부재(20)로 교반하는 것이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 일부(상층부)이므로 현상 슬리부(4)상의 현상제 이송 상태를 방해하는 일 없이 안정한 자기 토너 농도 제어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용 빗형 부재(20)에 의한 현상제의 혼합 교반에 의해 현상제의 열화에 의한 시간경과적인 바탕 오점 및 현상 농도의 저하를 방지함 과 동시에 현상 슬리부(4)상의 축 방향의 현상 농도 불균일이 없는 양호한 현상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낸 현상 장치를 사용하고 실험 조건은 표 5와 같은 범위 내로 설정했다.
기계 구성 조건
감광체 드럼 직경 30 ㎜φ
감광체 드럼 선속도 120 ㎜ / sec
현상 슬리부와 감광체 드럼의 간극: Gp 0.3∼0.5 ㎜
현상 슬리부와 독터의 간극: Gd1 0.3∼0.5 ㎜
현상 슬리부와 프리독터의 간극: Gd2 0.5∼1.5 ㎜
현상 슬리부 직경 16 ㎜φ
감광체 드럼에 대한 현상슬리부의 선속도 비 1.5∼3.0
현상제
캐리어 재질 자철광 또는 철
입경 40∼50 ㎛
토너 자성체 양 15∼40 wt%
실리커 양 0.5∼1.0 wt%
토너의 캐리어에 대한 피복율 50∼120 %
Q / M 10∼30 μc / g
도 24는 본 실시예의 교반용 빗형 부재(20)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교반용 빗형 부재(20)와 현상 슬리부(4) 사이의 간격 Gk는 0.3 ㎜, 교반용 빗형 부재(20)의 프리독터(7a)로부터의 거리 L2는1 ㎜로 설정했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교반용 빗형 부재(20)의 사시도이다. 이 교반용 빗형 부재(20)는 연속한 빗살부(20a)를 현상 슬리부(4)와 대향하는 측에 구비하고 있다. 빗살부(20a)의 빗살 간의 간격 Pk는 2 ㎜로 설정했다.
상기 설정의 현상 장치를 이용하여 우선 상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슬리부(4)의 표면 이동 방향(도면에서 G방향)과 직교하는 긴 쪽 방향(화상 폭방향)으로 토너 소비가 상이한 흑백 교체로 구성된 실험도(60)를 프린트 대상의 화상으로서 이용하여 20 매의 화상을 형성했다. 그 후 전면이 균일한 하프톤으로 구성된 실험도를 이용하여 재차 화상을 형성했다. 그 결과, 교반용 빗형 부재(20)에 의해 현상제(3)가 화상 폭 방향에서 균일화되어 농도 불균일이 없는 양호한 하프톤 화상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2)
본 비교예의 현상 장치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고 교반용 빗형 부재(20)를 마련하지 않고서 상기와 동일한 순서로 화상을 형성했다. 그 결과 하프톤 화상에 화상 폭 방향에서의 농도 불균일이 발생했다.
이상의 실시예 4와 비교예 2의 결과로부터 현상 슬리부(4)의 긴 쪽 방향에서 토너 소비량이 상이한 흑백 화상이 교대로 구성된 도표를 현상하는 경우, 교반용 빗형 부재(20)를 이용하지 않고 현상하면 화상 폭 방향에서의 토너(3a) 농도 불균일로 되어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음에 대하여 교반용 빗형 부재(20)를 마련함으로써 화상 폭 방향에서의 토너 농도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는것이 판명되었다.
상기 토너 농도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는 메카니즘은 이하와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즉 현상제 이송 방향에 있어서 프리독터(7a)의 상류로부터 보급된 토너(3a)는 현상 슬리부(4) 상의 이송 현상제와 함께 현상 슬리부(4)와 프리독터(7a)의 간극를 통과하여 교반용 빗형 부재(20)에 도달한다. 이 토너(3a)를 포함한 현상제는현상 슬리부(4)상을 이송될 때에 교반용 빗형 부재(20)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저항력에 의해 교반됨과 동시에 교반용 빗형 부재(20)의 빗살부(20a)와 빗살부(20a) 사이 (이하 [빗살 간]이라 한다)를 통과할 때, 현상제가 빗살부(20a)에 부딪쳐 빗살부(20a)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갈라져 각각의 영역에서 새로운 현상제와 혼합되는 횡 교반이 진행된다. 이것에 의해 토너(3a) 농도가 현상 슬리부(4) 축방향에서 균일화됨과 동시에 토너(3a)의 대전이 촉징된다. 그 결과 현상 슬리부(4)의 긴 쪽 방향으로 토너 보급 불균일이 발생한 경우라도 그 방향에서의 토너 농도가 균일화되어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교반용 빗형 부재(20)는 현상 슬리부(4)에 대하여 간격 Gk를 갖고 설치되고 이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 일부(상층부)를 교반하고 있으므로 현상제 수용부 S내에서의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종류의 현상 장치 특유한 자기 토너 농도 제어의 메카니즘에 손상줄 우려도 없다. 특히, 본 실시예 4에 있어서는 현상제 교반 부재를 빗살 형상으로 함으로써 독터(6)로 진행이 저지된 현상제 수용부 S내 현상제의 이동을 거의 방해하는 일이 없으므로 자기 토너 농도 제어의 메카니즘을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보급된 현상제상에 취득된 토너의 교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4에 있어서는 교반용 빗형 부재(20)에는 비자성체를 사용하고 실험적으로 간격 Gk는 0< Gk <Gd2로 설정하면 양호한 교반 능력이 얻어진다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간격 Gk를 설정함으로써 프리독터(7a)에 의한 규제 위치로부터 보급된 토너(3a)의 적어도 일부가 현상제 이송 방향 하류측에서 확실하게 교반용 빗형 부재(20)의 빗살부 간을 통과하므로 보급 토너(3a)를 확실하게 횡 교반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실험 결과로부터 빗살 간격 Pk는 0< Pk ≤5 mm로 설정함으로써 양호한 현상제의 교반 능력이 얻어진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실시예 4에 있어서도 빗살 간격 Pk를 5 mm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화상 폭 방향에서의 토너 농도 불균일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었다.
[실시 형태 5]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현상 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 4의 도 23에 나타낸 현상 장치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23의 현상 장치와 주요한 상이점은 아래와 같다.
본 실시 형태의 현상 장치에서는 상기 현상제 교반 부재 대신에 현상제 수용부 S내의 토너 호퍼(8)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현상 슬리부(4)의 표면에 대향하고 이 현상 슬리부(4)에 담지 이송되고 있는 현상제 중 토너 호퍼(8)로부터 토너를 끌어 들인 부분에 접촉하는 가요성(可撓性) 판상 부재로서의 시이트 부재(21)를 마련하고 있다.
또 도 23의 현상 장치는 토너 보급구(8a)의 저면이 약간 받침 접시 형으로 만곡되어 있는데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현상 장치의 토너 보급구(8a) 저면은 토너 호퍼(8)로부터 현상 슬리부(4)측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하강 경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토너 호퍼(8)를 수평면에서 절단한 단면에 있어서, 토너 호퍼(8)내로서의 영역이 도 23의 현상 장치에 비하여 좁게 되어 있다. 나아가 도 23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 수용 케이스(7)가 현상제 수용부 S를 둘러싸는 상벽면, 측벽면 및 하벽면(프리독터(7a))의 경계부가 곡면(曲面)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26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는 현상제 수용 케이스(7)가 현상제 수용부S를 둘러싸는 측벽면과 하벽면(프리독터(7a))의 경계부가 곡면이 아니고 급격히 만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외의 장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3과 거의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 5∼9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5)
도 27은 실시예 5에 따른 현상 장치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이 도면은 도 26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수용부 S와 현상제 수용부 S의 토너 취득부를 부분 확대한 것이다. 이 현상 장치에서는 프리독터(7a)의 현상제 수용부 S측 측면에 가요성 판상 부재로서의 시이트 부재(21)를 마련하고 있다. 이 시이트 부재(21)는 폴리우레탄 시일로 구성된다. 단, 시이트 부재(21)에 이용하는 재질로서는 폴리우레탄 시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요성을 갖는 시이트 형 또는 판상의 부재이면 되는 바, 이하의 실시예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시이트 부재(21)는 프리독터(7a)의 현상제 수용부 S측 내측면에 붙여지고 현상 슬리부(4)측 단부(端部)가 자유단(21a)으로 되어 현상 슬리부(4) 표면에 담지 이송되는 이송 현상제에 끌어 당겨지듯이 하여 현상제 이송 방향 하류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된다. 이 위치가 제3 규제 위치로 되고 프리독터(7a)에 의한 제2 규제 위치에서 현상제 수용부 S내에 끌어 들여진 토너(3a)의 압력에 의해 시이트 부재(21)가 그 가요성으로 휘거나 복귀한다. 이 시이트 부재(21)에 의해 현상제 중에 과잉으로 취득된 토너(3a)가 현상 슬리부(4)에 의한 현상제 이송 방향 하류측 영역으로 이송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과 동시에 제3 규제 위치에서 현상제 중의 토너 농도를 현상 슬리부(4)에 의한 현상제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화상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과잉한 토너(3a)가 제거됨과 동시에 화상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된 토너(3a)가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에 끌어 들여지고 독터(6)에 의한 규제 위치에서 더욱 균일하게 되어 현상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시이트 부재(21)를 마련하여 현상을 행한 결과, 형성된 화상에는 폭 방향에서의 농도 불균일은 없고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실시예 6)
도 28은 실시예 6에 따른 현상 장치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이 도면도 도 26의 현상 장치에 있어서 현상제 수용부 S와 현상제 수용부 S의 토너 취득부를 부분 확대한 것이다. 이 실시예 6의 시이트 부재(22)의 상기 실시예 5와 다른 점은 시이트 부재(22)의 자유단(22a)이 현상 슬리부(4)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최소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자유단(24a)의 선단이 현상 슬리부(4) 표면에 접촉하고 현상 슬리부(4) 표면의 이송에 따라 그 이동 방향 하류측으로 따라 움직여 휜 형상으로 된다. 이 위치가 제3 규제 위치로 되고 현상 슬리부(4)에 담지이송되는 토너(3a)가 시이트 부재(22)에 접촉하면서 시이트 부재(22)와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여분의 토너(3a)를 제3 규제 위치에서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현상제 중의 토너 농도를 현상 슬리부(4)에 의한 현상제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화상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과잉한 토너(3a)가 제거됨과 동시에 화상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된 토너(3a)가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 내에 끌어 들여지고 독터(6)에 의한 규제 위치를 통과하여 현상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시이트 부재(22)를 마련하여 현상을 행한 결과, 형성된 화상에는 폭 방향에서의 농도 불균일은 없고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실시예 7)
도 29는 실시예 7에 따른 현상 장치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이 도면도 도 26의 현상 장치의 현상제 수용부 S와 현상제 수용부 S의 토너 취득부를 부분 확대한 것이다. 이 실시예 7의 시이트 부재(23)는 상기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시이트 부재(23)의 자유단(23a)이 현상 슬리부(4)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최소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 7의 시이트 부재(23)는 그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자유단(23a)이 현상 슬리부(4) 표면의 이송 현상제에 의해 생기는 압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이트 부재(23)의 자유단(23a)은 현상 슬리부(4) 상의 이송 현상제에 화상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현상제 이송 방향에서 길게 면에 접촉한다. 이 면 접촉한 부분이 제3 규제 위치로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과잉한 토너(3a)가 제거됨과 동시에 화상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된 토너(3a)가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 내에 끌어 들여지고 독터(6)에 의한 규제 위치에서 더욱 균일하게 되어 현상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시이트 부재(23)를 마련하여 현상을 행한 결과, 형성된 화상에는 폭 방향에서의 농도 불균일은 없고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실시예 8)
도 30은 실시예 8에 따른 현상 장치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이 도면도 도 26의 현상 장치의 현상제 수용부 S와 현상제 수용부 S의 토너 취득부를 부분 확대한 것이다. 그리고 본 현상 장치에서 이용한 시이트 부재(24)는 시이트 부재(24)의 자유단(24a)의 길이(자유 길이)를 현상 슬리부(4)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최소 길이보다도 길게 하고 그 자유단(24a)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자유단(24a)이 현상 슬리부(4) 표면의 이송 현상제에 의해 생기는 압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시이트 부재(24)의 자유단(24a)은 현상 슬리부(4) 상의 이송 현상제에 이송 방향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현상제 이송 방향에서 길게 면 접촉한다. 이 면 접촉한 부분이 제3 규제 위치로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과잉한 토너(3a)가 제거됨과 동시에 화상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된 토너(3a)가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 내에 끌어 들여지고 독터(6)에 의한 규제 위치를 통과하여 현상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시이트 부재(24)를 마련하여 현상을 행한 결과, 형성된 화상에는 폭 방향에서의 농도 불균일은 없고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실시예 9)
도 31은 실시예 9에 따른 현상 장치의 주요부 설명도이다. 이 도면도 도 6의 현상 장치의 현상제 수용부 S와 현상제 수용부 S의 토너 취득부를 부분 확대한 것이다. 본 현상 장치에서 이용한 시이트 부재(25)는 시이트 부재(25)의 자유단(25a)의 길이를 현상 슬리부(4) 표면에 접촉하기 위한 가장 짧은 길이보다도 충분히 길게 하고 현상 슬리부(4) 표면과의 대향부를 위쪽으로 고리형으로 감아 올려서 고리 곡선면의 외주면부(25b)이 현상 슬리부(4) 표면의 이송 현상제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외주면부(25b)의 팽팽한 당김에 의해 강도를 높인 시이트 부재(25)가 현상 슬리부(4) 상의 이송 현상제에 접촉하여 제3 규제 위치를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과잉한 토너(3a)가 제거됨과 동시에 화상 폭 방향에서 균일하게 된 토너(3a)가 현상 슬리부(4)상의 이송 현상제 내에 끌어 들여지고 독터(6)에 의한 규제 위치에서 더욱 균일하게 되어 현상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시이트 부재(25)를 마련하여 현상을 행한 결과, 형성된 화상에는 폭 방향에서의 농도 불균일은 없고 양호한 화상이 얻어졌다.
이상의 실시예 5 내지 9의 현상 장치에 의하면, 시이트 부재(21∼25)가 현상제의 토너(3a) 취득의 규제와, 화상 폭 방향에서 토너 농도를 균일화하는 역할을 하므로 화상 농도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교반용 빗형 부재(현상제 교반 부재)(20) 및 상기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시이트 부재(가요성 판상 부재)(21∼25)는 현상제 수용부 S 내에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것만으로 현상 슬리부(4)의 긴 쪽 방향에서 토너 농도를 균일화할 수 있으므로 현상제 수용부 S내 현상제를 강제적으로 교반하기 위해 소정의 부재를 모터 등으로 구동할 필요가 없어 염가로 상기 화상 폭 방향의 화상 농도 불균일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제1항 내지 제25항의 발명에 의하면, 안정한 자기 토너 농도 제어 기능을 유지하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바탕 오점 및 현상 농도의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담지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현상 농도 불균일이 없는 양호한 현상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담지체 상의 자력 불균일 등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토너 농도를 보다 안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의 교반 분산 및 토너 대전이 촉진되므로 이 현상제의 균일화를 더욱 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한 규제 위치를 통과한 현상제 담지체 상의 이송 현상제의 상층부가 박리 부재에 대해 확실하게 접촉하여 박리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4항의 발명에 의하면,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와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의 간극 쪽을 향하여 당겨지는 듯한 현상제의 이상한 흐름에 의해 이 현상제의 일부가 이 틈새로부터 토너 보급구 측으로 새어 나오는 바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현상제 담지체 상의 이송 현상제의 토너 농도가 저하된 경우의 현상제로 토너 취득이 적정하게 행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5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에 따른 현상제 이동을 이용한 상기 자기 토너 농도 제어 기능이 손상받지 않고 더욱 안정함과 동시에 박리 부재로 박리되는 현상제의 양이 크게 변화하지 않아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 혼합을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6항의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현상제의 상층부를 안정하게 박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7항 및 제9항의 발명에 의하면, 박리 부재에 의한 현상제의 박리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8항의 발명에 의하면, 박리 부재의 중앙부와 양단부의 사이에서 이 박리 부재 표면과 현상제 담지체 표면간의 간극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고 현상제의 상층부를 보다 안정하게 박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10항, 제13항 및 제14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현상제의 혼합을 활발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11항 및 제12항의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담지체로부터 현상제의 상층부를 보다 안정하게 박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현상제의 혼합을 활발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15항 내지 제19항의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대전의 적정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욱 현상제의 조기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19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현상제를 확실하게 혼합할 수있다. 나아가 박리 부재와 현상제 담지체와의 사이에서 현상제끼리의 불필요한 마찰 대전을 회피하여 현상제 조기 열화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토너 농도를 억제하기 위한 현상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20항의 발명에 의하면, 박리 부재에 의해 현상제를 긁어 취하는 기능 및 유지 기능이 높아지므로 이 박리 부재에 의해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층부를 확실하게 박리하여 이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21항의 발명에 의하면,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박리 부재가 쉽게 자성화되어 이 박리 부재에 의한 이송력이 가장 크게 발휘되고 현상제 수용부 내에서의 현상제 혼합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22항의 발명에 의하면, 박리 부재에 자력으로 현상제를 확실하게 담지하여 이송할 수 있으므로 상기 현상제의 혼합을 더욱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23항의 발명에 의하면, 토너 농도의 상승에 따라 현상제의 층 두께가 증가하고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로 토너가 취득되는 것을 억제하는 토너 농도 제어 기구를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24항 및 제25항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승부를 떠내어 박리하고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와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와의 혼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제26항 내지 제30항의 발명에 의하면, 안정한 자기 토너 농도 제어 기능을 유지하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바탕 오점 및 현상 농도의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담지체 폭 방향에서의 현상 농도 불균일이 없는 양호한 현상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제27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토너 농도의 보다 안정한 제어가 가능함과 동시에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의 교반 분산 및 토너 대전이 촉진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28항 내지 제30항의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중에 한 곳에 치우쳐 있는 토너의 존재 상태를 상기 담지체 폭 방향 영역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29항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자기 토너 농도 제어 기능이 손상 받지 않고 보다 안정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30항의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중에 한 곳에 치우쳐 있는 토너의 존재 상태를 상기 담지체 폭 방향 영역에서 충분히 균일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제31항 내지 제36항의 발명에 의하면, 안정한 자기 토너 농도 제어 기능을 유지하면서 담지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현상 농도 불균일이 없는 양호한 현상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32항의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담지체 상의 자력 불균일 등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토너 농도를 보다 안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게다가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의 교반 분산 및 토너 대전이 촉진되므로 이 현상제의 균일화를 더욱 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청구항 제33항 내지 제36항의 발명에 의하면, 여분의 보급 토너 이송이 확실하게 방지됨과 동시에 이 보급 토너가 담지체 폭 방향으로 교반되면서 보다 균일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제37항의 발명에 의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바탕 오점 및 농도 저하거나 화상 폭 방향에서의 화상 농도 불균일이 없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7)

  1. 내부에 자계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한 현상제를 담지하여 이송하기 위하여 표면 이동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이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현상 영역을 향하여 이송되는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와, 이 현상제 규제 부재로 상기 현상 영역을 향하는 이송이 규제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이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향한 토너 보급구를 구비하는 토너 수용부를 마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에 따르는 현상제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에 근거하여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를 현상제로 끌어들이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비접촉으로 대향하여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의 상층부를 벗겨내는 박리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향한 토너 보급구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대향부로부터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향하여 담지 이송되고 있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상기 현상제의 토너 농도 상승에 따라 상기 현상제의 규제량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의 간극을 Gh로 하고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과의 간극을 Gd2로 했을 때, 0< Gh < Gd2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수단은 상기 박리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와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의 사이에 자극을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박리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 상의 자속 밀도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상기 현상제를 자력으로 담지할 수 있는 자속 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롤러 형의 회전 부재이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의 대향부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는 반대 방향으로 표면 이동하도록 상기 박리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자성체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단부로 지지된 것이며,
    상기 박리 부재의 이 교차 방향에서의 중앙부 직경이 양단부의 직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9.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연장하여 있고 동시에 자성체를 포함한 부재이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의 대향부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는 반대 방향으로 표면 이동하도록 상기 박리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0.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연장하여 있고 동시에 표면에 자극이 자화된 부재이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의 대향부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는 반대 방향으로 표면 이동하도록 상기 박리 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을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롤러 형의 회전 부재이며,
    상기 박리 부재의 표면에 상기 자극은 복수 자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극은 S극 및 N극을 교대로 자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극은 각각 상기 박리 부재의 회전축 연장 방향에 따라 직선 형으로 자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의 회전축 연장 방향으로 S극 및 N극이 교대로 배치된 자극 군을 상기 박리 부재 표면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 배열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자극을 자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박리 부재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켜서 회전 구동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현상 대상 화상의 화상 비율에 근거하여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장치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 수단과,
    상기 온도 측정 수단의 온도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장치내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측정 수단과,
    상기 습도 측정 수단의 습도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선속도 크기를 S [mm/s]로 하고, 상기 박리 부재의 선속도 크기를 T [mm/s]했을 때, 0.5 < T/S < 1.5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의 표면이 거칠게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자성체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동시에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의 법선 방향 자속 밀도 분포의 정점 위치에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의 원주면 상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 면에 있어서의 법선 방향 자속 밀도가 5 m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마련했을 때,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 상기 박리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가 받는 자력 크기를 MF1로 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현상제가 받는 자력 크기를 MF2로 했을 때,
    MF2 < (2 / 3)·MF1
    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4.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이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있고, 동시에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층부를 떠서 박리하기 위한 박리면을 구비하는 부재이며,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의 현상제 이송 방향에 있어서의 접선에 대한 상기 박리 부재의 박리면의 경사각이 9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5. 제1항, 제2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는 격자 형의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6. 내부에 자계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한 현상제를 담지하여 이송하도록 표면 이동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현상 영역을 향하여 이송되는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와, 이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 영역으로 향하는 이송이 규제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향한 토너 보급구를 구비하는 토너 수용부를 마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의 현상제 이송에 따르는 현상제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에 따라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를 현상제로 끌어들이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상기 토너 수용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비접촉으로 대향하고 이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 중 상기 토너 수용부로부터 토너를 취득한 부분을 교반하는 현상제 교반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대향하고 있는 대향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기 대향부로부터 이현상제 수용부를 향하여 담지 이송되고 있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교반 부재를 일측에 빗살부를 구비하는 빗형 부재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 상기 제2 현상제 규제 부재와의 간격을 Gd로 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과 상기 빗살부 선단과의 간격을 Gk로 했을 때, 0< Gk < Gd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빗형 부재의 빗살부 선단 간의 간격 Pk가 5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1. 내부에 자계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토너와 자성 캐리어를 포함한 현상제를 담지하여 이송하도록 표면 이동하는 현상제 담지체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되어 현상 영역을 향하여 이송되는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제 규제 부재와, 상기 현상제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현상 영역으로 향하는 이송이 규제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향한 토너 보급구를 구비하는 토너 수용부를 마련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에서의 현상제 이송에 따르는 현상제 이동에 의해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현상제 토너 농도에 따라 상기 토너 수용부 내의 토너를 현상제로 끌어들이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상기 토너 수용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표면에 대향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 중 상기 토너 수용부로부터 토너를 취득한 부분에 접촉하는 가요성 판상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대향하고 있는 대향부와 상기 현상제 수용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토너 수용부의 상기 대향부로부터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향하여 담지 이송되고 있는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상기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제2 현상제 규제 부재를 마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판상 부재의 고정 유지부로부터 선단까지의 자유 길이가 상기유지부로부터 상기 현상제 담지체 상의 접촉 위치까지의 가상 직선 거리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4.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판상 부재의 두께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고 있는 현상제로부터 받는 압력으로 만곡되는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5.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판상 부재의 고정 유지부로부터 선단까지의 자유 길이가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담지 이송되어 있는 현상제로부터 받은 압력으로 만곡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6.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판상 부재의 상기 현상제 담지체 표면에 대향하는 대향부가 고리 형으로 감아올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7. 잠상 담지체 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수단과, 상기 잠상 담지체 상의 잠상을 현상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잠상 담지체 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재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 장치로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현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00034123A 1999-06-21 2000-06-21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340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74693 1999-06-21
JP17469399 1999-06-21
JP99-187727 1999-07-01
JP99-188219 1999-07-01
JP18772799 1999-07-01
JP18821999 1999-07-01
JP99-269348 1999-09-22
JP26934899 1999-09-22
JP27255199 1999-09-27
JP99-272551 1999-09-27
JP2000-133005 2000-05-01
JP2000133005A JP4070387B2 (ja) 1999-06-21 2000-05-01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505A KR20010082505A (ko) 2001-08-30
KR100340184B1 true KR100340184B1 (ko) 2002-06-12

Family

ID=2755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123A KR100340184B1 (ko) 1999-06-21 2000-06-21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37957B1 (ko)
JP (1) JP4070387B2 (ko)
KR (1) KR100340184B1 (ko)
CN (1) CN1143183C (ko)
DE (1) DE10030416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78A (ko)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유수분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00837B (zh) 2000-02-17 2012-10-03 株式会社理光 墨粉收纳容器、补给墨粉的方法及墨粉补给装置
US6656654B2 (en) 2000-03-31 2003-12-02 Ricoh Company, Ltd. Toner and two-component developer, container theref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597885B2 (en) 2000-06-05 2003-07-2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device with a magnet brush
JP3868192B2 (ja) * 2000-07-13 2007-01-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該現像装置へのトナー収容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72645A (ja) 2000-08-31 2002-03-12 Ricoh Co Ltd 粉体補給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12676B2 (ja) 2000-09-07 2007-11-2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58511B2 (ja) 2000-09-28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07817B2 (ja) * 2000-09-29 2008-06-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用トナー、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360589B2 (ja) 2000-10-20 2009-11-11 株式会社リコー 二成分現像剤、及びそれを使用する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JP3912649B2 (ja) 2000-11-30 2007-05-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用トナー、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43266B2 (ja) 2001-01-16 2008-09-0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セスユニット
EP1555582B1 (en) * 2001-01-31 2011-06-29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E60203554T2 (de) 2001-02-16 2006-05-04 Ricoh Co., Ltd. Entwicklungsvorrichtung und diese benutzendes Bilderzeugungsgerät
JP3779628B2 (ja) * 2001-02-20 2006-05-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667141B2 (en) 2001-02-20 2003-12-2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JP3989180B2 (ja) 2001-02-22 2007-10-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6792234B2 (en) 2001-02-28 2004-09-14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having a developer carrier including main and auxiliary magnetic pole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166404B2 (en) 2001-03-02 2007-01-23 Ricoh Company, Ltd. Carrier for develop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latent image, image forming method using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ame
JP2003084574A (ja) 2001-03-16 2003-03-19 Ricoh Co Ltd 現像方法、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DE60238808D1 (de) 2001-04-27 2011-02-17 Ricoh Co Ltd Bilderzeugungsvorrichtung mit verbesserter Tonerzufuhr
US6835517B2 (en) 2001-05-21 2004-12-28 Ricoh Company, Ltd. Toner, developer and image forming method using the toner
JP3570714B2 (ja) 2001-05-24 2004-09-29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351195A (ja) 2001-05-25 2002-12-04 Ricoh Co Ltd 帯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057881A (ja) 2001-06-04 2003-02-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132728B2 (ja) 2001-06-08 2008-08-1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695296B2 (ja) * 2001-06-25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1326143A3 (en) * 2001-11-01 2003-07-16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using a two component type developer including magnetic toner
JP3914755B2 (ja) 2001-11-27 2007-05-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826381B2 (en) * 2001-12-28 2004-11-30 Ricoh Company, Ltd Image formation device and agent supplying device including absorber conveying by negative pressure
EP1586956B1 (en) 2002-01-31 2008-10-15 Ricoh Co., Ltd. Toner refilling device and developing device using the sam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295599A (ja) 2002-02-04 2003-10-15 Ricoh Co Ltd 現像剤担持体、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807390B2 (en) * 2002-04-12 2004-10-1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6895209B2 (en) 2002-04-19 2005-05-17 Ricoh Company, Ltd.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200039B2 (ja) * 2002-04-25 2008-12-2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該現像装置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ら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4157797B2 (ja) 2002-05-20 2008-10-0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813467B2 (en) 2002-06-03 2004-11-0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28299A (ja) * 2002-06-28 2004-01-29 Ricoh Co Ltd 回転体支持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212767B2 (en) * 2002-08-09 2007-05-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removably mounted thereto
US6975830B2 (en) * 2002-09-12 2005-12-13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waste toner recovery device
JP2004109631A (ja) * 2002-09-19 2004-04-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1429209A3 (en) * 2002-09-19 2004-08-25 Ricoh Company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for use in the same
CN1318923C (zh) * 2002-09-20 2007-05-30 株式会社理光 显影剂限制部件,显影装置,处理卡盒及图像形成装置
JP2004139031A (ja) * 2002-09-24 2004-05-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補給用トナー収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035573B2 (en) * 2002-09-24 2006-04-2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having developer carrying screw with a plurality of inclination angles
JP2004193543A (ja) * 2002-10-17 2004-07-08 Ricoh Co Ltd 磁石混成剤材料、磁石成型体とその製造方法、現像マグネットローラ、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4170904A (ja) * 2002-11-08 2004-06-17 Ricoh Co Ltd 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7116928B2 (en) * 2002-12-18 2006-10-03 Ricoh Company, Ltd. Powder dis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0407065C (zh) * 2002-12-20 2008-07-30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
US7076192B2 (en) 2002-12-27 2006-07-11 Ricoh Company, Ltd. Powder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177555B2 (en) 2003-01-15 2007-02-1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proces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218948B2 (en) * 2003-02-24 2007-05-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transmitting pilot tones in a multi-sector cell, including null pilot tones, for genera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s
JP4383898B2 (ja) *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452931A1 (en) * 2003-02-28 2004-09-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nstallable process cartridge
JP4695335B2 (ja) * 2003-02-28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1118411B (zh) * 2003-03-05 2010-04-21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JP2004271876A (ja) * 2003-03-07 2004-09-30 Ricoh Co Ltd 現像剤担持体、現像方法、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11771A (ja) * 2003-04-08 2004-11-04 Ricoh Co Ltd 長尺マグ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とマグネットローラ並びに画像形成装置
CN100388135C (zh) * 2003-06-06 2008-05-14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JP2005024665A (ja) * 2003-06-30 2005-01-27 Ricoh Co Ltd 粉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055674A (ja) * 2003-08-05 2005-03-03 Ricoh Co Ltd 現像マグネットローラ、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158730B2 (en) 2003-08-07 2007-01-0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5070276A (ja) 2003-08-22 2005-03-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らに用いるトナー
JP2005099729A (ja) * 2003-08-29 2005-04-14 Ricoh Co Ltd 潤滑材塗布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0449416C (zh) * 2003-09-09 2009-01-07 夏普株式会社 显影装置和图像形成装置
JP4681833B2 (ja) * 2003-09-19 2011-05-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5189811A (ja) * 2003-12-01 2005-07-14 Ricoh Co Ltd 現像ローラ、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51668B2 (ja) * 2004-01-27 2010-04-1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21825A (ja) * 2004-02-06 2005-08-18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656561B2 (ja) * 2004-03-05 2011-03-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300626A (ja) * 2004-04-07 2005-10-27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US7457570B2 (en) * 2004-08-06 2008-11-2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magnetic brush developing system using a two-component developer comprising toner and carrier
US7720416B2 (en)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JP4534665B2 (ja) * 2004-08-24 2010-09-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6251775A (ja) * 2005-02-14 2006-09-21 Ricoh Co Ltd 現像剤担持体、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599650B2 (en) * 2005-11-04 2009-10-06 Ricoh Company Limited Developer bearing member,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43698B2 (ja) * 2005-11-25 2012-05-3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64743B2 (ja) * 2005-12-20 2011-09-0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4820689B2 (ja) 2006-05-15 2011-11-2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46240A (ja) * 2006-08-11 2008-02-28 Ricoh Co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070570A (ja) 2006-09-13 2008-03-27 Ricoh Co Ltd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8107660A (ja) * 2006-10-26 2008-05-08 Ricoh Co Ltd 情報記録媒体
US8023877B2 (en) * 2006-12-25 2011-09-20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glossy color image
JP4871780B2 (ja) * 2007-01-11 2012-02-08 株式会社リコー 磁性粒子担持体、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表面処理方法
US7787808B2 (en) 2007-02-22 2010-08-31 Sharp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249835A (ja) 2007-03-29 2008-10-16 Ricoh Co Ltd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JP2008256901A (ja) * 2007-04-04 2008-10-23 Ricoh Co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032055B2 (en) * 2007-08-08 2011-10-04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including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US8036575B2 (en) * 2007-10-19 2011-10-11 Ricoh Company, Limited Development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compact structure for discharging developer
JP5326392B2 (ja) 2007-12-25 2013-10-30 株式会社リコー シャッタ機構、粉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65430B2 (ja) * 2007-12-28 2010-10-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器、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04302B2 (ja) * 2007-12-28 2012-12-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522455B2 (ja) * 2008-02-13 2010-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157484B1 (en) * 2008-08-18 2018-12-2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8045879B2 (en) * 2008-09-11 2011-10-25 Xerox Corpoation Methods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a corresponding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5284174B2 (ja) * 2009-04-24 2013-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11112775A (ja) 2009-11-25 2011-06-09 Ricoh Co Ltd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995331B2 (ja) * 2010-05-17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56109B2 (ja) 2010-10-25 2015-01-2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50301B2 (ja) 2010-11-04 2016-02-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2198376A (ja) 2011-03-22 2012-10-1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現像装置
JP5597611B2 (ja) * 2011-09-15 2014-10-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597610B2 (ja) * 2011-09-15 2014-10-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3676564B (zh) * 2012-09-11 2016-01-27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转印部件清洁方法
JP2017068075A (ja) 2015-09-30 2017-04-0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200655B2 (ja) * 2018-12-19 2023-01-1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2178827A (ja) * 2021-05-21 2022-12-0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657A (ja) * 1981-07-27 1983-02-03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静電荷像現像装置
JPS6073652A (ja) * 1983-09-30 1985-04-25 Fujitsu Ltd 現像装置
JPH01207771A (ja) * 1988-02-16 1989-08-21 Canon Inc 現像装置
JP2882529B2 (ja) 1988-12-05 1999-04-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133314B2 (ja) 1990-08-29 2001-02-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905604B2 (ja) * 1990-12-27 1999-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H04356081A (ja) 1991-03-22 1992-12-09 Ricoh Co Ltd 1成分現像ローラ
JPH05113719A (ja) * 1991-10-23 1993-05-07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ブレード
JP3384914B2 (ja) 1994-10-04 2003-03-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3347251B2 (ja) 1994-12-31 2002-11-2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3359171B2 (ja) * 1995-01-05 2002-12-2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US5915155A (en) 1995-01-12 1999-06-22 Ricoh Company, Ltd. Toner replenishing and developer replacing device for a developing uni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278695A (ja) 1995-04-07 1996-10-22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ES2297833T3 (es) * 1995-04-20 2008-05-01 Ricoh Company, Ltd. Dispositivo de revelado que utiliza una mezcla de toner y de particulas de soporte de toner.
JP3509385B2 (ja) 1995-07-24 2004-03-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ボトル
US5805965A (en) 1995-11-14 1998-09-08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er distribution features
JP3875743B2 (ja) 1996-01-09 2007-01-3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トナーボトル
JP3536515B2 (ja) * 1996-03-21 2004-06-14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EP0814386B1 (en) 1996-06-18 2002-12-04 Ricoh Company, Ltd. Toner deliver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198171A (ja) * 1997-01-08 1998-07-31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JP3535721B2 (ja) 1997-01-10 2004-06-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JPH10232540A (ja) * 1997-02-20 1998-09-02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1144996A (ja) 1997-07-28 1999-02-16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US5970294A (en) 1997-08-12 1999-10-19 Ricoh Company, Ltd. Cylindrical structural body for us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071371B2 (ja) 1997-09-26 2008-04-02 株式会社リコー マグネット部材、該マグネット部材の製造方法、マグネット構造体、マグネット装置、現像ローラ、並びに現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78A (ko)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유수분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37957B1 (en) 2002-01-08
JP2001166580A (ja) 2001-06-22
JP4070387B2 (ja) 2008-04-02
DE10030416A1 (de) 2001-08-09
KR20010082505A (ko) 2001-08-30
DE10030416B4 (de) 2013-12-19
CN1143183C (zh) 2004-03-24
CN1278613A (zh) 200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184B1 (ko)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1092249A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050745B2 (en) Two-component developer unit of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lifting guide portion
JP2000305359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24118B2 (ja) 画像形成装置
JP4157907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44282B2 (ja) 現像装置
JPH1144997A (ja) 現像装置
JPH05107930A (ja) 現像装置
JP4070400B2 (ja) 画像形成装置
JP4731218B2 (ja) 現像装置
JP2819530B2 (ja) 現像装置
JP4820581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カートリッジ
JP2006235328A (ja) 現像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静電記録装置
JP2003005529A (ja) 現像装置
JP4477970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6047456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64769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21592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031885B2 (ja)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4418507B2 (ja) 画像形成装置
JP3677443B2 (ja) 現像装置
JP2001312143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99149A (ja) 現像ローラおよび現像装置
JP2002139916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