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039B1 - 승강기 칸 조립체 - Google Patents

승강기 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039B1
KR920006039B1 KR1019890013851A KR890013851A KR920006039B1 KR 920006039 B1 KR920006039 B1 KR 920006039B1 KR 1019890013851 A KR1019890013851 A KR 1019890013851A KR 890013851 A KR890013851 A KR 890013851A KR 920006039 B1 KR920006039 B1 KR 920006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ompartment
frame
piston
elevato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713A (ko
Inventor
케이 새먼 존
에스 유 영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캄파니
로버어트 피이 헤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캄파니, 로버어트 피이 헤이터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캄파니
Publication of KR90000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8Active systems
    • B66B11/0286Active systems acting between car and supporting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기 칸 조립체
제1도는 승강기 칸의 약간 아래위치에서 투시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칸 장착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승강기 칸의 문들이 닫힌 위치에 있는 도면,
제2도는 승강기 칸 장착 조립체의 하부 부분이 분해되어 승강기 칸 아래에 있는 부품들이 노출되어 있는 제 1도와 유사한 도면,
제3도는 승강기 칸의 바닥 아래에 장착된 감쇠기 유니트의 평면도,
제4도는 감쇠기 유니트들중 하나의 축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강기 칸 12,20,22,24 : 비임
14 : 매달음 봉 15 : 프레임
18,48,68 : 지지대 26,27,28,30,32 : 패드
29 : 힘 변환기 40 : 감쇠기 유니트
42 : 실린더 44 : 피스톤
46 : 피스톤 로드 54 : 정지기
58 : 횡부재 62 : 케이블
64 : 아암 66 : 작동기
본 발명은 승강기 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기 통로를 통해 레일위를 이동하는 프레임에 승강기 칸을 설치하기 위한 장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프레임에 승강기 칸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진자(pendulum)형 장착 조립체가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그러한 장착 조립체의 한 예가 1975년 9월 24일 공고된 영국 특허 제1,407,l58호에 개시되어 있다. 진자형 장착 조립체는, 승강기 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프레임이 진동할때 승강기 칸이 프레임안에서 횡방향으로 직선 운동과 비틀림 운동 모두를 하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프레임은 그 프레임에 장착된 안내 로울러들을 통해 레일들 상에서 승강기 통로를 따라 이동한다. 이 프레임은 승강기 통로내의 트랙의 잘못된 정렬, 트랙의 연속적인 부분들 사이의 연결부의 단이진 부분들, 그리고 프레임상의 안내 휘일들의 잘못된 정렬 등으로 인해 이동중 진동하게 된다. 프레임 진동은 원인에 따라 여러가지 크기로 급격히 발생하며, 승강기 칸이 프레임에 단단히 고정된 때는 승강기 칸에 전달된다. 종래에는, 프레임에서 승강기 칸으로의 진동 전달을 최소화하여 승강기의 승객들에게 조용하고 보다 편안한 탑승감을 주기 위하여 고무 패드들이 사용되어 왔다.
진자형 장착 조립체는 프레임에 가해진 충격형 진동을 승강기 칸의 횡방향 직선 운동 또는 비틀림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승강기 칸이 프레임에 대해 진자형으로 매달려 있으므로, 승강기 칸과 프레임 사이의 상대 운동은 일반적으로 승강기 칸이 관성 공간에 대해 더 적고 원활한 운동을 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승객은 단지 관성 공간에 대한 가속만을 느끼므로, 이러한 감소된 작용은 보다 편안한 탑승감을 준다.
그러나, 감쇠가 없는 이러한 단순한 매달림은 흔들림에 의해, 승강기 칸이 관성 공간에 대해 긴 기간 동안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로 반복 운동하는 결과를 낳는다. 진자형 장착 조립체를 사용할 때는, 프레임내에서의 승강기 칸의 횡방향 운동이 그러한 운동의 진폭 및 주기를 제한하도록 제어되어야 함과 동시에, 승강기 칸 및 승객에 대한 그러한 운동의 영향을 완화시켜야 한다. 상기 영국 특허 제1,407,158호에는 승강기 칸의 바닥과 프레임 사이에 고무 패드들이 배치되고 프레임안에서의 승강기 칸의 횡방향 및 수직 운동을 감쇠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승강기 칸을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개선된 진자형 장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에 대한 승강기 칸의 횡방향 운동은 승강기 칸과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고 스프링 기능과 감쇠 기능의 이중 기능을 하는 감쇠기 유니트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이 감쇠기 유니트는 승강기 칸이 횡방향으로 서서히 흔들릴 때는 감쇠기의 특성을 가지며, 승강기 칸이 횡방향으로 급격히 흔들릴때는 스프링 특성을 갖는다. 이 유니트의 대쉬포트(dashpot)의 규격 및 크기는 공기의 압축성 및 점성 감쇠에 기인하여 적절히 순응 하도록 선택되어, 전달된 승강기 칸의 가속이 제한되고, 급작스런 흔들림 후의 지속적인 고유 진동이 제한된다. 승강기 칸의 횡방향 운동의 제어는 모든 횡방향, 즉, 360°원호에서 발생하며, 프레임에 대한 승강기 칸의 비틀림 운동에도 적용된다.
승강기 칸은 4개의 금속 봉들에 의해 프레임내에 매달려 있는데, 이 금속봉들 각각은 승강기 칸의 각 모서리에서 승강기 칸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 봉의 강성은 프레임내에서의 승강기 칸의 진자 운동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그 봉은 승강기 칸이 매달리는 줄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프레임에 대한 승강기 칸의 횡방향 운동의 제어는 승강기 칸의 바닥과 프레임하부를 연결하는 감쇠기 유니트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 감쇠기 유니트는 피스톤에 가해지는 구동력의 크기에 상관없이 실린더 내외로의 공기 흐름이 언제나 층류(laminar flow)이도록 개조된 공기압 대쉬포트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기압 피스톤-실린더 유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레임에 대한 승강기 칸의 횡방향운동에 따라 피스톤이 실린더내외로 왕복운동하면,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는 난류가 아닌 층류가 항상 발생한다. 물론 이 감쇠기 유니트들은 정상 작동상태에서 승강기 칸이 프레임안에서 횡방향으로 흔들릴때 발생하는 소정 범위의 횡방향 힘 전체에 걸쳐서 상기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승강기 칸의 이러한 제어된 운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쇠기 유니트는 전체 360°범위의 가능한 직선 횡방향 운동에 대항하고 승강기 칸이 받는 궁형 비틀림 운동에 대항하도록 쌍들로 배치된다. 또한, 감쇠기 유니트들은 승강기 칸의 기하학적 형상으로부터 45°씩 변위된 장방형 배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배열에서 적어도 하나의 감쇠기 유니트는 승강기 칸의 운동에 의해 항상 수축된다. 일반적으로, 2개의 감쇠기 유니트는 수축하고 나머지 2개의 감쇠기 유니트는 신장한다. 물론 수축하는 2개의 특정 감쇠기 유니트와 신장하는 2개의 특정 감쇠기 유니트는 승강기 칸의 운동 방향에 좌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조립체용의 개선된 승강기 칸 장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기 칸을 프레임에 매달기 위해 진자형 장착 조립체를 이용하는 상기 특성의 장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자형 장착 조립체에서의 승강기 칸의 횡방향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감쇠기 유니트를 포함하는 상기 특성의 장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쇠기 유니트가 가능한 모든 방향으로의 승강기 칸의 횡방향 운동을 안정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는 상기 특성의 장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승강기 칸 조립체(8)는 4개의 매달음 봉들(14)에 의해 2개의 평행한 U자형 비임들(12)에 매달려 있는 입방체형 승강기 칸(10)을 포함하는데, 상기 매달음 봉들(14)은 승강기 칸(10)의 각 모서리 부근에 하나씨 배치되어 있다. 승강기 칸(10)은 4개의 벽들(16)을 가지며, 그 벽들중 2개를 제1도 및 제2도의 사시도에서 볼 수 있다. U자형 비임들(12)과 매달음 봉들(14)은 승강기 칸 조립체의 프레임(15)의 일부이며, 그 프레임(15)은 U자형 비임들(12)이 용접된 측부 수직 지지대들(18)과, 그 측부 수직지지대들(18)에 각각 용접된 상부 지지 비임(20) 및 하부 지지 비임(22)을 포함한다.
승강기 칸의 벽들(16)은 서로 연결되어 입방체형 칸을 형성하고, 그 칸은 칸의 각 모서리 아래에 하나씩 배치된 4개의 지지 패드들(26)에 용접된 4개의 비임들(24)위에 놓인다. 각각의 매달음 봉들(14)은 각 지지패드(26), 소음 감소 고무 패드(27), 및 제2지지패드(28)를 관통하여 뻗는다. 소음 감소 고무 패드(27)는 2개의 지지 패드들(26,28)사이에 끼워져 있다. 승강기 칸의 두 모서리들 아래에서는 힘 변환기(29)가 지지패드들(26,28)을 분리한다. 그 힘 변환기(29)는 승강기 칸안의 하중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들을 제공한다. 도노프리오(Donofrio)등에게 허여되고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패니"사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 4,330,836호에, 힘 변환기들을 사용하여 승강기 칸 하중을 측정하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각각의 매달음 봉(14)은 U자형 비임들(12)과 2개의 상부 지지 패드들(30)을 관통하여 뻗으며, 그 상부 지지패드들(30)사이에 제2소음 감소 고무 패드(32)가 끼워져 있다. 각각의 매달음 봉(14)의 양단부(33)는 구부러져 있거나 오그라져 있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정지 칼라들(34)이 매달음 봉의 단부를(33)과 지지패드들(28,30)사이에서 매달음 봉들에 부착되어 있다.
매달음 봉들(14)은 승강기 칸이 승강기 통로안에서 이동할 때 예상될 수 있는 프레임의 측방 움직임의 진동수와 비교되는 승강기 칸 움직임의 고유 진동수, 예상된 승강기 칸의 하중, 및 매달음 봉의 강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은 승강기 통로의 길이로 뻗는 안내 레일들을 따라 구르는 로울러들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레일들을 따라 이동할때, 프레임은 측방으로 흔들린다. 즉, 프레임은 주행방향(DD3)에 수직인 두방향(DDl,DD2)과 그의 벡터 방향들로 진동한다. 또한, 승강기칸(10)은 프레임의 진동을 받음으로써 프레임(15)안에서 비틀림 운동을 한다.
매달음 봉들(14)은 프레임(15)의 진동에 따라 승강기 칸(10)이 프레임(15)안에서 흔들릴 수 있게 충분히 가요성을 갖도록 선택된다. 또한, 매달음 봉들(l4)의 가요성은 프레임(15)안에서의 승강기 칸(l0)의 흔들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이어야 한다. 특정의 매달음 봉들(14)의 가요성은 승강기 칸 조립체내의 특정 승강기칸의 크기 및 무게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승강기 칸(10)은 상부의 U자형 비임(12)으로부터 자유롭게 흔들릴 수 있다. 물론, 실제적인 흔들림 운동은 매우 작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쇠되어야 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승강기 칸은 감쇠기 유니트들(40)을 포함하는 차대(undercarriage)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감쇠기 유니트(40)는 실린더(42), 그 실린더(42)안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피스톤(44), 및 그 피스톤(44)에 부착된 가요성 피스톤 로드(46)로 이루어진 대쉬포트로 되어 있다. 제2도는 실린더(42)가 승강기 칸의 하부에서 브라켓(47)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피스톤 로드(46)는 프레임의 측부 수직 지지대(18)에 고정된 판(51)에서 아래로 뻗는 작은 브라켓(50)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들(42)은 승강기 칸(10)의 바닥에 연결되고, 피스톤 로드들(46)은 프레임(15)에 연결된다. 이러한 감쇠기 유니트들(40)이 4개 있으며, 이 감쇠기 유니트들은 승강기 칸 아래에서 프레임 부분의 각 측부에 쌍들로 배치되어 있다(제3도).
제3도에는 감쇠기 유니트들의 기하학적 배치 상태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승강기 칸(10)과 프레임의 대칭 수직 축선이 문자 0로 지시되어 있다. 제3도에서, 감쇠기 유니트들이 그들의 작동에 대한 설명을 위해 번호(40), (40A), (40B) 및 (40C)로 각각 지시되어 있다. 승강기 칸(10)의 횡방향 직선 운동방향들이 반경방향 화살표들(A)-(H)로 지시되어 있고, 승강기 칸(10)의 횡 방향 비틀림 운동 방향이 화살표들(I) 및 (J)로 지시되어 있다.
만일 승강기 칸(10)이 화살표(I)의 방향으로 비틀림 운동하면, 감쇠기 유니트들(40,40B)은 수축하고 감쇠기 유니트들(40A,40C)은 신장한다. 반대로, 승강기 칸(10)이 화살표(J)의 방향으로 비틀림 운동하면 감쇠기 유니트들(40A,40C)은 수축하고 감쇠기 유니트들(40,40B)은 신장한다. 따라서, 이 시스템은 승강기 칸(10)의 모든 비틀림 운동의 완전한 제어 및 감쇠를 제공한다. 횡방향 운동에 있어서, 승강기 칸(10)이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감쇠기 유니트들(40A,40B)은 수축하고, 감쇠기 유니트들(40,40C)은 신장한다. 승강기 칸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운동하면, 감쇠기 유니트들(40,40C)은 수축하고, 감쇠기 유니트들(40A,40B)은 신장한다. 승강기 칸이 화살표(C)의 방향으로 운동하면, 감쇠기 유니트들(40,40A)은 수축하고, 감쇠기 유니트들(40B,40C)은 신장한다. 승강기 칸이 화살표(G)의 방향으로 운동하면, 감쇠기 유니트들(40B,40C)은 수축하고 감쇠기 유니트(40,40A)은 신장한다. 승강기 칸(10)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운동하면, 감쇠기 유니트(40A)는 수축하고 감쇠기 유니트(40C)는 신장하며, 승강기 칸(10)이 화살표(D)의 방향으로 운동하면, 감쇠기 유니트(40)는 수축하고 감쇠기 유니트(40B)는 신장한다. 승강기 칸(10)이 화살표(F)의 방향으로 운동하면, 감쇠기 유니트(40C)는 수축하고 감쇠기 유니트(40A)는 신장하며, 화살표(H)의 방향으로 운동하면, 감쇠기 유니트(40B)는 수축하고 감쇠기 유니트(40)은 신장한다. 따라서, 축선(0)을 중심으로한 360°원호에서의 모든 횡방향 직선 운동이 감쇠기 유니트들에 의해 감쇠됨을 알 수 있다. 각 감쇠기 유니트의 피스톤 로드(46)은 승강기 칸의 운동이 대각선 방향들(B,D,F,H)에 접근할때 휘어질 수 있도록 충분히 가요성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승강기 칸(10)의 화살표(B) 또는 (F)의 방향으로 운동하거나 화살표(B) 또는 (F)에 밀접한 벡터 방향으로 운동할때 감쇠기 유니트들(40,40B)의 피스톤 로드들(46)이 휘거나 굽혀진다.
제4도에는 감쇠기 유니트(40)의 세부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실린더(42)의 단부벽(43)에는 배출구가 없다. 피스톤(44)의 외경은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 사이에 충분히 작은 틈새(52)가 유지되게 하여, 피스톤(44)이 실린더(42)의 안 밖으로 이동할때 마다 실린더(42)로부터 피스톤(44)을 지나는 공기의 층류(laminar flow)을 제공하도록 실린더 보어에 대해 크기가 정해진다. 그 틈새(52)는 피스톤이 실린더 안밖으로 이동할때 틈새를 통해 공기의 난류가 야기될 정도로 커서는 안된다. 탑승시와 비어있을때의 승강기 칸의 무게와, 승강기 통로안에서 프레임이 받는 진동 범위가 주어지면, 승강기의 정상 사용중 피스톤이 받는 힘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틈새(52)는 이 범위의 구동력을 받을때 실린더로부터 피스톤을 지나는 공기 흐름이 언제나 층류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층류에 따라, 이 시스템의 감쇠력은 틈새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에 비례한다. 이것이 일정한 감쇠작용을 유지하고 4개의 감쇠기 유니트들 사이에서의 감쇠력의 선형 벡터 부가를 가능케하는 주요 수단이다. 그 다음, 이것이 모든 방향의 차대 운동에 대한 사실상 동일한 감쇠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이런식으로 공기의 층류가 유지되면, 감쇠기 유니트들(40)은 소정 수준 이하의 작은 충격을 받을때는 감쇠기로 작용하고, 소정 수준 이상의 큰 충격을 받을때는 스프링으로 작용하는 이중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이중 작동 모드는 중요한데, 그 이유는 흔들림 후의 진동을 감쇠시키기위해 감쇠 기능이 필요하고, 프레임이 매우 급격이 이동할때 전달되는 힘을 제한하기 위해 스프링 기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스프링기능은 힘 제한기로 작용한다.
이 시스템을 예시하는 장치의 특정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빈 승강기 칸과 차대의 무게:3000lbs. (1360.77kg)
승객 탑승 용량:3500lbs(1587.57kg)
지지 하중의 범위:3000-6500lbs(1360.77-2948.34kg)
매달음 봉-직경이 각각
Figure kpo00001
인치(1.27cm)인 4개의 강봉 봉길이-118인치(299.7cm)
각각의 감쇠기-유효 감쇠 계수=221bs.sec/inch(3.93kg·초/cm)
유효 탄성률=100lbs/inch(17.81kg/cm)
변길이가 50인치(127cm)인 사각형의 연부를 따라 4개의 감쇠기들이 있다.
피스톤 직경=5인치(12.7cm)
피스톤 작동범위의 중심은 실린더의 헤드단부에서 약 2.5인치(6.35cm)에 있다.
감쇠기의 다른 구조에 있어서는, 누설(leakage)에 의해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것보다 더 큰 감쇠력이 만들어지도록 피스톤 틈새가 매우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피스톤이나 실린더중 어느 하나를 통한 길고 작은 직경의 누설 경로를 이용하여 평행한 공기 누설 경로가 제공된다. 또한, 이 경로는 층류를 제공하는 크기로 되어야 한다. 한가지 편리한 수단은 구멍 직경의 10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적절한 크기의 "모세관"을 삽입하는 것이다. 전체 감쇠치는 사용되는 관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조에서는, 공기 흐름관들(45)(제4도에 점선으로 도시됨)이 피스톤(44), 또는 실린더(42)의 단부벽(43)을 통해 실린더(42)내의 공간과 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승강기 칸 조립체(8)는 승강기 칸(10)이 바닥에 있을때 승강기 칸(10)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승강기 칸(10)이 프레임(15)안에서 쉽게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요구된다. 승강기 칸(10)은 프레임(15)상의 정지기들(54)과 결합하도록 당겨진다(제2도). 고무발로 구성될 수 있는 정지기들(54)은 횡부재(58)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이 횡부재(58)는 하부 지지대(48)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2개의 각진 브라켓들(61)이 비임(56)에 용접되어 있다. 케이블(62)이 이 브라켓들(61)로부터 아암(64)상의 작동기까지 뻗어있다. 이 아암(64)은 지지대(68)에 고정된 작동기(66)에 부착되며, 지지대(68)는 횡부재들(58)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프레임(15)의 일부를 이룬다. 승강기 칸(10)이 도착지에 정지하면 작동기(66)가 부작동으로 됨으로써, 아암(64)이 승강기 칸의 전방 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케이블들(62)은 승강기 칸의 전방 쪽으로 당겨져서 그 승강기 칸을 전방으로 당긴다. 그러면, 승강기 칸 하부의 작은 브라켓(70)이 정지기(54)와 결합한다. 따라서, 승강기 칸은 견고한 정지기에 맞닿도륵 단단하게 당겨져서 프레임(15)상의 제위치에 보유된다. 이 작동은 승객들이 승강기 칸에 출입할때 일어난다.
승강기 칸을 프레임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프레임상의 정지기에 맞닿게 하고, 프레임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게 하기 위해 어떤 임의의 작동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작동기는 비작동시 승강기 칸 부동상태에 있고 작동시에는 승강기 칸 해제 상태에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력이 차단되면 승강기 칸이 제위치에 고정됨으로써 문지방(sill)과 승강기 칸 사이의 틈새가 조절되고, 승강기 문 작동 시스템이 승강기 통로의 문 부품들과 적절히 일치된다.
정규 사용시, 이 형태의 작동기는 승강기 칸이 출발점에서 가속될때 작동되고, 목적지에 접근하면서 감속되는 동안에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 방법은 그 작용을 승객들이 감지하지 못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승객들은 전형적으로 중력 가속도의
Figure kpo00002
정도의 수직 가속에 순응하므로 대략
Figure kpo00003
이하의 수평 가속은 감지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4)

  1. (a) 승강기 통로를 통해 주행할 수 있도록 된 프레임(15), (b) 승객들을 수용하기 위한 승강기 칸(10),(c) 상기 승강기 칸(10)이 프레임(15)안에서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승강기 칸을 상기 프레임에 흔들릴 수 있게 장착하기 위한 매달음 봉들(14) 및, (d) 360°의 횡방향 원호에서의 상기 승강기 칸(10)의 횡방향 운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15)과 상기 승강기칸(10)을 연결하며, 상기 프레임이 상기 승강기 통로안에서 큰 충격을 받을때는 스프링으로 작용하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승강기 통로안에서 작은 충격을 받을때는 감쇠기로 작용하고, 상기 승강기 통로내에서의 승강기 칸 조립체의 작동중 평상시 가해지는 전체 범위의 횡방향 힘을 받을때 내부에 공기 층류만을 발생하도록 작동하는 다수의 공기압 대쉬포트(dashpot)들로 이루어진 감쇠기 유니트들(40)을 포함하는 승강기 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4개의 공기압 대쉬포트들이 승강기 칸 벽들의 면에 대해 45°의 각도로 위치된 축선을 따라 각각 작동하도록 배치된 승강기 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대쉬포트가 상호 협동하는 피스톤(44)과 실린더(4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 층류가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 사이에 좁은 틈새(52)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승강기 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대쉬포트가 상호 협동 하는 피스톤(44)과 실린더(42)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층류가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폐쇄단부(43)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난류의 공기 흐름이 배출되지 않게 하는 크기로 된 공기 흐름관(45)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승강기 칸 조립체.
KR1019890013851A 1988-11-03 1989-09-26 승강기 칸 조립체 KR920006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66,540 US4899852A (en) 1988-11-03 1988-11-03 Elevator car mounting assembly
US266540 1994-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713A KR900007713A (ko) 1990-06-01
KR920006039B1 true KR920006039B1 (ko) 1992-07-27

Family

ID=23014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851A KR920006039B1 (ko) 1988-11-03 1989-09-26 승강기 칸 조립체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899852A (ko)
EP (1) EP0367621B1 (ko)
JP (1) JPH02175585A (ko)
KR (1) KR920006039B1 (ko)
CN (1) CN1013190B (ko)
AU (1) AU598975B1 (ko)
CA (1) CA1327950C (ko)
DE (1) DE68904166T2 (ko)
FI (1) FI89154C (ko)
HK (1) HK109095A (ko)
HU (1) HU213342B (ko)
PL (1) PL163624B1 (ko)
RU (1) RU2015100C1 (ko)
UA (1) UA22156A (ko)
ZA (1) ZA8966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6391A (en) * 1989-11-30 1991-01-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oad weighing
US5018602A (en) * 1990-03-21 1991-05-28 Otis Elevator Company Reduction of noise and vibration in an elevator car by selectively reducing air turbulence
US5294757A (en) * 1990-07-18 1994-03-15 Otis Elevator Company Active vibration control system for an elevator, which reduces horizontal and rotational forces acting on the car
US5321217A (en) * 1990-07-18 1994-06-14 Otis Eleva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horizontal suspension
US5322144A (en) * 1990-07-18 1994-06-21 Otis Elevator Company Active control of elevator platform
US5400872A (en) * 1990-07-18 1995-03-28 Otis Elevator Company Counteracting horizontal accelerations on an elevator car
US5308938A (en) * 1990-07-18 1994-05-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active suspension system
SG92600A1 (en) * 1990-07-18 2002-11-19 Otis Elevator Co Elevator active suspension system
US5046584A (en) * 1990-09-13 1991-09-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occupant load weighing sensor mounting assembly
JP2756208B2 (ja) * 1991-03-13 1998-05-2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垂直走行中のエレベータかごの水平偏差修正装置
JP2756207B2 (ja) * 1991-03-13 1998-05-25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垂直昇降路レール上のエレベータかごの水平偏差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CA2072240C (en) * 1991-07-16 1998-05-05 Clement A. Skalski Elevator horizontal suspensions and controls
ZA927572B (en) * 1991-10-24 1993-04-16 Otis Elevator Co Elevator ride quality.
JP3300061B2 (ja) * 1991-11-15 2002-07-0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車両の負荷計測用組立体
US5199529A (en) * 1991-11-21 1993-04-06 Otis Elevator Company Self aligning supports for elevator cab
US5156239A (en) * 1991-12-17 1992-10-20 Otis Elevator Company Disc brake/load weighing assembly for elevator drive sheave
US5325937A (en) * 1993-05-13 1994-07-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platform isolation
US5368132A (en) * 1993-11-03 1994-11-29 Otis Elevator Company Suspended elevator cab magnetic guidance to rails
GB2285251B (en) * 1993-12-28 1997-12-10 Hitachi Ltd Elevator
JPH09110340A (ja) * 1995-10-16 1997-04-2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かご
JPH1083749A (ja) * 1996-09-05 1998-03-31 Jidosha Kiki Co Ltd 圧力スイッチおよび圧力スイッチ付きポンプ
US5864102A (en) * 1997-05-16 1999-01-26 Otis Elevator Company Dual magnet controller for an elevator active roller guide
US5929399A (en) * 1998-08-19 1999-07-27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open loop force gain control of magnetic actuators for elevator active suspension
JP4131764B2 (ja) * 1998-09-01 2008-08-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7810611B2 (en) * 2003-11-17 2010-10-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platform
ES2325970T3 (es) * 2007-03-07 2009-09-25 Wittur Holding Gmbh Cabina movil autoportante.
CN101298307B (zh) * 2007-05-03 2010-06-23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电梯设备用转向辊,和设置负载传感器的方法
CN101878176B (zh) * 2007-11-30 2014-02-05 奥蒂斯电梯公司 被动磁升降机车厢稳定器
JP5103366B2 (ja) * 2008-11-26 2012-12-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駆動装置
WO2014174668A1 (ja) * 2013-04-26 2014-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かご
CN104817004A (zh) * 2015-05-10 2015-08-05 广东亚太西奥电梯有限公司 轿厢立柱与限位胶块的系统结构布置
US9598265B1 (en) * 2015-09-28 2017-03-21 Smart Lifts, Llc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bile elevator cabins
EP3406559A1 (en) 2017-05-24 2018-11-28 Otis Elevator Company People conveyor
US11130655B2 (en) 2018-01-10 2021-09-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ynamic sag damping system
RU2759188C1 (ru) * 2020-07-27 2021-11-10 Юрий Иванович Терентьев Саморазгружающийся скип
CN112347873B (zh) * 2020-10-26 2022-10-14 浙江新再灵科技股份有限公司 梯控方法
CN115072528A (zh) * 2021-03-12 2022-09-20 迅达(中国)电梯有限公司 减振装置和电梯轿厢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95566A (en) * 1964-10-06 B. Mcalpine John Elevating and locking of a platform
US2246732A (en) * 1939-11-07 1941-06-24 Otis Elevator Co Elevator cab isolation
CH425134A (de) * 1963-11-21 1966-11-30 Schweiz Wagons Aufzuegefab Einrichtung zur Erzeugung eines von der Belastung einer Aufzugskabine abhängigen Signals für Aufzugssteuerungen
CH476623A (de) * 1968-12-06 1969-08-15 Inventio Ag Aufzugskabine
JPS5344737B2 (ko) * 1972-12-01 1978-12-01
JPS59153792A (ja) * 1982-11-10 1984-09-01 エレベ−タ−ズ・ピ−テイ−ワイ・リミテツド エレベ−タの支持構造
FI76769C (fi) * 1986-12-31 1988-12-12 Kone Oy Saett att faesta en hisskorg i en grip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04166T2 (de) 1993-07-22
KR900007713A (ko) 1990-06-01
HUT51568A (en) 1990-05-28
HU213342B (en) 1997-05-28
FI89154B (fi) 1993-05-14
PL163624B1 (pl) 1994-04-29
CA1327950C (en) 1994-03-22
DE68904166D1 (de) 1993-02-11
AU598975B1 (en) 1990-07-05
EP0367621B1 (en) 1992-12-30
JPH0553716B2 (ko) 1993-08-10
FI894749A (fi) 1990-05-04
CN1013190B (zh) 1991-07-17
ZA896691B (en) 1990-07-25
UA22156A (uk) 1998-04-30
RU2015100C1 (ru) 1994-06-30
FI894749A0 (fi) 1989-10-06
EP0367621A1 (en) 1990-05-09
HU895653D0 (en) 1990-01-28
HK109095A (en) 1995-07-14
JPH02175585A (ja) 1990-07-06
US4899852A (en) 1990-02-13
FI89154C (fi) 1993-08-25
CN1042339A (zh) 1990-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039B1 (ko) 승강기 칸 조립체
JP5658357B2 (ja) ロープの揺動を軽減させ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169010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흔들림 제어방법
JPH06100273A (ja) エレベータの振動防止装置
GB2164305A (en) Hydraulic damping means for lateral movements in a railway car
EP3176121B1 (en) An elevator car arrangement and method for dampening vibrations
JPH033884A (ja) 昇降機
KR100395789B1 (ko) 진동감쇠장치를구비한케이블카
JPH058966A (ja) 昇降機のテールコードの制振装置
JP6658637B2 (ja) ロープ振れ抑制ユニット
JP2653547B2 (ja) エレベータ
JP3222674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JP4937446B2 (ja) 加速緩和システム、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かご室フロアシステム
JPH08295472A (ja) 補償ガイドシステム
JP2006193256A (ja) エレベータロープ揺れ抑制装置
CN104843563B (zh) 电梯设备
JPH1095592A (ja) 原子炉建屋のクレーン
JP2020132376A (ja) クレーンの衝突緩和装置及びクレーン装置
JPH08119558A (ja) 昇降機のテールコード制振装置
JP2512793B2 (ja) 昇降機のテ―ルコ―ドの制振装置
JPH06234481A (ja) 昇降機のテールコードの制振装置
CN115072528A (zh) 减振装置和电梯轿厢系统
JPS5813473B2 (ja) エレベ−タ
JPH02106585A (ja) 懸垂条体の制振装置
JPH033705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