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9039A -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9039A
KR20220019039A KR1020227000800A KR20227000800A KR20220019039A KR 20220019039 A KR20220019039 A KR 20220019039A KR 1020227000800 A KR1020227000800 A KR 1020227000800A KR 20227000800 A KR20227000800 A KR 20227000800A KR 20220019039 A KR20220019039 A KR 20220019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
existing
passenger conveyor
junction box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287B1 (ko
Inventor
유키야스 나가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1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9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이 단계적으로 행해질 때, 승객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없는 시간대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을 제공한다.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은,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기설 안전 장치를 신설 안전 장치로 갱신하는 안전 장치 갱신 공정과, 상기 안전 장치 갱신 공정의 후, 상기 승객 컨베이어의 기설 구동기를 신설 구동기로 갱신함과 아울러, 상기 승객 컨베이어의 기설 제어반을 신설 제어반으로 갱신하는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을 구비했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이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을 개시한다. 해당 리뉴얼 방법에 의하면,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을 단계적으로 행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323153호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의 제2 공정에 있어서는, 안전 장치와 제어반을 갱신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승객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없는 시간대가 길어진다.
이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이 발명의 목적은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이 단계적으로 행해질 때, 승객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없는 시간대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은,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기설(旣設) 안전 장치를 신설 안전 장치로 갱신하는 안전 장치 갱신 공정과, 상기 안전 장치 갱신 공정의 후, 상기 승객 컨베이어의 기설 구동기를 신설 구동기로 갱신함과 아울러, 상기 승객 컨베이어의 기설 제어반을 신설 제어반으로 갱신하는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을 구비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의 공정은 안전 장치 갱신 공정과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으로 분할된다. 이 때문에,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이 단계적으로 행해질 때, 승객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없는 시간대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이 적용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이 적용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접속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이 적용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접속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이 적용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접속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이 적용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접속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이 적용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접속도이다.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덧붙여,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이 적용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승객 컨베이어는 에스컬레이터이다. 예를 들면, 승객 컨베이어는 인접층의 한쪽에서 다른 쪽에 걸처진다.
하부 승강구(1)는 승객 컨베이어의 하부에 마련된다. 하부 승강구(1)는 인접층의 하부층에 마련된다. 상부 승강구(2)는 승객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된다. 상부 승강구(2)는 인접층의 상방층에 마련된다.
복수의 스텝(3)은 하부 승강구(1)와 상부 승강구(2)의 사이에 마련된다. 복수의 스텝(3)은 무단 모양(endless shape)으로 마련된다.
한 쌍의 스커트 가드(4)의 한쪽은, 복수의 스텝(3)의 일측의 외측에 마련된다. 한 쌍의 스커트 가드(4)의 다른 쪽은, 복수의 스텝(3)의 타측의 외측에 마련된다. 한 쌍의 스커트 가드(4)의 각각은, 승객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른다.
한 쌍의 난간 패널(5)의 각각은, 한 쌍의 스커트 가드(4)의 각각에 마련된다. 한 쌍의 난간 패널(5)의 각각은, 승객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른다.
한 쌍의 핸드레일(6)의 각각은, 한 쌍의 난간 패널(5)의 각각에 마련된다. 한 쌍의 핸드레일(6)의 각각은, 무단 모양으로 마련된다.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a)는 승객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된다.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a)는 기계적 이상 또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용자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기설 조작반(8a)은 승객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된다. 복수의 기설 조작반(8a)은 조작되었을 때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한쪽은, 승객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된다.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b)는 승객 컨베이어의 하부에 마련된다.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b)는 기계적 이상 또는 승객 컨베이어의 이용자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기설 조작반(8b)은 승객 컨베이어의 하부에 마련된다. 복수의 기설 조작반(8b)은 조작되었을 때 승객 컨베이어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다른 쪽은, 승객 컨베이어의 하부에 마련된다.
기설 구동기(10)는 승객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된다. 기설 제어반(11)은 승객 컨베이어의 상부에 마련된다.
기설 제어반(11)은 승객 컨베이어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접속한다. 예를 들면, 기설 제어반(11)은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a)와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b)와 복수의 기설 조작반(8a)과 복수의 기설 조작반(8b)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기설 구동기(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기설 제어반(11)의 제어에 의해 승객 컨베이어가 상승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 하부 승강구(1)는 승차구가 된다. 상부 승강구(2)는 하차구가 된다. 노출된 스텝(3)은 하부 승강구(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노출된 스텝(3)은 비스듬한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 후, 노출된 스텝(3)은 상부 승강구(2)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한 쌍의 핸드레일(6)의 각각은, 복수의 스텝(3)의 순환 이동에 맞춰 순환 이동한다.
예를 들면, 기설 제어반(11)의 제어에 의해 승객 컨베이어가 하강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 상부 승강구(2)는 승차구가 된다. 하부 승강구(1) 하차구가 된다. 노출된 스텝(3)은 상부 승강구(2)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노출된 스텝(3)은 비스듬한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후, 노출된 스텝(3)은 하부 승강구(1)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한 쌍의 핸드레일(6)의 각각은, 복수의 스텝(3)의 순환 이동에 맞춰 순환 이동한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이 적용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접속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것처럼, 승객 컨베이어의 복수의 기기는, 케이블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한쪽과 다른 쪽은, 기설 중계 케이블(12)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은 중계함 접속 공정이 행해진 후의 접속도이다. 중계함 접속 공정에 있어서는,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중계함(13)의 한쪽을 승객 컨베이어의 프레임의 내부 또한 상부에 설치한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중계함(13)의 다른 쪽을 승객 컨베이어의 프레임의 내부 또한 하부에 설치한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케이블(14)의 한쪽을 승객 컨베이어의 내부 또한 상부에 부설한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중계함(13)의 한쪽과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한쪽을 복수의 신설 케이블(14)의 한쪽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케이블(14)의 다른 쪽을 승객 컨베이어의 내부 또한 하부에 부설한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중계함(13)의 다른 쪽과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다른 쪽을 복수의 신설 케이블(14)의 다른 쪽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기설 접속함(9)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도 3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기설 중계 케이블(12)을 릴리즈(release)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한쪽과 다른 쪽을 신설 중계 케이블(15)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도 4는 안전 장치 갱신 공정이 행해진 후의 접속도이다. 안전 장치 갱신 공정에 있어서는, 작업원은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한쪽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도 4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a)를 릴리즈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중계함(13)의 한쪽에 복수의 신설 안전 장치(16a)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다른 쪽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도 4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b)를 릴리즈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중계함(13)의 다른 쪽에 복수의 신설 안전 장치(16b)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도 5는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이 행해진 후의 접속도이다.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에 있어서는, 작업원은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한쪽과 기설 제어반(11)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도 5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기설 구동기(10)를 릴리즈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한쪽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도 5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기설 제어반(11)을 릴리즈시킨다. 작업원은 도 5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한쪽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도 5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기설 조작반(8a)을 릴리즈시킨다. 작업원은 도 5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다른 쪽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도 5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기설 조작반(8b)을 릴리즈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중계함(13)의 한쪽에 복수의 신설 접속함(19)의 한쪽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접속함(19)의 한쪽에 신설 구동기(17)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접속함(19)의 한쪽에 복수의 신설 조작반(20a)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작업원은 신설 구동기(17)와 복수의 신설 접속함(19)의 한쪽에 신설 제어반(21)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중계함(13)의 다른 쪽에 복수의 신설 접속함(19)의 다른 쪽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작업원은 복수의 신설 접속함(19)의 다른 쪽에 복수의 신설 조작반(20b)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덧붙여,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 내이면, 기설 구동기(10), 기설 제어반(11), 기설 접속함(9), 기설 조작반(8a) 및 기설 조작반(8b)을 릴리즈하는 순서는 묻지 않는다. 또,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 내이면, 신설 구동기(17), 신설 제어반(21), 신설 접속함(19), 신설 조작반(20a) 및 신설 조작반(20b)을 접속하는 순서는 묻지 않는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의 절차를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에서는, 작업원은 중계함 접속 공정을 행한다. 그 후, 작업원은 스텝 S2의 공정을 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작업원은 안전 장치 갱신 공정을 행한다. 그 후, 작업원은 스텝 S3의 공정을 행한다. 스텝 S3에서는, 작업원은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을 행한다. 그 후,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의 공정은, 안전 장치 갱신 공정과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으로 분할된다. 이 때문에,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의 작업이 세분화된다. 그 결과,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이 단계적으로 행해질 때, 승객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없는 시간대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의 매일의 작업 가능 시간에 맞춰, 작업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의 작업 일정의 계획에 있어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계함 접속 공정에 있어서, 기설의 구동 제어 부분의 기기는 변경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각각의 작업이 완료한 시점에서, 기설 제어반(11)의 제어에 의해, 승객 컨베이어의 통상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a) 중 하나의 케이블을 분리함으로써, 복수의 기설 접속함(9)의 한쪽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a)의 하나를 릴리즈시키고, 복수의 신설 중계함(13)의 한쪽에 복수의 신설 안전 장치(16a) 중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도 된다. 이 경우도, 기설 제어반(11)의 제어에 의해, 승객 컨베이어의 통상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의 작업은, 승객 컨베이어의 상부와 하부에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승객 컨베이어의 상부에 있는 작업원과 승객 컨베이어의 하부에 있는 작업원이 동시에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승객 컨베이어를 이용할 수 없는 시간대가 길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에서는, 기설 구동기(10)와 기설 제어반(11)을 동일한 공정으로 신설 구동기(17)와 신설 제어반(21)으로 갱신한다. 그 결과, 구동기의 갱신과 제어반의 갱신의 공정을 분할한 리뉴얼 방법에서, 구동기를 먼저 갱신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신설 구동기(17)를 기설 제어반(11)으로 제어할 때 필요한 신설 인터페이스반이 필요없다. 따라서,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에 필요한 작업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에 필요한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에서는, 기설 구동기(10)와 기설 제어반(11)을 동일한 공정에서 신설 구동기(17)와 신설 제어반(21)으로 갱신한다. 그 결과, 상술과 같은 신설 인터페이스반의 기능을 구비한 가설 제어반을 일시적으로 신설 구동기(17)에 접속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에 필요한 작업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에 필요한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에서는, 기설 구동기(10)와 기설 제어반(11)을 동일한 공정에서 신설 구동기(17)와 신설 제어반(21)으로 갱신한다. 그 결과, 구동기의 갱신과 제어반의 갱신의 공정을 분할한 리뉴얼 방법에서, 제어반을 먼저 갱신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신설 제어반(21)에 기설 구동기(10)의 제어 기능과 신설 구동기(17)의 제어 기능의 쌍방을 갖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에 필요한 작업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에 필요한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8은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이 적용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접속도이다. 덧붙여, 실시 형태 1의 부분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부여된다. 해당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에 있어서, 기설 접속함측 커넥터(22)는, 기설 접속함(9)에 마련된다. 기설 접속함측 커넥터(22)는, 도 8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기설 조작반(8a)에 대응한 복수의 커넥터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기설 접속함측 커넥터(22)는, 도 8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기설 구동기(10)에 대응한 커넥터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기설 접속함측 커넥터(22)는, 도 8에 있어서는 도시되지 않은 기설 제어반(11)에 대응한 커넥터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기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3)는 복수의 신설 안전 장치(16a)에 대응한 복수의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설 케이블측 커넥터(24)는 신설 케이블(14)의 일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제1 신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5a)의 각각은, 신설 케이블(14)의 타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제2 신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5b)의 각각은, 복수의 신설 안전 장치(16a)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케이블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제2 신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5b)의 각각은, 복수의 제1 신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5a)의 각각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신설 어댑터(26)는 제1 접속부(26a)와 제2 접속부(26b)와 제3 접속부(26c)와 복수의 제1 릴리즈용 커넥터(26d)와 복수의 제2 릴리즈용 커넥터(26e)를 구비한다.
제1 접속부(26a)는 기설 접속함측 커넥터(22)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 접속부(26b)는 기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3)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3 접속부(26c)는 제1 접속부(26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3 접속부(26c)는 신설 케이블측 커넥터(24)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1 릴리즈용 커넥터(26d)의 각각은,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a)의 각각에 대응해서 마련된다. 복수의 제1 릴리즈용 커넥터(26d)의 각각은, 제1 접속부(26a)와 제3 접속부(26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제2 릴리즈용 커넥터(26e)의 각각은, 제2 접속부(26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제2 릴리즈용 커넥터(26e)의 각각은, 복수의 제1 릴리즈용 커넥터(26d)의 각각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중계함 접속 공정의 전에 있어서는, 기설 접속함측 커넥터(22)와 기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3)이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a)는 동작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중계함 접속 공정에 있어서는, 기설 접속함측 커넥터(22)와 기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3)는, 기계적 또한 전기적인 접속으로부터 릴리즈된다. 그 후, 신설 어댑터(26)의 제1 접속부(26a)가 기설 접속함측 커넥터(22)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설 어댑터(26)의 제2 접속부(26b)가 기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3)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제1 릴리즈용 커넥터(26d)의 각각과 복수의 제2 릴리즈용 커넥터(26e)의 각각은,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a)는 동작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기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3)와 신설 어댑터(26)의 제2 접속부(26b)는 기계적 또한 전기적인 접속으로부터 릴리즈된다. 그 후, 신설 어댑터(26)의 제3 접속부(26c)가 신설 케이블측 커넥터(24)에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복수의 신설 안전 장치(16a)는 동작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기설 접속함(9)과 신설 케이블(14)은, 신설 어댑터(26)를 통해서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문에, 기설 접속함(9)과 신설 케이블(14)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덧붙여. 신설 어댑터(26)에 있어서, 신설 케이블(14)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a)의 각각을 독립하여 릴리즈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1 릴리즈용 커넥터(26d) 중 어느 하나와 복수의 제2 릴리즈용 커넥터(26e) 중 어느 하나의 기계적 또한 전기적인 접속을 릴리즈시키고, 대응한 제1 신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5a)와 제2 신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25b)만을 기계적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a) 중 어느 1개가 복수의 신설 안전 장치(16a) 중 어느 1개로 갱신된다. 이 상태에서도, 승객 컨베이어의 통상 운전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7b)와 복수의 신설 안전 장치(16b)에 대해서도 같은 신설 어댑터(26)를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도, 기설 접속함(9)과 신설 케이블(14)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덧붙여, 실시 형태 1 또는 실시 형태 2의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을 무빙 워크에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도, 무빙 워크의 리뉴얼이 단계적으로 행해질 때, 무빙 워크를 이용할 수 없는 시간대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은, 승객 컨베이어에 이용할 수 있다.
1: 하부 승강구 2: 상부 승강구
3: 스텝 4: 스커트 가드
5: 난간 패널 6: 핸드레일
7a: 기설 안전 장치 7b: 기설 안전 장치
8a: 기설 조작반 8b: 기설 조작반
9: 기설 접속함 10: 기설 구동기
11: 기설 제어반 12: 기설 중계 케이블
13: 신설 중계함 14: 신설 케이블
15: 신설 중계 케이블 16a: 신설 안전 장치
16b: 신설 안전 장치 17: 신설 구동기
19: 신설 접속함 20a: 신설 조작반
20b: 신설 조작반 21: 신설 제어반
22: 기설 접속함측 커넥터 23: 기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
24: 신설 케이블측 커넥터 25a: 제1 신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
25b: 제2 신설 안전 장치측 커넥터 26: 신설 어댑터
26a: 제1 접속부 26b: 제2 접속부
26c: 제3 접속부 26d: 제1 릴리즈용 커넥터
26e: 제2 릴리즈용 커넥터

Claims (7)

  1.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기설(旣設) 안전 장치를 신설 안전 장치로 갱신하는 안전 장치 갱신 공정과,
    상기 안전 장치 갱신 공정의 후, 상기 승객 컨베이어의 기설 구동기를 신설 구동기로 갱신함과 아울러, 상기 승객 컨베이어의 기설 제어반을 신설 제어반으로 갱신하는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신설 중계함과 기설 접속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중계함 접속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 장치 갱신 공정은, 상기 기설 접속함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상기 기설 안전 장치를 릴리즈시키고, 상기 신설 중계함에 상기 신설 안전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은, 상기 안전 장치 갱신 공정의 후, 상기 기설 접속함과 상기 기설 제어반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상기 기설 구동기를 릴리즈시키고, 상기 기설 접속함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상기 기설 제어반을 릴리즈시키고, 상기 신설 중계함에 신설 접속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신설 접속함에 상기 신설 구동기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신설 구동기와 상기 신설 접속함에 상기 신설 제어반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신설 중계함과 기설 접속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중계함 접속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 장치 갱신 공정은, 상기 기설 접속함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상기 기설 안전 장치를 릴리즈시키고, 상기 신설 중계함에 상기 신설 안전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 및 제어반 갱신 공정은, 상기 안전 장치 갱신 공정의 후, 상기 기설 접속함과 상기 기설 구동기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상기 기설 제어반을 릴리즈시키고, 상기 기설 접속함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상기 기설 구동기를 릴리즈시키고, 상기 신설 중계함에 신설 접속함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신설 접속함에 상기 신설 제어반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신설 제어반과 상기 신설 접속함에 상기 신설 구동기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전 장치 갱신 공정은, 상기 기설 접속함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 중 하나를 릴리즈시키고, 상기 신설 중계함에 복수의 신설 안전 장치 중 하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기설 제어반에 의해 상기 승객 컨베이어를 운전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함 접속 공정은, 상기 승객 컨베이어의 상부에 있어서 복수의 신설 중계함의 한쪽과 복수의 기설 접속함의 한쪽을 복수의 신설 케이블의 한쪽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승객 컨베이어의 하부에 있어 복수의 신설 중계함의 다른 쪽과 복수의 기설 접속함의 다른 쪽을 상기 복수의 신설 케이블의 다른 쪽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계함 접속 공정은, 상기 기설 접속함과 상기 기설 안전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커넥터와 신설 어댑터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상기 신설 어댑터와 상기 신설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계함 접속 공정은, 상기 신설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신설 케이블과의 전기적 접속으로부터 복수의 기설 안전 장치의 각각을 독립하여 릴리즈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KR1020227000800A 2019-08-06 2019-08-06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KR102569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30830 WO2021024368A1 (ja) 2019-08-06 2019-08-06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9039A true KR20220019039A (ko) 2022-02-15
KR102569287B1 KR102569287B1 (ko) 2023-08-22

Family

ID=7450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800A KR102569287B1 (ko) 2019-08-06 2019-08-06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24918B2 (ko)
JP (1) JP6947337B2 (ko)
KR (1) KR102569287B1 (ko)
CN (1) CN114144376B (ko)
DE (1) DE112019007620T5 (ko)
WO (1) WO20210243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6392B2 (ja) * 2020-06-08 2022-09-13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用具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DE202022100139U1 (de) 2022-01-12 2023-04-14 Norman Nieland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Fahrtreppen oder Fahrsteig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3153A (ja) 2003-04-23 2004-11-1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2015000809A (ja) * 2013-06-18 2015-01-0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門型揚重装置
JP2018095328A (ja) * 2016-12-08 2018-06-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3880A (ja) 1982-04-30 1983-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ンコンベアの改修方法
US5936200A (en) * 1997-09-05 1999-08-10 Park; Mike K. Easy junction box
US6267219B1 (en) * 2000-08-11 2001-07-31 Otis Elevator Company Electronic safety system for escalators
JP2002104759A (ja) 2000-09-25 2002-04-1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2003327382A (ja) * 2002-05-13 2003-11-1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仮設操作スイッチ
JP2004010190A (ja) 2002-06-03 2004-01-1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改造作業方法
JP2007119167A (ja) 2005-10-27 2007-05-1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仮設操作装置
JP4836706B2 (ja) * 2006-08-10 2011-12-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工法
CN112119030B (zh) * 2018-05-21 2023-02-17 三菱电机株式会社 乘客输送机的翻新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3153A (ja) 2003-04-23 2004-11-1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2015000809A (ja) * 2013-06-18 2015-01-0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門型揚重装置
JP2018095328A (ja) * 2016-12-08 2018-06-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9007620T5 (de) 2022-04-21
CN114144376A (zh) 2022-03-04
JP6947337B2 (ja) 2021-10-13
CN114144376B (zh) 2024-03-29
US20220194745A1 (en) 2022-06-23
KR102569287B1 (ko) 2023-08-22
WO2021024368A1 (ja) 2021-02-11
JPWO2021024368A1 (ja) 2021-09-13
US11724918B2 (en) 202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9039A (ko) 승객 컨베이어의 리뉴얼 방법
US20120023722A1 (en) Elevator renovation method
JP7020546B2 (ja)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101352610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장치
CN115768711B (zh) 乘客输送机的翻新用具以及乘客输送机的翻新方法
JP6509161B2 (ja) エレベーターのリニューアル方法
CN112867688B (zh) 将电梯的导轨安装在井道中的方法和电梯的导轨的安装装置
KR102381875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조작반
JP2009046284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6900960B2 (ja) 乗客コンベア
JP567138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の交換方法
JP2019018925A (ja) エレベーターかご下梯子装置
JP5836849B2 (ja) エレベータ装置の製造方法
CN111770889B (zh) 电梯的绳轮轴部润滑脂清扫辅具
JP2006008263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JPH11335031A (ja) 昇降機の改造方法
JP2002068637A (ja) エレべータ制御用ケーブルの取替方法
JPH04280785A (ja) 昇降機の制御盤交換方法
JP2002145553A (ja) 昇降路の改造方法
JPH08119546A (ja) エレベータの配線接続箱
KR20030021257A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13460837A (zh) 电梯运行控制方法、系统、电子安全控制器及主控制器
JPH02106571A (ja) 仮設エレベータにおける仮設制御盤の結線装置
JP2003261273A (ja) 据付用エレベータ
JP2004155523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