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257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257A
KR20030021257A KR10-2003-7000493A KR20037000493A KR20030021257A KR 20030021257 A KR20030021257 A KR 20030021257A KR 20037000493 A KR20037000493 A KR 20037000493A KR 20030021257 A KR20030021257 A KR 20030021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ontrol panel
boarding
elevator apparatus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가시나카쓰네히로
고데라히데아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25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66B11/002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 B66B11/0025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in the hoistway on the 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장치의 제어반(5)을 작업자(7a),(7b)가 승강로(1) 밖의 승차장(6)에서 승차카(2)의 카 상부(2a)에 탔을 때에, 그 위치에서 보수ㆍ점검할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7a),(7b)는 제어반(5)의 보수ㆍ점검을 하기 위해 탑승 후에 승차카(2)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이 쉽게, 효율 좋게 작업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장치{ELEVATOR DEVICE}
종래로부터 승차카(passenger car)를 권양로프로 견인해서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트랙션식(traction type)의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옥상 등의 승강로 밖에 기계실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계실은 권양로프를 권양하는 권양기나, 권양기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승차카의 승강 등을 제어하는 제어반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장치의 보수ㆍ점검을 할 때에는 작업자가 기계실에 들어가서 소정의 작업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 승강로내의 정상부에 제어반과 일체화된 권양기를 설치함으로서, 승강로 밖에 기계실을 갖지 않고, 스페이스 절약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7-010434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이미 알려진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제어반의 보수ㆍ점검 등을 실시하는 경우에 작업의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작업자는 승강로내의 정상부에 배치된 제어반을 보수ㆍ점검하기 위해 우선, 승강로 밖의 승차장 (platform)에서 승차카의 카 상부에 탄다. 그리고, 작업자가 승차카의 카 상부에 탄 상태에서 승차카를 승강로 정상부 부근까지 이동시키고, 그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그후, 작업자는 그 위치에서 소정의 작업을 하는 것이 된다.
특히, 엘리베이터의 자주(自走)가 안될 때(자주불능시)에는 작업자가 카 상부에 탄 상태에서, 권양기의 브레이크 개방 등에 의해 승차카를 이동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승차카 위에서의 작업자의 작업의 용이성이 확보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의 문제를 해결해서 승강로 밖에 기계실을 갖지 않고, 스페이스 절약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장치로서, 제어반의 보수ㆍ점검의 작업효율이 높은 엘리베이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승강로 밖의 승차장에서 승차카의 카 상부에 탔을 때에, 그 위치에서 보수ㆍ점검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장치의 제어반의 하단을 승차장 바닥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제어반의 보수ㆍ점검을 하기 위해 승차카 위에서 제어반의 보수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없이 쉽게, 효율 좋게 작업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엘리베이터장치의 제어반을 가이드레일 또는 벽면에 지지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제어반의 보수ㆍ점검을 실시하기 위해 승차카 위에서 제어반의 보수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없이 쉽게, 효율 좋게 작업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엘리베이터장치의 제어반의 하단을 작업자가 승차장에서 쉽게 카 상부에 승차할 수 있는 위치로 승차카를 이동했을 때의 카 상부면의 위치와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승차카의 카 상부에 타고, 그 위치에서 확실하게 제어반의 보수ㆍ점검을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개량된 엘리베이터장치의 제어반의 보수ㆍ점검에서 조작하는 보수영역의 하단을 작업자가 승차장에서 쉽게 카 상부로 탈 수 있는 위치로 승차카를 이동했을 때의 카 상부면의 위치보다 위쪽이 되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승차카의 카 상부에 타고, 그 위치에서 확실하게 제어반의 보수ㆍ점검을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제어반에 의해 승강을 제어하는 승차카를 갖는 엘리베이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제1의 엘리베이터장치를 표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제2의 엘리베이터장치를 표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로 2 : 승차카 2a : 카 상부
3 : 가이드레일 3a : 지지부재 4 : 권양로프
5 : 제어반 5a : 하단 6 : 승차장
7a, 7b : 작업자 8 : 벽면 9 : 보수영역
9a : 하단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상술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장치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에서, 1은 벽면(8)에 둘러싸인 승강로이고, 승객을 태운 승차카(2)가 승강로(1)내를 승강하게 된다. 3은 가이드레일이고, 승차카(2)와 계합해서 승차카(2)의 승강을 안내한다. 또,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웨이트 가이드레일은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웨이트와 계합해서 카운터웨이트의 승강을 안내한다. 또, 4는 권양로프이고, 도시하지 않은 권양기를 통해서 승차카(2)와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한다. 여기서, 권양기는 승강로(1)의 정상부에서 가이드레일(3) 또는 도시하지 않은 카운터웨이트 가이드레일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장치에서, 후술하는 제어반에 의해 제어되어서 권양기가 작동해서 승차카(2)가 승강로(1)내를 승강하게 된다.
한편, 5는 허네스에 의해 권양기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어반이고, 승차카(2)의 승강스피드나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반(5)은 지지부재(3a)에 의해 가이드레일(3)에 승차카(2)와 간섭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어반(5)은 그 하단(5a)이 다수층으로 설치된 승객용의 승차장중 하나의 층(예를 들면, 최상층)의 승차장(6)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가이드레일(3)에 지지되어 있다.
또, 승차카(2)는 카 상부(2a)를 구비하고 있고, 작업자(7a),(7b)는 상술한 승객용의 승차장에서 상부(2a)로 승차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아래의 순서에 의해 제어반(5)의보수ㆍ점검이 실시된다. 즉, 작업자(7a),(7b)는 승강로내의 소정의 층의 승차장(6) 부근에 배치된 제어반(5)을 보수ㆍ점검하기 위해 우선, 승차카(2)의 카 상부(2a)가 소정의 승차장(6)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승차카(2)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승차카(2)의 이동은 승강로 밖에서 조작가능한 강제적인 승차카 이동수단을 조작함으로서 실시한다. 특히, 제어반(5)이 고장나거나, 정전이 되어 승차카(2)를 자주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권양기의 브레이크 개방 등의 수단에 의해 승차카(2)의 이동이 실시된다.
다음에, 작업자(7a),(7b)는 승차장(6)에서 승차카(2)의 카 상부(2a)로 타게 된다. 이때, 제어반(5)은 그 하단(5a)이 카 상부(2a)의 위치와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어반(5)은 작업자(7a),(7b)의 손이 닿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작업자(7a),(7b)는 그 위치에서 제어반(5)에 대해 소정의 작업을 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장치는 제어반(5)의 보수ㆍ점검을 하기 위해 작업자가 카 상부(2a)에 탑재한 후에 승차카(2)를 승강로(1)의 정상부 등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고, 승차장(6)과 동일평면내의 카 상부(2a)에서 쉽게 작업할 수가 있다. 이는 특히 엘리베이터가 자주불능일 때 유효하다. 즉, 엘리베이터의 자주불능시에는 승차카(2)의 이동을 브레이크 개방 등의 수단에 의해 실시하나, 작업자가 카 상부(2a)에 탑승하기 전에 승차카(2)의 이동이 완전히 된다. 또, 승차장(6)으로부터의 공구나 수리부품 등의 반입도 쉽게 할 수가 있어 작업효율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또, 제어반(5)이 승강로(1)내에 배치되어있고 스페이스가 절약된 엘리베이터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어반(5)을 가이드레일(3)에 지지하였으나, 승차카(2)에 간섭하지 않도록 제어반(5)을 벽면(8)에 지지(도시않음)해도 본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어반(5)의 부착위치는 다수층중 어느 층의 승차장 부근으로 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장치를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제2의 실시의 형태는 제어반(5)의 설치위치가 상기한 제1의 실시의 형태와 상위하다. 즉,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반(5)은 보수의 대상이 되는 부품 등이 수납되어 보수작업의 대상이 되는 보수영역(9)을 소유하고 있다. 그리고, 보수영역(9)의 하단(9a)이 작업자(7a),(7b)가 승차장(6)에서 쉽게 카 상부(2a)로 탈 수 있는 위치에 승차카(2)를 이동시켰을 때의 카 상부(2a)보다 위쪽이 되도록 제어반(5)이 가이드레일(3)에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장치에서, 아래의 순서에 의해 제어반(5)의 보수ㆍ점검이 실시된다. 즉, 작업자(7a),(7b)는 승강로내의 소정의 층의 승차장(6) 부근에 배치된 제어반(5)을 보수ㆍ점검하기 위해 우선, 승차카(2)의 카 상부(2a)가 소정의 승차장(6)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승차카(2)를 이동시킨다.
다음, 작업자(7a),(7b)는 승차장(6)에서 승차카(2)의 카 상부(2a)에 승차한다. 이때, 제어반(5)의 보수영역(9)은 그 하단(9a)이 카 상부(2a)의 위치보다 높아진다. 즉, 제어반(5)의 보수영역(9)은 작업자(7a),(7b)의 손이 닿는 범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작업자(7a),(7b)는 그 위치에서 제어반(5)의 보수영역(9)의 소정의 작업을 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엘리베이터장치는 제어반(5)의 보수영역(9)의 보수ㆍ점검을 하기 위해 작업자가 카 상부(2a)에 탑승한 후에 승차카(2)의 승강로(1)의 정상부 등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고, 승차장(6)과 동일평면내의 카 상부(2a)에서 쉽게 작업할 수가 있다. 이는 특히 엘리베이터가 자주불능일 때에 유효하다. 즉, 엘리베이터의 자주불능시에는 승차카(2)의 이동을 브레이크 개방 등의 수단에 의해 실시하나, 작업자가 카 상부(2a)에 탑승하기 전에 승차카(2)의 이동을 완료할 수 있다. 또, 승차장(6)에서의 공구나 수리부품 등의 반입도 쉽게 할 수가 있고, 작업효율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또, 제어반(5)이 승강로 (1)내에 배치되어 있고 스페이스가 절약된 엘리베이터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본 제2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어반(5)을 가이드레일(3)에 지지하였으나, 승차카(2)에 간섭하지 않도록 제어반(5)을 벽면(8)에 지지(도시않음)해도 본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어반(5)의 부착위치는 다수층중 어느 층의 승차장 부근으로 해도 된다.
또, 이상의 실시의 형태에서, 제어반(5)의 「보수ㆍ점검」이라는 용어는 제어반(5)의 조정, 수리, 부품교환 등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 본 발명이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각 실시의 형태 중에서 시사한 것 이외에도 각 실시의 형태는 적당하게변경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한 일이다. 또, 상기 구성부재의 수, 위치, 형상 등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수, 위치, 형상 등으로 할 수가 있다. 또, 각 도면에서, 동일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장치는 작업자가 승강로 밖의 승차장에서 승차카의 카 상부에 탔을 때에, 그 제어반을 그 위치에서 보수ㆍ점검할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가 제어반의 보수ㆍ점검을 하기 위해 카 상부에 탑승 후에 승차카의 이동을 할 필요가 없이 쉽게, 효율 좋게 작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장치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장치는 그 제어반을 가이드레일 또는 벽면에 지지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가 제어반의 보수ㆍ점검을 하기 위해 카 상부에 탑승 후에 승차카의 이동을 할 필요가 없이 쉽게, 효율 좋게 작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장치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장치는 그 제어반의 하단을 작업자가 승차장에서 쉽게 카 상부로 탈 수 있는 위치에 승차카를 이동했을 때 카 상부면의 위치와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가 승차카의 카 상부에 타고, 그 위치에서 확실하게 제어반의 보수ㆍ점검을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장치로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장치는 그 제어반의 보수영역의 하단을 작업자가 승차장에서 쉽게 카 상부에 탈 수 있는 위치에 승차카를 이동했을 때의 카 상부면의 위치보다 위쪽이 되도록 배치한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가 승차카의 카 상부에 타서 그 위치에서 확실하게 제어반의 보수ㆍ점검을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3)

  1.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승차카와, 상기 승차카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반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장치로서, 상기 승차카는 상기 승강로 밖에 구비한 다수층의 승차장에서 승차 가능한 카 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다수층의 승차장중 하나의 층의 승차장에서 상기 카 상부에 탔을 때에, 그 위치에서 보수ㆍ점검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그 하단이 상기 카 상부에 탔을 때에 상기 카 상부면의 높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보수작업의 대상이 되는 보수영역을 소유하고, 상기 보수영역의 하단이 상기 카 상부에 탔을 때에 상기 카 상부면의 높이보다도 높게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
KR10-2003-7000493A 2001-05-25 2001-05-25 엘리베이터 장치 KR200300212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4384 WO2002096789A1 (fr) 2001-05-25 2001-05-25 Dispositif de lev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257A true KR20030021257A (ko) 2003-03-12

Family

ID=1173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493A KR20030021257A (ko) 2001-05-25 2001-05-25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398290B1 (ko)
JP (1) JPWO2002096789A1 (ko)
KR (1) KR20030021257A (ko)
CN (1) CN1232434C (ko)
WO (1) WO2002096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0507A (zh) * 2012-10-31 2013-02-06 蒂森克虏伯家用电梯(上海)有限公司 家用电梯抽屉式控制柜
EP4286315A1 (en) 2022-06-03 2023-12-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with moving electrical box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0846B1 (en) 1998-06-16 2001-05-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with control panel located within elevator hoistway
JP2001080834A (ja) * 1999-09-10 2001-03-2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保守点検方法
JP2001139249A (ja) * 1999-11-09 2001-05-22 Toshiba Elevator Co Ltd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4387522B2 (ja) * 1999-11-10 2009-12-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US6896105B1 (en) * 2000-01-17 2005-05-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system including control panel within hoistw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2434C (zh) 2005-12-21
EP1398290B1 (en) 2011-05-18
EP1398290A4 (en) 2008-10-15
EP1398290A1 (en) 2004-03-17
JPWO2002096789A1 (ja) 2004-09-09
WO2002096789A1 (fr) 2002-12-05
CN1443133A (zh) 200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2051B (zh) 电梯机器支承件
JP200625676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AU1491800A (en) Machine-room-less elevator
EP1433734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CN1962387A (zh) 建造电梯设备的方法及用于该目的的电梯设备
KR20020065587A (ko)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TWI383945B (zh) 使升降設備現代化之方法
KR20030051900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2114462A (ja) エレベータの保守点検時運転装置
JP4919593B2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EP1319626B1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inspecting the elevator system
KR20030021257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25192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3797873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446676B (zh) 电梯装置
US6364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elevator components
KR10063968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S63288885A (ja) 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H0769559A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427237B1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지붕형 엘리베이터
JPH1111811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414285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82849A (ja) エレベータ
KR100336351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착탈장치
WO2003013996A1 (en) Hydraulic lift with the machine room incorporated into the hoist 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