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567A -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 Google Patents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567A
KR20210008567A KR1020217001216A KR20217001216A KR20210008567A KR 20210008567 A KR20210008567 A KR 20210008567A KR 1020217001216 A KR1020217001216 A KR 1020217001216A KR 20217001216 A KR20217001216 A KR 20217001216A KR 20210008567 A KR20210008567 A KR 20210008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cartridge
main body
extens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0501B1 (ko
Inventor
테츠오 우에스기
마사토 타나베
토모노리 모리
다이스케 아베
타다유키 츠다
히데시 카와구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217013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09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드럼 유닛은,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에 설치된 커플링 부재를 갖는다. 커플링 부재는, 구동력 수용부와, 구동력 수용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다. 지지부는, 적어도 감광체 드럼의 축선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갖는다. 축선방향에 있어서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Description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DRUM UNIT,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AND COUPLING MEMBER}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나, 이에 이용되는 드럼 유닛, 카트리지, 커플링 부재 등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에 관련되는 회전체로서의 감광체 드럼이나 현상 롤러 등 요소를 카트리지로서 일체화 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이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카트리지 내의 감광체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해 장치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구성이 많은 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다. 그 때에, 카트리지 측에 커플링 부재를 장치 본체측의 구동 핀 등의 구동력 전달부에 결합시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제2008-233867호 공보에는, 감광체 드럼의 단부에 감광체 드럼의 회전축선에 대해서 경동 가능하게 설치한 커플링 부재를 구비하는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대표적인 구성은, 오목부가 마련된 구동축을 구비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드럼 유닛으로서, (1) 감광체 드럼과, (2) 상기 감광체 드럼에 설치된 커플링 부재로서, (2-1) 상기 오목부에 진입하여, 상기 감광체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받도록 구성된 구동력 수용부와, (2-2) 상기 구동력 수용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커플링 부재를 갖고,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상기 감광체 드럼의 축선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갖고, 상기 축선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드럼 유닛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드럼 카트리지(13)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현상 카트리지(4)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드럼 카트리지(13)의 감광체 드럼(1)의 회전 중심을 포함하는 가상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체 구동축의 외형도이다.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의 본체 구동축(101)의 회전축 중심(회전축선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드럼 카트리지(13) 및, 현상 카트리지(4)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커플링(28)과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회전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커플링 부재(28)와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커플링(28)과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플랜지 부재(7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플랜지 부재(70)를 Z1측으로부터 Z2측으로 본 도면이다.
도 13은 플랜지 부재(7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플랜지 부재(70)를 회전축 중심(회전축선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커플링 부재(28) 및,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에서, 구동 전달면(73a)을 통과하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커플링 부재(28)를 회전축 중심(회전축선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플랜지 부재(70)의 성형 금형을 설명하는 설명 단면도이다.
도 18은 조심 부재(33)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커플링 부재(28)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드럼 카트리지(13)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드럼 카트리지(13)의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체 구동축(101)에의 커플링 부재(28)의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체 구동 전달 홈(101a)과 결합부(73)(구동 수용면(73a))의 위상이 맞지 않은 상태로부터 본체 구동축(101)이 회전하여, 위상이 맞았을 때의 본체 구동축(101)에 커플링 부재(28)의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커플링 부재(28)의 발거(拔去)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2에 관한 커플링 부재(128)를 회전축 중심(회전축선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실시예 2에 관한 커플링 부재(128)와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에서, 구동 수용면(73a)을 통과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실시예 2에 관한 플랜지 부재(170)를 Z방향 외측으로부터 본 도면과, 단면도이다.
도 28은 실시예 2에 관한 내측 원통 부재(140)를 Z1측으로부터 Z2측으로 본 도면과, 측면도이다.
도 29는 실시예 2에 관한 커플링 부재(128)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 단면도이다.
도 30은 실시예 2에 관한 커플링 부재(128)의 조립 순서를 Z방향 외측, 및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1은 실시예 3에 관한 플랜지 부재(270)를 회전축 중심(회전축선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실시예 3에 관한 커플링 부재(228)와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에서, 지지부(74)를 통과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실시예 3에 관한 조심 부재(233)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실시예 3에 관한 커플링 부재(228)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는 실시예 4에 관한 커플링 부재(328)를 회전축 중심(회전축선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6은 실시예 4에 관한 플랜지 부재(370)를 Z방향 외측으로부터 본 도면과, 단면도이다.
도 37은 실시예 4에 관한 내측 원통 부재(340)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실시예 4에 관한 조심 부재(333)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실시예 4에 관한 커플링 부재(328)의 조립 설명도이다.
도 40은 실시예 4에 관한 커플링 부재(328)와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에서, 구동 전달면(373a)을 통과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1은 실시예 4에 관한 내측 원통 부재(340)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실시예 5에 관한 본체 구동축(5101)의 외형도이다.
도 43은 실시예 5에 관한 본체 구동축(5101)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본체 구동축(5101)의 회전축(회전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4는 실시예 5에 관한 커플링 부재(528)를 회전축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5는 실시예 5에 관한 실린더 부재(570)를 회전축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6은 실시예 5에 관한 커플링 부재(528)와, 본체 구동축(5101)을 커플링 부재(528)의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에서, 구동 수용면(573a)을 통과하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7은 실시예 5에 관한 조심 부재(533)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실시예 5에 관한 커플링 부재(528)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9는 실시예 5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4)를 토너 공급 롤러(20)와 현상 롤러(17)의 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0은 실시예 5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4)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1은 실시예 5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4)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2는 실시예 5에 관한 커플링 부재(528)의 본체 구동축(5101)에의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3은 실시예 5에 관한 실린더 부재(570)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4는 실시예 5에 관한 실린더 부재(570)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5는 실시예 5에 관한 커플링 부재(528)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6은 실시예 5에 관한 실린더 부재(570)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7은 실시예 5에 관한 커플링 부재(528)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8은 실시예 6에 관한 조심 부재(633)의 사시도이다.
도 59는 실시예 6에 관한 조심 부재(633)를 회전축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0은 실시예 6에 관한 커플링 부재(628)와,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에서, 구동 수용면(673a)을 통과하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1은 실시예 6에 관한 실린더 부재(670)의 사시도이다.
도 62는 실시예 6에 관한 커플링 부재(628)를 회전축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3은 실시예 6에 관한 커플링 부재(628)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4는 실시예 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5는 실시예 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및 드럼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예를 들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를 들어, LED 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등), 전자 사진 팩시밀리 장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카트리지란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장치 본체,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것이다. 특히 드럼 카트리지란, 감광체 드럼을 갖는 카트리지이다. 현상 카트리지란, 감광체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 등을 갖는 카트리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 각각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다. 또한, 감광체 드럼과 커플링 부재 등을 일체화한 것을 드럼 유닛이라 부른다. 드럼 유닛은 드럼 카트리지에 이용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드럼 카트리지와 4개의 현상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풀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하는 드럼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드럼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의 2 종류의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구성을 이용하여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드럼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의 기능을 일체화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등의 구성의 카트리지여도 좋다. 또한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있어 개시하는 각 구성에 대해, 특히 한정적인 기재를 하지 않는 한, 재질, 배치, 치수, 그 외의 수치 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히 명기하지 않는 한 상방이란 화상 형성 장치를 설치했을 때의 중력 방향 상방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우선, 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화상 형성 장치)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로서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제2, 제3, 제4 화상 형성부(SY, SM, SC, SK)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로부터 제4 화상 형성부(SY, SM, SC, SK)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13)(13Y, 13M, 13C, 13K)와 현상 카트리지(4)(4Y, 4M, 4C, 4K)의 구성 및 동작은, 형성하는 화상의 색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같다. 따라서, 이하, 특히 구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는, Y, M, C, K는 생략하고, 총괄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상 담지체로서, 연직 방향에 대해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4개의 감광층을 갖는 실린더(이하, 감광체 드럼)(1)를 갖는다. 드럼 카트리지(13)의 중력 방향 하방으로 스캐너 유닛(노광 장치)(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의 주위에는 그 감광층 상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프로세스 장치, 프로세스 부재)으로서의 대전 롤러(2) 등이 배치되어 있다.
대전 롤러(2)는,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수단(대전 장치, 대전 부재)이다. 그리고, 스캐너 유닛(노광 장치)(3)은,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를 조사하여 감광체 드럼(1) 상에 정전상(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수단(노광 장치, 노광 부재)이다. 감광체 드럼(1)의 주위에는, 현상 카트리지(4) 및 클리닝 수단(클리닝 장치, 클리닝 부재)으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4개의 감광체 드럼(1)에 대향하여, 감광체 드럼(1) 상의 토너상을 기록재(시트, 기록 매체)(12)에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제로서 비자성 일성분 현상제(이하, 토너)를 이용하여,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7)를 감광체 드럼(1)에 대해 접촉시킨 접촉 현상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시트(종이)(12) 상으로 전사하고, 시트 상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한다. 또한, 감광체 드럼(1)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드럼 카트리지(13)는 감광체 드럼(1)을 대전하는 대전 롤러(2)와, 감광체 드럼(1) 상에 전사되지 않고 잔류한 토너를 청소하는 클리닝 블레이드(6)를 구비한다. 시트(12) 상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 드럼(1) 상에 잔류한 전사 잔류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회수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회수된 전사 잔류 토너는, 개구(14b)(도 7 참조)로부터 제거 현상제 수용부(이하 폐토너 수용부라 칭함)(14a)에 수용된다. 폐토너 수용부(14a)(도 7 참조)와 클리닝 블레이드(6)는 일체화 되어 클리닝 유닛(감광체 유닛, 상 담지체 유닛)(13)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A)는 본체 프레임에 장착 가이드, 위치 결정 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의 가이드(위치 결정 수단)를 구비한다. 현상 카트리지(4)와 드럼 카트리지(13)는 전술한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색용의 현상 카트리지(4) 내에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의 토너가 수용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5)는,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구비하는 감광체 드럼(1)에 접촉하여, 도 1 중의 화살표 B 방향을 향해 회전(이동)한다. 중간 전사 벨트(5)는, 복수의 지지 부재(구동 롤러(51), 2차 전사 대향 롤러(52), 종동 롤러(53)) 둘레에 걸쳐져 연장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5)의 내주면측에는, 각 감광체 드럼(1)에 대향하도록, 일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4개의 일차 전사 롤러(8)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측에 있어 2차 전사 대향 롤러(5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2차 전사 롤러(9)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시에는, 먼저,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이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 다음으로, 스캐너 유닛(3)으로부터 발하여진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광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이 주사 노광된다. 이에 의해, 감광체 드럼(1) 상에 화상 정보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롤러(17)(도 3 참조)에 의해 토너상(현상제상)으로서 현상된다.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일차 전사 롤러(8)의 작용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 상으로 전사(일차 전사)된다.
예를 들어, 풀 컬러 화상의 형성 시에는, 상술한 프로세스가, 4개의 드럼 카트리지(13)(13Y, 13M, 13C, 13K)와 현상 카트리지(4)(4Y, 4M, 4C, 4K)에 있어 순차 행해진다. 그리고, 각 드럼 카트리지(13)의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5) 상에 겹쳐 합쳐지도록 순차적으로 일차 전사된다. 그 후, 중간 전사 벨트(5)의 이동과 동기하여 기록재(12)가 2차 전사부로 반송된다. 그리고, 중간 전사 벨트(5)와 2차 전사 롤러(9)에 의해 형성된 2차 전사부로 반송된 기록재(12) 상에 중간 전사 벨트(5) 상의 4색 토너상이 일괄하여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재(12)는, 정착 수단으로서의 정착 장치(10)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10)에 있어서 기록재(12)에 열 및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기록재(12)에 토너상이 정착된다. 또한, 일차 전사 공정 후에 감광체 드럼(1) 상에 잔류한 일차 전사 잔류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제거되어, 폐토너로서 회수된다. 또한, 2차 전사 공정 후에 중간 전사 벨트(5) 상에 잔류한 2차 전사 잔류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11)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소망하는 단독 또는 수개의(모두는 아님) 화상 형성부를 이용하여, 단색 또는 멀티 컬러의 화상을 형성할 수도 있게 되어 있다.
[프로세스 수단의 개략]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되는 드럼 카트리지(13) 및 현상 카트리지(4)의 개략에 대해 도 2, 도 3, 도 4,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13Y), 드럼 카트리지(13M), 드럼 카트리지(13C) 및 드럼 카트리지(13K)는 동일 구성이다. 또한, 옐로우색의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Y), 마젠타색의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M), 시안색의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C), 블랙색의 토너를 수납한 현상 카트리지(4K)는 동일 구성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 드럼 카트리지(13Y, 13M, 13C, 13K)를 총칭하여, 드럼 카트리지(13)라 하고, 각 현상 카트리지(4Y, 4M, 4C, 4K)를 총칭하여, 현상 카트리지(4)로 하여 설명한다. 각 카트리지 구성 부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총칭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드럼 카트리지(13)의 외관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의 회전축 방향을 Z방향(화살표 Z1, 화살표 Z2), 도 1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을 X방향(화살표 X1, 화살표 X2), 도 1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을 Y방향(화살표 Y1, 화살표 Y2)으로 한다.
드럼 카트리지(13)는, 드럼 카트리지(13) 내의 각종 요소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의 클리닝 프레임(14)을 갖는다. 감광체 드럼(1)은 이 클리닝 프레임(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감광체 드럼(1)은, 토너(현상제)에 의해 형성된 상(토너상, 현상제상)을 그 표면에 담지하도록 구성된 회전체(상 담지체)이다.
도 4는, 드럼 카트리지(13)의 감광체 드럼(1)의 회전 중심을 포함하는 가상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감광체 드럼(1)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커플링 부재(28)가 구동력을 받는 쪽(Z1 방향 측)을 드럼 카트리지(13)의 구동측(후방측)이라 부른다. 또한 축선방향에 있어서 구동측과는 반대측(Z2 방향측)을 드럼 카트리지(13)의 비구동측(전방측)이라 부른다.
드럼 카트리지(13)가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 때에는, 드럼 카트리지(13)의 구동측은 카트리지 장착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비구동측은 장착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다른 말로 하면, 드럼 카트리지(13)가 장치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 드럼 카트리지(13)의 구동측은 프린터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드럼 카트리지(13)의 비구동측은 프린터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또한, 감광체 드럼(1)의 축선방향이란, 감광체 드럼(1)의 축선(회전축선)과 평행한 방향이다. 감광체 드럼(1)의 축선이란, 감광체 드럼(1)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도록 연장하는 가상적인 직선이며, 도 4에서는 감광체 드럼(1)의 중심을 통과하는 파선에 상당한다.  커플링 부재(28)와 반대측의 단부(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비구동측의 단부)에는, 감광체 드럼(1)의 내면과 접촉하는 전극(전극부)이 있고, 이 전극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와 접촉함으로써 어스의 역할을 맡고 있다.
감광체 드럼(1)의 일단에 커플링 부재(28)를 장착하고, 또한, 감광체 드럼(1)의 타단에 비구동측 플랜지 부재(29)를 장착하여, 감광체 드럼 유닛(단순히 드럼 유닛이라고도 칭함)(30)을 형성한다. 감광체 드럼 유닛(30)은, 커플링 부재(28)를 거쳐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구동력을 얻는다.
커플링 부재(28)는, 감광체 드럼(1)의 구동측 단부에 장착된 플랜지 부재(구동측 플랜지 부재)이다. 커플링 부재(28)는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됨에 따라 본체 구동축(101)에 대해 결합 가능하다. 또한 커플링 부재(28)는 카트리지(7)가 장치 본체(100A)로부터 떼어내짐에 따라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이탈 가능하다.
또한, 드럼 유닛(30)에 설치되어 있는 감광체 드럼(1), 커플링 부재(28), 비구동측 플랜지 부재(29)는 동축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축선(축선)은 드럼 유닛(30)의 회전축선에 일치한다. 그 때문에, 드럼 유닛(30)의 축선이나 축선방향은, 감광체 드럼(1), 커플링 부재(28), 비구동측 플랜지 부재(29) 각각의 축선이나 축선방향과 같은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28)의 Z1측은 원통 형상(원통부(71))으로 되어 있다. 원통부(71)의 Z1측의 부분이 피베어링부(71c)로 되어 있다. 피베어링부(71c)가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피베어링부(71c)가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의 베어링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감광체 드럼 유닛(30)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감광체 드럼 유닛(30)의 비구동측에 설치된 비구동측 플랜지 부재(29)는,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L)의 베어링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비구동측 플랜지 부재(29)는, 감광체 드럼(1)의 단부로부터 돌출한 원통형의 부분(원통부)을 갖고, 이 원통부의 외주면(29a)이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L)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외주면(29a)은 비구동측의 피베어링부이다.
또한,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는 드럼 카트리지(13)의 구동측에 배치되고,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L)는 드럼 카트리지(13)의 비구동측에 배치되어 있다.
드럼 카트리지(13)가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후방측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108)에 부딪친다. 또한,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L)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전방측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110)에 부딪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7)는 화상 형성 장치(100A)에 위치 결정된다.
본 실시예의 Z방향에 있어서,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가, 피베어링부(71c)를 지지하는 위치를,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가, 후방측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108)에 위치 결정되는 위치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드럼 카트리지(13)가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되었을 때에, 커플링 부재(28)가 기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39R)가 피베어링부(71c)를 지지하는 위치와, 베어링 부재(39R)가 후방측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108)에 위치 결정되는 위치를 가까워지도록, 피베어링부(71c)를 배치하고 있다. 즉, 커플링 부재(28)에 설치된 원통부(71)의 외주면(71a)의 선단측(Z1 방향측)에 피베어링부(71c)를 배치했다.
마찬가지로, Z방향에 있어서,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L)가, 비구동측 플랜지 부재(2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개소는,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L)가 전방측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110)에 위치 결정되는 위치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했다. 이에 의해 비구동측 플랜지 부재(29)가 기우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 39L)가, 클리닝 프레임(14)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있어, 각각 감광체 드럼 유닛(30)을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감광체 드럼 유닛(30)은 클리닝 프레임(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또한, 클리닝 프레임(14)에는 대전 롤러(2) 및, 클리닝 블레이드(6)가 장착되어 있고, 이들은 감광체 드럼(1)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클리닝 프레임(14)에는, 대전 롤러 베어링(15)(15R, 15L)(도 7 참조)이 장착되어 있다. 대전 롤러 베어링(15)은, 대전 롤러(2)의 축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다.
도 7은, 드럼 카트리지(13) 및, 현상 카트리지(4)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대전 롤러 베어링(15)(15R, 15L)은, 도 7에 나타내는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대전 롤러(2)의 회전축(2a)은, 대전 롤러 베어링(15)(15R, 15L)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대전 롤러 베어링(15)은, 가압 수단으로서의 가압 스프링(16)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을 향해 가압된다. 이에 의해 대전 롤러(2)는 감광체 드럼(1)에 대해 접촉하여, 감광체 드럼(1)에 종동 회전한다.
클리닝 프레임(14)에는, 감광체 드럼(1)의 표면에 남은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6)가 설치된다. 클리닝 블레이드(6)는, 감광체 드럼(1)과 접촉하여, 감광체 드럼(1)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블레이드 형상 고무(탄성 부재)(6a)와, 그를 지지하는 지지 판금(6b)이 일체화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 판금(6b)은 클리닝 프레임(14)에 비스로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프레임(14)은,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회수된 전사 잔류 토너를, 회수하기 위한 개구(14b)를 갖는다. 개구(14b)에는, 감광체 드럼(1)과 접촉하여, 감광체 드럼(1)과 개구(14b) 사이를 시일하는 분출(blowout) 방지 시트(26)가 설치되어 있어, 개구(14b)의 상부 방향의 토너 누설을 방지한다.
도 3은, 현상 카트리지(4)의 외관 사시도이다.
현상 카트리지(4)는, 각종 요소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18)을 갖는다. 현상 카트리지(4)에는, 감광체 드럼(1)과 접촉하여 도 7에 나타내는 화살표 D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17)가 설치되어 있다. 현상 롤러(17)는, 감광체 드럼(1)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를 그 표면에 담지하기 위한 회전체(현상 부재)이다. 현상 롤러(17)로부터 감광체 드럼(1)에 공급된 토너에 의해, 감광체 드럼(1)의 잠상이 현상된다.
현상 롤러(17)는, 그 긴 길이방향(회전축선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 현상 베어링(19)(19R, 19L)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현상 프레임(18)에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현상 베어링(19)(19R, 19L)은, 현상 프레임(18)의 양측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제 수납실(이하, 토너 수납실)(18a)과, 현상 롤러(17)가 배설된 현상실(18b)을 갖는다.
현상실(18b)에는, 현상 롤러(17)에 접촉하여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제 공급 부재로서의 토너 공급 롤러(20)와, 현상 롤러(17)의 토너층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제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21)가 배치되어 있다.
공급 롤러(공급 부재)(20)도, 그 표면에 현상제(토너)를 담지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이며, 현상 롤러와 마찬가지로 현상제 담지체이다. 공급 롤러(20)의 표면에 담지된 토너는, 현상 롤러(17)에 공급된다.
현상 블레이드(21)는, 고정 부재(22)에 대해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일체화 되어 있다.
또한, 현상 프레임(18)의 토너 수납실(18a)에는, 수용된 토너를 교반함과 함께 토너 공급 롤러(20)에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교반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드럼 카트리지(13), 현상 카트리지(4)에 화상 형성에 관한 요소를 집약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메인터넌스 용이성이 향상된다. 바꾸어 말하면, 사용자가 드럼 카트리지(13), 현상 카트리지(4)를 장치 본체(100A)에 대해 착탈함으로써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메인터넌스가 서비스 맨만이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13) 및 현상 카트리지(4)가 각각 독립하여, 장치 본체(A)에 장착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같은 색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드럼 카트리지(13)와 현상 카트리지(4)를 1개로 유닛화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유닛화된 카트리지(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에 착탈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본체 구동축의 구성]
도 5, 도 6, 도 8, 도 9, 도 10을 이용하여, 본체 구동축(10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체 구동축의 외형도이다.
도 6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본체 구동축(101)의 회전축(회전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커플링(28)과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회전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커플링 부재(28)와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커플링 부재(28)와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구동축(101)은, 기어부(101e), 축부(101f), 러프 가이드부(101g)와 피베어링부(101d)를 갖는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로부터 기어부(101e)가 회전 구동을 얻어 본체 구동축(101)은 회전한다. 또한, 본체 구동축(101)은 그 회전축선을 따라 기어부(101e)보다도 카트리지측을 향해 돌출하는 회전 가능한 돌기 형상의 축부(101f)를 구비한다. 그리고, 모터로부터 받은 회전 구동력은 축부(101f)에 설치된 홈 형상의 구동 전달 홈(101a)(오목부, 구동 패싱부)를 통해 커플링 부재(28)를 거쳐, 드럼 카트리지(13)의 감광체 드럼(1)으로 전달된다. 또한, 축부(101f)는, 그 선단에 반구 형상(101c)을 갖는다.
이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은, 후술하는 결합부(73)의 일부가 진입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플링 부재(28)의 구동 수용면(구동 수용부)(73a)와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면으로서의 본체 구동 전달면(101b)을 구비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구동 전달면(101b)은 평면이 아니라, 본체 구동축(10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비틀어진(twisted)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비틀림 방향은, 본체 구동축(101)의 Z1 방향측이 Z2 방향측에 대해, 본체 구동축(101)의 회전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합부(73)의 실린더의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비틀림량은 1㎜당 1°정도로 하였다. 본체 구동 전달면(101b)을 비틀어진 형상으로 한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의 Z2 방향측의 면에는, 본체측 발거 테이퍼(101i)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측 발거 테이퍼(101i)는, 드럼 카트리지(13)를 장치 본체(100A)로부터 떼어낼 때에, 결합부(73)가 구동 전달 홈(101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돕기 위한 테이퍼(경사면, 경사부)이다.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
여기서, 구동 전달 홈(101a)으로부터 결합부(73)로 구동을 전달할 때에는, 본체 구동 전달면(101b)과 구동 수용면(구동 수용부)(73a)가 확실히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체 구동 전달면(101b) 이외의 면이 구동력 수용부로서의 결합부(73)와 접촉하지 않도록,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은, 회전축 방향, 둘레방향, 직경 방향의 각각으로 결합부(73)에 대해 간극(G)을 갖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도 9, 도 10 참조).
또한,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의 축선방향 선단측에는 경사면(경사부)으로서의 본체측 발거 테이퍼(101i)를 갖는다. 또한, 본체 구동축(101)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반구 형상(101c)의 중심(101h)은,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의 범위 내에 배치된다(도 8 참조). 바꾸어 말하면, 본체 구동축(101)의 축선에, 중심(101h)과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을 투영하면, 축선 상에 있어서,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의 투영 영역의 내부에, 중심(101h)의 투영 영역이 배치된다.
러프 가이드부(101g)는, 축선방향에 있어서, 축부(101f)와 기어부(101e)의 사이에 설치된다(도 6 참조). 러프 가이드부(101g)는, 축부(101f) 측의 선단에 테이퍼 형상을 갖고, 러프 가이드부(101g)의 외경 D6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커플링 부재(28)의 원통부(71)의 내주면(71b)의 내경 D2보다 작다. 또한, 러프 가이드부(101g)의 외경 D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101f)의 외경 D5보다 크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7)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삽입할 때에, 원통부(71)의 회전 중심과 축부(101f)의 회전 중심의 축 어긋남을 저감 하도록 본체 구동축(101)을 커플링 부재(28)를 따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러프 가이드부(101g)는 삽입 가이드라고 바꿔 말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7)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장착이 완료한 후는, 러프 가이드부(101g)는 내주면(71b)과 접촉하지 않는 치수 관계로 설정하고 있다.
피베어링부(101d)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부(101e)를 사이에 두고 러프 가이드부(101g)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피베어링부(101d)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10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축 지지)된다.
또한, 본체 구동축(101)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스프링 부재(103)에 의해 드럼 카트리지(13)에 가압되고 있다. 다만, 본체 구동축(101)의 Z방향의 이동 가능한 양(놀음)은, 1㎜ 정도로 후술하는 구동 수용면(73a)의 Z방향의 폭보다 충분히 작다.
이상과 같이 본체 구동축(101)에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을 마련하고, 커플링 부재(28)에 결합부(73)를 마련하여, 장치 본체(100A)로부터 드럼 카트리지(13)(드럼 유닛(30))에 구동을 전달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세 내용은 후술하지만, 결합부(73)는,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지지부(74)의 선단에 설치되고 있다. 그 때문에 결합부(73)는, 드럼 카트리지(13)를 장치 본체(100A)에 장착할 때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 이에 의해, 드럼 카트리지(13)를 장치 본체(100A)에 삽입하는 것에 수반하여, 결합부(73)가 구동 전달 홈(101a)으로 진입하고, 결합부(73)와 구동 전달 홈(101a)이 결합할 수 있다.
[커플링 부재의 구성]
도 11~19를 이용하여, 커플링 부재(28)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은, 플랜지 부재(7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플랜지 부재(70)를 Z1측으로부터 Z2측으로 본 도면이다.
도 13은, 플랜지 부재(70)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플랜지 부재(70)를 회전축 중심(회전축선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커플링 부재(28) 및,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동 전달면(73a)을 통과하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커플링 부재(28)를 회전축 중심(회전축선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플랜지 부재(70)의 성형 금형을 설명하는 설명 단면도이다.
도 18은, 조심 부재(33)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커플링 부재(28)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커플링 부재(28)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70)와, 조심 부재(33)로 이루어진다.
(플랜지 부재에 관한 설명)
플랜지 부재(70)의 구성을 도 4, 9, 11, 12, 13, 14, 15,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플랜지 부재(70)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피고정부)(72), 원통부(71), 플랜지부(75), 결합부(73), 지지부(74), 힘수용부(77)를 구비한다.
장착부(72)는 감광체 드럼(1)에 장착되기 위한 부위이다. 장착부(7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1)의 실린더의 내경에 압입되는 압입부(72d)와, 클램핑(clamping) 홈(72e)과, 압입부(72d)보다 후방측(Z2 방향측)에 설치된 압입 가이드부(72f)를 갖는다.
결합부로서의 압입부(72d)는, 감광체 드럼(1)에 압입됨으로써, 커플링 부재(28)를 감광체 드럼(1)에 고정하기 위한 부위이다. 구체적으로는, 감광체 드럼(1)의 실린더 내경과 압입부(72d)의 외형은 프레스 끼워맞춤의 관계가 되는 것 같은 치수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클램핑에 의한 체결력을 높이는 구성이나, 실린더 내경과 압입부(72d) 사이를 접착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계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램핑 홈(72e)은, 도 11,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축 방향에 있어서 압입부(72d)의 감광체 드럼(1) 측에 설치된 홈 형상(오목부)이다. 클램핑 홈(72e)은 커플링 부재(28)의 회전축선 주위 균등하게 2개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28)의 회전축선 방향에 있어서, 클램핑 홈(72e)과 플랜지부(75)는 서로 오버랩 하도록 배치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커플링 부재(28)의 회전축선에 대해서, 클램핑 홈(72e)과 플랜지부(75)를 수직으로 투영하면, 축선 상에 있어 클램핑 홈(72e)의 투영 영역과 플랜지부(75)의 투영 영역이 겹치게 된다.
또한, 「A방향에 있어서, X와 Y가 겹친다(오버랩 한다)」라고 하는 것은, 「A방향으로 평행한 가상선에 대해서, X와 Y를 투영했을 때, 그 가상선 상에 있어 X의 투영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Y의 투영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겹친다」라고 하는 것을 말한다. 감광체 드럼(1)의 커플링 부재(28)측 단의 일부에 클램핑을 행함으로써 감광체 드럼(1)을 소성 변형시킨다. 이에 의해, 감광체의 일부를 클램핑 홈(72e)의 내부로 들어가게 하여, 감광체 드럼(1)과 커플링 부재(28)를 강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클램핑이란 복수의 부품의 일부를 소성 가공하여 접합하는 동작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1)의 실린더(알루미늄)의 일부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감광체 드럼(1)의 실린더를 커플링 부재(28)와 결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1)에 커플링 부재(28)를 강고하게 고정하는 수단의 일례로서, 클램핑 홈(72e)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실린더 내경과 압입부(72d) 사이를 접착으로 고정하는 등, 다른 고정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클램핑 홈(72e)은, 필수의 구성은 아니다.
압입 가이드부(72f)는 감광체 드럼(1)에 커플링 부재(28)를 조립할 때, 감광체 드럼(1)에 커플링 부재(28)를 조립하기 쉽게 하고, 압입부(72d)의 감광체 드럼(1)에의 압입을 안정되게 행하기 위한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압입 가이드부(72f)의 외경은 압입부(72d)의 외경 및 감광체 드럼(1)의 실린더 내경보다 작고, 감광체 드럼(1)에의 장착 방향 선단측에 가이드 테이퍼(72g)를 갖는다. 가이드 테이퍼(72g)는, 커플링 부재(28)가 감광체 드럼(1)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플링 부재(28)에 설치된 경사부이다.
원통부(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베어링부(71c)를 갖는다(도 4, 11 도시). 피베어링부(71c)는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원통부(71)의 내주면(71b)의 내경 D2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72)의 내주면(72m)의 내경 D9보다 작다. 또한, 도 13,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71)의 내주면(71b)은, 전방측(Z1 방향) 선단에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이 테이퍼 형상은, 원통부(71)의 내부에 삽입되는 본체 구동축(101)을 가이드하기 위한 경사부(경사면)이다. 드럼 카트리지(13)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삽입할 때에, 원통부(71)의 회전 중심과 축부(101f)의 회전 중심의 축 어긋남을 저감하도록 본체 구동축(101)을 커플링 부재(28)를 따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면(71b)의 내경 D2는, 본체 구동축(101)의 축부(101f)의 외경 D6보다 크다. 그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13)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장착이 완료한 후는, 내주면(71b)은, 러프 가이드부(101g)와 접촉하지 않는다.
플랜지부(75)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에 있어서 압입부(72d)보다도 외측을 향해 돌출한 형상이다. 커플링 부재(28)의 감광체 드럼(1)에의 조립 시, 플랜지부(75)의 단면(75b)에 감광체 드럼(1)의 단면이 부딪히게 함으로써, Z방향에 있어서의 감광체 드럼(1)과 커플링 부재(28)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형상이다.
결합부(73)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구동축(101)과 결합하기 위해서, 적어도 커플링 부재(28)의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결합부(73)는 커플링 부재(28)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3개소 배치(120° 간격, 대략 등간격)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부의 기부(74)도 플랜지 부재(70)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3개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73)는 구동 수용면(73a)을 갖는다. 또한 기부(74)는, 피백업면(74i)과 접촉면(74h)을 갖는다.
구동 수용면(73a)이란 구동 전달 홈(101a)과 접촉함으로써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구동력 수용부이다. 플랜지 부재(70)는, 구동 수용면(73a)을 통해 구동력을 받는 구동력 수용부재이다.
지지부의 기부(74)에 설치된 접촉면(74h)은, 커플링 부재(28)가, 본체 구동축(101)과 결합 시에, 축부(101f)와 접촉하는 곡면이며, 커플링 부재(28)의 둘레방향(회전방향)을 따른 원호면이다. 접촉면(74h)의 내경을 이루는 원호의 반경 R1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101f)의 반경 R2와 대략 동일하다.
피백업면(74i)은 후술하는 조심 부재(33)의 백업부(33j)의 백업면(33t)과 접촉하는 면이며, 구동 수용면(73a)에 대해,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된다(도 12 도시).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백업면(74i)과, 구동 수용면(73a)이 이루는 각 J는 예각이 되도록 배치한다. 즉, 백업부(33j)의 백업면(33t)에 대해서, 구동 수용면(73a)은 기울어 있다.
구동 수용면(구동력 수용부)(73a)은, 지지부(73, 74)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부(73, 74)는 U자 형상의 스냅 피트이다.
커플링 부재(28)를 구성하는 실린더 부재(70)는 원통 형상(중공 형상)이다. 즉 실린더 부재(70)는 커플링 부재(28)의 중공부(내부에 공동을 갖는 부분)이다. 지지부(73, 74)의 기부(74)는 고정단인 근원부(74a)를 갖고, 근원부(74a)는 실린더(70)의 내면에 고정되고 있다.
지지부(73, 74)는 그 적어도 일부가 실린더 부재(7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73, 74)의 전체가 실린더 부재(7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있다.
도 13,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74)는, 기부(74)의 근원부(고정단)(74a)를 기점으로 하여, 커플링 부재(28)의 중공부(실린더 부재(70))의 내면으로부터 연장하고 있다. 또한, 기부(74)는 탄성변형 가능한 부분(탄성변형부)을 갖는다. 이에 의해 기부(74)는, 그 선단(자유단)에 설치된 결합부(73)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기부(74)는, 근원측 연장부(고정단측 연장부)(74t)와, 되접어 꺾인부(굴곡부, 접속부)(74r)와 자유단측 연장부(선단측 연장부)(74s)를 갖는다. 자유단측 연장부(74s)에는, 피백업면(74i)이나 접촉면(74h)이 설치되어 있다.
근원측 연장부(74t)는, 근원부(고정단)(74a)로부터, 플랜지 부재(70)의 회전축선과 대략 평행으로, Z2 방향을(즉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드럼 유닛(30)의 내측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부이다. 즉 근원측 연장부(74t)는, 되접어 꺾인부(74r)를 향해 Z2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근원측 연장부(74t)는, 결합부(73)나 자유단측 연장부(74s)에 대해서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되접어 꺾인부(74r)는 근원측 연장부(74t)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자유단측 연장부(74s)와도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즉 되접어 꺾인부(74s)는, 근원측 연장부(74t)와 자유단측 연장부(74s) 사이에 설치된 굴곡부이다. 또한 되접어 꺾인부(74s)는, 자유단측 연장부(74s)와 근원측 연장부(74t)를 접속하는 접속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되접어 꺾인부(74r)가 꺽여지는 각도는 90°보다 크게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도를 약 180°로 하였다.
되접어 꺾인부(74r)와 근원측 연장부(74t)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이다.
자유단측 연장부(74s)는, 되접어 꺾인부(74r)를 기점으로 하여, 플랜지 부재(70)의 회전축선과 대략 평행으로, Z1 방향(즉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드럼 유닛(30)의 외측)을 향해 연장하는 연장부이다. 자유단측 연장부(74s)는, 근원측 연장부(74t)에 대해서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부(74)를 접어 구부림으로써, 자유단 연장부(74s)와, 근원측 연장부(74t)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지지부(73, 74)의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접속부, 근원측 연장부(74t), 자유단측 연장부(74s)를 각각 별체(별도의 부재)로 형성하고, 근원측 연장부(74t)와 자유단측 연장부(74s)를 접속 부재(접속부)에 의해 접속하는 등의 구성도 가능하다.
자유단측 연장부(74s)는, 구동 수용면(73a)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기도 하다. 즉 자유단측 연장부(74s)는, 구동 수용면(73a)이 형성된 결합부(돌기부, 돌출부)(73)를 갖는다.
결합부(73)는, 자유단측 연장부(74s)의 선단에 설치된 돌기부이며,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즉, 자유단측 연장부(74s)가 연장하는 방향(축선방향)과, 결합부(73)가 돌출하는 방향(직경 방향)은 교차하고 있다. 결합부(73)는,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의 내부로 진입하여, 본체 구동 전달 홈(101a)과 결합하는 부분이다.
근원측 연장부(74t)와 자유단측 연장부(74s)는 드럼 유닛(30)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서로의 일부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드럼 유닛(30)의 축선에, 근원측 연장부(74t)와 자유단측 연장부(74s)를 수직으로 투영하면, 서로의 투영 영역이 적어도 일부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73)에 설치된 구동 수용면(73a)은, 커플링 부재(28)의 회전방향(둘레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면이다. 또한, 구동 수용면(73a)은 자유단측 연장부(74s)로부터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하고 있는 면이기도 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근원측 연장부(74t) 및 자유단측 연장부(74s)는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부로 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연장부(74t, 74s)가 적어도 축선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각 연장부(74t, 74s)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연장한 벡터가, 축선방향의 성분을 갖고 있으면 된다. 그 일례로서 도 64, 도 65에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측 연장부(74t)가 축선방향에 대해서 기울면서 Z2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도 64, 도 6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단측 연장부(74s)도 축선방향에 대해서 기울면서 Z1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여도, 근원측 연장부(74t)와 자유단측 연장부(74s)는 적어도 축선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고 간주한다. 또한 근원측 연장부(74t)와 자유단측 연장부(74s)는 축선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한다고 간주한다.
또한, 근원측 연장부(74t) 및 자유단측 연장부(74s)가 적어도 축선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면, 이들이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지 않아도 된다.
결합부(73)의 자유단(즉 자유단측 연장부(74s)의 선단)은, 되접어 꺾인부(74r)보다 Z1측에 배치된다. 또한, 기부(74)의 근원(고정단)(74a)도 되접어 꺾인부(74r)보다 Z1측에 배치된다.
근원측 연장부(74t)의 내측면은, 원통부(71)의 내주면(71b)의 직경과 같거나 혹은 내경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한다.
결합부(73)는 탄성변형 가능한 기부(74)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결합부(73)는 기부(74)의 변형에 의해 커플링 부재(28)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기부(74)는 외력을 받으면 변형하여, 자연 상태의 위치로 돌아오는 방향으로 복원력(탄성력)을 일으킨다.
근원측 연장부(74t)는, 근원(74a)을 시점으로 하여 경사지도록 변형한다. 또한 되접어 꺾인부(74r)는, 자유단측 연장부(74s)를 경사시키도록 변형한다. 그 결과, 각 연장부(74t, 74s)가 연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부(73)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73)가 본체 구동축(101)의 외주면에 접촉하면, 기부(74)가 탄성변형함으로써 결합부(73)는 본체 구동축(101)의 외주면을 따라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이동한다. 그 후, 결합부(73)가 본체 구동축(101)의 외주면에 설치된 본체측 구동 전달 홈(101a)과 같은 위치(같은 위상)가 되면, 기부(74)의 탄성변형이 해소되는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그러면 결합부(73)가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결합부(73)의 일부가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 부재(70)의 구동 수용면(73a)은, 플랜지 부재(70)의 축선을 중심으로 비틀어진 형상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그 비틀림량은 본체 구동 전달면(101b)과 같은 양으로 하였다.
또한, 구동 수용면(73a)은 구동축(101)과 접하는 2점의 회전방향의 위상이 다르면 된다. 즉 구동 수용면(73a)은, 비틀어진 면과 동등한 기능을 갖는 구성이면, 반드시 비틀어진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구동 수용면(73a)의 감광체 드럼 유닛(30)의 외측(Z1 방향측)이 내측(Z2 방향측)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1)의 회전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는 형상이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구동력 수용부로서의 결합부(73)의 실린더 축선방향을 따른 실린더 내측 단부와 실린더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실린더의 회전축선과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수용면(73a)은 커플링 부재(28)의 축선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부이다.
이와 같이, 구동 수용면(73a)을 비틀림 형상으로 하거나 경사진 형상으로 하거나 함으로써, 구동 수용면(73a)이 구동을 받으면, 감광체 드럼 유닛(30)에는, 본체 구동축(101)의 피베어링부(101d) 측으로 끌어당겨지는 힘이 가해진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73)는 Z방향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 유닛(30)의 외측(Z1 방향측)에, 장착시 힘 수용부로서의 삽입 테이퍼면(73d)을 갖는다. 또한, 결합부(73)는 Z방향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 유닛(30)의 내측(Z2 방향측)에, 떼어낼 때의 힘 수용부로서의 발거 테이퍼면(73e)을 갖는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28)의 본체 구동축(101)에의 장착성, 탈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착 시에, 삽입 테이퍼면(73d)과 반구 형상(101c)이 접촉하고, 결합부(73)가 구동축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된다. 또한, 뽑아낼 때에, 발거 테이퍼면(73e)과 본체측 발거 테이퍼(101i)가 접촉하고, 결합부(73)가 본체 구동축(10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73)를, Z방향에 있어서, 원통부(71)의 전방측 단면으로부터 결합부(73)의 전방측 단면까지의 거리 L1에 대해, 구동 수용면(73)의 길이 L2는, L1>L2의 관계가 되도록 배치한다.
힘수용부(77)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73)의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며. 수용면(77a)과 리브(77e)를 갖는다. 후술하는 조심 부재(33)의 백업부(33j)를, 자유단측 연장부(74s)에 설치된 피백업면(74i)과 수용면(77a)과의 사이에 끼워넣은 구성이다. 수용면(77a)과, 구동 수용면(73)은 대략 평행으로 배치된다. 리브(77e)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면(77a)의 내경측단을 기점으로, 수용면(77a)과 거의 수직으로, 장착부(72)의 내주면(72m)에 부딪치도록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73, 74) 및 구동 수용면(73a)은 적어도 그 일부가 드럼 유닛(30)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피베어링부(71c)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부(73, 74)나 구동 수용면(73a)을, 피베어링부(71c)나 베어링 부재(19R)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73, 74) 및 구동 수용면(73a)의 전체를 드럼 유닛(30)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피베어링부(71c)보다 내측에 배치하였다.
다시 말하면, 지지부(73, 74)의 적어도 일부가 감광체 드럼(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즉 지지부(73, 74)는 적어도 그 일부가, 축선방향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1)의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다른 말로 하면, 지지부(73, 74) 및 감광체 드럼(1)을, 감광체 드럼(1)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으로 투영하면, 지지부(73, 74)의 투영 영역과 감광체 드럼(1)의 투영 영역은, 서로의 적어도 일부가 겹치게 된다. 또한, 지지부(73, 74)는 적어도 그 일부가 드럼 유닛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도 감광체 드럼(1)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력 수용부(구동 수용면(73a))의 적어도 일부가 감광체 드럼(1)의 내부에 배치되고 있다. 그 때문에, 구동 수용면(73a) 및 감광체 드럼(1)을, 감광체 드럼(1)의 축선에 대해서 수직으로 투영하면, 구동 수용면(73a)의 투영 영역과 감광체 드럼(1)의 투영 영역은, 서로의 적어도 일부가 겹치게 된다.
지지부(73, 74)의 적어도 일부나 구동 수용면(73a)의 적어도 일부를 감광체 드럼(1)의 내부에 배치하면, 감광체 드럼(1)에 의해 지지부(73, 74)나 구동 수용면(73a)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73, 74)의 전체 및, 구동 수용면(73a)의 전체가 감광체 드럼(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였다.
또한, 지지부(73, 74)의 고정단인 근원부(74a)를 감광체 드럼(1)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이하의 효과가 있다. 근원부(74a)가 감광체 드럼(1)의 내부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플랜지 부재(70)(커플링 부재(28))는, 근원부(74a)의 주위에 있어서 감광체 드럼(1)에 의해 덮여, 감광체 드럼(1)에 고정된다. 감광체 드럼(1)은 강성이 높기 때문에, 플랜지 부재(70)의 감광체 드럼(1)에 덮인 부분은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지지부(73, 74)는, 근원부(74a)를 기점으로 하여 탄성변형 가능하지만, 지지부(73, 74)가 탄성변형 했다고 해도, 그 변형의 영향이 근원부(74a)의 밖으로 미치는 것을 감광체 드럼(1)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플랜지 부재(70)의 변형이 억제 당하면, 플랜지 부재(70)의 피베어링부(71c)는 안정적으로 베어링 부재(39R)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플랜지 부재(70)의 변형되기 어려운 부분에 의해, 지지부(73, 74)가 지지되게 된다. 그 결과, 지지부(73, 74)에 설치된 구동력 수용부(구동 수용면(73a))가 안정적으로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동 수용면(73a)을 감광체 드럼(1)의 내부에 마련함으로써, 본체 구동축(101)을 길게 할 수 있다. 본체 구동축(101)은, 그 고정단(피베어링부(101d))이 장치 본체에 의해 지지되고, 그 자유단(축부(101f))이 드럼 유닛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면, 본체 구동축(101)은 피베어링부(101d)와 축부(101f) 사이의 거리가 긴 편이, 드럼 유닛에 대해 크게 기울어지기 어려워진다. 즉, 장치 본체에 카트리지(7)가 장착되었을 때에, 본체 구동축(101)과 드럼 유닛을 평행으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구동 수용면(73a)을 감광체 드럼(1)의 내부에 배치하면, 축부(101f)를 감광체 드럼(1)의 내부에 삽입시켜, 축부(101f)를 감광체 드럼(1)의 내부에서 지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장치 본체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본체 구동축(101)의 길이(피베어링부(101d)와 축부(101f)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기 쉽다.
(제조 방법에 관한 설명)
본 실시예의 플랜지 부재(70)는 사출 성형(인서트 성형)에 의해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도 17을 이용하여, 플랜지 부재(70)를 성형할 때에 이용하는 금형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플랜지 부재(70)는, 플랜지부(75)가 직경 방향에 있어서 가장 외측으로 돌출한 형상이다. 이와 같은 형상을 성형하는 경우는, 도 17에 도시하는 것 같은 금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형(원통측 금형(60))과 우측의 형(장착부측 금형(61))의 2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우의 형을 맞춤으로써, 성형품과 동일 형상의 공간부(몰드 캐비티, 공동부)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에 재료를 흘려넣고, 금형 내에서 고화시킴으로써 플랜지 부재(70)가 형성된다. 금형은 플랜지부(75)를 형성하는 공간의 근방에 좌우의 형을 맞추는 개소인 형할(62)(형을 나누기 위한 면, 형을 맞추기 위한 면)을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측 금형(60)은 원통부(71)의 외주를 성형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장착부측 금형(61)은 장착부(72)를 성형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금형을 이용하여 플랜지 부재(70)를 형성하는 경우, 양산성의 관점으로부터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POM, PPS 등의 재료가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강도 등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다른 재료를 적절히 선택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열경화성 수지나 금속재료 등을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73)는, Z방향에 있어서 일단에 삽입 테이퍼(73d)를, 타단에 발거 테이퍼(73e)를 갖는다. 그 때문에, 금형의 형할(62)을 결합부(73)의 Z방향의 어느 한쪽의 단면에 배치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은, 2체로 분할하는 금형을 이용할 경우, 형할(62)을 결합부(73)의 2개의 단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시켜 버리면, 성형된 플랜지 부재(70)를 금형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즉 결합부(73)가 성형된 후에 2개의 금형을 결합부(73)로부터 떼어내려고 했을 때에, 적어도 일방의 금형이 결합부(73)에 간섭하여 이동시킬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형할(62)은 가능한 한 스트레이트하게 작성하는 편이,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다. 그 결과, 고정밀도로 형할(62)을 제작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형할(62)을 가능한 한 스트레이트하게 작성하면, 수지 누설 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결합부(73)의 형할(62)을 스트레이트로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삽입 테이퍼(73d)보다, 구동 수용면(73a)을 감광체 드럼 유닛(30)의 후방측(Z2측)에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 테이퍼(73d)의 단과, 구동 수용면(73a)의 단을 Z방향에 있어 같은 위치에 배치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랜지 부재(70)를 성형할 때에는, 이하와 같이 되도록 형할(62)이 배치되고 있다. 즉 구동 수용면(73a) 및, 기부(74)의 Z2 방향측으로부터 보이는 면을 장착부측 금형(61)으로 형성한다. 또한, 삽입 테이퍼(73d) 및, 기부(74)의 Z1 방향측으로부터 보이는 면을 원통측 금형(60)으로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근원측 연장부(74t)의 내측면은, 원통부(71)의 내주면(71R)의 직경과 같거나 혹은 내경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하였다. 이에 의해, 근원측 연장부(74t)가 원통부측 금형(60)에 걸려 원통부측 금형(60)의 이동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Z방향으로부터 플랜지 부재(70)를 보았을 때(축선방향을 따라 플랜지 부재(70)를 보았을 때)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힘수용부(77)는, 결합부(73) 및, 기부(74)와 오버랩 하지 않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즉 축선방향을 따라 플랜지 부재(70)를 보았을 때에, 힘수용부(77)는, 결합부(73)나 기부(74)에 대해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금형의 두께를 고려하면 힘수용부(77)는, 결합부(73) 및 기부(74)로부터 1㎜ 정도의 간극를 갖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심 부재에 관한 설명)
이어서, 조심 부재(위치 결정 부재)(33)의 구성을 도 10, 15, 16, 18,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심 부재(33)는 바닥을 향해 오므라든 오목부(역원추형상(33a))를 갖는다. 역원추형상(33a)이란 거의 원추형상의 오목하게 패인 부분(오목부)이며, 드럼 유닛(30)의 축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드럼 유닛(30)의 축선방향에 있어서, 구동 수용면(73a)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 조심 부재(33)의 상세한 형상을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심 부재(33)는, 역원추형상(33a)과, 감합부(33b)와, 빠짐방지부(33c; retaining portion)와, 백업부(33j)를 갖는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심 부재(33)를, 플랜지 부재(70)의 Z2측으로부터 Z1측으로, 회전축선을 따라 조립함으로써, 커플링 부재(28)를 구성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원추형상(33a)은 결합부(73)보다 감광체 드럼 유닛(30)의 내측(Z2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Z방향을 따라 조심 부재(33)를 보았을 때에, 역원추형상(33a)의 중심과 감광체 드럼(1)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플랜지 부재(70)와 조심 부재(33)는 조립된다.
역원추형상(33a)은, 감광체 드럼(1)의 회전 구동 시에 본체 구동축(101)의 선단의 반구 형상인 반구 형상(101c)과 접촉하는 접촉부(33e)를 갖는다. 또한, 역원추형상(33a)은 대략 역원추형상(대략 원추형상으로 우묵하게 패인 형상)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심 부재(33)는, Z방향에 있어서, 접촉부(33e)와 반구 형상(101c)이 접촉한 상태에서, 본체 구동축(101)의 반구 형상(101c)의 중심(101h)이, 구동 수용면(73a)의 범위 내에 있도록, 플랜지 부재(70)에 장착된다.
역원추형상(33a)에 설치된 접촉부(33e)가, 본체 구동축(101)의 반구 형상(101c)에 접촉함으로써, 본체 구동축(101)에 대해서 드럼 유닛(30)이 위치 결정된다.
즉, 역원추형상(33a)은, 본체 구동축(101)에 대해서 드럼 유닛(30)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와,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역원추형상(33a)은 직경 방향 위치 결정부이며, 축선방향 위치 결정부이기도 하다.
또한 직경 방향 위치 결정부 및 긴 길이방향 위치 결정부는, 역원추형상(33a)과 같은 원추형상의 우묵하게 패인 부분일 필요는 없다. 직경 방향 위치 결정부 및 긴 길이방향 위치 결정부는 본체 구동축(101)에 접촉했을 때에, 본체 구동축(101)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 유닛(3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면 그 형상은 묻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들은 저부를 향하게 됨에 따라 좁아지는 오목하게 패인 부분(오목부)이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은 것으로 하여 각뿔(사각뿔 등)과 같은 원추가 아닌 뿔꼴 형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역원추형상(33a)과 같이, 커플링 부재(28)의 축선에 대해서 대칭인 원추형상의 오목부라면, 커플링 부재(28)의 위치(드럼 유닛(30)의 위치)를 특히 정밀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역원추형상(33a)은 본체 구동축(101)과 접촉하기 위한 영역이 있으면 되기 때문에, 접촉하지 않는 영역은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본체 구동축(101)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인 역원추형상(33a)의 바닥은 없어도 되고, 역원추형상(33a)의, 바닥이 없는 오목부여도 된다.
감합부(33b)는, 조심 부재(33)를 플랜지 부재(70)에 대해 장착하기 위해 설치된 개소이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70)는 감합부(33b)에 대응하는 개소에 피감합부(72a)를 갖는다. 또한, 감합부(33b)는, 접촉부(33e)보다 감광체 드럼 유닛(30)의 내측(Z2 방향측)에 배치된다.
빠짐방지부(33c)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갈고리(hook) 형상이며, 조심 부재(33)의 플랜지 부재(70)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이다. 또한, 플랜지 부재(7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짐방지부(33c)에 대응하는 개소에, 구멍 형상(72b)을 갖는다.
백업부(33j)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70)의 피백업면(74i)과 수용면(77a)과의 간극에 조립되어, 결합부(73)의 회전방향 상류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형상이다. 그 때문에, 백업부(33j)의 두께는, 피백업면(74i)과 수용면(77a)과의 간극과 대략 같게 한다.
즉 백업부(33j)는, 피백업면(74i)과 접촉함으로써, 결합부(73)(구동 수용면(73a))이 플랜지 부재(70)의 둘레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부분이다. 또한, 조심 부재(33)는 백업부(33j)를 갖는 백업 부재이다.
또한 조심 부재(33)는, 본체 구동축(101)에 대한 플랜지 부재(70)(드럼 유닛(30))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부재이기도 하다. 조심 부재(33)에 설치된 오목부(역원추형상(33a))가 위치 결정부로서 본체 구동축(101)의 선단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본체 구동축(101)에 대해서, 플랜지 부재(70)의 축선방향의 상대 위치와 직경 방향의 상대 위치가 함께 결정되게 되어 있다.
또한, Z방향으로부터 보아, 백업부(33j)의 결합부(73) 측의 능선을 통과하는 원은 그 중심이 역원추형상(33a)과 같게 되도록 배치되고, 그 원의 직경은 D8이다. 직경 D8은, 본체 구동축(101)의 축부(101f)의 외경 D5와 대략 같거나 혹은, 각각의 치수 정밀도를 가미했을 때에, D8≥D5가 되도록 작성한다. 또한, 백업부(33j)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방향에 있어서, 구동 수용면(73a)과 겹치도록 배치한다.
[카트리지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의 장착]
도 20, 도 21을 이용하여, 드럼 카트리지(13)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의 착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드럼 카트리지(13)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드럼 카트리지(13)의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는 카트리지를 장착 가능한 공간을 그 내부에 구비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앞쪽(사용 시에 유저가 서는 방향)에 카트리지를 전술한 공간으로 삽입하기 위한 카트리지 도어(104)(프론트 도어)를 갖는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카트리지 도어(104)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도어(104)를 열면, 드럼 카트리지(13)을 가이드 하는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105)이 전술한 공간의 저면에, 카트리지 상 가이드 레일(106)이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드럼 카트리지(13)는 전술한 공간의 상하에 설치된 상하의 가이드 레일(105, 106)에 의해 장착 위치로 안내된다. 드럼 카트리지(13)는 감광체 드럼 유닛(30)의 축선을 대략 따라서, 장착 위치로 삽입된다.
이하에, 도 21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3)는, 삽입 개시 시에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 및 감광체 드럼(1)이 중간 전사 벨트(5)에 접촉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드럼 카트리지(13)의 삽입 방향 후방측의 단부가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105)에 지지된 상태에서, 감광체 드럼(1)과 중간 전사 벨트(5)가 접촉하지 않는 치수 관계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는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105)의 삽입 방향 후방측에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105)보다 중력 방향 상방을 향해 돌출한 후방측 카트리지 하 가이드(107)를 구비한다. 이 후방측 카트리지 하 가이드(107)는 드럼 카트리지(13)의 삽입 방향 전방측에 테이퍼면(107a)을 구비한다. 삽입에 수반하여, 드럼 카트리지(13)는 테이퍼면(107a)에 올라타 장착 위치로 가이드 된다.
또한, 후방측 카트리지 하 가이드(107)의 위치나 형상은,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100A)에 삽입할 때에, 카트리지의 일부가 중간 전사 벨트(5)의 화상 형성 영역(5A)과 마찰하지 않도록 마련하면 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영역(5A)이란 중간 전사 벨트(5)의 기록재(12)에 전사하는 토너상이 담지되는 영역을 가리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착 자세를 유지한 카트리지 중, 드럼 카트리지(13)의 삽입 방향 후방측에 설치된 유닛 베어링 부재(39R)가 중력 방향 상방으로 가장 돌출하고 있다. 그 때문에,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의 가장 삽입 방향 후방측의 단부가 삽입 시에 그리는 궤적(이후, 삽입 궤적이라 부름)과 화상 형성 영역(5A)이 간섭하지 않도록, 각 요소의 배치와 형상을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그 후, 도 2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3)는 후방측 카트리지 하 가이드(107)에 올라탄 상태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후방측으로 더 삽입된다. 그리고,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후방측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108)에 부딪친다. 이 때 드럼 카트리지(13)(감광체 드럼 유닛(30))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장착 완료된 상태(도 21(d))보다도, 0.5에서 2°정도 기운 상태가 된다. 즉, 드럼 카트리지(13)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 드럼 카트리지(13)(감광체 드럼 유닛(30))의 하류측이 상류측보다 들어올려진 상태로 된다.
도 21(d)는 카트리지 도어(104)가 닫힌 상태의 장치 본체와 카트리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A)는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105)의 삽입 방향 전방측에 전방측 카트리지 하 가이드(109)를 갖는다. 이 전방측 카트리지 하 가이드(109)는 카트리지 도어(프론트 도어)(104)의 개폐에 연동하여 오르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저에 의해 카트리지 도어(104)가 닫혀지면, 전방측 카트리지 하 가이드(109)가 상승한다. 그리고,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L)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전방측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110)가 접촉하고, 드럼 카트리지(13)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드럼 카트리지(13)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장착이 완료된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13)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로부터의 발거는, 상술한 삽입 동작과 역순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 장착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13)를 장치 본체(100A)에 장착할 때에, 감광체 드럼과 중간 전사 벨트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감광 드럼의 표면 또는 중간 전사 벨트의 표면에 미소한 상처(찰상)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개시한 구성은 장치 본체에 카트리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장착한 다음에 카트리지 전체를 리프트 업 시키는 구성과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커플링 부재의 본체 구동축에의 결합 과정]
이어서, 커플링 부재(28)와 본체 구동축(101)의 결합 과정을 도 22, 23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본체 구동축(101)에의 커플링 부재(28)의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체 구동 전달 홈(101a)과 결합부(73)(구동 수용면(73a))의 위상이 맞지 않은 상태로부터 본체 구동축(101)이 회전하여, 위상이 맞았을 때의 본체 구동축(101)에 커플링 부재(28)의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2(a)는, 커플링 부재(28)가 본체 구동축(101)과 결합 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2(e)는, 드럼 카트리지(13)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23(e)는, 카트리지 도어(104)가 닫힘에 따라, 전방측 카트리지 하 가이드(109)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드럼 카트리지(13)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대해서 위치 결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22(b)로부터 (d)는, 도 22(a)와 도 22(e)의 사이에서, 커플링 부재(28)와 본체 구동축(101)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본체 구동축(101)은 그 자중에 의해 미소 각도만큼 중력 방향 하방을 향해 처져 있다.
또한, 도 23(a)은, 본체 구동 전달 홈(101a)과 결합부(73)(구동 수용면(73a))의 위상이 맞지 않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3)는 후방측 카트리지 하 가이드(107)에 올라탄다. 즉, 드럼 카트리지(13)는, 도 21(a)로부터 도 21(b)의 상태가 되기까지, 서서히 기울기를 증가시키면서 약 0.5에서 2°정도 기운 상태로 된다. 그리고, 드럼 카트리지(13)는 후방측 카트리지 하 가이드(107)에 올라탄다.
마찬가지로,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28)는, 드럼 카트리지(13)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 상태일 때(도 22(e) 도시)에 대해, 약 0.5에서 2°정도 기운 상태에서 본체 구동축(101)에 대해 삽입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구동축(101)은, 피베어링부(101d)가 외팔 지지되고 있다. 또한, 기어부(101e)는, 기어부(101e)에 구동을 전달하는 기어(도시하지 않음)와 맞물리고 있다. 도 22(a)는, 본체 구동축(101)이 커플링 부재(28)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 있어, 드럼 카트리지(13)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 상태(도 22(e) 도시)에 대해, 피베어링부(101d)를 회전 중심으로, 자중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정해지는 방향으로 θ1 쓰러진다.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커플링 부재(28)의 원통부(71)의 내주면(71b)의 선단이, 본체 구동축(101)의 러프 가이드부(101g)에 접촉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구동축(101)은 피베어링부(101d)가 외팔 지지되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본체 구동축(101)의 러프 가이드부(101g)가, 커플링 부재(28)의 내주면(71b)을 따르는 상태로, 본체 구동축(101)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73)는, Z방향에 있어서, 원통부(71)의 전방측 단면으로부터 결합부(73)의 전방측 단면까지의 거리 L1에 대해, 구동 수용면(73)의 길이 L2는, L1>L2의 관계가 되도록 배치된다(도 14 도시). 이 때문에, 본체 구동축(101)의 선단의 반구 형상(101c)이, 결합부(73)에 닿기 전에, 본체 구동축(101)의 러프 가이드부(101g)가, 커플링 부재(28)의 내주면(71b)을 따른다. 이에 의해, 본체 구동축(101)은, 커플링 부재(28)에 대해 가이드 된다. 이에 의해, 본체 구동축(101)의 선단의 반구 형상(101c)이, 결합부(73) 혹은, 기부(74)의 예기치 못한 장소에 부딪히거나, 그들을 파손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22(b)로부터 커플링 부재(28)를 본체 구동축(101)의 후방측을 향해 더 삽입하면, 결합부(73)의 삽입 테이퍼면(73d)과 본체 구동축(101)의 선단의 반구 형상(101c)이 접촉한다. 삽입 테이퍼면(73d)의 사면과 반구 형상(101c)의 구 형상에 의해, 본체 구동축(101)은 3개의 결합부(73)의 대략 중앙으로 가이드 된다.
커플링 부재(28)가, 본체 구동축(101)에 더 삽입되면, 결합부(73)가 반구 형상(101c)을 따르도록 기부(74)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변형 한다. 그 결과, 도 2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73)는 본체 구동축(101)의 축부(101f)의 외경까지 이동(퇴피)한다. 이 이동에 의해, 도 2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73)의 발거 테이퍼면(73e)이, 본체 구동축(101)의 본체측 발거 테이퍼(101i)로부터 Z방향 후방측에 올 때까지, 커플링 부재(28)가, 본체 구동축(101)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부(7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근원측 연장부(74t) 및 되접어 꺾인부(74r)를 갖는다. 결합부(73)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때, 기부(74)는, 근원측 연장부(74t)와, 되접어 꺾인부(74r)의 각각이 탄성변형하므로, 근원측 연장부(74t)만이 탄성변형하는 구성에 비해, 작은 힘으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13)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장착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부(74)는 되접어 꺾인부(74r)를 구비함으로써, Z방향에 있어서 한정된 스페이스에 배치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플랜지 부재(70)가 Z2 방향으로의 대형화되는 일 없이, 드럼 카트리지(13)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장착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13)의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L)가 전방측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110)에 부딪치도록 드럼 카트리지(13)가 들어 올려진다. 드럼 카트리지(13)가 들어 올려짐으로써, 드럼 카트리지(13)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가 된다(도 21(d) 도시). 이 드럼 카트리지(13)의 동작에 의해, 도 22(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28)의 기울어짐이 해소된다.
그리고, 본체 구동축(101)이 회전하면,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구동 전달 홈(101a)과, 결합부(73)가 동 위상으로 된다. 이에 의해 기부(74)의 탄성변형이 적어도 일부 해소되고, 결합부(73)의 일부가,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에 들어가, 커플링 부재(28)와 본체 구동축(101)이 결합한다.
또한, 본체 구동 전달 홈(101a)과 결합부(73)의 위상이 맞아 있는 경우는, 도 22(d)의 단계에서 기부(74)의 탄성변형이 해제되고, 도 23(b)의 상태가 되며, 본체 구동축(101)의 구동력을 커플링 부재(28)를 거쳐, 드럼 카트리지(13)에 전달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드럼 카트리지(13)를 장치 본체(100A)에 장착하는 것에 수반하여, 본체 구동 전달 홈(101a)과 결합부(73)가 결합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본체 구동축(101)을 움직여서, 커플링 부재(28)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다. 즉 본체 구동축(101)을 커플링 부재(28)와 결합하도록 움직이는 기구를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100A)에 마련할 필요가 없다. 드럼 카트리지(13)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장착 후에, 본체 구동축(101)을 커플링 부재(28)에 결합하는 것 같은 기구를 장치 본체(100A)로부터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드럼 카트리지(13)가 장치 본체(100A)에 장착될 때에, 커플링 부재(28)의 결합부(73)가, 본체 구동축(101)에 접촉함으로써 직경 방향 외측으로 퇴피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결합부(73)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본체 구동축(101)의 홈(본체 구동 전달 홈(101a))에 결합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커플링 부재에 구동을 받기 위한 홈을 마련하고, 본체 구동축(101) 쪽에, 직경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홈과 결합 가능한 가동부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드럼 카트리지(13)에 비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는 보다 높은 내구성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동부(결합부(73))를 드럼 카트리지(13)의 커플링 부재(28) 측에 마련한 편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내구성을 높이는데 있어서는 바람직하다.
[본체 구동축에 의한 커플링 부재의 구동]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커플링 부재(28)에의 회전 구동의 전달에 관해서,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커플링 부재(28)의 구동 수용면(73a)이, 본체 구동 전달면(101b)에 부딪치면, 감광체 드럼 유닛(30)에 클리닝 블레이드(26), 대전 롤러(22) 등이 부하를 준다. 즉, 구동 수용면(73a)은, 부하(구동력) F1를 받으면서, 구동 전달면(101b)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 구동력 F1을 구동 수용면(73a)이 받으면, 피백업면(74i)과, 구동 수용면(73a)이 이루는 각 J는 예각이므로, 피백업면(74i)과 수직 방향의 성분 Fv와 피백업면(74i)과 평행한 방향의 성분 Fh로 나눌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의 성분 Fv는 결합부(73)의 구동 수용면(73a)과 반대측의 피백업면(74i)에 전해진다. 결합부(73)는, 백업부(33j), 리브(77e)를 거쳐, 장착부(72)로 백업되고 있으므로, 결합부(73)는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거의 변형하지 않는다.
또한 평행 방향의 성분 Fv를 결합부(73)가 받으면, 접촉면(74h)이, 본체 구동축(101)의 축부(101f)에 접촉하고, 결합부(73)가 백업된다.
또한 피백업면(74i)에 대해서 평행한 힘의 성분 Fv에 의해, 결합부(73)(구동 수용면(73a))은, 구동 전달 홈(101a)의 내부를 향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게 된다.
즉 백업부(33j)의 백업면(33t)이나, 피백업면(74i)은, 구동 수용면(73a)에 대해서 기울어 있다. 이 결과, 구동 수용면(73a)이 본체 구동축(101)의 구동 전달 홈(101a)으로부터 힘을 받아, 피백업면(74i)이 백업면(33t)에 접촉하면, 결합부(73)는 백업면(33t)을 따라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즉, 백업면(33t)이나 피백업면(74i)은, 구동 수용면(73a)에 대해서 경사져 있음으로써, 백업면(33t)과 피백업면(74i)이 접촉했을 때에, 결합부(73)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가압하기 위한 힘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 구동 수용면(73a)을 따라 연장된 직선과, 백업면(33t)을 따라 연장된 직선은, 커플링 부재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구동력 수용면(73a)보다도 외측에서 교차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28)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백업면(33t)은, 그 내경측이 그 외경측보다도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고 있다. 피백업면(74i)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결합부(73)에 설치된 구동력 수용면(73a)은, 결합부(73)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경사부이다. 결합부(73)는, 커플링 부재(28)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해 퇴피하도록 이동 가능하지만, 그 방향에 대해서 구동력 수용면(73a)이 경사지고 있다.
다른 말로 하면, 구동력 수용면(73a)이 구동 전달 홈(101a)과 접촉한 상태에서, 구동력 수용면(73a)이 구동 전달 홈(101a)에 파고 들어가도록, 구동력 수용면(73a)이 경사지고 있다. 그 때문에, 구동력 수용면(73a)이 구동 전달 홈(101a)으로부터 구동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는, 결합부(73)가 구동 전달 홈(101a)으로부터 퇴피하기 어렵다. 즉 결합부(73)와 구동 전달 홈(101a)의 결합 상태가 안정화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구동 수용면(73a)은, 커플링 부재(28)의 내경측(선단측) 쪽이 외경측(후단측)보다도 커플링 부재(28)의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있다. 즉 구동 수용면(73a)은, 적어도 커플링 부재(28)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면하도록 경사지고 있다. 즉 구동 수용면(73a)과 수직으로 구동 수용면(73a)의 면하는 측으로 연장하는 법선 벡터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외측 방향의 성분을 갖는다.
그 때문에 커플링 부재(28)(감광체 드럼 유닛(30))이 회전할 때에는, 구동 수용면(73a)이 받는 힘은, 결합부(73)를 본체 구동 전달 홈(101a)과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구동 수용면(73a)이 받은 구동력에 의해 결합부(73)는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가압된다. 이 결과, 결합부(73)와 본체 구동 전달 홈(101a)과의 결합 상태가 안정되어 결합부(73)와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의 결합이 풀리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구성의 결과, 구동 수용면(73a)을, 안정되게 본체 구동 수용면(101a)에 접촉시킬 수 있고, 감광체 드럼 유닛(30)을, 본체 구동축(101)의 피베어링부(101d)측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 또한, 부하 F1이 변동해도, 결합부(7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백업되고 있기 때문에, 결합부의 변형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감광체 드럼(1)의 회전량도 거의 변화하지 않아, 그 결과, 화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백업부(33i)가 조심 부재(위치 결정 부재)(33)에 설치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백업부(33i)를 조심 부재(33)와는 다른 부재에 설치해도 된다.
즉 백업부(33i)를, 본체 구동축(101)에 대한 드럼 유닛(30)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역원추형상(33a))와는 다른 부재에 설치해도 된다.
[커플링 부재의 본체 구동축으로부터의 발거]
커플링 부재(28)의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의 발거 동작에 관해서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커플링 부재(28)의 발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구동축(101)의 회전 구동이 정지한 시점에서, 구동 수용면(73a)과 본체 구동 전달면(101b)은 접촉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결합부(73)의 일부가 본체 구동 전달 홈(101a)에 진입하여 있다.
카트리지 도어(104)가 열리면, 전방측 카트리지 하 가이드(109)가 하강하고,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L)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전방측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110)로부터 멀어진다. 이 때 커플링 부재(28) 및, 본체 구동축(101)은,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완료 상태(Z방향)에 대해, 약 0.5에서 2°정도 기운 상태로 된다.
드럼 카트리지(13)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로부터 발거 개시하면, 도 2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73)의 발거 테이퍼면(73e)이, 본체측 발거 테이퍼(101i)와 부딪친다. 발거 테이퍼면(73e)이, 본체측 발거 테이퍼(101i)에 부딪힘으로써, 기부(74)가 탄성변형하기 시작하여, 결합부(73)를 본체측 발거 테이퍼(101i)를 따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커플링 부재(28)가,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더 발거되면, 기부(74)가 더욱 탄성변형하고, 결합부(73)를, 본체 구동축(101)의 축부(101f)의 외경까지 이동시킨다. 결합부(73)가 축부(101f)의 외경까지 이동함으로써, 도 2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28)를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발거 가능하게 한다.
커플링 부재(28)가,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더 발거되면, 도 24(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74)의 탄성변형이 해제되어, 결합부(73)의 위치도 탄성변형 전의 위치로 돌아간다.
이상 본 실시예의 커플링 부재를 이용하면, 플랜지 부재(70)의 Z2 방향으로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드럼 카트리지(13)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장착력을 낮게 억제하고, 감광체 드럼(1)의 회전량의 변화를 억제하여, 화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부(74)는, 되접어 꺾인부(74r)를 각각 1개소 마련하였지만, 커플링 부재(28)의 내주면(72m)의 스페이스상 배치 가능하면, 되접어 꺾인부(74r)를 복수 갖는 구성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부(74)의 고정단으로부터 자유단을 향하게 됨에 따라 이하의 구성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즉, (1) 축선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하고 있는 연장부, (2) 되접어 꺾인부, (3) 축선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연장하고 있는 연장부, (4) 되접어 꺾인부, (5) 축선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연장하고 있는 연장부이다. 이 경우에는 기부(74)는 연장부를 3개 갖고 S자 형상으로 된다. 되접어 꺾인부가 1개인 경우와 복수 있는 경우의 어느 경우이던, 기부(74)는 축선방향에 있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적어도 갖는다. 도 13, 도 14 등에 나타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근원측 연장부(74t)와 자유단측 연장부(74s) 중, 일방이 제1 연장부에 상당하고, 타방이 제2 연장부에 상당한다.
예를 들어 지지부의 가장 자유단측에 배치된 자유단측 연장부(74s)를 제1 연장부로 하면, 이에 접속되는 근원측 연장부(74t)가 제2 연장부이다. 이 경우에는 제1 연장부(74s)는 제2 연장부(74t)로부터 지지부의 자유단을 향해 연장하고 있고, 제2 연장부(74t)는, 지지부의 고정단으로부터 제1 연장부(74s)를 향해 연장하고 있다고 말할 수도 있다.
<실시예 2>
제2 실시예를 도 25로부터 도 3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128)를 회전축 중심(회전축선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128)와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에서, 구동 수용면(73a)을 통과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관한 플랜지 부재(170)를 Z방향 외측으로부터 본 도면과,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실시예에 관한 내측 원통 부재(140)를 Z1측으로부터 Z2측으로 본 도면과,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128)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128)의 조립 순서를 Z방향 외측, 및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요소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요소와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한다. 그러한 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요소와 달리 되어 있는 구성이나 작용 등에 대해 특히 상세하게 설명하고, 전술한 요소와 마찬가지인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에 더하여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에서는, 커플링 부재(28)를 플랜지 부재(70)와 조심 부재(33)의 2 부품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128)를,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170)와, 내측 원통 부재(140)로 구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랜지 부재(170)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72), 원통부(171), 플랜지부(175), 힘수용부(177), 조심부(133a), 원통 부재 누름부(178)를 갖는다. 내측 원통 부재(140)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174)와, 결합부(173)와, 감합부(140a)와, 빠짐방지부(140b)와, 회전멈춤부(140c)를 갖는다.
기부(174) 및 결합부(173)는, 실시예 1의 기부(74) 및 결합부(73)와 마찬가지로, 구동력 수용부(구동 수용면(173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형성한다. 이 지지부(174, 173)는 U자 형상을 갖는 스냅 피트이다. 내측 원통 부재(140)는, 결합부(173)에 설치된 구동 수용면(173a)(도 28 참조)에 의해, 장치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구동력 수용부재이다.
플랜지 부재(170)는, 내측 원통 부재(140)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피전달 부재이다.
(플랜지 부재에 관한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170)는,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72), 원통부(171), 플랜지부(175), 힘수용부(177), 역원추형상(133a), 원통 부재 누름부(178)를 갖는다.
장착부(172)는, 실시예 1의 장착부(72)와 마찬가지로, 감광체 드럼(1)에 장착되기 위한 부위이다. 장착부(172)는, 감광체 드럼(1)의 내주에 접착되거나, 감광체 드럼(1)의 내주에 압입되거나 한다.
원통부(171)는, 실시예 1의 피베어링부(71c)와 동등한 피베어링부를 가지고 있고, 이 피베어링부에 의해 드럼 유닛 베어링 부재(39R)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플랜지부(175)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Z방향에 있어서의 감광체 드럼(1)과 커플링 부재(128)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형상이다.
힘수용부(177)는, 커플링 부재(128)가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구동을 받았을 때에, 후술하는 내측 원통의 피백업면(174i)과 접촉하여, 결합부(173)가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이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128)의 상태에서, 결합부(173)의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된다.
힘수용부(177)는, 피백업면(174i)과 평행이며, 피백업면(174i)과 접촉하는 수용면(177a)과, 수용면(177a)과 수직으로 배치되며, 수용면의 내경 끝으로부터, 장착부(172)로 연장하는 리브(177e)를 갖는다.
수용면(177a)은, 결합부(173)(구동 수용면(173a))가 커플링 부재(128)의 둘레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백업부이다. 또한 플랜지 부재(170)는, 백업부(수용면(177a))를 갖는 백업 부재이다.
나아가, 수용면(177a)은, 피백업면(174i)과 접촉함으로써, 내측 원통 부재(140)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된다. 즉, 결합부(173)의 구동 수용면(173a)이 장치 본체로부터 받은 구동력은, 피백업면(174i)과 수용면(177a)을 거쳐 내측 원통 부재(140)로부터 실린더 부재(170)로 전달된다. 수용면(177a)은, 내측 원통 부재(140)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기 위한 피전달부이기도 하다.
역원추형상(133a)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대략 역원추의 형상이다. Z방향에 있어서, 접촉부(133e)와 반구 형상(101c)이 접촉한 상태에서, 본체 구동축(101)의 반구 형상(101c)의 중심(101h)이, 구동 수용면(173a)의 범위 내에 있도록, 플랜지 부재(170)에 배치된다.
원통 부재 누름부(178)는, 힘수용부(177)의 후방측(Z2측)에 설치된 공극이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72)의 내주면(172m) 내, 직경 방향에 있어서 결합부(173)에 대응하는 개소의 반경 R19는, 원통부(171)의 내주면(171b)의 반경 R12보다 크다.
(내측 원통에 관한 설명)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원통(140)은, 지지부의 기부(174)와, 지지부의 결합부(173)와, 감합부(140a)와, 빠짐방지부(140b)와, 회전멈춤부(140c)를 가진다(도 28 도시).
결합부(173)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동 수용면(173a)을 갖는다.
기부(174)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근원측 연장부(174t)와, 되접어 꺾인부(174r)와, 자유단측 연장부(174s)를 갖는다. 자유단측 연장부(174s)는, 피백업면(174i)과 접촉면(174h)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원측 연장부(174t)와 자유단측 연장부(174s) 각각은, 실시예 1의 근원측 연장부(74t)와 자유단측 연장부(74s) 각각에 대해서, 연장하는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근원측 연장부(174t)는, 근원부(174a)로부터, 플랜지 부재(170)의 회전축선과 대략 평행으로, Z1 방향(드럼 유닛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있고, 근원측 연장부(174s)나 결합부(173)에 대해서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되접어 꺾인부(174r)는, 근원측 연장부(174s)의 고정단측과, 근원측 연장부(174t)의 자유단측을 연속적으로 잇는 굴곡부이다.
근원측 연장부(174s)에는, 그 거의 전역에 결합부(173)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173)는 근원측 연장부(174s)가 갖는 돌기부이며, 결합부(173)에 구동력 수용부(구동 수용면(173a))가 설치된다.
기부(174)는, 근원측 연장부(174t)와, 되접어 꺾인부(174r)의 각각이 탄성변형한다. 근원측 연장부(174t)만이 탄성변형하는 구성에 비해, 작은 힘으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결합부(173)의 자유단측(자유단 연장부(174s)의 선단측)과, 기부(174)의 근원(174a)은 모두 되접어 꺾인부(174r)보다 Z2측에 배치된다.
감합부(140a)는 기부(174) 및, 결합부(173)보다 후방측에 배치되어, 조심부(133a)의 외주면에 감합함으로써, 플랜지 부재(170)와 내측 원통 부재(140)의 중심을 고정밀도로 맞추기 위한 부분이다.
빠짐방지부(140b)는, 플랜지 부재(170)로부터 내측 원통 부재(14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측 원통 부재(140)가, 플랜지 부재(170)에 조립된 후에, 원통 부재 누름부(178)에 들어감으로써 탈락을 방지한다. 빠짐방지부(140b)는,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170)에 내측 원통 부재(140)에 조립된 상태(도 29(b) 도시)에 대하여, 회전방향 상류측에 있어, 플랜지 부재(170)의 힘수용부(177)와 간섭을 피하는 릴리프부(140d; relief portion)를 갖는다.
회전멈춤부(140c)는, 플랜지 부재(170)에 내측 원통 부재(140)가 조립된 후에, 내측 원통 부재(140)가 회전방향 상류측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고, 빠짐방지부(140b)가, 원통 부재 누름부(178)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냅 피트 형상이다.
(커플링 부재의 조립)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128)는 플랜지 부재(170)와 내측 원통 부재(140)로 이루어진다. 도 29, 도 30을 이용하여, 커플링 부재(128)의 조립을 설명한다.
도 29(c), 도 30(c)는 각각, 커플링 부재(128)의 조립 완료 상태를 나타낸다.
우선 도 29(a), 도 3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170)에 대해, 내측 원통 부재(140)를 Z1측으로부터 Z2측을 향해 조립한다. 이 때 내측 원통 부재(140)는, 도 29(c), 도 30(c)의 조립 완료 상태에 대해서, 커플링 부재(128)의 회전방향 상류측의 위상에서 조립한다. 이 위상에 있어서, 빠짐방지부(140b)의 릴리프부(140d)와, 힘수용부(177)의 위상이 맞아 있다. 이 때문에, 도 29(b),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방향에 있어서, 빠짐방지부(140b)는, 힘수용부(177)의 후방측에 설치된 공극인 원통 부재 누름부(178)와 같은 위치까지 조립된다. 이 때, 내측 원통 부재(140)의 감합부(140a)가, 플랜지 부재(170)의 역원추형상(133a)의 외주에 감합됨으로써, 플랜지 부재(170)와, 내측 원통 부재(140)의 회전 중심을 고정밀도로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때 스냅 피트 형상인 회전멈춤부(140c)는, 휘어진 상태로 된다.
그 후, 도 29(c), 도 3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170)에 대해, 내측 원통 부재(140)를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내측 원통 부재(140)의 결합부(173)의 피백업면(174i)과, 플랜지 부재(170)의 힘수용부(177)의 수용면(177a)이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때, 스냅 피트 형상인, 회전멈춤부(140c)의 휨은 해방되고, 플랜지 부재(170)에 대해, 내측 원통 부재(140)는, 장착 완료가 된다.
즉, 플랜지 부재(170)에 대해, 내측 원통 부재(140)는, 회전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즉 내측 원통 부재(140)는 회전방향 하류측에 있어서는, 피백업면(174i)이, 수용면(177a)에 접촉할 때까지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방향 상류측에 있어서는, 내측 원통 부재(140)는 회전멈춤부(140c)가 플랜지 부재(170)와 접촉할 때까지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본체 구동축에 의한 커플링 부재의 구동]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커플링 부재(128)로의 회전 구동의 전달에 관해서, 도 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커플링 부재(128)의 구동 수용면(173a)이, 본체 구동 전달면(101b)에 부딪히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동 수용면(173a)은, 부하(구동력) F1를 받으면서, 구동 전달면(101b)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 구동력 F1을 구동 수용면(173a)이 받으면, 피백업면(174i)과, 구동 수용면(173a)이 이루는 각 J는 예각이므로, 피백업면(174i)과 수직 방향의 성분 Fv와 수평 방향의 성분 Fh로 나눌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의 성분 Fv는 결합부(173)의 구동 수용면(173a)과 반대측의 피백업면(174i)에 전달된다. 결합부(173)는, 리브(177e)를 거쳐서, 장착부(172)에 의해 백업되고 있으므로, 결합부(173)는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수직 방향의 성분 Fh를 결합부(173)가 받으면, 접촉면(174h)이, 본체 구동축(101)의 축부(101f)에 접촉하여, 결합부(173)가 백업된다.
그 결과, 구동 수용면(73a)을, 안정적으로 본체 구동 수용면(101a)에 접촉시킬 수 있어, 감광체 드럼 유닛(30)을, 본체 구동축(101)의 피베어링부(101d) 측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 또한, 부하 F1이 변동해도, 결합부(7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백업되고 있으므로, 거의 변형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감광체 드럼(1)의 회전량도 거의 변화하지 않아, 화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3 실시예를 도 31 내지 도 3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본 실시예에 관한 플랜지 부재(270)를 회전축 중심(회전축선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228)와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기부(274)를 통과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조심 부재(233)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228)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요소 중,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소에 대응하고 있는 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요소와 동일한 명칭을 부여한다. 그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요소와는 다른 구성이나 작용 등에 대해 특히 상세하게 설명하고, 전술한 요소와 같은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요소 중, 전술한 실시예의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측 연장부(274t)는, 결합부(273)에 대해,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되고, 근원부(고정단)(274a)로부터, Z2 방향(드럼 유닛(30)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해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근원측 연장부(274t)는, 플랜지 부재(270)의 회전축선과 대략 평행으로 배치된다. 또한, 되접어 꺾인부(274r)는, 근원측 연장부(274t)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자유단측 연장부(274s)에도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자유단측 연장부(274s)는, 되접어 꺾인부(274r)로부터, Z1 방향(드럼 유닛(30)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해,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있다.
자유단측 연장부(274s)에는, 결합부(돌기부)(273)가 형성되어 있다.
되접어 꺾인부(274r)는, 결합부(273)에 대해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드럼 유닛(30)의 후방측(Z2측)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유닛(30)의 둘레방향(회전방향)에 있어서, 자유단측 연장부(274s)와, 근원측 연장부(274t)가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자유단측 연장부(274s)와, 근원측 연장부(274t)가 둘레방향(회전방향)에 있어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다른 말로 하면, 자유단측 연장부(274s)는, 회전방향에 있어서, 근원측 연장부(274t)보다도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32 참조). 이 점이 실시예 1과 다르다.
또한 구동력 수용부(구동 수용면(273a))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기부(274) 및 결합부(273)에 의해 형성되는 점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조심 부재(233)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역원추형상(233a)과, 감합부(233b)와, 빠짐방지부(233c)와, 백업부(233j)를 가진다(도 33 도시).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구동축(101)에 의한 커플링 부재(228)의 구동 시의 구동력 F1의 전달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결합부(273)가, 백업부(233j), 리브(277e)를 거쳐, 장착부(272)에 의해 백업되는 구성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조심 부재(233)는 백업 부재이며, 또한, 위치 결정 부재이다.
또한, 카트리지(1)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에 장착 시, 결합부(273)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에, 기부(274)의 근원측 연장부(274t) 및, 되접어 꺾인부(274r)가 탄성변형함으로써, 저부하로 카트리지(1)를 장착할 수 있는 점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해, 근원측 연장부(274t)를, 결합부(273)나 자유단측 연장부(274s)에 대해,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근원측 연장부(274t)를 결합부(273)나 자유단측 연장부(274s)에 대해 회전방향의 상류측에 배치하여도 된다(도 34(a) 참조). 혹은, 도 3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측 연장부(274t)를, 결합부(273)나 자유단측 연장부(274s)에 대해, 회전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양쪽에 배치하는 구성이여도 좋다. 이 때, 당연하지만, 되접어 꺾인부(274r)도 결합부(273)나 자유단측 연장부(274s)에 대해, 회전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즉, 도 34(b)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지지부(273, 274)는, 자유단측 연장부(274s)를 지지하기 위한 근원측 연장부(274t)를 2개 갖고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자유단측 연장부(274s)는, 2개의 되접어 꺾인부(274r)를 거쳐, 2개의 근원측 연장부(274t)와 접속하여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273, 274)는, M자 형상으로 된다(도 34(b) 참조).
<실시예 4>
제4 실시예를 도 35 내지 도 4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5는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328)를 회전축 중심(회전축선 중심)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실시예에 관한 플랜지 부재(370)를 Z방향 외측으로부터 본 도면과,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실시예에 관한 내측 원통 부재(340)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실시예에 관한 조심 부재(333)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328)의 조립 설명도이다
도 4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328)와 본체 구동축(101)을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에서, 구동 전달면(373a)을 통과하는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실시예에 관한 내측 원통 부재(340)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소에 대응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명칭을 부여한다. 그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요소와는 다른 구성이나 작용 등에 대해 특히 상세하게 설명하며, 전술한 요소와 마찬가지의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요소 중, 전술한 실시예의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실시예 3과 다른 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자유단측 연장부(374s)와 고정단측 연장부(374t) 각각은, 실시예 3의 자유단측 연장부(274s)와 고정단측 연장부(274t)와 연장하는 방향이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3에서는, 커플링 부재(228)를 플랜지 부재(270), 조심 부재(233)로 구성하고, 플랜지 부재(270)가, 결합부(273)와 기부(274)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기부(274)는, 되접어 꺾인부(274r)를, 결합부에 대해 후방측(Z2측)에 배치하였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328)를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370)와, 내측 원통 부재(340)와, 조심 부재(333)로 구성하였다. 내측 원통 부재(340)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구동력 수용부재이다. 또한 조심 부재(333)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백업 부재이며, 또한, 피전달 부재이며, 위치 결정 부재이기도 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랜지 부재(370)는,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372), 원통부(371), 플랜지부(375), 힘수용부(377)를 갖는다.
또한, 내측 원통 부재(340)는,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374)와, 결합부(373)와, 감합부(340a)를 갖는다. 기부(374)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근원부 연장부(374t)와 되접어 꺾인부(374r)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측 연장부(374t)는, 결합부(373)나 자유단측 연장부(374s)에 대해,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된다. 근원측 연장부(374t)는, 근원부(374a)로부터 Z1 방향(드럼 유닛(30)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있고, 플랜지 부재(370)의 회전축선과 대략 평행으로 배치된다. 또한, 되접어 꺾인부(374r)를, 근원측 연장부(374t)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자유단측 연장부(374s)와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되접어 꺾인부(374r)는, 자유단측 연장부(374s)의 선단(결합부(373)의 자유단)에 대해, Z1측에 배치된다.
자유단측 연장부(374s)는, 되접어 꺾인부(374r)로부터 Z2 방향(드럼 유닛(30)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연장하고 있고, 플랜지 부재(370)의 회전축선과 대략 평행으로 배치된다.
자유단측 연장부(374s)의 거의 전역에는 결합부(373)가 형성된다. 결합부(373)에는 구동력 수용부인 구동 수용면(373a)이 설치되어 있다.
조심 부재(333)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원추형상(333a), 조심 부재 감합부(333i), 빠짐방지부(333j), 내측 원통 부재 피감합부(333k)를 갖는다.
조심 부재 감합부(333i)는,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370)의 장착부(372)의 내주면(372m)(도 36 참조)과 감합한다. 빠짐방지부(333j)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방향으로 연장하는, 스냅 피트 형상이다. 플랜지 부재(370)는,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짐방지부(333j)에 대응하는 개소에 구멍 형상(372b)을 갖는다. 내측 원통 부재 감합부(333k)는,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원통 부재(340)의 감합부(340a)와 감합한다.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부재(370)에 대해, Z2측으로부터 Z1측으로, 내측 원통 부재(340), 조심 부재(333)를 조립하고, 커플링 부재(328)를 형성한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328)의 조립 완료 상태에 있어서는, 내측 원통 부재(340)는, 플랜지 부재(370)와, 조심 부재(333)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Z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내측 원통 부재(340)는, 결합부(373)가, 회전방향 상류측, 하류측의 힘수용부(377)와 부딪히는 범위까지는 회전 가능하게 플랜지 부재(370)에 조립되는 구성으로 된다.
커플링 부재(328)가 본체 구동축(101)으로부터 구동을 받으면,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도 40에 나타내는 것처럼, 결합부(373)의 피백업면(374i)은, 힘수용부(377)의 리브(377e)를 거쳐, 장착부(372)에 의해 백업된다. 그 때문에, 결합부(373)는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1)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에 장착 시, 결합부(373)가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때에, 기부(374)의 근원측 연장부(374t) 및, 되접어 꺾인부(374r)가 탄성변형함으로써, 저부하로 카트리지(1)를 장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해, 내측 원통 부재(340)는, 근원측 연장부(374t)를, 결합부(373)에 대해,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내측 원통 부재(340)를 도 4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방향 상류측에 배치하여도, 도 4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방향 양쪽에 배치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 4 및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드럼 카트리지(13)의 감광체 드럼(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받기 위한 커플링 부재의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즉 전술한 각 커플링 부재(28, 128, 228, 328)를, 현상 카트리지(4)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각 커플링 부재(28, 128, 228, 328)가 현상 롤러(17), 토너 공급 롤러(18), 교반 부재(23) 등, 현상 카트리지(4)에 설치된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받게 된다. 그와 같은 구성의 예를, 이하의 실시예 5, 6에 있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5>
제5 실시예를 도 42 내지 도 5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4)의 현상 롤러(17), 토너 공급 롤러(18), 교반 부재(23)를 구동하기 위해 현상 카트리지(4)에 설치되는 커플링 부재(528)를 설명한다. 또한 커플링 부재(528)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되는 본체 구동축(5101)에 관해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장치 본체와 드럼 카트리지의 구동 연결 부분(커플링 부재 및 본체 구동축(101))의 구성을 해설하였다. 본 실시예 및 후술하는 실시예 6은, 이 구성을, 장치 본체와 현상 카트리지의 구동 연결 부분(커플링 부재(528)와 본체 구동축(5101))의 구성에 원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요소 중,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소에 대응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전술한 요소와 동일한 명칭을 부여한다. 그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요소와는 다른 구성이나 작용 등에 대해 특히 상세하게 설명하고, 전술한 요소와 마찬가지의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요소 중, 전술한 실시예의 요소와 동등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 구동축의 구성]
도 42, 도 43을 이용하여, 본체 구동축(510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2는, 본체 구동축(5101)의 외형도이다.
도 43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한 상태의 본체 구동축(5101)을, 그 회전축(회전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구동축(5101)은, 기어 부재(5101e), 중간체(5101p), 출력 부재(5101q), 구동 전달 부재(5101r)로 구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터로부터 기어 부재(5101e)가 회전 구동을 얻어, 중간체(5101p)·출력 부재(5101q)·구동 전달 부재(5101r)의 순서로 구동이 전달되어 본체 구동축(5101)은 회전한다.
또한, 기어 부재(5101e)·중간체(5101p)·출력 부재(5101q)는 올담이음의 기구를 갖고 있어, X방향·Y방향에 있어 일정한 거리를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본체 구동축(5101)의 카트리지측에 올담이음을 통해 설치된 구동 전달 부재(5101r)도 X방향·Y방향에 있어 일정한 거리를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구동 전달 부재(5101r)는 회전 가능한 축부(5101f)를 구비하고 있어, 모터로부터 받은 회전 구동력은 축부(5101f)에 설치된 홈 형상의 구동 전달 홈(5101a)(오목부, 구동 패싱부)을 거쳐 현상 카트리지(4) 쪽으로 전달된다. 또한, 축부(5101f)는, 그 선단에 원추형상(5101c)을 갖는다.
이 본체 구동 전달 홈(5101a)은, 후술하는 결합부(573)의 일부가 진입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플링 부재(528)의 구동 수용면(구동 수용부)(573a)와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면으로서의 본체 구동 전달면(5101b)을 구비한다.
또한,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구동 전달면(5101b)은 평면이 아니라, 본체 구동축(510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비틀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비틀림 방향은, 본체 구동축(5101)의 Z1 방향측이 Z2 방향측에 대해, 본체 구동축(5101)의 회전방향 상류측에 배치되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결합부(573)의 실린더의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비틀림량은 1㎜당 1°정도로 하였다. 본체 구동 전달면(5101b)을 비틀어진 형상으로 한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체 구동 전달 홈(5101a)의 Z2 방향측의 면에는, 본체측 발거 테이퍼(5101i)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측 발거 테이퍼(5101i)는, 현상 카트리지(4)를 장치 본체(100A)로부터 떼어낼 때에, 결합부(573)가 구동 전달 홈(5101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돕기 위한 테이퍼(경사면, 경사부)이다.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부재(5101e)에 설치된 피베어링부(5101d)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510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축 지지)된다. 다음으로, 출력 부재(5101q)는 커플링 홀더(5101s)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구동 전달 부재(5101r)는 Z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출력 부재(5101q)에 지지되고 있고, 스프링 부재(5103)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 측(Z2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다만, 구동 전달 부재(5101q)의 Z방향의 이동 가능한 양(놀음)은, 1㎜ 정도로 후술하는 구동 수용면(573a)의 Z방향의 폭보다 충분히 작다.
나아가, 커플링 홀더(5101s)는 가압 스프링(5101t)에 의해, 대략 Y2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의 장착 시에는, 구동 전달 부재(5101r)는 기어 부재(5101e)의 축선에 대해, 대략 Y2 방향으로 시프트한 위치에 있다.
이상과 같이 구동 전달 부재(5101r)에 본체 구동 전달 홈(5101a)을 마련하고, 커플링 부재(528)에 결합부(573)를 마련하여, 장치 본체(100A)로부터 현상 카트리지(4)로 구동을 전달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세 내용은 후술하지만, 결합부(573)는,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기부(574)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결합부(573)는, 현상 카트리지(4)를 장치 본체(100A)에 장착할 때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이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를 장치 본체(100A)에 삽입하는 것에 수반하여, 결합부(573)가 구동 전달 홈(5101a)에 진입하여, 결합부(573)와 본체 구동 전달 홈(5101a)이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573)는, 현상 카트리지(4)의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받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를 갖는다. 기부(574) 및 결합부에 의해, 구동력 수용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커플링 부재의 구성]
이어서, 본 실시예의 커플링 부재(528)에 대해 도 44, 도 45, 도 46, 도 47, 도 48, 도 49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4는 커플링 부재(528)를 회전축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5는 실린더 부재(570)를 회전축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6은 커플링 부재(528)와, 본체 구동축(5101)을 커플링 부재(528)의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에서, 구동 수용면(573a)을 통과하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7은 조심 부재(533)의 사시도이다.
도 48은 커플링 부재(528)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9는 현상 카트리지(4)를 토너 공급 롤러(20)와 현상 롤러(17)의 축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528)는 실린더 부재(570)와 조심 부재(533)를 조합하여 2체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재질이나 성형 방법, 구성 등의 선택에 따라서는 2체일 필요는 없고, 3체 이상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해도 된다.
실린더 부재(57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받기 위한 구동 수용면(573a)이 설치된 구동력 수용부재이다. 조심 부재(533)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린더 부재(570)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피전달 부재이다. 또한 조심 부재(533)는 구동 수용면(573a)이 실린더 부재(570)의 둘레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백업부가 설치된 백업 부재이기도 하다.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심 부재(533)는 실린더 부재(570)의 축선방향(화살표 도시)을 향해, 실린더 부재(570)에 조립된다. 나아가 조심 부재(533)를 반시계 회전방향(화살표 도시)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빠짐방지부(533c)가 걸림부(572)에 결합하고, 조심 부재(533)는 실린더 부재(570)와 함께 유닛화 된다.
(플랜지 부재에 관한 설명)
실린더 부재(570)는,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결합부(573)와 기부(574)를 갖는다. 결합부(573)와 기부(574)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동력 수용부(구동 수용면(573a))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이다.
결합부(573)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528)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3개소 배치(120°간격, 대략 등간격)로 배치되며, 구동 수용면(573a)을 갖는다. 기부(574)는 피백업면(574i)과, 접촉면(574h)을 갖는다.
구동 수용면(573a)은, 본체 구동축(5101)의 본체 구동 전달면(5101b)과 접촉함으로써, 커플링 부재(528)에 본체 구동축(510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면이다.
접촉면(574h)은, 커플링 부재(528)가, 본체 구동축(5101)과 결합 시에, 축부(5101f)와 접촉하는 면이며, 그 내경을 이루는 원호의 반경 R51은, 축부(5101f)의 반경 R52와 대략 동일하다.
피백업부(574i)는, 커플링 부재(528)가, 본체 구동축(5101)과 결합 시에, 후술하는 조심 부재(533)의 힘수용부(577)의 수용면(577a)과 접촉하는 면이며, 구동 수용면(573a)에 대해,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된다(도 46 도시). 또한,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백업면(574i)과, 구동 수용면(573a)이 이루는 각 J는 예각이 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구동 수용면(573a)은 구동 전달 부재(5101r)와 접하는 2점의 회전방향의 위상이 다르면 좋다. 즉 구동 수용면(573a)은, 비틀어진 면과 동등한 기능을 갖는 구성이라면, 반드시 비틀어진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구동 수용면(573a)을 비틀어진 형상으로 하거나 경사진 형상으로 하거나 함으로써, 구동 수용면(573a)이 구동을 받으면, 커플링 부재(528)에는, 현상 카트리지(4)의 외측(Z1 방향측)으로 끌여당기는 힘이 가해진다.
나아가,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573)는 Z방향에 있어서 현상 카트리지(4)의 외측(Z1 방향측)에, 장착시 힘수용부로서의 삽입 테이퍼면(573d)을 갖는다. 또한, 결합부(573)는 Z방향에 있어 현상 카트리지(4)의 내측(Z2 방향측)에, 떼어낼 때의 힘수용부로서의 발거 테이퍼면(573e)을 갖는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4028)의 본체 구동축(5101)에의 장착성, 탈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장착 시에, 삽입 테이퍼면(573d)과 원추형상(5101c)이 접촉하고, 결합부(573)가 구동축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된다. 또한, 뽑아낼 때에, 발거 테이퍼면(573e)과 본체측 발거 테이퍼(5101i)가 접촉하고, 결합부(573)가 본체 구동축(510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된다.
기부(574)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근원측 연장부(574t)와, 되접어 꺾인부(574r)와, 자유단측 연장부(574s)를 갖는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근원측 연장부(574t)는, 근원부(574a)로부터, 실린더 부재(570)의 회전축선과 대략 평행으로, Z2 방향(현상 롤러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근원측 연장부(574t)는, 결합부(573)나 자유단측 연장부(574s)에 대해 커플링 부재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되접어 꺾인부(574r)는 근원측 연장부(574t)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자유단측 연장부(574s)와도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근원측 연장부(574t)는 되접어 꺾인부(574r)로부터, 실린더 부재(570)의 회전축선과 대략 평행으로, Z1 방향(현상 롤러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결합부(573)의 자유단(자유단측 연장부(574s)의 선단)과, 기부의 근원(574a)은 모두 되접어 꺾인부(574r)보다 Z1측에 배치된다.
결합부(573)는, 자유단측 연장부(574s)에 설치되는 돌기부이며, 구동력 수용부(구동 수용면(573a))를 갖는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기부(574)의 탄성변형에 의해, 결합부(573)는 커플링 부재(528)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기부(574)는 외력을 받으면 변형하여, 자연 상태의 위치로 돌아오는 방향으로 복원력(탄성력)을 갖는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커플링 부재(528)의 본체 구동축(5101)에의 결합 시에, 근원측 연장부(574t)와, 되접어 꺾인부(574r)가 모두 탄성변형함으로써, 낮은 장착력으로, 커플링 부재(528)를 본체 구동축(5101)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부재(528)의 구동 수용면(573a)은, 커플링 부재(528)의 축선을 중심으로 비틀어진 형상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그 비틀림량은 본체 구동 전달면(5101b)과 같은 양으로 하였다.
(조심 부재에 관한 설명)
다음으로,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심 부재(533)는, 역원추형상(533a)과, 힘수용부(577)와, 빠짐방지부(533c)와, 조심 부재 구동 전달면(이하, 단순히 구동 전달면이라 부름)을 갖는다.
역원추형상(533a)은 본체 구동축(5101)의 축선방향의 위치와 직경 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부위이다. 역원추형상(533a)의 역원추 형상에 구동 전달 부재(5101r)의 원추형상(5101c)이 접촉함으로써, 구동 전달 부재(5101r)가 본체 구동축(5101)의 축선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힘수용면(577)은, 커플링 부재(528)의 조립 완료 상태에서, 결합부(573)에 설치된 피백업면(574i)과 접촉하는 면인 수용면(577a)(도 46 참조)과, 수용면(577a)과 수직인 리브(577e)(도 46 참조)로 구성된다. 수용면(577a)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백업부이며, 또한, 실린더 부재(570)로부터 구동력을 받기 위한 피전달부이기도 하다.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전달면(533m)은, 실린더 부재(570)로부터 조심 부재(533)로 구동이 전달되는 면(피전달부)이다. 실린더 부재(570)는 대응하는 실린더 구동 전달면(구동 전달부)(570m)을 갖는다. 각각 조심 부재(533)와 실린더 부재(570)의 둘레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3개소 배치(120°간격, 대략 등간격)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구동 전달면(570m)과 구동 전달면(533m)은, 각각 실린더 부재(570)와 조심 부재(453)의 축선을 따라 비틀어진 형상을 갖고, 비틀림량으로서는 1㎜당 2°정도로 하였다.
이 비틀림량으로서는, 이하의 관계가 성립된다. 실린더 부재(570)는, 구동 수용면(573a)에서 현상 카트리지(4)의 외측(Z1 방향측)으로 끌어당겨지는 힘 Fz1을 받는다. 또한 실린더 부재(570)는, 플랜지 구동 전달면(570m)에서 현상 카트리지(4)의 내측(Z2 방향측)으로 끌어당겨지는 힘 Fz2를 받는다. 이 경우에, 반드시 Fz2>Fz1가 되는 관계로 한다.
따라서, 실린더 부재(570)는 반드시 Z2 방향으로 끌어당겨진다. 더하여, 실린더 구동 전달면(570m)과 구동 전달면(33m)의 Z방향의 결합부 D의 적어도 일부는, Z방향에 있어서, 구동 수용면(573a), 힘수용부(577)의 수용면(577a)과 오버랩 하는 위치 관계이다. 이에 의해 실린더 부재(570)의 변형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심 부재(533)에 설치된 D형상의 구멍인 장착부(533d)(도 37 참조)가,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너 공급 롤러(20)의 샤프트에 장착되고 있다. 그리고 조심 부재(533)로부터 토너 공급 롤러(20)의 축으로 구동이 전달됨으로써 토너 공급 롤러(20)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토너 공급 롤러(20)의 축의 Z1 방향측에 설치된 토너 공급 롤러 기어(598)에 구동이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토너 공급 롤러 기어(598)로부터 현상 롤러(17)의 축의 Z1 방향측에 설치된 현상 롤러 기어(599)로 구동이 전달됨으로써 현상 롤러(17)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현상 롤러(17)는 그 양단을 각각 현상 베어링(519R, 519L)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카트리지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의 장착]
도 50, 도 51을 이용하여, 현상 카트리지(4)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착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0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현상 카트리지(4)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1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현상 카트리지(4)의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는 수평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4)를 장착 가능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는 현상 카트리지(4)를 장착 가능한 공간을 그 내부에 구비한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전방측(사용 시에 유저가 서는 방향)에 현상 카트리지(4)를 전술한 공간에 삽입하기 위한 카트리지 도어(5104)(프론트 도어)를 갖는다.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카트리지 도어(5104)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도어(5104)를 열면, 현상 카트리지(4)를 가이드 하는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5105)이 공간의 저면에, 카트리지 상 가이드 레일(5106)이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현상 카트리지(4)는 공간 상하에 설치된 상하의 가이드 레일(5105, 5106)에 의해 장착 위치로 안내된다. 현상 카트리지(4)는 현상 롤러(20)의 축선을 대략 따라, 장착 위치에 삽입된다.
이하에, 도 51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현상 카트리지(4)의 착탈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는, 삽입 방향 후방측의 단부 아래 쪽이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5105)에 의해 지지·가이드 된다. 현상 카트리지(4)는, 삽입 방향 후방측의 단부 위쪽이 카트리지 상 가이드 레일(5106)(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이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현상 카트리지(4)가 장치 본체에 삽입된다. 이 때 현상 프레임(18) 및 현상 베어링(19)(19L, 19R)이 중간 전사 벨트(5)가 접촉하지 않는 치수 관계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5105)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설치된 후방측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5108)에 부딪힐 때까지 삽입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의 장착 시에는, 전술한 것처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구동 전달 부재(5101r)는, 대략 Y2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커플링 부재(528)와 결합한다.
도 51(c)는 카트리지 도어(5104)가 닫힌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와 현상 카트리지(4)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5105)은 카트리지 도어(프론트 도어)(5104)의 개폐에 연동하여 오르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저에 의해 카트리지 도어(5104)가 닫혀지면,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5105)이 상승한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4)의 양단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카트리지 위치 결정부(5108·5110)에 접촉하여,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구동 전달 부재(5101r)도 현상 카트리지(4)에 추종하여, 상승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의 장착이 완료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로부터의 발거는, 상술한 삽입 동작과 역순이 된다.
[커플링 부재의 본체 구동축에의 결합 과정]
이어서, 커플링 부재(528)와 본체 구동축(5101)의 결합 과정을 도 52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2는, 본체 구동축(5101)에의 커플링 부재(528)의 장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2(a)는, 커플링 부재(528)가 구동 전달 부재(5101r)와 결합 개시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52(d)는, 현상 카트리지(4)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52(d)는, 카트리지 도어(5104)가 닫히는 것에 수반하여,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105)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현상 카트리지(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대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52(b)(c)는, 도 52(a)와 도 52(d)의 사이에서, 커플링 부재(528)와 구동 전달 부재(5101r)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구동 전달 부재(5101r)는 가압 스프링(5101t)에 의해 대략 Y2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고, 구동 전달 부재(5101r)의 축선은 커플링 부재(528)의 축선보다 대략 Y2 방향으로 시프트된 위치까지 가압되고 있다.
현상 카트리지(4)는 도 51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의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5105)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삽입된다.
도 52(a)는, 구동 전달 부재(5101r)가 커플링 부재(528)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것처럼, 이 상태에 있어서, 구동 전달 부재(5101r)의 축선과 커플링 부재(528)의 축선은 어긋나 있다.
도 5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52(a)로부터 커플링 부재(528)를 구동 전달 부재(5101r)의 후방측을 향해 더 삽입하면, 먼저 커플링 부재(528)의 삽입 테이퍼면(573d)이, 구동 전달 부재(5101r)의 원추형상(5101c)에 접촉한다. 커플링 부재(528)의 삽입 테이퍼면(573d)이, 구동 전달 부재(5101r)의 원추형상(5101c)에 의해 가이드 되어 커플링 부재(528)의 축선과 구동 전달 부재(5101r)의 축선이 대략 동일하게 된다.
도 5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52(b)로부터 커플링 부재(528)를 구동 전달 부재(5101r)의 후방측을 향해 더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 52(c)이다. 기부(574)가 탄성변형을 함으로써, 결합부(573)의 삽입 테이퍼(573d)가, 원추형상(5101c)을 따르도록, 결합부(573)가 커플링 부재(528)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변형된다. 나아가 커플링 부재(528)가 Z1 방향으로 삽입되면, 커플링 부재(528)의 결합부(573)의 발거 테이퍼면(573e)이, 구동 전달 부재(5101r)의 본체측 발거 테이퍼(5101i)로부터 Z방향 후방측(Z1측)으로 올 때까지, 구동 전달 부재(5101r)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커플링 부재(528)의 위치 결정부(533a)와 구동 전달 부재(5101r)의 원추형상(5101c)이 접촉할 때까지 커플링 부재(528)가, 구동 전달 부재(5101r)에 삽입된다.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하 가이드 레일(5105)에 의해 들어올려짐으로써, 현상 카트리지(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로 된다(도 51(c) 도시). 또한, 도 5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4)의 상승에 수반하여, 구동 전달 부재(5101r)도 상승한다. 그 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본체 구동축(5101)이 회전하고, 결합부(573)와, 구동 전달 홈(5101a)의 위상이 맞았을 때, 기부(574)의 탄성변형이 해제되고, 결합부(573)가, 구동 전달 홈(5101a)으로 침입한다.
[본체 구동축에 의한 커플링 부재의 구동]
본체 구동축(5101)으로부터, 커플링 부재(528)로의 회전 구동 전달에 관해서, 도 4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커플링(528)의 구동 수용면(573a)이, 본체 구동 전달면(5101b)에 부딪히면, 현상 롤러(17), 현상 롤러(17)를 거쳐 현상 블레이드(21) 등이 부하를 준다. 즉, 구동 수용면(573a)은, 부하(구동력) F51를 받으면서, 구동 전달면(101b)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 구동력 F51을 구동 수용면(753a)이 받으면, 피백업면(574i)과, 구동 수용면(573a)이 이루는 각 J는 예각이므로, 피백업면(574i)과 수직 방향의 성분 Fv와 수평 방향의 성분 Fh로 나눌 수 있다.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의 성분 Fv는 결합부(573)의 구동 수용면(573a)과 반대측의 피백업면(574i)에 전해진다. 피백업면(574i)은 힘수용면(577a)에 부딪히고, 힘수용면(577a)과 수직 방향의 리브(577e)에 의해 백업된다. 그 결과, 부하 F51가 변동해도, 결합부(57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백업되고 있으므로, 거의 변형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토너 공급 롤러(20), 현상 롤러(17)의 회전량도 거의 변화하지 않고, 그 결과, 화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4)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100A)로부터의 발거는, 상술의 삽입 동작과 역순이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근원측 연장부(574t)는, 실린더 부재(570)의 회전축선과 대략 평행으로, 후방측(Z2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리고, 근원측 연장부(574t)는 결합부(573)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결합부(573)의 자유단측과, 기부의 근원(574a)은 모두 되접어 꺾인부(574r)보다 Z1측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573)의 자유단측과, 기부의 근원(574a)은 모두 되접어 꺾인부(574r)보다 Z2측에 배치되는 구성이여도 된다.
도 54(a), 도 5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측 연장부(574t)가, 결합부(573)에 대해,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되고, 근원부(274a)보다 후방측(Z2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여도 된다. 도 5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측 연장부(574t)가, 결합부(573)에 대해, 회전방향 상류측에 배치되고, 근원부(274a)보다 후방측(Z2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성이여도 된다. 도 5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측 연장부(574t)가, 결합부(573)에 대해, 회전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구성이여도 된다.
도 56(a),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측 연장부(574t)가, 결합부(573)나 자유단측 연장부(574s)에 대해,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되고, 근원부(574a)로부터 Z1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성이여도 된다. 도 5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측 연장부(574t)가, 결합부(573)나 자유단측 연장부(574s)에 대해, 회전방향 상류측에 배치되고, 근원부(574a)로부터 Z1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성이여도 된다. 도 5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측 연장부(574t)가, 결합부(573)나 자유단측 연장부(574s)에 대해, 회전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구성이여도 된다.
<실시예 6>
제6 실시예를 도 58 내지 도 6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8은 본 실시예에 관한 조심 부재(633)의 사시도이다.
도 59는 본 실시예에 관한 조심 부재(633)를 회전축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628)와, 회전축선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동 수용면(673a)을 통과하도록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실린더 부재(670)의 사시도이다.
도 6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628)를 회전축선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커플링 부재(628)의 조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개시한 요소와 대응하고 있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한다. 그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요소와는 다른 구성이나 작용 등에 대해 특히 상세하게 설명하고, 전술한 요소와 마찬가지인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술한 요소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은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실시예 5와 다른 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5에서는, 실린더 부재(570), 조심 부재(533)로 커플링 부재(528)를 구성하고, 실린더 부재(570)에 실린더 구동 전달면(570m), 기부(574), 결합부(573)를 갖고, 조심 부재(533)가, 힘수용부(577), 구동 전달면(533m)을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부재(670)에, 백업부(670j)를 마련하고, 조심 부재(633)에 기부(674)와, 결합부(673)와, 힘수용부(677)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도 5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심 부재(633)는, 기부(674)와, 결합부(673)와, 힘수용부(677)와, 역원추형상(633a)과, 빠짐방지부(633c)를 갖는다.
기부(674)는, 도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1측에 근원부(674a)를 갖고, 커플링 부재(628)의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근원측 연장부(674t) 및, 자유단측 연장부(674s)와, 근원측 연장부(674t)와 되접어 꺾인부(674r)를 갖는다.
결합부(673)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구동 수용면(673a)을 갖는다. 즉 조심 부재(633)는, 장치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받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가 설치된 구동력 수용부재이다.
또한 자유단측 연장부(674s)는, 피백업면(674i)과, 접촉면(674h)을 갖는다.
구동 수용면(673a)과 피백업면(674i)이 이루는 각 j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예각이다.
힘수용부(677)는, 도 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673)의 회전방향 하류측에 배치되고, 수용면(677a)과, 리브(677e)를 갖는다. 수용면(677a)은, 후술하는 실린더 부재(670)의 백업부(670j)를, 기부(674)의 피백업면(674i)과의 사이에 끼워 넣기 위한 면이다. 수용면(677a)과, 피백업면(674i)은 대략 평행으로 배치된다. 리브(677e)는, 도 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면(677a)의 내경측단을 기점으로, 수용면(677a)과 거의 수직으로 배치된다.
또한, 역원추형상(633a)은,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커플링 부재(628)와 본체 구동축(5101)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부위이다.
빠짐방지부(633c)는, 실린더 부재(670)에 설치되는 걸림부(672)와 결합함으로써 조심 부재(633)와 실린더 부재(670)를 유닛화하는 부위이다.
실린더 부재(670)는, 도 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업부(670j)와, 걸림부(672)를 갖는다. 즉 실린더 부재(670)는, 백업부를 갖는 백업 부재이다.
백업부(670j)는, 도 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심 부재(633)의 피백업면(674i)과 수용면(677a)과의 간극에 조립되어, 결합부(673)의 회전방향 상류측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형상이다. 그 때문에, 백업부(670j)의 두께는, 피백업면(674i)과 수용면(677a)과의 간극과 대략 같게 한다. 또한, Z방향으로부터 보아, 백업부(670j)의 결합부(673) 측의 능선을 통과하는 원은 그 중심이 역원추형상(633a)과 같게 되도록 배치된다. 그 원의 직경 D68은, 본체 구동축(5101)의 축부(5101f)의 외경 D65와 대략 같거나 혹은, 각각의 치수 정밀도를 가미했을 때에, D68≥D65가 되도록 작성한다. 또한, 백업부(670j)는, 도 6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방향에 있어서, 구동 수용면(673a)과 겹치도록 배치한다.
실린더 부재(670)에 대해, 조심 부재(633)를 Z방향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으로(Z2측으로부터 Z1측으로) 조립함으로써, 커플링 부재(628)를 형성한다(도 62 도시).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조심 부재(633)의 빠짐방지부(633c)는, 실린더 부재(670)에 설치되는 걸림부(672)와 결합한다.
커플링 부재(628)가, 본체 구동축(5101)으로부터 구동을 받으면, 도 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673)의 구동 수용면(673a)이, 구동력 F1을 받는다. 그 중, 피백업면과 수직 방향의 힘 Fv에 관해서는, 피백업면(674i), 백업부(670j), 수용면(670a), 리브(670e)에 의해 백업되고 있기 때문에, 결합부(673)가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백업면(674i)과 평행 방향의 힘 Fh에 관해서는, 기부(674)의 접촉면(674h)이, 본체 구동축(5101)의 축부(5101f)에 부딪힘으로써 결합부(673)가 직경 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에서는, 실린더 부재(570)에 결합부(573)를 설치하고, 조심 부재(533)에 역원추형상(533a)과 다른 부품을 걸치도록 배치했다. 그 때문에, 실린더 부재(570)에 실린더 구동 전달면(570m), 조심 부재(533)에 구동 전달면(533m)을 설치한다. 이에 의해 실린더 부재(570)를 조심 부재(533) 측(Z2 방향측)으로 끌어들임으로써, Z방향에 있어서의 결합부(573)와 역원추형상(533a)의 위치를 안정시켰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673)와 역원추형상(633a)은, 조심 부재(633)에 배치했기 때문에, 실린더 부재(670)를 조심 부재(633) 측으로 끌어들일 필요는 없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실시예 5의 도 53과 마찬가지로, 기부(674)의 근원측 연장부(674t)의 근원부(674a)를 Z2측에 마련하고, 되접어 꺾인부(674r)를 근원측 연장부(674t)의 Z1측에 마련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또한, 도 54, 56과 마찬가지로, 근원측 연장부(674t)가, 결합부(673)의 회전방향, 상류측, 하류측, 양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1~6의 구성에 대해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본원에서 설명한 각 구성에 따르면, 구동력 수용부(구동 수용면)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은 스페이스 내이더라도 지지부가 일정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커플링이나 카트리지를 소형으로 유지하면서도, 지지부는 구동력 수용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지지부의 구성에 의해,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구동력 수용부(결합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설치된 본체 구동축과 결합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감광 드럼 유닛이 제공된다.

Claims (28)

  1. 드럼 유닛으로서,
    감광체 드럼과,
    상기 감광체 드럼에 동작적으로 접속되는 커플링 부재로서, (i) 바디와, (ii) 상기 바디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돌기부와, (iii) 상기 돌기부를 지지하는 제1 연장부와, (iv) 상기 제1 연장부에 접속되는 제2 연장부와, (v)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의 접속부를 구비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를 통해 상기 바디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하고 있는 제1 방향과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접속부로 연장하고 있는 제2 방향은 상기 커플링 부재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이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커플링 부재의 축선을 향해 돌출하여 있는, 드럼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의 상기 바디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바디의 내면에 접속되어 있는, 드럼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드럼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이동 가능한, 드럼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굴곡부인, 드럼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커플링 부재의 축선에 대해 배치되는 것보다도 상기 커플링 부재의 축선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드럼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드럼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제2 연장부를 복수개 갖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연장부에 접속되어 있는, 드럼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M자 형상을 형성하는, 드럼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커플링 부재의 상기 바디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백업부를 갖는, 드럼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광체 드럼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드럼 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광체 드럼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드럼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드럼 유닛.
  14. 카트리지로서,
    (1) 그 표면에 토너를 담지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체와,
    (2) 상기 회전체에 동작적으로 접속되는 커플링 부재로서, (i) 바디와, (ii) 상기 바디에 대해 이동 가능한 돌기부와, (iii) 상기 돌기부를 지지하는 제1 연장부와, (iv) 상기 제1 연장부에 접속되는 제2 연장부와, (v)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의 접속부를 구비하는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를 통해 상기 바디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연장부가 상기 접속부로부터 연장하고 있는 제1 방향과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접속부로 연장하고 있는 제2 방향은 상기 커플링 부재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서로 반대측이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커플링 부재의 축선을 향해 돌출하여 있는, 카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의 상기 바디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바디의 내면에 접속되어 있는, 카트리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이동 가능한, 카트리지.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굴곡부인, 카트리지.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가 상기 커플링 부재의 축선에 대해 배치되는 것보다도 상기 커플링 부재의 축선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카트리지.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커플링 부재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제2 연장부를 복수개 갖고,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복수의 제2 연장부에 접속되어 있는, 카트리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M자 형상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커플링 부재의 상기 바디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백업부를 갖는, 카트리지.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감광체 드럼인, 카트리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광체 드럼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감광체 드럼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카트리지.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현상 롤러인, 카트리지.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롤러에 상기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부재는 상기 공급 롤러를 통해 상기 현상 롤러에 동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카트리지.
KR1020217001216A 2016-08-26 2016-08-26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KR10225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13345A KR102380993B1 (ko) 2016-08-26 2016-08-26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5738 WO2018037575A1 (ja) 2016-08-26 2016-08-26 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ップリング部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469A Division KR102205704B1 (ko) 2016-08-26 2016-08-26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345A Division KR102380993B1 (ko) 2016-08-26 2016-08-26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567A true KR20210008567A (ko) 2021-01-22
KR102250501B1 KR102250501B1 (ko) 2021-05-10

Family

ID=6124491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216A KR102250501B1 (ko) 2016-08-26 2016-08-26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KR1020197008469A KR102205704B1 (ko) 2016-08-26 2016-08-26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KR1020217013345A KR102380993B1 (ko) 2016-08-26 2016-08-26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469A KR102205704B1 (ko) 2016-08-26 2016-08-26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KR1020217013345A KR102380993B1 (ko) 2016-08-26 2016-08-26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3) US10671013B2 (ko)
EP (1) EP3506023A4 (ko)
JP (2) JP6884788B2 (ko)
KR (3) KR102250501B1 (ko)
CN (1) CN109716241B (ko)
AU (2) AU2016420865B2 (ko)
BR (1) BR112019003028A2 (ko)
CA (1) CA3034781C (ko)
CL (4) CL2019000465A1 (ko)
CO (1) CO2019002116A2 (ko)
DE (1) DE112016007180T5 (ko)
GB (1) GB2567401B (ko)
MX (1) MX2019002227A (ko)
PH (1) PH12019500392A1 (ko)
RU (1) RU2707093C1 (ko)
SG (1) SG11201901182YA (ko)
WO (1) WO2018037575A1 (ko)
ZA (1) ZA2019007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28577C (en) 2015-02-27 2023-01-03 Canon Kabushiki Kaisha Drum unit, cartridge and coupling member
KR102250501B1 (ko) * 2016-08-26 2021-05-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KR102461061B1 (ko) * 2016-08-26 2022-10-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JP7091096B2 (ja) 2017-03-15 202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2019105353A1 (zh) * 2017-11-30 2019-06-06 江西亿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盒
CN116224734A (zh) 2017-12-13 2023-06-06 佳能株式会社 盒与图像形成装置
JP7262983B2 (ja) 2018-11-30 202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969730B2 (en) 2019-02-25 2021-04-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JP7267781B2 (ja) 2019-03-05 2023-05-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7305417B2 (ja) 2019-04-25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U2020294030A1 (en) 2019-06-12 2021-12-02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ttachment, and mounting kit
EP4033304A4 (en) 2019-09-17 2023-09-1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APPARATUS AND IMAGE PRODUCING APPARATUS
KR20210147048A (ko) 2019-09-17 2021-12-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토너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EP4202557A1 (en) * 2020-09-17 2023-06-28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drum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829A (ko) * 1991-08-13 1993-03-23 고바야시 쥰 화상형성장치
KR950029867A (ko) * 1994-04-26 1995-11-24 미따라이 하지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010066798A (ko) * 1999-05-20 2001-07-11 미다라이 후지오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 조립 방법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
KR20050119978A (ko) * 2004-06-17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차 흡수 구조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
KR20110076996A (ko) * 2006-12-11 2011-07-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롤러
CN105573082A (zh) * 2016-03-16 2016-05-11 刘清 一种处理盒及成像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50A (en) * 1974-07-15 1976-01-26 Hitachi Ltd Deijitaru densoro ni okeru toka fuiruta kairo
JPH0646684Y2 (ja) * 1985-02-08 1994-11-30 東京電気株式会社 プラテン支持装置
JPH03101751A (ja) 1989-09-16 1991-04-2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404198A (en) 1989-12-15 1995-04-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223893A (en) 1989-12-15 1993-06-2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image forming apparatus
DE69103545T2 (de) 1990-02-17 1995-01-12 Canon Kk Arbeitseinheit und Bilderzeugungsgerät mit einer solchen Einheit.
US5828928A (en) 1990-04-27 1998-10-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leaning device
DE69127392T2 (de) 1990-04-27 1997-12-18 Canon Kk Von einem Bilderzeugungsgerät abnehmbare Arbeitseinheit
US5623328A (en) 1990-04-27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FR2664713B1 (fr) 1990-07-13 1994-07-29 Canon Kk Cartouche de traitement et appareil de formation d'images l'utilisant.
US5682579A (en) 1990-11-06 1997-10-28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5294960A (en) 1990-11-06 1994-03-15 Canon Kabushiki Kaisha Detachable two-frame process cartridg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5134488A (ja) 1991-06-05 1993-05-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の組立て方法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519550A (ja) * 1991-07-16 1993-01-29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ユニツト
JPH05224476A (ja) 1991-12-20 1993-09-0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6282122A (ja) 1992-04-16 1994-10-07 Canon Inc ブレード部材、ブレード部材取り付け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270120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9230A (ja) 1992-06-30 1994-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75439A (ja) 1992-06-30 1994-03-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70121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P0577893B1 (en) 1992-06-30 1997-04-1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JP3157610B2 (ja) 1992-06-30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69317607T2 (de) 1992-06-30 1998-08-20 Canon Kk Photoempfindliche Trommel, Prozesskassette und Bilderzeugungsgerät
JP3320102B2 (ja) 1992-06-30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20144B2 (ja) 1993-04-28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H06313996A (ja) 1993-04-28 1994-11-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現像装置
JP3236124B2 (ja) 1993-04-28 2001-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テープ取り付け方法
JP3285417B2 (ja)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285413B2 (ja)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85414B2 (ja) 1993-04-28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332285A (ja) * 1993-05-25 1994-12-02 Ricoh Co Ltd 回転型現像装置
JP3347476B2 (ja) 1993-06-30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方法
US5581325A (en) 1993-10-01 1996-12-0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having an electroconductive grounding memb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uch a process cartridge
JP3046506B2 (ja) * 1994-09-20 2000-05-29 株式会社東芝 駆動連結機構およびドラム駆動連結機構
JP3382399B2 (ja) 1994-12-26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471950B2 (ja) 1995-02-02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839932B2 (ja) * 1996-09-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JPH08314247A (ja) * 1995-05-16 1996-11-29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323696B2 (ja) 1995-06-13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ース部材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52328B2 (ja) 1996-06-17 2002-1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82465B2 (ja) 1996-07-04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23749B2 (ja) 1996-08-01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シール装置及び現像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3342362B2 (ja) 1996-09-20 2002-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26895B2 (ja) 1996-09-26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0153938A (ja) 1996-09-26 1998-06-0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04840B2 (ja) 1996-09-30 2004-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0186826A (ja) 1996-11-09 1998-07-14 Canon Inc 現像剤残量報知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8223A (ja)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8224A (ja)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041196A (en) 1997-10-27 2000-03-2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detecting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upper surface of developer contained in a container and process cartridge comprising such apparatus
JP3420486B2 (ja) 1997-11-07 2003-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231758A (ja) 1997-11-17 1999-08-27 Canon Inc シャッター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265135A (ja) 1998-03-16 1999-09-28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157792A (en) 1998-03-31 2000-12-0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plural image forming modes, and a process cartridge applied to such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2000075764A (ja) 1998-08-26 2000-03-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075733A (ja) 1998-08-31 2000-03-14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交換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54200B2 (ja) 1998-08-31 2004-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部材取り付け方法
JP2000131945A (ja) 1998-10-26 2000-05-12 Canon Inc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90152B2 (ja) * 1998-10-28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311026B1 (en) 1998-11-13 2001-10-3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mounting of the process cartridge to main body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er cartridge including positioning portion
JP2001034055A (ja) 1999-02-18 2001-02-09 Canon Inc 現像剤収納容器及びカートリッジ
JP3320398B2 (ja) 1999-05-20 2002-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293818B2 (ja) 1999-05-20 2002-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8506B2 (ja) 1999-05-20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US6463225B1 (en) 1999-09-09 2002-10-0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feeding member and an elastic sheet
JP2001092335A (ja) 1999-09-17 2001-04-0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量検出部材
JP4365969B2 (ja) 2000-01-20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90360A (ja) 2000-04-07 2001-10-19 Canon Inc 現像剤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290359A (ja) 2000-04-07 2001-10-19 Canon Inc 現像剤容器、現像剤量検知システ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237416C (zh) 2000-06-09 2006-01-18 佳能株式会社 显影装置、处理盒、显影框架与显影剂框架之间的连接方法和柔性密封件
JP4136299B2 (ja) 2000-09-12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部品結合体
JP3442047B2 (ja) 2000-11-17 2003-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S2382727T3 (es) * 2001-02-19 2012-06-12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oner
ES2369115T3 (es) * 2001-02-19 2011-11-25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oner y sistema para suministro de toner.
JP3840063B2 (ja) 2001-04-27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997817B2 (ja) * 2002-04-02 2007-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94298B2 (ja) 2002-05-17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憶媒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45327B2 (ja) 2002-09-30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919779B2 (ja) 2003-08-29 2007-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58272B2 (ja) 2003-09-25 2007-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25470B1 (ja) 2003-09-30 2005-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7932B2 (ja)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7933B2 (ja)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35516B2 (ja) 2004-02-27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95589B2 (ja) 2004-02-27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250555B2 (ja) 2004-03-0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間部材
JP3885062B2 (ja) * 2004-03-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5124B2 (ja) 2004-03-31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457570B2 (en) 2004-08-06 2008-11-2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magnetic brush developing system using a two-component developer comprising toner and carrier
RU2407049C2 (ru) * 2004-11-24 2010-12-2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онтейнер подачи проявителя
JP2006162944A (ja) * 2004-12-07 2006-06-22 Fuji Xerox Co Ltd 結合装置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と画像形成装置と結合装置の分離方法並びに残存物除去用工具
JP4865341B2 (ja) 2005-02-04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40636B2 (ja) 2005-03-24 2008-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22401B2 (ja) * 2006-09-29 2009-0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ラスタライズ装置とプログラムと方法
US7660550B2 (en) 2006-12-11 2010-02-09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444999B2 (ja) 2006-12-11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4997B2 (ja) 2006-12-11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948382B2 (ja) *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084257B2 (ja) 2006-12-28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983589B2 (en) 2007-01-31 2011-07-1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5094186B2 (ja) 2007-04-10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11034B2 (ja) * 2007-08-30 2012-08-29 株式会社リコー 回転体への駆動力伝達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039481B2 (ja) * 2007-08-31 2012-10-03 株式会社リコー 連結装置、連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12381B2 (ja) * 2007-10-30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39337B2 (ja) * 2008-05-27 2011-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5288900B2 (ja) 2008-06-2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59507B2 (ja) * 2008-06-20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382499B2 (ja) 2008-07-01 2014-01-08 株式会社リコー 粉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440318B2 (ja) 2008-07-31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313255B2 (en) 2009-01-26 2012-11-20 Va, Inc. Shutter assembly with drive ring-mounted magnet
JP5344580B2 (ja) 2009-02-27 2013-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270877B2 (en) * 2009-04-28 2012-09-1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5506236B2 (ja) * 2009-04-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693213B2 (ja) 2010-01-13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支持機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14518B2 (ja) * 2010-03-26 2013-01-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US9130207B2 (en) * 2010-11-16 2015-09-08 Nec Corporation Locking structure for cover
CN103688224B (zh) 2011-07-14 2017-10-31 佳能株式会社 显影剂容纳单元、处理盒和电子照相成像设备
JP5420025B2 (ja) 2011-07-14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RU2637370C2 (ru) 2011-12-06 2017-12-04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артридж, устанавливаем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извлечения в основной узел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сборки устройства передачи привода для светочувствительного барабана и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JP2013174652A (ja) 2012-02-23 2013-09-05 Canon Inc カートリッジ
JP6053404B2 (ja) 2012-06-15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16162B2 (ja) 2012-09-10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56045A (ja) 2012-09-11 2014-03-27 Canon Inc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20730B2 (ja) 2012-09-13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184311B2 (ja) 2012-12-14 2017-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025266B2 (en) 2012-12-14 2018-07-1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including a coupling member and a sheet that contacts the coupling member
JP2014119534A (ja) 2012-12-14 2014-06-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42201B2 (ja) * 2012-12-14 2017-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112971B2 (ja) 2013-01-11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11803B2 (ja) * 2013-03-29 2017-04-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82149B2 (ja) 2013-06-05 2018-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現像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9031465B2 (en) * 2013-08-13 2015-05-12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Transmission device for photosensitive drum
JP6415198B2 (ja) 2013-09-12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376749B2 (ja) 2013-12-06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381222B2 (ja) 2014-02-18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296949B2 (ja) * 2014-09-04 2018-03-20 株式会社沖データ 嵌合構造、現像剤収容体及び画像形成装置
TWI747534B (zh) 2014-11-28 2021-11-21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卡匣及電子照片畫像形成裝置
JP2016148783A (ja) 2015-02-12 2016-08-18 三菱化学株式会社 軸部材、端部部材、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現像ローラ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A3028577C (en) 2015-02-27 2023-01-03 Canon Kabushiki Kaisha Drum unit, cartridge and coupling member
JP6771899B2 (ja) * 2015-03-10 2020-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駆動伝達ユニットの組み立て方法
US10067461B2 (en) 2016-02-29 2018-09-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with a restricted portion that contacts a restricting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7132738A (zh) 2016-02-29 2017-09-05 佳能株式会社 显影盒和图像形成装置
JP6746330B2 (ja) 2016-03-11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2250501B1 (ko) * 2016-08-26 2021-05-1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KR102461061B1 (ko) 2016-08-26 2022-10-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829A (ko) * 1991-08-13 1993-03-23 고바야시 쥰 화상형성장치
KR950029867A (ko) * 1994-04-26 1995-11-24 미따라이 하지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010066798A (ko) * 1999-05-20 2001-07-11 미다라이 후지오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 조립 방법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
KR20050119978A (ko) * 2004-06-17 200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차 흡수 구조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 장치
KR20110076996A (ko) * 2006-12-11 2011-07-06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 롤러
KR20120008090A (ko) * 2006-12-11 2012-01-2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CN105573082A (zh) * 2016-03-16 2016-05-11 刘清 一种处理盒及成像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03959A1 (en) 2020-07-02
EP3506023A1 (en) 2019-07-03
CL2020003430A1 (es) 2021-06-18
AU2016420865B2 (en) 2020-07-02
KR20210054041A (ko) 2021-05-12
JP2021119415A (ja) 2021-08-12
US20210286312A1 (en) 2021-09-16
SG11201901182YA (en) 2019-03-28
KR102205704B1 (ko) 2021-01-20
BR112019003028A2 (pt) 2019-05-14
CO2019002116A2 (es) 2019-05-31
MX2019002227A (es) 2019-06-06
US10671013B2 (en) 2020-06-02
AU2020203959B2 (en) 2021-08-05
KR20190038940A (ko) 2019-04-09
AU2016420865A1 (en) 2019-03-07
DE112016007180T5 (de) 2019-08-01
JP7119168B2 (ja) 2022-08-16
CA3034781A1 (en) 2018-03-01
CA3034781C (en) 2022-10-18
CN109716241A (zh) 2019-05-03
US20190187608A1 (en) 2019-06-20
RU2707093C1 (ru) 2019-11-22
GB201902362D0 (en) 2019-04-10
GB2567401A (en) 2019-04-10
JPWO2018037575A1 (ja) 2019-06-20
US20200257238A1 (en) 2020-08-13
US11067942B2 (en) 2021-07-20
CL2020003428A1 (es) 2021-06-18
CL2019000465A1 (es) 2019-07-12
CN109716241B (zh) 2021-11-09
US11409227B2 (en) 2022-08-09
ZA201900705B (en) 2020-06-24
GB2567401B (en) 2022-03-09
KR102380993B1 (ko) 2022-03-30
JP6884788B2 (ja) 2021-06-09
CL2020003429A1 (es) 2021-06-18
EP3506023A4 (en) 2020-05-13
KR102250501B1 (ko) 2021-05-10
PH12019500392A1 (en) 2019-05-20
WO2018037575A1 (ja)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704B1 (ko)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AU2022202626B2 (en) Drum unit,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upling member
JP2021009419A (ja) 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RU2722140C1 (ru) Узел барабана, картридж,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муфта
TWI685727B (zh) 卡匣及電子照片影像形成裝置
TWI737126B (zh) 卡匣
TWI790697B (zh) 光鼓單元、卡匣、及電子相片影像形成裝置
TWI636347B (zh) 光鼓單元、卡匣、電子相片影像形成裝置及耦合構件
RU2769786C1 (ru) Узел барабана, картридж, электрофотограф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муфта
JP7200341B2 (ja) 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