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145A -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악취 흡착 성형품 및 포장 재료 - Google Patents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악취 흡착 성형품 및 포장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145A
KR20200139145A KR1020207027690A KR20207027690A KR20200139145A KR 20200139145 A KR20200139145 A KR 20200139145A KR 1020207027690 A KR1020207027690 A KR 1020207027690A KR 20207027690 A KR20207027690 A KR 20207027690A KR 20200139145 A KR20200139145 A KR 20200139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dor
adsorption
film
mal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야 다케우치
요시히코 스즈키
도모히로 요네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68126A external-priority patent/JP70875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68128A external-priority patent/JP70990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68129A external-priority patent/JP70875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68127A external-priority patent/JP70875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68125A external-priority patent/JP7143614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적합성이 우수하고, 포장 재료가 원래부터 함유하고 있는 악취성의 유기물과, UV 조사, 핫팩, 보일, γ선 조사, EB 조사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포장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분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에 대하여 높은 흡착 효과를 발휘하여 소취하며, 또한, 한 번 흡착한 악취를 탈리하기 어렵고 효율적으로 악취 흡착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악취 흡착능이 저하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높은 흡착 효과를 발휘하여, 내용물에의 내취미변화성이 우수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과, 이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 제작된 상기 악취 흡착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적어도 열가소성 수지 A와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는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악취 흡착체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인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A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인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및 이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 제작된 악취 흡착 성형품.

Description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악취 흡착 성형품 및 포장 재료
본 발명은, 포장 재료가 원래부터 함유하고 있는 악취성의 유기물과 살균·멸균 처리 시에 포장 재료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성분이 포장체 내의 액체 내용물로 옮겨가 내용물에 변미(變味)나 변취(變臭)를 일으켜 버리는 것을 막는, 내취미변화성(耐臭味變化性)이 우수한, 악취 흡착성을 갖는 성형품용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로 제작된 악취 흡착성을 갖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핀홀성이 우수하고, 포장 재료가 원래부터 함유하고 있는 용출성의 유기물과 살균·멸균 처리 시에 실란트 필름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성분이 포장체 내의 액체 내용물로 옮겨가 내용물에 변미나 변취를 일으켜 버리는 것을 막는, 내취미변화성이 우수한, 실란트 필름과, 이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으로 제작된 포장 재료, 포장체, 특히 BIB(Bag In Box)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 재료가 원래부터 함유하고 있는 용출성의 유기물과 살균·멸균 처리 시에 포장 재료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성분이 포장체 내의 액체 내용물로 옮겨가 내용물에 변미나 변취를 일으켜 버리는 것을 막는, 내취미변화성이 우수한, 악취 흡착 적층체 및 이 악취 흡착 적층체로 제작된, 포장 재료용 악취 흡착 필름, 악취 흡착성 포장 재료, BIB용 악취 흡착성 포장 재료, BIB용 악취 흡착성 액체 내용물 포장 재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핀홀성이 우수하고, 포장 재료가 원래부터 함유하고 있는 용출성의 유기물과 살균·멸균 처리 시에 포장 재료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성분이 포장체 내의 액체 내용물로 옮겨가 내용물에 변미나 변취를 일으켜 버리는 것을 막는, 내취미변화성이 우수한, 포장체, 이 포장체를 포함하는, BIB(Bag In Box)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및 이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재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핀홀성이 우수하고, 포장 재료가 원래부터 함유하고 있는 용출성의 유기물과 살균·멸균 처리 시에 포장 재료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성분이 포장체 내의 액체 내용물로 옮겨가 내용물에 변미나 변취를 일으켜 버리는 것을 막는, 내취미변화성이 우수한, 이중 주머니부를 갖는 포장체, 이 포장체를 포함하는, BIB(Bag In Box)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및 이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재료에 관한 것이다.
포장 재료에 있어서, 악취를 흡착하는 악취 흡착제를 내포한 포장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러한 포장 재료에 있어서는, 합성 제올라이트나 활성탄과 같은 악취 흡착제가 수지 재료 내에 이겨져 들어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장 재료는, 악취뿐만 아니라, 대기중의 습기도 흡착하며, 또한 한 번 흡착한 악취를 탈리시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악취 흡착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무기 다공체 상에 화학 흡착제를 담지시켜 이루어지는 악취 흡착제를 함유한 포장 재료도 알려져 있지만(특허문헌 2), 주된 흡착 대상물은 특정 작용기를 갖는 악취 성분을 흡착할 뿐이며, 수지 재료를 선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작용기를 갖지 않는 유기물의 발생량을 억제할 수 없어, 악취 성분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253848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14-233408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여, 제조 적합성이 우수하고, 포장 재료가 원래부터 함유하고 있는 악취성의 유기물과, UV 조사, 핫팩, 보일, γ선 조사, EB 조사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포장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분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에 대하여 높은 흡착 효과를 발휘하여 소취하며, 또한 한 번 흡착한 악취를 탈리하기 어려워 효율적으로 악취 흡착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악취 흡착능이 저하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높은 흡착 효과를 발휘하여, 내용물에의 내취미변화성이 우수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과, 이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 제작된 상기 악취 흡착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과제 1).
본 발명은, 또한 수송 중의 마찰 등에 대한 내핀홀성이 우수하며, 액체 내용물의 내누설성이 우수한 포장 재료, 이 포장 재료를 포함하는,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과제 2).
또한 본 발명은, 액체 내용물에의 내취미변화성이 우수한 악취 흡착 적층체 및 이 악취 흡착 적층체로 제작된, 포장 재료용 악취 흡착 필름, 악취 흡착성 포장 재료, BIB용 악취 흡착성 포장 재료, BIB용 악취 흡착성 액체 내용물 포장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과제 3).
본 발명은, 또한 수송 중의 마찰 등에 대한 내핀홀성이 우수하고, 액체 내용물의 내누설성이 우수한 포장체, 이 포장체를 포함하는,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및 이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과제 4).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수송 중의 마찰 등에 대한 내핀홀성이 우수하고, 액체 내용물의 내누설성이 우수한 이중 주머니부를 갖는 포장체, 이 포장체를 포함하는,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및 이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과제 5).
과제 1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적어도 특정 열가소성 수지 A와 특정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1. 적어도 열가소성 수지 A와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는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악취 흡착체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인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A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인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2.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상기 1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3. 상기 악취 흡착체가, 열가소성 수지 B와, 미리 악취 흡착체/열가소성 수지 B의 질량비가 0.5/99.5 이상 40/60 이하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고, 열가소성 수지 B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4. 열가소성 수지 A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5. 상기 악취 흡착 성형품 내의 상기 악취 흡착체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상기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6. 상기 악취 흡착 성형품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상기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7.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화학 흡착제가,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카르복실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것인 상기 2∼6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8.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화학 흡착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것인 상기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9. 상기 악취 흡착 성형품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화학 흡착제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상기 2∼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10. 상기 1∼9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 작성된 악취 흡착 성형품.
11. 상기 10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을 포함하는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
12. 상기 11에 기재한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을 포함하는, BIB 포장 주머니용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
13. 상기 12에 기재한 BIB 포장 주머니용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을 구비한 BIB 포장 주머니.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은, 특정 멜트 플로우 레이트의 열가소성 수지 A와 특정 SiO2/Al2O3 몰비의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악취 흡착체로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 제작된 악취 흡착 성형품은, 포장 재료가 원래부터 함유하고 있는 악취성의 유기물이나 악취를 저감하고, UV 조사, γ선 조사, EB 조사, 핫팩, 보일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적층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분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를 장기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흡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들 효과에 의해서,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 제작한 악취 흡착 성형품을 포장체에 이용한 경우에, 충전된 내용물로 옮기가는 유기물의 양을 저감하여, 취미(臭味)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 제작된 악취 흡착 성형품은, 살균·멸균 처리에 부쳐지는, 액체의 식품이나 의약품, 의료품의 포장체의 부품으로서 적합하다.
과제 2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고,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고,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 각각은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고, 악취 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악취 흡착체로서의 특정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실란트 필름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1.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는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 각각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 필름의 상기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이고,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 상기 외층 필름의 상기 실란트층이 상기 악취 흡착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3.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상기 1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4.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0 g/㎤ 이상 0.94 g/㎤ 이하인 상기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5.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LLDPE인 상기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6.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C4-LLDPE, C6-LLDPE, C8-LLDP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상기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7.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50 ㎛ 두께 필름의, 23℃에 있어서의 5000회의 겔보플렉스 후의 핀홀 발생 개수가, 0개 또는 1개 이상 160개 이하인 상기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8.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필름에 포함되는 용출성 TOC의 농도가 1.5 ppm 이상 250 ppm 이하인 상기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9.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소수성 제올라이트/열가소성 수지의 질량비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상기 1∼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0.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열가소성 수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상기 2∼9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1.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0.2∼10.0 g/10분인 상기 9또는 10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2.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카르복실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갖는 상기 2∼11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3.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상기 2∼12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4. 상기 악취 흡착층은, 한 면 또는 양면에 악취 비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비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지 않는 층인 상기 1∼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5. 상기 외층 필름이 기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6. 상기 1∼15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을 포함하는 악취 흡착 포장 재료.
17. 상기 16에 기재한 악취 흡착 포장 재료로 제작된,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 주머니.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은, 특정 구성의 악취 흡착층을 가지며, 또한 특정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 재료가 원래부터 함유하고 있는 용출성의 유기물이나 악취가 저감되고, UV 조사, γ선 조사, EB 조사, 핫팩, 보일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실란트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분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를 장기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흡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들 효과에 의해서,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을 이용하여 액체 내용물 포장체를 제작한 경우에, 충전된 액체 내용물 안으로 용출되는 유기물의 양을 저감하여, 취미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은, 살균·멸균 처리에 부쳐지는, 액체의 식품이나 의약품, 의료품의 포장 주머니로서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된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기 때문에, 수송 시 등의 마찰에 의한 핀홀 발생이 억제되어, 액누설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과제 3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기재층, 접착층,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 및/또는 실란트층이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는 SiO2/Al2O3 몰비가 30/1 이상 8000/1 이하인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악취 흡착 적층체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1. 적어도 기재층, 접착층,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악취 흡착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층 및/또는 상기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고,
상기 접착층이 상기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층 내의 악취 흡착체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고, 상기 실란트층이 상기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악취 흡착체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이고, 상기 악취 흡착체는 SiO2/Al2O3 몰비가 30/1 이상 8000/1 이하인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악취 흡착 적층체.
2. 상기 접착층이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층 또는 비용제(non-solvent) 라미네이트 접착층인 상기 1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3. 상기 접착층이 익스트루젼 코팅 접착층 또는 샌드 라미네이트 접착층이고, 상기 접착층 내의 악취 흡착체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상기 1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4.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5. 상기 악취 흡착체가, 열가소성 수지 A와, 악취 흡착체/열가소성 수지의 질량비가 0.5/99.5 이상 40/60 이하인 비율로 미리 용융 혼련되어 있는 상기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6. 상기 접착층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상기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7. 상기 실란트층이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2 g/10분 이상 10.0 g/10분 이하인 상기 열가소성 수지 C를 추가로 함유하는 상기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8. 상기 접착층은,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는 악취 흡착 접착층과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는 악취 비흡착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비흡착 접착층은, 상기 악취 흡착 접착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해 있는 상기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9. 상기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는 악취 흡착 실란트층과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는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은, 상기 악취 흡착 실란트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해 있는 상기 1∼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10. 상기 접착층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이고, 상기 접착층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상기 4∼9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11.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이고,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상기 4∼10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12.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화학 흡착제가,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카르복실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갖는 상기 4∼11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13. 상기 화학 흡착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상기 12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
14. 상기 1∼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포장 재료용 악취 흡착 필름.
15. 상기 14에 기재한 포장 재료용 악취 흡착 필름을 포함하는 악취 흡착 포장 재료.
16.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는 악취 흡착 포장 재료로서, 상기 외층 필름 및/또는 상기 내층 필름은 상기 14에 기재한 포장 재료용 악취 흡착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는 악취 흡착 포장 재료.
17. 상기 16에 기재한 악취 흡착 포장 재료로 제작된, BIB용 악취 흡착성 포장 재료.
18. 상기 16에 기재한 악취 흡착 포장 재료로 제작된, BIB용 악취 흡착성 액체 내용물 포장 재료.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적층체는, 특정 구성의 악취 흡착층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악취가 저감되고, UV 조사, γ선 조사, EB 조사, 핫팩, 보일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적층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분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를 장기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흡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들 효과에 의해서,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적층체를 이용하여 포장체를 제작한 경우에, 충전된 내용물 안으로 옮겨가는 유기물의 양을 저감하여, 취미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적층체는, 살균·멸균 처리에 부쳐지는, 식품이나 의약품, 의료품의 포장 주머니로서 적합하다. 특히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에 적합하다.
과제 4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는 이중 주머니부를 가지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 각각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악취 흡착체로서의 특정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포장체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1.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는 이중 주머니부를 갖는 포장체로서,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 각각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 필름의 상기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이고, 상기 내층 필름의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인 포장체.
2.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내층 필름의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상기 1에 기재한 포장체.
3.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0 g/㎤ 이상 0.94 g/㎤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포장체.
4.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LLDPE인 상기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5.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C4-LLDPE, C6-LLDPE, C8-LLDP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상기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6.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50 ㎛ 두께 필름의, 23℃에 있어서의 5000회의 겔보플렉스 후의 핀홀 발생 개수가, 0개 또는 1개 이상 160개 이하인 상기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7.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필름에 포함되는 용출성 TOC의 농도가 1.5 ppm 이상 250 ppm 이하인 상기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8.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소수성 제올라이트/열가소성 수지의 질량비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상기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9.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열가소성 수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상기 2∼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0.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0.2∼10.0 g/10분인 상기 8 또는 9에 기재한 포장체.
11.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카르복실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갖는 상기 2∼10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2.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상기 2∼11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3. 상기 내층 필름은, 상기 악취 흡착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악취 비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비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지 않는 층인 상기 1∼12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4. 상기 외층 필름이 기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5. 상기 1∼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를 포함하는,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16. 상기 1∼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재료.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포장체는, 특정 구성의 악취 흡착층을 가지며, 또한 특정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 재료가 원래부터 함유하고 있는 용출성의 유기물이나 악취가 저감되고, UV 조사, γ선 조사, EB 조사, 핫팩, 보일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적층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분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를 장기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흡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들 효과에 의해서, 본 발명의 포장체를 이용하여 액체 내용물 포장체를 제작한 경우에, 충전된 액체 내용물 안으로 용출되는 유기물의 양을 저감하여, 취미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체는, 살균·멸균 처리에 부쳐지는, 액체의 식품이나 의약품, 의료품의 포장 주머니로서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포장체의 이중 주머니부는,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된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기 때문에, 수송 시 등의 마찰에 의한 핀홀 발생이 억제되어, 액누설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과제 5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는 이중 주머니부와, 수지 성형품을 포함하는 내용물 추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 각각은 악취 흡착층을 갖춘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악취 흡착체로서의 특정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함유하고, 상기 내용물 추출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포장체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1.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는 이중 주머니부와, 수지 성형품을 포함하는 내용물 추출구로 구성되는 포장체로서,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 각각은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고, 상기 내용물 추출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이고,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인 포장체.
2.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상기 1에 기재한 포장체.
3. 상기 내용물 추출구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포장체.
4.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추출구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상기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5.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0 g/㎤ 이상 0.94 g/㎤ 이하인 상기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6.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LLDPE인 상기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7.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C4-LLDPE, C6-LLDPE, C8-LLDP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상기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8.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50 ㎛ 두께 필름의, 23℃에 있어서의 5000회의 겔보플렉스 후의 핀홀 발생 개수가, 0개 또는 1개 이상 160개 이하인 상기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9.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필름에 포함되는 용출성 TOC의 농도가 1.5 ppm 이상 250 ppm 이하인 상기 1∼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0.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소수성 제올라이트/열가소성 수지의 질량비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상기 1∼9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1.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열가소성 수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상기 2∼10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2.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0.2∼10.0 g/10분인 상기 1∼11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3.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카르복실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갖는 상기 2∼12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4.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상기 2∼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5. 상기 외층 필름 및/또는 상기 내층 필름은, 상기 악취 흡착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악취 비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비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지 않는 층인 상기 1∼14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6. 상기 외층 필름이 기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1∼15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
17. 상기 1∼16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를 포함하는,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18. 상기 1∼1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재료.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포장체는, 특정 구성의 악취 흡착층을 가지며, 또한 특정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포장 재료가 원래부터 함유하고 있는 용출성의 유기물이나 악취가 저감되고, UV 조사, γ선 조사, EB 조사, 핫팩, 보일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적층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분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를 장기간에 걸쳐 효율적으로 흡착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들 효과에 의해서, 본 발명의 포장체를 이용하여 액체 내용물 포장체를 제작한 경우에, 충전된 액체 내용물 안으로 용출되는 유기물의 양을 저감하여, 취미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체는, 살균·멸균 처리에 부쳐지는, 액체의 식품이나 의약품, 의료품의 포장 주머니로서 적합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포장체의 이중 주머니부는,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된,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기 때문에, 수송 시 등의 마찰에 의한 핀홀 발생이 억제되고, 액누설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과제 1에 대하여(도 1∼3)
도 1은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을 이용한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부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을 이용한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악취 물질에 대한 흡착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과제 2에 대하여(도 4∼12)
도 4는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 부감도 이다.
도 5는 도 4의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의 단면선 A에 의한 개략적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6은 외층 필름 또는 내층 필름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외층 필름 또는 내층 필름의 층 구성의 다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외층 필름 또는 내층 필름의 층 구성의 또 다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외층 필름 또는 내층 필름의 층 구성의 더욱 또 다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외층 필름의 층 구성의 다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악취 물질에 대한 흡착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 주머니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 부감도이다.
과제 3에 대하여(도 13∼15)
도 13은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적층체의 층 구성에 관해서 그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적층체의 층 구성에 관해서 다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적층체의 층 구성에 관해서 또 다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과제 4, 5에 대하여(도 16∼24)
도 16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 부감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포장체의 단면선 A에 의한 개략적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18은 내층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 부감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내층 필름의 단면선 B에 의한 개략적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20은 내층 필름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내층 필름의 층 구성의 다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내층 필름의 층 구성의 또 다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내층 필름의 층 구성의 더욱 또 다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내층 필름의 층 구성의 다른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해서 이하에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구체예를 기재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과제 1에 대하여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의 조성과 악취 흡착 성형품의 용도>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열가소성 수지 A와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인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A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이다.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은, 예컨대 도 1,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포장 주머니의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악취 흡착 성형품은 가공성, 내열성, 내후성, 기계적 성질, 치수 안정성, 항산화성, 미끄러짐성, 이형성, 난연성, 항곰팡이성, 전기적 특성, 강도 등을 개량, 개질할 목적으로 다양한 플라스틱 배합제나 첨가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원료를 공지된 방법으로 혼합, 혼련, 조제하여 얻어지며, 악취 흡착 성형품은 상기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악취 흡착체와 열가소성 수지 A를 혼련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 또는 관용의 혼련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악취 흡착체를 직접 열가소성 수지 A와 혼합하여 혼련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악취 흡착체를 고농도로 열가소성 수지 B와 혼합한 후에 용융 혼련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고, 이것을 목표 함유율에 따른 비율로 열가소성 수지 A와 혼합, 용융 혼련하는, 소위 마스터 배치 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및 악취 흡착 성형품 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및 악취 흡착 성형품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도 적으면, 충분한 악취 흡착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고, 상기 범위보다도 많으면, 악취 흡착 성형품의 성형성이 악화되기 쉽다.
마스터 배치 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방식의 경우에는, 응집이 발생하기 쉬운 소수성 제올라이트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조합이라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 소수성 제올라이트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마스터 배치에서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이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A>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 A의 MFR(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g/분 이상 70 g/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MFR가 5 g/분 미만이면,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성형 시의 유동성이 부족하고, 미충전 등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MFR가 100 g/분보다도 크면,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성형 시에 용융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에 난류가 생겨 공기가 감겨들어가 보이드를 생기게 하거나, 성형품 표면에 침몰을 생기게 하기 쉽게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MFR란, JIS K7210에 준거한 수법으로 측정된 값이다.
구체적인 열가소성 수지 A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폴리(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수지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가스 투과성이 낮은 폴리에스테르형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LDPE, MDPE, HDPE, LLDPE 등),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 등의 각종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열가소성 수지 B>
열가소성 수지 B에는, 마스터 배치 조제에 있어서, 악취 흡착체를 분산시키기에 알맞은 열가소성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B의 MFR(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g/분 이상 70 g/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MFR가 5 g/분 미만이면, 마스터 배치의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악취 흡착체의 분산성이 저하하기 쉽다. MFR가 100 g/분보다도 크면, 마스터 배치의 용융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전단력(剪斷力)이 걸리기 어렵고, 악취 흡착체의 분산성이 저하하기 쉽다. 나아가서는, MFR가 상기 범위 밖이면,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를 적절한 범위로 조제하기 어렵게 된다.
마스터 배치에서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B로서는,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 A와 동일한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열가소성 수지 B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폴리(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수지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가스 투과성이 낮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LDPE, MDPE, HDPE, LLDPE 등),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 등의 각종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악취 흡착체>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및 악취 흡착 성형품에 함유되는 악취 흡착체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인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서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소수성 제올라이트]
제올라이트는 일반적으로 SiO2/Al2O3 몰비가 높을수록 소수성이 높아지며, 본 발명에 있어서 악취 흡착층에 함유되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포장체 또는 포장 재료가 230℃ 이상에 노출된 경우라도 악취 흡착능을 상실하는 일은 없으며, 악취 성분의 흡착에 의한 소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구상(球狀), 막대형, 타원형 등의 임의의 외형 형상이라도 좋고, 분체형, 덩어리형, 입자형 등 어떠한 형태라도 좋지만,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나, 열가소성 수지 A, B에의 균일한 분산이나 혼련 특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평균 입자경은, 용도에 따라서 임의의 평균 입자경인 것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평균 입자경 0.01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입자경은 동적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평균 입자경이 0.01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응집이 생기기 쉽고, 열가소성 수지 A, B 내에서의 분산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평균 입자경이 10 ㎛보다도 큰 경우에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으로 되기 때문에,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많이는 첨가하기 어려운 경향으로 되고, 더구나 표면적도 감소하기 때문에, 충분한 소취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생긴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소수성이기 때문에, 극성이 높은 물 분자 등은 흡착하기 어려우며, 반대로 극성이 낮은, 냄새 분자, 소수성 가스, 친유성 가스(용제계 가스도 포함한다)와의 친화성이 높아, 이들을 흡착하기 쉽다. 더욱이, 제올라이트 표면에 존재하는, Ca, Na, K 등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의 효과에 의해 제올라이트 표면은 염기성을 보이고, 산성 가스를 중화 반응에 의해서 흡착하기 쉽다.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란, 무기 다공체에 화학 흡착제를 담지시킨 것으로, 악취성의 유기물이나, UV 조사, γ선 조사, EB 조사나, 핫팩, 보일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포장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담지 방법으로서는, 공지 또는 관용의 담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기에 설명하는 화학 흡착제를 함유하는 용액을 무기 다공체에 함침시키고, 건조함으로써 담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 흡착제를 무기 다공체에 담지시킨 악취 흡착체를 악취 흡착층에 함유함으로써, 화학 흡착제의 단위질량 당 흡착능을 대폭 높일 수 있어, 악취 흡착층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무기 다공체의 구멍 부분에 대한 물리 흡착 특성도 기대할 수 있다.
함유량을 줄임으로써,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유동성과 충전성을 얻을 수 있고, 성형 재료로서 요구되는 우수한 성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구상, 막대형, 타원형 등의 임의의 외형 형상이라도 좋고, 분체형, 덩어리형, 입자형 등 어떠한 형태라도 좋지만,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나, 열가소성 수지 A, B에의 균일한 분산이나 혼련 특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형이 바람직하다.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용도에 따라서 임의의 평균 입자경인 것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평균 입자경 0.01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7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입자경은 동적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평균 입자경이 0.01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응집이 생기기 쉽고, 열가소성 수지 A, B 내에서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분산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평균 입자경이 10 ㎛보다도 큰 경우에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많이는 함유하기 어려운 경향으로 되어, 충분한 흡착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생긴다.
(무기 다공체)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 다공체로서는, 그 표면에 다수의 세공을 갖는 임의의 무기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올라이트, 이산화규소, 규산염, 활성탄, 티타니아, 인산칼슘 등의 무기 인산염,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흡착 대상 물질의 분자 사이즈나 클러스터 사이즈에 대하여 유효한 구멍 사이즈의 다공 상태를 갖는다는 점이나 안전면의 관점에서, 수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 규산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구상, 막대형, 타원형 등의 임의의 외형 형상이라도 좋고, 분체형, 덩어리형, 입자상 등 어떠한 형태라도 좋지만, 화학 흡착제를 담지하여 악취 흡착체로 한 후에,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나, 열가소성 수지 A, B에의 균일한 분산이나 혼련 특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형이 바람직하다.
무기 다공체는, 용도에 따라서 임의의 평균 입자경인 것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한 평균 입자경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얻기 위해서, 평균 입자경 0.01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7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 흡착제)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 흡착제란, 악취성의 유기물이나, 살균·멸균 처리 시에 수지의 분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 물질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결합하는 반응성 작용기를 가지며, 또한 상기한 무기 다공체 상에 담지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UV 조사, γ선 조사, EB 조사나, 핫팩, 보일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생기는 다양한 알데히드류, 케톤류, 카르복실산류 등과 결합하는 반응성을 갖는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아미노기나 히드록실기 등의 염기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금속탄산염, 금속탄산수소염,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각각의 구체적 화합물로서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알킬아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트리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피페라진, 메타페닐렌디아민, 폴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철 등의 금속수산화물을 들 수 있다.
금속탄산염으로서는, 예컨대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탄산수소염으로서는, 예컨대 탄산수소나트륨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우수한 흡착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흡착제로서는,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 흡착제의, 유기물이나 악취 물질 등의 흡착 대상 물질에 대한 흡착 기구를, 도 3의 (a)∼(b)의 구체예를 이용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흡착 대상 물질(악취 물질)이 산계 악취 물질인 경우는, 도 3(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화학 흡착제로서, 예컨대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을 선택하고, 무기 다공체 상에 담지하여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르복실기와 히드록실기가 화학 반응을 일으켜 결합하여, 흡착 대상 물질이 흡착된다.
또한, 흡착 대상 물질이 알데히드류인 경우는, 도 3(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화학 흡착제로서, 예컨대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을 선택하고, 무기 다공체 상에 담지하여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데히드기와 아미노기가 화학 반응을 일으켜 결합하여, 흡착 대상 물질이 흡착된다.
이때, 화학 흡착이므로, 일단 흡착된 흡착 대상 물질(악취 물질)은 탈리하는 일이 없고, 효율적으로 악취 흡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흡착 대상 물질(악취 물질)과 수증기가 동일한 흡착 부위에 흡착되는 물리 흡착제와는 달리,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학 흡착제는, 흡착 대상 물질을 화학 흡착제의 특정 작용기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악취 흡착능을 저하시키는 여러 가지 물질, 예컨대 수증기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의 조제>
악취 흡착체와 열가소성 수지 A를 혼련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 또는 관용의 혼련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악취 흡착체를 직접 열가소성 수지 A와 혼합하여 혼련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악취 흡착체를 고농도로 열가소성 수지 B와 혼합한 후에 용융 혼련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고, 이것을 목표 함유율에 따른 비율로 열가소성 수지 A와 혼합, 용융 혼련하는, 소위 마스터 배치 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방식인 경우에는, 응집이 발생하기 쉬운 악취 흡착체와 열가소성 수지 A의 조합이라도, 열가소성 수지 A 내에 악취 흡착체를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배치 내의 열가소성 수지 B가,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내의 열가소성 수지 A와 동일하여도 좋고,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목적에 따라서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를 조합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미리 악취 흡착체와 열가소성 수지 B를 용융 혼합해 두면, 재차 열가소성 수지 B와 혼합 또는 용융 혼련했을 때에, 균질하고 양호한 성형성 및 악취 흡착성을 얻을 수 있다.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내에는, 열가소성 수지 A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열가소성 수지 A와 동등한 정도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과 악취 흡착성에 큰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용할 수 있다.
<악취 흡착 성형품의 성형>
악취 흡착 성형품은,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 트랜스퍼 성형 등의 공지된 성형 수단에 의해서 100∼250℃에서 제작할 수 있다.
<내용물 추출구>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은, 포장 주머니 등의 포장체의 내용물 추출구에 이용할 수 있다.
내용물 추출구는 내용물의 충전 및/또는 꺼내기를 행하기 위한 입출구이며, 1개의 내용물 추출구로 내용물의 충전과 꺼내기를 행하여도 좋고, 2개 이상을 두어 내용물의 충전과 꺼내기를 따로따로의 내용물 추출구로 행하여도 좋다.
내용물 추출구의 부착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포장체의 단부 근방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 추출구는,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단의 플랜지와, 이 플랜지에 의해 안주머니의 구멍에 부착되는 원통 부품과, 이 원통 부품 개구부에 감합 고정되는 캡으로 구성할 수 있다.
스파우트, 커넥터, 캡 모두가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은 동일한 조성이라도 다른 조성이라도 좋다.
<포장 주머니>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이 내용물 추출구로서 이용되는 포장 주머니는 내용물이 충전되는 포장 주머니이며, 예컨대 액체 내용물 포장 주머니이다.
포장 주머니는, 예컨대 히트 시일성을 갖는 포장 재료를 이용하여, 히트 시일성이 양호한 면이 대향하도록 포장 재료를 접어 구부리거나 또는 2장을 서로 겹쳐, 그 주변 단부를, 예컨대 측면 시일형, 2방면 시일형, 3방면 시일형, 4방면 시일형, 봉투 부착 시일형, 합장 부착 시일형(필로우 시일형), 주름 부착 시일형, 평저(平底) 시일형, 각저(角底) 시일형, 가젯형 등의 히트 시일 형태에 따라 히트 시일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히트 시일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바 시일, 회전 롤 시일, 벨트 시일, 임펄스 시일, 고주파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BIB 포장 주머니>
BIB(Bag In Box) 포장 주머니란, 내용물 추출구를 구비한 포장 주머니 또는 성형 용기를 마분지 상자 등에 수용한 포장체이다.
<내용물>
본 발명에 있어서, 내용물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성형품이나 포장 주머니가 살균·멸균 처리에 부쳐지거나 악취 성분이 옮겨가 변미나 변취를 일으켜 버리거나 하는 식품이나 의약품이 적합하다.
액체 내용물로서는, 음료수, 쥬스류, 점적용 수액, 간장, 소스 등의 조미액체, 쯔유, 꿀, 양념, 드레싱 등의 액체 전반을 들 수 있다.
과제 2에 대하여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은, 도 4,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고,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다.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부분적인 접착 부분은, 적어도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의 주연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속된 선에 의한 격자 형상이라도, 불연속적인 선에 의한 형상이라도, 점 형상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은, 포장 재료로서 이용했을 때의, 포장 공정 중이나 수송 중의 진동에 의한 국소적 반복 굴곡이나, 내용물 추출구 등의 포장체 부품의 접촉에 의해서 피로 파괴가 진행되어,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로서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액체 내용물을 누설시키는 핀홀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특히 식품·의료용품 등의 용도의 포장 재료는 내핀홀성이 중요하다.
무균 충전에 사용하는 경우는, 포장체를 전자선, γ선, 또는 에틸렌옥사이드가스 등으로 살균한 후, 다음 공정 또는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층 구성>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 각각은, 적어도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실란트층을 갖는 필름이다.
그리고,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외층 필름의 실란트층도 악취 흡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악취 흡착층을 갖는 실란트층은,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악취 흡착층만을 포함하는 층이라도 좋고, 도 7,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일 강도 및 층간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함유하지만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는 악취 비흡착층과의 다층 구조라도 좋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악취 흡착층은, 주체가 되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종류나, 악취 흡착체의 종류나 함유량이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다층 구조라도 좋다.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을 이용한 포장 주머니에 있어서, 액체 내용물과 접하는 최내층은, 악취 흡착층이라도, 악취 비흡착층이라도 좋다. 악취 비흡착층이 최내층인 경우는 포장 주머니의 시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악취 흡착층이 최내층인 경우는 포장 주머니 내의 층간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 각각은, 필름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가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재층이나, 보강층등의 기능층, 접착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외층 필름이 기재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 기능층, 접착제층에는, 공지된 것을 공지된 방법으로 적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고, 또한 악취 비흡착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외층 필름의 실란트층은 악취 비흡착층 및/또는 악취 흡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악취 흡착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악취 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나아가서는, 범용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 등을, 실란트 필름의 저용출성이나 히트 시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악취 흡착층은, 악취 흡착체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혼련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단층 구성이다. 여기서, 악취 흡착체는, 층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어도 좋고,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포장체 형성 시의 내측 표면에서 외측 표면으로 향하여 증가 경향의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으며, 이 구성에 의해 히트 시일성이 향상된다. 이와는 반대로, 포장체 형성 시의 내측 표면에서 외측 표면으로 향하여 감소 경향의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으며, 이 구성에 의해 층간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
더욱이, 악취 흡착층의 두께 방향 중심부에서 양 표면으로 향하여 감소 경향의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으며, 이 구성에 의해 히트 시일성과 층간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악취 흡착층은 2 또는 그 이상의 층이 적층된 다층 구성이라도 좋으며, 여기서, 각 층은, 주체가 되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종류나, 악취 흡착체의 종류나 함유량이 각각 다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악취 흡착층 전체의 층 두께는, 5 ㎛ 이상이면 제막은 가능하지만, 양호한 제막성과 히트 시일성, 층간 접착 강도 및 악취 흡착성을 얻기 위해서는, 10 ㎛∼200 ㎛가 바람직하다.
악취 흡착체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며, 나아가서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직접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하여 혼련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소수성 제올라이트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고농도로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한 후에 용융 혼련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고, 이것을 목표 함유율에 따른 비율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 용융 혼련하는, 소위 마스터 배치 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첨가량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는 실란트층 내에 0.05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악취 흡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포장체로서 양호한 악취 흡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체 제작 시에 양호한 제막성을 얻기 위해서, 아울러 양호한 히트 시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13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는 실란트층 내에 0.05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흡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포장체로서 양호한 흡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체 제작 시에 양호한 제막성을 얻기 위해서, 아울러 양호한 히트 시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는 실란트층 내에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본 발명에 있어서,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은, 히트 시일성을 가지며, 유기물의 용출량이 적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한다.
유기물의 용출량이 적음으로써, 본 발명의 포장체에 충전된 액체 내용물 내에 용출되는 유기물의 농도를 저감하여, 취미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액체 내용물 내의 유기물의 농도는, 본 발명에서는 총 유기체 탄소(TOC=Total Organic Carbon)의 농도에 의해서 표시된다.
TOC는, 수중의 산화될 수 있는 유기물(유기 탄소체) 전량의 농도를 탄소량의 농도로 나타낸 것으로, 대표적인 수질 지표의 하나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이며, JIS K 0805(유기체 탄소(TOC) 자동 계측기) 등으로 규격화되어 있다.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에 포함되는 용출성 TOC의 농도는 1.5 ppm 이상 250 ppm 이하이다.
여기서, 단일체 원료로서의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에 관한 용출성 TOC의 농도를, 원료 펠릿 등의 상태가 아니라, 필름화된 상태에서 측정하는 이유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실란트층 형성 등의 필름화될 때에, 다양한 열이력 등이 주어져 TOC의 용출량을 증가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 15 cm×44 cm×50 ㎛ 두께의 파우치 포장 주머니 안에, 충전수로서 증류수를 1 kg 충전하여 용출시킨 후의, 상기 충전수 내의 TOC의 증가 농도는 0.01 ppm 이상 1.5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ppm 이상 1.45 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5 ppm 이상 1.4 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충전수 내의 TOC의 증가 농도가 1.5 ppm보다도 크면, 충전수의 취미 변화를 억제하기 어렵고, 0.01 ppm보다도 작은 것을 얻기 위해서는 비용이 높아지는 한편 효과는 한정적이다. 비용과 성능의 양립이라는 관점에서 상기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TOC의 증가 농도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상기한 파우치 포장 주머니 안에, 충전수로서 40℃∼80℃의 증류수를 1000 g 충전하여, 25℃∼50℃, 수일∼4주간 보관한 후의 상기 충전수의 TOC 농도를 총유기체탄소계나 HS-GC로 측정하고, 블랭크로서 상기 증류수의 TOC 농도를 빼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층 필름, 내층 필름,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을 이용하여, 파우치 주머니(15 cm×44 cm)의 포장체를 제작하고, 65℃의 물(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증류수, 쥰세이카가쿠) 1000 g을 충전하여 포장체 액체 충전물을 제작하고, 35℃, 2주간 보관한 후에, (주)시마즈세이사쿠쇼사 제조 TOC-L 총유기체탄소계에 의해 충전수의 TOC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표준 방법으로 하여, TOC의 증가 농도를 구한다.
그리고, 얻어진 충전수의 TOC 증가 농도와, 충전수 질량부와 실란트 필름 질량부로부터, 실란트 필름에 함유되어 있던 용출성 TOC 농도를 산출한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구체예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직쇄상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저용출화된 것 및 이들 수지의 혼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필름으로부터의 유기물의 용출량을 낮추기 위해서는 하기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을 제조할 때에, 미반응 원료 잔존량이나 저분자량 생성물이나 부생성물의 양을 저감하거나, 중합 촉매를 제거하거나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원료 순도를 향상시키거나, 반응 온도나 압력 등의 조건을 정밀하게 제어하거나, 증류나 세정에 의해서 미반응 원료나 저분자량 생성물이나 부생성물이나 중합 촉매를 제거하거나, 고온 그대로 공기 중의 산소에 닿음으로 인한 산화를 방지하거나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제조된 폴리에틸렌을 펠릿화할 때는, 유기물의 용출량을 상승시켜 버리는, 윤활제, 산화방지제, 기타 첨가제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을 필름화할 때는, 유기물의 용출량을 상승시켜 버리는, 윤활제, 산화방지제, 용제, 기타 첨가제의 사용을 제한하여, 고온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거나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란트층이 히트 시일성을 가지고,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함으로써,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으로 제작된 포장 재료는, 우수한 히트 시일성을 가지고, 유기물의 용출량이 적고, 포장체 내의 액체 내용물의 TOC 농도 증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은, UV 등의 멸균·살균 처리에 대하여 내성이 있어 분해되기 어려운 성질이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적합하다.
이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중에서도, 타입으로서는 LLDPE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C4, C6, C8의 측쇄를 갖는 LLDPE는, 유기물의 용출량을 낮출 수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C4-LLDPE, C6-LLDPE, C8-LLDPE 등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C4, C6, C8이란, LLDPE와 일부 공중합하여, 기재한 수치의 수의 탄소수의 모노머가 측쇄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C4는 부텐-1, C6은 헥센-1 또는 4메틸펜텐-1, C8은 옥텐-1의 구조의 측쇄를 나타낸다.
혹은 밀도가 0.90 g/㎤ 이상 0.94 g/㎤ 이하인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고, 0.905 g/㎤ 이상 0.933 g/㎤ 이하인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밀도가 이 범위인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유기물의 용출량을 낮출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산화방지제나 안티블록제 등의 첨가제를 소량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단일체로 필름으로 했을 때에, 굴곡에 기인하는 내핀홀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내핀홀성은, 예컨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단일체를 포함하는 50 ㎛ 두께 필름의, 23℃에 있어서의 5000회의 겔보플렉스 후의 핀홀 발생 개수가, 0개 또는 1개 이상 16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트 필름의 핀홀 발생 개수가 상기 범위이면, 핀홀내성이 필요한 용도인 경우에, 실용에 견딜 수 있는 포장 재료를 제작할 수 있다.
[악취 흡착체]
본 발명에 있어서, 악취 흡착체는, 특정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며, 나아가서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수성 제올라이트)
상기 과제 1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란, 무기 다공체에 화학 흡착제를 담지시킨 것으로, 용출성의 유기물이나, UV 조사, γ선 조사, EB 조사나, 핫팩, 보일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포장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담지 방법으로서는, 공지 또는 관용의 담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기에 설명하는 화학 흡착제를 함유하는 용액을, 무기 다공체에 함침시키고, 건조함으로써 담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 흡착제를 무기 다공체에 담지시킨 악취 흡착체를 악취 흡착층에 함유함으로써, 화학 흡착제의 단위질량 당 흡착능을 대폭 높일 수 있고, 악취 흡착층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무기 다공체의 구멍 부분에 대한 물리 흡착 특성도 기대할 수 있다.
함유량을 줄임으로써 높은 시일 강도를 얻을 수 있어, 실란트 필름으로서 요구되는 우수한 히트 시일성 및 제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구상, 막대형, 타원형 등의 임의의 외형 형상이라도 좋고, 분체형, 덩어리형, 입자형 등 어떠한 형태라도 좋지만, 악취 흡착층의 제막성이나, 열가소성 수지에의 균일한 분산이나 혼련 특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형이 바람직하다.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용도에 따라서 임의의 평균 입자경인 것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평균 입자경 0.01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7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입자경은 동적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평균 입자경이 0.01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응집이 생기기 쉽고,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내에서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분산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평균 입자경이 10 ㎛보다도 큰 경우에는 악취 흡착층의 제막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많이는 함유하기 어려운 경향으로 되어, 충분한 흡착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생긴다.
(무기 다공체)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 다공체로서는, 그 표면에 다수의 세공을 갖는 임의의 무기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올라이트, 이산화규소, 규산염, 활성탄, 티타니아, 인산칼슘 등의 무기 인산염,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흡착 대상 물질의 분자 사이즈나 클러스터 사이즈에 대하여 유효한 구멍 사이즈의 다공 상태를 갖는 점이나 안전면의 관점에서, 수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 규산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구상, 막대형, 타원형 등의 임의의 외형 형상이라도 좋고, 분체형, 덩어리형, 입자형 등 어떠한 형태라도 좋지만, 화학 흡착제를 담지하여 악취 흡착체로 한 후에, 악취 흡착층의 제막성이나, 열가소성 수지에의 균일한 분산이나 혼련 특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형이 바람직하다.
무기 다공체는, 용도에 따라서 임의의 평균 입자경인 것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한 평균 입자경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얻기 위해서, 평균 입자경 0.01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7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 흡착제)
상기 과제 1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외층 필름 또는 내층 필름의 제작 방법>
(악취 흡착체의 분산 방법)
악취 흡착체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혼련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 또는 관용의 혼련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악취 흡착체를 직접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하여 혼련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악취 흡착체를 고농도로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한 후에 용융 혼련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고, 이것을 목표 함유율에 따른 비율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 용융 혼련하는, 소위 마스터 배치 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방식인 경우에는, 응집이 발생하기 쉬운 악취 흡착체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조합이라도,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내에 악취 흡착체를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배치 내의 열가소성 수지가 악취 흡착층 내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동일하여도 좋고,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목적에 따라서 동일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나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미리 악취 흡착체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용융 혼합해 두면, 재차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 또는 용융 혼련했을 때에, 균질하고 양호한 제막성, 히트 시일성, 층간 접착 강도 및 악취 흡착성을 얻을 수 있다.
악취 흡착층 내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범용의 비저용출성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들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동등한 정도의 저용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란트층 전체로부터의 유기물의 용출량에 큰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범용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제막·적층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외층 필름 또는 내층 필름의 각 층의 제막,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 또는 관용의 제막 방법, 적층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악취 흡착층이나 악취 비흡착층을, 경우에 따라 접착층을 통해, 다른 층 상에 익스트루젼 코팅함으로써 적층하거나, 예컨대 복수의 악취 흡착층과 악취 비흡착층을 인플레이션법이나 캐스트법에 의해 공압출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익스트루젼 코팅에 의해 적층하는 경우에는, 우선 악취 흡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이나 악취 비흡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T 다이스로 필요한 폭 방향으로 확대 신장시켜 커튼형으로 압출하고, 이 용융 수지를 피적층면 상에 유하(流下)시키고, 고무 롤과 냉각한 금속 롤로 협지함으로써, 악취 흡착층이나 악취 비흡착층의 형성과 피적층면에의 접착과 적층을 동시에 행한다.
익스트루젼 코팅에 의해 적층하는 경우의, 악취 흡착층에 포함되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나 악취 비흡착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2∼50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 g/10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MFR란, JIS K7210에 준거한 수법으로 측정된 값이다.
MFR가 0.2 g/분 미만 또는 50 g/분 이상이면 가공 적합성의 면에서 유효하게 되기 어렵다.
인플레이션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악취 흡착층에 포함되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나 악취 비흡착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2∼10.0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9.5 g/10분이다.
MFR가 0.2 g/10분 미만 또는 10.0 g/10분 이상이면 가공 적합성의 면에서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는, 미리 제막된 악취 흡착층과 악취 비흡착층을 드라이 라미네이션, 비용제 라미네이션, 샌드 라미네이션 등에 의해 접착층을 통해 라미네이트하여도 좋다.
<접착층>
본 발명에서는, 실란트층 내의 각 층 사이, 실란트층-기재층 사이 등의 각 층 사이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착층은 접착제 또는 임의의 앵커코트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접착제는, 열경화형, 자외선경화형, 전자선경화형 등이라도 좋고, 수성형, 용액형, 에멀젼형, 분산형 등의 어느 형태라도 좋으며, 또한 그 성상은 필름/시트형, 분말형, 고형 등의 어느 형태라도 좋고, 더구나 접착 기구에 관해서는, 화학반응형, 용제휘발형, 열용융형, 열압형 등의 어느 형태라도 좋다.
또한, 접착층은 EC(익스트루젼 코팅)층,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비용제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층이라도 좋다.
이러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성분으로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이나 아세트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트산비닐 등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산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계 접착제,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LD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요소 수지 또는 멜라민 수지 등을 포함하는 아미노 수지계 접착제, 페놀 수지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반응형 (메트)아크릴계 접착제,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저융점 유리 등을 포함하는 무기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앵커코트제로서는, 예컨대 유기티탄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에틸렌이민계, 산 변성 폴리에틸렌계, 폴리부타디엔계 등의 앵커코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을 익스트루젼 코팅으로 라미네이트하는 경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착제를 접착 대상층 상에 익스트루젼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익스트루젼 코팅에 있어서는, 우선 접착제를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T 다이스로 필요한 폭 방향으로 확대 신장시켜 커튼형으로 압출하고, 이 용융물을 접착 대상층 상에 유하시키고, 고무 롤과 냉각한 금속 롤로 협지함으로써, 접착층의 형성과 접착 대상층에의 접착과 적층을 동시에 행한다.
접착층으로서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한 접착제를 한쪽의 층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또 한쪽의 접착 대상층을 겹쳐 적층한 후에, 30∼120℃에서 수시간∼수일간 에이징함으로써 접착제를 경화시켜 적층한다.
비용제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하지 않고서 접착제 자신을 층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또 한쪽의 접착 대상층을 겹쳐 적층한 후에, 30∼120℃에서 수시간∼수일간 에이징함으로써 접착제를 경화시켜 적층한다.
접착층은, 상기 접착제를, 예컨대 롤 코트, 그라비아 롤 코트, 키스 코트 등으로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며, 그 코팅량으로서는 0.1∼10 g/㎡(건조 상태) 정도가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코팅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
샌드 라미네이션에 의해 적층하는 경우에, 접착층은 가열 용융시켜 압출기로 적용할 수 있는 임의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악취 비흡착층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포장 재료>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을 그대로 혹은 필요에 따라서 기재층이나 기능층을 적층하여 포장 재료를 제작할 수 있다. 특히 BIB용 액체 내용물용 포장 재료로서도 적합하다.
<포장체,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 주머니>
본 발명의 포장체는, 예컨대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 주머니로서 이용되며, 내용물 추출구에 캡을 하여 밀봉한 상태로 내용물의 충전용으로 제공된다. 즉, 통상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는, 밀봉한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는 마분지 상자에 넣어져 사용자에게 공급되지만, 무균 충전에 사용하는 경우는, 밀봉한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는, 전자선, γ선,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가스 등으로 살균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본 발명의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 주머니는, 예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적어도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으로 제작된 포장 재료를 이용한 이중 주머니부와, 수지 성형품을 포함하는 내용물 추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주머니부는, 도 11,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측 필름과 하측 필름으로 구성되고, 내용물 추출구는 상측 필름에 부착되어 있다.
<액체 내용물>
본 발명에 있어서 액체 내용물이란, 음료수, 쥬스류, 점적용 수액, 간장, 소스, 등의 조미액체, 쯔유, 꿀, 양념, 드레싱 등의 액체 전반을 가리키는 것이다.
[포장체의 제작 방법]
본 발명의 포장체는,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용물 추출구를 부착한 상측 필름의 실란트층과 하측 필름의 실란트층을 대향하도록 포장 재료를 접어 구부리거나 또는 2장을 서로 겹쳐, 그 주변 단부를 예컨대 측면 시일형, 2방면 시일형, 3방면 시일형, 4방면 시일형, 봉투 부착 시일형, 합장 부착 시일형(필로우 시일형), 주름 부착 시일형, 평저 시일형, 각저 시일형, 가젯형 등의 히트 시일 형태에 의해 히트 시일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히트 시일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바 시일, 회전 롤 시일, 벨트 시일, 임펄스 시일, 고주파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내용물 추출구를 상측 필름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측 필름의 내용물 추출구의 부착 위치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내용물 추출구를 상측 필름의 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내용물 추출구의 플랜지의 외측에 상측 필름의 내면을 히트 시일하여 고정하고, 또한 그 내용물 추출구에 캡을 씌워 밀봉 상태로 한다.
<내용물 추출구>
내용물 추출구는, 내용물의 충전 및/또는 꺼내기를 행하기 위한 입출구이며, 1개의 내용물 추출구로 내용물의 충전과 꺼내기를 행하여도 좋고, 2개 이상을 두어 내용물의 충전과 꺼내기를 따로따로의 내용물 추출구로 행하여도 좋다.
내용물 추출구의 부착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포장체의 4변 근방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 추출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LDPE, MDPE, HDPE, LLDPE 등), 각종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인 것이 성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물 추출구는, 가공성, 내열성, 내후성, 기계적 성질, 치수 안정성, 항산화성, 미끄러짐성, 이형성, 난연성, 항곰팡이성, 전기적 특성, 강도 등을 개량, 개질할 목적으로, 다양한 플라스틱 배합제나 첨가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 추출구는 필요에 따라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나 악취 흡착체를 함유할 수도 있다.
내용물 추출구는, 상기한 각종 원료를 공지된 방법으로 혼합,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 수지 조성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과제 3에 대하여
<악취 흡착 적층체의 층 구성>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적층체는, 적어도 기재층, 접착층,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접착층 및/또는 실란트층이 악취 흡착체를 함유한다.
<악취 흡착체>
본 발명에 있어서, 악취 흡착체는 특정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며, 나아가서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악취 흡착체는,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에 직접 혼합, 혼련할 수도 있고, 고농도로 열가소성 수지 A와 혼합한 후에 용융 혼련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고, 이것을 목표 함유율에 따른 비율로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와 혼합, 용융 혼련하는, 소위 마스터 배치 방식에 의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악취 흡착체의 마스터 배치화]
마스터 배치화에 의해, 응집이 발생하기 쉬운 악취 흡착체와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조합이라도, 수지 내에 악취 흡착체를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악취 흡착체와 열가소성 수지 A를 혼련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 또는 관용의 혼련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배치 내의 열가소성 수지 A는, 각 층 내의 수지와 동일하여도 좋고,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목적에 따라서 동일한 수지나 다른 수지의 종류를 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A가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와 동일하면, 재차 각 층용으로 열가소성 수지 A와 혼합 또는 용융 혼련했을 때에, 균질하고 양호한, 제막성, 층간 접착 강도, 히트 시일성 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악취 흡착성을 얻을 수 있다.
마스터 배치 내의 악취 흡착체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A]
악취 흡착체의 마스터 배치에 있어서, 악취 흡착체를 분산시키는 열가소성 수지 A는, 마스터 배치 내에서 악취 흡착체를 분산할 수 있는 것이며, 마스터 배치를 배합하는 각 층의 수지와 친화성이 좋고, 용이하게 혼련, 균질화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동일한 수지나 다른 수지의 종류를 조합할 수 있다.
[소수성 제올라이트]
제올라이트는, 일반적으로 SiO2/Al2O3 몰비가 높을수록 소수성이 높아지며, 본 발명에 있어서 악취 흡착층에 함유되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포장체 또는 포장 재료가 230℃ 이상에 노출된 경우 라도 악취 흡착능을 상실하는 일은 없고, 악취 성분의 흡착에 의한 소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구상, 막대형, 타원형 등의 임의의 외형 형상이라도 좋고, 분체형, 덩어리형, 입자형 등 어떠한 형태라도 좋지만, 수지에의 균일한 분산이나 혼련 특성이나, 그 후의 제막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평균 입자경은, 용도에 따라서 임의의 평균 입자경인 것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평균 입자경 0.01 ㎛∼10 ㎛의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입자경은 동적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평균 입자경이 0.01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응집이 생기기 쉬워, 수지 내에서의 분산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평균 입자경이 10 ㎛보다도 큰 경우에는, 제막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으로 되기 때문에,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많이는 첨가하기 어려운 경향으로 되고, 더구나 표면적도 감소하기 때문에, 충분한 소취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생긴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소수성이기 때문에, 극성이 높은 물 분자 등은 흡착하기 어렵고, 반대로 극성이 낮은, 냄새 분자, 소수성 가스, 친유성 가스(용제계 가스도 포함한다)와의 친화성이 높아, 이들을 흡착하기 쉽다. 더욱이, 제올라이트 표면에 존재하는, Ca, Na, K 등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의 효과에 의해 제올라이트 표면은 염기성을 보이고, 산성 가스를 중화 반응에 의해서 흡착하기 쉽다.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란, 무기 다공체에 화학 흡착제를 담지시킨 것으로, 용출성의 유기물이나, UV 조사, γ선 조사, EB 조사나, 핫팩, 보일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포장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담지 방법으로서는 공지 또는 관용의 담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기에 설명하는 화학 흡착제를 함유하는 용액을 무기 다공체에 함침시키고, 건조함으로써 담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 흡착제를 무기 다공체에 담지시킨 악취 흡착체를 악취 흡착층에 함유함으로써, 화학 흡착제의 단위질량 당 흡착능을 대폭 높일 수 있어, 악취 흡착층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무기 다공체의 구멍 부분에 대한 물리 흡착 특성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함유량을 줄임으로써, 함유시킨 수지 조성물의 우수한 제막성, 접착성, 시일 강도 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구상, 막대형, 타원형 등의 임의의 외형 형상이라도 좋고, 분체형, 덩어리형, 입자형 등 어떠한 형태라도 좋지만, 악취 흡착층의 제막성이나, 열가소성 수지에의 균일한 분산이나 혼련 특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형이 바람직하다.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용도에 따라서 임의의 평균 입자경인 것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평균 입자경 0.01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7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입자경은 동적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평균 입자경이 0.01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응집이 생기기 쉽고, 수지 내에서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분산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평균 입자경이 10 ㎛보다도 큰 경우에는,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막성이 뒤떨어지기 쉽게 되기 때문에,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많이는 함유하기 어려운 경향으로 되어, 충분한 흡착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생긴다.
(무기 다공체)
본 발명에 있어서, 무기 다공체로서는, 그 표면에 다수의 세공을 갖는 임의의 무기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제올라이트, 이산화규소, 규산염, 활성탄, 티타니아, 인산칼슘 등의 무기 인산염,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흡착 대상 물질의 분자 사이즈나 클러스터 사이즈에 대하여 유효한 구멍 사이즈의 다공 상태를 갖는 점이나 안전면의 관점에서, 수산화알루미늄, 제올라이트, 규산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구상, 막대형, 타원형 등의 임의의 외형 형상이라도 좋고, 분체형, 덩어리형, 입자형 등 어떠한 형태라도 좋지만, 화학 흡착제를 담지하여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로 한 후에, 수지에의 균일한 분산이나 혼련 특성,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제막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형이 바람직하다.
무기 다공체는, 용도에 따라서 임의의 평균 입자경인 것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한 평균 입자경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얻기 위해서, 평균 입자경 0.01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7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 흡착제)
상기 과제 1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기재층>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적층체에 포함되는 기재층에는, 일반적으로 포장용 포장 재료에 이용되는 수지 필름 또는 시트나, 합성지나, 종이 기재 등의 필름 또는 시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인장 강도, 굴곡 강도, 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함과 더불어, 인쇄 적합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은 1층이라도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2층 이상인 경우에는, 동일 조성의 층이라도 다른 조성의 층이라도 좋다.
또한, 일축 또는 이축 연신된 수지 필름 또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MXD6(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셀로판;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EVOH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적층체를 포장재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포장하는 내용물의 종류나 충전 후의 가열 처리 유무 등의 사용 조건에 따라서 알맞는 것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한 것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나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특히 일축 또는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시트나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시트 등이 적합하다.
기재층에 이용하는 수지 필름 또는 시트는, 필요에 따라서 가공성, 내열성, 내후성, 기계적 성질, 치수 안정성, 항산화성, 미끄러짐성, 이형성, 난연성, 항곰팡이성, 전기적 특성, 강도 등을 개량, 개질할 목적으로, 윤활제, 가교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충전제, 보강제, 대전방지제, 안료 등의 플라스틱 배합제나 첨가제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으로서는, 다른 성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목적에 따라서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종이 기재로서는, 예컨대 강사이즈성의 표백 또는 미표백의 종이 기재, 혹은 순백 롤지, 크라프트지, 판지, 코트지, 캐스트코트지, 가공지, 상질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이 기재로서는, 평량 약 80∼600 g/㎡ 정도인 것, 바람직하게는 평량 약 100∼450 g/㎡ 정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에 이용되는 수지 필름 또는 시트는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이 증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기재층 및 기재층을 구성하는 필름 또는 시트는,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층 전에 미리 코로나 방전 처리, 오존 처리, 산소 가스 혹은 질소 가스 등을 이용한 저온 플라즈마 처리, 글로우 방전 처리 등의 물리적인 처리나, 화학 약품을 이용한 산화 처리 등의 화학적인 처리를 실시해 두어도 좋다.
혹은 열가소성 수지층의 표면에, 프라이머코트제층, 언더코트제층, 앵커코트제층, 접착제층, 증착 앵커코트제층 등의 각종 코트제층을 임의로 형성하여, 표면처리층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각종 코트제층에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그 공중합체 내지 변성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비히클의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는 10 ㎛ 이상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 이상 4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도 얇으면, 적층체의 강성이 지나치게 낮기 때문에, 높은 주머니 낙하(bag-dropping) 강도를 발휘하기 어려운 경향으로 되고, 상기 범위보다도 두꺼우면, 적층체의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적층체의 가공이 곤란하게 되기 쉽고, 내용물 충전성도 악화되기 쉽다.
<접착층>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적층체는, 기재층, 실란트층, 그 밖의 층과의 층간, 및 각 층이 다층인 경우에는 이 다층 내의 층간에는, 접착층을 형성하여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는 접착층>
접착층은 악취 흡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접착층은, 또한 악취 흡착체와 조합하여 이용하기에 적합한 접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접착층은, 악취 흡착체와 접착제를 함유하는 악취 흡착 접착층과,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지만 접착제를 갖는 악취 비흡착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악취 비흡착 접착층은 상기 악취 흡착 접착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 내의 악취 흡착체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접착층 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전체 접착층 내에 0.05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악취 흡착성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포장체로서 양호한 악취 흡착성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3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체 제작 시에 양호한 제막성을 얻기 위해서, 아울러 양호한 접착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전체 접착층 내에 0.05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흡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포장체로서 양호한 흡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3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체 제작 시에 양호한 제막성을 얻기 위해서, 아울러 양호한 접착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체 접착층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은, EC(익스트루젼 코팅), 드라이 라미네이트, 비용제 라미네이트, 샌드 라미네이트 등의 각종 방식에 의해서 형성된 층이라도 좋다.
접착층이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층 또는 비용제 라미네이트 접착층인 경우에는, 악취 흡착체, 소수성 제올라이트,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이 EC(익스트루젼 코팅) 접착층 또는 샌드 라미네이트 접착층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악취 흡착체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제올라이트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을 익스트루젼 코팅이나 샌드 라미네이트로 형성하는 경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우선,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T 다이스로 필요한 폭 방향으로 확대 신장시켜 커튼형으로 압출하고, 이 용융물을 접착 대상층 상에 유하시키고, 고무 롤과 냉각한 금속 롤로 협지함으로써, 접착층의 형성과 접착 대상층에의 접착과 적층을 동시에 행한다.
접착층을 드라이 라미네이트로 형성하는 경우는,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한 수지 조성물을 한쪽의 층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또 한쪽의 접착 대상층을 겹쳐 적층한 후에, 30∼120℃에서 수시간∼수일간 에이징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적층한다.
상기한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롤 코트, 그라비아 롤 코트, 키스 코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코팅량으로서는 0.1∼10 g/㎡(건조 상태) 정도가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의 코팅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
접착층을 비용제 라미네이트로 형성하는 경우는, 무용제의 수지 조성물을 한쪽의 층 상에 도포하고, 또 한쪽의 접착 대상층을 겹쳐 적층한 후에, 30∼120℃에서 수시간∼수일간 에이징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적층한다.
상기한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롤 코트, 그라비아 롤 코트, 키스 코트 등을 들 수 있고, 그 코팅량으로서는 0.1∼15 g/㎡ 정도가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의 코팅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
[악취 흡착체와 조합하여 이용하기에 적합한 접착제]
악취 흡착체와 조합하여 이용하기에 적합한 접착제는, 열경화형, 자외선경화형, 전자선경화형 등이라도 좋고, 수성형, 용액형, 에멀젼형, 분산형 등의 어느 형태라도 좋으며, 또한 그 성상은 필름/시트형, 분말형, 고형 등의 어느 형태라도 좋고, 더욱이 접착 기구에 관해서는, 화학반응형, 용제휘발형, 열용융형, 열압형 등의 어느 형태라도 좋다.
상기 접착제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폴리아세트산비닐이나 아세트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트산비닐 등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산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계 접착제,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LD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요소 수지 또는 멜라민 수지 등을 포함하는 아미노 수지계 접착제, 페놀 수지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반응형 (메트)아크릴계 접착제,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저융점 유리 등을 포함하는 무기계 접착제, 나아가서는 앵커코트제 등을 들 수 있다.
앵커코트제로서는, 예컨대 유기티탄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에틸렌이민계, 산 변성 폴리에틸렌계, 폴리부타디엔계 등의 앵커코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이들 중에서도,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트층>
실란트층은 적층체에 히트 시일성과 내굴곡성, 내충격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층이다.
실란트층은 1층이라도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2층 이상인 경우에는, 동일 조성의 층이라도 다른 조성의 층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악취 흡착체의 실란트층은 열가소성 수지 C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 실란트층과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은 상기 악취 흡착 실란트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실란트층 내의 악취 흡착체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전체 실란트층 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전체 실란트층 내에 0.05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악취 흡착성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포장체로서 양호한 악취 흡착성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체 제작 시에 양호한 제막성을 얻기 위해서, 아울러 양호한 히트 시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13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체 실란트층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전체 실란트층 내에 0.05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흡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포장체로서 양호한 흡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체 제작 시에 양호한 제막성을 얻기 위해서, 아울러 양호한 히트 시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체 실란트층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란트층의 두께는 5∼500 ㎛가 바람직하고, 10∼25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도 얇으면, 충분한 히트 시일 강도를 얻기 어렵게 되기 쉽고, 상기 범위보다도 두꺼우면, 비용 상승을 초래함과 더불어 필름이 딱딱하게 되어 작업성이 악화되기 쉬운 경향으로 된다.
[열가소성 수지 C]
본 발명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C는, 실란트층에 이용될 수 있는 히트 시일성을 갖는 것이며,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2 g/10분 이상 10.0 g/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g/10분 이상, 9.5 g/10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MFR란 JIS K7210에 준거한 수법으로 측정된 값이다.
MFR가 0.2 g/분 미만 또는 10 g/분 이상이면 가공 적합성의 면에서 유효하게 되기 어렵다.
열가소성 수지 C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메탈로센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메틸펜텐 폴리머,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나아가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산, 푸마르산, 기타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 변성한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불포화 카르복실산의 3원 공중합체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 환상 올레핀 코폴리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히트 시일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LLDP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C는, 산화방지제나 안티블록제 등의 첨가제를 소량 포함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공지된 내굴곡성 개량제, 무기 또는 유기 첨가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열가소성 수지 C는, 단일체로 필름으로 했을 때에, 굴곡에 기인하는 내핀홀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체는, 포장 공정 중이나 수송 중의 진동에 의한 국소적 반복 굴곡에 의해서 피로 파괴가 진행되어 핀홀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특히 식품·의료용품 등의 용도의 포장 재료는 내핀홀성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C의 내핀홀성은, 예컨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단일체를 포함하는 50 ㎛ 두께 필름의, 23℃에 있어서의 5000회의 겔보플렉스 후의 핀홀 발생 개수가, 0개 또는 1개 이상 16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트 필름의 핀홀 발생 개수가 상기 범위이면, 핀홀 내성이 필요한 용도인 경우에, 실용에 견딜 수 있는 포장 재료를 제작할 수 있다.
[악취 흡착 실란트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악취 흡착 실란트층은, 열가소성 수지 C와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층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악취 흡착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체와 열가소성 수지 C를 혼련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단층 구성이다. 여기서, 악취 흡착체는 층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어도 좋고,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포장체 형성 시의 내측 표면에서 외측 표면으로 향하여, 증가 경향의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으며, 이 구성에 의해 히트 시일성이 향상된다. 이와는 반대로, 포장체 형성 시의 내측 표면에서 외측 표면으로 향하여, 감소 경향의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으며, 이 구성에 의해 층간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
더욱이, 악취 흡착 실란트층의 두께 방향 중심부에서 양 표면으로 향하여, 감소 경향의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으며, 이 구성에 의해 히트 시일성과 층간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악취 흡착 실란트층은, 2 또는 그 이상의 층이 적층된 다층 구성이라도 좋고, 여기서, 각 층은, 열가소성 수지 C의 종류나, 악취 흡착체의 종류나 함유량이 각각 다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나아가서는, 다른 성분을, 악취 흡착성이나 히트 시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악취 흡착 실란트층 전체의 층 두께는, 5 ㎛ 이상이면 제막은 가능하지만, 양호한 제막성과 히트 시일성, 층간 접착 강도 및 악취 흡착성을 얻기 위해서는 10 ㎛∼200 ㎛가 바람직하다.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은, 열가소성 수지 C를 함유하고,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는 층이다.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는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는 악취 흡착 실란트층보다도 히트 시일성이 우수하다. 이 성질 때문에, 악취 흡착 실란트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적층 구성에 의해서, 악취 흡착 실란트층을 적층체 내에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거나, 적층체끼리를 강고하게 히트 시일할 수 있게 된다.
(실란트층의 제막·적층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실란트층의 제막,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 또는 관용의 제막 방법, 적층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플레이션법, 캐스트법, 익스트루젼법(압출법, 공압출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미리 제막된 실란트층을, 다층 상에, 드라이 라미네이션, 비용제 라미네이션, 샌드 라미네이션 등에 의해, 접착층을 통해 라미네이트하여도 좋다.
또는, 다층 상에, 익스트루젼법을 이용하여, 실란트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T 다이스로 필요한 폭 방향으로 확대 신장시켜 커튼형으로 압출하고, 이 용융 수지를 피적층면 상에 유하시키고, 고무 롤과 냉각한 금속롤로 협지함으로써, 실란트층의 형성과 피적층면에의 접착과 적층을 동시에 행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접착은 접착제층을 통해 행하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한 어느 제막·적층 방법에서나, 실란트층은 복수의 악취 흡착 실란트층이나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층 사이가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있어도 좋다.
<포장 재료용 악취 흡착 필름>
본 발명의 악취 흡착 적층체는 포장 재료용 악취 흡착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악취 흡착 포장 재료>
본 발명의 포장 재료용 악취 흡착 필름을 이용하여 악취 흡착 포장 재료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악취 흡착 포장 재료를 이용하여 포장 주머니를 제작할 때는, 예컨대 히트 시일성이 양호한 면이 대향하도록 포장 재료를 접어 구부리거나 또는 2장을 서로 겹쳐, 그 주변 단부를 예컨대 측면 시일형, 2방면 시일형, 3방면 시일형, 4방면 시일형, 봉투 부착 시일형, 합장 부착 시일형(필로우 시일형), 주름 부착 시일형, 평저 시일형, 각저 시일형, 가젯형 등의 히트 시일 형태에 의해 히트 시일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히트 시일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바 시일, 회전 롤 시일, 벨트 시일, 임펄스 시일, 고주파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BIB용 악취 흡착성 포장 재료>
본 발명의 악취 흡착 포장 재료는 BIB용 악취 흡착성 포장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액체 내용물을 대상으로 한 BIB용 악취 흡착성 액체 내용물 포장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액체 내용물이란, 예컨대 음료수, 쥬스류, 점적용 수액, 간장, 소스, 등의 조미액체, 쯔유, 꿀, 양념, 드레싱 등의 액체 전반을 들 수 있다.
과제 4에 대하여
<포장체,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본 발명의 포장체는, 예컨대 도 1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적어도 이중 주머니부와, 수지 성형품을 포함하는 내용물 추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주머니부는,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측 필름과 하측 필름으로 구성되고, 내용물 추출구는 상측 필름에 부착되어 있다.
상측 필름과 하측 필름 각각은, 도 18, 1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고,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다.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부분적인 접착 부분은, 적어도 포장체의 주연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속된 선에 의한 격자 형상이라도, 불연속적인 선에 의한 형상이라도, 점 형상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예컨대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로서 이용되며, 내용물 추출구에 캡을 하여 밀봉한 상태에서 내용물의 충전용으로 제공된다. 즉, 통상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는, 밀봉한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는 마분지 상자에 넣어져 사용자에게 공급되지만, 무균 충전에 사용하는 경우는, 밀봉한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는, 전자선, γ선 또는 에틸렌옥사이드 가스 등으로 살균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본 발명의 포장체는, 포장 공정 중이나 수송 중의 진동에 의한 국소적 반복 굴곡이나, 내용물 추출구의 접촉에 의해서 피로 파괴가 진행되어,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로서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액체 내용물을 누설시키는 핀홀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특히 식품·의료용품 등의 용도의 포장 재료는 내핀홀성이 중요하다.
[포장체의 제작 방법]
본 발명의 포장체는, 예컨대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용물 추출구를 부착한 상측 필름의 실란트층과 하측 필름의 실란트층을 대향하도록 포장 재료를 접어 구부리거나 또는 2장을 서로 겹치고, 그 주변 단부를 예컨대 측면 시일형, 2방면 시일형, 3방면 시일형, 4방면 시일형, 봉투 부착 시일형, 합장 부착 시일형(필로우 시일형), 주름 부착 시일형, 평저 시일형, 각저 시일형, 가젯형 등의 히트 시일 형태에 의해 히트 시일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히트 시일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바 시일, 회전 롤 시일, 벨트 시일, 임펄스 시일, 고주파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내용물 추출구를 상측 필름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측 필름의 내용물 추출구의 부착 위치에 구멍을 뚫어, 그 구멍에 내용물 추출구를 상측 필름의 내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내용물 추출구의 플랜지의 외측에 상측 필름의 내면을 히트 시일하여 고정하고, 또한 그 내용물 추출구에 캡을 씌워 밀봉 상태로 한다.
<내용물 추출구>
내용물 추출구는, 내용물의 충전 및/또는 꺼내기를 행하기 위한 입출구이며, 1개의 내용물 추출구로 내용물의 충전과 꺼내기를 행하여도 좋고, 2개 이상을 두어 내용물의 충전과 꺼내기를 따로따로의 내용물 추출구로 행하여도 좋다.
내용물 추출구의 부착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포장체의 4변 근방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 추출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LDPE, MDPE, HDPE, LLDPE 등), 각종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인 것이 성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물 추출구는, 가공성, 내열성, 내후성, 기계적 성질, 치수 안정성, 항산화성, 미끄러짐성, 이형성, 난연성, 항곰팡이성, 전기적 특성, 강도 등을 개량, 개질할 목적으로, 다양한 플라스틱 배합제나 첨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내용물 추출구는, 상기한 각종 원료를 공지된 방법으로 혼합,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 수지 조성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내용물 추출구에 함유되는 수지로서는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할 수 있다.
함유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인 것이 성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층 구성>
본 발명의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의 이중 주머니부를 구성하는 상측 필름과 하측 필름 각각은, 도 18, 1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고,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 각각은, 적어도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실란트층을 갖는 필름이다.
그리고,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한다.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은,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악취 흡착층만을 포함하는 층이라도 좋고, 도 21, 도 2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일 강도 및 층간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함유하지만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는 악취 비흡착층과의 다층 구조라도 좋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악취 흡착층은, 주체가 되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종류나, 악취 흡착체의 종류나 함유량이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다층 구조라도 좋다.
본 발명의 포장체에 있어서, 내용물과 접하는 최내층은, 악취 흡착층이라도 악취 비흡착층이라도 좋다. 악취 비흡착층이 최내층인 경우는 포장체의 시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악취 흡착층이 최내층인 경우는 포장체 내의 층간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 각각은, 필름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나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재층이나, 보강층 등의 기능층, 접착층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외층 필름이 기재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 기능층, 접착제층에는, 공지된 것을 공지된 방법으로 적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고, 또한 악취 비흡착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외층 필름의 실란트층은 악취 비흡착층만을 포함하고,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악취 흡착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악취 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나아가서는, 범용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 등을, 실란트 필름의 저용출성이나 히트 시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들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악취 흡착층은, 악취 흡착체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혼련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단층 구성이다. 여기서, 악취 흡착체는 층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어도 좋고,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포장체 형성 시의 내측 표면에서 외측 표면으로 향하여, 증가 경향의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으며, 이 구성에 의해 히트 시일성이 향상된다. 이와는 반대로, 포장체 형성 시의 내측 표면에서 외측 표면으로 향하여, 감소 경향의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으며, 이 구성에 의해 층간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
더욱이, 악취 흡착층의 두께 방향 중심부에서 양 표면으로 향하여, 감소 경향의 농도 구배를 가지고서 분산되어 있어도 좋으며, 이 구성에 의해 히트 시일성과 층간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악취 흡착층은, 2 또는 그 이상의 층이 적층된 다층 구성이라도 좋으며, 여기서, 각 층은, 주체가 되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종류나, 악취 흡착체의 종류나 함유량이 각각 다른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악취 흡착층 전체의 층 두께는, 5 ㎛ 이상이면 제막은 가능하지만, 양호한 제막성과 히트 시일성, 층간 접착 강도 및 악취 흡착성을 얻기 위해서는 10 ㎛∼200 ㎛가 바람직하다.
악취 흡착체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며, 나아가서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직접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하여 혼련할 수도 있고, 혹은 소수성 제올라이트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고농도로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한 후에 용융 혼련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고, 이것을 목표 함유율에 따른 비율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 용융 혼련하는, 소위 마스터 배치 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첨가량은, 내층 필름의 전체 실란트층 내에 0.05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악취 흡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포장체로서 양호한 악취 흡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체 제작 시에 양호한 제막성을 얻기 위해서, 아울러 양호한 히트 시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13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내층 필름의 전체 실란트층 내에 0.05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으면 충분한 흡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포장체로서 양호한 흡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체 제작 시에 양호한 제막성을 얻기 위해서, 아울러 양호한 히트 시일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내층 필름의 전체 실란트층 내에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본 발명에 있어서,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은, 히트 시일성을 가지며, 유기물의 용출량이 적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한다.
유기물의 용출량이 적음으로써, 본 발명의 포장체에 충전된 액체 내용물 안으로 용출되는 유기물의 농도를 저감하여, 취미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액체 내용물 내의 유기물의 농도는, 본 발명에서는 총 유기체 탄소(TOC=Total Organic Carbon)의 농도에 의해서 표시된다.
TOC는, 수중의 산화될 수 있는 유기물(유기 탄소체) 전량의 농도를 탄소량의 농도로 나타낸 것이며, 대표적인 수질 지표의 하나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JIS K0805(유기체 탄소(TOC) 자동 계측기) 등으로 규격화되어 있다.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에 포함되는 용출성 TOC의 농도는 1.5 ppm 이상 250 ppm 이하이다.
여기서, 단일체 원료로서의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에 관한 용출성 TOC의 농도를, 원료 펠릿 등의 상태가 아니라 필름화된 상태로 측정하는 이유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실란트층 형성 등의 필름화될 때에, 다양한 열이력 등이 주어져 TOC의 용출량을 증가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 15 cm×44 cm×50 ㎛ 두께의 파우치 포장 주머니 안에, 충전수로서 증류수를 1 kg 충전하여 용출시킨 후의, 상기 충전수 내의 TOC의 증가 농도는, 0.01 ppm 이상 1.5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ppm 이상 1.45 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5 ppm 이상 1.4 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충전수 내의 TOC의 증가 농도가 1.5 ppm보다도 크면, 충전수의 취미 변화를 억제하기 어렵고, 0.01 ppm보다도 작은 것을 얻기 위해서는 비용이 높아지는 한편 효과는 한정적이다. 비용과 성능의 양립이라는 관점에서, 상기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TOC의 증가 농도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상기한 파우치 포장 주머니 안에, 충전수로서 40℃∼80℃의 증류수를 1000 g 충전하여, 25℃∼50℃, 수일∼4주간 보관한 후의 상기 충전수의 TOC 농도를 총유기체탄소계나 HS-GC로 측정하고, 블랭크로서 상기 증류수의 TOC 농도를 빼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포장체용 포장재, 외층 필름, 내층 필름을 이용하여, 파우치 주머니(15 cm×44 cm)의 포장체를 제작하고, 65℃의 물(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증류수, 쥰세이카가쿠) 1000 g을 충전하여 포장체 액체 충전물을 제작하고, 35℃, 2주간 보관한 후에, (주)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 TOC-L 총유기체탄소계에 의해 충전수의 TOC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표준 방법으로 하여 TOC의 증가 농도를 구한다.
그리고, 얻어진 충전수의 TOC 증가 농도와 충전수 질량부와 실란트 필름 질량부로부터, 실란트 필름에 함유되어 있던 용출성 TOC 농도를 산출한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구체예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직쇄상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저용출화된 것 및 이들 수지의 혼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필름으로부터의 유기물의 용출량을 낮추기 위해서는 하기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을 제조할 때에, 미반응 원료 잔존량이나 저분자량 생성물이나 부생성물의 양을 저감하거나, 중합 촉매를 제거하거나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원료 순도를 향상시키거나, 반응 온도나 압력 등의 조건을 정밀하게 제어하거나, 증류나 세정에 의해서 미반응 원료나 저분자량 생성물이나 부생성물이나 중합 촉매를 제거하거나, 고온 그대로 공기 중의 산소에 닿음으로 인한 산화를 방지하거나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제조된 폴리에틸렌을 펠릿화할 때는, 유기물의 용출량을 상승시켜 버리는, 윤활제, 산화방지제, 기타 첨가제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을 필름화할 때는, 유기물의 용출량을 상승시켜 버리는, 윤활제, 산화방지제, 용제, 기타 첨가제의 사용을 제한하여, 고온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거나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란트층이 히트 시일성을 가지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함으로써, 상기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포장 재료는, 우수한 히트 시일성을 가지고, 유기물의 용출량이 적고, 포장체 내의 액체 내용물의 TOC의 농도 증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은, UV 등의 멸균·살균 처리에 대하여 내성이 있어 분해되기 어려운 성질이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적합하다.
이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중에서도, 타입으로서는 LLDPE가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C4, C6, C8의 측쇄를 갖는 LLDPE는, 유기물의 용출량을 낮출 수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C4-LLDPE, C6-LLDPE, C8-LLDPE 등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C4, C6, C8이란, LLDPE와 일부 공중합하여, 기재한 수치의 수의 탄소수의 모노머가 측쇄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C4는 부텐-1, C6은 헥센-1 또는 4메틸펜텐-1, C8은 옥텐-1의 구조의 측쇄를 나타낸다.
혹은 밀도가 0.90 g/㎤ 이상 0.94 g/㎤ 이하인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고, 0.905 g/㎤ 이상 0.933 g/㎤ 이하인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밀도가 이 범위인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유기물의 용출량을 낮출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산화방지제나 안티블록제 등의 첨가제를 소량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단일체로 필름으로 했을 때에, 굴곡에 기인하는 내핀홀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내핀홀성은, 예컨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단일체를 포함하는 50 ㎛ 두께 필름의, 23℃에 있어서의 5000회의 겔보플렉스 후의 핀홀 발생 개수가, 0개 또는 1개 이상 16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트층의 핀홀 발생 개수가 상기 범위이면, 핀홀 내성이 필요한 용도인 경우에, 실용에 견딜 수 있는 포장 재료를 제작할 수 있다.
[악취 흡착체]
본 발명에 있어서, 악취 흡착체는 특정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며, 나아가서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수성 제올라이트)
제올라이트는, 일반적으로 SiO2/Al2O3의 몰비가 높을수록 소수성이 높아지며, 본 발명에 있어서 악취 흡착층에 함유되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SiO2/Al2O3의 몰비가 30/1∼80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포장체 또는 포장 재료가 230℃ 이상에 노출된 경우라도, 악취 흡착능을 상실하는 일이 없고, 악취 성분의 흡착에 의한 소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구상, 막대형, 타원형 등의 임의의 외형 형상이라도 좋고, 분체형, 덩어리형, 입자형 등 어떠한 형태라도 좋지만, 악취 흡착층의 제막성이나, 폴리에틸렌에의 균일한 분산이나 혼련 특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평균 입자경은, 용도에 따라서 임의의 평균 입자경인 것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평균 입자경 0.01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입자경은 동적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평균 입자경이 0.01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응집이 생기기 쉬워,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내에서의 분산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평균 입자경이 10 ㎛보다도 큰 경우에는 악취 흡착층의 제막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으로 되기 때문에,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많이는 첨가하기 어려운 경향으로 되고, 더구나 표면적도 감소하기 때문에, 충분한 소취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생긴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소수성이기 때문에, 극성이 높은 물 분자 등은 흡착하기 어렵고, 반대로 극성이 낮은, 냄새 분자, 소수성 가스, 친유성 가스(용제계 가스도 포함한다)와의 친화성이 높아, 이들을 흡착하기 쉽다. 더욱이, 제올라이트 표면에 존재하는, Ca, Na, K 등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의 효과에 의해 제올라이트 표면은 염기성을 보이고, 산성 가스를 중화 반응에 의해서 흡착하기 쉽다.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란, 무기 다공체에 화학 흡착제를 담지시킨 것이며, 용출성의 유기물이나, UV 조사, γ선 조사, EB 조사나, 핫팩, 보일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포장체로부터 발생하는 악취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담지 방법으로서는 공지 또는 관용의 담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기에 설명하는 화학 흡착제를 함유하는 용액을 무기 다공체에 함침시키고, 건조함으로써 담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 흡착제를 무기 다공체에 담지시킨 악취 흡착체를 악취 흡착층에 함유함으로써, 화학 흡착제의 단위질량 당 흡착능을 대폭 높일 수 있어, 악취 흡착층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무기 다공체의 구멍 부분에 대한 물리 흡착 특성도 기대할 수 있다.
함유량을 줄임으로써 높은 시일 강도를 얻을 수 있어, 실란트층으로서 요구되는 우수한 히트 시일성 및 제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구상, 막대형, 타원형 등의 임의의 외형 형상이라도 좋고, 분체형, 덩어리형, 입자형 등 어떠한 형태라도 좋지만, 악취 흡착층의 제막성이나, 열가소성 수지에의 균일한 분산이나 혼련 특성 등의 관점에서, 분체형이 바람직하다.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용도에 따라서 임의의 평균 입자경인 것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평균 입자경 0.01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7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평균 입자경은 동적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된 값이다.
평균 입자경이 0.01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응집이 생기기 쉬워,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내에서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분산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평균 입자경이 10 ㎛보다도 큰 경우에는 악취 흡착층의 제막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많이는 함유하기 어려운 경향으로 되어, 충분한 흡착 효과를 얻지 못할 가능성이 생긴다.
(무기 다공체)
상기 과제 3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화학 흡착제)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 흡착제란, 용출성의 유기물이나, 살균·멸균 처리 시에 수지의 분해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 물질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결합하는 반응성 작용기를 가지며 또한 상기한 무기 다공체 상에 담지될 수 있는 화합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UV 조사, γ선 조사, EB 조사나, 핫팩, 보일 등의 살균·멸균 처리 시에 생기는 다양한 알데히드류, 케톤류, 카르복실산류 등과 결합하는 반응성을 갖는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아미노기나 히드록실기 등의 염기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금속탄산염, 금속탄산수소염,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각각의 구체적 화합물로서는 하기의 예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알킬아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트리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피페라진, 메타페닐렌디아민, 폴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철 등의 금속수산화물을 들 수 있다.
금속탄산염으로서는, 예컨대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탄산수소염으로서는, 예컨대 탄산수소나트륨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우수한 흡착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흡착제로서는,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 흡착제의 용출되는 유기물이나 악취 물질 등의 흡착 대상 물질에 대한 흡착 기구를, 도 3의 (a)∼(b)의 구체예를 이용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흡착 대상 물질(악취 물질)이 산계 악취 물질인 경우는, 도 3(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화학 흡착제로서, 예컨대 히드록실기를 갖는 화합물을 선택하고, 무기 다공체 상에 담지하여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르복실기와 히드록실기가 화학 반응을 일으켜 결합하여, 흡착 대상 물질이 흡착된다.
또한, 흡착 대상 물질이 알데히드류인 경우는, 도 3(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화학 흡착제로서, 예컨대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을 선택하고, 무기 다공체 상에 담지하여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데히드기와 아미노기가 화학 반응을 일으켜 결합하여, 흡착 대상 물질이 흡착된다.
이때, 화학 흡착이므로, 일단 흡착된 흡착 대상 물질(악취 물질)은 탈리하는 일이 없고, 효율적으로 악취 흡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흡착 대상 물질(악취 물질)과 수증기가 동일한 흡착 부위에 흡착되는 물리 흡착제와는 달리,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학 흡착제는, 흡착 대상 물질을 화학 흡착제의 특정 작용기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악취 흡착능을 저하시키는 다양한 물질, 예컨대 수증기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악취 비흡착층>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악취 비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고,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는 층이다.
나아가서는, 고용출성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들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 등을, 실란트 필름의 저용출성이나 히트 시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층 필름의 제작 방법>
(악취 흡착체의 분산 방법)
악취 흡착체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혼련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 또는 관용의 혼련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악취 흡착체를 직접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하여 혼련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악취 흡착체를 고농도로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한 후에 용융 혼련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고, 이것을 목표 함유율에 따른 비율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 용융 혼련하는, 소위 마스터 배치 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방식인 경우에는, 응집이 발생하기 쉬운 악취 흡착체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조합이라도,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내에 악취 흡착체를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배치 내의 열가소성 수지가, 악취 흡착층 내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동일하여도 좋고,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목적에 따라서 동일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나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를 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악취 흡착체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용융 혼합해 두면, 재차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 또는 용융 혼련했을 때에, 균질하고 양호한 제막성, 히트 시일성, 층간 접착 강도 및 악취 흡착성을 얻을 수 있다.
악취 흡착층 내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범용의 비저용출성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들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동등한 정도의 저용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란트층 전체로부터의 유기물의 용출량에 큰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범용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제막·적층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외층 필름 또는 내층 필름의 각 층의 제막,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 또는 관용의 제막 방법, 적층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악취 흡착층이나 악취 비흡착층을, 경우에 따라 접착층을 통해 다른 층 상에 익스트루젼 코팅함으로써 적층하거나, 예컨대 복수의 악취 흡착층과 악취 비흡착층을 인플레이션법이나 캐스트법에 의해 공압출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익스트루젼 코팅에 의해 적층하는 경우에는, 우선 악취 흡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이나 악취 비흡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T 다이스로 필요한 폭 방향으로 확대 신장시켜 커튼형으로 압출하고, 이 용융 수지를 피적층면 상에 유하시키고, 고무 롤과 냉각한 금속 롤로 협지함으로써, 악취 흡착층이나 악취 비흡착층의 형성과 피적층면에의 접착과 적층을 동시에 행한다.
익스트루젼 코팅에 의해 적층하는 경우의, 악취 흡착층에 포함되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나 악취 비흡착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2∼50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 g/10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MFR란 JIS K7210에 준거한 수법으로 측정된 값이다.
MFR가 0.2 g/분 미만 또는 50 g/분 이상이면 가공 적합성의 면에서 유효하게 되기 어렵다.
인플레이션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악취 흡착층에 포함되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나 악취 비흡착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2∼10.0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9.5 g/10분이다.
MFR가 0.2 g/10분 미만 또는 10.0 g/10분 이상이면 가공 적합성의 면에서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는, 미리 제막된 악취 흡착층과 악취 비흡착층을, 드라이 라미네이션, 비용제 라미네이션, 샌드 라미네이션 등에 의해, 접착층을 통해 라미네이트하여도 좋다.
<외층 필름의 제작 방법>
외층 필름은, 악취 흡착체를 분산시키지 않는 것 이외에는 내층 필름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제작할 수 있다.
<접착층>
본 발명에서는, 실란트층 내의 각 층 사이, 실란트층-기재층 사이 등의 각 층 사이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적층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착층은 접착제 또는 임의의 앵커코트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접착제는 열경화형, 자외선경화형, 전자선경화형 등이라도 좋고, 수성형, 용액형, 에멀젼형, 분산형 등의 어느 형태라도 좋으며, 또한 그 성상은 필름/시트형, 분말형, 고형 등의 어느 형태라도 좋고, 더구나, 접착 기구에 관해서는, 화학반응형, 용제휘발형, 열용융형, 열압형 등의 어느 형태라도 좋다.
또한, 접착층은 EC(익스트루젼 코팅)층,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비용제 라미네이트용 접착제 등을 포함하는 층이라도 좋다.
이러한 접착층을 형성하는 성분으로서는, 폴리아세트산비닐이나 아세트산비닐-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접착제,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트산비닐 등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아크릴산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모노머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계 접착제, 셀룰로오스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LD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요소 수지 또는 멜라민 수지 등을 포함하는 아미노 수지계 접착제, 페놀 수지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반응형 (메트)아크릴계 접착제,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알칼리 금속 실리케이트, 저융점 유리 등을 포함하는 무기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앵커코트제로서는, 예컨대 유기티탄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에틸렌이민계, 산 변성 폴리에틸렌계, 폴리부타디엔계 등의 앵커코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을 익스트루젼 코팅으로 라미네이트하는 경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접착제를 접착 대상층 상에 익스트루젼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익스트루젼 코팅에 있어서는, 우선 접착제를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T 다이스로 필요한 폭 방향으로 확대 신장시켜 커튼형으로 압출하고, 상기 용융물을 접착 대상층 상에 유하시키고, 고무 롤과 냉각한 금속 롤로 협지함으로써, 접착층의 형성과 접착 대상층에의 접착과 적층을 동시에 행한다.
접착층으로서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한 접착제를 한쪽의 층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또 한쪽의 접착 대상층을 겹쳐 적층한 후에, 30∼120℃에서 수시간∼수일간 에이징함으로써, 접착제를 경화시켜 적층한다.
비용제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하지 않고서 접착제 자신을 층 상에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또 한쪽의 접착 대상층을 겹쳐 적층한 후에, 30∼120℃에서 수시간∼수일간 에이징함으로써, 접착제를 경화시켜 적층한다.
접착층은, 상기 접착제를, 예컨대 롤 코트, 그라비아 롤 코트, 키스 코트 등으로 실시함으로써 형성되고, 그 코팅량으로서는 0.1∼10 g/㎡(건조 상태) 정도가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코팅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양호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
샌드 라미네이션에 의해 적층하는 경우에, 접착층은 가열 용융시켜 압출기로 적용할 수 있는 임의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악취 비흡착층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BIB용 액체 내용물용 포장 재료>
본 발명의 BIB용 액체 내용물용 포장 재료는, 본 발명의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의 주머니부의 상측 필름과 하측 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포장 재료이며,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고,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은 상기한 것과 같이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다.
<액체 내용물>
본 발명에 있어서, 액체 내용물이란, 음료수, 쥬스류, 점적용 수액, 간장, 소스, 등의 조미액체, 쯔유, 꿀, 양념, 드레싱 등의 액체 전반을 가리키는 것이다.
과제 5에 대하여
<포장체,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상기 과제 4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포장체의 제작 방법]
상기 과제 4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내용물 추출구>
내용물 추출구는, 내용물의 충전 및/또는 꺼내기를 행하기 위한 입출구이며, 1개의 내용물 추출구로 내용물의 충전과 꺼내기를 행하여도 좋고, 2개 이상을 두어 내용물의 충전과 꺼내기를 따로따로의 내용물 추출구로 행하여도 좋다.
내용물 추출구의 부착 위치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포장체의 4변 근방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용물 추출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함유한다. 나아가서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함유할 수도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LDPE, MDPE, HDPE, LLDPE 등), 각종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인 것이, 성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물 추출구는, 가공성, 내열성, 내후성, 기계적 성질, 치수 안정성, 항산화성, 미끄러짐성, 이형성, 난연성, 항곰팡이성, 전기적 특성, 강도 등을 개량, 개질할 목적으로, 다양한 플라스틱 배합제나 첨가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내용물 추출구는, 상기한 각종 원료를 공지된 방법으로 혼합,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 수지 조성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혼련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 또는 관용의 혼련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소수성 제올라이트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직접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혼합하여 혼련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소수성 제올라이트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고농도로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한 후에 용융 혼련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고, 이것을 목표 함유율에 따른 비율로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혼합, 용융 혼련하는, 소위 마스터 배치 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전체 내용물 추출구 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내용물 추출구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도 적으면, 충분한 악취 흡착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고, 상기 범위보다도 많으면, 내용물 추출구의 성형성이 악화되기 쉽다.
마스터 배치 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방식인 경우에는, 응집이 발생하기 쉬운 소수성 제올라이트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와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조합이라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내에 소수성 제올라이트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마스터 배치에서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상기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폴리(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수지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가스 투과성이 낮은 폴리에스테르형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LDPE, MDPE, HDPE, LLDPE 등),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 등의 각종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마스터 배치에서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인 것이, 성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층 구성>
본 발명의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의 이중 주머니부를 구성하는 상측 필름과 하측 필름 각각은, 도 18, 1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고,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 각각은, 적어도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는 실란트층을 갖는 필름이다.
실란트층은,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악취 흡착층만을 포함하는 층이라도 좋고, 도 21, 도 2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일 강도 및 층간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함유하지만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는 악취 비흡착층과의 다층 구조라도 좋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악취 흡착층은, 주체가 되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종류나, 악취 흡착체의 종류나 함유량이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다층 구조라도 좋다.
본 발명의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에 있어서, 액체 내용물과 접하는 최내층은, 악취 흡착층이라도 악취 비흡착층이라도 좋다. 악취 비흡착층이 최내층인 경우는 포장체의 시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악취 흡착층이 최내층인 경우는 포장체 내의 층간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 각각은, 필름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나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기재층이나, 보강층 등의 기능층, 접착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외층 필름이 기재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 기능층, 접착제층에는, 공지된 것을 공지의 방법으로 적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실란트층>
[악취 흡착층]
상기 과제 4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본 발명에 있어서, 실란트층은, 히트 시일성을 가지고, 유기물의 용출량이 적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한다.
유기물의 용출량이 적음으로써, 본 발명의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에 충전된 액체 내용물 안으로 용출되는 유기물의 농도를 저감하여, 취미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액체 내용물 내의 유기물의 농도는, 본 발명에서는 총 유기체 탄소(TOC=Total Organic Carbon)의 농도에 의해서 표시된다.
TOC는, 수중의 산화될 수 있는 유기물(유기 탄소체) 전량의 농도를 탄소량의 농도로 나타낸 것이며, 대표적인 수질 지표의 하나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이고, JIS K0805(유기체 탄소(TOC) 자동 계측기) 등으로 규격화되어 있다.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필름에 포함되는 용출성 TOC의 농도는 1.5 ppm 이상 250 ppm 이하이다.
여기서, 단일체 원료로서의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에 관한 용출성 TOC의 농도를, 원료 펠릿 등의 상태가 아니라, 필름화된 상태로 측정하는 이유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실란트층 형성 등의 필름화될 때에, 다양한 열이력 등이 주어져 TOC의 용출량을 증가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 15 cm×44 cm×50 ㎛ 두께의 파우치 포장 주머니 안에, 충전수로서 증류수를 1 kg 충전하여 용출시킨 후의, 상기 충전수 내의 TOC의 증가 농도는, 0.01 ppm 이상 1.5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ppm 이상 1.45 pp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5 ppm 이상 1.4 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충전수 내의 TOC의 증가 농도가 1.5 ppm보다도 크면, 충전수의 취미 변화를 억제하기 어렵고, 0.01 ppm보다도 작은 것을 얻기 위해서는 비용이 높아지는 한편 효과는 한정적이다. 비용과 성능의 양립이라는 관점에서, 상기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TOC의 증가 농도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상기한 파우치 포장 주머니 안에, 충전수로서 40℃∼80℃의 증류수를 1000 g 충전하여, 25℃∼50℃, 수일∼4주간 보관한 후의 상기 충전수의 TOC 농도를 총유기체탄소계나 HS-GC로 측정하고, 블랭크로서 상기 증류수의 TOC 농도를 빼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용 포장재, 외층 필름, 내층 필름을 이용하여, 파우치 주머니(15 cm×44 cm)의 포장체를 제작하고, 65℃의 물(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증류수, 쥰세이카가쿠) 1000 g을 충전하여 포장체 액체 충전물을 제작하고, 35℃, 2주간 보관한 후에, (주)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 TOC-L 총유기체탄소계에 의해 충전수의 TOC 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표준 방법으로 하여 TOC의 증가 농도를 구한다.
그리고, 얻어진 충전수의 TOC 증가 농도와 충전수 질량부와 실란트 필름 질량부로부터, 실란트 필름에 함유되어 있던 용출성 TOC 농도를 산출한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구체예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직쇄상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저용출화된 것 및 이들 수지의 혼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필름으로부터의 유기물의 용출량을 낮추기 위해서는 하기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을 제조할 때에, 미반응 원료 잔존량이나 저분자량 생성물이나 부생성물의 양을 저감하거나, 중합 촉매를 제거하거나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원료 순도를 향상시키거나, 반응 온도나 압력 등의 조건을 정밀하게 제어하거나, 증류나 세정에 의해서 미반응 원료나 저분자량 생성물이나 부생성물이나 중합 촉매를 제거하거나, 고온 그대로 공기 중의 산소에 닿음으로 인한 산화를 방지하거나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제조된 폴리에틸렌을 펠릿화할 때는, 유기물의 용출량을 상승시켜 버리는, 윤활제, 산화방지제, 기타 첨가제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을 필름화할 때는, 유기물의 용출량을 상승시켜 버리는, 윤활제, 산화방지제, 용제, 기타 첨가제의 사용을 제한하여, 고온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거나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란트층이, 히트 시일성을 가지고,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함으로써, 상기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포장 재료는, 우수한 히트 시일성을 가지며, 유기물의 용출량이 적고, 포장체 내의 액체 내용물의 TOC의 농도 증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은 UV 등의 멸균·살균 처리에 대하여 내성이 있어 분해되기 어려운 성질이 있다고 하는 점에서 적합하다.
이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중에서도, 타입으로서는 LLDPE가 바람직하고, 더 나아가서는 C4, C6, C8의 측쇄를 갖는 LLDPE는, 유기물의 용출량을 낮출 수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C4-LLDPE, C6-LLDPE, C8-LLDPE 등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C4, C6, C8이란, LLDPE와 일부 공중합하여, 기재한 수치의 수의 탄소수의 모노머가 측쇄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C4는 부텐-1, C6은 헥센-1 또는 4메틸펜텐-1, C8은 옥텐-1의 구조의 측쇄를 나타낸다.
혹은 밀도가 0.90 g/㎤ 이상 0.94 g/㎤ 이하인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고, 0.905 g/㎤ 이상 0.933 g/㎤ 이하인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밀도가 이 범위인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유기물의 용출량을 낮출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산화방지제나 안티블록제 등의 첨가제를 소량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단일체로 필름으로 했을 때에, 굴곡에 기인하는 내핀홀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내핀홀성은, 예컨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단일체를 포함하는 50 ㎛ 두께 필름의, 23℃에 있어서의 5000회의 겔보플렉스 후의 핀홀 발생 개수가, 0개 또는 1개 이상 16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트층의 핀홀 발생 개수가 상기 범위이면, 핀홀 내성이 필요한 용도인 경우에, 실용에 견딜 수 있는 포장 재료를 제작할 수 있다.
[악취 흡착체]
상기 과제 4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악취 비흡착층>
상기 과제 4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외층 필름 또는 내층 필름의 제작 방법>
(악취 흡착체의 분산 방법)
악취 흡착체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혼련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 또는 관용의 혼련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악취 흡착체를 직접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하여 혼련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악취 흡착체를 고농도로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한 후에 용융 혼련하여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고, 이것을 목표 함유율에 따른 비율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 용융 혼련하는, 소위 마스터 배치 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내의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율은 0.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스터 배치 방식인 경우에는, 응집이 발생하기 쉬운 악취 흡착체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조합하이라도,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내에 악취 흡착체를 균질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마스터 배치 내의 열가소성 수지가 악취 흡착층 내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동일하여도 좋고,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목적에 따라서 동일한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나 다른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를 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악취 흡착체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용융 혼합해 두면, 재차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혼합 또는 용융 혼련했을 때에, 균질하고 양호한 제막성, 히트 시일성, 층간 접착 강도 및 악취 흡착성을 얻을 수 있다.
악취 흡착층 내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범용의 비저용출성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메틸펜텐 폴리머,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이들 수지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수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동등한 정도의 저용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란트층 전체로부터의 유기물의 용출량에 큰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범용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제막·적층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외층 필름 또는 내층 필름의 각 층의 제막,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 또는 관용의 제막 방법, 적층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악취 흡착층이나 악취 비흡착층을, 경우에 따라 접착층을 통해, 다른 층 상에 익스트루젼 코팅함으로써 적층하거나, 예컨대 복수의 악취 흡착층과 악취 비흡착층을 인플레이션법이나 캐스트법에 의해 공압출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익스트루젼 코팅에 의해 적층하는 경우에는, 우선 악취 흡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이나 악취 비흡착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T 다이스로 필요한 폭 방향으로 확대 신장시켜 커튼형으로 압출하고, 이 용융 수지를 피적층면 상에 유하시키고, 고무 롤과 냉각한 금속 롤로 협지함으로써, 악취 흡착층이나 악취 비흡착층의 형성과 피적층면에의 접착과 적층을 동시에 행한다.
익스트루젼 코팅에 의해 적층하는 경우의, 악취 흡착층에 포함되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나 악취 비흡착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2∼50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 g/10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MFR란, JIS K7210에 준거한 수법으로 측정된 값이다.
MFR가 0.2 g/분 미만 또는 50 g/분 이상이면 가공 적합성의 면에서 유효하게 되기 어렵다.
인플레이션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악취 흡착층에 포함되는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나 악취 비흡착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0.2∼10.0 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9.5 g/10분이다.
MFR가 0.2 g/10분 미만 또는 10.0 g/10분 이상이면 가공 적합성의 면에서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는 미리 제막된 악취 흡착층과 악취 비흡착층을, 드라이 라미네이션, 비용제 라미네이션, 샌드 라미네이션 등에 의해 접착층을 통해 라미네이트하여도 좋다.
<접착층>
상기 과제 4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BIB용 액체 내용물용 포장 재료>
상기 과제 4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액체 내용물>
상기 과제 4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
실시예
과제 1에 대하여
<원재료>
실시예에 이용한 원료의 상세한 것은 하기와 같다.
[악취 흡착 성형품의 열가소성 수지 A]
[표 1]
Figure pct00001
[소수성 제올라이트]
·미즈카시브스 EX-122: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32/1, 평균 입자경=2.5∼5.5 ㎛.
·실톤 MT4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400/1, 평균 입자경=5∼7 ㎛.
·실톤 MT-80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8000/1, 평균 입자경=0.8 ㎛.
[친수성 제올라이트]
·미즈카시브스 Y-42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5/1,평균 입자경=5 ㎛.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
·케스몬 NS-241: 도아고세이(주) 제조,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담지 무기 다공체. 평균 입자경 3.5 ㎛.
<마스터 배치의 조정>
마스터 배치는 하기와 같이 조정하여 제작했다.
[마스터 배치 1의 조정]
열가소성 수지 A로서의 노바테크 UF370과 소수성 제올라이트로서의 미즈카시브스 EX-122를 하기의 비율로 멜트 블렌드하여, 마스터 배치 1(MB1)을 얻었다.
노바테크 UF370 90 질량부
미즈카시브스 EX-122 10 질량부
(마스터 배치 2∼5의 조정)
표 2의 배합에 따라서, 마스터 배치 1과 같은 식으로 열가소성 수지 B와 소수성 제올라이트 또는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멜트 블렌드하여, 마스터 배치 2∼5(MB2∼5)를 얻었다.
[표 2]
Figure pct00002
[실시예 1]
위에서 얻은 마스터 배치 1과 노바테크 UF370을 하기의 비율로 드라이 블렌드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마스터 배치 1 10 질량부
노바테크 UF370 90 질량부
그리고, 위에서 얻은 수지 조성물을 200℃에서 사출 성형에 의해서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을 제작했다.
[실시예 2∼10]
표 3의 기재에 따라서 마스터 배치와 열가소성 수지 A를 선택하고, 실시예 1와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어,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을 제작했다.
[비교예 1]
마스터 배치는 배합하지 않고, 노바테크 UF370만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을 제작했다.
<평가>
[관능 평가]
PET 필름(도요보(주) 제조, 에스페트 T4102, 두께 12 ㎛), 알루미늄박(도요알루미늄(주) 제조, 두께 12 ㎛), LLDPE 필름(도요보(주) 제조, 리크스 L6100, 두께 50 ㎛)의 각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접착제(로크페인트, RU004/H1, 건조 도포량 3.5 g/㎡)를 도포하고 70℃에서 건조하여, PET 12 ㎛/접착층/AL박 7 ㎛/접착층/LLDPE 50 ㎛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 다층 필름을 사용하여 파우치 주머니(13 cm×17 cm)를 제작하고, 각 적층체의 내면에는 미리 UV 조사 살균 처리를 실시했다.
그리고, 얻어진 각 파우치 주머니에, 65℃의 물(산토리(주) 제조, 알프스의 천연수) 100 g을 핫팩 충전할 때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 1개도 충전하여 포장체 액체 충전물을 제작하고, 10℃에서 일주일 보관한 후의 취미 변화에 관해서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지표는 하기와 같다. 관능 평가 실험의 참가자는 5명이고, 평균치를 산출하여 평가 결과로 했다.
1: 취미가 심하다
2: 취미가 다소 경감되었다
3: 취미가 대폭 경감되었다
4: 충전 전의 물과 동등하다
[표 3]
Figure pct00003
<결과 정리>
열가소성 수지 A와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는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양호한 성형성과 취미 변화 결과가 얻어졌지만,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에서는, 양호한 취미 변화 결과를 얻지 못했다.
과제 2에 대하여
〈실시예〉
실시예에 이용한 원료의 상세한 것은 하기와 같다.
[내층 필름·외층 필름용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및 범용 폴리에틸렌]
표 1에 기재한 폴리에틸렌 및 하기의 폴리에틸렌을 이용했다.
·UMERIT0520F: 우베고산(주) 제조, LLDPE.
·노바테크 LC520: 닛폰폴리에틸렌(주) 제조, LDPE 수지.
[표 1]
Figure pct00004
[내용물 추출구용 수지와 성형]
·표에 기재된 수지 성형품용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200℃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내용물 추출구 A∼E를 얻었다.
[표 2]
Figure pct00005
[악취 흡착체]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
·케스몬 NS-241: 도아고세이(주) 제조,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담지 무기 다공체. 평균 입자경 3.5 ㎛.
(소수성 제올라이트)
·미즈카시브스 EX-122: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32/1, 평균 입자경 2.5∼5.5 ㎛.
·실톤 MT4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400/1, 평균 입자경 5∼7 ㎛.
·실톤 MT20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2000/1, 평균 입자경 2∼4 ㎛.
·실톤 MT-80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8000/1, 평균 입자경 0.8 ㎛.
(친수성 제올라이트)
·미즈카시브스 Y-42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5/1,평균 입자경 5 ㎛.
[기재 필름]
보닐 RX: 고진필름&케미칼즈(주) 제조, 2축 연신 나일론 필름. 15 ㎛ 두께.
IB-ONY: 다이닛폰인사츠(주) 제조, 가스 배리어성 2축 연신 나일론 필름. 15 ㎛ 두께.
[기타]
·EMB-21: 스미토모카가쿠(주) 제조, 안티블로킹제.
·PEX ABT-16: 닛폰폴리에틸렌(주), 안티블로킹제.
·EMB-10: 스미토모카가쿠(주), 슬립제.
[마스터 배치의 조정]
외층 필름, 내층 필름의 MB(마스터 배치)를 하기와 같이 조정하여 제작했다.
(MB1의 조정)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LLDPE인 울트젝스 1520L과 소수성 제올라이트인 미즈카시브스 EX-122를 하기의 비율로 멜트 블렌드하여, 마스터 배치 1(MB1)을 얻었다.
울트젝스 1520L 90 질량부
미즈카시브스 EX-122 10 질량부
(MB2∼13의 조정)
표 3, 4의 배합에 따라서, MB1과 같은 식으로 원료를 멜트 블렌드하여, 마스터 배치 2∼13(MB2∼13)을 얻었다.
[표 3]
Figure pct00006
[외층 필름의 제작]
표 4에 기재된 외층 필름 A∼I를 제작했다.
(외층 필름 A의 제작)
울트젝스 1520L을 160℃에서 인플레이션 제막하고, 80 ㎛의 실란트 필름을 제작하여, 외층 필름 A로 했다.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외층 필름 B의 제작)
우선, 울트젝스 1520L을 160℃에서 인플레이션 제막에 의해 적층하고, 40 ㎛의 실란트 필름을 제작하여, 외층 필름 A로 했다.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이어서, 320℃의 익스트루젼 코팅법에 의해 노바테크 LC520을 접착층으로서 이용하여, 2축 연신 나일론 필름인 보닐 RX와 위에서 얻은 실란트 필름을 적층하여, 외층 필름 B를 얻었다.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외층 필름 C의 제작)
우선, 울트젝스 1520L과, UMERIT0520F/MB2=질량비 50/50의 혼합물과, 울트젝스 1520L/EMB-21=질량비 97/3의 혼합물을, 160℃에서 인플레이션 제막에 의해 적층하여, 실란트 필름을 제작했다.
이어서, 320℃의 익스트루젼 코팅법에 의해 노바테크 LC520을 접착층으로서 이용하여, 2축 연신 나일론 필름인 보닐 RX와, 위에서 얻은 실란트 필름의 울트젝스 1520L의 면을 적층하여, 외층 필름 A를 얻었다.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외층 필름 D, F, H의 제작)
표 4에 기재한 구성으로, 외층 필름 C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외층 필름 D, F, H를 얻었다.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외층 필름 E, G, I의 제작)
표 4에 기재한 구성으로, 외층 필름 A와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외층 필름 E, G, I를 얻었다.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표 4]
Figure pct00007
<실시예 1>
[내층 필름의 제작]
우선, 하기의 악취 흡착층용으로 혼합물 1, 악취 비흡착층용으로 혼합물 2를 조제했다.
혼합물 1:
UMERIT0520F 50 질량부
MB2 50 질량부
혼합물 2:
울트젝스 1520L 97 질량부
EMB-21 3 질량부
그리고, 울트젝스 1520L과 상기 혼합물 1과 상기 혼합물 2를, 160℃에서 인플레이션 제막에 의해 적층하여, 3층 구성의 내층 필름 A를 제작했다. 상세한 것은 표 5에 나타냈다.
[포장체의 제작과 평가]
위에서 얻은 외층 필름 A와 내층 필름 A와 내용물 추출구 A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된 포장체(이중 주머니부의 사이즈는 450 mm×450 mm, 내용물 추출구 A의 직경은 31 mm)를 제작하여, 히트 시일성, 파대(破袋) 특성, 내핀홀성(내층 필름),충전수 TOC 증가 농도를 평가했다.
적층체의 상세한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2∼19, 비교예 1∼5>
표 5∼8에 기재된 배합에 따라서,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악취 흡착층용 및/또는 악취 비흡착층용 혼합물을 얻어, 내층 필름을 작성했다.
그리고, 표 5∼8의 기재에 따라서, 외층 필름, 내용물 추출구를 조합하여 포장체를 제작하여, 같은 식으로 평가했다. 포장체의 상세한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8에 나타낸다.
<평가>
[제막성]
외관을 관찰하여, 관능적으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필름에 주름이나 주름이나 유해물이 생기는 일 없이 제막이 가능.
×: 필름에 주름이나 유해물이 다수 생겨, 제막이 곤란.
[내파대(耐破袋) 특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포장체의 내부에 10 L의 물을 충전하고, 물 충전 후의 포장체를 1 m의 높이에서 낙하시키는 조작을 합계 3회 반복하여, 주머니 파괴 유무를 평가했다.
합격 여부 판정
◎: 3회의 낙하 평가에서 주머니 파괴 없음 .합격
○: 3회의 낙하 평가에서 하나의 주머니가 파괴. 합격
×: 3회의 낙하 평가에서 모든 주머니가 파괴. 불합격
[내층 필름 단일체의 내핀홀성]
제작한 내층 필름을 A4 사이즈(30 cm×21 cm)로 재단하여, 겔보플렉스 테스터(테스타산교(주) 제조, BE-1005)로, 굴곡 후에 각 샘플의 30 cm×21 cm의 면내에 발생한 핀홀의 수를 카운트했다. 160개 이하를 합격으로 했다.
온도: 23℃
겔보 굴곡 횟수: 5000회
[포장체의 내핀홀성]
제작한 포장체를,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로서 수송용으로 곤포한 상태로 실제의 수송 경로로 반송하여, 주머니부의 내층 필름에 발생한 핀홀의 수를 카운트했다. 160개 이하를 합격으로 했다.
[충전수 TOC 증가 농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포장체를 제작하기 전에,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재료의 내면 필름 측에는 미리 UV 조사 살균 처리를 실시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포장체에, 65℃의 물(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증류수, 쥰세이카가쿠) 1000 g을 핫팩 충전하여 포장체 액체 충전물을 제작하고, 35℃, 2주간 보관한 후에, (주)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 TOC-L 총유기체탄소계에 의해 충전수의 TOC 농도를 측정했다.
이어서, 충전 전의 물에 관해서도 같은 식으로 TOC 농도를 측정했다.
각 포장체에 있어서의 TOC 증가 농도를 하기 식으로 구했다.
TOC 증가 농도=보관 후의 충전수 TOC 농도-충전 전의 물의 TOC 농도
충전 전의 물의 TOC 농도: 0.02 ppm
UV 조사 살균 처리 조건
UV 파장: 253.7 nm
조사 시간: 10초
온도: 25℃
[표 5]
Figure pct00008
[표 6]
Figure pct00009
[표 7]
Figure pct00010
[표 8]
Figure pct00011
<결과 정리>
모든 실시예의 포장체는 양호한 제막성, 내파대 특성, 히트 시일성, 내핀홀성을 보이고, TOC 증가 농도도 작았다.
외층 필름에 악취 흡착제를 포함하지 않고, 내층 필름에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도 악취 흡착제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과, 내층 필름에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지 않고, 소수성 제올라이트 대신에 친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비교예 2는 TOC 증가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외층 필름 또는 내층 필름에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많이 지나치게 포함하는 비교예 3, 4, 5에서는, TOC 농도의 경감은 크지만, 외층 필름 또는 내층 필름의 제막성이 뒤떨어져, 히트 시일성과 내파대 특성이 뒤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과제 3에 대하여
〈실시예〉
실시예에 이용한 원료의 상세한 것은 하기와 같다.
·PET 필름 1: 도요보(주) 제조, T4102, 한 면 코로나 처리, 두께 12 ㎛.
·알루미늄박 1: 도요알루미늄(주) 제조, 두께 7 ㎛.
[실란트 필름의 수지 성분]
[표 1]
Figure pct00012
[접착층(익스트루젼 코팅)의 수지 성분]
·LC600A: 닛폰폴리에틸렌(주) 제조, LDPE, MFR: 7.0 g/10분, 밀도: 0.918 g/㎤
[접착층(드라이 라미네이션)의 수지 성분]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제 1: 로크페인트(주) 제조, RU004/H-1.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도포량 각 접착층 당 3.5 g/㎡, 건조 온도 70℃.
[악취 흡착체]
·케스몬 NS-241: 도아고세이(주) 제조,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담지 무기 다공체. 평균 입자경 3.5 ㎛.
[소수성 제올라이트]
·미즈카시브스 EX-122: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32/1, 평균 입자경=2.5∼5.5 ㎛.
·실톤 MT4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400/1, 평균 입자경=5∼7 ㎛.
·실톤 MT20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2000/1, 평균 입자경=2∼4 ㎛.
·실톤 MT-80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8000/1, 평균 입자경=0.8 ㎛.
·친수성 제올라이트: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미즈카시브스 Y-420. SiO2/Al2O3 몰비=5/1, 평균 입자경=5 ㎛.
[마스터 배치의 조정]
마스터 배치는 하기와 같이 조정하여 제작했다.
(마스터 배치 1의 조정)
열가소성 수지 A로서 LLDPE인 노바테크 LC600A와 악취 흡착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인 미즈카시브스 EX-122를 하기의 비율로 멜트 블렌드하여, 마스터 배치 1(MB1)을 얻었다.
노바테크 LC600A 90 질량부
미즈카시브스 EX-122 10 질량부
(마스터 배치 2∼7의 조정)
표 2의 배합에 따라서, 마스터 배치 1과 같은 식으로 열가소성 수지 A와 악취 흡착체를 멜트 블렌드하여, 마스터 배치 2∼7(MB2∼7)을 얻었다.
[표 2]
Figure pct00013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의 조정]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 1의 조제)
마스터 배치 1(MB1)과 열가소성 수지 C로서 LLDPE인 울트젝스 1520L을 하기의 비율로 멜트 블렌드하여,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 1을 얻었다.
마스터 배치 1 16.7 질량부
울트젝스 1520L 83.3 질량부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 2∼12의 조정)
표 3의 배합에 따라서,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 1과 같은 식으로 마스터 배치와 열가소성 수지 C를 멜트 블렌드하여,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 2∼12를 얻었다.
[표 3]
Figure pct00014
[접착층 수지 조성물의 조정]
(접착층 수지 조성물 1의 조제)
악취 흡착체의 소수성 제올라이트인 미즈카시브스 EX-122와 접착제인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제 1을 하기의 비율로 혼합하여, 접착층 수지 조성물 1을 얻었다.
미즈카시브스 EX-122 10 질량부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제 1 90 질량부
(접착층 수지 조성물 2∼12의 조정)
표 4의 배합에 따라서, 접착층 수지 조성물 1과 같은 식으로 악취 흡착체 또는 마스터 배치와 접착제를 멜트 블렌드하여, 접착층 수지 조성물 2∼12를 얻었다.
[표 4]
Figure pct00015
<실시예 1>
악취 흡착 실란트층용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 1과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용 울트젝스 1520L을, 160℃에서 인플레이션 제막에 의해서 적층하여, 악취 비흡착층(10 ㎛)/악취 흡착층(30 ㎛)/악취 비흡착층(10 ㎛)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성의 실란트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PET 필름 1의 코로나 처리면에,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제 1을 건조 후 도포량 3.5 g/㎡가 되도록 도포하여 70℃에서 건조하고,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알루미늄박 1을 적층하여, 적층체 전구체를 얻었다.
그리고, 적층체 전구체의 알루미늄박 1의 면 위에, 악취 비흡착 접착층으로서의 접착제 1을, 건조 후 도포량 3.5 g/㎡가 되도록 도포하여 70℃에서 건조했다.
이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제 1의 면 위에, 위에서 얻은 3층 구성의 실란트 필름을 적층하여, 악취 흡착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악취 흡착 적층체의 층 구성은 하기와 같다. 상세한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5에 기재했다.
PET 필름 1(12 ㎛)/접착층(3.5 g/㎡)/알루미늄박 1(7 ㎛)/악취 비흡착 접착층(3.5 g/㎡)/악취 비흡착층(10 ㎛)/악취 흡착층(30 ㎛)/악취 비흡착층(10 ㎛)
<실시예 2∼8,10∼12>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용 수지와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을, 표 5에 기재된 것으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실란트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적층체 전구체를 얻었다.
그리고, 적층체 전구체에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악취 비흡착 접착층을 형성하고, 위에서 얻은 실란트 필름을 적층하여, 악취 흡착 적층체를 얻었다. 상세한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5, 6에 기재했다.
<실시예 9>
실란트 필름을,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 9만을 이용한 악취 흡착 실란트층(50 ㎛)만의 단층 구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실란트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적층체 전구체를 작성하여, 악취 비흡착 접착층을 형성하고, 위에서 얻은 실란트 필름을 적층하여, 악취 흡착 적층체를 얻었다. 상세한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6에 기재했다.
<실시예 13>
우선,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 1을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 2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실란트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적층체 전구체를 작성했다.
얻어진 적층체 전구체의 알루미늄박 1의 면 위에, 악취 흡착 접착층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층 수지 조성물 1을, 건조 후 도포량 3.5 g/㎡가 되도록 도포하여 70℃에서 건조했다.
이어서, 접착층 수지 조성물 1의 면 위에, 위에서 얻은 실란트 필름을 적층하여, 악취 흡착 적층체를 얻었다. 상세한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5에 기재했다.
<실시예 14∼16, 비교예 3>
접착층 수지 조성물 1을 표 5에 기재된 조합으로 접착층 수지 조성물 2∼5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악취 흡착 적층체를 얻었다. 상세한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6에 기재했다.
<실시예 17∼23>
악취 흡착 접착층을, 익스트루젼용 접착층 수지 조성물 6∼11로 바꿔, 층 두께가 15 ㎛이 되도록 적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악취 흡착 적층체를 얻었다. 상세한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7, 8에 기재했다.
<실시예 24>
실란트층을 50 ㎛ 두께의 울트젝스 1520L을 포함하는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만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3와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악취 흡착 적층체를 얻었다. 상세한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8에 기재했다.
<비교예 1>
울트젝스 1520L을 포함하는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만의 단층을 포함하는 실란트 필름을 제작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적층체 전구체를 얻었다.
그리고,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악취 흡착 적층체를 얻었다. 상세한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8에 기재했다.
<비교예 2>
악취 흡착 실란트층 수지 조성물 12를 포함하는 악취 흡착 실란트층만의 단층을 포함하는 실란트 필름을 제작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적층체 전구체를 얻었다.
그리고,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악취 흡착 적층체를 얻었다. 상세한 층 구성과 평가 결과를 표 8에 기재했다.
<평가 방법>
[히트 시일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악취 흡착 적층체를 10 cm×10 cm로 자르고, 반으로 접어 서로 겹치고, 히트 시일 테스터(테스타산교사 제조: TP-701-A)를 이용하여 1 cm×10 cm의 영역을 히트 시일하여, 단부는 히트 시일되지 않고 접착되어 있지 않으며, 두 갈래로 나뉘어져 있는 상태의 샘플을 제작했다.
이 샘플을, 15 mm 폭으로 스트립형으로 자르고, 두 갈래로 나뉘어져 있는 각 단부를 인장 시험기에 장착하여 인장 강도(N/15 mm)를 측정하여, 합격 여부를 판정했다.
(히트 시일 조건)
온도: 160℃
압력: 1 kgf/㎠
시간: 1초
(인장 강도 시험 조건)
시험 속도: 300 mm/분
하중 레인지: 50 N
(합격 여부 판정기준)
○: 30 N/15 mm 이상이며, 합격.
×: 30 N/15 mm 미만이며, 불합격.
[취미 변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악취 흡착 적층체를 이용하여, 파우치 주머니(13 cm×17 cm)를 제작하고, 각 적층체의 내면에는 미리 UV 조사 살균 처리를 실시했다.
그리고, 얻어진 각 포장체에, 65℃의 물(산토리(주) 제조, 알프스의 천연수) 100 g을 핫팩 충전하여 포장체 액체 충전물을 제작하고, 10℃에서 일주일 보관한 후의 취미 변화에 관해서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지표는 하기와 같다. 관능 평가 실험의 참가자는 5명이며, 평균치를 산출하여 평가 결과로 했다.
1: 취미가 심하다
2: 취미가 다소 경감했다
3: 취미가 대폭 경감했다
4: 충전 전의 물과 동등하다
[표 5]
Figure pct00016
[표 6]
Figure pct00017
[표 7]
Figure pct00018
[표 8]
Figure pct00019
<결과 정리>
악취 흡착제를 첨가한 실란트 필름 및 접착층(익스트루젼 코팅층, 드라이 라미네이트층)을 적용한 모든 실시예의 포장체는, 양호한 히트 시일성, 관능 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에서는, 히트 시일성이 양호했지만 관능 평가가 개선되지 않고, 악취 흡착체를 실란트 필름 및 접착층(익스트루젼 코팅층, 드라이 라미네이트층)에 과잉 포함하는 비교예 2, 3에서는, 관능 평가는 양호하지만 히트 시일성이 악화하는 경향이었다.
과제 4에 대하여
〈실시예〉
실시예에 이용한 원료의 상세한 것은 하기와 같다.
[내층 필름·외층 필름용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및 범용 폴리에틸렌]
[표 1]
Figure pct00020
[내용물 추출구 수지 조성물용 수지]
[표 2]
Figure pct00021
[악취 흡착체]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
·케스몬 NS-241: 도아고세이(주) 제조,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담지 무기 다공체. 평균 입자경 3.5 ㎛.
(소수성 제올라이트)
·미즈카시브스 EX-122: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32/1, 평균 입자경 2.5∼5.5 ㎛.
·실톤 MT4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400/1, 평균 입자경 5∼7 ㎛.
·실톤 MT20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2000/1, 평균 입자경 2∼4 ㎛.
·실톤 MT-80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8000/1, 평균 입자경 0.8 ㎛.
(친수성 제올라이트)
·미즈카시브스 Y-42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5/1, 평균 입자경 5 ㎛.
[기타]
·EMB-21: 스미토모카가쿠(주) 제조, 안티블로킹제.
·PEX ABT-16: 닛폰폴리에틸렌(주), 안티블로킹제.
·EMB-10: 스미토모카가쿠(주), 슬립제.
[마스터 배치의 조정]
MB(마스터 배치)를 하기와 같이 조정하여 제작했다.
(MB1의 조정)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LLDPE인 울트젝스 1520L과 소수성 제올라이트인 미즈카시브스 EX-122를 하기의 비율로 멜트 블렌드하여, 마스터 배치 1(MB1)을 얻었다.
울트젝스 1520L 90 질량부
미즈카시브스 EX-122 10 질량부
(MB2∼9의 조정)
표 3, 4의 배합에 따라서, MB1과 같은 식으로 원료를 멜트 블렌드하여, 마스터 배치 2∼9(MB2∼9)를 얻었다.
[표 3]
Figure pct00022
[외층 필름의 제작]
표 4에 기재된 외층 필름 A, B, C를 제작했다.
(외층 필름 A의 제작)
울트젝스 1520L을 160℃에서 인플레이션 제막하여, 80 ㎛ 두께의 외층 실란트 필름 A를 제작했다.
(외층 필름 B의 제작)
울트젝스 1520L을 160℃에서 인플레이션 제막하여, 40 ㎛ 두께의 실란트 필름을 제작했다.
기재층으로서의 2축 연신 나일론 필름인 보닐 RX(15 ㎛ 두께, 고진필름&케미칼즈(주))과 위에서 얻은 실란트 필름을, 320℃의 익스트루젼 코팅법에 의해 LDPE 수지(노바테크 LC520, 닛폰폴리에틸렌)를 접착층으로서 맞붙여, 2축 연신 나일론 필름(15 ㎛)/LDPE(15 ㎛)/실란트 필름(40 ㎛)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성의 외층 필름 B를 얻었다.
(외층 필름 C의 제작)
기재층을 2축 연신 나일론 필름인 IB-ONY(15 ㎛ 두께, 다이닛폰인사츠(주), 가스 배리어성 연신 나일론 필름)로 바꾼 것 이외에는, 외층 필름 B와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외층 필름 C를 얻었다.
[표 4]
Figure pct00023
[내용물 추출구의 제작]
노바테크 UF370을 이용하여 200℃에서 사출 성형하여, 내용물 추출구 A를 제작했다. 마찬가지로, 표 2의 기재에 따라서 내용물 추출구 B∼E를 제작했다.
<실시예 1>
[내층 필름의 제작]
하기 원료를 하기 비율로 용융 혼련하여, 악취 흡착층용 수지 조성물을 제작했다.
MB1 16.7 질량부
울트젝스 1520L 83.3 질량부
악취 비흡착층 1, 2용 울트젝스 1520L과 위에서 얻은 악취 흡착층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160℃에서 인플레이션제막에 의해 적층하여, 악취 비흡착층 1(16 ㎛)/악취 흡착층(48 ㎛)/악취 비흡착층 2(16 ㎛)로 이루어지는 3층 구성의 실란트층용 필름을 얻었다.
[포장체의 제작과 평가]
위에서 얻은 내층 필름과 외층 필름 A와 내용물 추출구를 이용하여, 도 16에 도시된 포장체(이중 주머니부의 사이즈는 450 mm×450 mm, 내용물 추출구의 직경은 31 mm)를 제작하여, 히트 시일성, 파대(破袋) 특성, 내핀홀성(내층 필름), 충전수 TOC 증가 농도를 평가했다. 포장체의 상세한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2∼14, 비교예 2>
표 5의 기재에 따라서,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악취 흡착층용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여, 실란트층용 필름을 얻고, 포장체를 제작하여, 평가했다. 포장체의 상세한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저용출성이 아니라 범용 폴리에틸렌인 LLDPE의 에볼류 SP2020을 이용하여, 160℃에서 인플레이션 제막하여, 악취 비흡착층만을 포함하는 내층용 실란트 필름(80 ㎛)을 얻고,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포장체를 제작하여, 평가했다. 포장체의 상세한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표 5의 기재에 따라서,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악취 흡착층용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여, 악취 흡착층만을 포함하는 실란트층용 필름을 얻어, 포장체를 제작하여, 평가했다. 포장체의 상세한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평가>
[제막성]
필름의 외관을 관찰하여 관능적으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필름에 주름이나 유해물이 생기는 일 없이 제막이 가능.
×: 필름에 주름이나 유해물이 다수 생겨, 제막이 곤란.
[내파대(耐破袋) 특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포장체의 내부에 10 L의 물을 충전하고, 물 충전 후의 포장체를 1 m의 높이에서 낙하시키는 조작을 합계 3회 반복하여, 주머니 파괴 유무를 평가했다.
합격 여 부판정
◎: 3회의 낙하 평가에서 주머니 파괴 없음.
○: 3회의 낙하 평가에서 하나의 주머니가 파괴. 합격
×: 3회의 낙하 평가에서 모든 주머니가 파괴. 불합격
[내층 필름 단일체의 내핀홀성]
제작한 내층 필름을 A4 사이즈(30 cm×21 cm)로 재단하여, 겔보플렉스 테스터(테스타산교(주) 제조, BE-1005)로, 굴곡 후에 각 샘플의 30 cm×21 cm의 면내에 발생한 핀홀의 수를 카운트했다. 160개 이하를 합격으로 했다.
온도: 23℃
겔보 굴곡 횟수: 5000회
[포장체의 내핀홀성]
제작한 포장체를,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로서 수송용으로 곤포한 상태로 실제의 수송 경로로 반송하여, 주머니부의 내층 필름에 발생한 핀홀의 수를 카운트했다. 160개 이하를 합격으로 했다.
[충전수 TOC 증가 농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포장체를 제작하기 전에,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재료의 내면 필름 측에는 미리 UV 조사 살균 처리를 실시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포장체에, 65℃의 물(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증류수, 쥰세이카가쿠) 1000 g을 핫팩 충전하여 포장체 액체 충전물을 제작하고, 35℃, 2주간 보관한 후에, (주)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 TOC-L 총유기체탄소계에 의해 충전수의 TOC 농도를 측정했다.
이어서, 충전 전의 물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TOC 농도를 측정했다.
각 포장체에 있어서의 TOC 증가 농도를 하기 식으로 구했다.
TOC 증가 농도=보관 후의 충전수 TOC 농도-충전 전의 물의 TOC 농도
충전 전의 물의 TOC 농도: 0.02 ppm
UV 조사 살균 처리 조건
UV 파장: 253.7 nm
조사 시간: 10초
온도: 25℃
[표 5]
Figure pct00024
<결과 정리>
모든 실시예의 포장체는 양호한 제막성, 내파대 특성, 히트 시일성, 내핀홀성을 보이고, TOC 증가 농도도 작았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도 소수성 제올라이트도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과,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지 않고, 소수성 제올라이트 대신에 친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비교예 2는, TOC 증가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많이 지나치게 포함하는 비교예 3에서는, TOC 농도의 경감은 크지만, 내층 필름의 제막성이 뒤떨어져, 히트 시일성과 내파대 특성이 뒤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과제 5에 대하여
〈실시예〉
실시예에 이용한 원료의 상세한 것은 하기와 같다.
[내층 필름·외층 필름용 저용출성 폴리에틸렌 및 범용 폴리에틸렌]
[표 1]
Figure pct00025
[내용물 추출구 수지 조성물용 수지]
[표 2]
Figure pct00026
[악취 흡착체]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
·케스몬 NS-241: 도아고세이(주) 제조, 아미노기 함유 화합물 담지 무기 다공체. 평균 입자경 3.5 ㎛.
(소수성 제올라이트)
·미즈카시브스 EX-122: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32/1, 평균 입자경 2.5∼5.5 ㎛.
·실톤 MT4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400/1, 평균 입자경 5∼7 ㎛.
·실톤 MT20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2000/1, 평균 입자경 2∼4 ㎛.
·실톤 MT-800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8000/1, 평균 입자경 0.8 ㎛.
(친수성 제올라이트)
·미즈카시브스 Y-420: 미즈사와카가쿠고교(주) 제조. SiO2/Al2O3 몰비=5/1, 평균 입자경 5 ㎛.
[기타]
·EMB-21: 스미토모카가쿠(주) 제조, 안티블로킹제.
·PEX ABT-16: 닛폰폴리에틸렌(주), 안티블로킹제.
·EMB-10: 스미토모카가쿠(주), 슬립제.
[마스터 배치의 조정]
외층 필름, 내층 필름, 내용물 추출구 수지 조성물용 MB(마스터 배치)를, 하기와 같이 조정하여 제작했다.
(MB1의 조정)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LLDPE인 울트젝스 1520L과 소수성 제올라이트인 미즈카시브스 EX-122를 하기의 비율로 멜트 블렌드하여, 마스터 배치 1(MB1)을 얻었다.
노바테크 LC600A 90 질량부
미즈카시브스 EX-122 10 질량부
(MB2∼13의 조정)
표 3, 4의 배합에 따라서, MB1과 같은 식으로 원료를 멜트 블렌드하여, 마스터 배치 2∼13(MB2∼13)을 얻었다.
[표 3]
Figure pct00027
[표 4]
Figure pct00028
[외층 필름의 제작]
(외층 필름 A의 제작)
하기 원료를 하기 비율로 용융 혼련하여, 악취 흡착층용 수지 조성물을 제작했다.
울트젝스 1520L 80 질량부
MB2 20 질량부
악취 비흡착층 1, 2용 울트젝스 1520L과 위에서 얻은 악취 흡착층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160℃에서 인플레이션 제막에 의해 적층하여, 악취 비흡착층 1(10 ㎛)/악취 흡착층(20 ㎛)/악취 비흡착층 2(10 ㎛)로 이루어지는 3층 구성의 실란트층용 필름을 얻었다.
위에서 얻은 실란트층용 필름과 기재층으로서의 2축 연신 나일론 필름 1(고진필름&케미칼즈(주), 보닐 RX, 15 ㎛ 두께)을, 320℃의 익스트루젼 코팅법에 의해 LDPE 수지 1(닛폰폴리에틸렌(주), 노바테크 LC520)을 접착층으로서 개재시켜 접착하여, 기재층(15 ㎛)/접착층(15 ㎛)/악취 비흡착층 1(10 ㎛)/악취 흡착층(20 ㎛)/악취 흡착층 2(10 ㎛)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외층 필름 A를 얻었다. 상세한 층 구성을 표 5에 나타냈다.
(외층 필름 B∼I의 제작)
표 5에 나타낸 각 외층 필름의 구성에 따라서, 기재층 필름, 접착층, 악취 비흡착층의 유무에 따라 각각을 준비하여, 악취 흡착층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고, 외층 필름 A와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실란트층용 필름을 제작하고, 외층 필름 B∼I를 제작했다.
외층 필름 C, E, F에 관해서는 악취 흡착층만의 실란트층용 필름, 외층 필름 I에 관해서는 악취 비흡착층만의 실란트층용 필름을, 외층 필름 C, E, F로 했다.
[표 5]
Figure pct00029
[내층 필름의 제작]
(내층 필름 A의 제작)
하기 원료를 하기 비율로 용융 혼련하여, 악취 흡착층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했다.
울트젝스 1520L 83.3 질량부
MB1 16.7 질량부
악취 비흡착층 c, d용 울트젝스 1520L과 위에서 얻은 악취 흡착층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160℃에서 인플레이션 제막에 의해 적층하여, 악취 비흡착층 c(16 ㎛)/악취 흡착층(48 ㎛)/악취 비흡착층 d(16 ㎛)로 이루어지는 3층 구성의 실란트층만을 포함하는 내층 필름 A를 얻었다. 상세를 표 6에 나타낸다.
(내층 필름 B∼P의 제작)
표 6에 나타낸 각 내층 필름의 구성에 따라서 악취 흡착층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여, 악취 비흡착층용 수지를 선택하고, 내층 필름 A와 같은 식으로 조작하여, 내층 필름 B∼O를 제작했다.
내층 필름 M에 관해서는 악취 비흡착층만, 내층 필름 O에 관해서는 악취 흡착층만으로 제작했다.
[표 6]
Figure pct00030
[내용물 추출구의 제작]
표 7에 나타낸 비율로 각 원료를 드라이 블렌드하여, 내용물 추출구용 수지 조성물 A∼J를 조제했다.
그리고, 위에서 얻은 수지 조성물 각각을 200℃에서 사출 성형하여, 내용물 추출구 A∼J를 제작했다.
[표 7]
Figure pct00031
<실시예 1>
위에서 얻은 외층 필름 A와 내층 필름 A와 내용물 추출구 A를 이용하여, 도 16에 도시된 포장체(이중 주머니부의 사이즈는 450 mm×450 mm, 내용물 추출구 A의 직경은 31 mm)를 제작하여, 히트 시일성, 파대(破袋) 특성, 내핀홀성(내층 필름),충전수 TOC 증가 농도를 평가했다.
적층체의 상세한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실시예 2∼25, 비교예 2∼5>
표 3에 기재한 배합에 따라서,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악취 흡착층용 혼합물을 얻고, 실란트 필름을 작성하여, 평가했다.
적층체의 상세한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8∼10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고용출성 폴리에틸렌인 LLDPE의 에볼류 SP2020을 이용하여, 160℃에서 인플레이션 제막하여, 내층용 실란트 필름(80 ㎛)을 얻었다.
또한, 노바테크 UF370을 사용하여 200℃에서 사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품을 제작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평가했다. 적층체의 구성 및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평가>
[제막성]
외관을 관찰하여 관능적으로 평가했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필름에 주름이나 유해물이 생기는 일 없이 제막이 가능.
×: 필름에 주름이나 유해물이 다수 생겨, 제막이 곤란.
[내파대(耐破袋) 특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포장체의 내부에 10 L의 물을 충전하고, 물 충전 후의 포장체를 1 m의 높이에서 낙하시키는 조작을 합계 3회 반복하여, 주머니 파괴 유무를 평가했다.
합격 여부 판정
◎: 3회의 낙하 평가에서 주머니 파괴 없음. 합격
○: 3회의 낙하 평가에서 하나의 주머니가 파괴. 합격
×: 3회의 낙하 평가에서 모든 주머니가 파괴. 불합격
[내층 필름 단일체의 내핀홀성]
제작한 내층 필름을 A4 사이즈(30 cm×21 cm)로 재단하여, 겔보플렉스 테스터(테스타산교(주) 제조, BE-1005)로, 굴곡 후에 각 샘플의 30 cm×21 cm의 면내에 발생한 핀홀의 수를 카운트했다. 160개 이하를 합격으로 했다.
온도: 23℃
겔보 굴곡 횟수: 5000회
[포장체의 내핀홀성]
제작한 포장체를,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로서 수송용으로 곤포한 상태로 실제의 수송 경로로 반송하여, 주머니부의 내층 필름에 발생한 핀홀의 수를 카운트했다. 160개 이하를 합격으로 했다.
[충전수 TOC 증가 농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포장체를 제작하기 전에,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재료의 내면 필름 측에는 미리 UV 조사 살균 처리를 실시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포장체에, 65℃의 물(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증류수, 쥰세이카가쿠) 1000 g을 핫팩 충전하여 포장체 액체 충전물을 제작하고, 35℃, 2주간 보관한 후에, (주)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 TOC-L 총유기체탄소계에 의해 충전물의 TOC 농도를 측정했다.
이어서, 충전 전의 물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TOC 농도를 측정했다.
각 포장체에 있어서의 TOC 증가 농도를 하기 식으로 구했다.
TOC 증가 농도=보관 후의 충전수 TOC 농도-충전 전의 물의 TOC 농도
충전 전의 물의 TOC 농도: 0.02 ppm
UV 조사 살균 처리 조건
UV 파장: 253.7 nm
조사 시간: 10초
온도: 25℃
[표 8]
Figure pct00032
[표 9]
Figure pct00033
[표 10]
Figure pct00034
<결과 정리>
모든 실시예의 포장체는 양호한 제막성, 내파대 특성, 히트 시일성, 내핀홀성을 보이고, TOC 증가 농도도 작았다.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도 소수성 제올라이트도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과,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지 않고, 소수성 제올라이트 대신에 친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비교예 2는, TOC 증가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많이 지나치게 포함하는 비교예 3, 4, 5에서는, TOC 농도의 경감은 크지만,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제막성이 뒤떨어지고, 히트 시일성과 내파대 특성이 뒤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과제 1에 대하여
1: 내용물 포장 주머니, 2: 주머니부, 3: 내용물 추출구, 3a: 캡, 3b: 원통 부품, 3c: 플랜지, 4: 주머니부의 히트 시일부, A, B: 단면선, 5: 상측 필름, 6: 하측 필름
과제 2에 대하여
1.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접착부, 3. 외층 필름, 4. 내층 필름, 5. 실란트층, 6. 악취 흡착층, 6a. 악취 흡착층, 6b. 악취 흡착층, 7. 악취 비흡착층, 8. 기재층, 9. 접착층, 11. 포장체,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12. 이중 주머니부, 13. 내용물 추출구, 14. 이중 주머니부의 히트 시일부, 15. 상측 필름, 16. 하측 필름, A, B. 단면선
과제 3에 대하여
1. 악취 흡착 적층체, 2. 기재층, 3. 접착층, 접착층, 3a. 악취 흡착 접착층, 3b. 악취 비흡착 접착층, 4. 실란트층, 4a. 악취 흡착 실란트층, 4b.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
과제 4, 5에 대하여
1: 포장체,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2: 이중 주머니부, 3: 내용물 추출구, 4: 이중 주머니부의 히트 시일부, A, B: 단면선, 5: 상측 필름, 6: 하측 필름, 7: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의 접착부, 8: 외층 필름, 9: 내층 필름, 10: 실란트층, 11: 악취 흡착층, 11a: 악취 흡착층(농도 a), 11b: 악취 흡착층(농도 b), 12: 악취 비흡착층, 13: 기재층, 14: 접착층

Claims (82)

  1. 적어도 열가소성 수지 A와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는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악취 흡착체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인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A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인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체가, 열가소성 수지 B와, 미리 악취 흡착체/열가소성 수지 B의 질량비가 0.5/99.5 이상 40/60 이하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고,
    열가소성 수지 B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5 g/분 이상 100 g/분 이하인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A가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 성형품 내의 상기 악취 흡착체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 성형품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화학 흡착제가,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카르복실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것인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화학 흡착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것인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 성형품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화학 흡착제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로 작성된 악취 흡착 성형품.
  11. 제10항에 기재한 악취 흡착 성형품을 포함하는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
  12. 제11항에 기재한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을 포함하는, BIB 포장 주머니용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
  13. 제12항에 기재한 BIB 포장 주머니용 내용물 추출구 성형품을 구비한 BIB 포장 주머니.
  14.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는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으로서,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 각각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 필름의 상기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이고,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필름의 상기 실란트층이 상기 악취 흡착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0 g/㎤ 이상 0.94 g/㎤ 이하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LLDPE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C4-LLDPE, C6-LLDPE, C8-LLDP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50 ㎛ 두께 필름의, 23℃에 있어서의 5000회의 겔보플렉스 후의 핀홀 발생 개수가, 0개 또는 1개 이상 160개 이하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필름에 포함되는 용출성 TOC의 농도가 1.5 ppm 이상 250 ppm 이하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2.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소수성 제올라이트/열가소성 수지의 질량비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것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열가소성 수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것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0.2∼10.0 g/10분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카르복실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것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6. 제15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것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7. 제1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층은 한 면 또는 양면에 악취 비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비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지 않는 층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8. 제14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필름이 기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
  29. 제14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악취 흡착 실란트 필름을 포함하는 악취 흡착 포장 재료.
  30. 제29항에 기재한 악취 흡착 포장 재료로 제작된,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 주머니.
  31. 적어도 기재층, 접착층, 실란트층을 포함하는 악취 흡착 적층체로서,
    상기 접착층 및/또는 상기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고,
    상기 접착층이 상기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층 내의 악취 흡착체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고,
    상기 실란트층이 상기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악취 흡착체의 함유량은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이고,
    상기 악취 흡착체는 SiO2/Al2O3의 몰비가 30/1 이상 8000/1 이하인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인 악취 흡착 적층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층 또는 비용제 라미네이트 접착층인 악취 흡착 적층체.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익스트루젼 코팅 접착층 또는 샌드 라미네이트 접착층이고,
    상기 접착층 내의 악취 흡착체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악취 흡착 적층체.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악취 흡착 적층체.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체가, 열가소성 수지 A와, 악취 흡착체/열가소성 수지의 질량비가 0.5/99.5 이상 40/60 이하인 비율로 미리 용융 혼련되어 있는 것인 악취 흡착 적층체.
  36.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인 악취 흡착 적층체.
  37. 제3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층이, 멜트 플로우 레이트가 0.2 g/10분 이상 10.0 g/10분 이하인 상기 열가소성 수지 C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인 악취 흡착 적층체.
  38. 제3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는 악취 흡착 접착층과,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는 악취 비흡착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비흡착 접착층은 상기 악취 흡착 접착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해 있는 것인 악취 흡착 적층체.
  39. 제3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는 악취 흡착 실란트층과,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지 않는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비흡착 실란트층은 상기 악취 흡착 실란트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접해 있는 것인 악취 흡착 적층체.
  40. 제3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이고,
    상기 접착층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이 0.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악취 흡착 적층체.
  41. 제34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이고,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악취 흡착 적층체.
  42. 제34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화학 흡착제가,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카르복실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것인 악취 흡착 적층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것인 악취 흡착 적층체.
  44. 제3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악취 흡착 적층체를 포함하는, 포장 재료용 악취 흡착 필름.
  45. 제44항에 기재한 포장 재료용 악취 흡착 필름을 포함하는 악취 흡착 포장 재료.
  46.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는 악취 흡착 포장 재료로서,
    상기 외층 필름 및/또는 상기 내층 필름은 제44항에 기재한 포장 재료용 악취 흡착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는 것인 악취 흡착 포장 재료.
  47. 제46항에 기재한 악취 흡착 포장 재료로 제작된, BIB용 악취 흡착성 포장 재료.
  48. 제46항에 기재한 악취 흡착 포장 재료로 제작된, BIB용 악취 흡착성 액체 내용물 포장 재료.
  49.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는 이중 주머니부를 갖는 포장체로서,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 각각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 필름의 상기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이고,
    상기 내층 필름의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인 포장체.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내층 필름의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포장체.
  51. 제49항 또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0 g/㎤ 이상 0.94 g/㎤ 이하인 포장체.
  52. 제49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LLDPE인 포장체.
  53. 제49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C4-LLDPE, C6-LLDPE, C8-LLDP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포장체.
  54. 제49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50 ㎛ 두께 필름의, 23℃에 있어서의 5000회의 겔보플렉스 후의 핀홀 발생 개수가, 0개 또는 1개 이상 160개 이하인 포장체.
  55. 제49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필름에 포함되는 용출성 TOC의 농도가 1.5 ppm 이상 250 ppm 이하인 포장체.
  56. 제49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소수성 제올라이트/열가소성 수지의 질량비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것인 포장체.
  57. 제50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열가소성 수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것인 포장체.
  58. 제56항 또는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0.2∼10.0 g/10분인 포장체.
  59. 제50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카르복실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것인 포장체.
  60. 제50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것인 포장체.
  61. 제49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필름은, 상기 악취 흡착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악취 비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비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지 않는 층인 포장체.
  62. 제49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필름이 기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포장체.
  63. 제49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포장체를 포함하는,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64. 제49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재료.
  65. 적어도 외층 필름과 내층 필름을 포함하는 이중 주머니부와, 수지 성형품을 포함하는 내용물 추출구로 구성되는 포장체로서,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은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있고,
    상기 외층 필름과 상기 내층 필름 각각은 실란트층을 포함하고,
    상기 실란트층은 악취 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과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고,
    상기 내용물 추출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악취 흡착체를 함유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는 소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SiO2/Al2O3 몰비가 30/1∼8000/1이고,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인 포장체.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실란트층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포장체.
  67.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추출구 내의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3 질량% 이하인 포장체.
  68. 제6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흡착체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추출구 내의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의 함유량은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포장체.
  69. 제65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0 g/㎤ 이상 0.94 g/㎤ 이하인 포장체.
  70. 제65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LLDPE인 포장체.
  71. 제65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이 C4-LLDPE, C6-LLDPE, C8-LLDP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포장체.
  72. 제65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50 ㎛ 두께 필름의, 23℃에 있어서의 5000회의 겔보플렉스 후의 핀홀 발생 개수가, 0개 또는 1개 이상 160개 이하인 포장체.
  73. 제65항 내지 제7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은, 상기 저용출성 폴리에틸렌만으로 제작된 필름에 포함되는 용출성 TOC의 농도가 1.5 ppm 이상 250 ppm 이하인 포장체.
  74. 제65항 내지 제7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제올라이트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소수성 제올라이트/열가소성 수지의 질량비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것인 포장체.
  75. 제66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는, 미리 열가소성 수지와,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열가소성 수지 0.5/99.5∼40/60인 비율로 용융 혼련되어 있는 것인 포장체.
  76. 제65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는 0.2∼10.0 g/10분인 포장체.
  77. 제66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카르복실산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것인 포장체.
  78. 제66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흡착제 담지 무기 다공체를 구성하는 화학 흡착제가 아미노기를 갖는 것인 포장체.
  79. 제65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필름 및/또는 상기 내층 필름은, 상기 악취 흡착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악취 비흡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비흡착층은, 저용출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악취 흡착체를 포함하지 않는 층인 포장체.
  80. 제65항 내지 제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필름이 기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포장체.
  81. 제65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포장체를 포함하는, BIB용 액체 내용물 포장체.
  82. 제65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포장체를 구성하는 포장 재료.
KR1020207027690A 2018-03-30 2019-03-27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악취 흡착 성형품 및 포장 재료 KR20200139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68126A JP7087572B2 (ja) 2018-03-30 2018-03-30 二重袋部を有する包装体、および該二重袋包装体を構成する包装材料
JPJP-P-2018-068129 2018-03-30
JP2018068128A JP7099010B2 (ja) 2018-03-30 2018-03-30 臭気吸着成形品樹脂組成物、臭気吸着成形品
JP2018068129A JP7087574B2 (ja) 2018-03-30 2018-03-30 包装体、該包装体からなるbib用液体内容物包装体、および該包装体を構成する包装材料
JPJP-P-2018-068125 2018-03-30
JPJP-P-2018-068128 2018-03-30
JPJP-P-2018-068127 2018-03-30
JP2018068127A JP7087573B2 (ja) 2018-03-30 2018-03-30 臭気吸着シーラントフィルムと、該臭気吸着シーラントフィルムから作製された包装材料及び包装袋
JPJP-P-2018-068126 2018-03-30
JP2018068125A JP7143614B2 (ja) 2018-03-30 2018-03-30 臭気吸着積層体及び臭気吸着性包装材料
PCT/JP2019/013144 WO2019189337A1 (ja) 2018-03-30 2019-03-27 臭気吸着成形品樹脂組成物、臭気吸着成形品、及び包装材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145A true KR20200139145A (ko) 2020-12-11

Family

ID=6805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690A KR20200139145A (ko) 2018-03-30 2019-03-27 악취 흡착 성형품 수지 조성물, 악취 흡착 성형품 및 포장 재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578195B2 (ko)
KR (1) KR20200139145A (ko)
CN (2) CN111918932B (ko)
WO (1) WO20191893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099A (ko) 2020-08-03 2023-04-10 바스프 에스이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가스 배출이 낮은 폴리에스테르 성형물
CN116113492A (zh) 2020-08-03 2023-05-12 巴斯夫欧洲公司 具有低的挥发性有机化合物脱气的包含金属-有机骨架的聚酯模制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487Y2 (ja) 1993-06-14 1997-06-18 山一精工株式会社 ディスクテーブル成形用金型
JP2014233408A (ja) 2013-05-31 2014-1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放射線滅菌処理用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3346A (ja) 1984-02-29 1985-09-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口付密封袋
SE469080B (sv) 1991-10-28 1993-05-10 Eka Nobel Ab Foerpackningsmaterial,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foerpackningsmaterial, anvaendning av hydrofob zeolit foer framstaellning av foerpackningsmaterial samt anvaendning av foerpackningsmaterial
JPH07227940A (ja) * 1994-02-16 1995-08-29 Goyo Paper Working Co Ltd 食品容器用シート状基材
JP3447114B2 (ja) 1994-05-16 2003-09-16 五洋紙工株式会社 無臭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食品用積層体
JPH08104370A (ja) * 1994-10-04 1996-04-23 Kishimoto Akira 調理食品包装容器
JP3537559B2 (ja) * 1995-09-28 2004-06-14 新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低溶出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内袋
JPH11130088A (ja) * 1997-08-25 1999-05-18 Okura Ind Co Ltd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内袋
JPH11165771A (ja) * 1997-11-28 1999-06-22 Keihan Cellophane Kk 電子レンジ調理用食品の包装用シート材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4934286B2 (ja) * 2005-03-30 2012-05-16 東洋製罐株式会社 吸着捕捉ゼオライト及びこれを含有する吸着捕捉樹脂組成物
JP4659523B2 (ja) * 2005-04-26 2011-03-30 共同印刷株式会社 ブリスター用フィルム及びブリスター用包装容器
CN101528179B (zh) 2006-10-25 2013-06-26 第一三共株式会社 包装材料
JP5244311B2 (ja) * 2006-12-27 2013-07-24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内袋
JP2009040998A (ja) 2007-07-18 2009-02-26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BRPI0921494A2 (pt) * 2008-11-03 2018-10-30 Prad Reasearch And Development Ltd método de planejamento de uma operação de amostragem para uma formação subterrãnea, método de contolar uma operação de amostragem de formação subterrânea, método de controlar uma operação de perfuração para uma formação subterrãnea, e método de realizar uma amostragem durante a operação de perfuração.
JP2010150417A (ja) * 2008-12-25 2010-07-08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6175425B2 (ja) * 2012-03-23 2017-08-02 第一三共株式会社 Ptp又はブリスターパック用積層体及びptp又はブリスターパック
US20150053601A1 (en) * 2012-03-30 2015-02-26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Membrane modul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FR2993897B1 (fr) * 2012-07-30 2015-08-21 Bostik Sa Auto-adhesif thermofusible pour emballage refermable a proprietes organoleptiques ameliorees
JP6417717B2 (ja) 2013-05-31 2018-11-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Ptpブリスター用シート及びそれよりなるptpブリスター包装体
JP6225490B2 (ja) * 2013-05-31 2017-1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医薬品包装体
JP6403999B2 (ja) 2014-06-05 2018-10-10 株式会社細川洋行 レトルト包装用積層体及び容器
US10010480B2 (en) * 2014-06-18 2018-07-03 Kyodo Printing Co., Ltd. Absorbing layer for blister package, laminate comprising same, and blister package using said laminate
JP2016182812A (ja) * 2015-03-26 2016-10-20 三菱樹脂株式会社 共押出多層フィルムおよび液体飲料包装体
CN107614260A (zh) * 2015-06-18 2018-01-19 共同印刷株式会社 泡罩包装用层叠体、及使用有该泡罩包装用层叠体的泡罩包装
JP6958030B2 (ja) 2017-07-04 2021-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低臭気積層体と該積層体からなる包装材料、及び該積層体の製造方法
JP6992358B2 (ja) 2017-09-22 2022-01-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低臭気積層体と該積層体からなる包装材料、及び該積層体の製造方法
CN111148703B (zh) 2017-09-29 2022-07-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体内容物包装用的密封膜、层积体、包装材料、包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487Y2 (ja) 1993-06-14 1997-06-18 山一精工株式会社 ディスクテーブル成形用金型
JP2014233408A (ja) 2013-05-31 2014-1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放射線滅菌処理用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18932A (zh) 2020-11-10
CN114716758A (zh) 2022-07-08
US20210040296A1 (en) 2021-02-11
US11597824B2 (en) 2023-03-07
US20220220291A1 (en) 2022-07-14
CN111918932B (zh) 2023-06-30
WO2019189337A1 (ja) 2019-10-03
US11578195B2 (en)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1551B2 (en) Sealant film for packaging liquid contents, laminate including same, packaging material for liquid contents, and package for liquid contents
US11597824B2 (en) Odor-adsorbing molded article resin composition, odor-adsorbing molded article, and packaging material
JP7143614B2 (ja) 臭気吸着積層体及び臭気吸着性包装材料
JP7228329B2 (ja) 臭気吸着性能を有する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7087573B2 (ja) 臭気吸着シーラントフィルムと、該臭気吸着シーラントフィルムから作製された包装材料及び包装袋
JP7035423B2 (ja) 液体内容物包装用の積層体、及び液体内容物用包装材料、液体内容物用包装体
WO2021200894A1 (ja) 液体内容物包装用のガス吸着積層体
JP6950288B2 (ja) 殺菌、滅菌処理用積層体と、該積層体を用いた包装材料、及び包装体
JP7087574B2 (ja) 包装体、該包装体からなるbib用液体内容物包装体、および該包装体を構成する包装材料
JP7155667B2 (ja) 消臭包装材料及び消臭包装体
JP7087572B2 (ja) 二重袋部を有する包装体、および該二重袋包装体を構成する包装材料
JP7155666B2 (ja) 消臭包装材料及び消臭包装体
JP2020001272A (ja) 液体内容物用消臭積層体及び液体内容物用消臭包装体
JP2020158141A (ja) 消臭ptp包装体
JP7035424B2 (ja) 液体内容物包装用の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液体内容物用包装材料、液体内容物用包装体
JP7127265B2 (ja) 液体内容物包装用の積層体、及び液体内容物用包装材料、液体内容物用包装体
JP2020158140A (ja) 消臭包装体
JP7035422B2 (ja) 液体内容物包装用の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液体内容物用包装材料、液体内容物用包装体
JP7035421B2 (ja) 液体内容物包装用の積層体、及び液体内容物用包装材料、液体内容物用包装体
JP7035420B2 (ja) 液体内容物包装用の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液体内容物用包装材料、液体内容物用包装体
JP2020158142A (ja) 液体紙容器用の消臭積層体
JP2020157560A (ja) 消臭積層体
JP2020157561A (ja) 消臭積層体
JP2020033068A (ja) 液体内容物包装用の消臭積層体
JP2020000512A (ja) 消臭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消臭包装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