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391A - 롤 교체 장치 - Google Patents

롤 교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391A
KR20190116391A KR1020197026276A KR20197026276A KR20190116391A KR 20190116391 A KR20190116391 A KR 20190116391A KR 1020197026276 A KR1020197026276 A KR 1020197026276A KR 20197026276 A KR20197026276 A KR 20197026276A KR 20190116391 A KR20190116391 A KR 20190116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olls
work
pai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430B1 (ko
Inventor
가츠미 후지이
미치마사 다카기
후미히사 시마야
Original Assignee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6607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11639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리메탈스 테크놀로지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6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21B31/103Manipulators or carriag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21B31/106Vertical displacement of rolls or roll chocks during horizontal roll chan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압연 설비에 있어서의 롤 교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한다. 이 때문에, 통판되는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기 (11) 에 형성된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교체하는 롤 교체 장치 (12) 로서, 상하 1 쌍의 상기 작업 롤 (21) 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유지하여 상기 작업 롤 (21) 을 통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작업 롤 유지 유닛 (51) 과, 상기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을 갖고, 상기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에 의해 상기 작업 롤 (21) 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압연기 (11) 에 대해 롤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 유지 장치 (31) 와, 상기 롤 유지 장치 (31) 의 이동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작업 롤 (21) 을 재치 가능한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롤 교체 장치
본 발명은, 압연기의 롤을 교체하는 롤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연기에는, 피압연재인 강판을 압연하기 위한 압연 롤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4 단 압연기에는, 상하 1 쌍의 작업 롤과, 이 상하 1 쌍의 작업 롤을 지지하는 상하 1 쌍의 보강 롤이 형성되어 있고, 6 단 압연기에는, 상하 1 쌍의 작업 롤과, 이 상하 1 쌍의 작업 롤을 지지하는 상하 1 쌍의 중간 롤과, 이 상하 1 쌍의 중간 롤을 지지하는 상하 1 쌍의 보강 롤이 형성되어 있다.
압연 롤은, 강판의 압연에 수반하여 마모 및 열화되기 때문에, 압연 설비에는, 압연 롤을 교체하기 위한 롤 교체 장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가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롤 교체 장치에 의해 압연기에 있어서의 압연 롤을 교체함으로써, 압연기에 의해 압연되는 강판의 표면 품질 및 판 형상 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보 평8-32336호
최근에 있어서는, 압연 롤의 하나인 작업 롤이 소직경화되어 고압하의 압연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 작업 롤이 마모 및 열화되기 쉽다. 따라서, 압연 설비에 있어서는, 작업 롤 등의 롤 교체가 빈번히 실시되게 된다.
작업 롤 등의 롤 교체는, 압연기에 의한 압연 동작을 정지시키고 실시되기 때문에, 압연 설비에 있어서의 가동률 및 생산 효율의 저하로 연결된다. 그래서, 압연 설비에 있어서의 롤 교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압연 설비에 있어서의 롤 교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는, 통판 (通板) 되는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기에 형성된 상하 1 쌍의 작업 롤을 교체하는 롤 교체 장치로서, 상하 1 쌍의 상기 작업 롤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유지된 상기 작업 롤을 통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작업 롤 유지 유닛과, 상기 작업 롤 유지 유닛을 갖고, 상기 작업 롤 유지 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 롤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압연기에 대해 롤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 유지 장치와, 상기 롤 유지 장치의 이동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작업 롤을 재치 (載置) 가능한 작업 롤 이재 (移載)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하면, 압연 설비에 있어서의 롤 교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A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를 구비한 압연 설비를 나타내는 설명도 (평면도) 이다.
도 1B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작업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A 에 상당) 이다.
도 1C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작업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A 에 상당) 이다.
도 1D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작업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A 에 상당) 이다.
도 1E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작업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A 에 상당) 이다.
도 2A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를 구비한 압연 설비에 있어서의 압연기를 나타내는 설명도 (평면도) 이다.
도 2B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작업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A 에 상당) 이다.
도 2C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작업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A 에 상당) 이다.
도 2D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작업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A 에 상당) 이다.
도 2E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작업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A 에 상당) 이다.
도 3A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보강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A 에 있어서의 부분 상세도) 이다.
도 3B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보강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A 에 상당) 이다.
도 3C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보강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A 에 상당) 이다.
도 3D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의한 보강 롤의 교체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A 에 있어서의 부분 상세도) 이다.
도 4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있어서의 푸시 풀러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평면도) 이다.
도 5A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있어서의 푸시 풀러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에 있어서의 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이다.
도 5B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있어서의 푸시 풀러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에 있어서의 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이다.
도 6 은,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있어서의 푸시 풀러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 에 있어서의 VI-V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이다.
도 7 은,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있어서의 푸시 풀러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 에 있어서의 VII-V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이다.
도 8 은,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에 있어서의 푸시 풀러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 에 있어서의 V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이다.
도 9 는,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 에 있어서의 IX-IX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이다.
도 10 은,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 에 있어서의 X-X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를, 상하 1 쌍의 작업 롤과 상하 1 쌍의 보강 롤이 형성된 4 단 압연기를 구비한 압연 설비에 적용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를, 상하 1 쌍의 작업 롤과 상하 1 쌍의 중간 롤과 상하 1 쌍의 보강 롤을 구비한 6 단 압연기 등 여러 가지의 다단 압연기가 형성된 압연 설비에 적용해도 되고, 또,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를 구비한 압연 설비의 구성에 대해, 도 1A 내지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압연기와 작업 롤의 관계>
도 1A 및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연 설비 (1) 에는, 통판되는 강판 (S) 을 압연하는 압연기 (11) 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압연기 (11) 는, 강판 (S) 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과, 이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지지하는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이 형성된 4 단 압연기이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연기 (11) 의 외측 케이싱인 하우징 (23) 에는, 롤 교체 등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하기 위한 개구부 (23a) 와, 이 개구부 (23a) 를 폐색 가능한 개폐문 (23b) 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에는, 롤 초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압연기 (11) 에는, 개폐문 (23b) 이 폐쇄된 상태 (문 폐쇄 상태) 에 있어서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직접적으로 지지하여 압연 위치 (강판 (S) 을 압연 가능한 위치) 에 유지하는 지지 롤러 (제 1 롤 지지 장치) (24) 와, 개폐문 (23b) 이 개방된 상태 (문 개방 상태) 에 있어서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직접적으로 지지하여 압연 위치에 유지하는 지지 잭 (제 2 롤 지지 장치) (25) 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롤러 (24) 는, 하우징 (23) (개폐문 (23b)) 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문 폐쇄 상태 (압연기 (11) 의 압연시) 에 있어서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의 롤 축 방향 (Y 축 방향이고, 도 2A 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 양측의 단부 (端部) (축단부) (21a) 를 지지함으로써,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압연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다.
지지 잭 (25) 은, 하우징 (23) 의 내측에 있어서 통판 방향 (X 축 방향이고, 도 2A 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 으로 신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문 개방 상태 (압연기 (11) 의 롤 교체시) 에 있어서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의 축 방향 단부 (21a) 를 신장된 당해 지지 잭 (25) 의 선단부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압연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다 (도 2B 참조).
또한, 지지 잭 (25) 은,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의 통판 방향 상류측 (도 2A 에 있어서는, 상방측) 및 통판 방향 하류측 (도 2A 에 있어서는, 하방측) 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은, 통판 방향 상류측 또는 통판 방향 하류측의 어느 일방에 배치된 지지 잭 (25) 에 의해 유지된다 (도 2B 및 도 2E 참조).
<압연기와 보강 롤의 관계>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롤 (22) 에는, 롤 초크 (26)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롤 초크 (26) 에는, 압연기 (11) 에 형성된 지지 레일 (27) 상에 지지되는 주행 롤러 (26a) 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레일 (27) 은, 압연기 (11) 의 안팎에 걸쳐 롤 축 방향 (도 3A 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 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보강 롤 (22) 은, 지지 레일 (27) 상에 있어서 압연 위치에 유지됨과 함께, 지지 레일 (27) 을 따라 이동 (압연기 (11) 에 대해 반입 및 반출) 가능하다.
또한, 보강 롤 (22) 의 롤 초크 (26) 에는, 후술하는 롤 교체 장치 (12) 에 의한 롤 교체시에, 당해 보강 롤 (22) 을 교체하기 (이동시키기) 위한 래치 부재 (29) 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 부재 (29) 는, 축 방향 일방측 (도 3A 에 있어서는, 우방측) 의 롤 초크 (26) 로부터 당해 축 방향 일방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그 선단부에 후크부 (29a) (도 5A 참조) 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당해 롤 초크 (26) 의 통판 방향 (도 3A 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 으로 이간되어 복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 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에 있어서의 롤 초크 (26) 에 형성된 래치 부재 (29) 의 후크부 (29a) 는, 각각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A 참조). 요컨대, 연직 방향 (Z 축 방향) 하측의 보강 롤 (22) 에 있어서의 롤 초크 (26) 에 형성된 2 개의 래치 부재 (29) 의 후크부 (29a) 는, 각각 연직 방향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연직 방향 상측의 보강 롤 (22) 에 있어서의 롤 초크 (26) 에 형성된 2 개의 래치 부재 (29) 의 후크부 (29a) 는, 각각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롤 교체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연 설비 (1) 에는, 압연기 (11) 에 있어서의 작업 롤 (21) 및 보강 롤 (22) 을 교체 (교환) 가능한 롤 교체 장치 (12) 가 형성되어 있다. 롤 교체 장치 (12) 는, 압연기 (11) 에 있어서의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동시에 교체 가능함과 함께, 압연기 (11) 에 있어서의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을 동시에 교체 가능한 것이다.
롤 교체 장치 (12) 에는, 압연기 (11) 에 있어서의 작업 롤 (21) 및 보강 롤 (22) 을 각각 유지 가능한 푸시 풀러 장치 (31) 와, 작업 롤 (21) 을 재치 가능한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와, 보강 롤 (22) 을 재치 가능한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와, 이들 푸시 풀러 장치 (31) 와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와 보강 롤 이재 장치 (33) 를 각각 이동 가능하게 갖고 (탑재하고) 압연기 (11) 에 대해 롤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 이동 대차 (臺車) (34)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이동 대차 (34) 에는, 플로어면에 부설된 장치 이동 레일 (35) 상에 지지되는 주행 차륜 (41) 및 구동 차륜 (42) 과, 구동 차륜 (42) 을 회전 구동시키는 장치 이동 모터 (43) 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이동 레일 (35) 은, 압연기 (11) 의 측방 (도 1A 에 있어서는, 우방측) 에 있어서 롤 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 (Y 축과 평행한 V12 축 방향) 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장치 이동 대차 (34) (롤 교체 장치 (12)) 는, 장치 이동 모터 (43) 가 구동됨으로써 장치 이동 레일 (35) 을 따라 V12 축 방향으로 주행되어, 압연기 (11) 에 대해 접근 이반 (離反) 된다.
또, 장치 이동 대차 (34) 에는, 당해 장치 이동 대차 (34) 상에 있어서,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및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주행 (이동) 시키기 위한 제 1 레일 (44) 과,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를 주행 (이동) 시키기 위한 제 2 레일 (45) 과, 보강 롤 이재 장치 (33) 를 주행 (이동) 시키기 위한 제 3 레일 (46) 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주행 (이동) 시키기 위한 제 1 랙 기어 (47) 와,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를 주행 (이동) 시키기 위한 제 2 랙 기어 (48)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A, 도 3A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레일 (44) 은, 지지 레일 (27) 과 연속 형성되고,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에 각각 대응하도록 연직 방향으로 이간되어 2 개 배치되어 있고, 장치 이동 레일 (35) 과 평행한 방향 (V12 축과 평행한 V31 축 방향) 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은, 연직 방향 상측 및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된 제 1 레일 (44) 에 각각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은, 장치 이동 대차 (34) 상에 있어서 제 1 레일 (44) 을 따라 V31 축 방향으로 주행된다.
또, 제 1 랙 기어 (47) 는, 연직 방향 상측에 배치된 제 1 레일 (44) 의 이측 (裏側) 에 형성되고, 당해 제 1 레일 (44) 과 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푸시 풀러 장치 (31) 는, 연직 방향 상측의 제 1 레일 (44) 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푸시 풀러 장치 (31) 는, 장치 이동 대차 (34) 상에 있어서 제 1 레일 (44) 을 따라 V31 축 방향으로 주행된다.
여기서, 제 1 레일 (44) 및 제 1 랙 기어 (47) 는,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및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이동 방향 (V31 축 방향) 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고, 보강 롤 이재 장치 (33) 가 분단된 제 1 레일 (44)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당해 보강 롤 이재 장치 (33) 가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및 푸시 풀러 장치 (31) 가 주행되는 레일 (및 랙 기어) 의 일부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A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 2 레일 (45) 은, 제 1 레일 (44) 과 교차하는 방향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90°교차하는 방향으로서, V31 축과 직교하는 U32 축 방향) 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제 2 랙 기어 (48) 는, 제 2 레일 (45) 과 동 방향 (U32 축 방향) 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는, 장치 이동 대차 (34) 상에 있어서 제 2 레일 (45) 을 따라 U32 축 방향으로 주행된다.
도 1A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롤 이재 장치 (33) 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 3 레일 (46) 은, 제 1 레일 (44) 과 교차하는 방향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90°교차하여 제 2 레일 (75) 과 평행한 방향으로서, V31 축과 직교하고 U32 축과 평행한 U33 축 방향) 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강 롤 이재 장치 (33) 는, 장치 이동 대차 (34) 상에 있어서 제 3 레일 (46) 을 따라 U33 축 방향으로 주행된다.
<푸시 풀러 장치 (롤 유지 장치)>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풀러 장치 (31) 에는,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작업 롤 유지 유닛 (51) 과,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보강 롤 유지 유닛 (52) 과, 이들 작업 롤 유지 유닛 (51) 과 보강 롤 유지 유닛 (52) 을 갖고 (탑재하고) 이동 가능한 장치 본체 (53) 가 형성되어 있다.
장치 본체 (53) 에는, 연직 방향 상측에 배치된 제 1 레일 (44) 상에 지지되는 주행 차륜 (54) 과, 제 1 랙 기어 (47) 와 서로 맞물리는 구동 차륜 (피니언 기어) (55) 과, 구동 차륜 (55) 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구동 모터) (56) 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 본체 (53) (푸시 풀러 장치 (31)) 는, 구동부 (56) 가 구동됨으로써, 장치 이동 대차 (34) 상에 있어서 연직 방향 상측에 배치된 제 1 레일 (44) 및 보강 롤 이재 장치 (33) 를 이용하여 주행되고, 압연기 (11) 에 대해 접근 이반 (롤 축 방향으로 이동) 된다.
또한, 푸시 풀러 장치 (31) 는, 작업 롤 유지 유닛 (51) 또는 보강 롤 유지 유닛 (52) 에 의해 작업 롤 (21) 또는 보강 롤 (22) 을 유지한 상태에서 주행됨 (압연기 (11) 에 대해 롤 축 방향으로 이동됨) 으로써, 압연기 (11) 에 대해 작업 롤 (21) 또는 보강 롤 (22) 을 반입 및 반출할 수 있다.
<작업 롤 유지 유닛>
도 4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에는, 롤 교체시에 작업 롤 (21) 을 유지하는 유지 기구 (61) 와, 이 유지 기구 (61) (유지된 작업 롤 (21)) 를 롤 축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 (Y 축과 평행한 B51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 기구 (62) 와, 이들 유지 기구 (61) 와 회전 기구 (62) 를 통판 방향과 평행한 방향 (X 축과 평행한 U51 축 방향) 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기구 (63)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은, 통판 방향으로 이간되어 2 쌍의 작업 롤 (21) 을 각각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유지된 작업 롤 (21) 을 통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다.
<이동 기구>
이동 기구 (63) 는, 장치 본체 (53) 의 전면 (압연기 (11) 측을 향하는 면) 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안내부 (71) 와, 이 안내부 (71) 와 걸어맞추어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 몸체부 (72) 와, 이 이동 몸체부 (72) 와 연결되어 당해 이동 몸체부 (72) 를 장치 본체 (53) 에 대해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부 (73)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안내부 (71) 는, U51 축 방향 (도 4 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 으로 연장되는 레일 부재이다. 이동 몸체부 (72) 는, 단면 대략 コ 자 형상으로 형성된 강체 (剛體) 의 후면에 안내부 (71) 와 걸어맞추어지는 장척의 홈부 (72a) 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동 구동부 (73) 는, 신축 가능한 잭이고, 그 기단부 (基端部) (도 4 에 있어서는, 하방측 단부) 가 장치 본체 (53) 의 일방의 측부 (53a) 에 연결됨과 함께 그 선단부 (도 4 에 있어서는, 상방측 단부) 가 이동 몸체부 (72) 에 연결되고, 이동 몸체부 (72) 를 안내부 (71) 를 따라 U51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신축된다.
<회전 기구>
도 4,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기구 (62) 는, 이동 몸체부 (72)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부 (81) 와, 이 회전축부 (81) 의 일단 (도 4 및 도 6 에 있어서는, 좌방측 단부) 에 고정되어 당해 회전축부 (81) 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 몸체부 (82) 와, 회전축부 (81) 와 연결되어 당해 회전축부 (81) (및 회전 몸체부 (82)) 를 B51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 (83)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회전축부 (81) 는, 이동 몸체부 (72) 에 대해 B51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회전 몸체부 (82) 는, 단면 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 강체이다. 회전 구동부 (83) 는, 신축 가능한 잭이고, 그 기단부 (도 7 에 있어서는, 우방측 단부) 가 이동 몸체부 (72) 에 연결됨과 함께 그 선단부 (도 7 에 있어서는, 좌방측 단부) 가 회전축부 (81) 에 연결되고, 회전축부 (81) 를 B51 축 둘레로 회전시키도록 신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전 구동부 (83) 의 신축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부 (81) 및 회전 몸체부 (82) 의 회전 각도는, 대략 90°로 한다.
<유지 기구>
도 4, 도 6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기구 (61) 는, 1 쌍 또는 2 쌍의 작업 롤 (21) 을 동시에 유지 가능한 것이고, 유지 기구 (61) 에는, 1 쌍 또는 2 쌍의 작업 롤 (21) 을 유지할 때에, 당해 1 쌍 또는 2 쌍의 작업 롤 (21) 의 축단부 (21a) 사이에 들어가는 (축단부 (21a) 의 측면에 각각 맞닿아 삽입되는) 평판부 (지지 부재) (91) 와, 당해 1 쌍 또는 2 쌍의 작업 롤 (21) 의 축단부 (21a) 의 단면에 각각 맞닿는 돌출부 (92) 와, 당해 1 쌍 또는 2 쌍의 작업 롤 (21) 의 축단부 (21a) 를 사이에 두도록 당해 축단부 (21a) 를 평판부 (91) 에 가압하는 요동부 (클램프 부재) (93)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평판부 (91) 는, 회전 몸체부 (82) 의 전면으로부터 장치 전방 (압연기 (11) 측으로서, 도 4 및 도 6 에 있어서는 좌방측) 으로 연장되는 평판 부재이고, 2 쌍의 작업 롤 (21) 에 있어서의 축단부 (21a)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평판부 (91) 는, 회전 기구 (62) 에 의한 회전 동작 (90°의 회전 동작) 에 수반하여 수평 방향 또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가 되어, 각각 수평 방향 또는 연직 방향으로 이간되는 2 쌍의 작업 롤 (21) 에 있어서의 축단부 (21a) 사이에 삽입된다.
돌출부 (92) 는, 평판부 (91) 에 있어서의 일방의 면 (도 6 에 있어서는, 상면) 및 타방의 면 (도 6 에 있어서는, 하면) 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고, 2 쌍의 작업 롤 (21) 을 유지할 때에 당해 2 쌍의 작업 롤 (21) 에 대응하도록 (각 작업 롤 (21) (합계 4 개) 의 축단부 (21a) 의 단면과 각각 맞닿도록) 일방 및 타방의 면에 있어서 각각 2 개씩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평판부 (91) 에는, 그 양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1 쌍의 돌출부 (92) (도 6 참조) 가 통판 방향 (도 4 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 으로 이간되어 2 개 (2 쌍) 형성되어 있다.
요동부 (93) 는, 돌출부 (92) 에 대해 소정의 회전축 (A51 축)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2 쌍 (합계 4 개) 의 돌출부 (92) 에 각각 배치, 즉, 돌출부 (92) 와 함께 통판 방향 (도 4 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 으로 이간되어 2 쌍 (합계 4 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기구 (61) 에는, 요동부 (93) 를 평판부 (91) 및 돌출부 (92) 에 대해 요동시키는 요동 구동부 (94) 가 형성되어 있다. 요동 구동부 (94) 는, 그 기단부 (도 6 에 있어서는, 하방측 단부) 및 선단부 (도 6 에 있어서는, 상방측 단부) 가 각각 1 쌍의 요동부 (93) 와 연결된 신축 잭 (유압 실린더) 이고, 2 쌍의 요동부 (93) 를 각각 독립적으로 요동시킬 수 있도록 2 개 형성되어 있다.
요동 구동부 (94) 가 신축됨으로써, 당해 요동 구동부 (94) 에 연결된 1 쌍의 요동부 (93) 가 각각 평판부 (91) 및 돌출부 (92) 에 대해 요동된다. 구체적으로는, 요동 구동부 (94) 가 신장됨으로써, 당해 요동 구동부 (94) 에 연결된 요동부 (93) 와 평판부 (91) 에 의해 1 쌍 (또는 2 쌍) 의 작업 롤 (21) 의 축단부 (21a) 가 협지되고, 요동 구동부 (94) 가 축장 (縮長) 됨으로써, 당해 요동 구동부 (94) 에 연결된 요동부 (93) 와 평판부 (91) 에 의해 협지되어 있었던 1 쌍 (또는 2 쌍) 의 작업 롤 (21) 의 축단부 (21a) 가 해방된다. 여기서, 2 개의 요동 구동부 (94) 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 (신축) 가능한 것이고, 요동부 (93) 는, 이들 2 개의 요동 구동부 (94) 를 구비함으로써, 2 쌍의 작업 롤 (21) 에 있어서의 축단부 (21a) 를 각각 독립적으로 평판부 (91) 에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은, 작업 롤 (21) 을 유지한 상태에서, 회전 기구 (62) 를 동작 (회전 구동부 (83) 를 신축) 시킴으로써, 작업 롤 (21) 의 배열 방향을 변환할 수 있다. 요컨대, 회전 기구 (62) 의 동작에 의해 유지 기구 (61) 가 B51 축 둘레로 일방측으로 회전됨으로써, 1 쌍의 작업 롤 (21) 은, 연직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가 되고, 한편, 유지 기구 (61) 가 B51 축 둘레로 타방측으로 회전됨으로써,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은, 수평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1 쌍의 작업 롤 (21) 이 연직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는, 평판부 (91) 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로서, 요동부 (93) 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부터 협지되는 상태이다. 한편,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이 수평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는, 평판부 (91) 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상태로서, 1 쌍의 작업 롤 (21) 이 요동부 (93) 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부터 협지되는 상태이다. 요컨대, 요동부 (93) 의 회전축인 A51 축은, 유지 기구 (61) 의 동작에 의해 수평 방향 (X 축과 평행한 방향) 또는 연직 방향 (Z 축과 평행한 방향) 을 향한다.
<보강 롤 유지 유닛 (제 2 롤 유지 유닛)>
도 4 및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롤 유지 유닛 (52) 에는, 압연기 (11) 에 대해 보강 롤 (22) 을 반출할 때에 당해 보강 롤 (22) 을 유지하는 (거는) 래치 기구 (101) 와, 압연기 (11) 에 대해 보강 롤 (22) 을 반입할 때에 당해 보강 롤 (22) 을 유지하는 (가압하는) 가압 기구 (102) 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강 롤 유지 유닛 (52) 은,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과 걸어맞추어져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이동에 의해 당해 보강 롤 (22) 을 압연기 (11) 로부터 반출하는 래치 기구 (101) 와,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과 맞닿아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이동에 의해 당해 보강 롤 (22) 을 압연기 (11) 에 반입하는 가압 기구 (102) 를 구비하고 있다.
<래치 기구>
래치 기구 (101) 에는, 보강 롤 (22) 에 있어서의 래치 부재 (29) 의 후크부 (29a) 와 걸어맞춤 가능한 후크부 (111a) 를 갖고, 장치 본체 (53) 에 대해 통판 방향과 평행한 회전축 (X 축과 평행한 A52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래치 요동부 (111) 가 형성되어 있다.
래치 요동부 (111) 는, 상하 2 쌍의 래치 부재 (29)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에 있어서의 래치 부재 (29)) 에 각각 대응하도록, 장치 본체 (53) 의 양 측부 (53a, 53b) 에 있어서 연직 방향으로 이간되어 2 개씩 (합계 4 개) 배치되어 있고, 각 래치 요동부 (111) 에 형성된 후크부 (111a) 는, 각각 상하 2 쌍의 래치 부재 (29) 에 있어서의 후크부 (29a) 에 대응하도록 (걸어맞춤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장치 본체 (53) 의 일방의 측부 (53a) 에 형성된 상하 1 쌍의 래치 요동부 (111) 의 후크부 (111a), 및, 장치 본체 (53) 의 타방의 측부 (53b) 에 형성된 상하 1 쌍의 래치 요동부 (111) 의 후크부 (111a) 는, 각각 반대를 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직 방향 하측에 형성된 2 개의 래치 요동부 (111) 의 후크부 (111a) 는, 각각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연직 방향 상측에 형성된 2 개의 래치 요동부 (111) 의 후크부 (111a) 는, 각각 연직 방향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래치 기구 (101) 에는, 연직 방향 상측의 래치 요동부 (111) 와 연결되어 당해 래치 요동부 (111) 를 요동시키는 래치 구동부 (112) 와, 상하 방향으로 쌍이 되어 배치된 래치 요동부 (111) 를 연결하는 래치 연동부 (113)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래치 연동부 (113) 는, 연직 방향 상측의 래치 요동부 (111) 의 요동 동작을 연직 방향 하측의 래치 요동부 (111) 에 연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래치 구동부 (112) 의 구동에 의해, 연직 방향 상측에 배치된 래치 요동부 (111) 가 장치 본체 (53) 에 대해 요동됨과 함께, 래치 연동부 (113) 를 개재하여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된 래치 요동부 (111) 가 장치 본체 (53) 에 대해 요동된다.
래치 구동부 (112) 는, 신축 가능한 잭이고, 그 기단부 (도 5A 에 있어서는, 하방측 단부) 가 장치 본체 (53) 의 바닥부 (53c) 에 연결되고, 그 선단부 (도 5A 에 있어서는, 상방측 단부) 가 래치 요동부 (111) 에 연결되고, 회전 중심축 (111b) 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래치 요동부 (111) 를 A52 축 둘레로 요동하도록 신축된다.
또한, 래치 구동부 (112) 의 선단부는, 래치 요동부 (111) 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축 (111b) 보다 후단측 (도 5A 에 있어서는, 우방측) 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래치 구동부 (112) 가 축장되면, 래치 요동부 (111) 가 일방측 (도 5A 에 있어서는, 시계 방향) 으로 회전하도록 요동되고, 당해 래치 요동부 (111) 의 후크부 (111a) 가 연직 방향 상측을 향하여 이동됨과 함께, 래치 부재 (29) 의 후크부 (29a) 와 걸어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래치 구동부 (112) 가 신장되면, 래치 요동부 (111) 가 타방측 (도 5B 에 있어서는, 반시계 방향) 으로 회전하도록 요동되고, 당해 래치 요동부 (111) 의 후크부 (111a) 가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하여 이동됨과 함께, 래치 부재 (29) 의 후크부 (29a) 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게 되어 있다.
래치 연동부 (113) 는, 일단 (도 5A 에 있어서는, 상방측 단부) 이 연직 방향 상측의 래치 요동부 (111) 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축 (111b) 보다 후단측에 연결되고, 타단 (도 5A 에 있어서는, 하방측 단부) 이 연직 방향 하측의 래치 요동부 (111) 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축 (111b) 보다 선단측 (도 5A 에 있어서는, 좌방측) 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연직 방향 상측에 배치된 래치 요동부 (111) 와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된 래치 요동부 (111) 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요동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롤 교체 장치 (12) 에 있어서는, 보강 롤 유지 유닛 (52) 의 래치 기구 (101) 에 의해 보강 롤 (22) 을 유지한 (건) 상태, 즉, 래치 부재 (29) 의 후크부 (29a) 와 래치 요동부 (111) 의 후크부 (111a) 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주행시킴으로써, 압연기 (11) 에 대해 보강 롤 (22) 을 반출할 수 있다. 또한, 래치 부재 (29) (후크부 (29a)) 및 래치 요동부 (111) (후크부 (111a)) 는,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에 대해, 각각 통판 방향 상류측 및 통판 방향 하류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시 풀러 장치 (31) 는,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을 곧바로 (양호한 밸런스로) 반출할 수 있다.
<가압 기구>
가압 기구 (102) 는, 장치 본체 (53) 에 고정되는 가압 부재이고, 래치 부재 (29) 의 선단면 (29b) 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면 (102a) 을 갖고 있다. 또, 가압 기구 (102) 는, 상하 2 쌍의 래치 부재 (29)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에 있어서의 래치 부재 (29)) 에 각각 대응하도록, 장치 본체 (53) 의 양 측부 (53a, 53b) 에 있어서 연직 방향으로 이간되어 2 개씩 (합계 4 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롤 교체 장치 (12) 에 있어서는, 보강 롤 유지 유닛 (52) 의 가압 기구 (102) 에 의해 보강 롤 (22) 을 유지한 (가압한) 상태, 즉, 롤 초크 (26) 에 있어서의 래치 부재 (29) 의 선단면 (29b) 과 가압 기구 (102) 의 맞닿음면 (102a) 이 맞닿은 상태에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주행시킴으로써, 압연기 (11) 에 대해 보강 롤 (22) 을 반입할 수 있다. 또한, 래치 부재 (29) (선단면 (29b)) 및 가압 기구 (102) (맞닿음면 (102a)) 는,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에 대해, 각각 통판 방향 상류측 및 통판 방향 하류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시 풀러 장치 (31) 는,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을 곧바로 (양호한 밸런스로) 반입할 수 있다.
<작업 롤 이재 장치>
도 1A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에는, 작업 롤 (21) 을 재치 가능한 선반 부재 (121) 와, 이 선반 부재 (121) 를 갖고 (탑재하고) 이동 가능한 대차 (122)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롤 교체 장치 (12) 에는, 복수 (2 개) 의 작업 롤 이재 장치 (32) 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 2 개의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는, 장치 이동 대차 (34) 상에 있어서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주행 경로 (제 1 레일 (44)) 를 사이에 두도록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구조가 대칭인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선반 부재 (121) 에는, 작업 롤 (21) 에 있어서의 양 축단부 (21a) 를 수용하는 절결 홈 (121a) 이 형성되어 있고, 상하단 (段) 에 각각 3 개씩 (합계 6 개) 의 작업 롤 (21) 을 재치할 수 있다.
또, 대차 (122) 에는, 제 2 레일 (45) 상에 지지되는 주행 차륜 (123) 과, 제 2 랙 기어 (48) 와 서로 맞물리는 구동 기어 (피니언 기어) (124) 와, 기어 기구를 개재하여 구동 기어 (123) 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 (125)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장치 이동 대차 (34) 에 있어서의 제 2 레일 (45) 및 제 2 랙 기어 (48) 는, 제 1 레일 (44) 및 제 1 랙 기어 (47) 와 교차하는 방향 (U32 축 방향) 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차 (122) (작업 롤 이재 장치 (32))는, 구동 모터 (125) 가 구동됨으로써, 선반 부재 (121) 를 탑재한 상태에서 제 2 레일 (45) 을 따라 U32 축 방향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이동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 으로 이동되고,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작업 롤 이재 장치 (32) 가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푸시 풀러 장치 (31) 에 의해 유지되어 있었던 작업 롤 (21) 을 당해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에 전달하여 재치하거나, 또는,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에 재치되어 있었던 작업 롤 (21) 을 푸시 풀러 장치 (31) 가 받아 유지할 수 있다. 요컨대, 푸시 풀러 장치 (31) 는, 당해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이동 경로 상으로 이동된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에 대해, 작업 롤 (21) 의 주고 받음을 실시한다. 또한, 작업 롤 이재 장치 (32) 가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주행 경로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푸시 풀러 장치 (31) 와의 작업 롤 (21) 의 주고 받음은 실시되지 않고,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는 대기 상태에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구동 모터를 사용하여 주행 차륜을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것, 또는, 유압 잭 등을 사용하여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당해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를 제 2 레일 (45) 을 따라 U32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보강 롤 이재 장치 (제 2 롤 이재 장치)>
도 1A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에는, 보강 롤 (22) 을 재치 가능한 선반 부재 (131) 와, 이 선반 부재 (131) 를 갖고 (탑재하고) 이동 가능한 대차 (132) 가 형성되어 있다.
선반 부재 (131) 에는, 제 1 레일 (44) 과 연속 형성되어 롤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부 (131a) 와, 제 1 랙 기어 (47) 와 연속 형성되는 랙 기어부 (131b) 가 형성되어 있고,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은, 레일부 (131a) 상에 있어서 롤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재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선반 부재 (131) 는, U33 축 방향으로 이간되어 2 쌍 (합계 4 개) 의 보강 롤 (22) 을 재치 가능한 것이다.
대차 (132) 에는, 제 3 레일 (46) 상에 지지되는 주행 차륜 (133) 과, 장치 이동 대차 (34) 에 연결된 구동부 (134) 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 (134) 는, 신축 가능한 잭이고, 그 기단부 (도 10 에 있어서는, 우방측 단부) 가 장치 이동 대차 (34) 에 연결됨과 함께 그 선단부 (도 10 에 있어서는, 좌방측 단부) 가 대차 (132) 에 연결되고, 대차 (123) 를 제 3 레일 (46) 을 따라 U33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신축된다. 그리고, 대차 (132) (보강 롤 이재 장치 (33)) 는, 구동부 (134) 가 신축됨으로써, 선반 부재 (131) 를 탑재한 상태에서 제 3 레일 (46) 을 따라 U33 축 방향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이동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 으로 이동되어,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보강 롤 이재 장치 (33) 가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푸시 풀러 장치 (31) 에 의해 유지되어 있었던 보강 롤 (22) 을 당해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에 전달하여 재치하거나, 또는,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에 재치되어 있었던 보강 롤 (22) 을 푸시 풀러 장치 (31) 가 받아 유지할 수 있다. 요컨대, 푸시 풀러 장치 (31) 는, 당해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이동 경로 상으로 이동된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에 대해, 보강 롤 (22) 의 주고 받음을 실시한다. 또한, 보강 롤 이재 장치 (33) 가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주행 경로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푸시 풀러 장치 (31) 와의 보강 롤 (22) 의 주고 받음은 실시되지 않고, 보강 롤 이재 장치 (33) 는 대기 상태에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선반 부재 (131)) 가 분단 된 제 1 레일 (44)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에 있어서의 선반 부재 (131) 의 레일부 (131a) 가, 제 1 레일 (44) 과 연속 형성되어 푸시 풀러 장치 (31) 가 주행되는 레일의 일부로서도 기능하게 되어 있다. 요컨대,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에 있어서의 레일부 (131a) 는, 푸시 풀러 장치 (31) 가 퇴피 위치로부터 압연기 (11) 에 근접한 롤 교체 위치까지 주행되는 레일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푸시 풀러 장치 (31) 는,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에 있어서의 레일부 (131a) 를 개재하여, 압연기 (11) 에 대해 접근 이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구동 모터 등을 사용하여 주행 차륜을 직접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것, 또는, 구동 모터 및 기어 기구 (피니언 및 랙) 등을 사용하여 보강 롤 이재 장치 (33) 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당해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를 제 3 레일 (46) 을 따라 U33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보강 롤을 예로 설명했지만, 6 단의 압연기인 경우, 중간 롤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치 이동 대차 (34) 는, 푸시 풀러 장치 (31),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및 보강 롤 이재 장치 (33) 등의 기기의 기초가 되는 받침대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고, 제 1 레일 (44), 제 2 레일 (45) 및 제 3 레일 (46) 등의 기기의 주행 장치를 적절히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작업 롤 이재 장치 (32) 가 이동하는 영역 (장치 이동 대차 (34) 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영역), 보강 롤 이재 장치 (33) 가 이동하는 영역 (장치 이동 대차 (34) 에 있어서의 중앙측의 영역), 및, 푸시 풀러 장치 (31) 가 대기하는 영역 (장치 이동 대차 (34) 에 있어서의 후방측의 영역) 에 있어서,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레일 (44) 의 높이가 일정해지도록, 장치 이동 대차 (34) 는, 그 상면 높이 (두께) 를 적절히 바꾸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치 이동 대차 (34) 를 구비함으로써, 롤 교체 장치 (12) 는, 푸시 풀러 장치 (31) 등의 기기, 즉, 롤 교체에 기여하는 1 군의 장치를 한 번에 압연기 (11) 에 근접시키거나 떼어 놓거나 할 수 있다.
<작업 롤의 교체 순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를 구비한 압연 설비에 있어서의 작업 롤의 교체 순서에 대해, 도 1A 내지 도 2E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시되지 않은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압연기 (11) 에 장착하는 새로운 1 쌍 (2 개) 의 작업 롤 (21) 을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의 선반 부재 (121) 에 재치한다 (도 1A 참조). 이 때, 1 쌍의 작업 롤 (21) 을 선반 부재 (121) 의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어 재치하여 연직 방향으로 나열하거나, 또는, 1 쌍의 작업 롤 (21) 을 선반 부재 (121) 의 인접하는 절결 홈 (121a) 에 재치하여 수평 방향으로 나열한다 (도 9 참조).
다음으로,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를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시킴과 함께,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이동시키고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에 근접시켜,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에 의해 선반 부재 (121) 에 재치된 1 쌍의 작업 롤 (21) 을 유지한다 (도 1B 참조).
이 때, 요동 구동부 (94) 를 동작시켜 요동부 (93) 의 선단이 열린 상태에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이동시킴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에 근접시킴) 으로써, 선반 부재 (121) 에 재치된 1 쌍의 작업 롤 (21) 의 축단부 (21a) 사이에 평판부 (91) 가 들어가고, 계속해서, 요동 구동부 (94) 를 동작시켜 요동부 (93) 의 선단을 닫음으로써,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에 의해 1 쌍의 작업 롤 (21) 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 참조).
또,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에 있어서 1 쌍의 작업 롤 (21) 이 연직 방향 (선반 부재 (121) 의 상단 및 하단) 으로 나란히 재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 구동부 (83) 를 동작시켜 1 쌍의 요동부 (93) 가 연직 방향으로 개폐되는 상태로 함으로써,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에 의해 1 쌍의 작업 롤 (21) 을 유지할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한편,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에 있어서 1 쌍의 작업 롤 (21) 이 수평 방향 (인접하는 절결 홈 (121a)) 으로 나란히 재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 구동부 (83) 를 동작시켜 1 쌍의 요동부 (93) 가 수평 방향으로 개폐되는 상태로 함으로써,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에 의해 1 쌍의 작업 롤 (21) 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이동시켜 장치 후방 (압연기 (11) 로부터 이간되는 측으로서, 도 1C 에 있어서는 우방측) 으로 퇴피시키고,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를 이동시켜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주행 경로 상으로부터 이간시킨 후,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이동시키고 장치 전방 (도 1C 에 있어서는, 좌방측) 으로 이동시켜, 압연기 (11) 에 대한 작업 롤 (21) 의 반입을 실시한다 (도 1C 참조).
압연기 (11) 에 대한 작업 롤 (21) 의 반입은, 압연기 (11) 의 압연 동작을 정지시키고 실시한다 (도 2A참조). 또한, 압연기 (11) 에 대한 작업 롤 (21) 의 반입은, 이미 압연기 (11) 에 통판되어 있는 강판 (S) 을 그대로 압연기 (11) 내에 남겨 둔 상태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먼저, 일방 (도 2B 에 있어서는, 상방측) 의 지지 잭 (25) 을 신장시켜 압연 위치에 있어서의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지지한 후, 압연기 (11) 의 개폐문 (23b) 을 개방한다 (도 2B 참조).
다음으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주행시켜,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에 의해 유지한 1 쌍의 작업 롤 (21) 을 압연기 (11) 내에 반입함과 함께,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에 의해 압연 위치에 지지된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유지한 후, 일방 (도 2C 에 있어서는, 상방측) 의 지지 잭 (25) 을 축장시켜 퇴피시킨다 (도 2C 참조).
이 때,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은, 2 쌍 (4 개) 의 작업 롤 (21) 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새로운 1 쌍의 작업 롤 (21) 을 압연기 (11) 내에 반입할 때에는, 당해 1 쌍의 작업 롤 (21) 이 연직 방향으로 나란히 유지된 상태에서 압연기 (11) 내에 반입하고, 당해 1 쌍의 작업 롤 (21) 을 유지하고 있지 않은 측의 요동부 (93) 를 요동 구동부 (94) 에 의해 동작시킴으로써, 압연 위치에 지지된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유지한다.
다음으로, 이동 구동부 (73) 를 동작시켜 유지 기구 (61) 를 U51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새로운 1 쌍의 작업 롤 (21) 을 압연 위치에 위치시킴과 함께, 타방측 의 지지 잭 (25) 을 신장시켜 당해 1 쌍의 작업 롤 (21) 을 지지한다 (도 2D 및 도 4 참조).
다음으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이동시켜 후방으로 퇴피 (도 2E 참조) 시킨 후, 개폐문 (23b) 을 폐쇄하여 지지 롤러 (24) 에 의해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을 지지함과 함께, 지지 잭 (25) 을 축장시켜 퇴피시킨다 (도 2A 참조).
이상에 의해, 새로운 1 쌍의 작업 롤 (21) 이 압연기 (11) 내에 반입되어 압연 위치에 유지됨과 함께, 사용 후의 한 쌍의 작업 롤 (21) 이 압연기 (11) 밖으로 반출된다.
이 때, 사용 후의 작업 롤 (21) 을 유지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이동시켜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보다 후방으로 퇴피시킨다 (도 1D 참조).
다음으로, 작업 롤 이재 장치 (32) 를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시킴과 함께,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이동시켜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에 근접시키고, 작업 롤 유지 유닛 (51) 에 의해 유지된 1 쌍의 작업 롤 (21) 을 선반 부재 (121) 에 재치한다 (도 1E 참조).
이 때, 회전 구동부 (83) 를 동작시켜 유지 기구 (61) 및 당해 유지 기구 (61) 에 의해 유지된 1 쌍의 작업 롤 (21) 을 B51 축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에 있어서 1 쌍의 작업 롤 (21) 이 수평 방향 (인접하는 절결 홈 (121a)) 으로 늘어서도록, 또는, 작업 롤 이재 장치 (32) 에 있어서 1 쌍의 작업 롤 (21) 이 연직 방향 (선반 부재 (121) 의 상단 및 하단) 으로 늘어서도록 재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7 내지 도 9 참조).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 (12) 에 의하면,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일련의 동작에 의해 사용 후의 작업 롤 (21) 의 반출과 사용 전의 작업 롤 (21) 의 반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으므로, 압연기 (11) 에 있어서의 상하 1 쌍의 작업 롤 (21) 의 교체 (롤 교체) 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보강 롤의 교체 순서>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를 구비한 압연 설비에 있어서의 보강 롤의 교체 순서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D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장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압연기 (11) 로부터의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의 반출을 실시한다 (도 3A 참조).
이 때, 래치 구동부 (112) 를 동작시켜 래치 요동부 (111) 의 선단이 닫힌 상태 (도 5B 참조) 에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이동시킴으로써, 래치 요동부 (11) 의 후크부 (111a) 를 래치 부재 (29) 의 후크부 (29a) 와 걸어맞춤 가능해지는 위치에 위치시키고, 계속해서, 래치 구동부 (112) 를 동작시켜 래치 요동부 (111) 를 여는 것에 의해, 보강 롤 유지 유닛 (52) 에 의해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을 유지할 (걸) 수 있다 (도 5A 참조).
다음으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장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에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을 전달하여 재치함과 함께, 푸시 풀러 장치 (31) 를 더욱 이동시켜 장치 후방으로 퇴피시킨다 (3B 참조).
이 때, 보강 롤 유지 유닛 (52) 에 의해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을 유지한 상태 (도 5A 참조) 에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압연기 (11) 의 근방으로부터 장치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당해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이 선반 부재 (131) 의 레일부 (131a) 에 위치되었을 (지지되었을) 때에, 래치 구동부 (112) 를 동작시켜 래치 요동부 (11) 의 후크부 (111a) 와 래치 부재 (29) 의 후크부 (29a) 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을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에 재치할 수 있다 (도 5B 참조). 단, 이 상태에 있어서는, 도 5B 에 나타내는 상태와는 상이하여, 래치 부재 (29) 의 선단면 (29b) 과 가압 기구 (102) 의 맞닿음면 (102a) 은 접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음으로, 보강 롤 이재 장치 (33) 를 이동시켜 새로운 1 쌍의 보강 롤 (22) 을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주행 경로 상에 위치시키고, 압연기 (11) 에 대한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의 반입을 실시한다 (도 3C 참조).
다음으로,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장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에 재치된 1 쌍의 보강 롤 (22) 을 유지 (가압) 하고, 더욱 푸시 풀러 장치 (31) 를 장치 전방으로 이동시켜 압연기 (11) 의 근방에 위치시킴으로써, 1 쌍의 보강 롤 (22) 을 압연기 (11) 내에 반입한다 (도 3D 참조).
이 때, 타방의 보강 롤 이재 장치 (33) 에 재치된 새로운 보강 롤 (22) 은, 래치 부재 (29) 의 선단면 (29b) 에 있어서 가압 기구 (102) 의 맞닿음면 (102a) 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푸시 풀러 장치 (31) 의 장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당해 푸시 풀러 장치 (31) 에 밀려 이동되고, 보강 롤 이재 장치 (33) 로부터 압연기 (11) 내에 반입된다 (도 5B 참조).
이상에 의해, 사용 후의 1 쌍의 보강 롤 (22) 이 압연기 (11) 밖으로 반출됨과 함께, 새로운 1 쌍의 보강 롤 (22) 이 압연기 (11) 내에 반입되어, 압연기 (11) 에 있어서의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의 교체가 완료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하면, 푸시 풀러 장치 (31) 의 동작에 의해, 압연기 (11) 에 있어서의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의 교체, 즉, 사용 후의 보강 롤 (22) 의 반출 및 사용 전의 보강 롤 (22) 의 반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압연기 (11) 에 대한 보강 롤 (22) 의 반출 및 반입에 있어서, 지지 레일 (27) 과 제 1 레일 (44) 과 선반 부재 (131) 의 레일부 (131a) 가 각각 연속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하 1 쌍의 보강 롤 (22) 및 푸시 풀러 장치 (31) 는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는, 본 실시예와 같이 4 단 압연기를 구비한 압연 설비에 적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6 단 압연기를 구비한 압연 설비에 적용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를, 6 단 압연기를 구비한 압연 설비에 적용한 경우에는, 롤 교체 장치에 의해 상하 1 쌍의 작업 롤 (롤 초크 없음) 을 동시에 교체함과 함께, 이 작업 롤을 지지하는 상하 1 쌍의 중간 롤 (롤 초크 있음) 을 동시에 교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는,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압연기를 구비한 압연 설비에 적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복수의 압연기를 구비한 탠덤 압연 설비에 적용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롤 교체 장치를 탠덤 압연 설비에 적용한 경우에는, 복수의 압연기에 대해 각각 롤 교체 장치를 구비하도록 해도 되고, 또, 롤 교체 장치 (장치 이동 대차) 를 통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당해 롤 교체 장치에 의해 복수의 압연기에 대한 롤 교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1 : 압연 설비
11 : 압연기
12 : 롤 교체 장치
21 : 작업 롤
21a : 축단부
22 : 보강 롤
23 : 하우징
23a : 개구부
23b : 개문문
24 : 지지 롤러
25 : 지지 잭 (롤 지지 장치)
26 : 롤 초크
26a : 주행 롤러
27 : 지지 레일
29 : 래치 부재
29a : 후크부
29b : 선단면
31 : 푸시 풀러 장치 (롤 유지 장치)
32 : 작업 롤 이재 장치
33 : 보강 롤 이재 장치 (제 2 롤 이재 장치)
34 : 장치 이동 대차
35 : 장치 이동 레일
41 : 주행 차륜
42 : 구동 차륜
43 : 장치 이동 모터
44 : 제 1 레일
45 : 제 2 레일
46 : 제 3 레일
47 : 제 1 랙 기어
48 : 제 2 랙 기어
51 : 작업 롤 유지 유닛
52 : 보강 롤 유지 유닛 (제 2 롤 유지 유닛)
53 : 장치 본체
54 : 주행 차륜
55 : 구동 차륜
56 : 구동부
61 : 유지 기구
62 : 회전 기구
63 : 이동 기구
71 : 안내부
72 : 이동 몸체부
72a : 홈부
73 : 이동 구동부
81 : 회전축부
82 : 회전 몸체부
83 : 회전 구동부
91 : 평판부 (지지 부재)
92 : 돌출부
93 : 요동부 (클램프 부재)
94 : 요동 구동부 (유압 실린더)
101 : 래치 기구
102 : 가압 기구
102a : 맞닿음면
111 : 래치 요동부
111a : 후크부
111b : 회전 중심축
112 : 래치 구동부
113 : 래치 연동부
121 : 선반 부재
121a : 절결 홈
122 : 대차
123 : 주행 차륜
124 : 구동 기어
125 : 구동 모터
131 : 선반 부재
131a : 레일부
131b : 랙 기어부
132 : 대차
133 : 주행 차륜
134 : 구동부

Claims (10)

  1. 통판되는 강판을 압연하는 압연기에 형성된 상하 1 쌍의 작업 롤을 교체하는 롤 교체 장치로서,
    상하 1 쌍의 상기 작업 롤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유지된 상기 작업 롤을 통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작업 롤 유지 유닛과.
    상기 작업 롤 유지 유닛을 갖고, 상기 작업 롤 유지 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 롤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압연기에 대해 롤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 유지 장치와,
    상기 롤 유지 장치의 이동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작업 롤을 재치 가능한 작업 롤 이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교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롤 유지 유닛은, 통판 방향으로 이간되어 2 쌍의 상기 작업 롤을 각각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고,
    상기 롤 유지 장치는, 당해 롤 유지 장치의 이동 경로 상으로 이동된 상기 작업 롤 이재 장치에 대해, 상기 작업 롤의 주고 받음을 실시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교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에 형성된 상하 1 쌍의 보강 롤 또는 상하 1 쌍의 중간 롤을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 2 롤 유지 유닛과, 상기 롤 유지 장치의 이동 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압연기에 형성된 상하 1 쌍의 보강 롤 또는 상하 1 쌍의 중간 롤을 재치 가능한 제 2 롤 이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롤 유지 장치는, 상기 제 2 롤 유지 유닛을 갖고, 상기 제 2 롤 유지 유닛에 의해 상하 1 쌍의 상기 보강 롤 또는 상하 1 쌍의 상기 중간 롤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압연기에 대해 롤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교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유지 장치는, 상하 1 쌍의 상기 보강 롤 또는 상하 1 쌍의 상기 중간 롤을 롤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일을 이용하여 롤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교체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롤 유지 유닛은, 상하 1 쌍의 상기 보강 롤 또는 상하 1 쌍의 상기 중간 롤과 걸어맞추어져 상기 롤 유지 장치의 이동에 의해 당해 보강 롤 또는 당해 중간 롤을 상기 압연기로부터 반출하는 래치 기구와, 상하 1 쌍의 상기 보강 롤 또는 상하 1 쌍의 상기 중간 롤과 맞닿아 상기 롤 유지 장치의 이동에 의해 당해 보강 롤 또는 당해 중간 롤을 상기 압연기에 반입하는 가압 기구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교체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유지 장치와 상기 작업 롤 이재 장치와 상기 제 2 롤 이재 장치를 각각 이동 가능하게 갖고, 상기 압연기에 대해 롤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 이동 대차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교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유지 장치는, 상하 1 쌍의 상기 작업 롤에 있어서의 축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와, 상하 1 쌍의 상기 작업 롤에 있어서의 상기 축단부를 각각 상기 지지 부재에 가압하는 클램프 부재를 구비한 것이고,
    상기 지지 부재는, 2 쌍의 상기 작업 롤에 있어서의 상기 축단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클램프 부재는, 2 쌍의 상기 작업 롤에 있어서의 상기 축단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에 가압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교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는, 독립적으로 신축 가능한 2 개의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교체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 내에 있어서, 상하 1 쌍의 상기 작업 롤을 압연 가능한 위치에 유지하는 롤 지지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교체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유지 장치는, 당해 롤 유지 장치에 의해 유지된 상기 작업 롤을 롤 축 방향과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구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교체 장치.
KR1020197026276A 2017-06-16 2017-06-16 롤 교체 장치 KR102278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22237 WO2018229960A1 (ja) 2017-06-16 2017-06-16 ロール組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391A true KR20190116391A (ko) 2019-10-14
KR102278430B1 KR102278430B1 (ko) 2021-07-15

Family

ID=6466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276A KR102278430B1 (ko) 2017-06-16 2017-06-16 롤 교체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73528B2 (ko)
EP (1) EP3610960B1 (ko)
JP (1) JP6795699B2 (ko)
KR (1) KR102278430B1 (ko)
CN (1) CN110612170B (ko)
BR (1) BR112019017042A2 (ko)
RU (1) RU2735644C1 (ko)
WO (1) WO201822996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36A (ja) 1994-07-13 1996-02-02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アンテナ
JPH1190532A (ja) * 1997-09-24 1999-04-06 Kobe Steel Ltd ローラレベラのロールユニット交換装置
KR20040105848A (ko) * 2002-05-24 2004-12-16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롤 스탠드에서 작업 롤 쌍 및/또는 지지 롤 쌍을 교체하는방법 및 장치
KR20160139698A (ko) * 2015-05-28 2016-12-07 (주)한성중공업 압연롤 자동화 교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9796A (en) 1970-11-30 1972-10-24 Blaw Knox Co Work roll changers
US4074558A (en) * 1977-02-17 1978-02-21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Roll changing apparatus
JPS5849329B2 (ja) * 1978-07-10 1983-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圧延機のロ−ル組替装置
JPS5633108A (en) * 1979-08-24 1981-04-03 Hitachi Ltd Exchanging apparatus for spindle provided with coupling
DE3042445C2 (de) * 1980-11-11 1982-09-16 Maschinen- Und Werkzeugbau Gmbh, 4600 Dortmund Vorrichtung zum Auswechseln der Arbeitswalzen von Walzgerüsten
JP2714011B2 (ja) 1988-07-20 1998-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ール組替装置
JPH0832336B2 (ja) 1988-08-15 1996-03-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圧延機のロール組替装置
SU1588455A1 (ru) * 1988-11-15 1990-08-30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Новокраматорски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мены валков прокатной клети кварто
SU1731315A1 (ru) * 1990-05-03 1992-05-07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Новокраматорски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Способ замены рабочих валков прокатной клети с Т-образными подушками и лини прокатной клети
JP3209318B2 (ja) 1995-12-28 2001-09-17 川崎製鉄株式会社 圧延機のロール組替方法及び圧延機のロール組替装置
JP2001150009A (ja) * 1999-11-30 2001-06-05 Mitsubishi Heavy Ind Ltd 圧延機のロール組替装置
US6408667B1 (en) * 2000-10-26 2002-06-25 Bethlehem Steel Corporation Four-high mill stand roll change device, a method of retrofit, and a roll change device therefrom
CN1358452A (zh) * 2000-12-13 2002-07-17 谭振平 内调味豆制品
DE10138588A1 (de) * 2001-08-06 2003-02-20 Sms Demag Ag Einrichtung zum Wechseln der Arbeits- und Stützwalzen eines Bandwalzwerkes
CN201140198Y (zh) * 2007-12-29 2008-10-29 中冶东方工程技术有限公司上海分公司 一种轧机
KR100879737B1 (ko) * 2008-01-18 2009-01-23 (주)삼우기계 작업롤용 디쵸킹 장치
JP2010162550A (ja) 2009-01-13 2010-07-29 Nippon Steel Corp 圧延機のワークロール組み込み方法
DE102009037665A1 (de) 2009-08-14 2011-02-17 Sms Siemag Ag Vorrichtung zum Handhaben und/oder Transportieren von Walzen eines Walzgerüsts
CN105013827B (zh) * 2015-07-09 2017-01-11 常州宝菱重工机械有限公司 支承辊的换辊挂钩脱钩装置
CN205270367U (zh) * 2015-12-04 2016-06-01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换辊装置的全自动脱挂钩机构
WO2018119549A1 (zh) * 2016-12-26 2018-07-05 普锐特冶金技术日本有限公司 双辊式连续铸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336A (ja) 1994-07-13 1996-02-02 Central Glass Co Ltd ガラスアンテナ
JPH1190532A (ja) * 1997-09-24 1999-04-06 Kobe Steel Ltd ローラレベラのロールユニット交換装置
KR20040105848A (ko) * 2002-05-24 2004-12-16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롤 스탠드에서 작업 롤 쌍 및/또는 지지 롤 쌍을 교체하는방법 및 장치
KR20160139698A (ko) * 2015-05-28 2016-12-07 (주)한성중공업 압연롤 자동화 교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12170B (zh) 2021-04-13
WO2018229960A1 (ja) 2018-12-20
EP3610960B1 (en) 2022-08-10
EP3610960A4 (en) 2020-05-27
JP6795699B2 (ja) 2020-12-02
US11173528B2 (en) 2021-11-16
JPWO2018229960A1 (ja) 2019-11-21
EP3610960A1 (en) 2020-02-19
CN110612170A (zh) 2019-12-24
BR112019017042A2 (pt) 2020-04-28
KR102278430B1 (ko) 2021-07-15
US20200238351A1 (en) 2020-07-30
RU2735644C1 (ru)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516593A (ja) 圧延機工場においてロールを管理する方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設備
CN106029539B (zh) 卷筒支承装置
JPH02229623A (ja) 棒材の後端部の曲げ方法及び曲げ−成形機械
KR20190116391A (ko) 롤 교체 장치
JP4097668B2 (ja) Pc枕木用穿孔機
JPS59104218A (ja) テンシヨンレベラ
KR20210116601A (ko) 인쇄기에서 인쇄 유닛의 실린더를 위한 핸들링 캐리지
KR101108565B1 (ko) 자동 나이프 조립체 체인징 장치
WO2018119549A1 (zh) 双辊式连续铸造装置
JPS5816718A (ja) 圧延機のロ−ル組替装置
JPH07256317A (ja) 多段圧延機のロール組替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ロール組替装置並びに多段圧延機
JP2011235329A (ja) 鉄筋の曲げ加工装置
JP2009095860A (ja) クイックシフト式圧延設備及びその調整方法
KR20110015670A (ko) 압연롤 장치
US3869898A (en) Roll changing device for a mill or a similar machine
KR20010046726A (ko) 압연라인의 핫 코일 이송용 테이블 롤 교환장치
US2535898A (en) Apparatus for changing vertical mill rolls
JPH0653294B2 (ja) テンシヨンレベラのロ−ル組替装置
CN215199111U (zh) 一种方便轧辊模具脱模和装模的装置
RU21642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ены штампов
KR20180116682A (ko) 연속 주조설비의 핀치롤 교체장치 및 교체방법
JP6757020B2 (ja) 版胴交換装置
KR20190004498A (ko) 압연기 롤 교체장치
KR20040017673A (ko) 대차 반출용 푸싱장치
CN205020524U (zh) 一种卷轴活动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