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9435A -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 및 그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포함하는 미백화장료 - Google Patents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 및 그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포함하는 미백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9435A
KR20190009435A KR1020197001969A KR20197001969A KR20190009435A KR 20190009435 A KR20190009435 A KR 20190009435A KR 1020197001969 A KR1020197001969 A KR 1020197001969A KR 20197001969 A KR20197001969 A KR 20197001969A KR 20190009435 A KR20190009435 A KR 20190009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arbon atoms
group
general formula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312B1 (ko
Inventor
치히로 콘도
쇼코 사사
유코 사이토
야스히토 모리
코우지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포라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라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포라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9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판토테닐알코올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이다.

Description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 및 그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포함하는 미백화장료{Melanogenesis Inhibitor Comprising D-Pantothenyl Alcohol, and Skin-Whitening Cosmetic Containing Same Melanogenesis Inhibitor}
본 발명은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포함하는 미백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D-판토테닐알코올은, 판토텐산의 알코올형 유도체이고, 체내에서 비타민 B5(판토텐산)로 변환되는 물질이다. 그리고, 피부외용제의 소재로서 오래 전부터 이용되고 있고, D-판토테닐알코올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D-판토테닐알코올을 함유하는 피부화장료가, 거친 피부, 특히 피부의 까칠함을 개선하고, 피부결을 정돈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는, D-판토테닐알코올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가, 모발의 생기, 탄력, 윤기를 양호하게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41302호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67042호
본 발명은 상기 D-판토테닐알코올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D-판토테닐알코올이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는 것을 실험으로부터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는,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함유하는 미백화장료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새로운 멜라닌 생성억제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여, 미백효과가 높은 미백화장료가 제공된다.
도 1은 실험예에 있어서의 D-판토테닐알코올의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에 있어서의 D-판토테닐알코올의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증식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형태로만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D-판토테닐알코올은, 이하의 구조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D-판토테닐알코올은 화장료 등의 피부외용제용의 소재로서 이용되고 있고, 그 입수에 곤란성이 없으며, 시판품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로부터 D-판토테닐알코올이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증식작용에 더하여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실험 1: 멜라닌 생성억제실험>
이하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세포 내의 멜라닌 합성 과정에 있어서 특이적으로 멜라닌에 포함되는 2-티오우라실(본 시험에서는, 14C 라벨한 2-티오우라실을 사용)을 사용하고,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평가하였다. 24웰의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멜라노사이트 배양용 완전배지(인비트로젠 주식회사)를 사용하여, 각 웰에 각각 6.0×104cells/well/0.5mL의 농도로 인간 정상 멜라노사이트(구라시키방적 주식회사)를 파종하였다. 5% 이산화탄소 분위기 하,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각 농도 3웰씩이 되도록, D-판토테닐알코올을 0mM, 1mM 함유하는 배지 0.5mL로 교환하고, 더욱이 이들 9웰에 2-[2-14C]티오우라실(제1 클라리티 주식회사)을 0.5μCi/well 첨가하였다. 그리고, 상기 배양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다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각 웰로부터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인산 완충 생리식염수)로 세정한 후, WST-8시약(주식회사 도진화학 연구소)을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WST-8시약을 제거하고, PBS로 세정한 후, 100(w/v)% 트리클로로초산(와코쥰야쿠 공업 주식회사)을 사용하여 웰의 바닥면으로부터 세포를 박리한 후, 트리클로로초산 농도가 10(w/v)%가 되도록 물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냉장고에서 30분간 정치하였다. 원심분리로 세포를 회수한 후, 각 웰로부터 회수한 세포에 있어서의 14C-티오라우실양을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아로카 주식회사)로 측정하였다.
D-판토테닐알코올을 0mM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한 세포의 방사선량(컨트롤)에 대한 D-판토테닐알코올을 1mM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한 세포의 방사선량의 백분률을 각각 구하고, 멜라닌양(%)으로 하였다. 즉, 각 세포 내에 포함된 방사선량성이 작을수록 멜라닌양이 작다고 판단할 수 있고, 따라서 첨가된 성분의 멜라닌 억제 역가(力價)가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실험 2: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증식 실험>
이하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세포증식 촉진작용을 평가하였다. 24웰의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케라티노사이트 배양용 완전배지(구라시키방적 주식회사)를 사용하여, 각 웰에 각각 1.0×104cells/well/1mL의 농도로 사람 정상 케라티노사이트(구라시키방적 주식회사)를 파종하였다. 5% 이산화탄소 분위기 하,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각 농도 3웰씩이 되도록, D-판토테닐알코올을 0μM, 15μM, 150μM 함유하는 배지 1mL로 교환하였다. 그리고, 상기 배양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다시 2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WST-8시약(주식회사 도진화학 연구소)을 각 웰 20μL씩 첨가하고, 37℃, 3시간 정색반응하였다. 반응 후, 450nm 및 650nm의 흡광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 Benchmark Plus(Bio-Rad Laboratories)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450nm 흡광도 측정값 -650nm 흡광도 측정값을 산출한 것을 세포증식 측정값으로 하였다.
D-판토테닐알코올을 0μM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한 웰의 세포증식 측정값(컨트롤)에 대한 D-판토테닐알코올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한 웰의 세포증식 측정값의 백분률을 각각 구하고, 세포증식률(%)로 하였다. 즉, 흡광도값이 클수록, 세포증식률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고, 따라서 첨가된 성분의 세포증식 촉진 역가가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상기 실험 1로부터 D-판토테닐알코올이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고, 미백효과를 가지는 소재인 것이 이해된다.
또한, 상기 실험 2로부터 D-판토테닐알코올은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증식작용을 가지는 것도 이해되며, 케라티노사이트 세포가 증식됨으로써, 케라티노사이트의 턴오버를 촉진하여, 멜라닌 배출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실험으로부터 D-판토테닐알코올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멜라닌의 배출을 촉진하는 것이 이해되며, 이와 같은 2가지 작용기서에 따른 미백작용에 의하여, D-판토테닐알코올은 높은 미백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는, 2가지 작용기서를 가지는 것, 특히 케라티노사이트의 턴오버 촉진작용을 가짐으로써, 종래의 미백제에 비하여 미백효과가 보다 빠르게 얻어지는(미백속도가 빠른)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종래의 미백제와 다른 작용기서를 가지기 때문에, 다른 미백제와 겸용함으로써 미백효과의 지속성이나 보다 높은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판토테닐알코올은 높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미백화장료에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효성분으로서 미백화장료에 배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D-판토테닐알코올이 미백화장료에 배합되는 경우, 배합량은 통상 0.0001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이다. 한편, 상한은 통상적으로 20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D-판토테닐알코올을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의 일 실시형태로서, 예를 들어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는 식물추출물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D-판토테닐알코올의 미백효과는,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는 식물추출물과 조합함으로써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그 식물추출물로서는, 아선약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에키나시아(echinacea)잎 추출물, 자근 추출물, 홍화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오크라 추출물, 키위 추출물, 월도잎 추출물, 비누풀 추출물, 인동덩굴 추출물, 차 추출물, 동아씨 추출물, 마늘 추출물, 라임과즙 추출물, 낫토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쥐오줌풀 추출물, 오이 추출물, 살구씨 추출물, 치자나무 추출물, 자몽 추출물, 우엉 추출물, 홍차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아욱 추출물, 대추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인삼 추출물, 복령 추출물, 백합 추출물, 여주 추출물, 양상추 추출물, 레몬 추출물, 또는 로열젤리 추출물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식물추출물은, 1종만을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는 식물추출물과 D-판토테닐알코올을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동시 또는 거의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거의 동시'란, 예를 들어 1일 이내를 의미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6시간 이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쌍방을 피부외용제에 배합하고, 그 피부외용제의 유효성분으로서 피부에 적용하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적용방법은, 식물추출물 이외의 미백성분과 D-판토테닐알코올을 조합한 미백방법에도 원용할 수 있다.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는 식물추출물이 미백화장료에 배합되는 경우, 배합량은 통상적으로 0.0001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이다. 한편, 상한은 통상적으로 20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이들 식물추출물의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매를 사용한 추출법이 바람직하다. 추출할 때에는, 상기 원재료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는데, 분말 형상으로 분쇄·세단하여 추출에 제공하는 편이, 온화한 조건으로 단시간에 높은 추출효율로 유효성분의 추출을 행할 수 있다.
추출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재료의 분쇄물의 크기나 용매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통상적으로는, 실온에서 용매의 비점까지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또한, 추출시간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재료의 분쇄물의 크기, 용매의 종류, 추출온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더욱이, 추출시에는, 교반을 행하여도 좋고, 교반하지 않고 정치하여도 좋으며, 초음파를 가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식물추출물은, 원재료를 용매 중에 침지하고, 실온 또는 80℃~100℃에서 추출할 수 있다.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한 후,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농축 혹은 건고(乾固)한 것을 활성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 추출처리시에는, 원재료는 세단 또는 분쇄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생물의 원재료 또는 건조한 원재료를 사용하여도 좋고, 또는 배전(焙煎)한 원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배전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80℃~120℃에서 0.5시간~2시간 배전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물(끓는 물 등을 포함), 알코올(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글리콜(예를 들어,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케톤(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에테르(예를 들어,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프로필에테르), 아세토니트릴, 에스테르(예를 들어, 초산에틸, 초산부틸), 지방족탄화수소(예를 들어, 헥산, 헵탄, 유동파라핀), 방향족탄화수소(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할로겐화 탄화수소(예를 들어,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용매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추출조작에 의하여, 원재료로부터 유효성분이 추출되고, 용매에 용해된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용매는,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은데, 수일간 정치하여 숙성시키고서 사용하여도 좋다. 더욱이, 멸균, 세정, 여과, 탈색, 탈취 등의 관용의 정제처리를 가하고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농축 또는 희석하고나서 사용하여도 좋다. 더욱이, 용매를 모두 휘발시켜 고체 형상(건조물)으로 하고나서 사용하여도 좋고, 그 건조물을 임의의 용매에 재용해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D-판토테닐알코올을 피부에 적용하는 다른 실시형태로서, D-판토테닐알코올과 미백화합물을 조합하여 적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미백화합물의 예로는, 4-알킬레조르시놀,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나는 화합물, 하기 일반식(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 우르솔산인산에스테르, 및 이들의 염 등을 바람직하게 예거할 수 있다. 한편,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광학이성체가 존재하는 화합물에 대하여는, L체, D체, 및 라세미체(DL체)의 어느 것이나 본 발명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염은,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금속염, 암모늄염,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유기아민염, 리신, 아르기닌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이들의 염 중,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알칼리 금속이고, 그 중에서도 나트륨염이 특히 바람직하다.
4-알킬레조르시놀에 대하여는, WO2007/148472를 참조해주길 바란다. 4-알킬레조르시놀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탄소수 3~10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이 중에서도 탄소수 3~6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아밀기, n-헥실기, 시클로헥실기, 옥틸기, 이소옥틸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특히 4-n-부틸레조르시놀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일반식 (1) 중, A1, A2, A3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을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는 히드록실, 탄소수 1~4의 알킬, 및 탄소수 1~4의 알킬옥시로부터 선택된다. X는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이다.
상기 일반식 (1) 중, -X-R1은, 하기 일반식 (4)로 나타난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상기 일반식 (4) 중, X1은 질소원자이다. R2 및 R3는 서로 결합하여 X1과 함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8의 탄소환 또는 탄화수소환을 형성한다. 한편, 여기에서 탄소수는 실제 탄소수로 정의된다. 복소환 또는 탄화수소환이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 그 치환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알킬, 탄소수 1~4의 알킬옥시, 히드록실, 아미노, 및 옥소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에서, 상기 복소환은, 방향족 복소환, 비방향족의 불포화 복소환, 포화 복소환의 어느 것이나 포함한다. 복소환은, 바람직하게는 포화복소환이다. 또한, 복소환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이다.
그리고, 탄화수소환은, 방향족 탄화수소환, 비방향족의 불포화 탄화수소환, 시클로알킬의 어느 것이나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일반식 (1) 중의 -X-R1이, 상기 일반식 (4)로 나타나는 화합물에 대하여는, WO2010/074052를 참조하길 바란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하기의 화합물 1~12를 들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6
또한, 상기 일반식 (1) 중, -X-R1은, 하기 일반식 (5)로 나타난다.
[화학식 7]
Figure pat00007
일반식 (5) 중, X2는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이다.
n은 1~5의 정수이다. n은 바람직하게는 1~3의 정수이다.
Y는 히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이다.
Y가 아미노일 때, X2는 바람직하게는 산소원자이다.
일반식 (5) 중, R4는 X2가 질소원자일 때 존재하고, 수소원자를 나타낸다. R4는 X2가 산소원자일 때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일반식 (1) 중의 -X-R1이, 상기 일반식 (5)로 나타나는 화합물에 대하여는 WO2010/074052를 참조하길 바란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이하의 화합물 13~22를 들 수 있다.
[화학식 8]
Figure pat00008
또한, 상기 일반식 (1) 중, -X-R1은, 하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난다.
[화학식 9]
Figure pat00009
일반식 (6) 중, X3은 산소원자 또는 질소원자이다.
일반식 (6) 중, p는 X3에 따른 수로 존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식 (1) 중의 -X-R1이 일반식 (6)으로 나타나는 화합물에 대하여는 WO2010/074052를 참조하길 바란다.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로서, 이하의 화합물 23~29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10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 R'1은, 비치환의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그 치환기는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할로겐화 알킬기이고, 그 방향족기는 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비페닐기이다.
R'2는,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3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아실기를 나타낸다.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일반식 (2)로 나타나는 화합물에 대하여는 WO2011/074643을 참조하길 바란다.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로서 이하의 화합물 30~44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11
상기 일반식 (3)에 있어서, R"1은, -SH, -SO3H, -S-S-X1, -S-X2, -SO-X3, 또는 -SO2-X4를 나타내고, 상기 X1~X4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지방족탄화수소기이다. R"2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5~12의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상기 방향족기는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n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일반식 (3)에 의하여 나타나는 화합물에 대하여는, WO2010/058730을 참조하길 바란다.
바람직한 구체예는 이하의 화합물 45~52이다.
[화학식 12]
Figure pat00012
우르솔산인산에스테르는, 하기 식으로 나타난다. 상세에 대하여는, WO2006/132033을 참조하길 바란다.
[화학식 13]
Figure pat00013
미백효과를 목적으로 하여 상기 4-알킬레조르시놀, 일반식 (1), (2) 혹은 (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염을 피부외용제에 배합하는 경우, 상기 4-알킬레조르시놀, 일반식 (1), (2) 혹은 (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 우르솔산인산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을 1종만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상기 4-알킬레조르시놀, 일반식 (1), (2) 혹은 (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제 전량에 대하여 0.001~1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질량%이다.
미백효과를 목적으로 하여 상기 4-알킬레조르시놀, 일반식 (1), (2) 혹은 (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 우르솔산인산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염을 D-판토테닐알코올과 조합하여 피부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는 식물추출물과 D-판토테닐알코올을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에 준한다.
<실험 3: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는 식물추출물 또는 기존 미백화합물과, D-판토테닐알코올과의 조합에 의한 상승효과의 확인>
D-판토테닐알코올과 상기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는 식물추출물을 조합하는 것에 의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또한 D-판토테닐알코올과 미백화합물의 조합에 의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 1: 멜라닌 생성억제실험> 및 <실험 2: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증식실험>과 마찬가지의 실험을 행하였다. 단, D-판토테닐알코올 0mM 또는 0μM는 마찬가지로 컨트롤로서 사용하였는데, <실험 1>의 D-판토테닐알코올 1mM을, 다음의 시료 (1)~(3)으로 각각 치환하여 실시하였다.
시료 (1): D-판토테닐알코올 1mM
시료 (2): 표 1에 기재된 식물추출물(추출물 1~50)로부터 선택되는 1종 1%, 또는 기존의 미백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0.1μg/mL
시료 (3): 상기 시료 (1) 및 시료 (2)의 각 조합.
또한, <실험 2>의 D-판토테닐알코올 15μM 및 150μM를 상기 시료 (1)~(3)으로 각각 치환하여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표 2 중 멜라닌양(%) 및 세포증식률(%)은, 실험 1 및 실험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어느 것이나 컨트롤에 대한 비율이다.
한편, 여기에서 사용한 기존의 미백화합물은 '4-n-부틸레조르시놀', '우르솔산인산에스테르', 상기 화합물 1, 31 및 45이다.
한편, 본 실험에서는, 화합물 1은 WO2010/07405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1-(트리페닐메틸)이미다졸을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화합물 31은 WO2011/07464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N-벤조일-L-세린을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화합물 45는 WO2010/05873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N-(톨일)메티오닌을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후술하는 <미백속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표 1]
Figure pat00014
[표 2]
Figure pat00015
상기 결과로부터, 식물추출물 1~35, 화합물 1, 31, 45, 4-n-부틸레조르시놀, 또는 우르솔산인산에스테르를 D-판토테닐알코올과 조합하여 적용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억제 및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증식작용의 상승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D-판토테닐알코올과 식물추출물 36~40을 조합하여 적용함으로써,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증식작용의 상승효과가 얻어지고, D-판토테닐알코올과 식물추출물 41~45를 조합하여 적용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억제의 상승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멜라닌 생성억제 및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증식작용에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경우, D-판토테닐알코올의 턴오버 촉진기능, 즉 멜라닌 배출촉진기능을 더욱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였다고 생각되며, 색소침착된 피부의 미백속도가 보다 빨라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D-판토테닐알코올을 배합한 미백화장료는, 화장료의 조제에 있어서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을 함유시킬 수 있다. 또한, 그 제형에 대하여도,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미백화장료에 적용되는 경우, 미백화장료 중에 함유시킬 수 있는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효성분으로서는, D-판토테닐알코올 이외의 미백성분, 주름개선성분, 판토테닐알코올 이외의 항염증성분, 동식물 유래의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D-판토테닐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유효성분이 2종 이상 함유되어 있어도 좋다.
미백성분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4-n-부틸레조르시놀,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3-O-에틸아스코르브산, 트라넥삼산, 알부틴, 1-트리페닐메틸피페리딘, 1-트리페닐메틸피롤리딘, 2-(트리페닐메틸옥시)에탄올, 2-(트리페닐메틸아미노)에탄올, 2-(트리페닐메틸옥시)에틸아민, 트리페닐메틸아민, 트리페닐메탄올, 트리페닐메탄 및 아미노디페닐메탄, N-(p-톨일)시스테인산, N-(p-메톡시벤조일)시스테인산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그 밖의 미백성분으로서, N-벤조일-세린, N-(p-메틸벤조일)세린, N-(p-에틸벤조일)세린, N-(p-메톡시벤조일)세린, N-(p-플루오르벤조일)세린, N-(p-트리플루오르메틸벤조일)세린, N-(2-나프토일)세린, N-(4-페닐벤조일)세린, N-(p-메틸벤조일)세린메틸에스테르, N-(p-메틸벤조일)세린에틸에스테르, N-(2-나프토일)세린메틸에스테르, N-벤조일-O-메틸세린, N-(p-메틸벤조일)-O-메틸세린, N-(p-메틸벤조일)-O-아세틸세린, N-(2-나프토일)-O-메틸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미백성분은, 이미 시판되고 있는 것도 있고, 합성에 의하여 입수할 수도 있다.
미백화장료에 있어서의 미백성분의 함유량은, 통상 0.01~30질량%이고, 0.1~10질량%가 바람직하며,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주름개선성분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비타민A 또는 그 유도체가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인산, 트레티노인, 이소트레티노인, 레티노인산토코페롤, 파르미틴산레티놀, 초산레티놀이나 우르솔산벤질에스테르, 우르솔산인산에스테르, 베츠인산벤질에스테르, 벤질산인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화장료에 있어서의 주름개선성분의 함유량은, 통상 0.01~30질량%이고, 0.1~10질량%가 바람직하며,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동식물 유래의 추출물로서는, 일반적으로 의약품, 화장료, 식품 등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으름 추출물, 나한백 추출물, 아스파라거스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불, 산수국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아로니아 추출물, 살구 추출물, 은행 추출물, 인도키노 추출물, 회향 추출물, 땅두릅 추출물, 로즈푸르트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 연명초 추출물, 황금 추출물, 황벽 추출물, 황련 추출물, 파낙스 인삼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광대수염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피라칸타 추출물, 갈근 추출물, 카모밀레 추출물, 당근 추출물, 사철쑥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위 추출물, 오이 추출물, 구아바 추출물, 고삼 추출물, 치자나무 추출물, 얼룩조릿대 추출물, 너삼 추출물, 호두 추출물, 자몽 추출물, 흑미 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백화유마등줄기 추출물, 월도잎 추출물, 겐티아나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홍차 추출물, 우엉 추출물, 쌀 추출물, 쌀발효 추출물, 쌀겨발효 추출물, 쌀맥아유, 월귤나무 추출물, 샐비어 추출물, 비누풀 추출물, 조릿대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고수 추출물, 산초나무 추출물, 표고 추출물, 지황 추출물, 자근 추출물, 차조기 추출물, 참피나무 추출물, 조팝나무 추출물, 작약 추출물, 생강 추출물, 창포뿌리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스테비아 추출물, 스테비아 발효물, 서양담쟁이덩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서양딱총나무 추출물, 서양톱풀 추출물, 서양박하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아욱 추출물, 천궁이 추출물, 쓴풀 추출물, 뽕나무껍질 추출물, 대황 추출물, 대두 추출물, 대추 추출물, 타임 추출물, 민들레 추출물, 차 추출물, 정향나무 추출물, 진피 추출물, 첨차 추출물, 고추 추출물, 당귀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복숭아씨 추출물, 등피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낫토 추출물, 인삼 추출물, 마늘 추출물, 들장미 추출물, 하이비스커스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연꽃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버치 추출물, 하마멜리스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노송나무 추출물, 비파나무 추출물, 관동 추출물, 머위 추출물, 복령 추출물, 부처브룸 추출물, 포도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수세미외 추출물, 홍화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보리수 추출물, 모란 추출물, 홉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마조라나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물파초 추출물, 무쿠로시 추출물, 멜리사 추출물, 큰실말 추출물, 복숭아 추출물, 수레국화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바위취 추출물, 유자 추출물, 백합 추출물, 율무쌀 추출물, 쑥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녹차 추출물, 사과 추출물, 루이보스차 추출물, 여주 추출물, 양상추 추출물, 레몬 추출물, 개나리 추출물, 연꽃 추출물, 로즈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로마카모밀레 추출물, 로열젤리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등의 추출물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화장료 중에 있어서의 동식물 유래 추출물의 함유량은, 통상적으로 0.01~30질량%이고, 0.1~10질량%가 바람직하며,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항염증성분으로서는, 쿠라리논, 글라브리딘, 글리칠리친산, 글리칠레친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리칠리친산 및 그 염, 글리칠레친산알킬 및 그 염, 및 글리칠레친산 및 그 염이다.
화장료 중에 있어서의 항염증성분의 함유량은, 통상적으로 0.01~30질량%이고, 0.1~10질량%가 바람직하며,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유성성분으로서는, 극성유, 휘발성탄화수소유 등을 들 수 있다.
극성유로서는, 합성에스테르유로서,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파르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부틸,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올레인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유산세틸, 유산미리스틸, 초산라놀린, 스테아린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세틸, 12-히드록시스테아릴산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실산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N-알킬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트리메티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티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실산펜탄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린산트리메티롤프로판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파르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틴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인산오일,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파르미틴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틴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2-헥실데실, 파르미틴산2-헥실데실, 아디프산2-헥실데실, 세바틴산디이소프로필, 호박산2-에틸헥실, 초산에틸, 초산부틸, 초산아밀, 구연산트리에틸,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천연유로서, 아보카도유, 동백유, 터틀유, 마카데미아너츠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씨유, 난황유, 참기름, 퍼식유, 소맥맥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새플라워유, 면실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차실유, 카야유, 쌀겨유, 중국동유, 일본동유, 호호바유, 맥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파르미틴산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탄화수소유로서는,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라우린산나트륨, 파르미틴산나트륨 등), 라우릴황산칼륨, 알킬황산트리에탄올아민에테르 등의 아니온 계면활성제류,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라우릴아민옥사이드 등의 카티온 계면활성제류,
베타인계 계면활성제(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술포베타인 등), 이미다졸린계 양성계면활성제(2-코코일-2-이미다졸리늄히드록시사이드-1-카르복시에티록시2나트륨염 등), 아실메틸타우린 등의 양성계면활성제류,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세스키올레인산소르비탄 등), 글리세린지방산류(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등),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류(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등), 경화피마자유유도체, 글리세린알킬에테르, POE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류(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등), POE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류(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등), POE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류(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등), POE지방산에스테르류(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POE디스테아레이트 등), POE알킬에테르류(POE2-옥틸도데실에테르 등), POE알킬페닐에테르류(POE노닐페닐에테르 등), 플로닉형류, POE·POP알킬에테르류(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등), 테트로닉류, POE피마자유·경화피마자유유도체(POE피마자유, POE경화피마자유 등),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알킬글루콕시드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류 등을 들 수 있다.
다가알코올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소르비톨, 크실리톨, 말티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글리세린, 이소프렌글리콜, 1,2-헵탄디올, 2,4-헥실렌글리콜,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구아검, 퀸스시드,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검, 펩틴, 만난, 전분, 크산탄검, 카도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콘드로이틴황산, 데르마탄황산, 글리코겐, 헤파란황산, 히알론산, 히알론산나트륨, 트라간트검,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무코이틴황산, 히드록시에틸구아검, 카르복시메틸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석시노글루칸, 카로닌산, 키틴, 키토산, 카르복시메틸키틴, 한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알킬변성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에틸렌글리콜, 벤토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분체류로서는, 표면이 처리되어 있어도 좋은 마이카, 탈크, 카오린, 합성운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무수규산(실리카), 산화알루미늄, 황산바륨 등의 분체류, 표면이 처리되어 있어도 좋은 벵갈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코발트, 군청, 감청, 산화티탄, 산화아연의 무기안료류, 표면이 처리되어 있어도 좋은 운모티탄, 어린박(魚燐箔), 옥시염화비스무스 등의 펄제형, 레이크화되어 있어도 좋은 적색202호, 적색228호, 적색226호, 황색4호, 청색404호, 황색5호, 적색505호, 적색230호, 적색223호, 오렌지색201호, 적색213호, 황색204호, 황색203호, 청색1호, 녹색201호, 자색201호, 적색204호 등의 유기색소류, 폴리에틸렌분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나일론분말, 올가노폴리실록산엘라스토머 등의 유기분체류를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안식향산계 자외선흡수제, 안트라닐산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 계피산계 자외선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당계 자외선흡수제,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등의 자외선흡수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미백화장료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되는 미백화장료의 제형에 따라서, 기존에 알려진 방법으로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제조하면 좋다. 미백화장료로서 적용되는 경우의 제형은, 통상 알려져 있는 로션제형, 유액제형, 에센스제형, 크림제형, 분체함유제형의 어느 것이나 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4>
이하의 표 3 내지 6에 나타내는 처방의 미백화장료 1 내지 4를 조제하였다.
[표 3]
Figure pat00016
(조제방법) (A)의 각 성분을 합하여, 실온 하에 용해시켰다. 한편, (B)의 각 성분도 실온 하에 용해시키고, 이것을 (A) 처방분에 더하여 가용화하여, 미백화장료 1을 얻었다.
[표 4]
Figure pat00017
(조제방법) (A)의 각 성분을 합하여, 가열 혼합하고, 70℃로 하였다. (B)의 각 성분을 합하여, 70℃로 가열 혼합하고, 이것에 (A) 처방분을 첨가하여 유화하고, 냉각하면서 (C)를 첨가하여, 미백화장료 2를 얻었다.
[표 5]
Figure pat00018
(조제방법)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미백화장료 3을 얻었다.
[표 6]
Figure pat00019
(조제방법) (A)의 각 성분을 합하여, 80℃로 가열하였다. (B)의 각 성분을 합하여 80℃로 가열하였다. (A)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그것에 (B)의 혼합물을 첨가하고, 교반 유화하여, 그 후 냉각함으로써, 미백화장료 4를 얻었다.
<미백평가>
실시예 1의 처방에 있어서 'D-판토테닐알코올'을 '물'로 치환한 것, 기존에 알려진 미백성분인 '2-히드록시-2'-히드록시-5,5'-디프로필-1,1'-비페닐'을 배합농도 1%가 되도록 치환한 것, 및 '아데노신-인산이나트륨'을 배합농도 2%가 되도록 치환한 것을, 각각 비교화장료 1 내지 3으로 하고,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서, 비교화장료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미백화장료 1, 및 비교화장료 1 내지 3에 대하여, 이하의 순서에 따라서 색소침착 억제작용을 평가하였다.
자유의사로 참가한 패널의 상완내측부에 1.5cm×1.5cm의 부위를 합계 4곳 설치하였다. 설치한 부위에 최소 홍반량(1MED)의 자외선조사를 1일 1회, 3일 연속하여 3회 조사하였다. 시험 1일째의 자외선 조사 종료시(1회째 조사종료 후)로부터 1일 2회 21일 연속하여 미백화장료 1, 비교화장료 1 내지 3을 50μL 도포하였다. 21일째의 도포 종료 24시간 후에 색채색차계(CR-300, 코니카미놀타 주식회사)로 각 시험부위의 피부명도(L*값)를 측정하고, 비교화장료 1(컨트롤)의 도포부위의 L*값과 미백화장료 1 또는 비교화장료 2 혹은 3의 도포부위의 L*값의 차(ΔL*값=미백화장료 1(또는 비교화장료 2 혹은 3) 도포부위의 L*값-비교화장료 1 도포부위 L*값)를 산출하였다. L*값은, 색소침착의 정도가 강할수록 낮은 값이 된다. 따라서, ΔL*값이 클수록 색소침착이 개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산출한 ΔL*값이 0.4 이상을 A, 0.4 미만을 B로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표 7]
Figure pat00020
표 7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백화장료 1은, 비교화장료 2 및 비교화장료 3과 비교하여 강한 색소침착 억제작용을 가지고, 이것은, 본 발명의 미백화장료 1이, 뛰어난 미백효과(색소침착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미백화장료 1에 함유되는 멜라닌 생성억제제(D-판토테닐알코올)에 의한 미백효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멜라닌 생성억제제는,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에 더하여, 케라티노사이트 세포증식작용도 가지는 것으로부터, 기존의 미백제와 비교하여, 보다 높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참고예 1 내지 64(미백화장료 5 내지 68)>
이하의 표 8에 나타내는 처방의 미백화장료 5를 조제하였다. 또한, 그 처방 중 (A)에 표 1에 나타내는 식물추출물을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농도 1.0질량%로 더 포함하는 미백화장료 5 내지 55를 조제하였다. 또한, 그 식물추출물을 '4-n-부틸레조르시놀', '우르솔산인산에스테르', '2-히드록시-2'-히드록시-5,5'-디프로필-1,1'-비페닐', '아데노신-인산이나트륨', 상기 화합물 1, 2, 13, 30, 31, 33, 45, 47 또는 49로 치환한 미백화장료 56 내지 68을 조제하였다. 한편, '4-n-부틸레조르시놀', '우르솔산인산에스테르', 상기 화합물 1, 2, 13, 30, 31, 33, 45, 47 및 49의 농도는,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0.1질량%, '2-히드록시-2'-히드록시-5,5'-디프로필-1,1'-비페닐', '아데노신-인산이나트륨'의 농도는,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1.0질량%로 하였다.
한편, 본 실험에서는, 화합물 2는 WO2010/07405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1-(트리페닐메틸)피페리딘을 합성하여 이용하고, 화합물 13은 같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2-(트리페닐메틸옥시)에탄올을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화합물 30은 WO2011/074643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N-(p-메틸벤조일)-L-세린을 합성하여 사용하고, 화합물 33은 같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N-(p-메톡시벤조일)-L-세린을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화합물 47은 WO2010/05873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N-(톨일)시스테인산을 합성하여 사용하고, 화합물 49는 같은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N-(4-메톡시벤조일)-L-시스테인산을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화합물 1, 31 및 45에 대하여는 상기 <실험 3>과 마찬가지이다.
미백화장료 5 내지 68은 어느 것이나 화장료 1과 마찬가지의 조제법, 즉 (A)의 각 성분을 합하여, 실온 하에 용해시키고, 한편 (B)의 각 성분도 실온 하에 용해시키며, 이것을 (A) 처방분에 첨가하여 가용화하는 것에 의하여 얻었다.
[표 8]
Figure pat00021
<미백속도의 평가>
상기 미백화장료 5 내지 68에 대하여, 이하의 순서에 따라서 미백속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화장료 5의 처방 중 D-판토테닐알코올을 물로 치환한 비교화장료 4를 화장료 5와 마찬가지로 조제하였다.
자유의사로 참가한 패널의 좌우 상완내측부에 1.0cm×1.0cm의 부위를 합계 8곳 설치하였다. 설치한 부위에 최소 홍반량(1MED)의 자외선 조사를 1일 1회, 3일 연속하여 3회 조사하였다. 시험 1일째의 자외선 조사 종료시(1회째 조사 종료 후)로부터, 1일 2회 21일 연속하여 미백화장료 5 내지 68, 및 비교화장료 4를 50μL 도포하였다. 매일 2회째의 도포 종료 24시간 후에 색채색차계(CR-300, 코니카미놀타 주식회사)로 각 시험부위의 피부명도(L*값)를 측정하고, 비교화장료 4의 도포부위의 L*값과, 미백화장료 5 내지 68의 도포부위의 L*값의 차(ΔL*값=미백화장료 5(또는 미백화장료 6 내지 68) 도포부위의 L*값-비교화장료 4 도포부위 L*값)를 산출하였다. L*값은, 색소침착의 정도가 강할수록 낮은 값이 된다. 따라서, ΔL*값이 클수록 색소침착이 개선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산출한 ΔL*값이 0.4가 되는 데에 필요한 일수, 및 21일째 도포 종료 24시간 후에 측정·산출한 ΔL*값을 표 9 내지 19에 나타낸다.
더욱이, 상기 화장료 6 내지 68에 있어서 미백성분 D-판토테닐알코올을 뺀 경우, 즉 미백성분을 상기 각 식물추출물 또는 기존 미백화합물만으로 한 경우의 ΔL*값 및 ΔL*값이 0.4가 되는 데에 필요한 일수를 산출하는 목적으로, 상기 화장료 6 내지 68의 처방 중 D-판토테닐알코올을 물로 치환한 화장료 6' 내지 68'을 각각 화장료 5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이어서, 상기 <미백속도의 평가>와 마찬가지의 수법으로 비교화장료 4를 컨트롤로서 사용하여 ΔL*값이 0.4가 되는 데에 필요한 일수, 및 21일째의 도포 종료 24시간 후에 측정한 L*값 및 ΔL*값을 구하였다. 21일째 도포 종료 24시간 후에 측정·산출한 ΔL*값을 표 9 내지 19에, 'D-판토테닐알코올이 없는 ΔL*값'으로서 나타내었다. 또한, ΔL*값이 0.4가 되는 데에 필요한 일수는 모두 21일을 넘고 있었다.
[표 9]
Figure pat00022
[표 10]
Figure pat00023
[표 11]
Figure pat00024
[표 12]
Figure pat00025
[표 13]
Figure pat00026
[표 14]
Figure pat00027
[표 15]
Figure pat00028
[표 16]
Figure pat00029
[표 17]
Figure pat00030
[표 18]
Figure pat00031
[표 19]
Figure pat00032
표 9 내지 표 19의 결과에 따르면, D-판토테닐알코올과 특정 식물추출물 또는 특정 기존의 미백화합물을 조합하여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미백효과를 보다 빠르게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D-판토테닐알코올이,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멜라닌의 배출을 촉진한다고 하는 2가지 작용기서에 따른 미백작용을 가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Claims (7)

  1.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
  2. 제 1 항에 기재된 멜라닌 생성억제제, 및 이하의 미백제 (A)~(G)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A) 아선약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에키나시아(echinacea)잎 추출물, 자근 추출물, 홍화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오크라 추출물, 키위 추출물, 월도잎 추출물, 비누풀 추출물, 인동덩굴 추출물, 차 추출물, 동아씨 추출물, 마늘 추출물, 라임과즙 추출물, 낫토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쥐오줌풀 추출물, 오이 추출물, 살구씨 추출물, 치자나무 추출물, 자몽 추출물, 우엉 추출물, 홍차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아욱 추출물, 대추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인삼 추출물, 복령 추출물, 백합 추출물, 여주 추출물, 양상추 추출물, 레몬 추출물, 및 로열젤리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는 식물추출물
    (B) 4-알킬레조르시놀
    (C)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
    (D)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나는 화합물
    (E) 하기 일반식 (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
    (F) 우르솔산인산에스테르
    (G) 상기 (B)~(F)의 염
    [화학식 1]
    Figure pat00033

    [식 (1) 중, A1, A2, A3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을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는 히드록실, 탄소수 1~4의 알킬, 및 탄소수 1~4의 알칼옥시로부터 선택된다. X는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이다.
    -X-R1은, 하기 일반식 (4), (5) 또는 (6)으로 나타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34

    [식 (2) 중, R'1은, 비치환의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그 치환기는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콕시기, 할로겐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할로겐화알킬기이며, 그 방향족기는 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비페닐기이다.
    R'2는,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3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아실기를 나타낸다.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pat00035

    [식 (3) 중, R"1은, -SH, -SO3H, -S-S-X1, -S-X2, -SO-X3, 또는 -SO2-X4를 나타내고, 상기 X1~X4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다. R"2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5~12의 방향족기를 나타낸다. n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36

    [식 (4) 중, X1은, 질소원자이다. R2 및 R3은 서로 결합하여, X1과 함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8의 복소환 또는 탄화수소환을 형성한다. 상기 치환기는, 탄소수 1~4의 알킬, 탄소수 1~4의 알킬옥시, 히드록실, 아미노, 및 옥소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복소환의 탄소수는 3~5이다.]
    [화학식 5]
    Figure pat00037

    [식 (5) 중, X2는,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이다. n은, 1~5의 정수이다. Y는, 히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이다. R4는, X2가 질소원자일 때 존재하고, 수소원자를 나타낸다. R4는, X2가 산소원자일 때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화학식 6]
    Figure pat00038

    [식 (6) 중, X3은, 산소원자 또는 질소원자이다. 일반식 (6) 중, p는, X3에 따른 수로 존재한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이, 아선약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에키나시아잎 추출물, 자근 추출물 및 홍화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미백화장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1~29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화학식 7]
    Figure pat00039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2)로 나타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30~44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화학식 8]
    Figure pat00040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45~52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화장료.
    [화학식 9]
    Figure pat00041
  7. 제 1 항에 기재된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피부와 접촉시켜 피부를 미백하는 공정, 및 이하의 미백제 (A)~(G)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피부와 접촉시켜 피부를 미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미백방법.
    (A) 아선약 추출물, 방아풀 추출물, 에키나시아잎 추출물, 자근 추출물, 홍화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오크라 추출물, 키위 추출물, 월도잎 추출물, 비누풀 추출물, 인동덩굴 추출물, 차 추출물, 동아씨 추출물, 마늘 추출물, 라임과즙 추출물, 낫토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쥐오줌풀 추출물, 오이 추출물, 살구씨 추출물, 치자나무 추출물, 자몽 추출물, 우엉 추출물, 홍차 추출물, 쇠뜨기 추출물, 아욱 추출물, 대추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인삼 추출물, 복령 추출물, 백합 추출물, 여주 추출물, 양상추 추출물, 레몬 추출물, 및 로열젤리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멜라닌 생성억제작용을 가지는 식물추출물,
    (B) 4-알킬레조르시놀
    (C)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나는 화합물
    (D)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나는 화합물
    (E) 하기 일반식 (3)으로 나타나는 화합물
    (F) 우르솔산인산에스테르
    (G) 상기 (B)~(F)의 염
    [화학식 10]
    Figure pat00042

    [식 (1) 중, A1, A2, A3은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을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는 히드록실, 탄소수 1~4의 알킬, 및 탄소수 1~4의 알칼옥시로부터 선택된다. X는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이다.
    -X-R1은, 하기 일반식 (4), (5) 또는 (6)으로 나타난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43

    [식 (2) 중, R'1은, 비치환의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그 치환기는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콕시기, 할로겐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할로겐화알킬기이며, 그 방향족기는 페닐기, 나프틸기, 또는 비페닐기이다.
    R'2는,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3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아실기를 나타낸다.
    R'3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직쇄 혹은 분기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2]
    Figure pat00044

    [식 (3) 중, R"1은, -SH, -SO3H, -S-S-X1, -S-X2, -SO-X3, 또는 -SO2-X4를 나타내고, 상기 X1~X4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다. R"2는 비치환 혹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5~12의 방향족기를 나타낸다. n은,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탄소수 1~4의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이다.]
    [화학식 13]
    Figure pat00045

    [식 (4) 중, X1은, 질소원자이다. R2 및 R3은 서로 결합하여, X1과 함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2~8의 복소환 또는 탄화수소환을 형성한다. 상기 치환기는, 탄소수 1~4의 알킬, 탄소수 1~4의 알킬옥시, 히드록실, 아미노, 및 옥소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복소환의 탄소수는 3~5이다.]
    [화학식 14]
    Figure pat00046

    [식 (5) 중, X2는,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이다. n은, 1~5의 정수이다. Y는, 히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이다. R4는, X2가 질소원자일 때 존재하고, 수소원자를 나타낸다. R4는, X2가 산소원자일 때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화학식 15]
    Figure pat00047

    [식 (6) 중, X3은, 산소원자 또는 질소원자이다. 일반식 (6) 중, p는, X3에 따른 수로 존재한다.]
KR1020197001969A 2014-04-03 2015-04-02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 및 그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포함하는 미백화장료 KR102128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6693 2014-04-03
JPJP-P-2014-076693 2014-04-03
PCT/JP2015/060519 WO2015152384A1 (ja) 2014-04-03 2015-04-02 D-パントテニルアルコールからなる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該メラニン産生抑制剤を含む美白化粧料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811A Division KR102096479B1 (ko) 2014-04-03 2015-04-02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 및 그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포함하는 미백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435A true KR20190009435A (ko) 2019-01-28
KR102128312B1 KR102128312B1 (ko) 2020-06-30

Family

ID=542406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969A KR102128312B1 (ko) 2014-04-03 2015-04-02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 및 그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포함하는 미백화장료
KR1020167027811A KR102096479B1 (ko) 2014-04-03 2015-04-02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 및 그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포함하는 미백화장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811A KR102096479B1 (ko) 2014-04-03 2015-04-02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 및 그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포함하는 미백화장료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0568822B2 (ko)
EP (4) EP3708148B1 (ko)
JP (1) JP6743336B2 (ko)
KR (2) KR102128312B1 (ko)
CN (3) CN112402285A (ko)
AU (1) AU2015242763B2 (ko)
BR (1) BR112016022667B1 (ko)
CA (5) CA3123821C (ko)
ES (1) ES2953826T3 (ko)
IL (1) IL248114B (ko)
MX (2) MX2016012907A (ko)
MY (1) MY182348A (ko)
RU (1) RU2667652C2 (ko)
SG (2) SG11201608225PA (ko)
TW (1) TWI736520B (ko)
UA (1) UA115737C2 (ko)
WO (1) WO20151523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9013262A (es) * 2017-05-07 2020-01-13 Locus Ip Co Llc Composiciones cosmeticas para la salud de la piel y metodos de uso de los mismos.
EP3626250B1 (en) * 2017-05-15 2023-08-16 Ezaki Glico Co., Ltd. Skin dullness suppressing agent, and skin barrier function maintaining or improving agent
CN107929125A (zh) * 2017-12-04 2018-04-20 刘晓冰 一种缬草美白面膜
CN107822987A (zh) * 2017-12-04 2018-03-23 刘晓冰 一种缬草美白化妆水
CA3107300A1 (en) 2018-05-25 2019-11-28 Locus Ip Company, Llc Therapeutic compositions for enhanced healing of wounds and scars
CN109568182B (zh) * 2018-12-14 2021-11-05 江西绿海油脂有限公司 一种茶油小儿舒润膏
CN109528589B (zh) * 2018-12-27 2022-03-11 广州市科能化妆品科研有限公司 酪氨酸酶抑制剂和美白修护霜及其制备方法
JP7454355B2 (ja) 2018-12-27 2024-03-22 ロート製薬株式会社 Dkk1産生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dkk1産生促進用美容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dkk1産生促進方法
JP2020180065A (ja) * 2019-04-24 2020-11-0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メラノサイト活性化因子の産生抑制剤
CN111387505B (zh) * 2020-04-21 2023-04-07 中国农业科学院都市农业研究所 一种对黑色素合成抑制的生菜提取物及生菜配套栽培方法
KR102247589B1 (ko) * 2020-10-22 2021-05-03 한국콜마주식회사 모루셀라 추출물 및 께묵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398025B (zh) * 2021-06-24 2022-09-13 珠海市雅莎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去黑头、收缩毛孔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576983A (zh) * 2021-09-06 2021-11-02 广东美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火龙果根提取物的抗衰祛斑精华液的制备工艺
CN115006309B (zh) * 2022-06-30 2023-09-22 山东福瑞达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改善微循环美白组合物、改善微循环美白精华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40010399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라겐 파편 재흡수 증진용 조성물
CN115671001B (zh) * 2022-11-25 2024-03-12 广州远想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美白亮肤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17653582B (zh) * 2024-02-01 2024-04-09 云南群优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青蒿提取物的祛痘洗发组合物、制备与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1302A (ja) 2010-08-20 2012-03-01 Kracie Home Products Ltd 皮膚化粧料
JP2012167042A (ja) 2011-02-14 2012-09-06 Milbon Co Ltd 毛髪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5461A (ja) 2000-05-30 2001-12-04 Ina Boeki Shokai:Kk 皮膚外用剤
DE10054479A1 (de) * 2000-11-03 2002-05-08 Henkel Kgaa Kosmetische Pflaster zur Hautaufhellung
JP2002205913A (ja) * 2001-01-10 2002-07-23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KR100427556B1 (ko) * 2001-03-16 2004-04-27 주식회사 웰스킨 루시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707297B2 (ja) * 2001-03-23 2011-06-22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外皮用組成物
JP2007308516A (ja) 2001-03-23 2007-11-29 Rohto Pharmaceut Co Ltd 外皮用組成物
JP2003081746A (ja) * 2001-09-12 2003-03-19 Pola Chem Ind Inc メラノサイトのデンドライトの伸長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3759714B2 (ja) * 2001-12-27 2006-03-29 株式会社資生堂 幹細胞因子の産生・放出の抑制による掻痒、肌荒れ、敏感肌及び美白用薬剤
JP2003246722A (ja) * 2002-02-25 2003-09-02 Kanebo Ltd 美白化粧料
JP2004107262A (ja) 2002-09-19 2004-04-08 Nikko Chemical Co Ltd 美白化粧料
ITMI20041567A1 (it) * 2004-07-30 2004-10-30 Maycos Italiana Di Comini Miro "derivati n-acilati di acidi bicarbossilici con amminoacidi e con idrolizzati proteici vegetali e loro applicazione in prodotti cosmetici, dermofarmaceutici e farmaceutici"
JP4417857B2 (ja) 2005-01-17 2010-02-17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ES2469566T3 (es) * 2005-06-10 2014-06-18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Nuevo derivado de ácido triterp�nico y preparación para aplicación externa para la piel que lo comprende
CN1891191A (zh) * 2005-07-04 2007-01-10 唐小菊 增白霜及其制备方法
JP2007176810A (ja) * 2005-12-27 2007-07-12 Kanebo Seiyaku Kk 美白用皮膚外用組成物
CN101528189B (zh) * 2006-06-19 2012-09-05 可东丽股份有限公司 具有优异稳定性的皮肤外用制剂
KR100751883B1 (ko) 2006-09-07 2007-08-23 주식회사 웰스킨 감마리노렌산-4-n-부틸레조시놀 수용성 나노리포좀을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N101467954A (zh) * 2007-12-26 2009-07-01 北京蓝邦生物医学工程科技有限公司 美白嫩肤系列品
JP5303994B2 (ja) * 2008-03-31 2013-10-02 東亞合成株式会社 エッチング方法、及び、導電性高分子を有する基板
RU2503443C2 (ru) 2008-11-19 2014-01-10 Пола Кемикал Индастриз Инк. Средства против морщин
AU2009331298B2 (en) * 2008-12-22 2015-04-30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Melanin production inhibitor
KR101081059B1 (ko) *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4292A (ko) * 2009-12-07 2011-06-15 (주)더페이스샵 루시놀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MX341841B (es) * 2009-12-16 2016-09-05 Pola Chem Ind Inc Agente de prevencion o mejoramiento para la pigmentacion.
CA2786649C (en) * 2010-01-12 2017-09-05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Prophylactic or ameliorating agent for pigmentation
CN101851171B (zh) 2010-05-06 2012-09-19 北京京卫信康医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d-泛醇的制备方法
JP5669436B2 (ja) * 2010-05-18 2015-02-1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組成物
JP5820572B2 (ja) * 2010-06-21 2015-11-24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組成物
WO2012014086A2 (en) * 2010-07-28 2012-02-02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ave detection
JP6246993B2 (ja) * 2011-11-14 2017-12-1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5926931B2 (ja) * 2011-11-14 2016-05-2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剤
CN102525852B (zh) * 2011-12-23 2013-06-05 广州市娇兰化妆品有限公司 具有防晒作用的天然植物提取物及制备方法与应用
KR101557064B1 (ko) * 2012-03-07 2015-10-08 대한민국 미백 활성이 있는 신토흑미 추출물
JP5963546B2 (ja) * 2012-06-04 2016-08-0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JP2013249287A (ja) * 2012-06-04 2013-12-12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皮膚外用組成物
CN102860975A (zh) * 2012-08-31 2013-01-09 马应龙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眼部美白保湿护肤品及其制备方法
US20140086859A1 (en) 2012-09-24 2014-03-27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Low oil compositions comprising a 4-substituted resorcinol and a high carbon chain ester
CN102988190B (zh) * 2012-12-28 2014-09-17 广州市白云区新东方日用化工品厂 美白组合物及其应用
US9849077B2 (en) * 2014-03-10 2017-12-26 Mary Kay Inc.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CH710622B1 (it) 2015-01-13 2020-05-15 Schwabe Pharma Italia Srl Formulazione farmaceutica topica contenente un estere butirrico dell'acido ialuronico per il trattamento dei sintomi associati alla dentizione decidu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1302A (ja) 2010-08-20 2012-03-01 Kracie Home Products Ltd 皮膚化粧料
JP2012167042A (ja) 2011-02-14 2012-09-06 Milbon Co Ltd 毛髪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23821C (en) 2024-01-30
RU2016143096A3 (ko) 2018-05-10
RU2016143096A (ru) 2018-05-10
SG11201608225PA (en) 2016-11-29
US10568822B2 (en) 2020-02-25
SG10201808646UA (en) 2018-11-29
TWI736520B (zh) 2021-08-21
CN106132390A (zh) 2016-11-16
EP3536306A2 (en) 2019-09-11
TW201620493A (zh) 2016-06-16
EP3536306A3 (en) 2019-12-18
RU2667652C2 (ru) 2018-09-21
BR112016022667B1 (pt) 2020-09-29
CN112402285A (zh) 2021-02-26
IL248114A0 (en) 2016-11-30
US20170119638A1 (en) 2017-05-04
CA3064416C (en) 2022-05-03
EP3708148B1 (en) 2023-07-19
CA3064416A1 (en) 2015-10-08
MY182348A (en) 2021-01-20
BR112016022667A2 (pt) 2017-08-15
AU2015242763A1 (en) 2016-10-20
EP3127533A4 (en) 2018-03-14
MX2019012096A (es) 2019-11-21
EP3708148A1 (en) 2020-09-16
AU2015242763B2 (en) 2017-08-03
KR102128312B1 (ko) 2020-06-30
EP3127533A1 (en) 2017-02-08
CA3007176C (en) 2020-03-31
CA3123821A1 (en) 2015-10-08
CA3007176A1 (en) 2015-10-08
MX2016012907A (es) 2017-01-11
IL248114B (en) 2022-07-01
JP6743336B2 (ja) 2020-08-19
CA3185776A1 (en) 2015-10-08
KR20160127823A (ko) 2016-11-04
ES2953826T3 (es) 2023-11-16
CA2944553C (en) 2020-05-12
WO2015152384A1 (ja) 2015-10-08
KR102096479B1 (ko) 2020-04-02
JPWO2015152384A1 (ja) 2017-04-13
CN112402279A (zh) 2021-02-26
CA2944553A1 (en) 2015-10-08
UA115737C2 (uk) 2017-12-11
EP4234042A1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9435A (ko) D-판토테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멜라닌 생성억제제, 및 그 멜라닌 생성억제제를 포함하는 미백화장료
JP5758174B2 (ja) 抗酸化剤、及び抗酸化化粧料
JP6246578B2 (ja) 皮膚化粧料
JP6321401B2 (ja) 化粧料
JP2015157773A (ja) 化粧料
JP2015157771A (ja) 化粧料
JP6706017B2 (ja) 幹細胞機能維持剤
KR20170052811A (ko) 녹차추출물의 효모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JP5758175B2 (ja) 抗酸化剤、及び抗酸化化粧料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21024805A (ja) 皮膚外用剤
JP4891274B2 (ja) ビアリール化合物および化粧料
JP2013184942A (ja) 抗酸化剤及びdna損傷抑制剤
JP2015151390A (ja) 保湿剤、抗炎症剤、抗酸化剤、皮膚のターンオーバー改善剤、細胞活性化剤及び美白剤
JP4203325B2 (ja) 皮膚外用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JP2010150173A (ja) 美白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美白用皮膚外用剤
KR20190037436A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203933A1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JP6559948B2 (ja) 皮膚ターンオーバー改善剤
JP6375087B2 (ja) 化粧料
JP7244004B2 (ja) 皮膚外用剤
JP2008247841A (ja) 美白剤および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20160122379A (ko) 동치미 원료를 이용한 복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583052B1 (ko) 적하수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9563A (ko)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