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802A - 충전 공용 인버터 - Google Patents
충전 공용 인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18802A KR20180018802A KR1020187001624A KR20187001624A KR20180018802A KR 20180018802 A KR20180018802 A KR 20180018802A KR 1020187001624 A KR1020187001624 A KR 1020187001624A KR 20187001624 A KR20187001624 A KR 20187001624A KR 20180018802 A KR20180018802 A KR 201800188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ode
- switching element
- phase
- switching
- ar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95—Hybrid converter topologies, e.g. NPC mixed with flying capacitor, thyristor converter mixed with MMC or charge pump mixed with buck
-
- B60L11/1803—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AC-mo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 Y02T10/72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배터리(70)의 정극이 접속되는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 31, 41)와, 배터리(70)의 부극이 접속되는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 32, 42)가 접속되는 아암 회로와, 배터리(70)의 정극에 일단부를 접속하는 제1 콘덴서(10)와, 제1 콘덴서(10)의 타단부와 배터리(70)의 부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콘덴서(11)와, 상부 아암과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캐소드 전극을 접속하는 제1 다이오드(12)와, 제1 콘덴서(10)의 타단부에 캐소드 전극을 접속하는 제2 다이오드(13)를 구비하고, 제1 다이오드(12)의 애노드 전극과 제2 다이오드(13)의 애노드 전극에 외부 전원(80)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전 수단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충전 공용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카의 전동 차량은, 인버터를 구비하고, 인버터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있었다. 이 인버터에는, 모터의 구동 제어와 배터리의 충전 제어를 행하는(공용하는) 것이 있다.
이 충전 공용 인버터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급전을 받고, 인버터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외부 전원의 전압을 승압하여 전동 차량의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고 있다. 종래, 충전 공용 인버터와 외부 전원의 사이는, 코일을 포함하는 리액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특허문헌 1).
충전 공용 인버터의 급전점을 전기적으로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충전 공용 인버터와 외부 전원을, 리액턴스를 통해 접속할 필요가 있다. 그 리액턴스는, 종래의 충전 공용 인버터를 대형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의 목적은, 대형 리액턴스를 불필요하게 하여 소형화가 가능한 충전 공용 인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충전 공용 인버터는, 아암 회로, 제1 콘덴서, 제2 콘덴서,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한다. 아암 회로는, 배터리에 접속되는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를 갖는다. 제1 콘덴서의 일단부는, 배터리의 정극에 접속한다. 제2 콘덴서는, 제1 콘덴서의 타단부와 배터리의 부극 사이에 접속한다. 제1 다이오드는, 상부 아암과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캐소드 전극을 접속한다.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은, 제1 콘덴서의 타단부에 접속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충전 공용 인버터는,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과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충전 공용 인버터(1)의 스위칭 제어부(5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스위칭 제어부(50)가 행하는 스위칭 제어의 타임차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1 다이오드(12)와 제1 스위칭 소자(20)의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1 다이오드(12)와 제1 스위칭 소자(20)를 온으로 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4)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충전 공용 인버터(4)의 스위칭 제어부(54)가 행하는 스위칭 제어의 타임차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충전 공용 인버터(4)를 변형한 충전 공용 인버터(5)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5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6)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2의 (a)는 충전 공용 인버터(6)의 스위칭 제어부(56)가 행하는 스위칭 제어를 장시간의 타임차트의 예로 나타내고, 도 12의 (b)는 단시간의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제6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7)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7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8)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충전 공용 인버터(1)의 스위칭 제어부(5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스위칭 제어부(50)가 행하는 스위칭 제어의 타임차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1 다이오드(12)와 제1 스위칭 소자(20)의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1 다이오드(12)와 제1 스위칭 소자(20)를 온으로 하는 타이밍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4)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충전 공용 인버터(4)의 스위칭 제어부(54)가 행하는 스위칭 제어의 타임차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충전 공용 인버터(4)를 변형한 충전 공용 인버터(5)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5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6)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2의 (a)는 충전 공용 인버터(6)의 스위칭 제어부(56)가 행하는 스위칭 제어를 장시간의 타임차트의 예로 나타내고, 도 12의 (b)는 단시간의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제6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7)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7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8)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제1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충전 공용 인버터(1)는, 예를 들어 삼상 영구 자석형 동기 전동기(이후, 모터)(60)에 공급하는 모터 전류에 의해, 모터(60)가 발생하는 구동 토크를 제어함과 함께, 외부 전원(80)의 전력을 배터리(70)에 충전하는 제어를 행한다.
충전 공용 인버터(1)는, 제1 콘덴서(10), 제2 콘덴서(11), 제1 다이오드(12), 제2 다이오드(13),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 31, 41) 및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 32, 42)를 구비한다. 이 예는, 상부 아암과 하부 아암이 접속되는 아암 회로(U상, V상, W상)를 복수 구비한다.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 31, 41)에는, 배터리(70)의 정극이 각각 접속된다.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 32, 42)에는, 배터리(70)의 부극이 각각 접속된다.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와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가 접속되어 U상 아암 회로를 구성한다.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1)와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2)가 접속되어 V상 아암 회로를 구성한다.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1)와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가 접속되어 W상 아암 회로를 구성한다.
제1 콘덴서(10)의 일단부는, 배터리(70)의 정극에 접속한다. 제2 콘덴서(11)는, 제1 콘덴서(10)의 타단부와 배터리(70)의 부극 사이를 접속한다.
제1 다이오드(12)의 캐소드 전극은,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와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의 접속점에 접속한다. 제2 다이오드(13)의 캐소드 전극은, 제1 콘덴서(10)의 타단부에 접속한다. 제1 다이오드(12)의 애노드 전극과 제2 다이오드(13)의 애노드 전극이 접속된 급전점 A에, 외부 전원(80)의 정류 브리지(81)가 접속한다.
정류 브리지(81)는, 외부 전원(80)의 교류를 정류하는 일반적인 것이다. 외부 전원(80)은, 삼상 교류 전원이어도 되고, 단상 교류 전원이어도 된다.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 31, 41)와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 32, 42)는, 각각이 예를 들어 NMOSFET로 구성된다. 각각의 스위칭 소자(21, 31, 41, 22, 32, 42)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나 GTO(Gate Turn Off thyristor)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각각의 스위칭 소자(21, 22, 31, 32, 41, 42)에는, 다이오드(D1, D2, D3, D4, D5, D6)가 각각 역병렬의 방향으로 접속한다.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의 게이트 전극에는, 스위칭 제어부(50)가 출력하는 신호 PU가 입력된다. 동일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의 게이트 전극에는, 스위칭 제어부(50)가 출력하는 신호 NU가 입력된다.
V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1)의 게이트 전극에는, 스위칭 제어부(50)가 출력하는 신호 PV가 입력된다. 동일 V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2)의 게이트 전극에는, 스위칭 제어부(50)가 출력하는 신호 NV가 입력된다.
W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1)의 게이트 전극에는, 스위칭 제어부(50)가 출력하는 신호 PW가 입력된다. 동일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의 게이트 전극에는, 스위칭 제어부(50)가 출력하는 신호 NW가 입력된다.
U상 아암 회로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21)와 스위칭 소자(22)의 접속점은, 모터(60)의 U상의 모터 코일(60u)에 접속한다. V상 아암 회로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31)와 스위칭 소자(32)의 접속점은, 모터(60)의 V상의 모터 코일(60v)에 접속한다. W상 아암 회로를 구성하는 스위칭 소자(41)와 스위칭 소자(42)의 접속점은, 모터(60)의 W상의 모터 코일(60w)에 접속한다.
스위칭 제어부(50)는, 예를 들어 전동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시되지 않은 차량 컨트롤러로부터의 동작 전환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논리를 전환한다. 스위칭 제어부(50)의 제어 논리는, 배터리(70)에 축적된 직류 전력으로 모터(60)를 구동하는 부하 제어 논리와, 외부 전원(8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터리(70)에 충전하는 충전 제어 논리의 두가지가 있다.
스위칭 제어부(50)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스위칭 제어부(50)를,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로 실현한 경우의 논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마이크로컴퓨터의 연산 처리 장치로 구성되는 스위칭 제어부(50)는, 부하 제어 논리부(51), 충전 제어 논리부(52), 및 논리 전환부(53)를 구비한다.
부하 제어 논리부(51)는, 모터(60)의 각 상에 흐르는 부하 전류를 관측하고, 도시가 생략된 차량 컨트롤러로부터의 전류 명령에 대응하는 부하 전류가 흐르도록, 각 상의 구동 전압을 제어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생성한다. PWM 신호란, 상기의 신호 PU, NU, 신호 PV, NV, 및 신호 PW, NW를 가리킨다.
또한, 충전 제어 논리부(52)는, 외부 전원(80)의 교류를 정류하는 정류 브리지(81)의 출력 전압에 대응시켜,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배터리(70)에 충전하는 PWM 신호를 생성한다. 충전은, 모터(60)의 각 모터 코일(60u, 60v, 60w)을 사용하여 정류 브리지(81)의 출력 전압을 승압하여 행한다.
논리 전환부(53)는, 동작 전환 신호가 모터(60)의 구동 상태인 경우에, 부하 제어 논리부(51)가 생성되는 PWM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부하 제어 논리부(51)가 생성되는 PWM 신호는, 종래의 인버터가 모터를 구동할 때의 PWM 신호와 동일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충전 제어 논리부(52)가 출력하는 PWM 신호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상부로부터, 충전 제어 논리부(52)(스위칭 제어부(50))가 출력하는 PWM 신호의 신호 NW, 동일하게 PWM 신호인 신호 PU, 제1 다이오드(12)의 캐소드 전극이 접속된 U상 전압, 제1 다이오드(12)의 동작 상태 및 충전 제어 논리의 충전 모드를 나타낸다. 도 3의 가로 방향은 시간이다. 세로 방향의 진폭은, 높은 구간(High: 「1」)이 각 스위칭 소자를 온하는 구간을 나타내며, 낮은 구간(Low: 「0」)이 각 스위칭 소자를 오프하는 구간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의 Vdc/n과 Vdc는 전압값을 나타낸다. Vdc는 배터리(70)의 정극의 전압이다.
신호 NW가 「1」인 구간 t1은,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도 1)만이 온이며, 다른 스위칭 소자는 모두 오프이다. 이 구간 t1의 U상 전압은 Vdc/n이 된다. Vdc/n은, 이 예에서는 Vdc를, 제1 콘덴서(10)와 제2 콘덴서(11)로 분압한 전압이다. 제1 콘덴서(10)와 제2 콘덴서(11)의 용량이 동일하면 그의 전압은 Vdc/2이다.
구간 t1에 있어서, U상 전압이 Vdc/2가 되는 이유를 설명한다. 정류 브리지(81)의 출력은, 정류 다이오드(82)를 통해 급전점 A인 제1 다이오드(12)와 제2 다이오드(13)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정류 브리지(81)의 출력 전압이 Vdc/2보다도 높은 경우는, 정류 다이오드(82)와 제2 다이오드(13)와 제2 콘덴서(11)에 전류가 흐른다. 그 결과, 제2 다이오드(13)의 전압 클램프 작용에 의해, 제2 다이오드(13)의 애노드 전극의 전압은 Vdc/2에 클램프(clamp)된다.
또한, 이 경우(구간 t1에 있어서 정류 브리지(81)의 출력 전압이 Vdc/2보다도 높은 경우)는, 정류 다이오드(82), 제1 다이오드(12), 모터 코일(60u), 모터 코일(60w), 및 스위칭 소자(42)를 경유하여 전류가 흐른다. 이 경우의 제1 다이오드(12)의 동작 상태는, 외부 전원(80)으로부터 모터(60)에 전류가 흐르는 통류 상태이다. 따라서 구간 t1에 있어서의 충전 제어 논리의 충전 모드는, 「통류 모드」라고 칭한다. 이 「통류 모드」의 전류에 의한 자기 에너지는, 모터 코일(60u, 60w)에 축적된다.
또한, 정류 브리지(81)의 출력 전압이 Vdc/2보다도 낮은 경우는, 정류 다이오드(82)와 제2 다이오드(13)는 역 바이어스가 된다. 따라서, 정류 다이오드(82)는 역류 방지 다이오드로서 작용한다. 그 결과, 정류 브리지(81)의 출력과 제2 콘덴서(11)는 절연되어, 제2 다이오드(13)의 애노드 전극의 전압은, 제2 다이오드(13)에서 클램프된 Vdc/2로 유지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1)에 의하면, 정류 브리지(81)의 출력 전압이 변화해도 제2 다이오드(13)의 애노드 전극의 전압을, Vdc/2로 안정화할 수 있다. 제2 다이오드(13)의 애노드 전극의 전압은, 실제로는 Vdc/2+VF(제2 다이오드(13)의 순전압)이다. 따라서, U상 전압은, 제1 다이오드(12)의 순전압 VF분 강하된 Vdc/2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1)는, 외부 전원(80)의 전력이 공급되는 급전점 A의 전위를, 대형 리액턴스를 사용하지 않고 안정화할 수 있다.
구간 t2에 있어서, 신호 NW가 「1」내지 「0」으로 변화되면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는 오프로 된다. 스위칭 소자(42)가 오프로 되면, 구간 t1에서, 정류 다이오드(82), 제1 다이오드(12), 모터 코일(60u), 모터 코일(60w), 및 스위칭 소자(42)를 경유하여 흐르던 전류는, 스위칭 소자(42)로 차단된다.
이 때, 구간 t1에 있어서 모터 코일(60u, 60w)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는, 자기 유도 작용에 의한 자기 유도 기전력으로서 회수할 수 있다. 모터 코일(60u, 60w)에 축적된 자기 에너지는, 구간 t2가 된 순간에, 그의 에너지에 상당하는 승압 전압 파형(자기 유도 기전력)을, U상 전압에 발생시킨다.
U상에 생긴 승압 전압 파형(자기 유도 기전력)은, 다이오드 D1을 통해 배터리(70)를 충전한다. 이 승압 전압 파형에 대해 제1 다이오드(12)는, 역류 방지 다이오드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그 승압 전압 파형에 의해 흐르는 충전 전류는, 다이오드 D1을 통해 배터리(70)에만 흐른다.
구간 t2에서의 제1 다이오드(12)의 동작 상태는, 승압 전압 파형에 대해 역류 방지 다이오드로서 작용하므로, 저지 상태이다. 또한, 구간 t2에서의 충전 제어 논리의 충전 모드는, 승압 전압 파형이 생기므로 「승압 모드」라고 칭한다. 또한, 구간 t2의 시간 폭은, 구간 t1의 시간 폭에 대해 짧은 시간 폭이면 된다.
다음에, 신호 NW가 「0」이고 신호 PU가 「1」이 되는 구간 t3은,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가 온한다.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가 온하면, 승압 전압 파형은 스위칭 소자(21)를 통해 배터리(70)를 충전한다. 또한, 스위칭 소자(21)가 온하면, U상 전압은 배터리(70)의 정극 전압인 Vdc가 된다.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를 온으로 함으로써, U상 전압을 Vdc로 리셋한다. 즉, 구간 t3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21)를 온으로 함으로써, U상 전압이 승압 전압 파형으로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구간 t3에 있어서의 신호 PU는, 리셋 펄스라고 칭해도 된다.
이와 같이 충전 공용 인버터(1)에 의하면,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를 온으로 한 후에,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를 온으로 할 때까지의 위상차를 제어함으로써 승압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W상 하부 아암을 온으로 하고 나서, U상 상부 아암을 온으로 할 때까지의 위상차로 하고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간 t2의 시간 폭이 짧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 위상차를 크게 함으로써 승압 전압 파형(자기 유도 기전력)을 크게 할 수 있다.
구간 t3에 있어서의 제1 다이오드(12)의 동작 상태는, 스위칭 소자(21)가 온하여 U상 전압을 Vdc로 리셋하므로 역류 방지 다이오드로서 작용하는 저지 상태이다. 또한, 구간 t3에 있어서의 충전 제어 논리의 충전 모드는, 구간 t2에서 생긴 승압 전압 파형(자기 유도 기전력)을 배터리(70)에 환류하므로, 「환류 모드」라고 칭한다.
충전 제어 논리부(52)는, 상기의 구간 t1 내지 t3을 반복하는 PWM 신호를 생성한다. 구간 t4는 구간 t1과 동일하다. 구간 t5는 구간 t2와 동일하다. 구간 t6은 구간 t3과 동일하다. 충전 제어 논리부(52)는, t7 이후도 구간 t1 내지 t3을 반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1)에 의하면, 대형 리액턴스를 사용하지 않고 급전점 A의 전위를 안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공용 인버터(1)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와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를 소정 주기로 온 오프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V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2)와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를 온 오프해도 된다.
또한, 제1 다이오드(12)의 캐소드 전극은, V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1)와 V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2)의 접속점에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는, V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1)와, 예를 들어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를 온 오프한다.
또한, 제1 다이오드(12)의 캐소드 전극은, W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1)와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의 접속점에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는, W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1)와, 예를 들어 V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2)를 온 오프한다. 이와 같이, 온 오프하는 상부 아암과 하부 아암이 상이하면 된다.
요컨대, 충전 공용 인버터(1)는, 제1 다이오드(12)가 접속되지 않은 상의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와, 제1 다이오드(12)가 접속된 상의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를 온으로 하는 위상차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70)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공용 인버터(1)는, 대형 리액턴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급전점 A의 전위가 안정되므로, 대형 리액턴스가 불필요해지고, 충전 공용 인버터(1)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급전점 A의 전위가 안정되므로, 충전 공용 인버터(1)는, 배터리(70)의 신뢰성이나 수명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도 4에, 제2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2)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2)는, 제1 다이오드(12)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20)를 구비하는 점에서 충전 공용 인버터(1)(도 1)와 상이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 스위칭 소자(2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5의 횡축은 전압 V, 종축은 전류 I이다. 굵은 실선으로 제1 다이오드(12)의 V-I 특성을 나타낸다. 가는 실선으로 제1 스위칭 소자(20)의 V-I 특성을 나타낸다.
제1 다이오드(12)에, 전류I1을 흐르게 하는 데 요하는 전압은 V2이다. 제1 스위칭 소자(20)에 동일한 전류I1을 흐르게 하는 데 요하는 전압은 V1이다. 제1 다이오드(12)는, 0.7V 정도의 순전압 VF를 가지므로, 반드시 V2>V1의 관계가 된다.
이 전압차에 의한 전력(I1×(V2-V1))은, 손실이 된다. 이 손실을 없애기 위해서는, 제1 다이오드(12)가 역류 방지 다이오드로서 작용하지 않는 구간 t1(통류 모드)에 있어서, 제1 스위칭 소자(20)를 도통(온)시키면 된다.
충전 제어 논리의 충전 모드가 「통류 모드」일 때에, 제1 스위칭 소자(20)를 온으로 한다. 제1 스위칭 소자(20)를 온으로 함으로써, 제1 다이오드(12)의 순전압 VF분의 전압 강하를 충전 전류의 경로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충전 공용 인버터(2)는, 그 배제한 전압 강하만큼,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와, 제1 스위칭 소자(20)를 온시키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도 6의 가로 방향은 시간, 세로 방향은 신호의 진폭이다. 진폭 「1」에서,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와 제1 스위칭 소자(20)를 온으로 한다.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와 제1 스위칭 소자(20)를 동시에 온시키기 위해서는, 제1 스위칭 소자(20)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하는 신호를 신호 NW와 동일하게 한다. 신호 NW의 진폭이 「0」(구간 t2)이 되면, U상 전압에 승압 전압 파형(자기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고, 배터리(70)를 충전한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20)의 온 시간을,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의 온 시간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자기 유도 기전력의 발생을 안정화할 수 있다. 자기 유도 기전력은, 스위칭 소자(42)를 오프로 한 순간의 전류 변화량이 클수록 커진다.
신호 NW와, 제1 스위칭 소자(2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신호를 동일 신호로 하면, 미묘한 신호의 지연에 의해 전류의 변화량이 작아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칭 소자(20)가 빨리 오프해버리면,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에 흐르는 전류는, 제1 다이오드(12)의 순전압 VF분, 감소되어 버린다. 그 결과, 스위칭 소자(42)를 오프한 순간의 전류 변화량도 감소되므로 자기 유도 기전력도 감소한다.
자기 유도 기전력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위칭 소자(42)가 오프할 때에, 제1 스위칭 소자(20)를 확실하게 도통(온)시켜 두면 된다. 도 6에, 자기 유도 기전력의 발생을 안정화하는 신호를, 안정화 신호로서 나타낸다. 안정화 신호는, 제1 스위칭 소자(20)의 온 시간을,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의 온 시간보다도 α 시간 길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스위칭 소자(20)를 오프로 하는 타이밍을,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를 오프로 하는 타이밍보다도 지연시킴으로써, 안정된 승압 전압 파형(자기 유도 기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를 온 오프하는 경우, 또한, V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2)를 온 오프하는 경우도, 그들의 스위칭 소자의 온 시간보다도 제1 스위칭 소자(20)의 온 시간을 길게 하면,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1 스위칭 소자(20)에는 각종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GBT나 MOSFET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점을 갖는 릴레이를 사용해도 된다. 제1 스위칭 소자(20)를, NMOSFET로 구성한 경우는, 제1 다이오드(12)를 삭감할 수 있다. 그것에 대해서는 다음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
도 7에, 제3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3)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3)는, 제1 다이오드(12)와 제1 스위칭 소자(20)를, 하나의 디바이스(30)로 구성한 점에서 충전 공용 인버터(2)(도 4)와 상이하다.
디바이스(30)는, NMOSFET이다. 디바이스(30)는, NMOSFET(30a)와, 제1 기생 다이오드(30b)를 구비한다. 제1 기생 다이오드(30b)는, NMOSFET의 반도체 구조에 의해 필연적으로 구비하게 되는 다이오드이다. 제1 기생 다이오드(30b)는, 제1 다이오드(12)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제1 기생 다이오드(30b)의 애노드 전극은, NMOSFET(30a)의 소스 전극과 동일 전위로 바이어스 되는 반도체 기판(p형)이다. 또한, 그의 캐소드 전극은, n형 반도체의 드레인 전극이다.
충전 공용 인버터(3)는, 개별 부품(discrete part)인 제1 다이오드(12)(도 4)를 삭감할 수 있으므로, 충전 공용 인버터(2)를 소형화, 저비용화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충전 공용 인버터(3)는, 충전 공용 인버터(2)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NMOSFET(30a)를, 충전 공용 인버터(2)에서 설명한 제1 스위칭 소자(20)와 마찬가지로 온으로 함으로써, 제1 기생 다이오드(30b)의 빌트 인 전압을 충전 전류의 경로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빌트 인 전압이란, pn 접합의 공핍층 영역 내의 전계에 의해 발생하는 전위차이며, 상기의 순전압 VF와 등가인 전압이다.
(제4 실시 형태)
도 8에, 제4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4)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4)는, 외부 전원(80)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급전점을 복수 구비하는 점과, 스위칭 제어부(54)를 구비하는 점에서, 충전 공용 인버터(1)(도 1)와 상이하다.
충전 공용 인버터(4)는, 제3 다이오드(33)와 제4 다이오드(34)를 구비한다. 제3 다이오드(33)는, 제1 다이오드(12)가 접속되는 접속점과 다른 아암 회로(상)의 접속점에 캐소드 전극을 접속한다. 이 예에서는, V상 아암 회로의 접속점에, 제3 다이오드(33)의 캐소드 전극을 접속한다.
제4 다이오드(34)는, 제1 콘덴서(10)와 제3 다이오드(33) 사이에 접속된다. 제4 다이오드(34)의 애노드 전극은, 제3 다이오드(33)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되고, 외부 전원(80)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급전점 B를 구성한다. 제4 다이오드(34)의 캐소드 전극은, 제1 콘덴서(10)의 타단부 Vdc/2의 전압에 접속된다.
급전점 B에는, 급전점 A와 같은 외부 전원(80)의 정류 브리지(81)의 출력 신호가, 정류 다이오드(82)를 통해 접속된다. 따라서 급전점 A와 마찬가지로, 급전점 B의 전압을, 대형 리액턴스를 사용하지 않고 안정화할 수 있다.
급전점 A, B에 외부 전원(80)으로부터 급전한 경우의 충전 동작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신호 NW 내지 충전 모드까지의 타임차트의 기재는, 설명 완료된 도 3과 동일하다. 충전 공용 인버터(4)에 있어서는, 제1 다이오드(12)와 제3 다이오드(33)가 동일한 충전 모드로 동작한다.
급전점 B에 급전된 전력은,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와, V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1)를 온 오프함으로써, 배터리(70)를 충전한다. 이 경우, V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1)를 온 오프하는 신호 PV는, 상기의 리셋 펄스이다.
급전점 B로부터의 전류의 경로를 설명한다. 구간 t1에 있어서 정류 브리지(81)의 출력 전압이 Vdc/2보다도 높은 경우는, 정류 다이오드(82), 제3 다이오드(33), 모터 코일(60v), 모터 코일(60w), 및 스위칭 소자(42)를 경유하여 전류가 흐른다.
이와 같이 충전 공용 인버터(4)의 제1 다이오드(12)와 제3 다이오드(33)는, 구간 t1에서 각각 「통류 모드」로 동작한다. 제1 다이오드(12)와 제3 다이오드(33)가 「통류 모드」로 동작하므로, 외부 전원(80)으로부터 모터(60)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한다.
이 「통류 모드」의 전류에 의한 자기 에너지는, 모터 코일(60u와 60w), 및 모터 코일(60v와 60w)에 축적된다. 이 축적되는 에너지는, 전류가 증가되는 만큼, 충전 공용 인버터(1)보다도 증가한다. 이 자기 에너지는, 구간 t2가 된 순간에, U상 전압과 V상 전압에 각각의 에너지에 상당하는 승압 전압 파형(자기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후의 동작은 충전 공용 인버터(1)와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급전점을 복수 구비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4)는, 급전점이 하나의 충전 공용 인버터(1)에 비해 충전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급전점 A, B의 조합 이외의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 공용 인버터(4)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변형예)
도 10에, 충전 공용 인버터(4)를 변형한 충전 공용 인버터(5)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5)는, 충전 공용 인버터(4)의 급전점 A 대신에 급전점 C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또한, 스위칭 제어부(55)를 구비하는 점에서 충전 공용 인버터(4)와 상이하다.
급전점 C는, 캐소드 전극을 W상 아암 회로의 접속점에 접속한 제5 다이오드(43)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제1 콘덴서(10)의 타단부에 접속한 제6 다이오드(44)의 애노드 전극이 접속되어 구성된다. 외부 전원(80)으로부터 급전점 C에 공급되는 전류는, 제5 다이오드(43), 모터 코일(60w), 모터 코일(60u) 및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를 경유하여 흐른다.
외부 전원(80)으로부터 급전점 B에 공급되는 전류는, 제3 다이오드(33), 모터 코일(60v), 모터 코일(60u) 및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를 경유하여 흐른다. 이와 같이, 충전 공용 인버터(5)는, 전류를 흐르게 하는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가,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인 점에서 충전 공용 인버터(4)와 상이하다. 충전 공용 인버터(4)에서는,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를 온 오프한다.
충전 공용 인버터(5)는,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하는 신호를, 도 9의 U 신호 NW와 동일하게 한다. 또한, V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1)와 W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1)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하는 신호를, 도 9의 신호 PU와 동일하게 한다.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와, V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1)와, W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1)를 각각 온 오프하는 제어 방법은, 충전 공용 인버터(4)와 동일하다.
급전점을 복수 구비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4, 5)의 스위칭 제어부(54, 55)는, 급전하지 않는 아암 회로의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와, 급전하는 아암 회로의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의 온 타이밍의 위상차를 제어하여 배터리(70)를 충전한다. 또한, U상 아암 회로에 급전하는 급전점 A와, W상 아암 회로에 급전하는 급전점 C를 조합한 구성에서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급전점 A와 급전점 C를 조합한 충전 공용 인버터 기능 구성예의 표기는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
도 11에, 제5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6)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6)는, U상과 V상과 W상에, 외부 전원(80)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급전점 A, B, C를 각각 구비하는 점과, 스위칭 제어부(56)를 구비하는 점에서, 충전 공용 인버터(1)(도 1)와 상이하다.
스위칭 제어부(56)는, 제1 다이오드(12)가 접속된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와, 제3 다이오드(33)가 접속된 V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2)와, 제5 다이오드(43)가 접속된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를 온 오프한다. 스위칭 제어부(56)는, 각각의 스위칭 소자(22, 32, 42)에 흐르는 전류가 단락하지 않는 시간 폭의 온 시간에서, 스위칭 소자(22, 32, 42)를 온 오프한다.
여기에서 단락하지 않는 시간 폭이란, 외부 전원(80)으로부터 각 급전점 A, B, C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선의 인덕턴스 성분에 의해, 스위칭 소자(22, 32, 42) 가 온해도 단락 전류가 흐르지 않는 시간 폭이다. 그의 인덕턴스 성분은, 기생 인덕턴스여도 되고, 유한의 인덕턴스 성분이어도 된다. 유한의 인덕턴스 성분은, 개별 부품의 인덕턴스를, 각 급전점 A, B, C와 정류 다이오드(82) 사이에 삽입하여 부가한다.
도 12에, 스위칭 제어부(56)가 스위칭 소자(22, 32, 42)에 출력하는 신호의 파형예인 신호 NU, 신호 NV, 및 신호 NW를 나타낸다. 도 12의 (a)는, 가로 방향의 시간이 긴(장시간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2의 (b)는, 가로 방향의 시간이 짧은(단시간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2의 (a)는, 상부에서부터,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되는 신호 NU, V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2)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되는 신호 NV, 및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의 게이트 전극에 입력되는 신호 NW이다. 이와 같이, 스위칭 제어부(56)는, 각 상의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를, 각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단락 전류가 되지 않는 짧은 시간 폭의 데드 타임을 설치한 다음에 온 오프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각각의 상의 위상을 정렬시켜 기재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위상차를 설치한 것으로 해도 된다.
각 상의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 32, 42)를 오프로 한 순간에, 각 상 전압에 승압 전압 파형(자기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각 상에 생긴 승압 전압 파형은, 다이오드 D1, D2, D3을 통해 배터리(70)를 충전한다.
또한, 각 상의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 32, 42)를 오프로 했을 때에, 각 상의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 31, 41)를 도통(온)시켜도 된다. 그 경우의 타임 차트를 도 12의 (b)에 나타낸다.
도 12의 (b)는, 상부에서부터, 신호 NU, PU, 신호 NV, PV, 및 신호 NW, PW이다. 신호 PU, PV, PW는, 신호 NU, NV, NW를 반전시킨 신호이다.
신호 PU가 「1」오부터 「0」으로 변화된 순간(β)에, U상 아암 회로에 승압 전압 파형(자기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승압 전압 파형이 발생하는 것과 동시에, 신호 PU가 「0」으로부터 「1」로 변화되므로,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가 온이 된다. 그 결과, 승압 전압 파형은, 다이오드 D1의 순전압 VF에 의한 손실을 발생시키지 않고 배터리(70)를 충전할 수 있다. 다른 상(V상, W상)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이와 같이 3상의 모든 아암 회로에 급전점 A, B, C를 설치한 구성에서는, 각 상의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 32, 42)를 짧은 시간 폭으로 온 오프한다. 짧은 시간 폭으로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 32, 42)를 온 오프함으로써, 외부 전원(80)에서 3상의 모두에 급전해도 배터리(70)의 충전이 가능하다.
(제6 실시 형태)
도 13에, 제6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7)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7)는, 스위칭 제어부(57)를 구비하는 점과, 삼상 교류 전원의 교류를 위상마다 정류하여 출력하는 외부 전원(90)을 구비하는 점에서, 충전 공용 인버터(6)(도 11)와 상이하다.
외부 전원(90)은, 정류부(91)를 구비한다. 정류부(91)는, 삼상 교류 전원의 각 상을 정류한 출력 전압을 출력한다. 다이오드(92)는, U상의 교류를 정류한 출력 전압을 급전점 A에 공급한다. 다이오드(93)는, V상의 교류를 정류한 출력 전압을 급전점 B에 공급한다. 다이오드(94)는, W상의 교류를 정류한 출력 전압을 급전점 C에 공급한다.
정류부(91)가 출력하는 출력 전압은, 각 상이 독립된 상태에서 출력된다. 즉, U상의 정류 파형이 출력되고 있을 때는, V상과 W상의 출력 전압은 0이다. V상의 정류 파형이 출력되고 있을 때는, U상과 W상의 출력 전압은 0이다. W상의 정류 파형이 출력되고 있을 때는, U상과 V상의 출력 전압은 0이다.
스위칭 제어부(57)는, U상의 출력 전압에 대응시켜 아암 회로의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하는 U상 제어부(570), V상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V상 제어부(571), 및 W상의 출력 전압에 대응하는 W상 제어부(572)를 구비한다. U상 제어부(570)는, 제1 다이오드(12)로부터 모터(60)에 전류를 공급 가능한 위상에 있어서,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와, 예를 들어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2)의 온 타이밍의 위상차를 제어한다. 또한, U상 상부 아암과 V상 하부 아암을 온 오프해도 된다.
V상 제어부(571)는, 제3 다이오드(33)로부터 모터(60)에 전류를 공급 가능한 위상에 있어서, V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와 예를 들어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의 온 타이밍의 위상차를 제어한다. 또한, V상 상부 아암과 W상 하부 아암을 온 오프해도 된다.
W상 제어부(572)는, 제5 다이오드(43)로부터 모터(60)에 전류를 공급 가능한 위상에 있어서, W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41)와 예를 들어 V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32)의 온 타이밍의 위상차를 제어한다. 또한, W상 상부 아암과 U상 하부 아암을 온 오프해도 된다.
이와 같이 각 상의 정류 파형의 위상에 대응하여 각 아암 회로의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함으로써, 충전 시에 생기는 전원 고주파 성분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충전 시에 배터리(70)에 부여하는 노멀 모드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충전 공용 인버터(7)는, 모터(60)의 로터가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U상 제어부(570)와 V상 제어부(571)를 조합함으로써, 승압 전압 파형을 상쇄하는 제어를 행할 수 있으므로, 충전 시에 로터를 기계적으로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제7 실시 형태)
도 14에, 제7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8)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충전 공용 인버터(8)는, 3 레벨의 PWM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인버터이다. 본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8)는, 각 급전점 A, B, C를 구성하는 다이오드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점에서, 충전 공용 인버터(6)(도 11)와 상이하다.
제1 다이오드(12)에 병렬로 제1 스위칭 소자(20)가 접속된다. 제2 다이오드(13)에 병렬로 제2 스위칭 소자(92)가 접속된다. 제3 다이오드(33)에 병렬로 제3 스위칭 소자(93)가 접속된다. 제4 다이오드(34)에 병렬로 제4 스위칭 소자(94)가 접속된다. 제5 다이오드(43)에 병렬로 제5 스위칭 소자(95)가 접속된다. 제6 다이오드(44)에 병렬로 제6 스위칭 소자(96)가 접속된다.
제1 다이오드(12)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20)와, 제2 다이오드(13)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2 스위칭 소자(92)를 동시에 도통(온)함으로써, 충전 공용 인버터(8)의 U상에, 제2 콘덴서(11)의 양단 전압인 Vdc/2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V상에는, 제3 스위칭 소자(93)와 제4 스위칭 소자(94)를 동시에 도통함으로써 Vdc/2의 전위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W상에 Vdc/2의 전위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5 스위칭 소자(95)와 제6 스위칭 소자(96)를 동시에 도통하면 된다.
이와 같이, 충전 공용 인버터(8)에 의하면 인버터의 교류측에, 배터리(70)의 정극 전압(Vdc)과 부극의 전압의 2개 이외에도, 세번째 전압인 Vdc/2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공용 인버터(8)는 3 레벨의 PWM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제1 스위칭 소자(20), 및 제2 스위칭 소자(92) 내지 제6 스위칭 소자(96)의 온/오프 제어는, 스위칭 제어부(58) 내의 부하 제어 논리부(도 2에 나타내는 부하 제어 논리부(51)에 상당)가 행한다. 그의 제어 방법에는, 종래의 3 레벨 인버터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충전 공용 인버터(8)는, 3 레벨의 직류 전압을 사용하여 교류 파형을 생성하므로, 보다 매끄러운 교류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모터(60)의 진동을 저감시켜 소음도 저감시킨다. 또한, 충전 공용 인버터(8)는, 충전 공용 인버터(6)(도 11)와 마찬가지로, 급전점의 전위를 안정화할 목적의 대형 리액턴스를 불필요하게 하는 작용 효과도 발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제1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1)(도 1)에 의하면, 종래 사용하던 대형 리액턴스를 사용하지 않고 급전점 A의 전위를 안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공용 인버터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2)(도 4)에 의하면, 충전 모드가 「통류 모드」일 때에, 제1 스위칭 소자(20)를 온으로 함으로써, 제1 다이오드(12)의 순전압 VF분의 전압 강하를 충전 전류의 경로로부터 배제하여, 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3)(도 7)에 의하면, 제1 다이오드(12)와 제1 스위칭 소자(20)를, 하나의 디바이스(30)(NMOSFET)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공용 인버터(3)는, 충전 공용 인버터(2)에 비해 소형화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4, 5)(도 8, 도 10)에 의하면, 급전점을 복수 구비하므로, 급전점이 하나의 충전 공용 인버터(1 내지 3) 중 어느 것보다도, 외부 전원(80)으로부터 배터리(70)에 충전하는 충전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공용 인버터(4)에 제2 실시 형태, 또는 제3 실시 형태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5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6)(도 11)에 의하면, 외부 전원(80)으로부터 복수의 상의 모두에 급전하고, 각 상의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 32, 42)를 짧은 시간 폭으로 온 오프한다. 짧은 시간 폭으로 온 오프함으로써, 3상 모두에 외부 전원(80)으로부터 급전해도, 스위칭 소자(22, 32, 42)에 흐르는 전류가 단락 전류가 되지 않고, 배터리(70)의 충전이 가능해진다.
제6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7)(도 13)에 의하면, 스위칭 제어부(57)는, 교류 전원의 각 상의 출력 전압에 대응시켜 아암 회로의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시키는 U상 제어부(570), V상 제어부(571), 및 W상 제어부(572)를 구비한다. U상 제어부(570), V상 제어부(571), 및 W상 제어부(572)가, 각각 독립적으로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하므로, 충전 시에 발생하는 전원 고주파 성분을 저감시킬 수 있고, 배터리(70)에 부여하는 노멀 모드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8)(도 14)에 의하면, 상기 실시 형태가 발휘하는 대형 리액턴스를 불필요하게 하는 작용 효과 외에도, 3 레벨의 PWM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3 레벨의 PWM 제어는, 모터(60)의 진동을 저감시켜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예를 들어, 제4 실시 형태의 충전 공용 인버터(4)의 변형예로서, V상과 W상에 충전 공용 인버터(5)만을 나타내서 설명을 행했지만, U상과 W상에 급전해도 된다. 또한, Vdc/n의 구체예로서 Vdc/2의 예를 나타냈지만, n은 2 이상의 정수이어도 된다.
또한,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1, 31, 41) 및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22, 32, 42)의 NMOSFET에 역병렬의 방향으로 접속되는 다이오드 D1 내지 D6은, 상기한 기생 다이오드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제1 다이오드(12) 내지 제6 다이오드(4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하 제어와 충전 제어의 양쪽을 행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에 널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2, 3, 4, 5, 6, 7, 8: 충전 공용 인버터
10: 제1 콘덴서
11: 제2 콘덴서
12: 제1 다이오드
13: 제2 다이오드
20: 제1 스위칭 소자
21: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22: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30: 디바이스
31: V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32: V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33: 제3 다이오드
34: 제4 다이오드
41: W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42: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43: 제5 다이오드
44: 제6 다이오드
50, 54, 55, 57, 58: 스위칭 제어부
60: 모터
70: 배터리
80, 90: 외부 전원
10: 제1 콘덴서
11: 제2 콘덴서
12: 제1 다이오드
13: 제2 다이오드
20: 제1 스위칭 소자
21: U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22: U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30: 디바이스
31: V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32: V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33: 제3 다이오드
34: 제4 다이오드
41: W상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42: W상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
43: 제5 다이오드
44: 제6 다이오드
50, 54, 55, 57, 58: 스위칭 제어부
60: 모터
70: 배터리
80, 90: 외부 전원
Claims (10)
- 배터리의 정극이 접속되는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와, 상기 배터리의 부극이 접속되는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가 접속되는 아암 회로와,
상기 정극에 일단부를 접속하는 제1 콘덴서와,
상기 제1 콘덴서의 타단부와 상기 부극 사이에 접속되는 제2 콘덴서와,
상기 상부 아암과 상기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캐소드 전극을 접속하는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콘덴서의 타단부에 캐소드 전극을 접속하는 제2 다이오드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과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는,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회로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가 접속된 아암 회로의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와, 해당 아암 회로와 다른 아암 회로의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를, 각각 소정 주기로 온 오프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상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와 상기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의 온 타이밍의 위상차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 소자도 온 오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온 시간보다도, 상기 하부 아암의 스위칭 소자의 온 시간을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회로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제1 다이오드가 접속되는 상과 다른 아암 회로의 접속점에 캐소드 전극을 접속하는 제3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콘덴서의 타단부에 캐소드 전극을 접속하는 제4 다이오드
를 구비하고,
상기 제3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과 상기 제4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3 다이오드가 접속되는 상과 다른 아암 회로의 접속점에 캐소드 전극을 접속하는 제5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콘덴서의 타단부에 캐소드 전극을 접속하는 제6 다이오드
를 구비하고,
상기 제5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과 상기 제6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에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 -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아암 회로의 하부 아암에 구비되는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는,
각각의 상기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단락하지 않는 시간 폭의 온 시간으로,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상기 제3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제5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의 각각에는 다른 위상의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아암 회로의 스위칭 소자를, 상기 위상에 대응하여 온 오프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2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2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3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4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4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5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5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6 다이오드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6 스위칭 소자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공용 인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5/067989 WO2016207969A1 (ja) | 2015-06-23 | 2015-06-23 | 充電共用インバー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8802A true KR20180018802A (ko) | 2018-02-21 |
KR101853600B1 KR101853600B1 (ko) | 2018-04-30 |
Family
ID=5758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1624A KR101853600B1 (ko) | 2015-06-23 | 2015-06-23 | 충전 공용 인버터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10439516B2 (ko) |
EP (1) | EP3316470B1 (ko) |
JP (1) | JP6402828B2 (ko) |
KR (1) | KR101853600B1 (ko) |
CN (1) | CN107787548B (ko) |
BR (1) | BR112017027795B1 (ko) |
CA (1) | CA2990141C (ko) |
MX (1) | MX361850B (ko) |
RU (1) | RU2671947C1 (ko) |
WO (1) | WO201620796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R112018004748A2 (pt) | 2015-09-11 | 2018-09-25 | Invertedpower Pty Ltd | controlador para uma carga indutiva tendo um ou mais enrolamentos indutivos |
US11479139B2 (en) | 2015-09-11 | 2022-10-25 | Invertedpower Pty Ltd | Methods and systems for an integrated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
JP6561768B2 (ja) * | 2015-10-23 | 2019-08-21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充電共用インバータ、及び充電システム |
DE102017221184A1 (de) * | 2017-11-27 | 2019-05-29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Stromrichterkomponente und Halbleitermodul einer solchen Stromrichterkomponente |
WO2020248023A1 (en) * | 2019-06-12 | 2020-12-17 | Invertedpower Pty Ltd | An electric vehicle dc-dc boost converter |
JP7205428B2 (ja) * | 2019-09-12 | 2023-01-1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源装置 |
JP7160007B2 (ja) * | 2019-09-20 | 2022-10-25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源装置 |
JP7559617B2 (ja) | 2021-02-26 | 2024-10-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38020A (en) * | 1975-02-11 | 1976-02-10 | Gould, Inc. | Charger circuit for accessory battery |
JPS5239140A (en) * | 1975-09-22 | 1977-03-26 | Mitsubishi Electric Corp | Non-interrupted powe source |
US5402043A (en) * | 1978-03-20 | 1995-03-28 | Nilssen; Ole K. | Controlled driven series-resonant ballast |
JPS56115182A (en) * | 1980-02-15 | 1981-09-10 | Toshiba Corp | Inverter |
JPH0813171B2 (ja) * | 1987-06-26 | 1996-02-07 | 株式会社ユタカ電機製作所 | 安定化電源装置 |
US5731970A (en) * | 1989-12-22 | 1998-03-24 | Hitachi, Ltd. | Power conversion device and semiconductor module suitable for use in the device |
US5126585A (en) * | 1990-06-19 | 1992-06-30 |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
US5254932A (en) * | 1990-12-24 | 1993-10-19 | Magnetek, Inc. | Charging voltage control circuit for battery chargers |
JP3325030B2 (ja) * | 1991-06-06 | 2002-09-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3レベルインバータ装置 |
EP0533158B1 (en) * | 1991-09-20 | 1998-07-08 | Hitachi, Ltd. | Three-phase three-level inverter device |
US6002603A (en) * | 1999-02-25 | 1999-12-14 | Elliott Energy Systems, Inc. | Balanced boost/buck DC to DC converter |
JP2000270564A (ja) * | 1999-03-15 | 2000-09-29 | Mitsubishi Electric Corp | 連系装置 |
US6510063B2 (en) * | 2000-05-30 | 2003-01-21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Electric power conversion optimized for efficient harmonic elimination |
JP3409209B2 (ja) | 2001-01-24 | 2003-05-26 | バブ日立工業株式会社 | 充電共用インバータ制御装置 |
SE523523C2 (sv) * | 2001-09-21 | 2004-04-27 | Abb Ab | Strömriktare samt förfarande för styrning därav |
JP3701015B2 (ja) * | 2001-10-30 | 2005-09-28 | オリジン電気株式会社 | コンデンサの充電方法及びその充電装置 |
TWI293825B (ko) * | 2002-07-03 | 2008-02-21 | Benq Corp | |
JP4261163B2 (ja) | 2002-11-21 | 2009-04-30 | 株式会社東芝 | ハイブリッド式電力変換装置 |
US7138730B2 (en) * | 2002-11-22 | 2006-11-21 |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 Topologies for multiple energy sources |
US7046532B2 (en) * | 2003-02-06 | 2006-05-16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Switching power supply |
US6842354B1 (en) * | 2003-08-08 | 2005-01-11 |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 Capacitor charge balancing technique for a three-level PWM power converter |
US20070076445A1 (en) * | 2003-10-13 | 2007-04-05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Power converter |
EP2631153B1 (en) * | 2004-04-30 | 2019-04-10 | BabyJogger, LLC | Folding baby stroller |
DE102004031216A1 (de) * | 2004-06-28 | 2006-01-19 | Siemens Ag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adungsausgleich in Reihe geschalteter Energiespeicher |
JP4626259B2 (ja) * | 2004-10-21 | 2011-02-02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 |
DE102005014285A1 (de) * | 2005-03-24 | 2006-10-05 | Siemens Ag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adungsausgleich von in Reihe angeordneten einzelnen Zellen eines Energiespeichers |
US7649335B2 (en) * | 2005-06-07 | 2010-01-19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Vehicular power supply system and vehicle |
US7928600B2 (en) * | 2005-07-01 | 2011-04-19 | Hitachi Medical Corporation | Power source device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JP2007037275A (ja) * | 2005-07-27 | 2007-02-08 | Hitachi Ltd | 充電制御装置を兼ねたモータ駆動装置 |
JP4839722B2 (ja) * | 2005-08-08 | 2011-12-2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電源装置 |
TW200709544A (en) * | 2005-08-29 | 2007-03-01 | Ind Tech Res Inst | Transformer-free power conversion circuit for parallel connection with commercial electricity system |
JP4742781B2 (ja) * | 2005-09-28 | 2011-08-1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交流電圧出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自動車 |
JP4811917B2 (ja) * | 2005-12-27 | 2011-11-09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力変換装置 |
DE502006006287D1 (de) * | 2006-02-01 | 2010-04-08 | Abb Research Ltd | Schaltzelle sowie umrichterschaltung zur schaltung einer vielzahl von spannungsniveaus |
JP5101881B2 (ja) * | 2006-02-24 | 2012-12-19 | 三菱電機株式会社 |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
JP4783294B2 (ja) * | 2006-02-27 | 2011-09-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系統連系用電力変換装置 |
US7274576B1 (en) * | 2006-03-01 | 2007-09-25 |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 Power converter with reduced common mode voltage |
US7646182B2 (en) * | 2006-03-29 | 2010-01-12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Power supply apparatus |
US8103892B2 (en) * | 2006-04-26 | 2012-01-24 | Adaptive Materials, Inc. | Power management apparatus with buck boost converter module |
DE102006025975B4 (de) * | 2006-06-02 | 2008-08-28 | Siemens Ag Österreich | Wechselrichterschal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Wechselrichterschaltung |
CA2657758C (en) * | 2006-08-09 | 2013-03-26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Power converter and controller using such converter for electric rolling stock |
JP4359301B2 (ja) * | 2006-10-04 | 2009-11-0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充電装置 |
JP5157356B2 (ja) * | 2006-11-17 | 2013-03-06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力変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US7688048B2 (en) * | 2007-02-21 | 2010-03-30 |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 3-phase high power UPS |
DE102007030577A1 (de) * | 2007-06-29 | 2009-01-02 | Sma Solar Technology Ag | Wechselrichter zur Einspeisung elektrischer Energie in ein Energieversorgungsnetz |
JP4727636B2 (ja) * | 2007-09-13 | 2011-07-20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充電制御装置および車両 |
CN101582592B (zh) * | 2008-05-15 | 2013-07-10 | 宣昆 | 无变压器光伏并网逆变装置及其控制方法 |
US8693213B2 (en) * | 2008-05-21 | 2014-04-08 | Flextronics Ap, Llc | Resonant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
JP5644070B2 (ja) * | 2008-07-16 | 2014-12-24 |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 電力制御装置 |
JP5463289B2 (ja) * | 2008-08-22 | 2014-04-09 |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 電力変換装置 |
US8080973B2 (en) * | 2008-10-22 | 2011-12-20 | General Electric Company | Apparatus for energy transfer using conver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WO2010058536A1 (ja) * | 2008-11-18 | 2010-05-27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力変換装置 |
JP5564864B2 (ja) * | 2008-12-19 | 2014-08-06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二次電池システム |
US7869226B2 (en) * | 2009-03-31 | 2011-01-11 | Tdk-Lambda Americas Inc. | Achieving ZVS in a two quadrant converter using a simplified auxiliary circuit |
JP5457449B2 (ja) * | 2009-06-19 | 2014-04-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力変換装置 |
JP5279911B2 (ja) * | 2009-07-30 | 2013-09-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
US8385091B2 (en) * | 2009-08-20 | 2013-02-26 | Electric IT Corporation | 3-phase high-power UPS |
JP2011109789A (ja) * | 2009-11-17 | 2011-06-02 |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 電力変換装置 |
JP5440335B2 (ja) * | 2010-04-06 | 2014-03-12 | 富士電機株式会社 |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
FR2959357B1 (fr) * | 2010-04-27 | 2017-08-11 | Denso Corp | Dispositif d'alimentation electrique pour vehicule |
JP5584927B2 (ja) * | 2010-06-04 | 2014-09-10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電池制御装置および蓄電装置 |
AU2010356426B2 (en) * | 2010-07-01 | 2013-11-28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Power semiconductor module, electricity transformer device, and railway car |
JP2012044824A (ja) * | 2010-08-23 | 2012-03-01 | Fuji Electric Co Ltd | 電力変換装置 |
DE102010042328A1 (de) * | 2010-10-12 | 2012-04-12 | Robert Bosch Gmbh | Verfahren zum Überwachen des Ladebetriebs eines Energiespeichers in einem Fahrzeug und Ladesystem zum Laden eines Energiespeichers in einem Fahrzeug |
US8411473B2 (en) * | 2010-12-20 | 2013-04-02 | Allis Electric Co., Ltd. | Three-phase power supply with three-phase three-level DC/DC converter |
CN103339822B (zh) * | 2011-01-19 | 2016-05-18 | 株式会社泰库诺瓦 | 非接触供电系统 |
US8860379B2 (en) * | 2011-04-20 | 2014-10-14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Discharging a DC bus capacitor of an electrical converter system |
WO2012164099A2 (en) * | 2011-06-01 | 2012-12-06 | Fh Joanneum Gmbh | Inverter |
DE202011102068U1 (de) * | 2011-06-07 | 2012-09-10 | Voltwerk Electronics Gmbh | Hochsetzsteller |
US8970161B1 (en) * | 2011-06-29 | 2015-03-03 | Carlos Cuadros | Modulation control scheme for power converters in photovoltaic system charge controllers |
TWI436574B (zh) * | 2011-07-13 | 2014-05-01 | Delta Electronics Inc | 直流交流轉換器 |
TWI479794B (zh) * | 2011-08-04 | 2015-04-01 | Ablerex Electonic Co Ltd | 五階式直流轉交流電源電路 |
US8884464B2 (en) * | 2011-08-29 | 2014-11-11 |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 Twin boost converter with integrated charger for UPS system |
JP5724830B2 (ja) * | 2011-11-01 | 2015-05-27 |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 電源システム |
MX339482B (es) * | 2011-11-28 | 2016-05-27 | Mitsubishi Electric Corp | Dispositivo de alimentacion auxiliar de vehiculo y metodo de proteccion de sobrecorriente del mismo. |
JP5822732B2 (ja) * | 2012-01-11 | 2015-11-24 |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 3レベル電力変換装置 |
CN110022078B (zh) * | 2012-03-30 | 2021-05-04 | 富士电机株式会社 | 电力变换装置 |
CA2868700C (en) * | 2012-03-30 | 2016-10-11 |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 Power supply apparatus |
JP5475936B1 (ja) * | 2012-06-01 | 2014-04-1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力変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バッテリ充電装置 |
US9214874B2 (en) * | 2012-07-31 | 2015-12-15 | Yashomani Y. Kolhatkar | Intelligent level transi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ormerles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JP6041583B2 (ja) | 2012-08-31 | 2016-12-14 | 富士電機株式会社 | 電力変換装置 |
FR2996071B1 (fr) * | 2012-09-25 | 2014-09-05 | Renault Sa | Systeme de charge d'une batterie d'un vehicule automobile |
KR101351650B1 (ko) * | 2012-10-09 | 2014-01-24 | (재) 기초전력연구원 | 독립적인 mppt 구동을 위한 dc링크 전압 비대칭 제어기법을 갖는 3레벨 태양광 인버터 |
CN103795251A (zh) * | 2012-10-29 | 2014-05-14 |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 功率变换器及其控制方法 |
JP2014117047A (ja) | 2012-12-07 | 2014-06-26 | Nissan Motor Co Ltd | 電力変換装置 |
RU2531378C2 (ru) * | 2012-12-07 | 2014-10-20 |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Трехфазный инвертор напряжения с трансформаторным выходом |
US9077255B2 (en) * | 2013-01-11 | 2015-07-07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Resonant converters and methods |
KR101568225B1 (ko) * | 2013-02-06 | 2016-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충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
US9376025B2 (en) * | 2013-02-06 | 2016-06-28 | Lg Electronics Inc. | Charging apparatus and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ame |
GB2512078A (en) * | 2013-03-19 | 2014-09-24 | Control Tech Ltd | Control system for multi-phase rotary machines |
WO2014194933A1 (en) * | 2013-06-04 | 2014-12-11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Five-level pv inverter based on a multi-state switching cell |
KR101791288B1 (ko) * | 2013-06-05 | 2017-10-2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멀티 레벨 인버터 |
CN104249630B (zh) * | 2013-06-28 | 2017-08-04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电动汽车及电动汽车向外供电的系统 |
CN104253465B (zh) | 2013-06-28 | 2017-01-04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电动汽车的充电控制系统及具有其的电动汽车 |
EP3014734B8 (en) * | 2013-06-28 | 2022-04-27 | BYD Company Limited | Power system for electric vehicle,electric vehicle and motor controller |
CN104249629B (zh) * | 2013-06-28 | 2016-09-07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电动汽车、电动汽车的动力系统和动力电池的充电方法 |
CN103346690B (zh) * | 2013-07-05 | 2016-03-30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多电平逆变器及供电系统 |
JP6087238B2 (ja) * | 2013-07-26 | 2017-03-01 |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 電源装置とその運転方法 |
US9787217B2 (en) * | 2013-08-30 | 2017-10-10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Power conversion circuit and power conversion system |
WO2015049743A1 (ja) * | 2013-10-02 | 2015-04-09 | 富士電機株式会社 | 3レベルインバータ |
JP5619253B1 (ja) * | 2013-10-15 | 2014-11-05 | 三菱電機株式会社 | 誘導性負荷の給電制御装置 |
WO2015056341A1 (ja) * | 2013-10-18 | 2015-04-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直流電源装置、電動機駆動装置、空気調和機および冷蔵庫 |
DE112014004859B4 (de) * | 2013-10-23 | 2019-06-19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Energieumwandlungsvorrichtung |
KR101811153B1 (ko) * | 2013-10-29 | 2018-01-25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직류 전원 장치 및 냉동 사이클 기기 |
CA2928611C (en) * | 2013-10-30 | 2018-11-27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Dc/dc conversion device and load-drive control system |
CN105765840B (zh) * | 2013-11-26 | 2018-06-15 | 三菱电机株式会社 | 直流电源装置和具有该直流电源装置的制冷循环应用设备 |
WO2015108613A1 (en) * | 2014-01-15 | 2015-07-23 | Abb Technology Ag | Interleaved multi-channel, multi-level, multi-quadrant dc-dc converters |
TWI485968B (zh) * | 2014-01-29 | 2015-05-21 | Delta Electronics Inc | 電源轉換系統及其操作方法 |
US9931951B2 (en) * | 2014-06-13 | 2018-04-03 | University Of Maryland | Integrated dual-output grid-to-vehicle (G2V) and vehicle-to-grid (V2G) onboard charger for plug-in electric vehicles |
CA2959451C (en) * | 2014-08-29 | 2018-12-04 |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s Corporation | Inverter |
JP6240334B2 (ja) * | 2014-08-29 | 2017-11-29 |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 コンバ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
WO2016063678A1 (ja) * | 2014-10-20 | 2016-04-28 | 三菱電機株式会社 | 電力変換装置 |
US10396684B2 (en) * | 2014-12-16 | 2019-08-27 |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 Coupled inductor for interleaved multi-phase three-level DC-DC converters |
US9975449B2 (en) * | 2015-01-21 | 2018-05-22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Power conversion device |
JP6207775B2 (ja) * | 2015-02-02 | 2017-10-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Dc/dcコンバータ |
-
2015
- 2015-06-23 RU RU2018102308A patent/RU2671947C1/ru active
- 2015-06-23 CA CA2990141A patent/CA2990141C/en active Active
- 2015-06-23 US US15/737,415 patent/US10439516B2/en active Active
- 2015-06-23 CN CN201580081079.8A patent/CN107787548B/zh active Active
- 2015-06-23 WO PCT/JP2015/067989 patent/WO201620796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6-23 JP JP2017524309A patent/JP6402828B2/ja active Active
- 2015-06-23 BR BR112017027795-6A patent/BR112017027795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23 MX MX2017016300A patent/MX361850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23 KR KR1020187001624A patent/KR1018536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6-23 EP EP15896291.0A patent/EP3316470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112017027795B1 (pt) | 2022-10-04 |
US20180159441A1 (en) | 2018-06-07 |
US10439516B2 (en) | 2019-10-08 |
EP3316470B1 (en) | 2019-12-25 |
EP3316470A4 (en) | 2018-11-21 |
EP3316470A1 (en) | 2018-05-02 |
KR101853600B1 (ko) | 2018-04-30 |
JP6402828B2 (ja) | 2018-10-10 |
WO2016207969A1 (ja) | 2016-12-29 |
RU2671947C1 (ru) | 2018-11-08 |
JPWO2016207969A1 (ja) | 2018-04-05 |
CN107787548A (zh) | 2018-03-09 |
MX361850B (es) | 2018-12-18 |
CA2990141A1 (en) | 2016-12-29 |
MX2017016300A (es) | 2018-03-23 |
BR112017027795A2 (pt) | 2018-08-28 |
CA2990141C (en) | 2018-08-14 |
CN107787548B (zh) | 2019-04-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3600B1 (ko) | 충전 공용 인버터 | |
JP6394421B2 (ja) | 半導体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装置 | |
JP6206502B2 (ja) |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方法 | |
CN107534408B (zh) | 交流旋转电机的控制装置 | |
US11990830B2 (en) | Power conversion system and virtual DC voltage generator circuit | |
US20130314965A1 (en) | Inverter device | |
US11165359B2 (en) | Power conversion system configured to perform power conversion between direct current and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 |
US10011178B1 (en) | DC inverter having reduced switching loss and reduced voltage spikes | |
KR102246884B1 (ko) | 전력 변환 회로 | |
JP2017070056A (ja) | インバータ駆動装置 | |
US11990826B2 (en) | Power electronics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electrical voltage to a driver circuit of a power semiconductor switch | |
US9407180B2 (en) | Power converting circuit | |
JP6801343B2 (ja) | 電力変換器 | |
JP2015204723A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 |
WO2023112220A1 (ja) | 電力変換装置 | |
US10848049B2 (en) | Main conversion circuit, power conversion device, and moving body | |
JP6561768B2 (ja) | 充電共用インバータ、及び充電システム | |
CN118024894A (zh) | 动力总成、用于电机控制器的控制方法以及电动汽车 | |
JP2013070564A (ja) | オルタネータおよびレクチファイヤ | |
JP2020198734A (ja) | 電力変換装置 | |
JPH11146660A (ja) | 単相インバータ装置 | |
JP2019103147A (ja) | 電力変換器 | |
JP2006174653A (ja) | チョッパ型インバータ回路 | |
JP2018064148A (ja) | スイッチング回路 | |
JP2014060853A (ja) | 電源変換用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