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513A - 편광자, 편광판 및 편광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자, 편광판 및 편광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513A
KR20170052513A KR1020160146064A KR20160146064A KR20170052513A KR 20170052513 A KR20170052513 A KR 20170052513A KR 1020160146064 A KR1020160146064 A KR 1020160146064A KR 20160146064 A KR20160146064 A KR 20160146064A KR 20170052513 A KR20170052513 A KR 20170052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polarizer
resin film
iodine
bo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노리 다카다
다이스케 오고미
시노부 나가노
에이코 스에후사
요시츠구 기타무라
히로키 구라모토
요우이치로우 스기노
게이스케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2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1/00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 B29C71/0009After-treatment of articles without altering their shape; Apparatus therefor using liquids, e.g. solvents, swell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32B5/142Variation across the area of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32B5/147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by treatment of th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23K26/382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by b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894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29D11/00894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 B29D11/00913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colouring or tinting full body; edge-to-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32Pigments, colouring agents or opacifiy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9/04PVOH, i.e. polyvinyl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4Polar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1/00Optical elements, e.g. lenses,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2Pu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7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4Polyvinyl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내열성이 뛰어난 편광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자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수지 필름의 단부에는,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의 농도가 다른 부분의 농도보다 더 높은 고농도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편광자, 편광판 및 편광자의 제조 방법{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POLARIZER}
본 출원은 35 U.S.C. 섹션 119 하에서, 2015년 11월 4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No. 2015-216472 을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여기서는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포함한다.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편광자 편광판 및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관련 기술의 설명
휴대전화,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의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에는, 편광판이 사용되어 왔다. 최근, 자동차의 미터 표시부나 스마트 시계 등에도 편광판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어 편광판의 형상을 사각형 이외의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편광판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모드를 채용하는 경우, 내구성의 문제 (예를 들어, 크랙) 가 발생하기 쉽다. 내구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아래 설명된 바와 같이 형성된 편광판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No. 2009-37228 참조). 1 쌍의 편광자 보호 필름들이 편광자의 양쪽 주면들에 각각 부착되고, 외주 단면의 표면을 용융한 후에 응고시킨다. 한편, 편광판의 내열성의 향상 (예를 들어, 착색의 억제) 도 또한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내구성이 뛰어난 편광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자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수지 필름의 단부에는,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의 농도가 다른 부분의 농도보다 더 높은 고농도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고농도부는, 상기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의 농도가 면방향에서 외부쪽으로 증가하는 농도 구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고농도부는, 상기 수지 필름의 단면으로부터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100 ㎛ 이상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은, 칼륨 또는 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지 필름은 붕산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필름의 단부에는 붕산의 농도가 다른 부분의 농도보다 더 낮은 저농도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고농도부의 영역은, 상기 붕산의 저농도부의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고농도부는, 상기 붕산의 저농도부의 영역의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농도부는 붕산 농도가 면방향에서 외부쪽으로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농도부는, 상기 수지 필름의 단면으로부터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50 ㎛ 이상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농도부는 흡수축 방향으로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편광자에는 관통 구멍이 내부에 형성되어 이 관통 구멍의 주변에지부에 상기 저농도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농도부는 외부 에지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외부에지부는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으로 볼록한 실질적으로 V 자형 형상을 형성하는 사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편광판이 제공된다. 이 편광판은, 상술한 편광자, 및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편광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방법은,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에,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처리액을 접촉시켜, 수지 필름의 단부에,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의 농도가 다른 부분보다 더 높은 고농도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처리액은, 용매에, 상기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합물은, 요오드화 칼륨 또는 염화 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처리액의 액온은 5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본 방법은 수지 필름을, 절단 또는 펀칭 가공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절단 또는 펀칭 가공 중 적어도 하나는 레이저 광을 수지 필름에 조사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레이저 광은 CO2 레이저 광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열성이 뛰어난 편광자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편광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 는 비교예 2 의 편광판의 단부를 내열 시험 후에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사진이며, 도 4b 는 그 마이크로스코픽 라먼 분광 분석에 의해 그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 는 실시예 1 의 편광자의 단부의, 면방향에서의 칼륨의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b 는 비교예 1 의 편광자의 단부의, 면방향에서의 칼륨의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c 는 비교예 2 의 편광자의 단부의, 면방향에서의 칼륨의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비교예 2 의 편광자의 단부의, 면방향에서의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 는 실시예 1 의 편광판의 단부를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사진이며, 도 7b 는 비교예 1 의 편광판의 단부를 광학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A. 편광자(편광판)
도 1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평면도이며,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편광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편광판 (100) 은 자동차의 미터 패널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편광판 (100) 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 1 표시부 (50) 와 제 2 표시부 (60) 를 포함하고, 각각의 표시부들의 중심 부근에는 각종 미터 바늘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들 (51 및 61)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들의 각각의 직경은, 예를 들어 0.5 mm ∼ 100 mm 이다. 표시부들 (50 및 60) 의 각각의 외주 에지는 미터 바늘의 회전 방향을 따른 원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상, 편광자는 보호 필름이 상부에 적층된 상태에서 (즉, 편광판의 상태에서) 사용된다. 예시된 예의 편광판 (100) 은 편광자 (10), 편광자 (10) 의 양쪽 주면들에 배치된 1 쌍의 보호 필름들 (21 및 22) 을 포함한다. 이 예시된 예에서, 편광자의 양쪽 주면들에 보호 필름들이 배치되어 있지만,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일방측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편광자는, 수지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계 수지"로 지칭된다) 가 사용된다. PVA계 수지의 예들은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 아세트산 비닐을 비누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PVA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 100 몰%이며, 바람직하게는 95.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 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9.93 몰% 이상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에 따라 결정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를 갖는 PVA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은 내구성이 뛰어난 편광자를 제공할 수 있다.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 ∼ 1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200 ∼ 6,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 5,000이다.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편광자 (수지 필름) 은 통상 이색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색성 물질의 예들은 요오드 및 유기 염료를 포함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요오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편광자 (수지 필름)(10) 는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그 단부 (구체적으로는, 외부 에지부 (101) 및 관통 구멍 (51 및 61) 의 주변 에지부 (51a 및 61a) 각각) 에는, 단부의 물질의 농도가 다른 부분의 농도보다 더 높은 고농도부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의 예들은, 이를 테면, 칼륨, 나트륨, 리튬, 아연, 알루미늄, 납, 구리, 바륨, 칼슘, 주석 및 티탄 등의 할로겐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들을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도, 칼륨 또는 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수지 필름에서,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은, 임의의 적절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온 상태에 있을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른 물질과 결합된 물질일 수도 있거나 또는 이들의 상태가 혼합될 수도 있다. 다른 물질의 예들은 요오드 이온 (I-) 및 요오드 착물 (I3 -) 을 포함한다.
고농도부는, 예를 들어, 상기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의 농도가 면방향에서 외부쪽으로 증가하는 농도 구배를 갖는다. 상기 다른 부분에서의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0.3 중량% ∼ 5 중량% 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다른 부분에 존재하는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은, 주로, 이후 설명될 염색 처리, 가교 처리, 및 세정 처리 등의 각종 처리들에서 수지 필름 내에 도입되는 물질이다.
고농도부는, 편광자 (수지 필름) 의 단면으로부터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100 ㎛ 이상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편광자의 단면으로부터 500 ㎛ 이상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된다. 한편, 고농도부는, 편광자 (수지 필름) 의 단면으로부터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2,000 ㎛ 미만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편광자의 단면으로부터 1,000 ㎛ 미만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된다.
편광자 (수지 필름) (10) 는 대표적으로는, 붕산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편광자 (수지 필름)(10) 의 단부 (구체적으로는, 외부 에지부 (101) 및 관통 구멍 (51 및 61) 의 주변 에지부 (51a 및 61a) 각각) 에는, 붕산의 농도가 다른 부분의 농도보다 더 낮은 저농도부가 형성되어 있다. 저농도부의 형성은 편광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형성은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통상, 편광자는 보호 필름보다 더 큰 수축력을 갖고, 따라서, 온도 또는 습도 변화에 의해 편광자와 보호 필름과의 계면에서 응력이 생겨 크랙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저농도부의 강성은, 예를 들어, 붕산에 의한 가교 구조의 제거에 의해 다른 부분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 그 결과, 저농도부에서, 편광자 수축에 의한 응력이 완화되어 크랙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관통 구멍의 주변 에지나 V 자형 형상을 형성하는 사이트와 같이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사이트에, 저농도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모드에 따르면, 편광자의 외관이나 다른 부재와의 부착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작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저농도부는 붕산 농도가 면방향에서 외부쪽으로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갖는다. 농도 구배의 존재는 상기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단부에 있어서의 편광 성능의 급격한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다른 부위에서의 붕산 함유량은, 예를 들어 20 중량% ∼ 30 중량% 이다.
저농도부는, 편광자 (수지 필름) 의 단면으로부터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50 ㎛ 이상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편광자의 단면으로부터 80 ㎛ 이상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된다. 이러한 범위로 부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내구성 향상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질 수 있다. 한편, 붕산의 저농도부는, 편광자 (수지 필름) 의 단면으로부터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1,000 ㎛ 미만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편광자의 단면으로부터 500 ㎛ 미만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된다.
예시된 예와 같이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관통 구멍의 위치는, 예를 들어, 편광자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크랙은, 기점으로서 기능을 하는 관통 구멍의 주변 에지로부터 발생하기 쉽고, 관통 구멍의 위치가 편광자의 외부 에지로부터 떨어져있는 만큼 그 경향이 현저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관통 구멍의 위치가 편광자의 외부 에지로부터 떨어져 있게 됨에 따라 (예를 들어, 편광자의 외부 에지로부터 15 mm 이상임), 상기 붕산의 저농도부 형성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내구성 향상의 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얻어질 수 있다.
외부 에지부 (101) 에서, 붕산의 저농도부는, 적어도 각각의 표시부들 사이의 경계부 (41 또는 42) 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붕산의 저농도부는, 외부 에지부가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볼록한 V 자형 형상 (R-형상을 포함함) 을 형성하는 사이트에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이는 외부 에지가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볼록한 V 자형 형상을 형성하는 사이트가 상기 관통 구멍의 주변 에지와 마찬가지로 크랙의 기점으로서 역할을 하기 쉽기 때문이다.
붕산의 저농도부는, 바람직하게는,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서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크랙은,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을 따라 발생하는 경향에 있어, 흡수축 방향에서의 단부에서의 저농도부의 형성은 크랙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고농도부의 형성은 수지 필름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농도부의 영역은, 상기 붕산의 저농도부의 영역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고농도부의 영역은, 붕산의 저농도부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농도부는, 붕산의 저농도부의 영역의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수지 필름의 단면으로부터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붕산의 저농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고농도부는, 붕산의 저농도부에서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으로 100 ㎛ 이상 연장하도록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드에 따르면, 내열성을 신뢰성있게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붕산의 저농도부의 강성은 붕산에 의한 가교 구조의 제거에 의해 다른 부분의 강성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크랙의 발생이 억제되는 반면, 내열성이 저하할 수 있다. 상술한 것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원인으로는, 붕산의 저농도부에 있어서, 요오드 착물 (예를 들어, I3 - 또는 I5 -) 의 함유량은 낮고, 요오드 이온 (예를 들어, I- 또는 I3 -) 의 함유량은 높다는 것이다. 요오드 착물은 수지 필름에 배향될 수도 있지만, 요오드 이온은 불안정한 상태로 수지 필름 안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농도부를 형성하여 카운터 이온을 도입할 때, 요오드 이온을 안정화하여, 수지 필름의 내열성의 향상 (예를 들어, 폴리엔 화의 억제에 의한 수지 필름의 착색의 억제) 에 기여할 수 있다. 붕산의 저농도부에서, 요오드 (I2) 의 함유량이 또한 높다고 고려되어, 요오드도 불안정한 상태로 수지 필름 안에 존재할 수도 있다.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 nm ∼ 780 nm의 범위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 (Ts) 은, 바람직하게는 4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2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3 % 이상이다. 단체 투과율의 이론상의 상한은 50 % 이며, 실용적인 상한은 46 % 이다. 또한, 단체 투과율 (Ts) 은, JIS Z 8701 의 2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측정되어 감도 보정 (visibility correction) 을 행한 Y 값이며, 예를 들어, 분광 광도계 (JASCO Corporation 사에 의해 제조됨, V7100) 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5 % 이상이다.
편광자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1 ㎛ ∼ 80 ㎛ 이며, 바람직하게는 3 ㎛ ∼ 40 ㎛ 이다.
상기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들로는, 예를 들어, 디아세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어 "(메트)아크릴계 수지" 는 아크릴계 수지 및/또는 메타크릴계 수지를 지칭한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 200 ㎛이다. 보호 필름의 일방측 (편광자가 배치되지 않는 측) 에는, 표면 처리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드 코트 처리나 반사 방지 처리, 또는 확산 또는 안티글레어를 목적으로 한 처리를 일측에 수행할 수도 있다. 1 쌍의 보호 필름들의 구성들 (형성 재료 및 두께를 포함함) 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보호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편광자 표면에, 접착제 층을 개재하여 적층된다. 접착제로는,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계 접착제, 용제계 접착제,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이 사용된다. 수계 접착제로는,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편광자 (편광판) 은 상기 예시된 예의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적절히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편광자 (편광판) 의 형상, 관통 구멍의 존재 유무, 관통 구멍의 형상들 및 사이즈들, 관통 구멍의 수 및 형성 위치들은 적절히 변경될 수도 있다.
B. 편광자 (편광판) 의 제조 방법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에, 상기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처리액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같은 모드에 따르면, 수지 필름의 원하는 사이트에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을 도입할 수 있어, 상기 고농도부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모드에서는, 수지 필름에 포함되는 붕산을 처리액에 용출시켜, 동시에 상기 붕산의 저농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을 상기 처리액에 접촉하는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이것의 구체적 예들은, 처리액에 수지 필름을 침지하는 것을 수반하는 방법; 수지 필름에 처리액을 도포하는 것을 수반하는 방법; 및 수지 필름에 처리액을 분무하는 것을 수반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처리액에 수지 필름을 침지하는 것을 수반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상기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처리액은, 대표적으로는, 용매에, 상기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용해시킨 용액이다.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예들은, 칼륨, 나트륨, 리튬, 아연, 알루미늄, 납, 구리, 바륨, 칼슘, 주석, 및 티탄 등의 할로겐화물 (바람직하게는, 요오드화물 및 염화물) 을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도, 요오드화 칼륨 및 염화 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용매의 예들은 물,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 피롤리돈, 각종 글리콜류, 트리메틸올 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류, 및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등의 아민류를 포함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화합물의 배합량은, 상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 5 중량부이다.
처리액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처리액의 액온 (접촉 시에) 은,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이다. 한편, 처리액의 액온 (접촉 시에) 은, 바람직하게는 90 ℃ 이하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지 필름에 처리액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처리액이 소정의 온도가 될 수도 있도록 (처리액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처리액을 가온한다. 수지 필름을 처리액에 침지하는 경우, 침지 시간은, 예를 들어 3 분 ∼ 20 분이다.
수지 필름에 처리액을 접촉시킬 때, 처리액에 초음파 처리를 가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욕에 수지 필름을 침지한다. 이와 같은 모드에 따르면, 효율적으로 저농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초음파 처리는, 임의의 적절한 조건들 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출력은, 예를 들어 40 W ∼ 1000 W 이다. 주파수는, 예를 들어 15 kHz ∼ 100 kHz 이다.
처리액을 수지 필름에 접촉시킬 때, 수지 필름은, 팽윤 처리, 연신 처리, 상기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의 각종 처리를 수행받아, 편광자로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붕산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은, 예를 들어, 연신 처리, 가교 처리 시에, 수지 필름에 붕산 용액 (예를 들어, 붕산 수용액) 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각종 처리를 실시할 때, 수지 필름은, 기판 위에 형성된 수지층일 수도 있다. 상기 연신 처리에 있어서의 연신 방향은, 얻어지는 편광자의 상기 흡수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통상의 경우에, 우수한 편광 특성을 얻는 관점에서, 통상, 3 배 ∼ 7 배로 수지 필름이 1축 연신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지 필름을 피복 필름으로 피복하여, 원하는 사이트에 선택적으로 처리액을 접촉시킨다. 피복 필름으로는, 처리액의 접촉 후, 있는 그대로 상기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될 수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수지 필름 (편광자) 의 양쪽 주면들 각각에 보호 필름을 적층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적층체를 처리액에 침지시킨다. 이와 같은 모드에 따르면, 상기 농도 구배를 갖는 고농도부 및/또는 상기 농도 구배를 갖는 저농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드에 따르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 (10) 의 단면 (10a) 은 보호 필름들 (21 및 22) 의 단면들 (21a 및 22a) 보다 면방향에서 더 내부측으로 위치될 수 있어, 편광자 공극부 (30) 가 형성될 수 있다. 편광자 공극부의 형성은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형상으로의 성형은, 대표적으로는, 절단 및/또는 펀칭 가공에 의해 수행된다. 절단 및/또는 펀칭 가공은 상기 고농도부를 형성하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 (수지 필름) 상에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는 절단 및/또는 펀칭 가공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적층체에 대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적층체를 절단 및/또는 펀칭 가공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후, 상기 고농도부를 형성한다.
절단 (펀칭) 방법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homson 블레이드, 또는 피너클 블레이드와 같은 절단 블레이드 (펀칭 다이) 를 사용하는 것을 수반하는 방법 또는 레이저 광으로 적층체를 조사하는 것을 수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레이저 광 조사에 의한 절단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레이저 광 조사는 매끄러운 절단면을 제공하여, 크랙의 기점 (초기 크랙) 의 발생을 억제 할 수 있다.
레이저로는, 임의의 적절한 레이저가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50 nm ∼ 11 ㎛ 의 범위 내의 파장의 광을 방사할 수 있는 레이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의 구체예로는, CO2 레이저 등의 기체 레이저; YAG 레이저 등의 고체 레이저; 반도체 레이저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도, CO2 레이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레이저 광의 조사 조건은, 예를 들어, 사용하는 레이저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출력 조건은, CO2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10 W ∼ 1000 W,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W ∼ 400 W 이다.
상기 처리액과의 접촉 후, 수지 필름 (적층체) 은 건조 처리를 받을 수도 있다.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50 ℃ ∼ 120 ℃ 이다.
이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편광자의 제작)
PVA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을 필름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하면서 하기 표시된 [1] ∼ [5] 의 5개의 욕들에 순차적으로 침지하고 이어서, 연신하였다. 이 연신 필름을 건조시켜, 두께 28 ㎛ 의 편광자를 얻었다.
<조건들>
[1] 팽윤 욕: 30 ℃ 에서의 순수
[2] 염색 욕: 요오드와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30 ℃ 의 수용액
[3] 제 1 가교 욕: 요오드화 칼륨과 붕산을 포함하는, 40 ℃ 의 수용액
[4] 제 2 가교 욕: 요오드화 칼륨과 붕산을 포함하는, 60 ℃ 의 수용액
[5] 세정 욕: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25 ℃ 의 수용액
(편광판 시트의 제작)
상기 편광자의 일방 측에 PVA계 접착제를, 그 건조 후의 두께가 100 nm 가 되도록 도포하였고, 장척 상태의 두께 40 ㎛ 의 TAC 필름을 서로의 길이 방향들이 서로 정렬되도록 부착시켰다.
계속해서, 상기 편광자의 타방 측에 PVA계 접착제를, 그 건조 후의 두께가 100 nm 가 되도록 도포하였고, 장척 상태의 두께 30 ㎛ 의 아크릴 필름을 서로의 길이 방향들이 정렬되도록 부착시켰다.
이렇게 하여, "TAC 필름/편광자/아크릴 필름"의 구성을 갖는 편광판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 시트를, CO2 레이저 (파장: 9.35 ㎛, 출력: 150 W) 를 사용하여 절단하고, 외측 에지로부터 25 mm 만큼 떨어진 사이트에 직경 4 mm 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54 mm × 54 mm 의 측정 사이즈의 절단편을 제공하였다.
얻어진 절단편을 74 ℃ 로 유지된 3 중량% 의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에 16 분간 침지하여,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비교예 1]
절단편을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에 침지하지 않았던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2]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 대신에 절단편을 74 ℃ 의 온수에 침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식으로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들에 각각 이하의 시험들을 수행하였다.
1. 히트 사이클 시험
유리 판에, 얻어진 편광판들의 각각을, 아크릴계 점착제 (두께: 20 ㎛) 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에 의해, 시험용 샘플을 얻었다. 이 샘픔을 -40℃ 에서의 분위기 하에 30 분간 방치한 후, 85 ℃ 의 분위기 하에 30 분간 방치하였다. 상술한 조작을 1 사이클로서 정의하여 이 사이클을 100 회 반복하였다. 그 후, 편광판에 크랙이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관찰하였다.
2. 내열 시험
유리 판에, 얻어진 편광판들의 각각을, 아크릴계 점착제 (두께: 20 ㎛) 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에 의해, 시험용 샘플을 얻었다. 샘플을 105 ℃ 의 분위기 하에 140 시간 방치하고, 내열 시험 후에 편광판이 착색되는지의 여부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2 의 편광판들 각각에서, 히트 사이클 (열 충격 (HS) 시험이라 또한 지칭함) 후에 크랙의 발생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1 의 편광판은, HS 시험 후에 관통 구멍을 기점으로 하여 연신 방향을 따라 크랙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의 각각에서, 내열 시험 후에 착색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비교예 2 에서, 광학 현미경 (Olympus Corporation 사에 의해 제조됨, MX61, 배율: 5배) 에 의한 관찰에 의해 얻어진 도 4a 의 사진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판의 단변을 따라 약 300 ㎛ 폭을 갖는 착색부가 관찰되었다. 내열시험 후의 비교예 2 의 편광판의 단부의 마이크로스코픽 라먼 분광 분석에 의한 해석 결과들은 도 4b 에 나타낸다. 폴리엔화에 의한 착색인 것으로 추측된다. 비착색부에 비해 착색부에 있어서는, 요오드 착물 (I3 -) 의 함유량이 훨씬 낮다. 마이크로스코피 라먼 분광 분석에 대한 측정 조건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다.
· 장치: 레이저 라먼 현미경 (Jobin Yvon S.A.S., LabRAM HR800)
· 여기 파장: 514 nm
· 측정 파장 범위: 80 cm-1 ∼ 1800 cm-1 부근
· 회절: 600 gr/mm
· 대물렌즈: × 100
· 적산 시간: 2 sec
·적산 횟수: 2회
·필터: D3
·홀: 300
·검출기: CCD
얻어진 편광판들에 각각 이하의 평가들을 실시하였다.
1. 농도 분포 측정
편광자의 단부의 면방향에서의 요오드, 칼륨 및 붕산의 농도 분포를 측정하였다. 측정에는, 비행 시간형 (time-of-flight) 2차 이온 질량 분석계 (TOF-SIMS)(ION-TOF 사에 의해 제조됨, 제품명: TOF-SIMS 5) 를 사용하였다. 측정 샘플로는, 얻어진 편광판을 수지에 포매하고,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단면을 조제하는 것에 의해 얻은 샘플이 사용되었다. 측정 조건은 이하 설명된 바와 같다.
· 조사한 일차 이온: Bi3 2+
· 일차 이온 가속 전압: 25 kV
· 측정 면적: 가로세로 300 ㎛×2 개의 시야들
* 측정에는, 차지 보정용 전자총을 사용하였다.
2.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
단부들 각각이 수지에 포매된 편광판들 각각을 그 두께 방향으로 절단하였고, 절단면을 광학 현미경 (Nikon Corporation 사에 의해 제조됨, ECLIPSE LV100, 배율: 50배) 으로 관찰하였다.
도 5a 는 실시예 1 의 편광자의 단부의, 면방향에서의 칼륨의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b 는 비교예 1 의 편광자의 단부의, 면방향에서의 칼륨의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5c 는 비교예 2 의 편광자의 단부의, 면방향에서의 칼륨의 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의 편광자의 단부에는, 칼륨 농도가 증가하는 면방향에서 외부쪽으로 농도 구배를 갖도록, 고농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고농도부의 칼륨 농도는, 편광자의 중앙부의 칼륨 농도와 최대 약 10배까지 높았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 의 편광자의 단부에는, 붕산 농도가 면방향에서 외부쪽으로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갖는 저농도부가 형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 의 편광자의 단부에도 또한 붕산의 저농도부가 형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 6 에는, 강도를 확대하여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6 의 영역 I, II, III 은 도 4 의 영역 I, II, III 에 대응한다.
도 7a 및 도 7b 는 각각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로 얻어진 사진이다. 도 7a 는 실시예 1 의 편광판의 단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7b 는 비교예 1 의 편광판의 단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실시예 1 의 편광판의 단부에는, 편광자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2 에 대해서도 실시예 1 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사각형 형상의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EL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자동차의 미터 표시부나 스마트 시계로 대표되는 특정 형상의 화상 표시부에도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쉽고 그리고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항들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세부 사항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의도되며 오히려 더 넓게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1)

  1. 편광자로서,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필름의 단부에는,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의 농도가 다른 부분의 농도보다 더 높은 고농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광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부는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상기 물질의 농도가 면방향에서 외부쪽으로 증가하는 농도 구배를 갖는, 편광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부는 상기 수지 필름의 단면으로부터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100 ㎛ 이상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편광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상기 물질은, 칼륨 또는 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편광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은 붕산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필름의 단부에는 상기 붕산의 농도가 다른 부분의 농도보다 더 낮은 저농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광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부의 영역은 상기 붕산의 상기 저농도부의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부는 상기 붕산의 상기 저농도부의 영역의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자.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부는 붕산 농도가 면방향에서 외부쪽으로 감소하는 농도 구배를 갖는, 편광자.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부는 상기 수지 필름의 단면으로부터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50 ㎛ 이상 떨어진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편광자.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부는 흡수축 방향으로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자.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의 주변 에지부에 상기 저농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편광자.
  12. 제 5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농도부는 외부 에지부에 형성되어 있는, 편광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에지부는 면방향에서 내부쪽으로 볼록한 실질적으로 V 자형 형상을 형성하는 사이트를 포함하는, 편광자.
  14. 편광판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15.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지 필름에,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처리액을 접촉시켜, 상기 수지 필름의 단부에,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상기 물질의 농도가 다른 부분의 농도보다 더 높은 고농도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은 용매에, 요오드의 카운터 이온을 형성하는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요오드화 칼륨 또는 염화 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액의 액온은 50 ℃ 이상인, 편광자의 제조 방법.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을, 절단 또는 펀칭 가공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또는 펀칭 가공 중 적어도 하나는 레이저 광을 상기 수지 필름에 조사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은 CO2 레이저 광을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KR1020160146064A 2015-11-04 2016-11-03 편광자, 편광판 및 편광자의 제조 방법 KR20170052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16472 2015-11-04
JP2015216472A JP6619619B2 (ja) 2015-11-04 2015-11-04 偏光子、偏光板および偏光子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513A true KR20170052513A (ko) 2017-05-12

Family

ID=5863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064A KR20170052513A (ko) 2015-11-04 2016-11-03 편광자, 편광판 및 편광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215901B2 (ko)
JP (1) JP6619619B2 (ko)
KR (1) KR20170052513A (ko)
CN (1) CN106873066B (ko)
TW (1) TWI7260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140A (ko) * 2020-09-14 2023-03-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해당 편광판 또는 해당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0747B2 (ja) * 2015-04-17 2018-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偏光子の製造方法
CN107255844A (zh) * 2017-08-02 2017-10-17 佛山纬达光电材料有限公司 一种碘系高耐久偏光片及制备方法
CN111257987A (zh) * 2018-11-30 2020-06-09 夏普株式会社 偏光板、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JP7397605B2 (ja) * 2019-09-12 2023-12-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76023A (en) * 1936-04-25 1937-11-30 Zeiss Ikon A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olarisation filters
US2185018A (en) * 1936-12-31 1939-12-26 Zeiss Ikon Ag Polarizing structure
US2203687A (en) * 1938-05-11 1940-06-11 Polaroid Corp Apparatus employing polarized light for the production of stereoscopic images
US2329543A (en) * 1938-05-20 1943-09-14 Polaroid Corp Design in polariz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237567A (en) * 1939-05-04 1941-04-08 Polaroid Corp Light polarizer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204604A (en) * 1939-05-27 1940-06-18 Polaroid Corp Method of forming designs in polarizing material
US2475921A (en) * 1940-06-26 1949-07-12 Polaroid Corp Glare reduction filter comprising light polarizing area merging gradually with transparent nonpolarizing area
US2409923A (en) * 1944-01-12 1946-10-22 Polaroid Corp Process of forming iodine images
BE465872A (ko) * 1944-01-12
US2440102A (en) * 1944-05-31 1948-04-20 Polaroid Corp Process of manufacture of light polarizing two tone image on a sheet
US3015989A (en) * 1958-01-27 1962-01-09 Polaroid Corp Light-polarizing film materials and process of preparation
US3520752A (en) * 1968-03-01 1970-07-14 John F Dreyer Method of making light polarizing patterns
JPS5024624B2 (ko) * 1971-09-13 1975-08-16
JPS4864941A (ko) * 1971-12-09 1973-09-07
US3914016A (en) * 1973-04-09 1975-10-21 Minnesota Mining & Mfg Production of gradient density liquid crystal filter
US4166871A (en) * 1977-06-29 1979-09-04 Polaroid Corporation Iodine stained light polarizer
US4181756A (en) * 1977-10-05 1980-01-01 Fergason James L Process for increasing display brightness of liquid crystal displays by bleaching polarizers using screen-printing techniques
JPS6033246B2 (ja) * 1978-07-26 1985-08-01 三立電機株式会社 多色表示用偏光板の製造方法
US4466704A (en) * 1981-07-20 1984-08-21 Polaroid Corporation Patterned polarizer having differently dyed areas
JPS5821705A (ja) * 1981-08-03 1983-02-08 Hitachi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S6036563B2 (ja) * 1982-03-29 1985-08-21 日東電工株式会社 部分偏光フイルムの製法
JPH0769535B2 (ja) * 1982-09-28 1995-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
JPS6296905A (ja) * 1985-10-24 1987-05-06 Nippon Kayaku Co Ltd 偏光膜積層体
JPS63189824A (ja) * 1987-02-03 1988-08-05 Nippon Kayaku Co Ltd 立体視用記録媒体
JPS63265203A (ja) * 1987-04-23 1988-11-01 Nippon Kayaku Co Ltd 立体テレビ用偏光膜積層体及びその製法
JPH0223304A (ja) * 1988-07-12 1990-01-25 Toray Ind Inc 可視偏光フイルム
US5327285A (en) * 1990-06-11 1994-07-05 Faris Sadeg M Methods for manufacturing micropolarizers
JP2512408B2 (ja) * 1990-12-13 1996-07-03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偏光性の優れた偏光フイルムの製造法
US5284364A (en) * 1992-06-10 1994-02-08 Anvik Corporation Increased-security identification card system
JPH06167610A (ja) * 1992-12-01 1994-06-14 Toppan Printing Co Ltd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0605191B1 (en) * 1992-12-25 1998-06-17 Mitsui Chemicals, Inc. Polarizing color filter
JP3387136B2 (ja) * 1993-02-19 2003-03-17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一体型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信方法
JPH06347641A (ja) * 1993-06-07 1994-12-22 Kuraray Co Ltd 新規な偏光フィルム
US5764248A (en) * 1995-01-31 1998-06-09 Rowland Institute For Science Production of digitized stereoscopic polarizing images by ink jet printing
FR2736444B1 (fr) * 1995-07-05 2002-12-20 Delanoe Christophe Lunettes polarisees degradees neutres
JPH09230140A (ja) * 1996-02-27 1997-09-05 Sankyo Seiki Mfg Co Ltd 偏光分離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90027A (ja) * 2000-04-04 2001-10-19 Nitto Denko Corp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3898416B2 (ja) * 2000-04-04 2007-03-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EP1153962B1 (en) * 2000-05-01 2006-06-07 Kuraray Co., Ltd.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and polarization film
JP2002040247A (ja) * 2000-07-21 2002-02-06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281261B2 (ja) * 2000-09-21 2009-06-17 住友化学株式会社 ヨウ素系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58051A (ja) * 2001-03-05 2002-09-11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175455B2 (ja) * 2001-03-15 2008-11-05 日本化薬株式会社 新規なマイクロパターン偏光素子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る立体表示液晶表示装置
US7136225B2 (en) * 2001-05-10 2006-11-1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3207627A (ja) * 2002-01-10 2003-07-25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3960520B2 (ja) * 2002-02-05 2007-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043263B2 (ja) * 2002-03-18 2008-02-0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256937B2 (en) * 2002-06-06 2007-08-14 Codixx Ag Structured polariz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488066B1 (ko) * 2002-08-28 2005-05-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Ccd카메라 내장형 액정모니터
KR100916955B1 (ko) * 2003-04-21 2009-09-1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그 제조 방법, 편광판,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장치
US20040212555A1 (en) * 2003-04-23 2004-10-28 Falco Mark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display and camera and method therefore
JP2005010760A (ja) * 2003-05-26 2005-01-13 Nitto Denko Corp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5062086A1 (ja) * 2003-12-18 2005-07-07 Nitto Denko Corporation 偏光子、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379111B2 (ja) * 2003-12-22 2009-12-09 住友化学株式会社 ヨウ素系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05309364A (ja) * 2004-02-16 2005-11-04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補償フイルム、楕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50200801A1 (en) * 2004-02-27 2005-09-15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 compensatory sheet, polarizing plate and production methods thereof
US7324280B2 (en) * 2004-05-25 2008-01-29 Asml Holding N.V. Apparatus for providing a pattern of polarization
US8050272B2 (en) * 2004-06-29 2011-11-01 Damak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current sessions in a peer-to-peer hybrid communications network
EP1766562B1 (en) * 2004-07-06 2015-06-24 Nxp B.V. Transmitting circuit for a contactless communicating communication partner device
KR100614651B1 (ko) * 2004-10-11 200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로 패턴의 노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사용되는포토마스크 및 그 설계 방법, 그리고 조명계 및 그 구현방법
US20060105115A1 (en) * 2004-11-16 2006-05-18 Keiji Kashima Retardatio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optical functional film,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US7329434B2 (en) * 2005-02-23 2008-02-12 Eastman Kodak Company Polarizing layer with adherent protective layer
US20080192345A1 (en) * 2005-03-10 2008-08-14 Noriaki Mochizuki Iodine Polarizing Film,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WO2006095815A1 (ja) * 2005-03-10 2006-09-14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ヨウ素系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US7374282B2 (en) * 2005-09-06 2008-05-20 Tendler Robert K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polarized displays
JP4651101B2 (ja) * 2005-10-21 2011-03-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位相差層付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WO2007049513A1 (ja) * 2005-10-25 2009-04-30 紀和化学工業株式会社 情報表示体用覗き見防止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200967A1 (en) * 2005-11-15 2007-08-30 Chung-Neng Fu Method of making a polarizer and method of making a polarizing sheet
US20070187023A1 (en) * 2005-11-15 2007-08-16 Cheng-Hsin Tsai Method of making a polarizer and polarizing sheet thereof
KR100958288B1 (ko) * 2007-02-09 2010-05-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직교투과도가 개선된 요오드계 편광 소자, 편광판 및 그제조 방법
CN101755226A (zh) 2007-07-06 2010-06-23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光板
JP2009063829A (ja) * 2007-09-06 2009-03-26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653416B1 (ko) * 2008-02-04 2016-09-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US20090219465A1 (en) * 2008-02-29 2009-09-03 Infinite Z, Inc. Polarizing Display Device
JP2010026498A (ja) * 2008-06-17 2010-02-04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34825A (ko) * 2008-09-25 2010-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20100087837A (ko) * 2009-01-29 2010-08-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 이의 제조방법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WO2010087653A2 (ko) * 2009-01-30 2010-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구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편광소자,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및 편광소자 제조방법
JP5244848B2 (ja) * 2009-05-01 2013-07-2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KR20100125560A (ko) * 2009-05-21 2010-12-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의 제조방법, 편광격자 스크린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KR101165437B1 (ko) * 2009-10-27 2012-07-12 (주)코텍 디스플레이장치
US8743309B2 (en) * 2009-11-10 2014-06-03 Apple Inc. Methods for fabricating display structures
KR101029998B1 (ko) * 2009-12-22 2011-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편광필름 및 그것을 구비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93786B1 (ko) * 2009-12-31 2013-08-06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4868266B2 (ja) * 2010-03-31 2012-02-01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10110889A (ko) * 2010-04-02 2011-10-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패턴화된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JP4691205B1 (ja) *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5782297B2 (ja) * 2010-09-09 2015-09-24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偏光膜の製造方法
US9143668B2 (en) * 2010-10-29 2015-09-22 Apple Inc.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8467177B2 (en) *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JP5588893B2 (ja) 2011-02-23 2014-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95759B1 (ko) * 2011-04-18 2015-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용 편광판, 이를 이용한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18495B1 (ko) * 2011-11-07 2015-05-11 제일모직주식회사 광내구성을 향상시킨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2194A (ko) * 2011-12-02 2013-06-12 제일모직주식회사 고내구성 편광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86701A (ko) * 2012-01-26 2013-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5990821B2 (ja) * 2012-02-09 2016-09-14 日東電工株式会社 耐水性有機薄膜の製造方法
KR101406129B1 (ko) * 2012-03-28 2014-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6054054B2 (ja) * 2012-05-11 2016-12-2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4081482A (ja) * 2012-10-16 2014-05-08 Nitto Denko Corp 偏光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4191051A (ja) * 2013-03-26 2014-10-06 Nitto Denko Corp 偏光子のレーザー加工方法
JP2014211548A (ja) * 2013-04-19 2014-11-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能を示さない領域を有する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JP5863053B2 (ja) * 2013-09-06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偏光膜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15046969A1 (ko) * 2013-09-30 2015-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US9618669B2 (en) * 2013-11-08 2017-04-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polarizer windows
JP5860448B2 (ja) * 2013-11-14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JP5996516B2 (ja) * 2013-11-29 2016-09-2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子及びそれを含む偏光板
KR20150086159A (ko) *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자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편광판
WO2015108261A1 (ko) * 2014-01-17 2015-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자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편광판
US9372353B2 (en) * 2014-03-05 2016-06-21 Distributed Polariz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unglass lenses with a predetermined gradient
TWI589939B (zh) * 2014-03-26 2017-07-01 Lg化學股份有限公司 用於製造具有局部消偏振區域的偏光器的方法 及偏光器、偏光板及使用其製造的圖像顯示裝置
WO2015145656A1 (ja) * 2014-03-27 2015-10-0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5145658A1 (ja) * 2014-03-27 2015-10-0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15865B2 (ja) *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JP6214594B2 (ja) *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6164719A (zh) * 2014-04-25 2016-11-23 日本化药株式会社 高耐久碘系偏振元件
JP5931125B2 (ja) * 2014-06-03 2016-06-08 株式会社クラレ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215262B2 (ja) *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子の製造方法
KR101766015B1 (ko) * 2014-06-30 2017-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CN106662695B (zh) * 2014-10-06 2019-09-13 株式会社Lg化学 用于制造偏振片的方法及使用其制造的偏振片
EP3252510A4 (en) * 2015-01-30 2018-04-25 LG Chem, Ltd. Polariser
JP6152127B2 (ja) * 2015-02-1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ES2640838T3 (es) * 2015-03-26 2017-11-06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Método para producir unas gafas polarizadas
JP6420747B2 (ja) * 2015-04-17 2018-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偏光子の製造方法
JP5943444B2 (ja) * 2015-05-21 2016-07-0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JP6412476B2 (ja) * 2015-09-28 2018-10-2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702589B1 (ko) * 2015-11-30 2017-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홀을 구비한 이형 디스플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140A (ko) * 2020-09-14 2023-03-2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해당 편광판 또는 해당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23125A1 (en) 2017-05-04
CN106873066A (zh) 2017-06-20
US10215901B2 (en) 2019-02-26
CN106873066B (zh) 2020-12-25
US10578786B2 (en) 2020-03-03
JP6619619B2 (ja) 2019-12-11
US20190243046A1 (en) 2019-08-08
JP2017090527A (ja) 2017-05-25
TWI726001B (zh) 2021-05-01
TW201727272A (zh)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048B1 (ko) 편광자, 편광판 및 편광자의 제조 방법
US10578786B2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polarizer
US10585224B2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471793B1 (ko) 장척상의 편광자, 장척상의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TW201706640A (zh) 偏光件
CN113242986B (zh) 偏振板
US20190310406A1 (en) Method of producing polarizing plate
KR20170052511A (ko) 편광판
CN111208595B (zh) 偏振片及其制造方法
WO2016167060A1 (ja) 偏光子、偏光板および偏光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