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701A -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701A
KR20130086701A KR1020120007561A KR20120007561A KR20130086701A KR 20130086701 A KR20130086701 A KR 20130086701A KR 1020120007561 A KR1020120007561 A KR 1020120007561A KR 20120007561 A KR20120007561 A KR 20120007561A KR 20130086701 A KR20130086701 A KR 20130086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arizer
region
disposed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구
마장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6701A/ko
Priority to JP2012229086A priority patent/JP2013156620A/ja
Priority to US13/666,315 priority patent/US8952599B2/en
Priority to TW101142547A priority patent/TWI577005B/zh
Priority to CN2013100194799A priority patent/CN103226217A/zh
Publication of KR20130086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10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 H01L2221/1068Formation and after-treatment of conductors
    • H01L2221/107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편광 구조물은 위상차층, 편광자층 및 편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층은 입사광의 서로 직교하는 편광 성분들에 대해서 위상차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층은 상기 위상차층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POLARIZATION STRUCTURES, METHODS OF MANUFACTURING POLARIZATION STRUCTURE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HAVING POLARIZATION STRUCTURES}
본 발명은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장치는 양극(anode)과 음극(cathode)으로부터 각기 제공되는 정공들과 전자들이 이들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생성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 문자 등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 장치를 말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넓은 시야각, 빠른 응답 속도, 얇은 두께, 낮은 소비 전력 등의 여러 가지 장점들을 가지기 때문에 유망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발광면 상에 배치되어,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편광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되는 표시 영역과 주변 회로가 배치되는 주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를 관찰자로부터 은폐하기 위해서 프레임 또는 차광막이 상기 주변 영역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막이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편광 필름과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블랙 매트릭스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편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편광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은 위상차층, 편광자층 및 편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층은 입사광의 서로 직교하는 편광 성분들에 대해서 위상차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층은 상기 위상차층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표시 장치의 주변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편광부는 다각형 띠의 형상, 타원형 띠의 형상, 원형 띠의 형상, 라인의 형상, 절곡된 라인의 형상 및 "U"자의 형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 구조물은 광학적 등방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위상차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 구조물은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접착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 구조물은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제1 보호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 구조물은 상기 편광자층 상에 배치되는 제2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보호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제2 보호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발광 구조물, 주변 회로부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은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은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부는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 구조물은 입사광의 서로 직교하는 편광 성분들에 대해서 위상차를 부여하는 위상차층, 상기 위상차층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며,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자층,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는 편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 구조물은 상기 제1 기판의 제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 구조물은 광학적 등방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위상차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 구조물은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접착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 구조물은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제1 보호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층 상에 배치되는 제2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보호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제2 보호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는 다각형 띠의 형상, 타원형 띠의 형상, 원형 띠의 형상, 라인의 형상, 절곡된 라인의 형상 및 "U"자의 형상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입사광의 서로 직교하는 편광 성분들에 대해서 위상차를 부여하는 위상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제1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는 편광자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편광자층의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에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위상차층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는 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접착층 사이, 상기 접착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 및 상기 보호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 중에서 하나에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편광부를 상기 제2 영역에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층의 제2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편광부를 상기 제2 영역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상차층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차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편광부를 상기 제2 영역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은 제2 영역에 배치되는 편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부는 편광자층의 투과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투과축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영역을 통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막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편광 구조물은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편광 구조물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관찰자로부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주변 회로부를 은폐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프레임(frame) 또는 베젤(bezel)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막을 생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 구성 요소가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polarization structure)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100)은 위상차층(120), 기재층(130), 편광부(135), 편광자층(160), 표면 처리층(18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층,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착층은 제1 접착층(110) 및 제2 접착층(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호층은 제1 보호층(150) 및 제2 보호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편광 구조물(100)은 제1 영역(I)과 제1 영역(I)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제2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II)은 제1 영역(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II)은 제1 영역(I)의 네 측면들을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영역(II)은 제1 영역(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영역(II)은 제1 영역(I)의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편광 구조물(100)의 제1 영역(I)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도 7 참조)의 유기 발광 구조물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III)에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영역(II)은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주변 회로부가 배치되는 주변 영역(IV)에 실질적으로 대응될 수 있다. 한편, 편광 구조물(100)의 제2 영역(II)은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발광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이즈에 따라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착층(110)은 편광 구조물(100)을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10)은 제1 영역(I)과 제2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접착층(110)은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압성 접착제는 고무계(rubber-based) 접착제. 아크릴계(acryl-based) 접착제, 비닐 에테르계(vinyl ester-based) 접착제, 실리콘계(silicon-based) 감압성 접착제, 우레탄계(urethane-based) 감압성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10)이 상기 감압성 접착제를 포함할 경우, 제1 접착층(110)에 압력을 가하여 편광 구조물(100)을 표시 패널 등에 접착시킬 수 있다.
위상차층(120)은 제1 접착층(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상차층(120)은 폴리스틸렌(polystyr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올레핀(polyolefin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아미드(polyamide),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 polymer),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ycloolefin copolymer),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ose) 등과 같은 폴리머를 포함하는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층을 포함하는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차층(120)은 입사하는 광의 두 편광 성분들에 위상차를 부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위상차층(120)은 서로 직교하는 두 편광 성분들에 대해서 일정한 위상차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상차는 광의 파장의 약 1/4 정도로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상차층(120)은 통과하는 광의 파장과 서로 직교하는 두 편광 성분들에 대한 위상차가 실질적으로 비례하는 역분산(inverse dispersion) 위상차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상차층(120)은 입사광의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 바꾸거나, 입사광의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재층(130)은 위상차층(120)의 제1 영역(I)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재층(130)은 광학적 등방성을 가지는 투명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재층(130)은 입사하는 광의 편광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편광부(135)는 위상차층(120)의 제2 영역(II)에 위치할 수 있다. 편광부(135)는 기재층(13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편광부(135)는 제2 영역(II)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부(135)는 기재층(130)의 네 측면들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부(135)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띠의 형상, 실질적으로 타원형 띠의 형상, 실질적으로 원형 띠의 형상 등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편광부(135)는 기재층(130)의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부(135)는 실질적으로 라인의 형상, 실질적으로 절곡된 라인의 형상, 실질적으로 "U"자의 형상 등과 같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편광부(135)는 요오드계(iodine-based) 물질, 염료를 함유하는 물질, 폴리엔계(polyene-based)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부(135)는 요오드 이온 사슬이 연신 배향된 폴리비닐알콜(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부(135)는 이색성 염료가 연신 배향된 폴리비닐알콜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부(135)는 폴리비닐알콜의 탈수 반응 또는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반응에 의해 형성된 폴리엔계 물질에 의해 편광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편광부(135)는 입사하는 광에서 특정한 방향의 편광 성분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편광부(135)는 흡수축과 투과축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흡수축과 상기 투과축은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편광부(135)는 상기 투과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으며, 상기 흡수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소멸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흡수축은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40)은 기재층(130) 및 편광부(135)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기재층(130) 및 편광부(135)를 제2 접착층(140) 상에 위치하는 제1 보호층(150)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접착층(140)은 제1 접착층(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층(150)은 제2 접착층(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층(150)은 그 상부에 위치하는 편광자층(160)을 보호하거나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보호층(150)은 입사하는 광의 편광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등방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보호층(150)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층(160)은 제1 보호층(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자층(160)은 편광부(13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층(160)은 흡수축과 투과축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자층(160)의 투과축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광부(135)의 투과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제2 보호층(170)은 편광자층(16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편광자층(160)을 지지하거나 보호하며, 연신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 편광자층(160)이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보호층(170)은 제1 보호층(1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처리층(180)은 제2 보호층(1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면 처리층(180)은 편광 구조물(100) 표면에서의 광의 반사를 막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란 물질들과 이러한 산란 물질들이 분산된 고분자(polymer)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처리층(180)은 실리카(silica) 입자가 분산된 아크릴레이트(acrylate)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기재층(130) 및 편광부(135)가 위상차층(120)과 제2 접착층(14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기재층(130) 및 편광부(135)는 제2 접착층(140)과 제1 보호층(150) 사이, 제1 보호층(150)과 편광자층(160) 사이, 편광자층(160)과 제2 보호층(170) 사이 또는 제2 보호층(170)과 표면 처리층(180) 사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 구조물(100)은 제2 영역(II)에 배치되는 편광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부(135)는 편광자층(160)의 투과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투과축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2 영역(II)을 통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막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 구조물(100)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편광 구조물(100)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관찰자로부터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주변 회로부를 은폐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프레임(frame) 또는 베젤(bezel)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102)은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1), 편광부(125), 제2 접착층(140), 제1 보호층(150),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0), 표면 처리층(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한 편광 구조물(102)에 있어서, 제1 접착층(110), 제2 접착층(140), 제1 보호층(150),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0) 및 표면 처리층(180)은 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 구조물(100)의 제1 접착층(110), 제2 접착층(140), 제1 보호층(150),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0) 및 표면 처리층(1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이들 부재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 구조물(102)은 제1 영역(I)과 제1 영역(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차층(121)은 제1 영역(I)에 위치하는 제1 접착층(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편광부(125)는 제2 영역(II)에 위치하는 제1 접착층(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부(125)는 위상차층(12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편광부(125)는 입사광에서 특정한 방향의 편광 성분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편광부(125)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부(13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부(125)는 위상차층(121)의 네 측면들을 모두 둘러쌀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편광부(125)는 위상차층(121)의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둘러쌀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편광부(125)는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형상에 따라 위상차층(121)에 인접하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띠의 형상, 실질적으로 원형 띠의 형상, 실질적으로 타원형 띠의 형상, 실질적으로 라인의 형상, 실질적으로 절곡된 라인의 형상, 실질적으로 "U"자의 형상들과 같은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착층(140)은 위상차층(121)과 편광부(125)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보호층(150)은 제2 접착층(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자층(160)은 제1 보호층(15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입사광 중에서 특정한 방향의 편광 성분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 때, 편광자층(160)의 투과축은 편광부(125)의 투과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제2 보호층(170)과 표면 처리층(180)은 편광자층(160)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 구조물(102)은 제2 영역(II)에 배치되는 편광부(125)를 포함하므로, 편광부(125)와 편광자층(160)에 의해서 표시 패널로부터 발생되어 제2 영역(II)을 통과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편광부(125)는 제2 영역(II)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주변 회로부를 관찰자로부터 은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 구조물(102)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프레임 및/또는 베젤 등의 추가적인 부재를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편광 구조물(104)은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0), 제2 접착층(141), 편광부(145), 제1 보호층(150),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0), 표면 처리층(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예시한 편광 구조물(104)에 있어서,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0), 제1 보호층(150),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0) 및 표면 처리층(180)은 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 구조물(100)의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0), 제1 보호층(150),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0) 및 표면 처리층(1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이들 부재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편광 구조물(104)은 제1 영역(I)과 제2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영역(II)은 제1 영역(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위상차층(120)은 제1 접착층(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접착층(141)은 제1 영역(I)의 위상차층(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부(145)는 제2 영역(II)의 위상차층(12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입사광 중에서 특정한 방향의 편광 성분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편광부(145)는 제2 접착층(14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부(145)는 제2 접착층(141)의 네 측면들에 모두 접촉되거나, 제2 접착층(141)의 네 측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편광부(145)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부(13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보호층(150)은 제2 접착층(141)과 편광부(14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자층(160)은 제1 보호층(15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특정한 방향의 편광 성분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편광자층(160)의 투과축은 편광부(145)의 투과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표면 처리층(180)은 제2 보호층(170)상에 배치되어 광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 구조물(104)은 제2 영역(II)에 배치되는 편광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부(145)와 편광자층(160)은 제2 영역(II)에서 광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편광부(145)는 제2 영역(II)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의 주변 영역(IV)에 배치되는 주변 회로부(도시되지 않음)를 사용자에게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 구조물(104)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프레임 및/또는 베젤이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편광 구조물(106)은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0), 제2 접착층(140), 제1 보호층(151), 편광부(155),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0), 표면 처리층(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편광 구조물(106)에 있어서,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0), 제2 접착층(140),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0) 및 표면 처리층(180)은 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 구조물(100)의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0), 제2 접착층(140),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0) 및 표면 처리층(1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편광 구조물(106)은 제1 영역(I)과 제1 영역(I)을 둘러싸는 제2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위상차층(120) 및 제2 접착층(140)이 제1 접착층(110) 상에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층(151)은 제1 영역(I)의 제2 접착층(14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보호층(151)의 상부에 배치되는 편광자층(16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보호층(151)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보호층(15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부(155)는 제2 영역(II)의 제2 접착층(14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보호층(15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편광부(155)는 투과축과 이에 직교하는 흡수축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투과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부(155)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띠의 형상, 실질적으로 타원형 띠의 형상, 실질적으로 원형 띠의 형상, 실질적으로 라인의 형상, 실질적으로 절곡된 라인의 형상, 실질적으로"U"자의 형상 등과 같은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편광자층(160)은 제1 보호층(151)과 편광부(155)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방향의 편광 성분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편광자층(160)은 그 상부에 배치된 제2 보호층(17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표면 처리층(180)이 제2 보호층(170)상에 배치되어 광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 구조물(106)은 제2 영역(II)에 배치되는 편광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 구조물(104)과 비교하여, 편광 구조물(106)은 편광부(145)의 위치만이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편광부(155)와 편광자층(160)은 제2 영역(II)을 통과하는 광을 차단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주변 회로부를 은폐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구조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편광 구조물(108)은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0), 제2 접착층(140), 제1 보호층(150),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1), 편광부(175), 표면 처리층(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한 편광 구조물(104)에 있어서,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0), 제2 접착층(140), 제1 보호층(150), 편광자층(160) 및 표면 처리층(180)은 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 구조물(102)의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0), 제2 접착층(140), 제1 보호층(150), 편광자층(160) 및 표면 처리층(18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편광 구조물(108)은 제1 영역(I)과 제2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위상차층(120), 제2 접착층(140), 제1 보호층(150) 및 편광자층(160)이 제1 접착층(110) 상에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호층(171)은 제1 영역(I)의 편광자층(16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편광자층(160)을 지지할 수 있다.
편광부(175)는 제2 영역(II)의 편광자층(16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방향의 편광 성분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편광부(175)의 투과축은 편광자층(160)의 투과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부(175)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띠의 형상, 실질적으로 타원형 띠의 형상, 실질적으로 원형 띠의 형상, 실질적으로 라인의 형상, 실질적으로 절곡된 라인의 형상, 실질적으로"U"자의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평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면 처리층(180)은 제2 보호층(171) 및 편광부(175) 상에 배치되어 광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 구조물(108)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 구조물(102)과 비교하여 편광부(175)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편광부(175)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제2 영역(II)에서 광을 차단하는 편광 구조물(108)의 광학적 특성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 구조물(108)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서 프레임 및/또는 베젤이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200)과 편광 구조물(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200)은 제1 기판(210), 스위칭 구조물(220), 유기 발광 구조물(230), 주변 회로부(240), 제2 기판(250), 실런트(sealant)(26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기판(210)의 제1 면 상에 편광 구조물(10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50) 사이에 스위칭 구조물(220), 유기 발광 구조물(230) 및 주변 회로부(240)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배면 발광 방식을 가질 경우, 편광 구조물(100)은 제1 기판(210)의 저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스위칭 구조물(220), 유기 발광 구조물(230), 주변 회로부(240) 등은 제1 기판(2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200)은 표시 영역(I)과 주변 영역(II)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영역(II)은 표시 영역(I)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표시 영역(I)에는 유기 발광 구조물(2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주변 영역(II)에는 주변 회로를 포함하는 주변 회로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210)은 투명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판(210)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플라스틱 기판, 투명 세라믹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기판(210)은 연성을 갖는 기판(flexible substrat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100)이 능동형 구동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상기 유기 발광 표시 패널(100)은 표시 영역(I)의 제1 기판(210)의 제2 면 상에 위치하는 스위칭 구조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칭 구조물(220)은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 소자 및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구조물(220)의 상기 스위칭 소자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위칭 소자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액티브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구조물(230)은 표시 영역(I)에서 스위칭 구조물(22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구조물(230)은 정공 수송층(HIL), 발광층(EL), 전자 수송층(ET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층은 상기 표시 장치의 색 화소 영역들에 따라 적색광(R), 녹색광(G), 청색광(B)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색광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광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회로부(240)는 주변 영역(II)의 제1 기판(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회로부(240)는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공통 전원 버스 라인, 구동 전원 라인 등과 같은 주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는 외부로부터의 신호를 입력 받아 유기 발광 구조물(2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주변 회로부(240)는 주변 영역(II)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주변 회로부(240)는 표시 영역(I)의 네 측면들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제1 기판(2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변 회로부(240)는 표시 영역(I)의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2 기판(250)은 제1 기판(210)의 제2 면에 실질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투명 물질 또는 불투명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판(250)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플라스틱 기판 등과 같은 투명 기판뿐만 아니라 금속 기판이나 금속 산화물 기판과 같은 불투명 기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실런트(sealant)(260)는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판(210)과 제2 기판(250)을 결합시키면서 밀봉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증기 또는 오염물의 침투에 의해 유기 발광 구조물(230)의 유기층들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100)은 배면 발광 방식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유기 발광 표시 패널(100)은 구성 요소들의 배치를 변경함에 따라 전면 발광 방식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편광 구조물(100)이 제1 기판(210)의 제1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 구조물(100)은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0), 기재층(130), 편광부(135), 제2 접착층(140), 제1 보호층(150),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1), 표면 처리층(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편광 구조물(1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 구조물(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편광 구조물(100)의 제1 영역(I)과 제2 영역(II)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200)의 표시 영역(III)과 주변 영역(IV)에 각기 대응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편광 구조물(1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편광 구조물이 이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 구조물들(102, 104, 106, 108) 중에서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편광자층(160)과 제2 영역(II)에 배치되며, 편광자층(160)의 투과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투과축을 가지는 편광부(125)를 포함하는 편광 구조물(102)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영역(II) 및 주변 영역(IV)에서 편광자층(160)과 편광부(125)에 의해서 광이 차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주변 영역(IV)은 검은 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주변 회로부(240)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회로부(240)를 은폐하기 위한 베젤 및/또는 프레임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차광막 등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며, 광을 차단하는 구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편광자층(160)을 마련한 후, 편광자층(160)의 상면 및 저면 상에 각기 보호층들 및 표면 처리층(180)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방향으로 평행한 투과층을 가지는 편광자층(160)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층(160)은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일측 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요오드 이온 또는 이색성 염료를 흡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요오드 이온 또는 상기 이색성 염료가 특정 방향으로 배향됨으로써, 편광자층(160)은 상기 투과축 및 흡수축을 가질 수 있다.
편광자층(160)의 상면 및 저면 상에 보호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편광자층(160)의 상면 및 저면 상에는 각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을 포함하는 제1 보호층(150) 및 제2 보호층(17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호층(170) 상에는 표면 처리층(18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층(150), 편광자층(160), 제2 보호층(170) 및 표면 처리층(180)은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서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미네이팅 공정은 롤투롤(roll-to-roll) 라미네이팅 공정, 시트투롤(sheet-to-roll) 라미네이팅 공정 및 시트투시트(sheet-to-sheet) 라미네이팅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보호층(150)의 저면 상에 위상차층(121)과 위상차층(12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편광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위상차층(121)은 복굴절성 필름,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ycloolefin polymer)를 용융시킨 후에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필름 형상으로 압출하고, 상기 필름을 열처리한 다음에 제1 영역(I)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위상차층(121)을 형성할 수 있다.
편광부(125)는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일측 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요오드 이온 또는 이색성 염료를 흡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필름을 제2 영역(II)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단하여 편광부(125)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부(125)의 두께는 위상차층(12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편광부(125)의 연신 방향은 편광자층(160)의 연신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편광부(125)는 위상차층(12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제1 보호층(150)의 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제1 보호층(150)과 위상차층(121) 사이에 제2 접착층(1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위상차층(121)의 저면 상에 제1 접착층(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호층(150)과 위상차층(121) 사이에 제2 접착층(140)이 개재될 수 있으며, 위상차층(121)의 저면 상에는 제1 접착층(1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접착층(110), 위상차층(121)과 편광부(125), 제2 접착층(140), 편광자층(160)과 제1 및 제2 보호층(150, 170), 및 표면 처리층(180)을 라미네이팅하여 편광 구조물(102)을 수득할 수 있다. 편광부(125) 및 위상차층(121)은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크기로 절단될 수 있기 때문에, 라미네이팅 공정은 시트투롤(sheet-to-roll) 라미네이팅 공정 또는 시트투시트(sheet-to-sheet) 라미네이팅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의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 구조물(10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편광 구조물을 수득할 수 있지만, 편광 구조물의 구성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한 제조 방법의 각 공정들의 자명한 변경을 통해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편광 구조물들(100, 104, 106, 108)을 수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 청구 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 구조물이 실질적으로 주변 영역인 제2 영역에 배치되는 편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부는 편광자층의 투과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투과축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2 영역을 통해 방출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막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편광 구조물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주변 회로부를 은폐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프레임(frame) 또는 베젤(bezel)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막을 형성할 필요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상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이 보다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통상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가전 제품, 전자 책 등과 같은 다양한 전기 및 전자 기기들에 적용 가능하다.
100, 102, 104, 106, 108: 편광 구조물
110: 제1 접착층 120, 121: 위상차층
125, 135, 145, 155, 175: 편광부
130: 기재층 140, 141: 제2 접착층
150, 151: 제1 보호층 160: 편광자층
170, 171: 제2 보호층 180: 표면 처리층
200: 유기 발광 표시 패널 210: 제1 기판
220: 제2 기판 230: 스위칭 구조물
240: 유기 발광 구조물 250: 주변 회로부

Claims (20)

  1. 입사광의 서로 직교하는 편광 성분들에 대해서 위상차를 부여하는 위상차층;
    상기 위상차층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자층;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는 편광부를 포함하는 편광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표시 장치의 주변 영역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광학적 등방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위상차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접착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제1 보호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층 상에 배치되는 제2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보호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제2 보호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는 다각형 띠의 형상, 타원형 띠의 형상, 원형 띠의 형상, 라인의 형상, 절곡된 라인의 형상 및 "U"자의 형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구조물.
  9.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기판의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발광 구조물;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주변 회로부; 및
    입사광의 서로 직교하는 편광 성분들에 대해서 위상차를 부여하는 위상차층;
    상기 위상차층 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며,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주변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자층; 및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는 편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광학적 등방성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기재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위상차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접착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보호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제1 보호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층 상에 배치되는 제2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보호층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편광부는 상기 제2 보호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는 다각형 띠의 형상, 타원형 띠의 형상, 원형 띠의 형상, 라인의 형상, 절곡된 라인의 형상 및 "U"자의 형상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입사광의 서로 직교하는 편광 성분들에 대해서 위상차를 부여하는 위상차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제1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는 편광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편광자층의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 상기 접착층 또는 상기 위상차층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투과축을 가지는 편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과 상기 접착층 사이, 상기 접착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 및 상기 보호층과 상기 편광자층 사이 중에서 하나에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편광부를 상기 제2 영역에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층의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편광부를 상기 제2 영역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상차층의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차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편광부를 상기 제2 영역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접착층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편광부를 상기 제2 영역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KR1020120007561A 2012-01-26 2012-01-26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30086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561A KR20130086701A (ko) 2012-01-26 2012-01-26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2229086A JP2013156620A (ja) 2012-01-26 2012-10-16 偏光構造物、偏光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偏光構造物を含む有機発光表示装置
US13/666,315 US8952599B2 (en) 2012-01-26 2012-11-01 Polarization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the structure
TW101142547A TWI577005B (zh) 2012-01-26 2012-11-15 偏光結構及其製造方法,以及具有該結構之有機發光顯示器
CN2013100194799A CN103226217A (zh) 2012-01-26 2013-01-18 偏振结构及其制造方法和有机发光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561A KR20130086701A (ko) 2012-01-26 2012-01-26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701A true KR20130086701A (ko) 2013-08-05

Family

ID=4883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561A KR20130086701A (ko) 2012-01-26 2012-01-26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52599B2 (ko)
JP (1) JP2013156620A (ko)
KR (1) KR20130086701A (ko)
CN (1) CN103226217A (ko)
TW (1) TWI5770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4620A (ko) * 2014-09-22 2016-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477B1 (ko) * 2012-10-22 2020-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형 유리기판 및 그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JP6032452B2 (ja) 2013-09-30 2016-11-3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光学素子
CN103682156B (zh) * 2013-12-10 2016-07-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器件及显示装置
CN103682157A (zh) * 2013-12-10 2014-03-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器件、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WO2016002617A1 (ja) * 2014-06-30 2016-01-07 住友化学株式会社 検出装置、検出方法、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WO2016002624A1 (ja) * 2014-06-30 2016-01-07 住友化学株式会社 検出装置、検出方法、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101802562B1 (ko) 2014-08-29 2017-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이를 위한 편광판용 보호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04656304B (zh) * 2015-02-13 2018-05-0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制作方法
JP6619619B2 (ja) * 2015-11-04 2019-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偏光子の製造方法
JP6661454B2 (ja) * 2016-04-21 2020-03-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表示装置、表示板の製造方法
KR102589214B1 (ko) * 2016-06-03 2023-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45108A (ko) * 2016-10-24 2018-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782458B (zh) * 2017-11-14 2020-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09709707B (zh) * 2019-01-31 2022-04-1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00145277A (ko) 2019-06-21 2020-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4020071A4 (en) * 2019-08-19 2022-09-0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OLDABLE DISPLAY SCREEN,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220015658A (ko) * 2020-07-31 2022-0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983746A (zh) * 2020-08-07 2020-11-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偏光片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5357A (en) * 1988-04-21 1994-11-15 Asahi Glass Company Ltd.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color filters and light blocking layers in the periphery
JPH0235185A (ja) * 1988-07-22 1990-02-05 Oiles Ind Co Ltd 窓などの透光部の遮光構造ならびにその遮光方法
US5150234A (en) * 1988-08-08 1992-09-22 Olympus Optical Co., Ltd. Imaging apparatus having electrooptic devices comprising a variable focal length lens
JP2002072186A (ja) 2000-08-24 2002-03-1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US7436473B2 (en) * 2002-11-27 2008-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34830B1 (ko) 2002-12-16 2009-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작방법 및 이에사용되는 플라스틱 기판 고정방법
US6936960B2 (en) * 2003-01-10 2005-08-30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s having improved contrast
TWI263091B (en) * 2003-02-27 2006-10-01 Innolux Display Corp A black matrix, color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JP4159446B2 (ja) * 2003-10-24 2008-10-01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Ips液晶表示素子の電極パターン
TWI238679B (en) * 2004-06-30 2005-08-21 Ind Tech Res Inst Organic electroluminescent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JP5226330B2 (ja) 2008-01-25 2013-07-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CN201583678U (zh) * 2009-07-07 2010-09-15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偏光片和液晶显示模组
JP5473506B2 (ja) * 2009-09-14 2014-04-16 ユー・ディー・シー アイルランド リミテッド カラーフィルタ及び発光表示素子
US8525405B2 (en) * 2011-08-19 2013-09-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glass polariz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4620A (ko) * 2014-09-22 2016-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56620A (ja) 2013-08-15
TWI577005B (zh) 2017-04-01
CN103226217A (zh) 2013-07-31
TW201332099A (zh) 2013-08-01
US20130193832A1 (en) 2013-08-01
US8952599B2 (en) 2015-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6701A (ko)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395471B2 (en) Display device
KR20130061277A (ko)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336189B2 (en) Polarizer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3581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polarizing plate
KR102055004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091814B2 (en) Optical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0890994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color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20130194281A1 (en) Moisture Barrier for Electronic Devices
KR102062754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224979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424587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62886B1 (ko) 나노캡슐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201510816A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102114789B1 (ko)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CN107256881B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160120837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353621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837503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485632B1 (ko) 표시장치
KR20170079633A (ko) 양면 발광형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60087482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24804A (ko) 표시 장치
KR20210017366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79520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