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840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840A
KR20120115840A KR1020110033395A KR20110033395A KR20120115840A KR 20120115840 A KR20120115840 A KR 20120115840A KR 1020110033395 A KR1020110033395 A KR 1020110033395A KR 20110033395 A KR20110033395 A KR 20110033395A KR 20120115840 A KR20120115840 A KR 20120115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layer
light emitting
inorganic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476B1 (ko
Inventor
이소영
조윤형
오민호
이병덕
조상환
김용탁
정윤아
송승용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3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476B1/ko
Priority to US13/298,118 priority patent/US9070889B2/en
Publication of KR20120115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8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30Organic light-emitting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9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되며 제1 전극과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유기 발광 소자를 덮으며 기판 위에 형성된 봉지층을 포함한다. 봉지층은 유기막과 무기막을 포함한다. 유기막과 무기막의 경계에 유기막을 이루는 유기물과 무기막을 이루는 무기물이 봉지층의 면 방향을 따라 혼재되어 위치하는 혼합 영역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의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하는 봉지층을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는 자발광 특성을 가지므로 별도의 광원이 필요 없어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빠른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낸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두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가 위치한다. 유기 발광 소자가 외부의 수분과 산소에 노출되면 표시 기능과 수명 특성이 저하되므로 표시부 위에 봉지층을 형성하여 표시부를 밀봉시키고 있다. 봉지층은 유기막과 무기막을 여러번 교대로 증착한 다층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봉지층을 구성하는 유기막과 무기막의 구조를 개선하여 봉지층의 밀봉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되며 제1 전극과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와, 유기 발광 소자를 덮으며 기판 위에 형성된 봉지층을 포함한다. 봉지층은 유기막과 무기막을 포함하며, 유기막과 무기막의 경계에 유기막을 이루는 유기물과 무기막을 이루는 무기물이 봉지층의 면 방향을 따라 혼재되어 위치하는 혼합 영역이 형성된다.
유기막은 표면에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고, 무기막은 복수의 홈부를 채우면서 유기막 바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에서 복수의 홈부는 서로간 거리를 두고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에서 홈부의 폭은 1㎚ 내지 5㎛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유기막에서 홈부의 깊이는 1㎚ 내지 5㎛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유기막은 복수의 홀을 형성하고, 무기막은 복수의 홀을 채우면서 유기막 바로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에서 복수의 홀은 서로간 거리를 두고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에서 홀의 크기는 1㎚ 내지 5㎛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및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과 무기막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유기막 위에 무기막이 적층되는 경계마다 혼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 위에 제1 전극과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와, 유기 발광 소자 위에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유기물과 식각 대상 입자들을 포함하는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식각 대상 입자들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유기막에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유기막 바로 위에 무기막을 형성하여 복수의 홈부를 무기물로 채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식각 대상 입자들은 유기 콜로이드 입자들, 무기 콜로이드 입자들, 및 금속 콜로이드 입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식각 대상 입자들은 탄소 나노튜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식각 대상 입자들은 분산 과정을 거쳐 유기물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식각 대상 입자들은 플라즈마 에칭에 의해 식각될 수 있다.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유기막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봉지층을 구성하는 유기막과 무기막의 결합력을 높여 막 탈락 현상을 예방하고, 유기막과 무기막의 경계를 따라 외기의 수분과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여 봉지층의 밀봉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막과 무기막의 경계면에서 내부 반사를 줄여 광 추출 효율을 높이고, 외광을 굴절시켜 외광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봉지층 가운데 유기막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봉지층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봉지층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b에 도시한 제2 단계를 거친 유기막을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과 막 또는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기판(10)과, 기판(10) 위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20)와, 유기 발광 소자(20)를 덮으며 기판(10) 위에 형성된 봉지층(30)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20)는 제1 전극(21)과 발광층(22) 및 제2 전극(23)을 포함한다. 봉지층(30)은 유기막(31)과 무기막(32)을 포함하며,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경계에 혼합 영역(A10)이 위치한다.
기판(10)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은 기계적 강도, 열적 안정성, 투명성, 표면 평탄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 위에는 수분과 산소 침투를 차단하는 베리어막(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다. 베리어막은 무기막과 유기막 중 어느 하나 또는 무기막과 유기막의 적층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 위에 유기 발광 소자(20)가 위치한다. 유기 발광 소자(20)는 제1 전극(21)과 발광층(22) 및 제2 전극(23)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전극(21)과 제2 전극(23) 중 어느 하나는 정공 주입 전극으로 기능하고, 다른 하나는 전자 주입 전극으로 기능한다.
제1 전극(21)과 제2 전극(23)은 투명 전극, 반투명 전극, 또는 반사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21)이 투명 전극이고 제2 전극(23)이 반사 전극일 때 발광층(22)의 빛은 제2 전극(23)에 의해 반사되고 제1 전극(21)과 기판(10)을 투과해 외부로 방출된다. 반대로 제1 전극(21)이 반사 전극이고 제2 전극(23)이 투명 전극일 때 발광층(22)의 빛은 제1 전극(21)에 의해 반사되고 제2 전극(23)과 봉지층(30)을 투과해 외부로 방출된다.
제1 전극(21)과 제2 전극(23) 사이에는 발광층(22) 이외에도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가운데 하나 이상의 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1)과 제2 전극(23)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발광층(22)으로 전자와 정공이 주입되고,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생성하며, 여기자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실제 기판(10) 상의 표시부에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가 위치한다. 각각의 유기 발광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부에 연결되어 구동 회로부에 의해 발광이 제어된다. 도 1에서는 편의상 구동 회로부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표시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를 하나로 개략화하여 도시하였다.
봉지층(30)은 유기 발광 소자(20)를 밀봉시켜 외기의 수분과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20)를 보호한다. 봉지층(30)은 복수의 유기막(31)과 복수의 무기막(32)을 포함하고, 유기막(31)과 무기막(32)이 하나씩 교대로 적층되어 봉지층(30)을 구성한다. 무기막(32)은 수분과 산소 침투를 방지하고, 유기막(31)은 무기막(32)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며 무기막(32)의 미세 크랙 및 핀홀 등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
봉지층(30)의 내부에는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경계가 복수개로 존재한다. 이 경계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에 유기막(31)을 이루는 유기물과 무기막(32)을 이루는 무기물이 봉지층(30)의 면 방향을 따라 혼재되어 위치하는 혼합 영역(A10)이 형성된다. 여기서, 봉지층(30)의 '면 방향'은 유기막(31) 또는 무기막(32)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도 1의 가로 방향)을 의미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봉지층 가운데 유기막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봉지층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유기막(31)의 표면에는 복수의 홈부(33)가 형성된다. 복수의 홈부(33)는 서로간 거리를 두고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즉, 홈부(33)는 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속된 모양으로 형성되지 않고 미세한 점의 형태로 개별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홈부(33)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여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홈부(33) 중 어느 하나의 홈부(33)는 다른 하나의 홈부(33)와 크기, 모양, 깊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복수의 홈부(33)는 규칙적으로 배치되거나 정해진 규칙 없이 임의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홈부(33)가 임의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홈부(33) 사이의 거리는 정해진 편차를 벗어나지 않는다.
무기막(32)은 유기막(31)에 형성된 복수의 홈부(33)를 채우며 유기막(31) 바로 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무기막(32)의 일부는 복수의 홈부(33)를 완전히 채우는 돌기의 형상을 가지며, 무기막(32)의 다른 일부는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는 막의 형상을 가진다.
봉지층(30)의 단면을 관찰할 때, 봉지층(30)은 유기물로만 이루어진 유기물 영역(A20)(도 3 참조)과,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재하는 혼합 영역(A10)과, 무기물로만 이루어진 무기물 영역(A30)으로 구분된다. 유기물 영역(A20)과 혼합 영역(A10) 및 무기물 영역(A30)은 봉지층(30)의 두께 방향(도 3의 세로 방향)을 따라 위치한다. 혼합 영역(A10)의 두께는 홈부(33)의 평균 깊이와 같을 수 있다.
봉지층(30)의 혼합 영역(A10)에서 유기막(31)을 이루는 유기물과 무기막(32)을 이루는 무기물은 봉지층(30)의 면 방향을 따라 혼재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의 홈부(33)를 관통하는 봉지층(30)의 면 방향(도 3의 A선 참조)을 따라 유기물과 무기물은 하나씩 교대로 위치한다.
봉지층(30)에서 유기막(31)과 무기막(32)은 봉지층(30)의 두께 방향을 따라 하나씩 교대로 위치하고, 봉지층(30)의 면 방향 중 서로 교차하는 두 방향을 따라 유기물과 무기물이 교대로 위치한다. 서로 교차하는 두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두 방향(예를 들어 도 2의 가로 방향과 도 2의 세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봉지층(30)은 유기물과 무기물이 세 방향을 따라 번갈아 위치하는 3차원 교차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다.
만일 유기막과 무기막이 모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유기막과 무기막 사이에 혼합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유기막과 무기막이 뚜렷한 경계를 두고 분리되어 막 탈락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유기막과 무기막의 경계를 따라 외기에 포함된 수분과 산소가 봉지층의 내부로 침투하여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봉지층(30)은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3차원 교차 네트워크 구조로 인해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경계를 복잡하게 엉키게 만든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봉지층(30)은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결합력을 높여 막 탈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경계를 따라 외기의 수분과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홈부(33)의 크기(폭)는 1㎚ 내지 5㎛의 범위에 속할 수 있고, 홈부(33)의 깊이 또한 1㎚ 내지 5㎛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홈부(33)의 크기와 깊이가 1㎚ 미만인 경우 3차원 교차 네크워크 구조가 미약하게 형성되어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결합력을 높이는 효과가 적게 발휘될 수 있다. 홈부(33)의 크기와 깊이가 5㎛을 초과하면 다음에 설명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에서 식각 대상 입자들의 분산이 어려워질 수 있다. 홈부(33) 사이의 거리는 유기막(31)의 분산 조건 및 분산 밀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유기막(31)과 무기막(32)은 거칠기를 가지므로 굴절률 변화를 일으켜 광 효율을 향상시킨다.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유기 발광 소자(20)에서 방출된 빛이 봉지층(30)을 투과할 때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경계면에서 내부 반사를 줄여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외광이 봉지층(30)에 입사할 때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경계면에서 외광을 굴절시키므로 외광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광 추출 효율은 화면의 휘도 향상을 의미하며, 외광 반사 억제는 화면의 콘트라스트 개선으로 이어진다.
전술한 유기막(31)은 1.2 내지 2.0의 범위에 속하는 굴절률을 나타내며, 무기막(32)은 1.3 내지 2.2의 범위에 속하는 굴절률을 나타낸다. 광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굴절률 차이는 0.1 이상으로 설정되고,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굴절률 차이가 클수록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유기막(31)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기막(31)은 같은 물질을 포함하거나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유기막(31)은 다양한 방법으로 그 표면에 복수의 홈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홈부(33)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무기막(32)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및 실리콘 산화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무기막(32)은 같은 물질을 포함하거나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봉지층(30)이 세 개의 유기막(31)과 세 개의 무기막(32)을 포함하고, 유기막(31) 바로 위에 무기막(32)이 적층되는 경계마다 혼합 영역(A10)이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그러나 유기막(31)과 무기막(32)의 개수와 형성 위치 및 혼합 영역(A10)의 적층 개수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한편, 유기막(31)에는 복수의 홈부(33)와 복수의 홀이 같이 형성되거나, 복수의 홈부(33) 대신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복수의 홀(34)이 유기막(31)에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이 경우 봉지층(30)의 단면을 관찰할 때, 봉지층(30)은 유기물과 무기물이 봉지층(30)의 면 방향을 따라 혼재되어 위치하는 혼합 영역(A10)과, 무기물로만 이루어진 무기물 영역(A30)으로 구분된다. 즉, 유기막(31)은 유기물 영역 없이 혼합 영역(A10)에서 무기막(32)과 함께 위치한다. 유기막(31)에 복수의 홀(34)이 형성된 경우에도 유기막(31)은 봉지층(30)의 평탄성을 유지시키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기능은 동일하게 유지한다. 유기막(31)에서 홀의 크기(폭)는 전술한 홈부와 동일하게 1㎚ 내지 5㎛의 범위에 속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제조 방법은 기판(10) 위에 제1 전극(21)과 발광층(22) 및 제2 전극(23)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유기 발광 소자(20) 위에 봉지층(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봉지층(30)을 형성하는 단계는, 유기물과 식각 대상 입자들을 포함하는 유기막(31)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유기막(31)에 포함된 식각 대상 입자들을 선택 식각하여 복수의 홈부(33)를 형성하는 제2 단계와, 유기막(31) 바로 위에 무기막(32)을 형성하여 복수의 홈부(33)를 무기물로 채우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기판(10) 위에 유기 발광 소자(20)를 형성한다. 유기 발광 소자(20)는 제1 전극(21)과 발광층(22) 및 제2 전극(23)을 포함한다. 물론 기판(10)과 유기 발광 소자(20) 사이에 베리어막(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으며, 기판(10)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구동 회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구동 회로부는 유기 발광 소자(20)와 연결되어 유기 발광 소자(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어서 유기 발광 소자(20)를 덮도록 유기막(31)을 형성한다(제1 단계). 유기막(31)은 유기물(35)과 식각 대상 입자들(36)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유기막(31)은 통상의 성막 방법, 예를 들어 코팅 및 열처리, 진공 증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물(35)과 식각 대상 입자들(36)은 특정 에천트에 대해 서로 다른 식각률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특정 에천트에 대해 식각 대상 입자들(36)은 높은 식각률을 보이는 반면 유기물(35)은 낮은 식각률을 보인다. 이로써 유기막(31)이 특정 에천트에 노출되면 유기막(31) 중 유기물(35)은 남고 식각 대상 입자들(36)이 선택적으로 식각된다.
식각 대상 입자들(36)의 크기는 형성하고자 하는 홈부(33)의 크기와 동일하며, 형성하고자 하는 홈부(33)의 밀도에 맞추어 유기물(35)에 대한 식각 대상 입자들(36)의 함량이 정해진다. 식각 대상 입자들(36)은 유기 콜로이드 입자들, 무기 콜로이드 입자들, 또는 금속 콜로이드 입자들, 또는 탄소 나노튜브일 수 있다.
유기 콜로이드 입자들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및 폴리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polyglycidylmethacryl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콜로이드 입자들은 SiO2, TiO2, ZnO, 및 Zr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콜로이드 입자들은 Cu, Ag, Au, 및 F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콜로이드 입자들은 10-5cm 내지 10-7cm의 크기를 가진다. 콜로이드 입자들은 분산성이나 정전기적 특성 등의 조절을 위해 다양한 기능기를 가질 수 있으며, 단량체(monomer), 이합체(dimer), 또는 삼량체(trimer)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식각 대상 입자들(36)은 유기물(35)에 고르게 섞여 분산된다. 유기물(35)과 식각 대상 입자들(36)을 고르게 혼합시키기 위해 초음파 장치 또는 분쇄기와 같은 기계적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참고하면, 유기막(31)에 포함된 식각 대상 입자들(36)을 선택 식각한다(제2 단계). 그러면 식각 대상 입자들(36)이 제거되면서 식각 대상 입자들(36)이 있던 자리에 복수의 홈부(33)가 형성된다. 선택 식각은 여러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즈마 에칭법이 사용될 수 있다.
플라즈마 에칭법은 플라즈마에 의해 활성화된 라디칼과 전자 등을 이용하여 식각하는 방법이다. 유기막(31)을 챔버 내부에서 증착하고 플라즈마 에칭법을 적용하는 경우, 투입 가스와 압력, 인가 전압 등의 공정 조건만을 변경하여 같은 챔버 내부에서 연속 공정으로 유기막(31)에 포함된 식각 대상 입자들(36)을 선택적으로 식각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식각 대상 입자들(36)이 고르게 분산되어 위치함에 따라, 홈부(33) 사이의 거리는 정해진 편차를 벗어나지 않는다. 한편, 유기막(31)에 포함된 식각 대상 입자들(36)의 크기 및 유기막(31)의 두께 등에 따라 선택 식각 후 유기막(31)에는 복수의 홈부(33)와 복수의 홀이 같이 형성되거나, 복수의 홈부(33) 대신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단계에서 유기물(35)로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은(Ag) 콜로이드 입자들을 혼합하고, 제2 단계에서 플라즈마 에칭으로 은(Ag) 콜로이드 입자들을 선택 식각하는 과정을 거친 유기막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의 (A), (B), (C)는 은(Ag) 콜로이드 입자들의 크기와 분산 밀도를 다르게 적용하여 완성된 여러 홈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단계와 제2 단계를 거친 유기막은 그 표면에 복수의 홈부를 미세한 점의 형태로 독립적으로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c를 참고하면, 유기막(31) 바로 위에 무기막(32)을 형성하여 복수의 홈부(33)를 무기물로 채운다(제3 단계). 무기막(32)은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유기막(31)과 무기막(32) 사이에 유기물과 무기물이 봉지층(30)의 면 방향을 따라 혼재되어 위치하는 혼합 영역(A10)이 형성되고, 유기물과 무기물은 3차원 교차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한다.
전술한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한 번 이상 반복하여 복수의 유기막(31)과 복수의 무기막(32)을 포함하는 봉지층(30)을 형성한다(도 1 참조). 이러한 봉지층(30)을 구비한 본 실시예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봉지층(30)의 막 탈락 현상을 예방하고, 유기 발광 소자(20)를 향한 수분과 산소 침투를 차단하여 밀봉 성능을 높이며, 내부 반사와 외광 반사를 줄여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기판
20: 유기 발광 소자 21: 제1 전극
22: 발광층 23: 제2 전극
30: 봉지층 31: 유기막
32: 유기막 33: 홈부
34: 홀 35: 유기물
36: 식각 대상 입자들

Claims (17)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며 제1 전극과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덮으며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봉지층
    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층은 유기막과 무기막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막과 상기 무기막의 경계에 상기 유기막을 이루는 유기물과 상기 무기막을 이루는 무기물이 상기 봉지층의 면 방향을 따라 혼재되어 위치하는 혼합 영역이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은 표면에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무기막은 상기 복수의 홈부를 채우면서 상기 유기막 바로 위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에서 상기 복수의 홈부는 서로간 거리를 두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에서 상기 홈부의 폭은 1㎚ 내지 5㎛의 범위에 속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에서 상기 홈부의 깊이는 1㎚ 내지 5㎛의 범위에 속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은 복수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무기막은 상기 복수의 홀을 채우면서 상기 유기막 바로 위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에서 상기 복수의 홀은 서로간 거리를 두고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에서 상기 홀의 크기는 1㎚ 내지 5㎛의 범위에 속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막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및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과 상기 무기막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유기막 위에 상기 무기막이 적층되는 경계마다 상기 혼합 영역이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기판 위에 제1 전극과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위에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유기물과 식각 대상 입자들을 포함하는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각 대상 입자들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유기막에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기막 바로 위에 무기막을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홈부를 무기물로 채우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대상 입자들은 유기 콜로이드 입자들, 무기 콜로이드 입자들, 및 금속 콜로이드 입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바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 대상 입자들은 탄소 나노튜브들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각 대상 입자들은 분산 과정을 거쳐 상기 유기물에 고르게 분산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식각 대상 입자들은 플라즈마 에칭에 의해 식각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유기막은 적어도 하나의 홀을 형성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10033395A 2011-04-11 2011-04-1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3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395A KR101873476B1 (ko) 2011-04-11 2011-04-1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3/298,118 US9070889B2 (en) 2011-04-11 2011-11-16 OLED display having organic and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395A KR101873476B1 (ko) 2011-04-11 2011-04-1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840A true KR20120115840A (ko) 2012-10-19
KR101873476B1 KR101873476B1 (ko) 2018-07-03

Family

ID=4696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395A KR101873476B1 (ko) 2011-04-11 2011-04-1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70889B2 (ko)
KR (1) KR10187347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853A (ko) * 2013-02-07 2014-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플렉서블 기판의 제조 방법,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60032800A (ko) * 2014-09-16 2016-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373813B2 (en) 2013-02-14 2016-06-2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70041339A (ko) * 2015-10-06 2017-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7911A (ko) * 2015-11-17 2017-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9831468B2 (en) 2013-02-14 2017-11-2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08511630A (zh) * 2018-05-31 2018-09-0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器件
CN109755407A (zh) * 2017-11-08 2019-05-14 三星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
CN110993826A (zh) * 2019-12-19 2020-04-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显示面板、显示装置
CN112017539A (zh) * 2020-08-07 2020-12-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封装膜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以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586B1 (ko) * 2011-04-05 2018-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73476B1 (ko) 2011-04-11 2018-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18548A (ko) * 2012-08-02 2014-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효율이 향상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4038158A1 (ja) * 2012-09-04 2014-03-13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139985A1 (en) * 2012-11-12 2014-05-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nvironmental sensitive electronic device package
CN103855320B (zh) * 2012-11-30 2016-12-21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TWI492374B (zh) * 2012-12-03 2015-07-11 Au Optronics Corp 電激發光顯示面板
KR101980771B1 (ko) * 2012-12-31 2019-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1100B1 (ko) * 2013-01-09 2019-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037351A (zh) * 2013-03-07 2014-09-10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KR102044923B1 (ko) * 2013-04-15 2019-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89372B1 (ko) * 2013-05-21 2016-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봉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CN104752631B (zh) * 2013-12-26 2017-02-22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的封装结构及封装方法
CN103887446A (zh) * 2014-03-10 2014-06-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器件的封装结构及其封装方法、发光器件
KR102245771B1 (ko) * 2014-07-29 2021-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53750A (ko) * 2014-10-29 2016-05-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밀봉재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보호층,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42909B1 (ko) * 2015-03-02 2022-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4900812A (zh) * 2015-04-23 2015-09-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薄膜封装结构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05118927A (zh) * 2015-07-01 2015-12-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oled薄膜封装结构及其封装方法、显示装置
CN105140417A (zh) * 2015-08-20 2015-1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器件及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05047165A (zh) 2015-08-28 2015-11-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基于rgbw的驱动电路以及平面显示器
US10074826B2 (en) * 2015-10-06 2018-09-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5206763B (zh) * 2015-10-21 2018-0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器及其制造方法
CN105552246A (zh) * 2015-12-07 2016-05-0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柔性显示装置的制作方法
KR102470258B1 (ko) * 2015-12-22 2022-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449121B (zh) * 2016-01-13 2017-08-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器件的封装方法、oled封装器件及显示装置
CN105679800B (zh) * 2016-01-27 2019-08-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屏及其制备方法、显示设备
CN105810845B (zh) 2016-05-17 2018-05-2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器件封装结构、oled器件及显示屏
CN105870355A (zh) * 2016-05-27 2016-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oled器件及其制备方法
CN105938873A (zh) 2016-07-01 2016-09-1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586045B1 (ko) * 2016-07-12 202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129267B (zh) 2016-08-02 2018-01-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薄膜封装结构及其制作方法
CN106328826B (zh) * 2016-10-24 2019-04-3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6410062A (zh) * 2016-11-07 2017-02-1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封装层及封装器件
CN106450031B (zh) * 2016-11-07 2019-02-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薄膜封装的oled器件以及oled器件的薄膜封装方法
CN106711347A (zh) * 2016-12-28 2017-05-2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oled器件及其基板
CN108630822B (zh) * 2017-03-24 2020-06-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顶发射oled器件的组件和顶发射oled器件
CN109427995B (zh) * 2017-08-31 2020-04-17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器件
CN107658388B (zh) * 2017-09-27 2020-03-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CN108962023B (zh) * 2017-11-30 2021-04-16 Tcl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器件及其制备方法
CN110085740B (zh) * 2018-01-25 2022-01-11 绵阳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柔性基板及其制作方法、面板以及电子装置
CN108565360A (zh) * 2018-04-10 2018-09-2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08666440A (zh) * 2018-04-23 2018-10-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oled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08470854A (zh) * 2018-04-25 2018-08-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W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0492015B (zh) * 2018-05-15 2022-03-01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封装结构及制备方法
CN108899438A (zh) * 2018-06-21 2018-11-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08878680A (zh) * 2018-06-26 2018-11-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封装型显示器件及显示面板
CN109065760B (zh) * 2018-08-22 2021-04-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及封装方法、显示装置
CN109192878B (zh) * 2018-08-30 2019-11-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
CN109309176B (zh) * 2018-08-30 2020-09-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基板的制备方法及其显示基板
CN109273505B (zh) * 2018-09-28 2020-08-04 霸州市云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柔性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09273507B (zh) * 2018-09-30 2020-06-05 霸州市云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EP3874547A4 (en) * 2018-11-01 2022-06-2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CN208753371U (zh) * 2018-11-02 2019-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523922B (zh) * 2018-12-14 2021-08-1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模组、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6814230B2 (ja) * 2019-01-11 2021-01-13 株式会社Joled 発光パネル、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9817830A (zh) * 2019-01-31 2019-05-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US20200286742A1 (en) * 2019-03-06 2020-09-10 Kateeva, Inc. Remote plasma etch using inkjet printed etch mask
CN110444116B (zh) * 2019-07-16 2021-07-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基板及其制备方法
CN110518143A (zh) * 2019-08-19 2019-11-2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0518145B (zh) * 2019-08-28 2022-02-2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薄膜封装结构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
CN110690358A (zh) * 2019-09-05 2020-01-1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10635014B (zh) * 2019-09-25 2022-01-2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柔性盖板及显示面板
KR20210079898A (ko) * 2019-12-20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0993828A (zh) * 2020-01-03 2020-04-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
CN111430569A (zh) * 2020-03-31 2020-07-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封装层及其制备方法
CN111613735B (zh) * 2020-06-03 2024-04-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或照明装置
CN112151693A (zh) * 2020-09-27 2020-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335402A (zh) * 2020-10-12 2022-04-12 上海和辉光电股份有限公司 柔性基板气泡修复方法、柔性基板及柔性显示面板
CN112162424A (zh) * 2020-10-15 2021-01-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12802978A (zh) * 2021-01-08 2021-05-1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3299696B (zh) * 2021-05-06 2024-03-0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曲面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091B1 (ko) 1996-11-29 2000-04-15 구본준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액정표시장치
US6413645B1 (en) 2000-04-20 2002-07-0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Ultrabarrier substrates
JP2001274293A (ja) * 2000-03-24 2001-10-05 Hitachi Chem Co Ltd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素子搭載用基板
KR100897771B1 (ko) 2001-03-13 2009-05-15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막형성방법 및 막형성장치
KR100387723B1 (ko) 2001-04-11 2003-06-18 주식회사 엘리아테크 복수의 밀봉층을 가지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제조방법
KR100421480B1 (ko) 2001-06-01 2004-03-1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절연막의 표면처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제조방법
US20040229051A1 (en) 2003-05-15 2004-11-18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layer coating package on flexible substrates for electro-optical devices
JP3910926B2 (ja) * 2003-02-26 2007-04-25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用透明基板の製造方法
SG142140A1 (en) 2003-06-27 2008-05-28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6969634B2 (en) 2003-09-24 2005-11-29 Lucent Technologies Inc. Semiconductor layers with roughness patterning
KR100992141B1 (ko) 2003-11-19 201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0611148B1 (ko) 2003-11-25 2006-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553765B1 (ko) 2004-06-10 2006-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80157065A1 (en) 2004-08-03 2008-07-03 Ahila Krishnamoorthy Compositions, layers and films for optoelectronic devices,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s thereof
KR20070049211A (ko) 2004-09-30 2007-05-1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JP4511440B2 (ja) 2004-10-05 2010-07-28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発光素子及び有機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1085443B1 (ko) 2004-10-08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보호막 및 박막 보호막을 갖는 표시기판
JP4578958B2 (ja) 2004-12-16 2010-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563625B2 (en) 2005-01-11 2009-07-21 SemiLEDs Opto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king light-emitting diodes (LEDs) with improved light extraction by roughening
JP4696796B2 (ja) 2005-09-07 2011-06-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KR100695169B1 (ko) 2006-01-11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101326135B1 (ko) 2006-11-27 2013-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8725B1 (ko) 2007-03-26 2014-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75099B1 (ko) * 2007-06-05 2008-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9039212A1 (en) 2007-09-21 2009-03-26 Bridgelux, Inc. Light-emitting diode chip with high extra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091096A1 (en) * 2008-02-15 2009-08-19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Encapsula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7781780B2 (en) 2008-03-31 2010-08-24 Bridgelux, Inc. Light emitting diodes with smooth surface for reflective electrode
KR101572259B1 (ko) 2008-09-03 2015-1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FR2936651B1 (fr) 2008-09-30 2011-04-0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optoelectronique organique et son procede d'encapsulation.
US8405233B2 (en) 2009-01-14 2013-03-26 Dow Corning Corporation Flexible barrier film, method of forming same,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JP5424738B2 (ja) 2009-06-23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10054841A (ko) 2009-11-18 2011-05-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58123A (ko) 2009-11-25 2011-06-0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236615B2 (en) 2009-11-25 2012-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ssivation layer surface topography modifications for improved integrity in packaged assemblies
KR101097330B1 (ko) 2010-01-19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 하는 방법
CN102844196B (zh) 2010-04-20 2015-06-10 米兰集团 用于平版印刷板的基材、其制备方法及其回收处理方法
KR101671793B1 (ko) 2010-07-01 2016-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764272B1 (ko) 2010-12-02 2017-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5049A (ko) * 2010-12-10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224983B2 (en) 2010-12-20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bstrate for surfac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bstrate, surface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apparatus, and backlight including the same
CN109390496B (zh) * 2011-02-07 2021-06-15 应用材料公司 用于封装有机发光二极管的方法
TWI577066B (zh) * 2011-02-08 2017-04-01 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二極體的混合式封裝方法
KR101873476B1 (ko) 2011-04-11 2018-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8907560B2 (en) 2011-05-12 2014-12-0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Dynamic OLED lighting
US8466484B2 (en) 2011-06-21 2013-06-18 Kateeva, Inc. Materials and methods for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microcavity
KR20130006936A (ko) * 2011-06-27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312511B2 (en) 2012-03-16 2016-04-1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Edge barrier film for electronic devices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0853A (ko) * 2013-02-07 2014-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기판, 플렉서블 기판의 제조 방법,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0297791B2 (en) 2013-02-14 2019-05-2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831468B2 (en) 2013-02-14 2017-11-2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778854B2 (en) 2013-02-14 2023-10-0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489142B2 (en) 2013-02-14 2022-11-0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644264B2 (en) 2013-02-14 2020-05-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245098B2 (en) 2013-02-14 2022-02-0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128464B2 (en) 2013-02-14 2018-11-1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944076B2 (en) 2013-02-14 2021-03-0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373813B2 (en) 2013-02-14 2016-06-2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in film encapsulatio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60032800A (ko) * 2014-09-16 2016-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41339A (ko) * 2015-10-06 2017-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7911A (ko) * 2015-11-17 2017-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974453B2 (en) 2015-11-17 2024-04-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block members having different heights
KR20190052738A (ko) * 2017-11-08 2019-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9755407A (zh) * 2017-11-08 2019-05-14 三星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
CN109755407B (zh) * 2017-11-08 2023-08-01 三星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
CN108511630A (zh) * 2018-05-31 2018-09-0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器件
CN110993826B (zh) * 2019-12-19 2021-12-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显示面板、显示装置
CN110993826A (zh) * 2019-12-19 2020-04-1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显示面板、显示装置
CN112017539A (zh) * 2020-08-07 2020-12-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封装膜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以及电子设备
CN112017539B (zh) * 2020-08-07 2022-11-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封装膜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以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476B1 (ko) 2018-07-03
US20120256202A1 (en) 2012-10-11
US9070889B2 (en)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47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4258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634468B (zh) 透明顯示裝置
KR102656146B1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WO2018082168A1 (zh) 薄膜封装的oled器件以及oled器件的薄膜封装方法
CN106450036B (zh) Oled器件封装结构、oled器件及显示屏
US11316131B2 (en) OLED display panel having multi-groove retaining walls
CN108962953A (zh) Oled显示面板及oled显示器
CN208904069U (zh) 一种显示基板和显示装置
KR20120057286A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367170B2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irregularities located on a first light transmissive substrate and a second light transmissive substrate
CN108598108A (zh) 柔性面板及其制造方法及显示装置
KR2013006120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391349B (zh)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1341816A (zh) 一种显示面板、显示面板制程方法及显示装置
CN108493351A (zh) 薄膜封装结构、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制备方法
WO2021075156A1 (ja) 発光素子、表示装置および発光素子の製造方法
CN107112434A (zh) 有机发光二极管
KR101765183B1 (ko) 발광장치용 광추출층 및 그 형성방법
KR101631729B1 (ko) 유기 복사 방출 소자 제조 방법 및 유기 복사 방출 소자
CN105789259B (zh) 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213425016U (zh) 一种封装结构
CN111162188A (zh) 薄膜封装结构及其制备方法和显示面板
KR101699275B1 (ko) 유기발광소자용 광추출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608335B1 (ko) 유기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