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771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771B1
KR101980771B1 KR1020120158142A KR20120158142A KR101980771B1 KR 101980771 B1 KR101980771 B1 KR 101980771B1 KR 1020120158142 A KR1020120158142 A KR 1020120158142A KR 20120158142 A KR20120158142 A KR 20120158142A KR 101980771 B1 KR101980771 B1 KR 101980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light emitting
blue light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629A (ko
Inventor
박은정
김상대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771B1/ko
Priority to GB1321301.2A priority patent/GB2510467B/en
Priority to CN201310665306.4A priority patent/CN103915472B/zh
Priority to US14/132,237 priority patent/US9203055B2/en
Priority to DE102013114455.1A priority patent/DE102013114455B4/de
Publication of KR20140087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1Aromatic anhydride or imide compounds, e.g. peryle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 or perylene tetracarboxylic di-imi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색재현율 및 고효율을 얻을 수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마주보는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 상에 형성되는 캡핑층과; 상기 캡핑층 상에 무기 배리어층과 유기 배리어층이 적어도 1 회 교번되게 형성되는 전면 실링층을 구비하며, 상기 청색 발광층에 포함된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이 465nm이하이며, 상기 청색 발광층에서 생성되어 상기 전면 실링층 또는 상기 기판을 통해 출사되는 청색광의 CIE색좌표에서 y좌표는 0.05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색재현율 및 고효율을 얻을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 중 하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평판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구비하며,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유기 발광층 내에서 재결합하여 정공-전자쌍인 여기자를 형성하고, 다시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돌아오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
유기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캡핑층을 이용한 마이크로 캐비티(microcavity)가 이용되고 있다. 즉, 캡핑층과, 캡핑층 상에 위치하는 외부 공기층 간의 굴절율 차이로 인해 캡핑층과 외부 공기층 사이에서 발광층에서 생성된 광이 투과와 반사를 반복한다. 이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이 증폭됨으로써 광효율이 향상된다. 그러나, 캡핑층 상에 캡핑층과 굴절율이 동일한 전면 실링층이 형성되는 경우, 캐비티 효과가 감소하여 색감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으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색재현율 및 고효율을 얻을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마주보는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 상에 형성되는 캡핑층과; 상기 캡핑층 상에 무기 배리어층과 유기 배리어층이 적어도 1 회 교번되게 형성되는 전면 실링층을 구비하며, 상기 청색 발광층에 포함된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이 450~465nm이며, 상기 청색 발광층에서 생성되어 상기 전면 실링층 또는 상기 기판을 통해 출사되는 청색광의 CIE색좌표에서 y좌표는 0.03~0.0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 도펀트는 antracene 계열, perylene 계열, sylryamine 계열 또는 distyryl-amine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핑층과, 상기 캡핑층과 접하는 상기 전면 실링층의 최하부막의 굴절율 차이는 0.2이하이며, 상기 최하부막의 두께는 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는 금속, 무기물, 금속 혼합층 또는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 형성되거나 또는 그들의 혼합으로 형성되어 20~50%의 투과율을 가지는 반투과전극이며, 상기 금속은 Ag, Mg, Yb, Li 또는 Ca로 형성되며, 무기물은 LiO2, CaO, LiF 또는 MgF2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는 250~37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전극 상에 청색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청색 발광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전극 상에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캡핑층 상에 무기 배리어층과 유기 배리어층이 적어도 1 회 교번되는 전면 실링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청색 발광층에 포함된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이 450~465nm이며, 상기 청색 발광층에서 생성되어 상기 전면 실링층 또는 상기 기판을 통해 출사되는 청색광의 CIE색좌표에서 y좌표는 0.03~0.05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면 실링층 하부에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에 포함된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을 465nm이하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색감이 우수한 청색광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광효율이 향상되어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 전극의 두께에 따른 비교예와 실시예의 효율 및 색감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청색 발광층의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에 따른 비교예와 실시예의 효율 및 색감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에 따른 표현 가능한 색감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청색 발광층을 가지는 유기층이 적용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청색 발광층을 가지는 유기층이 적용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1) 상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전극(102,104)과, 제1 및 제2 전극(102,104) 사이에 형성되는 유기층(110)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전극(102,104) 중 어느 하나는 투과 전극 또는 반투과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전극(102,104) 중 나머지 하나는 반사 전극으로 형성된다. 제1 전극(102)이 반투과 전극이고, 제2 전극(104)이 반사 전극인 경우, 하부로 광을 출사하는 배면 발광 구조이다. 제2 전극(104)이 반투과 전극이고, 제1 전극(102)이 반사 전극인 경우, 상부로 광을 출사하는 전면 발광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전극(102)이 애노드로서 반사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104)이 캐소드로서 반투과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전극(102)은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AlNd)으로 이루어진 금속층과, ITO(Indium Tin Oxide; ITO), IZO(Indum Zinc Oxide; IZO)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층을 포함하는 복층 구조로 형성되어 반사 전극의 역할을 한다.
제2 전극(104)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이루어지며, 제2 전극(104)을 이루는 각 층은 금속, 무기물, 금속 혼합층 또는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 형성되거나 또는 그들의 혼합으로 형성된다. 이 때, 각 층이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되며, 각 층이 금속과 금속의 혼합층일 때, 그 비율은 10:1~1:10으로 형성된다. 제2 전극(104)을 이루는 금속은 Ag, Mg, Yb, Li 또는 Ca로 형성되며, 무기물은 Li2O, CaO, LiF 또는 MgF2로 형성되며, 전자 이동을 도와 발광층(110)으로 전자들이 많이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 전극(104)은 250~370Å의 두께로 형성되어 투과율 저하를 방지한다. 특히, 제2 전극(104)은 제2 전극의 종류, 두께 및 비율 등에 따라서 20~50%의 투과율을 가지는 반투과 전극이다. 예를 들어, 청색 발광층에 포함된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이 450nm인 경우, 제2 전극의 투과율은 22%이상이며, 청색 발광층에 포함된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이 465nm인 경우, 제2 전극의 투과율은 20%이상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102,104) 사이에는 정공 주입층(112), 정공 수송층(114), 청색 발광층(116), 전자 수송층(118)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유기층(110)이 형성된다.
정공 주입층(112)은 제1 전극(102)으로부터의 정공 주입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정공 수송층(114)은 정공 주입층(112)으로부터의 정공을 각 발광층(116)에 공급한다. 전자 수송층(118)은 제2 전극(104)으로부터의 전자를 청색 발광층(116)에 공급한다.
청색 발광층(116)에서는 정공 수송층(114)을 통해 공급된 정공과 전자 수송층(118)을 통해 공급된 전자들이 재결합되므로 청색광이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청색 발광층(116)은 발광 호스트(116a)와 발광 도펀트(116b)로 이루어진다. 발광 도펀트(116b)는 465nm이하, 바람직하게는 450~465nm의 광발광(PL) 최대 파장의 특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발광 도펀트(116b)는 antracene 계열, perylene 계열, sylryamine 계열 또는 distyryl-amine과 같은 딥블루(Deep Blue) 도펀트로 형성된다. 한편, 발광 도펀트(116b)의 465nm이하의 광발광 최대 파장은 기판 상에 도포되기 전 용기에 담긴 용액 상태의 청색 발광층을 측정한 값이거나, 용액 상태의 청색 발광층을 건조하여 박막상태일 때 측정된 상태의 값이다. 이와 같은, 청색 발광층(116)에서 생성되어 제1 기판(101) 또는 전면 실링층(144)을 통해 외부로 출사된 청색광의 색좌표(CIEy)는 0.055이하로, 바람직하게는 0.03~0.055로 형성된다.
캡핑층(142)은 외부 공기층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 캡핑층(142)을 통과한 빛은 캡핑층(142)과 외부 공기층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제1 전극(104)과 캡핑층(142) 사이에서 반사투과를 반복하면서 캡핑층(142)을 거쳐 외부로 출사된다. 이에 따라, 캡핑층(142)과 외부 공기층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되어 손실되는 광의 양이 감소되고, 투과되는 빛의 양은 증가하여 발광 효율이 증대된다.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별로 각각 발광하는 빛의 파장 영역대가 서로 다르므로 캡핑층(142)은 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전면 실링층(144)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차단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면 실링층(144)은 유기 배리어층과 무기배리어층이 수회 교번적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무기배리어층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1차적으로 차단하도록 알루미늄 옥사이드(AlxOx), 산화실리콘(SiOx), SiNx, SiON 및 LiF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유기배리어층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2차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유기배리어층은 유기 발광표시장치의 휘어짐에 따른 각 층들 간의 응력을 완화시키는 완충역할을 하며, 평탄화 성능을 강화한다. 이러한 유기배리어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머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전면 실링층(144)에 포함되는 다수의 유기배리어층과 무기배리어층 중 캡핑층(142)과 접하는 전면 실링층(144)의 최하부막은 캡핑층(142)과의 굴절율 차이가 0.2이하이며, 1㎛이상의 두께로 형성된다.
도 2는 비교예 및 실시예의 제2 전극 두께에 따른 효율 및 색감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의 두께를 190Å으로 형성된 비교예의 경우,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면, 색감이 장파장에서 단파장으로 이동하게 되다가, 색좌표(CIEy) 0.065에서 변곡점이 발생되어 색감이 다시 장파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제2 전극(104)의 두께를 280Å으로 형성된 실시예의 경우,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면, 색감이 장파장에서 단파장으로 이동하게 되다가 비교예보다 낮은 색좌표(CIEy) 0.055에서 변곡점이 발생되므로 비교예보다 색재현율이 높다. 또한, 제2 전극(104)의 두께를 340Å으로 형성된 실시예의 경우,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면, 색감이 장파장에서 단파장으로 이동하게 되다가 비교예보다 낮은 색좌표(CIEy) 0.052에서 변곡점이 발생되므로 비교예보다 색재현율이 높다. 이와 같이, 제2 전극의 두께를 250~370Å의 두께로 형성하면, 비교예보다 제2 전극의 두께가 증가하므로 캐비티가 증가하게 되어 색재현율이 향상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비교예와 실시예의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에 따른 효율 및 색감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표 1과 같이 장파장 블루 도펀트를 발광 도펀트로 이용하는 비교예의 경우,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면, 색감이 장파장이 단파장으로 이동하게 되다가, 색좌표 0.055에서 변곡점이 발생되어 색감은 다시 장파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비교예
PL(max) HTL두께[Å] CIEy 효율[cd/A]


466nm

340 0.059 2.6
400 0.055 4.1
430 0.060 5.0
450 0.068 5.6
480 0.073 6.3
이에 따라, 비교예의 경우, 단파장에서 효율이 낮고 장파장에서 효율이 높은 특성을 얻을 수 없으며, 색좌표(CIEy)인 0.055이하의 색표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456nm의 광발광 최대 파장을 가지는 딥블루 도펀트를 발광 도펀트로 이용하는 실시예 1의 경우, 정공 수송층(114)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면 표 2 및 도 3b와 같이 색감이 장파장이 단파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색감에 대한 변곡점이 없어지며, 색좌표 0.038까지 색감 구현이 가능하다.
실시예1
PL(max) HTL두께[Å] CIEy 효율[cd/A]


456nm

340 0.038 2.5
400 0.041 3.1
430 0.047 4.0
450 0.051 5.6
480 0.062 5.8
또한, 461nm의 광발광 최대 파장을 가지는 딥블루 도펀트를 발광 도펀트로 이용하는 실시예 2의 경우, 정공 수송층(114)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감이 장파장이 단파장으로 이동하게 되다가 비교예보다 낮은 색감(색좌표 0.048)에서 변곡점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실시예1 및 2는 광발광 최대 파장이 450~465nm인 발광 도펀트를 이용하므로 비교예에 비해 단파장에서 효율이 낮고 장파장에서 효율이 높은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목표 색감인 CIEy 0.055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에 따른 변곡점 색좌표는 표 3 및 도 4의 일차함수와 같다.
제2 전극(280Å두께, 460nm의 광발광 최대 파장에서 투과율 34%이상)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PL) 최대 파장 변곡점 색좌표(CIEy)
466nm 0.055
461nm 0.048
456nm 0.041
451nm 0.034
이러한 표 3 및 도 4를 기초로 블루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에 따른 표현 가능한 색감을 얻을 수 있는 일차함수를 생성하면,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2109657498-pat00001
수학식 1에서 Y는 표현 가능한 청색광의 색좌표(CIEy)를 나타내며, X는 블루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을 나타낸다.
한편, 도 4에서 제2 전극(104)의 두께가 280Å보다 두꺼워지면 투과율이 낮아져 기울기는 높아지며, 제2 전극(104)의 두께가 280Å보다 얇아지면 투과율이 향상되어 기울기는 낮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도펀트(116b)를 450~465nm의 광발광 최대 파장을 가지는 딥 블루 도펀트로 이용하고, 제2 전극을 250~370Å의 두께로 형성하는 실시예1 및 2는 표 4와 같이, 발광 도펀트를 딥 블루 도펀트보다 장파장 블루 도펀트를 이용하는 비교예1 및 2보다 효율 및 색감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구조 제2 전극 발광 도펀트 PL 색좌표(CIE_y) 효율(cd/A)
비교예1 AgMg(4:1 280Å) 466nm 0.55 4.1
비교예2 AgMg(4:1 370Å) 466nm 0.5 3.4
실시예1 AgMg(4:1 280Å) 456nm 0.041 3.7
실시예2 AgMg(4:1 280Å) 461nm 0.034 3.5
즉, 표 4와 같이, 발광 도펀트를 딥 블루 도펀트보다 장파장 블루 도펀트를 이용한 비교예 1보다 제2 전극의 두께가 증가된 비교예 2의 경우, 본원 발명의 실시예와 유사한 색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제2 전극의 두께 증가로 인해 투과율이 저하되고 투과율 저하에 따른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 전극 형성시 제2 전극의 재질인 금속의 증착 시간이 증가되어 공정 시간 증가 및 공정 불량 발생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전극의 두께 증가만큼,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화소의 캐비티 증가에 따른 시야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와 같이 450~465nm의 광발광 최대 파장을 가지는 딥 블루 도펀트를 발광 도펀트로 이용하는 경우, 실시예 1 및 2는 표 1과 같이 비교예 1 및 2보다 색좌표 특성이 향상되고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1 전극(102)이 반사 전극이고, 제2 전극(104)이 반투과전극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제1 전극(102)이 반투과전극이고, 제2 전극(104)이 반사전극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청색발광층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구조에 적용가능하다. 도 5에서 녹색 서브 화소(GSP)는 녹색광을 생성하며, 청색 서브 화소(BSP)는 청색광을 생성하며, 적색 서브 화소(RSP)는 적새광을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스택 구조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색 발광층(116)을 가지는 발광 유닛과 노란색(Y)-녹색 발광층(G)을 가지는 발광 유닛이 전하 생성층(CGL)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멀티 스택 구조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기판(101) 상에 제1 전극(102)이 형성된다(S10단계). 제1 전극(102)이 형성된 기판(101) 상에 정공 주입층(112), 정공 수송층(114), 청색 발광층(116), 전자 수송층(118)이 열증착 방법, 스퍼터링 방법 또는 그의 조합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유기층(110)이 형성된다(S12단계). 여기서, 청색 발광층(116)에 포함된 발광 도펀트은 광발광 최대 파장이 450~465nm인 딥 블루 도펀트를 이용한다. 그런 다음, 유기층(110)이 형성된 기판(101) 상에 제2 전극(104)이 250~370Å의 두께로 형성된다(S14단계). 제2 전극(102)이 형성된 기판(101) 상에 캡핑층(142)이 형성되고, 캡핑층(142)이 형성된 기판(101) 상에 무기 배리어층과 유기 배리어층이 적어도 1 회 교번되어 전면 실링층이 형성된다(S16,S18단계)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2 : 제1 전극 104 : 제2 전극
110 : 유기층 112 : 정공 주입층
114 : 정공수송층 116 : 청색 발광층
118 : 전자 수송층 142 : 캡핑층
144 : 전면 실링층

Claims (10)

  1.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마주보는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청색 발광층과;
    상기 제2 전극 상에 형성되는 캡핑층과;
    상기 캡핑층 상에 무기 배리어층과 유기 배리어층이 적어도 1 회 교번되게 형성되는 전면 실링층을 구비하며,
    상기 청색 발광층에 포함된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이 450~465nm이며,
    상기 청색 발광층에서 생성되어 상기 전면 실링층 또는 상기 기판을 통해 출사되는 청색광의 CIE색좌표에서 y좌표는 0.03~0.055이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는 반투과 전극이며, 상기 반투과 전극은 250~37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도펀트는 antracene 계열, perylene 계열, sylryamine 계열 또는 distyryl-amine으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층과, 상기 캡핑층과 접하는 상기 전면 실링층의 최하부막의 굴절율 차이는 0.2이하이며, 상기 최하부막의 두께는 1㎛이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는 금속, 무기물, 금속 혼합층 또는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 형성되거나 또는 그들의 혼합으로 형성되어 20~50%의 투과율을 가지는 상기 반투과전극이며,
    상기 금속은 Ag, Mg, Yb, Li 또는 Ca로 형성되며, 무기물은 LiO2, CaO, LiF 또는 MgF2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삭제
  6.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전극 상에 청색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청색 발광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전극 상에 캡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캡핑층 상에 무기 배리어층과 유기 배리어층이 적어도 1 회 교번되는 전면 실링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청색 발광층에 포함된 발광 도펀트의 광발광 최대 파장이 450~465nm이며,
    상기 청색 발광층에서 생성되어 상기 전면 실링층 또는 상기 기판을 통해 출사되는 청색광의 CIE색좌표에서 y좌표는 0.03~0.055이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는 반투과 전극이며, 상기 반투과 전극은 250~37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도펀트는 antracene 계열, perylene 계열, sylryamine 계열 또는 distyryl-amine으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층과, 상기 캡핑층과 접하는 상기 전면 실링층의 최하부막의 굴절율 차이는 0.2이하이며, 상기 최하부막의 두께는 1㎛이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는 금속, 무기물, 금속 혼합층 또는 금속과 무기물의 혼합 형성되거나 또는 그들의 혼합으로 형성되어 20~50%의 투과율을 가지는 상기 반투과 전극이며,
    상기 금속은 Ag, Mg, Yb, Li 또는 Ca로 형성되며, 무기물은 LiO2, CaO, LiF 또는 MgF2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삭제
KR1020120158142A 2012-12-31 2012-12-3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0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142A KR101980771B1 (ko) 2012-12-31 2012-12-3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GB1321301.2A GB2510467B (en) 2012-12-31 2013-12-03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310665306.4A CN103915472B (zh) 2012-12-31 2013-12-10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4/132,237 US9203055B2 (en) 2012-12-31 2013-12-18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3114455.1A DE102013114455B4 (de) 2012-12-31 2013-12-19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Anzeigevorricht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er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142A KR101980771B1 (ko) 2012-12-31 2012-12-3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629A KR20140087629A (ko) 2014-07-09
KR101980771B1 true KR101980771B1 (ko) 2019-05-21

Family

ID=4997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142A KR101980771B1 (ko) 2012-12-31 2012-12-3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03055B2 (ko)
KR (1) KR101980771B1 (ko)
CN (1) CN103915472B (ko)
DE (1) DE102013114455B4 (ko)
GB (1) GB25104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5571A (zh) * 2014-01-27 2014-07-09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amoled显示面板及膜层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339719B1 (ko) * 2015-02-13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3352A (ko) 2016-09-23 2018-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캡핑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80090421A (ko) 2017-02-02 2018-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9760A1 (ja) * 2007-11-29 2009-06-04 Dai Nippon Printing Co., Ltd. 有機el素子、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2262A (ja) 2001-11-06 2003-05-1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膜状部材、積層膜、低屈折率膜、多層積層膜、電子機器
US20060246811A1 (en) * 2005-04-28 2006-11-02 Eastman Kodak Company Encapsulating emissive portions of an OLED device
TWI333392B (en) * 2005-05-25 2010-11-11 Au Optronics Corp Emission lay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ing thereof
KR100821068B1 (ko) * 2006-05-16 2008-04-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34361B1 (ko) * 2007-10-16 2014-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전계 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컬러 디스플레이장치
KR100949338B1 (ko) * 2008-03-17 2010-03-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00030865A (ko) * 2008-09-11 201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4287B1 (ko) * 2009-10-09 2011-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476825B2 (en) * 2009-10-14 2013-07-02 Zeon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 device
KR20110061916A (ko) * 2009-12-02 2011-06-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
KR101311933B1 (ko) * 2009-12-29 2013-09-27 제일모직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중합체,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막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WO2011102024A1 (ja) * 2010-02-17 2011-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5471937B2 (ja) 2010-07-27 2014-04-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素子、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574450B2 (ja) * 2010-08-10 2014-08-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有機発光装置、有機表示パネル、有機表示装置および有機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1430173B1 (ko) * 2010-10-19 2014-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73476B1 (ko) * 2011-04-11 2018-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GB201118997D0 (en) * 2011-11-03 2011-12-14 Cambridge Display Tech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9760A1 (ja) * 2007-11-29 2009-06-04 Dai Nippon Printing Co., Ltd. 有機el素子、カラーフィルター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3492A1 (en) 2014-07-03
DE102013114455A1 (de) 2014-07-03
GB201321301D0 (en) 2014-01-15
CN103915472B (zh) 2018-05-22
CN103915472A (zh) 2014-07-09
GB2510467B (en) 2015-10-28
US9203055B2 (en) 2015-12-01
GB2510467A (en) 2014-08-06
KR20140087629A (ko) 2014-07-09
DE102013114455B4 (de)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1781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072059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KR10198075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2654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201606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070201056A1 (en) Light-scattering color-conversion material layer
KR102149685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206609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914228B (zh) Oled器件与oled显示器
KR20120077301A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20140077523A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062862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98077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26012A (ko) 유기 발광 소자
CN105826478B (zh) 发光元件
KR102042534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7267B1 (ko) 유기 발광 표시 소자
KR100862068B1 (ko)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유기발광소자
KR10209414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49583B1 (ko)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2394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38480A (ko) 유기 발광 소자
JP2007311277A (ja) 有機el素子
KR2017006330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