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068B1 -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068B1
KR100862068B1 KR1020070030830A KR20070030830A KR100862068B1 KR 100862068 B1 KR100862068 B1 KR 100862068B1 KR 1020070030830 A KR1020070030830 A KR 1020070030830A KR 20070030830 A KR20070030830 A KR 20070030830A KR 100862068 B1 KR100862068 B1 KR 10086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opant
host
do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8208A (ko
Inventor
장지근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3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068B1/ko
Publication of KR2008008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술을 적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효율의 발광특성을 나타내는 백색 유기발광소자(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WOLED)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동작 특성이 안정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일 청색 호스트에 에너지 전이가 가능한 1∼2 종류의 도펀트를 사용하여 "미도프(undoped) or 도프(doped)(도펀트 2, 청색)/도프(doped)(도펀트 1, 황색 또는 적색)/미도프(undoped) or 도프(doped)(도펀트 2, 청색)"로 선택 도핑된 발광층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1-호스트/ 1-도펀트" 또는 "1-호스트/ 2-도펀트"라는 간단한 물질의 구성으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는 있게 되어,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배합되는 물질이 단순하므로, 기존의 백색 유기발광소자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물질의 복잡한 특성 변화와 혼합에 의하여 초래되는 불안정한 특성 변화를 해결할 수 있게 되어 높은 색 안정성과 고효율 특성을 갖는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백색 발광, OLED, 백색유기발광소자, 호스트, 도펀트

Description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ing the Selective Doping Method in a Single Blue Host}
도 1은 종래의 적ㆍ녹ㆍ청 3-파장 발광층에 의한 백색 발광 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청ㆍ황 2-파장 발광층에 의한 백색 발광 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종래의 여러 가지 형광 물질을 단일 발광층으로 혼합(blending)한 백색 발광 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단일 청색 호스트에 도펀트를 미도프(undoped) or 도프(doped)(청색)/도프(doped)(황색 또는 적색)/ 미도프(undoped) or 도프(doped)(청색) 3층 구조로 선택 도핑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보인 설명도.
도 5는 도 4의 에너지대 구조에서 전자와 정공의 흐름에 의한 엑시톤(exciton)의 형성과 발광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6은 도 4의 원리를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 설명도.
도 7은 봉지된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인가 전압의 변화에 따른 발광 스펙트럼 다이어그램.
도 9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인가 전압에 따른 CIE 색좌표의 변화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1: 청색 발광층
12: 녹색 발광층
13: 적색 발광층
21: 청색 발광층
22: 황청색 발광층
30: 여러 발광 물질이 혼합된 백색 발광층
41: 양극
42: 정공 주입층
43: 정공 수송층
44: 미도프(undoped) 또는 청색 도펀트로 도핑된 발광층
45: 황색 또는 적색 도펀트로 도핑된 발광층
46: 미도프(undoped) 또는 청색 도펀트로 도핑된 발광층
47: 전자 수송층
48: 전자 주입층
49: 음극
51: 양극(ITO)으로부터 정공의 주입
52: 음극(금속)으로부터 전자의 주입
53: 엑시톤의 형성과 발광
69: 음극으로서의 Al
68: 전자 주입층으로서의 LiF
67: 전자 수송층으로서의 Alq3
66: 청색 발광층으로서의 미도프(undoped) GDI-602
65: 황색 발광층으로서의 루브렌(Rubrene : Rb)이 10% 도핑된 GDI-602
64: 청색 발광층으로서의 미도프(undoped) GDI-602
63: 정공 수송층으로서의 NPB
62: 정공 주입층으로서의 2-TNATA
61: 양극으로서의 ITO
70: 밀봉뚜껑
본 발명은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술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 효율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WOLED)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는 발광 유기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저전력 구동, 자체 발광, 넓은 시야각, 높은 해상도와 천연색 실현, 빠른 응답속도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소자는 휴대폰 외부 창, PDA, 카메라, 시계, 사무용기기, 자동차등의 정보 표시용으로 널리 활용되면서 관련 부품소재시장도 급성장하고 있으며, 유기 발광소자 부품소재시장은 지난 2004년 이후 연평균 약 70%로 고속 성장하고 있다.
특히,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디스플레이 응용 외에 여러 가지 광원으로도 시장이 넓어, 가격과 성능 면에서 제조기술을 혁신할 수 있는 새로운 백색 유기발광소자 기술의 개발 가치는 그 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막대하다.
현재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유기발광소자는 저분자 물질로 구성되는 다층형 구조를 갖는다. 유기발광소자는 전극으로부터 발광층까지 다층 박막을 통해 전자와 정공의 주입과 이동, 그리고 발광층에서 엑시톤(exciton)의 형성과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 물질의 밴드 갭에 해당하는 고유의 빛을 발산한다.
특히, 백색 발광의 OLED는 컬러 필터를 이용하여 R/G/B 화소를 기존의 복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천연색(full color) 디스플레이 개발에 사용되고 있으며,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에 백 라이트 장치(backlight unit: BLU)의 면광원으로도 활용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층은 보통 호스트(host)-도펀트(dopant)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호스트는 높은 에너지 갭을 가지며 호스트에서 형성된 엑시톤은 보다 낮은 에너지 갭을 갖는 도펀트로 에너지 전이를 이룬다. 발광색은 호스트-도펀트 조합에 의해 결정되며, 백색 발광을 이루기 위하여는 2-파장 이상의 색상 혼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혼합에 필요한 각각의 발광색을 구현하기 위해 보통 2종 이상의 호스트와 각 호스트에 따른 도펀트들이 구분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백색 유기발광소자 소자에서 발광층은 각각의 색을 발하는 서로 다른 형광체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백색광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도 1에서와 같이 청색(11), 녹색(12), 적색(13)의 3-파장 빛을 혼합하는 발광 방식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아직까지 적색 발광 물질의 낮은 효율과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어 백색 발광을 위한 3-색 간의 균형적 혼합이 어렵다. 또한 장시간 사용시 R/G/B 발광 물질들의 특성 변화와 열화(degradation)되는 정도가 달라 일정한 비율의 색 혼합이 계속적으로 유지되지 않는다.
아울러,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청색과 황색(또는 적색)의 2-파장 빛(21, 22)을 혼합하도록 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기본적으로 백색 유기발광소자 제작에서 사용되는 형광 물질의 수를 최소로 줄이는 것이며, 발광색의 수가 적으므로 서로 다른 빛들 간의 간섭에서 오는 이러한 문제점들이 어느 정도 해결되며, 3-파장 방식보다 발광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2-파장 방식의 백색 유기발광소자도 청색(21)과 황색(22)을 발하는 발광 호스트가 서로 다를 경우, 공정의 용이성이나 동작의 안정성 등에 있어서 3-파장 방식의 문제점으로부터 크게 개선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도 3으로 보인 바와 같이 R/G/B 삼원색 또는 보색 관계의 빛을 내는 발광 물질들을 혼합(blend)하여 단일 발광 층(30)으로 만든 백색 유기발광소자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3-색 간의 균형적 혼합도 쉽지 않으며, 인가 전압에 따라 발광색이 변하는 색상 불안정성등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호스트-도펀트 구분없이 단순하게 청색과 황색을 발하는 2개의 물질을 하나의 층에 혼합하거나 적층함으로써 백색 발광이 얻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이는 적절한 황색 물질을 찾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두 물질 간의 에너지 전이가 발생하거나 발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호스트와 하나 또는 두 가지 도펀트만으로 제작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발광층 구조를 갖는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효율이며 동작 특성이 안정된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420nm~480nm 범위의 중심 발광 파장을 갖는 청색의 형광 또는 인광 물질의 단일 청색 호스트에 에너지 전이가 가능한 도펀트를 "미도프(undoped)/도프(doped)(도펀트 1, 550nm~700nm 범위의 중심 발광 파장을 갖는 황색 또는 적색 발광)/미도프(undoped)" 상태나 "미도프(undoped) or 도프(doped)(도펀트 2, 420nm~480nm 범위의 중심 발광 파장을 갖는 청색 발광) /도프(doped)(도펀트 1, 550nm~700nm 범위의 중심 발광 파장을 갖는 황색 또는 적색 발광)/미도프(undoped) or 도프(doped)(도펀트 2, 420nm~480nm 범위의 중심 발광 파장을 갖는 청색 발광)" 로 선택 도핑하여서 된 형광층을 설계갖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고효율이며, 동작 특성이 안정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얻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도4로 보였다. 이에서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도펀트를 미도프(undoped) or 도프(doped)(도펀트 2, 청색)(44)/도프(doped)(도펀트 1, 황색 또는 적색)(45)/미도프(undoped) or 도프(doped)(도펀트 2, 청색)(46) 상태로 선택 도핑시킨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구조이다. 이러한 도 4로 보인 실시예에서는 도 1내지 도 3으로 보인 기존의 다층 호스트-도펀트 구조나 3종 이상의 발광 물질을 하나의 층에 혼합하는 구조에 비해 발광 시스템의 제조 공정이 훨씬 간결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 4에서 호스트로는 청색 발광 재료를 사용하고, 도펀트 1으로는 황색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청색 호스트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청색 발광 층(44, 46)에 제 2의 청색 도펀트를 추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호스트와 도펀트는 발광형 고분자 물질 또는 유기 발광 저분자 물질 또는 유기 발광 올리고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전술한 물질의 공중합체 물질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도 4로 보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빛이 투과되어 외부로 발광되는 유리판 위에 ITO(Indium Tin Oxide)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는 양극 전극(41)으로 활용되며, 가시영역에서 투명하고 전도성이 높으며, 일함수가 커서 그 위에 형성되는 정공 주입층(42)(Hole Injection Layer: HIL)의 HOMO 준위로 정공을 주입한다. 이러한 정공 주입층(42)은 양극에서 정공 수송층(43)(Hole Transport Layer: HTL)으로 정공을 효율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매개층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정공수송층(43)으로 주입된 정공은 발광층(44,45,46)(Emissive Layer)으로 전달되며, 전자의 흐름에 대하여는 차단 기능을 갖는다.
한편, 정공과 결합되기 위한 전자는 캐소드(49)에서 공급된다. 이러한 캐소드(49)는 Al(Aluminium)으로 제작되어 전도성이 높으며, 입사광을 반사시키게 된다.
이에서 출발한 전자는 음극에서 전자 수송층(47)( Electron Transport Layer: ETL)으로 전자를 효율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매개층의 기능을 가지며, 전자 수송층(47)의 LUMO 준위로 전자를 주입하기 위한 전자주입층(48)(Electron Injection Layer:EIL)으로 주입된다.
그 결과 전자 수송층(47)은 음극에서 주입된 전자를 발광층으로 전달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발광층(44,45,46)에서는 엑시톤(exciton)의 형성과 재결합에 의하여 형광 물질에 따른 고유의 빛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도4의 에너지 밴드 구조에서 정공(51) 및 전자(52)의 흐름을 통한 엑시톤의 형성과 발광 과정(53)을 도 5로 나타내었다.
도 4의 발광층(44,45,46)에서, 발광층(44)영역은 도펀트가 없을 경우 발광 호스트가 갖는 고유의 빛인 청색을 내며, 발광층(45)영역에서는 호스트-도펀트 간의 에너지 전이에 의해 보색의 빛인 황색을 발한다. 이 때 발광층(44)과 발광층(45) 영역만으로도 물론 보색 관계의 2-파장 발광색이 적절한 세기로 혼합되는 경우에는 순수한 백색 발광이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보통 청색 발광의 세기는 황색에 비해 약하게 나타나 순수 백색 발광을 얻기가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럴 경우 발광층(46)영역의 추가로 청색광을 보강할 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발광층(44)와 발광층(46)층의 청색 발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 2의 청색 도펀트(도펀트 2)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의 구조는 "1-호스트/ 1-도펀트" 또는 "1-호스트/ 2-도펀트"라는 간단한 물질의 구성으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는 형광 시스템의 설계이므로 제조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배합되는 물질이 단순하므로 다양한 물질의 복잡한 특성 변화와 혼합에서 오는 불안정한 동작 특성을 개선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6으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4로 보인 원리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하방으로부터 Glass/ITO/2-TNATA/NPB/ GDI-602(Rb)/Alq3/LiF/Al이 적층된 구조의 백색 유기발광소자 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도 6의 GDI-602(Rb) 발광층에서 루브렌(Rubrene : Rb) 도펀트는 호스트로 사용되는 형광물질인 GDI-602 형광호스트에 미도프(undoped)/도프(doped)(10%)/미도프(undoped) 상태로 선택적으로 분포된다. GDI-602 그 자체는 보통 청색발광의 호스트(host) 재료로 사용되지만 루브렌(Rubrene : Rb)이 도핑될 경우 황색발광이 가능하므로, 루브렌(Rubrene : Rb)을 GDI-602 형광체에 미도프(undoped)/도프(doped)/미도프(undoped) 상태로 선택 도핑하면 단일 형광물질로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유리기판 상에 ITO 전극(61)을 형성하고, ITO 전극의 표면을 적절히 플라스마 처리한다. 이어서, 유기물 증착 전에 선행 플라스마 처리가 반드시 실시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정은 양극으로부터 정공주입 장벽을 낮추고, 표면 오염제거 및 ITO와 유기막 간의 접착력 개선에 기여하게 된다. 이어서, 고진공 상태에서 유기 박막과 금속의 형성이 실시되어야 하며, 이러한 공정은 고진공 상태에서 인시츄(In-Situ) 방식으로 증착 실시된다.
실제로는 정공 주입층(42)으로 2-TNATA를, 정공 수송층으로 NPB를 증착한다. 이 후 발광층을 증착하는 단계에서는 진공 증착법 또는 스핀 코팅법 또는 잉크젯 인쇄법 또는 용액 주조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먼저 GDI602를 미도프(undoped) 상태로 증착한 후, GDI602와 루브렌(Rubrene : Rb)을 10:1의 성장 비율로 동시 증착하여 GDI602:루브렌(10%) 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다시 GDI602를 미도프(undoped) 상태로 증착한 후 전자 수송층으로 Alq3를, 전자 주입층으로 LiF를, 음극으로 Al을 형성함으로써 소자 제조의 기본 공정이 완성된다. 아울러, 이러한 유기물은 산소나 습기의 노출로부터 쉽게 열화됨으로 유기 발광 소자가 장시간 수명의 높은 신뢰성을 갖추기 위해, 증착 공정 후에는 외부 공기로부터 완전 차단될 수 있도록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밀봉 뚜껑(70)을 씌워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그 전압을 변화시킨 경우에도 발광되는 빛의 중심 파장 위치는 전압에 관계없이 파장이 상이하게 되며, 그 구체 적인 발광 스펙트럼을 도 8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2 개의 중심파장(440nm의 청색과 560nm의 황색)을 가지며, 중심파장의 위치는 인가 전압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나타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도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인가전압이 증가함에 따라서 청색광의 상대적 세기가 증가하여 전체적 발광색이 황색에서 백색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 전압에 따른 CIE(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색좌표의 변화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가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소자의 발광색은 황색에서 백색으로 이동하며, 10 ~ 12V에서 CIE 색좌표는 (0.33,0.33)으로 거의 순수한 백색 발광이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단일 청색 호스트에 황색 또는 적색 도펀트 1 또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황색 또는 적색 도펀트 1과 청색 도펀트 2를 분포시켜 주는 비교적 단순화된 공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켜 저가 다량 생산에 기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배합되는 물질이 단순하므로 다양한 물질의 복잡한 특성 변화와 혼합에서 오는 불안정한 동작 특성을 개선하여 높은 색 안정성과 고효율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유리기판상에 ITO 및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금속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 하여서 된 공지의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단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황색 또는 적색 발광을 하는 도펀트 1을 "미도프(undoped)/도프(doped)(도펀트 1)/미도프(undoped)" 상태로 분포시켜 발광층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2. 유리기판상에 ITO 및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금속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 하여서 된 공지의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단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황색 또는 적색 발광을 하는 도펀트 1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청색 발광을 하는 도펀트 2를 "도프(doped)(도펀트 2)/도프(doped)(도펀트 1)/도프(doped)(도펀트 2)" 상태로 분포시켜 발광층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3. 유리기판상에 ITO 및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금속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 하여서 된 공지의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단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황색 또는 적색 발광을 하는 도펀트 1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청색 발광을 하는 도펀트 2를 "미도프(undoped)/도프(doped)(도펀트 1)/도프(doped)(도펀트 2)"상태로 분포시켜 발광층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4. 유리기판상에 ITO 및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금속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 하여서 된 공지의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단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황색 또는 적색 발광을 하는 도펀트 1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청색 발광을 하는 도펀트 2를 "도프(doped)(도펀트 2)/도프(doped)(도펀트 1)/미도프(undoped)" 상태로 분포시켜 발광층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호스트와 도펀트가 발광형 고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6.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호스트와 도펀트가 유기 발광 저분자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7.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호스트와 도펀트가 유기 발광 올리고머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8.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호스트와 도펀트가 발광형 고분자의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9.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호스트와 도펀트가 유기 발광 저분자 물질의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10.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호스트와 도펀트가 유기 발광 올리고머의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11.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스트가 청색 형광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발광소자.
  12.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스트가 인광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13.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펀트 1은 단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황색 발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14.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펀트 1은 단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적색 발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15. 청구항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펀트 2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청색 발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16.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스트로는 물질의 중심 발광 파장으로는 420∼480 nm 범위의 청색 발광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17.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도펀트 1의 중심 발광 파장으로는 550∼700 nm 범위의 황색 또는 적색 발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18. 청구항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청색 호스트에 도핑될 경우 도펀트 2의 중심 발광 파장으로는 420∼480 nm 범위의 청색 발광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19.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층의 도핑 분포가 "청색-황색(또는 적색)-청색"의 3 층 계단형 구조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20.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층을 진공 증착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21.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층을 스핀 코팅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22.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층을 잉크젯 인쇄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23. 청구항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층을 용액 주조법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20070030830A 2007-03-29 2007-03-29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유기발광소자 KR100862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830A KR100862068B1 (ko) 2007-03-29 2007-03-29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유기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830A KR100862068B1 (ko) 2007-03-29 2007-03-29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유기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208A KR20080088208A (ko) 2008-10-02
KR100862068B1 true KR100862068B1 (ko) 2008-10-09

Family

ID=4015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830A KR100862068B1 (ko) 2007-03-29 2007-03-29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0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197B1 (ko) 2007-12-04 2009-10-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면 발광 백색유기발광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84353C (zh) * 2008-01-29 2009-04-29 清华大学 有机电致发光器件
KR101074787B1 (ko) 2008-12-26 2011-10-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1586903B1 (ko) * 2014-04-28 2016-01-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426A (ko) * 2003-06-26 2005-01-06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전자-수송 물질 또는 정공-수송 물질 또는 둘 다로 도핑된청색광-방출 층을 갖는 백색광-방출 유기 발광 다이오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426A (ko) * 2003-06-26 2005-01-06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전자-수송 물질 또는 정공-수송 물질 또는 둘 다로 도핑된청색광-방출 층을 갖는 백색광-방출 유기 발광 다이오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197B1 (ko) 2007-12-04 2009-10-2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면 발광 백색유기발광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208A (ko)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059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981640B2 (en) Simplified patterned light panel
US7867630B2 (en) Whit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655199B2 (en) Four component phosphorescent OLED for cool white lighting application
JP4895742B2 (ja) 白色有機電界発光素子
CN102577618B (zh) 有机电致发光元件
Xu et al. Wide color-range tunable and low roll-off flu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based on double undoped ultrathin emitters
KR20130036724A (ko) 전력 효율적인 rgbw oled 디스플레이
KR20120077301A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20090010761A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20100047126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73417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CN102474937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2004281087A (ja) 有機elデバイスおよ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KR20130046640A (ko)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CN104472016A (zh) 有机电致发光元件
KR20170026012A (ko) 유기 발광 소자
KR100862068B1 (ko) 단일 청색 호스트에 선택적 도핑 기법을 적용한 백색유기발광소자
CN103872068A (zh) 一种可变色发光元件、像素结构及显示装置
Miao et al. Ultra-simple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employing only two complementary colors with color-rendering index beyond 90
KR100923197B1 (ko) 양면 발광 백색유기발광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08035406A1 (fr) Dispositif optique
CN111584732B (zh) 一种全激基发射的白光有机发光二极管
KR10198077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09804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