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468A -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모터 차량의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모터 차량의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468A
KR20100058468A KR1020107002913A KR20107002913A KR20100058468A KR 20100058468 A KR20100058468 A KR 20100058468A KR 1020107002913 A KR1020107002913 A KR 1020107002913A KR 20107002913 A KR20107002913 A KR 20107002913A KR 20100058468 A KR20100058468 A KR 20100058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locking device
motor vehicle
friction element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오르크 셰크
알빈 마흐트
한스-울리히 카르쉬
스테펜 브로지우스
세바스트안 하인제
안드레 샤데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10005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1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both radial and axial friction, e.g. conical friction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2Lubric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7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axial friction, e.g. friction dis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2011/08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automatic diseng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32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Y2201/236Actuation thereof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using force or torqu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Mechanical means for force or torque adjustment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6Mechanical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8Lubr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차량 구조에 대해서 변위가능(displaceable)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는 잠금(locking) 장치-상기 모터 차량 부품은 변위(displacement)에 의해서 도달되는 각각의(respective) 정지(rest) 위치에서 변위 범위 내에서 상기 잠금 장치에 의해서 고정(secure)됨-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마찰 요소와, 상기 잠금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마찰 요소로서, 상기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시 상기 제1 마찰 요소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며, 따라서 활주 마찰 환경 하에서 상기 제1 마찰 요소의 마찰면을 따라서 상기 제2 마찰 요소의 마찰면에서 활주할 수 있으며, 정지 마찰 환경 하에서 상기 제2 마찰 요소의 마찰면과 상기 제1 마찰 요소의 마찰면이 서로에 대해서 지지하는 것인 제2 마찰 요소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의 상대적인 이동시 그들의 마찰면들(10, 20)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는 유동성 부가 매질(Z)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모터 차량의 잠금 장치{LOCK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FOR SECURING A DISPLACEABLE MOTOR VEHICLE COMPONENT}
본 발명은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모터 차량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선회하거나(swivelling) 힌지되거나(hinged) 또는 이동 가능한 형태로 변위 가능한(displaceable) 차량 부품이 모터 차량의 구조 조립체(structural assembly)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고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제1항 또는 제18항의 전제부에 따른 잠금 장치에 의해서 각각의 변위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인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모터 차량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잠금 장치는 제1 (구조적) 마찰 요소 및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에 연관된(associated) 제2 마찰 요소를 포함한다. 제2 마찰 요소는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displacement)시 제1 마찰 요소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며, 따라서 [활주 마찰 환경(sliding friction conditions)] 하에서 제1 마찰 요소의 마찰면(friction surface)을 따라서 제2 마찰 요소의 마찰면에서 활주할 수 있으며, [정지 마찰 환경(static friction conditions) 하에서] 제2 마찰 요소의 마찰면과 제1 마찰 요소의 마찰면이 서로에 대해서 마찰적으로(frictionally) 지지(bear)한다.
연관되는 잠금 장치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잠겨질 수 있는 변위 가능한 차량 부품의 성능은 따라서 전체적으로 적절하게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단지 각각의 모터 차량 부품의 가능한 조절 범위(adjustment range) 내에서 제공되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특정 응용에 따라서, 잠금 장치의 각각의 변위된 위치 내의 최대 조절 범위의 일부 범위 내에서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이 단지 고정되기만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잠금 장치가 유효한 범위를 이하에서는 변위 범위라 지칭한다.
변위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고정되는 모터 차량 부품은 예컨대 모터 차량의 모터 차량 도어(측면 또는 후면 도어) 또는 클로징 덮개(flap)[전면 덮개 또는 뒷문(tailgate)]로서, 모터 차량 구조로부터 힌지되어, 예컨대 모터 차량 도어의 경우 차량 내부로의 진입할 수 있거나 또는 클로징 덮개의 경우 차량 모터 또는 트렁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최대 가능한 선회 위치까지 각각의 모터 차량 부품이 선회될 필요는 없으며, 단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의 각도에 비해서 작은 선회각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까지 제한적으로 선회를 수행하면 되며, 이러한 제한적인 선회는 예컨대 다른 차량이 모터 차량의 옆에 주차된 때에, 모터 차량 부품의 선회에 따라서 다른 차량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 중요하다. 따라서 인접한 다른 차량과의 충돌을 야기할 수 있는 세찬 바람이나 의도되지 않은 접촉 등으로 인한 추가적인 선회를 방지하도록 부분적으로 선회된 상태에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모터 차량의 소위 잠금 장치는 예컨대 DE 10 2004 034 247 B3 공보에 개시된다.
본원 발명에서, 한편으로는 차량 도어와 같은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개방 또는 폐쇄시 유연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세찬 바람 등의 경우에서도 더 이상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모터 차량 부품을 각각의 변위된 상태에서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동작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동시에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신뢰성있게 고정하도록 전술한 유형의 잠금 장치를 개선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은 본원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구항 제1항의 특징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성 부가 매질(flowable additional medium)이 두 개의 마찰 요소(friction element)들의 마찰면(friction surface)들에 연관되며, 제1 마찰 요소의 마찰면을 따라서 제2 마찰 요소의 마찰면이 이동하는 경우, 부가 매질은 마찰면들 사이에서 활주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획득(get)되며, 특히 그러한 형태로, 정지 마찰 대 활주 마찰 비율(ratio of static friction to sliding friction)은 부가 매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구성의 건성(dry) 동작에 대비하여 실질적으로 증가된다.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에 의해서 야기되는 제1 마찰 요소에 대한 제2 마찰 요소의 상대적인 이동 도중에, 서로의 마찰면들이 마주보고 또한 서로 연관되는 마찰 요소들의 마찰면들 사이에 유동성 부가 매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에, 특히 이동 가능한 제2 마찰 요소 상에, 채널(channel)들이 제공된다. 채널들은 예컨대 마찰 요소들의 리세스된(recessed)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마찰 요소의 마찰면은 다수의 구형(spherical) 섹션(section)을 포함 할 수 있으며, 섹션들은 그들이 각각 접하는 부분에서 채널을 형성한다. 또한, 마찰 요소 등에서, 마찰 요소의 핌플(pimpled) 표면 구조 및/또는 마찰 요소들을 보강(brace)하는 방향으로 연장(extend)되는 그루브(grooves), 플루트(flutes) 등, 및/또는 스크류(screw)가 주연 방향(circumferentially)으로 연장되는 그루브, 플루트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두 개의 마찰 요소들의 서로 협업하는(cooperate) 마찰면들로서 사용되는 마찰 조합(pairings)으로서, 특히 부가 또는 중간 매질과 함께 사용되는 마찰 조합으로서, 예컨대 하나의 마찰면으로는 강철(steel)이 다른 하나의 마찰면으로는 플라스틱이 적합할 수 있으며, 또는 한편으로는 경금속 캐스팅(light metal casting)/다른 편으로는 플라스틱이 적합할 수도 있으며 또는 플라스틱/플라스틱 또는 강철/경금속 캐스팅이 적합할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술폰(polysulfone, PSU), 폴리-2,6-디메틸-1,4-페닐에스테르(poly-2,6-dimethyl-1,4-phenylester, PP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K) 및 아크릴릭부타디엔스티렌(acrylic butadiene styrene, ABS)은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부가 또는 중간 매질로서는, 오일(oil), 특히 마찰면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이나 합성 재료와 [식각(etching), 스웰링(swelling) 등에서] 반응하지 않는 오일, 오일 기반 유제(emulsion based on oil), 오일 기반 분산제(dispersion based on oil) 그리고 그리스(grease)와 같은 페이스트형 윤활제(paste-like lubricants)가 적합하다. 부가 매질로는 에스테르(ester) 첨가제(additives)가 함유되는 실리콘 분말(flour) 기반 오일을 예로 들 수 있다.
부가 또는 중간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내에 수납될 수 있다. 후술하지만, 하우징은 또한 적어도 두 개의 마찰 요소들을 수납하며, 하우징에 체결되는(fixed) 특정한 마찰 요소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페이스트형 윤활제를 부가 또는 중간 매질로서 사용하면 보다 자유롭게 유동 가능한 오일의 경우에 비해서 하우징 내에 부가 또는 중간 매질을 밀봉(seal)하는 것이 용이하다. 페이스트형 윤활제를 분포(distribute)하기 위해서, 특히 마찰 요소들의 마찰면들과 같은 그리스가 발라질 표면에 그리스를 전달하기 위해서, 와이퍼(wiper)와 같은 소위 그리스 위드드로워(withdrawer)가 제공될 수 있다.
오일을 부가 또는 중간 매질로서 사용하는 경우, 마찰 요소들의 서로 협업하는 마찰면들에 대해서 강철/PA, 강철/PEEK 및 POM/POM 등과 같은 조합이 다른 것들에 비해서 적합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마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특히 제2 마찰 요호는, 부가 또는 중간 매질을 내장(embed)하기에 즉, 분자 구조가 매질을 내장할 수 있는 재료 또는 모세관 구조(capillary structure) 내에 매질이 내장될 수 있는 다공성(porous)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매질을 내장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마찰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특히 제2 마찰 요소는, 내부에 부가 또는 중간 매질을 위한 저장소(reservoir)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개방-세공형(open-pored) 모세관 구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측면들과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는 본원 발명의 청구항 제18항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두 개의 마찰 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탄성적으로) 서로에 대해서 보강되어, 그들의 마찰면들이 선-인장(pre-tensioning)의 영향 하에서 서로에 대해서 밀쳐지도록(pushed against) 된다. 하나의 마찰 요소는 다른 마찰 요소에 대해서 선-인장력(pre-tensioning force)의 유효 방향을 따라서 재조절(readjust)되거나 추종(follow up)할 수 있도록 장착(mount)된다.
예컨대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 또는 다른 차량 부품의 무게에 의해서 또는 자석이나 또는 탄성 요소에 의해서 인가될 수 있는 선-인장력 때문에, 마찰면들을 가지는 두 개의 마찰 요소들은 미리 한정된 형태로 서로에 대해서 밀착되고(braised), 마찰 요소들의 마찰면들을 위해서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서 한편으로는 활주 마찰의 다른 한편으로는 정지 마찰의 서로 다른 크기를 사용하여, 한편으로는 (잠금 장치의 활주 마찰의 영향 하에서)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를 가능한 유연(smooth)하게 허용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잠금 장치에서의 정지 마찰의 영향 하에서) 변위된 위치에서 잠금 장치가 모터 차량 부품을 가능한 신뢰성있게 고정할 수 있다. 마찰면들이 서로에 대해서 협업하는 마찰 요소들의 마찰면들을 위한 재료는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연관된 마찰 요소들의 마찰면들 사이의 정지 마찰이 활주 마찰보다 실질적으로 크게 되도록 선택되어, 한편으로는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에 따른 유연한 주행(run)을 허용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변위된 위치에서 신뢰성있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 장치의 협업적인 마찰면들을 위한, 더 나아가서 유동성 부가 또는 중간 매질을 위한 서로 다른 재료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찰 요소가 다른 마찰 요소에 대해서 선-인장력의 유효 방향을 따라서 재조절될 수 있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선-인장력의 영향 하에서 그리고 재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마찰 요소의 장착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모터 차량의 잠금 장치를 장시간 사용한 후에도, 두 개의 마찰 요소들의 마찰면들이 영구적으로 서로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선-인장력에 의해서 가압되므로(pressed against), 원하는 마찰 환경이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마찰 요소가 선-인장력의 유효 방향을 따라서 추종하기 때문에, 원하는 마찰력을 생성하기 위해서 마찰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마찰 요소는 선-인장력의 영향 하에서, 거의 일정한 마찰 환경을 생성할 수 있도록 자동적으로 재조절될 수 있도록, 하나의 마찰 요소가 다른 마찰 요소에 대해서 선-인장력의 유효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선-인장력의 유효 방향을 따라서 하나의 마찰 요소를 미리 지정된 형태로 유도(guiding)하는 적절한 가이딩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선-인장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특히 탄성 선-인장력을 생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압력 또는 장력(tension) 스프링, 유연성(flexible) 스프링]과 같은 형태의 탄성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은 두 개의 마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에 작용한다. 적합한 스프링의 예로는 코일 또는 디스크 스프링 및 고무-탄성(rubbery-elastic) 요소를 들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선-인장력을 생성하기 위해서 자력(magnetic force)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마찰 요소는 플라스틱에 의해서 제한되는(bound) 자석과 같은 자기 재료(magnetic material)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거나 또는 그러한 재료로 구성된 요소와 연결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마찰 요소는 자기 재료에 의해서 생성된 자속(magnetic flux)을 전도하는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그러한 재료로 구성된 요소와 연결된다.
더 나아가, 예컨대 변위 가능한 차량 부품 자체의 중량(weight)과 같은 중량이, 두 개의 마찰 요소들이 서로에 대해서 밀착(braise)되는 것에 의하여, 선-인장력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두 개의 마찰 요소들을 배열하기 위하여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두 개의 마찰 요소들 중 하나는 하우징 상에 고정적으로 배열되고 다른 하나의 마찰 요소는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어, 두 개의 마찰 요소들이, 연관된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시, 서로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그들의 마찰면들이 서로에 대해서 활주(slide)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은 예컨대 모터 차량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 가능한 마찰 요소는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에 연관된다. 하우징 내에 고정되도록 하나의 마찰 요소를 배열하는 것은 마찰 요소가 하우징 상에 견고하게 배열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실제로는 운동(play)하도록 배열하거나 또는 하우징 상에 탄성 배열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예컨대 탄성 요소의 선-인장의 영향 하에서 재조절을 허용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에 연관되는 제2 마찰 요소는 [결속 메카니즘(coupling mechanism)을 통하여] 모터 차량 부품에 결속될 수 있어서,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시 제2 마찰 요소가 (축에 대해서) 방향-전환(turn)될 수 있으며, 또는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시 제2 마찰 요소의 (활주) 이동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두 개의 마찰 요소들의 마찰면들이 선-인장력의 유효 방향에 대해서 (예각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제공되어서, 각도[웨지(wedge) 각도]에 따라서, 웨지 이론에 따른 힘 강화(intensification)가 발생할 수 있다. 마찰 요소들과 대응하는 마찰면들을, 특히 제2 마찰 요소의 회전각에 대해서, 회전 대칭적(rotationally symmetrical)으로 설계하는 경우, 서로에 대해서 연관된 마찰면들은 각 경우에서 예컨대 원뿔 형태로(conically)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마찰 요소들의 서로 협업하는 마찰면들은, 선-인장력의 유효 방향에 대해서 각각 수직으로(perpendicular)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찰 요소들은 각각 예컨대 디스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마찰 요소로서 랩(wrapped) 스프링을 사용하면, 필요한 선-인장력의 생성을 수행할(take on) 수 있어서, 선-인장을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제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서로에 대해서 연관되는 마찰면들을 통하여 쌍(pairs)으로 협업하는 몇몇의(several) 마찰 요소들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서, 적어도 두 개의 마찰면 쌍들이 서로에 대해서 다른 방향으로, 특히 반대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다.
만약 모터 차량 부품에 연관되는 제2 마찰 요소가 모터 차량 부품에 기어링(gearing)을 통하여 결속된다면, 특히 제2 마찰 요소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특정한 전달 비율(transmission ratio)이 미리 지정되어 설정될 수 있으며, 및/또는 모터 차량 부품의 출력 요소와 제2 마찰 요소 사이의 거리를 브리징되도록(bridged) 구조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및/또는 대응하는 모터 차량 부품의 활성화된(activated) 이동(전환 이동)에 대해서 제2 마찰 요소의 이동의 방향을 전환(deflect)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마찰 요소는, [예컨대 탄성 장착에 의해서 야기되는 선택적으로 필요한 각운동(angular play)을 제외하면] 샤프트 상에 실질적으로 토크-방지(torque-proof) 형태로 배열된다. 따라서, 제2 마찰 요소는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과 제2 마찰 요소 사이의 결속 구조의 일 부분으로서) 샤프트는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시 방향-전환된다. 선-인장력은 샤프트의 방향을 따라서 작용(act)한다. 샤프트를 따라서 제2 마찰 요소의 (제한된) 종방향(longitudinal) 이동을 허용하면서도 샤프트의 축을 따라서의 마찰 요소의 자유 회전 운동을 허용하지 않도록, 예컨대 키-슬롯 조인트(key and slot joint) 또는 다른 정합 연결(positive connection)을 통하여, 제2 마찰 요소는 샤프트 상에 그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본원 발명이 모터 차량 도어, 전면 덮개 또는 뒷문 그리고 모터 차량 본체(body)와 연관되는 다른 부품들에 적용되도록 언급한 것에 더해서,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되는 잠금 장치는 또한 예컨대 탄성적으로 선-압박된(pre-stressed) 권취(winding) 장치를 포함하고 권치 장치로부터 풀려진(unwound) 서로 다른 위치에서 잠금 가능한 것인 (수동적으로) 조절 가능한 블라인드 또는 (수동적으로) 조절 가능한 로드플로어(load floor)와 같은 다른 다수의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를 사용하는 또 다른 예는 예컨대 윈도우 리프터(window lifter), 좌석 조절기, 도어 조절기, 로드플로어 조절기 등의 (전기) 구동기(drive)에서의 초킹(chocking) 장치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출력-측(output-side)에서 유도되는 힘이나 토크를 차단하는 구성이 이를 위해서 제공되는 잠금 장치에 의해서 수행된다면, 구동기의 자체-잠금(self-locking) 설계는 생략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동기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는 이동을 통하여 변위 가능하고 특정한 변위된 위치에서 고정되어야 하는 (임의의) 모터 차량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그 결과, 모터 차량 부품이 그에 대해서 변위되는 모터 차량의 구조 조립체 또는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과 함께 이동되지 않는 제1 마찰 요소가 그에 대해서 고정되는 모터 차량의 구조 조립체는, 모터 차량 본체의 부품일 필요는 없다. 실제로는, 예컨대 하우징 형태의 베이시스(basis)가 일반적으로 이를 위해서 작용하며, 베이시스에서 잠금 장치의 제1 마찰 요소는 (직접적으로 따른 다른 부가적인 요소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잠금 장치에 연관된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시 제1 마찰 요소에 대해서 제2 마찰 요소가 이동되도록, 베이시스에 대해서 제2 마찰 요소는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구조에서의 제1 마찰 요소의 배열은 따라서 상기 마찰 요소가 모터 차량의 각 구조 조립체에 견고하게 체결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실제로는 예컨대 탄력성(resilient) 장착 또는 제한된 방식으로 탄성 요소의 선-인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장착이 제공될 수 있다.
마찰면들의 협업하는 쌍들의 재료 및 유동성 중간 매질의 재료를 선택하는 것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마찰 요소의 마찰면들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과 마찰면들의 가능한 웨지 앵글의 각도를 선택하는 것과 제2 마찰 요소 상에 가해지는(exerted) 선-인장력의 크기를 선택하는 등의 치수화(dimensioning)는, 각 개별적인 경우에서의 기술적 요구 사항, 즉 예컨대 유체역학적 조건들 및 실현 가능한(feasible) 표면 압력, 마모(wear) 파라미터들과 같은 요구 사항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동작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동시에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신뢰성있게 고정하도록 개선된 잠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모터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b는 도 1a의 잠금 장치를 위한 마찰 요소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잠금 장치를 위한 마찰 요소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모터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모터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모터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모터 차량 도어의 잠금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잠금 장치의 정합(positive fitting) 영역에 대한 4가지의 변형 설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정합 영역을 통하여 마찰 요소가 토크-방지 형태로 제공되고 샤프트와 결합하여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6a의 변형예를 기반으로 하여 잠금 장치의 샤프트와 마찰 요소 사이의 정합 연결(positive connection)의 구성도이다.
도 8a는 차량 도어가 개방된 경우 모터 차량의 측방향(lateral) 차량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뒷문이 개방된 경우 모터 차량의 후면부(rear side)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측면들과 기술적 특징들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8a는 모터 차량의 측방향 차량 구조(본체 K)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측방향 차량 구조(본체 K)와 모터 차량의 지붕 섹션(roof section, D)은 도어 개구부(door opening, O)를 한정하고 수납하며, 도어 개구부(O)를 통하여 승객이 상기 모터 차량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도어 개구부(O)를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형(hinged) 측면 도어(S)의 형태로 변위 가능한 또는 전환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이 제공되며, 도 8a에서는 힌지형 측면 도어(S)는 부분적으로 열려 있는 위치로 도시된다. 차량 구조(K)로부터 이격되어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로 되는 측면 도어(S)의 힌징 상태(hinging)는 예컨대 다른 차량이 모터 차량의 옆에 주차된 때에 다른 차량과 부딪히지 않도록 측면 도어(S)가 최대한으로 넓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우 수행된다. 따라서 세찬 바람이나 보행자와의 의도되지 않은 접촉 등으로 인하여 측면 도어(S)가 더 이상 개방되면 인접한 다른 차량과의 충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측면 도어(S)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 내에서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측면 도어(S)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소위 잠금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 내에서 모터 차량 도어를 신뢰성있게(reliable) 고정하면서도 동시에 차량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소망되는(desired) 유연한 이동성(movability)을 간섭하지 않는 형태로 잠금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본원 발명의 하나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잠금 장치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된다.
도 8b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유형의 잠금 장치들은 모터 차량의 측면 도어뿐만 아니라 예컨대 후면 도어 또는 모터 차량의 후면(rear side, R)에 제공되어 트렁크 칸(L)을 폐쇄하기 위한 뒷문에도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모터 차량의 구조 조립체에 대해서 변위 가능(전환 가능)한 화물 칸 덮개, 모터 덮개, 슬라이딩 도어, 조절식 로드 플로어, 블라인드(blind) 또는 다른 차량 부품에도 잠금 장치들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으로 전환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으로 각각 지칭되며, 전환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들은 특히 피봇 가능(pivotable, 힌지 가능)하면서도 활주 가능한(slidable) 모터 차량 부품들로 구성된다.
도 1a는 도 8a에 따른 측면 도어 또는 도 8b에 따른 후면 도어 또는 슬라이딩 도어와 같은 전환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이 잠금 장치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전환된(deflected) 위치 내에서 고정될 수 있는 잠금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다.
잠금 장치는 하우징(5)을 포함하며, 하우징(5)은 예컨대 스크류 또는 리벳 형태의 적절한 체결 수단에 의해서 하우징 저부 부분(51)과 하우징 하부 부분(52)이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5) 내에는 서로 마주 보는 마찰면들(10, 20)에 의해서 서로 결합하는(engage) 두 개의 마찰 요소들(1, 2)이 배치된다. 유효한 정지 마찰에 의해서 전환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이 부분적으로 전환된 위치 내에서 연속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마찰 요소(1)는 하우징(5)의 내벽(inner wall)의 섹션에 의해서 형성되고, 좀 더 정확히는 하우징 축(A)에 대해서 회전-대칭적으로(rotation-symmetrically) 설계되고 제1 마찰 요소(1)의 마찰면(10)을 한정하거나 형성하는 하우징 저부 부분(51)의 내벽의 섹션에 의해서 형성된다. 마찰면(10)은 하우징 저부 부분(51)의 하우징의 저부를 향하여 원뿔 형태로 점점 가늘어진다(tapering). 따라서 제1 마찰 요소(1)는 마찰면(1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하우징(5)에 체결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하우징 축(A)에 대해서 회전-대칭적이고 원뿔 형태로 점점 가늘어져서, 하우징(5)의 내부(inner) 측벽(side wall)을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하우징의 측벽은 고리 모양으로(annularly) 주연 방향이다. 다른 예로서, 하우징에 체결되는 제1 마찰 요소는 예컨대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의 내벽과는 분리되는 마찰 요소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크-형태의) 제2 마찰 요소(2)는 토크-방지 형태로 샤프트(3) 상에 배치된다. 샤프트의 두 개의 단부들(ends, 31, 32)은 하우징(5)의 연관되는 베어링(53, 54)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장착되며, 제1 마찰 요소가 회전-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에 대응하는 하우징 축과 샤프트의 피봇 축(A)을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제2 마찰 요소(2)는 또한 상기 축(A)에 대해서 (마찰면의 구조를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회전-대칭적으로 설계되고, 제1 마찰 요소(1) 뿐만 아니라 (하우징 저부 부분(51)에 제공되는) 하우징의 저부를 향하여 점점 가늘어지도록(tapering) 설계된다. 따라서 제2 마찰 요소(2)는 외주면(outer circumference)에서 원뿔형 마찰면(20)을 한정하며, 원뿔형 마찰면(20)은 제1 마찰 요소(1)의 원뿔형 마찰면(10)에 마찰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마찰 요소(1)의 원뿔형 마찰면(10)에 대향하여(opposite) 배치된다.
두 개의 마찰 요소들(1, 2)의 마찰면들(10, 20)을 서로 마찰 결합하도록 하기 위해서, 스프링의 형태로, 좀 더 정확히는 압력 스프링으로 설계된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탄성 요소(4)가 제공된다. 탄성 요소(4)는 샤프트(3)를 에워싸며(encompass) 한편으로는 샤프트(3)의 확장(widened) 단부 섹션(32) 상에 다른 한편으로는 제2 마찰 요소 상에 지지된다. 다시 말해서, 탄성 요소(4)는 제1 마찰 요소(1)에 대향하는 제2 마찰 요소(2)를 보강하여 2개의 마찰면(10, 2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선-인장되어(pre-tensioned) 인가되는 유효 방향(R)의 힘이 인가되면, 각각의 선-인장 또는 탄성 요소(4)는 샤프트(3) 또는 그 축(A)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어 제1 마찰 요소(1)에 대향하는 방향(R)을 따라서 제2 마찰 요소(2)를 보강한다.
샤프트와 함께 방향-전환되도록 샤프트(3) 상에 장착되고 따라서 탄성 요소(4)의 선-인장의 유효 방향(R)을 따라서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제1 마찰 요소(1)의 마찰면(10)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제2 마찰 요소의 축 이동성을 허용하기 위해서, 샤프트(3)와 마찰 요소(2)의 정합 영역들(25, 35)에 의해서 연관되는 샤프트(3)에 제2 마찰 요소가 토크-방지 형태로 장착된다. 정합 영역들(25, 35)은 서로 결합하여 샤프트(3)의 축(A)을 따라서(또한 하우징 축에 일치되도록 하면서) 제2 마찰 요소(2)의 축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정확히는 본 명세서에서 정합 영역들(25, 35)은 예시적으로 키-슬롯 조인트를 형성하며, 제2 마찰 요소(2)에서 제공되고 샤프트의 축(A)을 따라서 연장되는 그루브(25)와 프로젝션(projection) 형태의 관련된 스프링(35)을 포함한다. 스프링은 샤프트(3)로부터 그루브(25) 안쪽 방향으로 외향적으로(outwardly) 돌출(protrude)된다.
샤프트(3)로부터 외향적으로 돌출되는 스프링 형태의 정합 영역(35)은 제2 마찰 요소(2)의 그루브 형태의 관련된 정합 영역(25)과 결합한다. 결합시 제2 마찰 요소(2)는 각운동(angular play)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점을 제외하면 샤프트(3) 상에 실질적으로 토크-방지 형태로 장착되나, 탄성 요소(4)의 선-인장의 영향 하에서 제한된 형태로 축(A)을 따라서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의 (최대) 가능한 연장 한도는 탄성 요소(4)의 선-인장의 영향 하에서 제1 마찰 요소(1)의 연관되는 마찰면(10)에 대향하여 제2 마찰 요소의 마찰면(20)이 눌려지는(pushed) 범위로 제한된다.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므로, 제2 마찰 요소(2)는 탄성 요소(4)의 선-인장의 영향 하에서 (자동적으로) 재조절되거나 추종할 수 있어서, 잠금 장치를 장시간 운영한 후 또는 내부에 마모가 있는 경우라도 제1 마찰 요소(1)의 관련된 마찰면(10)이 항상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요소(4)의 선-인장의 영향 하에서 그리고 샤프트(3)에 따른 제2 마찰 요소(2)의 축방향 이동성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재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두 개의 마찰면들(10, 20)이 탄성 요소(4)의 선-인장의 영향 하에서 서로 결합될 때, 차량 구조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전환될 수 있고 잠금 장치에 의해서 전환된 위치에 고정되는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기에 충분한 정지 마찰을 설정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마찰 요소들(1, 2)의 마찰면들(10, 20)을 위한 재료는 선택되어야 한다. 두 개의 마찰면들(10, 20)을 위한 적절한 재료 조합은 전술한 바 있다. 예컨대 두 개의 마찰면들(10, 20)은 각각 POM(polyoxymethylene)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전환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에 더해서, 잠금 브레이크는 또한 각각의 모터 차량 부품을 가능한 원활하게 전환하여야 한다. 즉 서로에 대해서 두 개의 마찰면들(10, 20)의 상대적인 이동시 마찰 요소들(1, 2)의 두 개의 마찰면들(10, 20) 사이에서 실질적인(effective) 마찰력은 가능한 작도록 되어야 한다. 다른 말로 하면, 상대적인 이동시 두 개의 마찰면들(10, 20) 사이에서 실질적인 슬라이딩 마찰은, 제2 마찰 요소(2)가 정지 위치(position of rest)에서의 탄성 요소(4)에 의해서 제1 마찰 요소(1)에 대향하여 보강되는 경우의 마찰면들(10, 20) 사이의 정지 마찰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십 분의 일 정도로 매우 작아야 한다.
잠금 브레이크에 의해서 고정되는 모터 차량의 측면 도어 또는 후면 도어와 같은 연관되는 모터 차량 부품의 전환 하에서 제2 마찰 요소의 이동은 따라서 샤프트(3) 내에서 활성화된다. 샤프트(3) 상에 제2 마찰 요소가 토크-방지 형태로 장착된다. 즉 예컨대 차량 도어와 같은 상기 모터 차량 부품의 전환이 그 축(A) 주위의 샤프트(3)의 화전 이동으로 변환되는 방식으로 제2 마찰 요소의 이동이 상기 전환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에 결속된다(coupled). 이를 위해서, 한편으로 샤프트(3)는 전환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이 그 주위로 선회되는 선회 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또는 개별적인 모터 차량 부품의 전환이 샤프트의 회전 이동으로 변환되는 샤프트(3) 앞에 기어링이 설치(install)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한 방향으로 샤프트(3)를 배열(arrange)하기 위하여, 이러한 기어링은 예컨대 (제2 마찰 요소의 속도 증가를 위한) 특정한 변환(transformation) 또는 방향의 변경을 야기할 수 있다.
그 결과로, 제2 마찰 요소(2)는 대응되는 샤프트(3)를 통하여 연관된 전환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 예컨대 차량 도어와 같은 부품과 결속되며, 상기 모터 차량 부품의 전환이 샤프트(3)의 회전 이동을 발생하게 한다.
고정될 모터 차량 부품의 전환에 동반(entrain)되지 않도록 제1 마찰 요소(1)는 차량 구조에 대해서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은 특히 마찰면(10)과 제1 마찰 요소(1)가 형성되는 하우징(5)의 내벽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5)은 예컨대 잠금 장치에 연관된 차량 도어의 프레임워크와 같은 차량의 구조 상에 배열된다.
따라서, 잠금 장치에 연관된 전환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의 전환 이동에 의해서, 두 개의 원뿔형 마찰면들(10, 20)이 서로에 대해서 활주하면서, 샤프트(3)에 의해서 제2 마찰 요소(2)는 제1 마찰 요소(1)에 대해서 축(A) 주위로 비틀려진다(twist).
정지 마찰력을 가능한 강하게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활주 마찰력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모터 차랑 부품의 전환에 과도하게 강한 마찰력이 반작용(counteract)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으로, 이러한 점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협업적인 마찰면들(10, 20)에 대해서 사용되는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야 하며, 특히 정지 마찰이 활주 마찰보다 실질적으로 큰, 특히 수배 이상 큰 재료 조합(pairings)을 사용하여야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두 개의 마찰 요소들(1, 2)의 서로 마주 보는 마찰면들(10, 20) 사이에서 제공될 수 있는 (유동성) 부가 또는 중간(intermediate) 매질(medium)(Z)을 사용하면, 제2 마찰 요소(2)가 제1 마찰 요소(1)에 대해서 이동하는 도중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POM으로 각각 제조되는 마찰면들(10, 20)과 조합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제(lubricant)로서, 에스테르(ester) 첨가제(additives)가 함유되는 실리콘 분말(flour) 기반 오일(oil)과 같은 적절한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동성 재료로 구성되는 윤활제 형태의 부가 또는 중간 매질(Z)은 하우징의 저부 부분 내에 제공된다. 즉 부가 또는 중간 매질(Z)은 하우징의 저부에 마주 보는 제2 마찰 요소(2)의 저부 면에 충진 레벨이 적어도 도달하도록 제공된다.
제1 마찰 요소(1)에 대한 제2 마찰 요소(2)의 상대적인 이동, 즉 회전 이동 도중에 유동성 부가 또는 중간 매질(Z)이 마찰 요소들(1, 2)의 마찰면들(10, 20) 사이에서 충분하게 획득(get)되도록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활주 마찰이 현저하게 감소되도록,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제2 마찰 요소(2)의 마찰면(20)을 따라서 가이딩 채널(21)이 제공된다. 가이딩 채널에 따라서 부가 또는 중간 매질은, 제2 마찰 요소(2)의 회전 이동 중에 상승할 수 있어서, 두 개의 마찰면들(10, 20) 사이에서 획득될 수 있다.
제2 마찰 요소(2)의 정지 상태, 즉 예컨대 잠금 장치에 의해서 전환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이 전환된 위치에서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에, 부가 도는 중간 매질(Z)은 탄성 요소(4)의 선-인장력의 영향 하에서 서로에 대해서 지지하는(bearing) 두 개의 마찰면들(10, 20)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가압되어(pressed out), 정지 마찰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도 1b에 도시된 제2 마찰 요소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21)은 제2 마찰 요소(2)의 마찰면(20) 내에 리세스(recess)[그루브 또는 플루트]로 형성된다. 리세스는 샤프트(3) 또는 그 축(A)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나, 마찰면(20)의 기울어짐(inclination)에 부합하여 해당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도 1c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제2 마찰 요소(2)의 마찰면(20)은 복수의 구형 포션(portion)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구형 포션은 디스크 형태의 마찰 요소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열되며 예컨대 각각 반지름(rb)을 가지는 원의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반지름(rb)은 구형 포션이 교대로 배열된 원형 경로의 반지름(ro)보다 작다. 따라서 유동성 부가 또는 중간 매질(Z)을 위한 가이딩 채널(21)은 구형 포션들이 인접하는(adjoin) 장소에서 각각 형성된다.
한편으로 제2 마찰 요소(2)가 바람직하게는 그 위에 잠기지(swim) 않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부가 매질(Z)이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찰 요소들(1, 2)의 마찰면들의 영역 밖으로 몰리지(urged) 않도록, 제공되는 부가 매질(Z)의 유형 및 양(amount)은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마찰 요소들(1, 2)의 마찰면들은 서로 연관되어서 정지 상태에서의 정지 마찰을 허용한다.
도 1a 내지 도 1c를 전체적으로 참조하면,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과에 이른다. 차량 도어와 같은 잠금 장치에 연관되는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를 야기하는 전환 이동이 종료되면, 샤프트(3)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제2 마찰 요소(2)는 제1 마찰 요소(1)와는 반대로 정지 상태(stationary)에 놓이고, 상호간의(mutual) 마찰면들(10, 20)은 서로에 대향하여 지지한다. 탄성 요소(4)에 의해서 생성되는 선-인장력의 영향 하에서, 두 개의 마찰면들(10, 20) 사이에서 존재하는 중간 매질(Z)은 적어도 직접적으로 서로에 대향하여 지지되는 두 개의 마찰면들(10, 20) 상의 장소에서 밀쳐 진다(pushed away). 중간 매질(Z)을 밀치기 위해서 필요한 짧은 천이(transition) 기간 이후에, 두 개의 마찰면들(10, 20) 사이에 [건성(dry)] 정지 마찰이 증가되어 설정된다.
만약 개별적인 모터 차량 부품이 이후 다시 이동된다면, 예컨대 초기 상태로 선회하기 위해서 보다 더 전환된다면, 잠금 장치의 두 개의 마찰면들(10, 20) 사이의 정지 마찰은 우선 극복되어야 한다. 일단 제2 마찰 요소 및 그 마찰면(20)이 다시 제1 마찰 요소에 대해서 이동되고 마찰면(10)이 방향-전환되면, 제1 마찰 요소(1)의 마찰면(10)의 모든 영역에 대해서 조금씩(bit by bit) 제2 마찰 요소의 회전 이동이 그 위에서 진행하는(pass) 글라이딩 채널(21)에 의해서, 제1 마찰 요소(1)의 마찰면(10)은 연속적으로 중간 매질(Z)에 적셔지고(wet), 제2 마찰 요소(2)의 마찰면(20)은 곧 감소된 활주 마찰에 의해서 활주하게 된다.
도 2는 도 1a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샤프트(3) 및 그 축(A)이 장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확장되는 것에 비해서, 즉 모터 차량의 수직 축을 따라서 확장되는 것에 비해서, 도 2는 하우징(5)이 장착된 상태, 즉 모터 차량 내에서 의도되는(intended)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샤프트(3) 및 그 축(A)이 수평적으로 연장되도록 지향된(orientated) 예를 도시한다.
도 2의 구성의 경우에서, 부가 또는 중간 매질(Z)은 따라서 (도 1a의 구성에서 가능하듯이) 하우징 저부 부분(51) 안쪽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도 축적(accumulate)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하우징 부분들(51, 52) 사이의 연결 영역을 밀봉(sealing)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각 경우 예컨대 고리 모양으로(annularly) 주연 방향이고 외향적으로 돌출된 체결 플랜지(flange)들(51a, 52a)을 통하여 그리고 두 개의 체결 플랜지들(51a, 52a) 사이에 배치되는 밀봉재(seal, D)에 의해서 두 개의 하우징 부분들(51, 52)은 서로에 대향하여 지지(bear)한다.
도 3은 제1 마찰 요소(1 또는 101)가 하우징에 체결되고 제2 마찰 요소(2 또는 102)가 비틀려지는 것이 가능하여(twistable) 이에 대해서 협업하도록 마찰면들(10, 20, 110, 120)의 두 쌍이 제공되는 것인 도 1a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하우징에 체결되는 두 개의 마찰 요소들(1, 101)은 각각 하우징(5)의 내벽에 형성되며, 서로에 대해서 반대로, 하나의 제1 마찰 요소(1)는 하우징 저부 부분(51)에 다른 하나의 제1 마찰 요소(101)는 하우징 상부 부분(52)에 형성된다. 하우징 저부 부분(51)의 내벽에 형성되는 마찰 요소(1)는 따라서 하우징의 저부를 향하여 원뿔 형태로 점점 가늘어지며(tapered), 하우징 상부 부분(52)의 내벽에 형성되는 마찰 요소(101)는 따라서 하우징 상부 부분(52)의 상부 표면(upper top surface)을 향하여 원뿔 형태로 점점 가늘어진다. 하우징에 체결되는 두 개의 마찰 요소들(1, 101)은 따라서 샤프트(3)의 축(A)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외향적으로 돌출된 체결 플랜지들(51a, 52a)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들(51, 52)에 의해서 형성되는 하우징(5) 내에는, 두 개의 제2 마찰 요소들(2, 102)이 수납된다(received). 두 개의 제2 마찰 요소들(2, 102)은 제1 마찰 요소(1, 101)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연관되거나 또는 하우징(5)의 내벽에 형성되는 제1 마찰 요소들(1, 101)의 마찰면(10, 110) 중 어느 하나와 각각 연관된다. 따라서, 하우징 저부 부분의 제1 마찰 요소(1)와 연관되는 제2 마찰 요소(2)는, 도 1a 및 도 2의 경우에서와 같이, 토크-방지 형태로 하우징(5) 내로 돌출되는(projecting) 샤프트(3)에 고정되며, 도 3에 구조적으로 도시되는 키-슬롯 조인트(V)를 통하여, 동시에 각각 샤프트(3) 또는 그 축(A)을 따라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이에 비해서, 하우징 상부 파트의 제1 마찰 요소(101)를 마주 보는 또 다른 제2 마찰 요소(102)는 예컨대 전체적으로(integrally) 샤프트(3)에 연결된다. 두 개의 제2 마찰 요소들(2, 102) 모두는 각각 외주면에서 점점 가늘어지는(tapered) 원뿔 형태의 마찰면(20 또는 120)을 구비한다. 마찰면(20 또는 120)은 해당되는(corresponding) 제1 마찰 요소(1 또는 101)의 연관된 마찰면(10, 110)에 대해서 각각 마찰 결합(frictional engagement)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서, 두 개의 마찰 요소(2, 102)에서 압력 스프링 형태의 탄성 요소가 적어도 하나 배열되며, 탄성 요소는 두 개의 제2 마찰 요소들(2, 102)을 샤프트(3) 또는 그 축(A)을 따라서 반대되는 방향(R1, R2)으로 미는(push) 경향을 보인다. 서로 간에 이격(apart from)되어서, 두 개의 제2 마찰 요소들(2, 102)은 그 마찰면(20 또는 120)에서 연관된 제1 마찰 요소들(1, 101)의 마찰면(10 또는 110)에 대해서 가압(pressed)된다.
하우징 저부 부분의 제2 마찰 요소(2)의 축 이동 가능성(axial movability)에 의해서 샤프트(3) 상에 장착된 제2 마찰 요소(2)가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보장된다. 하우징 상부 부분의 다른 제2 마찰 요소(102)는, 이에 대비해서, 샤프트(3)에 견고하게 연결되며, 하우징(5)의 축 방향 내에서 완전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샤프트(3)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샤프트의 축(A)을 따라서 이동성이 허용된다. 필요시, 하우징 상부 부분의 마찰면 조합들(pairing)(110, 120)이 또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으로, 마찰면들의 각각의 쌍(pair)(10, 20 또는 110, 120)은, 그 설계를 감안하면, 도 1a에 기반하여 도시된 마찰면들(1, 2)의 쌍과 동일하며, 따라서 도 1a 내지 도 1c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참조된다.
도 1a 및 도 2에서 도시된 구성에서의 마찰면들의 하나의 쌍(10, 30)이 아니라 도 3에서 도시된 구성에서 마찰면들의 두 개의 쌍(10, 20; 110, 120)을 형성하기 때문에, 마찰면들의 두 개의 쌍(10, 20; 110, 120)에 의한 실질적인 정지 마찰력의 합에 해당되는 커다란 잠금-힘(locking force)이 잠금 장치에서 얻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1 마찰 요소들(1a, 1b, 1c)이 하우징에 체결되고, 두 개의 제2 마찰 요소들(2a, 2b)이 샤프트(3)에 토크-방치 형태로 배열되며, 제1 및 제2 마찰 요소들(1a, 1b, 1c; 2a, 2b)은 각각 샤프트(3) 또는 그 축(A)을 따라서 서로 교대로 배열된다. 따라서 디스크-형태의 마찰 요소들(1a, 1b, 1c; 2a, 2b)의 외주 표면(outer circumferential faces)이 마찰면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의 상부 또는 저부 측면(sides)(10a, 10b, 10c; 20a, 20b)이 마찰면으로 작용한다. 하우징에 체결되는 제1 마찰 요소들(1a, 1b, 1c)의 마찰면(10a, 10b, 10c)이 샤프트(3)에 장착되는 제2 마찰 요소(2a, 2b)의 마찰면(20a, 20b)에 놓여지게 되며 각 경우에 대해서 다수의 마찰면 조합(10a, 20a; 20a, 10b; 10b, 20b; 20b, 10c)이 존재하여 샤프트와 함께 방향-전환된다. 즉 한편으로는 특히 상부 표면에서 하우징(5)에서 지지되고 한편으로는 하우징에 체결되지만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마찰 요소(1c)에 의해서 지지되는 압력 스프링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4)로부터의 선-인장의 영향 하에서 방향-전환된다.
따라서, 하우징에 체결되는 제1 마찰 요소들(1a, 1b, 1c) 중 단지 하나의 마찰 요소(1a)만이 하우징 내벽의 부분을 형성하고, 즉 하우징의 저부를 형성하고, 반면에 하우징에 체결되는 다른 두 개의 마찰 요소들(1b, 1c)은 키-슬롯 조인트(V)를 통하여 하우징의 측벽 내에서 각각 샤프트(3) 또는 그 축(A)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수납된다.
두 개의 제2 마찰 요소들(2a, 2b) 중 하나의 마찰 요소(2a)는, 특히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샤프트(3)에 연결되며 다른 마찰 요소(2b)는 키-슬롯 조인트(V)를 통하여 샤프트(3)에서 축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된다(그러나 동시에 샤프트와 함께 또는 토크-방지 형태로 방향 전환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하우징(5) 내에 제한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샤프트(3)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서 샤프트(3) 상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제2 마찰 요소(2a)의 종방향 이동 가능성이 결정된다.
하우징의 저부와 떨어져 있는 최외각(상부) 제1 마찰 요소(1c)를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4)를 사용하여 축 방향에서 보강하여, 최외각 제1 마찰 요소(1c)의 축방향 이동 가능성이 증가되며, 최외각 제1 마찰 요소(1c)는 키-슬롯 조인트를 통하여 하우징(5)에 장착된다. 마찰면 조합(10a, 20a; 20a, 10b; 10b; 20b; 20b, 10c)은 서로에 대해서 밀쳐지며, 따라서 전환된 위치에서 전환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원하는 정지마찰력이 발생한다.
도 1a,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존재하는 웨지 효과에 기인하여 강화된 힘이 제거되므로, 도 4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적절한 강도의 잠금-힘(locking force)이 4개의 마찰면 조합에 의해서 달성된다.
단지 하나의 제1 마찰 요소(1a)와 그 마찰면(10a)만이 따라서 하우징(5) 내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우징의 저부에 정밀하게(precise) 형성된다. 다른 마찰 요소들(1b, 1c 및 2a, 2b)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두 개의 제1 마찰 요소들(1b, 1c)은 각 경우에서 하나의 키-슬롯 조인트(V)를 통하여 하우징 저부 부분(51)의 측벽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두 개의 제2 마찰 요소들(2a, 2b)은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나의 키-슬롯 조인트(V)를 통하여 샤프트(3)에 제공된다.
도 4의 실시예를 변형한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4의 구성을 중복적으로 배치한 것으로, 즉 하우징 저부 파트(51) 하우징 상부 파트(52)에 제1 및 제2 마찰 요소들(1a, 1b, 1c; 2a, 2b 또는 101a, 101b, 101c; 102a, 102b)을 포함하는 배열이 각각 제공된다. 마찰 요소들의 두 개의 배열은 탄성 요소(4)에 의해서 보강된다. 축 방향에서 보면, 탄성 요소(4)는 마찰 요소들의 두 개의 배열 사이에 배치되며 서로 반대되는 방향(R1, R2)으로 두 개의 배열을 보강하여, 샤프트(3)가 정지(rest)인 경우(즉 방향-전환하지 않으면) 적절한 강도의 마찰력, 특히 정지 마찰력을 각각 생성하도록 그 마찰면을 서로에 대해서 가압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 모두에서, 부가 또는 중간 매질(Z)이 하우징(5) 내에 각각 배열될 수 있다. 활주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2 마찰 요소들(2a, 2b or 2a, 2b; 102a, 102b)의 회전 동안에 적절한 채널을 통하여, 부가 또는 중간 매질(Z)은 서로에 대해서 지지하는(bear) 마찰 요소들의 마찰면들(10a, 10b, 10c; 20a, 20b and 110a, 110b, 110c; 120a, 120b) 사이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가 정지 상태이고 따라서 제2 마찰 요소들(2a, 2b 또는 2a, 2b; 102a, 102b)이 정지 상태인 경우 최대한의 정지 마찰을 달성하고 따라서 잠금 장치의 잠금-힘이 가능한 강하게 되도록, 부가 또는 중간 매질(Z)은 서로 마주 보는 마찰면들 사이의 영역으로 가압된다.
도 6a 내지 도 6d에서는 제2 마찰 요소(2)에 대해서 서로 다르게 설계된 정합 영역의 단면도가 도시되며, 각각의 디스크-형태의 제2 마찰 요소(2)는 도 1a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샤프트(3)에 토크-방지 형태로 배열되지만 동시에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도 6a는 정합 영역(25)의 또 다른 설계를 구조적으로 도시하며, 정합 영역(25)은 도 1a 내지 도 1c, 특히 도 1b 및 도1c에서 도시되듯이, 각각 샤프트(3) 또는 그 축(A)을 따라서 연장되는 그루브 형태로 도시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예컨대 4개인 다수의 정합 영역들(25)이 도시되며, 다수의 정합 영역들(25)은 주연 방향을 따라서 디스크-형태의 마찰 요소의 내주(inner circumference)에서 하나씩 교대로 배열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정합 영역들(26)이 디스크-형태의 마찰 요소(2)의 원주(circumference)에서 교대로 배열되며, 각각의 정합 영역들(26)의 단면은 라운드된(rounded) 형태를 가진다. 도 6d를 참조하면, 정합 영역들(27)이 각각 제공되며, 각각의 정합 영역들(26)의 단면은 삼각형 형태를 가진다.
도 7a는 마찰 요소(2)의 내주에서 그루브 형태의 정합 영역(25) 내로(into) 배치되는 샤프트 상의 스프링 형태인 정합 영역(35)이 도시된다. 스프링은 샤프트(3)로부터 돌출(protrude)된다. 또는 스프링은 보다 정밀하게 그 외각면(outer surface)에서 돌출되어 그루브(25)와 결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샤프트(3)의 외각면에서의 다른 그루브(35')가 제2 마찰 요소(2)의 내면(inner surface)에서의 그루브에 의해서 형성된 정합 영역(25)과 연관될 수 있다. 두 개의 그루브(25, 35')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동(hollow space)에 삽입되는 폐쇄부재(closing member, E)에 의해서 연결(connection)이 설정된다.
도 7b는 축방향(a)에서 마찰 요소(2)의 이동 가능성을 용인하는 연결(토크-방지 또는 적어도 샤프트와 함께 방향-전환되는)이 제2 마찰 요소(2)에서의 그루브 형태의 정합 영역(25) 및 샤프트(3)로부터 돌출되는 스프링(35)에 의해서 형성되는 키-슬롯 조인트에 의해서 어떻게 설정되는지를 명백하게 도시한다. 그루브(25)는 축 방향으로 스프링(35)이 내부에 장착되는 것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며, 반면에, 또한 축방향(a)에 대해서 수직 방향인 스프링(35)이 연관된 그루브(25) 내에서, 대안적으로 제공되는 각 운동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이동가능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자연히, 반대 방향으로, 예컨대 도 2 내지 도 5에서 구조적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3)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그루브와 제2 마찰 요소(2)에서의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제공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항들을 참조로 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

Claims (48)

  1. 모터 차량 구조에 대해서 변위가능(displaceable)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는 잠금(locking) 장치-상기 모터 차량 부품은 변위(displacement)에 의해서 도달되는 각각의(respective) 정지(rest) 위치에서 변위 범위 내에서 상기 잠금 장치에 의해서 고정(secure)됨-에 있어서,
    - 상기 잠금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마찰 요소와,
    - 상기 잠금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마찰 요소-상기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에 따라 상기 제1 마찰 요소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여 활주 마찰 환경(sliding friction conditions) 하에서 상기 제1 마찰 요소의 마찰면(friction surface)에 마찰하는 상기 제2 마찰 요소의 마찰면을 따라 활주할 수 있으며, 정지 마찰 환경(static friction conditions) 하의 상기 각각의 정지 위치에서 상기 제2 마찰 요소의 마찰면과 상기 제1 마찰 요소의 마찰면이 서로에 대해서 지지(bear against)함-
    를 포함하되,
    상기 마찰 요소들(1, 2;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의 상대적인(relative) 이동시 그들의 마찰면들(10, 20; 10a, 10b, 10c, 20a, 20b; 110, 120; 110a, 110b, 110c, 120a, 120b) 사이에서 전달될(brought) 수 있는 유동성 부가 매질(flowable additional medium, Z)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부가 매질(Z)이 서로 연관된(associated) 상기 마찰면들(10, 20; 10a, 10b, 10c, 20a, 20b; 110, 120; 110a, 110b, 110c, 120a, 120b)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마찰 요소들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21)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21)은 마찰면(10, 20)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21, 22, 23)은 이동 가능한 제2 마찰 요소(2)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5.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채널(21)은 하나의 마찰 요소(2)의 마찰면(20)의 리세스된(recessed) 구조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요소(2)의 상기 마찰면(20)의 적어도 일부 섹션(sections)은 구형(spherically)으로 설계되어, 상기 제2 마찰 요소(2)가 연관된 제1 마찰 요소(1)의 마찰면(10)과 단지 그 마찰면(20)의 일부분(part)을 통하여 결합(engagement)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의 협업적인(cooperating) 마찰면들(10, 20; 10a, 10b, 10c, 20a, 20b; 110, 120; 110a, 110b, 110c, 120a, 120b)을 위해서,
    - 강철/플라스틱
    - 경금속 캐스팅(light metal casting)/플라스틱
    - 플라스틱/플라스틱
    - 강철/경금속 캐스팅
    을 포함하는 재료 조합들 중에서 선택되는 재료 조합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들(10, 20; 10a, 10b, 10c, 20a, 20b; 110, 120; 110a, 110b, 110c, 120a, 120b) 중 적어도 하나에 플라스틱이 사용되며,
    상기 플라스틱은
    - 폴리아미드(polyamide),
    - 폴리우레탄(polyurethane),
    - 폴리스티렌(polystyrene),
    -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 폴리술폰(polysulfone),
    - 폴리-2,6-디메틸-1,4-페닐에스테르(poly-2,6-dimethyl-1,4-phenylester,_
    -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 아크릴릭부타디엔스티렌(acrylic butadiene styrene, ABS)
    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부가 매질(Z)은
    - 오일(oil)
    - 오일 기반 유제(emulsion based on oil)
    - 오일 기반 분산제(dispersion based on oil)
    - 그리스(grease)
    를 포함하는 유동성 매질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적인 마찰면들(10, 20; 10a, 10b, 10c, 20a, 20b; 110, 120; 110a, 110b, 110c, 120a, 120b) 및 상기 연관된 부가 매질(Z)의 재로는
    - 강철/폴리아미드/오일
    - 강철/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오일
    -폴리옥시메틸렌/폴리옥시메틸렌/오일
    을 포함하는 재료 조합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매질(Z)은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 중 적어도 하나에 내장(embedd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가 매질(Z)이 내장될 수 있는 분자 구조를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 중 적어도 하나는 모세관 구조(capillary structure) 내에 상기 부가 매질(Z)이 내장될 수 있는 다공성(porous)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부가 매질(Z)을 위한 저장소(reservoir)를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마찰 요소는 개방-세공형(open-pored) 모세관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매질(Z)은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이 내부에 제공되는 하우징(5)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은 상기 부가 매질(Z)의 방출(discharge)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되는(seal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매질(Z)을 위한 폐쇄형 챔버(closed-chamber)가 상기 하우징(5)의 벽(wall) 및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8. 모터 차량 구조에 대해서 변위가능(displaceable)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는 잠금(locking) 장치-상기 모터 차량 부품은 변위(displacement)에 의해서 도달되는 각각의(respective) 정지(rest) 위치에서 변위 범위 내에서 상기 잠금 장치에 의해서 고정(secure)됨-에 있어서,
    - 상기 잠금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마찰 요소와,
    - 상기 잠금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마찰 요소-상기 모터 차량 부품의 변위에 따라 상기 제1 마찰 요소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여 활주 마찰 환경(sliding friction conditions) 하에서 상기 제1 마찰 요소의 마찰면(friction surface)에 마찰하는 상기 제2 마찰 요소의 마찰면을 따라 활주할 수 있으며, 정지 마찰 환경(static friction conditions) 하의 상기 각각의 정지 위치에서 상기 제2 마찰 요소의 마찰면과 상기 제1 마찰 요소의 마찰면이 서로에 대해서 지지(bear against)함-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마찰 요소들(1, 2;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이 서로에 대해서 보강되어(braced), 상기 제1 및 제2 마찰 요소들이 마찰면들(10, 20; 10a, 10b, 10c, 20a, 20b; 110, 120; 110a, 110b, 110c; 120a, 120b)에 의해서 서로에 대해서 인접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가 다른 마찰 요소(1; 1a, 1b, 1c; 101; 101a, 101b, 101c)에 대해서 선-인장(pre-tensioning)의 유효 방향(R; R1, R2)이 재조절(readjust)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1c, 2a, 2c;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의 보강에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지지하는 상기 마찰면들(10, 20; 10a, 10b, 10c, 20a, 20b; 110, 120; 110a, 110b, 110c; 120a, 120b) 사이에서 유효한 정지 마찰(static friction)을 강화하기(intensify)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01, 102)의 상기 마찰면들(10, 20; 110, 120)은 상기 선-인장의 유효 방향(R; R1, R2)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주행(ru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01, 102)의 상기 마찰면들(10, 20; 110, 120)은 상기 선-인장의 유효 방향(R; R1, R2)에 대해서 원뿔 모양으로(conically)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a, 1b, 1c, 2a, 2b; 101a, 101b, 101c, 102a, 102b)의 상기 마찰면들(10a, 10b, 10c, 20a, 20b; 110a, 110b, 110c, 120a, 120b)은 상기 선-인장의 유효 방향(R; R1, R2)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지향되는(orien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면들(10a, 10b, 10c, 20a, 20b; 110a, 110b, 110c, 120a, 120b)의 협업적인 몇몇의(several) 쌍들(pairs)이 제공되어, 서로를 각각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01, 102; 1a, 1b, 1c, 2a, 2b, 101a, 101b, 101c, 102a, 102b)의 적어도 두 개의 쌍들이 반대되는 유효 방향(R1, R2)에서 서로에 대해서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01, 102; 1a, 1b, 1c, 2a, 2b, 101a, 101b, 101c, 102a, 102b)의 상기 쌍들을 보강하기 위한 탄성 요소(4)가 상기 마찰 요소들(1, 2, 101, 102; 1a, 1b, 1c, 2a, 2b, 101a, 101b, 101c, 102a, 102b)의 상기 쌍들 사이에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6.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가 다른 마찰 요소(1; 1a, 1b, 1c; 101; 101a, 101b, 101c)에 대해서 상기 선-인장의 유효 방향(R; R1, R2)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가 상기 다른 마찰 요소(1; 1a, 1b, 1c; 101; 101a, 101b, 101c)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재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7. 제18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가 가이딩 수단(21, 31)에 의해서 상기 선-인장의 유효 방향(R; R1, R2)을 따라서 미리 한정된 형태로 유도되는(guid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가 다른 마찰 요소(1; 1a, 1b, 1c; 101; 101a, 101b, 101c)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선-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선-인장을 생성하기 위해서, 탄성 요소(4)가 특히 압력 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0. 제18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인장은 자력(magnetic force)에 의해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 중 하나 또는 이에 연결되는 부품은 자속(magnetic flux)을 전도하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고, 다른 마찰 요소들(1; 1a, 1b, 1c; 101; 101a, 101b, 101c) 또는 이에 연결되는 부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기 재료(magnetic material)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은 하우징(5)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1; 1a, 1b, 1c; 101; 101a, 101b, 101c)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체결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는 상기 모터 차량 부품(H, S)의 변위시 상기 마찰 요소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는 상기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H, S)에 결속되어(coupled), 상기 모터 차량 부품(H, S)의 변위 하에서 상기 제1 마찰 요소(1; 1a, 1b, 1c; 101; 101a, 101b, 101c)에 대해서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가 비틀려지는(twis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5.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요소(2; 102)가 상기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에 결속되어, 상기 모터 차량 부품(H, T)의 변위 하에서 상기 제1 마찰 요소(1; 101)에 대해서 상기 제2 마찰 요소(2; 102)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6.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가 결속 구조(3)를 통하여 상기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H, S)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구조(3)는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 및 상기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H, S)에 연관된 출력 요소 사이의 거리를 브리징(bridg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구조(3)는 상기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H, S)에 연동하도록(operatively) 연결되는 샤프트(3)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는 기어링 메카니즘(gearing mechanism)을 통하여 상기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H, S)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링 메카니즘은 변환(transformation)을 위해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링 메카니즘은 상기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H, S)으로부터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에게로 전달되는(transmitted) 토크를 공간적으로(spatially) 전환(deflect)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42. 제1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는 샤프트(3) 상에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것이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H, S)의 변위에 따라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는 상기 샤프트에 포지티브-로킹(positive locking)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가 상기 샤프트(3)와 함께 회전하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가 상기 샤프트(3)에 대해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찰 요소(2; 2a, 2b; 102; 102a, 102b)를 상기 샤프트(3)에 연결하기 위하여, 키-슬롯 조인트(key and slot joint, 25, 35, V), 치형 결합(tooth engagement) 또는 서로를 결합하는 다른 정합 영역(positive fitting region, 25, 35', V)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45. 제39항 내지 제41항 및 제42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는 기어링 메카니즘을 통하여 상기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46. 제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이 이를 통하여 협업하는(cooperate) 상기 마찰면들(10, 20; 10a, 10b, 10c, 20a, 20b; 110, 120; 110a, 110b, 110c, 120a, 120b)은,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의 상대적인 이동에 대한 활주 마찰이 상기 선-인장의 영향 하에서 상기 마찰면들(10, 20; 10a, 10b, 10c, 20a, 20b; 110, 120; 110a, 110b, 110c, 120a, 120b)을 통하여 상기 마찰 요소들(1, 2; 1a, 1b, 1c, 2a, 2b; 101, 102; 101a, 101b, 101c, 102a, 102b)이 정적으로 지지되는 정지 마찰보다 실질적으로 작도록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47. 제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지 마찰 대 활주 마찰 비율(ratio of static friction to sliding friction)은 적어도 3이상이고, 특히 5 내지 1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48. 제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정지 마찰 대 활주 마찰 비율은 적어도 1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장치.
KR1020107002913A 2007-07-10 2008-07-09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모터 차량의 잠금 장치 KR20100058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7009824U DE202007009824U1 (de) 2007-07-10 2007-07-10 Feststell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zum Arretieren eines verlagerbaren Kraftfahrzeugteiles
DE202007009824.3 2007-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468A true KR20100058468A (ko) 2010-06-03

Family

ID=3979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913A KR20100058468A (ko) 2007-07-10 2008-07-09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모터 차량의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06717B2 (ko)
EP (1) EP2176481B1 (ko)
JP (1) JP5357870B2 (ko)
KR (1) KR20100058468A (ko)
CN (1) CN101743372B (ko)
BR (1) BRPI0814223A2 (ko)
DE (1) DE202007009824U1 (ko)
WO (1) WO2009007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844206T3 (pl) * 2006-02-22 2009-06-30 Goller Hans Peter Przegub walcowy
DE202009001449U1 (de) 2009-02-04 2010-07-0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ststellvorrichtung mit zum lösbaren Arretieren eines Fahrzeugteiles
DE102009033468B3 (de) 2009-07-10 2011-01-2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ststellvorrichtung zum lösbaren Arretieren eines Verstellteils
DE102009033469B9 (de) * 2009-07-10 2011-07-1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96450 Feststellvorrichtung zur lösbaren Arretierung eines Verstellteiles
DE102009033471B3 (de) 2009-07-10 2011-04-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ststellvorrichtung zur lösbaren Arretierung eines Verstellteiles
DE102009041036A1 (de) * 2009-09-14 2011-03-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Bremseinrichtung
DE102009041499A1 (de) * 2009-09-14 2011-03-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ststellvorrichtung zum Arretieren eines Kraftfahrzeugteiles
DE102009041498A1 (de) * 2009-09-14 2011-03-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ststellvorrichtung zum Arretieren eines Kraftfahrzeugteiles
DE102010028513A1 (de) 2010-05-03 2011-11-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ststellvorrichtung zum Arretieren eines bezüglich einer Kraftfahrzeugstruktur verlagerbaren Kraftfahrzeugteils
DE102010028514A1 (de) 2010-05-03 2011-11-0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stellvorrichtung zur Verlagerung eines Kraftfahrzeugteils
JP2012255509A (ja) * 2011-06-10 2012-12-27 Nifco Inc 回転ダンパー
DE102011111687B4 (de) 2011-08-26 2022-12-08 Kiekert Aktiengesellschaft Feststellvor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Türeinheit
PL218498B1 (pl) * 2011-12-05 2014-12-31 Anna Jankowska Urządzenie blokujące skrzydło okna z PCV lub drzwi balkonowe z PCV
DE102011056225A1 (de) 2011-12-09 2013-06-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Kraftfahrzeugbaugruppe mit Feststellvorrichtung
DE102012108094A1 (de) 2012-08-31 2014-03-0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eststellvorrichtung zum Arretieren eines verlagerbaren Kraftfahrzeugteils mit einer Schalteinrichtung
DE102012110449A1 (de) 2012-10-31 2014-04-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Feststellvorrichtung zum Arretieren eines verlagerbaren Kraftfahrzeugteils mit dilatantem Medium
JP6142636B2 (ja) * 2013-04-10 2017-07-12 富士通株式会社 ヒンジ装置
CN103670095B (zh) * 2013-12-18 2015-12-09 湖北工业大学 一种可实现特定角度开关的开关门铰链
CN105003144A (zh) * 2014-04-27 2015-10-28 邵国忠 锥度式调速合页
US9823638B2 (en) * 2015-08-13 2017-11-21 Apple Inc. Variable resistance electronic device brake clutch
JP6472375B2 (ja) 2015-12-25 2019-02-20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モータ
DE102016113353A1 (de) * 2016-07-20 2018-01-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Bamberg Antriebsanordnung einer Verschlusselementanordnung
DE102017209719A1 (de) 2017-06-08 2018-12-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ensterheberbaugruppe mit Sicherungselement und Sicherungsabschnitt für die Sicherung eines Zugmittels
KR20190041065A (ko) * 2017-10-12 2019-04-22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힌지 장치
JP7089328B2 (ja) * 2018-10-31 2022-06-22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対象物移動機構
DE102019112005A1 (de) * 2019-05-08 2020-11-12 Stabilus Gmbh Bremsvorrichtun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Bremsvorrichtung
AT523753B1 (de) * 2020-05-07 2023-06-15 Blum Gmbh Julius Möbelbeschlag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764A (en) * 1895-06-11 Artificial-leg joint
US620999A (en) * 1899-03-14 Hinge-joint for artificial limbs
US1004237A (en) * 1911-02-06 1911-09-26 Arthur Brandes Friction-locked hinge.
US1956040A (en) * 1932-02-05 1934-04-24 Porcelain Products Inc Friction hinge
US2051428A (en) * 1935-01-17 1936-08-18 Tatlow Herbert Ernest Hinge
US2862229A (en) * 1952-02-07 1958-12-02 Charles R Bacca Spring tensioned radially compressible and longitudinally extensible sectional clamp sleeve
GB1306846A (en) * 1970-03-26 1973-02-14 Atomic Energy Authority Uk Pivots
US4186905A (en) * 1975-06-09 1980-02-05 Dominion Auto Accessories Limited Retractable truck mirror
DE7818814U1 (de) * 1978-06-23 1978-11-09 Schoeler Gmbh, 2900 Oldenburg Scharni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tueren
DE3126841A1 (de) * 1981-07-08 1983-02-03 Richard Dr. 6700 Ludwigshafen Bung Verfahren zur bremsung der drehbewegungen von tueren
US4620344A (en) * 1985-08-15 1986-11-04 General Electric Company Friction applying assembly
DE8707746U1 (ko) * 1987-05-30 1987-07-16 Gretsch-Unitas Gmbh Baubeschlaege, 7257 Ditzingen, De
DE8805243U1 (ko) * 1988-04-20 1988-06-01 Lunke & Sohn Gmbh, 5810 Witten, De
DE4034296C2 (de) * 1990-10-25 1995-01-05 Krone Ag Scharnier
US5333356A (en) * 1991-11-01 1994-08-02 Santo Industries Co., Ltd. Assembly for controlling turn of a hinge pivot
DE4212181C2 (de) * 1992-04-10 2002-07-18 Audi Ag Scharnier mit Arretierung, insbesondere für eine Kraftfahrzeug-Seitentür
US5239731A (en) * 1992-06-03 1993-08-31 Lu Sheng N Hinge device for casings
DE4219468C2 (de) * 1992-06-13 2003-03-06 Fingscheidt Gmbh Friedr Türhalter für Fahrzeugtüren mit Kunststoffgehäuse
US6745396B1 (en) * 1996-06-28 2004-06-08 Op-D-Op, Inc. Articulating support arm apparatus for head-worn devices
US5996132A (en) * 1997-01-24 1999-12-07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Compound torque hinge
JPH10248757A (ja) * 1997-03-14 1998-09-22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洋式便器の便座と便蓋の開閉用ヒンジ
US20040055110A1 (en) * 1997-03-17 2004-03-25 Breed David 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vehicle door
US5799371A (en) * 1997-05-20 1998-09-01 Tamarack Technologies Inc. Pivoting joint
CN1206773A (zh) * 1997-06-25 1999-02-03 Ed沙瓦希特两合公司 与可悬挂出的门折页结构组合的门定位器
US6101676A (en) * 1998-01-27 2000-08-15 Dell Usa, L.P. Adjustable clutch hinge assembly for portable computer
JP3732651B2 (ja) * 1998-04-16 2006-01-05 加藤電機株式会社 開閉体の開閉用ヒンジ
DE19835572A1 (de) * 1998-08-06 2000-02-10 Scharwaechter Ed Gmbh Anschlußeinrichtung zur Verbindung eines Türfeststellers mit einem Kraftwagentürscharnier
DE19838820B4 (de) * 1998-08-26 2007-11-08 Siegenia-Aubi Kg Flügelbremse mit Schellenband
DE19901263A1 (de) * 1999-01-15 2000-07-27 Lunke Ventra Automotive Gmbh Gelenkverbindung, insbesondere Türscharnier, mit einer Vorrichtung zum Festsetzen eines ersten Bewegungselements
JP2000356214A (ja) * 1999-06-16 2000-12-26 Minoru Kida ノートパソコン等に使用されるヒンジ装置のプラスチックスプリング並びにプラスチックスプリング圧力受け装置
KR100390410B1 (ko) * 2000-06-20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조립체
DE10036766A1 (de) 2000-07-28 2002-03-28 Schaeffler Waelzlager Ohg Türfeststeller
US7203996B2 (en) * 2000-09-13 2007-04-17 Friedr. Fingscheidt Gmbh Hinge door arrester for vehicle doors
US20020112319A1 (en) * 2001-02-21 2002-08-22 Makoto Kida Hinge
US6408485B1 (en) * 2001-02-21 2002-06-25 Yu-Chih Wu Hinge
DE10121977B4 (de) * 2001-05-05 2007-04-19 Grass Gmbh Möbelbeschlag mit Brems- und Dämpfungsvorrichtung
DE60212979T2 (de) * 2001-08-21 2007-02-15 L'oreal Usa, Inc. Kosmetikbehälter mit einem magnetischen scharnier
DE20201320U1 (de) 2002-01-16 2003-05-28 Fingscheidt Gmbh Friedr Scharniertürhalter für Kraftfahrzeuge
JP3998512B2 (ja) * 2002-05-23 2007-10-3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ドアチェック装置
DE10228435C1 (de) * 2002-06-26 2003-12-11 Ise Gmbh Türscharnier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20212581U1 (de) * 2002-08-16 2003-12-24 Ab Skf Türscharnier mit Feststellfunktion
DE10305977B4 (de) * 2003-02-13 2005-06-16 Edscha Ag Scharnier
DE10311199B4 (de) * 2003-03-14 2005-01-27 Stabilus Gmbh Stufenlos blockierbare Feststellvorrichtung
JP4186056B2 (ja) * 2003-05-09 2008-11-26 株式会社ファインシンター ドアチェッカー用保持具
DE10330162B4 (de) * 2003-07-04 2009-02-12 Daimler Ag Scharnier mit integrierter Feststell- und Bremsfunktion
DE10334198A1 (de) 2003-07-26 2005-03-03 Daimlerchrysler Ag Scharnier mit stufenloser Haltefunktion
DE202004003546U1 (de) * 2004-03-04 2005-07-21 Friedr. Fingscheidt Gmbh Scharniertürhalter für Fahrzeugtüren
DE102004034247B3 (de) 2004-07-14 2006-01-19 Ise Innomotive Systems Europe Gmbh Türscharnier für Kraftfahrzeuge
DE202005000982U1 (de) * 2005-01-20 2005-04-14 Edscha Ag Feststellvorrichtung
DE102005017929A1 (de) * 2005-04-18 2006-10-19 Friedr. Fingscheidt Gmbh Verwendung eines Leichtbaustahls
US7261272B2 (en) * 2005-05-18 2007-08-28 Lang Mekra North America, Llc Conical support arm joint for a vehicle mirror
DE102005046868A1 (de) 2005-09-30 2007-04-19 Edscha Ag Türfeststellvorrichtung
DE202006001342U1 (de) * 2006-01-28 2006-12-28 KORALLE Sanitärprodukte GmbH Arretiermechanismus für Duschabtrennung
DE102006016670B4 (de) * 2006-04-08 2013-07-25 Hans-Peter Goller Anlenk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814223A2 (pt) 2015-01-06
DE202007009824U1 (de) 2008-11-20
CN101743372A (zh) 2010-06-16
EP2176481A1 (de) 2010-04-21
WO2009007400A1 (de) 2009-01-15
US8806717B2 (en) 2014-08-19
US20100192328A1 (en) 2010-08-05
JP2010533092A (ja) 2010-10-21
CN101743372B (zh) 2014-03-05
JP5357870B2 (ja) 2013-12-04
EP2176481B1 (de)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8468A (ko) 변위 가능한 모터 차량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모터 차량의 잠금 장치
JP4856642B2 (ja) 自動車の座席用の調整装置
CN102913089B (zh) 多相闭合限位链接机构
US8240741B2 (en) Covering frame for a tarpaulin structure
EP1566507B1 (en) Automotive door check assemblies
KR20150130276A (ko) 통기구
JP2016205128A (ja) 摺動ドアのためのガイドデバイス
US11719030B2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vehicle sliding door
KR20100095998A (ko) 가구경첩 감속장치 및 상기 감속장치를 갖는 가구경첩
CN112078509A (zh) 具有轨道总成和滑架总成的车辆
EP1898514A1 (en) Open/close member driving apparatus
US20080169659A1 (en) Door Stop With Indeterminate Retaining Positions
JP6318415B2 (ja) ボールソケットジョイント、閉鎖システム及び自動車
KR20210072931A (ko) 양방향 도어 개방모듈
JP2007528950A (ja) 固定システム
KR102290868B1 (ko) Mr댐퍼를 이용한 오토 도어클로저
DE202007010232U1 (de) Feststellvorrichtung
US20220388430A1 (en) Seat rail assembly
DE202007009825U1 (de) Haltevorrichtung
EP3569805A1 (en) A system for closing and opening at least one leaf of an inward swinging door
CN218467423U (zh) 驱动装置及车辆
CN215671674U (zh) 用于汽车的集成铰链式车门限位器
KR100599047B1 (ko) 궤간 가변 윤축시스템
CN108515885B (zh) 一种座椅及汽车
JP2010095997A (ja) 戸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