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276A - 통기구 - Google Patents

통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276A
KR20150130276A KR1020157022806A KR20157022806A KR20150130276A KR 20150130276 A KR20150130276 A KR 20150130276A KR 1020157022806 A KR1020157022806 A KR 1020157022806A KR 20157022806 A KR20157022806 A KR 20157022806A KR 20150130276 A KR20150130276 A KR 20150130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element
stabilizer
vane
shaft
va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랄트 노이클
Original Assignee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30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8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a set of pivoting shutters and a pivoting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통기구(10)는 적어도 하나의 베인(vane)(12, 16), 베인(12, 16)에서의 선회 동작을 위해 및/또는 회전 동작을 위해 베어링(30)에 장착되는 제어 요소(26), 및 제어 요소(26)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36)를 포함하며, 스태빌라이저(36)는 정지면(50, 52, 58)을 갖고, 베인(12, 16) 및/또는 제어 요소(26)에는 접촉면(62, 64, 68)이 마련되며, 스태빌라이저(36)의 정지면(50, 52, 58)은, 제어 요소(26)의 동작 시에 접촉면(62, 64, 68)과 접촉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제어 요소(26)의 선회 및/또는 회전 동작을 제한한다.

Description

통기구{AIR VEN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베인(vane)과, 베인에서의 선회 동작을 위해 및/또는 회전 동작을 위해 베어링에 장착되는 제어 요소를 구비하는 통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의 통기구는 통상, 우선 첫번째로는 공기 유출 방향뿐만 아니라 통기구의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중앙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 제어 요소를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 제어 요소에 커플링된, 통기구의 수평 및 수직 베인이 조정될 수 있다. 제어 요소를 돌리는 것에 의해, 폐쇄 수단이 조정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통기구를 통해 흐르는 공기량이 조절될 수 있다. 제어 요소가 베인과 함께 선회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어 요소의 베어링은 하우징 내부로 깊숙하게 오목한 위치에, 예컨대 베인의 선회축 상에 배치된다.
베인의 선회 각도는 통상 한계 정지부에 의해 제한된다. 폐쇄 수단은 또한 그 상부에 정지부가 마련되는데, 이 정지부에 대해서 폐쇄 요소가 한계 위치에 놓인다. 일단 제어 요소가 정지하고 나서 제어 요소에 계속해서 작동력이 인가될 때, 제어 요소를 폐쇄 요소에 커플링하는 연결기구 또는 베어링이 극심한 하중을 받는다. 높은 레버리지(leverage)로 인해 베어링 상에 고하중이 작용하고, 그 결과 극단의 경우에는 베어링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높은 굴곡력이 연결기구에 작용한다.
이러한 타입의 통기구가, 예컨대 DE 100 57 421 A1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 요소의 베어링 또는 제어 요소의 기구에 대한 하중이 감소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요소의 베어링 또는 기구에 대한 손상이 방지되는 통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베인과, 베인에서의 선회 동작을 위해 및/또는 회전 동작을 위해 베어링에 장착되는 제어 요소를 포함하고, 제어 요소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구가 제공된다. 스태빌라이저는 정지면을 갖고, 베인 및/또는 제어 요소 상에 접촉면이 마련되어, 제어 요소의 동작 시에 스태빌라이저의 정지면이 접촉면과 접촉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제어 요소의 선회 동작 및/또는 회전 동작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경우와 같이 베어링을 통해 베인이나 폐쇄 수단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거나 제어 요소의 동작 범위를 제한하기보다는, 제어 요소에 추가의 스태빌라이저를 직접 배치하는 사상에 주안점을 둔다. 이것은, 스태빌라이저가 제어 요소를 위한 정지부로서 작용하여, 베인의 선회 범위나 폐쇄 요소의 조정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중이 베어링 또는 인접 기구에 작용할 수 있기 전에 제어 요소의 동작 범위가 직접 제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어 요소에 인가되는 힘은 베어링 또는 연결기구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스태빌라이저를 통해 통기구의 베인이나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전달된다. 그 결과, 제어 요소의 선회 또는 회전 동작이 제한될 때, 베어링과 그것을 넘어선 구성요소에는 어떠한 힘도 전달되지 않거나 단지 미소한 힘만이 전달되며, 이에 의해 이들 부품이 신뢰성 있게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스태빌라이저는, 제어 요소가 선회 또는 회전될 때에 스테빌라이저 또는 스테빌라이저의 정지면이 접촉면과 접촉하게 이동하도록 제어 요소 상에 장착된다. 예컨대, 제어 요소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스태빌라이저는 샤프트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는 이에 의해 제어 요소와 함께 공동으로 선회될 수 있으며, 이때 제어 요소의 회전 동작도 또한 여전히 가능하다.
제어 요소의 선회 동작을 제한하기 위해, 정지면은 선회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촉면은 베인 상에 마련된다. 즉, 스태빌라이저가 선회 방향으로, 즉 예컨대 측방이나 상하로 베인의 접촉면에 대해 놓일 때까지 제어 요소는 스태빌라이저와 함께 선회되며, 그 결과 선회 방향으로의 제어 요소의 추가의 이동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태빌라이저는 회전을 방지하고 선회 동작을 위해 베인 상에 장착된다. 이것은, 제어 요소가 선회 방향으로 선회될 때에 스태빌라이저가 베인 측에서 정지부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제어 요소가 회전될 때, 스태빌라이저는 제어 요소와 함께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태빌라이저가 비회전형이기 때문에, 베인 상의 접촉면에 대한 정지면의 방위는 변하지 않고, 이에 따라, 예컨대 제어 요소가 선회될 때에 정지면과 접촉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제어 요소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기 위해, 정지면은 이 실시예에서 샤프트의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도 또한 배치될 수 있고, 접촉면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제어 요소 상에 배치된다. 정지면과 접촉면은, 제어 요소가 회전될 때에 서로 접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스테빌라이저가 비회전식으로 베인에 장착되고, 제어 요소와 함께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제어 요소의 추가의 회전이 차단된다. 제어 요소의 접촉면이 접촉면과 접촉하게 이동할 때, 이러한 방식으로 확고한 카운터 베어링이 형성되며, 그 결과 제어 요소의 추가의 회전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제어 요소는 다부품 구조도 또한 가질 수 있고, 특히 샤프트 상에서 슬립하는 그립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은 이 그립 요소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통기구의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샤프트는 제1 조립 단계에서 설치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는 샤프트 상에서 슬립할 수 있다. 이어서, 접촉면을 갖는 그립 요소가 샤프트 상에 설치되어, 샤프트 상에서의 그립 요소의 방위에 의해 제어 요소의 회전 범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인에 대한 스태빌라이저 및/또는 제어 요소의 개선된 장착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면이 베인에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및/또는 제어 요소가 슬라이딩면에 대해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면은 구 형상을 갖는데, 예컨대 구 표면의 중심이 제어 요소, 즉 베어링의 무게중심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태빌라이저 또는 제어 요소의 안내면은 슬라이딩면에 대해 놓이며, 이에 따라 제어 요소의 선회 중에 항시 슬라이딩면과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예컨대 슬라이딩면이 샤프트의 종방향으로 제어 요소를 지지하기 때문에 제어 요소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한 슬라이딩면 또는 제어 요소의 위치와는 무관한 스테빌라이저나 제어 요소의 슬라이딩면과의 접촉은, 스태빌라이저나 제어 요소가 유극 없이 장착되고, 차량에서의 통상적인 사용 시에, 예컨대 제어 요소가 베인에 충돌하는 것에 의한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 전개가 방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슬라이딩 및/또는 댐핑 요소가 슬라이딩면과 스태빌라이저 사이에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이 요소는, 예컨대 슬라이딩면과 스태빌라이저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때문에, 보다 낮은 작동력에 의한 제어 요소의 작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대안으로서 마찰력이 상승할 수도 있어, 제어 요소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부터 변위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및/또는 댐핑 요소가 스테빌라이저와 베인 및/또는 제어 요소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요소의 베어링 또는 제어 요소의 기구에 대한 하중이 감소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요소의 베어링 또는 기구에 대한 손상이 방지되는 통기구가 제공된다.
다른 장점 및 피쳐는 첨부도면과 함께 주어지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의 통기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구의 배인과 제어 요소의 부분적인 사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베인과 제어 요소의 제2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스태빌라이저와 제어 요소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구의 베인과 제어 요소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제어 요소와 베인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베인과 제어 요소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통기구의 제어 요소와 연결기구의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연결기구의 상세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소위 싱글 노브 제어부를 갖는,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통기구(10)를 보여준다. 통기구(10)는 피봇축(14)을 중심으로 각각 선회될 수 있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1 베인(12)과, 마찬가지로 피봇축(18)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2 베인(16)을 갖는다. 축(24)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된 폐쇄 플랩(22)을 갖는 폐쇄 수단(20)이 더욱 마련된다.
베인(12, 16)과 폐쇄 수단(20)을 조정하기 위해, 수평 베인(12)에 장착되고 수직 베인(16)에 커플링되는 제어 요소(26)가 마련된다. 제어 요소(26)는 베어링(30)에 의해 베인(12) 상에 장착된다. 제어 요소(26)는 이 베어링(30) 내에서 회전되어 폐쇄 플랩(22)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요소(26)에는, 제어 요소(26)를 폐쇄 수단(20)에 커플링시키는 연결기구(28)가 더 마련된다.
수직 베인(16)은 제어 요소(26)의 수평방향 동작에 의해 그 피봇축(18)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제어 요소(26)가 수직방향으로 변위될 때, 이로 인해 수평 베인(12)이 피봇축(14)을 중심으로 선회되게 된다. 제어 요소(26)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폐쇄 플랩(22)이 연결기구(28)를 통해 조정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통기구(10)를 통한 기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한 통기구(10)의 기능 모두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이에 따라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베어링(30)은 제어 요소(26)의 동작 시에, 베인(12, 16)이 제어 요소(26)와 함께 공동으로 선회되도록 형성된다. 외관 상의 이유로, 이 베어링(30)은 통기구(10)의 하우징(32) 내로 매우 깊숙히 오목하다. 그러나, 이로 인해 제어 요소(26)의 그립 요소(34)와 베어링(30) 사이에 비교적 긴 레버 아암(h)이 형성된다(도 2 참고).
베인(12, 16)과 폐쇄 플랩(22)의 선회 범위는 제한된다. 베인(12, 16)이 최대 로크에 도달하고 폐쇄 플랩(22)이 한계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힘이 계속해서 제어 요소(26)에 인가될 때 이들은 선회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작동력이 계속해서 베어링(30)과 연결기구(28)에 작용한다. 이것은 베어링(30) 또는 연결기구(28)에 대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제어 요소(26) 및/또는 연결기구(28)에 대한 하중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기구(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스태빌라이저(36)를 더 포함한다. 통기구의 나머지 구성은, 예컨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통기구의 구성에 상응한다.
특히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시피, 제어 요소는, 샤프트(40)와, 시트(42)에 의해 샤프트(40) 상에 마련된 토크 전달 구조체(44)에 체결되는 그립 요소(34)를 지닌 2 부품 구조를 갖는다. 샤프트(40)는, 선회 및 회전 동작을 위해 샤프트(40)를 베어링(30)에 장착하는 구형 비대부(thickened portion)(46)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시피, 스태빌라이저(36)는, 제어 요소(26)의 샤프트(40)가 돌출하는 리세스(38)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샤프트는 스태빌라이저(36)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리세스(38)는 말하자면 샤프트(40)를 더욱 장착시킨다.
스태빌라이저(36)는, 대향 제1 정지면(50)과 90도 오프셋되어 배치된 이와 유사한 대향 제2 정지면(52)을 지니고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인 제1 섹션(48)을 포함한다. 스태빌라이저(36)의 제2 환형 섹션(54) 상에는 반경방향 돌출 웹(56)이 마련되는데, 돌출 웹 각각은 그 상부에,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는 반경방향 정지면(58)을 갖는다.
베인(16)에는, 샤프트(40)와 스태빌라이저(36)의 제1 섹션(48)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60)이 형성된다. 수용 공간(60)은 거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측방향으로, 즉 수평방향(H)으로, 수용 공간(60)은 스테빌라이저(36) 또는 제1 정지면(50)과 동일한 높이로 구성되는 제1 접촉면(62)에 의해 한정된다. 수직방향(V)으로, 수용 공간(60)은 제2 접촉면(64)에 의해 한정된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시피, 그립 요소(34)는, 스태빌라이저(36)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컵 형상 리세스(66)를 갖는다. 이 리세스(66) 내에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반경방향 정지면(58)과 협동할 수 있는 반경방향 접촉면(68)이 마련된다.
더욱이, 베인(12)의 전방 에지에 슬라이딩면(70)이 마련되어, 이 슬라이딩면에 대해 제어 요소(26)의 안내면(72)이 지지되고, 이 안내면(72)은 여기(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그립 요소(34)에 마련된다. 슬라이딩면(70)은 기본적으로 부분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어링(30) 내의 제어 요소(26)의 회전 중심까지의 반경은 일정하다. 제어 요소(26)는 선회될 때에 이러한 슬라이딩면(70) 상에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제어 요소(26)는 위치와 관계없이 안전하게 안내되며, 예컨대 압입될 수 없다.
더욱이, 댐핑 요소(76)가 스태빌라이저의 제2 정지면(52)에 마련된다. 제2 접촉면(64)들의 거리는, 스태빌라이저(36)의 댐핑 요소(76)가 접촉면(64)에 대해 놓이도록 선택된다.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는 수직방향(v)으로 유극이 없으며, 베인(12)을 향해 선회될 수 없다.
제어 요소(26)가 수직방향(V)으로 이동될 때, 수평 베인(12)은 제어 요소(26)와 함께 선회된다. 이것은, 제어 요소(26)의 이동이 스태빌라이저(26)나 정지면(52) 및 댐핑 요소(76)를 통해 베인(12)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베인(12)이 제어 요소(26)와 함께 공동으로 선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단 베인(12)이 최대로 선회되고 나면, 즉 베인이, 예컨대 여기에 도시하지 않은 한계 정지부에 대해 놓이고 나면, 수직방향으로의 제어 요소(26)의 추가의 이동은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제어 요소(26)가 정지면(52)을 통해 베인(12)의 접촉면(64)에 대해 놓이기 때문이다.
수직 베인(16)을 선회시키기 위해, 제어 요소(26)는 수평방향(H)으로 이동된다. 수용 공간(60)은, 제어 요소(26)와 스태빌라이저(36)가 베인(16)을 선회시키기 위한 충분한 이동 지유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접촉면(62)은 제어 요소(26)를 선회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서로 이격된다.
제어 요소(26)는, 제1 정지면(50)이 제1 접촉면(62)에 대해 놓일 때까지 수평방향(H)으로 선회될 수 있다. 일단 정지면(50)이 접촉면(62)에 대해 놓이고 나면, 제어 요소(26)의 추가의 선회는 더 이상 불가능하다.
폐쇄 수단(20)을 개폐하기 위해, 제어 요소(26) 또는 그립 요소(34)가 회전된다. 이러한 동작은, 그립 요소(34)와 함께 공동으로 회전하는 반경방향 접촉면(68)이 스태빌라이저(36)의 반경방향 정지면(58)과 접촉하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제한된다.
스태빌라이저(36)의 직사각형 제1 섹션(48)과 직사각형 수용 공간(60)으로 인해, 스태빌라이저는 수용 공간에서 수평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지만, 샤프트(40)의 종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베인(12)에 장착된다. 그러나, 접촉면(64)이 반경방향 정지면(52)에 대해 놓이기 때문에, 제어 요소(26)의 추가의 회전은 단지 스태빌라이저를 제어 요소와 함께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요소(26)의 추가의 회전이 스태빌라이저(36)에 의해 방지된다.
반경방향 정지면(58)과 반경방향 접촉면(68)은, 이러한 회전 동작의 제한이 폐쇄 플랩(22)의 폐쇄 위치 또는 완전 개방 위치와 동시에 발생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이에 따라, 일단 폐쇄 플랩(22)이 폐쇄 위치에 도달하고 제어 요소(26)가 더욱 회전하고 나면, 연결기구(28)의 과팽창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1 정지면(50)과 제1 접촉면(62)은, 제어 요소(26)는 수평방향으로 선회될 때에 베어링(30)이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하중이 발생하기 전에 정지되도록 위치 설정된다.
수직방향(V)으로, 베인(12)이 최대 선회 각도에 도달할 때에 제어 요소(26)의 선회 범위도 또한 스태빌라이저(36)에 의해 제한되며, 스태빌라이저(36)는 제1 정지면(50)과 제1 접촉면(62)을 통해 베인(12)과 협동한다.
따라서,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통기구에서와는 달리, 베인(12, 16)의 최대 편향에 도달되고 나면 또는 베인(12, 16)이나 폐쇄 수단(20)이 한계 정지부에 도달하고 나면, 베어링(30) 또는 연결기구(28)에 추가의 힘이 작용할 수 없다. 제어 요소(26)의 동작은 제어 요소(26)에서 직접 차단되고, 이에 따라 베어링(30)과 하류의 구성요소에 대한 힘의 추가의 인가가 방지된다. 선회 경로의 제한이 베어링(30)에 의해 실시되지 않기 때문에, 후자가 완화되어, 베어링(30) 또는 연결기구(28)에 대한 손상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여기에서 댐핑 요소(76)는 스태빌라이저(36)와 베인(12) 간의 추가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이에 따라 보다 높은 마찰력으로 인해 제어 요소(26)가 설정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추가로, 댐핑 요소(76)는, 존재 가능한 임의의 유극을 제거하거나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요소(26)의 덜컹거림이나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 발달이 신뢰성 있게 방지된다.
스태빌라이저(36)와 샤프트(40) 사이에 다른 댐핑 요소(78)가 마련되어 이들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회전 동작의 경우에도 또한 보다 높은 마찰력이 이용 가능하여, 제어 요소(26)가 마찰력에 의해 설정 위치에 유지된다.
대안으로서, 댐핑 요소(76, 78) 대신에, 마찰력을 줄이고/줄이거나 스태빌 라이저(36)와 베인(12) 또는 샤프트(40) 사이의 슬라이딩 속성을 개선하는 슬라이딩 요소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8 및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다시피, 추가의 길이 보상 요소(80)가 연결기구(28)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는 샤프트 요소(84)가 내부로 돌출하는 실린더(82)로 형성된다. 대응하는 토크 전달 프로파일이 실린더(82)에 그리고 샤프트 요소(84)에 마련된다. 여기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실린더(82)에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86)이 마련되고, 샤프트 요소(84)는 홈(86)에 대응하는 리브형 돌출부(88)를 갖는다.
샤프트 요소(84)는 종방향으로 실린더(82) 내외로 압박될 수 있기 때문에, 실린더(82) 내에서의 샤프트 요소(84)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홈(86)과 돌출부(88)에 의해 공동 회전을 위한 연결부가 형성된다.

Claims (9)

  1. 통기구(10)로서, 적어도 하나의 베인(vane)(12, 16), 베인(12, 16)에서의 선회 동작을 위해 및/또는 회전 동작을 위해 베어링(30)에 장착되는 제어 요소(26)를 포함하고, 제어 요소(26)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36)를 더 포함하며, 스태빌라이저(36)는 정지면(50, 52, 58)을 갖고, 베인(12, 16) 및/또는 제어 요소(26)에는 접촉면(62, 64, 68)이 마련되며, 스태빌라이저(36)의 정지면(50, 52, 58)은, 제어 요소(26)의 동작 시에 접촉면(62, 64, 68)과 접촉하게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제어 요소(26)의 선회 및/또는 회전 동작을 제한하는 것인 통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26)는 샤프트(40)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36)는 샤프트(40)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리세스(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면(50, 52)은 선회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접촉면(62, 64)은 베인(12, 16) 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36)는 선회 이동을 위해 그리고 회전을 방지하도록 베인(12, 16)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면은 샤프트(40)의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접촉면(68)은 종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제어 요소(26)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26)는, 샤프트(40) 상에서 슬립하는 그립 요소(34)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68)은 그립 요소(34)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12, 16) 상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면(70)이 마련되고, 스태빌라이저(36) 및/또는 제어 요소(26)가 이 슬라이딩면(70)에 대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70)과 스태빌라이저(36) 사이에 슬라이딩 및/또는 댐핑 요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36)와 베인(12, 16) 사이 및/또는 스태빌라이저(36)와 제어 요소(26) 사이에 슬라이딩 및/또는 댐핑 요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구.
KR1020157022806A 2013-03-20 2014-03-07 통기구 KR201501302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2866.7 2013-03-20
DE201310102866 DE102013102866B3 (de) 2013-03-20 2013-03-20 Luftausströmer
PCT/EP2014/054485 WO2014146914A1 (de) 2013-03-20 2014-03-07 Luftausström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276A true KR20150130276A (ko) 2015-11-23

Family

ID=50238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806A KR20150130276A (ko) 2013-03-20 2014-03-07 통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50130276A (ko)
CN (2) CN108202578A (ko)
DE (1) DE102013102866B3 (ko)
WO (1) WO20141469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38A (ko)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8880C2 (en) * 2014-11-10 2017-01-24 China-Euro Vehicle Tech Ab Air nozzle device for a vehicle
DE102015209504B4 (de) * 2015-05-22 2022-11-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usström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001902B3 (de) 2016-02-18 2017-03-30 Audi Ag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Luftstroms und Belüf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16003933A1 (de) * 2016-03-31 2017-10-05 Audi A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Komponente einer Luftaustrittsdüse
DE102016108356A1 (de) * 2016-05-04 2017-11-09 Illinois Tool Works Inc. Luftausströmer für ein Kraftfahrzeug
EP3293026B1 (en) * 2016-09-13 2020-07-22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ir nozzle device for a vehicle
DE102016124088A1 (de) * 2016-12-12 2018-06-14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Steuereinrichtung für eine Schließklappe und Luftausströmer mit einer solchen Steuereinrichtung
DE102018121470A1 (de) 2018-09-04 2020-03-05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agerkomponente und Lageranordnung mit einer Lagerkomponente
US20230025810A1 (en) * 2019-12-16 2023-01-26 Bentley Motors Limited Air v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7421B4 (de) * 2000-11-20 2006-01-1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Luftaustritt für Belüftungsanlagen
EP1659012B1 (en) * 2002-03-15 2007-04-18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Air vent for ventilation systems
DE20316175U1 (de) * 2003-10-17 2003-12-24 Dr. Schneider Engineering Gmbh Luftdüse für den Auslass eines Luftstroms aus einem Luftzuführschacht
DE202004006461U1 (de) * 2004-04-23 2004-08-05 Dr. Schneider Engineering Gmbh Stellorgan mit einer Einrichtung zur gedämpften Betätigung
CA2474315A1 (en) * 2004-07-15 2006-01-15 Progressive Moulded Products Limited Single piece vane knob
DE102007026385A1 (de) * 2007-06-06 2008-12-24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Entlüf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Formwerk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Entlüftungsvorrichtung
FR2933036B1 (fr) * 2008-06-25 2010-09-10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manoeuvre d'un moyen d'obturation d'air pour installation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notamment d'un habitacle de vehicule
DE102009052922B4 (de) * 2009-11-12 2015-10-15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Fahrzeugbelüftungssystem
DE102011002606B4 (de) * 2011-01-13 2022-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lüftungssteuervorrichtung für eine Heizungs- und/oder Klimaanlage eines Fahrzeugs
DE102011050435B4 (de) * 2011-05-17 2014-08-21 Weber Gmbh & Co. Kg Kunststofftechnik Und Formenbau Stellmittel für eine Luftdüse
DE202012100243U1 (de) * 2012-01-24 2012-03-16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Einrichtung zum Steuern eines Luftstroms
CN202494199U (zh) * 2012-03-08 2012-10-17 慈溪市福尔达实业有限公司 汽车空调出风口拨钮与拨叉的连接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38A (ko)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에어벤트
US11884125B2 (en) 2017-08-11 2024-01-30 Nifco Korea Inc. Air ventilator for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6914A1 (de) 2014-09-25
CN108202578A (zh) 2018-06-26
CN105142943B (zh) 2018-01-05
DE102013102866B3 (de) 2014-06-05
CN105142943A (zh)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0276A (ko) 통기구
US10562414B2 (en) Track assembly
CN106468116B (zh) 包括有助减少释放耗力的支承件的汽车闩锁
KR102142743B1 (ko) 댐핑을 구비한 멀티-링크 힌지
CN109415918B (zh) 用于家具部件的操纵装置
CN110435487B (zh) 轨道组件
KR20080105062A (ko)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
US8701248B2 (en) Door construction with closing pivot hinges integrated into door panel
JP2016205128A (ja) 摺動ドアのためのガイドデバイス
JP4440930B2 (ja) 扉開閉装置
KR20100024391A (ko) 자연 환기 장치
KR101430950B1 (ko) 도어 체커 기능을 구비한 도어 힌지
CN100480485C (zh) 具有至少一个在翼扇和固定边框之间的可控密封元件的滑窗或滑门
US20160160545A1 (en) Adjustable swing-controlled hinge
KR101423729B1 (ko) 속도 감응형 자동차 립 스포일러
JP7081449B2 (ja) スライドドア支持装置
KR101657430B1 (ko) 로터리 댐퍼
JP6318415B2 (ja) ボールソケットジョイント、閉鎖システム及び自動車
US20200263469A1 (en) Linear Damper
JP4983404B2 (ja) 換気装置
KR20090077892A (ko) 자연 환기창
JP6521741B2 (ja) 鉄道車両の扉支持構造
US11560044B2 (en) Ventilation device for an automobile passenger compartment
KR101296841B1 (ko)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잠금장치
JP5392547B2 (ja) 開閉体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