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960A -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 Google Patents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960A
KR20080071960A KR1020080067917A KR20080067917A KR20080071960A KR 20080071960 A KR20080071960 A KR 20080071960A KR 1020080067917 A KR1020080067917 A KR 1020080067917A KR 20080067917 A KR20080067917 A KR 20080067917A KR 20080071960 A KR20080071960 A KR 20080071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ylinder
compression element
sealed container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841B1 (ko
Inventor
마사야 다다노
하루히사 야마사끼
겐조 마쯔모또
다이 마쯔우라
가즈야 사또
다까야스 사이또
도시유끼 에바라
사또시 이마이
아쯔시 오다
다까시 사또
히로유끼 마쯔모리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961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2364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9567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9747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95634A external-priority patent/JP37282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96180A external-priority patent/JP39862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9585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35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9586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974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9565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974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956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974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9567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974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1170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2056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11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636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1568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256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194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205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1941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636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2376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299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237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2995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2780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38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278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0206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32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96370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6620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95975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1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10Outer members for co-operation with rotary pistons; Casings
    • F01C21/104Stators; Members defining the outer boundaries of the working chamber
    • F01C21/108Stators; Members defining the outer boundaries of the working chamber with an axial surface, e.g. s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8Rotary pistons
    • F01C21/0809Construction of vanes or vane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8Rotary pistons
    • F01C21/0809Construction of vanes or vane holders
    • F01C21/0818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 F01C21/0827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 F01C21/0845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elastic means, e.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3Lubricant distribution through a hollow driving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8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04C2210/261Carbon dioxide (CO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4C2230/23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 F04C2230/231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permanently joining parts together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60Shafts
    • F04C2240/601Shaft flex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3Electric connectors or cable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6Pipes for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250/101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50/00Geometry
    • F04C2250/10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250/102Geometry of the inlet or outlet of the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CINDEXING SCHEME RELATING TO 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OR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MACHINES, ENGINES OR PUMPS OTHER THAN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 F05C2251/00Material properties
    • F05C2251/14Self lubricating materials; Solid lubri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 F25B2309/06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with cycle highest pressure above the supercritical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6Lubr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229Prime mover or fluid pump making
    • Y10T29/49236Fluid pump or compressor making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플러그의 고정에 따른 성능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로터리 압축기의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이 베인을 상시 롤러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과,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측과 밀폐 용기측으로 개구된 스프링의 수납부와, 스프링의 밀폐 용기측에 위치하여 수납부내에 간극 끼움에 의해 삽입된 플러그와, 이 플러그의 둘레면에 설치되며, 당해 플러그와 수납부 사이를 밀봉하는 O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실린더와 밀폐 용기 사이의 간격을, O링으로부터 플러그의 밀폐 용기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한 것을 요지로 한다.
로터리 압축기, 스프링 부재, 플러그, O링, 냉매 회로, 제상 장치, 냉동 장치

Description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DEFROSTER OF REFRIGERANT CIRCUIT}
본 발명은 용기 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압축기와 그 제조 방법, 및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및 냉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로터리 압축기, 특히 내부 중간압형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냉매 도입관, 흡입 통로를 거쳐 제1 회전 압축 요소의 흡입 포트로부터 냉매 가스가 실린더(제1 실린더)의 저압실측에 흡입되고, 회전축의 편심부에 끼워맞춰진 롤러와 베인의 동작에 의해 압축되어 중간압이 되고 실린더의 고압실측으로부터 토출 포트, 토출 소음실을 거쳐 밀폐 용기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이 밀폐 용기내의 중간압의 냉매 가스는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흡입 포트로부터 실린더(제2 실린더)의 저압실측에 흡입되어, 회전축의 편심부에 끼워맞춰진 롤러와 베인의 동작에 의해 2단째의 압축이 실행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가 되며, 고압실측으로부터 토출 포트, 토출 통로, 토출 소음실을 거쳐서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냉매 회로에 토출되며, 로터리 압축기와 함께 냉매 회로를 구성하는 방열기에 유입되고, 방열된 후, 팽창 밸브에서 좁혀져서 증발기에서 흡열되고, 제1 회전 압축 요 소에 흡입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상기 회전축의 편심부는 180도의 위상차를 갖고 형성되어 있으며, 양 편심부의 사이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로터리 압축기에, 고저압의 차가 큰 냉매, 예를 들면 탄산 가스의 일례로서의 이산화탄소(CO2)를 냉매로 사용한 경우, 토출 냉매 압력은 고압이 되는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12㎫G에 달하고, 한편, 저단측이 되는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8㎫G(중간압)이 된다. 이것이 밀폐 용기내의 압력이 된다. 제1 회전 압축 요소의 흡입 압력은 4㎫G정도이다.
이와 같은 로터리 압축기에 설치된 베인은 실린더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실린더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베인의 후측(밀폐 용기측)에 실린더의 외측에 개구되는 스프링 구멍(수납부)을 형성하고, 이 스프링 구멍에 베인을 상시 롤러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스프링 부재)을 삽입하고, 실린더 외측의 개구로부터 스프링 구멍에 O링을 삽입한 후, 플러그(이탈 방지)로 폐색(閉塞)하여 스프링의 튀어나감을 방지하고 있었다.
이 경우, 롤러의 편심 회전에 의하여 플러그는 스프링 구멍으로부터 외측으로 압출되는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특히, 내부 중간압형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밀폐 용기 내부가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 내부보다도 저압이 되기 때문에, 실린더 내외의 압력차에 의해서도 플러그는 압출되는 형태가 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플러그를 스프링 구멍에 압입함으로써 실린더에 고정하고 있었으나, 이 압입에 의해 실린더가 부풀어오르도록 변형되게 되고, 실린더의 개구면을 막는 지지 부재(축받이)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서, 실린더내의 밀봉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고, 성능이 저하하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내부 중간압형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저부가 오일 받이가 되는 밀폐 용기내의 압력(중간압)보다도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내의 압력(고압)의 쪽이 높아지기 때문에, 회전축의 오일 구멍으로부터 압력차를 이용하여 실린더내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 아주 곤란해지며, 흡입 냉매에 녹아든 오일에 의해서만 오로지 윤활되는 형태가 되어 급유량이 부족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내부 중간압형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개구면을 지지 부재에 의해 폐색함과 아울러, 이 지지 부재내에 상기 토출 소음실을 구성하고 있다. 도20에 종래의 이러한 지지 부재(291)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지지 부재(291)의 중앙에는 회전축의 축받이(291A)가 기립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받이(291A)내에는 부싱(292)이 설치되어 있다. 토출 소음실(293)은 축받이(291A) 외측의 지지 부재(291)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이 토출 소음실(293)은 커버(294)에 의해 폐색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 커버(294)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볼트에 의해 주변부가 지지 부재(291)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도2의 회전 압축 요소의 토출 소음실(293) 내부는 중간압의 밀폐 용기 내부보다도 높은 고압이 되기 때문에, 커버(294)의 밀봉성이 중요한 문제가 된 다. 따라서, 커버(294)와 지지 부재(291) 사이에는 개스킷(296)이 끼워넣어지는데, 중앙의 축받이(291A)측은 볼트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아무래도 밀봉성이 악화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축받이(291A)의 베이스부에 밀봉면(291B)을 단차지게 형성하고, 이 밀봉면(291B)에 있어서도 개스킷(296)을 끼워넣어 밀봉함과 아울러, C링(297)을 축받이(291A)에 설치하여 커버(294)의 축받이(291A)측의 가장자리부를 지지 부재(291)측에 눌러붙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밀봉면을 형성함으로써 토출 소음실의 용적이 축소되게 됨과 아울러, C링의 설치도 필요하게 되며, 가공 비용과 부품 비용 모두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커버의 강도에 관해서는, 그 두께 치수가 얇으면 토출 소음실과 밀폐 용기내의 압력차에 의해 외측으로 변형되고, 가스 누설이 발생하게 되는데, 반대로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이번에는 전동 요소와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압축기 전체의 높이 치수가 확대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토출 압력은 아주 높은 압력이 되는데, 종래에는 각 실린더를,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에, 당해 축받이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볼트에 의해 체결할 뿐이었기 때문에, 실린더로부터의 가스 누설이 염려되고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저압의 차가 커지면, 상기 회전축의 연결부의 단면 형상이 당해 회전축과 동축의 원형인 경우, 물리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단면적이 작고, 회전축이 탄성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종래에는 연결부의 단면 형상 을, 양 편심부의 편심 방향의 두께에 대하여 당해 편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가 큰 럭비 볼 형상으로 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었으나, 회전축을 절삭 가공할 때의 가공 공정이 증대되어 생산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밀폐식 압축기에서는 제조 공정의 완성 검사에 있어서 밀폐 용기의 기밀 시험이 의무화되어 있다. 이 시험 압력은 통상의 압축기에서는 대략 4㎫정도이면 양호한데, 상술한 바와 같이 CO2를 냉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밀폐 용기의 압력(상술한 경우에는 중간압)이 아주 높아지기 때문에, 중간압의 설계 상한값이 되는 10㎫ 정도의 시험 압력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이러한 시험 압력을 밀폐 용기내에 인가하는 압착 공기 생성 장치와 압축기를 간단히 접속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으로 되고 있었다.
또한, 제1 회전 압축 요소에 흡입되는 냉매 가스의 기액(氣液) 분리를 행하기 위하여, 밀폐 용기에는 어큐뮬레이터가 설치된다. 이 어큐뮬레이터는 밀폐 용기의 측면에 용접된 브라켓에 용접 또는 밴드 등에 의해 설치되며, 밀폐 용기의 외측을 따라서 지지되는 것인데,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을 크게 해야만 하는 경우 등에, 어큐뮬레이터와 냉매 도입관 등의 배관이 간섭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브라켓 자체의 형상을 배관으로부터 이격하도록 변경하거나, 어큐뮬레이터의 지지 위치를 변경하여 어큐뮬레이터 자체를 배관으로부터 이격하도록 하여 대처하고 있었으나, 전자의 경우, 브라켓은 밀폐 용기의 도장(塗裝)시 등에 생산 설비의 행거에 걸리는 걸림부가 되기 때문에, 도장용의 행거를 변경 해야만 함과 아울러, 후자의 경우에는, 어큐뮬레이터의 중앙(또는 중심 위치)와 떨어진 곳에서 지지하게 되기 때문에, 어큐뮬레이터 자체의 진동이 커져서 소음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밀폐 용기내로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 밖에 위치하는 또 하나의 냉매 도입관에 의해 제2 회전 압축 요소에 빨아들이게 하는 경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의 냉매 도입관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의 냉매 도입관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되게 된다.
이 때문에, 양 냉매 도입관이 서로 간섭하여, 처리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의 냉매 도입관에는 통상 어큐뮬레이터가 접속되며, 이 어큐뮬레이터는 각 냉매 도입관의 접속 위치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양 냉매 도입관의 간섭이 생기기 쉬우며, 어큐뮬레이터 자체의 위치도 내리기 어려워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전동 요소에 급전을 행하기 위한 터미널이 밀폐 용기의 엔드 캡에 설치된다. 도23에 이러한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의 터미널(299)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터미널(299)은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중심에 대하여 비대칭 단면 형상을 갖는 엔드 캡(298)의 상면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엔드 캡(298)에는 내부의 높은 압력의 영향을 받아서 터미널(299)과의 용접 부분이 외측으로 부푸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도23의 상부에 이러한 엔드 캡(298)의 변형량을 실제로 측정한 결과를 영역별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서 참조부호 Z로 나타낸 영역의 변형량은 0.2㎛, Z5로 나타낸 영역의 변형량은 커져서 0.5㎛, Z6으로 나타낸 영역의 변형량은 더욱 커져서 최대 0.9㎛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터미널(299) 부분의 변형량이 가장 커지기 때문에, 터미널(299)과 엔드 캡(298)의 용접 부분에 균열이나 용접 박리가 발생하고, 내압 성능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25는 또 하나의 로터리 압축기의 터미널(300)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터미널(300)은 전기적 단자(307)가 형성되는 원형의 개스킷부(302)와, 그 주위에 형성된 금속제의 설치부(303)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설치부(303)가 밀폐 용기(304)에 형성된 설치 구멍(306)의 주연부(周緣部)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터미널(300)의 설치부(303)의 두께치수에 대해서는, 너무 얇으면 상술한 밀폐 용기(304) 내의 냉매 가스의 높은 압력에 대한 강도(내압 성능)가 부족하고, 설치부(303)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고장의 원인이 된다. 한편, 너무 두꺼우면, 이번에는 밀폐 용기(304)에 용접할 때에 다량의 열량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이 열에 의해 글래스부(302)에 손상이 발생하고, 가스 누설이나 파괴의 위험성이 생기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로터리 압축기의 실린더의 개구면은 내부에 토출 소음실(消音室)을 구성하는 지지 부재에 의해 폐색되는데, 이 지지 부재 중앙에는 전동 요소의 회전축의 축받이도 구성된다. 그리고, 이 축받이와 회전축 사이에, 급유가 불충분한 상황에서도 양호한 슬라이딩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고부하시의 높은 PV 값(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도 높은 내마찰 성능을 갖는 카본제의 부싱을 형성하면, 로터리 압축기의 내구성을 현지히 개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카본제의 부싱은 고가이며, 부품 비용이 상승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냉매 도입관이나 냉매 토출관은 밀폐 용기의 만곡면에 용접 고정된 원통형의 슬리이브에 접속되는 것인데, 밀폐 용기의 내부직경에 대한 슬리이브의 직각도를 내기 위하여 종래에는 지그를 사용하였다. 이 때문에, 조립 작업성이 나빠지며, 직각도의 정밀도도 저하되는 것이었다.
또한, 고압이 되는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는 두께치수가 얇은 것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실린더의 두께내에서 흡입 통로나 토출 통로를 형성할 수 없으므로,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하여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측에 흡입 통로와 토출 통로를 형성하고, 실린더에는 이들 흡입 통로와 토출 통로를 실린더내에 연통시키기 위한 상기 흡입 포트와 토출 포트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있다.
도 31 및 도32는 이들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의 종래의 가공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 311은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는 실린더이며, 312는 이 실린더(311)에 경사지게 형성된 흡입 포트, 313은 토출 포트이다. 이 중에서 흡입 포트(31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실린더(311)에 대하여 선단이 평탄한 엔드 밀(ML1)을 경사지게 하고, 즉 흡입 포트(312)의 경사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접촉시키고, 도31 중의 화살표와 같이, 흡입 포트(312)의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린더(311)에 대하여 경사진 홈을 형성한다.
한편, 토출 포트(313)를 형성할 때에는, 실린더(311)에 대하여 엔드 밀(ML1) 을 경사지게 하고, 이 경우에는 토출 포트(313)의 경사 방향을 향하여 접촉시키고, 도32 중의 화살표와 같이 토출 포트(313)의 경사 방향으로 압출함으로써 실린더(311)에 대하여 경사진 노치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실린더(311)에 흡입 포트(312)와 토출 포트(313)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흡입 포트(312)의 흡입 통로측의 가장자리부(도 31의 우측 상부가장자리)가 직선형이 되고, 흡입 통로와의 연통 부분에서 흡입 가스의 기류가 흐트러져서, 통로 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엔드 밀(ML1)을 실린더(311)에 대하여 경사지게 접촉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다른 나사 구멍이나 펀칭 구멍 등과 동일한 드릴 가공과는 별도로 가공을 행해야만 하므로, 공정수가 증대되어 생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이러한 내부 중간압형의 이단 압축식 로터리 압축기를 사용한 냉매 회로에 있어서, 증발기에는 착상(着霜)이 성장하기 때문에, 제상(除霜)을 행해야만 하는데, 이 증발기의 제상을 위하여 제2 회전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고온 냉매를 감압 장치에서 감압하지 않고 증발기에 공급(증발기에 직접 공급하는 경우와, 감압 장치를 통과시키지만 그곳에서 감압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공급하는 경우를 포함)하면, 제1 회전 압축 요소의 흡입 압력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서, 제1 회전 압축 요소의 토출 압력(중간압)이 높아진다.
이 냉매는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지나서 토출되는데, 감압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토출 압력이 제1 회전 압축 요소의 흡입 압력과 유사해지기 때문에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토출(고압)과 흡입(중간압)에 의해 압력의 역 전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내부 중간압형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서는, 저부가 오일 받이가 되는 밀폐 용기내의 압력(중간압)보다도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내의 압력(고압)의 쪽이 높아지기 때문에, 회전축의 오일 구멍으로부터 압력차를 이용하여 실린더내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 아주 곤란해지며, 흡입 냉매에 녹아든 오일만에 의하여 오로지 윤활되는 형태가 되어 급유량이 부족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프링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플러그의 고정에 따른 성능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상기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이 베인을 상시 롤러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와,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측과 밀폐 용기측으로 개구된 스프링 부재의 수납부와, 스프링 부재의 밀폐 용기측에 위치하여 수납부내에 간극 끼움에 의해 삽입된 플러그와, 이 플러그의 둘레면에 설치된, 당해 플러그와 수납부 사이를 밀봉하는 O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실린더와 밀폐 용기 사이의 간격을, O링으로부터 플러그의 밀폐 용기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것으로,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이 베인을 상시 롤러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와,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측과 밀폐 용기측으로 개구된 스프링 부재의 수납부와, 스프링 부재의 밀폐 용기측에 위치하여 수납부 내에 간극 끼움에 의해 삽입된 플러그와, 이 플러그의 둘레면에 설치된, 당해 플러그와 수납부 사이를 밀봉하는 O링을 구비하며, 실린더와 밀폐 용기 사이의 간격을, O링으로부터 플러그의 밀폐 용기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이 베인을 상시 롤러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와,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측과 밀폐 용기측으로 개구된 스프링 부재의 수납부와, 스프링 부재의 밀폐 용기측에 위치하여 수납부내에 간극 끼움에 의해 삽입된 플러그와, 이 플러그의 둘레면에 설치된, 당해 플러그와 수납부 사이를 밀봉하는 O링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플러그를 수납부내에 압입 고정하는 경우와 같이, 실린더가 변형되어 밀봉성이 저하되고, 성능 악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간극 끼움이더라도, 실린더와 밀폐 용기간의 간격을 O링으로부 터 플러그의 밀폐 용기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플러그가 수납부로부터 압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밀폐 용기에 접촉하여 이동이 저지되는 시점에서 여전히 O링은 수납부내에 위치하여 밀봉되므로, 플러그의 기능에는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특히, 밀폐 용기 내부가 중간압이 되는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CO2 가스를 냉매로 사용하고, 밀폐 용기 내부가 중간압이고 제2 회전 압축 요소 내부가 아주 고압이 되는 경우에, 압축기의 성능 유지와 스프링 부재의 이탈 방지에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이 베인을 상시 롤러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와,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측과 밀폐 용기측으로 개구된 스프링 부재의 수납부와, 스프링 부재의 밀폐 용기측에 위치하여 수납부내에 간극 끼움에 의해 삽입된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플러그에 대응하는 부분의 지지 부재에, 실린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한 도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 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것으로,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베인을 상시 롤러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와,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측과 밀폐 용기측으로 개구된 스프링 부재의 수납부와, 스프링 부재의 밀폐 용기측에 위치하여 수납 부재에 압입 고정된 플러그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플러그에 대응하는 부분의 지지 부재에, 실린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한 도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이 베인을 상시 롤러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와,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측과 밀폐 용기측으로 개구된 스프링 부재의 수납부와, 스프링 부재의 밀폐 용기측에 위치하여 수납부내에 압입 고정된 플러그를 구비하며, 이 플러그에 대응하는 부분의 지지 부재에, 실린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 로 오목한 도피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수납부내에 플러그를 압입함으로써 실린더가 지지 부재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변형되더라도, 도피부에 의해 이 실린더의 변형을 흡수하여, 실린더와 지지 부재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의 변형에 따른 밀봉성의 저하에 의해 성능 악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밀폐 용기 내부가 중간압이 되는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CO2 가스를 냉매로 사용하고, 밀폐 용기 내부가 중간압이고 제2 회전 압축 요소 내부가 아주 고압이 되는 경우에, 압축기의 성능 유지와 스프링 부재의 이탈 방지에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중간압형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2단째가 되는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 내부로의 급유를 원활하고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것으로, 각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각 실린더 사이에 개재하여 각 회전 압축 요소를 칸막이하는 중간 구획판과, 각 실린더의 개구면을 각각 폐색하며,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회전축에 형성된 오일 구멍을 구비하며, 이 오일 구멍과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흡입측 을 연통하기 위한 급유로를, 중간 구획판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각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각 실린더 사이에 개재하여 각 회전 압축 요소를 칸막이하는 중간 구획판과, 각 실린더의 개구면을 각각 폐색하며,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회전축에 형성된 오일 구멍을 구비하며, 이 오일 구멍과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흡입측을 연통하기 위한 급유로를, 중간 구획판내에 형성하였으므로, 중간압이 되는 밀폐 용기 내부보다도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내의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이더라도, 제2 회전 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흡입 과정에서의 흡입 압력손실을 이용하여, 중간 구획판내에 형성한 급유로로부터 실린더내에 확실하게 오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하고, 성능을 확보하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상기에 있어서 중간 구획판내에 외주면과 회전축측의 내주면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뚫어서 급유로를 구성함과 아울러, 관통 구멍의 외주면측의 개구를 밀봉하고, 이 관통 구멍과 흡입측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에 뚫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더하여 중간 구획판내에 외주면과 회전축측의 내 주면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뚫어서 급유로를 구성함과 아울러, 관통 구멍의 외주면측의 개구를 밀봉하고, 이 관통 구멍과 흡입측을 연통하는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에 뚫도록 하였으므로, 급유로를 구성하기 위한 중간 구획판의 가공이 용이해지며, 생산 비용도 낮게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중간압형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토출 소음실을 폐색하는 커버의 밀봉을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CO2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것으로,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기립된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축받이 외측의 지지 부재에 형성되며, 실린더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과, 지지 부재에 주변부가 볼트 고정되며, 토출 소음실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를 구비하며, 이 커버와 지지 부재 사이에 개스킷을 끼워넣음과 아울러, 커버의 내주 단면과 축받이 외면 사이에는 O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CO2 냉 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기립된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축받이 외측의 지지 부재에 형성되며, 실린더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과, 지지 부재에 주변부가 볼트 고정되며, 토출 소음실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를 구비하며, 이 커버와 지지 부재 사이에 개스킷을 끼워넣음과 아울러, 커버의 내주 단면과 축받이 외면에는 O링을 설치하였으므로, 축받이 베이스부에 밀봉면을 형성하지 않고, 커버의 내주 단면에서 충분히 밀봉을 행하고, 커버와 지지 부재 사이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토출 소음실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C링에 의해 커버를 축받이에 고정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가공 비용과 부품 비용을 현저히 삭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중간압형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토출 소음실을 폐색하는 커버의 두께치수를 적정값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CO2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것으로,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전동 요소측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기립된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축받이 외측의 지지 부재에 형성되며, 실린더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과,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토출 소음실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를 구비하며, 이 커버의 두께치수를 2㎜이상 10㎜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상기에 있어서 커버의 두께를 6㎜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CO2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전동 요소측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기립된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축받이 외측의 지지 부재에 형성되며, 실린더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과,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토출 소음실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를 구비하며, 이 커버의 두께치수를 2㎜이상 10㎜이하로 하고, 또한 커버의 두께를 6㎜로 하였으므로, 커버 자체의 강도를 확보하고, 변형에 따른 가스 누설을 방지하면서, 전동 요소와의 사이의 절연 거리도 확보하고, 압축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커버는 주변부를 지지 부재에 볼트 고정함과 아울러, 이 커버와 지지 부재 사이에 개스킷을 끼워넣고, 커버의 내주 단면과 축받이 외면 사이에는 O링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더하여 커버는 주변부를 지지 부재에 볼트 고정함과 아울러, 이 커버와 지지 부재 사이에 개스킷을 끼워넣고, 커버의 내주 단면과 축받이 외면 사이에는 O링을 설치하였으므로, 축받이 베이스부에 밀봉면을 형성하지 않고, 커버의 내주 단면에서 충분히 밀봉을 행하고, 커버와 지지 부재 사이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토출 소음실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C링에 의해 커버를 축받이에 고정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가공 비용과 부품 비용을 현저히 삭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O2를 냉매로 사용한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의 실린더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CO2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것으로, 각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각 실린더의 개구면을 각각 폐색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축받이 외측의 각 지지 부재에 형성되며, 실린더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과, 각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토출 소음실의 개구부를 각 각 폐색하는 커버를 구비하며, 각 실린더, 각 지지 부재 및 각 커버를 복수의 메인 볼트에 의해 체결함과 아울러, 메인 볼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보조 볼트에 의해, 각 실린더 및 각 지지 부재를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CO2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각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각 실린더의 개구면을 각각 폐색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축받이 외측의 각 지지 부재에 형성되며, 실린더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과, 각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토출 소음실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를 구비하며, 각 실린더, 각 지지 부재 및 각 커버를 복수의 메인 볼트에 의해 체결함과 아울러, 메인 볼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보조 볼트에 의해, 각 실린더 및 각 지지 부재를 체결하였으므로, 고압이 되는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와 지지 부재 사이 등으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방지하고,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상기에 있어서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제2 압축 요소를 구성하는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이 수납되는 안내홈을 구비하며, 보조 볼트는 안내 홈 근방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부가하여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는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이 수납되는 안내홈을 구비하며, 보조 볼트는 안내홈 근방에 위치하였으므로, 베인에 가해지는 배압(背壓)의 가스 누설도 보조 볼트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의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가공성도 개선한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180도의 위상차를 갖고 형성된 제1 및 제2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각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러를 구비하며, 양 편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단면 형상을, 양 편심부의 편심 방향의 두께에 대하여 당해 편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가 큰 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당해 연결부의 제1 편심부의 편심 방향측의 측면을, 제2 편심부와 동일 중심의 원호 형상으로 하고, 제2 편심부의 편심 방향측의 측면은 제1 편심부와 동일 중심의 원호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 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180도의 위상차를 갖고 형성된 제1 및 제2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각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러를 구비하며, 양 편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단면 형상을, 양 편심부의 편심 방향의 두께에 대하여 당해 편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가 큰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회전축의 강성 강도가 향상되고, 그 탄성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당해 연결부의 제1 편심부의 편심 방향측의 측면을, 제2 편심부와 동일 중심의 원호 형상으로 하고, 제2 편심부의 편심 방향측의 측면은 제1 편심부와 동일 중심의 원호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양 편심부 및 연결부를 갖는 회전축을 절삭 가공할 때, 척 위치를 변경하는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가공 공정을 삭감하고, 생산성의 향상에 따른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O2를 냉매로 사용하고, 밀폐 용기 내부가 고압이 되는 경우에도, 기밀 시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밀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밀폐식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CO2 냉매를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외부에 토출하는 것으로, 밀폐 용기에 형성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각각 접속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이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 배관 접속용의 커플러를 걸어맞추기 위한 턱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CO2 냉매를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에 형성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각각 접속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 배관 접속용의 커플러를 걸어맞추기 위한 턱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이 턱부를 이용하여,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배관에 형성된 커플러를 간단히 밀폐 용기의 슬리이브에 걸어맞춤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 고압이 되는 밀폐식 압축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기밀 시험을 단시간에 종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식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CO2 냉매를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외부로 토출하는 것으로, 밀폐 용기에 형성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각각 접속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이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 배관 접속용의 나사홈을 형 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CO2 냉매를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외부에 토출하는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에 형성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각각 접속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 배관 접속용의 나사홈을 형성하였으므로, 이 나사홈을 이용하여,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배관을 간단히 밀폐 용기의 슬리이브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 고압이 되는 밀폐식 압축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기밀 시험을 단시간에 종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식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CO2 냉매를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외부에 토출하는 것으로, 밀폐 용기에 형성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각각 접속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서로 인접하는 한쪽의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 배관 접속용의 커플러를 걸어맞추기 위한 턱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는, 배관 접속용의 나사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CO2 냉매를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외부에 토출하는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에 형성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서로 인접하는 한쪽의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 배관 접속용의 커플러를 걸어맞추기 위한 턱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는, 배관 접속용의 나사홈을 형성하였으므로, 턱부를 이용하여,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배관에 형성된 커플러를 간단히 밀폐 용기의 한쪽의 슬리이브에 걸어맞춤 접속하고, 나사홈을 이용하여,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배관을 간단히 밀폐 용기의 다른쪽 슬리이브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 고압이 되는 밀폐식 압축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기밀 시험을 단시간에 종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서로 인접하는 한쪽의 슬리이브에 턱부를, 다른쪽의 슬리이브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치수가 큰 커플러가 서로 인접하여 접속되지 않게 되며, 슬리이브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당해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복수의 배관을 접속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어큐뮬레이터의 용량 변경에 대하여 용이하게 대처가능한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압축기는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용기의 측면에 설치된 용기측 브라켓과, 어큐뮬레이터와, 당해 어큐뮬레이터가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구비하며, 이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용기측 브라켓에 고정함으로써, 양 브라켓을 통 하여 어큐뮬레이터를 용기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는 상기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은 어큐뮬레이터의 중앙 또는 중심 위치, 또는 그들의 근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압축기에 있어서, 용기의 측면에 설치된 용기측 브라켓과, 어큐뮬레이터와, 당해 어큐뮬레이터가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구비하며, 이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용기측 브라켓에 고정함으로써, 양 브라켓을 통하여 어큐뮬레이터를 용기에 설치하였으므로,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밀폐 용기측 브라켓을 변경하지 않고,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배관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제조 설비에 주는 영향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의 용량 변경이 생긴 경우에도,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그 중앙 또는 중심 위치, 또는 그들의 근방에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설치하고, 어큐뮬레이터의 중앙 또는 중심 위치, 또는 그들의 근방에서 당해 어큐뮬레이터를 지지가능하게 되며, 진동에 의한 소음의 증대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냉매 도입관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스페이스 효율도 개선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압축 요소와, 제1 압축 요소에 냉매를 도입하는 냉매관과, 제1 압축 요소에서 압축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압축 요소에 도입하는 냉매관과, 제2 압축 요소에서 압축한 고압 가스를 토출하는 냉매관을 구비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압축 요소의 냉매관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되며, 당해 밀폐 용기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는 상기에 있어서 제1 압축 요소의 냉매관은 제2 압축 요소의 냉매관의 하측의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되어 있으며, 각 냉매관의 밀폐 용기에의 접속 위치의 상측에는 어큐뮬레이터가 배치되며, 당해 어큐뮬레이터는 제1 압축 요소에 냉매를 도입하는 냉매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압축 요소와, 제1 압축 요소에 냉매를 도입하는 냉매관과, 제1 압축 요소에서 압축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압축 요소에 도입하는 냉매관과, 제2 압축 요소에서 압축한 고압 가스를 토출하는 냉매관을 구비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압축 요소의 냉매관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되며, 당해 밀폐 용기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처리하도록 하였으므로, 각 냉매관을 한정된 스페이스내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압축 요소의 냉매관은 제2 압축 요소의 냉매관의 하측의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되어 있으며, 각 냉매관의 밀폐 용기에의 접속위치의 상측에는 어큐뮬레이터가 배치되며, 당해 어큐뮬레이터는 제1 압축 요소에 냉매를 도입하는 냉매관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 냉매관 상호의 간섭을 피하면서, 어큐뮬레이터의 위치를 최대한 낮추어 제2 압축 요소의 냉매관에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스페이스 효율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냉매 가스를 제1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 밖에 위치하는 제2 냉매 도입관을 통하여 흡입하고, 제2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냉매 도입관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되며, 당해 밀폐 용기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는 상기에 있어서 제1 냉매 도입관은 제2 냉매 도입관의 하측의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되어 있으며, 각 냉매 도입관의 밀폐 용기에의 접속 위치의 상측에는 어큐뮬레이터가 배치되며, 당해 어큐뮬레이터는 제1 냉매 도입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냉매 가스를 제1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 밖에 위치하는 제2 냉매 도입관을 통하여 흡입하고, 제2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냉매 도입관을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하고, 당해 밀폐 용기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처리하도록 하였으므로, 각 냉매 도입관을 한정된 스페이스내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냉매 도입관이 제2 냉매 도입관의 하측의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되며, 각 냉매 도입관의 밀폐 용기에의 접속 위치의 상측에는 어큐뮬레이터가 배치되어, 당해 어큐뮬레이터가 제1 냉매 도입관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양 냉매 도입관 상호간의 간섭을 피하면서, 어큐뮬레이터의 위치를 최대한 낮추어 제2 냉매 도입관에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스페이스 효율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 용기의 엔드 캡의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는 밀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밀폐식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압축 요소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는 것으로, 밀폐 용기의 엔드 캡에 설치된 터미널을 구비하며, 이 터미널 주위의 엔드 캡에, 소정 곡률의 단차를 스폿 페이싱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압축 요소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는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의 엔드 캡에 설치된 터미널을 구비하며, 터미널 주위의 엔드 캡에, 소정 곡률의 단차를 스폿 페이싱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터미널 근방의 엔드 캡의 강성이 강화되며, 특히 CO2 가스를 냉매로서 압축하는 경우와 같이, 밀폐 용기 내부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에 있어서, 밀폐 용기 내부 압 력에 의한 엔드 캡의 변형량을 저감하고, 내압(耐壓)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식 압축기는 상기에 있어서, 엔드 캡은 대략 주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단차는 당해 엔드 캡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축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터미널은 당해 엔드 캡의 중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더하여 엔드 캡은 대략 주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단차는 당해 엔드 캡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축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터미널은 당해 엔드 캡의 중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밀폐 용기 내부 압력에 의한 터미널 용접 부분의 엔드 캡의 변형을 균일화하고, 불균일 변형에 따른 용접 부분의 균열이나 박리의 발생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되며, 내압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 요소에 급전(給電)하기 위한 터미널 부분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는 밀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밀폐식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이 압축 요소에 의해 CO2 냉매를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는 것으로, 밀폐 용기에 설치된 터미널을 구비하며, 터미널은 전기적 단자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원형의 글래스부와, 이 글래스부의 주위에 형성되며, 밀폐 용기의 설치구멍 주연부에 용접 고정되는 턱형상의 금속제 설치부를 가지며, 이 설치부의 두께치수를 2.4±0.5㎜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식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CO2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것으로, 밀폐 용기에 설치된 터미널을 구비하며, 이 터미널은 전기적 단자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원형의 글래스부와, 이 글래스부의 주위에 형성되며, 밀폐 용기의 설치구멍 주연부에 용접 고정되는 턱형상의 금속제 설치부를 가지며, 이 설치부의 두께치수를 2.4±0.5㎜의 범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식 압축기의 밀폐 용기에 설치된 터미널을 구비하며, 이 터미널은 전기적 단자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원형의 글래스부와, 이 글래스부의 주위에 형성되며, 밀폐 용기의 설치구멍 주연부에 용접 고정되는 턱형상의 금속제 설치부를 가지고 있으며, 이 설치부의 두께치수를 2.4±0.5㎜의 범위로 하였으므로, 밀폐 용기내의 압력이 높아지는 CO2 냉매를 사용한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터미널의 내압 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용접 고정에 필요한 열량의 증대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터미널의 설치부에 균열이 발생하고, 또는 글래스부에 손상이 생김에 따라서 발생하는 가스 누설이나 터미널 파괴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축받이와 회전축 사이에 형성되는 카본제 부싱에 기인하는 비용의 상승을 최소한으로 억제한 로터리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의 실린더와, 실린더의 전동 요소와는 반대측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전동 요소의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제1 지지 부재와, 실린더의 전동 요소측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중의 어느 한쪽의 축받이내에, 당해 축받이와 회전축 사이에 개재하는 카본제 부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상기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 부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실린더와, 제1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전동 요소의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제1 지지 부재와, 제2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중의 어느 한쪽의 축받이내에, 당해 축받이와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카본제 부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상기에 있어서, 제2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 에 부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회전 압축 요소는 CO2 가스를 냉매로 하여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의 실린더와, 실린더의 전동 요소와는 반대측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전동축의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제1 지지 부재와, 실린더의 전동 요소측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중의 어느 한쪽의 축받이내에, 당해 축받이와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카본제 부싱을 형성하였으므로, 양쪽의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 각각 부싱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부품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1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 부싱을 형성하고, 실린더의 전동 요소측에서 회전축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는 제2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는 형성하지 않도록 하면, 수압(受壓) 면적이 작고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는 제1 지지 부재의 축받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성능을 유지하고, 내구 성능을 유지하면서, 수압 면적이 크고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하중이 비교적 작아지는 제2 지지 부재의 축받이의 부싱을 삭제하여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실린더와, 제1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전동 요소의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제1 지지 부재와, 제2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중의 어느 한쪽의 축받이내에, 당해 축받이와 회전축 사이에 개재되는 카본제 부싱을 형성하였으므로, 양쪽의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 각각 부싱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2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 부싱을 형성하고, 밀폐 용기내의 압력 이하가 되는 제1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하는 제1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는 형성하지 않도록 하면, 밀폐 용기 내부보다도 압력이 높아지는 제2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하고, 압력차에 의한 급유가 곤란해지는 제2 지지 부재의 축받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성능을 유지하고, 내구 성능을 유지하면서, 압력차에 의한 급유에 문제가 없는 제1 지지 부재의 축받이의 부싱을 삭제하여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CO2 가스를 냉매로 사용하고, 밀폐 용기 내부가 아주 고압이 되는 경우에, 압축기의 내구 성능의 유지에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 용기에 용접 고정되는 슬리이브의 직각도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밀폐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밀폐식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 요소에 의해 압축하여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토출하는 것으로, 밀폐 용기의 만곡면에 형성된 통공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접속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통공 주위의 밀폐 용기 외면에 평탄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슬리이브에는 통공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그 주위에 위치하여 밀폐 용기의 평탄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슬리이브의 접촉부와 밀폐 용기의 평탄면을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 요소에 의해 압축하여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토출하는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의 만곡면에 형성된 통공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접속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통공 주위의 밀폐 용기 외면에 평탄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슬리이브에는 통공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그 주위에 위치하여 밀폐 용기의 평탄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슬리이브의 접촉부와 밀폐 용기의 평탄면을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고정설치하였으므로, 밀폐 용기의 평탄면과 슬리이브의 접촉부의 접촉에 의해, 밀폐 용기의 내부직경에 대한 슬리이브의 직각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지그 등을 이용하지 않고 슬리이브의 직각도를 내어서 생산성을 개선하고 정밀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밀폐식 압축기는 상기에 있어서 평탄면을 통공 주위에 오목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부가하여 평탄면을 통공 주위에 오목하게 형성하였으므로, 밀폐 용기의 오목부에 매몰되는 슬리이브의 외면과 오목부에 의해 슬리이브의 직각도를 더 한층 정밀도 좋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 가스의 통로 저항을 감소할 수 있으며, 실린더에의 흡입 포트와 흡출 포트의 가공을 용이하게 한 로터리 압축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회전 압축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형성된 흡입 통로와, 실린더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지지 부재의 흡입 통로에 대하여 당해 흡입 통로를 실린더내에 연통시키는 흡입 포트를 구비하며, 이 흡입 포트의 흡입 통로측의 가장자리부는 반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 내에서 편심하는 롤러와,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형성된 흡입 통로와, 실린더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지지 부재의 흡입 통로에 대하여 당해 흡입 통로를 실린더내에 연통시키는 흡입 포트를 구비하며, 이 흡입 포트의 흡입 통로측의 가장자리부를 반원호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흡입 포트와 흡입 통로의 연통 부분에 있어서의 통로 저항이 경감되며, 기류의 흐트러짐을 적게 하여 효율적인 운전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이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형성된 흡입 통로와, 실린더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지지 부재의 흡입 통로에 대응하여 당해 흡입 통로를 실린더내에 연통시키는 흡입 포트를 구비한 로터리 압축기를 제조할 때, 실린더에 대하여 수직으로 선단 평면의 엔드 밀을 접촉하고, 당해 수직 상태를 유지한 채 실린더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흡입 포트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단 평면의 엔드 밀을 실린더에 대해 수직 상태로 한 채 경사진 흡입 포트를 실린더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른 나사구멍이나 펀칭구멍 등의 드릴 가공과 동일한 공정으로 흡입 포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공정수의 삭감에 따른 생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러한 가공에 의해 선단 평면의 엔드 밀에 의해서도 흡입 포트의 흡입 통로측의 가장자리부가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흡입 포트와 흡입 통로의 연통 부분에 있어서의 통로 저항을 경감할 수 있으며, 기류의 흐트러짐을 적게 하여 효율적인 운전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이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형성된 흡입 통로와, 실린더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지지 부재의 토출 통로에 대응하여 당해 토출 통로를 실린더내에 연통시키는 토출 포트를 구비한 로터리 압축기를 제조할 때, 실린더에 대하여 수직으로 선단 산형의 엔드밀의 일부를 접촉함으로써, 토출 포트를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단 산형의 엔드 밀의 일부를 실린더에 대해 수직으로 접촉함으로써 경사진 토출 포트를 실린더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른 나사구멍이나 펀칭구멍 등의 드릴 가공과 동일한 공정으로 토출 포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공정수의 삭감에 따른 생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중간압형의 2단 압축식 압축기를 사용한 냉매 회로에 있어서, 증발기의 제상시에 생기는 제2 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토출과 흡입의 압력 역전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상 장치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압축 요소 에서 압축하는 압축기와, 이 압축기의 제2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가스 냉각기와, 이 가스 냉각기의 출구측에 접속된 감압 장치와, 감압 장치의 출구측에 접속된 증발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이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를 제1 압축 요소에 의해 압축하는 냉매 회로에 있어서, 제1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감압하지 않고 증발기에 공급하기 위한 제상 회로와, 이 제상 회로의 냉매 유통을 제어하는 유통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는 상기에 있어서 각 압축 요소는 CO2 가스를 냉매로 하여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는 상기 각 발명에 있어서 가스 냉각기로부터의 방열에 의해 온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압축기와, 이 압축기의 제2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가스 냉각기와, 이 가스 냉각기의 출구측에 접속된 감압 장치와, 이 감압 장치의 출구측에 접속된 증발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이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를 제1 압축 요소에 의해 압축하는 냉매 회로에 있어서, 제1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감압하지 않고 증발기에 공급하기 위한 제상 회로와, 이 제상 회로의 냉매 유통을 제어하는 유통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증발기의 제상을 행하는 경우에는, 유로 제어 장치에 의하여 제상 회로에 제1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흘리고, 감압하지 않고 증발기에 공급하여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제2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만을 감압하지 않고 증발기에 공급하여 제상하는 경우와 같이 제2 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토출과 흡입의 압력 역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CO2 가스를 냉매로 사용하는 냉매 회로에 있어서 특히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스 냉각기에 의해 온수를 생성하는 것인 경우에는, 냉매에 의해 가스 냉각기의 온수의 열을 증발기에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증발기의 제상을 더욱 한층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 중간압형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고압이 되는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 내부로의 급유를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는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실린더와, 이들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어 각 회전 압축 요소를 칸막이하는 중간 구획판과, 각 실린더의 개구면을 각각 폐색하고, 전동 요소의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회전축에 형성된 오일 구멍을 구비하며, 이 오일 구멍의 제2 실린더내의 저압실을 연통하기 위한 급유홈을, 중간 구획판의 제2 실린더측의 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실린더와, 이들 실린더 사이에 개재되어 각 회전 압축 요소를 칸막이하는 중간 구획판과, 각 실린더의 개구면을 각각 폐색하고, 전동 요소의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회전축에 형성된 오일 구멍을 구비하며, 이 오일 구멍의 제2 실린더내의 저압실을 연통하기 위한 급유홈을, 중간 구획판의 제2 실린더측의 면에 형성하였으므로, 중간압이 되는 밀폐 용기 내부보다도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내의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이더라도, 제2 회전 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흡입 과정에서의 흡입 압력손실을 이용하여, 중간 구획판에 형성한 급유홈으로부터 실린더내에 확실하게 오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윤활을 원활하게 행하고,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급유홈은 중간 구획판의 제2 실린더측의 면을 홈가공하는 것만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하고, 생산 비용의 상승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압축기, 방열기, 증발기를 냉매관에 의해 연 통시켜서 형성하는 냉매 폐회로에 이산화탄소가 충전된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 폐회로에 유분리기를 개재시킴과 아울러, 그 유분리기의 저유부와 압축기를 반유관에 의해 연결하도록 한 냉동 장치이며, 유분리기를 방열기의 출구측 냉매 회로 또는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 회로에 형성하도록 한 냉동 장치이므로, 압축기에는 냉동기유를 저장해 둘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압축 기구부, 전동 기구부를 수납하는 밀폐 용기의 크기를, 냉동기유를 내장하고 있는 압축기의 것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압축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그 압축기를 카 에어컨의 압축기로 할 때에는, 용적에 한도가 있는 본넷트 내에 엔진 등의 자동차 부품과 함께 설치할 때에 설치하기 쉽다.
다음에,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각 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 10은 이산화탄소(CO2)를 냉매로 사용하는 내부 중간압형 다단(이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밀폐식 전동 압축기)로, 이 로터리 압축기(10)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밀폐 용기(12)와, 이 밀폐 용기(12)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수납된 전동 요소(14) 및 이 전동 요소(14)의 하측에 배치되며, 전동 요소(14)의 회전축(16)에 의해 구동되는 제1 회전 압축 요소(32)(1단째)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34)(2단째)로 이루어지는 회전 압축 기구부(18)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10)의 높이치수는 220㎜(외부직경 120㎜), 전동 요소(14)의 높이치수는 약 80㎜(외부직경 110㎜), 회전 압축 기구부(18)의 높이 치수는 약 70㎜(외부직경 110㎜)이고, 전동 요소(14)와 회전 압축 기구부(18)간의 간격은 약 5㎜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배제 용적은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배제 용적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밀폐 용기(12)는 실시예에서는 두께 4.5㎜의 강판으로 구성되며, 저부를 오일 받이로 하고, 전동 요소(14)와 회전 압축 기구부(18)를 수납하는 통형상의 용기 본체(12A)와, 이 용기 본체(12A)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대략 주발형상의 엔드 캡(덮개)(12B)로 구성되며, 또한 이 엔드 캡(12B)의 상면 중심에는 원형의 설치구멍(12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설치구멍(12D)에는 전동 요소(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배선을 생략)(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터미널(20) 주위의 엔드 캡(12B)에는, 스폿 페이싱 성형에 의해 소정 곡률의 단차부(단차)(12C)가, 당해 엔드 캡(12B)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축대칭인 형상으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터미널(20)은 도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적 단자(139)가 관통하여 설치된 원형의 글래스부(20A)와, 이 글래스부(20A) 주위에 형성되며, 경사 외측 하측에 턱형상으로 뻗어나온 철제(S25C∼S45C)의 설치부(20B)로 구성되며, 이것도 엔드 캡(12B)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축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설치부(20B)의 두께치수는 2.4±0.5㎜의 범위(1.9㎜이상 2.9㎜이하)로 되어 있다. 그리고, 터미널(20)은 그 글래스부(20A)를 하측으로부터 설치 구멍(12D)에 삽입하여 상측에 면하게 하고, 설치부(20B)를 설치 구멍(12D)의 둘레가장자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엔드 캡(12B)의 설치구멍(12D) 둘레가장자리에 설치부(20B)를 용접함으로써, 엔드 캡(12B)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밀폐 용기(12)내의 압력을 후술하는 중간압으로 하여 터미널(2)의 설치부(20B)의 두께를 얇게 한 경우, 시험에서는 1.9㎜보다도 얇게 된 시점에서 밀폐 용기(12) 내의 냉매 가스의 높은 압력(중간압)에 대한 강도(내압 성능)가 부족하고, 설치부(20B) 자체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한편, 설치부(20B)의 두께를 2.9㎜보다도 두껍게 한 경우, 이번에는 밀폐 용기(304)에 용접할 때에 다량의 열량이 필요하게 되며, 글래스부(20A)에 대한 악영향이 염려되는 시험 결과가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감안하여, 터미널(20)의 설치부(20B)의 두께치수를 2.4±0.5㎜로 함으로써, 터미널(20)의 내압 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용접 고정에 필요한 열량의 증대도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엔드 캡(12A)은 밀폐 용기(12)내의 높은 압력(중간압)의 영향을 받아서 터미널(20)과의 용접 부분이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도22에 이러한 엔드 캡(12A)의 변형량을 실제로 측정한 결과를 영역별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Z1으로 나타낸 영역의 변형량은 0.05㎛, Z2로 나타낸 영역의 변형량은 0.2㎛, Z3으로 나타낸 영역의 변형량은 최대 0.25㎛이었다. 이것은 단차부(12C)에 의해 터미널(20) 근방의 엔드 캡(12A)의 강성이 높아진 결과이며, 이것은 상술한 종래의 엔드 캡의 변형량과 비교하더라도 아주 작은 값이다.
또한, 대략 주발형상의 엔드 캡(12A)의 중심에 터미널(20)이 고정되며, 단차부(12C)도 그 주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변형량 자체도 터미널(20)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상으로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CO2 가스를 냉매로 하여 압축하고, 밀폐 용기(12)내부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에 있어서, 밀폐 용기(12) 내부 압력에 의한 엔드 캡(12A)의 변형량을 저감하고, 내압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밀폐 용기(12) 내부 압력에 의한 터미널(20)의 용접 부분의 엔드 캡(12A)의 변형을 균일화하고, 불균일 변형에 따른 용접 부분의 균열이나 박리의 발생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되고, 내압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전동 요소(14)는 밀폐 용기(12)의 상부 공간의 내주면을 따라서 환형상으로 설치된 스테이터(22)와, 이 스테이터(22)의 내측에 약간의 간극을 형성하여 삽입배치된 로터(24)로 이루어진다. 이 로터(24)는 중심을 지나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6)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22)는 도넛 형상의 전자 강판을 적층한 적층체(26)와, 이 적층체(26)의 톱니부에 바로감기(집중 감기) 방식에 의해 권취된 스테이터 코일(28)을 갖고 있다(도 6). 또한, 로터(24)도 스테이터(22)와 마찬가지로 전자 강판의 적층체(30)로 형성되며, 이 적층체(30)내에 영구 자석(MG)을 삽입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회전 압축 요소(32)와 제2 회전 압축 요소(34) 사이에는 중간 구획판(36)이 끼워져 있다. 즉 제1 회전 압축 요소(32)와 제2 회전 압축 요소(34)는 중간 구획판(36)과, 이 중간 구획판(36)의 상하에 배치된 비교적 두께가 작은 실린더(38)(제2 실린더), 실린더(40)(제1 실린더)와, 이 상하 실린더(39, 40)의 압축실(38A)(도 15), (40A) 내부를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축(16)에 형성한 상부 편심부(42)(제2 편심부), 하부 편심부(44)(제1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편심 회전하는 상부 롤러(46)(제2 롤러), 하부 롤러(48)(제1 롤러)와, 이 상하 롤러(46, 48)에 접촉하여 상하 실린더(38, 40) 내를 각각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후술하는 상하 베인(50)(하측의 베인은 도시하지 않음)과, 상부 실린더(38)의 상측의 개구면 및 하부 실린더(40)의 하측의 개구면을 폐색하여 회전축(16)의 축받이를 겸용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상부 지지 부재(54) 및 하부 지지 부재(56)로 구성된다.
상부 실린더(38)에는 상기 압축실(38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경사지게 상승하는 흡입 포트(161)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흡입 포트(161)와 도15와 같이 베인(50)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는 토출 포트(184)가 압축실(38A)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이것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실린더(40)에도 압축실(40A)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경사지게 상승하는 흡입 포트(162)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흡입 포트(162)와 상술한 베인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는 토출 포트(도시하지 않음)가 압축실(40A)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이것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지지 부재(54)에는 흡입 통로(58)와 토출 통로(39)가 각각 형성되고, 하부 지지 부재(56)에는 흡입 통로(60)와 토출 통로(4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흡입 통로(58, 60)에는 상기 흡입 포트(161, 162)가 대응하고, 이들을 통하여 상하 실린더(38, 40) 내부의 압축실(38A, 40A)에 각각 연통한다. 또한, 각 토출 통로(39, 41)에는 상기 토출 포트(184)(실린더(40)에 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이 대응하고, 이들을 통하여 상하 실린더(38, 40) 내부의 압축실(38A, 40A)에 각각 연통한다.
상부 지지 부재(54) 및 하부 지지 부재(56)에는, 오목한 토출 소음실(62, 64)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 양측 토출 소음실(62, 64)의 개구부는 각각 커버에 의해 폐색된다. 즉 토출 소음실(62)은 커버로서의 상부 커버(66), 토출 소음실(64)는 커버로서의 하부 커버(68)에 의해 폐색된다.
이 경우, 상부 지지 부재(54)의 중앙에는 축받이(54A)가 기립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받이(54A) 내면에는 통형상의 부싱(12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부 지지 부재(56)의 중앙에는 축받이(56A)가 관통형성되며, 하부 지지 부재(56)의 하면(하부 실린더(40)와는 반대측의 면)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축받이(56A) 내면에도 통형상의 부싱(123)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부싱(122, 12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성·내마모성이 좋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축(16)은 이들 부싱(122, 123)을 통하여 상부 지지 부재(54)의 축받이(54A)와 하부 지지 부재(56)의 축받이(56A)에 지지된다.
이 경우, 하부 커버(68)는 도넛형상의 원형 강판으로 구성되며, 금속 가공, 프레스 가공, 절삭 등에 의해, 하부 지지 부재(56)에의 설치면은 평면도 0.1㎜이하로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커버(68)는 주변부의 4부위를 축받이(54A)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메인 볼트(129…)에 의해 아래로부터 하부 지지 부재(56)에 고정되며, 토출 통로(41)에 의해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하부 실린더(40) 내부의 압축실(40A)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64)의 하면 개구부를 폐색한다. 이 메인 볼트(129…)의 선단은 상부 지지 부재(54)에 나사결합한다. 하부 커버(68)의 내주연은 하부 지지 부재(56)의 축받이(56A) 내면보다 내측으로 돌출해 있으며, 이에 따라서 부싱(123)의 하단면(하부 실린더(40)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하부 커버(68)에 의해 지지되며,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도 9).
이에 따라, 하부 지지 부재(56)의 축받이(56A)의 하단부에 부싱(123)의 이탈방지 형상을 성형할 필요가 없어지며, 하부 지지 부재(56)의 형상이 간소화되며, 생산 비용을 삭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10은 하부 지지 부재(56)의 하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참조번호 128은 토출 소음실(64)내에 있어서 토출 통로(41)를 개폐하는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토출 밸브이다.
여기에서, 하부 지지 부재(56)는 철계의 소결 재료(주물이어도 됨)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 커버(68)를 설치하는 측의 면(하면)은 평면도 0.1㎜이하로 가공된 후, 스팀 처리가 실시되고 있다. 이 스팀 처리에 의해 하부 커버(68)를 설치하는 측의 면은 산화철이 되기 때문에, 소결 재료 내부의 구멍이 막혀서 밀봉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하부 커버(68)와 하부 지지 부재(56) 사이에 개스킷을 개재할 필요가 없어진다.
토출 소음실(64)과 밀폐 용기(12)내에 있어서의 상부 커버(66)의 전동 요소(14)측은 상하 실린더(38, 40)나 중간 구획판(36)을 관통하는 구멍인 연통로(63)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도 4). 이 경우, 연통로(63)의 상단에는 중간 토출관(121)이 기립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간 토출관(121)은 상측의 전동 요소(14)의 스테이터(22)에 권취된 서로 인접하는 스테이터 코일(28, 28) 사이의 간극에 지향되어 있다(도 6).
또한, 상부 커버(66)는 토출 통로(39)에 의해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상 부 실린더(38) 내부의 압축실(38A)과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62)의 상면 개구부(전동 요소(14)측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밀폐 용기(12) 내부를 토출 소음실(62)과 전동 요소(14)측으로 칸막이한다. 이 상부 커버(66)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2㎜이상 10㎜이하(실시예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6㎜로 되어 있음)이고, 상기 상부 지지 부재(54)의 축받이(54A)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대략 도넛 형상의 원형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 지지 부재(54)와의 사이에 비드설치 개스킷(124)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당해 개스킷(124)을 통하여 주변부가 4개의 메인 볼트(78…)에 의해, 위로부터 상부 지지 부재(54)에 고정되어 있다. 이 메인 볼트(78…)의 선단은 하부 지지 부재(56)에 나사결합한다.
여기에서, 상부 커버(66)의 두께치수를 2㎜보다 얇게 하여 시험한 경우, 토출 소음실(62)의 내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위험성이 있었다. 한편, 상부 커버(66)의 두께치수를 10㎜보다 두껍게 한 경우, 이번에는 상면이 스테이터(22)(스테이터 코일(28))에 접근하게 되어, 절연이 염려되는 결과가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커버(66)를 상기와 같은 범위의 두께치수로 함으로써, 밀폐 용기(12) 내부보다도 고압이 되는 토출 소음실(62)의 압력에 충분히 견디면서, 로터리 압축기(10) 자체의 소형화를 달성하고, 전동 요소(14)와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상부 커버(66)의 내주 단면과 축받이(54A)의 외면 사이에는 O링(126)이 형성되어 있다(도 12). 이러한 O링(126)에 의해 축받이(54A)측의 밀봉을 행함으로써, 상부 커버(66)의 내주 단면에서 충분히 밀봉을 행하고, 가스 누설을 막을 수 있게 되며, 토출 소음실(62)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C링 에 의해 상부 커버(66)의 내측 가장자리부를 축받이(54A)에 고정할 필요도 없어진다. 여기에서, 도11에 있어서, 참조번호 127은 토출 소음실(62)내에 있어서 토출 통로(39)를 개폐하는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토출 밸브이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 실린더(38)(하부 실린더(40)도 동일)의 흡입 포트(161)와 토출 포트(184)의 가공 방법에 관하여 도29와 도30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흡입 포트(161)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실린더(38)에 대하여 선단 평탄한 엔드 밀(ML1)을 도29중의 아래를 향하는 화살표와 같이 수직으로 접촉하고, 당해 수직 상태를 유지한 채 도29중의 경사 좌측 하측을 향한 화살표와 같이 실린더(38)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압축실(38A)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실린더(38)에 대해 경사진 홈을 형성한다.
한편, 토출 포트(184)를 형성할 때에는, 도30과 같이 실린더(38)의 압축실(38A)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선단 산형의 엔드 밀(ML2)의 절반을 수직으로 접촉함으로써 실린더(38)에 대하여 경사진 노치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흡입 포트(161)와 토출 포트(184)를 가공함으로써, 엔드 밀(ML1, ML2)을 실린더(38)에 대하여 수직 상태로 한 채 경사진 흡입 포트(161)나 토출 포트(184)를 실린더(38)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른 나사구멍(H1)(메인 볼트(78) 등을 지나는 구멍)이나 펀칭 구멍(H2) 등의 드릴 가공과 동일한 공정으로 흡입 포트(161)나 토출 포트(184)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공정수의 삭감에 따른 생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흡입 포트(161)의 경우에는, 이러한 가공에 의해 선단 평면의 엔드 밀(ML1)에 의해서도 흡입 포트(161)의 흡입 통로(58)측의 가장자리부가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호 형상이 되므로, 종래와 같이 가장자리부가 직선형인 것에 비하여, 흡입 포트(161)와 흡입 통로(58)의 연통 부분에 있어서의 통로 저항을 경감할 수 있으며, 기류의 흐트러짐을 적게 하여 효율적인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상부 실린더(38) 하측의 개구면 및 하부 실린더(40) 상측의 개구면을 폐색하는 중간 구획판(36)내에는, 상부 실린더(38)내의 흡입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13,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에 이르며, 외주면과 내주면을 연통하여 급유로를 구성하는 관통 구멍(131)이 미세 가공에 의해 뚫려 있으며, 이 관통로(131)의 외주면측의 봉 지지부재(블라인드 핀)(132)을 압입하여 외주면측의 개구를 밀봉하고 있다. 또한, 이 관통 구멍(131)의 중도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통 구멍(세로구멍)(133)이 뚫려 있다.
한편, 상부 실린더(38)의 흡입 포트(161)(흡입측)에는 중간 구획판(36)의 연통 구멍(133)에 연통하는 인젝션용의 연통 구멍(134)이 뚫려 있다. 또한, 회전축(16)내에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중심에 연직방향인 오일 구멍(80)과, 이 오일 구멍(80)에 연통하는 가로 방향의 급유 구멍(82, 84)(회전축(16)의 상하 편심부(42, 44에도 형성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구획판(36)의 관통 구멍(131)의 내주면측의 개구는 이들 급유 구멍(82, 84)을 통하여 오일 구멍(80)에 연통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폐 용기(12) 내부는 중간압으로 되어 있으며, 2단째에 서 고압이 되는 상부 실린더(38)내에는 오일의 공급이 곤란해지는데, 중간 구획판(36)을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밀폐 용기(12)내의 저부의 오일 받이로부터 퍼올려져서 오일 구멍(80)을 상승하고, 급유 구멍(82, 84)으로부터 나온 오일은 중간 구획판(36)의 관통 구멍(131)에 들어가고, 연통 구멍(133, 134)으로부터 상부 실린더(38)의 흡입측(흡입 포트(161))에 공급되게 된다.
도 16중의 참조부호 L은 상부 실린더(38)내의 흡입측의 압력 변동을 나타내며, 도면중 P는 중간 구획판(36)의 내주면의 압력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 L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실린더(38)의 흡입측의 압력(흡입 압력)은 흡입 과정에서는 흡입 압력손실에 의해 중간 구획판(36)의 내주면측의 압력보다도 저하된다. 이 기간에 회전축(16)의 오일 구멍(80)으로부터 중간 구획판(36)의 관통 구멍(131), 연통 구멍(133)을 거쳐서 상부 실린더(38)의 연통 구멍(134)으로부터 상부 실린더(38)내에 오일이 주입되며, 급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실린더(38, 40), 중간 구획판(36), 상하 지지 부재(54, 56) 및 상하 커버(66, 68)는 각각 4개의 메인 볼트(78…)와 메인 볼트(129…)에 의해 상하로 체결되는데, 또한 상하 실린더(38, 40), 중간 구획판(36), 상하 지지 부재(54, 56)는 이들 메인 볼트(78, 129)의 외측에 위치하는 보조 볼트(136, 136)에 의해 체결된다(도 4). 이들 보조 볼트(136, 136)는 상부 지지 부재(54)측에서부터 삽입되며, 선단은 하부 지지 부재(56)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보조 볼트(136)는 상술한 베인(50)의 후술하는 안내홈(70)의 근방에 위치해 있다. 이와 같이 보조 볼트(136)를 추가하여 회전 압축 기구부(18)를 일체화함으로써, 체결 토크가 증대되고, 토출 압력이 12㎫G에 달하는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상부 실린더(38)와 상부 지지 부재(54) 사이 등으로부터의 가스 누설의 발생도 방지되며, 내부가 아주 고압이 되는 것에 대한 밀봉성의 확보가 이루어진다. 또한, 베인(50)의 안내홈(70) 근방을 보조 볼트(136)로 체결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인(50)에 가해지는 배압(고압)의 가스 누설(상부 지지 부재(54)와 상부 실린더(38) 사이로부터의 누출)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 실린더(38)내에는 상술한 베인(50)을 수납하는 안내홈(70)과, 이 안내홈(70)의 외측에 위치하여 스프링 부재로서의 스프링(76)을 수납하는 수납부(7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납부(70A)는 안내홈(70)측과 밀폐 용기(12)(용기 본체(12A))측에 개구되어 있다(도 8). 상기 스프링(76)은 베인(50)의 외측 단부에 접촉하며, 상시 베인(50)을 롤러(46)측에 탄성지지한다. 그리고, 이 스프링(76)의 밀폐 용기(12)측의 수납부(70A)내에는 금속제의 플러그(137)가 형성되며, 스프링(76)의 이탈방지의 역할을 한다. 안내홈(70)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압실이 연통되어 있으며, 베인(50)에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토출 압력(고압)이 배압실에 가해지기 때문에, 플러그(137)의 스프링(76)측은 고압, 밀폐 용기(12)측은 중간압이 된다.
이 경우, 플러그(137)의 외부치수는 수납부(70A)에 내부치수보다도 작게 설정되며, 플러그(137)는 수납부(70A)에 간극 끼움에 의해 삽입된다. 또한, 플러그(137)의 둘레면에는 당해 플러그(137)와 수납부(70A)의 내면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O링(13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실린더(38)의 외측단, 즉 수납부(70A) 의 외측단과 밀폐 용기(12)의 용기 본체(12A)간의 간격은 O링(138)으로부터 플러그(137)의 밀폐 용기(12)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되고 있다. 그리고, 베인(50)의 안내홈(70)에 연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배압실에는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토출 압력인 고압이 배압으로서 가해진다. 따라서, 플러그(137)의 스프링(76)측은 고압, 밀폐 용기(12)측은 중간압이 된다.
이러한 치수관계로 함으로써, 플러그(137)를 수납부(70A)내에 압입 고정하는 경우와 같이, 상부 실린더(38)가 변형되어 상부 지지 부재(54)와의 사이의 밀봉성이 저하되고, 성능 악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간극 끼움이더라도, 상부 실린더(38)와 밀폐 용기(12)간의 간격을 O링(138)으로부터 플러그(137)의 밀폐 용기(12)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스프링(76)측의 고압(베인(50)의 배압)에 의해 플러그(137)가 수납부(70A)로부터 압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밀폐 용기(12)에 접촉하여 이동이 저지된 시점에서 여전히 O링(138)은 수납부(70A)내에 위치하여 밀봉하므로, 플러그(138)의 기능에는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런데, 회전축(16)과 일체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고 형성되는 상하 편심부42, 44)의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부(90)는 그 단면 형상을 회전축(16)의 원형 단면보다 단면적을 크게 하여 강성을 지니게 하기 위하여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원형 형상의 이른바 럭비볼 형상이 되며, 회전축(16)에 형성한 상하 편심부(42, 44)의 편심 방향에 대하여 상하 편심부(42, 44)의 편심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쪽이 두께가 큰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면중 해칭 부분).
이에 따라, 회전축(16)에 일체로 형성된 상하 편심부(42, 44)를 연결하는 연결부(90)의 단면적이 크게 되고, 단면 2차 모멘트가 증가하여 강도(강성)이 증가하고, 회전축(16)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특히, 실시예와 같이 사용 압력이 높은 냉매를 2단 압축하는 경우, 고저압의 압력차가 크기 때문에 회전축(16)에 가해지는 하중도 커지는데, 연결부(90)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그 강도(강성)를 증가시키고 있으므로, 회전축(16)이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측의 편심부(42)의 중심을 O1, 당해 편심부의 반경을 R1으로 하고, 하측의 편심부(44)의 중심을 O2, 당해 편심부(44)의 반경을 R3으로 한 경우, 상측의 편심부(제1 편심부)(42)의 편심 방향측의 연결부(90)의 면(도 17의 해칭의 좌측의 면)은 중심을 O2로 하는 원호 형상이 되며, 편심부(44)의 편심 방향측의 연결부(9))의 면(도 17의 해칭의 우측의 면)은 중심을 O1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측의 편심부(42)의 편심 방향측의 연결부(9)의 면의 원호의 반경을 R4로 하면, 이 반경 R4는 최대로 하측의 편심부(44)의 반경 R3까지 확장할 수 있으며, 하측의 편심부(44)의 편심 방향측의 연결부(9)의 면의 원호의 반경을 R2로 하면, 이 반경 R2는 최대로 상측의 편심부(42)의 반경 R1까지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측의 편심부(44)의 편심 방향측의 연결부(90)의 면의 원호의 중심을 O2, 하측의 편심부(44)의 편심 방향측의 연결부(90)의 면의 원호의 중심을 O2로 함으로써, 회전축(16)을 절삭 가공기에 고정하여, 회전축(16)의 상하 편심부(42, 44)와 연결부(90)를 절삭가공할 때, 편심부(42)를 가공한 후, 반경만을 변 경, 또는 변경하지 않고 연결부(90)의 편심부(44)의 편심 방향측의 면(도 17의 우측의 면)을 가공하고, 이어서 척 위치를 변경하여 연결부(90)의 편심부(42)의 편심 방향측의 면(도 17의 좌측의 면)을 가공하고, 반경만을 변경하고, 또는 변경하지 않고 편심부(44)를 가공하는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16)을 다시 척하는 횟수가 감소하고, 가공 공정이 삭감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그리고, 이 경우 냉매로서는 지구 환경에 친근하고, 가연성 및 독성 등을 고려하여 자연 냉매인 탄산 가스의 일례로서의 상기 이산화탄소(CO2)를 사용하고, 윤활유로서의 오일은 예를 들면 광물유(미네랄 오일), 알킬벤젠유, 에테르유, 에스테르유 등 기존의 오일이 사용된다.
한편, 밀폐 용기(12)의 용기 본체(12A)의 만곡된 측면에는 상부 지지 부재(54)와 하부 지지 부재(56)의 흡입 통로(58, 60), 토출 소음실(62) 및 상부 커버(66)의 상측(전동 요소(14)의 하단에 대략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통형의 슬리이브(141, 142, 143 및 144)가 각각 용접 고정되어 있다. 슬리이브(141, 142)는 상하로 인접함과 아울러, 슬리이브(143)는 슬리이브(141)의 대략 대각선상에 있다. 또한, 슬리이브(144)는 슬리이브(141)와 대략 90도 변위된 위치에 있다.
여기에서, 도28을 참조하여 상기 슬리이브(141∼144)(도면에서는 슬리이브(142)를 나타냄)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겠다. 밀폐 용기(12)의 용기 본체(12A)의 만곡면에는 슬리이브(141∼144)를 설치하는 위치에 원형의 통공(190)이 각각 형성 되어 있으며(이 경우, 4부위), 또한 각 통공(190)의 용기 본체(12A) 외면측의 주위는 원형의 오목부(192)가 스폿페이싱 형성되며, 이 오목부(192)의 저면인 통공(190)의 주위에, 밀폐 용기(12)의 용기 본체(12A)의 내부직경에 대해 접선과 평행하게 되는 평탄면(19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리이브(142)(다른 슬리이브도 동일)의 밀폐 용기(12)측 단부에는, 외부직경보다도 작게 된 삽입부(19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부(194)의 주위에는 슬리이브(142)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평탄한 접촉부(196)가 형성되며, 또한 이 접촉부(196)의 주위에는 프로젝션 용접용의 돌기(197)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28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돌기(197)를 크게 나타내고 있으나, 실제로는 아주 작은 돌출치수이다. 또한, 상기 오목부(192)이 내부직경은 슬리이브(141)가 최소의 간극을 갖고 삽입가능한 치수이며, 삽입부(194)의 외부직경도 통공(190)내에 최소의 간극을 갖고 삽입가능한 치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이브(142)를 용기 본체(12A)에 고정할 때에는, 슬리이브(142)의 삽입부(194)를 용기 본체(12A)의 통공(190)내에 삽입해 가고, 또한 슬리이브(142)의 접촉부(196) 부분을 오목부(192)내에 매몰시켜 간다. 그러면 이윽고 슬리이브(142)의 접촉부(196)(실제로는 돌기(197))가 오목부(192) 바닥의 평탄면(193)에 접촉한다. 이 때, 평탄면(193)은 용기 본체(12A)의 내부직경의 접선과 평행하며, 또한 접촉부(196)는 슬리이브(142)의 축방향에 직교하고 있으므로, 접촉부(196)와 평탄면(193)이 접촉된 시점에서, 용기 본체(12A)의 내부직경에 대하여 슬리이브(142)는 직각이 된다(용기 본체(12A)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 선상에 위치하여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 특히, 슬리이브(142)의 접촉부(196) 주위 외면이 오목부(192)의 내면에 지지되는 형태가 되므로, 슬리이브(142)의 직각도의 확보는 용이해진다.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용접구에 의해 상기 돌기(197)를 녹여서 슬리이브(142)를 용기 본체(12A)에 프로젝션 용접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슬리이브(142)(141, 143, 144도 동일)의 용기 본체(14A)의 내부직경에 대한 직각도를 정확히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한 슬리이브(141)내에는 상부 실린더(38)에 냉매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관(92)(냉매관. 제2 냉매 도입관)의 일단이 삽입접속되며, 이 냉매 도입관(92)의 일단은 상부 실린더(38)의 흡입 통로(58)에 연통된다. 이 냉매 도입관(92)은 밀폐 용기(12)의 상측(따라서, 냉매 도입관(92)은 밀폐 용기(12) 밖에 위치함)을 통과하여 슬리이브(144)에 이르고, 타단은 슬리이브(144)내에 삽입접속되어 밀폐 용기(12)내에 연통한다.
또한, 슬리이브(42)내에는 하부 실린더(40)에 냉매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관(94)(냉매관. 제1 냉매 도입관)의 일단이 삽입접속되며, 이 냉매 도입관(94)의 일단은 하부 실린더(40)의 흡입 통로(60)에 연통된다. 그리고, 이 냉매 도입관(94)의 타단은 어큐뮬레이터(146)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슬리이브(143)내에는 냉매 토출관(96)이 삽입접속되며, 이 냉매 토출관(96)의 일단은 토출 소음실(62)에 연통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146)는 흡입 냉매의 기액 분리를 행하는 탱크이며, 밀폐 용기(12)의 용기 본체(12A)의 상부 측면에 용접 고정된 밀폐 용기측의 브라켓(147)에 어큐뮬레이터측의 브라켓(148)을 통하여 설치되며, 슬리이브(141과 142)의 상측에 위치해 있다. 이 브라켓(148)은 하단부 양측이 브라켓(147)에 나사(18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당해 브라켓(147)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그 상단부 양측에 나사(183)에 의해 설치되는 밴드(182)에 의해 어큐뮬레이터(146)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를 지지하고 있다. 이 경우, 어큐뮬레이터(148)는 용접에 의해 브라켓(148)에 고정해도 된다. 그 상태에서 어큐뮬레이터(146)는 밀폐 용기(12)의 측방을 따른 형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브라켓(147)과 브라켓(148)을 통하여 어큐뮬레이터(146)를 밀폐 용기(12)의 본체(12A)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어큐뮬레이터(146)의 용량이 확대되며, 그 상하 치수가 커진 경우에도, 브라켓(147)을 변경하지 않고 브라켓(148)의 상하치수를 확대(변경)하는 것만으로, 어큐뮬레이터(146)의 대략 중앙을 지지한 채, 그 하단 위치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그 하측의 냉매 도입관(92)과도 간섭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브라켓(147)은 밀폐 용기(12)의 도장시에 제조 설비의 행거를 거는 걸림부가 되는데,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 행거의 변경도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146)의 용량 변경이 생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148)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그 대략 중앙(또는 대략 중심 위치, 또는 이들의 근방)에 브라켓(148)을 설치하고, 그 위치에서 어큐뮬레이터(146)를 지지가능하게 되며, 진동에 의한 소음의 증대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 도입관(92)은 슬리이브(141)로부터 나온 후, 실시예에는 우측으로 굴곡된 후, 상승하고 있으며, 어큐뮬레이터(146)의 하단은 이 냉매 도입관(92)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내려져 있다. 따라서, 어큐뮬레이터(146)의 하단으로부터 하강하는 냉매 도입관(94)은 슬리이브(141)에서 보아 냉매 도입관(92)의 굴곡 방향과는 반대인 좌측을 처리하여 슬리이브(142)에 이르도록 우회되어 있다.
즉 상부 지지 부재(38)와 하부 지지 부재(40)의 흡입 통로(58, 60)에 각각 연통하는 냉매 도입관(92, 94)은 밀폐 용기(12)에서 보아 수평면상에서 반대 방향(180도 다른 방향)으로 굴곡된 형태로 처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어큐뮬레이터(146)의 상하 치수를 확대하여 용적을 늘리거나, 또는 설치 위치를 내림으로써 그 하단이 냉매 도입관(92)에 근접하게 되어도, 각 냉매 도입관(92, 94)이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된다.
또한, 슬리이브(141, 143, 144)의 외면 주위에는 턱부(1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리이브(142)의 외면 주위에는 나사홈(1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턱부(151)에는 도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 접속용의 커플러(171)의 걸어맞춤부(172)가 착탈이 자유롭게 걸어맞춤가능하게 되며, 나사홈(152)에는 배관 접속용의 커넥터(173)가 나사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플러(171)의 걸어맞춤부(172)는 상시 외측으로 탈출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며, 그 외측에는 가요성을 갖는 조작부(177)가 위치해 있다. 그리고, 커플러(171)를 슬리이브(141)에 씌우도록 밀어넣음으로써 걸어맞춤부(172)는 조작 부(177)를 밀어서 외측으로 이탈된 후, 턱부(151)의 용기 본체(12A)측에 걸어맞춘다. 그리고, 조작부(177)를 용기 본체(1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어맞춤부(172)가 외측으로 탈출하여 커플러(171)는 슬리이브(141)로부터 벗겨지게 된다.
상기 커플러(171)는 도시하지 않은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배관(174)의 선단에 설치되며, 커넥터(173)는 마찬가지로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배관(176)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리 압축기(10)의 제조 공정에서 완성 검사를 행할 때에는, 슬리이브(141, 143, 144)에 상술한 커플러(171)를 각각 걸어맞추어 접속하고, 슬리이브(142)에는 커넥터(173)를 비틀어넣어 접속한다. 그리고, 상술한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 10㎫ 정도의 압착 공기를 밀폐 용기(12)내에 인가하여 기밀 시험을 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배관(174, 176)을 커플러(171)나 커넥터(173)를 사용하여 간단히 접속할 수 있게 되므로, 단시간에 기밀 시험을 마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하로 인접하는 슬리이브(141, 142)는 한쪽의 슬리이브(141)에 턱부(151)가, 다른쪽 슬리이브(142)에 나사홈(15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커넥터(173)에 비교하여 치수가 큰 커플러(171)를 2개 인접하여 설치하는 상황이 되는 일은 없어지며, 슬리이브(141, 142)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당해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배관(174, 176)을 각 슬리이브(141, 142)에 접속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급탕 장치(153)의 냉매 회로도를 나타내 고 있다.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10)는 도18에 나타낸 급탕 장치(153)의 냉매 회로에 사용된다. 즉 로터리 압축기(10)의 냉매 토출관(96)은 물 가열용의 가스 냉각기(154)의 입구에 접속된다. 이 가스 냉각기(154)가 급탕 장치(153)의 도시하지 않은 저탕 탱크에 형성된다. 가스 냉각기(154)를 나온 배관은 감압 장치로서의 팽창 밸브(156)를 거쳐서 증발기(157)의 입구에 이르며, 증발기(157)의 출구는 냉매 도입관(94)에 접속된다. 또한, 냉매 도입관(92)의 중도부로부터는 도2, 도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상 회로를 구성하는 제상관(158)이 분기되며, 유로 제어 장치로서의 전자 밸브(159)를 통하여 가스 냉각기(154)의 입구에 이르는 냉매 토출관(96)에 접속되어 있다. 도18에서는 어큐뮬레이터(146)는 생략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이어서 동작을 설명하겠다. 가열 운전에서는 전자 밸브(159)는 닫혀져 있는 것으로 한다. 터미널(20) 및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통하여 전동 요소(14)의 스테이터 코일(28)에 통전되면, 전동 요소(14)가 기동하여 로터(24)가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회전축(16)과 일체로 형성한 상하 편심부(42, 44)에 끼워맞춰진 상하 롤러(46, 48)이 상하 실린더(38, 40) 내부를 편심 회전한다.
이에 따라, 냉매 도입관(94) 및 하부 지지 부재(56)에 형성된 흡입 통로(60)를 경유하여 흡입 포트(162)로부터 하부 실린더(40)의 저압실측에 흡입된 저압(1단째 흡입 압력:4㎫G)의 냉매 가스는 롤러(48)와 베인의 동작에 의해 압축되어 중간압(MP1:8㎫G)이 되며, 하부 실린더(40)의 고압실측으로부터 토출 포트, 토출 통로(41)를 거쳐서 하부 지지 부재(56)에 형성된 토출 소음실(64)로부터 연통로(63)를 지나서 중간 토출관(121)으로부터 밀폐 용기(12) 내부에 토출된다.
이 때, 중간 토출관(121)은 상측의 전동 요소(14)의 스테이터(22)에 권취된 서로 이웃하는 스테이터 코일(28, 28) 사이의 간극에 지향해 있으므로, 아직 비교적 온도가 낮은 냉매 가스를 전동 요소(14)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전동 요소(14)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밀폐 용기(12) 내부는 중간압(MP1)이 된다.
그리고, 밀폐 용기(12) 내의 중간압의 냉매 가스는 슬리이브(144)로부터 나와서(중간 토출 압력은 상기 MP1) 냉매 도입관(92) 및 상부 지지 부재(54)에 형성된 흡입 통로(58)를 경유하여 흡입 포트(161)로부터 상부 실린더(38)의 저압실측에 흡입된다(2단째 흡입 압력 MP2). 흡입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는 롤러(46)와 베인(50)의 동작에 의해 2단째의 압축이 행해져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가 되고(2단째 토출 압력 HP:12㎫G), 고압실측으로부터 토출 포트(184)와 토출 통로(39)를 지나서 상부 지지 부재(54)에 형성된 토출 소음실(62), 냉매 토출관(96)을 경유하여 가스 냉각기(154)내에 유입된다. 이 때의 냉매 온도는 대략 +100℃까지 상승해 있으며, 이러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가스 냉각기(154)에 의해 방열하여, 저탕 탱크내의 물을 가열하여 약 +90℃의 온수를 생성한다.
한편, 가스 냉각기(154)에 있어서 냉매 자체는 냉각되며, 가스 냉각기(154)를 나온다. 그리고, 팽창 밸브(156)에서 감압된 후, 증발기(157)에 유입되어 증발되고(이 때 주위로부터 흡열함), 어큐뮬레이터(146)(도 18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냉매 도입관(94)으로부터 제1 회전 압축 요소(32) 내부에 흡입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특히, 외기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는 이와 같은 가열 운전에 의해 증발기(157)에는 착상이 성장한다. 이 경우에는 전자 밸브(159)를 개방하고, 팽창 밸브(156)는 모두 열림 상태로 하여 증발기(157)의 제상 운전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밀폐 용기(12)내의 중간압의 냉매(제2 회전 압축 요소(34)로부터 토출된 소량의 고압 냉매를 포함함)은 제상관(158)을 지나서 가스 냉각기(154)에 이른다. 이 냉매의 온도는 +50∼+60℃ 정도이며, 가스 냉각기(154)에서는 방열하지 않고, 당초에는 반대로 냉매가 열을 흡수하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가스 냉각기(154)로부터 나온 냉매는 팽창 밸브(156)를 통과하여, 증발기(157)에 이르게 된다. 즉 증발기(157)에는 대략 중간압의 비교적 온도가 높은 냉매가 감압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직접 공급되는 형태가 되며, 이에 따라 증발기(157)는 가열되며, 제상된다. 이 때, 가스 냉각기(154)로부터는 온수의 열이 냉매에 의해 증발비(157)에 반송되는 형태가 된다.
여기에서, 제2 회전 압축 요소(34)로부터 토출된 고압 냉매를 감압하지 않고 증발기(157)에 공급하여 제상한 경우에는, 팽창 밸브(156)가 전부 열리기 때문에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흡입 압력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토출 압력(중간압)이 높아진다. 이 냉매는 제2 회전 압축 요소(34)를 지나서 토출되는데, 팽창 밸브(156)가 전부 열리기 때문에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토출 압력이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흡입 압력과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토출(고압)과 흡입(중간압)에서 압력의 역전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압축 요소(32)로부터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 스를 밀폐 용기(12)로부터 배출하여 증발기9157)의 제상을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압과 중간압의 역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도33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급탕 장치(153)의 다른 냉매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도18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한 작용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도18의 냉매 회로에 부가하여 냉매 압출관(96)과 팽창 밸브(156) 및 증발기(157) 사이의 배관을 연통하는 또 하나의 제상관(158A)이 형성되며, 이 제상관(158A)에는 또 하나의 전자 밸브(159A)가 개재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가열 운전에서는 양 전자 밸브(159, 159A)를 닫고 있으므로 동작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증발기(157)의 제상시에는 전자 밸브(159, 159A) 둘 모두를 개방한다. 그러면, 밀폐 용기(12)내의 중간압의 냉매와 제2 회전 압축 요소(34)로부터 토출된 소량의 고압 냉매는 제상관(158)과 (158A)을 거쳐서 팽창 밸브(156)의 하류측에 흐르며, 감압되지 않고 직접 증발기(157)에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2 회전 압축 요소(34)에 있어서의 압력 역전은 회피된다.
또한, 도34는 급탕 장치(153)의 또 다른 냉매 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도18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한 작용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도18에 있어서의 제상관(158)은 가스 냉각기(154)의 입구에는 접속되지 않고, 팽창 밸브(156) 및 증발기(157) 사이의 배관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밸브(159)를 개방한 경우, 도33과 마찬가지로 밀폐 용기(12)내의 중간압의 냉 매는 팽창 밸브(156)의 하류측에 흐르며, 감압되지 않고 직접 증발기(157)에 유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상시에 생기는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압력 역전이 생기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도33에 비하면 전자 밸브의 수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러그(137)를 수납부(70A)에 간극 끼움에 의해 삽입하였으나, 플러그(137)를 수납부(70A)에 압입하는 경우에도,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플러그(137)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부 지지 부재(54)에 상부 실린더(38)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한 탈출부(54C)를 형성하면, 플러그 압입에 따른 상부 실린더(38)의 변형을 이 탈출부(54C)에서 흡수하여, 밀봉성의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세로형의 로터리 압축기를 위하여 슬리이브(141, 142)를 상하로 인접하여 형성하였으나, 가로형 로터리 압축기와 같이 양 슬리이브가 좌우에 서로 인접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냉매 도입관(92, 94)은 상측과 하측, 또는 좌측과 우측과 같이, 반대 방향으로 처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 압축 요소(32)에 의해 압축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12)내에 토출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회전 압축 요소(32)로부터 토출된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12) 내에 토출하지 않고, 직접 냉매 도입관(92)에 유입시켜서 제2 회전 압축 요소(34)에 흡입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냉매 도입관(92)과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냉매 도입관(94)을 상하로 인접하여 형성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냉매 토출관(96)과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냉매 도입관(94)을 상하로 인접하여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냉매 토출관(96)과 냉매 도입관(94)이 밀폐 용기(12)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에 처리되게 된다.
여기에서, 도26은 또 하나의 본 발명의 로터리 압축기(1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상부 지지 부재(54)(제2 지지 부재)의 중앙에는 전동 요소(14) 방향으로 돌출되는 긴 축받이가 되는 축받이(54A)가 기립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받이(54A) 내면에는 통형상의 부싱(122)이 장착되어 있다. 이 부싱(122)는 회전축(16)과 축받이(54A) 사이에 개재되며, 당해 부싱(122)의 내면이 회전축(16)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해 있다. 부싱(122)는 급유가 불충분한 상황에서도 양호한 미끄럼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마모성이 높은 카본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부 지지 부재(56)의 중앙에는 축받이(54A)와 비교하여 짧은 축받이가 되는 축받이(56A)가 관통형성되어 있는데, 이 축받이(56A) 내면에는 부싱는 장착되어 있지 않고, 축받이(56A)의 내면이 직접 회전축(16)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해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6)은 회전 압축 기구부(18)의 전동 요소(14)측(상측)에서는 부싱(122)를 통하여 상부 지지 부재(54)의 축받이(54A)에 지지되며, 전동 요소(14)와 반대측(하측)에서는 하부 지지 부재(56)의 축받이(54A)에 직접 지지된다. 도면중 참조부호 T는 상술한 오일 받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로터리 압축기(10)의 운전중, 편심부(44) 하측의 회전축(16)은 하 부 지지 부재(56)의 축받이(56A)내에서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1단째의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실린더(40)내의 압력은 밀폐 용기(12)내의 중간압 이하이므로, 오일 받이(T)로부터는 원활하게 축받이(56A)와 회전축(16) 사이에 오일이 진입할 수 있으며, 미끄럼성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한편, 2단째의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실린더(38) 내부는 밀폐 용기(12)내부보다도 높은 고압이 되기 때문에, 편심부(42) 상측의 회전축(16)이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하는 상부 지지 부재(54)의 축받이(54A)내에는 압력차에 의해 오일이 진입하기 어려워지는데, 축받이(54A)에서는, 그 내부에 형성된 카본제의 부싱(122)내에서 회전축(16)이 슬라이딩하면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미끄럼성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축받이(56A)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싱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비교적 고가의 부싱을 삭제하고, 부품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도26의 실시예에서는 축받이(56A)내에 부싱(122)를 형성하고, 축받이(56A)내에는 부싱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비용을 삭감하였으나, 각 압축 요소의 흡입·토출의 압력에 따라서는, 도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대로 축받이(56A)내에 카본제의 부싱(123)를 형성하여 축받이(56A)와 회전축(16) 사이에 개재시키고, 축받이(56A)내에는 형성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짧은 축받이이며 수압 면적이 작고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는 축받이(56A)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성능을 유지하고, 내구성능을 유지하면서 수압 면적이 크고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하중이 비교적 작아지는 축 받이(54A)의 부싱을 삭제하여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하부 커버(68)의 내부직경은 하부 지지 부재(56)의 내부직경보다도 작게 하고, 부싱(123)의 하부가장자리를 하부 커버(68)에 의해 지지하여, 부싱(123)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35, 도36은 상기 상부 지지 부재(5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35는 이 경우의 상부 지지 부재(54)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중 186은 상기 메인 볼트(78)를 삽입통과하는 구멍이며, 축받이(54A)의 외측에 4부위 등에 9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187은 상기 보조 볼트(136)를 삽입통과하는 구멍이며, 구멍(186…)의 외측에 2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 소음실(62)은 실시예에서는 4개의 분할실(62A, 62B, 62C, 62D)과, 이들 분할실(62A∼62D)을 서로 직렬로 연통하기 위한 폭이 좁은 통로(62E‥)(3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즉 분할실(62A)과 (62B), (62B)와 (62C), (62C)와 (62D)는 통로(62E)에 의해 각각 연통되어 있으나, 분할실(62A)과 (62D)사이에는 통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각 분할실(62A∼62D)과 통로(62E‥)는 축받이(54A) 외측에 그것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분할실(62A∼62D)은 각각 인접하는 구멍(186, 186) 사이에 배치되며, 통로(62E‥)는 구멍(186‥)의 축받이(54A)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통로(39)는 일단에 위치하는 분할실(62A)내에 개구되어 있으며, 토출 밸브(127)는 분할실(62B)로부터 통로(62E)를 거쳐서 분할실(62A)에 이르는 형태로 수납되어 있다. 또한, 타단에 위치하는 분할실(62D)내에는 상부 지지 부 재(54)내에 형성된 냉매 통로(188)(냉매 유출부)가 개구되어 있다. 이 냉매 통로(188)는 상기 냉매 토출관(96)에 연통해 있다.
이와 같이 토출 소음실(62)의 각 분할실(62A∼62D) 및 통로(62E‥)를 배치함으로써, 각 분할실(62A∼62D)을 메인 볼트(78, 78) 사이에 위치하고, 통로(62E)는 메인 볼트(78)의 축받이(54A)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메인 볼트(78…)이외의 스페이스를 효율성좋게 이용하여 토출 소음실(62)의 각 분할실(62A∼62D)과 폭이 좁은 통로(62E…)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 실린더(38)의 고압실측으로부터는 냉매가 토출 통로(39)를 지나서 상부 지지 부재(54)에 형성된 토출 소음실(62)의 분할실(62A)내에 토출되게 된다. 이 분할실(62A)내에 유입된 고압의 냉매 가스는 분할실(62A)을 나와서 폭이 좁은 통로(62E)를 지나고, 이어서 분할실(62B)에 들어간다. 그리고, 이어서 이 분할실(62B)로부터 나와서 통로(62E)를 지나고, 이어서 분할실(62C)에 들어간다. 또한, 이어서 이 분할실(62C)로부터 나와서 통로(62E)를 지나고, 마지막으로 분할실(62D)에 들어간다. 그리고, 분할실(62D)로부터 나와서 냉매 통로(188)에 들어가고, 그곳을 통과하여 냉매 토출관(96)을 경유하여, 가스 냉각기(154)내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이 경우의 실시예의 구조에서는, 상부 실린더(38) 내부에서 압축되고, 토출 통로(39)로부터 토출 소음실(62)내에 유입된 고압의 냉매 가스는 복수의 분할실(62A∼62D)과 이들을 연통하는 폭이 좁은 통로(62E‥)를 차례차례 통과하여 냉매 통로(188)로부터 나가게 되므로, 냉매 가스의 맥동은 각 분할실(62A∼62D) 과 폭이 좁은 통로(62E‥)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흡수되게 되며, 로터리 압축기(10)의 소음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이 베인을 상시 롤러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와,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측과 밀폐 용기측으로 개구된 스프링 부재의 수납부와, 스프링 부재의 밀폐 용기측에 위치하여 수납부내에 간극 끼움에 의해 삽입된 플러그와, 이 플러그의 둘레면에 설치되며, 당해 플러그와 수납부 사이를 밀봉하는 O링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플러그를 수납부내에 압입 고정하는 경우와 같이, 실린더가 변형되어 밀봉성이 저하되고, 성능 악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간극 끼움이더라도, 실린더와 밀폐 용기간의 간격을 O링으로부터 플러그의 밀폐 용기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플러그가 수납부로부터 압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밀폐 용기에 접촉하여 이동이 저지되는 시점에서 여전히 O링은 수납부내에 위치하여 밀봉하므로, 플러그의 성능에는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특히, 밀폐 용기 내부가 중간압이 되는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 서, CO2 가스를 냉매로 사용하고, 밀폐 용기 내부가 중간압이고 제2 회전 압축 요소 내부가 아주 고압이 되는 경우에, 압축기의 성능의 유지와 스프링 부재의 이탈 방지에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상기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상기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이 베인을 상시 롤러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부재와,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측과 상기 밀폐 용기측으로 개구된 스프링 부재의 수납부와, 스프링 부재의 상기 밀폐 용기측에 위치하여 수납부내에 간극 끼움에 의해 삽입된 플러그를 구비하며, 이 플러그에 대응하는 부분의 지지 부재에, 실린더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한 탈출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수납부내에 플러그를 압입함으로써, 실린더가 지지 부재측으로 불룩해지도록 변형하여도, 탈출부에 의해 이 실린더의 변형을 흡수하고, 실린더와 지지 부재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의 변형에 따른 밀봉성의 저하에 의해 성능 악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밀폐 용기 내부가 중간압이 되는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 서, CO2 가스를 냉매로 사용하고, 밀폐 용기 내부가 중간압이고 제2 회전 압축 요소 내부가 아주 고압이 되는 경우에, 압축기의 성능의 유지와 스프링 부재의 이탈 방지에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각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각 실린더 사이에 개재하여 각 회전 압축 요소를 칸막이하는 중간 구획판과, 각 실린더의 개구면을 각각 폐색하며,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회전축에 형성된 오일 구멍을 구비하며, 오일 구멍과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흡입측을 연통하기 위한 급유로를, 상기 중간 구획판내에 형성하였으므로, 중간압이 되는 밀폐 용기 내부보다도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내의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이더라도, 제2 회전 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흡입 과정에서의 흡입 압력손실을 이용하여, 중간 구획판내에 형성한 급유로로부터 실린더내에 확실하게 오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하여,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더하여 중간 구획판내에 외주면과 회전축측의 내주면을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뚫어서 급유로를 구성함과 아울러, 관통 구멍의 외주면측의 개구를 밀봉하고, 이 관통 구멍과 흡입측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을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에 뚫도록 하였으므로, 급유로를 구성하기 위한 중간 구획판의 가공이 용이해지며, 생산 비용도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CO2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기립된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축받이 외측의 지지 부재에 형성되며, 실린더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과, 지지 부재에 주변부가 볼트 고정되며, 토출 소음실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를 구비하며, 커버와 지지 부재 사이에 개스킷을 끼워넣음과 아울러, 커버의 내주 단면과 축받이 외면 사이에는 O링을 설치하였으므로, 축받이 베이스부에 밀봉면을 형성하지 않고, 커버의 내주 단면에서 충분히 밀봉을 행하여, 커버와 지지 부재 사이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토출 소음실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C링에 의해 커버를 축받이에 고정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가공 비용과 부품 비용을 현저히 삭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CO2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기립된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축받이 외측의 지지 부재에 형성되며, 실린더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과,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토출 소음실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커버를 구비하며, 이 커버의 두께치수를 2㎜이상 10㎜이하로 하고 또한 커버의 두께를 6㎜로 하였으므로, 커버 자체의 강도를 확보하고, 변형에 의한 가스 누설을 방지하면서, 전동 요소와의 사이의 절연 거리도 확보하고, 압축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더하여 커버는 주변부를 지지 부재에 볼트 고정함과 아울러, 이 커버와 지지 부재 사이에 개스킷을 끼워넣고, 커버의 내주 단면과 축받이 외면 사이에는 O링을 설치하였으므로, 축받이 베이스부에 밀봉면을 형성하지 않고, 커버의 내주 단면에서 충분히 밀봉을 행하여, 커버와 지지 부재 사이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토출 소음실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종래와 같이 C링에 의해 커버를 축받이에 고정할 필요도 없게 되므로, 가공 비용과 부품 비용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CO2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상기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각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와, 각 실린더의 개구면을 각각 폐색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축받이 외측의 각 지지 부재에 형성되며, 실린더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과, 각 지지 부재에 설치되며, 토출 소음실의 개구부를 각각 폐색하는 커버를 구비하며, 각 실린더, 각 지지 부재 및 각 커버를 복수의 메인 볼트에 의해 체결함과 아울러, 메인 볼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보조 볼트에 의해, 각 실린더 및 각 지지 부재를 체결하였으므로, 고압이 되는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와 지지 부재 사이 등으로부터의 가스 누설을 방지하고,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더하여,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는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이 롤러에 접촉하여 실린더 내부를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베인과, 실린더에 형성되며, 베인이 수납되는 안내 홈을 구비하며, 보조 볼트는 안내홈 근방에 위치하였으므로, 베인에 가해지는 배압의 가스 누설도 보조 볼트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회 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180도의 위상차를 갖고 형성된 제1 및 제2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각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러를 구비하며, 양 편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단면 형상을, 양 편심부의 편심 방향의 두께에 대하여 당해 편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두께가 큰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회전축의 강성 강도가 향상되고, 이 탄성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당해 연결부의 제1 편심부의 편심 방향의 측면을, 제2 편심부와 동일 중심의 원호 형상으로 하고, 제2 편심부의 편심 방향의 측면은 제1 편심부와 동일 중심의 원호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양 편심부 및 연결부를 갖는 회전축을 절삭 가공할 때, 척 위치를 변경하는 횟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공 공정을 삭감하고, 생산성 향상에 따른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CO2 냉매를 압축 요소에 의해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외부에 토출하는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에 형성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각각 접속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 배관 접속용의 커플러를 걸어맞추기 위한 턱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이 턱부를 이용하여,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배관에 형성된 커플러를 간단히 밀폐 용기의 슬리이브에 걸어맞춤 접 속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 고압이 되는 밀폐식 압축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기밀 시험을 단시간에 종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CO2 냉매를 압축 요소에 의해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외부에 토출하는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에 형성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각각 접속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이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 배관 접속용의 나사홈을 형성하였으므로, 이 나사홈을 이용하여,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배관을 간단히 밀폐 용기의 슬리이브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 고압이 되는 밀폐식 압축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기밀 시험을 단시간에 종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CO2 냉매를 압축 요소에 의해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외부에 토출하는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에 형성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각각 접속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서로 인접하는 한쪽의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 배관 접속용의 커플러를 걸어맞추기 위한 턱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슬리이브의 외면 주위에는, 배관 접속용의 나사홈을 형성하였으므로, 턱부를 이용하여,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배관에 형성된 커플러를 간단히 밀폐 용기의 한쪽의 슬리이브에 걸어맞춤 접속하고, 나사홈을 이용하여,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배관을 간단히 밀폐 용기의 다른쪽의 슬리이브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 고압이 되는 밀폐식 압축기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기밀 시험을 단시간에 종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서로 인접하는 한쪽의 슬리이브에 턱부를, 다른쪽의 슬리이브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치수가 큰 커플러가 서로 인접하여 접속되지 않게 되며, 슬리이브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당해 좁은 공간을 이용하여 압착 공기 생성 장치로부터의 복수의 배관을 접속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압축기에 있어서, 용기의 측면에 설치된 용기측 브라켓과, 어큐뮬레이터와, 당해 어큐뮬레이터가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구비하며, 이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용기측 브라켓에 고정함으로써, 양 브라켓을 통하여 어큐뮬레이터를 용기에 설치하였으므로, 어큐뮬레이터의 용량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밀폐 용기측 브라켓을 변경하지 않고,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배관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제조 설비에 미치는 영향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의 용량 변경이 생긴 경우에도,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그 중앙 또는 중심 위치, 또는 이들의 근방에 어큐뮬레이터측 브라켓을 설치하고, 어큐뮬레이터의 중앙 또는 중심 위치, 또는 이들의 근방에서 당해 어큐뮬레이터를 지지 가능하게 되며, 진동에 의한 소음의 확대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압축 요소와, 제1 압축 요소에 냉매를 도입하는 냉매관과, 제1 압축 요소에서 압축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압축 요소에 도입하는 냉매관과, 제2 압축 요소에서 압축한 고압 가스를 토출하는 냉매관을 구비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압축 요소의 냉매관은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되며, 당해 밀폐 용기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처리하도록 하였으므로, 각 냉매관을 한정된 스페이스내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압축 요소의 냉매관은 제2 압축 요소의 냉매관의 하측의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되어 있으며, 각 냉매관의 밀폐 용기에의 접속 위치의 상측에는 어큐뮬레이터가 배치되며, 당해 어큐뮬레이터는 제1 압축 요소에 냉매를 도입하는 냉매관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양 냉매관 상호간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어큐뮬레이터의 위치를 최대한 낮추어 제2 압축 요소의 냉매관에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스페이스 효율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냉매 가스를 제1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여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 밖에 위치하는 제2 냉매 도입관을 통하여 흡입하고, 제2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냉매 도입관을 서로 인 접하는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하고, 당해 밀폐 용기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처리하도록 하였으므로, 각 냉매 도입관을 한정된 스페이스내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냉매 도입관이 제2 냉매 도입관의 하측의 위치에서 밀폐 용기에 접속되며, 각 냉매 도입관의 밀폐 용기에의 접속 위치의 상측에 어큐뮬레이터가 배치되어, 당해 어큐뮬레이터가 제1 냉매 도입관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양 냉매 도입관 상호간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어큐뮬레이터의 위치를 최대한 낮추어 제2 냉매 도입관에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스페이스 효율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압축 요소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는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의 엔드 캡에 설치된 터미널을 구비하며, 터미널 주위의 엔드 캡에, 소정 곡률의 단차를 스폿 페이싱에 의해 형성하였으므로, 터미널 근방의 엔드 캡의 강성이 강화되며, 특히, CO2 가스를 냉매로 하여 압축하는 경우와 같이, 밀폐 용기 내부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에 있어서, 밀폐 용기 내부 압력에 의한 엔드 캡의 변형량을 저감하고, 내압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더하여 엔드 캡은 대략 주발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단차는 당해 엔드 캡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축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터미널은 당해 엔드 캡의 중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밀폐 용기 내부 압력에 의한 터미널 용접 부분의 엔드 캡의 변형을 균일화하고, 불균일 변형에 따른 용접 부분의 균열이나 박리의 발생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되며, 내압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식 전동 압축기의 밀폐 용기에 설치된 터미널을 구비하며, 이 터미널은 전기적 단자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원형의 글래스부와, 글래스부의 주위에 형성되며, 밀폐 용기의 설치구멍 주연부에 용접 고정되는 턱형상의 금속제 설치부를 가지며, 설치부의 두께치수를 2.4±0.5㎜의 범위로 하였으므로, 밀폐 용기내의 압력이 높아지는 CO2 냉매를 사용한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터미널의 내압 성능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용접 고정에 필요한 열량의 증대고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터미널의 설치부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또는 글래스부에 손상이 생김에 따라서 발생하는 가스 누설이나 터미널 파괴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의 실린더와, 실린더의 전동 요소와는 반대측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제1 지지 부재와, 실린더의 전동 요소측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전동 요소의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 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중의 어느 한쪽의 축받이내에, 당해 축받이와 상기 회전축 사이에 개재하는 카본제 부싱을 형성하였으므로, 양쪽의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 각각 부싱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1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 부싱을 형성하고, 실린더의 전동 요소측에서 회전축과의 접촉 면적이 커지는 제2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는 형성하지 않도록 하면, 수압 면적이 작고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는 제1 지지 부재의 축받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성능을 유지하고, 내구 성능을 유지하면서 수압 면적이 크고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하중이 비교적 작게 되는 제2 지지 부재의 축받이의 부싱을 삭제하여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실린더와, 제1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전동 요소의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제1 지지 부재와, 제2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중의 어느 한쪽의 축받이내에, 당해 축받이와 회전축 사이에 개재하는 카본제 부싱을 형성하였으므로, 양쪽의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 각각 부싱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부품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2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 부싱을 형성하고, 밀폐 용기내의 압력 이하가 되는 제1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하는 제1 지지 부재의 축받이내에는 형성하지 않도록 하면, 밀폐 용기 내부보다도 압력이 높아지는 제2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하고, 압력차에 의한 급유가 곤란해지는 제2 지지 부재의 축받이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성능을 유지하고, 내구 성능을 유지하면서, 압력차에 의한 급유에 문제가 없는 제1 지지 부재의 축받이의 부싱을 삭제하여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CO2 가스를 냉매로서 사용하고, 밀폐 용기 내부가 아주 고압이 되는 경우에, 압축기의 내구 성능의 유지에 현저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냉매 도입관으로부터 흡입한 냉매를 압축 요소에 의해 압축하여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토출하는 밀폐식 압축기에 있어서, 밀폐 용기의 만곡면에 형성된 통공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냉매 도입관과 냉매 토출관이 접속되는 슬리이브를 구비하며, 통공 주위의 밀폐 용기 외면에 평탄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슬리이브에는 통공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그 주위에 위치하여 밀폐 용기의 평탄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형성하고, 슬리이브의 접촉부와 밀폐 용기의 평탄면을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고정설치하였으므로, 밀폐 용기의 평탄면과 슬리이브의 접촉부의 접촉에 의해, 밀폐 용기의 내부직경에 대한 슬리이브의 직각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지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슬리이브의 직각도를 내어서 생 산성을 향상하고 정밀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더하여 평탄면을 통공 주위에 오목하게 형성하였으므로, 밀폐 용기의 오목부에 매몰되는 슬리이브의 외면과 오목부에 의해 슬리이브의 직각도를 더욱 한층 정밀도좋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회전 압축 요소를 구성하기 위한 실린더 및 전동 요소의 회전축에 형성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서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하는 롤러와, 실린더의 개구면을 폐색함과 아울러,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형성된 흡입 통로와, 실린더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지지 부재의 흡입 통로에 대하여 당해 흡입 통로를 실린더내에 연통시키는 흡입 포트를 구비하며, 이 흡입 포트의 흡입 통로측의 가장자리부를 반원호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흡입 포트와 흡입 통로의 연통 부분에 있어서의 통로 저항이 경감되며, 기류의 흐트러짐을 적게 하여 효율적인 운전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단 평면의 엔드 밀을 실린더에 대해 수직 상태로 한 채 경사진 흡입 포트를 실린더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른 나사구멍이나 펀칭구멍 등의 드릴 가공과 동일한 공정으로 흡입 포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공정수의 삭감에 따른 생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가공에 의해 선단 평면의 엔드 밀에 의해서도 흡입 포트의 흡입 통로측의 가장자리부가 반원호 형상으로 되므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흡입 포트와 흡입 통로의 연통 부 분에 있어서의 통로 저항을 경감할 수 있으며, 기류의 흐트러짐을 적게 하여 효율적인 운전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단 산형의 엔드 밀의 일부를 실린더에 대해 수직으로 접촉함으로써 경사진 토출 포트를 실린더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른 나사구멍이나 펀칭 구멍 등의 드릴 가공과 동일한 공정으로 토출 포트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공정수의 삭감에 따른 생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제2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압축기와, 이 압축기의 제2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가스 냉각기와, 이 가스 냉각기의 출구측에 접속된 감압 장치와, 이 감압 장치의 출구측에 접촉된 증발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를 제1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냉매 회로에 있어서, 제1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감압하지 않고 증발기에 공급하기 위한 제상 회로와, 이 제상 회로의 냉매 유통을 제어하는 유통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증발기의 제상을 행하는 경우에는, 유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상 회로에 제1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흘리고, 감압하지 않고 증발기에 공급하여 가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제2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만을 감압하지 않고 증발기에 공급하여 제상하는 경우와 같이 제2 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토출과 흡입의 압력 역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고저압의 차가 커지는 CO2 가스를 냉매로 사용하는 냉매 회로에 있어서 특히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가스 냉각기에 의해 온수를 생성하는 것인 경우에는, 냉매에 의해 가스 냉각기의 온수의 열을 증발기에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증발기의 제상을 더욱 한층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37 내지 도39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10)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도1 내지 도18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 10은 이산화탄소(CO2)를 냉매로 사용하는 내부 중간압형 다단(이단) 압축식의 세로형 로터리 압축기, 이 로터리 압축기(10)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밀폐 용기(12)와, 이 밀폐 용기(12)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수납된 전동 요소(14) 및 이 전동 요소(14)의 하측(일측)에 배치되며, 전동 요소(14)의 회전축(16)에 의해 구동되는 제1 회전 압축 요소(32)(1단째)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34)(2단째)로 이루어지는 회전 압축 기구부(18)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배제 용적은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배제 용적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밀폐 용기(12)는 저부를 오일 받이로 하고, 전동 요소(14)와 회전 압축 기구부(18)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12A)와, 이 용기 본체(12A)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대략 주발형상의 엔드 캡(덮개)(12B)로 구성되며, 또한 이 엔드 캡(12B)의 상면 중심에는 원형의 설치구멍(12D)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설치구멍(12D)에는 전동 요 소(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배선을 생략)(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터미널(20) 주위의 엔드 캡(12B)에는, 스폿 페이싱 성형에 의해 소정 곡률의 단차부(12C)가,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터미널(20)은 전기적 단자(139)가 관통하여 설치된 원형의 글래스부(20A)와, 이 글래스부(20A) 주위에 형성되며, 경사 외측 하측에 턱형상으로 뻗어나온 금속제의 설치부(20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터미널(20)은 그 글래스부(20A)를 하측으로부터 설치구멍(12D)에 삽입하여 상측에 면하게 하고, 설치부(20B)를 설치 구멍(12D)의 둘레가장자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엔드 캡(12B)의 설치구멍(12D) 둘레가장자리에 설치부(20B)를 용접함으로써, 엔드 캡(12B)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요소(14)는 밀폐 용기(12)의 상부 공간의 내주면을 따라서 환형상으로 설치된 스테이터(22)와, 이 스테이터(22)의 내측에 갭(G2)(약간의 간극)을 형성하여 삽입배치된 로터(24)로 이루어진다. 이 로터(24)는 중심을 지나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6)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22)는 도넛 형상의 전자 강판을 적층한 적층체(26)와, 이 적층체(26)의 6부위의 톱니부(62A)에 직권(집중 감기) 방식(미리 다발 형상으로 감겨진 코일을 형성하는 분포 감기가 아니라, 톱니(26A)에 코일을 권회해가는 방식)에 의해 권취된 스테이터 코일(28)을 갖고 있다(도 39). 또한, 로터(24)도 스테이터(22)와 마찬가지로 전자 강판의 적층체(30)로 형성되며, 이 적층체(30)내에 영구 자석(MG)을 삽입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 압축 요소(32)와 제2 회전 압축 요소(34) 사이에는 중간 구획 판(36)이 끼워져 있다. 즉 제1 회전 압축 요소(32)와 제2 회전 압축 요소(34)는 중간 구획판(36)과, 이 중간 구획판(36)의 상하에 배치된 실린더(38), 실린더(40)와, 이 상하 실린더(38, 40) 내부를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회전축(16)에 형성한 상부 편심부(42, 44)에 끼워맞춰져서 편심 회전하는 상하 롤러(46, 48)와, 이 상하 롤러(46, 48)에 접촉하여 상하 실린더(38, 40) 내부를 각각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으로 구획하는 도시하지 않은 상하 베인과, 상부 실린더(38)의 상측의 개구면 및 하부 실린더(40)의 하측의 개구면을 폐색하여 회전축(16)의 축받이를 겸용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상부 지지 부재(54) 및 하부 지지 부재(56)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 지지 부재(54) 및 하부 지지 부재(56)에는, 흡입 포트(161, 162)에 의해 상하 실린더(38. 40)의 내부와 각각 연통하는 흡입 통로(58, 60)와, 오목한 토출 소음실(62, 64)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 양 토출 소음실(62, 64)의 개구부는 각각 커버에 의해 폐색된다. 즉 토출 소음실(62)은 커버로서의 상부 커버(66), 흡출 소음실(64)은 커버로서의 하부 커버(68)에 의해 폐색된다.
이 경우, 상부 지지 부재(54)의 중앙에는 축받이(54A)가 기립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받이(54A) 내면에는 통형상의 카본제 부싱(12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부 지지 부재(56)의 중앙에는 축받이(56A)가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받이(56A) 내면에도 통형상의 카본제 부싱(123)이 장착되어 있다. 회전축(16)은 이들 부싱(122, 123)을 통하여 상부 지지 부재(54)의 축받이(54A)와 하부 지지 부재(56)의 축받이(56A)에 지지된다.
이 경우, 하부 커버(68)는 도넛형상의 원형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 부의 4부위를 메인 볼트(129…)에 의해 아래로부터 하부 지지 부재(56)에 고정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하부 실린더(40)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64)의 하부 개구부를 폐색한다. 이 메인 볼트(129…)의 선단은 상부 지지 부재(54)에 나사결합된다. 하부 커버(68)의 내주연은 하부 지지 부재(56)의 축받이(56A) 내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부싱(123)의 하단면은 하부 커버(68)에 의해 지지되며,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토출 소음실(64)과 밀폐 용기(12)내에 있어서의 상부 커버(66)의 전동 요소(14)측은 상하 실린더(38, 40)나 중간 구획판(36)을 관통하는 구멍인 연통로(63)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도 38). 이 경우, 연통로(63)의 상단에는 중간 토출관(121)(제1 회전 압축 요소(32)로부터의 냉매 토출 부위)이 기립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간 토출관(121)은 실시예에서는 상측의 전동 요소(14)의 스테이터(22)에 권취된 서로 인접하는 스테이터 코일(28, 28) 사이의 간극(G1)(전동 요소(14)에 있어서 통로 저항이 작은 부위)의 하측에 대응하며, 그것에 지향되어 있다(도 39).
이 경우, 스테이터 코일(28)은 직권 방식에 의해 스테이터(22)의 톱니부(26A)에 권취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분포 감기 방식에 비하여 스테이터 코일(28, 28) 사이의 간극(G1)은 비교적 크다(도 39). 중간 토출관(121)을 대응시키는 전동 요소(14)의 통로 저항이 작은 부위로서는, 코일(28, 28)의 간극 외에, 상술한 스테이터(22)와 로터(24) 사이의 갭(G2)이어도 된다.
또한, 상부 커버(66)는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상부 실린더(38)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62)의 상면 개구부를 폐색하고, 밀폐 용기(12) 내부를 토출 소음실(62)과 전동 요소(14)측으로 칸막이한다. 이 상부 커버(66)는 주변부가 4개의 메인 볼트(78…)에 의해, 위로부터 상부 지지 부재(54)에 고정되어 있다. 이 메인 볼트(78…)의 선단은 하부 지지 부재(56)에 나사결합된다.
한편, 회전축(16)내에는 축중심에 연직 방향인 오일 구멍(80)과, 이 오일 구멍(80)에 연통하는 가로방향의 급유 구멍(82, 84)(회전축(16)의 상하 편심부(42, 44))에도 형성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회전축(16)과 일체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고 형성되는 상하 편심부(42, 44)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부(90)는 그 단면 형상을 회전축(16)의 원형 단면보다 단면적을 크게 하여 강성을 지니게 하기 위하여 비원형 형상의 예를 들면 럭비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회전축(16)에 형성한 상하 편심부(42, 44)를 연결하는 연결부(90)의 단면 형상은 상하 편심부(42, 44)의 편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그 두께를 크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6)에 일체로 형성된 상하 편심부(42, 44)를 연결하는 연결부(90)의 단면적이 크게 되고, 단면 2차 모멘트를 증가시켜서 강도(강성)을 증가시키고,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히 사용 압력이 높은 냉매를 2단 압축하는 경우, 고저압의 압력차가 크기 때문에 회전축(16)에 가해지는 하중도 커지는데, 연결부(99)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그 강도(강성)를 증가시키고, 회전축(16)이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냉매로서는 지구 환경에 친근하며, 가연성 및 독성 등을 고려하여 자연 냉매인 탄산 가스의 일례로서의 상기 이산화탄소(CO2)를 사용하고, 윤 활유로서의 오일은 예를 들면 광물유(미네랄 오일), 알킬벤젠유, 에테르유, 에스테르유 등 기존의 오일이 사용된다.
밀폐 용기(12)의 용기 본체(12A)의 측면에는 상부 지지 부재(54)와 하부 지지 부재(56)의 흡입 통로(58, 60), 토출 소음실(62) 및 전동 요소(14)의 상측(타측)에 대략 대응하는 위치에, 슬리이브(141, 142, 143 및 144)가 각각 용접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이브(141)내에는 상부 실린더(38)에 냉매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관(92)의 일단이 삽입접속되며, 이 냉매 도입관(92)의 일단은 상부 실린더(38)의 흡입 통로(58)에 연통된다. 이 냉매 도입관(92)은 밀폐 용기(12) 밖을 거쳐서 슬리이브(144)에 이르며, 타단은 슬리이브(144)에 삽입접속되어 전동 요소(14) 상측의 밀폐 용기(12)내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슬리이브(142)내에는 하부 실린더(40)에 냉매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관(94)의 일단이 삽입접속되며, 이 냉매 도입관(94)의 일단은 하부 실린더(40)의 흡입 통로(60)에 연통된다. 또한, 슬리이브(143)내에는 냉매 토출관(96)이 삽입접속되며, 이 냉매 토출관996)의 일단은 토출 소음실(62)에 연통된다.
이상의 구성에 이어서 동작을 설명하겠다. 가열 운전에서는 전자 밸브(159)는 닫혀져 있는 것으로 한다. 터미널(20) 및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통하여 전동 요소(14)의 스테이터 코일(28)에 통전되면, 전동 요소(14)가 기동하여 로터(24)가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회전축(16)과 일체로 형성한 상하 편심부(42, 44)에 끼워맞춰진 상하 롤러(46, 48)가 상하 실린더(38, 40) 내부를 편심 회전한다.
이에 따라, 냉매 도입관(94) 및 하부 지지 부재(56)에 형성된 흡입 통로(60) 를 경유하여 흡입 포트(162)로부터 하부 실린더(40)의 저압실측에 흡입된 저압(1단째 흡입 압력:4㎫G)의 냉매 가스는 롤러(48)와 베인의 동작에 의해 압축되어 중간압(MP1:8㎫G)이 되고, 하부 실린더(40)의 고압실측으로부터 하부 지지 부재(56)에 형성된 토출 소음실(64)로부터 연통로(63)를 거쳐서 중간 토출관(121)으로부터 밀폐 용기(12) 내에 토출된다.
이 때, 중간 토출관(121)은 상측의 전동 요소(14)의 스테이터(22)에 권취된 서로 이웃하는 스테이터 코일(28, 28) 사이의 간극(G1) 하측에 대응하여 지향하고 있으므로, 냉매 가스는 통로 저항이 작은 간극(G1)을 통과하여 원활하게 전동 요소(14)내를 통과하고, 전동 요소(14) 상측에 이른다. 이에 따라, 아직 비교적 온도가 낮은 냉매 가스를 전동 요소(14)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공급하고, 전동 요소(14)주위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하여 전동 요소(14)를 냉각할 수 있게 되며, 전동 요소(14)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밀폐 용기(12) 내부는 중간압(MP1)이 된다.
그리고, 밀폐 용기(12) 내의 중간압의 냉매 가스는 전동 요소(14) 상측의 슬리이브(144)로부터 나와서(중간 토출 압력은 상기 MP1) 냉매 도입관(92)에 이르고, 밀폐 용기(12) 밖의 냉매 도입관(92)을 거쳐서 상부 지지 부재(54)에 형성된 흡입 통로(58)에 들어온다. 그리고, 당해 흡입 통로(58)를 경유하여 흡입 포트(161)로부터 상부 실린더(38)의 저압실측에 흡입된다(2단째 흡입 압력 MP2). 이와 같이 전동 요소(14) 상측에서 밀폐 용기(12)내에 개구되는 냉매 도입관(92)을 거쳐서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상부 실린더(38)에 냉매 가스를 흡입시키도록 하고 있으므 로, 중간 토출관(121)으로부터 토출된 냉매 가스 중의 오일을 밀폐 용기(12)내에 있어서 양호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 압축 요소(34)에 흡입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에 토출되는 오일량을 삭감하고, 로터리 압축기(10)의 베이킹 등의 문제점의 발생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 실린더(38)의 저압실측에 흡입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는 롤러(46)와 베인의 동작에 의해 2단째의 압축이 행해져서 고온 동작의 냉매 가스가 되며(2단째 토출 압력 HP: 12㎫G), 고압실측으로부터 상부 지지 부재(54)에 형성된 토출 소음실(62), 냉매 토출관(96)을 경유하여 가스 냉각기(154)내에 유입된다. 이 때의 냉매 온도는 대략 +100℃까지 상승해 있으며, 이러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방열하여, 저탕 탱크내의 물을 가열하고, 약 +90℃의 온수를 생성한다.
이 가스 냉각기(154)에 있어서 냉매 자체는 냉각되며, 가스 냉각기(154)를 나온다. 그리고, 팽창 밸브(156)에서 감압된 후, 증발기(157)에 유입되어 증발되고 냉매 도입관(94)으로부터 제1 회전 압축 요소(32) 내부에 흡입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동 요소(14) 상측의 슬리이브(144)에 의해 냉매 도입관(92)을 밀폐 용기(12)내에 개구시켰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밀폐 용기(12) 내에서 직접 제2 회전 압축 요소(34)에 흡입시키더라도, 전동 요소(14)의 하측에서 개구되는 냉매 도입관에 의해 흡입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동 요소(14)의 냉각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회전 압축 요소로부터의 냉매 토출 부위를, 전동 요소에 있어 서 통로 저항이 작은 부위에 대응시켰으므로, 제1 회전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비교적 온도가 낮은 냉매 가스를, 전동 요소의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갭이나 스테이터 코일간의 간극 등의 전동 요소의 통로 저항이 작은 부위를 통하여 전동 요소 부위에 유통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동 요소 주위의 밀폐 용기내에 있어서 냉매 가스를 활발하게 움직이게 되며, 냉매에 의한 전동 요소의 냉각 효과가 개선되는 것이다.
또한, 제1 회전 압축 요소로부터의 냉매는 냉매 토출 부위를 전동 요소의 일측에 있어서의 밀폐 용기내에 형성함과 아울러, 제2 회전 압축 요소에 냉매 가스를 흡입시키기 위한 냉매 도입관을, 전동 요소의 타측에 있어서의 밀폐 용기내에 연통시켰으므로, 제1 회전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 가스중의 오일은 전동 요소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양호하게 분리된 후, 냉매 도입관에 의해 제2 회전 압축 요소에 흡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 압축 요소로부터 로터리 압축기 밖에 토출되는 오일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회전 압축 요소로부터의 냉매 토출 부위를, 전동 요소의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갭이나 스테이터 코일간의 간극 등의 전동 요소의 통로 저항이 작은 부위에 대응시키면, 제1 회전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 가스를 원활하게 냉매 도입관에 보낼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전동 요소 주위에 냉매 가스가 원활하게 유통하고, 전동 요소 주위의 밀폐 용기내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를 활발하게 움직이도록 하여, 냉매에 의한 전동 요소의 냉각 효과를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테이터 코일을, 스테이터의 톱니부에 대하여 직권 방식에 의해 권취하고 있으므로, 분포 감기 방식에 비해 스테이터 코일간의 간극이 비교적 커지고, 냉매 가스의 유통은 한층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40∼도 44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로터리 압축기(10)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도1 내지 도18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 10은 이산화탄소(CO2)를 냉매로 사용하는 내부 중간압형 다단(2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로, 이 로터리 압축기(10)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밀폐 용기(12)와, 이 밀폐 용기(12)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수납된 전동 요소(14) 및 이 전동 요소(14)의 하측에 배치되며, 전동 요소(14)의 회전축(16)에 의해 구동되는 제1 회전 압축 요소(32)(1단째)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34)(2단째)로 이루어지는 회전 압축 기구부(18)로 구성되어 있다.
밀폐 용기(12)는 저부를 오일 받이로 하고, 전동 요소(14)와 회전 압축 기구부(18)를 수납하는 용기 본체(12A)와, 이 용기 본체(12A)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대략 주발형상의 엔드 캡(덮개)(12B)으로 구성되며, 또한 이 엔드 캡(12B)의 상면에는 전동 요소(1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배선을 생략)(20)이 설치되어 있다.
전동 요소(14)는 밀폐 용기(12)의 상부 공간의 내주면을 따라서 환형상으로 설치된 스테이터(22)와, 이 스테이터(22)의 내측에 약간의 간극을 형성하여 삽입배 치된 로터(24)로 이루어진다. 이 로터(24)는 중심을 통과하여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6)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22)는 도넛 형상의 전자 강판을 적층한 적층체(26)와, 이 적층체(26)의 톱니부에 직권(집중 감기) 방식에 의해 권취된 스테이터 코일(28)을 갖고 있다. 또한, 로터(24)도 스테이터(22)와 마찬가지로 전자 강판의 적층체(30)로 형성되며, 이 적층체(30)내에 영구 자석(MG)을 삽입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 압축 요소(32)와 제2 회전 압축 요소(34) 사이에는 중간 구획판(36)이 끼워져 있다. 즉 제1 회전 압축 요소(32)와 제2 회전 압축 요소(34)는 중간 구획판(36)과, 이 중간 구획판(36)의 상하에 배치된 실린더(38)(제2 실린더), 실린더(40)(제1 실린더)와, 이 상하 실린더(38, 40) 내부를 180도의 위상차를 갖고 회전축(16)에 형성한 상하 편심부(46, 48)에 끼워맞춰져서 편심 회전하는 상하 롤러(46, 48)와, 이 상하 롤러(46, 48)에 접촉하여 상하 실린더(38, 40) 내부를 각각 저압실(LR)(도 44f)측과 고압실(HR)(도 44f)측으로 구획하는 후술하는 상하 베인(50)(하측의 베인은 도시하지 않음)과, 상부 실린더(38)의 상측 개구면 및 하부 실린더(40)의 하측 개구면을 폐색하여 회전축(16)의 축받이를 겸용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상부 지지 부재(54) 및 하부 지지 부재(56)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 지지 부재(54) 및 하부 지지 부재(56)에는 흡입 포트(161, 162)에 의해 상하 실린더(38, 40)의 내부와 각각 연통하는 흡입 통로(58, 60)와, 오목한 토출 소음실(62, 64)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 양 토출 소음실(62, 64)의 각 실린더(38, 40)과는 반대측의 개구부는 각각 커버에 의해 폐색된다. 즉 토출 소음실(62)은 커 버로서의 상부 커버(66), 토출 소음실(64)은 커버로서의 하부 커버(68)에 의해 폐색된다.
이 경우, 상부 지지 부재(54)의 중앙에는 축받이(54A)가 기립형성되어 있으며, 이 축받이(54A)의 내면에는 통형상의 부싱(122)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부 지지 부재(56)의 중앙에는 축받이(56A)가 관통형성되며, 하부 지지 부재(56)의 하면(하부 실린더(40)와는 반대측의 면)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축받이(56A) 내면에도 통형상의 부싱(123)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부싱(122, 123)은 미끄럼성·내마모성이 좋은 카본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축(16)은 이들 부싱(122, 123)을 통해 상부 지지 부재(54)의 축받이(54A)와 하부 지지 부재(56)의 축받이(56A)에 지지된다.
이 경우, 하부 커버(68)는 도넛 형상의 원형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부의 4부위를 메인 볼트(129…)에 의해 아래에서부터 하부 지지 부재(56)에 고정하고, 도시하지 않은 토출 포트에 의해 제1 회전 압축 요소(32)의 하부 실린더(40)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64)의 하면 개구부를 폐색한다. 이 메인 볼트(129…)의 선단은 상부 지지 부재(54)에 나사결합한다. 하부 커버(68)의 내주연은 하부 지지 부재(56)의 축받이(56A) 내면보다 내측으로 돌출해 있으며, 이에 따라서 부싱(123)의 하단면(하부 실린더(40)와는 반대측의 단부)은 하부 커버(68)에 의해 지지되며,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토출 소음실(64)과 밀폐 용기(12)내에 있어서의 상부 커버(66)의 전동 요소(14)측은 상하 실린더(38, 40)나 중간 구획판(36)을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연 통로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이 경우, 연통로의 상단에는 중간 토출관(121)이 기립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간 토출관(121)은 상측의 전동 요소(14)의 스테이터(22)에 권취된 서로 인접하는 스테이터 코일(28, 28) 사이의 간극에 지향해 있다.
또한, 상부 커버(66)는 토출 포트(184)에 의해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상부 실린더(38) 내부와 연통하는 토출 소음실(62)의 상면 개구부를 폐색하고, 밀폐 용기(12) 내를 토출 소음실(62)과 전동 요소(14)측으로 칸막이한다. 이 상부 커버(66)는 주변부가 4개의 메인 볼트(78…)에 의해, 위에서부터 상부 지지 부재(54)에 고정되어 있다. 이 메인 볼트(78…)의 선단은 하부 지지 부재(56)에 나사결합한다.
도 42는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상부 실린더(38)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부 실린더(38)내에는 수납실(70)이 형성되며, 이 수납실(70)내에 상기 베인(50)이 수납되어 롤러(46)에 접촉해 있다. 그리고, 이 베인(50)의 일측(도 42에서는 우측)에 상기 토출 포트(184)가 형성되며, 베인(50)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의 타측(좌측)에 상기 흡입 포트(16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인(50)은 상부 실린더(38)와 롤러(46) 사이에 구성되는 압축실을 저압실(LR)측과 고압실측(HR)측으로 구획하고, 상기 흡입 포트(161)는 저압실(LR)에, 토출 포트(184)는 고압실(HR)에 대응한다.
한편, 상부 실린더(38)의 하측의 개구면 및 하부 실린더(40)의 상측의 개구면을 폐색하는 중간 구획판(36)은 대략 도넛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상면(상부 실린더(38)측의 면)에는, 도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범위에 급유홈(191)이 반경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급유홈(191)은 도42에 있어서의 상부 실린더(38)의 베인(50)이 롤러(46)에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흡입 포트(161)의 베인(50)과는 반대측의 가장자리부까지의 범위 α내의 하측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급유홈(191)의 외측 부분은 상부 실린더(38)내의 저압실(LR)측(흡입측)에 연통해 있다.
한편, 회전축(16)내에는 축중심에 연직 방향의 오일 구멍(80)과, 이 오일 구멍(80)에 연통하는 가로 방향의 급유 구멍(82, 84)(상하 편심부(42, 44)에도 형성되어 있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구획판936)의 급유홈(191)의 내주면측의 개구는 이들 급유 구멍(82, 84)을 통하여 오일 구멍(80)에 연통해 있다. 이에 따라, 급유홈(191)은 오일 구멍(80)과 상부 실린더(38)내의 저압실(LR)을 연통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폐 용기(12) 내부는 중간압이 되기 때문에, 2단째에서 고압이 되는 상부 실린더(38)내에는 오일의 공급이 곤란해지는데, 중간 구획판(36)에 이러한 급유홈(191)을 형성함으로써, 밀폐 용기(12)내 저부의 오일 받이로부터 퍼올려져서 오일 구멍(80)을 올라와서, 급유 구멍(82, 84)로부터 나온 오일은 중간 구획판(36)의 급유홈(191)에 들어가고, 그곳을 통과하여 상부 실린더(38)의 저압실(LR)측(흡입측)에 공급되게 된다.
도 43은 상부 실린더(38)내의 압력 변동을 나타내고, 도면중 P1은 중간 구획판(36)의 내주면측의 압력을 나타낸다. 이 도면에 LP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실린더(38)의 저압실(LR)의 내부 압력(흡입 압력)은 흡입 과정에서는 흡입 압력손실에 의해 중간 구획판(36)의 내주면측의 압력 P1보다도 저하한다. 이 기간에 회전 축(16)의 오일 구멍(80)으로부터 중간 구획판(36)의 급유홈(191)을 거쳐서 상부 실린더(38)내의 저압실(LR)에 오일이 주입되어, 급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도44의 (a)∼(l)은 이러한 제2 회전 압축 요소(34)의 상부 실린더(38)에 있어서의 냉매의 흡입-압축 행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회전축(16)의 편심부(42)는 각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한다. 도44의 (a)∼(b)에서는 롤러(46)에 의해 흡입 포트(161)가 닫혀져 있다. (c)에 있어서 흡입 포트(161)가 열리고, 냉매의 흡입이 시작된다(반대측에서는 냉매의 토출도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c)∼(e)까지 냉매의 흡입이 계속된다. 이 구간에서는 급유홈(191)은 롤러(46)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그리고, (f)에서 비로서 급유홈(191)이 롤러(46)의 하측에 나타나고, 상부 실린더(38)내의 베인(50)와 롤러(46)로 둘러싸인 저압실(LR)측에 오일이 흡입되어 급유가 시작된다(도 43의 공급 구간의 처음). 이후 (g)∼(i)까지 냉매 흡입의 오일의 흡입이 행해진다. 그리고, (j)에서 급유홈(1191)의 상측이 롤러(46)에 의해 폐색될 때까지 급유가 행해지고, 여기에서 급유는 정지한다(도 43의 공급 구간의 끝). 이후의 (k)∼(l)∼(a)∼(b)까지 냉매의 흡입이 행해지고, 이후 압축되어 토출 포트(184)로부터 토출되게 된다.
그런데, 회전축(16)과 일체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고 형성되는 상하 편심부(42, 44)의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부(90)는 그 단면 형상을 회전축(16)의 원형 단면보다 단면적을 크게 하여 강성을 지니게 하기 위하여 비원형 형상의 예를 들면 럭비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회전축(16)에 형성한 상하 편심부(42, 44)를 연결 하는 연결부(90)의 단면 형상은 상하 편심부(42, 44)의 편심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그 두께를 크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6)에 일체로 형성된 상하 편심부(42, 44)를 연결하는 연결부(90)의 단면적이 크게 되고, 단면 2차 모멘트를 증가시켜서 강도(강성)을 증가시키고,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히 사용 압력이 높은 냉매를 2단 압축하는 경우, 고저압의 압력차가 크기 때문에 회전축(16)에 가해지는 하중도 커지는데, 연결부(99)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그 강도(강성)를 증가시키고, 회전축(16)이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냉매로서는 지구 환경에 친근하며, 가연성 및 독성 등을 고려하여 자연 냉매인 탄산 가스의 일례로서의 상기 이산화탄소(CO2)를 사용하고, 윤활유로서의 오일은 예를 들면 광물유(미네랄 오일), PAG(폴리알킬렌글리콜), 알킬벤젠유, 에테르유, 에스테르유 등 기존의 오일이 사용된다.
밀폐 용기(12)의 용기 본체(12A)의 측면에는 상부 지지 부재(54)와 하부 지지 부재(56)의 흡입 통로(58, 60), 토출 소음실(62) 및 전동 요소(14)의 상측(타측)에 대략 대응하는 위치에, 슬리이브(141, 142, 143 및 144)가 각각 용접 고정되어 있다. 슬리이브(141, 142)는 상하로 인접함과 아울러, 슬리이브(143)는 슬리이브(141)의 대략 대각선상에 있다. 또한, 슬리이브(144)는 슬리이브(141)와 대략 90도 변위된 위치에 있다.
그리고 슬리이브(141)내에는 상부 실린더(38)에 냉매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관(92)의 일단이 삽입접속되며, 이 냉매 도입관(92)의 일단은 상부 실린더(38)의 흡입 통로(58)에 연통된다. 이 냉매 도입관(92)은 밀폐 용기(12)의 상측을 통과하여 슬리이브(144)에 이르며, 타단은 슬리이브(144)에 삽입접속되어 전동 요소(14) 상측의 밀폐 용기(12)내에 연통한다.
또한, 슬리이브(142)내에는 하부 실린더(40)에 냉매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냉매 도입관(94)의 일단이 삽입접속되며, 이 냉매 도입관(94)의 일단은 하부 실린더(40)의 흡입 통로(60)에 연통된다. 또한, 슬리이브(143)내에는 냉매 토출관(96)이 삽입접속되며, 이 냉매 토출관996)의 일단은 토출 소음실(62)에 연통된다.
그리고,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10)도 도18에 나타낸 급탕 장치(153)의 냉매 회로에 사용되어 동일하게 배관접속된다. 이상의 구성에 이어서 동작을 설명하겠다. 가열 운전에서는 전자 밸브(159)는 닫혀져 있는 것으로 한다. 터미널(20) 및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통하여 전동 요소(14)의 스테이터 코일(28)에 통전되면, 전동 요소(14)가 기동하여 로터(24)가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회전축(16)과 일체로 형성한 상하 편심부(42, 44)에 끼워맞춰진 상하 롤러(46, 48)이 상하 실린더(38, 40) 내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편심 회전한다.
이에 따라, 냉매 도입관(94) 및 하부 지지 부재(56)에 형성된 흡입 통로(60)를 경유하여 흡입 포트(162)로부터 하부 실린더(40)의 저압실측에 흡입된 저압(1단째 흡입 압력:4㎫G)의 냉매 가스는 롤러(48)와 베인의 동작에 의해 압축되어 중간압(MP1:8㎫G)이 되고, 하부 실린더(40)의 고압실측으로부터 토출 포트(41), 하부 지지 부재(56)에 형성된 토출 소음실(64)로부터 연통로(63)를 거쳐서 중간 토출 관(121)으로부터 밀폐 용기(12)내에 토출된다.
이 때, 중간 토출관(121)은 상측의 전동 요소(14)의 스테이터(22)에 권취된 서로 이웃하는 스테이터 코일(28, 28) 사이의 간극에 지향해 있으므로, 아직 비교적 온도가 낮은 냉매 가스를 전동 요소(14)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며, 전동 요소(14)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밀폐 용기(12) 내부는 중간압(MP1)이 된다.
그리고, 밀폐 용기(12) 내의 중간압의 냉매 가스는 슬리이브(144)로부터 나와서(중간 토출 압력은 상기 MP1) 냉매 도입관(92) 및 상부 지지 부재(54)에 형성된 흡입 통로(58)를 경유하여 흡입 포트(161)로부터 상부 실린더(38)의 저압실(LR)측에 흡입된다(2단째 흡입 압력 MP2). 흡입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는 롤러(46)와 베인(50)의 동작에 의해 도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2단째의 압축이 행해져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가 되고(2단째 토출 압력 HP: 12㎫G), 고압실(HR)측으로부터 토출 포트(184)를 지나서 상부 지지 부재(54)에 형성된 토출 소음실(62), 냉매 토출관(96)을 경유하여 가스 냉각기(154)내에 유입된다. 이 때의 냉매 온도는 대략 +100℃까지 상승해 있으며, 이러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방열하여, 저탕 탱크내의 물을 가열하고, 약 +90℃의 온수를 생성한다.
한편, 가스 냉각기(154)에 있어서 냉매 자체는 냉각되며, 가스 냉각기(154)를 나온다. 그리고, 팽창 밸브(156)에서 감압된 후, 증발기(157)에 유입되어 증발되고 냉매 도입관(94)으로부터 제1 회전 압축 요소(32) 내부에 흡입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이 경우의 구성에 따르면,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이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제1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가스를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가스를 제2 회전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실린더와, 이들 실린더 사이에 개재하여 각 회전 압축 요소를 각각 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실린더와, 이들 실린더 사이에 개재하여 각 회전 압축 요소를 칸막이하는 중간 구획판과, 각 실린더의 개구면을 각각 폐색하고, 전동 요소의 회전축의 축받이를 갖는 지지 부재와, 회전축에 형성된 오일 구멍을 구비하며, 오일 구멍과 제2 실린더내의 저압실을 연통하기 위한 급유홈을, 중간 구획판의 제2 실린더측의 면에 형성하였으므로, 중간압이 되는 밀폐 용기 내부보다도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실린더내의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이더라도, 제2 회전 압축 요소에 있어서의 흡입 과정에서의 흡입 압력손실을 이용하여, 중간 구획판에 형성한 급유홈으로부터 실린더내에 확실하게 오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하여, 성능을 확보하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급유홈은 중간 구획판의 제2 실린더측의 면을 홈가공하는 것만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를 간소화하고, 생산 비용의 상승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로터리 압축기로서는, 실시예와 같이 내부 중간압형 다단 압축식의 로터리 압축기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 실린더의 로터리 압축기에도 유효하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로터리 압축기(10)를 급탕 장치(153)의 냉매 회로에 사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내의 난방용 등에 사용해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또한, 로터리 압축기 이외의 발명에서는 다른 방식의 압축기(레시프로, 스크롤 등)에도 유효하다.
다음에, 도45∼도 48을 참조하여 또 하나의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이 경우의 발명의 대상은 냉매에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냉동 장치이다.
이산화탄소를 냉매로 사용하는 냉동 장치의 냉매 압축기로서, 예를 들면 도48에 나타낸 내부 중간압형의 회전식 2단 압축기(이하에서는 간단히 압축기라 함)(500X)가 주지이다. 이 압축기(500X)에서는, 밀폐 용기(412)내의 상부에 스테이터(414), 로터(416)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동 기구부(418)를 구비함과 아울러, 그 하부에 전동 기구부(418)의 로터(416)와 회전축(420)을 통하여 연결된 2단식의 회전식 압축 기구부(4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압축기(500X)의 2단식의 회전식 압축 기구부(422)에서는, 하측에 제1 압축 기구부(424)가 배치되며, 그 상측에 제2 압축 기구부(426)가 배치되며, 도시하지 않은 어큐뮬레이터로부터 냉매 도입관(43)을 통하여 도입한 기체의 냉매를 하단측의 제1 압축 기구부(424)에서 압축하고, 그 압축된 냉매를 중간 토출관(428)으로부터 밀폐 용기(412)내에 토출, 그것을 밀폐 용기(412)의 몸통부에 개구된 중간 토출 구멍에 형성한 슬리이브(429)로부터 연장된 냉매 도입관(432)을 통하여 2단째의 제2 압축 기구부(426)에 도입하고, 그곳에서 더욱 고압으로 압축하여 냉매 토출관(434)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공기조절 장치의 냉매 회로에 고압 냉매를 공급하 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기(500X)에 있어서는, 밀폐 용기(412)내의 하부에는 냉동기 오일(460)이 저장되며, 그 냉동기 오일(460)을 퍼올려서 회전식 압축 기구부(422)의 슬라이딩 부분의 윤활과 기밀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420)의 하단부에 형성한 펌프 기구에 의해 퍼올려지며, 회전축(420)의 중공부를 통하여 상승하고, 회전축(420)의 본체 부분과, 롤러(438, 440)가 장착되는 편심부(442, 444)의 외주부에 형성한 급유 구멍(446, 448, 450, 452)으로부터 토출한 냉동기 오일(460)에 의해, 슬라이딩 부분의 윤활 등이 도모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압축기(500X)는 냉동기 오일(460)을 밀폐 용기(412)의 내부에 저장해 두는 구조이었기 때문에, 압축기를 소형화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의 압축기(500X)를 사용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카 에어컨 등에 있어서는, 용적에 한도가 있는 자동차의 본넷트 내부에 압축기(500X)를 엔진 등의 자동차 부품과 함께 설치할 때에, 설치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압축기의 내부에는 냉동기유를 저장하지 않거나, 최소 한도의 냉동기유를 저장하고, 냉동기유의 대부분은 압축기 이외의 부분에 저장해 두는 구성의 공기조절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 경우의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압축기, 방열기, 증발기를 냉매관에 의해 연통시켜서 형성하는 냉매 폐회로에 이산화탄소가 충전한 냉동 장치에 있어서, 냉매 폐회로에 유분리기를 개재시킴과 아울러, 그 유분리기의 저유부와 압축기를 반유관에 의해 연결하도록 한 제1 구성의 회전식 압축기와, 상기 제1 구성의 회전식 압축기에 있어서, 유분리기를 방열기의 출구측 냉매 회로 또는 증발기의 출구측 냉매 회로에 형성하도록 한 제2 구성의 회전식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주로 도45∼도 4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들 도면에서도 도48에서 설명한 부분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였다.
이 경우의 냉동 장치(600)는 예를 들면 도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500)와, 방열기(501)와, 팽창 밸브(502)와, 증발기(503)와, 유분리기(504)가 냉매관(510)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의 폐회로가 형성되며, 그 폐회로에 이산화탄소가 냉매로서 충전되어 있다.
또한, 유분리기(504)의 저부에 형성한 저유부(504A)와 압축기(500)와는 반유관(5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유분리기(504)는 예를 들면 도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측에 저유부(504A)를 구비함과 아울러, 그 상측에 오일 설치·분리재(504B)와, 그 상측에 복수의 배플판(504C)을 구비하며, 바닥판에 연결된 냉매관(510)으로부터 냉동기유(460)를 포함하여 기내에 들어온 기체의 냉매는 오일 설치·분리재(504B)를 통과하고, 또한 그 위에 배치한 배플판(504C)의 간극을 통과하여, 천정판에 연결한 냉매관(510)으로부터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오일 설치·분리재(504B)는 예를 들면 메시가 작은 금망이 적층된 것, 금속 수세미 등과 같은 간극을 구비한 것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냉동기유(460)를 포함한 기체의 냉매가,오일 설치·분리재(504B)의 간극을 통과할 때에, 기체의 냉매는 천정판에 연결한 냉매관(510)으로부터 그대로 배출되는데, 밀도가 큰 냉동기유(460)는 오일 설치·분리재(504B)에 충돌하여 차례로 속도를 떨어뜨리고, 종국에는 오일 설치·분리재(504B)에 설치되어 그 부분에 쌓인다.
이 때, 오일 설치·분리재(504B)의 상측에는 배플판(504C)이 복수장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분리기(504)의 하부측에 들어가서, 상부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와 냉동기유(460)의 유속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으며, 냉매로부터 냉동기유(460)를 분리하는 오일 설치·분리재(504B)의 분리 작용 효과가 한층 높아진다.
오일 설치·분리재(504B)에 설치되어 그 부분에 쌓이는 냉동기유(460)의 양이 늘어나고 질량이 증가하면, 오일 설치·분리재(504B)로부터 냉동기유(460)는 적하하여, 저부의 오일 받이(504A)에 쌓인다. 그리고, 유분리기(504)의 바닥판에는 반유관(512)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오일 설치·분리재(504B)로부터 적하하여, 오일 받이(504A)에 쌓인 냉동기유(460)는 반유관(512)을 통과하여 압축기(500)에 되돌아간다.
한편, 압축기(500)는 예를 들면 도47에 나타낸 구성이다. 즉 압축기(500)는 내부에 냉동기유(460)를 저장해 두는 구조로는 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도48에 나타낸 압축기(500X)와 마찬가지로 구성한 중공의 회전축(420)의 하단부에, 반유관(512)의 종단부가 연결되며, 그 반유관(512)을 통하여 유분리기(504)로부터 되돌아오는 냉동기유(460)가, 도시하지 않은 급유 구멍으로부터 토출되어 회전식 압축 기구부(422)의 각 슬라이딩 부분에 공급되며, 그 부분의 윤활과 기밀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47에 나타낸 구성의 압축기(500)에 있어서는, 냉동기유(460)를 그 내부에 저장해 둘 필요가 없으므로, 전동 기구부(418)와 회전식 압축 기구부(422)를 내장한 밀폐 용기(412)를, 냉동기유(460)를 밀폐 용기(412)에 내장하는 종래의 압축기(500X)의 것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45에 나타낸 냉동 장치(600)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압축기(500)의 전력 터미널(454) 및 도시하지 않은 배관을 통하여 전동 기구부(418)의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터 코일에 통전하면, 전동 기구부(418)가 기동하여 그 도시하지 않은 로터가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회전축(420)과 일체로 형성한 편심부에 끼워맞춰져 있는 도시하지 않은 롤러가 실린더내에서 편심 회전한다(도 47 참조).
이 때문에, 냉매 도입관(430)(냉매관(510))으로부터 흡입된 저압의 냉매 가스는 하측의 제1 압축 기구부(424)에 의해 압축되어 중간압이 되고, 연무형상의 냉동기유(460)를 미량 포함한 상태로 중간 토출관(428)으로부터 밀폐 용기(412)내에 토출된다.
이 때, 중간 토출관(428)은 예를 들면 상측의 전동 기구부(418)의 스테이터에 권취된 서로 인접하는 스테이터 코일끼리의 간극에 지향해 있으며, 아직 비교적 온도가 낮은 냉매 가스를 전동 기구부(418) 방향으로 적극적으로 공급하여, 전동 기구부(418)의 온도 상승이 억제된다. 또한, 이에 따라서, 밀폐 용기(412) 내부는 중간압이 된다.
그리고, 밀폐 용기(412) 내의 연무형상의 냉동기유(460)를 미량 포함한 중간 압의 냉매 가스는 냉매 도입관(432)을 경유하여 상측의 제2 압축 기구부(426)에 의해 압축되고, 연무 형상의 냉동기유(460)를 포함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가 되며, 냉매 토출관(434)(냉매관(510))을 경유하여 방열기(501)내에 유입된다. 이 때의 냉매 온도는 약 100℃까지 상승해 있으며, 이러한 냉동기유(460)를 포함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방열하여 냉각되며, 냉동기유(460)를 포함한 초임계 상태가 되어 방열기(501)를 나온다.
그리고, 팽창 밸브(502)에서 감압된 후, 증발기(503)에 유입되어 증발한다. 이 증발기(503)에 있어서의 증발시에 냉매가 주위로 빼앗기는 기화열에 의해, 냉동 장치(600)가 카 냉각기용의 냉동 장치이라면, 차내의 공기가 냉각되어 냉방이 행해진다. 증발기(503)에 있어서는, 비등점이 낮은 냉매의 이산화탄소가 선택적으로 증발하고, 냉매보다 비등점이 높은 냉동기유(460)는 거의 증발하지 않는다.
증발기(503)에서 증발한 냉매 증기와 냉동기유(460)는 유분리기(504)에 유입되고, 상기 기구에 의해 냉동기유(460)가 냉매로부터 분리된다. 유분리기(414)에서 냉동기유(460)가 분리된 기체의 냉매는 냉매 도입관(430)(냉매관(510))으로부터 제1 압축 기구부(424)내에 흡입되는 사이클을 반복하고, 유분리기(414)에서 냉매로부터 분리된 액체의 냉동기유(460)는 반유관(512)으로부터 압축기(500)에 되돌아가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유분리기(504)는 방열기(501)의 출구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방열기(504)에서 방열된 냉매의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상태에 있으며, 완전한 액체로는 되어 있지 않다. 한편, 냉동기유(460)는 완전한 액체로 되어 있으므로, 유분리 기(504)를 방열기(501)의 출구측에 설치하더라도, 상기 기구에 의해 기체의 냉매와 액체의 냉동기유(460)로 분리하고, 분리한 냉동기유(460)를 압축기(500)에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압축기(500)로서는, 회전식 압축 기구부(422)가 1실린더 타입의 압축기이어도 되고, 압축 기구부가 압축한 고압의 냉매 증기가 밀폐 용기(412)의 내부에 분출하고, 그 밀폐 용기(412) 내부에 분출된 고압 냉매를 밀폐 용기(1)의 상부 등에 형성한 냉매 토출관으로부터 기외로 배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측면도.
도4는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또 하나의 종단면도.
도5는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다른 또 하나의 종단면도.
도6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전동 요소 부분의 평단면도.
도7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회전 압축 기구부의 확대 단면도.
도8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베인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9는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하부 지지 부재 및 하부 커버의 단면도.
도10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하부 지지 부재의 하면도.
도11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상부 지지 부재 및 상부 커버의 상면도.
도12는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상부 지지 부재 및 상부 커버의 단면도.
도13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중간 구획판의 상면도.
도14는 도13의 A-A선 단면도.
도15는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상부 실린더의 상면도.
도16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상부 실린더의 흡입측의 압력 변동을 나타낸 도면.
도17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회전축의 연결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 면도.
도18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를 적용한 급탕 장치의 냉매 회로도.
도19는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베인 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
도20은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의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지지 부재 및 커버의 단면도.
도21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슬리이브에, 기밀 시험용 배관의 플러그 및 커넥터를 접속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22는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터미널 부분의 단면과 엔드 캡의 변형량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23은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의 터미널 부분의 단면과 엔드 캡의 변형량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24는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터미널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25는 설치부가 얇은 터미널을 설치한 경우의 로터리 압축기의 확대 단면도.
도2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27은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28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슬리이브의 설치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29는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흡입 포트의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30은 도1의 로터리 압축기의 제2 회전 압축 요소의 토출 포트의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31은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의 회전 압축 요소의 흡입 포트의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32는 종래의 로터리 압축기의 회전 압축 요소의 토출 포트의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33은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실시예의 급탕 장치의 냉매 회로도.
도34는 본 발명을 적용한 또 하나의 다른 실시예의 급탕 장치의 냉매 회로도.
도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의 상부 지지 부재의 상면도.
도36은 도35의 상부 지지 부재 및 상부 커버의 단면도.
도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38은 도37의 로터리 압축기의 또 하나의 종단면도.
도39는 도37의 로터리 압축기의 전동 요소 부분의 평단면도.
도40은 또 하나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로터리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41은 도40의 로터리 압축기의 중간 구획판의 단면도.
도42는 도40의 로터리 압축기의 상부 실린더(38)의 평면도.
도43은 도40의 로터리 압축기의 상부 실린더내의 압력 변동을 나타낸 도면.
도44는 도40의 로터리 압축기의 상부 실린더의 냉매의 흡입-압축 행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45는 또 하나의 본 발명의 냉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46은 도45의 냉동 장치에 사용하는 유분리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47은 도45의 냉동 장치에 사용하는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48은 종래의 냉동 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는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터리 압축기
12 : 밀폐 용기
12A : 용기 본체
12B : 엔드 캡
12C : 단차부
12D : 설치 구멍
14 : 전동 요소
16 : 회전축
18 : 회전 압축 기구부
20 : 터미널
22 : 스테이터
24 : 로터
26 : 적층체
28 : 스테이터 코일
32 : 제1 회전 압축 요소
34 : 제2 회전 압축 요소
36 : 중간 구획판
38, 40 : 실린더

Claims (3)

  1. 밀폐 용기내에 전동 요소와, 상기 전동 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압축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압축 요소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를 상기 밀폐 용기내로 토출하고, 또한 이 토출된 중간압의 냉매 가스를 상기 제2 압축 요소에서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상기 제2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유입되는 가스 냉각기와, 상기 가스 냉각기의 출구측에 접속된 감압 장치와, 상기 감압 장치의 출구측에 접속된 증발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나온 냉매를 상기 제1 압축 요소에 의해 압축하는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 요소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감압하지 않고 상기 증발기에 공급하기 위한 제상(除霜) 회로와, 상기 제상 회로의 냉매 유통을 제어하는 유로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압축 요소는 CO2 가스를 냉매로 하여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냉각기로부터의 방열에 의해 온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KR1020080067917A 2001-09-27 2008-07-14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KR100892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95866 2001-09-27
JP2001296180A JP3986283B2 (ja) 2001-09-27 2001-09-27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1295859A JP3913507B2 (ja) 2001-09-27 2001-09-27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JP-P-2001-00295663 2001-09-27
JPJP-P-2001-00296180 2001-09-27
JPJP-P-2001-00295678 2001-09-27
JPJP-P-2001-00295673 2001-09-27
JPJP-P-2001-00295859 2001-09-27
JP2001295866A JP2003097472A (ja) 2001-09-27 2001-09-27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1295654A JP2003097433A (ja) 2001-09-27 2001-09-27 密閉式電動圧縮機
JPJP-P-2001-00295654 2001-09-27
JPJP-P-2001-00296165 2001-09-27
JP2001295663A JP2003097434A (ja) 2001-09-27 2001-09-27 密閉式電動圧縮機
JPJP-P-2001-00295634 2001-09-27
JP2001295678A JP2003097479A (ja) 2001-09-27 2001-09-27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1295673A JP2003097478A (ja) 2001-09-27 2001-09-27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1295634A JP3728227B2 (ja) 2001-09-27 2001-09-27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1296165A JP4236400B2 (ja) 2001-09-27 2001-09-27 冷媒回路の除霜装置
JPJP-P-2001-00311699 2001-10-09
JPJP-P-2001-00311702 2001-10-09
JP2001311699A JP3963691B2 (ja) 2001-10-09 2001-10-09 密閉式電動圧縮機
JP2001311702A JP2003120561A (ja) 2001-10-09 2001-10-09 密閉式電動圧縮機
JP2001315687A JP3825670B2 (ja) 2001-10-12 2001-10-12 電動圧縮機
JPJP-P-2001-00315687 2001-10-12
JP2001319401A JP2003120559A (ja) 2001-10-17 2001-10-17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JP-P-2001-00319419 2001-10-17
JP2001319419A JP3963695B2 (ja) 2001-10-17 2001-10-17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の製造方法
JPJP-P-2001-00319401 2001-10-17
JP2001323769A JP2003129981A (ja) 2001-10-22 2001-10-22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JP-P-2001-00323757 2001-10-22
JPJP-P-2001-00323769 2001-10-22
JP2001323757A JP2003129958A (ja) 2001-10-22 2001-10-22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JP-P-2001-00327809 2001-10-25
JP2001327817A JP4020622B2 (ja) 2001-10-25 2001-10-25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1327809A JP3883837B2 (ja) 2001-10-25 2001-10-25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JP-P-2001-00327817 2001-10-25
JP2001332796A JP3963703B2 (ja) 2001-10-30 2001-10-30 電動圧縮機
JPJP-P-2001-00332796 2001-10-30
JP2001366208A JP3895975B2 (ja) 2001-11-30 2001-11-30 冷凍装置
JPJP-P-2001-00366208 2001-11-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289A Division KR20030028388A (ko) 2001-09-27 2002-09-26 압축기와 그 제조 방법,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및 냉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960A true KR20080071960A (ko) 2008-08-05
KR100892841B1 KR100892841B1 (ko) 2009-04-10

Family

ID=27586400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289A KR20030028388A (ko) 2001-09-27 2002-09-26 압축기와 그 제조 방법,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및 냉동장치
KR1020080067914A KR20080071959A (ko) 2001-09-27 2008-07-14 압축기
KR1020080067904A KR100862822B1 (ko) 2001-09-27 2008-07-14 로터리 압축기
KR1020080067907A KR100892839B1 (ko) 2001-09-27 2008-07-14 밀폐식 전동 압축기
KR1020080067910A KR100892840B1 (ko) 2001-09-27 2008-07-14 압축기
KR1020080067905A KR100892838B1 (ko) 2001-09-27 2008-07-14 로터리 압축기
KR1020080067919A KR20080071961A (ko) 2001-09-27 2008-07-14 냉동 장치
KR1020080067917A KR100892841B1 (ko) 2001-09-27 2008-07-14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KR1020080067906A KR20080071956A (ko) 2001-09-27 2008-07-14 로터리 압축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289A KR20030028388A (ko) 2001-09-27 2002-09-26 압축기와 그 제조 방법, 냉매 회로의 제상 장치 및 냉동장치
KR1020080067914A KR20080071959A (ko) 2001-09-27 2008-07-14 압축기
KR1020080067904A KR100862822B1 (ko) 2001-09-27 2008-07-14 로터리 압축기
KR1020080067907A KR100892839B1 (ko) 2001-09-27 2008-07-14 밀폐식 전동 압축기
KR1020080067910A KR100892840B1 (ko) 2001-09-27 2008-07-14 압축기
KR1020080067905A KR100892838B1 (ko) 2001-09-27 2008-07-14 로터리 압축기
KR1020080067919A KR20080071961A (ko) 2001-09-27 2008-07-14 냉동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906A KR20080071956A (ko) 2001-09-27 2008-07-14 로터리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8) US7128540B2 (ko)
EP (9) EP1517041A3 (ko)
KR (9) KR20030028388A (ko)
ES (3) ES239836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08631B (en) * 2002-11-07 2009-04-11 Sanyo Electric Co Multistage compression type rotary compressor and cooling device
JP2004293813A (ja) * 2003-03-25 2004-10-21 Sanyo Electric Co Ltd 冷媒サイクル装置
US7223082B2 (en) * 2003-03-25 2007-05-29 Sanyo Electric Co., Ltd. Rotary compressor
JP3674625B2 (ja) * 2003-09-08 2005-07-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ロータリ式膨張機及び流体機械
EP1520989A3 (en) * 2003-09-30 2008-11-05 Sanyo Electric Co., Ltd. Horizontal type rotary compressor
US8206128B2 (en) * 2003-12-03 2012-06-26 Toshiba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ion cycle system
TWI344512B (en) * 2004-02-27 2011-07-01 Sanyo Electric Co Two-stage rotary compressor
JP4438519B2 (ja) * 2004-06-02 2010-03-24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ポンプ装置
US7861541B2 (en) 2004-07-13 2011-01-04 Tiax Llc System and method of refrigeration
KR20060024739A (ko) * 2004-09-14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통 압축기
TW200634232A (en) * 2005-03-17 2006-10-01 Sanyo Electric Co Hermeyically sealed compres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300048A (ja) * 2005-03-24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JP4927349B2 (ja) * 2005-05-11 2012-05-09 出光興産株式会社 冷凍機油組成物、これを用いた圧縮機及び冷凍装置
JP2007064045A (ja) * 2005-08-30 2007-03-15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式電動圧縮機
JP4007383B2 (ja) * 2005-12-27 2007-11-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ロータリ圧縮機
DE102006010723A1 (de) * 2006-03-08 2007-09-13 Knorr-Bremse Systeme für Schienenfahrzeuge GmbH Kompressoranordnung
US8057194B2 (en) * 2006-12-01 2011-11-15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discharge muffler attachment using a spacer
US9404499B2 (en) * 2006-12-01 2016-08-02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Dual chamber discharge muffler
WO2008087958A1 (ja) * 2007-01-18 2008-07-24 Panasonic Corporation 流体機械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8248865A (ja) * 2007-03-30 2008-10-16 Fujitsu General Ltd インジェクション対応2段圧縮ロータリ圧縮機およ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FI20075595A0 (fi) * 2007-06-27 2007-08-30 Enervent Oy Ab Ilmanvaihtokojeyksikkö
JP4251239B2 (ja) * 2007-07-25 2009-04-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密閉式圧縮機
US7866962B2 (en) * 2007-07-30 2011-01-11 Tecumseh Products Company Two-stage rotary compressor
KR101316247B1 (ko) * 2007-07-31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식 2단 압축기
US8177536B2 (en) 2007-09-26 2012-05-15 Kemp Gregory T Rotary compressor having gate axially movable with respect to rotor
KR101381085B1 (ko) * 2007-11-13 2014-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식 2단 압축기
JP2009127902A (ja) * 2007-11-21 2009-06-11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装置及び圧縮機
JP2009222329A (ja) * 2008-03-18 2009-10-01 Daikin Ind Ltd 冷凍装置
KR101442549B1 (ko) * 2008-08-05 201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ES2627045T3 (es) * 2008-08-05 2017-07-26 Lg Electronics Inc. Compresor rotativo
EP2339251A4 (en) * 2008-09-17 2014-03-26 Daikin Ind Ltd EXTERNAL UNIT OF AIR CONDITIONER
JP4609583B2 (ja) * 2009-03-25 2011-01-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吐出マフラ及び吐出マフラを備えた二段圧縮機
WO2010117973A2 (en) * 2009-04-09 2010-10-14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nt vapor compression system with hot gas bypass
US8061151B2 (en) * 2009-05-18 2011-11-2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Refrigerant compressor
WO2010143521A1 (ja) 2009-06-11 2010-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媒圧縮機及びヒートポンプ装置
NL1037348C2 (en) * 2009-10-02 2011-04-05 Univ Eindhoven Tech Surgical robot, instrument manipulator, combination of an operating table and a surgical robot, and master-slave operating system.
KR101587170B1 (ko) * 2009-12-07 2016-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JP5358018B2 (ja) * 2010-02-18 2013-12-0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ロータリ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FR2958460B1 (fr) * 2010-04-01 2012-08-17 Mbda France Montage a connexions electriques et systemes de liaison mecanique separable.
KR101679860B1 (ko) * 2010-07-14 2016-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EP2612035A2 (en) 2010-08-30 2013-07-10 Oscomp System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US9267504B2 (en) 2010-08-30 2016-02-23 Hicor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EP2628950B1 (en) * 2010-10-13 2019-02-20 Toshiba Carrier Corporation Hermetically enclosed rotar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CN102003381B (zh) * 2010-12-02 2013-07-24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泵送油缸行程监测装置及方法和缓冲孔的优化布置方法
KR101751061B1 (ko) * 2010-12-16 2017-06-29 학교법인 두원학원 전동식 압축기용 터미널 장치
CN103620224B (zh) * 2011-06-07 2016-01-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回转式压缩机
DE102011114904A1 (de) * 2011-10-05 2013-04-11 Ixetic Bad Homburg Gmbh Verdichter mit Druckentlastungsnut
JP6077352B2 (ja) * 2013-03-26 2017-02-0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多気筒回転式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978961B1 (ko) * 2013-05-24 2019-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US9816506B2 (en) 2013-07-31 2017-11-14 Trane International Inc. Intermediate oil separator for improved performance in a scroll compressor
TWM472176U (zh) * 2013-11-07 2014-02-11 Jia Huei Microsystem Refrigeration Co Ltd 迴轉式壓縮機改良
KR102198326B1 (ko) * 2013-12-26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US9874182B2 (en) 2013-12-27 2018-01-23 Chris P. Theodore Partial forced induction system
CN103727039A (zh) * 2014-01-08 2014-04-16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两级压缩旋转压缩机及其泵体组件以及空调系统
JP6200819B2 (ja) * 2014-01-22 2017-09-20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スクロール圧縮機
CN106382765B (zh) * 2015-07-31 2019-05-21 钱建忠 一种循环管路无油的冷热空调器
CN106704189A (zh) * 2015-08-10 2017-05-2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和换热系统
EP3350447B1 (en) 2015-09-14 2020-03-25 Torad Engineering, LLC Multi-vane impeller device
JP2018204453A (ja) * 2017-05-31 2018-12-2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密閉型圧縮機及び密閉型圧縮機の製造方法
EP3779200A4 (en) * 2018-03-29 2021-05-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OTARY COMPRESSOR
WO2019216834A1 (en) 2018-05-07 2019-11-14 Siam Compressor Industry Co., Ltd. Power supply wire connecting structure for hermetic compressor
CN108749526B (zh) * 2018-07-06 2023-08-11 太仓京和机电有限公司 车用空调及其压缩机支架组件
JP6648785B2 (ja) * 2018-07-11 2020-02-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圧縮機
CN109268240A (zh) * 2018-08-01 2019-0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
CN111578602A (zh) * 2018-08-28 2020-08-25 蒋远民 一种往复振动方式的冰箱内部冰块去除装置及方法
KR20200054785A (ko) * 2018-11-12 202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US11703042B2 (en) * 2019-03-29 2023-07-18 Panasonic Appliances Refrigeration Devices Singapore Suction muffler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CN109900651A (zh) * 2019-04-11 2019-06-18 山东省食品药品检验研究院 一种多功能型食品样品检测车
CN112253461B (zh) * 2020-10-26 2022-10-28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空调器及热水器
KR102508198B1 (ko) 2021-10-21 2023-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854A (en) * 1898-04-05 Rotary engine
US1153478A (en) * 1912-11-22 1915-09-14 Charles Bellens Pump for variable-speed hydraulic transmission-gears.
US2094323A (en) * 1935-08-26 1937-09-28 Reconstruction Finance Corp Compressor
US2628016A (en) * 1946-03-05 1953-02-10 Tecumseh Products Co Refrigerating apparatus
US3026021A (en) * 1960-03-31 1962-03-20 Acc Emanuel Di G E R Emanuel & Slidable vane rotary compressor
US3250461A (en) * 1964-09-08 1966-05-10 Lennox Ind Inc Hermetic compressor assembly
US3869874A (en) * 1974-01-02 1975-03-11 Borg Warner Refrigeration apparatus with defrosting system
US4240774A (en) * 1979-02-15 1980-12-23 General Electric Company Hermetically sealed compressor suction tube and method of assembly
US4331002A (en) * 1981-03-12 1982-05-25 General Electric Company Rotary compressor gas injection
JPS5866019A (ja) * 1981-10-16 1983-04-20 Oval Eng Co Ltd 流量計
US4563137A (en) * 1983-02-17 1986-01-07 Rineer Arthur E Rotary hydraulic energy-conversion device with two dams engaging a rotatable ring
JPS59165887A (ja) * 1983-03-10 1984-09-19 Hitachi Ltd 横形圧縮機
US4493618A (en) * 1983-04-18 1985-01-15 Buzek Eric W Handle for compressor units
JPH0737796B2 (ja) 1984-10-31 1995-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ロータリ圧縮機
US4605362A (en) * 1985-06-17 1986-08-12 General Electric Company Rotary compressor and method of assembly
NO159351C (no) * 1985-09-23 1988-12-21 Njaal Underhaug Anordning ved roterende drivinnretning for et verktoey.
KR900003716B1 (ko) * 1986-09-30 1990-05-30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다기통 회전식 압축기
CH673509A5 (ko) * 1986-10-27 1990-03-15 Notron Engineering Ag
JPS63230982A (ja) * 1987-03-20 1988-09-27 Hitachi Ltd ロ−タリ圧縮機
JPH0213765A (ja) * 1988-06-30 1990-01-18 Toshiba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US4888962A (en) * 1989-01-06 1989-12-26 Tecumseh Products Company Suction accumulator strap
US5007807A (en) * 1989-03-08 1991-04-16 Tecumseh Products Company Hermetic compressor having resilient internal mounting
JP2723610B2 (ja) * 1989-05-09 1998-03-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2段圧縮形回転圧縮機
JP2761925B2 (ja) * 1989-06-13 1998-06-0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ロッドの製造方法
JPH03170758A (ja) * 1989-11-30 1991-07-24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JPH04159489A (ja) * 1990-10-19 1992-06-02 Mitsubishi Heavy Ind Ltd 密閉型ロータリ圧縮機
JP2768004B2 (ja) * 1990-11-21 1998-06-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ロータリ式多段気体圧縮機
US5199271A (en) * 1991-01-24 1993-04-06 Zee Systems, Inc.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imed oil drain separator
JP2605512B2 (ja) * 1991-07-30 1997-04-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及び圧縮機の製造方法
US5199898A (en) * 1991-09-23 1993-04-06 Tecumseh Products Company External terminal shield
KR960015822B1 (ko) * 1991-10-03 1996-11-21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밀폐형 전동압축기
JP2746782B2 (ja) * 1991-11-05 1998-05-06 松下冷機株式会社 ロータリ圧縮機
JP2699724B2 (ja) * 1991-11-12 1998-0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2段気体圧縮機
JP3335656B2 (ja) * 1992-02-18 2002-10-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横置形圧縮機
JPH05256285A (ja) 1992-03-13 1993-10-05 Toshiba Corp 極低温冷凍機用二段圧縮コンプレッサ
US5378091A (en) * 1992-06-17 1995-01-03 Makino Milling Machin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chining a workpiece
JPH062678A (ja) * 1992-06-22 1994-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密閉型回転圧縮機
JPH06149188A (ja) * 1992-11-13 1994-05-27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の出力バッファ回路
JPH06159277A (ja) * 1992-11-26 1994-06-07 Sanyo Electric Co Ltd 多気筒回転圧縮機
JPH06346878A (ja) * 1993-06-04 1994-12-20 Hitachi Ltd ロータリ圧縮機
JPH0727078A (ja) * 1993-07-05 1995-01-27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ータリ圧縮機
US5393206A (en) * 1994-06-29 1995-0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pump for a motor vehicle
JPH0893671A (ja) 1994-09-20 1996-04-09 Hitachi Ltd 密閉形ロータリ圧縮機
JPH08247065A (ja) 1995-03-15 1996-09-24 Toshiba Corp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US5542831A (en) * 1995-05-04 1996-08-06 Carrier Corporation Twin cylinder rotary compressor
US5642991A (en) * 1996-03-11 1997-07-01 Procon Products Sliding vane pump with plastic housing
US5761914A (en) * 1997-02-18 1998-06-09 American Standard Inc. Oil return from evaporator to compressor in a refrigeration system
JPH10331787A (ja) * 1997-05-30 1998-12-15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ロール圧縮機の電力中継装置
KR19990012895U (ko) * 1997-09-18 1999-04-15 구자홍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결합구조
JP3365273B2 (ja) * 1997-09-25 2003-01-08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
US6102677A (en) * 1997-10-21 2000-08-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rmetic compressor
JPH11230044A (ja) * 1998-02-17 1999-08-24 Hitachi Ltd 密閉形電動圧縮機
JP3458058B2 (ja) * 1998-04-13 2003-10-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冷凍装置
JPH11303744A (ja) * 1998-04-20 1999-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JP2000035251A (ja) * 1998-07-17 2000-02-02 Zexel Corp 冷却サイクルの三層分離器
JP2000046420A (ja) * 1998-07-31 2000-02-18 Zexel Corp 冷凍サイクル
JP2000104690A (ja) * 1998-09-25 2000-04-11 Sanyo Electric Co Ltd 回転式圧縮機
JP3291469B2 (ja) * 1998-09-28 2002-06-10 三洋電機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
JP2000110765A (ja) * 1998-09-30 2000-04-18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装置
JP3368850B2 (ja) * 1998-11-25 2003-01-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ロータリ圧縮機
JP2000205164A (ja) * 1999-01-07 2000-07-25 Sanyo Electric Co Ltd ロ―タリ圧縮機
JP2000220590A (ja) * 1999-01-29 2000-08-08 Mitsubishi Electric Corp ロータリ圧縮機
JP2000274890A (ja) * 1999-03-18 2000-10-06 Nippon Soken Inc 超臨界サイクル
JP2000283077A (ja) * 1999-03-26 2000-10-10 Sanyo Electric Co Ltd ロータリ圧縮機
KR100311400B1 (ko) * 1999-05-28 2001-10-17 구자홍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부발생 방지구조
JP3723408B2 (ja) * 1999-08-31 2005-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2シリンダ型2段圧縮ロータリーコンプレッサ
JP3389539B2 (ja) * 1999-08-31 2003-03-24 三洋電機株式会社 内部中間圧型2段圧縮式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3291484B2 (ja) * 1999-09-03 2002-06-10 三洋電機株式会社 2段圧縮式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3468174B2 (ja) * 1999-09-14 2003-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空調サイクル装置
JP3847499B2 (ja) * 1999-10-07 2006-11-22 松下冷機株式会社 二段圧縮冷凍冷蔵装置
GB2360552B (en) * 1999-10-20 2004-04-14 Daewoo Electronics Co Ltd Noise recuction device for use in a recprocating compressor
JP2001132675A (ja) 1999-11-04 2001-05-18 Sanyo Electric Co Ltd 2段圧縮式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及び2段圧縮冷凍装置
JP3654806B2 (ja) * 1999-12-27 2005-06-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機の永久磁石回転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密閉型圧縮機
JP3490950B2 (ja) * 2000-03-15 2004-01-26 三洋電機株式会社 2シリンダ型2段圧縮式ロータリーコンプレッサ
JP3370046B2 (ja) * 2000-03-30 2003-01-27 三洋電機株式会社 多段圧縮機
EP1182350A2 (en) * 2000-08-25 2002-02-27 Van Doorne's Transmissie B.V. Roller vane pump incorporating a bearing bush
JP2002098082A (ja) * 2000-09-27 2002-04-05 Sanyo Electric Co Ltd 多段圧縮式コンプレッサ
JP4380054B2 (ja) * 2000-10-30 2009-1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2シリンダロータリ型圧縮機
US6484517B2 (en) * 2001-02-27 2002-11-26 Mikhail Levitin Compressor oil pressure control method and unit
DE60227520D1 (de) * 2001-07-02 2008-08-21 Sanyo Electric Co Wärmepumpenvorrichtung
WO2003006196A1 (en) * 2001-07-11 2003-01-23 Novator Ab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conical or shaped hole in a workpiece
JP4189878B2 (ja) * 2002-06-21 2008-1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傘歯車鍛造型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03129A2 (en) 2006-09-20
EP1703133A2 (en) 2006-09-20
KR20080071957A (ko) 2008-08-05
KR100862822B1 (ko) 2008-10-13
EP1703131A2 (en) 2006-09-20
KR20080071955A (ko) 2008-08-05
KR20080071958A (ko) 2008-08-05
EP1517041A2 (en) 2005-03-23
KR20080071956A (ko) 2008-08-05
EP1522733A3 (en) 2006-03-08
EP1522733A2 (en) 2005-04-13
KR100892838B1 (ko) 2009-04-10
US20060168994A1 (en) 2006-08-03
US20040165999A1 (en) 2004-08-26
US20080008608A1 (en) 2008-01-10
EP1703130B1 (en) 2012-10-31
EP1517036A2 (en) 2005-03-23
EP1703133A3 (en) 2007-10-10
US7174725B2 (en) 2007-02-13
KR20080071954A (ko) 2008-08-05
EP1703132A2 (en) 2006-09-20
EP1703130A3 (en) 2007-10-03
KR100892840B1 (ko) 2009-04-10
ES2398363T3 (es) 2013-03-15
US20040165998A1 (en) 2004-08-26
EP1703130A2 (en) 2006-09-20
KR100892839B1 (ko) 2009-04-10
US7302803B2 (en) 2007-12-04
EP1517036A3 (en) 2006-03-15
US7128540B2 (en) 2006-10-31
EP1703132A3 (en) 2007-10-03
EP1703129B1 (en) 2012-10-31
EP1703129A3 (en) 2007-10-17
EP1517041A3 (en) 2006-03-15
KR20080071959A (ko) 2008-08-05
EP1298324A3 (en) 2003-05-14
ES2398963T3 (es) 2013-03-22
EP1298324A2 (en) 2003-04-02
US20080075609A1 (en) 2008-03-27
EP1703132B1 (en) 2012-10-31
EP1703131A3 (en) 2007-10-03
US20040154329A1 (en) 2004-08-12
US20030068236A1 (en) 2003-04-10
KR20080071961A (ko) 2008-08-05
US7435063B2 (en) 2008-10-14
US7762792B2 (en) 2010-07-27
US20040151603A1 (en) 2004-08-05
US7837449B2 (en) 2010-11-23
KR20030028388A (ko) 2003-04-08
US7435062B2 (en) 2008-10-14
KR100892841B1 (ko) 2009-04-10
ES2398245T3 (es)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822B1 (ko) 로터리 압축기
KR100889202B1 (ko) 제상 운전이 가능한 냉매 회로
KR101136606B1 (ko) 2단 회전 압축기
US20070048151A1 (en) Closed electric compressor
JP2003097468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3254276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4004278B2 (ja) 回転式圧縮機
KR20020089133A (ko) 차량공조용 압축기 및 이 차량공조용 압축기를 구비한공조장치
JP2006214445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3166472A (ja) 圧縮機
JP4024056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4401365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3913507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3201982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4236400B2 (ja) 冷媒回路の除霜装置
JP2006200541A (ja) 密閉式電動圧縮機
JP3986283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3963691B2 (ja) 密閉式電動圧縮機
JP4401364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3762690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3184771A (ja) 回転式圧縮機
JP2003161261A (ja) 圧縮機
JP2003206879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2006200542A (ja) 密閉式電動圧縮機
JP2005248754A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