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854A - 가요성 코일 - Google Patents

가요성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854A
KR20080063854A KR1020087012323A KR20087012323A KR20080063854A KR 20080063854 A KR20080063854 A KR 20080063854A KR 1020087012323 A KR1020087012323 A KR 1020087012323A KR 20087012323 A KR20087012323 A KR 20087012323A KR 20080063854 A KR20080063854 A KR 20080063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heet
electrode terminal
shaped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0532B1 (ko
Inventor
미쓰구 가와라이
Original Assignee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63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3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two, usually identical or nearly identical parts enclosing completely the coil (pot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2017/006Printed inductances flexible printed i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체를 구비하면서도 가요성을 소유한 코일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가요성 코일(10)은, 가요성을 소유한 절연시트의 면에 따라 코일부가 형성된 시트모양의 코일과, 자속을 공유하는 위치에서 적층되어 배설된 복수의 시트모양의 코일을 사이에 두고 배설되는, 가요성을 소유한 자성체(80, 8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요성 코일 {FLEXIBLE COIL}
본 발명은 가요성(可撓性)을 소유한 코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어체를 구비한 코일 예를 들면, 인덕터는 페라이트 소성체((ferrite 燒成體) 혹은 금속분말의 프레스 성형체(press 成形體)를 코어 본체에 사용하고 있다. 또한, 후프(hoop) 등을 전극에 사용한 타입의 인덕터에 있어서도, 코어 본체의 강성은 크며, 인덕터도 거의 변형하지 않는다. 때문에, 인덕터는 구부림에 약하고, 또한, 낙하시험 등의 충격에도 약하다. 또한, 인덕터를 플렉시블(flexible) 기판에 실장하는 경우, 종래의 강성이 큰 인덕터의 경우는, 소형이면 기판에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대형이면 플렉시블 기판의 구부림에 추종할수 없어 플렉시블 기판에 실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인덕터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인덕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0-91135호 공보(도 1 ~ 도 3 참조)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인덕터는, 얇은 동판(銅薄板)을 통하여 일체적으로 형성 된 사행도체((蛇行導體)로 구성된 인덕터부에, 양면으로부터 유연성을 소유한 절연성 수지시트(sheet)가 붙여져 있다. 인덕터부 및 수지시트가 가요성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인덕터는 가요성을 소유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인덕터는, 절연성의 수지시트를 이용하여 얇은 동판을 협지(狹持)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자성재료는 이 인덕터의 구성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인덕터는 공심(空芯) 코일형의 인덕터로 되며,  인덕턴스값(inductance value)가 작다. 때문에, 높은 인덕턴스를 얻기 위해서는, 결국 종래처럼 페라이트 소성체 혹은 금속분말의 프레스성형을 통하여 형성된 강성이 큰 코어체를 코일 사이에 구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강성이 큰 인덕터로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의거하여 진행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코어 체를 구비하면서도 가요성을 소유한 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요성을 소유한 절연시트의 면을 따라 코일부가 형성된 시트모양의 코일과, 자속을 공유하는 위치에 적층(積層)되어 배설된 복수의 상기 시트모양의 코일을 사이에 두고 배설되는, 가요성을 소유한 자성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가요성을 소유한 코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타 발명은 먼저의 발명에 있어서, 시트모양의 코일은 코일부의 내주측에 설치된 코일 접속부와, 코일부의 외주측에 설치된 전극단자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전극단자부는 뒷면 측에 배설된 기타 전기 시트모양의 코일의 전극단자부에 접속하는 단자접속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코일부의 내주측의 단부는 코일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고, 외주측의 단부는 상기 전극단자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내주측의 단부에서 2개의 코일부가 연결되어 하나의 코일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각 코일의 외주측의 단부를 전극단자부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기타 발명은 먼저의 발명에 있어서, 코일 접속부와 단자접속부를 내주면 에 도전층이 형성된 쓰루홀부(through-hole)로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가요 코일의 크기 혹은 두께를 변하지 않고 코일 접속부와 단자접속부를 설치할수 있다.
또한, 기타 발명은 먼저의 발명에 있어서, 기타 절연시트를 이용하여 시트모양의 코일을 1개 혹은 복수개 겹쳤을 때 코일부가 노출되는 측의 면을 덮는 구성으로 된 가요성 코일로 하고 있다.
또한, 기타 발명은 먼저의 발명에 있어서, 기타 절연시트를 시트모양의 코일보다 너비 치수가 작게 하고, 기타 절연시트의 양단의 외측으로부터 전극단자부가 노출하게 형성된 가요성 코일로 하고 있다.
또한, 기타 발명은 먼저의 발명에 있어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서 직경이 작아지는 코일부를 소유한 시트모양의 코일과, 동방향 주위에서 직경이 커지는 코일부를 소유한 시트모양의 코일을 겹쳐서 배치한 가요성 코일로 하고 있다.
또한, 기타 발명은 먼저의 발명에 있어서, 시트모양의 코일의 중앙 및 양단에 각각 구멍 및 요부(凹部)를 형성하고, 시트모양의 코일의 자성체가 그 구멍 내부 및 그 요부에 들어간 형상으로 된 가요성 코일로 하고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을 이용하면, 코어체를 구비하면서도 가요성을 소유한 코일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의 전체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의, 도 1의 절단선 A-A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의 결합 계수와 인덕턴스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의 만드는 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의 만드는 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코일 유닛의 제1 변형예의 구성 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코일 유닛의 제1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코일 유닛의 제2 변형예의 평 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코일 유닛의 제2 변형예의 구 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0····가요성 코일
20, 30, 40, 50, 31', 41', 51' ····시트모양의 코일
21, 31, 41, 51····시트체(가요성을 소유한 절연시트)
22S, 32S, 42S, 52S····코일 접속부
22Sh, 32Sh, 42Sh, 52Sh····쓰루홀부
23A, 23B, 23C, 23D····전극단자부
23h, 33h, 43h, 53h····쓰루홀부(단자접속부)
33A, 33B, 33C, 33D····전극단자부
43A, 43B, 43C, 43D····전극단자부
53A, 53B, 53C, 53D····전극단자부
80, 81····자성체
91B, 92B, 93B, 94B, 95B, 96B····전극단자부
91C, 92C, 93C, 94C, 95C, 96C····시트체(가요성을 소유한 절연시트)
91h, 92h, 93h, 94h, 95h, 96h····쓰루홀부(단자접속부)
91S, 92S, 93S, 94S, 95S, 96S····코일 접속부
91Sh, 92Sh, 93Sh, 94Sh, 95Sh, 96Sh····쓰루홀부
101B, 102B, 103B, 104B····전극단자부
101C, 102C, 103C, 104C····시트체(가요성을 소유한 절연시트)
101h, 102h, 103h, 104h····쓰루홀부(단자접속부)
101S, 102S, 103S, 104S····코일 접속부
101Sh, 102Sh, 103Sh, 104Sh····쓰루홀부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10)에 대하여 도 1~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가요성 코일(10)의 전체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가요성 코일(1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코일 유닛(7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코일 유닛(7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또, 도 5는 도 1의 절단선 A-A을 이용하여 절단하였을 때의 가요성 코일(10)의 단면도이다.
코일 유닛(coil unit)(70)은 도 4 (A)~(D)에 나타내듯이, 4개의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과 도 4 (E)에 나타내는 커버용 절연시트(60)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도 4 (A)를 참조하면서 시트모양의 코일(20)의 구성과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트모양의 코일(20)은 시트체(21)와, 이 시트체(21)의 시트면에 형성된 코일부로서의 코일(22)과, 코일 접속부(22S)와, 4개의 전극단자부(23A, 23B, 23C, 23D) 및 쓰루홀부(23h)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시트체(21)의 단변(短邊)끼리를 연결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좌우측)으로, 장변(長邊)끼리를 연결하는 방향을 상하방향(상하측)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하며, 또 시트체(21)에 코일이 설치되어 있는 측의 면을 표면(상면)으로, 그 반대측의 면을 뒷면(하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시트체(21)는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 등의 절연성 및 가요성을 소유 한 필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의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22)은 시트체(21)의 일면에서, 평면의 형상에 맞추어 감기는 방향이 같은 방향에서 90도 변하는 구형의 감기는 형상으로, 또 시계 방향에서 감기는 직경(구형으로 감겨있는 코일(22)의 내주의 좌우방향, 상하방향의 너비)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 접속부(22S)는 시트체(21)의 좌우중앙부의 상측이며, 코일(22)의 감기는 내주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단자부(23A, 23B, 23C, 23D)중에서, 전극단자부(23A)는 시트체(21)의 표면의 좌측변부(邊部)의 상측에, 전극단자부(23B)는 시트체(21)의 표면의 우측변부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극단자부(23C)는 시트체(21)의 표면의 좌측변부의 하측에, 전극단자부(23D)는 시트체(21)의 표면의 우측변부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단자부(23A, 23B, 23C, 23D)의 형상은, 단변부의 변 연(邊緣)에 따르는 방향에서 긴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극단자부(23A, 23B, 23C, 23D)의 각자에는, 상하 방향의 2개소(箇所)에 단자접속부를 구성하는 쓰루홀부(23h)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22)의 내주측에는, 코일(22)이 감겨있지 않는 구형의 공영역(空領域)(22A)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22)은 대략 3회 감겨 구성되었으며, 감기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좌측상방의 전극단자부(23A)에 접속된다. 또한, 감기는 내주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코일 접속부(22S)에 접속된다.
이상처럼 구성된 시트모양의 코일(20)은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우선,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트체(21)의 일측의 전면에 걸쳐 전해동박(電解銅箔)을 붙이고, 시트체(21)에 동박층을 형성한다. 접착제로서는, 내열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내열성 에폭시(epoxy)수지 혹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전해동박 대신에 압연동박을 붙여 동박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동박층이 형성된 시트체(21)에 대하여, 드릴(drill) 혹은 레이저조사(laser 照射)를 통하여 코일 접속부(22S)의 개소에 쓰루홀부(22Sh)를 형성하고, 또 쓰루홀부(23h)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드릴 혹은 레이저조사를 통하여 쓰루홀부를 형성한다.
다음에, 동박층과 전기 접속하도록, 전해도금법을 통하여 쓰루홀부(22Sh)의 내주면에 동도금 등의 도전성을 소유한 도금을 실시한다. 이렇게 쓰루홀부(22Sh)의 내주면에 동도금 등의 도전성을 소유한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통하여, 쓰루홀부 (22Sh)의 내주면의 동도금이 동박층과 전기 접속하게 되며, 코일 접속부(22S)가 구 성된다. 또한, 동도금을 실시하기 전에, 도전성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여 도금 처리를 하기 쉬운 상태로 전처리(前處理))를 해두는 것이 좋다.
또한, 동박층과 전기 접속하도록, 쓰루홀부(23h)의 내주면에도 전해도금법을 통하여 동도금 등의 도전성을 소유한 도금을 실시한다. 쓰루홀부(23h)의 내주면에 동도금 등의 도전성을 소유한 도금을 실시하는 것을 통하여, 쓰루홀부(23h)의 내주면의 동도금이 동박층과 전기 접속하게 되며, 쓰루홀부(23h)가 단자접속부로서 구성된다. 또한, 동도금을 실시할 때, 쓰루홀부(22Sh)에 대한 도금처리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도금처리를 하기 쉬운 상태로 전처리를 해두는 것이 좋다.
다음에, 코일(22) 및 전극단자부(23A, 23B, 23C, 23D)의 형상에 맞추어 레지스트(resist)를 형성한다. 즉, 코일(22)은, 하나의 단부가 코일 접속부(22) 즉, 쓰루홀부(22Sh) 내부에 형성된 동도금부에 접속하고, 또 다른 하나의 단부가 전극단자부(23A)에 접속하도록 레지스트를 형성한다. 그리고, 에칭(etching)처리를 통하여 코일(22) 및 전극단자부(23A, 23B, 23C, 23D)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체(21)가 가요성을 소유하고, 또 코일(22)도 전해동박 혹은 압연동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모양의 코일(20)이 전체로서 가요성을 소유하게 된다.
다음에, 도 4(B)에 나타내는 시트모양의 코일(30)의 구성과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트모양의 코일(30)은, 시트체(21)와 같은 크기와 형상의 시트체(31)와, 시 트체(31)의 시트면에 형성된 코일(32)과, 코일 접속부(32S)와, 4개의 전극단자부(33A, 33B, 33C, 33D) 및 쓰루홀부(33h)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모양의 코일(30)은, 코일(32)의 형상이 시트모양의 코일(20)의 코일(22)과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를 뿐이며, 기타 구성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다. 즉, 시트모양의 코일(20)의 코일(22)이 시계 방향에서 감기는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대하여, 코일(32)은 시계 방향에서 감기는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모양의 코일(20)에 있어서 코일(22)의 감기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좌측상방에 위치하는 전극단자부(23A)에 접속하는 것에 대하여, 코일(32) 의 감기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우측상방에 위치하는 전극단자부 (33B)에 접 속한다. 코일 접속부(32S)는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게, 시트체(31)의 좌우중앙 부의 상측이며 코일(32)의 내주에 배치되어 있다. 즉, 코일 접속부(22S)가 시트체 (21)의 면위의 위치(시트체(21)의 외주에 대한 위치)와, 코일 접속부(32S)가 시트 체(31)의 면위의 위치(시트체(31)의 외주에 대한 위치)는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일 접속부(32S)(쓰루홀부(32Sh))에 코일(32)의 감기는 내주측의 단부 가 접속되어 있다.
시트모양의 코일(30)은 상기의 점을 제외한 외에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코일(32), 전극단자부(33A, 33B, 33C, 33D)의 형성 및 쓰루홀부(32Sh)와 쓰루홀부(33h)의 형성, 그리고 이 쓰루홀부 내부에 대한 동도금처리에 대해서는 상술의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다. 코일(22)과 코일(32)은 내주측의 감기는 직경과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공영역(32A)이 형성되는 시트체(31)의 면위의 위치(시트체(31)의 외주에 대한 위치)는, 시트체(21)에 형성되는 공영역(22A)과 같은 위치(시트체(21)의 외주에 대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모양의 코일(30)도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게, 시트체(31)가 가요성을 소유하고, 또 코일(32)도 전해동박 혹은 압연동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 가요성을 소유하게 된다.
다음에, 도 4(C)에 나타내는 시트모양의 코일(40)의 구성과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트모양의 코일(40)은, 시트체(21)와 같은 크기와 형상의 시트체(41)와, 이 시트체(41)의 시트면에 형성된 코일(42)과, 코일 접속부(42S)와, 4개의 전극단자부 (43A, 43B, 43C, 43D) 및 쓰루홀부(43h)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시트모양의 코일 (40)도, 시트모양의 코일(30)과 같게, 코일(42)의 형상이 시트모양의 코일(20)의 코일(22)과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를 뿐이며, 기타 구성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다. 즉, 시트모양의 코일(20)의 코일(22)이 시계 방향에서 감기는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대하여, 코일(42)은 시계 방향에서 감기는 직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모양의 코일(20)에 있어서 코일(22)의 감기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좌측상방에 위치하는 전극단자부(23A)에 접속하는 것에 대하여, 코일(42) 의 감기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좌측하방에 위치하는 전극단자부(43C)에 접 속한다. 또한, 시트모양의 코일(20)은 코일 접속부(22S)가 시트체(21)의 좌우중 앙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시트모양의 코일(40)의 코일 접속부 (42S)는 코일(42)의 내주에 배치되어 있으며, 시트체(41)의 좌우중앙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일 접속부(42S)(쓰루홀부(42Sh))에 코일(42)의 감기 는 내주측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시트모양의 코일(40)은 상기 점을 제외한 외에,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코일(42), 전극단자부(43A, 43B, 43C, 43D)의 형성 및 쓰루홀부(42Sh)와 쓰루홀부(43h)의 형성, 그리고 이 쓰루홀부 내부에 대한 동도금처리에 대해서는 상술의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다.
코일(22)과 코일(42)은 내주측의 감기는 직경과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공영역(42A)이 형성되는 시트체(41)의 면위의 위치(시트체(41)의 외주에 대한 위치)는, 시트체(21)에 형성되는 공영역(22A)과 같은 위치(시트체(21)의 외주에 대한 위치)에 형성된다. 시트모양의 코일(40)도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게, 시트체(41)가 가요성을 소유하고, 또 코일(42)도 전해동박 혹은 압연동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 가요성을 소유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시트모양의 코일(40)은, 시트모양의 코일(30)과 같은 것을 시트모양의 코일(30)에 대하여 180도 회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음에, 도 4(D)에 나타내는 시트모양의 코일(50)의 구성과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트모양의 코일(50)은, 시트체(21)와 같은 크기와 형상의 시트체(51)와, 이 시트체(51)의 시트면에 형성된 코일(52)과, 코일 접속부(52S)와, 4개의 전극단자부 (53A, 53B, 53C, 53D) 및 쓰루홀부(53h)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시트모양의 코일(50)도 시트모양의 코일(40)과 같게, 코일(52)의 형상이 시 트모양의 코일(20)의 코일(22)과 다음과 같은 점에서 다를 뿐이며, 기타 구성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다. 즉, 시트모양의 코일(20)에서 코일(22)의 감기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좌측상방에 위치하는 전극단자부 (23A)에 접속하는 것에 대하여, 코일(52)의 감기는 외주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우 측하방에 위치하는 전극단자부(53D)에 접속한다.
또한, 시트모양의 코일(20)은 코일 접속부(22S)가 시트체(21)의 좌우중앙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시트모양의 코일(50)의 코일 접속부(52S)는 코일(52)의 내주에 배치되어 있으며, 시트체(51)의 좌우중앙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일 접속부(52S)(쓰루홀부(52Sh))에 코일(52)의 감기는 내주측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코일 접속부(52)가 시트체(51)의 면위에서의 위치(시트체(51)의 외주에 대한 위치)와, 코일 접속부(42S)가 시트체(41)의 면위에서의 위치(시트체(41)의 외 주에 대한 위치)는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
시트모양의 코일(50)은 상기 점을 제외한 외에,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코일(52), 전극단자부(53A, 53B, 53C, 53D)의 형성 및 쓰루 홀부(52Sh)와 쓰루홀부(53h)의 형성, 그리고 이 쓰루홀부 내부에 대한 동도금처리 에 대해서는 상술의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다.
코일(22)과 코일(52)은 내주측의 감기는 직경과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공영역(52A)이 형성되는 시트체(51)의 면위의 위치(시트체(51)의 외주에 대한 위치)는, 시트체(21)에 형성되는 공영역(22A)과 같은 위치(시트체(21)의 외주에 대한 위치)에 형성된다.
시트모양의 코일(50)도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게, 시트체(51)가 가요성을 소유하고, 또 코일(52)도 전해동박 혹은 압연동박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 가요성을 소유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시트모양의 코일(50)은 시트모양의 코일(20)과 같은 것을 시트모양의 코일(20)에 대하여 180도 회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4(E)에 나타내는 커버용 절연시트(60)는, 상하방향의 너비(L60)가 시트 체(20)(30, 40, 5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방향의 너비(W60)은, 도면 4(D)에 나타내는 전극단자부(53A)와 전극단자부(53B), 혹은 전극단자부(53C)와 전극단자부(53D)의 좌우방향의 배설간격(W)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용 절연시트(60)는 시트체(20)(30, 40, 50)와 같은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4개의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을 이 순서로 각각 코일이 형성되어 있는 면을 마주 향하지 않도록 즉, 뒷면이 표면에 겹치도록 하여 적층한다.
다시 말하면, 시트모양의 코일(30)의 시트체(31)의 측(코일(32)을 형성하지 않은 측)을 시트모양의 코일(20)의 코일(22)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향하게 하고 시트모양의 코일(20)과 시트모양의 코일(30)을 적층한다. 다음에, 시트모양의 코일 (40)의 시트체(41)의 측(코일(42)을 형성하지 않은 측)을 시트모양의 코일(30)의 코일(32)이 설치되어 있는 면측에 향하게 하고 시트모양의 코일(30)위에 시트모 양의 코일(40)을 적층한다. 또한, 시트모양의 코일(50)의 시트체(51)의 측(코일 (52)을 형성하지 않은 측)을 시트모양의 코일(40)의 코일(42)이 설치되어 있는 면 측에 향하게 하고 시트모양의 코일(40)위에 시트모양의 코일(50)을 적층한다. 또한, 적층하는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의 좌우상하의 방향은, 전극단자부(23A, 33A, 43A, 53A)가 좌측상방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하여 적층한다.
시트모양의 코일(20)에 시트모양의 코일(30)을 적층하는 경우에, 코일 접속부(22S)와 코일 접속부(32S)가 상하면의 방향에서 서로 마주 향하도록 적층한다. 이렇게, 코일 접속부(22S)와 코일 접속부(32S)가 상하면의 방향에서 서로 마주 향하도록 적층하면, 쓰루홀부(32Sh) 내부에 형성된 동도금과 쓰루홀부(22Sh) 내부에 형성된 동도금은 접속한다. 그리고, 코일(22)과 코일(32)은, 코일 접속부(22S)와 코일 접속부(32S)를 통하여 접속되고, 하나로 연결된 코일로서 구성된다. 전극단자부(23A)와 전극단자부(33B)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22)과 코일(32)의 전극단자부로 된다.
하지만, 1개의 시트체의 면위에 코일을 형성하고, 코일의 외주에 입출력용의 전극단자부를 설치하면, 내주측에 감긴 코일의 도선을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에 꺼 내는 부분에 있어서, 감겨있는 도선과 교차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이런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도선끼리가 교차하는 개소를 절연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구 성이 복잡하게 된다.
여기에 대하여, 시트모양의 코일(20, 30)을 상술한 것처럼 구성하면, 코일 접속부(22S)와 코일 접속부(32S)가 접속하도록 시트모양의 코일(20, 30)을 적층하는 것만으로도, 코일 접속부(22S)와 코일 접속부(32S)의 접속부를 제외하고 시트체(31)를 통하여 코일(22)과 코일(32)의 사이를 절연할 수 있으며, 전극단자부(23A, 33B)가 입출력용의 전극단자부로서 코일의 외주측에 배치된다.
시트모양의 코일(40)에 시트모양의 코일(50)을 적층하는 경우에도, 코일 접 속부(42S)와 코일 접속부(52S)가 상하면의 방향에서 서로 마주 향하도록 적층한 다. 이렇게, 코일 접속부(42S)와 코일 접속부(52S)가 상하면의 방향에서 서로 마주 향하도록 적층하면, 쓰루홀부(52Sh) 내부에 형성된 동도금과 쓰루홀부(42Sh) 내부에 형성된 동도금은 접속한다. 그리고, 코일(42)과 코일(52)은 코일 접속부(42S)와 코일 접속부(52S)를 통하여 접속되어 하나로 연결된 코일로서 구성된다. 전극단자부(43C)와 전극단자부(53D)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42)과 코일(52)의 전극단자부로 된다.
시트모양의 코일(40, 50)에 대해서도 시트모양의 코일(20, 30)과 같게, 코일 접속부(42S)와 코일 접속부(52S)가 접속하도록 시트모양의 코일(40, 50)을 적층하는 것만으로도, 코일 접속부(42S)와 코일 접속부(52S)의 접속부를 제외하고 시트체 (51)를 통하여 코일(42)과 코일(52)의 사이를 절연할 수 있으며, 전극단자부(43C, 53D)가 입출력용의 전극단자부로서 코일의 외주측에 배치된다.
또한,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은, 각 시트모양의 코일의 좌우변의 상하에 설치된 4개의 전극단자부가 각 시트모양의 코일에서 같은 위치관계에 있는 전극 단자부가 상하면의 방향에서 겹치도록 적층된다.
즉, 상기 적층을 통하여 전극단자부(23A, 33A, 43A, 53A)는 상하면의 방향에서 겹친다. 또한, 전극단자부(23B, 33B, 43B, 53B)가 상하면의 방향에서 겹친다. 또한, 전극단자부(23C, 33C, 43C, 53C)가 상하면의 방향에서 겹친다. 또한, 전극단자부(23D, 33D, 43D, 53D)가 상하면의 방향에서 겹친다.
이렇게 구성하면, 표면측에 배치된 전극단자부에 형성된 쓰루홀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동도금부가 뒷면측에 배치된 전극단자부에 접속하고, 전극단자부끼리가 쓰루홀부를 통하여 접속된다.
즉, 전극단자부(33A, 43A, 53A)의 각 쓰루홀부(33h, 43h, 53h)의 내주면에는 동도금이 실시된다. 때문에, 전극단자부(53A)는 쓰루홀부(53h)를 통하여 그 뒷면측에 배치되는 전극단자부(43A)에 접속한다. 또, 전극단자부(43A)는 쓰루홀부(43h)를 통하여 그 뒷면측에 배치되는 전극단자부(33A)에 접속한다. 또한, 전극단자부(33A)는 쓰루홀부(33h)를 통하여 그 뒷면측에 배치되는 전극단자부(23A)에 접속한다.
기타 전극단자부(23B, 33B, 43B, 53B), 전극단자부(23C, 33C, 43C, 53C), 전극단자부(23D, 33D, 43D, 53D)도 마찬가지로 쓰루홀부(33h, 43h, 53h)를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이상처럼 적층된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의 시트모양의 코일(50)의 면에 전극단자부(53A, 53B, 53C, 53D)를 덮지 않도록 커버용 절연시트(60)를 적층 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코일 유닛(70)을 구성한다.
도 4(E)에 나타내듯이, 커버용 절연시트(60)의 너비(W60)가 전극단자부 (53C)와 전극단자부(53D)의 좌우방향의 간격(W)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 에, 전극단자부(53A, 53B, 53C, 53D)를 덮지 않고 코일(52)만을 덮도록 적층할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을 적층하면, 시트체 (21, 31, 41, 51)가 각각 동일 형상으로 또 동일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은 외주연(外周緣)이 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적층되게 된다.
시트체(21, 31, 41, 51)의 면위에서 각각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공영역 (22A, 32A, 42A, 52A)는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의 상하면의 방향(적층방향)에 있어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코일(22, 32, 42, 52)는 이 공영역 (22A, 32A, 42A, 52A)에서 자로(磁路)를 공유하게 된다.
또한, 코일(32)과 코일(42)의 사이에는 시트체(41)가 개재(介在)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32)과 코일(42)은 서로 절연되어 있다.
상술하듯이,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 및 커버용 절연시트(60)를 적층한 상태에서 공영역(22A, 32A, 42A, 52A)의 내측을 구형으로 꿰뚫어 공부(空部)(70A)를 형성한다(도 3을 참조).
또,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 커버용 절연시트(60)의 상하변연부를 변연부(邊緣部)로부터 내측에 구형으로 우묵하게 되도록 꿰뚫어 요부(70B)를 형성 한다.
즉, 코일 유닛(70)은 내측에 공부(70A)가 형성되고, 상하변연부에 요부(70B) 가 형성된다.
이상처럼 구성된 코일 유닛(70)은, 각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 및 절연 시트(60)가 가요성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 유닛(70)도 가요성을 소유하게 된다.
다음에, 이렇게 구성된 코일 유닛(70)을 도 2에 나타내듯이, 상하면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자성체(80, 81)를 적층하여 가열 프레스를 진행한다.
시트모양의 코일(50)의 표면측에 적층되는 자성체(80)는 상하방향의 너비 (L80)와 좌우방향의 너비(W80)가 커버용 절연시트(60)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단자부(53A, 53B, 53C, 53D)를 덮지 않도록 적층된다.
시트모양의 코일(20)의 뒷면측에 적층되는 자성체(81)는 시트모양의 코일(20)과 대략 동일 크기의 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모양의 코일(20)의 시트체(21)의 뒷면 전면을 덮도록 적층된다.
자성체(80, 81)는 가요성을 소유한 엘라스토머(elastomer) 수지에 자성 분말인 철분을 혼합하여 형성되었으며, 가요성이 있는 자성체의 얇은 판자모양체 혹은 시트모양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하듯이, 코일 유닛(70)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가열 프레스를 진행하면, 공부(70A)와 요부(70B)에 자성체(80, 81)가 들어가고 또한, 코일 유닛(70)의 양측의 자성체(80, 81)가 융합하여 일체의 자성체로 되며, 코일(22, 32, 42, 52)에 대한 코어를 구성하게 된다.
그 결과, 도 1의 절단선A-A의 단면도인 도 5에 나타내듯이, 공부(70A)와 요부(70B)에 자성체(80, 81)가 존재하기 때문에, 코일(22, 32, 42, 52)에 전류가 흐를 때, 코일(22, 32, 42, 52)의 주위에 폐자로(閉磁路)가 형성된다.
이상처럼 구성된 가요성 코일(10)은, 코일 유닛(70)이 가요성을 소유하고 또 자성체(80, 81)도 가요성을 소유하기 때문에, 가요성 코일(10)도 가요성을 소유한다. 다시 말하면, 가요성 코일(10)은 자성체(80, 81)를 코어로 한 가요성을 소유한 코일로 된다.
가요성 코일(10)은 도 1에 나타내듯이, 전극단자부(53A, 53B, 53C, 53D)가 자 성체(80)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전극단자부(53A, 53B)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22, 32)의 전극단자부로서 기능하고, 또 전극단자부(53C, 53D)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 (42, 52)의 전극단자부로서 기능한다.
즉, 전극단자부(53A)는, 이 전극단자부(53A)에 설치된 2개의 쓰루홀부(53h)과 마주 향하여 하나로 연결된 전극단자부(43A)의 쓰루홀부(43h)과, 전극단자부 (33A)의 쓰루홀부(33h)을 통하여 코일(22)의 하나의 단부가 접속하는 전극단자부 (23A)에 전기 접속한다.
또한, 전극단자부(53B)는, 이 전극단자부(53B)에 설치된 2개의 쓰루홀부(53h)과 마주 향하여 하나로 연결된 전극단자부(43B)의 쓰루홀부(43h)과, 전극단자부(33B)의 쓰루홀부(33h)을 통하여 코일(32)의 하나의 단부가 접속하는 전극단자부(23B)에 전기 접속한다.
코일(22)과 코일(32)은 쓰루홀부(32Sh)을 통하여 서로 전기 접속하고 있다. 때문에, 전극단자부(53A, 53B)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22, 32)의 전극단자부로서 기 능한다.
또한, 전극단자부(53C)는 이 전극단자부(53C)에 설치된 2개의 쓰루홀부(53h) 을 통하여 코일(42)의 하나의 단부가 접속하는 전극단자부(43C)에 전기 접속한다. 또한, 전극단자부(53D)는 그대로 코일(52)의 전극단자부로 된다.
코일(52)과 코일(42)은 쓰루홀부(52Sh)을 통하여 서로 전기 접속하고 있다. 때문에, 전극단자부(53C, 53D)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42, 52)의 전극단자부로서 기 능한다.
이상처럼 구성된 가요성 코일(10)은, 이른바 2회로 4단자의 코일로서 구성되 게 된다.
즉, 코일 접속부(32S)에서 연결된 코일(22)과 코일(32)은, 일차 코일(一次 coil)(혹은 이차 코일)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또 코일 접속부(52S)에서 연결된 코일(52)과 코일(42)은 이차 코일(혹은 일차 코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단자부(53A, 53B)는, 코일(22)과 코일(32)측의 입출력단자로서 기능하고, 또 전극단자부(53C, 53D)는, 코일(42)과 코일(52)측의 입출력단자로서 기능한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시트체(21, 31, 41, 51)에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였지만, 그 외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수지, 나프탈산 폴리에틸렌(polyethylene naphthalate) 수지 등의 수지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자성체로서는 가요성을 소유한 엘라스토머 수지에 자성분말인 철분을 혼합하여 형성하였지만, 그외에, 가요성을 소유한 수지로서 고무모양의 가교체(架橋體)를 형성하는 실리콘 고무 혹은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여 이 수지에 철분 혹은 센더스터(sendust)분 또는 퍼멀로이(permalloy) 분말 등의 연자성(軟磁性) 금속(金屬粉末)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차측과 이차측 코일의 권수(卷數)를 동일 코일로서 표시하고 있지만, 일차측과 이차측 코일의 권수를 다르게 구성하면, 입력 전압과 출력전압이 권수의 비에 따라 승강압하는, 이른바 트랜스를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전극단자부(23B, 23C, 23D, 33C, 33D, 43D)는, 이것보다 하면측에 코일(22, 32)이 접속하는 전극단자부로 되어있지 않기에 불필요하다.
즉, 예를 들면, 전극단자부(33A, 43A)처럼 쓰루홀부(43h, 33h)을 통하여 전극단자부(53A)와, 코일(22)이 접속하는 전극단자부(23A)를 접속하는 기능을 수요하지 않는다.
때문에, 가요성 코일(10)의 기능상에서는 형성할 필요가 없지만, 형성하여도 기능하지 않을 뿐이기 때문에, 전극단자부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패턴(mask pattern)을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의 전부에 공용하여 코스트의 삭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형성한다. 즉, 시트체에 형성된 동박층에 전극단자부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레지스트부를 형성하기 위한 마스크 패턴을 시트모양의 코일(20, 30, 40, 50)의 전부에 공용하도록 한다.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가요성 코일(10)을 이용하면 예를 들면, 도 6의 그 래프에 나타내듯이 높은 결합계수(結合係數)를 얻을 수 있다.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의 사이에 비자성(非磁性)의 폴리이미드 필름인 시트체(41)가 끼워있기 때문에, 높은 결합계수를 확보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코일1은, 코일(22)과 코일(32)로 구성된 코일을 나타내며, 코일2은, 코일(42)과 코일(52)로 구성된 코일을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10)은, 코일 유닛(70')이 제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가요성 코일(10)의 코일 유닛(70)과 다를 뿐이기 때문에, 코일 유닛(70')의 구성과 제조방법을 중심으로 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코일 유닛(70')은 코일 유닛(70)과 만드는 방법이 다르며, 만드는 방법의 다름에 인한 구성의 다름을 제외하면 대략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때문에, 도 4에 설명한 코일 유닛(70)의 구성과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코일 유닛(70')은 코일 유닛(70)과 같게 2회로 4단자형의 코일로 되어 있다.
우선, 도 7(A)에 나타내듯이, 시트체(41)를 준비한다. 그리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시트체(41)의 표면과 뒷면에 전면에 걸쳐 전해동박을 붙이고, 시트체(41)의 양면에 동박층(32A, 42A)을 형성한다(도 7(B)). 다음에, 동박층 (32A)의 하면측에 레지스트(32B)를 도포하고, 또 동박층(42A)의 상면측에도 레지스트(42B)를 도포한 다(도 7(C)). 그리고, 도 7(D)에 나타내듯이, 레지스트(32B)에 대하여, 코일(32) 및 전극단자부(33A, 33B, 33C, 33D)의 패턴형상(도 4(B)를 참조)에 대응한 형상의 에칭 레지스트 패턴(etching resist pattern)(32B')을 형성한다. 또, 레지스트(42B)측에 대해서도, 코일(42) 및 전극단자부(43A, 43B, 43C, 43D)의 패턴형상(도 4(C)를 참조)에 대응한 형상의 에칭 레지스트 패턴(42B')을 형성한다.
그리고, 에칭처리(도 7(E)) 및 레지스트의 제거처리를 진행하고(도 7(F)), 시트체(41)의 상면에 코일(42) 및 전극단자부(43A, 43B, 43C, 43D)를 형성한다. 또, 시트체(41)의 하면에는 코일(32) 및 전극단자부(33A, 33B, 33C, 33D)를 형성한다. 즉, 시트체(41)에 코일(32) 및 코일(42)이 형성된 시트모양의 코일(41')이 구성된다.
다음에, 도 7(G)에 나타내듯이, 시트모양의 코일(41')의 상면에, 코일 (42) 및 전극단자부(43A, 43B, 43C, 43D)를 사이에 두도록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되는 시트체(51)를 적층한다. 또, 시트모양의 코일(41')의 하면에는, 코일(32) 및 전극단자부(33A, 33B, 33C, 33D)를 사이에 두도록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되는 시트체(31)를 적층한다. 또한, 시트체(51)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하여 전해동박을 붙이고 동박층(52A)을 형성한다. 시트체(31)의 하면에도 접착제를 통하여 전해동박을 붙이고 동박층(22A)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7(H)에 나타내듯이,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쓰루홀부 (22Sh) 및 쓰루홀부(32Sh)에 대응하는 위치에 쓰루홀부(H1)을 형성한다. 또, 도 4(C) 및 도 4(D)에 나타내는 쓰루홀부(42Sh) 및 쓰루홀부(52Sh)에 대응하는 위치에 쓰루홀부(H2)을 형성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각 전극단자부에 형성된 쓰루홀부(23h, 33h, 43h53h)에 대응하는 위치에 쓰루홀부(도시외)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 7(I)에 나타내듯이, 쓰루홀부(H1, H2)의 내주면, 도 4의 쓰루홀부(23h, 33h, 43h, 53h)에 대응하는 도시외의 쓰루홀부의 내주면 및 동박층(22A, 52A)의 전면을 덮는 도금층(M1)을 형성한다.
그리고, 쓰루홀부(H1, H2)의 내부 및 도금층(M1)을 덮도록 레지스트(R)를 도포 한다(도 8(J)). 그리고, 도 8(K)에 나타내듯이, 동박층(52A)의 상면측의 레지스트(R)에 대하여, 코일(52) 및 전극단자부(53A, 53B, 53C, 53D)의 패턴형상(도 4(D)를 참조)에 대응한 형상의 에칭 레지스트 패턴(52R)을 형성한다. 또, 동박층(22A)의 하면측의 레지스트(R)에 대하여, 코일(22) 및 전극단자부(23A, 23B, 23C, 23D)의 패턴 형상(도 4(A)를 참조)에 대응한 형상의 에칭 레지스트 패턴(22R)을 형성한다. 그리고, 에칭처리(도 8(L)) 및 레지스트의 제거처리를 진행하고(도면 8(M)), 시트체(51)의 상면에 코일(52) 및 전극단자부(53A, 53B, 53C, 53D)를 형성한다. 또, 시트체 (31)의 하면에 코일(22) 및 전극단자부(23A, 23B, 23C, 23D)를 형성한다.
즉, 시트모양의 코일(41')의 코일(42)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시트체(51)에 코일 (52)이 형성된 시트모양의 코일(51')이 적층된다. 또, 시트모양의 코일(41')의 코일 (32)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시트체(31)에 코일(22)이 형성된 시트모양의 코일(31')이 적층된다.
그리고, 도 8(N)에 나타내듯이, 시트모양의 코일(51')의 상면에, 코일(52)을 사이에 두도록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되는 커버용 절연시트(60)를 적층한다. 또, 시트 모양의 코일(31')의 하면에, 코일(22) 및 전극단자부(23A, 23B, 23C, 23D)를 사이에 두도록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되는 시트체(21)를 적층한다.
시트모양의 코일(41'), 시트모양의 코일(51'), 시트모양의 코일(31'), 시트체(60) 및 시트체(21)가 적층된 상태에서, 코일(22, 32, 42, 52)의 각 공영역(22A, 32A, 42A, 52A)의 내측을 구형으로 꿰뚫어 공부(70A)를 형성한다. 또, 시트모양의 코일(41'), 시트모양의 코일(51'), 시트모양의 코일(31'), 커버용 절연시트(60) 및 시트체 (21)의 상하 변연부를 변연부로부터 내측에 우묵하게 되도록 꿰뚫어 요부 (70B)를 형성한다.
이상처럼 제조된 코일 유닛(70')은, 쓰루홀부(H1)의 내주면에 형성된 도금층 (M1)을 통하여 코일(22)과 코일(32)이 접속하고, 코일(22)과 코일(32)은 하나로 연결된 코일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전극단자부(23A)와 전극단자부(33B)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22)과 코일(32)의 전극단자부로 된다. 또한, 쓰루홀부(H2)의 내주면에 형성된 도금층(M1)을 통하여 코일(42)과 코일(52)이 접속하고, 코일(42)과 코일 (52)은 하나로 연결된 코일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전극단자부(43C)와 전극단자부 (53D)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42)과 코일(52)의 전극단자부로 된다.
전극단자부(23A, 33A, 43A, 53A)는 상술하듯이, 도시외의 쓰루홀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도금층(M1)을 통하여 서로 접속하고 있다. 전극단자부(23B, 33B, 43B, 53B), 전극단자부(23C, 33C, 43C, 53C) 및 전극단자부(23D, 33D, 43D, 53D)도, 도시외의 쓰루홀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도금층(M1)을 통하여 서로 접속하고 있다. 즉, 전극단자부(53A)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22)과 코일(32)의 일방의 전극단자부인 전극단자부(23A)에 접속하고, 또 전극단자부(53B)는, 타방의 전극단자부인 전극단자부(33B)에 접속한다. 때문에, 전극단자부(53A)와 전극단자부(53B)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22, 32)의 전극단자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 전극단자부(53C)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42)과 코일(52)의 일방의 전극단자부인 전극단자부(43C)에 접속한다. 때문에, 전극단자부(53C)와 전극단자부(53D)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42, 52)의 전극 단자부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상처럼 제조된 코일 유닛(70')을 상술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듯이, 자성체 (80, 81)을 적층하여 가요성 코일(10)로서 구성한다.
(제1 변형예)
상술의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가요성 코일(10)의 코일 유닛(70)은 2회로 4단자형의 코일인 것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에서는 3회로 6단자의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 유닛(90)을 나타내고 있다.
코일 유닛(90)은 도 10(A)~(F)에 각각 나타내듯이, 6개의 시트모양의 코일 (91, 92, 93, 94, 95, 96)과, 도 10(G)에 나타내는 커버용 절연시트(97)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 유닛(90)은, 시트모양의 코일(91, 92)이 하나로 연결된 코일을 구성하고, 또 시트모양의 코일(93, 94)이 하나로 연결된 코일을 구성한다. 그리고, 또 시트모 양의 코일(95, 96)이 하나로 연결된 코일을 구성한다.
시트모양의 코일(91, 92, 93, 94, 95, 96)의 구성은 상술의 시트모양의 코 일(20) 등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시트모양의 코일(91, 92, 93, 94, 95, 96)의 각 구성부분과 시트모양의 코일(20) 등 구성부분의 대응만 설명하고,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코일(91A, 92A, 93A, 94A, 95A, 96A)는 코일(22) 등에 대응하며, 코일(22) 등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각 코일의 코일 접속부(91S, 92S, 93S, 94S, 95S, 96S)는 코일 접속부(22S) 등에 대응하며, 코일 접속부(22S) 등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쓰루홀부(91Sh, 92Sh, 93Sh, 94Sh, 95Sh, 96Sh)는 쓰루홀부(22Sh) 등에 대응하며, 쓰루홀부 (22Sh) 등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전극단자부(91B, 92B, 93B, 94B, 95B, 96B)는 전극단자부(23) 등에 대응하며, 전극단자부(23) 등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쓰루홀부(91h, 92h, 93h, 94h, 95h, 96h)는 쓰루홀부(23h) 등에 대응하며, 쓰루홀부(23h) 등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코일(91A, 92A, 93A, 94A, 95A, 96A)이 형성되어 있는 시트체(91C, 92C, 93C, 94C, 95C, 96C)는 시트체(21) 등에 대응하며, 시트체(21) 등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커버용 절연시트(97)는 커버용 절연시트(60)에 대응하며, 커버용 절연시트 (60)와 같은 구성이다.
도 9는 각 시트모양의 코일(91, 92, 93, 94, 95, 96) 및 커버용 절연시트(97)를 적층하여 구성된 코일 유닛(90)의 평면도이다.
공부(90A)는 공부(70A)에 상당하며, 또 요부(90B)는 요부(70B)에 상당하다.
코일(91A)과 코일(92A)은 코일 접속부(92S)를 통하여 접속되며, 하나로 연결 된 코일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좌측의 제일 상측의 전극단자부(91B)와 우측의 제일 상측의 전극단자부(92B)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91A)과 코일(92A)의 전극단자부로 된다.
코일(93A)과 코일(94A)은 코일 접속부(94S)를 통하여 접속되며, 하나로 연결 된 코일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좌측의 상하방향 한가운데의 전극단자부(93B)와 우측의 상하방향 한가운데의 전극단자부(94B)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93A)과 코일 (94A)의 전극단자부로 된다.
코일(95A)과 코일(96A)는 코일 접속부(96S)를 통하여 접속되며, 하나로 연결 된 코일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좌측의 제일 하측의 전극단자부(95B)과 우측의 제일 하측의 전극단자부(96B)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95A)과 코일(96A)의 전극단자부로 된다.
그리고, 시트모양의 코일(91, 92, 93, 94, 95, 96) 및 커버용 절연시트(97)를 적층한 상태의 코일 유닛(90)에 있어서, 제일 상측의 좌우의 전극단자부(96B)가 하나로 연결된 코일(91A)과 코일(92A)의 전극단자부로 되며, 상하방향 한가운데의 좌우의 전극단자부(96B)가 하나로 연결된 코일(93A)과 코일(94A)의 전극단자부로 된다. 또, 제일 하측의 좌우의 전극단자부(96B)가 하나로 연결된 코일(95A)과 코일(96A)의 전극단자부로 되며, 3회로 6단자의 코일이 구성된다.
(제2 변형예)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가요성 코일(10)은,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의 감기는 방향이 다른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좌측의 전극단자부(53A, 53C)를 입력단자로 하고, 우측의 전극단자부(53B, 53D)를 출력단자로 하였을 때,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의 감기는 방향이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코일 유닛(100)처럼,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의 감기는 방향이 같은 구성으로 되어도 좋다.
코일 유닛(100)은 도 12(A)~(D)에 각각 나타내듯이, 4개의 시트모양의 코일 (101, 102, 103, 104)과, 도 12(E)에 나타내는 커버용 절연시트(105)를 구비하고 있다.
코일 유닛(100)은, 시트모양의 코일(101, 102)이 하나로 연결된 코일을 구성 하고, 또 시트모양의 코일(103, 104)이 하나로 연결된 코일을 구성한다.
시트모양의 코일(101, 102, 103, 104)의 구성은 상술의 시트모양의 코일(20) 등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시트모양의 코일(101, 102, 103, 104)의 각 구성부분과 시트모양의 코일(20) 등의 구성부분의 대응만 설명하고,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코일(101A, 102A, 103A, 104A)는 코일(22)등에 대응하며, 코일(22) 등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각 코일의 코일 접속부(101S, 102S, 103S, 104S)는 코일 접속부(22S) 등에 대응하며, 코일 접속부(22S) 등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쓰루홀부(101Sh, 102Sh, 103Sh, 104Sh)는 쓰루홀부(22Sh) 등에 대응하며, 쓰루홀부(22Sh) 등과 같은 구성이다.
다만, 코일 유닛(20)에 있어서 코일(22)과 코일(32)은 좌측방향으로부터 시 계 방향으로 감기고, 또 코일(42)과 코일(52)은 좌측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감기는 것에 대하여, 코일 유닛(100)에 있어서는, 코일(101A)과 코일(102A) 및 코일(103A)과 코일(104A)이 모두 좌측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감기게 구성된 점에서 다르다.
또한, 전극단자부(101B, 102B, 103B, 104B)는 전극단자부(23) 등에 대응하며, 전극단자부(23) 등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쓰루홀부(101h, 102h, 103h, 104h)는 쓰루홀부(23h) 등에 대응하며, 쓰루홀부(23h) 등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코일(101A, 102A, 103A, 104A)가 형성되어 있는 시트체(101C, 102C, 103C, 104C)는 시트체(21) 등에 대응하며, 시트체(21) 등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커버용 절연시트(105)는 커버용 절연시트(60)에 대응하며, 커버용 절연시트(60)와 같 은 구성이다.
도 11은 각 시트모양의 코일(101, 102, 103, 104) 및 커버용 절연시트(105)를 적층하여 구성된 코일 유닛(100)의 평면도이다.
공부(100A)는 공부(70A)에 상당하며, 또 요부(100B)는 요부(70B)에 상당하다.
코일(101A)과 코일(102A)은 코일 접속부(102S)를 통하여 접속되며, 하나로 연결된 코일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좌측의 상측의 전극단자부(101B)와 우측의 상측의 전극단자부(102B)는 하나로 연결된 코일(101A)과 코일(102A)의 전극단자부로 된다.
코일(103A)과 코일(104A)는 코일 접속부(104S)를 통하여 접속되며, 하나로 연결된 코일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좌측 하측의 전극단자부(103B)와 우측 하측의 전극단자부(104B)가 하나로 연결된 코일(103A)과 코일(104A)의 전극단자부로 된 다.
시트모양의 코일(101, 102, 103, 104) 및 커버용 절연시트(105)를 적층한 상태의 코일 유닛(100)에 있어서 예를 들면, 좌측 상하의 전극단자부(104B)를 입력단자로 하고, 우측 상하의 전극단자부(104B)를 출력단자로 하였을 때, 하나로 연결된 코일(101A, 102A)과 하나로 연결된 코일(103A, 104A)로 구성된 코일은, 일차 코일 과 이차 코일의 감기는 방향이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기판에 실장이 가능한 가요성 코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가요성을 소유한 절연시트의 면에 따라 코일부가 형성된 시트모양의 코일과,
    자속을 공유하는 위치에서 적층되어 배설된 복수의 상기 시트모양의 코일을 사이에 두고 배설되는, 가요성을 소유한 자성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시트모양의 코일은 전기 코일부의 내주측에 설치된 코일 접속부와, 전기 코일부의 외주측에 설치된 전극단자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전극단자부는 뒷면측에 배설된 기타 전기 시트모양의 코일의 상기 전극단자부에 접속하는 단자접속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기 코일부의 내주측의 단부는 상기 코일 접속부에 접속되어 있고, 외주측의 단부는 상기 전극단자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일.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 코일 접속부와 단자접속부는, 내주면에 도전층이 형성된 쓰루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일.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시트모양의 코일을 한개 또는 복수개 겹칠 때 전기 코일부가 노출되는 측의 면을 기타 절연시트로 덮는 구성으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일.
  5. 제4항에 있어서,
    전기 기타 절연시트는 전기 시트모양의 코일보다 너비 치수가 작으며, 전기 기타 절연시트의 양단의 외측으로부터 전기 전극단자부가 노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일.
  6. 제2항에 있어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서 직경이 작아지는 전기 코일부를 소유한 시트모양의 코일과,
    동방향 주위에서 직경이 커지는 전기 코일부를 소유한 시트모양의 코일을 겹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일.
  7. 제2항에 있어서,
    전기 시트모양의 코일의 중앙 및 양단에 각각 구멍 및 요부를 형성하고, 전기 시트모양의 코일의 자성체가 그 구멍 내부 및 그 요부에 들어간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코일.
KR1020087012323A 2005-12-07 2006-10-05 가요성 코일 KR101120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3145 2005-12-07
JP2005353145A JP4965116B2 (ja) 2005-12-07 2005-12-07 可撓性コイ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854A true KR20080063854A (ko) 2008-07-07
KR101120532B1 KR101120532B1 (ko) 2012-03-07

Family

ID=3812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323A KR101120532B1 (ko) 2005-12-07 2006-10-05 가요성 코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73534B2 (ko)
EP (1) EP1965396B1 (ko)
JP (1) JP4965116B2 (ko)
KR (1) KR101120532B1 (ko)
CN (1) CN101310346B (ko)
DE (1) DE602006011366D1 (ko)
TW (1) TWI421887B (ko)
WO (1) WO20070664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971B1 (ko) * 2015-05-11 2016-06-01 주식회사 디팜스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634665B1 (ko) * 2015-06-02 2016-07-25 주식회사 디팜스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8777B2 (en) * 2008-07-29 2013-02-19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agnetic electrical device
JP5054445B2 (ja) * 2007-06-26 2012-10-24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5267907B2 (ja) * 2007-12-28 2013-08-21 国立大学法人九州工業大学 磁気力による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駆動装置、並びにセンサ
JP2010160142A (ja) * 2008-12-09 2010-07-22 Renesas Electronics Corp 信号送受信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およびテスタ装置
KR101072784B1 (ko) * 2009-05-01 2011-10-14 (주)창성 자성시트를 이용한 적층형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JP4699569B1 (ja) * 2010-01-13 2011-06-15 株式会社コスモメカニクス コイル装置
KR101373540B1 (ko) 2010-05-17 2014-03-12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내장용 전자 부품 및 부품 내장형 기판
JP5755414B2 (ja) * 2010-06-08 2015-07-2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5839535B2 (ja) * 2010-10-20 2016-01-06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平面コイル及びアクチュエータ
US9236171B2 (en) * 2010-10-21 2016-01-12 Tdk Corporation Coil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896631B1 (ko) * 2010-12-01 2018-09-07 파나소닉 주식회사 비접촉 충전모듈 및 비접촉 충전기기
WO2012101729A1 (ja) 2011-01-26 2012-08-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及び非接触充電機器
ITMI20111036A1 (it) * 2011-06-09 2012-12-10 F & B Internat S R L Induttore di campo magnetico
WO2012172812A1 (ja) 2011-06-14 2012-1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
WO2013065245A1 (ja) 2011-11-02 2013-05-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無線通信用コイル、伝送コイル及び携帯無線端末
US10204734B2 (en) 2011-11-02 2019-02-12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non-contact charging modul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JP5912479B2 (ja) * 2011-12-12 2016-04-2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磁気センサ装置
JP5873316B2 (ja) * 2011-12-14 2016-03-01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平面コイル、平面コイルの製造方法
JP5965148B2 (ja) * 2012-01-05 2016-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無線電力伝送を用いたモバイル端末用受電モジュール及び当該モバイル端末用受電モジュールを備えたモバイル端末用充電池
JP2013169122A (ja) 2012-02-17 2013-08-29 Panasonic Corp 非接触充電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JP6112383B2 (ja) 2012-06-28 2017-04-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携帯端末
KR20140011693A (ko) 2012-07-18 2014-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 인덕터용 자성체 모듈, 파워 인덕터 및 그 제조 방법
JP6500635B2 (ja) * 2015-06-24 2019-04-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コイル部品
CN107851503B (zh) * 2015-07-24 2019-10-2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柔性电感器
US9847165B2 (en) * 2015-10-08 2017-12-19 Kinsus Interconnect Technology Corp. Winged coi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304604B2 (en) * 2016-05-03 2019-05-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eformable inductive devices having a magnetic core formed of an elastomer with magnetic particles therein along with a deformable electrode
KR101825695B1 (ko) * 2016-05-16 2018-02-05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회로 보호 소자
US10525690B2 (en) 2016-09-07 2020-01-07 General Electric Company Additive manufacturing-based low-profile inductor
CA3040164A1 (en) * 2016-10-16 2018-04-19 Stimaire, Inc. Wireless neural stimulator with injectable
CN108022733A (zh) * 2016-10-28 2018-05-11 三星电机株式会社 共模滤波器及其制造方法
CN109872869B (zh) * 2017-12-04 2021-12-28 万国半导体(开曼)股份有限公司 一种隔离耦合结构
JP6777698B2 (ja) * 2018-09-11 2020-10-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KR102632370B1 (ko) * 2018-09-28 2024-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 부품
DE102019211399A1 (de) * 2019-07-31 2021-02-04 Würth Elektronik eiSos Gmbh & Co. KG Spulen-Anordnung und Vorrichtung zur drahtlosen elektromagnetischen Energieübertragung
JP2022177405A (ja) * 2021-05-18 2022-12-01 Tdk株式会社 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コイルパターン付き磁性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4813A (en) 1981-02-12 1982-08-20 Fujikura Ltd Laminated insulating tape
JPS57134813U (ko) * 1981-02-16 1982-08-23
US4959631A (en) * 1987-09-29 1990-09-25 Kabushiki Kaisha Toshiba Planar inductor
JP2958893B2 (ja) * 1988-06-20 1999-10-06 株式会社東芝 平面インダクタ
JPH033709A (ja) 1989-05-30 1991-01-09 Hitachi Seiko Ltd スピンドル
JPH033709U (ko) * 1989-05-31 1991-01-16
JP2949127B2 (ja) * 1991-01-18 1999-09-13 株式会社リコー プレーナ型トランス
DE19639881C2 (de) * 1996-09-27 1999-05-20 Siemens Matsushita Components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induktiven Bauelements
JPH10275725A (ja) * 1997-03-31 1998-10-13 Fuji Elelctrochem Co Ltd 積層チップ巻線部品
JP3615024B2 (ja) 1997-08-04 2005-0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JP3271566B2 (ja) * 1997-11-10 2002-04-02 エフ・ディ−・ケイ株式会社 積層回路部品
JP4291437B2 (ja) 1998-09-11 2009-07-08 北陸電気工業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部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1085230A (ja) * 1999-09-14 2001-03-30 Murata Mfg Co Ltd インダクタ
JP2001250722A (ja) * 2000-03-07 2001-09-14 Tdk Corp 高周波コイル
JP3436525B2 (ja) * 2000-11-22 2003-08-11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多層基板と電子部品と多層基板の製造方法
DE10122393A1 (de) * 2001-05-09 2002-11-14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Flexible Leiterfolie mit einer elektronischen Schaltung
JP2003078251A (ja) * 2001-06-18 2003-03-14 Tdk Corp セラミックチップ内蔵基板とその製造方法
WO2003096512A2 (en) 2002-05-13 2003-11-20 Splashpower Limited Contact-less power transfer
US7245175B2 (en) 2003-06-30 2007-07-17 Sanken Electric Co. Ltd. Semiconductor switch
JP2007503716A (ja) * 2003-08-26 2007-02-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極薄フレキシブル・インダクタ
JP2005303142A (ja) * 2004-04-14 2005-10-27 Murata Mfg Co Ltd 積層型コイル
JP2006210541A (ja) * 2005-01-27 2006-08-10 Nec Tokin Corp インダクタ
JP4769033B2 (ja) * 2005-03-23 2011-09-07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971B1 (ko) * 2015-05-11 2016-06-01 주식회사 디팜스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634665B1 (ko) * 2015-06-02 2016-07-25 주식회사 디팜스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21887B (zh) 2014-01-01
JP2007158151A (ja) 2007-06-21
EP1965396A4 (en) 2009-01-14
DE602006011366D1 (de) 2010-02-04
US8373534B2 (en) 2013-02-12
EP1965396B1 (en) 2009-12-23
JP4965116B2 (ja) 2012-07-04
WO2007066449A1 (ja) 2007-06-14
KR101120532B1 (ko) 2012-03-07
EP1965396A1 (en) 2008-09-03
CN101310346B (zh) 2011-09-14
TW200723319A (en) 2007-06-16
US20100001823A1 (en) 2010-01-07
CN101310346A (zh)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532B1 (ko) 가요성 코일
KR101434351B1 (ko) 코일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JP5381956B2 (ja) コイル部品
CN109036831B (zh) 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CN100538925C (zh) 薄膜共模滤波器和薄膜共模滤波器阵列
JPWO2005031764A1 (ja) 積層型磁性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7037294B2 (ja) コイル部品
DE3135962A1 (de) Mikrospulenanordnung
JP4877157B2 (ja) 薄膜コイルを備えたアンテナ、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アンテナの製造方法
JP2005159222A (ja) 薄膜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及び薄膜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アレイ
JPS58140104A (ja) 電気コイル
JPH09283335A (ja) 多層基板装置
JP6750756B2 (ja) 樹脂多層基板、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樹脂多層基板の製造方法
CN111415808A (zh) 平面型变压器
JPH11144958A (ja) 積層型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15962A (ja) トランス
JP3490149B2 (ja) 積層型チップトランス
US20230230737A1 (en) Multilayer coil component
JPH0238410Y2 (ko)
WO2023145106A1 (ja) コイ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る回路基板
US20240062948A1 (en) Coil component
JPH047581Y2 (ko)
JP2005136037A (ja) 積層トランス
JPH09199327A (ja) コイル部品
JPH0897038A (ja) 積層型チップトランス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