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665B1 -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665B1
KR101634665B1 KR1020150078079A KR20150078079A KR101634665B1 KR 101634665 B1 KR101634665 B1 KR 101634665B1 KR 1020150078079 A KR1020150078079 A KR 1020150078079A KR 20150078079 A KR20150078079 A KR 20150078079A KR 101634665 B1 KR101634665 B1 KR 10163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errite core
copper wire
fixed
enamel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팜스
Priority to KR102015007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제한된 공간 내에서 최대한 와이어를 권선시켜 우수한 특성을 갖는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덱터는, 표면에 절연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타입의 페라이트 코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에 에나멜 동선을 권선시켜서 형성한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양측부를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단에 각각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단에 끼움 설치되어 에나멜 동선의 양측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립에 의해 고정되는 에나멜 동선은: 상기 에나멜 동선을 탈피시킨 후, 그 탈피된 부위를 상기 고정클립으로 고정시켜 구성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flexible inductor and its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부품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도록 고투자율을 갖는 우수한 특성의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덕터는 저항, 콘덴서, 전자관, 트랜지스터, 전원 등과 함께 전기회로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부품 가운데 하나로서, 구리나 알루미늄 등을 나사 모양으로 여러 번 감은 권선(coil) 구조를 갖는다.
인덕터는 전류의 변화량에 비례해 전압을 유도함으로써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회로에 흐르고 있는 전류의 변화에 따라 전자기유도로 생기는 역기전력(逆起電力)의 비율, 또는 권선에 흐르는 시간의 변화량과 권선에 발생하는 기전력의 비를 인덕턴스(inductance)라고 한다. 인덕터의 기호는 자기적인 결합을 뜻하는 링키지(linkage)의 머리글자를 따서 알파벳 'L'로 표시한다.
인덕터에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인덕터의 한쪽을 갑자기 끊어 버리면, 전류는 순식간에 0이 되면서 매우 높은 전압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끊어진 회로 부위에는 스파크가 일어난다.
이런 원리를 이용해 인덕터는 각종 전자제품, 발진회로, 전원회로의 전류저장소자 등에서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막고, 전기 잡음을 걸러내는 필터 등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집적회로(IC)나 통신용 MMIC에서도 인덕터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SoC(System on Chip) 관련 기술이 등장하면서 여러 소자를 하나의 칩에 단일화하는 패키징 기술이 개발되고 있고, 이에 미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인덕터가 필요로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덕터는 정해진 인덕턴스를 유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소자로 정의되며, 인덕턴스 값은 인덕터 주변에 많은 자기장이 형성될수록 커지게 되는데, 큰 인덕턴스 값을 얻기 위해서는 긴 도선의 길이가 필요하다.
또한, 인덕턴스는 선로길이에 비례할 뿐 아니라 상호 유도작용에도 비례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 안에 선로를 최대한 잘 꼬아 놓는 식으로 만들어진다.
그런데, 인덕터를 마이크로칩 상에 패턴을 통해 형성하는 경우에 원하는 인덕턴스 값을 얻기 위해서는 선로를 길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공간적 제약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은 세 가지 형태의 인덕터를 이용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로칩 기판에 형성하는 인덕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은 나선형 인덕터(spiral imductor)를 나타낸다. 나선형 인덕터는 많이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한방향으로 동심원을 그리기 때문에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에서 같은 방향으로 자기장이 더해져서 작은 크기로 큰 인덕턴스 값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대체로 손실(loss)이 심해서 사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중앙부에서 외부 쪽으로 선로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에어 브리지(air bridge)나 다층 선로를 이용해야 한다는 약점이 있다.
도 2는 민더라인 인덕터(meander line inductor)를 나타낸다. 민더라인 인덕터는 에어 브리지가 필요 없도록 뱀처럼 꼬아놓은 것이다. 그런데, 민더라인 인덕터는 상호 인덕턴스가 서로 반대로 발생하기 때문에 서로 상쇄되어 크기에 비하여 높은 인덕턴스 값을 만들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루프 인덕터(loop inductor)를 나타낸다. 루프 인덕터는 모양과 성능이 좋지 않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다만, 필터링(filtering) 특성이 있어서 가끔 사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인덕터는 많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인덕턴스의 값이 큰 인덕터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고밀도 고기능 전자기기의 요구와 고주파 이동통신의 필요성에 따라서 전자소자의 소형화, 집적화가 요구되면서 작은 공간에서 큰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575358호의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된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과,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23032호의 "고효율 인덕터, 인덕터의 제조방법 및 인덕터를 이용한 패키징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들은 기판 혹은 필름에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기판 혹은 필름을 관통하도록 비아홀이 형성되고, 상기 비아홀이 연결되도록 도선부가 형성되어 코일을 형성하는 구조로서, 비아홀과 비아홀의 간격이 있기 때문에 코일을 형성하는데에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용량을 증대시기키 위한 많은 코일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0575358호,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된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국내 등록번호 제10-0723032호, 고효율 인덕터, 인덕터의 제조방법 및 인덕터를 이용한패키징 구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고 우수한 특성을 갖는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좌우 플렉시블이 가능하고 대량생산과 품질유지가 지속됨과 아울러 SMD(Surface Mount Device:표면실장)가 가능한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 인덕터는, 표면에 절연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타입의 페라이트 코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에 에나멜 동선을 권선시켜서 형성한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양측부를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단에 각각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단에 끼움 설치되어 에나멜 동선의 양측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립에 의해 고정되는 에나멜 동선은: 상기 에나멜 동선을 탈피시킨 후, 그 탈피된 부위를 상기 고정클립으로 고정 및 도전되도록 고정시켜 상기 고정클립이 패드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상기 에나멜 동선이 권선되는 권선영역과, 상기 권선영역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나멜 동선의 양측부가 고정클립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영역을 구비하되, 상기 권선영역에는 에나멜 동선이 밀착되도록 권선되고, 상기 고정영역에는 에나멜 동선을 탈피한 상태에서 그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상기 고정영역에 감은 다음, 상기 고정영역에 감긴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상기 고정클립으로 고정 및 도전되도록 하여 패드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하부 고정편과, 상기 하부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상부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고정편에는 고정돌부가 상기 하부 고정편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 고정편에는 고정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돌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고정영역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고정편이 소정 경사를 이루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단에서 고정클립이 끼움되면, 상기 상부 고정편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 고정편의 경사가 수평을 이루며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부에 위치되어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상부 고정편에 하부로 절곡되어 텐션을 갖도록 된 텐션유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클립은 외주면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 실장용 요입홈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적어도 한층 이상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나멜 동선은 적어도 1겹 이상 여러 겹으로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덱터의 제조방법은, 권선영역과, 상기 권선영역의 양단부에 고정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영역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필름 타입의 페라이트 코어를 제공하는 단계; 페라이트 코어의 표면에 절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절연 코팅층이 형성된 페라이트 코어의 권선영역에 에나멜 동선을 권선시켜 코일부를 형성하되, 상기 에나멜 동선의 양단은 고정영역에 감길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남겨둔 상태로 상기 권선영역에 에나멜 동선이 밀착되도록 권선시키는 단계; 권선된 에니멜 동선의 양단이 페라이트 코어의 고정영역에 감길 수 있는 길이로 남겨 진 에나멜 동선을 탈피시키는 단계;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고정영역에 감는 단계; 및 고정영역에 감겨진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영역에 고정클립을 끼워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립은: 페라이트 코어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하부 고정편과, 상기 하부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상부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고정편에는 고정돌부가 상기 하부 고정편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 고정편에는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고정편이 소정 경사를 이루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단에서 고정클립을 끼운 후, 상기 상부 고정편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상부면 전체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 고정편의 경사가 수평을 이루게 함에 의해 상기 고정영역에 상기 상부 고정편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부에 위치되어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고정 및 도전되도록 하여 패드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되는 페라이트 코어에는, 상기 권선영역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영역의 외측으로 절취홈부에 의해 구분되도록 지지영역을 더 구비하여 제공되어, 상기 지지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페라이트 코어를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 각 단계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최종적으로 상기 지지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덕터에 의하면, 우수한 특성 및 전자부품의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좌우 유연성을 가짐과 아울러 표면 실장이 가능하고, 자동화에 의한 대량 생산 및 품질유지가 지속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나선형 인덕터(spiral imductor)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민더라인 인덕터(meander line inductor)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루프 인덕터(loop inductor)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덕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변형예로서, 페라이트 코어가 2층으로 적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7표시의 다른 변형예로서, 페라이트 코어가 3층으로 적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7표시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되는 에나멜 동선이 2겹으로 권선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덕터에 구비되는 페라이트 코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시의 "C"부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1표시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덕터에 구비되는 고정클립을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표시의 고정클립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표시의 고정클립을 밑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4표시의 고정클립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클립의 상부 고정편에 텐션유지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덕터를 제조하기 위해 페라이트 코어에 에나멜 동선이 권선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표시의 "D"부 확대도이고,
도 20은 도 18표시의 "E"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터를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덕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7표시의 변형예로서, 페라이트 코어가 2층으로 적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7표시의 다른 변형예로서, 페라이트 코어가 3층으로 적층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7표시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되는 에나멜 동선이 2겹으로 권선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덕터에 구비되는 페라이트 코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시의 "C"부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1표시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덕터에 구비되는 고정클립을 위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표시의 고정클립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표시의 고정클립을 밑에서 보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4표시의 고정클립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클립의 상부 고정편에 텐션유지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덕터를 제조하기 위해 페라이트 코어에 에나멜 동선이 권선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표시의 "D"부 확대도이고, 도 20은 도 18표시의 "E"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덕터는 필름 타입의 페라이트 코어(110)와 코일부(120) 및 고정클립(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는 표면에 절연 코티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연 코팅층은 코일부(120)를 형성하기 위해 에나멜 동선(122)을 권선시킬 때 페라이트 코어(110)의 모서리부에서 에나멜 동선(122)의 피복이 벗겨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는 얇은 박막의 0.1mm 이하의 두께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2 ~ 4mm의 폭으로 30 ~ 40mm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용되는 제품의 구조와 "L" 값에 따라 특성에 맞추어 두께 조정과 적층이 가능하다. 즉, 얇은 박막의 페라이트 코어(110)를 적어도 한층 이상 다층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에나멜 동선(122)을 권선시키켜 제품을 제조하게 되면 "L"값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는 코일부(120)의 형성을 위해 에나멜 동선(122)이 권선되는 권선영역(112)과, 상기 권선영역(112)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나멜 동선(122)의 양측부가 고정클립(130)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영역(1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영역(114)은 권선영역(112)의 양단에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권선영역(112)에는 에나멜 동선이 밀착되도록 권선됨에 의해, 제한된 면적에 보다 많은 수로 권선시킬 수 있어 소형화를 꾀하면서도 용량은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에나멜 동선은 적어도 1겹 이상 여러 겹으로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에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한 장의 페라이트 코어(110) 혹은 적층된 상태의 페라이트 코어(110)에 한겹 혹은 여러 겹으로 에나멜 동선을 권선시켜 "L"갑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영역(114)에는 에나멜 동선(122)을 탈피시킨 후, 그 탈피된 에나멜 동선(122a)을 고정영역(114)에 감은 다음, 고정영역(114)에 감긴 탈피된 에나멜 동선(122a)을 고정클립(130)으로 고정시키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코일부(120)는 페라이트 코어(110)의 권선영역(112)에 에나멜 동선(122)을 권선시켜서 형성된다. 이러한 에나멜 동선(122)은 인가 전류를 허용하며, 얇을 수로 좋으나, "L" 값에 따라 0.06mm, 0.08mm, 0.1mm를 직경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클립(130)은 코일부(120)의 양측부를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양단에 각각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양단에 끼움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클립(130)에 의해 에나멜 동선(122)의 양측부를 고정영역(114)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클립(130)에 의해 고정되는 에나멜 동선(122)은 상기 에나멜 동선(122)을 탈피시킨 후, 그 탈피된 부위를 상기 고정클립(130)으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고정클립(130)은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하부 고정편(132)과, 상기 하부 고정편(132)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상부 고정편(13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 고정편(134)에는 고정돌부(136)가 상기 하부 고정편(132)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136)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 고정편(132)에는 고정홈부(138)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돌부(136)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고정영역(114)에는 관통공(1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편(134)이 소정 경사를 이루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양단에서 고정클립(130)이 끼움되면, 상기 상부 고정편(134)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 고정편(134)의 경사가 수평을 이루며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돌부(136)가 상기 관통공(116)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부(138)에 위치되어 탈피된 에나멜 동선(122)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클립(130)은 상기 상부 고정편(134)에 하부로 절곡되어 텐션을 갖도록 한 텐션유지부(134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텐션유지부(134a)에 의해 보다 확실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고정클립(130)은 인청동이나 황동 등의 도전성 금속 표면에 니켈 혹은 은 도금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고정클립(130)의 외주면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 실장용 요입홈부(1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면 실장용 요입홈부(131)에 의해 본 발명의 플렉시블 인덕터를 SMD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클립(130)은 에나멜 동선(122)을 페라이트 코어(110)의 양단부에 도전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SMD 시킬 수 있는 패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인덕터의 제조방법은, 권선영역(112)과 상기 권선영역(112)의 양단부에 고정영역(114)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영역(114)에는 각각 관통공(116)이 형성된 필름 타입의 페라이트 코어(11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공된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표면에는 절연 코팅층을 형성한다. 또한, 절연 코팅층이 형성된 페라이트 코어(110)의 권선영역(112)에 에나멜 동선(122)을 권선시켜 코일부(1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에나멜 동선(122)의 양단은 고정영역(114)에 감길 수 있는 길이(대략 30mm 정도)를 갖도록 남겨둔 상태로 상기 권선영역(112)에 에나멜 동선(122)이 밀착되도록 권선시킨다.
또한, 권선된 에나멜 동선(122)의 양단이 페라이트 코어(110)의 고정영역(114)에 감길 수 있는 길이로 남겨 진 에나멜 동선(122)을 탈피시키고, 그 탈피된 에나멜 동선(122a)을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고정영역에 감는다. 이후, 고정영역(114)에 감겨진 탈피된 에나멜 동선(122a)을 고정클립(130)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영역(114)에 고정클립(130)을 끼워 탈피된 에나멜 동선(122a)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탈피된 에나멜 동선(122a)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고정클립(130)은 페라이트 코어(110)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하부 고정편(132)과, 상기 하부 고정편(132)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상부 고정편(13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고정편(134)에는 고정돌부(136)가 상기 하부 고정편(132)을 향하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부(136)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 고정편(132)에는 고정홈부(13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편(134)은 소정 경사를 이루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양단에서 고정클립(130)을 끼운 후, 상기 상부 고정편(134)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의 상부면 전체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 고정편(134)의 경사가 수평을 이루게 함에 의해 상기 고정영역(114)에 상기 상부 고정편(134)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돌부(136)가 상기 관통공(116)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부(138)에 위치되어 탈피된 에나멜 동선(122a)을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에는 상기 권선영역(112)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영역(114)의 외측으로 절취홈부(118a)에 의해 구분되도록 지지영역(118)을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영역(118)을 이용하여 상기 페라이트 코어(110)를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 각 단계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최종적으로 상기 지지영역(118)을 제거한다. 이러한 지지영역(118)에 의해 공정을 편리하게 하고, 또 자동화 기기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소형화를 꾀하면서도 용량은 증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페라이트 코어 112 - 권선영역
114 - 고정영역 116 - 관통공
120 - 코일부 122 - 에나멜 동선
130 - 고정클립 131 - 표면 실장용 요입홈부
132 - 하부 고정편 134 - 상부 고정편
136 - 고정돌부 138 - 고정홈부

Claims (8)

  1. 플렉시블 인덕터에 있어서,
    표면에 절연 코팅층이 형성된 필름 타입의 페라이트 코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에 에나멜 동선을 권선시켜서 형성한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양측부를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단에 각각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단에 끼움 설치되어 에나멜 동선의 양측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립에 의해 고정되는 에나멜 동선은:
    상기 에나멜 동선을 탈피시킨 후, 그 탈피된 부위를 상기 고정클립으로 고정 및 도전되도록 고정시켜 상기 고정클립이 패드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덕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상기 에나멜 동선이 권선되는 권선영역과, 상기 권선영역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나멜 동선의 양측부가 고정클립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영역을 구비하되,
    상기 권선영역에는 에나멜 동선이 밀착되도록 권선되고,
    상기 고정영역에는 에나멜 동선을 탈피한 상태에서 그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상기 고정영역에 감은 다음, 상기 고정영역에 감긴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상기 고정클립으로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덕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하부 고정편과, 상기 하부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상부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고정편에는 고정돌부가 상기 하부 고정편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 고정편에는 고정홈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돌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고정영역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고정편이 소정 경사를 이루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단에서 고정클립이 끼움되면, 상기 상부 고정편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 고정편의 경사가 수평을 이루며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부에 위치되어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고정 및 도전되도록 하여 패드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덕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상부 고정편에 하부로 절곡되어 텐션을 갖도록 된 텐션유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덕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외주면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면 실장용 요입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덕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는 적어도 한층 이상 다층으로 설치되고,
    상기 에나멜 동선은 적어도 1겹 이상 여러 겹으로 권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덕터.
  7. 플렉시블 인덕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권선영역과, 상기 권선영역의 양단부에 고정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영역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필름 타입의 페라이트 코어를 제공하는 단계;
    페라이트 코어의 표면에 절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절연 코팅층이 형성된 페라이트 코어의 권선영역에 에나멜 동선을 권선시켜 코일부를 형성하되, 상기 에나멜 동선의 양단은 고정영역에 감길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남겨둔 상태로 상기 권선영역에 에나멜 동선이 밀착되도록 권선시키는 단계;
    권선된 에니멜 동선의 양단이 페라이트 코어의 고정영역에 감길 수 있는 길이로 남겨 진 에나멜 동선을 탈피시키는 단계;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고정영역에 감는 단계; 및
    고정영역에 감겨진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영역에 고정클립을 끼워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립은:
    페라이트 코어의 하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하부 고정편과, 상기 하부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상부 고정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고정편에는 고정돌부가 상기 하부 고정편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부 고정편에는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고정편이 소정 경사를 이루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양단에서 고정클립을 끼운 후, 상기 상부 고정편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상부면 전체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 고정편의 경사가 수평을 이루게 함에 의해 상기 고정영역에 상기 상부 고정편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돌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홈부에 위치되어 탈피된 에나멜 동선을 고정 및 도전되도록 하여 패드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덕터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제공되는 페라이트 코어에는,
    상기 권선영역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고정영역의 외측으로 절취홈부에 의해 구분되도록 지지영역을 더 구비하여 제공되어, 상기 지지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페라이트 코어를 지지 고정한 상태에서 각 단계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최종적으로 상기 지지영역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덕터의 제조방법.
KR1020150078079A 2015-06-02 2015-06-02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63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079A KR101634665B1 (ko) 2015-06-02 2015-06-02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079A KR101634665B1 (ko) 2015-06-02 2015-06-02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665B1 true KR101634665B1 (ko) 2016-07-25

Family

ID=5661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079A KR101634665B1 (ko) 2015-06-02 2015-06-02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6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213A (ko) * 2003-06-18 2004-12-3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된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5353989A (ja) * 2004-06-14 2005-12-22 Jfe Ferrite Corp 複合型インダクタ
KR20070042711A (ko) * 2005-10-19 2007-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인덕터, 인덕터의 제조방법 및 인덕터를 이용한패키징 구조
KR20080063854A (ko) * 2005-12-07 2008-07-07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가요성 코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213A (ko) * 2003-06-18 2004-12-31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된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575358B1 (ko) 2003-06-18 2006-05-03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여 형성된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5353989A (ja) * 2004-06-14 2005-12-22 Jfe Ferrite Corp 複合型インダクタ
KR20070042711A (ko) * 2005-10-19 2007-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인덕터, 인덕터의 제조방법 및 인덕터를 이용한패키징 구조
KR100723032B1 (ko) 2005-10-19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인덕터, 인덕터의 제조방법 및 인덕터를 이용한패키징 구조
KR20080063854A (ko) * 2005-12-07 2008-07-07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가요성 코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0321B2 (en) Method of making electronic transformer/inductor devices
JP4446487B2 (ja) インダクタおよ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US20040130428A1 (en) Surface mount magnetic core winding structure
CN1933051B (zh) 电感器
KR101565700B1 (ko) 칩 전자부품, 이의 제조방법 및 그 실장기판
JP5339398B2 (ja) 積層インダクタ
KR20150108518A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9266A (ko) 칩 전자부품 및 그 실장기판
KR102143005B1 (ko) 인덕터 및 그 실장 기판
KR20170118430A (ko)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5603788B2 (ja) コ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33140A (ko) 코일 전자 부품 및 그 제조방법
EP2413334A2 (en) Iron-core coil assembly
KR20170058599A (ko)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60043857A (ko) 칩 전자부품 및 칩 전자부품의 실장 기판
JP2016139799A (ja) 巻線型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87489B1 (ko) 멀티 트랜스포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08109139A (ja) いくつかのコイルブランチを有するコイル、及び当該コイルの一つを有するマイクロインダクタ
KR20170103422A (ko) 코일 부품
KR101634665B1 (ko) 플렉시블 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CN112466597B (zh) 电感器部件
JP3672792B2 (ja) ラインフィルタ
CN107077952B (zh) 线圈部件
KR20180017409A (ko) 인덕터
WO2015198956A1 (ja) コイル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