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100A - 피반송물 반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반송 방법 및 화상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피반송물 반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반송 방법 및 화상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100A
KR20080031100A KR1020070036914A KR20070036914A KR20080031100A KR 20080031100 A KR20080031100 A KR 20080031100A KR 1020070036914 A KR1020070036914 A KR 1020070036914A KR 20070036914 A KR20070036914 A KR 20070036914A KR 20080031100 A KR20080031100 A KR 20080031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late
conveyed
sheet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8614B1 (ko
Inventor
오사무 우토
도시카즈 다쿠보
데츠오 이시즈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1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08Automatic supply devices interacting with the rest of the apparatus, e.g. selection of a specific casset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장치의 각 구성물을 서로 고(高)강성으로 위치 결정하고 유지하면서, 피반송물(被搬送物)의 반송이 양호한 피반송물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 통로를 포함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을 위치 결정하면서 유지하는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 판형상 부재를 가지며, 상기 반송 수단에서의 반송 통로의 일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가 그 일부를 구성하는 반송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피반송물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 출력부, 반전 반송부, 지지 부재, 반전 반송 통로

Description

피반송물 반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반송 방법 및 화상 형성 방법{CONVEYED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CONVEYING METHOD AND IMAGE FORMING METHOD}
도 1은 제 1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 1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지지 부재의 저판(底板)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 2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화상 형성 장치 2 : 화상 출력부(화상 형성 수단)
7 : 반전 반송부(반전 반송 수단) 8 : 지지 부재(지지 수단)
60 : 반전 반송 통로 86, 96, 97 : 볼록부
P : 시트(기록 매체)
본 발명은, 피반송물(被搬送物) 반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반송 방법 및 화상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고, 토너상을 시트재(材)에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시트재를 유도하는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수단과, 상기 장치 본체 내에 병렬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1매 이상의 시트재를 각각 수납하는 복수의 시트재 수납 수단과, 상기 시트재 수납 수단의 어느 하나로부터 급송(給送) 패스(path)를 거쳐 급지되는 시트재를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수단에 유도하는 레지스트레이션 도입 패스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된 시트재 위의 화상을 시트재에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과, 상기 정착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시트재를 반전(反轉)하여 배출 수단으로 유도하는 반전 배지(排紙) 수단과, 상기 정착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시트재를 반송하고, 상기 시트재를 다시 화상 형성하기 위해 반전하는 양면 반전 패스와, 양면 반전 시에 시트재를 흡인하는 흡인 패스와, 상기 반전된 시트재를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수단까지 반송하는 양면 반송 패스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재 수납 수단의 상방(上方) 근방에 상기 흡인 패스를 배치하고, 상기 상방 근방에 상기 양면 배송 패스를 설치하고, 상기 시트재 수납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급송 패스를, 상기 양면 반송 패스에 합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2004-069770호 공보
본 발명은, 장치의 각 구성물을 서로 고강성으로 위치 결정하고 유지하면서, 피반송물의 반송이 양호한 피반송물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반송(搬送) 장치는, 피반송물을 반송하는 반송 통로를 포함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을 위치 결정하면서 유지하는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 판형상 부재를 가지며, 상기 반송 수단에서의 반송 통로의 일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가 그 일부를 구성하는 반송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피반송물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반송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추가되어,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는, 상기 피반송물이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반송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추가되어,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는, 상기 반송 통로의 일부에 상기 피반송물이 침입하는 방향으로, 기부(基部)로부터 정상부에 걸쳐 경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른 반송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추가되어, 상기 판형상 부재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 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피반송물이 반송되는 방향에서의 상기 피반송물의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 매체에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해 화상이 전사된 상기 기록 매체를 다시 상기 전사 수단에 반송하는 재반송 통로를 포함하는 재반송 수단과, 상기 전사 수단 및 상기 재반송 수단을 서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는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 판형상 부재를 가지며, 상기 재반송 수단에서의 재반송 통로의 일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판형상 부재가 그 일부를 구성하는 재반송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록 매체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추가되어, 상기 재반송 수단은,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해 일면(一面)에 화상이 형성된 상기 기록 매체를 반전(反轉)하여 다시 상기 전사 수단에 반송하는 반전 반송 수단이며, 상기 반전 반송 수단은 반전 반송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상 부재가 상기 반전 반송 수단에서의 반전 반송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추가되어,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는,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추가되어,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는, 상기 재반송 통로의 일부에 상기 기록 매체가 침입하는 방향으로, 기부로부터 정상부에 걸쳐 경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추가되어, 상기 판형상 부재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따른 반송 방법은, 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반송 통로를 통하여 피반송물을 반송하고, 상기 반송 수단을 위치 결정하면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 판형상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 수단을 위치 결정하면서 유지하고, 상기 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반송 통로의 일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가 그 일부를 구성하는 반송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피반송물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전사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에 화상을 전사하고, 재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재반송 통로를 통하여 화상이 전사된 상기 기록 매체를 재반송하고, 위치 결정 유지 수단에 의해 상기 전사 수단 및 상기 재반송 수단을 서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 판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재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재반송 통로의 일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판형상 부재가 그 일부를 구성하는 재반송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록 매체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플래튼(platen)(10) 위에 놓여진 원고(11)의 화상 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이것을 CCD 센서(12)에 의해 전기적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입력부(1), 및 화상 입력부(1)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트(P)(기록 매체) 위에 화상 형성을 행하는 화상 출력부(2)(화상 형성 수단)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화상 입력부(1)에는 플래튼(10)에 대하여 원고(11)를 자동 급송하는 원고 자동 이송 장치(13)를 갖고 있다.
화상 출력부(2)는 화상 입력부(1)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광체 드럼(20) 위에 토너상을 형성한 후, 이러한 토너상을 시트(P)에 전사함으로써 상기 시트(P) 위에 기록 화상을 형성하고 있다.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P)는 정착기(4)를 통하여 배출 트레이(50) 위에 배출된다.
또한, 화상 출력부(2)의 감광체 드럼(20)은 소정 프로세스 속도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回動)하고 있고, 그 주위에는, 이러한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을 소정 배경부 전위까지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코로트론(corotron)(21),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조된 레이저빔으로 감광체 드럼(20)을 노광(露光)하고, 상기 감광체 드럼(20) 위에 정전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레이저빔 스캐너(22), 감광체 드럼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現像)하는 현상기(23), 시트(P)에 대한 토너상의 전사에 앞서 감광체 드럼(20) 위의 전위를 제거하는 전사 전(前)처리 코로트론(24), 및 토너상의 전사가 종료된 후 감광체 드럼(20) 위의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너(2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부호 "26"은, 현상기(23)에 공급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카트리지이다. 또한, 이상의 부품은 화상 출력부(2)의 구성 부품이다.
한편, 시트(P)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3)는 구동 롤러 및 종동 롤러에 감겨져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고, 감광체 드럼(20) 위에 형성되는 토너상은 반송 벨트(3)에 의해 반송된 시트(P)에 전사되도록 되어 있다. 반송 벨트(3)를 사이에 끼워 감광체 드럼(20)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감광체 드럼(20)과의 사이에 전사 전계(電界)를 형성하는 전사 롤러(30)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벨트(3)의 소정 위치에는, 반송 벨트(3)의 표면으로부터 종이 가루나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벨트 클리너(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부품은 반송 벨트(3)의 구성 부품이다.
또한, 화상 출력부(2)의 하방(下方)에는 화상 출력부(2)에 대하여 시트(P)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부(5)가 배치되어 있다. 급지부(5)에는, 사이즈가 상이한 시트 (P)를 수용한 4개의 급지 트레이(5a∼5d)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급지부(5)에는 시트(P)를 1매씩 화상 출력부(2)에 반송하기 위해서, 트레이(5a∼5d)에 수용되어 있는 최상위의 시트(P)를 화상 출력부(2)를 향하여 반송하는 픽업 롤러(51), 및 픽업 롤러(51)에 의해 반송된 시트(P)가 복수매 중첩된 상태에서 화상 출력부(2)에 반송되는 소위 중첩 반송을 방지하기 위한 공급 롤러(52a) 및 지연 롤러(52b)가, 픽업 롤러(51)의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의 하류 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급지부(5)에는 각 급지 트레이(5a∼5d)로부터 토너상의 전사 위치에 이르는 시트(P)의 반송 경로 상에 복수의 반송 롤러(53)가 배열 설치된다. 또한, 급지부(5)에는 전사 위치 직전에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롤러(54)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5)는, 급지 트레이(5a∼5d)로부터 반송된 시트(P)를 감광체 드럼(20)에 대한 정전 잠상의 기입 타이밍에 동기한 소정 타이밍에서 전사 위치에 반송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일측(一側) 단부(端部)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 외부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00) 내부로, 시트(P)를 공급하는 급송 장치(55)가 설치되어 있다. 급송 장치(55)는 시트(P)가 놓여지는 트레이(56), 및 트레이(56)에 놓여 있는 시트(P)를 1매씩 화상 형성 장치(100) 내부에 반송하는 반송부(57)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부(57)는, 트레이(56)에 놓여 있는 최상위의 시트(P)를 화상 형성 장치(100) 내부를 향하여 반송하는 픽업 롤러(58), 및, 픽업 롤러(58)에 의해 반송된 시트(P)가 복수매 중첩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 내부에 반송되는 소위 중첩 반송을 방지하기 위한 공급 롤러(59a) 및 지연 롤러(59b)가 픽업 롤러(58)의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의 하류 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착기(4)와 배출 트레이(50) 사이에는, 정착기(4)로부터 배출된 시트(P)를 반전하여 배출 트레이(50)에 배출하는 반전 배출부(6)가 배치되어 있다. 반전 배출부(6)에는 반전 배출 통로(60)가 형성되어 있다. 반전 반송 통로(60)는 정착기(4)로부터 배출된 시트(P)를 흡인하기 위한 제 1 반전 배출 통로(62), 및 흡인한 시트(P)의 반송 방향을 역회전하여 배출 트레이(50)에 배출하기 위한 제 2 반전 배출 통로(64)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반전 배출 통로(62)에는 반송 롤러(6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제 2 반전 배출 통로(64)에는 반송 롤러(66)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 트레이(50) 직전에는 배출 롤러(67)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출력부(2)의 하방으로서 급지부(5)에서의 급지 트레이(5a∼5d)의 상방에는, 화상 출력부(2)에서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시트(P)를 반전하여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다시 화상 출력부(2)에 반송하는 반전 반송부(7)(반전 반송 수단)가 배치되어 있다. 반전 반송부(7)에는 반전 반송 통로(70)가 형성되어 있다. 반전 반송 통로(70)는, 정착기(4)로부터 배출된 시트(P)를 흡인하기 위한 제 1 반전 반송 통로(72), 및 흡인한 시트(P)의 반송 방향을 역회전하여 화상 출력부(2)에 반송하기 위한 제 2 반전 반송 통로(74)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반전 반송 통로(72)에는 반전 반송 롤러(7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제 2 반전 반송 통로(74)에는 반송 롤러(76)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급지부(5)에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4)의 상류 측에, 급지 트레이(5a∼5d), 급송 장치(55), 및 반전 반송부(7)로부터 반송된 시트(P)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4)에 반송하는 반송 롤러(6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출력부(2), 반송 벨트(3), 정착기(4), 급지부(5)의 일부, 반전 배출부(6), 및 반전 반송부(7)는 지지 부재(8)(지지 수단)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반송 벨트(3), 정착기(4), 급지부(5)의 일부, 반전 배출부(6) 및 반전 반송부(7)(인출 유닛(U))는 지지 부재(8)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 레일(81, 82)에 지지되어 전면(前面)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화상 입력부(1)에 의해 받아들여진 원고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빔 스캐너(22)가 감광체 드럼(20)을 노광하고, 감광체 드럼(20) 위에는 화상 정보에 대응한 정전 잠상의 기입이 행해진다. 이 정전 잠상은 현상기(23)에 의해 그 기입 타이밍으로부터 조금 늦게 현상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토너상은 전사 롤러(30)에 의해 소정 타이밍에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55)로부터 반송된 시트(P)에 전사되고, 미정착 토너상이 전사된 시트(P)는 정착기(4)를 통하여 배출 트레이(50)에 배출된다.
또한, 정착기(4)에 의해 미정착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P)는 반전 배출부(6)에 반송됨으로써 반전하여 배출 트레이(50)에 배출된다.
또한, 정착기(4)에 의해 일면에 형성된 미정착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P)는, 반전 반송부(7)에 반송됨으로써 반전하여 화상 출력부(2)에 다시 반송되고 양면에 화상이 형성되어 배출 트레이(50)에 배출된다.
도 2은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지지 부재(8)를 나타내는 사 시도이다. 지지 부재(8)는 정면(正面)을 개구하는 거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화상 출력부(2), 반송 벨트(3), 정착기(4), 급지부(5)의 일부, 반전 배출부(6) 및 반전 반송부(7)를 지지하고 있다. 지지 부재(8)의 저부(底部)에는 저판(底板)(84)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8)의 저판(84)은 반전 반송부(7)의 제 1 반전 통로(72)의 저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지지 부재(8)의 저판(84)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저판(84)의 평면도이다. 도 3의 (b)는 저판(84)의 측면도이다. 도 3의 (c)는 도 3의 (a)의 AA단면도이다.
저판(84)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판(84)에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볼록부(86)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86)의 높이 H는 예를 들어 2㎜ 이상 6㎜ 이하이다. 볼록부(86)는 저판(84)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86)는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86)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볼록부(86)의 길이 L은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인 시트(P)의 폭이 최대 사이즈인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사용하는 시트(P)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86)는 제 1 반전 반송 통로(72)에 시트(P)가 침입하는 방향으로, 기부(基部)로부터 정상부에 걸쳐 소정 각도(θ)로 경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소정 각도(θ)는 예를 들어 10° 이상 20° 이하이다. 또한, 볼록부(86)는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에서의 복수 시트(P)의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W)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 시트(P)는 예를 들어 관제 엽서 사이즈 시 트, B5사이즈 시트, A4사이즈 시트, B4사이즈 시트 및 A3사이즈 시트이다. 소정 간격(W)은 시트(P)가 제 1 반전 반송 통로(72)에 흡인되었을 때에, 시트(P)가 볼록부(86) 사이를 하나 이상 걸쳐지는 간격이다.
또한, 인출 유닛(U)의 후단부에는, 시트(P)가 제 1 반전 반송 통로(72)에서 시트가 걸린 경우에, 인출 유닛(U)의 인출 동작에 따라 걸려 있는 시트를 제거하기 위한 부재(도시 생략)가 볼록부(86)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지지 부재(9)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제 1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지지 부재(8)를 지지 부재(9)로 변경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 부재(9)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지지 부재(8)의 저판(84)을 저판(94)으로 변경한 것이다.
저판(94)은 거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판(94)에서의 제 1 반전 반송 통로(72)에 시트(P)가 침입하는 방향의 상류 측에는,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96)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96)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서의 볼록부(96)의 길이는,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인 시트(P)의 폭이 최대 사이즈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사용하는 시트(P)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96)는 제 1 반전 반송 통로(72)에 시트(P)가 침입하는 방향으로, 기부로부터 정상부에 걸쳐 경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판(94)에는,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및 소정 길이로서 제 1 반전 반송 통로(72)에 시트(P)가 침입하는 방향으로 넓어지는, 'ハ' 형상으로 복수의 볼록부(97)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97)는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거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직선에 대하여 'ハ' 중심에서 거의 대조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97)의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의 선단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96) 및 볼록부(97)는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에서의 복수 시트(P)의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W)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 시트(P)는 예를 들어 관제 엽서 사이즈 시트, B5사이즈 시트, A4사이즈 시트, B4사이즈 시트 및 A3사이즈 시트이다. 소정 간격(W)은 시트(P)가 제 1 반전 반송 통로(72)에 흡인되었을 때에, 시트(P)가 볼록부(96) 및 볼록부(97) 사이의 하나 이상 걸쳐지는 간격이다. 또한, 볼록부(96) 및 볼록부(97)은 저판(94)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하는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저판(94)의 시트(P)가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양(兩) 가장자리부에는 오목부(98, 9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출 유닛(U)의 후단부에는, 시트(P)가 제 1 반전 반송 통로(72)에서 시트가 걸린 경우에, 인출 유닛(U)의 인출 동작에 따라 걸려 있는 시트를 제거하기 위한 부재(도시 생략)가 볼록부(96) 및 볼록부(97)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지지 부재의 저판을 반전 반송부의 반전 통로의 저면으로서 사용하고 있지만, 지지 부재의 측판(側板)이나 상판을, 각각 반전 통로의 측면, 상면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반전 반송부가 아니고 비(非)반전 반송부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부재로서는, 장치 본체 전체에 따른 것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장치 내의 일부 구성 부품을 지지하는 소위 서브 프레임, 유닛 프레임 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시트 형상 피반송물 반송 장치로서, 실시예에서는 제로그래피(xerography) 방식으로 화상 판독 장치를 탑재한 소위 디지털 복사기를 예로 들고 있지만, 화상 형성 방식으로서 잉크젯 등 제로그래피 방식 이외의 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고, 화상 판독 장치가 없는 프린터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옵션(option)으로 제공되는 시트 공급 장치나 후(後)처리 장치에의 적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송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의 구성 요소인 판형상 부재에 볼록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판형상 부재의 굴곡 및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위치 결정 유지 수단 전체의 강성을 높이면서, 피반송물의 반송이 양호한 피반송물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의 강성을 높이면서, 기록 매체의 재반송이 양 호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기록 매체의 재반송이 양호함과 동시에 반전 반송에 적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판형상 부재에서의 볼록부에 대한 피반송물 끝의 접촉이 거의 평행해지도록 할 수 있고, 본 발명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피반송물에 작용하는 경사 방향의 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판형상 부재에서의 볼록부에 대하여 피반송물의 끝이 접촉하는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피반송물이 반송되는 방향에서의 피반송물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서도 피반송물의 반송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1)

  1. 피반송물(被搬送物)을 반송하는 반송 통로를 포함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을 위치 결정하면서 유지하는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 판형상 부재를 가지며,
    상기 반송 수단에서의 반송 통로의 일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가 그 일부를 구성하는 반송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피반송물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는, 상기 피반송물이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는, 상기 반송 통로의 일부에 상기 피반송물이 침입하는 방향으로, 기부(基部)로부터 정상부에 걸쳐 경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 부재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피반송물이 반송되는 방향에서의 상기 피반송물의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5. 기록 매체에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해 화상이 전사된 상기 기록 매체를 다시 상기 전사 수단에 반송하는 재반송 통로를 포함하는 재반송 수단과,
    상기 전사 수단 및 상기 재반송 수단을 서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는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 판형상 부재를 가지며,
    상기 재반송 수단에서의 재반송 통로의 일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판형상 부재가 그 일부를 구성하는 재반송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록 매체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반송 수단은, 상기 전사 수단에 의해 일면(一面)에 화상이 형성된 상 기 기록 매체를 반전(反轉)하여 다시 상기 전사 수단에 반송하는 반전 반송 수단이며, 상기 반전 반송 수단은 반전 반송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상 부재가 상기 반전 반송 수단에서의 반전 반송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는,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는, 상기 재반송 통로의 일부에 상기 기록 매체가 침입하는 방향으로, 기부로부터 정상부에 걸쳐 경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 부재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판형상 부재에서의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상기 기록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에서의 상기 기록 매체의 길이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반송 통로를 통하여 피반송물을 반송하고,
    상기 반송 수단을 위치 결정하면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송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 판형상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반송 수단을 위치 결정하면서 유지하고,
    상기 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반송 통로의 일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가 그 일부를 구성하는 반송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피반송물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방법.
  11. 전사 수단에 의해 기록 매체에 화상을 전사하고,
    재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재반송 통로를 통하여 화상이 전사된 상기 기록 매체를 재반송하고,
    위치 결정 유지 수단에 의해 상기 전사 수단 및 상기 재반송 수단을 서로 위치 결정하여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유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를 갖는 판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재반송 수단을 포함하는 재반송 통로의 일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가, 상기 판형상 부재로부터 상기 판형상 부재가 그 일부를 구성하는 재반송 통로를 통과하는 상기 기록 매체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KR1020070036914A 2006-10-03 2007-04-16 화상 형성 장치 KR1009086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71632A JP4586788B2 (ja) 2006-10-03 2006-10-03 被搬送物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6-00271632 2006-10-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255A Division KR100948560B1 (ko) 2006-10-03 2009-04-20 피반송물 반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반송 방법 및 화상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100A true KR20080031100A (ko) 2008-04-08
KR100908614B1 KR100908614B1 (ko) 2009-07-21

Family

ID=392613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914A KR100908614B1 (ko) 2006-10-03 2007-04-16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0034255A KR100948560B1 (ko) 2006-10-03 2009-04-20 피반송물 반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반송 방법 및 화상 형성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255A KR100948560B1 (ko) 2006-10-03 2009-04-20 피반송물 반송 장치, 화상 형성 장치, 반송 방법 및 화상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73299B2 (ko)
JP (1) JP4586788B2 (ko)
KR (2) KR100908614B1 (ko)
CN (1) CN1011588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72455C (en) 2004-06-04 2014-10-28 Therasense, Inc. Diabetes care host-client architecture and data management system
US8029441B2 (en) 2006-02-28 2011-10-04 Abbott Diabetes Care Inc. Analyte sensor transmitter unit configuration for a data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WO2011041531A1 (en) 2009-09-30 2011-04-07 Abbott Diabetes Care Inc. Interconnect for on-body analyte monitoring device
JP5071515B2 (ja) * 2010-04-22 2012-11-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136845B2 (en) 2011-02-28 2018-11-27 Abbott Diabetes Care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with analyte monitoring device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1382A (en) * 1986-01-29 1988-01-26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having a sheet refeeding device
JPH1026864A (ja) * 1996-07-11 1998-01-27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757590B2 (ja) * 1997-12-19 2006-03-2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紙搬送装置及び紙搬送方法
KR100315638B1 (ko) * 1999-06-24 2001-12-12 윤종용 전자사진 복합기
JP3754899B2 (ja) * 2001-03-09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ガイド手段、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882823B2 (en) * 2002-01-08 2005-04-1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JP2004069770A (ja) 2002-08-01 2004-03-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107008A (ja) * 2002-09-18 2004-04-08 Fuji Xerox Co Ltd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83807B2 (ja) * 2003-08-29 2009-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154120A (ja) 2003-11-27 2005-06-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5308853A (ja) 2004-04-19 2005-11-0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7559642B2 (en) * 2004-12-08 2009-07-1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material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59266B2 (ja) * 2005-03-15 2010-10-06 株式会社リコー 構造体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80890A1 (en) 2008-04-03
KR20090049570A (ko) 2009-05-18
CN101158824A (zh) 2008-04-09
US7873299B2 (en) 2011-01-18
KR100948560B1 (ko) 2010-03-18
JP2008087926A (ja) 2008-04-17
KR100908614B1 (ko) 2009-07-21
JP4586788B2 (ja) 2010-11-24
CN101158824B (zh)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46515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原稿送り装置、画像形成装置
KR100908614B1 (ko) 화상 형성 장치
JP6428674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944195B1 (ko) 피반송물 반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4262631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3904041B2 (ja) 電子写真装置
JP2001226016A (ja) 画像形成装置
JP4836881B2 (ja) シート搬送路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252468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26343A (ja) 記録媒体搬送装置
JP200106389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95382A (ja) 給紙搬送ガイ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5094600B2 (ja) 原稿搬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114323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93715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29850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50114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566631A (ja) 画像記録装置
JPH10120239A (ja) 記録媒体搬送装置
JPH0364771A (ja) 両面転写装置
JPH113272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5555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31818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4359411A (ja)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4765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