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3560A -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3560A
KR20070083560A KR1020077005904A KR20077005904A KR20070083560A KR 20070083560 A KR20070083560 A KR 20070083560A KR 1020077005904 A KR1020077005904 A KR 1020077005904A KR 20077005904 A KR20077005904 A KR 20077005904A KR 20070083560 A KR20070083560 A KR 20070083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dhesive tape
fixing
pressure
plastic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308B1 (ko
Inventor
후미카즈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무사시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사시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사시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05Blocking means, chucks or the like; Align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렌즈 가공기에 피가공 렌즈를 장착하는 경우, 피가공 렌즈와 지지용 치구와의 사이에 개재된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점착 대상면에 개구되어 있는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폼 재와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점착 대상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압축변형 후의 탄성복귀에 따라 점착 대상면에 흡착하는 흡착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은 표면 처리된 렌즈에 대해서도 충분한 전단 접착력을 발휘하여 정확한 렌즈 가공을 실현한다.
렌즈 가공기, 렌즈, 점착 테이프

Description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가공방법{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FOR FIXING LENS AND METHOD FOR PROCESSING LEN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의 면삭 가공이나 홈 파기 가공 등의 경우에 렌즈 표면을 보호하고 지지 치구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를 이용한 렌즈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안경용의 렌즈 등에 있어서는, 프레임의 형상, 디자인 등에 맞추어 렌즈 형상을 조절하기 위한 렌즈 가공이 필요하여, 숫돌에 의한 면삭 가공이나 홈 파기 가공 등의 기계가공(소위 옥형 가공)이 수행되고 있다. 렌즈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기계가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소위 렌즈 연삭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렌즈 제조업체로부터 공급되는 렌즈를 상기 렌즈 연삭기에 장착하고, 숫돌로 외주부를 연삭함으로써 안경의 프레임 형상에 맞춘 형상의 렌즈를 수득할 수 있다.
렌즈 연삭기는, 예를 들면 렌즈를 가공하기 위한 연삭실을 가지며, 그 양측에 배치된 구동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클램프 축에 의해 렌즈를 끼우고, 이것을 회전하면서 외주부를 숫돌로 연삭가공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한쪽 의 클램프 축의 끝에는 지지용 치구가 장착되고, 다른 쪽의 클램프 축의 끝은 고무 등의 탄성체가 설치된 렌즈 압착기가 장착되어, 이들 사이에 피가공 렌즈를 끼움으로써 피가공 렌즈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용 치구를 직접 피가공 렌즈의 표면과 접촉시키면, 피가공 렌즈의 표면을 더럽힐 우려가 있는 점, 지지용 치구가 미끄러져 축 차이가 생겨 정확한 가공을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는 점 등으로부터, 지지용 치구에 의해 피가공 렌즈를 끼우는 경우에는, 지지용 치구와 피가공 렌즈의 사이에 점착 테이프를 개재시키는 것이 시행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안경용의 렌즈 등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표면 코팅이 실시되어 오고 있으며, 일반적인 점착 테이프로는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예를 들면, 표면에 오염물이 부착되기 어렵게 한 방오 렌즈에서는, 표면에 예를 들어 함불소 실란 화합물 등의 발수물질을 코팅함으로써 방오층(발수 코팅)이 형성되지만, 이 발수 코팅은, 오염물이 부착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에 대해서도 흡습성이 낮고, 또한 마찰계수도 현저히 작다. 따라서, 일반적인 점착 테이프로는 지지력을 크게 할 수 없으며, 축 차이로 인해 정확한 가공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점착 테이프에 의한 렌즈 고정에 대해서, 여러가지 개선이 시험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 등을 참조).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 기재의 발명에서는, 렌즈의 표면보다 점착제에 대한 흡습성이 양호한 표면을 가지며, 또한 렌즈 측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투명한 점착 시트를 렌즈 표면에 점착하고, 이 점착 시트 상에 양면 점착테이프를 매개하여 지지용 치구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기재의 발명에서는, 점착 시트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지지력을 크게 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 2 기재의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함불소 실란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형성되는 방오층에 대하여 접착력이 좋은 점착 테이프를 분별하는 방법을 검토하여, 시험판으로서 불소변성 실리콘 이형제로 표면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판을 이용한 경우에 소정의 값 이상의 접착력을 선정함으로써 방오층에 대한 접착력을 확보하고, 축 차이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122302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249454호
발명의 개시
그러나, 특허문헌 1 기재의 발명과 같이, 점착 시트와 양면 점착테이프를 병용하는 방법에서는, 이들 시트나 테이프를 점착하는 작업이 번잡한 것이 될 뿐만 아니라, 면적이 큰 점착 시트가 필요하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불만이 있다. 또한, 발수 코팅에 따라서는, 점착 시트의 면적을 크게 하여도 반드시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없으며, 축 차이를 완전히 해소하는 것은 어렵다.
한편, 특허문헌 2 기재의 발명과 같이, 점착 테이프의 접착력에 착안할 경우, 될 수 있는 한 방오층에 대하여 접착력이 높은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축 차이 방지와 관련되지만, 단지 단순히 접착력이 높은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면, 필(peel) 강도가 지나치게 커져, 가공 후에 점착 테이프를 벗길 경우, 방오층 등도 박리할 가능성이 생기고, 표면 코팅에 손상 보조편을 형성하는 등이 필요하게 되어, 점착 테이프의 비용 증가 등에도 관련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실정에 비추어 제안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표면 처리된 렌즈에 대하여도 충분한 접착력을 발휘하고, 여분인 점착 시트 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강도로 렌즈를 고정할 수 있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면서, 필 강도에 대해서는 적당한 값을 갖고, 강한 보유력의 부여와 박리의 용이함을 양립할 수 있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의 사용에 의해, 피가공 렌즈의 착탈이 용이하고, 게다가 축 차이 등이 없이 정확한 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렌즈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는, 렌즈 가공기에 피가공 렌즈를 장착하는 경우에, 피가공 렌즈와 지지용 치구의 사이에 개재되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로서, 점착 대상면에 개구되어 있는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폼 재와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점착 대상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압축변형 후의 탄성복귀에 따라, 점착 대상면에 흡착하는 흡착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가공 방법은, 피가공 렌즈를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를 개재하여 지지용 치구에 고정하고 기계 가공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로서, 점착 대상면에 개구되어 있는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폼 재와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점착 대상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압축변형 후의 탄성복귀에 따라 점착 대상면에 흡착하는 흡착 기능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렌즈 가공의 경우에, 피가공 렌즈를 지지용 치구에 고정하고 회전시키면서 숫돌로 가공하는 것을 고려했을 경우, 피가공 렌즈와 지지용 치구의 사이에 개재되는 점착 테이프에는 큰 전단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전단 접착력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가 있다.
점착 대상면에 개구되어 있는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폼 재와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점착 대상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압축변형 후의 탄성복귀에 따라 점착 대상면에 흡착하는 흡착 기능을 갖는 점착 테이프는, 종래의 점착 테이프에 비교해서 현저하게 전단 접착력이 강하고, 흡착 기능에 의해 지착면에 대하여 안정하게 점착되는 강점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단 접착력은, 표면에 발수 코팅 등이 실시된 렌즈에 대해서도 충분하게 발휘된다. 따라서, 표면처리된 피가공 렌즈의 고정에 최적이다. 실제로, 상기 흡착 기능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사용해서 발수 코팅이 실시된 피가공 렌즈를 고정한 결과, 그 높은 전단 접착력에 의해, 축 차이 등이 발생함 없이 안정한 고정 상태가 실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면에 발수 코팅 등의 피막을 갖는 피가공 렌즈의 고정을 고려했을 경우, 박리에 대한 박리 접착력(필 강도)이 지나치게 높으면, 표면 코팅을 손상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흡착 기능을 갖는 점착 테이프는, 전단 접착력은 대단히 높지만, 박리 접착력이 낮아 박리성이 높은 점착 테이프이다. 따라서, 박리의 경우에 표면 코팅을 파손함 없이, 가공 후에는 신속하게 렌즈 표면으로부터 박리된다. 또한, 박리를 위한 박리 보조편 등도 필요없다.
본 발명의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에 의하면, 표면 처리된 렌즈에 대해서도 충분한 전단 접착력을 발휘하고, 여분인 점착 시트 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강도로 피가공 렌즈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는, 강한 전단 접착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박리 접착력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 후의 박리가 용이하며, 렌즈 표면의 코팅층 등을 손상할 일도 없다.
한편, 본 발명의 렌즈 가공 방법에 의하면, 피가공 렌즈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축 차이 등을 일으킴 없이 정확하게 기계가공, 예를 들면 숫돌에 의한 면삭 가공이나 홈 파기 가공 등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의 구조예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의 평면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피가공 렌즈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피가공 렌즈의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의 다른 구조예를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이 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및 렌즈 가공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렌즈 분류용 점착 테이프의 기본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는 소위 강점구조를 구성하는 것이며, 점착재 층을 구비한 플라스틱폼 재에 있어서, 적어도, 이 플라스틱폼 재의 점착 대상에 점착되는 면(점착면)에 개구되어 있는 구멍이, 이 플라스틱폼 재의 압축변형 후에 있어서의 탄성복귀에 따라, 상기 점착 대상면에 대하여 부압(負壓)의 상태로 흡착하는 흡착 기능을 갖추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강점구조에 있어서는, 점착 기능과 흡착 기능이 동시에 부착면에 작용하여 부착 대상물 서로를 확실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강점구조에 있어서는, 플라스틱폼 재에서의 흡착면, 특히 구멍의 개구 주변이 점착제에 의해 점착 대상면에 대하여 점착되게 되고, 이 플라스틱폼 재에 흡착 기능을 초래하는 구멍의 흡착면에 대한 기밀상태에서의 밀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구성에 관한 강점구조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점착면에서의 개구공의 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면, 또는 점착면에서의 개구공의 내부면을 제외한 면을 덮어서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특히, 구멍의 내부면의 전부를 점착제층으로 덮어서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는, 플라스틱폼 재에 있어서, 흡착에 이용되는 구멍에서의 기밀성을, 이 구멍의 내부에 있어서도 점착제층에 의해 조장할 수 있다. 또한, 구멍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된 부분을 점착제층으로 덮어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는, 점착 대상면에 대한 플라스틱폼 재의 압축의 경우에, 이 구멍의 가장자리가 점착 대상면에 밀착하고, 구멍에 있어서의 흡착 기능을 조장하도록 기능한다. 아울러, 구멍의 내부를 제외한 면에 점착제층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는, 플라스틱폼 재가 점착제층에 의해 점착 대상면에 대하여 확실하게 점착하고, 또한, 구멍의 흡착 기능에 의해 점착 대상면에 확실하게 흡착됨과 동시에, 플라스틱폼 재에 있어서의 탄성변형이 상기 점착제층에 의해 저해되지도 않는다.
진공흡착 기능을 갖는 구멍은, 점착제층과 함께, 점착면에 개구하고 있는 구멍을, 이 개구 이외의 부분에서 막아진 독립의 구멍으로서 구성하거나, 또는 점착면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는 구멍을 서로 연통하면서도 점착제층과 함께 점착면 이외의 면에 연통, 개구하지 않은 구성을 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기밀상태의 연통공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점착면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는 구멍을 플라스틱폼 재의 내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각 구멍에 연통하면서도, 이 점착면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플라스틱폼 재의 외면에 점착제층과 함께 연통하게 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기밀상태의 구멍을 구성하는 경우 등, 어떠한 실시태양의 구성을 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이러한 흡착 기능을 갖는 구멍은, 플라스틱폼 재에 구비되어 있는 점착제층과 함께 부착 대상물에 대하여 점착되는 점착면 이외의 면을 비통기구조로 함으로써, 점착면에 개구되어 있는 구멍에 대하여 점착 대상면에 대한 진공흡착 기능을 가져오도록 하여도 좋다.
점착면에 개구하고 있는 구멍에 대하여, 플라스틱폼 재에 구비되어 있는 점착제층과 함께 압축 후의 탄성복귀에 따른 흡착 기능을 가져오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플라스틱폼 재의 점착면이외의 면에 합성수지액을 도포하고, 점착면이외의 면을 비통기성의 수지 코팅면으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폼 재는, 상기의 각종 태양에 따라 점착면에 개구되어 있는 각 구멍에 대하여, 이 구멍의 압축 변경 후의 탄성복귀 시에 진공흡착 기능을 가져오는 구성을 갖춘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발포체이어도 무방하며, 예를 들면 연속 기포 타입의 플라스틱폼 재, 독립 기포 타입의 플라스틱폼 재 및 독립 기포와 연속 기포의 혼재 타입의 플라스틱폼 재 등, 임의의 폼 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예를 들면 종연(縱連) 기포 타입의 플라스틱폼 재는 전형적인 플라스틱폼 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시트나 부직포 등의 기재를 플라스틱폼 재의 한 면이나 플라스틱폼 재의 시트의 두께 방향의 대략 중심부에 배치한 구조를 갖고 있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 점착면에 설치된 점착제층에는, 전형적으로는, 용제 타입의 우레탄계 점착제, 용제 타입의 아크릴계 점착제, 또는 에멀젼 타입의 아세트산 비닐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비교적 점성이 강한 점착제를 롤러 코팅 방법 등에 의해 플라스 틱폼 재의 점착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폼 재의 점착면에 대하여, 비교적 점성을 약화시킨 점착제를 닥터 나이프 코팅방법 등에 의해 플라스틱폼 재에 형성되는 구멍의 내부 전부 또는 일부를 덮도록 도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는, 붙일 수 있는 접합부재(피가공 렌즈)에 대하여, 압축 후에 있어서의 탄성복귀에 따르는 구멍이 있는 진공흡착 기능과, 이 구멍을 갖는 면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의한 점착 기능에 의하여, 견고한 지착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의 단면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1)는, 아크릴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이들의 발포체 등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시트(41)를 기재로 하여 이 기재인 플라스틱 시트(41)의 양면에 대하여, 플라스틱폼 재(10, 10)를 일체로 구비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라스틱폼 재(10)는, 점착면 N에 개구하는 다수의 구멍(11)을 갖는 동시에, 이 점착면 N에 각각 점착체층(20)이 형성되어, 강점구조 A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플라스틱폼 재(10)의 점착면 N에 설치되어 있는 각 강점구조 A는, 박리 라이너(30)에 의해 보호되어 있고, 이 강점구조 A를 사용하여 부착 대상물(피가공 렌즈)을 지착한다. 이러한 강점구조 A에 의한 부착 대상물이 지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 강점구조 A를 구성하는 점착체층(20)의 표면을 덮고 있는 박리 라이너(30)를 제거하고, 이 강점구조 A를 구성하고 있는 플라스틱폼 재(10)에 있어서 의 점착체층(20)면을 부착 대상물의 점착 대상면에 대하여 일단 가압한다. 그 후, 이 가압을 해제하고, 부착 대상물에 대하여 플라스틱폼 재(10)를 점, 흡착 상태로 지착한다. 반대측의 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상이 본 발명의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의 구성이지만, 상기 구조를 갖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안경용의 렌즈 형상에 대응한 형상에 구멍을 뚫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길이 방향의 치수L과 폭 방향의 치수W가 안경용 렌즈의 치수비율과 거의 동등한 비율이 되도록 육각형으로 구멍을 뚫을 수 있다. 중앙의 구멍(1a)은, 예를 들면 피가공 렌즈에 설치된 마커를 확인하기 위한 구멍이다.
상술한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는, 피가공 렌즈의 고정에 사용하는 경우, 뛰어난 전단 접착력을 발휘하고, 축 차이 등을 일으킴 없이 확실하게 이를 고정할 수 있다. 표 1에, 본 발명의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의 전단 접착력을 통상의 점착 테이프와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전단 접착력은, 일본공업규격 JIS Z 0237에 준거해서 측정하였다. 테이프 부착 면적은 25mm×25㎜, 인장 속도는 300mm/분, 압착 조건은 10kg 롤러 2왕복, 양생 시간은 72시간(실온)으로 하였다. 또한 점착 대상시험편은, 스테인레스(SUS 304), 아크릴수지판,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판의 3종류로 하였다.
표 1: 전단 접착력(N/cm2)
SUS 304 아크릴 초고분자량 PE
본 발명 점착 테이프 131.32 127.21 91.57
시판품 A 118.7 84.51 51.28
시판품 B 133.32 83.5 44.13
시판품 C 97.49 72.12 42.83
시판품 D 115.99 104.38 34.55
상기 표 1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는, 통상의 점착제에서는 부착이 어려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에 대하여도 뛰어난 전단 접착력을 발휘하고 있다. 통상의 시판품에서는, 스테인레스 등에 대하여는 양호한 전단 접착력을 나타내지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에 대한 전단 접착력은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와 비교해서 크게 뒤떨어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는, 90도 박리 접착력이 4.2N/cm2 정도로 낮아, 피가공 렌즈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는, 두께가 엷은 경우로서 뛰어난 전단 접착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전체의 두께를 5mm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플라스틱 시트(41)의 두께를 0.1mm, 플라스틱폼 재(10)의 두께를 각각 0.05mm로 하면 좋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는, 예를 들면 발수 코팅 등의 표면처리가 실시된 렌즈에 대하여도 뛰어난 전단 접착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렌즈 가공기에 있어서, 피가공 렌즈의 고정에 사용함으로써 확실하게 피가공 렌즈를 고정하고, 정확한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를 이용한 렌즈 가공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렌즈 가공기는, 피가공 렌즈에 대하여 면삭 가공이나 홈 파기 가공 등의 기계적인 연삭가공을 수행하는 연삭실을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에 피가공 렌즈를 장착해서 상기 연삭가공을 수행한다. 연삭실 내의 양측에는 구동부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서 연장되는 클램프 축에 의해 피가공 렌즈를 끼우는 동시에, 이들 클램프 축을 회전함으로써 피가공 렌즈의 바깥 둘레에 대한 연삭가공이 행해진다.
도 3은, 피가공 렌즈(2)의 클램프 축(3)으로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피가공 렌즈(2)를 클램프 축(3)에 의해 고정할 경우에는, 클램프 축(3)의 첨단에 지지용 치구(5)를 장착하고, 이 지지용 치구(5) 사이에 피가공 렌즈(2)를 서로 붙이게 해서 고정한다. 다만, 지지용 치구(5)가 직접 피가공 렌즈(2)의 표면과 접하면, 표면의 피막 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1)를 개재하여 지지용 치구(5)에 피가공 렌즈(2)를 부착한다. 이에 따라 피가공 렌즈(2)의 표면이 손상으로부터 보호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1)의 전단 접착력에 의해, 피가공 렌즈(2)가 클램프 축(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확실하게 고정된다. 도 4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1)를 사용했을 경우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피가공 렌즈(2)의 가공 시에는 급수 노즐로부터 피가공 부분에 물을 공급하여 피가공 부분을 냉각함과 동시에 연삭 가루 등을 씻어내면서 연삭가공을 수행한다. 연삭가공은 숫돌을 이용하여 행하고, 예를 들면 면삭 가공이나 홈 파기 가공 등, 연삭가공의 종류나 연삭대상이 되는 피가공 렌즈(2)의 재질에 따라 숫돌의 종류를 선택한다.
피가공 렌즈(2)의 연삭은, 미리 기계에 기억시킨 렌즈 형상 데이터 등에 기초하거나 또는 더미 렌즈의 형상을 트레이스함으로써 행하여지며, 예를 들면 안경 프레임의 형상을 트레이스하도록 연삭가공이 행하여진다. 연삭가공시에는, 피가공 렌즈(2)가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1)에 의해 전단력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축 차이 등이 발생함 없이 정확한 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의 단면구조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60)는, 아크릴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이들의 발포체 등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시트(51)를 기재로 하여 이 기재인 플라스틱 시트(51)의 한 면에 대하여, 플라스틱폼 재(50)를 일체로 구비해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라스틱폼 재(50)는, 점착면 N에 개구하는 다수의 구멍(52)을 갖는 동시에, 이 점착면 N에 각각 점착제층(53)이 형성되어, 강점구조 A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플라스틱폼 재(50)의 점착면 N에 설치되는 각 강점구조 A는, 박리 라이너(54)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 이 강점구조 A를 사용하여 부착 대상물(피가공 렌즈)을 지착한다. 이러한 강점구조 A에 의해 부착 대상물이 지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 강점구조 A를 구성하는 점착제층(53)의 표면을 덮고 있는 박리 라이너(54)를 박리하고, 이 강점구조 A를 구성하고 있는 플라스틱폼 재(50)에 있어서의 점착제층(53)면을 부착 대상물의 점착 대상면에 대하여 일단 가압한다. 그 후, 이 가압을 해제하고, 부착 대상물에 대하여 플라스틱폼 재(50)를 점, 흡착 상태로 지착한다. 이러한 한 면의 구조에 있어서도 도 1의 양면구조의 렌즈 고정용 점착 테 이프와 동일한 점착 특성을 발휘한다.

Claims (8)

  1. 렌즈 가공기에 피가공 렌즈를 장착할 때, 피가공 렌즈와 지지용 치구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점착 대상면에 개구되어 있는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폼 재와,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점착 대상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압축변형 후의 탄성복귀에 따라, 점착 대상면에 흡착하는 흡착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폼 재와 점착제층을 합한 두께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과 접하고 이형처리된 박리 시트가 구비되어, 사용시에 상기 박리 시트가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6. 제 1항에 있어서,
    피가공 렌즈의 외형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7. 피가공 렌즈를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를 매개하여 지지용 치구에 의해 고정하여 기계가공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로서, 점착 대상면에 개구되어 있는 구멍을 갖는 플라스틱폼 재와,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점착 대상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가 지며, 상기 플라스틱폼 재의 압축변형 후의 탄성복귀에 따라, 점착 대상면에 흡착하는 흡착 기능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가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가공은, 숫돌에 의한 면삭 가공 또는 홈 파기 가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가공 방법.
KR1020077005904A 2004-10-15 2005-10-07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가공방법 KR101266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1446 2004-10-15
JPJP-P-2004-00301446 2004-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560A true KR20070083560A (ko) 2007-08-24
KR101266308B1 KR101266308B1 (ko) 2013-05-22

Family

ID=3614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904A KR101266308B1 (ko) 2004-10-15 2005-10-07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가공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85123B2 (ko)
EP (1) EP1803531B1 (ko)
JP (1) JP5122143B2 (ko)
KR (1) KR101266308B1 (ko)
CN (1) CN100519071C (ko)
TW (1) TWI279291B (ko)
WO (1) WO2006041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3111A1 (en) * 2006-10-05 2010-07-08 Musashi Chemicals Industry Co., Ltd Superstrong adhesive tape
JP5122107B2 (ja) * 2006-10-08 2013-01-16 ムサシ化成工業株式会社 研磨装置用超強粘着シート
JPWO2008075767A1 (ja) * 2006-12-21 2010-04-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1987917A1 (en) * 2007-05-03 2008-11-05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Ophthalmic blocking pad
JP2009184096A (ja) * 2008-02-08 2009-08-20 Nikon-Essilor Co Ltd 加工用テープ、及び玉摺り加工方法
EP2145730A1 (en) * 2008-07-17 2010-01-2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Lens blocking and deblock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JP2010158727A (ja) 2009-01-06 2010-07-22 Hoya Corp レンズ加工用パッド、そ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部材
JP5520670B2 (ja) * 2009-04-10 2014-06-11 日東シンコー株式会社 接着シート
JP6286644B2 (ja) * 2014-05-30 2018-03-07 東海光学株式会社 ずれ防止用コート剤
US10753100B2 (en) 2017-08-11 2020-08-25 Ecointeriors Corp. Flooring panel equipped with quick-release adhesive sheet
US9909035B1 (en) * 2017-09-29 2018-03-06 Mayapple Baby Llc Mountable articles, dual-adhesive-adhesive tape and mounting methods using them
CN112405202A (zh) * 2020-10-31 2021-02-26 江苏汇鼎光学眼镜有限公司 一种镜片打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1083A (en) * 1978-01-03 1980-09-09 Valley Industrial Products Heat shield blocking and mounting disc for lens grinding
JPS63241086A (ja) * 1987-03-27 1988-10-06 F S K Kk 研摩用粘着シ−ト
JPH04201039A (ja) * 1990-11-28 1992-07-22 Topcon Corp レンズ保持具
JPH07509411A (ja) * 1992-07-17 1995-10-19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レンズ処理法とそれに使用する手段
JP2931174B2 (ja) * 1993-02-17 1999-08-09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CA2159797A1 (en) * 1994-10-28 1996-04-29 John H. Ko Compliant lens block and tape
JPH10100056A (ja) * 1996-09-30 1998-04-21 Nikon Corp レンズブロックの加工装置および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1088001A (ja) * 1999-09-17 2001-04-03 Canon Inc 光学素子の研削・研磨用治具
US6949158B2 (en) * 2001-05-14 2005-09-27 Micron Technology, Inc. Using backgrind wafer tape to enable wafer mounting of bumped wafers
JP2002355756A (ja) * 2001-05-31 2002-12-10 Rodel Nitta Co 被研磨物保持用のバッキング材
JP4046546B2 (ja) * 2002-04-30 2008-02-13 日東電工株式会社 メガネ用レンズの研磨方法および該研磨方法で用いられる粘着シート
JP3715601B2 (ja) * 2002-08-05 2005-11-09 ソーラオプティカルジャパン株式会社 眼鏡用レンズの玉型加工に用いる軸ずれ防止キ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眼鏡用レンズの玉型加工方法
JP3723536B2 (ja) * 2002-10-03 2005-12-07 株式会社ビジョンメガネ レンズの加工方法
KR100480628B1 (ko) * 2002-11-11 2005-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어 블로잉을 이용한 칩 픽업 방법 및 장치
JP4185851B2 (ja) 2003-01-27 2008-1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玉型加工用粘着テープの粘着力評価方法
JP2005203541A (ja) * 2004-01-15 2005-07-28 Disco Abrasive Syst Ltd ウエーハのレーザー加工方法
JP2005224888A (ja) * 2004-02-12 2005-08-25 Nitta Haas Inc 被研磨加工物の保持材
JP4705450B2 (ja) * 2005-03-11 2011-06-22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ェーハの保持機構
US7608523B2 (en) * 2005-08-26 2009-10-27 Disco Corporation Wafer processing method and adhesive tape used in the wafer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22143B2 (ja) 2013-01-16
TW200611785A (en) 2006-04-16
US7985123B2 (en) 2011-07-26
EP1803531B1 (en) 2014-07-23
EP1803531A4 (en) 2011-04-06
WO2006041024A1 (ja) 2006-04-20
CN100519071C (zh) 2009-07-29
US20080166953A1 (en) 2008-07-10
EP1803531A1 (en) 2007-07-04
TWI279291B (en) 2007-04-21
KR101266308B1 (ko) 2013-05-22
JPWO2006041024A1 (ja) 2008-05-15
CN101043975A (zh) 200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308B1 (ko) 렌즈 고정용 점착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가공방법
US20230042526A1 (en) Methods for protec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6942746B2 (en) Lens blocking system
JP4949390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玉型加工方法
WO2011163151A1 (en) Assembly, kit and related method for applying a polymeric film to a device
SG153665A1 (en) Adhesive tape and edging method
JP2010158727A (ja) レンズ加工用パッド、そ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部材
JP4046546B2 (ja) メガネ用レンズの研磨方法および該研磨方法で用いられる粘着シート
KR20040014121A (ko) 안경용 렌즈의 옥형가공에 사용하는 축 어긋남 방지 키트및 이를 사용한 안경용 렌즈의 옥형가공방법
KR20160046732A (ko) 점착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점착 테이프 부착 장치
JPS62271451A (ja) ウエハ加工用フイルムの貼付け方法
JP3523939B2 (ja) ウェハ加工用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33139B2 (ja) レンズの製造方法
WO2022009940A1 (ja) 保護フィルム及び半導体ウエハの裏面研削方法
EP1050377A3 (de) Rotierendes Maschinen-Schleifwerkzeug
EP1844898B1 (en) Pad for preventing axial slip for use in grinding eyeglass lens coated with fluorine
KR200346040Y1 (ko) 점착형 크리닝 장치의 점착롤
JPS63194336A (ja) 半導体ウエハの保護部材
JP2002055532A (ja) 貼着装置及び貼着方法
CN115053327A (zh) 吸附辅助膜及半导体晶片的吸附方法
JP2007118099A (ja) レンズの加工方法及びレンズの加工に用いられる保持シート
JP2019036691A (ja) シート貼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