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757A - 자동차용 바이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757A
KR20070030757A KR1020067018325A KR20067018325A KR20070030757A KR 20070030757 A KR20070030757 A KR 20070030757A KR 1020067018325 A KR1020067018325 A KR 1020067018325A KR 20067018325 A KR20067018325 A KR 20067018325A KR 20070030757 A KR20070030757 A KR 20070030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or
automobile
window frame
flange por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563B1 (ko
Inventor
신고 야마다
도모카즈 히로타
신야 구마자키
Original Assignee
다무라플라스틱매뉴팩츄어컴패니리미티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무라플라스틱매뉴팩츄어컴패니리미티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무라플라스틱매뉴팩츄어컴패니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3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02Wind def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soiling, e.g.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창틀에 설치하였을 때에 자동차의 디자인을 손상하지 않는 자동차용 바이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바이저(1)는 자동차의 창틀(2)을 따르도록 형성된 스테인리스제의 플랜지부(3)와, 플랜지부(3)에 설치하였을 때에 플랜지부로부터 팽출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 아크릴수지제의 차양부(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의 하단 끝에는 접합부(10)가 설치되어 있고, 차양부(4)의 상단 끝의 안쪽에는 접합부(10)와 대략 동일 폭의 접착부(12)가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3)의 접합부(10)와 차양부의 접착부(12)를 점착 테이프(5)로 접착함으로써 플랜지부(3)와 차양부(4)가 접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바이저{VISO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창틀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비막이나 태양광선의 차단, 또는 장식을 목적으로 하여 자동차의 창틀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바이저로서, 창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연장 설치된 차양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도 13은 상기 종래의 자동차용 바이저의 일례인 사이드 바이저를 자동차의 창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사이드 바이저(81)는 자동차의 창틀(82)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예를 들면, 아크릴수지)제의 플랜지부(83)와, 플랜지부(83)로부터 팽출하도록 형성된 합성수지제의 차양부(84)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플랜지부(83)와 차양부(84)는,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83)의 내면측에는 점착테이프(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85)가 접착되어 있고, 사이드 바이저(81)는 그 점착 테이프(85)에 의하여 창틀(82)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자동차에 설치할 때에 외관상의 위화감을 불식하고 창틀과의 일체감을 도모할 목적으로, 금속제(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로 일정 폭의 몰(86)이, 점착 테이프(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87)에 의하여 플랜지부(83)의 외면측에 접착되어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몰(86)을 플랜지부의 외면측에 접착한 사이드 바이 저(81)에서는 자동차의 주행 중에 몰이 박리되어 버릴 염려가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플랜지부의 외면측에 금속도금을 실시한 사이드 바이저도 고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이 바이저 본체의 상부 표면에 장식용 테이프를 접착하고, 그 장식용 테이프의 측단 가장자리를 바이저 본체의 뒷쪽까지 접어 넣은 사이드 바이저도 고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9-13653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2-219933호 공보
그러나 플랜지부(83)에 몰(86)을 접착한 사이드 바이저는, 자동차의 창틀(82)에 설치하였을 때에, 합성수지제의 플랜지부(83)가 창틀(82) 주위의 금속제의 차량 몰와 겹쳐진다. 또한 몰(86)의 접착부분에서는 각 점착 테이프(85, 87)의 두께, 몰(86)의 두께 및 플랜지부(83)의 두께(통상 합계로 8 mm 정도)에 의하여 플랜지부(83)의 외면이 창틀(82)의 표면으로부터 크게 떨어진 상태가 되어 플랜지부(83)의 외면과 창틀(82) 표면과의 사이에 큰 단차가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부(83)에 몰(86)을 접착한 사이드 바이저는,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창틀과의 일체감이 부족되어 자동차의 창틀 주변의 디자인이 손상된다는 단점을 드러나게 된다. 아울러 몰(86)의 상하방향의 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앞쪽에서 뒤쪽에 걸쳐 차량 몰의 상하방향의 폭이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한층 창틀과의 일체감이 손상된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이 플랜지부에 금속도금을 실시한 자동차용 바이저나, 특허문헌 2와 같이 장식 테이프를 접착한 자동차용 바이저에서는 금속도금부분이나 장식용 테이프가 창틀 주위의 차량 몰과 동일한 질감을 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창틀과의 충분한 일체감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자동차용 바이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자동차의 창틀에 설치하였을 때에 자동차의 창틀 주위의 디자인을 손상시키지 않는 자동차용 바이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사이드 바이저를 자동차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사이드 바이저를 바깥쪽에서 본 설명도,
도 3은 도 1에서의 A-A 선 단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사이드 바이저의 선단부분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사이드 바이저의 선단의 걸어멈춤편을 도어 미러 베이스에 삽입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사이드 바이저의 측단부 및 엔드 캡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자동차용 바이저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자동차용 바이저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자동차용 바이저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플랜지부와 차양부와의 접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플랜지부와 차양부와의 접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걸어맞춤 고정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3은 종래의 자동차용 바이저의 단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이드 바이저 2 : 창틀
3 : 플랜지부 4 : 차양부
5 : 점착 테이프 6 : 피복부
7 : 걸어맞춤부 8 : 걸어맞춤 볼록줄(되접어 꺽음)
9 : 점착테이프 10 : 접합부
11 : 걸어멈춤 볼록줄(돌출줄) 12 : 접착부
13 : 엔드 캡 14 : 기초부
15 : 덮개부 20 : 창유리
31 : 플랜지부 32 : 차양부
33 : 끼워 맞춤 돌기 34 : 접합부
35 : 끼워 맞춤 구멍 40 : 플랜지부
41 : 차양부 42 : 끼워 맞춤 돌기
43 : 접합부 44 : 끼워 맞춤 오목부
50 : 플랜지부 51 : 차양부
52 : 끼워 맞춤 돌기 53 : 접합부
54 : 삽입구멍 55 : 걸어 맞춤 고정구
V : 자동차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자동차의 창틀에 걸쳐 가능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된 차양부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바이저로서, 상기 차양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별개로 성형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가 금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자동차의 창틀에 고착되는 피복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와 접합하는 접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복부의 상하방향의 폭이, 자동차의 창틀 또는 장식 몰의 상하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또한 피복부의 상하방향의 폭은, 자동차의 창틀의 주위에 설치된 장식 몰(이른바 차량 몰)의 폭에 대하여 70 ~ 125%의 범위 내에 있으면 바람직하고, 90% ~ 110%의 범위 내에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피복부의 상하방향의 폭을 상기 범위 내에 조정한 경우에는 차양부를 합성수지로 형성한 경우에 차량 몰과 설치된 자동차용 바이저의 합성수지형성부분이 거의 겹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창틀과의 일체감이 아주 정도가 높은 것이 된다. 아울러 접합부의 상하방향의 폭은, 8.0 ~ 20.0 mm의 범위 내에 있으면 바람직하다. 접합부의 상하방향의 폭이, 8.0 mm를 하회하면 차양부와의 접합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접합부의 상하방향의 폭이 20.0 mm를 상회하면 차양부의 바깥쪽에서 본 경우의 외관이 나빠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피복부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피복부의 바깥쪽면보다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에 상기 차양부를 접합시켰을 때, 상기 차양부의 바깥쪽면과 상기 피복부의 바깥쪽면이 대략 면일해지는 것에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상기 접합부와의 접합부분을 볼록형상으로 형성한 것에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하단을 따라 외향의 돌출줄을 형성한 것에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이 양자를 관통하는 리벳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에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에 끼워 맞춤 돌기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합부에 끼워 맞춤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이, 상기끼워 맞춤 돌기를 상기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용착되어 있는 것에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 끼워 맞춤 돌기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에 끼워 맞춤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이, 상기 끼워 맞춤 돌기를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접착되어 있는 것에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에 끼워 맞춤 돌기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합부에 삽입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이, 상기 삽입구멍을 삽입시킨 상기 끼워 맞춤 돌기의 선단을 걸어맞춤 고정구와 결합시킴으로써 접착되어 있는 것에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인서트성형에 의하여 상기 접합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을 용착한 것에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는, 0.2 mm 이상이고 4.0 mm 이하의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것에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의 상단에, 자동차의 창틀에 관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걸어 맞춤부는, 플랜지부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안쪽으로 되접어 꺽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와 같이 걸어 맞춤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걸어 맞춤부의 폭은, 1.0 ~ 8.0 mm의 범위 내에 있으면 바람직하고, 1.2 mm ~ 6.0의 범위 내에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걸어 맞춤부의 폭이 1.0 mm를 하회하거나, 6.0 mm를 상회하거나 하면, 창틀에 설치된 장식 몰(차량 몰)과의 일체감이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가, 자동차의 창틀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이르는 길이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그 플랜지부의 상단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상기 걸어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걸어 맞춤부는, 바깥쪽의 끝 가장자리에 자동차의 창틀과 걸어 맞춤 가능한 되접어 꺽임부를 마련한 것에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의 측단에 엔드 캡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는,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중앙측이 되는 측단(즉, 프론트 도어용의 자동차용 바이저에서는 후단, 리어 도어용의 자동차용 바이저에서는 전단)을 구부려 형성한 것에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는,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중앙측이 되는 측단에 합성수지를 코팅한 것에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차양부는,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중앙측이 되는 측단 끝의 외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는 것에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측단 끝의 평탄한 외면은, 자동차의 창틀의 외면과 평행하게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고, 그 측단 끝이 평탄한 외면과 자 동차의 창틀의 외면과의 간격이 2.5 mm ~ 6.0 mm의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그 측단 끝의 외면과 자동차의 창틀의 외면과의 간격이 2.5 m를 하회하면 자동차용 바이저가 바람막이나 비막이로서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6.0 mm를 상회하면 자동차의 창틀과의 일체감이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플랜지부가 금속제이기 때문에, 자동차에 설치하였을 때에 어느 각도에서 보아도 자동차의 창틀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강하게 빚어 낼 수 있어, 자동차의 창틀의 주위의 디자인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 장기에 걸쳐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도 금속제의 플랜지부가 몰이나 금속도금과 같이 박리되거나 하지 않아 디자인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아울러 플랜지부와 차양부가 별개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부만의 교환 등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플랜지부의 피복부의 상하방향의 폭이, 창틀 또는 장식 몰의 상하방향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창틀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강하게 빚어 낼 수 있어 디자인상의 위화감을 느끼게 하지 않는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플랜지부의 접합부가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차양부를 플랜지부에 접합하였을 때, 피복부의 바깥쪽면과 차양부의 바깥쪽면이 면일하기 때문에,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의 디자인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우천시에 피복부에 부착된 물방울을 원활하게 뒤쪽으로 흘러내리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차양부의 접합부와의 접합부분이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시에 플랜지부와 차양부를 조립할 때에 위치 결정하기 쉽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접합부의 하단을 따라 외향의 돌출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의 절곡강도가 높아,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잘 손상되지 않는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접합부와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이 리벳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의 접합부와 차양부의 접합강도가 아주 높아, 설치된 자동차가 주행 중에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플랜지부와 차양부가 분리되거나 하지 않는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제조시에 차양부의 끼워 맞춤 돌기를 접합부의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 맞추게 할 뿐으로, 아주 용이하게 플랜지부와 차양부를 조립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제조시에 접합부의 끼워 맞춤 돌기를 차양부의 끼워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추게 할 뿐으로, 아주 용이하게 플랜지부와 차양부를 조립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와 차양부를 조립한 경우에, 끼워 맞춤 돌기가 차양부의 바깥쪽으로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양호하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제조시에 차양부의 끼워 맞춤 돌기를 접합부의 삽입구멍에 삽입하고, 그 끼워 맞춤 돌기의 선단에 걸어 맞춤 고정구를 걸어 맞추게 할 뿐으로 아주 용이하게 플랜지부와 차양부를 조립할 수 있다. 게다 가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아주 높은 접합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제조시에 인서트성형에 의하여 접합부와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을 용착하기 때문에,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아주 높은 접합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다. 또 차양부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한 경우에도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의 바깥쪽으로부터는 접합부의 내면 밖에 투시할 수 없기 때문에 외관이 아주 양호하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0.2 mm 이상이고 4 mm 이하의 금속 박판에 의하여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종래의 자동차용 바이저와 비교하여 플랜지부가 매우 얇게 때문에,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창틀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아주 강하게 빚어 낼 수 있다. 또한 강도와 가공성의 면에서, 플랜지부의 두께는, 0.3 mm ~ 2.0 mm의 범위 내에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청구항 12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플랜지부의 상단에 자동차의 창틀에 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어,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아주 용이하게 자동차에 조립할 수 있다. 또 자동차에 장치할 때나 메인티넌스시에 고정구를 분실한다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자동차의 창틀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이르는 플랜지부의 상단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걸어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앞쪽, 옆쪽, 윗쪽의 어느 각도에서 본 경우에도 창틀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아주 강하게 빚어 낼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걸어 맞춤부의 바깥쪽의 끝 가장자 리에 자동차의 창틀과 걸어 맞춤 가능한 되접어 꺽음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되접어 꺽음부를 창틀에 걸어 맞추게 함으로써 별개로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아주 용이하게 자동차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자동차에 대한 설치강도가 높고, 설치한 자동차가 주행 중에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탈리되거나 하지 않는다. 아울러 플랜지부의 강도가 높아 잘 손상되지 않는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플랜지부의 측단에 엔드 캡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설치한 후에 플랜지부의 측단과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중앙측이 되는 플랜지부의 측단이 구부려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와의 접합부분에서도 창틀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아주 강하게 빚어 낼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중앙측이 되는 플랜지부의 측단에 합성수지가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대한 장착·탈착을 행할 때에 자동차를 손상할 염려가 없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자동차용 바이저는, 차양부는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중앙측이 되는 측단 끝의 외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와의 접합부분에서도 창틀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아주 강하게 빚어 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바이저의 일 실시형태가 되는 사이드 바이저에 대 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사이드 바이저(1)를 자동차(V)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는 사이드 바이저(1)를 바깥쪽에서 본 설명도이다. 또 도 3은 사이드 바이저(1)의 단면(도 1에서의 A-A 선 단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자동차측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의 자동차측을 사이드 바이저(1)의 바깥쪽으로 하고, 반대측을 안쪽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바이저(1)는, 자동차(V)의 창부의 둘레 가장자리(이하, 창틀이라 한다)(2)를 따르는 길이가 긴 도신(刀身)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제(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의 플랜지부(3)와, 플랜지부(3)와 동일한 길이가 긴 도신형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제(예를 들면 아크릴수지제)의 차양부(4)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플랜지부(3)는 스테인리스제의 박판(예를 들면 두께 약 0.4 mm)을, 이른바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구부려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단면은 대략 S자형상(역 S자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3)의 상부는 자동차(V)의 창틀(2)을 피복하기 위한 밴드플레이트형상의 피복부(6)로 되어 있고, 피복부(6)의 안쪽면에는 자동차(V)에 설치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9)(예를 들면 약 1.2 mm 폭의 것)가 접착되어 있다. 또 피복부(6)의 상단부에는 안쪽방향으로 구부러진 걸어 맞춤부(7)가 형성되어 있고, 걸어 맞춤부(7)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창틀(2)의 안쪽에 걸어 맞추게 하기 위한 되접어 꺽은 걸어 맞춤 볼록줄(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3)의 피복부(6)의 상하방향의 폭은 뒤에서 설명 하는 자동차(V)의 창틀(2)에 설치된 차량 몰의 상하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3)의 하부는, 차양부(4)와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부(10)가, 피복부(6)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일련의 띠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피복부(6)보다 안쪽이 되도록 오목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접합부(1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차양부(4)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 멈춤 볼록줄(11)이 형성되어 있다. 그 접합부(10)에는 차양부(4)를 접착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양면 점착 테이프)(5)가 접착되어 있고, 그 점착 테이프(5)에 의하여 차양부(4)의 상단 끝의 부분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3)의 접합부(10)의 평탄부분은 점착 테이프(5)의 두께와 차양부(4)의 두께를 합친 분만큼 피복부(6)보다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 접착한 차양부(4)의 상단 가장자리와 피복부(6)가 대략 면일해지도록 되어 있다.
차양부(4)는 아크릴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약간 만곡하여 중앙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차양부(4)는 착색된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적절한 투광성과 차광성을 발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차양부(4)의 상부 안쪽면에는 플랜지부(3)의 접합부(10)와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12)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다른 부분보다 안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접착부(12)의 상하방향의 폭은, 접합부(10)의 상하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한편 차양부(4)의 상부 바깥쪽 면은, 상단측으로 감에 따라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도록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차양부(4)의 후단끝의 외면은 평탄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양부(4)는 점착 테이프(5)에 의하여 접착부(12)의 표면을 플랜지부(3)의 접합부(10)와 접착함으로써 플랜지부(3)와 일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3)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팽출한 상태로 되어 있어, 설치된 자동차(V)의 창유리(20)의 상부 둘레 가장자리를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차양부(4)의 후단 끝의 외면은 대략 평탄하게 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3)의 접합부(10)와 접착한 접착부(12)의 하단부에는 접합부(10)의 하단의 걸어멈춤 볼록줄(11)이 걸어 멈춰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도 4는 사이드 바이저(1)의 선단의 부분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차양부(4)의 선단은, 플랜지부(3)의 선단보다 뒤쪽에 위치하고 있고, 그 차양부(4)의 선단 및 플랜지부(3)의 선단의 아래쪽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도어 미러 베이스와 걸어 맞추게 하기 위한 역 L자형상의 걸어 맞춤편(18)이, 주위의 차양부(4)나 플랜지부(3)보다두께가 얇아지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하, 사이드 바이저(1)의 자동차(V)의 창틀(2)에 대한 설치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자동차(V)의 창틀(2)은, 금속(스테인리스)제의 몰(차량 몰)에 의하여 장식되어 있다. 또 자동차(V)의 창틀(2)의 전단 끝에서는 차량 몰의 아래쪽에 도어 미러를 고정하기 위한 도어 미러 베이스(19)가 설치되어 있고, 그 도어 미러 베이스(19)의 후단 끝의 윗쪽에는 사이드 바이저(1)의 선단과 걸어 맞추게 하기 위한 걸어맞춤 오목부(20)가, 소정 폭의 슬릿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바이저(1)를 자동차(V)의 창틀(2)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먼저 플랜지부(3)의 피복부(6)의 안쪽면에 점착 테이프(9)를 접착한다. 그리고 사이드 바이 저(1)의 전단에 설치된 걸어 맞춤편을, 도 5와 같이 도어 미러 베이스(19)에 설치된 걸어맞춤 오목부(20) 내에 삽입하여 걸어 맞춤부(7)의 걸어맞춤 볼록줄(8)을 창틀(2)에 걸어 맞추게 하면서 점착 테이프(9)에 의하여 플랜지부(3)를 창틀(2)에 고착한다. 이와 같이 사이드 바이저(1)는 걸어 맞춤 볼록줄(8)에 의한 걸어맞춤과 점착 테이프(9)에 의한 접착에 의하여 자동차(V)의 창틀(2)에 설치된다. 또한 점착 테이프(9)의 두께는 플랜지부(3)의 피복부(6)와의 합계 두께가 약 1.6 mm 가 되도록 조정된다. 또 도어 미러 베이스(19)의 걸어맞춤 오목부(20)와 사이드 바이저(1)의 걸어 맞춤편(18)과의 간극에는 별개로 형성된 시일재가 삽입됨으로써 간극이 메워진다.
또한 자동차(V)에서는 창틀(2)의 차량 몰의 상하방향의 폭이, 약 10.0 mm 내지 14.0 mm의 범위 내에서 변화하고 있으나(뒤쪽의 폭의 쪽이 앞쪽의 폭에 비하여 넓게 되어 있다), 사이드 바이저(1)에서는 그 차량 몰의 폭의 변화에 대응하여 피복부(6)의 폭이, 약 12.0 mm 내지 16.0 mm의 범위 내에서 변화하고 있다(뒷쪽의 폭의 쪽이 앞쪽의 폭에 비하여 넓게 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3)의 양쪽 끝부에는 엔드 캡(13)이 설치된다. 엔드 캡(13)은 플랜지부(3)의 피복부(6)의 안쪽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가능한 기초부(14)와, 기초부(14)보다 일주 크게 형성된 덮개부(15)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엔드 캡(13)을 기초부(14)측에서 삽입하면 덮개부(15)가 플랜지부(3)의 끝 가장자리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사이드 바이저(1)는, 플랜지부(3)가 스테인리스제이기 때문에, 자동차(V)에 설치한 경우에 어느 각도에서 보아도 창틀(2)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강하게 빚어 낼 수 있어 자동차(V)의 디자인을 손상하는 일이 없다. 또 금속제의 플랜지부(3)가 금속도금이나 장식 시일과 같이 박리되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에 걸쳐 자동차(V)에 설치한 경우에도 그 디자인성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사이드 바이저(1)는 창틀(2)에의 설치부분에서의 두께[플랜지부(3)의 피복부(6)의 두께 및 점착 테이프(9)의 두께]가 1.6 mm과, 종래의 사이드 바이저(81)(약 8 mm)와 비교하여 아주 얇아져 있어, 창틀(2)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매우 강하게 빚어 낼 수 있다.
또, 플랜지부(3)의 피복부(6)의 상하방향의 폭이, 창틀(2)의 상하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창틀(2)의 디자인과 융합하고 있어, 위화감(이물감)을 느끼게 하지 않는다. 또한 플랜지부(3)의 피복부(6)의 상하방향의 폭이, 창틀(2)의 상하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V)에 설치하였을 때에, 창유리(20)의 윗쪽에 합성수지제의 차양부(4)만이 위치하므로 별개로 사이드 바이저(1)를 설치한 느낌이 불식되어, 자동차(V)의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아울러 플랜지부(3)의 양쪽 끝부에는 엔드 캡(13)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V)에의 설치 후에 플랜지부(3)의 측단부와의 접촉에 의한 부상의 위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3)와 차양부(4)가 별개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부(4)만의 교환 등을 행할 수도 있다.
또 사이드 바이저(1)는, 플랜지부(3)의 피복부(6)의 하단을 따라 접합부(10) 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V)에 설치하였을 때에 접합부(10)가 유리런(16)의 위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창틀(2)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아주 강하게 빚어 낼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3)의 접합부(10)가, 점착 테이프(5) 및 차양부(4)의 선단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두께 분만큼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고, 차양부(4)를 플랜지부(3)에 접착하였을 때, 피복부(6)와 차양부(4)가 면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의 디자인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우천시에 피복부(6)에 부착된 물방울을 원활하게 뒤쪽으로 흘러 내리게 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3)와 차양부(4)의 접합이 점착 테이프(5)에 의한 접착뿐이기 때문에 제조시에 플랜지부(3)와 차양부(4)를 조금도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접착할 수 있다.
아울러 사이드 바이저(1)는 걸어맞춤 볼록줄(8)을 가지는 걸어 맞춤부(7)가 플랜지부(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V)에의 설치에 있어서, 걸어맞춤부(7)를 창틀(2)에 걸어 맞추게 하기 보다 용이하게 설치위치를 정할 수 있어, 별개로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아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설치강도가 높아 자동차(V)의 주행 중에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탈리하거나 하지 않는다. 아울러 플랜지부(3) 자체의 강도가 높아, 잘 손상되지 않는다.
또, 사이드 바이저(1)는 플랜지부(3)가 자동차(V)의 창틀(2)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이르는 길이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그 플랜지부(3)의 상단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걸어 맞춤부(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V)에 설치한 경우에 앞쪽, 옆쪽, 윗쪽 어느 각도에서 본 경우에도 창틀(2)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강하게 빚어 낼 수 있다.
또, 사이드 바이저(1)는 차양부(4)의 접합부(10)와의 접합부분이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3)와 차양부(4)를 점착 테이프(5)로 접착할 때에 위치 결정하기 쉽다. 또한 사이드 바이저(1)는 접합부(10)의 하단을 따라 외향의 걸어멈춤 볼록줄(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3)의 절곡 강도가 높아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잘 손상되지 않는다. 또 차양부(4)의 접착부(12)와 접합시킬 때에 위치결정을 행하기 쉽다.
또한 사이드 바이저(1)는 차양부(4)의 외면은, 후단 끝의 외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차(V)의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접합부분에서도 창틀(2)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강하게 빚어 낼 수 있다. 또 동일구조를 가지는 사이드 바이저를 리어 도어의 창틀에 설치한 경우에는 2개의 바이저가 일련으로 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자동차용 바이저의 구성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플랜지부 및 차양부의 재료나 형상, 크기, 자동차의 창틀에의 설치방법 등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7 ~ 도 9는 자동차용 바이저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7에 나타내는 자동차용 바이저(51)는 플랜지부(53)의 접합부(55)의 바깥쪽면에 차양부(54) 전체가 접착되어 있다. 자동차용 바이저를 이와 같이 형성한 경우에는 차양부(54)가 플랜지부(53)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되는 데다가, 차양부(54)의 강도 가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 도 8에서 나타내고 있는 자동차용 바이저(61)는, 플랜지부(63)의 접합부(65)가 차양부(64)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다. 자동차용 바이저를 이와 같이 형성한 경우에는 차양부(64)가 플랜지부(63)로부터 탈리하기 어렵게 되는 데다가, 차양부(64)의 강도가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양부(64)의 내부에 접합부(65)를 매설하는 경우에는 차양부(64)의 전체에 걸쳐 접합부(65)를 매설할 필요는 없고, 차양부(64)의 일부에 접합부(65)를 매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9에서 나타내고 있는 자동차용 바이저(71)는, 플랜지부(73)의 접합부(75)의 바깥쪽면에 합성수지가 얇게 도장되어 있다. 자동차용 바이저를 이와 같이 형성한 경우에는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어 더욱 저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데다가 설치작업 등의 시간이 간략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를 도장하는 대신에, 수지시트 등을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이나 도 8과 같이 플랜지부의 접합부에 수지를 용착시키는 경우에는 미리 금속제의 플랜지부를 세트한 금형 내에 수지를 따라 넣는 인서트성형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플랜지부와 차양부를 아주 높은 강도로 접합시킬 수 있는 데다가 차양부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한 경우에도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의 바깥쪽에서는 접합부의 내면으로부터 투시할 수 없기 때문에, 자동차용 바이저의 외관이 양호한 것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플랜지부와 차양부를 접착한 자동차용 바이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점착 테이프 대신에 점착성을 가지는 수지를 이용하여 플랜지부와 차양부를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를 스테인리스제, 차양부를 아크릴수지제로 하였으나,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랜지부를 알루미늄 등의 별도의 금속제로 하거나, 차양부를 별도의 합성수지제로 하여도 조금도 문제는 없다.
아울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의 피복부의 바깥쪽면에 조금도 가공을 실시하고 있지 않으나, 설치되는 자동차의 색깔에 맞추어 자유롭게 착색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금 등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피복부의 형상을 박판형상으로 하고 있으나, 자동차에 맞추어 만곡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바이저는 설치되는 자동차의 디자인에 따라 피복부, 접합부, 차양부의 치수, 형상 등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피복부의 상하방향의 폭을 창틀의 그것보다 넓게 형성하거나, 접합부를 폭이 좁은 홈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자동차용 바이저는 상기 실시형태과 마찬가지로 플랜지부의 피복부와 접합부가 단면 S자 형상이 된 것(즉, 피복부가 외향으로 볼록하고, 접합부가 외향으로 오목하게 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복부와 접합부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과 같이, 플랜지부의 피복부와 접합부를 단면 S 자형상에 구부려 형성한 경우에는, 플랜지부의 구조강도가 아주 높은 것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바이저는 접합부와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을 양자를 관통하는 리벳에 의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플랜지부의 접합부와 차양부의 접합강도가 아주 높아져 설치한 자동차가 주행 중에 강한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플랜지부와 차양부가 분리되거나 하지 않게 된다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하는 경우에는 리벳으로서 중공 징이나 확장 리벳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용 바이저는, 도 10(a)와 같이 차양부(31)의 상단 가장자리 끝에 끼워 맞춤 돌기(32)를 설치함과 동시에, 플랜지부(3)0의 접합부(33)에 끼워 맞춤 구멍(34)을 설치하여 끼워 맞춤 돌기(32)를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 맞추게 한 상태에서 접합부(33)와 차양부(31)의 상단 가장자리 끝을 용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자동차용 바이저는 차양부(31)의 끼워 맞춤 돌기(32)를 접합부(33)의 끼워 맞춤 구멍(34)에 끼워 맞추게 할 뿐으로, 아주 용이하게 플랜지부(30)와 차양부(31)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아울러 자동차용 바이저는 도 10(b)와 같이 차양부(41)의 상단 가장자리 끝에 끼워 맞춤 오목부(44)를 설치함과 동시에, 플랜지부(40)의 접합부(43)에 끼워 맞춤 돌기(42)를 설치하고, 끼워 맞춤 돌기(42)를 끼워 맞춤 오목부(44)에 끼워 맞추게 한 상태에서 접합부(43)와 차양부(41)의 상단 가장자리 끝을 접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아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자동차용 바이저는 접합부(43)의 끼워 맞춤 돌기(42)를 차양부(41)의 끼워 맞춤 오목부(44)에 끼워 맞추게 할 뿐으로, 아주 용이하게 플랜지부(40)와 차양부(41)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플랜지부(40)와 차양부(41)를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플랜지부(40)와 차양부(41)를 조립한 경우에, 끼워 맞춤 돌기(42)가 차양부(41) 의 바깥쪽으로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도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부나 차양부에 끼워 맞춤 돌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끼워 맞춤 돌기는 원주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형상의 것이나 각진 기둥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아울러, 자동차용 바이저는 도 11과 같이 차양부(51)의 상단 가장자리 끝에 끼워 맞춤 돌기(52)를 설치함과 동시에, 플랜지부(50)의 접합부(53)에 삽입구멍(54)을 설치하여 삽입구멍(54)을 삽입시킨 끼워 맞춤돌기(52)의 선단을 걸어 맞춤 고정구(55)와 결합함으로써 접합부(53)와 차양부(51)의 상단 가장자리 끝을 접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자동차용 바이저를 구성한 경우에는 차양부의 끼워 맞춤 돌기를 접합부의 삽입구멍에 삽입하고, 그 끼워 맞춤 돌기의 선단에 고정구를 걸어 맞추게 할 뿐으로, 아주 용이하게 플랜지부와 차양부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플랜지부(50)와 차양부(51)를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지 않아도 아주 높은 접합강도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2는 접합부(53)의 삽입구멍(54)을 삽입시킨 끼워 맞춤 돌기(52)의 선단과 걸어 맞추게 하는 걸어 맞춤 고정구(55)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걸어 맞춤 고정구(55)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삽입구멍(57)이 뚫려 있다. 또삽입구멍(57)의 주위에는 끼워 맞춤돌기(52)를 걸기 위한 복수의 걸어 멈춤줄(58, 58…)이 상하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것들의 걸어 멈춤줄(58, 58, …)의 선단이 바깥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걸어 맞춤 고정구를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끼워 맞춤 돌기(52)의 선단과 걸어 맞추게 하기 용이해짐과 동시 에, 잘 벗겨지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 차양부(51)의 상단 가장자리 끝에 설치하는 끼워 맞춤 돌기(52)를 폭이 넓은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부와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의 접착강도를 더욱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걸어 맞춤 고정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나 타원형상의 것 등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플랜지부와 차양부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는, 접합부의 삽입구멍을 삽입시킨 끼워 맞춤 돌기의 선단을 걸어 맞춤 고정구와 걸어 맞추게 하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접합부의 삽입구멍을 삽입시킨 끼워 맞춤 돌기의 선단을 접합부의 삽입구멍의 주위에 설치한 걸어 멈춤줄과 걸어 맞추게 하는 구조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차양부의 접착부가 다른 부분보다 안쪽으로 돌출한 자동차용 바이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바이저는, 차양부의 접착부가 다른 부분보다 안쪽으로 돌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부가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나, 차양부의 접착부를 다른 부분과 면일하게 한 것이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바이저는, 상기 실시형태과 같이 플랜지부의 접합부의 하단의 걸어멈춤 볼록줄이 안쪽으로 돌출한 차양부의 접착부의 하단과 걸어 맞추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차양부의 내면에 걸어 맞춤 홈이 마련되어 있고, 접합부의 하단의 걸어 멈춤 볼록줄이 상기 걸어 맞춤 홈과 걸어 맞춰지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금속의 두께를 0.4 mm로 하였으나, 이것에 조금도 한정되지 않고, 두께는 0.2 mm ~ 4 mm의 범위이면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금속의 두께가 0.3 mm ~ 2 mm이면 플랜지부가 구부림 가공하기 쉽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 되는 데다가 자동차에의 설치시에 창틀과 일체적인 느낌을 강하게 빚어 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0.3 ~ 2.0 mm의 범위 내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플랜지부는 구부려 형성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걸어 맞춤부나 피복부, 접합부를 별개로 형성한 후에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의 양쪽 끝부에 엔드 캡을 삽입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엔드 캡 대신에, 양쪽 끝부에 합성수지 등을 코팅하거나, 양쪽 끝부를 안쪽으로 구부리거나 함으로써, 플랜지부의 끝 가장자리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바이저는, 플랜지부의 측단 중,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중앙측이 되는 측단을 안쪽으로 구부려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자동차에 설치하였을 때에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와의 접합부분에서도 창틀과의 일체적인 느낌을 강하게 빚어 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바이저는, 플랜지부의 측단 중,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중앙측이 되는 측단에 합성수지를 코팅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자동차에의 장착·탈착을 행할 때에, 자동 차를 손상할 염려가 없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 자동차용 바이저는, 상기 실시형태과 같이 걸어 맞춤부의 바깥쪽의 끝 가장자리에 자동차의 창틀과 걸어 맞춤 가능한 되접어 꺽음부를 설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걸어 맞춤부의 바깥쪽의 끝 가장자리를 헤밍 가공한 것이나 합성수지로 코팅한 것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자동차에의 장착·탈착을 행할 때에 자동차를 손상할 염려가 없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바이저를 점착 테이프만에 의하여 창틀에 고착하고 있으나, 사이드 바이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걸어 멈춤편을 가지는 걸어멈춤구를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와 같은 설치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플랜지부의 안쪽면에 걸어 멈춤 돌기를 돌출 설치하는 한편, 걸어 멈춤구에 걸어 멈춤 구멍을 설치하고, 그 걸어 멈춤 구멍에 걸어 멈춤 돌기를 삽입한 상태에서 걸어 멈춤편을 창틀에 걸어 멈추게 하는 설치구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구조에 서 사용하는 걸어 멈춤구는 금속제이어도 좋고, 합성수지제이어도 좋다. 또 걸어 멈춤구를 사용한 보조적인 걸어 멈춤을 1개소에서만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 개소에서 걸어 멈춤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의 접합부의 형상을 피복부를 따른 띠형상으로 하고 있으나, 피복부를 따라 단속적으로 복수의 접합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차양부에 설치되는 접착부도, 접합부에 대응시켜 단속적으로 돌출 설치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차양부의 상단을 따라 일련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접합부에 걸어멈춤 볼록줄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플랜지부를 구부려 형성한 자동차용 바이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플랜지부를 구부려 성형하기 위한 방법은, 프레스성형에 한정되지 않고, 롤포밍이나 벤더성형 등의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프론트 도어의 창틀에 설치하는 사이드 바이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바이저는, 리어 도어의 창틀에 사용하는 바이저나 천창(天窓)에 사용하는 바이저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8)

  1. 자동차의 창틀에 걸쳐 가능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길이가 긴 띠형상으로 형성된 차양부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바이저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별개로 성형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가 금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자동차의 창틀에 고착되는 피복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와 접합하는 접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복부의 상하방향의 폭이, 자동차의 창틀 또는 장식 몰의 상하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피복부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피복부의 바깥쪽면보다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에 상기 차양부를 접합시켰을 때, 상기 차양부의 바깥쪽면과 상기 피복부의 바깥쪽면이 대략 면일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는, 상기 접합부와의 접합부분을 볼록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하단을 따라 외향의 돌출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이 양자를 관통하는 리벳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에 끼워 맞춤 돌기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합부에 끼워 맞춤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이, 상기끼워 맞춤 돌기를 상기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에 끼워 맞춤 돌기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에 끼워 맞춤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이, 상기 끼워 맞춤 돌기를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에 끼워 맞춤 돌기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합부에 삽입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합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이, 상기 삽입구멍을 삽입시킨 상기 끼워 맞춤 돌기의 선단을 걸어맞춤 고정구와 결합시킴으로써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10. 제 2항에 있어서,
    인서트성형에 의하여 상기 접합부와 상기 차양부의 상단 가장자리 끝을 용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는, 0.2 mm 이상이고 4.0 mm 이하의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의 상단에, 자동차의 창틀에 관걸어 맞춤 가능한 걸어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가, 자동차의 창틀의 전단부터 후단까지 이르는 길이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그 플랜지부의 상단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상기 걸어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부는, 바깥쪽의 끝 가장자리에 자동차의 창틀과 걸어 맞춤 가능한 되접어 꺽음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의 측단에 엔드 캡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는,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중앙측이 되는 측단을 구부려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플랜지부는,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중앙측이 되는 측단에 합 성수지를 코팅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차양부는, 자동차에 설치한 경우에 자동차의 중앙측이 되는 측단 끝의 외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바이저.
KR1020067018325A 2004-03-19 2005-03-18 자동차용 바이저 KR101084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1180 2004-03-19
JP2004081180 2004-03-19
PCT/JP2005/004979 WO2005090107A1 (ja) 2004-03-19 2005-03-18 自動車用バイザ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757A true KR20070030757A (ko) 2007-03-16
KR101084563B1 KR101084563B1 (ko) 2011-11-17

Family

ID=3499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8325A KR101084563B1 (ko) 2004-03-19 2005-03-18 자동차용 바이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46842B2 (ko)
EP (1) EP1733907B1 (ko)
JP (1) JP4724114B2 (ko)
KR (1) KR101084563B1 (ko)
CN (1) CN100431865C (ko)
AT (1) ATE489251T1 (ko)
DE (1) DE602005024942D1 (ko)
ES (1) ES2354527T3 (ko)
WO (1) WO2005090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6917B2 (en) 2005-03-11 2007-05-15 Anand Tadakamalla Retractable sun visor and full windshield cover
TWM283762U (en) * 2005-04-08 2005-12-21 Wen-Shiun Jang Improved structure of vehicular window eave
JP5108431B2 (ja) * 2007-09-21 2012-12-26 田村プラスチック製品株式会社 自動車用バイザー
US8651554B1 (en) 2010-02-26 2014-02-18 Lund, Inc. Vehicle shield
JP5930581B2 (ja) * 2010-11-29 2016-06-08 Dnp田村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バイザー
JP5770468B2 (ja) * 2010-12-28 2015-08-26 田村プラスチック製品株式会社 自動車用内外装用品
JP5723620B2 (ja) * 2011-02-08 2015-05-27 田村プラスチック製品株式会社 自動車用バイザー
US20120205941A1 (en) * 2011-02-14 2012-08-16 Yuan-Chung Chou Sun visor for an automobile window
US20120285364A1 (en) * 2011-05-11 2012-11-15 Kanagy Deloren Flag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 vent visor
US8998290B2 (en) * 2012-06-15 2015-04-07 Lund Inc. Side window visor, a method of installation, and a motor vehicle having a side window visor
JP6655890B2 (ja) * 2015-06-03 2020-03-04 Dnp田村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バイザー
US9878600B2 (en) 2015-10-30 2018-01-30 Lund, Inc. Vehicle hood shield and bracket system
CA3052489A1 (en) 2017-03-02 2018-09-07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Ecm hydrogel for treating esophageal inflammation
USD906200S1 (en) 2018-10-26 2020-12-29 Bushwacker, Inc. Fender flare
CA187177S (en) 2018-10-26 2020-10-22 Bushwacker Inc Fender flare
USD906202S1 (en) 2018-10-26 2020-12-29 Bushwacker, Inc. Fender flare
US11225213B2 (en) 2018-10-26 2022-01-18 Lund, Inc. Vehicle body shield
US11220161B2 (en) 2018-10-26 2022-01-11 Lund, Inc. Window deflector assembly with mounting clips
USD898640S1 (en) 2018-10-26 2020-10-13 Bushwacker, Inc. Vehicle fender flare
JP7307581B2 (ja) 2019-04-08 2023-07-12 林テレンプ株式会社 サイドバイザー
JP7442397B2 (ja) 2020-06-30 2024-03-04 Dnp田村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バイザー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030085Y1 (ko) 1963-05-14 1965-10-21
US3785699A (en) * 1972-06-26 1974-01-15 C Molaskey Wind deflector for automobiles
US4347781A (en) * 1979-07-10 1982-09-07 Hassell Aarno A Air deflector for motor vehicle windows
US4426111A (en) * 1981-10-29 1984-01-17 Smith Samuel C Automobile rain shield
JPS58110521U (ja) * 1982-01-22 1983-07-28 村田 亨一 自動車用サイドバイザ−
US4527466A (en) * 1983-08-08 1985-07-09 Kossor Albert A Automobile ventilation exhaust and rain shield
JPS61132115A (ja) 1984-11-29 1986-06-19 井関農機株式会社 大豆収穫機
JPS61132115U (ko) * 1985-02-07 1986-08-18
JPS6276719U (ko) * 1985-10-31 1987-05-16
JPS6330085A (ja) * 1986-07-23 1988-02-08 Hitachi Ltd 輝度信号・色信号分離回路
JPH0622571Y2 (ja) * 1988-07-13 1994-06-15 片山工業株式会社 自動車モール用クリップ
JPH04266523A (ja) * 1991-02-22 1992-09-22 Kinugawa Rubber Ind Co Ltd サイドバイザーの取付構造
JPH04123745U (ja) * 1991-04-22 1992-11-10 大和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サイドドアガードモールの取付構造
US5150941A (en) * 1991-11-20 1992-09-29 Arvan, Inc. Side window air deflector incorporating a side view mirror
US5251953A (en) * 1992-01-13 1993-10-12 National Cycle, Inc. Vehicle window air deflector
JPH0618026U (ja) * 1992-02-12 1994-03-08 田村プラスチック製品株式会社 自動車用バイザーの取付け機構
CN2121367U (zh) * 1992-05-30 1992-11-11 纪勇 车用遮阳帽
US5284377A (en) * 1992-06-30 1994-02-08 Krenciprock Russell C Security window wind deflector
CN2136158Y (zh) * 1992-07-09 1993-06-16 邱铁铮 汽车前窗遮阳罩
KR950006023U (ko) * 1993-08-19 1995-03-20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가이드 겸 선바이저
JP3317076B2 (ja) * 1995-03-08 2002-08-19 豊田合成株式会社 樹脂一体クォータガラス
JP2987421B2 (ja) * 1995-11-14 1999-12-06 田村プラスチック製品株式会社 自動車用サイドバイザー
US6042473A (en) * 1996-09-09 2000-03-28 Mcclary; Bradley K. Ventilating panel for vehicles
JP3632455B2 (ja) * 1998-08-26 2005-03-23 松下電工株式会社 成形品固定構造
JP2002219933A (ja) 2001-01-26 2002-08-06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サイドバイザ
JP4534377B2 (ja) * 2001-04-19 2010-09-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パネルに対する部材の取付構造
JP2003039952A (ja) * 2001-07-30 2003-02-13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サイドバイザー取付装置
JP2003182356A (ja) * 2001-12-20 2003-07-03 Tamura Plastic Mfg Co Ltd 自動車用バイザーとその製造方法
JP2003326966A (ja) * 2002-05-15 2003-11-19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サイドバイザー支持装置
JP4389267B2 (ja) * 2004-09-06 2009-12-24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車両用ドアバイザ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4563B1 (ko) 2011-11-17
ES2354527T3 (es) 2011-03-15
EP1733907A4 (en) 2007-04-18
US20070001480A1 (en) 2007-01-04
US7246842B2 (en) 2007-07-24
JP4724114B2 (ja) 2011-07-13
WO2005090107A1 (ja) 2005-09-29
CN100431865C (zh) 2008-11-12
EP1733907A1 (en) 2006-12-20
JPWO2005090107A1 (ja) 2008-01-31
ATE489251T1 (de) 2010-12-15
DE602005024942D1 (de) 2011-01-05
EP1733907B1 (en) 2010-11-24
CN1930014A (zh) 200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563B1 (ko) 자동차용 바이저
US7918058B2 (en) Device for fixing an ornamental profiled section on a shaped band
US8479449B2 (en) Sealing, trimming and guiding strip
JP5099540B2 (ja) 車両用ドアフレーム、車両用ドアガラスラン装飾リップおよび車両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EP2467275B1 (en) Vehicle glazing with seal and decoration strip
US20120167473A1 (en) Pane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it
KR20030034254A (ko) 리세스에 설치할 수 있도록 프로파일 스트링 림을 포함한창유리의 용도
KR20120048635A (ko) 통합 글래스런을 구비한 공압출 u자형 채널
RU2015037C1 (ru) Щелевое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стекол
EP1607255A2 (en) Sealing, trimming or guiding strips
JP7117317B2 (ja) クリップ留め可能なカバー部品用のクリッピング用成形ビードを含むグレージング
US20070194539A1 (en) Sealing, trimming or guiding strips
EP3047992B1 (en) Vehicle glazing
JP3500017B2 (ja) 車両用ウインドの仮止め構造
WO2007020525A1 (en) Window sealing and guiding arrangements for vehicle doors and windows
GB2421268A (en) Sealing, trimming and finishing strips and vehicle doors incorporating such strips
JP5269129B2 (ja) 自動車用サイドバイザー、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3628774B2 (ja) 自動車用サイドバイザーの取付構造
JP4833751B2 (ja) 自動車用サイドバイザー、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4082108B2 (ja) 自動車ドアのシール構造
JP4585112B2 (ja) ダブルシール付き自動車用サイドバイザー
JP5930581B2 (ja) 自動車用バイザー
JP2008030633A (ja) アウターウエザストリップ
ZA200302495B (en) Use a glazing comprising a profiled string rim for its installation in a recess.
JPH06156089A (ja) サッシュレスドア型車の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