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187A -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187A
KR20060080187A KR1020067004671A KR20067004671A KR20060080187A KR 20060080187 A KR20060080187 A KR 20060080187A KR 1020067004671 A KR1020067004671 A KR 1020067004671A KR 20067004671 A KR20067004671 A KR 20067004671A KR 20060080187 A KR20060080187 A KR 20060080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imaging device
display
display device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252B1 (ko
Inventor
마사아키 오시마
신 미야시타
마사히코 이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시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표시면이 보기 쉽고, 게다가, 촬상중에 표시장치가 방해가 되지 않고, 안정성 좋게 촬상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렌즈장치(12)로부터 입력되는 빛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형성하는 촬상수단과, 그 영상신호에 의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13)와, 촬상수단이 수납되는 동시에 렌즈장치(12)의 렌즈계의 광축과 거의 평행하게 연재된 손잡이(20)를 가지는 케이스본체(11)를 갖춘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디스플레이(13)를, 손잡이(20)의 광축방향 앞쪽에 일체로 또는 별도 부재로 자세변경 가능하게 설치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손잡이를 잡은 촬영시에 있어서의 가장 보기 쉬운 위치에 제 1표시장치를 배치할 수 있고, 촬영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장치{Imaging device}
본 발명은, 촬상된 피사체의 영상(화상)이나 미리 기억장치에 기억된 영상을 표시 가능한 표시장치를 갖춘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촬상시에 있어서 표시장치의 표시면이 보기 쉽고, 게다가, 촬상중에 표시장치가 방해가 되지 않고, 안정성이 좋은 촬상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촬상장치의 제 1예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 특허출원인이 먼저 특허출원한 것이며, 비디오카메라의 본체부에 대해서 전자뷰파인터를 개폐 및 회동자재로 장착함으로써 전자뷰파인더의 시인성(視認性)을 높이고, 비디오카메라의 다양한 사용상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비디오카메라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비디오카메라는, 「본체부에 수납된 촬상수단으로 촬상된 영상신호를 모니터하기 위한 전자뷰파인더의 한쪽 가장자리부를, 상기 본체부 측면의 수납부로부터 다른 쪽 가장자리부가 멀어지도록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지지부에 있어서, 이 회동지지부의 회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축을 가지는 보조회동수단을 개재시켜서 상기 전자뷰파인더의 안팎의 한쪽을 선택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디오카메라에 의하면, 「전자뷰파인더가 본체부 측면의 수납부로부터 다른 쪽 가장자리부가 멀어지는 바와 같은 방향 및 이 회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축을 가지는 방향의 2개의 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되며, 전자뷰파인더의 안팎의 한쪽을 선택하여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뷰파인더의 표시면의 파손, 상처나 더러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전자뷰파인더의 표시면이 보이도록 수납한다면, 전자뷰파인더를 수납한 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비디오카메라의 경우에는, 촬상수단이 수납되는 케이스본체의 측면부에 전자뷰파인더가 옆쪽으로 회동자재이며, 상하방향으로도 회동자재로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 20,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도 20 내지 도 22는, 종래의 비디오카메라(1)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부호 2는, 촬상수단이 수납된 촬상장치본체로서의 케이스본체이며, 케이스본체(2)의 상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재된 손잡이(3)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3)의 전부에는 마이크로폰(4)이 일체로 설치되며, 후부에는 뷰파인더(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본체(2)의 전부에는 앞쪽으로 돌출하는 렌즈장치(6)가 장착되며, 케이스본체(2)의 측면부에는 액정디스플레이(7)가 장착되어 있다. 액정디스플레이(7)는, 케이스본체(2)에 대해서 옆쪽인 수평방향으로 대략 90도 회동자재로 되어 있어, 케이스본체(2)의 측면부에 수납된 디스플레이의 닫힌 상태와, 대략 90도 회동되어서 옆쪽으로 돌출한 디스플레이의 열린 상태와의 사이에서 임의의 위치 에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액정디스플레이(7)는, 상하방향으로도 약 180도 회동자재로 되어 있어, 개방 측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동한 상태(도 20을 참조)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킴(도 21을 참조)으로써, 표시면을 뒤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와, 표시면을 앞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7)의 표시면을 뒤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 있어서, 그 표시면을 눈의 높이로 하여 비디오카메라(1)를 지지하도록 하면, 촬영자의 어깨관절(A)과 팔꿈치의 관절(B)을 연결하는 상완선(上腕線)(AB)과 어깨의 관절(A)로부터 수직으로 내린 수직선(AV)과의 이루는 각도(
Figure 112006016150340-PCT00001
0)와, 팔꿈치의 관절(B)과 손목의 관절(C)을 연결하는 전완선(BC)과 상완선(AB)과의 이루는 각도(
Figure 112006016150340-PCT00002
0)가 동시에 커진다. 이 상태에서 비디오카메라(1)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손에 큰 힘을 가하여 지지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촬영자의 피로가 커질 뿐만 아니라, 표시면이 흔들려서 안정되지 않는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7)의 표시면이 흔들리지 않도록 뷰파인더(5)의 선단을 가슴에 바짝 대서 비디오카메라(1)를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액정디스플레이(7)의 표시면을 촬영자의 눈으로 향하게 하면, 그 눈이 수평방향을 볼 때 수평시선(EH)과 그 눈이 표시면을 볼 때의 표시면시선(ED)과의 이루는 각도(
Figure 112006016150340-PCT00003
0)가 커진다. 그 때문에, 촬영자가 피사체와 표시면을 교대로 보기 위해서는, 머리를 상하방향으로 크게 흔들 필요가 있기 때문에 목이 피곤해질 뿐만 아니라, 녹화찬스를 놓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7)가 옆쪽으로 돌출한 비디오카메라(1)를 손(F)에 들고 로 앵글로 촬영하는 경우에, 액정디스플레이(7)가 촬영자의 다리(G)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디오카메라(1)를 다리(G)로부터 거리(S0)만큼 멀리 떼어놓도록 하여 지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촬영자의 어깨관절(A)과 손목관절(C)을 연결하는 팔선(AC)과 어깨의 관절(A)로부터 수직으로 내린 수직선(AV)과의 이루는 각도(θ0)가 어느 정도 커진다. 이 상태에서 비디오카메라(1)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손(F)을 몸에서 멀리 떼어놓는 자세를 취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손(F)에 큰 힘을 가해서 지지할 필요가 있고, 무게를 느끼기 쉬운 거북한 자세를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종래 촬상장치의 제 2예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도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비디오카메라에 의한 촬영시의 동작을 표시하는 동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동작표시장치는, 「표시부를 본체의 최상부에 설치된 손잡이부에 수납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서 상기 표시부를 매몰 또는 돌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적어도 상기 표시부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를 상기 본체의 뒤쪽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동작표시장치에 의하면, 「카메라본체의 최상부에 있는 손잡이부에 표시기인 LED를 설치하기 때문에, 뒤쪽으로부터의 동작표시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표시기를 손잡이부에 수납 가능하게 장착한 구 성이기 때문에, 촬영하지 않을 때는 표시기를 손잡이부 내에 매몰시켜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서 보호할 수 있다」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동작표시장치의 경우에는, 표시부는 카메라가 동작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설치된 것으로, 피사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게다가, 동작표시장치의 표시부는, 뒤쪽으로부터의 동작표시의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종래 촬상장치의 제 3예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도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영상모니터유닛을 갖춘 비디오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촬상장치는, 「촬상광학계에 근접하는 동시에 촬상장치의 중심에 대해서, 카메라 그리드와 반대 측 촬상장치의 전부에, 영상모니터유닛을 배치하는」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촬상장치에 의하면,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의 전부에 모니터디스플레이를 배치하는 것으로, 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형의 양호한 영상모니터를 실현할 수 있다」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종래 촬상장치의 제 4예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4에 개시되어 있는 형태의 것이 있고, 그 촬상장치의 용도를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개설(槪說)한다. 촬상장치(100)는, 속이 비어 있는(中空) 케이스체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본체(111)와, 이 케이스본체(111)의 전면에 돌출하도록 장착된 렌즈장치(109)와, 이 렌즈장치(109)로부터 입력되는 빛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형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촬상수단과, 이 촬상수단으로 형성된 영상신호 또는 미리 정보기록매 체(촬상수단의 기억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장치로서는, 액정표시패널(101) 등에 의한 촬영화상의 확인 등을 위한 모니터로서 사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비교적 큰 화면을 갖는 것과, 소형의 표시장치가 내장되며,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에 회동자재로 되는 전자뷰파인더(102)가 갖추어져 있다. 이 전자뷰파인더(102)는, 특히, 밝은 낮의 빛 아래 등에 있어서, 큰 화면의 액정표시패널 등의 화상이 외광에 의해서 보기 어려워질 때, 그리고 프레이밍을 비롯한 카메라워크를 충분히 발휘시킨 촬영을 실시할 때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자뷰파인더(102)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장치의 광축방향 뒤쪽에서 케이스본체(111)의 배면의 상부, 즉, 배터리(107)의 수납부의 거의 직상부(直上部)에, 이 광축에 거의 평행으로 케이스본체(111)로부터 돌출되어 설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스본체(111)의 배면의 상부에 전자뷰파인더(102)의 도시하지 않은 회동의 축이 설치되며, 이 회동축의 회전으로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7)가, 케이스본체(111)의 배면에 형성된 요함(凹陷)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배터리(107)의 교환은,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뷰파인더(102)가 대략 광축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통상의 상태의 경우에는, 우선, 전자뷰파인더(102)를 위쪽으로 회동하여,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스듬히 위 를 향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배터리수납부의 배터리의 상부를 노출시키고, 손가락을 넣어서 수작업이 가능한 공간을 만든다. 다음에, 배터리(107)의 상하 또는 좌우를 한쪽 손의 손가락으로 집고, 다른 쪽 손의 손가락으로 고정해제버튼(108)을 누르면서 배터리(107)를 떼어낸다. 그 후, 다른 배터리를 장착하고, 전자뷰파인더(102)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라고 하는 순서로 교환작업을 실시했었다.
또한, 이 촬상장치에서는, 배터리수납부의 상부에는, 케이스본체(111)의 배면 상부에 전자뷰파인더(102)의 회동축이 설치되게 되므로, 이 회동을 위한 기구를 케이스본체(111)의 뒤쪽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뉴스보도 등의 현장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업무용의 촬상장치에서는, 세팅위치를 가능한 한 바꾸지 않고 1번의 동작으로 빠르고 확실하게 작업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장치가 요망되고 있고, 배터리교환에 있어서 종래의 촬상장치에서는, 적어도, 전자뷰파인더(102)의 회동, 그리고 배터리교환, 전자뷰파인더(102)의 상태복원을 위해서는 3번의 동작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의 단축화(1액션화)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촬상장치에서는, 배터리수납부의 상부가 되는, 배터리(107)의 상부의 케이스본체(111)의 배면이 절개되어 있고, 여기에 전자뷰파인더(102)가 회동자재로 수납되며, 또한, 전자뷰파인더(102)의 회동축 등도 설치되기 때문에, 케이스본체(111)의 배면에서의 강도가 부족하다고 하는 부적당이 있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뷰파인더(102)의 회동축이 설치되는, 손잡이 (104)와 케이스본체(111)와의 연결부가, 케이스본체(111) 후부의 부풀어오른 부분에 수납되어서 촬상장치 자체가 커지거나, 혹은 전자뷰파인더(102)의 뒤쪽으로 크게 돌출하여 버리는, 디자인적으로 차별화하기 어렵다라고 하는 부적당도 있었다.
특허문헌1 특개평8-125890호 공보
특허문헌2 특개평2-162875호 공보
특허문헌3 특개평5-191698호 공보
특허문헌4 특개평2001-189883호 공보(제 2페이지, 도 2)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종래의 촬상장치에서는, 케이스본체의 측면부에 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디오카메라를 지지하는 손에 큰 힘을 가하여 지지하지 않으면 안 되고, 촬영시에 있어서의 촬영자의 피로가 클 뿐만 아니라, 표시면이 흔들려서 안정되기 어렵고, 또한, 피사체와 표시면을 교대로 보기 위해서 머리를 크게 흔들 필요가 있기 때문에 목이 피로하고, 녹화찬스를 놓치는 경우가 있는, 등의 과제를 가지는 것에 있다.
또, 업무용으로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배터리의 교환이 하기 쉽고, 조작성이 양호한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렌즈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빛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형성하는 촬상수단과, 영상신호에 의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제 1표시장치와, 촬상수단이 수납되는 동시에 렌즈장치의 렌즈계의 광축과 거의 평행하게 연재된 손잡이를 상부에 가지는 촬상장치본체를 갖춘 촬상장치에 있어서, 제 1표시장치를, 손잡이의 광축방향 앞쪽에 일체로 또는 별도 부재로 자세변경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제 1표시장치는, 평평한 평면모니터와, 그 평면모니터를 촬상장치본체에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회동지지기구를 가지고, 그 회동지지기구의 회동에 의해, 평면모니터를 대략 180도 회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회동지지기구의 회동에 의해서, 평면모니터를 반전동작 가능하게 하고, 그 평면모니터의 수납위치에 있어서 평면모니터의 표시면과 그 반대 측의 비표시면을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평면모니터는, 평평한 케이스체를 가지고, 그 케이스체의 제 1주면에 평면모니터의 표시면이 설치되며, 제 1주면과 반대 측의 제 2주면이 비표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촬상장치는, 제 1표시장치의 표시면은, 광축방향 앞쪽을 높이 하여 뒤쪽으로 경사시켜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자세변경 가능한 제 1표시장치는, 손잡이의 광축방향과 평행하는 방향 혹은 직교하는 방향 또는 적절한 각도로 경사된 방향으로 연재된 회동축에 의해서 손잡이에 회동자재로 연결되는 동시에, 그 회동축의 축심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동작 및 반전동작 가능하게 하고, 손잡이의 위에 제 1표시장치의 표시면 또는 그 표시면과 반대 측의 비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자세변경 가능한 제 1표시장치에 의해서 덮여지는 손잡이의 위치에는, 촬상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손잡이의 제 1표시장치가 배치되는 위치의 근방에 있어서 광축방향 뒤쪽에는, 촬상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촬상장치본체의 손잡이 뒤쪽에서, 그 손잡이의 거의 동일 축상에 제 2표시장치를 설치하고, 그 제 2표시장치는 뷰파인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뷰파인더를, 손잡이에 설치된 회동축에 의해 위쪽으로 회동자재로 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뷰파인더의 광축과 촬상장치본체의 렌즈계의 광축을, 소정 거리를 가지고 설치하고, 촬상장치본체로부터 떨어진 위쪽에 뷰파인더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에 설치되는 배터리수납부의 상부와 촬상장치본체의 사이에 오목공간을 설치하고, 배터리를 어긋나게 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촬상장치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깻바대기를 설치하고, 그 어깻바대기는,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에 대해서 접근ㆍ이반 가능하게 지지된 어깻바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어깻바대부는,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에 대해서 신축자재로 지지된 지지암(arm)과, 그 지지암의 선단에 회동자재로 지지된 어깻바대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어깻바대편은, 촬상장치본체의 배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고, 지지암을 축소하여 촬상장치본체에 접근시켰을 때에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을 덮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어깻바대편에는,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에 장착된 배터리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관통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어깻바대기는, 촬상장치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어깻바대본체를 가지고, 그 어깻바대본체는, 촬상장치본체의 저부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와, 지지암이 출납 가능하게 수납되는 지지암수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렌즈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빛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형성하는 촬상수단과, 영상신호에 의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제 1표시장치 및 제 2표시장치와, 촬상수단이 수납되는 동시에 렌즈장치의 렌즈계의 광축과 거의 평행하게 연재된 손잡이를 상부에 가지는 촬상장치본체를 갖춘 촬상장치에 있어서, 제 1표시장치를, 손잡이의 광축방향 앞쪽으로 자세변경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제 2표시장치를, 손잡이의 광축방향 뒤쪽으로 자세변경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제 1표시장치는, 한쪽 면에 표시면을 가지는 평평한 모니터케이스에 수납된 평면모니터에 있어서, 그 평면모니터의 한 변을 중심으로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되어 있고, 그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 있어서, 광축에 직교하는 동시에 그 광축과 거의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자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제 1표시장치는, 평면모니터를 반대 측으로 회동하여 평면모니터의 수납위치로 되돌려서 접었을 때에, 그 평면모니터의 표시면이 상면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손잡이의 후부에는, 그 손잡이의 거의 동일 축상에 제 2표시장치를 설치하고, 그 제 2표시장치는 뷰파인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손잡이의 광축방향 앞쪽에 제 1표시장치를 일체로 설치하고, 또는 별도 부재로 자세변경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손잡이를 잡은 촬영시에 있어서의 가장 보기 쉬운 위치에 제 1표시장치를 배치할 수 있고, 촬영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제 1표시장치를 평평한 평면모니터로 하고, 이 평면모니터를 회동지지기구에 의해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평면모니터를 대략 180도 회동시킴으로써, 평면모니터의 표시면과 그 반대 측의 비표시면을 선택적으로 표시시킬 수 있고, 평면모니터의 회동조작을 수작업에 의해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평면모니터가 평평한 케이스체를 가지고, 그 케이스체의 제 1주면을 평면모니터의 표시면으로 하고, 그 케이스체의 제 1주면에 평면모니터의 표시면이 설치되며, 그 제 1주면과 반대 측의 제 2주면이 비표시면인 것에 의해, 평면모니터의 수납위치에 있어서 평면모니터의 표시면과 그 반대 측의 비표시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평면모니터 보호의 실행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제 1표시장치의 표시면이, 그 앞쪽을 높게 하는 동시에 뒤쪽을 낮게 하여 뒤쪽으로 경사하고 있기 때문에, 촬영시에 있어서의 표시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제 1표시장치가 손잡이에 대해서 회동축을 통해서 회동자재로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제 1표시장치의 표시면 및 비표시면을 선택하여 손잡이의 전부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시 등의 필요시에는 표시면을 겉으로 하여 촬영 등에 제공하고, 비촬영시 등의 불필요시에는 비표시면을 겉으로 하여 표시면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제 1표시장치에 의해서 덮여지는 위치에 조작버튼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표시장치로 조작버튼이 덮여져 있을 때에는 그 조작버튼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조작버튼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손잡이의 제 1표시장치가 배치되는 위치의 근방에서 광축방향 뒤쪽에 조작버튼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표시장치의 표시면을 보면서 거의 동일한 시선으로 조작버튼을 볼 수 있고, 시선의 작은 동작만으로 표시면과 조작버튼을 거의 동시에 보고 버튼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뷰파인더의 배치를, 복잡한 전자회로나 내장구조물이 수납된 촬상장치본체와는 별도로, 운반하기 위해서 처음부터 튼튼하게 형성되며, 또한 내장구조물도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손잡이에 설치함으로써, 이 장착부분의 구조 간략화나 장착 강도 확보의 면에서 대단히 유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뷰파인더의 장착ㆍ회동기구를 손잡이 내부에 수납할 수 있고, 시각적으로 크기를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촬상장치본체에 뷰파인더의 장착을 위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체를 소형화할 수 있고, 뷰파인더의 수리 등에서도 탈/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촬영할 때에 촬상장치를 들어올리는 높이를 억제할 수 있고, 팔을 구부리고, 겨드랑이를 붙인 촬영이 가능하게 되며, 장시간 안정된 자세에서의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배터리수납부와 위쪽의 뷰파인더와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착탈시에 뷰파인더를 회동시킬 필요가 없고, 배터리의 교환작업을 간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촬상장치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깻바대기를, 그 어깻바대기를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에 대해서 접근ㆍ이반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어깻바대기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이 용이하며, 촬상장치를 확실하게 고정하여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어깻바대부를 지지암과 어깻바대편으로 구성함으로써, 어깻바대편의 돌출량의 조정이 용이하며, 임의의 길이에 있어서 자유자재로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어깻바대편의 각도조정을 자유자재로 실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어깨나 가슴 등의 임의의 위치에 바짝 대서, 촬상장치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어깻바대편을 촬상장치본체의 배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고, 그 어깻바대편을 축소하여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에 근접시킴으로써, 배면에 설치된 조작버튼, 조작스위치, 표시장치 등을 어깻바대편으로 덮어서 보호할 수 있고, 조작버튼 등이 무언가와 접촉하여 잘못 조작되거나, 무언가에 닿아서 파손되는 등의 부적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배터리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관통구멍을 어깻바대편에 설치함으로써, 어깻바대편을 눌러 축소하여 촬상장치본체에 접근시키고, 촬상장치 전체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촬상장치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배터리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어깻바대부는 어깻바대본체를 가지고, 그 어깻바대본체에는 촬상장치본체에 위치결정부와 지지암수납부를 설치함으로써, 위치결정부에 촬상장치본체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촬상장치를 어깻바대기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동시에, 지지암을 줄였을 때에, 그 지지암이 돌출하여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감(美感)이 해쳐지지 않고 새로운 디자인의 어깻바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손잡이의 광축방향 앞쪽에 제 1표시장치를 자세변경 가능하게 설치하고, 손잡이의 광축방향 뒤쪽에 제 2표시장치를 자세변경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손잡이를 잡은 촬영시에 있어서의 가장 보기 쉬운 위치에 제 1표시장치를 배치하고, 제 1표시장치를 보고 촬영을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눈 높이로 들어올려서 제 2표시장치를 보고 촬영을 실시할 수 있고, 여러가지 자세를 취하면서 순간적으로 피사체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촬영시의 조작성을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제 1표시장치를 평면모니터로 구성하고, 그 평면모니터의 한 변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평면모니터의 표시면을 상하, 전후 및 좌우의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향할 수 있고, 모든 자세의 촬영에 대해서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고, 크고 보기 쉬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또한, 평면모니터를 반대 측으로 회동하여 수납위치에 되돌려서 접음으로써, 그 수납위치에 표시면과 비표시면을 임의로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고, 필요할 때에는 표시면을 노출시켜서 피사체의 영상 등을 표시하고, 불필요할 때에는 비표시면을 표시하여 평면모니터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손잡이의 후부에 제 2표시장치인 뷰파인더를 설치함으로써, 그 뷰파인더를 사용하여 피사체의 촬영을 실시할 수 있고, 평면모니터와 뷰파인더와의 2개의 표시장치를 필요에 따라서 이용할 수 있어서, 촬영이 하기 쉽고, 사용자에게 가능한 한 무리한 자세를 취하게 하지 않고, 피로가 적은 촬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제 1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 1 표시장치의 표시면을 손잡이의 받침대부에 대향시켜서 비표시면을 겉으로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제 1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 1표시장치를 좌우방향으로 180도 회동시켜서 표시면을 상면에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제 1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 1표시장치를 뒤쪽으로 90도 회동시켜서 표시면을 촬영자 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제 1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제 1표시장치를 더욱 뒤쪽으로 90도 회동시킨 후 받침대 측으로 180도 회동시켜서 표시면을 위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제 1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촬상장치본체와 손잡이와 제 1표시장치와 제 2표시장치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촬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촬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전자뷰파인더를 위쪽으로 회동한 상태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촬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7의 상태에서 배터리를 떼어낸 상태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촬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손잡이를 가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촬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 1표시장치의 표시면을 확대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촬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 1표시장치의 표시면을 눈 높이로 설정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촬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제 1표시장치의 표시면을 가슴 높이로 설정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촬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촬상장치를 로 앵글로 유지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표시장치의 자세변화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이용하기 적합한 어깻바대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겉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이용하기 적합한 어깻바대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안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 등에 나타내는 어깻바대기의 어깻바대편으로 케이스본체의 배면을 덮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이용하기 적합한 어깻바대기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어깻바대편을 어깨에 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이용하기 적합한 어깻바대기의 사용 예를 나 타내는 것이며, 어깻바대편을 가슴에 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종래 촬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표시장치의 표시면을 눈 높이로 설정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종래 촬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표시장치의 표시면을 가슴 높이로 설정한 설명도이다.
도 22는, 종래 촬상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촬상장치를 로 앵글로 유지한 설명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촬상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뷰파인더를 수평하게 하여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종래의 촬상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뷰파인더를 회동시켜서 위쪽으로 향하게 한 상태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비디오카메라(촬상장치) 11. 케이스본체(촬상장치본체)
12. 렌즈장치 13, 43. 평면모니터(제 1표시장치)
13a. 표시면 13b. 비표시면
16. 배터리수납부 17. 배터리
19. 모니터케이스 20. 손잡이
21. 전자뷰파인더(제 2표시장치) 24, 44. 받침대부
27. 조작버튼군 30. 회동지지부
35, 37. 녹화버튼(조작버튼) 36, 38. 줌버튼(조작버튼)
45. 46. 회동축 50. 어깻바대기
51. 어깻바대본체 52. 어깻바대부
53. 케이싱 62. 지지암
67. 어깻바대편 70. 관통구멍
촬영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표시장치가 촬영의 방해가 되지 않고, 게다가 표시면이 보기 쉽고, 조작버튼의 조작성을 향상한다고 하는 목적을, 제 1 및 제 2표시장치의 배치, 그 장착구조 등을 고안함으로써 실현했다.
또, 조작성이 양호하며, 작고 실속있으면서 업무용으로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배터리의 교환이 하기 쉽고, 종래에는 없는 디자인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 ~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 1 ~ 도 6은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비디오카메라의 도면, 도 7 ~ 도 13은 비디오카메라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4는 표시장치의 장착구조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비디오카메라의 도면, 도 15 ~ 도 19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에 이용하기 적합한 어깻바대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 도 6에 나타내는 비디오카메라(10)는, 본 발명의 촬상장치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정보기록매체로서는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이용한 디지털비카디오카세트(이하「DV카세트」라고 한다.)를 사용하고, 광학적인 화상을 CCD(전하결합소자)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DV카세트에 기록하거나 액정디스플레이 등 의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촬상장치로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자스틸카메라 그 외의 촬상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정보기록매체로서는, DV카세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아날로그비디오카세트 그 외의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DVD(디지털버서타일디스크)나 CD-ROM 그 외의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자기디스크 등과 같은 디스크형 기록매체, 또한, 반도체기록매체 등과 같이 다른 기록매체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비디오카메라(10)는, 촬상장치본체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속이 빈 케이스체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본체(11)와, 이 케이스본체(11)의 전면에 돌출하도록 장착된 렌즈장치(12)와, 이 렌즈장치(12)로부터 입력되는 빛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형성하는 촬상수단과, 이 촬상수단으로 형성된 영상신호 또는 미리 정보기록매체(촬상수단의 기억장치 혹은 DV카세트)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의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제 1표시장치(13) 및 제 2표시장치(2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영상과 화상에 대해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표시장치(13) 또는 제 2표시장치(21)의 표시면에 나타난 1코마마다의 상(像)을 「화상」이라고 하고, 그 화상의 임의수의 집합을 「영상」이라고 하는 것으로 한다.
비디오카메라(10)의 촬상수단은, 케이스본체(1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어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DV카세트가 착탈 자유자재로 장착되는 카세트홀더와, 이 카세트홀더에 장착된 DV카세트의 테이프형 기록매체를 주행시켜서 정보신호의 기록(기입) 및 재생(독출)을 실시하는 기록재생장치와, 이 기록재생장치의 구동제어 등을 실시하는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수단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CCD는 렌즈장치(12)의 광축상 뒤쪽에 배치되어 있어, 이 CCD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정보가 DV카세트에 기록된다.
카세트홀더의 카세트삽입구는 케이스본체(11)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어, 그 개구부는, 케이스본체(11)에 회동자재로 장착된 개폐덮개(14)에 의해서 개폐자재로 되어 있다. 부호(15)는, 개폐덮개(14)의 로크를 해제하여 개폐덮개(14)를 여는 덮개개방버튼이다. 이 덮개개방버튼(15)을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개폐덮개(14)의 하부를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개폐덮개(14)의 상부가 케이스본체(11)의 옆쪽으로 개방된다.
케이스본체(11)의 상부에는, 렌즈장치(12)의 광축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연재된 손잡이(2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20)는, 케이스본체(11)의 앞쪽 상부에 입설된 전각부(前脚部)(20a)와, 케이스본체(11)의 뒤쪽 상부에 입설된 후각부(20b)와, 렌즈장치(12)의 광축과 거의 평행하게 연재되는 동시에 전후 각부(脚部)(20a, 20b)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파지부(20c)로 구성되어 있다. 전각부(20a)의 하부와 후각부(20b)는 앞쪽으로 경사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후각부(20b)의 상부에 제 2표시장치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전자뷰파인더(21)가 장착되어 있다.
전자뷰파인더(21)는, 렌즈장치(12)의 광축의 위쪽에 있어서 거의 평행하게 설치된 손잡이(20)의 파지부(20c)의 후부로부터, 이 파지부(20c)의 축 방향과 거의 동일 축상에 있어서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부에는 아이컵(22)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전자뷰파인더(21)는, 광축방향 앞쪽에 있어서 손잡이(20)의 파지부(20c)의 후부에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아이컵(22) 측이 대략 80도 위쪽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전자뷰파인더(21)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구조체가 되도록 구성된 손잡이(20)의 후각부(20b)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20)의 축(20e)과 전자뷰파인더(21)의 광축의 어긋남이 근소하므로, 렌즈장치(2)의 광축에 대한 손잡이(20)의 축(20e)의 오프셋량은, 대략 H로 되어서 비교적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종래예로서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촬상장치(100)와 같이, 케이스본체(111)에 전자뷰파인더(102)의 회동기구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상의 제한을 받는 일이 없으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전자뷰파인더의 회동기구를 손잡이(20)의 후각부(20b)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본체(11)의 배면의 개폐덮개(14)와 반대 측에는, 요함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수납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터리수납부(16)에는, 전원으로서의 배터리(17)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본체(11)의 배면의 개폐덮개(14) 측에는, 촬상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예를 들면, 음량조절버튼, 화이트밸런스버튼, 모드전환버튼 등)(18)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배터리수납부(16)에 대해서, 도 1, 도 6 ~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배터리(17)는, 예를 들면, 대략 직면체를 이루는 케이스에 니켈ㆍ카드뮴전지, 니켈수소전지, 리튬이온전지 등의 충전ㆍ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복수개 수납한 것이다. 이 케이스의 한쪽 면에, 도시하지 않은 전원단자와 비디오카메라(10) 본체의 계합편이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비디오카메라(10)를 케이스본체(11)의 배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전자뷰파인더(21)의 광축이 손잡이(20)의 축심과 거의 동일 축상이 되어 있는 통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전자뷰파인더(21)를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배터리수납부(16)에 장착된 배터리(17)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배터리수납부(16)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11)의 배면에 설치되며, 그 개구형상이, 배터리(17)의 크기보다 조금 큰 직사각형으로, 수납한 배터리(17)를 위쪽 방향으로 어긋나게 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지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17)의 상부와 하부에 손가락이 들어가는 크기의 오목부가 설치된 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안 길이가, 최소용량의 배터리(17)를 수납했을 때, 케이스본체(11)의 배면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바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수납부(16)의 안 길이 방향의 막다른 곳인 벽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배터리(17)의 계합편과의 계합수단과 복수의 수전(受電)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17)의 교환은, 전자뷰파인더(21)가 도 5에 나타내는 손잡이(20)의 축 심과 거의 동일 축상에 있어서 회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좋고,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회동한 상태여도 좋다. 즉, 촬영시의 세팅을 유지한 채로, 어느 자세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우선, 케이스본체(11)의 배터리수납부(16)에서, 배터리(17)의 상하에 설치되어 있는 절결(切缺)에 손가락을 넣고, 다음에, 배터리(17)를 잡는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17)의 로크해제버튼(23)을 누르면서 배터리(17)를 위쪽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터리수납부(16)의 도시하지 않은 계합편을 떼어내고, 최후에 배터리(17)를 인출한다.
이 배터리(17)를 손으로 잡고, 분해했을 때의 상태를, 도 8에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배터리수납부(16)의 상하에 설치한 오목부에 의해, 전자뷰파인더(21)를 회동하지 않아도 배터리(17)를 확실하게 잡고,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충전이 끝난 별도의 배터리(17)를, 그 상하를 잡고 배터리수납부(16)에 넣고, 앞에 기술했던 것과는 반대의 순서로 배터리(17)를 계합편에 계합시킴으로써, 배터리교환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전자뷰파인더(21)가 설치된 비디오카메라(10)에 의하면, 도 1 ~ 도 6,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디오카메라(10)의 전자뷰파인더(21)가 손잡이(20)의 축심과 거의 동일 축상이 되어 있는 통상의 사용상태에 있어서도, 전자뷰파인더(21)와 배터리수납부(16)와의 거리를 충분히 두고 설치되며, 배터리(17)의 상부에 배터리를 잡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뷰파인더(21)의 회동상태가 어떻든지 배터리(17)의 교환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점, 도 23에 나타내는 종래의 촬상장치(100)에서는, 배터리(107)의 위에 전자뷰파인더(102)가 덮이도록 배치되며, 전자뷰파인더(102)를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하지 않으면, 배터리(107)의 교환이 어렵고, 특히 두께가 얇은 배터리(107)에서는 손으로 잡을 곳이 없으므로 교환이 곤란했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의 전자뷰파인더(21)의 설치구조를 갖춘 촬상장치에 의하면, 배터리(17)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업무용으로서 큰 이점이 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17) 상부의 좌측에 케이스본체(11)와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는 용도의 오목부가 되는 공간을 설치함으로써, 케이스본체(11)에 대해서 깊숙한 위치에 있는 배터리(17)의 상부에 손가락을 대서, 확실히 배터리(17)를 쥐면서 슬라이드 시켜서, 배터리(17)를 확실하고 간단히 착탈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배터리(17)의 두께가 얇고, 장착 후의 외형이 비디오카메라(10)의 본체 외형에 거의 쏙 들어가는 것이어도, 배터리(17)를 잡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케이스본체(11)의 배터리수납부(16) 내에 확보되어 있으므로, 전혀 지장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20)의 전단부에는, 파지부(20c)의 선단에 연속하는 받침대부(24)와, 이 받침대부(24)의 선단에 연속하여 광축방향 앞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25)는, 앞쪽 및 좌우 옆쪽으로 개구된 속이 빈 형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마이크로폰(26)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부(24)는, 광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쪽으로 내뻗도록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면에 개구하는 요함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받침대 (24)에는, 다수의 조작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버튼군(27)을 가지는 덮개체가 일반적으로 감합(嵌合) 고정되어 있다.
받침대부(24)에 장착된 덮개체의 상면은, 광축방향 앞쪽을 높게 하여 뒤쪽으로 경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비디오카메라(10)를 몸의 앞에 받쳐드는 촬영자의 시선이, 덮개체면에 대해서 수직에 가까운 각도가 되도록 하고 있다. 이 덮개체에 설치되는 조작버튼군(27)의 구체적 내용으로서는, 예를 들면, 재생버튼, 정지버튼, 빨리 돌리는 버튼, 되감기 버튼, 일시정지 버튼, 음량조정스위치, 백라이트스위치 등을 들 수 있다.
이 받침대부(24)의 한쪽 측부에는, 회동지지부(30)를 통해 제 1표시장치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액정디스플레이, 영상모니터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면모니터(13)가 회동동작 및 반전동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평면모니터(13)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13a)과, 이 표시면(13a)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9a)가 설치된 모니터케이스(19)를 갖추고 있고, 모니터케이스(19)가 회동지지부(30)와 연결되어 있다. 이 모니터케이스(19)의 개구부(19a)와 반대 측의 면이, 평면모니터(13)의 비표시면(13b)으로 되어 있다.
회동지지부(30)는, 받침대부(24)에 대해서 평면모니터(13)를 광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인 좌우방향(S)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 제 1회동부와, 평면모니터(13)를 광축방향인 전후방향(T)으로 회동 가능하게 한 제 2회동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 1회동부는, 받침대부(24)의 한쪽부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한 쌍의 베어링부(31, 31)와, 양 베어링부(31)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편(32)과, 이러 한 한 쌍의 베어링부(31, 31) 및 베어링편(32)을 관통하는 제 1회동축(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회동축(33)의 축심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면모니터(13)가 대략 180도 각도범위에서 좌우방향(S)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평면모니터(1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면(13a)과 반대 측의 비표시부(13b)가 겉쪽에 나타나는 디스플레이의 닫힌 상태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모니터(13)를 좌우방향으로 180도 회동시켜서 표시면(13a)을 겉쪽에 나타낸 디스플레이의 열린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제 2회동부는, 베어링편(32)과, 이 베어링편(32)에 입설된 도시하지 않은 제 2회동축과, 이 제 2회동축과 케이스부(13b)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평면모니터(13)를 임의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도시하지 않은 회동마찰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제 회동축과 제 1회동축(33)의 축심선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되어 있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모니터(13)가 대략 270도의 각도범위에서 전후방향(T)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결과, 평면모니터(1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면(13a)을 위쪽으로 나타낸 상태로부터 뒤쪽으로 90도 회동시켜서 표시면(13a)을 배면으로 향한 도 3에 나타내는 상태(통상의 촬영상태)를 거쳐, 더욱 뒤쪽으로 90도 회동시킴으로써 비표시면(13b)을 위쪽으로 나타낸 상태(표시면(13a)은 아래쪽을 향함)와, 그 상태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270도 회동시켜서 표시면(13a)을 전면에 향하게 한 상태(자신을 촬영하는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평면모니터(13)는, 그 표시면(13a)을 밑으로 향해서 비표시면(13b)을 위쪽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좌우방향으로 180도 회동시킴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대부(24)의 위에 평면모니터(13)를 중복하여 표시면(13a)을 위쪽에 나타낸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평면모니터(13)의 표시면(13a)이 피사체를 향한 상태(자신을 촬영하는 상태)일 때에는, 전환스위치의 작동을 통해 화상이 자동적으로 반전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받침대부(24)에 의해서 자세변경 가능하게 지지된 평면모니터(13)의 근방에 있어서, 손잡이(20)의 파지부(20c)의 전단부에는, 촬상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녹화버튼(35)과, 렌즈장치(12)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의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줌버튼(36)이 설치되어 있다.
녹화버튼(35)과 줌버튼(36)은 옆으로 줄지어서 배치되어 있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2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 있어서, 잡은 쪽을 바꾸지 않고 엄지손가락으로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녹화버튼(35) 및 줌버튼(36)은, 조작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손잡이(20)에 설치한 제 2녹화버튼 및 제 2줌버튼이다. 그 때문에, 케이스본체(11)의 개폐덮개(14)와 반대 측의 측면상부에는, 제 2녹화버튼 및 제 2줌버튼과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제 1녹화버튼(37)과 제 1줌버튼(38)이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부호(40)는, 비디오카메라(10)의 떨어뜨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핸드벨트이다. 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부호(41)는, 플래시장치 등이 착탈자재로 장착되는 액세서리 슈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디오카메라(10)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양호한 촬상작업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우선, 도 1의 상태에서는, 평면모니터(13)가 손잡이(20)의 받침대부(24)에 격납되어 있어, 그 표시면(13a)과 반대 측의 비표시면(13b)이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표시면(13a)이 조작버튼군(27)과 서로 겹치도록 안쪽을 향하여 대향되어 있기 때문에, 그 표시면(13a)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비디오카메라(10)의 도 1의 상태에서, 회동지지부(30)의 제 1회동부를 중심으로 평면모니터(13)를 좌우방향(S)으로 대략 180도 회동시킴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모니터(13)를 옆쪽으로 돌출시켜 표시면(13a)을 위쪽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평면모니터(13)의 표시면(13a)을 보고, 피사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받침대부(24)에 설치된 조작버튼군(27)이 노출되기 때문에, 그 조작버튼군(27)을 사용하여 비디오카메라(10)의 촬상수단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버튼류를 배치해 둠으로써, 그 영상내용의 확인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회동지지부(30)의 제 2회동부를 중심으로 평면모니터(13)를 앞쪽으로 대략 90도 회동시킴으로써, 표시면(13a)을 피사체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또, 평면모니터(13)를 뒤쪽으로 대략 90도 회동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면(13a)을 촬영자에게 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비디오카메라(10)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모니터(13)의 표시면(13a)을 촬영자의 시선 위에 설정하여 지지함으로써, 편한 자세로 비디오카메라(10)를 지지하면서, 그 표시면(13a)을 눈으로 보고 피사체를 확인하면서 촬 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자의 눈에서 표시면(13a)까지의 거리(L1)를, 도 20에 나타낸 종래의 거리(L0)와 대략 같은 길이(L1=L0)에 있는 것으로 하면, 촬영자의 어깨관절(A)과 팔꿈치관절(B)을 연결하는 상완선(上腕線)(AB)과 어깨관절(A)로부터 수직으로 내린 수직선(AV)과의 이루는 각도(
Figure 112006016150340-PCT00004
1)와, 팔꿈치관절(B)과 손목관절(C)을 연결하는 전완선(前腕線)(BC)과 상완선(AB)과의 이루는 각도(
Figure 112006016150340-PCT00005
1)를, 종래예의 경우에 비하여 함께 작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양팔을 겨드랑이에 가까이하여 비디오카메라(1)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손에 큰 힘을 가하지 않고, 비교적 작은 힘으로 비디오카메라(1)를 쉽게, 게다가 확실히 지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장시간 촬영에 있어서도 피로를 적게 하고, 표시면(13a)이 안정되어 흔들림이 적은 양호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회동지지부(30)의 제 2회동부를 중심으로 평면모니터(13)를 더욱 뒤쪽으로 대략 90도 회동시켜서 표시면(13a)을 밑으로 향하게 한 후, 제 1회동부를 중심으로 평면모니터(13)를 좌우방향(S)으로 대략 180도 회동시키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모니터(13)를 받침대부(14)에 격납함으로써, 표시면(13a)을 조작버튼군(27)의 위에 서로 겹쳐서 위쪽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본체(11)의 중심선상에 평면모니터(13)가 설치되기 때문에, 표시면(13a)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평면모니터(13)의 양단이 케이스본체(11)의 측면부에서 옆쪽으로 크게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촬영시에 평면모니터(13)가 방해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평면모니터(13)의 설치자세는,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디오카메라(10)가 흔들리지 않도록 전자뷰파인더(21)의 선단의 아이컵(eyecup)(22)을 가슴에 바싹대서 비디오카메라(10)를 고정하여 촬영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비디오카메라(10)의 고정상태에서 촬영자가 액정디스플레이(13)의 표시면(13a)을 보면, 그 눈이 수평방향을 볼 때의 수평시선(EH)과 그 눈이 표시면(13a)을 볼 때의 표시면 시선(ED)과의 이루는 각도(
Figure 112006016150340-PCT00006
1)를, 도 21에 나타낸 종래예의 경우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다(
Figure 112006016150340-PCT00007
1〉
Figure 112006016150340-PCT00008
0). 그 때문에, 촬영자가 피사체와 표시면(13a)을 교대로 보기 위해 머리를 상하방향으로 흔드는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목의 흔들림을 적게 하여 목의 근육피로를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녹화찬스를 놓칠 염려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평면모니터(13)의 설치자세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20)를 손(F)으로 쥐고 비디오카메라(10)를 낮춘 상태로 촬영하는, 이른바 로 앵글 촬영을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이 상태에서는, 손잡이(20)를 쥐는 손(F)의 바로 앞쪽에 평면모니터(13)의 표시면(13a)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표시면(13a)이 뒤쪽으로 조금 경사되어 있기 때문에, 편한 자세에서 시선을 표시면(13a)상에 둘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22에 나타낸 종래예의 경우에 비하여 편한 자세로 표시면(13a)을 볼 수 있다.
게다가, 로 앵글로 촬영하는 경우에, 도 22에 나타낸 종래예의 경우와 같이 평면모니터가 측면부에서 옆쪽으로 크게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촬영자의 어깨관절(A)과 손목관절(C)을 연결하는 팔선(AC)과 어깨관절(A)에서 수직으로 내린 수직선(AV)과의 이루는 각도(θ1)를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θ1〈θ0). 그 때문에, 촬영자의 다리(G)에 닿지 않도록 비디오카메라(10)를 다리(G)에서 거리(S1)(S1=S0)만큼 멀어지게 하더라도, 그때의 손(F)의 각도(θ1)를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손(F)을 다리에서 멀어지게 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무게를 느끼기 쉬운 거북한 자세를 경감시켜서, 비교적 편하게 비디오카메라(10)를 받쳐들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20)의 파지부(20c)에 있어서의 받침대부(24) 근방에 녹화버튼(35)과 줌버튼(3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부(20c)를 쥔 자세를 바꾸지 않고, 그 자세 그대로 엄지손가락의 조작에 의해 녹화버튼(35)과 줌버튼(36)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녹화찬스를 놓칠 염려를 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주밍(zooming)조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4는, 평면모니터의 설치방법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평면모니터(43)는, 손잡이(20)의 선단부에 설치된 2개의 회동축(45, 46)에 의해 크게 나누어서 3개의 포지션(P1, P2 및 P3)을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평면모니터(43)의 구성은, 상술한 평면모니터(13)와 동일하지만, 받침대부(44)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제 1회동축(45) 및 제 2회동축(46)이 손잡이 (2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제 1회동축(45)은 좌우방향으로 연재되어 있지만, 제 2회동축(46)은 전후방향으로 연재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러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평면모니터(43)의 포지션(P1)은, 받침대부(44)에 평면모니터(43)를 서로 겹쳐 격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 1회동축(45)을 회동중심으로서 평면모니터(43)를 대략 90도 위쪽(화살표(U)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평면모니터(43)가 포지션(P2)의 상태로 된다. 다음에, 포지션(P2)의 상태에서, 제 2회동축(46)을 회동중심으로서 평면모니터(43)를 대략 180도 좌우방향(화살표(V)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평면모니터(43)가 포지션(P3)의 상태로 된다.
또, 포지션(P3)의 상태에 있어서, 제 1회동축(45)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평면모니터(43)를 대략 180도 위쪽(화살표(W)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평면모니터(43)의 표시면(13a)을 피사체에 대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디오카메라(10)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비디오카메라(10)는, 도 15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어깻바대기(「숄더브레이스」라고도 칭한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꽉 고정하여 촬영할 수 있고, 손 흔들림 등에 의한 화상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고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5 ∼ 도 1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어깻바대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8 및 도 19는, 그 어깻바대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어깻바대기(50)는, 케이스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이 어깻바대기(50)는, 케이스본체(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어깻바대본체(51)와, 이 어깻바대본체(51)에 대해서 근접 및/또는 이반(접근ㆍ이반) 가능하게 지지된 어깻바대부(52)로 구성되어 있다.
어깻바대본체(51)는, 비디오카메라(10)의 저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평평한 케이스체로 이루어지는 케이싱(53)을 갖추고 있다. 케이싱(53) 상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이 어깻바대본체(51)를 케이스본체(11)에 고정하기 위한 본체부착나사(54)와, 케이스본체(11)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돌기(55)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착나사(54)와 위치결정돌기(55)는 긴 쪽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본체부착나사(54)의 나사축(54a)의 한쪽에 설치한 나사부가 상면에 돌출되어 있다. 이 본체부착나사(54)의 나사축(54a)의 다른 쪽은 케이싱(53)을 관통하고 있고, 그 두부(頭部)에 설치된 회동편(54b)이, 케이싱(53) 저면에 설치한 오목부(56a)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53)의 상면에는, 위치결정돌기(55)와 협동하여 케이스본체(11)를 어깻바대본체(51)에 대해서 위치 결정하는 역할을 다하는 위치결정용 돌출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57)는, 케이싱(53)의 폭 방향의 한쪽변에 있어서, 긴 쪽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57)의 내측에, 케이스본체(11)의 한쪽 방향의 긴 쪽 방향 옆 가장자리가 당접된다.
이때, 위치결정돌기(55)는, 케이스본체(11)의 저면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위치결정구멍에 계합되며, 이러한 위치결정돌기(55)와 위치결정구멍 및 돌출부(57)와 케이스본체(11)의 각각의 계합에 의해, 비디오카메라(10)가 어깻바대본체(51)에 대해서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본체부착나사(54)의 나사축(54a)의 나사부를 케이스본체(11)의 삼각용 부착구멍에 나합하여 단단히 조임으로써, 이 어깻바대기(50)가 비디오카메라(10)에 일체로 고정된다.
케이싱(53)의 긴 쪽 방향의 한쪽에는, 비디오카메라(10)의 렌즈장치(12)를 아래쪽에서 지탱하는 전각부(前脚部)(58)가 설치되어 있다. 전각부(58)의 상면에는, 렌즈장치(12)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12a)(도 5를 참조)가 감합되는 오목부(58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각부(58)의 하면에는, 평평한 지지면에 있어서 케이싱(53)의 다리부(53a)와 같은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 볼록부(58b)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53)의 다리부(53a)는, 그 하면의 네 모퉁이에 설치되어 있고, 이들 4개의 다리부(53a)와 전각부(58)의 다리 볼록부(58b)가 각각 같은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 케이싱(53) 하면의, 전각부(58)와 본체부착나사(54)와의 사이에는, 삼각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삼각용 부착구멍(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삼각용 부착구멍(60)을 이용함으로써, 통상 사용되는 삼각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53) 하면의 폭 방향의 양측에는, 긴 쪽 방향으로 연재된 파지용 오목부(61, 61)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파지용 오목부(61, 61)에 양측에서 손가락을 걸도록 하여 쥠으로써, 케이싱(53)을 꽉 파지할 수 있고, 어깻바대기(50)를 놓치는 등의 불편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싱(53)에는, 그 긴 쪽 방향으로 2개의 지지암(62, 62)이 삽통되어 있다. 2개의 지지암(62, 62)은, 케이싱(53)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폭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2개의 지지암(62, 62)의 일단은, 케이싱(53) 내에 있어서 빠져서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로크기구(63)에 의해서 임의의 위치로 고정자재로 되어 있다.
로크기구(63)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53)의 아래쪽에 돌출하는 조작편(64)을 가지고 있다. 로크기구(63)의 조작편(64)은, 케이싱(53) 하면에 설치한 오목부(56b)에 출납자재로 되어 있고, 도 16에 나타내는 오목부(56b)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는 로크가 해제되며, 오목부(56b)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로크되어 2개의 지지암(62, 62)의 진퇴동작이 고정된다.
2개의 지지암(62, 62)의 선단에는, 힌지(65)를 거쳐서 어깻바대편(66)이 회동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깻바대편(66)은, 케이스본체(11)의 배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고, 2개의 지지암(62, 62)을 축소하여 케이스본체(11)에 근접시켰을 때에 케이스본체(11)의 배면을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어깻바대편(66)의 내면에는, 그 내면이 케이스본체(11)에 설치된 조작버튼이나 조작스위치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무늬 돌출(68, 68)과 돌기(6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어깻바대편(66)에는, 2개의 지지암(62, 62)을 축소하여 케이스본체(11)에 근접시켰을 때에, 케이스본체(11)에 장착된 배터리(17)와의 접촉을 회피하 기 위한 관통구멍(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어깻바대편(66)의 일단에는, 힌지(65)의 일부를 이루는 한쌍의 베어링편(66a, 66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쌍의 베어링편(66a, 66a) 사이에, 힌지(65)의 연결부(66b)가 개재되며, 이것들에 지지축(66c)이 관통되어 있다. 이 힌지(65)는, 도시하지 않은 마찰수단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임의의 위치로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고정나사 등을 설치하여 임의의 위치, 혹은 소정의 위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어깻바대편(66)은, 사용자의 어깨에 대거나, 팔에 대거나 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화면의 흔들림을 없애고 보기 쉬운 화면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지지암(62)의 길이가 조절자재로 되어 있어,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장단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어깻바대기(50)가 장착된 비디오카메라(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18은, 어깻바대편(67)을 어깨에 대서 비디오카메라(10) 자세를 취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촬영자의 눈은 제 1표시장치인 평면모니터(13)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비디오카메라(10)가 어깻바대기(50)를 거쳐서 어깨에 꽉 고정된다. 그 때문에, 비디오카메라(10)를 비교적 장시간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카메라 무게에 견디고, 흔들림 없이, 깨끗한 촬영을 장시간에 걸쳐서 실행할 수 있다.
도 19는, 어깻바대기(50)의 어깻바대편(67)을 팔에 대어 비디오카메라(10) 자세를 취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촬영자의 눈은 제 2표시장치인 뷰 파인더(21)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비디오카메라(10)가 어깻바대기(50)를 거쳐서 팔에 꽉 고정된다. 그 때문에, 비디오카메라(10)를 비교적 장시간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카메라 무게에 견디고, 흔들림 없이, 깨끗한 촬영을 장시간에 걸쳐서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본체(11)의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20)의 전부(前部)에 평면모니터(13)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촬영자가 비디오카메라(10)를 몸에서 멀어지게 하지 않고, 게다가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을 극력 피해서 지지할 수 있고, 상당히 들기 쉽게 할 수 있었다. 게다가, 로 앵글 촬영시에 손잡이(20)를 쥐면서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평면모니터(13)가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거북한 촬영자세를 강요당하지 않고, 편한 조작으로 촬영활동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20) 근방에 평면모니터(13)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선을 크게 움직이지 않고 표시면(13a)을 보면서 조작버튼의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이런 종류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20)에 비교적 큰 제 1표시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케이스본체(11)의 내부구조에 여유를 생기게 할 수 있고, 기능면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디자인면에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손잡이(20)에 대해서 평면모니터(13)를 자세변경 가능하게 구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액정디스플레이 등의 평면모니터(1)를 손잡이와 일체로 설치하는 구성으로서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도 4 에 있어서, 조작버튼군(27)을 없애고 또한 회동지지부(30)를 폐지하여, 평면모니터(1)를 손잡이에 매설(埋設)하도록 한다. 이 경우, 조작버튼군을 평면모니터(1) 근방에 배치하도록 구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10)에 의하면, 전자뷰파인더(21)가 비디오카메라(10) 본체로부터 떨어진 곳에 설치됨으로써, 비디오카메라(10) 본체에 전자뷰파인더(21) 설치부의 구조를 설치할 필요 없이, 비디오카메라(10) 본체를 작게 할 수 있고, 또, 전자뷰파인더(21)를 수리할 때 등의 탈/부착이 용이하다. 또, 복잡한 전자회로나 내장구조물을 가지는 비디오카메라(10) 본체로부터 멀어지고, 운반하기 위해 원래 튼튼하게 형성되며 또한 내장물도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손잡이(20)에 전자뷰파인더(21)를 부착함으로써, 이 부착부분 구조의 간략화나 부착강도에 매우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10)에 의하면, 전자뷰파인더(21)가 비디오카메라(10) 본체로부터 떨어져 위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촬영시에 비디오카메라(10)를 들어올리는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으며, 팔을 접고, 겨드랑이를 붙인 촬영이 가능하게 되며, 장시간 안정된 자세로의 촬영이 가능하다. 또, 손잡이(20) 앞쪽에 배치된 평면모니터와 거의 동일 높이에 전자뷰파인더(21)를 배치함으로써, 어느 쪽인가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통상 촬영할 때에도, 비디오카메라(10)를 들어올리는 높이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게 되며, 촬영자의 구도(構圖)작성시의 위화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10)에 의하면, 손잡이(20)와 대략 동축상에 전자뷰파인더(21)를 배치함으로써, 전자뷰파인더(21) 부착부의 구조를 손잡이(20) 내부에 넣는 것이 가능하며, 내장구조물을 위한 시각적 크기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7) 착탈시에, 전자뷰파인더(21)를 회동동작시킬 필요 없이, 착탈작업을 간편화할 수 있고, 배터리(17)의 외형을 비디오카메라(10) 본체의 외형 내에 넣을 수 있으므로, 디자인면에서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7)상부의 케이스본체를 전자뷰파인더(21)를 위해 절개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터리수납부(16)로서의 오목형상을 케이스본체(11)의 배면에 형성할 때, 케이스본체(11)의 배면의 벽을 연속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배터리수납부(16) 주위의 케이스본체(11)의 강도확보의 점에서 유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손잡이(20)의 축심과 거의 동일 축상에서 광축방향 뒤쪽에 돌출되는 전자뷰파인더(21)를,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회동자재로 배치할 수 있고, 또, 배터리(17) 교환을, 전자뷰파인더(21)의 회동을 행하지 않고, 촬영시 상태 그대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뉴스촬영 현장 등과 같이 다소 난폭하게 취급하여도 기능이 손상되지 않고, 또, 신속하고 확실하게 배터리 교환하여 단시간에 촬영상태로 복귀하고, 장시간 안정된 자세로 촬영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업무용 비디오카메라로서도 적합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자뷰파인더(21)의 회동기구가 눈에 띄지 않게 편입하고, 배터리(17)가 외형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수납할 수 있고, 디자인적으로 스마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디오카메라(10)에 어깻바대기(50)를 장착하여 이용함으로써, 극히 간단한 구성이면서, 업무용과 동일하게, 확실하게 비디오카메라(10)를 고정하여 촬영할 수 있고, 흔들림 없이 깨끗한 화상을 만들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평면패널(13)과 전자뷰파인더(21)의 어느 것인가 한쪽을 사용하여 촬영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평면패널(13)과 전자뷰파인더(21)의 양자를 동시에 사용하여 촬영하도록 해도 좋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자뷰파인더(21)는, 손잡이(20)가 비디오카메라(10) 상부에 배치되며, 배터리수납부(16)로부터 위쪽으로 떨어진, 손잡이(20) 후부(後部)에, 배터리 교환의 수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전자뷰파인더(21)를 부착할 수 있는 구성이면, 평면모니터 등이 다른 형태, 예를 들면 종래의 촬상장치(100) 등의 비디오카메라에서도 적용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촬상수단으로서, CCD를 이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고체촬상소자를 이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큰 화면의 표시장치로서 액정디스플레이 대신에, 모니터라면 EL(Electro Luminescence:전장발광)이나 평면브라운관 등을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하고 또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동축의 축심선이 연재하는 방향을, 전후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연재시키는 구성으로 했지만, 회동축의 축심선이 연재하는 방향은, 전후방향과 적당한 각도로 경사된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손잡이에 설치하는 조작버튼으로서는, 상기 실시예로 들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로서 전자스틸카메라(디지털카메라)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형식의 촬상장치, 예를 들면, 비디오카메라, 카메라부착 퍼스널 컴퓨터, PDA(휴대형 정보통신기기)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20)

  1. 렌즈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빛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형성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영상신호에 의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제 1표시장치와,
    상기 촬상수단이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렌즈장치의 렌즈계의 광축과 거의 평행하게 연재된 손잡이를 상부에 가지는 촬상장치본체를 갖춘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표시장치를, 상기 손잡이의 상기 광축방향 앞쪽에 일체로 또는 별도 부재로 자세변경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표시장치는, 평평한 평면모니터와, 상기 평면모니터를 상기 촬상장치본체에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회동지지기구를 가지고,
    상기 회동지지기구의 회동에 의해, 상기 평면모니터를 대략 180도 회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기구의 회동에 의해, 상기 평면모니터를 반전동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평면모니터의 수납위치에 있어서 평면모니터의 표시면과 그 반대 측의 비표시면을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평면모니터는, 평평한 케이 스체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체의 제 1주면에 상기 평면모니터의 표시면이 설치되며, 상기 제 1주면과 반대 측의 제 2주면이 비표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표시장치의 표시면은, 상기 광축방향 앞쪽을 높게 하여 뒤쪽으로 경사시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자세변경 가능한 상기 제 1표시장치는, 상기 손잡이의 상기 광축방향과 평행하는 방향 혹은 직교하는 방향 또는 적절한 각도로 경사된 방향으로 연재된 회동축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에 회동자재로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회동축의 축심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동작 및 반전동작 가능하게 하고, 상기 손잡이 위에 제 1표시장치의 표시면 또는 상기 표시면과 반대 측의 비표시면을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자세변경 가능한 상기 제 1표시장치에 의해서 덮여지는 상기 손잡이 위치에는, 상기 촬상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기 제 1표시장치가 배치되는 위치 근방에 있어서 상기 광축방향 뒤쪽에는, 상기 촬상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본체의 상기 손잡이의 뒤쪽에서, 상기 손잡이의 거의 동일 축상에 제 2표시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 2표시장치는 뷰파인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뷰파인더를, 상기 손잡이에 설치된 회동축에 의해 위쪽으로 회동자재로 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뷰파인더의 광축과 상기 촬상장치본체의 상기 렌즈계의 광축을, 소정의 거리를 가지고 설치하고,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떨어진 위쪽에 상기 뷰파인더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에 설치되는 배터리수납부의 상부와 상기 촬상장치본체 사이에 오목공간을 설치하고,
    배터리를 어긋나게 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어깻바대기를 설치하고,
    상기 어깻바대기는, 상기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에 대해서 접근ㆍ이반 가능하게 지지된 어깻바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어깻바대부는, 상기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에 대해서 신축자재로 지지된 지지암과, 상기 지지암의 선단에 회동자재로 지지된 어깻바대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어깻바대편은, 상기 촬상장치본체의 배면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게 되고, 상기 지지암을 축소하여 촬상장치본체에 접근시켰을 때에 상기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을 덮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어깻바대편에는, 상기 촬상장치본체의 배면에 장착된 배터리와의 접촉을 회피하기 위한 관통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어깻바대기는, 상기 촬상장치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어깻바대본체를 가지고, 상기 어깻바대본체는, 촬상장치본체의 저부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부와, 상기 지지암이 출납 가능하게 수납되는 지지암수납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7. 렌즈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빛에 의거하여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형성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영상신호에 의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제 1표시장치 및 제 2표시장치와,
    상기 촬상수단이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렌즈장치의 렌즈계의 광축과 거의 평행하게 연재된 손잡이를 상부에 가지는 촬상장치본체를 갖춘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표시장치를, 상기 손잡이의 상기 광축방향 앞쪽으로 자세변경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제 2표시장치를, 상기 손잡이의 상기 광축방향 뒤쪽으로 자세변경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표시장치는, 한 면에 표시면을 가지는 평평한 모니터케이스에 수납된 평면모니터이며, 상기 평면모니터의 한 변을 중심으로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자재로 되어 있고, 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광축으로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광축과 거의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자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표시장치는, 상기 평면모니터를 반대 측으로 회동하여 평면모니터의 수납위치로 되돌려 접었을 때에, 상기 평면모니터의 표시면이 상면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후부(後部)에는, 상기 손잡이의 거의 동일 축상에 제 2표시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제 2표시장치는 뷰파인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20067004671A 2003-10-02 2004-09-21 촬상장치 KR101053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4912 2003-10-02
JP2003344912 2003-10-02
JP2003425367 2003-12-22
JPJP-P-2003-00425367 2003-12-22
JPJP-P-2004-00259093 2004-09-06
JP2004259093A JP4380475B2 (ja) 2003-10-02 2004-09-06 撮像装置
PCT/JP2004/014129 WO2005034509A1 (ja) 2003-10-02 2004-09-21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187A true KR20060080187A (ko) 2006-07-07
KR101053252B1 KR101053252B1 (ko) 2011-08-01

Family

ID=3442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671A KR101053252B1 (ko) 2003-10-02 2004-09-21 촬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63969B2 (ko)
EP (1) EP1670239A4 (ko)
JP (1) JP4380475B2 (ko)
KR (1) KR101053252B1 (ko)
WO (1) WO20050345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5579A (ja) * 2004-06-16 2006-01-05 Sony Corp 撮像装置
EP1762889A1 (en) * 2005-09-07 2007-03-14 Thomson Licensing Camera body of a video system with a handgrip and video system therewith
JP4677378B2 (ja) * 2006-07-21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432982B2 (ja) 2007-02-16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JP2008205535A (ja) 2007-02-16 2008-09-04 Sony Corp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4293256B2 (ja) 2007-03-27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945733B2 (ja) * 2008-04-09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9273111A (ja) * 2008-04-11 2009-11-19 Panasonic Corp 撮像装置
JP4697988B2 (ja) * 2009-07-21 2011-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398476B2 (ja) 2009-10-29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409274B2 (ja) * 2009-11-04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455561B2 (ja) * 2009-11-04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388806B2 (ja) * 2009-11-10 2014-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2387315B (zh) * 2010-09-06 2014-09-17 广州飒特红外股份有限公司 机芯组件可旋转式红外热像仪
JP5602570B2 (ja) * 2010-10-01 2014-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709501B2 (ja) * 2010-12-10 2015-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645634B2 (ja) * 2010-12-15 2014-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943580B2 (ja) * 2011-10-31 201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ユニット、及び表示ユニットを備える撮像装置
JP5940394B2 (ja) 2012-07-02 2016-06-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1629121S (ko) * 2018-08-24 2019-04-15
US10809597B2 (en) * 2018-10-11 2020-10-2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9474B2 (ja) 1985-11-29 1997-01-0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電気泳動装置
JPS62167460U (ko) * 1986-04-11 1987-10-23
US4946272A (en) 1988-09-22 1990-08-07 Brown Garrett W Stabilized equipment support, primarily for use with light-weight cameras
JP2867401B2 (ja) 1988-12-15 1999-03-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動作表示装置
JPH03124173A (ja) 1989-10-09 1991-05-27 Sony Corp ポーダブルビデオカメラ
JP3124173B2 (ja) 1994-03-02 2001-01-15 リョービ株式会社 作業用ハンドルの振動低減機構を有する耕耘機
KR0136059B1 (ko) * 1994-03-10 1998-04-27 구자홍 캠코더의 액정뷰파인더 고정장치
JP3496207B2 (ja) * 1994-06-22 2004-02-09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
JPH08125890A (ja) 1994-10-21 1996-05-17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KR0113218Y1 (ko) * 1994-11-25 1998-04-13 이헌조 캠코더의 손잡이가 부착된 엘.씨.디
JP2000050118A (ja) 1998-07-27 2000-02-18 Sony Corp 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システムの映像表示方法およびカラー・モニタ装置およびビューファインダおよびカラー・モニタ装置のビューファインダへの連結方法
US6927797B2 (en) 2001-04-19 2005-08-09 Panavision Inc. Viewfinder for high definition video camera
KR100412485B1 (ko) * 2001-06-22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인출가능한 촬상장치용 뷰파인더 및 이를 구비한촬상장치
JP2003060957A (ja) 2001-08-21 2003-02-28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29694A1 (en) 2007-10-04
US8063969B2 (en) 2011-11-22
KR101053252B1 (ko) 2011-08-01
EP1670239A4 (en) 2010-05-19
JP2005210677A (ja) 2005-08-04
WO2005034509A1 (ja) 2005-04-14
EP1670239A1 (en) 2006-06-14
JP4380475B2 (ja)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252B1 (ko) 촬상장치
JPWO2006073108A1 (ja) ケース
JP2007174584A (ja) 電子機器
JP2003241112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5094665A (ja) ビデオカメラ
JP2004166055A (ja)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双眼鏡
JP2006064762A (ja) 撮像装置用ケース
JP2007173909A (ja) 光学装置
JPH0698210A (ja) モニタ付きカメラ一体型vtr
JP4186618B2 (ja) 撮像装置
JP4687000B2 (ja) 撮像装置用ケース
JPH09163199A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2006203352A (ja) ビデオカメラ
US11886100B2 (en) Suppor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724471B2 (ja) カメラ
JP2006074695A (ja) 撮像装置及びシューアダプタ
JP2005050413A (ja) 記録再生装置
JP3762008B2 (ja) 撮像装置
JPH10126654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3669517B2 (ja) カメラ一体型vtr
JP2002195354A (ja) 多目的クランパ
JPH095879A (ja) 撮像装置
JP2005184670A (ja) 撮像装置
JP2004170579A (ja)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双眼鏡
JP2008085937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